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726B1 - 자동차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726B1
KR100242726B1 KR1019950701659A KR19950701659A KR100242726B1 KR 100242726 B1 KR100242726 B1 KR 100242726B1 KR 1019950701659 A KR1019950701659 A KR 1019950701659A KR 19950701659 A KR19950701659 A KR 19950701659A KR 100242726 B1 KR100242726 B1 KR 100242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parking
entry
hoist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1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4586A (ko
Inventor
슈렉커 헬무트
혼 유타
쿠렌스 딜크
Original Assignee
게오르그 에프.베이에르
베트론 로지스틱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924238322 external-priority patent/DE4238322C2/de
Priority claimed from DE19934338341 external-priority patent/DE4338341C2/de
Application filed by 게오르그 에프.베이에르, 베트론 로지스틱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게오르그 에프.베이에르
Publication of KR950704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4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7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 E04H6/28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turntables, rotary elevators or the like on which the cars are not permanently parked
    • E04H6/287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turntables, rotary elevators or the like on which the cars are not permanently parked using comb-type transfe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omb-type transfer means
    • E04H6/186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omb-type transfer means without transverse movement of the car after leaving the transf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주차장치는 두 개의 높은 저장 랙 내에 각각의 옆쪽으로 길게 배치된 자동차를 주차하기 위한 주차상자(20)들을 포함한다. 높은 저장 랙 사이의 마루(14)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호이스트 장치(64)는 수직조정 및 신축적-수평조정이 가능한 이송반(70)을 갖는다. 마루 반대쪽인 랙의 측면에 입ㆍ출고 장소(24)가 바깥쪽의 양측면으로부터 차량 통과영역 내로 돌출된 휴지-빗형상 장치(30)과 함께 배치되며, 그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34)의 보충적인 수송-빗형상 장치(36)은 수직으로 그리고 거기로부터 교체장소(50)로서 형성된 하나의 주차상자(20)에 관하여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교체장소(50)과 모든 주차상자(20)은 휴지-빗형상 장치(각각 51 및 86)을 양측에 포함하며, 그것은 호이스트 장치 이송반(70)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수송-빗형상 장치(80)과 차량의 인수와 전달을 위하여 상호 작용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주차장치
본 발명은, 호이스트 장치가 이동될 수 있는 마루의 양측에 건립된 수직랙(rack)들로써 구성되며, 상술한 랙들은 인접하게 그리고 여러 층에 걸쳐 서로 상하로 배치된 주차상자들을 포함하고 있는 그러한 자동차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주차상자와 호이스트 장치의 이송반은 가지들로 이루어진 빗형상 장치(comb system)로써 형성된 휴지 영역(rest areas)을 가지며, 주차상자들의 고정된 휴지-빗형상 장치들은 가지들이 서로 보충적으로 엇갈리는 이송반의 수송-빗형상 장치에 의하여 차량의 전달 또는 인수를 목적으로 수직 횡단되어진다.
종류를 불문하고 주차장치에 대한 수요는 도로상에 꾸준하게 늘어가는 자동차 수에 기인하여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추가의 주차장소를 제공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설계된 통행가능한 주차가옥들은 종종 가능한 해결책으로서 채택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는 주로 넓은 공간이 요구되기 때문이나, 그 외에도 적극적이거나 수동적인 자동차의 손상, 침입, 도난, 배기가스와 소음에 의한 환경공해, 그리고 붐비는 시간대에 긴 주차시간이 요구되는 점등의 다른 단점들 때문이기도 하다. 한편으로는, 요구되는 공간을 줄이기 위하여 자동차들을 높고 기계화된 창고형 랙장치 내에 수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 그러한 창고형 장치는 자동차를 되찾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너무 길고, 중요한 기술적 요구사항들로 인하여 투자비용이 너무 커지기 때문에 채택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적은 설치비용과 매우 작은 공간이 요구되고, 최신의 기계공학 및 구조공학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특히 짧은 접근시간을 가지며 환경보호적 요구사항들도 또한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화되고 매우 자동화된 자동차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에 대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에 따르면, 랙의 하나의 주차상자는 한쪽에서부터 이송되어올 수 있는 이송반과, 다른쪽에서부터 이송되어올 수 있고 수송-빗형상 장치와 결합된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의 사이에서 교체장소를 형성한다. 이 수직상승반은 안내-구동되어 마루 반대편인 교체장소의 단부에 설치된 입ㆍ출고 장소의 고정된 휴지-빗형상 장치에 대하여 그리고 자동차를 인수 또는 전달하기 위한 교체장소에 대하여 수직운동을 수행하며, 교체장소와 입ㆍ출고 장소의 사이에서 수평운동을 수행한다. 여기서, 빗형상 장치는 두 개의 가지군(group of prongs)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각각은 차량통로영역 내에서 주차상자, 교체장소, 그리고 입ㆍ출고 장소의 휴지 영역의 측면 지지부재로부터 위로는 이송반과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의 수용을 위해 또는 그들의 수직운동을 위해서 제공되는 중앙의 비어있는 영역에까지 뻗어있는 고정된 휴지-빗형상 장치로서 배치된다. 그리고 빗형상 장치의 양 세로면으로부터는 차량통로영역 내로 돌출되고 그 가지들이 고정된 휴지-빗형상 장치의 가지들과 서로 보충적으로 엇갈리는 수송-빗형상 장치가 뻗어 있다.
구조용 강철재들이 랙의 보, 적재장치 또는 휴지 영역, 호이스트 장치, 그리고 입ㆍ출고 장소에서 많이 사용된 이러한 종류의 주차장치는 독립된 주차장 또는 호텔, 사무실, 주거건물등의 복합건물의 일부로서 설치될 수 있으며, 배기가스 없이 그리고 최소의 소음발생으로 작동될 수 있기 때문에 병원, 양로원 그리고 다른 기존의 복합건물에 결합되어질 수 있다. 게다가, 주차장에서 자동차를 주차시키거나 되찾을 때에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운전조작은 특히 만약 자동차들이 출고를 위해 준비될 때 그 출발방향으로 놓여진다면 불필요해진다.
낮은 소음수준은 입ㆍ출고 장소에서부터 높은 적재랙까지의 이송시 및 그 반대의 이송작업 동안에 모두 이용되어지는 이송원리에 의하여 실현된다. 여기서,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은 그것의 수송-빗형상 장치를 수단으로 하여 휴지-빗형상 장치로부터 자동차를 인수하고, 교체장소의 휴지-빗형상 장치를 통과하여 이동함으로써 자동차를 거기에 놓는다. 한편, 호이스트 장치는 그 이송반의 수송-빗형상 장치를 수단으로 하여 자동차를 교체장소에서부터 들어올리고 할당된 주차상자의 휴지-빗형상 장치 위에 적재한다.
진입하는 자동차는 진입부 루우프회로(introduction loop)를 지나도록 운전함으로써 입ㆍ출고 장소의 구름문(rolling gate)이나 차단장치의 개문(開門)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다음에 휴지-빗형상 장치 위에서 미리 지정된 위치로 운전된다. 여기서, 그 앞바퀴는 유익하게는 보다 넓은 가지 사이간격으로써 제공되는 홈 내에 수용되거나 또는 감지기와 신호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위치가 정해지며, 이로써 고정된 상태로 적절한 수용수단 내로 또는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의 수송-빗형상 장치의 홈(depression) 내로 적재될 수 있다. 교체장소, 호이스트 장치 이송반, 주차상자의 휴지-빗형상 장치에까지 적용되는 이러한 위치고정 원리는 운전자 없이 이동하는 경우에 간단하고 안전한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주차장치 내의 사용가능한 주차상자의 수와 또한 적재랙의 길이에 따라서, 할당된 교체장소를 갖는 수 개의 입ㆍ출고 장소가 인접한 주차공간(bay)내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접근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이송마루 내에서 통행할 수 있는 수 개의 호이스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근 시간과 같은 사용 횟수가 증가되는 시간대 동안은 대다수의 입ㆍ출고 장소는 단지 입고만을 위한 장소로서 프로그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이송마루를 따라 레일 위에서 서로를 지나쳐 통행할 수 있는 두 개의 호이스트 장치를 가지며, 그것의 이송반은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둥 위에서 안내되는 호이스트 단(hoisting platform)과 선회 베어링을 수단으로 하여 적어도 180°회전가능하고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수평방향으로 또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부의 가장 멀리 신장될 수 있는 신축부(telescoping unit)측에는 수송-빗형상 장치가 고정되어 있는 그러한 신축반(telescoping table)을 갖는다. 주차장치는 매우 긴 이송마루와 수 개의 입ㆍ출고 장소를 갖기 때문에, 하나 이상의 호이스트 장치가 각각 상부레일과 하부 레일로써 형성된 레일의 위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에 그리고 호이스트 장치 이송반에 고정된 수송-빗형상 장치는 보다 넓은 가지 사이간격으로 형성되는 자동차 앞바퀴를 적절하게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첫번째 수용수단을 가지며, 반면 주차상자 내의 휴지-빗형상 장치, 교체장소, 그리고 입ㆍ출고 장소등도 또한 첫번째 수용수단의 가지들 사이에 들어맞는 보다 작은 간격의 가지들로 형성된 또는 위를 향한 V형 단면으로 형성된 수용수단을 가진다. 필요한 경우 수용수단 또는 홈들은 수직-조정가능한 가지들을 수단으로 하여 각각 설치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완전히 지하에 배치된 주차공간의 장착과 탈착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입ㆍ출고 장소가 입구높이의 지상에 제공되며, 가장 큰 자동차 크기에 맞게 설계된 피트 내에 입구높이와 교체장소 아래의 높이로 옮겨지기 위한 최소의 높이 사이에서 수직으로 조정될 수 있는 이동가능한 수직이송반을 갖는다. 한편, 입ㆍ출고 장소의 휴지-빗형상 장치는 피트를 여는 해제 위치(clearing position)와 부분적으로 피트를 덮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조정가능하다. 이러한 제안을 수행함으로써, 공간의 효율적 이용에 관한 잇점과 함께 높은 적재랙 주차장치는 지하에 건설될 수 있다. 여기서, 지붕 또는 작은 차고의 형태를 갖는 단순히 하나이거나 또는 여러개인 입ㆍ출고 장소는 입구 높이에서 풀로 덮힌 개방된 지역 위에 볼 수 있도록 나와 있다. 피트를 해제하기 위한 입ㆍ출고 장소 내의 휴지-빗형상 장치는 피트의 측면 경계부로 수평이동되거나 아래로 접혀진다. 자동차를 탑재한 상태의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은 입구높이의 위쪽 상단부로 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휴지-빗형상 장치는 그 해제-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다.
단순화된 주차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주차상자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교체장소는 입구높이에 위치되고 휴지-빗형상 장치와 구름문을 모두 갖는 입ㆍ출고 장소로써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단독으로 또는 입ㆍ출고 장소의 뒤에 또다른 적어도 하나의 교체장소를 갖는 주차장치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지 교체장소에서 떠날 준비가 된 상태로 놓여있는 자동차들만 이 운전자에 의하여 그곳으로부터 모아지고 입ㆍ출고 장소의 휴지-빗형상 장치까지 이어진 하나의 차선을 통하여 운전되어 나오도록 하는 설비도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주차장치의 또다른 단순화된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마루위의 통행가능한 지붕과 같은 높이에 적어도 하나의 입ㆍ출고 장소가 가장 큰 자동차의 크기에 맞도록 설계된 하나의 개구(開口)위에 배치되고 호이스트 장치 신축반의 수송-빗형상 장치와 상호작용하는 그러한 휴지-빗형상 장치와 함께 제공된다. 상술한 수송-빗형상 장치는 일치하게 정렬되거나 고정되는 높이로 이동될 수 있으며, 반면 휴지-빗형상 장치는 측면의 개구 경계 내부로 철수되거나 안내 구동장치를 수단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접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치의 추가의 특징과 잇점들은 발명에 필수적인 사항에 관한 설명도 또한 포함하고 있는, 도면에 표현된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진다. 청구범위의 특징들을 포함한 이러한 특징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의 형태로써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구성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치의 평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선 A-A에 따른 길이방향 수직단면도이고, 제3도는 통행가능한 지붕의 높이에 있는 입ㆍ출고 장소를 나타내는 제1도의 선 B-B에 따른 수직단면의 확대도이고, 제4도는 보통의 높이에 입ㆍ출고 장소를 갖는 제3도의 경우와 유사한 부분적 지하 주차장치를 표현한 도면이고, 제5도는 제4도에서 보인 주차장치의 입구높이에서의 수평단면도이고, 제6도는 제4도에서 보인 주차장치의 일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제7도는 주차상자와 호이스트 장치 이송반의 상부 신축기구에 대한 부분 수직단면도이고, 제8도는 제7도의 선 C-C에 따른 단면을 표현한 도면이고, 제9도는 이송마루에서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두 개의 호이스트 장치의 단순화된 도면이고, 제10도는 제9도에서 보인 서로 다른 쌍의 레일에 의하여 안내되는 두 개의 호이스트 장치의 단순화된 도면이고, 제11도는 제9도에서 보인 두 개의 호이스트 장치의 평면도이고, 제12도는 이송마루 위에 배치된 입ㆍ출고 장소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수직단면도이며, 제13도는 제3도에서 보인 입ㆍ출고 장소의 피트에 대한 수직단면도이며, 휴지-빗형상 장치에 대한 두가지 변형을 설명하고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금속제 단면으로 형성된 임의의 길이의 두 개의 랙(10,12)는 자동차 주차장 내에서 이송마루(14)의 양측에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설치되어있다. 제2도에서 보인 실시예에서 지하에 위치되는 이 주차장은 밑면(16)을 가지며 위는 통행가능한 지붕(18)에 의하여 덮혀있다. 이 지붕은 추가의 주차공간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또는 잔디를 깔거나 표토층으로 덮힐 수도 있다. 각 랙(10,12)는 길이방향으로 서로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정지영역과 결합되어 있으며, 수직기둥(22) 사이에서 서로의 위쪽으로 군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는 그러한 주차상자(20)의 수평 열(row)로써 구성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최상층 및 최하층 열에 배치될 수 있는 더 넓은 주차상자들은 비포장 도로용 차량 또는 지붕에 상부구조물을 갖는 차량을 주차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서는 통행가능한 지붕(18) 위에 그리고 제4도에서는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입구의 높이에서, 수 개의 지붕이 달린 입ㆍ출고 장소(24)가 랙(10)의 측면으로 전방 및 후방의 구름문 또는 차단기(25,26)와 함께 제공된다. 만약 출고 차량이 주차장치 내에서 180°회전하여 그들이 입고된 반대방향으로 출고되는 경우에는 제3도에서의 후방 출구와 차단기(26)은 필요하지 않다.
제4도와 제5도에 관하여, 진입하는 자동차는 유도 루프회로를 넘어 진행함으로써 구름문(25)의 개문 기구를 작동시키며, 앞바퀴를 위해 미리 정해진 위치에 이르기까지 입ㆍ출고 장소(24) 내로 진행된다. 운전자는 입ㆍ출고 장소(24)로부터 나와서 자동 카드발급기(27)로부터 주차카드를 발급받으며 이로써 구름문(25)는 닫히고, 입ㆍ출고 장소(24)에 설치된 감지기가 자동차의 높이 및 다른 요인들을 감지하여 적합한 주차상자를 결정한다. 이러한 내용은 주차카드에 기록된다.
입ㆍ출고 장소(24) 내의 피트(28)은 두 개의 차량통로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는 수평의 가지들로써 형성된 휴지-빗형상 장치(30)으로 덮혀있으며, 피트 경계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있다. 앞바퀴의 위치를 정하기 위하여 휴지-빗형상 장치(30)은 수용수단(32)를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V형 단면의 장치 또는 가지들 사이의 간격을 늘림(제6도)으로써 형성된다. 빗형상 장치들 사이에 있는 중앙의 비어있는 영역은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을 수용하고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그 양측에는 수송-빗형상 장치(36)이 가지들로 구성되고 차량통로 영역 내로 돌출되어 있다. 수송-빗형상 장치(36)은 휴지-빗형상 장치(30)의 가지 사이로 삽입되어 함께 넓은 면적으로 받쳐주는 휴지-또는 적재영역을 형성할 수 있도록 어긋나게 위치된다. 수송-빗형상 장치(36)은 앞바퀴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그리고 상술한 홈 또는 V형태 또는 보다 작은 간격의 그러나 바퀴의 위치고정에는 적합한 수용수단(32)로서 작용되는 두 개의 가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넓은 간격의 가지(37)을 또한 포함한다.
제1도에 따른 수 개의 입ㆍ출고 장소를 갖는 대규모 주차장치를 위하여, 상술한 장치 중의 일부가 임시로 또는 영구적으로 단지 주차 또는 회수만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6도의 실시예에서, 출고 차량은 180°회전되어 주차 또는 회수를 위해 설계된 입ㆍ출고 장소(24)로 인도된다. 안전한 이송을 위하여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34)의 수송-빗형상 장치(36)은 각각 넓은 간격을 갖는 전위 및 후위 가지(37,39)를 포함하며, 여기서 후위 가지(39)는 또한 휴지-빗형상 장치(30)과 상호작용한다.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34)는 피트(28) 내에서 바닥 프레임 상의 관절을 갖는 권동-가위형 기구(40)으로써 지지되며, 이 바닥 프레임은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동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수평 레일(46) 상에서 롤러(44)를 수단으로 하여 이동할 수 있다. 바닥 프레임(43)과 관절을 갖는 권동-가위형 기구(40) 사이에서 작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실린더가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34)의 수직운동을 위하여 제공된다.
주차를 위하여 입ㆍ출고 장소(24) 내에 세워진 차량의 운반을 위하여, 제4도의 실시예에서는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34)가 휴지-빗형상 장치(30)의 위쪽으로 들어올려지고 레일(46) 위에서 정지위치 내로 운반되며, 정지위치에서 랙(10) 내에 바람직하게는 휴지-빗형상 장치(30)과 같은 높이로 설치된 교체장소(50) 위에 멈춘다. 이 위치에서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34)는 랙(10)의 양측에 고정된 휴지-빗형상 장치(51)을 관통하며 하강한다. 이것은 통과영역 내로 돌출해 있고 제6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전위 및 후위 위치고정 수단(52)를 갖기 때문에 자동차는 교체장소(50) 위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34)은 다음에 가장 낮은 위치에 도달하며, 여기에서부터 입ㆍ출고 장소로 되돌아가고, 상승되며, 고정되거나(indexed) 휴지-빗형상 장치(30)과 같은 평면에서 정렬된다. 전방 구름문(25)가 닫힌 뒤에 후방 구름문(26)은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34)이 교체장소(50) 위의 차량과 함께 정지하기까지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제3도에 따라, 주차장치 내로 운반되기 위한 휴지-빗형상 장치(30) 위에 주차를 위해서 세워진 차량은 먼저 피트(28) 내로 하강되어야 한다. 이 피트는 이를 위해 제4도에 나타낸 것보다 깊으며, 그 길이와 넓이는 가장 큰 차량의 크기에 맞추어진다. 관절을 갖는 권동-가위형 기구(40)은 증가된 호이스트 높이를 준비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조인트 핀(42)에 의해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34)과 바닥 프레임(43) 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관절 연결부와 조인트핀(45)에 의해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과 바닥 프레임의 수평홈(48) 내에서 각각 이동-및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추가의 관절 연결부를 갖고 있다. 휴지-빗형상 장치(30)으로부터 차량을 넘겨받기 위해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34)는 휴지-빗형상 장치와 같은 높이에 고정되어진 휴지 장소로부터 앞바퀴가 확실하게 가지(37) 사이의 위치고정 간격 내에 수용될 때까지 약간 상승한다. 그 후 자동차로부터 벗어난 휴지-빗형상 장치(30)은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트를 벗어나 옆으로 수평이동하거나 피트 내부로 접혀져 들어간다.
휴지-빗형상 장치(30)이 피트(28)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차량을 탑재한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34)은 그것의 수송-빗형상 장치(36)이 인접한 랙 내에 설치된 교체장소(50)의 높이 위쪽에 이를 때까지 낮아진다. 이 위치로부터, 그 이후의 차량에 대한 연속하는 주차장치 내부-및 외부로의 이송은 제4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경로를 밟는다.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34)가 교체장소의 휴지-빗형상 장치(51)을 관통하며 하강한 후에 그리고 차량을 인도한 후에 가장 낮은 위치에 이르게되며, 여기로부터 피트(28)로 회송되고, 상승하여 휴지-빗형상 장치(30)과 동일한 평면에 고정된다.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고정(indexing) 수단은 휴지-빗형상 장치(30)의 높이에서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며 이로써 그 수직상승장치에 걸리는 하중이 해제된다. 만약 휴지-빗형상 장치(30)이 제거될 수 있다면, 고정 수단은 휴지-빗형상 장치에 설치된 한계 정지장치(limit stop)로써 형성되며 적어도 두 개의 수송-빗형상 장치(36)을 아래로부터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고정기구는 수평이동가능한, 바람직하게는 서보(servo)-작동되는 그리고 피트의 벽면에서 또는 휴지-빗형상 장치(30)에 의해서 지지되어지는 보울트들로 이루어지며, 그 돌출부위에서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이나 그 수송-빗형상 장치(36)을 지지하기 위하여 또는 거기에 있는 수용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작동된다.
호이스트 장치(64)는 두 랙(10,12) 사이로 뻗어있는 이송마루(14)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부 및 하부 레일을 안내하는 그것의 기둥(68)은 바닥과 주차장 지붕의 천장면에 단단히 고정된다. 제1도와 제11도는 서로 지나치며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호이스트 장치(64,65)를 안내하기 위한 인접하게 배치된 레일 쌍을 나타내고 있다. 호이스트 장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수직 기둥(68) 위에서 인도되고 적어도 180°회전할 수 있는 수평조정가능 이송반(70)이 탑재되어 있는 수직으로 조정가능한 호이스트 단(69)를 포함한다.
필수적으로 사각형 형태인 각 이송반(70)은 그 수직 선회축(72)에 대하여 회전하여 그 세로변(더 긴변)이 마루(14)와 평행한 방향 또는 90°회전하여 마루(14)와 직각방향으로 향하게 되는 그러한 상이한 각위치들을 가질 수 있다. 이송반의 마루와 평행한 각위치에서, 그 세로변쪽에는 인접한 랙(10)의 반대쪽으로 또한 위쪽으로는 서로 다른 레일 쌍에 의하여 안내되는 호이스트 장치의 기둥에 이르기까지 충분한 여유공간이 남아있으며, 이로써 만약 이송반(70)이 다른 높이에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면 두 개의 호이스트 장치(64,65)는 서로를 지나치며 이동할 수 있다.
수직 선회축(72)를 적절하게 배치하고 회전가능한 이송반이 최소의 폭을 갖도록 제작함으로써 이송마루(14)의 폭(b)를 작게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신축 이송반(70)에 대해 요구되는 신장길이(extension length) 및 그에 필요한 구조적 지지의 요구량도 또한 감소시키면서 그와 동시에 마루 내에서 서로를 지나치는 호이스트 장치(64,65)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호이스트 단(69)위의 이송반(70)의 회전가능성은 예를 들어 킹핀 및 추가의 볼베어링 지지부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선회 베어링을 수단으로 또는 회전통로나 회전반을 수단으로 하여 실현될 수 있다. 최대 회전각이 180°로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하나 또는 수 개의 회전 모터 또는 필요한 경우 추가의 기구적 전동레버(kinematic lever transmission)를 갖는 단순한 유압 실린더가 회전 구동장치로써 사용되어질 수 있다. 이송반(70)의 회전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좁은 마루 위에서 서로 지나치며 이동될 수 있는 두 개의 호이스트 장치를 고정하는 것 및 이송되는 동안 차량을 회전시켜 입ㆍ출고를 위해 이송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각 이송반(70)은 바람직하게는 동일-또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차량을 교체장소(50)으로부터 두 랙(10,12) 중의 어느 하나의 주차상자 내로 인도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회수하기 위하여 적절한 왕복 행정길이를 갖는 세개의 신축장치(74,76,78)(제3도)로 구성된다.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34)와 마찬가지로, 가장 멀리 신장될 수 있는 최상부의 신축장치(78)은 앞바퀴를 위한 위치고정 수단을 형성하는 가지군을 포함하고 있는 수송-빗형상 장치(80)에 그 양측면이 고정되어 있다. 이 수송-빗형상 장치는 교체장소(50)과 각 주차상자(20)의 휴지-빗형상 장치(51) 및 (86)과 서로의 가지들을 보충하는 관계로써 배치되어 있다. 이송반(70)은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호이스트 장치가 이동하는 동안 필요한 경우에는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이로써, 총 전달-또는 이송시간은 일 분이내로 유지된다. 진입하는 차량을 인수받기 위하여 신축장치(78)을 갖는 이송반(70)은 교체장소(50)의 아래로 이동하며, 그곳으로부터 호이스트 단(69)의 수직운동을 통하여 수송-빗형상 장치(80)과 함께 차량을 수직상승시킨다. 이송반 위에 위치고정된 차량은 다음에 신축운동에 의하여 마루(14)내로 이동하며, 필요한 경우 회전되고, 위로 예정된 주차상자의 수직군에 이르기까지 호이스트 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운반되며, 할당된 주차상자(20)의 높이까지 호이스트 단(69)를 작동시킴으로써 이동되고, 바람직하게는 그 전면부의 마루(14)와 함께 그곳에서부터 주차상자(20)과 같은 층에 고정된 휴지-빗형상 장치(86) 위로 신축 및 수직운동에 의하여 배치된다.
예를 들면 제5도에서와 같이 주차상자(20)내에서 이송반(70)의 수송-빗형상 장치(80)로써 이루어지는 차량에 대한 인수작업이나 인도작업 또는 양자 모두는 제6도 내지 제8도에서 상세하게 표현되어 있다. 신축장치(78)의 양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수송-빗형상 장치(80)은 각각 뒷바퀴(H)를 지지하기 위한 더 많은 가지군(81)과 앞바퀴를 확실하게 위치고정시키기 위하여 더 넓은 사이간격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전방 가지(82)로써 구성되어 있다. 신축장치(78)위의 위치고정 가지(82)는 후방의 가지군(81)보다 약간 높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주차상자나 교체장소의 휴지-빗형상 장치로부터 차량을 수직상승시킬 때 앞바퀴는 처음 위치에 고정되어 있게된다. 휴지-빗형상 장치(86)은 제5도 내지 제7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주차상자(20)의 양측면에서 수직기둥(22)와 연결된 수평보(84)에 고정되어 있다. 휴지-빗형상 장치는 앞바퀴(V)를 위치고정하기에 적합한 사이간격을 갖는 두 개의 전방 가지(88)을 포함한다. 이 가지들은 또한 적절한 홈이나 관통 윤곽으로써 대체될 수 있다. 제8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전방 가지(88)은 수송-빗형상 장치(80)의 위치고정 가지(82)의 간격 사이로 결합되어 들어간다. 더 많은 가지군(81)은 어떠한 축거(wheel base)를 갖는 차량의 뒷바퀴(H)라도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길게 만들어져 있다. 제7도 및 제8도는 이송반을 수단으로 하여 주차상자 내로 신장되어 들어가려고 하는 높이에서 휴지-빗형상 장치(86)위에 차량이 적재된 상태의 수송-빗형상 장치를 실선으로써 나타내고 있다. 일점쇄선으로 표현된 휴지-빗형상 장치(86)의 하부 위치는 이송반의 높이에 대응되며, 주차상자(20) 내에 차량을 배치한 후 뒤로 물러나기 전에 이송반은 그곳에 위치하게 된다. 휴지-빗형상 장치(86)의 아래쪽으로는 지지부재 상에 놓여지거나 보울트로 체결된 배수판(92)가 제공되며, 이것은 각 주차상자의 마루 쪽으로부터 아래를 향해, 수집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보다 낮은 높이에 있는 공통 배수유로 내로 액체를 흘려보내기 위하여 경사져 있다.
제12도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치의 단순화된 실시예가 표현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이나 교체장소가 불필요하다. 앞의 경우와 같이, 그 기둥(68)이 상부 및 하부 레일에 의하여 안내되는 호이스트 장치(64)는 단지 그 최상부 열의 주차상자들만이 나타난 두 개의 높은 적재랙(10,12) 사이의 이송마루(14)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호이스트단(69)은 기둥(68) 위에서 수직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마루에 대한 횡방향의 수평-신축운동을 위하여 배치되고 주차상자 내의 휴지-빗형상 장치(86) 위에 놓여있는 차량을 인도 및 인수하기 위하여 양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수송-빗형상 장치(80)을 갖는 그러한 이송반(70)을 지지한다. 이송반(70)은 적어도 통행가능한 주차장 지붕(18) 내에 제공되는 하나의 개구(96)의 높이까지 상향조정가능하며, 거기에서 개구의 상부와 동일한 평면에 고정되고 양측을 휴지-빗형상 장치(30)으로 덮는다. 개구(96)은 제3도의 피트(28)과 유사하게 통행가능한 지붕(18)위의 입ㆍ출고 장소(24) 내부에 위치하며, 그 길이와 폭은 진입되는 차량의 가장 큰 크기에도 적합하도록 만들어진다. 통행가능한 지붕(18)은 보통의 지상 높이에 있을 수 있으며, 만약 땅 위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접근 경사로를 통해 올라갈 수 있다.
차량이 주차장치 내로 수송되기 위하여 입ㆍ출고 장소(24)로부터 아래로 운반되거나 출고를 위해 회수되기 전에, 휴지-빗형상 장치(30)은 개구(96)으로 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원칙적으로는 제13도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조정수단이 휴지-빗형상 장치(30)가 제3도에서의 피트(28)을 덮는 작업에 관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휴지-빗형상 장치를 피트(28)-또는 개구(96)로부터 옆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또는 그들을 아래로 접기 위하여 작동하게 된다. 측방 이동을 위하여, 휴지-빗형상 장치이나 그 가지들 또는 양자 모두는 공통보(98)에 고정되어 있으며, 롤러(100)과 결합된 측면돌출 안내부재(102)들도 거기에 고정되어 있다. 이 안내부재(102)가 유압 실린더, 치형 벨트(toothed belt) 및 체인 구동, 또는 랙과 피니언 구동에 의하여 움직일 때에는 입ㆍ출고 장소(24)에 해당하는 층의 지하에 레일형상기구(106) 내에서 그 롤러(100)과 함께 이동되며, 이것은 통행가능한 판재로 덮혀있는 후퇴한 휴지-빗형상 장치(30)을 위한 수용 공간을 포함한다. 적절하게는, 안내부재(102)가 근처에 또는 빗형상 장치의 길이를 넘는 바깥쪽인 지지보(98)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로써 레일(106)은 빗형상 장치의 이동통로 바깥쪽에 놓여지고 따라서 피트나 개구까지 연장되어질 수 있다.
제13도에 보인 변형에 따르면, 피트(28) 또는 개구(96)의 중심선으로부터 우측에 휴지-빗형상 장치(30)이 수평-닫힘위치와 아래로 접히는 경우의 열림위치 사이에서 조정되어 질 수 있도록 수평 선회축(108) 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각 빗형상 장치(30)은 그것의 가지 또는 가지군으로서의 복수지지 이송보(110)로써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들은 유압 실린더를 통하여 작동되는 토글 조인트 레버(toggle joint lever)(114,116)을 수단으로 하여 피트의 벽면 또는 개구의 벽면에서 지지된다. 토글 조인트 레버(114,116)는 휴지-빗형상 장치(30)의 접혀져 내려가는 위치로 함께 접혀질 수 있다.

Claims (17)

  1. 마루(14) 및 그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호이스트 장치(64)의 양측면에 서로 인접하게 그리고 상하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 각각은 두 개의 고정된 휴지-빗형상 장치(86)를 가지고 차량통로 영역 내에 놓여있으며 측면 지지부재(84)로부터 중앙의 비어있는 영역까지 뻗어있고, 그리고 마루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호이스트 장치의 이송반(70)의 양측면부에 놓인 상보적으로 엇갈리는 수송-빗형상 장치(80)에 의하여 차량을 전달 또는 인수하기 위해 수직횡단될 수 있도록 제작된 그러한 주차상자(20)들을 포함하고 있는 자동차 주차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입ㆍ출고 장소(24)가 휴지 영역으로서 제공되기 위한 그리고 중앙의 비어있는 공간을 향하여 피트를 측면으로부터 덮기 위한 휴지-빗형상 장치(30)와 함께 제공되고 마루(14)의 맞은편으로 교체장소(50)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차상자(20)가 그 아래쪽에 배치되며, 차량을 인수 또는 전달하기 위하여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34)은 그 측면에 차량통로 영역 내에 배치된 수송-빗형상 장치(36)를 가지며, 또한 입ㆍ출고 장소(24) 및 교체장소(50)의 휴지-빗형상 장치(30,51)에 대하여 수직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수직상승 수단과 입ㆍ출고 장소의 피트(28)의 내부에서 교체장소의 아래쪽으로 뻗어있는 수평 안내레일 위에서 수평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호이스트 장치(64,65)의 이송반(70)은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둥(68) 위에서 안내되고 신축반들(telescoping table; 74 내지 78)을 포함하는 하나의 호이스트 단(69)을 가지며, 그 신축반들은 맞은편 방향으로 수평-신장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선회 베어링(72)에 대하여 적어도 180°까지 회전가능하며, 상부의 가장 멀리 신장될 수 있는 신축반(78)은 그 양측면에 고정되는 수송-빗형상 장치(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두 개의 호이스트 장치(64,65)가 이송마루(14) 내에서 서로 지나질 수 있도록 제공되며, 위에서 보면 필수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갖는 각 신축반(74 내지 78)은 그 회전위치 중의 하나에서는 긴 변이 그리고 두번째 회전위치에서는 짧은 변이 마루(14)와 평행하게 되며, 그리고 선회축 및 신축반의 폭은 첫번째 회전위치에서 그 구조요소가 마루 내로 가장 멀리 돌출되고 반면 적어도 다른 호이스트 장치의 기둥(68)들의 이동경로에 대해서 바깥쪽으로 유지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34)은 입ㆍ출고 장소(24)의 휴지-빗형상 장치(30)와 동일한 평면 상의 위치에 도달한 후에 기구적 수단에 의하여 고정-지지되도록 그리고 따라서 호이스트 수단의 하중이 해제되도록 하기 위하여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34) 또는 이송반(70)에 고정된 수송-빗형상 장치(36,80)는 적어도 차량의 앞바퀴를 위치고정하기 위한 더 넓은 가지 사이간격으로써 형성된 첫번째 수용수단(32,82)을 가지며, 주차상자들, 교체장소, 그리고 입ㆍ출고 장소에 장착되어 있는 휴지-빗형상 장치(30,51,86)는 또한 서로에 대해 더 작은 간격으로 배치된 가지들로써 구성된 또는 첫번째 수용수단 사이에 고정되기 위한 위쪽으로 열린 V자형 홈으로써 구성된 수용수단(32,52,8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수용수단 또는 입ㆍ출고 장소의 바퀴 수용홈은 수직조정 가능한 가지들을 수단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 설치되거나 제거되기 위하여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6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교체장소(50)를 형성하는 주차상자 및 적어도 같은 높이의 인접한 주차상자들은 다른 주차상자들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가지고 비포장 도로용 차량이나 지붕에 상부구조물을 갖는 차량들을 위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의 호이스트 수단은 실린더 수단(49)에 의하여 조정가능한 관절을 갖는 권동-가위형 구조(40)로 구성되며, 상부 및 하부의 가위형 부재들은 상판(24)에서 그리고 하부 프레임(43)에서 각각 수평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34)의 호이스트 수단은 바닥 프레임(43)에 의하여 지지되는 실린더 수단을 포함하며, 바닥 프레임(43)을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신장되어 하부홈 또는 이동평면 아래의 빈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10.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랙들이 모두 또는 주로 지하에 위치한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입ㆍ출고 장소(24)가 지상에 입고높이에서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34)과 함께 제공되고, 그 수직상승반은 가장 큰 외부차량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설계된 피트(28) 내에서 입고높이와 교체장소(50)의 밑으로 이동되기 위한 최소높이 사이에서 수직조정 가능하며, 입ㆍ출고 장소의 휴지-빗형상 장치(39)는 피트(28)로의 진행을 허용하는 해제위치와 부분적으로 피트(28)를 덮는 차단위치 사이에서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입ㆍ출고 장소(24)의 휴지-빗형상 장치(30)는 안내-구동수단(104,112)에 의하여 피트의 측벽 내로 물러날 수 있거나 또는 피트 내에서 아래쪽으로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각 입ㆍ출고 장소(24) 내에, 감지기와 신호장치가 특히 앞바퀴를 위치고정하기 위한 휴지-빗형상 장치(30)의 수용수단(32)에 대한 대체물로서 또는 그것과 함께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차량을 그 위에 탑재한 상태의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34)은 입ㆍ출고 장소(24) 내에서 입고높이 위쪽에 위치하는 상단부까지 수직상승될 수 있으며, 거기에서 휴지-빗형상 장치(30)는 피트(28)에 대한 해제 또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14.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수직상승반(34), 이송반(70)에 장착된 수송-빗형상 장치(36,80), 그리고 주차상자(20)의 휴지-빗형상 장치(86)는 앞바퀴(V)를 위한 수용수단으로서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지(37,82,88)와 뒷바퀴(H)를 지지하기 위한 더 많은 가지로 구성된 하나의 가지군(81,87)으로 구성되며, 한편으로 입ㆍ출고 장소 및 교체장소의 휴지-빗형상 장치(30,51)는 전 차량의 최대길이보다 길게 만들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15.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배수판(92)이 주차상자(20) 내에서 휴지-빗형상 장치(30)의 아래쪽에 고정되어 있으며, 공통 배수로 내로 배수하기 위하여 이송마루로부터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16.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마루의 맞은편의 적어도 하나의 주차상자는 직선으로 통과가능한 입ㆍ출고 장소로서 제공되며, 구름문 또는 차단기(25,25), 그리고 호이스트 장치 이송반의 수송-빗형상 장치와 함께 작업하는 고정된 휴지-빗형상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입ㆍ출고 장소가 지하에 배치된 높은 적재랙 사이에 있는 이송마루(14)의 위쪽부분인 통행가능한 지붕(18) 위에 제공되며, 그것의 가장 큰 크기의 차량이 통과하기에 적합한 하나의 개구(96)를 덮고 있는 휴지-빗형상 장치(30)는 이송반(70)의 수송-빗형상 장치와 상호작용하고 안내-구동수단(102,104; 112 내지 116)에 의하여 개구의 측면 경계부 내로 물러나도록 또는 아래로 접혀지도록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KR1019950701659A 1992-11-10 1993-11-12 자동차 주차장치 KR100242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238341.6 1992-11-10
DEP4238322.6 1992-11-13
DE19924238322 DE4238322C2 (de) 1992-11-13 1992-11-13 Regalförderzeug
DE19934338341 DE4338341C2 (de) 1993-11-10 1993-11-10 Regal-Parkeinrichtung
PCT/DE1993/001084 WO1994011598A1 (de) 1992-11-13 1993-11-12 Park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4586A KR950704586A (ko) 1995-11-20
KR100242726B1 true KR100242726B1 (ko) 2000-02-01

Family

ID=25920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1659A KR100242726B1 (ko) 1992-11-10 1993-11-12 자동차 주차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670948B1 (ko)
JP (1) JP3172535B2 (ko)
KR (1) KR100242726B1 (ko)
CA (1) CA2149134C (ko)
DE (1) DE59308552D1 (ko)
ES (1) ES2118361T3 (ko)
WO (1) WO19940115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08893B (de) * 1997-03-06 2002-03-25 Ltw Lagertechnik Gmbh Einrichtung zum raumsparenden abstellen von kraftfahrzeugen
NL1021501C2 (nl) * 2002-09-20 2004-03-23 Johan Van Croonenborgh Inrichting voor opslag van vervoermiddelen.
CN104110149B (zh) * 2013-04-17 2016-09-14 深圳中集天达空港设备有限公司 立体车库及其存取车方法
JP6103229B2 (ja) * 2013-08-23 2017-03-2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
CN105003109B (zh) * 2015-07-13 2017-08-29 李岳燃 智能立体车库车辆存取装置
CN107965186B (zh) * 2017-12-05 2024-04-12 株洲尚远立诚铁路科技有限公司 一种梳齿式立体停车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0248A (en) * 1955-05-27 1958-06-24 Donald E Grove Self-propelled traverse for mechanical car parking systems
DE2131157A1 (de) * 1970-06-25 1971-12-30 Ct Stephanois De Rech S Mecani Abstellanlage zum Lagern von Ladegut,insbesondere zum Parken von Kraftfahrzeugen
CH609411A5 (ko) * 1976-12-24 1979-02-28 Rotopark Sa
DE2926263A1 (de) * 1979-06-29 1981-01-08 Guenter Grigoleit Autoparkanlage
IT1200058B (it) * 1986-11-24 1989-01-05 Comau Spa Parcheggio meccanizzato automatizzato
EP0275004B1 (en) * 1987-01-07 1991-08-14 Giorgio Bragaglia Automatic silo for automobiles
IT1211713B (it) * 1987-08-12 1989-11-03 Sefind Srl Posteggio automatico multipiano con movimentazione della auto su pedane e riciclaggio immediato delle pedane disponibili
US5116182A (en) * 1990-10-17 1992-05-26 Lin Bao N Automatic car parking system
FR2670237B1 (fr) * 1990-12-10 1993-02-12 Ebstein Simon Installation mecanisee a gestion entierement automatisee pour le stockage d'objets, notamment de vehicules automobi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308552D1 (de) 1998-06-18
CA2149134A1 (en) 1994-05-26
KR950704586A (ko) 1995-11-20
JPH08503037A (ja) 1996-04-02
EP0670948A1 (de) 1995-09-13
ES2118361T3 (es) 1998-09-16
WO1994011598A1 (de) 1994-05-26
CA2149134C (en) 1999-05-04
JP3172535B2 (ja) 2001-06-04
EP0670948B1 (de) 1998-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9753A (en) Modular automated parking system
US5456562A (en) Parking device
CA1330861C (en) Vehicle parking system
US4976580A (en) Storage means, especially parking means
US3497087A (en) Automatic vehicle parking system
US20070294952A1 (en) Car park
JP2006505729A (ja) 駐車場
CA2045669A1 (en) Mechanical car-parking facility
US3217905A (en) Storage system apparatus
US20020146305A1 (en) Automated parking tower
US4109804A (en) Vehicle parking system with a plurality of movable columns having vehicle supporting floors
US20060245859A1 (en) Multi-level storage structure
KR100242726B1 (ko) 자동차 주차장치
RU2376430C1 (ru) Многоярусна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автостоянка модульного типа
US3987912A (en) Movable vehicle parking towers
US2028476A (en) Garage for automobiles and the like
DE4338341C2 (de) Regal-Parkeinrichtung
RU80489U1 (ru) Многоместный автомобильный паркинг
RU2491397C1 (ru) Способ парковки автомобиле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037618C1 (ru) Механизированный гараж
CA2062418A1 (en) Method for operating a multistory car park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0164683B1 (ko) 2단 주차장치
JPH03197775A (ja) 立体機械式駐車設備
JP2790012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等
JPH0464671A (ja) 立体駐車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