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729B1 - 선스틱 용기 - Google Patents

선스틱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729B1
KR102069729B1 KR1020190016535A KR20190016535A KR102069729B1 KR 102069729 B1 KR102069729 B1 KR 102069729B1 KR 1020190016535 A KR1020190016535 A KR 1020190016535A KR 20190016535 A KR20190016535 A KR 20190016535A KR 102069729 B1 KR102069729 B1 KR 102069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inner housing
rotary tube
parti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민
Priority to KR1020190016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45D40/065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선스틱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스틱 용기는, 자외선 차단제를 지지하는 제1 홀더와, 제1 홀더의 하단부가 삽입되며 회전되는 경우에 제1 홀더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1 회전관과, 제1 회전관이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내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1 수용모듈; 자외선 차단제를 지지하는 제2 홀더와, 제2 홀더의 상단부가 삽입되며 회전되는 경우에 제2 홀더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2 회전관과, 제2 회전관이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내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2 수용모듈; 및 중심부에 마련되어 제1 회전관의 하단부에 삽입되며 외면에 제1 회전관의 하단부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치형돌기들에 결합되는 제2 치형돌기들이 형성된 상부 내측격벽과, 상부 내측격벽의 외측에 마련되어 제1 내부 하우징이 착탈가능하고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상부 외측격벽과, 중심부에 마련되어 제2 회전관의 상단부에 삽입되며 외면에 제2 회전관의 상단부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3 치형돌기들에 결합되는 제4 치형돌기들이 형성된 하부 내측격벽과, 하부 내측격벽의 외측에 마련되어 제2 내부 하우징이 착탈가능하고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하부 외측격벽을 포함하며, 제1 회전관과 제2 회전관을 각각 제1 내부 하우징과 제2 내부 하우징에 대해 독립적으로 상대 회전시켜 제1 홀더와 상기 제2 홀더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스틱 용기{A SUNSTICK CASE}
본 발명은 선스틱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스틱 용기의 상하 양측에 마련된 자외선 차단제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선스틱 용기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피부 색소 침착, 피부 노화 등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피부 보호를 목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는 피부에 자외선 차단제를 바른다. 이러한 이유로 자외선 차단제는 외출 시에 휴대해야 하는 필수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자외선 차단제는 크림형태나 튜브형태, 펌핑용기를 이용한 제품, 스프레이와 같은 분사형 제품 등 다양한 형태로 제품화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피부에 자외선 차단제를 묻힌 다음에 손으로 직접 문질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에 수시로 덧발라야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한 사용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한 스틱형태의 자외선 차단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자외선 차단제가 사용된 제품을 통상 선스틱 또는 선블럭이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자외선 차단제가 구비된 용기를 선스틱 용기라 한다.
선스틱 용기는 스틱형태로써 사용시 손에 자외선 차단제를 묻히지 않고서도 피부에 자외선 차단제를 간편하게 바를 수 있으며, 휴대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상기한 선스틱 용기는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용기 본체를 회전시켜 내부에 수용된 자외선 차단제를 상승시켜 외부로 노출되게 한 후 피부에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고, 사용이 완료된 경우에 용기 본체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내부에 수용되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선스틱 용기는 용기의 일측에 한 종류의 자외선 차단제만을 구비하고 있어 자외선 차단제를 얼굴, 팔, 다리 등에 동시에 사용하기에 거부감이 있으며, 또한 동일한 자외선 차단지수를 갖는 한 종류의 자외선 차단제만이 수용되므로 얼굴, 팔, 다리 등에 자외선 차단지수가 다른 자외선 차단제를 바를 필요가 있을 경우에 별도의 선스틱 용기를 휴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7201(2018.08.20.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외선 차단지수를 달리하는 별개의 자외선 차단제를 구비함과 동시에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된 선스틱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자외선 차단제를 지지하는 제1 홀더와, 상기 제1 홀더의 하단부가 삽입되며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제1 홀더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1 회전관과, 상기 제1 회전관이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내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1 수용모듈; 자외선 차단제를 지지하는 제2 홀더와, 상기 제2 홀더의 상단부가 삽입되며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제2 홀더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2 회전관과, 상기 제2 회전관이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내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2 수용모듈; 및 중심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회전관의 하단부에 삽입되며 외면에 상기 제1 회전관의 하단부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치형돌기들에 결합되는 제2 치형돌기들이 형성된 상부 내측격벽과, 상기 상부 내측격벽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이 착탈가능하고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상부 외측격벽과, 중심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 회전관의 상단부에 삽입되며 외면에 상기 제2 회전관의 상단부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3 치형돌기들에 결합되는 제4 치형돌기들이 형성된 하부 내측격벽과, 상기 하부 내측격벽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이 착탈가능하고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하부 외측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관과 상기 제2 회전관을 각각 상기 제1 내부 하우징과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에 대해 독립적으로 상대 회전시켜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제2 홀더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선스틱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관의 하단부 내면에는 상기 제2 치형돌기들의 길이에 대응되는 제1 언더컷 가공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치형돌기들은 상기 제1 언더컷 가공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관의 상단부 내면에는 상기 제4 치형돌기들의 길이에 대응되는 제2 언더컷 가공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치형돌기들은 상기 제2 언더컷 가공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관은 하단부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1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은 중심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회전관의 하단부가 삽입되며 한 쌍의 상기 제1 스토퍼에 상단 및 하단이 걸림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관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회전관이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1 내측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관은 상단부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2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은 중심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 회전관의 상단부가 삽입되며 한 쌍의 상기 제2 스토퍼에 상단 및 하단이 걸림결합되어 상기 제2 회전관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2 회전관이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2 내측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관의 하단부가 상기 제1 내측격벽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 쌍의 상기 제1 스토퍼가 형성된 상기 제1 회전관의 하단부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1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관의 상단부가 상기 제2 내측격벽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 쌍의 상기 제2 스토퍼가 형성된 상기 제2 회전관의 상단부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은 상기 제1 내측격벽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상부 외측격벽에 착탈가능하고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외측격벽; 및 상기 제1 외측격벽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홀더를 감싸는 제2 외측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은 상기 제2 내측격벽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상부 외측격벽에 착탈가능하고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외측격벽; 및 상기 제3 외측격벽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2 홀더를 감싸는 제4 외측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외측격벽의 상단부 내면에는 상기 제1 외측격벽의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걸림돌기가 착탈가능하고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걸림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상부 외측격벽의 하단부 내면에는 상기 제3 외측격벽의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걸림돌기가 착탈가능하고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홀더는 자외선 차단제를 지지하며 외면에 제1 가이드 홈이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본체부와, 상기 제1 본체부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회전관에 삽입되며 외면에 제1 나선형 돌기가 형성된 제1 나선형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관은 내면에 상기 제1 나선형 돌기에 접촉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은 내면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제1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홀더는 자외선 차단제를 지지하며 외면에 제2 가이드 홈이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회전관에 삽입되며 외면에 제2 나선형 돌기가 형성된 제2 나선형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관은 내면에 상기 제2 나선형 돌기에 접촉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은 내면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상기 제2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제2 가이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모듈은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의 개방된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제1 내캡; 및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을 감싸며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외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용모듈은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의 개방된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제2 내캡; 및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을 감싸며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외부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외선 차단제를 지지하는 제1 홀더를 승강시키는 제1 회전관과 자외선 차단제를 지지하는 제2 홀더를 승강시키는 제2 회전관에 각각 기어결합되어 독립적으로 제1 회전관과 제2 회전관을 회전시키는 회전체를 마련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제1 홀더 또는 제2 홀더에 의해 지지된 자외선 차단제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스틱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스틱 용기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회전관과 제2 회전관 및 회전체의 일부절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회전관 및 제2 회전관과 회전체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5b는 도 2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홀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홀더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스틱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스틱 용기를 나타내는 결합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회전관과 제2 회전관 및 회전체의 일부절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회전관 및 제2 회전관과 회전체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5a는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5b는 도 2의 B부분 확대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홀더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홀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스틱 용기(100)는 자외선 차단제를 지지하는 제1 홀더(210)가 내재된 제1 수용모듈(200)과, 자외선 차단제를 지지하는 제2 홀더(310)가 내재된 제2 수용모듈(300)과, 제1 수용모듈(200)이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수용모듈(300)이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홀더(210)와 제2 홀더(310)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회전체(4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수용모듈(200)은 내부에 자외선 차단제가 충진되며 자외선 차단제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수용모듈(200)은 회전체(40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용모듈(200)은 자외선 차단제를 지지하는 제1 홀더(210)와, 제1 홀더(210)의 하단부가 삽입되며 회전되는 경우에 제1 홀더(210)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1 회전관(230)과, 제1 회전관(230)이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내부 하우징(250)과, 제1 내부 하우징(250)의 개방된 상단부에 결합되어 제1 내부 하우징(25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제1 내캡(270)과, 제1 내부 하우징(250)을 감싸며 제1 내부 하우징(25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제1 외부 하우징(29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홀더(210)는 자외선 차단제를 수용하고 자외선 차단제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홀더(210)는 자외선 차단제를 수용 및 지지하며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 홈(213)이 형성된 제1 본체부(211)와, 제1 본체부(21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외면에 제1 나선형 돌기(216)가 형성된 제1 나선형 안내부(215)를 포함한다.
제1 본체부(211)의 외면에는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가이드 홈(213)이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다. 제1 가이드 홈(213)에는 후술할 제1 내부 하우징(250)의 내면에 형성된 제1 가이드 리브(257)가 삽입된다.
제1 가이드 리브(257)가 제1 가이드 홈(213)에 삽입됨으로써 제1 홀더(210)가 제1 내부 하우징(250)의 내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한다.
또한 제1 본체부(211)의 내면에는 자외선 차단제의 이탈 및 고정을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제1 보강리브(212)가 마련된다. 또한, 복수의 제1 보강리브(212)는 제1 본체부(211)의 변형 방지 및 강성 유지를 위해 마련된다.
또한 복수의 제1 보강리브(212)는 제1 본체부(211)의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다.
제1 나선형 안내부(215)는 제1 본체부(21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나선형 안내부(215)의 외면에는 제1 나선형 돌기(2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나선형 안내부(215)는 후술할 제1 회전관(2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1 회전관(230)이 회전됨에 따라 제1 회전관(230)의 내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승강되어 자외선 차단제가 후술할 제1 내부 하우징(250)에서 출몰되게 한다.
또한, 제1 나선형 안내부(215)는 내부가 중공의 형상을 가지므로 자외선 차단제를 충진하는 유로 역할을 한다.
즉, 제1 수용모듈(200)을 구성하는 제1 홀더(210)와, 제1 회전관(230)과, 제1 내부 하우징(250)과, 제1 내캡(270) 및 제1 외부 하우징(29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나선형 안내부(215)를 통해 제1 내부 하우징(250)에 내재된 제1 홀더(210)와 제1 내캡(270) 사이의 공간에 자외선 차단제를 충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회전관(230)은 제1 홀더(210)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나선형 안내부(215)는 제1 회전관(230)의 내부에 삽입되며, 회전체(400)에 의해 제1 회전관(230)이 회전되면 제1 나선형 안내부(215)가 높이방향으로 승강되어 제1 홀더(210)를 제1 내부 하우징(250)의 내부에서 승강시킨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관(230)의 내면에는 제1 나선형 돌기(216)에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가이드 돌기(231)가 마련된다. 제1 가이드 돌기(231)는 제1 회전관(230)의 내면에서 중심부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제1 가이드 돌기(231)는 제1 회전관(23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별개의 제1 가이드 돌기(231)가 제1 회전관(230)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 돌기(231)는 제1 회전관(230)의 상단부 내면에 마련되게 도시되었으나, 제1 홀더(210)의 승강높이를 고려하여 제1 가이드 돌기(231)의 위치는 변경가능하다. 제1 홀더(210)의 승강높이는 제1 가이드 돌기(231)와 제1 나선형 돌기(216)의 최하단 사이의 거리에 해당된다.
제1 가이드 돌기(231)는 제1 나선형 안내부(215)의 외면에 형성된 제1 나선형 돌기(216)에 접촉되며, 제1 회전관(230)이 회전되는 경우에 제1 가이드 돌기(231)는 제1 나선형 돌기(216)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1 나선형 돌기(216)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제1 회전관(2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가이드 돌기(231)가 제1 나선형 돌기(216)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제1 홀더(210)를 승강시킨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400)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 회전관(230)이 회전되도록, 제1 회전관(230)의 하단부 내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1 치형돌기(233)들이 형성되고, 회전체(400)의 상부 중심부에는 제1 회전관(230)의 하단부에 삽입되고 외면에 제1 치형돌기(233)들에 결합되는 제2 치형돌기(411)들이 형성된 상부 내측격벽(410)이 마련된다.
즉 제1 회전관(230)의 제1 치형돌기(233)들과 회전체(400)의 상부 내측격벽(410)에 형성된 제2 치형돌기(411)들이 기어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전체(40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회전체(400)에 연동하여 제1 회전관(230)도 함께 제1 내부 하우징(250)에 대해 상대 회전된다.
제1 회전관(230)의 하단부 내면에는 제2 치형돌기(411)들의 길이에 대응되는 제1 언더컷 가공영역(C1)이 형성되며 제1 치형돌기(233)들은 제1 언더컷 가공영역(C1)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내부격벽이 제1 회전관(230)의 하단부 내부로 삽입된 후 제1 치형돌기(233)들과 제2 치형돌기(411)들이 결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1 회전관(230)은 상부 내부격벽을 감싸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내부 하우징(250)은 제1 홀더(210)와 제1 회전관(230)을 감싸며 또한 제1 홀더(210)의 승강을 안내하고 제1 회전관(2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내부 하우징(250)은 중심부에 마련되고 제1 회전관(23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제1 내측격벽(251)과, 제1 내측격벽(251)의 외측에 마련되어 회전체(4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외측격벽(253)과, 제1 외측격벽(253)의 외측에 마련되어 제1 홀더(210)의 외면을 감싸는 제2 외측격벽(255)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내부 하우징(250)은 제1 내측격벽(251)과 제1 외측격벽(253)과 제2 외측격벽(255) 사이에 마련된 다수의 절곡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제1 내측격벽(251)은 제1 회전관(230)을 지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회전체(40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제1 회전관(230)이 제1 내부 하우징(250)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한다.
제1 회전관(230)과 제1 내측격벽(251)의 결합을 살펴보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관(230)의 하단부가 제1 내측격벽(251)의 내부로 삽입되어 걸림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관(230)의 하단부 외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제1 스토퍼(235)가 형성되며, 제1 회전관(230)의 하단부가 제1 내측격벽(251)에 삽입되는 경우에 제1 내측격벽(251)의 상단 및 하단은 한 쌍의 제1 스토퍼(235)에 걸림결합된다.
제1 회전관(230)의 하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스토퍼(235)에 제1 내측격벽(251)의 상단 및 하단이 걸림결합되는 경우에 제1 회전관(230)의 높이방향 이동은 제한되나 제1 회전관(230)은 제1 내부 하우징(250)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다.
그리고, 제1 회전관(230)의 하단부가 제1 내측격벽(251)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 쌍의 제1 스토퍼(235)가 형성된 제1 회전관(230)의 하단부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1 절개홈(237)이 형성된다.
제1 절개홈(237)은 제1 회전관(230)의 하단부가 제1 내측격벽(251)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에 제1 회전관(230)의 하단부에 텐션(tension)작용을 유도하여 제1 회전관(230)의 하단부가 제1 내측격벽(251)에 용이하게 삽입되게 한다.
그리고 제1 회전관(230)의 하단부가 제1 내측격벽(251)에 삽입되는 경우에 한 쌍의 제1 스토퍼(235)에 제1 내측격벽(251)의 상단 및 하단이 걸림결합되어 제1 회전관(230)이 제1 내측격벽(25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제1 회전관(230)의 하단부가 제1 내측격벽(251)에 삽입되는 경우에 제1 절개홈(237)에 의해 제1 회전관(230)의 하단부가 내측으로 수축되어 제1 회전관(230)의 하단부가 제1 내측격벽(251)의 내부로 삽입되고, 제1 회전관(230)의 하단부가 제1 내측격벽(251)의 내부에 삽입된 후 제1 회전관(230)의 하단부가 원상태로 복귀되면 제1 회전관(230)의 하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스토퍼(235)에 의해 제1 내측격벽(251)의 상단 및 하단이 걸림결합되어 제1 회전관(230)이 제1 내측격벽(25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외측격벽(253)은 제1 내측격벽(251)의 외측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며 후술할 회전체(400)에 마련된 제1 상부 외측격벽(4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수용모듈(200)을 구성하는 제1 홀더(210)와, 제1 회전관(230)과, 제1 내부 하우징(250)과, 제1 내캡(270) 및 제1 외부 하우징(29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내부 하우징(250)의 제1 외측격벽(253)과 회전체(400)의 제1 상부 외측격벽(420)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1 수용모듈(200)과 회전체(40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외측격벽(253)과 제1 상부 외측격벽(420)의 결합은 제1 외측격벽(253)의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걸림돌기(254)가 제1 상부 외측격벽(420)의 상단부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걸림홈(421)에 착탈가능하고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외측격벽(255)은 제1 외측격벽(253)의 외측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며, 제2 외측격벽(255)의 하단부는 후술할 회전체(400)에 마련된 제2 상부 외측격벽(430)의 상단부에 접촉된다. 또한 제2 외측격벽(255)은 제1 홀더(210)를 감싸는 구조이다.
그리고 제2 외측격벽(255)의 내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제1 본체부(211)의 외면에 형성된 제1 가이드 홈(213)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 리브(257)가 형성된다.
제1 가이드 리브(257)가 제1 가이드 홈(213)에 삽입되므로, 제1 회전관(230)의 회전에 의해 제1 홀더(210)가 높이방향으로 승강되는 경우에 제1 홀더(210)는 제1 가이드 리브(257)를 따라 높이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한다.
제1 내캡(270)은 제1 내부 하우징(250)의 개방된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내부 하우징(250)의 내부를 밀폐시킨다. 또한 제1 외부 하우징(290)은 제1 내부 하우징(250)을 감싸며 제1 내부 하우징(250)의 제2 외측격벽(255)의 외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외선 차단제의 수분 증발 및 변질을 방지하도록 제1 내캡(270)과 제1 외부 하우징(290)을 마련한다.
제1 내캡(270)의 일측이 제1 내부 하우징(250)의 개방된 상단부에 압입되어 결합되며, 제1 외부 하우징(290)의 내면에 형성된 제3 걸림홈(291)이 제2 외측격벽(255)의 외면에 형성된 제3 걸림돌기(256)에 걸림결합된다.
사용자가 제1 수용모듈(200)에 수용된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1 내부 하우징(250)으로부터 제1 외부 하우징(290) 및 제1 내캡(270)을 제거하고, 자외선 차단제 사용을 완료한 경우에 제1 내부 하우징(250)에 제1 내캡(270) 및 제1 외부 하우징(290)을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수용모듈(300)은 내부에 자외선 차단제가 충진되며 자외선 차단제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수용모듈(300)에 충진된 자외선 차단제는 제1 수용모듈(200)에 충진된 자외선 차단제와 다른 자외선 차단지수를 가질 수 있다. 제2 수용모듈(300)은 회전체(40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2 수용모듈(300)은 회전체(400)를 사이에 두고 제1 수용모듈(200)과 대칭되게 마련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수용모듈(300)은 자외선 차단제를 지지하는 제2 홀더(310)와, 제2 홀더(310)의 상단부가 삽입되며 회전되는 경우에 제2 홀더(310)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2 회전관(330)과, 제2 회전관(330)이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내부 하우징(350)과, 제2 내부 하우징(350)의 개방된 하단부에 결합되어 제2 내부 하우징(35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제2 내캡(370)과, 제2 내부 하우징(350)을 감싸며 제2 내부 하우징(35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제2 외부 하우징(39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홀더(310)는 자외선 차단제를 수용하고 자외선 차단제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홀더(310)는 자외선 차단제를 수용 및 지지하며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 홈(313)이 형성된 제2 본체부(311)와, 제2 본체부(31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외면에 제2 나선형 돌기(316)가 형성된 제2 나선형 안내부(315)를 포함한다.
제2 본체부(311)의 외면에는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 가이드 홈(313)이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다. 제2 가이드 홈(313)에는 후술할 제2 내부 하우징(350)의 내면에 형성된 제2 가이드 리브(357)가 삽입된다.
제2 가이드 리브(357)가 제2 가이드 홈(313)에 삽입됨으로써 제2 홀더(310)가 제2 내부 하우징(350)의 내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한다.
또한 제2 본체부(311)의 내면에는 자외선 차단제의 이탈 및 고정을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제2 보강리브(312)가 마련된다. 또한 복수의 제2 보강리브(312)는 제2 본체부(311)의 변형 방지 및 강성 유지를 위해 마련된다.
또한 복수의 제2 보강리브(312)는 제2 본체부(311)의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다.
제2 나선형 안내부(315)는 제2 본체부(31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나선형 안내부(315)의 외면에는 제2 나선형 돌기(3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나선형 안내부(315)는 후술할 제2 회전관(3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2 회전관(330)이 회전됨에 따라 제2 회전관(330)의 내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승강되어 자외선 차단제가 후술할 제2 내부 하우징(350)에서 출몰되게 한다.
또한, 제2 나선형 안내부(315)는 내부가 중공의 형상을 가지므로 자외선 차단제를 충진하는 유로 역할을 한다.
즉, 제2 수용모듈(300)을 구성하는 제2 홀더(310)와, 제2 회전관(330)과, 제2 내부 하우징(350)과, 제2 내캡(370) 및 제2 외부 하우징(39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나선형 안내부(315)를 통해 제2 내부 하우징(350)에 내재된 제2 홀더(310)와 제2 내캡(370) 사이의 공간에 자외선 차단제를 충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회전관(330)은 제2 홀더(310)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나선형 안내부(315)는 제2 회전관(330)의 내부에 삽입되며, 회전체(400)에 의해 제2 회전관(330)이 회전되면 제2 나선형 안내부(315)가 높이방향으로 승강되어 제2 홀더(310)를 제2 내부 하우징(350)의 내부에서 승강시킨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회전관(330)의 내면에는 제2 나선형 돌기(316)에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가이드 돌기(331)가 마련된다. 제2 가이드 돌기(331)는 제2 회전관(330)의 내면에서 중심부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제2 가이드 돌기(331)는 제2 회전관(33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별개의 제2 가이드 돌기(331)가 제2 회전관(330)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가이드 돌기(331)는 제2 회전관(330)의 하단부 내면에 마련되게 도시되었으나, 제2 홀더(310)의 승강높이를 고려하여 제2 가이드 돌기(331)의 위치는 변경가능하다. 제2 홀더(310)의 승강높이는 제2 가이드 돌기(331)와 제2 나선형 돌기(316)의 최상단 사이의 거리에 해당된다.
제2 가이드 돌기(331)는 제2 나선형 안내부(315)의 외면에 형성된 제2 나선형 돌기(316)에 접촉되며, 제2 회전관(330)이 회전되는 경우에 제2 가이드 돌기(331)는 제2 나선형 돌기(316)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2 나선형 돌기(316)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제2 회전관(3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2 가이드 돌기(331)가 제2 나선형 돌기(316)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제2 홀더(310)를 승강시킨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400)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2 회전관(330)이 회전되도록, 제2 회전관(330)의 상단부 내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3 치형돌기(333)들이 형성되고, 회전체(400)의 하부 중심부에는 제2 회전관(330)의 하단부에 삽입되고 외면에 제3 치형돌기(333)들에 결합되는 제4 치형돌기(441)들이 형성된 하부 내측격벽(440)이 마련된다.
즉 제2 회전관(330)의 제3 치형돌기(333)들과 회전체(400)의 하부 내측격벽(440)에 형성된 제4 치형돌기(441)들이 기어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전체(40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회전체(400)에 연동하여 제2 회전관(330)도 함께 제2 내부 하우징(350)에 대해 상대 회전된다.
제2 회전관(330)의 하단부 내면에는 제4 치형돌기(441)들의 길이에 대응되는 제2 언더컷 가공영역(C2)이 형성되며 제3 치형돌기(333)들은 제2 언더컷 가공영역(C2)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내부격벽이 제2 회전관(330)의 상단부 내부로 삽입된 후 제3 치형돌기(333)들과 제4 치형돌기(441)들이 결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2 회전관(330)은 하부 내부격벽을 감싸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내부 하우징(350)은 제2 홀더(310)와 제2 회전관(330)을 감싸며 또한 제2 홀더(310)의 승강을 안내하고 제2 회전관(3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내부 하우징(350)은 중심부에 마련되고 제2 회전관(33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2 내측격벽(351)과, 제2 내측격벽(351)의 외측에 마련되어 회전체(4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외측격벽(353)과, 제3 외측격벽(353)의 외측에 마련되어 제2 홀더(310)의 외면을 감싸는 제4 외측격벽(355)을 포함한다.
또한 제2 내부 하우징(350)은 제2 내측격벽(351)과 제3 외측격벽(353)과 제4 외측격벽(355) 사이에 마련된 다수의 절곡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제2 내측격벽(351)은 제2 회전관(330)을 지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회전체(40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제2 회전관(330)이 제2 내부 하우징(350)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한다.
제2 회전관(330)과 제2 내측격벽(351)의 결합을 살펴보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회전관(330)의 상단부가 제2 내측격벽(351)의 내부로 삽입되어 걸림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 회전관(330)의 상단부 외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제2 스토퍼(335)가 형성되며, 제2 회전관(330)의 상단부가 제2 내측격벽(351)에 삽입되는 경우에 제2 내측격벽(351)의 상단 및 하단은 한 쌍의 제2 스토퍼(335)에 걸림결합된다.
제2 회전관(330)의 상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스토퍼(335)에 제2 내측격벽(351)의 상단 및 하단이 걸림결합되는 경우에 제2 회전관(330)의 높이방향 이동은 제한되나 제2 회전관(330)은 제2 내부 하우징(350)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다.
그리고, 제2 회전관(330)의 상단부가 제2 내측격벽(351)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 쌍의 제2 스토퍼(335)가 형성된 제2 회전관(330)의 상단부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절개홈(337)이 형성된다.
제2 절개홈(337)은 제2 회전관(330)의 상단부가 제2 내측격벽(351)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에 제2 회전관(330)의 하단부에 텐션(tension)작용을 유도하여 제2 회전관(330)의 상단부가 제2 내측격벽(351)에 용이하게 삽입되게 한다.
그리고 제2 회전관(330)의 상단부가 제2 내측격벽(351)에 삽입되는 경우에 한 쌍의 제2 스토퍼(335)에 제2 내측격벽(351)의 상단 및 하단이 걸림결합되어 제2 회전관(330)이 제2 내측격벽(35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제2 회전관(330)의 상단부가 제2 내측격벽(351)에 삽입되는 경우에 제2 절개홈(337)에 의해 제2 회전관(330)의 상단부가 내측으로 수축되어 제2 회전관(330)의 상단부가 제2 내측격벽(351)의 내부로 삽입되고, 제2 회전관(330)의 상단부가 제2 내측격벽(351)의 내부에 삽입된 후 제2 회전관(330)의 상단부가 원상태로 복귀되면 제2 회전관(330)의 상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스토퍼(335)에 의해 제2 내측격벽(351)의 상단 및 하단이 걸림결합되어 제2 회전관(330)이 제2 내측격벽(35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외측격벽(353)은 제2 내측격벽(351)의 외측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며 후술할 회전체(400)에 마련된 제1 하부 외측격벽(45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수용모듈(300)을 구성하는 제2 홀더(310)와, 제2 회전관(330)과, 제2 내부 하우징(350)과, 제2 내캡(370) 및 제2 외부 하우징(39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내부 하우징(350)의 제3 외측격벽(353)과 회전체(400)의 제1 하부 외측격벽(450)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2 수용모듈(300)과 회전체(40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제3 외측격벽(353)과 제1 하부 외측격벽(450)의 결합은 제3 외측격벽(353)의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걸림돌기(354)가 제1 하부 외측격벽(450)의 하단부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걸림홈(451)에 착탈가능하고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4 외측격벽(355)은 제3 외측격벽(353)의 외측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며, 제4 외측격벽(355)의 상단부는 후술할 회전체(400)에 마련된 제2 하부 외측격벽(460)의 하단부에 접촉된다. 또한 제4 외측격벽(355)은 제2 홀더(310)를 감싸는 구조이다.
그리고 제4 외측격벽(355)의 내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제2 본체부(311)의 외면에 형성된 제2 가이드 홈(313)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 리브(357)가 형성된다.
제2 가이드 리브(357)가 제2 가이드 홈(313)에 삽입되므로, 제2 회전관(330)의 회전에 의해 제2 홀더(310)가 높이방향으로 승강되는 경우에 제2 홀더(310)는 제2 가이드 리브(357)를 따라 높이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한다.
제2 내캡(370)은 제2 내부 하우징(350)의 개방된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 내부 하우징(350)의 내부를 밀폐시킨다. 또한 제2 외부 하우징(390)은 제2 내부 하우징(350)을 감싸며 제2 내부 하우징(350)의 제4 외측격벽(355)의 외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외선 차단제의 수분 증발 및 변질을 방지하도록 제2 내캡(370)과 제2 외부 하우징(390)을 마련한다.
제2 내캡(370)의 일측이 제2 내부 하우징(350)의 개방된 하단부에 압입되어 결합되며, 제2 외부 하우징(390)의 내면에 형성된 제4 걸림홈(391)이 제4 외측격벽(355)의 외면에 형성된 제4 걸림돌기(356)에 걸림결합된다.
사용자가 제2 수용모듈(300)에 수용된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2 내부 하우징(350)으로부터 제2 외부 하우징(390) 및 제2 내캡(370)을 제거하고, 자외선 차단제 사용을 완료한 경우에 제2 내부 하우징(350)에 제2 내캡(370) 및 제2 외부 하우징(390)을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40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키는 경우에 독립적으로 제1 회전관(230)을 제1 내부 하우징(250)에 대해 상대회전시키고 제2 회전관(330)을 제2 내부 하우징(350)에 대해 상대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는 제1 수용모듈(200) 및 제2 수용모듈(300)에 수용된 자외선 차단제를 선택하여 별개로 사용할 수 있다.
제1 수용모듈(200)은 회전체(40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수용모듈(300)은 회전체(40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수용모듈(200) 또는 제2 수용모듈(300)에 충진된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한 후 회전체(4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된 제1 수용모듈(200) 또는 제2 수용모듈(300)을 교체할 수 있다.
회전체(400)는 상부 중심부에 마련되는 상부 내측격벽(410)과, 상부에 마련되되 상부 내측격벽(41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상부 외측격벽(420)과, 상부에 마련되되 제1 상부 외측격벽(42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상부 외측격벽(430)과, 하부 중심부에 마련되는 하부 내측격벽(440)과, 하부에 마련되되 하부 내측격벽(44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하부 외측격벽(450)과, 하부에 마련되되 제1 하부 외측격벽(45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하부 외측격벽(460)을 포함한다.
상부 내측격벽(410)은 제1 회전관(230)의 하단부에 삽입되며 외면에 제1 회전관(230)의 하단부 내면에 형성된 제1 치형돌기(233)들에 결합되는 제2 치형돌기(411)들이 형성된다. 즉 제1 회전관(230)과 회전체(400)는 제1 치형돌기(233)들과 제2 치형돌기(411)들에 의해 기어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내부 하우징(250)으로부터 제1 외부 하우징(290)과 제1 내캡(270)을 순차로 제거한 후,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손으로 제1 내부 하우징(250)을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회전체(4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회전관(230)이 제1 내부 하우징(250)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상대 회전되고 제1 홀더(210)가 제1 내부 하우징(250)의 내부에서 상승된다.
반대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제1 내부 하우징(250)을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회전체(4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회전관(230)이 제1 내부 하우징(250)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상대 회전되고 제1 홀더(210)가 제1 내부 하우징(250)의 내부로 하강된다.
제1 상부 외측격벽(420)은 상부 내측격벽(410)의 외측에 소정간견 이격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제1 상부 외측격벽(420)에는 제1 내부 하우징(250)이 착탈가능하고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상부 외측격벽(420)의 상단부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걸림홈(421)에 제1 외측격벽(253)의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걸림돌기(254)가 상대 회전가능하게 걸림결합된다.
제2 상부 외측격벽(430)은 제1 상부 외측격벽(420)의 외측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제2 상부 외측격벽(430)의 상단부에는 제1 내부 하우징(250)의 제2 외측격벽(255)의 하단부가 접촉된다.
하부 내측격벽(440)은 제2 회전관(330)의 상단부에 삽입되며 외면에 제2 회전관(330)의 상단부 내면에 형성된 제3 치형돌기(333)들에 결합되는 제4 치형돌기(441)들이 형성된다. 즉 제2 회전관(330)과 회전체(400)는 제3 치형돌기(333)들과 제4 치형돌기(441)들에 의해 기어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2 내부 하우징(350)으로부터 제2 외부 하우징(390)과 제2 내캡(370)을 순차로 제거한 후,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손으로 제2 내부 하우징(350)을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회전체(4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회전관(330)이 제2 내부 하우징(350)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상대 회전되고 제2 홀더(310)가 제2 내부 하우징(350)의 내부에서 하강된다.
반대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제2 내부 하우징(350)을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회전체(4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회전관(330)이 제2 내부 하우징(350)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상대 회전되고 제2 홀더(310)가 제2 내부 하우징(350)의 내부로 상승된다.
제1 하부 외측격벽(450)은 하부 내측격벽(440)의 외측에 소정간견 이격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제1 하부 외측격벽(450)에는 제2 내부 하우징(350)이 착탈가능하고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하부 외측격벽(450)의 하단부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걸림홈(451)에 제2 외측격벽(255)의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걸림돌기(354)가 상대 회전가능하게 걸림결합된다.
제2 하부 외측격벽(460)은 제2 하부 외측격벽(460)의 외측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제2 하부 외측격벽(460)의 하단부에는 제2 내부 하우징(350)의 제2 외측격벽(255)의 상단부가 접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선스틱 용기 200: 제1 수용모듈:
210: 제1 홀더 211: 제1 본체부
212: 제1 보강리브 213: 제1 가이드 홈
215: 제1 나선형 안내부 216: 제1 나선형 돌기
230: 제1 회전관 231: 제1 가이드 돌기
233: 제1 치형돌기 C1: 제1 언더컷 가공영역
235: 제1 스토퍼 237: 제1 절개홈
250: 제1 내부 하우징 251: 제1 내측격벽
253: 제1 외측격벽 254: 제1 걸림돌기
255: 제2 외측격벽 256: 제3 걸림돌기
257: 제1 가이드 리브 270: 제1 내캡
290: 제1 외부 하우징 291: 제3 걸림홈
300: 제2 수용모듈 310: 제2 홀더
311: 제2 본체부 312: 제2 보강리브
313: 제2 가이드 홈 315: 제2 나선형 안내부
316: 제2 나선형 돌기 330: 제2 회전관
331: 제2 가이드 돌기 333: 제3 치형돌기
C2: 제2 언더컷 가공영역 335: 제2 스토퍼
337: 제2 절개홈 350: 제2 내부 하우징
351: 제2 내측격벽 353: 제3 외측격벽
354: 제2 걸림돌기 355: 제4 외측격벽
356: 제4 걸림돌기 357: 제2 가이드 리브
370: 제2 내캡 390: 제2 외부 하우징
391: 제4 걸림홈 400: 회전체
410: 상부 내측격벽 411: 제2 치형돌기
420: 제1 상부 외측격벽 421: 제1 걸림홈
430: 제2 상부 외측격벽 440: 하부 내측격벽
441: 제4 치형돌기 450: 제1 하부 외측격벽
451: 제2 걸림홈 460: 제2 하부 외측격벽

Claims (8)

  1. 자외선 차단제를 지지하는 제1 홀더와, 상기 제1 홀더의 하단부가 삽입되며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제1 홀더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1 회전관과, 상기 제1 회전관이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내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1 수용모듈;
    자외선 차단제를 지지하는 제2 홀더와, 상기 제2 홀더의 상단부가 삽입되며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제2 홀더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2 회전관과, 상기 제2 회전관이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내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2 수용모듈; 및
    중심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회전관의 하단부에 삽입되며 외면에 상기 제1 회전관의 하단부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치형돌기들에 결합되는 제2 치형돌기들이 형성된 상부 내측격벽과, 상기 상부 내측격벽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이 착탈가능하고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상부 외측격벽과, 중심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 회전관의 상단부에 삽입되며 외면에 상기 제2 회전관의 상단부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3 치형돌기들에 결합되는 제4 치형돌기들이 형성된 하부 내측격벽과, 상기 하부 내측격벽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이 착탈가능하고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하부 외측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관과 상기 제2 회전관을 각각 상기 제1 내부 하우징과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에 대해 독립적으로 상대 회전시켜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제2 홀더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선스틱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관의 하단부 내면에는 상기 제2 치형돌기들의 길이에 대응되는 제1 언더컷 가공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치형돌기들은 상기 제1 언더컷 가공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관의 상단부 내면에는 상기 제4 치형돌기들의 길이에 대응되는 제2 언더컷 가공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치형돌기들은 상기 제2 언더컷 가공영역에 형성되는 선스틱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관은 하단부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1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은 중심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회전관의 하단부가 삽입되며 한 쌍의 상기 제1 스토퍼에 상단 및 하단이 걸림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관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회전관이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1 내측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관은 상단부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2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은 중심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 회전관의 상단부가 삽입되며 한 쌍의 상기 제2 스토퍼에 상단 및 하단이 걸림결합되어 상기 제2 회전관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2 회전관이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2 내측격벽을 포함하는 선스틱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관의 하단부가 상기 제1 내측격벽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 쌍의 상기 제1 스토퍼가 형성된 상기 제1 회전관의 하단부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1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관의 상단부가 상기 제2 내측격벽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 쌍의 상기 제2 스토퍼가 형성된 상기 제2 회전관의 상단부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절개홈이 형성된 선스틱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은,
    상기 제1 내측격벽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상부 외측격벽에 착탈가능하고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외측격벽; 및
    상기 제1 외측격벽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홀더를 감싸는 제2 외측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은,
    상기 제2 내측격벽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상부 외측격벽에 착탈가능하고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외측격벽; 및
    상기 제3 외측격벽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2 홀더를 감싸는 제4 외측격벽을 더 포함하는 선스틱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외측격벽의 상단부 내면에는 상기 제1 외측격벽의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걸림돌기가 착탈가능하고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걸림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상부 외측격벽의 하단부 내면에는 상기 제3 외측격벽의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걸림돌기가 착탈가능하고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걸림홈이 형성되는 선스틱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는 자외선 차단제를 지지하며 외면에 제1 가이드 홈이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본체부와, 상기 제1 본체부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회전관에 삽입되며 외면에 제1 나선형 돌기가 형성된 제1 나선형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관은 내면에 상기 제1 나선형 돌기에 접촉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은 내면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제1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홀더는 자외선 차단제를 지지하며 외면에 제2 가이드 홈이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회전관에 삽입되며 외면에 제2 나선형 돌기가 형성된 제2 나선형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관은 내면에 상기 제2 나선형 돌기에 접촉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은 내면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상기 제2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제2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는 선스틱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모듈은,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의 개방된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제1 내캡; 및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을 감싸며 상기 제1 내부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외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용모듈은,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의 개방된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제2 내캡; 및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을 감싸며 상기 제2 내부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외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선스틱 용기.
KR1020190016535A 2019-02-13 2019-02-13 선스틱 용기 KR102069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535A KR102069729B1 (ko) 2019-02-13 2019-02-13 선스틱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535A KR102069729B1 (ko) 2019-02-13 2019-02-13 선스틱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729B1 true KR102069729B1 (ko) 2020-01-23

Family

ID=6936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535A KR102069729B1 (ko) 2019-02-13 2019-02-13 선스틱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7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493A1 (ko) * 2022-09-15 2024-03-21 펌텍코리아(주) 리필 구조를 갖는 스틱형 화장품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370Y1 (ko) * 2001-10-26 2002-04-03 나이두 리필타입 투 칼라 립스틱케이스
KR100733257B1 (ko) * 2006-10-23 2007-06-28 삼성전기주식회사 양방향 전동립스틱
KR200487201Y1 (ko) 2017-07-10 2018-08-20 소준 양방향 선스틱 용기
KR101945490B1 (ko) * 2018-07-11 2019-02-08 (주)연우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370Y1 (ko) * 2001-10-26 2002-04-03 나이두 리필타입 투 칼라 립스틱케이스
KR100733257B1 (ko) * 2006-10-23 2007-06-28 삼성전기주식회사 양방향 전동립스틱
KR200487201Y1 (ko) 2017-07-10 2018-08-20 소준 양방향 선스틱 용기
KR101945490B1 (ko) * 2018-07-11 2019-02-08 (주)연우 화장품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493A1 (ko) * 2022-09-15 2024-03-21 펌텍코리아(주) 리필 구조를 갖는 스틱형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224B1 (ko) 회전 배출 장치를 구비한 액상 용기
KR200393382Y1 (ko) 스틱 타입 화장품 용기
KR102057260B1 (ko) 립스틱 용기
KR101218741B1 (ko) 디스펜서 용기
KR102069729B1 (ko) 선스틱 용기
KR101841178B1 (ko) 리필타입 콤팩트 용기
JP2001258636A (ja) 気密容器
KR101905014B1 (ko) 립스틱 용기
KR20130024293A (ko) 펜슬형 화장품용기
JP7122369B2 (ja) 自動的に開閉するシールモジュール及びシールモジュールを用いた化粧品ケース
US20050211263A1 (en) Toothbrush container with twist vent-caps and integrated dental floss dispenser
KR101690069B1 (ko) 콤팩트 용기
KR20200000957U (ko) 듀얼 타입 립스틱 용기의 립스틱 홀더 승강구조
EP1293146A2 (en) Thrust-out type container for a rod-like article
JPH0314482A (ja) 塗擦用棒状非流動物質の容器
KR20100000507A (ko) 화장품 용기
KR200490737Y1 (ko) 삼차 실링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10005880U (ko)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펌프 용기
JP2023540214A (ja) 内容物容器
KR200389159Y1 (ko) 립스틱 용기의 여닫이 구조
US7306103B2 (en) Finger operable container
KR102518506B1 (ko) 회전 토출형 화장품 용기
KR200491423Y1 (ko) 립 케어 용기
KR200166208Y1 (ko) 자동립스틱 용기
KR200370123Y1 (ko) 봉 형상 화장재료 출몰 조작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