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321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321B1
KR102005321B1 KR1020170103794A KR20170103794A KR102005321B1 KR 102005321 B1 KR102005321 B1 KR 102005321B1 KR 1020170103794 A KR1020170103794 A KR 1020170103794A KR 20170103794 A KR20170103794 A KR 20170103794A KR 102005321 B1 KR102005321 B1 KR 102005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uide hole
protrusions
guide holes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8964A (ko
Inventor
김성태
강재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103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32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8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45D2040/208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the relative movement being made by a rotating action, e.g. effected by a scr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수용하고 외주면에 복수 개의 돌기들이 형성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상기 돌기들이 각각 관통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홀들이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돌기들이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나선홈들이 형성된 가드링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돌기들은, 상기 가이드홀과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상기 가이드홀과 면접촉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A Cosmetic vessel}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하강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화장을 통해 자신을 아름답게 가꾸고자 하는 욕망이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피부를 포함하여 머리, 손톱, 입술 등을 다양한 방식으로 화장함으로써 만족도를 느낀다.
특히 입술의 경우, 붉은색 계통으로 화장하여 얼굴에서 입술이 도드라져 보이도록 하는 화장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때 사람들은 립스틱, 립글로즈, 립밤, 립틴트 등을 이용하여 입술을 화장하게 된다. 이때 립스틱 등은 입술에 색상을 입혀 입술을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면서도 입술이 건조해져서 갈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최근에는 립스틱 등이 아이섀도우나 블러셔, 컨실러 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됨으로써 그 활용도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립스틱은 기본적으로 통 형태로 제작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을 수용하며 외주면에 돌기(11)가 형성되는 승강부(10), 승강부(10)의 외측에 결합되며 돌기(11)가 관통하는 직선홀(21)이 형성되는 프레임(20) 및 프레임(20)의 외측에 결합되며 내주면에 직선홀(21)을 관통한 돌기(11)가 위치하는 나선홈(31)이 형성되는 가드링(30)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1)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화장품 용기(1)의 승강부(10)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돌기로 구성되며, 그에 대응하여 가드링(30)에는 1줄 또는 2줄 나선홈이 마련된다. 이러한 종래 구조의 경우 승강부(10)의 돌기 형성 부위 및 돌기 미형성 부위 간 치수 편차에 따른 낮은 진원도로 인해, 승강부(10)의 승하강 감도가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구조의 경우, 2줄 나선홈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승강부(10)의 승하강시 유동이 심하며, 원형의 돌기(11)와 마찰에 의해 힘 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승하강이 부드럽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3줄 나선홈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승하강 품질을 제공하고, 화장품의 승하강 시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홀과 마주하는 측면이 가이드홀과 면접촉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돌기를 이용함으로써 승강부를 승하강 시키기 위한 외력이 효율적으로 전달되어 승하감 감도가 상승되도록 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수용하고 외주면에 복수 개의 돌기들이 형성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상기 돌기들이 각각 관통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홀들이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돌기들이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나선홈들이 형성된 가드링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돌기들은, 상기 가이드홀과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상기 가이드홀과 면접촉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돌기들은, 상기 승강부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3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돌기들은, 원에서 상기 가이드홀과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절단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부는, 상기 화장품이 안착되는 접시 및 상기 접시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홀들은, 상기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경사값을 갖는 나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홀들은, 일단의 하단 고정부 및 타단의 상단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가드링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돌기들이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홀들 및 상기 복수 개의 나선홈들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하 회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수용하고 외주면에 복수 개의 돌기들이 형성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상기 돌기들이 각각 관통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홀들이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돌기들이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나선홈들이 형성된 가드링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홀들은, 상기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나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돌기들은, 상기 승강부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3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돌기들은, 상기 가이드홀과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상기 가이드홀과 면접촉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돌기들은, 원에서 상기 가이드홀과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절단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부는, 상기 화장품이 안착되는 접시 및 상기 접시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홀들은, 일단에 하단 고정부 및 타단에 상단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가드링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돌기들이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홀들 및 상기 복수 개의 나선홈들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하 회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3줄 나사 구조를 통해 화장품 승하강 시 진원도를 향상시키고 승하강 감도를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화장품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승강부에 마련되는 돌기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승강부에 마련되는 돌기가 프레임에 마련되는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가드링에 마련되는 나선홈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프레임에 마련되는 가이드홀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승강부에 마련되는 돌기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승강부에 마련되는 돌기가 프레임에 마련되는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가드링에 마련되는 나선홈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프레임에 마련되는 가이드홀의 확대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승강부(110), 프레임(120) 및 가드링(130)을 포함한다.
승강부(110)는 화장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홈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화장품은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립틴트 등의 립제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형의 아이섀도우, 블러셔, 컨실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납홈 형태의 승강부(110)는 화장품이 안착되는 접시와 접시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측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측벽의 내주면에는 고형의 화장품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으며, 고정돌기는 고형 화장품이 승강부(110)의 내부로 용이하게 인입되는 형태를 가지면서도, 고형 화장품이 승강부(110)의 외부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측벽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11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111)는 승강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3개가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상의 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다. 3개의 돌기(111)는 승강부(110)의 외주면에 동일한 간격, 즉 120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돌기가 배치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승강부(110)는 화장품 용기(100) 내를 스크류 이동함으로써, 승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승강부(110)가 승강 이동함에 따라, 승강부(110)에 수납된 화장품이 화장품 용기(100)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화장품 용기(10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승강부(110)의 외측에는 프레임(120) 및 가드링(130)이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120)은 승강부(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체 형상을 가지며, 승강부(1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111)가 각각 관통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홀(121)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11)가 3개 형성될 때, 프레임(120)에는 3개의 돌기(111)에 각각 대응되는 3개의 가이드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가이드홀(121)의 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돌기(111)와 가이드홀(121)의 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고, 가이드홀(121)의 수는 3개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홀(121)을 관통하는 돌기(111)는 가이드홀(121)과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가이드홀(121)과 면접촉하는 형태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돌기(111)는 원에서 상기 가이드홀(121)과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절단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홀(121)은 프레임(120)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경사값을 갖는 나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가이드홀(121)은 서로 교차되지 않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홀(121)이 나선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돌기(111)는 도 3에 도시되 바와 같이, 가이드홀(121)과 면접촉하는 양측이 사선으로 절단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를 통하여 돌기(111)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가이드홀(121)을 따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보다 용이하게 전달되어 매끄러운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돌기(111)가 원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프레임(120)과 가드링(130)의 상대 회전 시 돌기(111)가 가이드홀(121)에 점으로 접촉하게 되므로, 힘 전달력이 약하고 가이드홀(121) 내에서 돌기(111)의 안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 돌기(111)가 가이드홀(121)과 맞닿는 일면을 평면으로 구현할 경우, 프레임(120)과 가드링(130)의 상대 회전 시 돌기(111)가 가이드홀(121)에 면으로 접촉하게 되므로, 돌기(111)를 통해 승강부(110)로 힘이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승강부(110)가 안정적으로 상승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돌기(111)가 양측면이 절단된 원기둥 형태를 갖도록 하여, 승강부(110)의 상승을 위한 프레임(120)과 가드링(130)의 상대 회전 시 돌기(111)와 가이드홀(121)이 면 접촉을 통해 힘이 전달되도록 하여 승강부(110)의 안정적인 상승을 구현하면서도, 반대로 승강부(110)의 하강을 위한 프레임(120)과 가드링(130)의 상대 회전 시에도 돌기(111)와 가이드홀(121)이 면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승강부(110)가 불필요하게 하강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가이드홀(121)에는 하단 고정부(1211) 및 상단 고정부(1212)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6에는 가이드홀(121)에 하단 고정부(1211) 및 상단 고정부(1212)가 모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있으나, 하단 고정부(1211) 및 상단 고정부(1212)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하단 고정부(1211) 및 상단 고정부(1212)는 승강부(110)의 돌기(111)가 가이드홀(121)을 관통하여 승강 이동할 때, 이동 범위를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하단 고정부(1211)에 승강부(110)의 돌기(111)가 위치하게 되면 돌기(111)가 가이드홀(121)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승강부(110)에 결합된 화장품이 프레임(1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한편, 상단 고정부(1212)에 승강부(110)의 돌기(111)가 위치하게 되면 돌기(111)가 가이드홀(121)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승강부(110)에 결합된 화장품이 프레임(12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프레임(120)의 일단에는 손잡이(122)가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122)는 프레임(12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주조되거나 프레임(120)의 일단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122)의 손잡이(122)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120)의 외측에 결합되는 가드링(130)의 외부로 노출되고, 가드링(1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가드링(130)을 파지한 상태에서 손잡이(122) 및 그에 연결된 프레임(1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가드링(130)은 프레임(120)의 외측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가드링(130)은 프레임(120)의 손잡이(122)의 연결부에 마련되는 돌출부재(123) 상에 안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프레임(120)의 손잡이(122)는 가드링(130)이 외부로 노출된다.
가드링(130)의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나선홈(131)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나선홈(131)에는 프레임(120)의 가이드홀(121)을 관통하여 돌출된 승강부(110)의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111)가 위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11)가 3개 형성될 때, 가드링(130)에는 3개의 돌기(111)에 각각 대응되는 3중 나선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나선홈(13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교차될 수 있다.
가드링(130)에 마련되는 나선홈(131)의 경사값은, 프레임(120)에 마련되는 가이드홀(121)의 경사값과 90도 또는 90도에 가까운 각도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힘의 전달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나선홈(131)과 가이드홀(121)의 경사가 충분히 확보되도록 하여 승강부(110)가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손잡이(122)의 회전에 의해 프레임(120)이 회전하면, 프레임(120)의 가이드홀(121)을 관통한 돌기(111)가 나선홈(131)을 따라 이동하면서, 동시에 회전하는 프레임(120)의 가이드홀(12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구조를 통하여 본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100)는 3줄 나선홈 구조를 이용하여 진원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화장품의 승하강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손잡이(122)를 통한 사용자의 힘 전달을 향상하여 승하강 감도가 개선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화장품 용기 110: 승강부
111: 돌기 120: 프레임
121: 가이드홀 1211: 하단 고정부
1212: 상단 고정부 122: 손잡이
123: 돌출부재 130: 가드링
131: 나선홈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화장품을 수용하고 외주면에 복수 개의 돌기들이 형성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상기 돌기들이 각각 관통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홀들이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돌기들이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나선홈들이 형성된 가드링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홀들은,
    상기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나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돌기들은,
    상기 승강부의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높이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3개가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의 진원도를 향상시키며,
    상기 가이드홀들 및 상기 나선홈들은, 상기 돌기에 대응되도록 3개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 및 상기 나선홈에 안착되는 상기 돌기에 의한 상기 승강부의 지지점이, 승하강 방향과 수직이고 상기 승강부와 중심이 동일한 삼각 평면을 이루도록 하여, 상기 승강부의 승하강 시 흔들림을 줄이고 승하강 감도를 향상시키며,
    상기 복수 개의 돌기들은,
    상기 가이드홀과 마주하는 측면이 상기 가이드홀과 면접촉하도록 평평한 경사면 형태를 가져서,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홀에 의해 밀리면 상기 돌기의 경사면을 통해 상기 승강부로 상하 방향의 힘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돌기들은,
    상기 가이드홀과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상기 가이드홀과 면접촉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돌기들은,
    원에서 상기 가이드홀과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절단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화장품이 안착되는 접시; 및
    상기 접시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홀들은,
    일단에 하단 고정부 및 타단에 상단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마련되고 상기 가드링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돌기들이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홀들 및 상기 복수 개의 나선홈들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하 회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170103794A 2017-08-16 2017-08-16 화장품 용기 KR102005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794A KR102005321B1 (ko) 2017-08-16 2017-08-16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794A KR102005321B1 (ko) 2017-08-16 2017-08-16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964A KR20190018964A (ko) 2019-02-26
KR102005321B1 true KR102005321B1 (ko) 2019-07-30

Family

ID=65562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794A KR102005321B1 (ko) 2017-08-16 2017-08-16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3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5882A1 (fr) * 2022-05-31 2023-12-01 Albea Services Dispositif d'application d'un raisin de produit cosmetiqu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880B1 (ko) 2019-04-19 2019-10-01 이지영 스틱형 화장품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715A (ja) 2003-12-02 2005-06-23 Katsushika:Kk 棒状化粧料繰り出し容器
JP2007289365A (ja) * 2006-04-25 2007-11-08 Suzuno Kasei Kk 棒状化粧材繰出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0410U (ko) * 1990-11-28 1992-07-14
KR200161542Y1 (ko) * 1997-07-23 1999-12-01 오진세 립스틱 케이스(lipstick case)
KR20100013021U (ko) * 2009-06-23 2010-12-31 (주)아모레퍼시픽 임의 함몰 방지용 간섭부를 갖는 립스틱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715A (ja) 2003-12-02 2005-06-23 Katsushika:Kk 棒状化粧料繰り出し容器
JP2007289365A (ja) * 2006-04-25 2007-11-08 Suzuno Kasei Kk 棒状化粧材繰出容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5882A1 (fr) * 2022-05-31 2023-12-01 Albea Services Dispositif d'application d'un raisin de produit cosmetique
FR3135881A1 (fr) * 2022-05-31 2023-12-01 Albea Services Dispositif d'application d'un raisin de produit cosmetique
EP4285784A1 (fr) * 2022-05-31 2023-12-06 Albea Services Dispositif d'application d'un produit cosmétique sous forme de sti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964A (ko)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321B1 (ko) 화장품 용기
KR101944399B1 (ko) 화장품 용기
EP2891427B1 (en) Tube-type cosmetic container having double discharge means
EP3289914B1 (en) Compact container
US20130230347A1 (en) Slide type lipstick case structure
KR102234714B1 (ko) 보호관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승하강되는 스틱형 고형 화장품용기
KR101503239B1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KR102368145B1 (ko) 스틱형 내용물 용기
US20170311695A1 (en) Button-Type Pencil Cosmetic Dispenser
US5842805A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a cooperating cosmetic carrier and inner sleeve
JP6446232B2 (ja) 繰出容器
US5000601A (en) Smooth drive cosmetic container
KR20130024293A (ko) 펜슬형 화장품용기
KR20190019244A (ko) 방향성을 갖는 립스틱 용기
KR20190113365A (ko) 화장품 용기
JP2020006137A (ja) 化粧品容器
KR102038420B1 (ko) 보호관이 탄력적으로 승하강되는 동시에 손쉽게 고정되는 스틱형 고형화장품 용기
KR100981395B1 (ko) 휴대용 의자
KR20200000957U (ko) 듀얼 타입 립스틱 용기의 립스틱 홀더 승강구조
KR200484509Y1 (ko) 화장품 내용물과의 우수한 밀착력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567427B1 (ko) 엘리베이팅 방식의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200486094Y1 (ko) 투명 립스틱 용기
JP3241804U (ja) 化粧品容器
KR200487975Y1 (ko) 화장품 용기
US7172356B2 (en) Packaging and dispensing device with disengag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