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827B1 - 빔 주사 속도 변조용 편향 시스템 - Google Patents

빔 주사 속도 변조용 편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827B1
KR100241827B1 KR1019910014009A KR910014009A KR100241827B1 KR 100241827 B1 KR100241827 B1 KR 100241827B1 KR 1019910014009 A KR1019910014009 A KR 1019910014009A KR 910014009 A KR910014009 A KR 910014009A KR 100241827 B1 KR100241827 B1 KR 100241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eflection
component
amplitude
g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4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587A (ko
Inventor
루크트리포드
Original Assignee
어얼벡 데니스 에이치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909018218A external-priority patent/GB9018218D0/en
Priority claimed from GB919102365A external-priority patent/GB9102365D0/en
Application filed by 어얼벡 데니스 에이치, 알 씨 에이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어얼벡 데니스 에이치
Publication of KR920005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3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otherwise than with constant velocity or otherwise than in pattern formed by unidirectional, straight, substantially horizontal or vertical lines
    • H04N3/32Velocity varied in dependence upon picture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편향 시스템은 비디오 신호의 휘도 성분(V1)용 가변이득 증폭기(32)를 구비한다. 제 1 미분기는 증폭된 휘도성분을 미분한다. 출력 증폭기(36)는 미분된 휘도 성분(V3)에 응답하여 보조 수평 편향 요크(20)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전자빔의 빔 주사 속도를 변조시킨다. 제 2 미분기(38)는 미분된 휘도 성분(V3)을 미분한다. 적분기(40)는 두 번 미분된 휘도 성분(V4)을 적분한다. 적분기(40)의 출력은 이득 제어 신호(V5)이다. 가변 이득 증폭기(32)는 이득 제어 신호(V5)에 응답하여 변화하는 이득을 가진다. 상기 이득은 휘도 성분(V1)의 주파수 내용을 역으로 변화시킨다. 제 2 미분기(38) 및 적분기(40)는 피드백 투프를 형성한다. 상기 피드백 루프는 상기 편향 신호(V3)가 상기 가변 이득에 관계없이 휘도성분(V1)의 제 1 디리버티브에 대응하는 휘도 성분(V1)의 레벨 변이에 비례하여 충분히 큰 시상수를 갖는다.

Description

빔 주사 속도 변조용 편향 시스템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본 BSVM 회로를 사용하는 편향 회로의 블록도.
제2(a)도 내지 제2(e)도는 제1도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3(a)도 내지 제3(c)도는 BSVM 상에서 주파수 종속 이득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BSVM 회로의 블록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회로의 증폭기 이득 대 주파수를 도시하는 파형도.
제6도는 BSVM용 보조 요크의 도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BSVM 회로의 개략적인 도시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BSVM 회로용 가변 이득 출력을 갖는 증폭기의 도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편향 회로 18 : 주 편향 요크
20 : 보조 편향 요크 30 : BSVM 회로
32 : 가변 이득 증폭기단 34, 38 : 미분기
40 : 적분기
본 발명은 텔레비전 등의 장치에서 음극선관의 빔 주사 속도 변조에 관한 것이다.
빔 주사 속도 변조(beam scan velocity modulation : BSVM)는 칼라 텔레비전, 예를 들면 대형스크린 텔레비전 및 정교한 디스플레이 특징과 고해상도를 갖는 텔레비전에서 화상의 수평 해상도를 개선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본 BSVM 회로를 사용하는 편향 회로(1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상기 회로(10)는 RGB 디코더(12), 비디오 증폭기(14) 및 화상관(16)을 구비하는 주휘도 처리 경로를 가진다. 화상관(16)은 주 편향 요크(18) 및 보조 편향 요크(20)를 가진다. 빔 주사 속도 변조는 미분기(22) 및 증폭기(24)에 의해 제공된다. 휘도 신호는 미분되어, 주 요크(18) 하의 화상관(16)의 네크에 장착된 보조 요크(20)에 인가된다. 수평 편향 필드는 보조 요크에서 전류에 의해 변조되며, 따라서, 주사 속도가 변조된다. 휘도 신호의 백 대 흑 변이에 의해 수반되는 흑 대 백 변이는 제2(a)도에 도시된다. 제2(b)도에 도시된 보조 요크 전류는 흑 대 백 변이의 리딩 에지의 제 1 부분동안 증가하며, 흑 대 백 변이의 제 2 부분동안 감소한다. 네거티브 보조 요크 전류는 백 대 흑 변이동안 흐른다. 편향 및 주사 속도에서 보조 편향 전류의 효과는 각각 제2(c)도 및 제2(d)도에 도시된다. 주사 속도가 증가되면 명도를 감소시키며, 반면에, 감소되면 스크린의 명도를 증가시킨다. 그 결과 영상 명도 분배에서 빠른 변화가 발생하여 변이는 제2(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샤프하게 나타난다(여기서, 실선은 BSVM을 갖는 명도를 표시하며, 점선은 BSVM이 없는 명도를 표시한다). 훨씬 샤프한 변이는 BSVM에서 뚜렷하다. BSVM의 장점은 빔 전류를 증가시키는 것 없이 영상 컨투어(image contour)를 강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스폿 크기는 확대되지 않는다.
이러한 단일 시스템의 단점은 눈에 보이는 첨예도(sharpness)의 개선이 단지 고해상도 테스트 화상 및 텍스트에서만 얻어진다는 것이다. 이것은 더 높은 주파수를 강조하는 미분기에 기인한다. 고해상도 화상이 향상되는 동안 특히 개선이 필요한 정상 또는 저해상도의 화상은 향상되지 않는다.
저해상도 화상은 보정 신호의 진폭을 상승시킴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초과 보정은 가시적인 아티팩트(visible artifacts)를 야기시키는 고해상도 화상을 처리할 때 발생한다. 본 발명의 한 사상에 따른 상기 문제점의 해결 방법은 느린 변이를 갖는 화상에서만 더 큰 편향 보정 진폭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BSVM 회로는 종래 기술의 BSVM 회로에 사용되는 고정 이득 증폭기 대신에 휘도 신호의 주파수 내용에 의해 제어되는 가변 이득 증폭기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새로운 BSVM 회로의 효과는 휘도 신호의 고주파수 내용을 감소시키면서 BSVM 회로의 이득을 증가시켜, 고해상도 및 저해상도 화상의 첨예도를 개선시킨다. 그러므로 BSVM는 비디오 신호에 적합하며, 특히, 비디오 신호의 휘도 성분의 주파수 내용에 적합하다. 새로운 BSVM 회로의 동작을 제3(a)도내지 제3(c)도에 도시한다.
BSVM 신호 처리 경로에서 제 1 미분기는 휘도 변이로부터 좁은 펄스를 발생한다. 이러한 펄스는 증폭되어 주사 속도 변조의 보조 요크에 인가된다. 제어 회로에서의 제 2 미분기는 단일 극성 펄스로부터 양 극성(both polarities)의 펄스를 발생한다. 단일 극성 펄스의 극성에 무관하게, 적분기에 인가하는 네거티브 펄스는 항상 이용 가능하다. 동작 범위에서의 제어 전압은 가변 이득 단을 제어하는 적분기에 의해 발생된다. 가변 이득 단의 이득은 제어 전압이 네거티브로 될 때 감소된다.
이득 제어 전압은 휘도 신호의 2차 도함수의 네거티브 피크 진폭에 비례한다. 이득은 휘도 신호에서 고주파수 발생(예를 들면 급격한 변이 및 멀티버스트(multiburst))과 동시에 감소된다. 휘도 신호의 고주파수 내용이 테스트 패턴으로부터 저해상도 프로그램 물질까지의 변화에 의해 감소한다면, 적분기로부터의 신호 진폭은 감소한다. 새로운 더 높은 레벨에서 안정화될 때까지 이득 제어 전압은 증가한다. 상기 회로는 변이 없이도 대형 화상에서 잡음을 방지하도록 초과 이득 변화를 방지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빔 주사 속도 변조는 제3(a)내지 제3(c)도에 도시된다. 제3(a)도는 최대 진폭이 동일한 고주파수 성분 및 저주파수 성분에 각각 대응하는 고해상도 및 저해상도 비디오용 휘도 신호가 도시된다. 제3(a)도의 신호 미분 결과는 제3(b)도에 도시된다. 고해상도 비디오는 제3(b)도에서 고주파수의 고 성분(high content)으로 주지된 바와 같이 휘도 신호의 고주파수 정보의 높은 부분을 표시한다. 저해상도 비디오는 제3(b)도에서 고주파수의 저 성분(low content)으로 주지된 바와 같이, 휘도 신호에서 고주파수 정보의 낮은 부분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라, BSVM 회로의 이득은 제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 신호의 고주파수 내용을 감소시키면서 증가하여, 고해상도 및 저해상도 화상의 첨예도를 향상시킨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BSVM 회로(30)를 도시한다. 상기 BSVM 회로(30)는 종래 기술의 BSVM 회로에 사용된 고정 이득 증폭기 대신에, 접속된 제어 회로를 갖는 가변 이득 증폭기 단(32)을 사용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제 2 미분기(38) 및 적분기(40)를 사용한다. BSVM 신호 처리 경로에서의 미분기(34)는 휘도 변이 V1 및 V2로부터 좁은 (narrow) 펄스 V3를 발생한다. 펄스 V3는 출력단(36)에 의해 증폭되어 주사 속도 변조를 위해 보조 요크(20)에 인가된다. 캐패시터 C1 및 저항 R1에 의해 형성된 제 2 미분기(38)는 단일 극성 펄스 V3로부터 양 극성의 펄스 V4를 발생한다. 펄스 V3의 극성에 관계없이, 다이오드 D1 및 캐패시터 C2에 의해 형성된 적분기(40)에 인가하는 네거티브 펄스는 항상 이용 가능하다. 다이오드 D1는 저항 R2를 통해 전압 V+ 및 매우 적은 전류에 의해 도통하도록 바이어스된다. 이것은 적분기(40)가 신호 V4의 작은 진폭에도 민감하도록 다이오드 D1의 도통 임계치를 낮게한다. 대략 -1.6볼트 내지 0볼트 DC 범위의 전압 V5이 가변 이득 증폭기단(32)을 제어하기 위해 적분기(40)에 발생된다. 제어 전압이 네거티브로 될 때 증폭기 단(32)의 이득은 감소한다.
이득 제어 전압 V5은 휘도 신호의 2차 도함수의 네거티브 피크 진폭에 비례한다. 이득은 휘도 신호에서 고주파수(예를 들면, 급격한 변이 및 멀티버스트)의 발생과 동시에 감소된다. 휘도 신호의 고주파수 크기가 테스트 패턴으로부터 저해상도 프로그램까지의 변화에 의해 축소한다면, 신호 V4 진폭은 감소한다. 다시 제3(a) 및 제3(b)도를 참조하여, 고해상도 비디오용 휘도 신호는 저해상도 비디오용 휘도 신호의 경우보다 더 빠르고 더 샤프한 상승 및 하강 에지를 가진다. 그러므로, 미분된 신호 V3의 펄스는 저해상도 비디오보다 고해상도 비디오를 위해 더 큰 진폭을 가진다. 그러므로, 제 2 미분기(38)에 의해 발생된 이중 극성 펄스 V4는 저해상도 비디오보다 고해상도 비디오를 위해 더 높은 피크 진폭을 가진다. 비디오 신호가 고해상도 비디오로부터 저해상도 비디오로 변화할 때 신호 V4 진폭은 감소한다. 캐패시터 C2는 네거티브 피크부재 시 저항 R2을 통해 천천히(1 볼트/sec 정도) 방전하며, 제어 전압 V5은 상승하고, 이득은 신호 V4가 캐패시터 C2를 재충전하기에 충분히 클 때까지 증가한다. 그 때 이득 제어 전압은 새로운 더 높은 레벨에서 안정해진다. 길 제어 루프 시상수(0.5sec 정도)는 변이없이 대형 화상 영역에서 잡음 상승을 방지하도록 각 필드동안 초과 이득 변화를 방지한다.
BSVM 신호 증폭은 화상 왜곡을 야기시키는 초과 보정(32″스크린에서 ±1mm 초과)을 방지하도록 상한값을 가진다. BSVM 경우, 화상 왜곡은 흑백 화상의 폭변화로써 나타난다.
제5도는 주파수 함수로서 가변 이득 증폭기의 안정 상태 이득(steady state gain)을 도시한다. 피드백 루프의 시상수는 비디오 변이 시간에 비해 크다(1필드 주기 이상). 그 결과, 이득 변화는 비디오 변이에 비해 매우 느리다. 그러므로, 요크 전류의 형태는 항상, 제어된 이득에 상관없이 휘도의 1차 도함수에 대응한다. 이것은 적정한 BSVM 동작에 필요하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BSVM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며 100Hz 필드 주파수 동작에 적합하다. 50Hz 칼라 텔레비전 섀시에 사용하는 필요한 회로 수정은 괄호 안의 값으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하지 않은 소자에도 소자 값이 제공된다. 입력 신호는 비디오 증폭기 체인의 적절한 포인트, 예를 들면, 비디오 프로세서 집적 회로의 입력측에서 이용가능한 휘도 신호이다. 상기 신호는 임의의 색도 성분과 전혀 무관하다.
가변 이득 출력을 갖는 증폭기(32)는 트랜지스터 Q1, Q2 및 Q3에 의해 구체화된다. 트랜지스터 Q1는 입력 버퍼로 작용하는 에미터 펄로워이다. 트랜지스터 Q2는 트랜지스터 Q3에 접속되는 AC 이득을 제어하기 위해 가변 저항 RDS(드레인-소스)로 사용된다. 트랜지스터 Q3는 고정 이득을 가진다. 집적회로에 포함된 가변이득 증폭기 대신에 가변 이득 트랜지스터의 배열이 사용될 수 있다. 가변 이득 출력을 갖는 증폭기를 위한 선택적인 회로 배열은 제8도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1.2 볼트 DC 전압원은 저항 R12 및 R13에 의해 설정된다. 트랜지스터 Q2의 소스 및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는 저항 R11에 의해 1.2 볼트 DC 레벨이 유지된다. 제어 전압 V5은 동일한 1.2 볼트 DC 전압원에서 중첩된다. 즉, 제어 전압 V5은 1.2 볼트 DC 레벨로부터 감산된 캐패시터 C2 양단의 전압과 동일하다. 캐패시터 C2 양단의 전압은 다이오드 D1에 의해 정류되는 신호의 네거티브 전압 부분 V4에 따른다. 상기 제어 전압 V5은 N-채널 J-FET Q2의 게이트에 인가된다. 휘도 신호의 고주파수 내용이 증가할 때 (예를 들면, 고해상도 비디오) 신호 V4는 더 큰 네거티브 피크 진폭을 가지며, 캐패시터 C2 양단의 전압은 제어 전압 V5의 감소에 따라 증가한다. 이것은 트랜지스터 Q2의 도통을 감소시키며, 신호 V1을 감쇠시켜 BSVM을 감소시킨다. 반대로, 휘도 신호의 고주파수 내용이 감소할 때 (예를 들면 저해상도 비디오), 신호 V4는 더 작은 네거티브 피크 진폭을 가지며, 캐패시터 C2 양단의 전압은 제어 전압 V5의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 이것은 트랜지스터 Q2의 도통을 증가시키며, 신호 V1를 증가시켜 BSVM를 증가시킨다. 제4도에 도시된 제어 전압의 범위에 따라, 캐패시터 C2 양단의 전압은 1.2 볼트로부터 2.8 볼트까지 변화시킨다. 제4도의 실시예에서 다이오드 D1의 감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V+ 전압은, 제7도의 실시예에서 저항 R14 및 R15에 제공되며, 상기 저항 R14 및 R15은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에 대해 DC 바이어스 레벨을 설정한다.
미분기는 트랜지스터 Q4 및 Q5, 캐패시터 C3 및 저항 R4에 의해 구체화된다. 트랜지스터 Q6 및 Q7는 출력단을 구동시키는 상보성 에미터 펄로워이다. 출력단은 트랜지스터 Q8 및 Q9에 의해 형성된 피드백 C 급 푸시-풀 증폭기이다. 피드백 신호는 저항 R8 양단에서 발생된다. 상기 피드백은 상기 단의 지연을 최소화시키는데 필요하다. C 급 동작 모드는 작은 신호 임계치에 기인하는 잡음 및 저레벨 신호의 코어링(coring)을 자동적으로 제공한다. 입력 전압 V3의 함수로 요크 전류에 의해 표현되는 출력단의 이득은 약 50mA/볼트이다.
텔리텍스트 디코더(teletext decoder)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BSVM 회로의 입력 신호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회로는 텔리텍스트 동작동안 사용되지 못한다. 이것은 트랜지스터 Q10로 구성된 스위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가변 이득 출력을 갖는 증폭기의 실시예는 제8도에 도시된다. 트랜지스터 Q10는 가변 이득 증폭기이다. 트랜지스터 Q10의 베이스용 DC 바이어스는 저항 R16 및 R17에 의해 결정된다. 트랜지스터 Q10의 AC 이득은 에미터 로드에 의해 결정된다. 에미터 로드의 범위는 저항 R19에 의해 고정되고, 캐패시터 C5에 의해 고주파수에서 형성된다. J-FET 트랜지스터 Q11는, 캐패시터 C6를 통해, 저항 R19 및 캐패시터와 병렬로 트랜지스터 Q10의 에미터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Q11는 적분기(40)에 의해 발생된 신호 V5에 응답하여 트랜지스터 Q10의 에미터 로드를 변화시키는 가변 저항으로 작용한다. 적분기(40)는 제 2 미분기(38)에 응답하며 그 자체는 휘도 신호의 1차 도함수(dy/dt)에 응답한다. 가변 증폭된 휘도 신호 V2는 도시되지 않은 제 1 미분 회로의 입력이다.
제6도는 보조 요크(20)를 도시한다. 상기 보조 요크는 마일라 포일(mylar foil)에 인쇄된 직사각형 코일로 구성된다. 상기 포일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요크 아래의 전자총 어셈브리 앞에서 관(tube)의 네크에 둘러쌓인다. 상기 보조 요크는 27.5KV에서 70cm 스크린을 위해 다음과 같은 명세를 가진다.
컨덕터 폭 : 0.13mm
컨덕터 간격 : 0.13mm
인쇄 회로 재질 : 마일라 포일 0.09mm
구 리 층 : 35μ
권선 수 : 각 측면에서 7번
인덕턴스 : 5.6μH
저 항 : 2.5 Ω
감 도 : 스크린 중심에서 3.3mm/A
수평축 끝에서 6mm/A
높은 인덕턴스를 갖는 요크는 고감도(mm/A)를 가지며, 단지 작은 구동 전류만을 요구한다. 요크 및 기생 캐패시턴스에 의한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는 코일 인덕턴스를 증가시키면서 감소한다. 상기 공진 주파수는 적어도 올바른 BSVM 동작을 보장하도록 비디오 대역쪽보다 더 높다. 이러한 인덕턴스 값은 두 개의 상반된 요구사이에서 타협에 의해 선택된다.
보조 요크 신호는 화상 관(picture tube) 캐소드에서 비디오 신호의 ±30nsec 내에서 일치한다. 분리점(take off point)으로부터 캐소드까지 비디오 신호의 지연은 100Hz 필드 주파수 수신기에서 약 60nsec 이다. 제안된 BSVM 회로의 지연은 약 75nsec 이다.
예를 들어, 10MHz 보다 큰 고주파수 잡음은 미분기에 기인한 BSVM 신호에서 감소된다. 보조 요크가 콜렉터에 의해 구동되어 주파수 증가와 함께 더 큰 저항을 갖게되므로, 상기 잡음은 더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방사를 야기시킨다. 이것은 요크에 병렬로 접속된 캐패시터 C4를 갖는 고주파수 전류를 바이패싱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10MHz 이상의 주파수만이 바이패스되는 동안, 비디오 신호는 단지 10MHz의 대역폭만을 가짐으로 올바른 BSVM이 유지된다. 그러나, 캐패시터 C4 및 요크 및 기생 캐패시턴스는 약 9MHz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 병렬 공진 회로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댐핑 저항 R9는 공진 전류를 방지하도록 요크에 병렬로 접속된다. 이러한 전류는 화상 변이 후 링잉(ringing)을 발생한다.
요크에 대한 공급선(supply wires)이 주된 방사원이다. 방사를 감소시키기 위해 공급선을 단락시켜야 한다. 이것은 최소한 회로의 출력단이 비디오 증폭기와 함께 소켓 프린트 회로 보드(PCB)나 또는 화상관의 네크 상 일정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조 요크의 방사는 주 요크에 의해 차폐되기 때문에 중요하지 않다.
저레벨 신호 처리 회로의 전력 소비는 약 0.5W, 예를 들면 12 볼트에서 약 50mA이다.
출력단은 바이어싱 회로망의 250mV를 제외한 정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이것은 정전류가 없는 푸시-풀 동작에 기인한다. 그러므로 전력 소비는 화상 성분에 따라 변화한다. 총 소비는 정상 텔레비전 프로그램 재료에 대해 약 0.5W 이며, 폴스크린 멀티버스트 또는 잡음을 갖는 최악의 경우 약 1W로 상승한다. 저항 R10은 출력단의 가능한 최대 소비를 약 2W로 제한하여, 트랜지스터 Q8 및 Q9를 보호한다.
BSVM 회로의 이득에 종속되는 비디오 신호는, 테스트 패턴에서 뿐만 아니라 작은 수의 고주파수 신호 성분을 갖는 화상에서도 해상도를 개선시킨다. 코어링 동작은 잡음 및 코어링이 디스플레이된 화상을 왜곡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기술된 회로는 회로를 변화시키지 않고도 수신기 디자인에 쉽게 포함될 수 있다.

Claims (19)

  1. 편향 시스템으로서, 전자빔의 빔 주사 속도를 변조하는 전자빔 편향 수단(20)과, 비디오 신호 성분(V1)에 응답하여 빔 주사 속도 변조 신호(V3)를 발생하는 이득 조정 수단(32, 34)과, 상기 빔 주사 속도 변조 신호(V3)에 응답하여 상기 편향 수단(20)을 구동시키는 증폭 수단(36)과, 상기 빔 주사 속도 변조 신호(V3)에 응답하여 상기 이득 조정 수단(32)의 이득 제어 신호(V5)를 발생하는 제어 수단(38, 40)을 포함하며, 상기 이득 제어 신호(V5)는 상기 비디오 신호 성분(V1)의 2차 도함수(second derivative : V4)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은 상기 비디오 신호 성분(V1)의 주파수 성분과 반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주사 속도 변조 신호(V3)는 상기 비디오 신호 성분(V1)의 도함수(derivative)이고, 상기 이득 제어 신호(V5)는 상기 빔 주사 속도 변조 신포(V3)의 도함수(V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조정 수단(32, 34)은 제 2 증폭 수단(32) 및 제 1 미분기(34)를 포함하고, 상기 이득 제어 신호 발생 수단(38, 40)은 미분기(38) 및 적분기(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5. 가변 주파수 성분을 갖는 비디오 신호 성분(V1)에 응답하여 진폭이 조정가능한 편향 신호(V3)를 발생하는 수단(34)과, 상기 편향 신호(V3)에 응답하여 전자빔의 빔 주사 속도를 변조시키는 수단(20)과, 상기 편향 신호(V3)의 상기 진폭을 조절하기 위한 진폭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38, 40)을 포함하는 편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생 수단은 상기 비디오 신호 성분(V1)의 상기 가변 주파수 성분의 변화율(rate of change)이 나타내는 것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 변조된 편향 신호(V3)에 응답하여 상기 편향 수단(20)을 구동시키기 위한 편향 전류를 발생하는 수단(3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은 상기 비디오 신호 성분(V1)의 주파수 성분과 반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8. 비디오 신호의 휘도 성분(V1)의 진폭을 미분 및 조정하는 수단(32, 34)과, 상기 진폭이 조정되고 미분된 휘도 성분(V3)에 응답하여 전자빔의 빔 주사 속도를 변조시키는 제 1 수단(20)과, 상기 진폭이 조정되고 미분된 휘도 성분(V3)에 응답하여 신호(V5)를 발생하는 제 2 수단(38, 40)을 포함하는 편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호(V5)는 상기 미분 및 조정 수단(32, 34)에 연결되는 상기 미분된 휘도 성분(V1)의 또 다른 도함수로서, 상기 진폭이 조정되고 미분된 휘도 성분(V3)의 진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 수단(38, 40)은 상기 또다른 미분된 휘도 성분(V3)을 적분하는 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수단은 보조 수평 편향 요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성분(V1)의 이득 조정은 상기 주파수 성분과 반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 및 조정 수단(32, 34)은 가변 이득 증폭기(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 수단(34, 38)은 상기 휘도 성분(V1)을 두 번 미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14. 비디오 신호 성분(V1)의 도함수이고, 진폭이 조정가능한 편향 신호(V3)를 발생하는 수단(34)과, 상기 편향 신호(V3)에 응답하여 전자빔의 빔 주사 속도를 변조시키는 수단(20)을 포함하는 편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편향 신호 발생 수단(34)에 연결되어, 상기 편향 신호(V3)의 도함수인, 상기 편향 신호의 상기 진폭을 조정하는 진폭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38, 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수단은 보조 수평 편향 요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신호(V3)의 상기 진폭은 상기 비디오 신호 성분(V1)의 고주파수성분과 반대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17. 편향 시스템으로서, 비디오 신호의 1차 도함수 성분(V1)에 응답하여 전자빔의 빔 주사 속도를 변조하기 위한 편향 신호(V3)를 발생하는 수단(20)과, 상기 편향 신호(V3)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정정 신호(V5)를 발생하는 피드백 회로(38, 40)와, 상기 정정 신호(V5)에 응답하여 상기 편향 신호(V3)를 가변적으로 증폭하는 수단(32)을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회로(38, 40)는 상기 비디오 신호 성분(V1)의 레벨 전이에 관련하여 충분히 큰 시상수(time constant)를 가져, 상기 편향 신호(V3)가 상기 가변이득과 관계없이 상기 비디오 신호 성분(V1)의 상기 1차 도함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정정 신호(V5)는 상기 비디오 신호의 상기 성분(V1)의 2차 도함수(V4)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시상수는 1 필드 주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KR1019910014009A 1990-08-20 1991-08-14 빔 주사 속도 변조용 편향 시스템 KR100241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09018218A GB9018218D0 (en) 1990-08-20 1990-08-20 Beam scan velocity modulation with video dependent gain introduction
GB9018218.9 1990-08-20
GB919102365A GB9102365D0 (en) 1991-02-04 1991-02-04 Signal adaptive beam scan velocity modulation
GB91023655 1991-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587A KR920005587A (ko) 1992-03-28
KR100241827B1 true KR100241827B1 (ko) 2000-02-01

Family

ID=2629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4009A KR100241827B1 (ko) 1990-08-20 1991-08-14 빔 주사 속도 변조용 편향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179320A (ko)
EP (1) EP0472121B1 (ko)
JP (2) JP3315133B2 (ko)
KR (1) KR100241827B1 (ko)
CN (1) CN1030815C (ko)
DE (1) DE69123202T2 (ko)
ES (1) ES2096605T3 (ko)
MX (1) MX9100731A (ko)
MY (1) MY108262A (ko)
PT (1) PT98727B (ko)
SG (1) SG98355A1 (ko)
TR (1) TR261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953B1 (ko) * 1999-05-26 2006-10-19 톰슨 라이센싱 다중 모드 동작을 구비한 주사 속도 변조 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7815A (ja) * 1992-02-17 1993-11-12 Hitachi Ltd Crtディスプレイ装置
US5485054A (en) * 1992-10-09 1996-01-16 U.S. Philips Corporation Display tube having a deflection coil support and an auxiliary deflection coil support
DE69321438T2 (de) * 1992-11-17 1999-05-1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nzeigevorrichtung mit Modulation der Abtastgeschwindigkeit
EP0621626B1 (en) * 1993-04-21 1996-12-18 THOMSON TUBES & DISPLAYS S.A. Flexible auxiliary deflection coil
US5600381A (en) * 1994-06-20 1997-02-04 Thomsom Consumer Electronics, Inc. Scan velocity modulation circuit
US5587745A (en) * 1994-07-05 1996-12-24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Adjustment of scan velocity modulation concurrent with the amount of transition rise time, pre-shoot, and overshoot of a video signal
US6509936B1 (en) * 1996-11-01 2003-01-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athode ray tube with magnetic coil for display enhancement
US6498626B1 (en) 1999-05-26 2002-12-24 Thomson Licensing S.A. Video signal processing arrangement for scan velocity modulation circuit
US6295097B1 (en) 1999-05-26 2001-09-25 Thomson Licensing S.A. Piece-wise linearized waveform generator for scan velocity modulation circuit
EP1130900A1 (fr) * 2000-02-29 2001-09-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ffichage d'un signal vidéo au moyen d'un balayage en lignes
JP2004297739A (ja) * 2002-04-17 2004-10-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表示装置
EP1505824A1 (fr) * 2003-08-08 2005-02-09 St Microelectronics S.A. Correction de la vitesse de balayage d'un écran d'affichage
GB2464770B (en) * 2008-10-31 2013-03-27 Cambridge Silicon Radio Ltd Variable gain amplifier
CN108034835A (zh) * 2017-12-31 2018-05-15 株洲稀美泰材料有限责任公司 电子束扫描控制系统及与其配套使用的电子束加速电源和电子束熔炼炉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26620C3 (de) * 1973-05-25 1979-08-02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chaltungsanordnung zur Erzeugung eines Korrektursignals für die Aperturkorrektur von Videosignalen
JPS5349304A (en) * 1976-10-18 1978-05-04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Pump
JPS5851710B2 (ja) * 1976-11-30 1983-11-17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ジヨン受像機
US4080628A (en) * 1977-03-14 1978-03-21 Zenith Radio Corporation Expanded-signal image enhancement system
US4185301A (en) * 1977-06-01 1980-01-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canning velocity modulation system
US4309725A (en) * 1979-10-23 1982-01-05 Rca Corporation Signal processor for beam-scan velocity modulation
US4261014A (en) * 1979-12-03 1981-04-07 Zenith Radio Corporation Spot arrest system
JPS60223381A (ja) * 1984-04-20 1985-11-07 Hitachi Ltd 走査速度変調回路
JPH0646784B2 (ja) * 1984-10-19 1994-06-15 ソニー株式会社 マルチ走査形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S63164764A (ja) * 1986-12-26 1988-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質補償装置
JP2712248B2 (ja) * 1988-03-17 1998-02-10 ソニー株式会社 速度変調回路
JPH0236677A (ja) * 1988-07-26 1990-02-06 Sharp Corp Agc回路
US5093728A (en) * 1990-08-02 1992-03-03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Beam scan velocity modulation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953B1 (ko) * 1999-05-26 2006-10-19 톰슨 라이센싱 다중 모드 동작을 구비한 주사 속도 변조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98727A (pt) 1994-01-31
EP0472121A3 (en) 1992-05-06
CN1030815C (zh) 1996-01-24
EP0472121B1 (en) 1996-11-20
JP2002199243A (ja) 2002-07-12
TR26135A (tr) 1995-02-15
PT98727B (pt) 1999-01-29
US5179320A (en) 1993-01-12
KR920005587A (ko) 1992-03-28
MX9100731A (es) 1992-04-01
ES2096605T3 (es) 1997-03-16
SG98355A1 (en) 2003-09-19
CN1059251A (zh) 1992-03-04
EP0472121A2 (en) 1992-02-26
MY108262A (en) 1996-09-30
JP3315133B2 (ja) 2002-08-19
JPH05284380A (ja) 1993-10-29
DE69123202D1 (de) 1997-01-02
DE69123202T2 (de) 199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1827B1 (ko) 빔 주사 속도 변조용 편향 시스템
US6670998B2 (en) Image display device with controlled image quality
US4218698A (en) TV Graphics and mixing control
KR100241039B1 (ko) 빔 주사속도 변조장치
KR910005675A (ko) 텔레비젼 시스템
US4183064A (en) Video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with electron beam scanning velocity modulation
KR100327003B1 (ko) 선택된첨예도의함수로서의주사속도변조조정회로
JPS6096081A (ja) 画像再生装置の電流変更装置
US4261014A (en) Spot arrest system
JPH0642728B2 (ja) 信号処理装置
US4996590A (en) Circuitry for preventing doming phenomenon in a television receiver and a preventing method thereof
KR100688133B1 (ko) 동적 초점 전압 진폭 제어기
KR890004435B1 (ko) 텔레비젼 수상기용의 주사속도 변조장치
JPS61247179A (ja) ビデオ信号処理及び表示装置
US6188444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ynthesizing foreground and background images
KR100683045B1 (ko) 주사 빔 속도 변조를 위한 장치 및 주사 빔 속도 변조 장치의 방사 제어를 위한 장치
KR100241048B1 (ko) 빔 주사 속도 변조 장치
JPS63164764A (ja) 画質補償装置
JPS5927508B2 (ja) 輪郭補償装置
JPS5920311B2 (ja) 画質補償装置
KR200370958Y1 (ko) 적응형 백피크 압축회로
KR0137200Y1 (ko) 속도 변조 회로
EP0969657A1 (en) Apparent image clarity improving apparatus and method
JPH05145782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の走査速度変調回路
JP2000196913A (ja) 速度変調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