KR102368145B1 - 스틱형 내용물 용기 - Google Patents

스틱형 내용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145B1
KR102368145B1 KR1020200050289A KR20200050289A KR102368145B1 KR 102368145 B1 KR102368145 B1 KR 102368145B1 KR 1020200050289 A KR1020200050289 A KR 1020200050289A KR 20200050289 A KR20200050289 A KR 20200050289A KR 102368145 B1 KR102368145 B1 KR 102368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otrusion
elevating
lif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1773A (ko
Inventor
변재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알
Priority to KR1020200050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145B1/ko
Publication of KR20210131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 A45D2040/0062Stick holding cups with retaining means, e.g.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틱형 내용물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스틱형 내용물 용기는, 상부에 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며, 상부에 내용물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제 1 승강부; 및 상기 제 1 승강부 내측에 구비되되, 상부에 상기 수용부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용물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제 2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승강부와 상기 제 2 승강부는, 상기 회전부의 제 1 방향 회전 또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 회전에 따라 승강하며, 상기 회전부의 제 1 방향 회전 시, 상기 제 1 승강부 및 제 2 승강부가 동시 상승하여 상기 내용물을 상측 이동시키되, 상기 제 1 승강부가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하면, 상기 제 2 승강부가 단독으로 상승하여 상기 내용물을 상측으로 더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틱형 내용물 용기{STICK CONTENT CONTAINER}
본 발명은 스틱형 내용물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단 승강 구조를 통해 내용물을 잔량없이 사용할 수 있는 스틱형 내용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는,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을 수용하면서 화장품이 신체의 특정 부위에 전달되도록 화장품을 인출하는 구조를 갖는데, 화장품 용기의 구조는 용기에 수용되는 화장품의 성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화장품이 립스틱이나 선스틱, 선밤 등과 같이 일정한 스틱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고형의 화장품일 경우,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의 하부를 내측으로 일부 수용하여, 화장품의 하부를 지지하는 접시를 갖고, 이러한 접시를 승강시켜서 화장품의 인출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스틱형 화장품 용기는,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외통 및 내통(또는, 회전 조작부)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외통을 잡고 하부로 노출된 내통(또는, 회전 조작부)을 돌리면 접시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스틱형 화장품이 상승하면서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스틱형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지지하는 접시의 높이 등으로 인하여 화장품을 외부로 완전히 노출시켜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잔량이 남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용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2단 승강 구조를 통해 내용물을 잔량없이 사용할 수 있는 스틱형 내용물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틱형 내용물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스틱형 내용물 용기는, 상부에 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며, 상부에 내용물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제 1 승강부; 및 상기 제 1 승강부 내측에 구비되되, 상부에 상기 수용부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용물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제 2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승강부와 상기 제 2 승강부는, 상기 회전부의 제 1 방향 회전 또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 회전에 따라 승강하며, 상기 회전부의 제 1 방향 회전 시, 상기 제 1 승강부 및 제 2 승강부가 동시 상승하여 상기 내용물을 상측 이동시키되, 상기 제 1 승강부가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하면, 상기 제 2 승강부가 단독으로 상승하여 상기 내용물을 상측으로 더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상기 제 1 승강부 및 상기 제 2 승강부는 동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 2 승강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 1 승강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외측면에 제 1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승강 돌기가 형성되는 승강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승강부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승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승강부의 외측면에는 제 2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승강 돌기가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 1 승강부를 승강시키고, 상기 제 1 승강 돌기가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 2 승강부를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의 제 1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승강 돌기가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의 상측 단부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제 1 승강 돌기만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를 따라 더 이동하여, 상기 제 2 승강부를 단독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관의 외측 상단에는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의 상측 단부와 상측으로 이격하여 상기 제 1 승강부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제 1 제한 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관의 외측 상단에는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의 상측 단부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제 2 제한 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제한 돌기는 상기 제 1 제한 돌기보다 하측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의 제 1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승강 돌기는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를 따라 이동한 다음 상기 제 2 제한 돌기를 넘어 상기 제 1 제한 돌기와 상기 제 2 제한 돌기의 사이의 이격 공간에서 상기 회전부와 상대 회전하며, 상기 제 1 승강 돌기는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를 따라 더 이동하여, 상기 제 2 승강부를 단독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제한 돌기는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보다 돌출 높이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내용물의 일부를 내측으로 수용하여 상기 내용물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용물 고정부가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승강부에는, 상기 수용부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제 2 승강 돌기가 형성되며, 내측으로 상기 승강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제 1 로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승강부에는, 상기 지지부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면에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관의 내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제 2 로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승강부와 상기 제 2 승강부가 최대로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승강 돌기는 상기 제 2 승강 돌기보다 소정의 높이만큼 상측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조작부; 및 하부에 상기 조작부의 상측에 동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으로 상기 승강관이 형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부는 하부면의 둘레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 1 테두리부와, 상기 제 1 테두리부와 내측으로 이격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제 2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테두리부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테두리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 1 결합 돌기와 상기 제 2 결합 돌기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상기 구동부가 상기 조작부와 동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내용물 용기는, 제 1 승강부와 제 2 승강부가 동시 상승하여 내용물을 상측 이동시키되, 일정한 높이에 도달하면, 제 2 승강부가 단독 상승하여 내용물을 완전히 상측으로 밀어올리도록 구성함으로써, 잔량없이 내용물을 전부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내용물 용기의 회전부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내용물 용기의 제 1 승강부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내용물 용기의 제 2 승강부를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내용물 용기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내용물 용기의 사용 예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승 또는 하강은 절대적인 움직임 외에도 다른 구성 대비 상대적인 움직임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내용물 용기의 회전부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내용물 용기의 제 1 승강부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내용물 용기의 제 2 승강부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스틱형 내용물 용기(1000)는 하우징(100), 회전부(200, 300), 제 1 승강부(400), 제 2 승강부(500), 내캡부(600) 및 외캡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내측에 수용 공간(110)이 형성되어, 수용 공간(110)에 내용물 및/또는 다른 구성(제 1 승강부(400), 제 2 승강부(500) 등))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상단면이 개방됨으로써, 상부에 내용물을 외부로 노출하기 위한 출구(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용물은, 고형 또는 반고형으로 구성된 화장품,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 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내용물은 스틱형 선크림, 스틱형 파운데이션, 립스틱, 립밤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용 공간(110)의 수평 단면은 일 방향의 너비가 이와 수직되는 다른 방향의 너비와 상이한 비원형(non-circular)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공간(110)의 수평 단면은 타원형, 직사각형, 물방울 형상 등을 이룰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00)의 하단에는 회전부(200, 300)의 조작부(300)를 수용 및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홈(120)은 하우징(100)의 하단이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되,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전, 후방을 통해 결합홈(120)의 내측에 수용된 조작부(300)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홈(120)의 내측에는 구동부(200)를 하우징(100) 내측으로 삽입하기 위한 관통홀(도면 부호 미도시)과 회전부(200, 300)를 하우징(10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테두리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테두리부(130)는 관통홀의 둘레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부(200, 300)가 관통홀을 통해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구동부(200)의 외측면과 조작부(300)의 제 1 테두리부(310)가 결합 테두리부(130)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부(200, 300)는 하우징(100)의 하부에 하우징(100)과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제 1 방향 또는 이와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 1 승강부(400) 및/또는 제 2 승강부(500)를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승강시킬 수 있다. 회전부(200, 300)는 구동부(200) 및 조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조작부(300)의 상측에 동기 회전(또는,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100)과의 상대 회전을 통해 제 1 승강부(400) 및/또는 제 2 승강부(5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200)는 승강관(210) 및 베이스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관(210)은 상부면과 하부면이 관통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 1 승강부(400) 및 제 2 승강부(5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관(210)은 적어도 일부가 제 1 승강부(400)의 제 1 로드부(420) 내측에 배치되되, 제 2 승강부(500)의 제 2 로드부(520) 중 적어도 일부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승강관(210)의 외측면에는 제 1 승강부(400)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 1 가이드 돌기(21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가이드 돌기(211)는 승강관(210)의 하부 일 지점으로부터 상부 일 지점까지 외측면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어 나선형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부(200, 300)의 회전 시, 제 1 승강부(400)의 내측 하단에 형성된 제 2 승강 돌기(421)가 제 1 가이드 돌기(211)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 1 승강부(4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승강관(210)의 외측 상단에는 제 1 제한 돌기(21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제한 돌기(212)는 승강관(210)의 상단 둘레에서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환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제 1 가이드 돌기(211)의 상측 단부와 상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승강부(400)의 제 2 승강 돌기(421)가 제 1 가이드 돌기(211)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이러한 제 1 제한 돌기(212)에 의해 제 2 승강 돌기(421)의 상승이 제한되게 됨으로써, 제 1 승강부(400)가 구동부(200)로부터 임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관(210)의 외측 상단에는 제 2 제한 돌기(2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제한 돌기(213)는 승강관(210)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환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제 1 가이드 돌기(211)의 상측 단부와 중첩되되, 제 1 제한 돌기(212)보다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부(200, 300)의 제 1 방향 회전 시, 제 1 승강부(400)의 제 2 승강 돌기(421)는 이러한 제 2 제한 돌기(213)를 넘어 제 1 제한 돌기(212)와 제 2 제한 돌기(213)의 사이의 이격 공간에서 회전부(200, 300)와 상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 2 제한 돌기(213)는 제 1 가이드 돌기(211) 및 제 1 제한 돌기(212) 보다 돌출 높이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승강 돌기(421)는, 회전부(200, 300)의 제 1 방향 회전 시, 제 1 가이드 돌기(211)의 상측 단부까지 제 1 가이드 돌기(211)를 따라 이동한 다음 제 2 제한 돌기(213)를 넘어 제 1 제한 돌기(212)와의 이격 공간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승강관(210)의 내측면에는 제 2 승강부(500)를 승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승강 돌기(214)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승강 돌기(214)는 승강관(210)의 내측 상단 또는 내측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으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부(200, 300)의 회전 시, 제 1 승강 돌기(214)가 제 2 승강부(500)에 형성된 제 2 가이드 돌기(521)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 2 승강부(5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220)는 승강관(210)의 하단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구동부(200)를 조작부(300)와 동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220)에는, 하우징(100) 및/또는 조작부(300)와의 결합을 위하여, 지지 테두리부(221),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222) 및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 돌기(223)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테두리부(221)는 베이스부(220)의 하단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조작부(300)의 제 1 테두리부(310)와 제 2 테두리부(320) 사이의 공간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돌기(222)는 베이스부(22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지지 테두리부(221)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00)가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하우징(100)의 결합 테두리부(130)가 지지 테두리부(221) 및 고정 돌기(222) 사이에 끼워지게 되며, 이를 통해, 회전부(200, 300)가 하우징(100)과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결합 돌기(223)는 베이스부(220)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결합 돌기(223)가 조작부(300)에 형성되는 제 2 결합 돌기(321)와 맞물림으로써, 구동부(200)는 조작부(300)에 동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220)는 승강관(210)과 동일하게 원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승강관(210)보다 외경이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220)의 상단이 승강관(210)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베이스부(220)의 상단 둘레에 단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단턱은, 제 1 승강부(400)의 하강 시, 제 1 승강부(400)의 하단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조작부(300)는 구동부(200)의 하부에 결합되어 결합홈(120)에 수용되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될 수 있다. 조작부(300)는 하부면의 둘레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 1 테두리부(310)와, 제 1 테두리부(310)와 내측으로 이격 형성되는 제 2 테두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테두리부(310)는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며, 외측면에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3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테두리부(310)는 회전부(200, 300)의 결합 시,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00)의 결합 테두리부(130)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테두리부(310)의 내측면에는 조작부(300)와 하우징(100)의 결합을 보조하기 위하여 환형 돌기(3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테두리부(320)는 제 1 테두리부(310)의 내측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테두리부(320)는 하부면으로부터 제 1 테두리부(310) 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베이스부(220)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조작부(300)를 구동부(200)에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테두리부(320)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 돌기(32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들 들어, 제 2 결합 돌기(321)는 베이스부(220)에 형성된 제 1 결합 돌기(223)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제 2 테두리부(32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테두리부(320)가 베이스부(220)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이러한 제 2 결합 돌기(321) 사이에 제 1 결합 돌기(223)가 삽입되어, 제 1 결합 돌기(223)와 제 2 결합 돌기(321)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조작부(300)와 구동부(200)는 동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승강부(400)는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내용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회전부(200, 300)의 회전에 따라 승강함으로써, 내용물을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노출 또는 내측으로 수용시킬 수 있다. 제 1 승강부(400)는 수용부(410) 및 제 1 로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410)는 내측에 내용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410)의 내측으로 내용물의 하부가 삽입되고, 상측의 나머지 부분은 하우징(100)의 수용 공간(110)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용부(410)는 수평 단면이 하우징(100)의 수용 공간(110)에 대응하는 비원형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410)의 형상으로 인해, 제 1 승강부(400)는 하우징(100)과 동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회전부(200, 300)가 하우징(10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더러도, 제 1 승강부(400)는 회전하지 않고,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제 1 로드부(420)는 수용부(410)의 하단으로부터 하측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이 관통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로드부(420)의 내측에 승강관(2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으며, 제 1 로드부(420)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승강 돌기(42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승강 돌기(421)는 제 1 로드부(420)의 내측 하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승강 돌기(421)가, 회전부(200, 300)의 회전에 의해, 승강관(2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돌기(211)를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제 1 승강부(400)는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로드부(420)의 하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42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부(422)는 제 1 로드부(420)의 하단이 상측 방향으로 제 2 승강 돌기(421)에 대응하는 소정의 위치까지 절개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 2 승강 돌기(421)가 제 1 가이드 돌기(211)를 따라 이동하다가 제 2 제한 돌기(213)에 도달하면, 이러한 개방부(422)에 의해 제 1 로드부(420)의 하단이 외측으로 변형됨으로써, 제 2 제한 돌기(213)를 넘어 제 1 제한 돌기(212)와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 2 승강부(500)는 내용물을 하측에서 지지하며, 회전부(200, 300)의 회전에 따라 승강할 수 있다. 특히, 제 2 승강부(500)는 단독ㅇ로 제 1 승강부(400) 보다 더 상승함으로써, 내용물의 잔량을 모두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제 2 승강부(500)는 지지부(510) 및 제 2 로드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510)는 수용부(410)의 내측에 배치되어 내용물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5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plate) 형상으로 구성되며, 지지부(510)의 하부면은 수용부(410)의 바닥에 밀착되고, 지지부(510)의 상부면에 내용물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510)는 하우징(100)의 수용 공간(110) 및 수용부(410)에 대응하는 비원형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510)의 형상에 의해, 제 2 승강부(500)와 제 1 승강부(400)는 동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회전부(200, 300)가 하우징(10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더러도, 제 1 승강부(400)와 마찬가지로, 제 2 승강부(500)는 회전하지 않고,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510)에는 내용물의 일부를 내측으로 수용하여 내용물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용물 고정부(511, 512)가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물 고정부(511, 512)는 제 2 로드부(52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제 1 고정부(511)와 제 1 고정부(511)의 외측에 지지부(5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고정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로드부(520)는 지지부(510)의 하부면으로부터 하측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로드부(520)는, 예를 들어,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구동부(200)의 승강관(210)의 내측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제 2 로드부(520)의 외측면에는 제 2 가이드 돌기(52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이드 돌기(521)는 제 2 로드부(520)의 하부 일 지점으로부터 상부 일 지점까지 외측면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어 나선형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승강관(2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 1 승강 돌기(214)가, 회전부(200, 300)의 회전에 의해, 제 2 가이드 돌기(521)를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제 2 승강부(500)는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가이드 돌기(521)의 하측 단부에는 이탈 방지 돌기(52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탈 방지 돌기(522)는 제 2 가이드 돌기(521)의 하측 단부와 연속되되, 제 2 가이드 돌기(521)의 하측 단부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굴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 방지 돌기(522)에 제 1 승강 돌기(214)가 걸림으로써, 제 2 승강부(500)가 상측으로 임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승강 돌기(421)는 제 1 로드부(420)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고, 제 1 승강 돌기(214)는 승강관(210)의 내측 상단 또는 내측 상단과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승강부(400)와 제 2 승강부(500)가 최대로 하강된 상태에서, 제 2 승강부(500)를 승강시키는 제 1 승강 돌기(214)가 제 1 승강부(400)를 승강시키는 제 2 승강 돌기(421)보다 소정의 높이만큼 상측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로드부(420), 승강관(210) 및/또는 제 1 가이드 돌기(211)를 길게 형성하지 않더라도, 제 1 승강부(400)가 충분히 상승할 수 있게 되며, 제 1 승강부(400)가 최대로 상승된 상태에서, 제 1 승강 돌기(214)가 하측에 남은 제 2 가이드 돌기(521)의 일 부분을 더 이동하여 제 2 승강부(500)가 단독으로 더 상승할 수 있게 된다.
내캡부(600)는 하우징(100)의 출구를 덮도록 결합되어, 하우징(100) 내측에 수용된 내용물을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내캡부(600)는 하우징(100)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캡부(600)의 일 영역에는 하우징(100)의 출구로부터 돌출된 내용물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상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외캡부(700)는 내캡부(600) 및 하우징(100)의 상단을 감싸도록, 내캡부(600) 및/또는 하우징(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내캡부(600)와 외캡부(700)의 결합을 위하여, 내캡부(600) 및 하우징(100) 간의 결합 부위와, 외캡부(700), 내캡부(600) 및 하우징(100) 간의 결합 부위에 단턱, 걸림턱, 결합 돌기 등이 구비될 수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외에도 탈착을 위해 사용되는 구조들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내용물 용기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조작부(300)에 대한 회전 조작에 의해 구동부(200)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승강부(400)의 제 2 승강 돌기(421)가 승강관(210)의 제 1 가이드 돌기(211)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 1 승강부(400)가 상승할 수 있다. 계속하여, 구동부(200)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 승강 돌기(421)는 제 1 가이드 돌기(211)의 상측 단부와 중첩하여 형성되는 제 2 제한 돌기(213)에 도달하게 되며, 이어서, 제 1 로드부(420)의 하단이 외측으로 변형되면서, 제 2 승강 돌기(421)는 제 2 제한 돌기(213)를 넘어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 1 제한 돌기(212)와 제 2 제한 돌기(213)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구동부(200)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구동부(200)의 제 1 승강 돌기(214)가 제 2 승강부(500)의 제 2 가이드 돌기(521)를 따라 이동하여 제 2 승강부(500)는 제 1 승강부(400)와 함께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제 1 승강부(400)와 제 2 승강부(500)의 승강 속도가 동일하도록, 제 1 가이드 돌기(211)와 제 2 가이드 돌기(521)는 서로 대응하는 경사, 간격 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면, 제 2 승강 돌기(421)가 제 2 제한 돌기(213)를 넘어 제 1 제한 돌기(212)와 제 2 제한 돌기(213) 사이의 이격 공간에 도달하면, 구동부(200)가 제 1 방향으로 더 회전하더라도, 제 2 승강 돌기(421)는 상기 이격 공간 내에서 구동부(200)에 대해 제자리 회전만 하게 되므로, 제 1 승강부(400)는 더 이상 상승을 하지 못하게 된다.
반면, 제 2 승강부(500)의 경우는, 제 1 승강 돌기(214)가 하측에 남은 제 2 가이드 돌기(521)를 따라 더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단독으로 상승을 계속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부(510)가 수용부(410)의 내부로부터 상승하게 된다.
한편, 제 2 승강부(500)만 단독으로 더 상승된 상태에서, 구동부(200)가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승강 돌기(214)가 제 2 가이드 돌기(521)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 2 승강부(500)가 먼저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제 2 승강 돌기(421)는 제 1 제한 돌기(212)와 제 2 제한 돌기(213) 사이의 이격 공간에서 제자리 회전하기 때문에, 제 1 승강부(400)는 하강하지 못하고 원래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제 2 승강부(500)의 하강에 따라 지지부(510)가 수용부(410)의 바닥면에 도달하게 되면, 지지부(510)의 가압력에 의해, 제 2 승강 돌기(421)는 제 2 제한 돌기(213)를 넘어 하측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제 2 승강 돌기(421)가 제 1 가이드 돌기(211)를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제 1 승강부(400)는 제 2 승강부(500)와 함께 하강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내용물 용기의 사용 예시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 승강부(400) 및 제 2 승강부(500)를 동시에 상승시킴으로써, 내용물(S)이 하우징(100) 외측으로 노출되게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작부(300)를 제 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일정한 높이까지 제 1 승강부(400) 및 제 2 승강부(500)가 동시에 상승함으로써, 내용물(S)이 하우징(100)의 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되며, 사용되는 외부로 노출된 내용물(S)을 적용 부위에 도포할 수 있다.
사용자가 내용물(S)에 대한 사용을 완료하여 조작부(300)를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승강부(400)와 제 2 승강부(500)가 동시 하강하여 내용물(S)이 하우징(100) 내측으로 수용되게 된다.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면, 내용물(S)의 잔량이 얼마남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조작부(300)를 제 1 방향으로 더 회전시켜 제 2 승강부(500)를 단독으로 상승시킴으로써, 남은 내용물(S)을 하우징(100) 외측으로 노출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틱형 내용물 용기(1000)에 수용된 내용물을 거의 남기지 않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110: 수용 공간
120: 결합홈 130: 결합 테두리부
200: 구동부 210: 승강관
211: 제 1 가이드 돌기 212: 제 1 제한 돌기
213: 제 2 제한 돌기 214: 제 1 승강 돌기
220: 베이스부 221: 지지 테두리부
222: 고정 돌기 223: 제 1 결합 돌기
300: 조작부 310: 제 1 테두리부
311: 걸림 돌기 312: 환형 돌기
320: 제 2 테두리부 321: 제 2 결합 돌기
400: 제 1 승강부 410: 수용부
420: 제 1 로드부 421: 제 2 승강 돌기
500: 제 2 승강부 510: 지지부
511, 512: 내용물 고정부 520: 제 2 로드부
521: 제 2 가이드 돌기 522: 이탈 방지 돌기
600: 내캡부 700: 외캡부
1000: 스틱형 내용물 용기

Claims (12)

  1. 스틱형 내용물 용기로서,
    상부에 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고, 외측면에 제 1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승강 돌기가 형성되는 승강관을 포함하는 회전부;
    상기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며, 상부에 내용물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승강 돌기가 형성되는 제 1 승강부; 및
    상기 제 1 승강부 내측에 구비되되, 상부에 상기 수용부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용물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제 2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제 2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관이 상기 제 2 승강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 1 승강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의 제 1 방향 회전 또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승강 돌기가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 1 승강부를 승강시키고, 상기 제 1 승강 돌기가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 2 승강부를 승강시키며,
    상기 회전부의 제 1 방향 회전 시, 상기 제 1 승강부 및 제 2 승강부가 동시 상승하여 상기 내용물을 상측 이동시키되, 상기 제 1 승강부가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하면, 상기 제 2 승강부가 단독으로 상승하여 상기 내용물을 상측으로 더 이동시키는, 스틱형 내용물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상기 제 1 승강부 및 상기 제 2 승강부는 동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틱형 내용물 용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제 1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승강 돌기가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의 상측 단부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제 1 승강 돌기만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를 따라 더 이동하여, 상기 제 2 승강부를 단독으로 상승시키는, 스틱형 내용물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관의 외측 상단에는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의 상측 단부와 상측으로 이격하여 상기 제 1 승강부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제 1 제한 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스틱형 내용물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관의 외측 상단에는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의 상측 단부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제 2 제한 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제한 돌기는 상기 제 1 제한 돌기보다 하측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의 제 1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승강 돌기는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를 따라 이동한 다음 상기 제 2 제한 돌기를 넘어 상기 제 1 제한 돌기와 상기 제 2 제한 돌기의 사이의 이격 공간에서 상기 회전부와 상대 회전하며, 상기 제 1 승강 돌기는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를 따라 더 이동하여, 상기 제 2 승강부를 단독으로 상승시키는, 스틱형 내용물 용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한 돌기는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보다 돌출 높이가 작게 형성되는, 스틱형 내용물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내용물의 일부를 내측으로 수용하여 상기 내용물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용물 고정부가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는, 스틱형 내용물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승강부에는, 상기 수용부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제 2 승강 돌기가 형성되며, 내측으로 상기 승강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제 1 로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승강부에는, 상기 지지부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면에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관의 내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제 2 로드부가 구비되는, 스틱형 내용물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승강부와 상기 제 2 승강부가 최대로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승강 돌기는 상기 제 2 승강 돌기보다 소정의 높이만큼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스틱형 내용물 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조작부; 및
    하부에 상기 조작부의 상측에 동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으로 상기 승강관이 형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틱형 내용물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하부면의 둘레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 1 테두리부와, 상기 제 1 테두리부와 내측으로 이격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제 2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테두리부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테두리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 1 결합 돌기와 상기 제 2 결합 돌기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상기 구동부가 상기 조작부와 동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틱형 내용물 용기.
KR1020200050289A 2020-04-24 2020-04-24 스틱형 내용물 용기 KR102368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289A KR102368145B1 (ko) 2020-04-24 2020-04-24 스틱형 내용물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289A KR102368145B1 (ko) 2020-04-24 2020-04-24 스틱형 내용물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773A KR20210131773A (ko) 2021-11-03
KR102368145B1 true KR102368145B1 (ko) 2022-02-28

Family

ID=78505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289A KR102368145B1 (ko) 2020-04-24 2020-04-24 스틱형 내용물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1184B1 (en) * 2019-10-01 2021-01-05 Elc Management Llc Container for a stick product
KR102413008B1 (ko) * 2020-11-20 2022-06-24 주식회사 씨티케이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102389856B1 (ko) * 2022-03-11 2022-04-28 주식회사 씨티케이 잔량 소진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102587948B1 (ko) * 2023-02-07 2023-10-10 강선명 씻어내는 스틱형 화장품 리필 전용 용기
KR102549180B1 (ko) * 2023-02-09 2023-06-29 이성환 스틱 용기
KR102612263B1 (ko) * 2023-03-30 2023-12-11 (주)명신코스텍 완전 사용이 가능한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186B1 (ko) 2017-08-17 2018-05-17 (주)연우 이종 내용물이 저장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594B1 (ko) * 1999-08-14 2001-11-03 서경배 잔량사용 및 교환가능한 화장료 용기
KR200494894Y1 (ko) * 2017-08-17 2022-01-20 코스맥스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186B1 (ko) 2017-08-17 2018-05-17 (주)연우 이종 내용물이 저장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773A (ko)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7557B1 (ko) 스틱형 내용물 용기
KR102368145B1 (ko) 스틱형 내용물 용기
JP6212658B2 (ja) リップスティック容器
KR200493142Y1 (ko) 홀더 분리형 립스틱 용기
KR101859186B1 (ko) 이종 내용물이 저장된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101944399B1 (ko) 화장품 용기
JP3624189B2 (ja) 物質特に液体リップスティックをパッケージングし分与する装置
KR101363349B1 (ko) 이중 배출수단을 갖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101333044B1 (ko) 콤팩트 용기
KR101571456B1 (ko) 액상 립스틱 용기
CN107510217B (zh) 一种唇膏容器
KR102011701B1 (ko) 버튼 출몰식 용기
JP6446232B2 (ja) 繰出容器
KR102282237B1 (ko) 출몰식 용기
KR102321059B1 (ko) 내용물 용기
KR101247124B1 (ko) 펜슬형 화장품용기
CN107198339B (zh) 唇膏容器
KR20200109003A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20190113365A (ko) 화장품 용기
KR102121998B1 (ko) 화장품 용기
KR20210158272A (ko) 내용물 용기
KR102005321B1 (ko) 화장품 용기
CN211794844U (zh) 棒状化妆品容器
KR100820680B1 (ko) 바닥이 상승되는 화장품 용기
KR20210050838A (ko) 출몰식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