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5567A - 조리기구용 핸들 - Google Patents

조리기구용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5567A
KR20130045567A KR1020110109847A KR20110109847A KR20130045567A KR 20130045567 A KR20130045567 A KR 20130045567A KR 1020110109847 A KR1020110109847 A KR 1020110109847A KR 20110109847 A KR20110109847 A KR 20110109847A KR 20130045567 A KR20130045567 A KR 20130045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ap
locker
elastic member
inn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4568B1 (ko
Inventor
이현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피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to KR1020110109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568B1/ko
Priority to JP2014538687A priority patent/JP5774234B2/ja
Priority to PCT/KR2012/001449 priority patent/WO2013062186A1/ko
Priority to CN201280051511.5A priority patent/CN103889290B/zh
Priority to US14/349,540 priority patent/US20140231443A1/en
Publication of KR20130045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 B65D25/2805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82Integra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구용 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과 동작이 간단하고 스프링의 탄성으로 슬라이드면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원통형 버튼에 의하여 상측 손잡이와 하측 손잡이가 자연스럽게 접근(상하 용기를 서로 꽉 닫음) 또는 퇴거(상하 용기를 서로 벌림)될 수 있는 조리기구용 핸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리기구용 핸들{handle for kitchen utensil}
본 발명은 조리기구용 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과 동작이 간단하고 스프링의 탄성으로 슬라이드면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원통형 버튼에 의하여 상측 손잡이와 하측 손잡이가 자연스럽게 접근(상하 용기를 서로 꽉 닫음) 또는 퇴거(상하 용기를 서로 벌림)될 수 있는 조리기구용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종래 조리기구용 핸들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554100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조리기구용 핸들(100)은 힌지(h)를 중심으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일측 용기(A) 및 타측 용기(B)의 측면에 각각 구비된 일측 손잡이(10) 및 타측 손잡이(20)를 포함한다.
일측 손잡이(10)는 일측 용기(A)로부터 멀리 있는 타단에 타측 손잡이(20)에 맞닿는 내면(11)에서 외면(12)으로 갈수록 더 길어지는 경사진 슬라이드면(14)을 구비함과 동시에 이 슬라이드면(14)의 두께를 작게 하여 그 외면(12)에 단턱(13)을 제공한다.
타측 손잡이(20)는 일측 손잡이(10)에 맞닿는 내면(21)이 슬라이드면(14)의 시작되는 부분으로부터 이격거리(ℓ)를 두고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됨과 동시에 이격거리(ℓ)만큼 외면(22)에 홈(23)이 형성되도록 슬라이드면(14)에 대향되는 스토퍼(24)를 구비한다.
타측 손잡이(20)의 내면(21)에 나사(N) 고정되어 상기 홈(23)으로부터 상기 단턱(13)에 이르는 길이를 기준직경으로 하여 원주형 홈(30)을 완성하는 반원체(31)와, 홈(23) 및 단턱(13)을 비롯한 원주형 홈(30)에 끼워져 상기 슬라이드면(14)에 슬라이딩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원통형 버튼(40)을 포함한다.
스토퍼(24)에 지지되어 탄발되는 압출 스프링(51)과, 원통형 버튼(40)에 뚫려져 압출 스프링(51)을 수납하는 수용홈(41)을 더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조리기구용 핸들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원주형 홈(30)을 완성하기 위해 반원체(31)의 구성을 별도의 체결요소로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압출 스프링(51)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미관상 좋지 않고 또는 이물질 침투시 스프링의 탄성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5410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립이 편리하면서 작동이 원활히 행해지는 조리기구용 핸들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조리기구용 핸들은,
바닥을 가진 상계단부가 형성되는 상측 손잡이; 바닥을 가진 하계단부가 형성되는 하측 손잡이; 상기 하측 손잡이의 후단에서 돌출하며 걸림턱이 형성된 돌기부; 상기 돌기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공을 갖는 캡; 상기 캡의 외주면과 상기 바닥들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록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조리기구용 핸들은,
상기 캡에 대해서 상기 록커에 탄성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캡은 내통, 상기 내통보다 길이가 짧은 외통, 상기 외통과 상기 내통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통에는 상기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록커는 원통슬라이더와, 상기 원통슬라이더의 내주면에서 돌출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에 접하는 가동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측 손잡이에서 돌기부를 일체로 두어 별도의 원주형 홈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을 생략하고, 록커의 슬라이딩 가이드와 스토퍼 역할을 하는 캡을 돌기부에 간단히 삽입하기만 하면 결합되어 조립이 대단히 편리하다.
또한, 원통슬라이더 내부에 탄성부재가 놓여있기 때문에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이물질 등의 침투를 완벽히 막아 록커의 슬라이딩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조리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리기구용 핸들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조리기구용 핸들의 동작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조리기구용 핸들의 분리한 전면 및 배면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결합 단면도로서, 접근 및 해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측과 하측의 위치는 도면의 위치로 설명하는 것일 뿐 상측과 하측의 위치가 뒤집힐 때는 반대의 위치로 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조리기구용 핸들의 분리한 전면 및 배면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결합 단면도로서, 접근 및 해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용 핸들(300)은 서로 마주보는 상측 손잡이(310)와 하측 손잡이(330), 상측 손잡이(310)와 하측 손잡이(330)를 접근 또는 퇴거하는 접근퇴거부재(350)를 포함한다.
상측 손잡이(310)는 하면이 평면인 단면 반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측 손잡이(310)의 후단 반원주면에는 벽(313)과 바닥(315)으로 단이 진 상계단부(3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315)은 위에서 아래(즉 상경사면의 최하 위치)로 내려올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다.
또한, 상측 손잡이(310)의 후단 끝면은 위에서 아래로 (-)기울기로 경사진 상경사면(317)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 손잡이(330)는 상측 손잡이(310)와 마찬가지로 상면이 평면인 단면 반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측 손잡이(330)에는 상경사면(317)과 마주하는 하경사면(337)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 손잡이(330)의 후단 반원주면에는 벽(333)과 바닥(335)으로 단이 진 하계단부(3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335)은 아래에서 위(즉 하경사면의 최상 위치)로 올라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다.
따라서, 상측 손잡이(310)와 하측 손잡이(330)가 서로 접근한 경우, 도 6a와 같이 상계단부(311)와 하계단부(331)가 폭이 같은 하나의 원주 바닥(315)(335)을 형성한다.
또한, 바닥(335)의 끝단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한 돌기부(339)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339)에는 탄성부재(351)를 탑재한 캡(353)이 끼워져 고정된다.
캡(353)은 내통(355)과 외통(357)으로 이루어지고, 내통(355)과 외통(357) 사이에 탄성부재(351)가 수용되는 수용홈(359)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351)로는 코일스프링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탄성부재(351)는 캡(353)에 대해서 후술된 록커(370)에 탄성을 가하여, 록커(370)에 외력이 없는 경우 록킹되는 위치(상하 손잡이가 서로 접근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상태)로 향하게 힘을 가한다.
내통(355)의 상하에는 걸림공(361)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돌기부(339)에는 걸림공(361)이 걸리는 걸림턱(363)이 형성되어, 캡(353)이 돌기부(339)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캡(353)의 내통(355)의 전후에는 절취한 노치(36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365)는 내통(355)이 돌기부(339)에 삽입될 때 약간 탄성에 의해 벌어지게 하고, 걸림턱(363)에 걸림공(361)이 걸리는 경우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이탈을 더욱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최후단에서 시작할 때 외통(357)은 내통(355)보다 길이 L만큼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 짧은 거리는 후술된 록커(370)의 해제 슬라이딩 거리와 거의 유사하다.
또한, 외통(357)에도 노치(367) 형성되어, 록커(370)의 원통슬라이더(371)가 슬라이딩할 때 접촉시 어느 정도 외통(357)이 탄성 변형을 허용하여, 원활한 슬라이딩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록커(370)은 원통슬라이더(371)와, 원통슬라이더(371)의 내주면에서 돌출한 가동시트(373)로 구성하여 있다.
즉 가동시트(373)는 탄성부재(351)의 일측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가동시트(373)는 내통(355)에 걸리지 않고 외통(357)에 걸리는 정도로 돌출되어 있다.
원통슬라이더(371)의 내주면은 외통(357)의 외주면과 바닥(315)(335)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된다.
가동시트(373)는 수용홈(359)의 바닥을 이루는 고정시트와 함께 탄성부재(351)의 전후 자리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록커(370)가 도 6a와 같이 원통슬라이더(371)가 계단부(311)(331)의 벽(313)(333)에 걸려있으면, 상측 손잡이(310)와 하측 손잡이(330)는 서로 접근한 상태에서 결합되게 된다.
이 도 6a의 상태에서 도 6b와 같이 원통슬라이더(371)를 실선방향으로 뒤로 당기면 계단부(311)(331)에서 벗어나 상측 손잡이(310)가 탄성에 의해 위로 올라와 접근을 해제한다.
이 해제된 상태에서 원통슬라이더(371)를 놓으면, 도 6a와 같이 원통슬라이더(371)가 벽(333)에 결려 멈추게 된다.
따라서, 접근퇴거부재(350)는 돌기부(339)에 삽입 고정된 캡(353)과 캡(353)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록커(370), 캡(353)과 록커(370) 사이에 개재되어 록커(370)의 복원을 행하는 탄성부재(351)로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록커(370)는 캡(353)의 외통(357)의 선단과 벽(313 또는 333) 사이의 거리만큼 길이방향의 슬라이딩 거리로 제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300 : 조리기구용 핸들 310 : 상측 손잡이
311 : 상계단부 313 : 벽
315 : 바닥 317 : 상경사면
330 : 하측 손잡이 331 : 하계단부
333 : 벽 335 : 바닥
337 : 하경사면 339 : 돌기부
350 : 접근퇴거부재 351 : 탄성부재
353 : 캡 355 : 내통
357 : 외통 359 : 수용홈
361 : 걸림공 363 : 걸림턱
365,367 : 노치 370 : 록커
371 : 원통슬라이더 373 : 가동시트

Claims (2)

  1. 바닥을 가진 상계단부가 형성되는 상측 손잡이;
    바닥을 가진 하계단부가 형성되는 하측 손잡이;
    상기 하측 손잡이의 후단에서 돌출하며 걸림턱이 형성된 돌기부;
    상기 돌기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공을 갖는 캡;
    상기 캡의 외주면과 상기 바닥들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록커를 포함하는 조리기구용 핸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에 대해서 상기 록커에 탄성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캡은 내통, 상기 내통보다 길이가 짧은 외통, 상기 외통과 상기 내통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통에는 상기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록커는 원통슬라이더와, 상기 원통슬라이더의 내주면에서 돌출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에 접하는 가동시트로 구성되는 조리기구용 핸들.
KR1020110109847A 2011-10-26 2011-10-26 조리기구용 핸들 KR101324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847A KR101324568B1 (ko) 2011-10-26 2011-10-26 조리기구용 핸들
JP2014538687A JP5774234B2 (ja) 2011-10-26 2012-02-27 調理器具用ハンドル
PCT/KR2012/001449 WO2013062186A1 (ko) 2011-10-26 2012-02-27 조리기구용 핸들
CN201280051511.5A CN103889290B (zh) 2011-10-26 2012-02-27 炊具把手
US14/349,540 US20140231443A1 (en) 2011-10-26 2012-02-27 Handle for Cookwa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847A KR101324568B1 (ko) 2011-10-26 2011-10-26 조리기구용 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567A true KR20130045567A (ko) 2013-05-06
KR101324568B1 KR101324568B1 (ko) 2013-11-01

Family

ID=48167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847A KR101324568B1 (ko) 2011-10-26 2011-10-26 조리기구용 핸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231443A1 (ko)
JP (1) JP5774234B2 (ko)
KR (1) KR101324568B1 (ko)
CN (1) CN103889290B (ko)
WO (1) WO20130621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568B1 (ko) * 2011-10-26 2013-11-01 주식회사 해피콜 조리기구용 핸들
KR101596210B1 (ko) * 2015-01-09 2016-02-23 (주)네오플램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
USD812412S1 (en) * 2016-03-08 2018-03-13 Happycall Co., Ltd. Double-sided pa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76857B (en) * 1993-03-22 1996-11-20 Original Ideas Inc Can holder
JPH1057257A (ja) * 1996-08-23 1998-03-03 Fujimaru Kogyo Kk 加熱調理器の把手取り付け構造
JP3042126U (ja) * 1997-04-03 1997-10-14 清福 許 組合せ式蒸し焼きグリルパン
JP2874866B1 (ja) * 1998-04-02 1999-03-24 裕一 新崎 調理鍋用の蓋
KR100397656B1 (ko) * 2001-05-23 2003-09-13 신명호 조리용기의 손잡이
KR100450890B1 (ko) * 2002-05-30 2004-10-06 신명호 조리용기의 손잡이
KR100554100B1 (ko) * 2003-10-06 2006-02-22 (주)대영리버스 조리기구용 핸들
KR200348811Y1 (ko) * 2004-02-06 2004-04-29 김정복 잠금장치를 가진 양면 프라이팬
KR200410949Y1 (ko) * 2005-12-19 2006-03-10 김세철 양면 프라이팬
KR200429646Y1 (ko) 2006-07-20 2006-10-25 김세철 양면 프라이팬
KR200442810Y1 (ko) * 2007-03-22 2008-12-11 권석재 양면 프라이팬 손잡이의 잠금장치
CN201256888Y (zh) * 2008-08-08 2009-06-17 施新委 双面煎锅
KR20090130810A (ko) * 2009-05-12 2009-12-24 서선자 양면 프라이팬의 손잡이 고정구조
KR101650524B1 (ko) * 2009-06-30 2016-08-2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선호도 기반 커뮤니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1115518A (ja) * 2009-12-02 2011-06-16 Yasuyuki Katagiri 分離操作式調理容器
CN201617711U (zh) * 2009-12-19 2010-11-03 胡程韶 双面煎锅
KR101324568B1 (ko) * 2011-10-26 2013-11-01 주식회사 해피콜 조리기구용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89290A (zh) 2014-06-25
WO2013062186A1 (ko) 2013-05-02
CN103889290B (zh) 2016-04-06
US20140231443A1 (en) 2014-08-21
KR101324568B1 (ko) 2013-11-01
JP5774234B2 (ja) 2015-09-09
JP2014530740A (ja) 201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4052B2 (ja) 脱着可能なハンドル
WO2010052941A1 (ja) 可動体の往動機構
US20140082896A1 (en) Enhanced slider
KR101191925B1 (ko) 푸쉬타입의 레버형 도어록
KR101324568B1 (ko) 조리기구용 핸들
KR20060119698A (ko) 가구용 개방 및 폐쇄 걸쇠 장치
WO2005012678A1 (en) Opening and closing latch device for furniture
US9345303B2 (en) Compact having protrusible and retractable puff
KR200410951Y1 (ko) 양면 프라이팬
US6729524B1 (en) Nail cartridge for a nail gun
KR101357127B1 (ko) 양면팬
JP2015025242A (ja) 家具用引き手
KR101056874B1 (ko)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KR200429646Y1 (ko) 양면 프라이팬
KR101678877B1 (ko) 가구용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구
KR200424501Y1 (ko) 가구용 도어 손잡이 구조
KR200485510Y1 (ko) 손잡이를 구비한 뚜껑
KR101689141B1 (ko) 사물함의 손잡이 일체형 잠금장치
JP6271792B1 (ja) 棒状化粧料容器
KR101491383B1 (ko) 용기용 캡의 구조
JP3216776U (ja)
JP5864702B1 (ja) パチンコ遊技機の施錠装置
KR200374234Y1 (ko) 개폐가 용이한 뚜껑을 구비한 붓
KR20200121604A (ko) 가구 도어
KR20160003391U (ko) 가구용 문짝 프레임 겸용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