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263B1 - 완전 사용이 가능한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 - Google Patents

완전 사용이 가능한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263B1
KR102612263B1 KR1020230042309A KR20230042309A KR102612263B1 KR 102612263 B1 KR102612263 B1 KR 102612263B1 KR 1020230042309 A KR1020230042309 A KR 1020230042309A KR 20230042309 A KR20230042309 A KR 20230042309A KR 102612263 B1 KR102612263 B1 KR 102612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tube
screw hole
con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2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주)명신코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신코스텍 filed Critical (주)명신코스텍
Priority to KR1020230042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 A45D2040/0062Stick holding cups with retaining means, e.g. clamp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완전 사용이 가능한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으로 개구된 바디입구(11) 측에 단차지게 형성된 끼움관(12) 및 끼움관(12)의 외주면에 형성된 끼움관돌기(13)를 가지는 원통형태의 고정바디(10)와; 고정바디(10) 내측에 끼어져 고정되는 것으로서 바디입구(11) 방향으로 메인나사홀(21)이 형성된 베이스관(20)과; 고정바디(10)와 베이스관(2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끼어지는 것으로서, 내측에 베이스관(20)의 단부가 거치되는 거치판(31) 및 거치판(31)의 중앙에 형성되는 비원형홀(32)을 가지는 회전바디(30)와; 비원형홀(32)에 비회전되게 끼어지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나사산(41)이 형성된 이송나사관(42) 및 이송나사관(42)의 선단에 형성되어 파운데이션 스틱(S)이 끼어지는 스틱콘(43)을 가지는 스틱이송부(40)와; 베이스관(20)에 고정되어 이송나사관(42)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선단에 서브나사홀(51)이 형성된 인너관(50)과; 스틱콘(43)에 끼어져 스틱(S)을 상기 스틱콘(43)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푸쉬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브나사홀(51)에 선택적으로 나사결합되는 로드스크류(67)를 가지는 스틱푸쉬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완전 사용이 가능한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Stick foundation case}
본 발명은 파운데이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운데이션 스틱을 출몰 가능하게 보관함과 동시에 스틱을 완전히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완전 사용이 가능한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운데이션이란 이란, 얼굴과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피부의 잡티나 기미 등을 자연스럽게 가리거나, 깨끗하고 화사한 피부 또는 맑고 보송거리는 피부를 표현하고자 하는 할 때 사용되는 화장품을 의미한다.
이러한 파운데이션을 이용하여 화장을 제대로 하기 위하여, 파운데이션을 피부에 뭉침 없이 골고루 발라야하는데,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화장용 퍼프를 이용하여 파운데이션을 고르게 펴바르게 된다. 이러한 파운데이션은 통상 납작한 용기에 수용되어 보관 및 유통된다.
그런데 납작한 용기에 수용된 파운데이션을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퍼프를 사용하여야 하였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퍼프가 손에 오염되는 경우가 빈번하였고, 오염된 퍼프를 재사용함에 따라 피부가 오염되어 염증이 발생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또한 파운데이션이 수용된 용기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에 의하여, 파운데이션을 스틱으로 제조하고, 손잡이를 회전시킴에 따라 바디로부터 출몰되는 콘에 파운데이션 스틱을 고정시킴으로써, 바디로부터 스틱을 출몰시키면서 사용 및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화장품의 경우, 손잡이를 완전히 회전시켜 스틱을 바디로부터 완전히 돌출시키더라도 콘에 끼어진 부분은 사용할 수가 없었고, 이에 따라 스틱이 남아있음에 불구하고 폐기함에 따른 낭비요소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파운데이션 스틱을 출몰 가능하게 보관함과 동시에, 스틱이 끼어지는 스틱콘으로터 완전히 돌출시켜 완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완전 사용이 가능한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완전 사용이 가능한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는, 일측으로 개구된 바디입구(11) 측에 단차지게 형성된 끼움관(12) 및 상기 끼움관(12)의 외주면에 형성된 끼움관돌기(13)를 가지는 원통형태의 고정바디(10); 상기 고정바디(10) 내측에 끼어져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바디입구(11) 방향으로 메인나사홀(21)이 형성된 베이스관(20); 상기 고정바디(10)와 베이스관(2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끼어지는 것으로서, 내측에 상기 베이스관(20)의 단부가 거치되는 거치판(31) 및 상기 거치판(31)의 중앙에 형성되는 비원형홀(32)을 가지는 회전바디(30); 상기 비원형홀(32)에 비회전되게 끼어지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나사산(41)이 형성된 이송나사관(42) 및 상기 이송나사관(42)의 선단에 형성되어 파운데이션 스틱(S)이 끼어지는 스틱콘(43)을 가지는 스틱이송부(40); 상기 베이스관(20)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나사관(42)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선단에 서브나사홀(51)이 형성된 인너관(50); 및 상기 스틱콘(43)에 끼어져 상기 스틱(S)을 상기 스틱콘(43)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푸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서브나사홀(51)에 선택적으로 나사결합되는 로드스크류(67)를 가지는 스틱푸쉬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바디(10) 내측에 끼어져 고정되는 것으로서 메인나사홀(21)이 형성된 베이스관(20)과, 고정바디(10)와 베이스관(20) 사이에 회전되는 회전바디(30)와, 회전바디(30)의 회전에 따라 끼움관(12) 측으로 전후진되는 스틱이송부(40)와, 스틱이송부(40)가 메인나사홀(21)에 헛도는 위치까지 전진할 때 스틱(S)을 스틱콘(43)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푸쉬하기 위한 스틱푸쉬부(60);를 포함함으로서, 스틱(S)을 고정바디(10)에 출몰 가능하게 보관함과 동시에, 스틱(S)을 스틱콘(43)으로부터 완전히 돌출시켜 완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10)는, 내측 바닥 가장자리측에 형성된 고정링(14) 및 상기 고정링(14) 외측에 대응되는 상기 고정바디 내주면에 형성된 내주면돌기(15)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관(20)은, 상기 메인나사홀(21)이 형성된 베이스관몸체(22)의 후방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링(14)의 외측에 끼어지는 베이스관캡(24)과, 상기 베이스관캡(24)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주면돌기(15)가 치합되어 상기 베이스관캡(2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한쌍의 이탈방지돌기(2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관(20)은, 상기 메인나사홀(21) 측의 베이스관몸체(22)에 형성되는 베이스관단턱(23)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바디(30)는, 후단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관단턱(23)의 모서리에 걸어지는 걸이돌기(33)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틱푸쉬부(60)는 스틱콘(43)에 끼어질 수 있도록 외주면에 콘날개(44)에 치합되는 다수의 돌기홈(64)이 형성된 밑판(65)과, 상기 밑판(65)의 중심에서 연장되어 인너관(50)에 끼어지는 로드(66)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66)의 단부에는 상기 로드스크류(67)가 형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전 사용이 가능한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의 조립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의 분해도,
도 3은 도 2의 고정바디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베이스관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V-V 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회전바디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2의 스틱이송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IX-IX 선을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인너관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도 2의 도 2의 스틱푸쉬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XII-X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13은 도 1의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에 있어서 스틱의 돌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도 13의 스틱을 스틱콘으로부터 완전히 돌출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완전 사용이 가능한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전 사용이 가능한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의 분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전 사용이 가능한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는, 일측으로 개구된 바디입구(11) 측에 단차지게 형성된 끼움관(12) 및 끼움관(12)의 외주면에 형성된 끼움관돌기(13)를 가지는 원통형태의 고정바디(10)와; 고정바디(10) 내측에 끼어져 고정되는 것으로서 바디입구(11) 방향으로 메인나사홀(21)이 형성된 베이스관(20)과; 고정바디(10)와 베이스관(2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끼어지는 것으로서, 내측에 베이스관(20)의 단부가 거치되는 거치판(31) 및 거치판(31)의 중앙에 형성된 비원형홀(32)을 가지는 회전바디(30)와; 비원형홀(32)에 비회전되게 끼어지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나사산(41)이 형성된 이송나사관(42) 및 상기 이송나사관(42)의 선단에 형성되어 파운데이션 스틱(S)이 끼어지는 스틱콘(43)을 가지는 스틱이송부(40)와; 베이스관(20)에 고정되어 이송나사관(42)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선단에 서브나사홀(51)이 형성된 인너관(50)과; 스틱콘(43)에 끼어져 스틱(S)을 스틱콘(43)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푸쉬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브나사홀(51)에 선택적으로 나사결합되는 로드스크류(67)를 가지는 스틱푸쉬부(60)와; 끼움관(12)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 끼움관돌기(13)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치합돌기(73)가 형성된 뚜껑(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뚜껑(70)은 끼움관(12)에 착탈됨으로써, 스틱(S)을 사용할 때 고정바디(10)로부터 분리하고, 스틱(S)의 사용을 완료하면 끼움관(12)에 끼어 스틱(S)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한다.
도 3은 도 2의 고정바디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베이스관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V-V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 도 6은 도 2의 회전바디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고정바디(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가능할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바디입구(11)의 반대측은 폐쇄된 구조를 가진다. 고정바디(10)는 내측 바닥 가장자리측에 형성된 고정링(14)과, 고정링(14) 외측에 대응되는 고정바디 내주면에 형성된 내주면돌기(15)를 포함한다.
베이스관(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으로 메인나사홀(21)이 형성된 베이스관몸체(22)와, 메인나사홀(21) 측의 베이스관몸체(22)에 형성되는 베이스관단턱(23)과, 베이스관몸체(22)의 후방측에 형성되어 고정링(14)의 외측에 끼어지는 베이스관캡(24)과, 베이스관캡(24)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내주면돌기(15)가 치합되어 베이스관캡(2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한쌍의 이탈방지돌기(25)와, 베이스관캡(24)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후술할 인너관(50)을 위치 고정하기 위한 마찰날개(26)를 포함한다.
베이스관캡(24)은 베이스관단턱(23)의 직경보다 크며, 이에 따라 베이스관(20)을 고정바디(10)에 끼어넣을 베이스관단턱(23)은 고정바디(10) 내측으로 진입될 수 있다.
회전바디(30)는 고정바디(10)와 베이스관(20) 사이에 회전되게 끼어지는데, 이때 회전바디(30)는 회전 도중에 고정바디(10)로부터 이탈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바디(30)의 후단 내주면에는 베이스관의 베이스관단턱(23)의 모서리에 걸어지는 걸이돌기(33)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베이스관(20)을 바디입구(11)에 밀어넣게 되면, 베이스관캡(24)은 고정링(14)과 고정바디(10) 내주면 사이의 공간으로 끼어지고, 이후 힘을 좀더 주어 밀어넣으면 한쌍의 이탈방지돌기(25)가 고정바디 내주면의 내주면돌기(15)에 치합되고, 이에 따라 베이스관(20)은 고정바디(10)에 끼어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바디(30)를 바디입구(11)로 끼우면 베이스관(20)이 끼어지면서 고정바디(10) 내부로 진입하고, 이후 베이스관(20)의 단부가 거치판(31)에 거치되고, 이때 걸이돌기(33)가 베이스관단턱(23)에 걸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회전바디(30)는 회전되는 동안에도 이탈되지 않게 된다.
도 8은 도 2의 스틱이송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IX-I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스틱이송부(40)는, 나사산(41)이 형성된 이송나사관(42), 파운데이션 스틱(S)이 끼어지는 스틱콘(43) 외에, 스틱콘(4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콘날개(44)와, 이송나사관(42)의 하단에 형성되어 비원형홀(32)의 외측에 걸어지는 이탈방지돌부(45)를 더 포함한다.
이송나사관(4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원형홀(32)에 비회전되게 끼어질 수 있도록 비원형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콘날개(44)는 스틱콘(43)에 끼어지는 스틱(S)이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후술할 밑판(65)의 돌기홈(64)이 끼어진다.
이탈방지돌부(4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나사관(42)의 후방측에 부분 절개됨으로써 형성되며, 이송나사관(42)의 표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이탈방지돌부(4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송나사관(42)이 메인나사홀(21)로부터 분리되어 헛돌게되는 상황에서도 이송나사관(42)이 비원형홀(32)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도 10은 도 2의 인너관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2의 도 2의 스틱푸쉬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XII-X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인너관(5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관(20)에 고정되어 이송나사관(42)에 끼어지며 선단에 서브나사홀(51)이 형성된다. 이러한 인너관(50)은, 고정바디(10)의 고정링(14) 내측에 끼어지는 고정캡(54)과, 고정캡(54)에서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이송나사관(42)에 회전 가능하게 끼어지는 끼움관(55)을 더 포함한다.
스틱푸쉬부(6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콘(43)에 끼어질 수 있도록 외주면에 콘날개(44)에 치합되는 다수의 돌기홈(64)이 형성된 밑판(65)과, 밑판(65)의 중심에서 연장되어 인너관(50)에 끼어지는 로드(66)를 포함하며, 로드(66)의 단부에는 상기 로드스크류(67)가 형성된다.
이때 로드스크류(67)는, 이송나사관(42)이 메인나사홀(21)에서 벗어나 헛돌게 되는 시점에서, 인너관의 서브나사홀(51)에 치합되는 곳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이송나사관(42)이 메인나사홀(21)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로드스크류(67)는 서브나사홀(51)에서 벗어나고, 반대로 이송나사관(42)이 메인나사홀(21)에 벗어날 때 로드스크류(67)는 서브나사홀(51)에 나사결합된다.
밑판(65)은 표면이 편평하면서 스틱콘(43)의 내주면에 치합되면서 끼어질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원형 형태를 이룬다.
도 13은 도 1의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에 있어서 스틱의 돌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스틱을 스틱콘으로부터 완전히 돌출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상태에서, 회전바디(30)를 회전시키면 거치판(31)의 비원형홀(32)에 끼어지는 스틱이송부(40)가 함께 회전된다.
스틱이송부(40)의 이송나사관(42)이 고정바디(10)에 고정된 베이스관(20)의 메인나사홀(21)에 나사결합되므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는 스틱이송부(40)는 전진하면서 스틱콘(43)에 결합된 스틱(S)을 끼움관(12)으로부터 돌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스틱(S)을 이용하여 화장을 한다.
여기서, 스틱푸쉬부(60)의 밑판(65)이 스틱콘(43) 바닥에 설치되기 때문에, 스틱이송부(40)가 전진할 때 스틱푸쉬부(60) 역시 전방측으로 전진하면, 이에 따라 밑판(65)과 로드(66)로 연결된 로드스크류(67)는 인너관(50)의 서브나사홀(51) 측으로 이송된다.
한편, 스틱(S)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스틱콘(43)이 끼움관(12)의 선단까지 전진된 시점에서 이송나사관(42)은 메인나사홀(21)로부터 분리되고, 이에 따라 회전바디(30)를 더욱 회전시키더라도 스틱이송부(40)는 더 이상 전진하지 않게되나, 로드스크류(67)는 서브스크류(51)에 나사결합되는 위치까지 이송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바디(30)를 더욱 회전시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스크류(67)가 서브나사홀(51)에 나사결합 되면서 밑판(65)을 전진시키고, 이에 따라 스틱(S)은 스틱콘(43)으로부터 서서히 돌출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결국 스틱(S)을 완전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바디(10) 내측에 끼어져 고정되는 것으로서 메인나사홀(21)이 형성된 베이스관(20)과, 고정바디(10)와 베이스관(20) 사이에 회전되는 회전바디(30)와, 회전바디(30)의 회전에 따라 끼움관(12) 측으로 전후진되는 스틱이송부(40)와, 스틱이송부(40)가 메인나사홀(21)에 헛도는 위치까지 전진할 때 스틱(S)을 스틱콘(43)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푸쉬하기 위한 스틱푸쉬부(60);를 포함함으로서, 스틱(S)을 고정바디(10)에 출몰 가능하게 보관함과 동시에, 스틱(S)을 스틱콘(43)으로부터 완전히 돌출시켜 완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고정바디 11 ... 바디입구
12 ... 끼움관 13 ... 끼움관돌기
14 ... 고정링 15 ... 내주면돌기
20 ... 베이스관 21 ... 메인나사홀
22 ... 베이스관몸체 23 ...베이스관단턱
24 ... 베이스관캡 25 ... 이탈방지돌기
26 ... 마찰날개 30 ... 회전바디
31 ... 거치판 32 ... 비원형홀
33 ... 걸이돌기 40 ... 스틱이송부
41 ...나사산 42 ... 이송나사관
43 ... 스틱콘 44 ...콘날개
45 ... 이탈방지돌부 50 ... 인너관
51 ... 서브나사홀 54 ... 고정캡
55 ... 끼움관 60 ... 스틱푸쉬부
64 ... 돌기홈 65 ... 밑판
67 ... 로드스크류 70 ... 뚜껑
73 ... 치합돌기

Claims (4)

  1. 일측으로 개구된 바디입구(11) 측에 단차지게 형성된 끼움관(12) 및 상기 끼움관(12)의 외주면에 형성된 끼움관돌기(13)를 가지는 원통형태의 고정바디(10);
    상기 고정바디(10) 내측에 끼어져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바디입구(11) 방향으로 메인나사홀(21)이 형성된 베이스관(20);
    상기 고정바디(10)와 베이스관(2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끼어지는 것으로서, 내측에 상기 베이스관(20)의 단부가 거치되는 거치판(31) 및 상기 거치판(31)의 중앙에 형성되는 비원형홀(32)을 가지는 회전바디(30);
    상기 비원형홀(32)에 비회전되게 끼어지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나사산(41)이 형성된 이송나사관(42) 및 상기 이송나사관(42)의 선단에 형성되어 파운데이션 스틱(S)이 끼어지는 스틱콘(43)을 가지는 스틱이송부(40);
    상기 베이스관(20)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나사관(42)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선단에 서브나사홀(51)이 형성된 인너관(50); 및
    상기 스틱콘(43)에 끼어져 상기 스틱(S)을 상기 스틱콘(43)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푸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서브나사홀(51)에 선택적으로 나사결합되는 로드스크류(67)를 가지는 스틱푸쉬부(6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디(10)는, 내측 바닥 가장자리측에 형성된 고정링(14) 및 상기 고정링(14) 외측에 대응되는 상기 고정바디 내주면에 형성된 내주면돌기(15)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관(20)은, 상기 메인나사홀(21)이 형성된 베이스관몸체(22)의 후방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링(14)의 외측에 끼어지는 베이스관캡(24)과, 상기 베이스관캡(24)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주면돌기(15)가 치합되어 상기 베이스관캡(2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한쌍의 이탈방지돌기(25)와, 상기 메인나사홀(21) 측의 베이스관몸체(22)에 형성되는 베이스관단턱(23)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바디(30)는, 후단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관단턱(23)의 모서리에 걸어지는 걸이돌기(3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틱푸쉬부(60)는, 상기 스틱콘(43)에 끼어질 수 있도록 외주면에 콘날개(44)에 치합되는 다수의 돌기홈(64)이 형성된 밑판(65)과, 상기 밑판(65)의 중심에서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인너관(50)의 서브나사홀(51)에 슬라이딩되게 관통하는 로드(66)와, 상기 로드(66)의 단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서브나사홀(51)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로드스크류(67)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디(10)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바디(30)를 회전시킬 때 상기 스틱이송부(40)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베이스관(20)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상기 로드(66)가 상기 서브나사홀(51)로부터 슬라이딩되면서 빠져나오게 하고;
    상기 스틱이송부(40)가 좀더 회전하면 상기 로드스크류(67)가 상기 서브나사홀(51)에 치합되면서 상기 밑판(65)을 상기 콘날개(44)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 사용이 가능한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30042309A 2023-03-30 2023-03-30 완전 사용이 가능한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 KR102612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2309A KR102612263B1 (ko) 2023-03-30 2023-03-30 완전 사용이 가능한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2309A KR102612263B1 (ko) 2023-03-30 2023-03-30 완전 사용이 가능한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263B1 true KR102612263B1 (ko) 2023-12-11

Family

ID=89162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309A KR102612263B1 (ko) 2023-03-30 2023-03-30 완전 사용이 가능한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2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979A (ko) * 2020-03-06 2021-09-15 주식회사 케이알 스틱형 내용물 용기
KR20210131773A (ko) * 2020-04-24 2021-11-03 주식회사 케이알 스틱형 내용물 용기
KR102389856B1 (ko) * 2022-03-11 2022-04-28 주식회사 씨티케이 잔량 소진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200495563Y1 (ko) * 2022-04-18 2022-06-24 주식회사 수코스메틱 스틱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979A (ko) * 2020-03-06 2021-09-15 주식회사 케이알 스틱형 내용물 용기
KR20210131773A (ko) * 2020-04-24 2021-11-03 주식회사 케이알 스틱형 내용물 용기
KR102389856B1 (ko) * 2022-03-11 2022-04-28 주식회사 씨티케이 잔량 소진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200495563Y1 (ko) * 2022-04-18 2022-06-24 주식회사 수코스메틱 스틱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758Y1 (ko) 립스틱 용기
CZ284032B6 (cs) Doplnitelná nádobka pro vydávání roztíratelné hmoty, zejména lepidla
KR100496245B1 (ko) 봉형상 화장료 슬라이딩 용기
KR102612263B1 (ko) 완전 사용이 가능한 스틱 파운데이션 용기
KR20000017291A (ko) 회전식 봉상물 조출구
EP1016357B1 (en) Dispenser for rod-like glue
JPS6026018Y2 (ja) 複写機等のクリ−ニング装置
JPH11170780A (ja) 回転式棒状物繰り出し具の中ねじ部材および取付装置
US5549404A (en) Stick-shaped material drive container and supply cassette
JP5928809B2 (ja) 棒状化粧料塗布容器
EP0617905A2 (en) Stick-shaped piece drive container and stick-shaped piece supplying cassette
JP2000041733A (ja) カートリッジ式棒状化粧材繰出容器
US3039476A (en) Fountain toothbrush
JP2008178463A (ja) コンパクト容器
JP4126505B2 (ja) 棒状化粧料繰り出し容器
US20110005952A1 (en) Storage container for paint roller covers
KR930005402Y1 (ko) 녹크 형태의 화장품 용기
JPH0112667Y2 (ko)
JPH0815Y2 (ja) マスカラ塗布具
JP2007222422A (ja) 歯ブラシ
JP2954889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915135B2 (ja) 棒状化粧料容器
JPH032502Y2 (ko)
JP3698245B2 (ja) 化粧用ペンシル
JPS5939960Y2 (ja) カ−トリツジ式化粧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