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388B1 - 용기용 캡의 구조 - Google Patents
용기용 캡의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1388B1 KR101491388B1 KR20130165324A KR20130165324A KR101491388B1 KR 101491388 B1 KR101491388 B1 KR 101491388B1 KR 20130165324 A KR20130165324 A KR 20130165324A KR 20130165324 A KR20130165324 A KR 20130165324A KR 101491388 B1 KR101491388 B1 KR 1014913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
- accessory
- detachable
- groove
- vess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45D40/0075—Jars with dispens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1)에 결합되어 용기를 개폐시키는 용기용 캡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용기(1)의 상단에 개폐가능토록 결합되며, 외경면에 내부결합턱(280)이 돌출성형된 원통형 내캡(200)과; 상기 내캡(200)의 외경으로 삽입되어 내부결합턱(280)의 하단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내경면에 외부결합턱(330)이 돌출성형된 원통형 외캡(300)과; 상기 외캡(300)과 내캡(200)으로 삽입되는 부속품(100)과; (추가됨) 상기 내캡(200)의 상단에서 하향으로 일정 폭과 깊이로 절개형성된 고정홈(210)과; 상기 내캡(200)의 내경으로 삽입되며, 상단에서 하향으로 일정 폭과 깊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홈(410)이 절개형성되고, 안내홈(410)의 양측면에는 일정 깊이로 내외경을 관통하도록 받침공(412)이 형성된 원통형 작동부(400)와; 상기 작동부(400)의 안내홈(410)에 삽입되어 고정홈(210)과 작동부(400)의 중심을 향하여 왕복동하며, 양측면에는 받침공(412)으로 삽입되도록 원호형으로 받침부(512)가 돌출성형된 구동부(500)와; 상기 구동부(500)를 왕복동시키는 왕복동부재와; 상기 부속품(100)을 잠그거나 잠금해제시키는 착탈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용기에 결합되는 캡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캡에 부속되어 있는 부속품을 결합고정시키거나 캡으로부터 부속품을 분리시켜 용기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용기용 캡의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용기에 결합되는 캡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캡에 부속되어 있는 부속품을 결합고정시키거나 캡으로부터 부속품을 분리시켜 용기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용기용 캡의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기용 캡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에 결합되는 캡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캡에 부속되어 있는 부속품을 결합고정시키거나 캡으로부터 부속품을 분리시켜 용기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용기용 캡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에 결합되는 캡이 용기로부터 지속적으로 개폐되어야 하는 사용방법을 채택하는 경우, 나사식 결합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나사식 결합구조는 캡을 개폐하기 위하여 캡을 여러 번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캡의 잦은 개폐가 요구될 경우 매번 캡을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용기가 화장품 용기에 채택될 경우의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에 캡(3)이 나사구조로 결합되고, 이 캡(3)에는 스포이드, 마스카라의 스틱 등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1) 내부의 화장품 용액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캡(3)을 여러 번 회전시켜 용기(1)로부터 도 1과 같이 캡(3)을 해체한 후, 용기(1) 내부에 수용된 물질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캡(3)에 스포이드나 마스카라의 스틱 또는 브러쉬등이 결합될 경우, 용기(1)로부터 해체한 상태에서 스포이드나 마스카라 등을 사용할 때에는 스포이드의 하단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사용되어질 수밖에 없다는 단점 때문에 용기(1)의 바닥면에 잔류하는 용액은 스포이드를 이용하여 사용하지 못하여 용기(1)를 거꾸로 뒤집어서 용액을 손바닥이나 환부에 직접 사용해야 하므로 고가의 화장품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용기에 결합되는 캡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캡에 부속되어 있는 부속품을 결합고정시키거나 캡으로부터 부속품을 분리시켜 용기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용기(1)에 결합되어 용기를 개폐시키는 용기용 캡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용기(1)의 상단에 개폐가능토록 결합되며, 외경면에 내부결합턱(280)이 돌출성형된 원통형 내캡(200)과; 상기 내캡(200)의 외경으로 삽입되어 내부결합턱(280)의 하단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내경면에 외부결합턱(330)이 돌출성형된 원통형 외캡(300)과; 상기 외캡(300)과 내캡(200)으로 삽입되는 부속품(100)과; 상기 내캡(200)의 상단에서 하향으로 일정 폭과 깊이로 절개형성된 고정홈(210)과; 상기 내캡(200)의 내경으로 삽입되며, 상단에서 하향으로 일정 폭과 깊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홈(410)이 절개형성되고, 안내홈(410)의 양측면에는 일정 깊이로 내외경을 관통하도록 받침공(412)이 형성된 원통형 작동부(400)와; 상기 작동부(400)의 안내홈(410)에 삽입되어 고정홈(210)과 작동부(400)의 중심을 향하여 왕복동하며, 양측면에는 받침공(412)으로 삽입되도록 원호형으로 받침부(512)가 돌출성형된 구동부(500)와; 상기 구동부(500)를 왕복동시키는 왕복동부재와; 상기 부속품(100)을 잠그거나 잠금해제시키는 착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의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왕복동부재는, 상기 내캡(200)의 하단 외경에 형성된 플랜지(282)와 외캡(300)의 내경면 하부에 형성된 탄성턱(332)사이에 설치되어 외캡(300)을 상향으로 탄력지지하도록 된 제2탄성부재(630)와; 상기 구동부(500)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하단에서 상단을 향하여 두께가 점차 넓어지도록 기울기가 형성된 제1경사면(570)과; 상기 외캡(300)의 내경면 상부에서 제1경사면(570)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형성되어 구동부(500)가 제1경사면(570)을 따라 안내되게 하는 제2경사면(334)과; 상기 구동부(500)를 원주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이 부여된 제1탄성부재(610)와; 상기 제1탄성부재(610)가 일부 또는 전체가 삽입되도록 작동부(400) 내경면에 형성된 제1끼움홈(414)과; 상기 제1탄성부재(610)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구동부(500)의 내측면에 원호형으로 형성된 제2끼움홈(51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부속품(100)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106)의 외경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성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착탈돌기(128)와; 상기 구동부(50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제1착탈돌기(128)에 끼워지는 홈형태의 제1착탈홈(56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구동부(500)의 내측면에 돌출성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착탈돌기(566)와; 상기 부속품(100)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106)의 외경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홈형태로 형성된 제2착탈홈(130)을 포함한다.
첫 번째, 외캡을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일정각도 회동시키는 것만으로도 캡의 부속품을 잠금고정되거나 잠금해제하여 캡의 부속품을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두 번째, 부속품이 승하강되지 않는 상태에서 결합 또는 분리되게 하거나, 미세하게 승하강되면서 결합 또는 분리되게 하여 부속품 사용 시 부속품에 결합되는 스포이드의 펌핑관이나 마스카라의 스틱 및 브러쉬가 용기의 바닥면에 근접배치됨으로써, 용기의 바닥면에 잔류하는 화장품의 잔량 대부분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세 번째, 부속품이 승하강되면서 잠금고정 또는 잠금해제되게 하여 부속품이 출몰되는 구조로 설계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형태 또는 구조의 디자인설계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소비자에게 구매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용기에서 부속품이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속품이 잠금고정된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속품이 잠금해제된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속품이 분리된 후 외캡이 승강하여 구동부가 중심을 향해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속품이 잠금고정된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속품이 잠금해제된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속품이 분리된 후 외캡이 승강하여 구동부가 중심을 향해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1)의 상단에는 통상적으로 원통형 내캡(200)이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게 하는 것이 용이하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결합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인 방식을 채택하여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상기한 내캡(200)의 외경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결합턱(330)이 돌출성형되고, 상기 내캡(200)의 외경으로 하향삽입되어 결합되는 외캡(300)의 내경면에는 내부결합턱(280)의 하단으로 삽입되도록 외부결합턱(330)이 돌출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내캡(200)의 외경으로 외캡(300)을 하향삽입하면, 외캡(300)의 외부결합턱(330)이 내캡(200)을 따라 하강한 후 내캡(200)의 내부결합턱(280)하단으로 끼워지면서 외캡(300)이 내캡(200)에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캡(200)의 상단에는 하향으로 일정 폭과 깊이로 고정홈(210)이 절개형성되어 내, 외경이 서로 관통된 구조를 가지며, 이때, 상기 고정홈(210)은 내캡(200)의 상단에서 서로 대칭적인 구조로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캡(200)의 내경으로는 원통형 작동부(400)가 삽입되는 바, 작동부(400)의 상단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일정 폭과 깊이를 가지는 안내홈(4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절개형성되며, 이 안내홈(410)은 고정홈(210)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한 쌍이 서로 대칭적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안내홈(410)의 양측면에는 측면방향으로 일정 깊이를 가지는 받침공(412)을 형성하여 작동부(400)의 내, 외경이 서로 관통되는 구조를 갖게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400)의 안내홈(410)에는 구동부(500)가 삽입되어 작동부(400)의 중심과 내캡(200)의 고정홈(210)을 향하여 왕복동하게 되는데, 상기 구동부(500)의 양측면에는 받침부(512)가 돌출성형되어 안내홈(410)의 양측면에 형성된 받침공(412)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공(412)에 의하여 고정홈(210)과 안내홈(410)에 삽입되는 구동부(500)가 상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500)를 작동부(400)의 중심과 내캡(200)의 고정홈(210)을 향하여 왕복동시키기 위한 왕복동부재는 외캡(300)이 내캡(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캡(300)만 하강시켜 구동부(500)가 왕복동하게 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내캡(200)의 하단 외경에 형성된 플랜지(282)와 외캡(300)의 내경면 하부에 형성된 탄성턱(332)사이에 도 2와 도 3과 같이 제2탄성부재(630)를 설치하여 이 제2탄성부재(630)가 외캡(300)을 상향으로 탄력지지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외캡(300)의 외경면 하단에는 제2탄성부재(63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향 연장시켜 제2탄성부재(630)가 은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500)의 외측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00)의 두께가 하단에서 상단을 향하여 점차 두꺼워지는 또는 넓어지는 상광하협의 기울기로 제1경사면(570)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외캡(300)의 내경면 상부는 제1경사면(570)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제2경사면(334)을 성형함으로써, 제2경사면(334)에 제1경사면(570)이 안내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400)의 내경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제1끼움홈(414)을 형성하고 구동부(500)의 내측면에도 원주방향을 따르는 원호형 제2끼움홈(516)을 형성하여 제1끼움홈(414)과 제2끼움홈(516)에 제1탄성부재(610)가 끼워지도록 하여 제1탄성부재(610)의 탄성력이 원의 중심에서 외캡(300)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구동부(500)에는 원주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밀려나려하는 힘이 작용하게 한다.
결국, 상기 제1끼움홈(414)에는 개구된 'C'형 구조의 제1탄성부재(610)의 대부분이 삽입되고, 제2끼움홈(516)에는 제1탄성부재(610)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내캡(200)의 내측으로 삽입된 부속품(100)을 잠그거나 잠금해제시키는 착탈부재를 두 가지의 실시예로 제공한다.
첫 번째는, 상기 부속품(100)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106) 외경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제1착탈돌기(128)를 다수 개 돌출성형하거나 하나의 제1착탈돌기(128)를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500)의 내측면에는 제1착탈돌기(128)에 삽입될 수 있도록 홈형태의 제1착탈홈(564)을 형성하여 구동부(500)가 중심방향으로 도 3과 같이 이동하면 제1착탈홈(564)이 제1착탈돌기(128)에 삽입되어 구동부(500)가 부속품(100)을 고정결합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00)의 내측면에 제2착탈돌기(566)를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성형하고, 부속품(100)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106) 외경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홈형태의 제2착탈홈(130)을 형성하여 구동부(500)가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착탈돌기(566)가 제2착탈홈(130)에 삽입되어 구동부(500)가 부속품(100)을 고정결합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부속품(100)을 용기(1)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캡(300)을 하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외캡(300)이 제2탄성부재(630)를 하향가압하면서 하강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500)는 제1탄성부재(6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고정홈(210)과 외캡(300)의 내경면을 향하여 이동되려 하며, 외캡(300)이 하강할수록 외캡(300)의 내경면 상부에 형성된 제2경사면(334)과 구동부(5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경사면(570)이 점차 일치되면서 구동부(500)가 고정홈(210)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때, 구동부(500)는 작동부(400)의 안내홈(410)에 안착된 상태에서 받침부(512)가 받침공(412)에 삽입되어진 상태이므로 안내홈(410), 받침공(412)에 의해 고정홈(210)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500)의 제1착탈홈(564)이 부속품(100) 연결부(106)의 제1착탈돌기(128)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부속품(100)은 잠금해제상태로 전환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외캡(300)을 하강시키는 동작만으로 사용자는 부속품(100)을 용기(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외캡(300)을 하향가압하고 있던 힘을 해제시키면, 외캡(300)은 제2탄성부재(6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수직으로 승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부(500)의 제1경사면(570)은 제2경사면(334)에 의해 중심을 향해 이동하면서 결국에는 외캡(300)의 내경면에 의해 중심을 향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캡(200)의 내부에 부속품(100)이 삽입된 상태라면, 제1착탈홈(564)이 제1착탈돌기(128)에 삽입됨으로써, 부속품(100)을 잠금상태로 전환하는 것이며, 내캡(200)의 내부에 부속품(100)이 없는 상태라 하더라도 구동부(500)는 제1탄성부재(610)의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는 원형의 모습이 될 때까지 중심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구동부(500)가 중심을 향하여 이동된 상태에서 부속품(100)을 잠금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시 외캡(300)을 하강시켜 구동부(500)가 고정홈(210)으로 이동되게 한 후, 부속품(100)을 도 4와 같이 내캡(200) 내부로 삽입시킨 후, 외캡(300)이 승강될 수 있게 하면 도 3과 같이 부속품(100)이 잠금고정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1)에 결합되는 내캡(200)과 외캡(300)을 용기(1)로부터 해체 또는 분리시키지 않고도 용기(1)에서 부속품(100)을 잠금고정시키거나 잠금해제시켜 분리한 후 용기(1) 내부에 수용된 물질을 사용할 수 있게 한 발명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에 결합되는 캡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캡의 부속하는 부속품(100)을 손쉽고 간단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것이며,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속품(100)에 스포이드(104), 마스카라의 스틱, 브러쉬 등을 결합시켜 부속품(100)에 결합된 기구를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100 : 부속품
104 : 스포이드 106 : 연결부
128 : 제1착탈돌기 130 : 제2착탈홈
200 : 내캡 210 : 제1고정홈
280 : 내부결합턱 282 : 플랜지
330 : 외부결합턱 332 : 탄성턱
334 : 제2경사면 400 : 작동부
410 : 안내홈 412 : 받침공
414 : 제1끼움홈 500 : 구동부
512 : 받침부 516 : 제2끼움홈
564 : 제1착탈홈 566 : 제2착탈돌기
570 : 제1경사면 610 : 제1탄성부재
630 : 제2탄성부재
104 : 스포이드 106 : 연결부
128 : 제1착탈돌기 130 : 제2착탈홈
200 : 내캡 210 : 제1고정홈
280 : 내부결합턱 282 : 플랜지
330 : 외부결합턱 332 : 탄성턱
334 : 제2경사면 400 : 작동부
410 : 안내홈 412 : 받침공
414 : 제1끼움홈 500 : 구동부
512 : 받침부 516 : 제2끼움홈
564 : 제1착탈홈 566 : 제2착탈돌기
570 : 제1경사면 610 : 제1탄성부재
630 : 제2탄성부재
Claims (4)
- 용기(1)에 결합되어 용기를 개폐시키는 용기용 캡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용기(1)의 상단에 개폐가능토록 결합되며, 외경면에 내부결합턱(280)이 돌출성형된 원통형 내캡(200)과;
상기 내캡(200)의 외경으로 삽입되어 내부결합턱(280)의 하단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내경면에 외부결합턱(330)이 돌출성형된 원통형 외캡(300)과;
상기 외캡(300)과 내캡(200)으로 삽입되는 부속품(100)과;
상기 내캡(200)의 상단에서 하향으로 일정 폭과 깊이로 절개형성된 고정홈(210)과;
상기 내캡(200)의 내경으로 삽입되며, 상단에서 하향으로 일정 폭과 깊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홈(410)이 절개형성되고, 안내홈(410)의 양측면에는 일정 깊이로 내외경을 관통하도록 받침공(412)이 형성된 원통형 작동부(400)와;
상기 작동부(400)의 안내홈(410)에 삽입되어 고정홈(210)과 작동부(400)의 중심을 향하여 왕복동하며, 양측면에는 받침공(412)으로 삽입되도록 원호형으로 받침부(512)가 돌출성형된 구동부(500)와;
상기 구동부(500)를 왕복동시키는 왕복동부재와;
상기 부속품(100)을 잠그거나 잠금해제시키는 착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의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동부재는,
상기 내캡(200)의 하단 외경에 형성된 플랜지(282)와 외캡(300)의 내경면 하부에 형성된 탄성턱(332)사이에 설치되어 외캡(300)을 상향으로 탄력지지하도록 된 제2탄성부재(630)와;
상기 구동부(500)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하단에서 상단을 향하여 두께가 점차 넓어지도록 기울기가 형성된 제1경사면(570)과;
상기 외캡(300)의 내경면 상부에서 제1경사면(570)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형성되어 구동부(500)가 제1경사면(570)을 따라 안내되게 하는 제2경사면(334)과;
상기 구동부(500)를 원주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이 부여된 제1탄성부재(610)와;
상기 제1탄성부재(610)가 일부 또는 전체가 삽입되도록 작동부(400) 내경면에 형성된 제1끼움홈(414)과;
상기 제1탄성부재(610)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구동부(500)의 내측면에 원호형으로 형성된 제2끼움홈(5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의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부속품(100)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106)의 외경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성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착탈돌기(128)와;
상기 구동부(50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제1착탈돌기(128)에 끼워지는 홈형태의 제1착탈홈(5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의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구동부(500)의 내측면에 돌출성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착탈돌기(566)와;
상기 부속품(100)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106)의 외경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홈형태로 형성된 제2착탈홈(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1072 | 2013-12-06 | ||
KR20130151072 | 2013-12-0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91388B1 true KR101491388B1 (ko) | 2015-02-10 |
Family
ID=52591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65324A KR101491388B1 (ko) | 2013-12-06 | 2013-12-27 | 용기용 캡의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1388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5061Y1 (ko) | 2004-05-21 | 2004-10-15 | 주식회사 요진코스메플라스트 | 화장 도구 |
KR20110063318A (ko) * | 2009-12-02 | 2011-06-10 |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 파우더 용기 |
-
2013
- 2013-12-27 KR KR20130165324A patent/KR1014913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5061Y1 (ko) | 2004-05-21 | 2004-10-15 | 주식회사 요진코스메플라스트 | 화장 도구 |
KR20110063318A (ko) * | 2009-12-02 | 2011-06-10 |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 파우더 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13510B2 (ja) | ワンタッチ方式でキャップが開閉操作される化粧品容器 | |
US9220372B2 (en) | Glass bowl assembly for bowl lift mixer | |
EP2781465A1 (en) | Detachable sealable li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and sealing ring for use with the lid | |
KR101597115B1 (ko) | 버튼형 펜슬 화장품 용기 | |
WO2007103240A3 (en) | Drinking extension for blender container | |
KR200486058Y1 (ko) | 다중 걸림구조를 가진 용기용 마개 | |
KR101803794B1 (ko) | 원핸드 방식의 버튼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 |
KR101491385B1 (ko) | 용기용 캡의 구조 | |
JP2007008553A (ja) | 容器のキャップ | |
KR101491388B1 (ko) | 용기용 캡의 구조 | |
KR101491386B1 (ko) | 용기용 캡의 구조 | |
KR101491384B1 (ko) | 용기용 캡의 구조 | |
KR101491383B1 (ko) | 용기용 캡의 구조 | |
US9643760B2 (en) | Cap structure for vessel | |
KR101491387B1 (ko) | 용기용 캡의 구조 | |
JP2020069367A (ja) | 化粧品容器 | |
CN205433283U (zh) | 烹饪器具 | |
KR100820680B1 (ko) | 바닥이 상승되는 화장품 용기 | |
KR20130045567A (ko) | 조리기구용 핸들 | |
KR200365929Y1 (ko) | 밀폐 저장 용기 뚜껑 및 몸체의 원터치 체결 구조 | |
KR101401411B1 (ko) | 용기 뚜껑용 착탈식 손잡이 | |
KR200240724Y1 (ko) | 안전 주사기의 구성에 있어서의 개선 | |
JP4712342B2 (ja) | ネールエナメル容器 | |
KR20240043484A (ko) |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 |
JP5219088B2 (ja) | 二室容器の混合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