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820B1 - 강체튜브 신속체결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강체튜브 신속체결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820B1
KR100241820B1 KR1019940023127A KR19940023127A KR100241820B1 KR 100241820 B1 KR100241820 B1 KR 100241820B1 KR 1019940023127 A KR1019940023127 A KR 1019940023127A KR 19940023127 A KR19940023127 A KR 19940023127A KR 100241820 B1 KR100241820 B1 KR 100241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astening
ring
tub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894A (ko
Inventor
파스칼 데따블
미쉘 앙드레
Original Assignee
니꼴 베르네드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꼴 베르네드,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filed Critical 니꼴 베르네드
Publication of KR950011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8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10S285/906Equival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10S285/921Snap-fit

Landscapes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 Fishing Rod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체인 튜브를 신속하고 확고하게 체결시키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결구의 입구에 결합되는 튜브의 자유단으로 부터 일정거리에는 튜브의 외부면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한 자유단의 반대방향으로 방사상의 비드를 돌출시켜서 된 강체튜브의 신속 체결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속체결용 연결구는 튜브의 자유단과 비드 사이에서 외부면과 접촉 가능한 O-링에 의해 구성되는 제1내측 수용부와, 탄성변형되는 체결링을 방사방향으로 수용하는 제2내측 수용부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링은 장방형상의 얇은 금속밴드로 제작되고 상기한 링의 중심부분은 자유상태에서의 직경이 튜브직경과 가장 잘 일치되는 원주형상부에 의해 구성되며, 장방형으로 직경이 큰 금속밴드의 일측단부에 위치하는 부위는 하부가 연결장치의 몸체 외측으로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부위를 필수적으로 형성하는 역 U 형상의 브리지에 의해 구성된다.

Description

강제튜브 신속체결용 연결구
제1도는 본 발명 신속 체결용 연결구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의한 체결용 연결구의 체결전 상태를 나타내는 축단면도.
제3도는 제2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 체결용 연결구가 체결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축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F방향에서 본 체결링의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링의 측면도로서, 파단선에서 튜브의 링에 의한 체결 및 연결구에 링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VI-VI선 단면도.
제7도는 제4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체결링의 정면도.
제8도는 제2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영구 미끄럼 체결지시구의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축단면도.
제9도는 제3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영구 미끄럼 체결지시구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축단면도.
제10도는 제8도에 의한 체결지시구의 사시도.
제11도는 제9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연결구의 기본구조의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축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XII-XII선 단면도.
제13도는 제9도 및 제11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튜브가 연결구에서 추출된 상태에서 또 다른 실시예의 체결지시구의 축단면도.
제14도는 제12도의 XIV-XIV선 단면도.
제15도는 제13도와 유사한 연결구의 단면도로서, 체결지시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축단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XVI-XVI선 단면도.
제17도는 제4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
제18도는 제5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
제19도는 제17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
제20도는 제8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부가적으로 분리 가능한 지시구를 구성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 축단면도.
제21도는 제9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부가적으로 분리 가능한 지시구를 구성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 축단면도.
제22도는 제20도의 F방향에서 본 분리 가능한 지시구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튜브 2,12,22,32 : 연결구
3,13,23,33,43,53 : 몸체 4,14,24,34,44,54 : 체결링
5,15 : 고리모양 방사벽 6,16 : O-링
7,17 : 부시 8 : 외측부시
9,19,29,59 : 지시구 40,60 : 탭
본 발명은 강체인 튜브를 신속하고 확고하게 체결시키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결구의 입구에 결합되는 튜브의 자유단으로부터 일정거리에는 튜브의 외부면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한 자유단의 반대방향으로 방사상의 비드를 돌출시켜서 된 강체튜브의 신속 체결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신속체결용 연결구는 튜브의 자유단과 비드 사이에서 튜브의 외부면과 접촉 가능한 O-링에 의해 구성되는 제1내측 수용부와, 탄성변형되는 체결링을 방사방향으로 수용하는 제2내측 수용부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링은 장방형상의 얇은 금속밴드로 제작되고 상기한 링의 중심부분은 자유상태에서의 직경이 튜브직경과 가장 잘 일치되는 원주형상부에 의해 구성되며, 장방형으로 직경이 큰 금속밴드의 일측단부에 위치하는 부위는 하부가 연결장치의 몸체 외측으로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부위를 필수적으로 형성하는 역 U형상의 브리지에 의해 구성된다. 종래에 프랑스 특허 등록번호 FR-A-2,576,771, FR-A-2,614,084, FR-A-2,617,943과 유럽특허 등록번호 EP-A440,564, EP-A-511,891, EP-A-605,801 및 프랑스특허 출원번호 93/05558등에 의해 공지된 바 있는 튜브 체결용 연결장치는 연결장치 내에 위치하게 되는 강체튜브를 축방향으로 체결하여 고온상태의 유체를 이송하는 두 개의 파이프를 확고하게 체결하게 하는 것으로, 자동차 제조업 분야에서 대량생산시 이용되는 신속연결구는 튜브의 연결장치 입구측에서부터 방사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연결장치 내부 수용부 안에 설치되고 튜브의 외부면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비드에 대한 축방향 멈춤부를 구성하는 체결링과, 연결장치 내부 수용부안에 설치되고, 강체튜브의 외부면과 접촉가능한 O-링등에 의한 누설방지구로 구성도는데 상기와 같은 연결장치는 연결장치 내에 튜브가 위치된 상태에서 체결링이 튜브의 비드를 통과하는 동안 방사방향으로 탄성 변형됨에 따라 튜브를 자동적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체결링의 일정부위는 연결장치의 외측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는데, 상기한 일정 부위는 압력을 받아 링이 방사방향으로 변형되며 연결장치가 분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튜브의 비드에 대한 축부형상은 규정된 바는 없으나, 일부 사용자들은 안전성 및 호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체결링에 대해 베어링과 같은 역할을 하는 비드의 측부를 튜브의 축에 대해 방사면에 위치할 것을 점진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상기 요구에 의해 연결장치의 설계 및 생산에서 일반화된 여러 가지의 실시예가 제공되었을 뿐만 아니라 일부 적용에 대해서는 이와 반대로 요구된바 있다.
예를들면, 연결장치를 결합한 후 필요에 따라 이들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되 일단 결합되어지면 확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시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시구는 연결장치가 해체된 후에도 재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연결장치는 해체작업이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조작 가능할 것과, 이와 반대로 공구를 소지하지 않은 사람이 상기 연결장치를 해체하지 못하도록 특수한 공구에 의해서만 상기 연결장치의 해체작업이 이루어질 것이 요구되어 왔다.
이에 상기한 종래의 공지된 연결장치는 체결링을 인접시키기 위해 비드에 방사측부가 제공된 튜브를 연결하는 경우 여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공지된 체결용 연결장치의 구조를 개량하였으나 상기한 연결장치를 기본적으로 변경시키지 않고 사용자들에 의해 요구되는 보충적인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할 수 있도록 공지된 체결용 연결장치에 대해 보충적인 요소들은, 상기 요소들간에 그 기능이 상충되는 경우가 발생되더라도 부가 구성하여 사용해 왔다.
본 발명은 내부에 강체튜브를 신속하고 확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튜브는 연결구 내에 위치하는 상기 튜브의 자유단으로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고 비드가 튜브의 외부면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한 튜브의 자유단의 반대족에 방사측부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연결장치는 상기한 자유단과 비드 사이에서 튜브의 외부면과 접촉 가능한 O-링을 수용하기 위한 제1내측 수용부를 제공하며 제2내측 수용부는 체결링을 수용하도록 연결구 내에 제공된다.
장방형 모양으로 방사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제2내측 수용부는 정반대편에 자유상태에서 직경이 튜브직경과 가장 근사하게 되고 튜브의 비드 방사측부에 대한 멈춤부를 구성하는 원주 형상부를 제공한다.
또 한편으로는 상기 체결링은 형성된 입구를 통해 연결구의 외부면상에서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1개 이상의 구역을 형성하는데 상기 구역은 장방향 모양의 장직경의 일단부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링은 얇은 금속링으로 구성되는데 연결구 외측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구역은 하부가 연결구 외측방사 방향으로 돌출된 부위를 형성하는 역 U형상의 브리지에 의해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와 체결링의 구조에 의하여, 신속체결용 연결구는 얇은 금속판을 또 다른 하나의 얇은 금속판 위에 스템프 가공(Stamped) 및 주름가공(Crimped)하여 제작한다.
연결구의 방사방향 치수는 파이프의 연결부위가 방해받게 될 때 사용자에 의해 제한될 수 있으며, 연결구의 필수요소들이 금속제이므로 온도변화에 대해 그다지 민감하지는 않고, 유사한 연결방법에 의해 연결작업이 향상된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의 기본구조는 아래에 언급된 바와 같이 큰 변형없이 작업자에 의해 요구되는 이차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보충적인 부재들은 갖추고 있으며, 이하 첨부도면에 의해 본 발명 신속체결용 연결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제2도 및 제3도에서 보면 본 발명 연결구의 결합은 금속과 같은 강체재료 또는 프라스틱과 같은 반강체 재료로 된 튜브(1)와 연결구(2)에 의한 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연결구(2)의 후단부에는 고무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로 이루어진 신축성 있는 파이프(A)가 단단히 결합된다.
상기 연결구(2)는 몸체(3)와, 체결링(4)과 고리상이 방사벽(5)과 O-링(6) 및 부시(7)로 구성되며, 외측부시(8)는 부시(7)와 결합된 신축성 있는 호스(A) 외주면상에 결합되어지며 상기한 요소들(3,5,7,8)은 금속을 스펨프 가공하여 제작된다.
유럽특허 등록번호 EP-A-440,564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부시(7)는 방사벽(5)에 의해 밀폐되는 O-링(6)을 위한 고리상의 제1수용부를 구성 가능토록 하며 상기한 부시(7)와 방사벽(5)은 연결구(2)의 몸체(3) 상에서 몸체(3)의 주변부를 주름 가공함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신축성 있는 호스(A)가 부시(7)의 후단부에 결합된 후에 외측부시(8)는 호스의 자유단 위에 씌워지고 클램핑에 의해 고정되는데, 상기한 몸체(3)의 주변부 상에서 외측부시(8)의 주변을 주름가공함에 의해 연결장치의 형성이 완료되는 것이다.
연결구(2)는 몸체(3)내에 형성된 고리상의 제2수용부(3a)를 제공하는데, 상기 수용부(3a)에는 도면에서 왼쪽에 위치하는 선단부가, 몸체의 입구측에 위치하는 수용부의 내측방사면(3b)상의 일정부위에 인접하여 체결링(4)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연결구(2)의 입구(2a)를 구성하여 튜브(1)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튜브(1)는 원주형상이며 자유단(1b)로부터 d거리 만큼 떨어진 곳에 외부면상에서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비드(1a)가 형성되어 있다. 비드(1a)는 자유단(1b)쪽으로의 경사면(1c)에 의해 구성되나 상기한 자유단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상기 경사면의 측부(1d)는 방사형상이다.
상기한 방사측부(1d)는 튜브(1)가 연결구(2)내에 위치된 후에는 체결링상에서 베어링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튜브(1)는 자유단(1b)에 대해 제1돌출비드(1a)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는 제1돌출비드(1e)를 구성하고 있는데 상기 제2돌출비드(1e)의 외경은 적어도 제1비드의 방사측의 외경과 동일하여야 한다.
또한 튜브의 자유단(1b)와 비드의 입구(2a)는 끝단부가 경사면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입구(2a)의 내경은 부시(7)의 내경이 튜브(1)의 직경과 일치할 때 비드(1e)의 외경과 일치한다.
체결링(4)은 제4도, 제5도 및 제6도에서 보면 연결구의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를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금속밴드로 제조되며 일반적으로 밀폐된 장방형상을 이룬다.
상기 장방형상은 내측직경은 자유상태에서 튜브의 외경과 일치하는데 어떤 경우에는 비드(1a)의 외경보다 작다.
상기 체결링(4)의 중간부에는 2개의 원주형상부(4a,4b)가 장방형상의 외측직경 단부에 해당하는 부위에 형성되는데 체결링을 구성하는 밴드는 역 U형으로 브리지(4c,4d)를 이루고 상기 역 U 형상의 하부는 장방형상의 외측직경의 단부가 된다.
또한 연결구의 입구(2a)쪽에 위치하는 원주형상부(4a,4b)의 선단 모서리부(4e,4f)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어 있는데 이와같은 구조는 연결구 내에 튜브를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개방 모서리부(4e,4f)의 외경은 연결구의 입구(2a)의 내경보다 오히려 작고 동일한 원주형상부인 후단모서리부(4g,4h)는 체결링(4)의 여분의 후단모서리에 대해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제5도).
브리지(4c) 부위는 체결링을 형성하는 밴드의 양쪽 단부의 연결부를 구성하는데, 예를 들면 상기 양 단부를 U의 하부에서 겹쳐서 리벳팅이나 스포트 용접과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서로를 결합한다(제4도).
그러나 다음과 같은 이유들에 의해 강체가 아닌 밴드의 양단 사이의 결합은 프레스와 같은 기계적인 방법에 의하여 결합하는 것이 유리하다.
제7도는 밴드 단부들중의 하부위가 단순 접합부(4′c)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보이는데 상기 접힘부(4′c)는 또 다른 단부에 형성된 미세 개구부(4″c)내에 연결된다. 상기 방법에서 체결링은 변형성이 충분하므로 이롭지 못한 국부 경직성의 영항을 받지 않는다.
또한, 원주형상부(4a,4b)와 브리지(4c,4d)사이에서 체결링(4)에는 상기링이 장방형상에 대해 방사상으로 돌출된 돌출부(4j)가 형성되어 있는데 제4도 및 제7도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4j)는 4개로서 체결링의 중심점에 대해 서로 점대칭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체결링(4)이 장방형이고, 상기 돌출부(4j)가 방사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돌출부(4j)는 원주형상부의 선단 모서리부(4e,4f)가 내부면(3b)에 저촉하지 않고 제2수용부(3a)의 내측 방사면(3b)상에 체결링의 선단 모서리부에 인접하게 되는 것이다.
체결링의 제2수용부(3a) 부근에서 몸체(3)는 체결링(4)이 몸체(3)의 외측방사 방향으로 관통되어져서 돌출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지는 한 개 이상의 개구부를 구성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리지(4c,4d)의 하부형상과 일치하는 개구부가 직경방향 양단의 반대편에 2개가 형성되며, 체결링의 장방형상의 외측직경은 자유상태에서 수용부(3a)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링(4)이 수용부(3a)에 위치하게 될 때 브리지(4c,4d)는 축방향으로 고정된 개구부(3c,3d)내에 위치하게 되는데 몸체(3)의 외부면상에서 체결링(4)의 끝단이 약간 돌출되도록 된다. 또한 상기 설명내용와 유사하게 단지 하나의 개구부(3c)만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브리지(4d)가 제거되거나 수용부(3a)의 내측 원주면상에 인접하게 된다.
상기한 형태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체결링은 몸체(3)의 수용부(3a) 내에 설치되며,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방사벽(5)과 부시(7)의 외측주면부상에서 몸체를 주로 가공하여 결합하게 된다. 부시(7)의 후단에는 멈춤부(7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멈춤부(7a)로부터 체결링(4)의 원주형상부의 후단 모서리부(4g,4h)까지의 축방향 간격은 미리 정해진 간격(d)과 일치해야 하는데 실제적으로는 정해진 간격(d)보다 약간 크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연결구의 작동방법은 상기 장치에 관련된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게는 용이 실시 가능하지만 제2도 및 제3도에 의해 중요한 사항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튜브(1)의 단부(1b)는 부시(7)내로 삽입되면서 연결장치의 입구(2a) 내로 설치되어지는데 튜브의 외부면은 O-링(6)과 먼저 접촉되고 나서 부시의 내부면과 접촉된다. 또한 상기 단부(1b)가 부시의 멈춤부(7a)에 인접하게 될 때까지 튜브를 밀어 넣어야 한다.
상기 동작중 비드(1a)의 경사부(1c)는 방사방향으로 다소 변형되는 링(4)의 원주형상부에서의 개방된 모서리부(4e,4f)를 만나게 되는데, 경사부(1c)가 체결링의 후단모서리부(4g,4h)를 경유할시 체결링은 탄성수축되어 원주형상부(4a,4b)가 비드(1a,1e)사이에서 튜브의 외부면과 접촉되고 상기 후단 모서리부(4g,4h)는 비드의 측부(1d)와 인접하게 된다. 링의 돌출부(4j)가 몸체(3)에서 링의 수용부의 내부면에 접촉되므로 튜브는 연결구 내에서 축방향으로는 고정되는데(제3도), 체결링은 압유가 연결구를 체결한 파이프에 의해 공급될 때 제거될 수 있는 축방향 공차를 가진다.
몸체의 내부면과 연결구의 입구(2a) 부근에서 접촉하는 부가적인 비드(1e)는 결합의 최종단계에서 튜브의 안내를 용이하게 하며 부시(7)와 결합함에 의해 연결구내에서의 튜브의 방사방향 요동을 억제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브리지(4c,4d)가 연결구의 외측방향으로 개구부(3c)를 통해 돌출됨에 따라 링의 탄성변형을 일으키기 위해 수작업에 의해 또는 적당한 공구에 의해 서로 축방향으로 충분히 근접시킨다.
체결링이 장방형상이므로 원주형상의 중심부위의 직경은 증가되고 화살표 F방향으로 연결구로부터 튜브의 추출을 허용하는 링의 후단 모서리부(4g,4h)상에 튜브의 비드의 측부(1d)를 인접시킨다(제2도).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을 구성하는 밴드 단부에서의 기구적인 연결은 체결링이 변형을 용이하게 하며 연결구의 직경이 작을 경우 특히 유리하다. 체결링의 장방형상의 양단부가 U-브리지 형상을 가지는 연결에 대하여 이미 전술한 바 있는데 상기한 단부들중 하나 이상은 반드시 특수형상이 되어야 한다.
또한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자동차 연료 파이프의 연결에서와 같은 직경이 작은 연결시에 적용된다. 제11도는 제1도,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구조를 나타내며 모든 부품번호는 10만큼 증가된 값으로 표기된다.
튜브(11)는 연결구(12)에 결합되는 자유단(11b)으로부터 d간격 만틈 떨어져서 위치하는 유일한 비드(11a)를 제공한다. 도면상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후단부(17)가 소위 “크리스마스트리”또는 “올리브”형상으로 형성된 몸체(13)에 의해 연결구가 구성되는데 고무 또는 프라스틱 등의 신축성 재질의 파이프는 적당한 수단에 의해 압입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후단부(17)와 입구(12a) 사이에는 두 개의 O-링(16,16′)을 위한 고리모양 수용부를 구성하는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수용부는 압입에 의해서 또는 접힘 가동된 와셔(15)에 의해 밀폐된다.
O-링의 수용부를 지나 입구(12a)측으로 연결장치의 몸체는 제2의 고리상 수용부(13a)을 형성하는 또 다른 돌출턱을 제공하는데 상기 수용부(13a)는 연결구(12)의 입구(12a)를 구성하는 접힘 가공된 와셔에 의해 밀폐된다.
고리모양 수용부(13a) 내에는 얇고 신축성이 있으며 장방형 클립의 형상으로 접힌 금속밴드로 구성된 개방형 체결링(14)이 설치된다. 상기 클립은 두 개의 원주형상의 중심부(14a,14b)를 제공하며 그 상부에는 역 U자 형상의 브리지(14c)가 있다. 또한 두 개의 자유단(14d,14′d)은 다음과 같은 상태에서 수용부(13a)의 벽에 고정된다.
고리상 수용부(13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13c)를 포함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개구부는 연결장치의 입구측단부쪽으로 열린 광폭의 슬롯에 의해 구성되며 주름가공후에 와셔(12a)에 의해 축방향으로 밀폐된다. 개구부(13c)의 직경 반대측에 위치하는 수용부(13a)의 벽부에서는 두 개의 축방향 슬롯(13d,13′d)이 제공되는데 와셔(12a)가 주름 가공된 후에 축방향으로 밀폐된다.
도면에서 명백히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리지(14c)는 개구부(13c)에서 미끄럼 이동되도록 결합되며 반면에 클립(14)의 단부(14d,14′d)에 위치하는 탭들은 수용부(13a) 벽의 외부면 상에서 접혀지기 전체 슬롯(13d,13′d)으로 유도되고 상기 수용부는 벽부로 클립의 단부(14d,14′d)를 확실히 고정시킨다.
자유상태에서 클립(14)의 내측직경은 튜브(11)의 직경과 최대한 일치하게 된다. 중심부(14a,14b)는 연결구의 입구(12a)로부터 미량 절단되어진 형태가 됨에 따라 상기 선단 모서리부는 단부에 특별한 배열을 제공함 없이 후단 모서리부에 대해 개방되어 있다.
개방된 체결링(14)을 조립하고 와셔(12a)를 주름 가공함에 따라 연결구(12)는 제1도, 제2도 및 제3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그 내부에 튜브(11)를 수용하고 확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연결구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브리지(14c)의 상부를 눌러서 링(14)이 방사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한 다음 전술한 방법과 같이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여러 실시예에서의 연결구의 구조는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특별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보충적인 수단을 갖추거나 일부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사용자들은 연결구 내에서 튜브가 정확히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영구지시구를 요구하는데 상기한 여러 실시예에서 이러한 요구들이 만족될 수 있는 것이다.
제8도 및 제9도는 제2도 및 제3도와 유사한데 상기 도면에서의 연결구는 제10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지시구를 포함하고 있다. 제9도에서 나타내는 영구체결지시구는 일반적으로 내경이 튜브(1)의 직경과 일치하고 외경은 수용부(3a)의 내경과 최대로 일치하는 금속링(9a)으로 구성된다.
링의 내측 주변부는 슬리브(9b)에 의해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외측 변부상에는 두개의 탭(9c,9d)이 슬리브(9a)와 같이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두 개의 탭(9c,9d)은 서로 직경 반대방향에 위치하며 서로간의 간격(d1)은 아래와 같이 한정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구(9)는 수용부(3a) 내에 설치되는데 슬리브(9b)와 탭(9c,9d)은 링(4)의 브리지(4c,4d)를 통하여 연결구의 입구(2a)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튜브가 결합되기 전에 개구부(3c,3d)를 관통하는 탭(9c,9d)은 신축성이 있으므로 브리지(4c,4d)의 상부 연결장치의 밖으로 명백히 보이게 된다. 또한 슬리브(9b)는 링(4)의 중심부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8도에 도시된 위치까지로의 튜브(1)의 결합시에 O-링(6)을 통과하기 위해 필요한 정도의 저항이 가해진다.
결합운동이 계속됨에 따라 제8도에서 보면, 경사부(1c)는 수용부(3a)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지시구(9)의 슬리브(9b)를 밀게 되고 계속적으로 탭(9c,9d)은 브리지(4c,4d) 아래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슬리브(9b)가 링(4)의 원주형상부를 떠날때에 경사부(1c)에 인접하게 되고 링의 후단 모서리부(4g,4h)가 튜브의 비드(1a)의 방사방향 미끄럼면에 인접할 수 있게 되면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으로 튜브의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제9도에서 도시된 상기한 위치에서는 지시구(9)의 신축성 있는 탭(9c,9d)은 브리지(4c,4d)의 하부에 의해 완전히 은폐되는데 그것은 연결구내에 튜브가 정확히 체결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해 탭의 길이(d1)가 방사벽(5)과 수용부(3a)의 내부면(3b)사이의 축방향 거리와 일치되어야 한다.
또한 제11도 및 제12도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체결지시구(19)는 전술한 구조와 유사하나 하나의 신축성 있는 탭(19c)이 단일 브리지(14c) 아래로 미끄러져 들어 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지시구는 탭(19c)에 대해 반대 직경방향에 위치하는 제2의 탭(도시 생략)을 제공한다.
탭(19c)은 전술한 방법과 아주 유사한 방법으로 연결구(12) 내에 튜브(11)를 결합하는 동안 브리지(14c) 아래로 들어가는데 상기에서 언급된 체결지시구의 수축은 튜브의 경합운동을 수반하는 것처럼 점진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역으로 체결지시구가 연결구로 부터 신장될 때 지시구의 탭의 탄성에 의해 연결구의 입구측 체결링의 브리지 상부 각 탭들이 도시된 제8도와 유사한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브리지의 통과를 위한 체결링 수용부 벽내에 형성된 개구부의 형상은 탭들의 외부면의 인접이 용이토록 제1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연구되었으며 제13도 및 제14도에 의하면 점진적인 체결 지시구가 프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여러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모든 구성요소의 부품번호들이 제11도 및 제12도에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10만큼 증가된 값으로 표기되어져 있다.(제8도 및 제9도에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20만큼 증가된 값으로 표기되어져 있음).
또한 연결구(22)는 제11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장치를 구성하며 체결링(24)은 브리지(24c)와 함께 클립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링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반대직경에 위치하는 브리지에 의해서 밀폐되며 체결링(29)은 링(24)의 수용부(23a)내에 미끄러져 장착되는 프라스틱 재질의 링에 의해 구성되는데 상기 체결 지시링은 연결장치의 입구의 반대면 상에 수용부(23a)의 고리모양 기초부 위에 인접한 다수의 탄성 블레이드(29f)를 제공한다.
또한, 내측 주변부상에서는 체결링(29)이 결합되는 동안 튜브이 비드의 경사면과 함께 결합될 수 있는 다수의 걸이부(29g)를 제공한다. 결국 연결장치의 입구(22a)쪽으로는 링(29)이 입구와셔(22a)내 및 이에 일치하는 연결장치의 주름가공부내에 형성된 개구부(22b)내로 미끄러져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축방항 탭(29c)을 제공한다.
체결지시구(29)의 기능은 상기한 지시구(9,19)의 기능과 유사한데, 링은 튜브(도시생략)의 경사부에 의해 탄성 블레이드(29f)의 동작에 대해서 수용부(23a)의 기초부쪽으로 압입된다. 수용부(23a) 내에서 점진적으로 수축되기 전에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29c)은 연결장치의 외부에서 식별되도록 프라스틱 재질은 용이하게 채색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상태를 해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탄성블레이드(29f)에 의해 링(29)이 연결장치의 입구쪽으로 힘을 받게 되므로 탭(29c)이 다시 식별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체결지시구(9,19,29)는 얼마든지 변경사용이 가능하다. 즉 어떤 사용자는 일시적으로만 고정하여 사용하고 체결상태를 소리가 나록 해서 인지시키는 지시구를 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이한 실시예에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여러 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존하면서 상기한 사용자의 특별한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하였다.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된 연결장치구조(32)에서 제13도에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10만큼 증가된 값으로 표기되어져 있다.
수용부(33a)내에서는 외경이 수용부의 직경에 유사하고 내경은 튜브(도시생략)의 직경과 동일하나 체결링의 직경 보다는 작은 노치 가공된 와셔(40)가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적어도 튜브의 비드의 직경과 일치하는 적절한 직경에서는 와셔의 어떤 노치들은 탭(40a)을 연장하는 형태로서 하방으로 구부러져 있다. O-링을 고정시킨 후 연결구(32)의 조립시에 수용부(33a)내로 노치 가공된 와셔(40)가 유도되고 탭(40a)들의 단부는 연결장치의 입구쪽으로 향한다.
이때 체결클립(34)은 탭(40a)들 주변에 설치되어지는데 브리지(34c)는 수용부의 벽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내에 결합되고 클립의 자유단은 전술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연결장치에 고정되며 입구와셔(32a)는 연결구(32)의 입구를 구성하도록 최종적으로 주름가공 된다.
제16도에 명백히 도시된 바와 같이 탭(40a)의 외부면상에 위치하게 되는 체결클립의 원주형상부(34a,34b)들은 연결구의 조립 후에 그 직경이 연결구내에 결합되는 튜브 비드의 직경 보다 커져서 축방향의 통로가 되어진다.
이때, 클립(34)은 방사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지는데 브리지(34c)가 도면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33a)의 외벽 위로 신장되어진다. 또한 와셔(40)의 내측 주변부는 원주형상부(34a,34b)에 의해 한정되는 통로내에 축방향 걸림부를 구성하는데 그 작동방법은 아래와 같다.
튜브가 연결부(32)내로 체결되도록 유도될 때 비드는 경사부와 와셔(40)에 도달할때까지 걸림부와 만나지 않으며, 제15도에서 파단선에 도시된 위치까지 튜브를 계속 결합하는 동안 경사부는 압입되는 것이다.
체결클립(34)이 탭(40a)들에 의해 더 이상 지지되지 않고 튜브의 벽에 닿게 되므로써 확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브리지(34c)가 수용부(33a)의 외벽상에 돌출되고 제15도 및 제16도에서 파단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오게될때마다 계속적으로 딸깍거리는 금속음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브리지가 돌출됨에 따라 연결구 내에서 튜브가 확실히 체결되었는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결합된 상태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체결링(4; 제1도, 제2도 및 제3도) 체결링(14; 제11도 및 제12도), 체결링(24; 제13도 및 제14도) 또는 체결링(34; 제15도 및 제16도)를 눌러서 탄성 변형시켜 주면 된다.
어떤 실시예의 경우에는 분리작업이 공구없이는 불가능하므로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여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상기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제17도 및 제18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를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서의 구성부품들은 제1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참고예가 주어지는데 부품번호는 40만큼 증가된 값으로 표기되어 있다.
제17도 및 제18도에 의하면, 수용부(43a)의 벽내에 형성된 개구부(43c)의 횡방향 모서리부들은 각각 상단을 둥글게 접어서 단부리된 방사방향 접힘부(43′c)를 구성한다.
따라서, 연결상태를 해체하려는 작업자는 자신의 손가락만으로는 더 이상 브리지(44c)에 도달할 수 없게 되지만, 날끝의 모양이 접힘부(43′c)사이를 통과하기에 적합한 특수 형상으로 된 플라이어 타입의 공구를 사용하면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연결구가 허가 받지 못한 사람에 의해 함부로 해체되지 못하게 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내용과 동일한 안전성을 유지하는 제2의 실시예가 제19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에 언급된 부품요소들은 제1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참고예가 주어지는데, 부품번호는 40만큼 증가된 값으로 표기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체결링(44)이 연결구내에서 튜브(도시생략)를 축방향으로 확고히 고정될 때, 브리지(44c)는 수용부(43a)의 벽내에 형성된 개구부(43c)를 통해 돌출되며, 적어도 하나이상의 U 형상인 브리지(44c)의 아암들은 링(44)이 체결된 상태시 수용부(43a) 밖에 위치되는 접힘부(44′c)를 제공한다.
제19도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브리지의 각각의 아암위에는 접힘부(44′c)가 존재하며, 상기 브리지는 개구부(43c) 부근에서 수용부(43a)벽의 외부면상에 인접될 수 있는 거친 요소들을 구성한다. 물론 상기한 거친 요소들은 엠보싱등과 같은 적절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용의 경우 연결구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브리지상에 손에 의해 가하는 방사 방향의 압력만으로는 불충분하게 되며, 적절한 특수공구를 사용하여, 브리지 상에서 연결구를 해체하는데 필요한 방사방향 힘이 가해지기 전에 개구부(43c)의 모서리부상의 거친 요소들과의 접촉을 해체할 수 있도록 브리지의 아암을 잡아주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손에 의한 해체를 막기 위해서는 상기 언급한 연결장치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숙지한 관련 분야 종사자에 의해서, 여러 가지 형태로 배열함에 의해 용이하게 구성가능하다.
제8도 내지 제10도에서 도시된 실시예는 영구체결지시구를 구성한다. 사용자는 종종 체결후에 결합된 상태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부수적인 지시구를 요구하는데, 자동차 제조업분야등 대량생산 체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특별한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하며, 제20도, 제21도 및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여러 실시예를 제공한다.
상기에 언급된 부품요소들은 제1도 내지 제10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참고예가 주어지는데, 부품번호는 50만큼 증가된 값으로 표기되어 있다.
제20도 내지 제22도에서 보면, 미끄럼 이동하는 영구 지시구(59)의 탭(59c)의 자유단에는 연결구의 외측으로 향한 방사방향 접힘부(59e)가 제공되며, 부수적인 지시구(60)는 프라스틱 재질로서 C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링에 의해 구성되는데, C 형상의 외측 아암에는 탭(59c)의 방사방향으로 접힘부(50e) 및 하부탭(도시생략)의 방사방향 접힘부를 수용하기 위하나 홈(60a)이 형성되어 있다.
제22도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링(60)의 3/4 원주크기 이상으로 형성된다. 결합운동 동안에는(제8도 및 제9도에 의해 이미 설명하였음), 영구지시구(59)의 탭들이 체결링(54)의 일치하는 브리지 아래에서 제19도에서 보면 우측으로 미끄럼 이동되어 링(60)을 오른쪽로 옮긴다.
상기한 링(60)의 이동은 한정되며, C형상의 하부 아암은 체결링의 수용부(53a)의 외측 방사면 상에 인접된다.
튜브(51)는 아직 체결되지 않았으므로 작업자는 튜브를 확고히 체결하기 위해서는 제21도에 도시된 위치로 까지 우측으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때 하부탭(도시생략)의 방사방향 접힘부 뿐만 아니라 탭(59c)의 방사방향 접힘부(59e)도 탭들의 탄성변형에 의해 링(60)의 홈(60a)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에따라 링(60)은 연결구의 입구(62a)를 에워싸게 되고, 요구된다면 변형시키거나 파손시킴에 의하여 연결구로부터 축방향으로 후퇴시킬 수도 있다. 물론 링(60)은 완전한 원으로 연장된다면 아무 문제없이 연결구 주변 위치에서 잔존될 수 있다.
연결상태가 해체된다면, 전적으로 일치하는 브리지들 아래에서 실질적으로 수축하는 영구지시구(59)이 탭들이 존재하므로 초기 결합부 튜브가 확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실시예에 숙달된 관련분야에 종사하는 자이라면, 분리 가능한 지시구에 관하여 여러 가지 배열형태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2)

  1. 강체튜브를 확고히 결합하기 위한 신속 체결용 연결구에 있어서, 비드가 튜브의 외부면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돌출되고 강체튜브의 자유단의 반대편 방사측부를 제공함에 따라 연결구의 입구에 결합되는 상기 단부로부터 일정간격 만큼 떨어지도록 설치되며, 상기한 연결구는 튜브의 자유단과 비드사이에서 튜브의 외부면과 접촉가능한 O-링을 구성하는 제1내측 수용부를 제공하며, 체결링을 수용하기 위한 제2내측 수용부는 일반적으로 장방형으로서 방사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며, 상기한 링은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연결구의 외부면 상에서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부위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하고 있고, 상기한 부위는 장방형상에서는 외측직경의 단부에 위치하는 연결구의 외측방사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한 링의 중심부는 직경이 자유상태에서 튜브의 직경과 최대한 일치되는 원주형상부에 의해 구성되고, 체결링은 얇은 금속밴드로 형성되며, 연결구의 외측방사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링의 부위는 하부가 연결부의 몸체 외측방사 방향으로 돌출한 부위를 형성하는 역 U 형상의 브리지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튜브 신속 체결용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체결링은 밀폐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튜브 신속 체결용 연결구.
  3. 제2항에 있어서, 체결링은 연결구 외측방사 방향으로 돌출된 두 부위를 구성하며 링의 외측직경의 각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튜브 신속 체결용 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체결링은 개방형상이고, 두 개의 자유단은 연결구의 벽상부에서 주름가공(crimping)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튜브 신속 체결용 연결구.
  5. 제1항에 있어서, 체결링의 선단 모서리들은 적어도 상기한 원주형상부 부근에서 열린 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튜브 신속 체결용 연결구.
  6. 제1항에 있어서, 내측직경이 적어도 튜브의 외측직경과 일치하며 체결링상에 베어링 측부의 외측직경보다는 작은 금속링에 의해 구성되는 영구체결 지시구가 미끄럼 이동되도록 장착되어 구성되며, 상기한 지시링은 외측주변부상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연결구의 개구부를 통해 링이 브리지의 기초부 아래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탭을 제공하며, 상기 탭의 축방향 길이는 튜브가 연결장치내에서 고정되지 않았을 때에는 탭의 자유단이 브리지 위로 노출되며, 튜브가 고정되었을 때 은폐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튜브 신속 체결용 연결구.
  7. 제6항에 있어서, 체결 지시구의 링은 서로 반대직경 방향에 위치하는 두 개의 탭들을 제공하며, 각 탭의 자유단에는 방사방향 접힘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튜브 신속 체결용 연결구.
  8. 제7항에 있어서, 연결구는 부수적인 체결지시구를 구성하는데, 상기 체결지시구는 분리 가능하며 C형상의 단면이 상기 탭들의 방사방향 접힘부를 수용 가능한 홈을 제공하는 링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튜브 신속 체결용 연결구.
  9. 제6항에 있어서, 지시링은 링을 영구히 연결구의 입구쪽을 압입하기 위해 연결구 상부에 인접하는 탄성수단들에 의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튜브 신속 체결용 연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연결구의 입구에 대하여 체결링의 후단부에 설치되어진 베어링 와셔가 연결구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지며, 상기 와셔에는 체결링의 원주형상부를 위한 베어링부가 반대직경 방향으로 두 개이상 제공되며, 상기한 베어링부 사이의 직경은 연결구 내에 결합되는 튜브의 비드직경과 적어도 일치하며 내측직경은 상기 비드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튜브 신속 체결용 연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체결링의 각 브리지의 통로가 되는 연결구의 각 개구부에는 손에 의한 작동을 막기 위해 브리지의 기초부에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횡방향 모서리부들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튜브 신속 체결용 연결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링이 연결구의 외주면 상에 체결될 시에 한 개 이상의 브리지 아암은 연결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진 부위에서 접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튜브 신속 체결용 연결구.
KR1019940023127A 1993-10-01 1994-09-14 강체튜브 신속체결용 연결구 KR100241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311706 1993-10-01
FR9311706A FR2710717B1 (fr) 1993-10-01 1993-10-01 Connexion rapide pour emmanchement d'un tube rigide dans un embo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894A KR950011894A (ko) 1995-05-16
KR100241820B1 true KR100241820B1 (ko) 2000-03-02

Family

ID=9451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3127A KR100241820B1 (ko) 1993-10-01 1994-09-14 강체튜브 신속체결용 연결구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5536047A (ko)
EP (2) EP0911565B1 (ko)
JP (1) JP3532260B2 (ko)
KR (1) KR100241820B1 (ko)
CN (1) CN1040575C (ko)
AT (2) ATE184970T1 (ko)
BR (1) BR9403830A (ko)
CA (1) CA2117544C (ko)
CZ (1) CZ246794A3 (ko)
DE (2) DE69430274T2 (ko)
DK (1) DK0651198T3 (ko)
ES (2) ES2137340T3 (ko)
FR (1) FR2710717B1 (ko)
GR (1) GR3032032T3 (ko)
HU (1) HU216752B (ko)
PL (1) PL175853B1 (ko)
PT (1) PT911565E (ko)
RU (1) RU2101602C1 (ko)
SI (1) SI0651198T1 (ko)
SK (1) SK118694A3 (ko)
TW (1) TW2530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9278A (en) * 1995-12-27 1998-07-14 Itt Automotive, Inc. Pop off insertion indicator for metal quick connectors
US5794988A (en) * 1996-12-16 1998-08-18 Gill; Ajit Singh Grip coupling
US5823703A (en) * 1996-12-17 1998-10-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Shaft coupling
US5992898A (en) * 1997-08-21 1999-11-30 Echlin, Inc. Quick-connect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DE19852395C2 (de) * 1998-05-26 2003-02-27 Muhr & Bender Kg Steckkupplung
FR2780765B1 (fr) 1998-07-01 2000-09-29 Caillau Ets Embout de connexion rapide ayant une piece monobloc formant un organe de verrouillage et une bague de blocage du joint
US6340180B1 (en) 1999-01-19 2002-01-22 David M. Wisniewski Releasable coupling assembly for securing a vehicle fuel line
US6141804A (en) * 1999-06-04 2000-11-07 Pinciaro; John Hydrotherapy jet system adapted for quick connection to air and water plumbing
FR2812065B1 (fr) * 2000-07-24 2003-08-01 Caillau Ets Embout de connexion rapide
SE0004701D0 (sv) * 2000-12-19 2000-12-19 Siemens Elema Ab Narkosmedelförgasare
US20040089301A1 (en) * 2001-10-09 2004-05-13 Robert Choi Personal hydration system with component connectivity
US20060231561A1 (en) * 2001-10-09 2006-10-19 Robert Choi Personal hydration system with component connectivity
US7073688B2 (en) * 2001-10-09 2006-07-11 Camelbak Products, Llc Personal hydration system with component connectivity
US6908015B2 (en) 2001-10-09 2005-06-21 Camelbak Products, Llc Personal hydration system with component connectivity
FR2855590B1 (fr) * 2003-05-27 2006-10-20 Caillau Ets Embout de connexion rapide
AU2004264981B2 (en) * 2003-08-14 2011-05-19 Loma Linda University Medical Center Vascular wound closure device
DE10346712B4 (de) * 2003-10-08 2006-02-02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ung für Rohr- und Schlauchleitungen mit Rastfederführung
DE10347926A1 (de) * 2003-10-15 2005-05-19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ung für den Anschluss von Rohren und Schläuchen mit Sicherungsring
DE10347929A1 (de) * 2003-10-15 2005-05-19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ung für Rohr- und Schlauchleitungen mit verstärktem Materialquerschnitt
DE102004004364B3 (de) * 2004-01-29 2005-01-27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Verbinden einer Fluidleitung mit einem Rohr
CN100408908C (zh) * 2004-07-29 2008-08-06 霓达摩尔株式会社 管连接器
DE102004062207B3 (de) * 2004-12-23 2005-10-20 Kirchner Fraenk Rohr Verbindungseinrichtung
DE202005013126U1 (de) * 2005-08-19 2005-11-03 Festo Ag & Co.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e Fluidleitung
US20070125108A1 (en) * 2005-10-14 2007-06-07 Custom Ice Inc. Ice rink chilling unit, ice rink with chilling unit, and a method of chilling an ice rink
US8522839B2 (en) * 2006-03-06 2013-09-03 Baxter International Inc. Adapters for use with an anesthetic vaporizer
US7784504B2 (en) * 2006-03-06 2010-08-31 Baxter International Inc. Adapters for use with an anesthetic vaporizer
DE102006011617A1 (de) * 2006-03-14 2007-09-20 Norma Germany Gmbh Verbindungsanordnung zur Verbindung eines Rohrstutzens mit einem Schlauch
DE102006047267B4 (de) * 2006-10-04 2010-02-04 A. Raymond Et Cie Kupplungsteil für eine Fluidleitungskupplung
DE102006047882B3 (de) * 2006-10-10 2007-08-02 Rasmussen Gmbh Steckverbindungsanordnung für einen Schlauch und ein Rohr
FR2914043B1 (fr) * 2007-03-19 2012-05-11 Trelleborg Fluid & Acoustic Solutions Tfas Dispositif pour le raccordement rapide d'une conduite de fluide,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a un raccord male
US8534328B2 (en) * 2008-04-09 2013-09-17 Baxter International Inc. Adapters for use with an anesthetic vaporizer
US20100072747A1 (en) * 2008-09-22 2010-03-25 Dennis Krize Tree pole coupler system
DE102009007019A1 (de) * 2009-01-31 2010-08-12 Norma Germany Gmbh Kraftstofflei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Kraftstoffleitung
US8500088B2 (en) * 2009-05-20 2013-08-06 Baxter International Inc. Container and pharmaceutical product
JP5486895B2 (ja) * 2009-10-21 2014-05-07 アロン化成株式会社 管継手
US9624089B1 (en) 2010-11-11 2017-04-18 Arctic Innovations, Llc Cold weather hydration systems, devices, components and methods
CN102691840B (zh) * 2011-03-22 2015-12-16 安隆化成株式会社 管接头
KR101681788B1 (ko) * 2011-03-29 2016-12-01 아론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관이음매
DE202012000597U1 (de) * 2012-01-13 2013-04-22 Neoperl Gmbh Lösbare Steckverbindung
USD732359S1 (en) 2012-08-21 2015-06-23 Orbit Irrigation Products, Inc. Conduit removal tool
FR3026814B1 (fr) * 2014-10-07 2017-04-14 Caillau Ets Embout de connexion rapide pour un tube
US10480587B2 (en) * 2015-02-12 2019-11-19 Deere & Company Self-aligning driveshaft coupler
EP3282141B1 (en) * 2016-08-12 2020-09-02 Deere & Company Self-aligning driveshaft coupler
KR102363378B1 (ko) * 2017-06-12 2022-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유압튜브커넥터
CN107218105A (zh) * 2017-07-28 2017-09-29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消声器管路结构及消声器
WO2019033100A1 (en) 2017-08-11 2019-02-14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Inc. NEEDLE SECURITY SYSTEM
CN109536856B (zh) * 2018-12-27 2023-07-07 无锡鑫常钢管有限责任公司 一种小直径无缝高压不锈钢油管
EP3854618B1 (de) * 2020-01-21 2022-03-09 Magna Energy Storage Systems GesmbH Kraftstofftank umfassend ein verbindungsstück
CN113833921B (zh) * 2020-06-08 2023-04-11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流体连接器组件、水冷系统及流体循环系统
USD995208S1 (en) 2021-05-13 2023-08-15 Hydrapak Llc Beverage container adapt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5990A (en) * 1964-04-06 1967-04-25 Gen Connector Corp Vibration damping connector for conduits
FR2266091A1 (en) * 1974-03-27 1975-10-24 Legris France Sa Quick action coupling for flexible tubing - connected by pushing into coupling released when spring clip opened
DE3143015C3 (de) * 1980-10-29 1999-04-29 Donald Dekle Bartholomew Drehbare Schnellkupplung
US4423892A (en) * 1980-10-29 1984-01-03 Bartholomew Donald D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AU9093182A (en) * 1981-11-26 1983-06-02 Sabco Ltd. Quick release hose coupling
US4401326A (en) * 1981-12-16 1983-08-30 Ford Motor Company Quick-connect tubular coupling
JPS61124786U (ko) * 1984-09-07 1986-08-06
US4884829A (en) * 1986-09-16 1989-12-05 Johannes Schaefer Vorm. Stettiner Schraubenwerke Gmbh & Co. Kg Plug-in connection for connecting tube and host lines in particular for use in tube-line systems of motor vehicles
DE3837492A1 (de) * 1988-03-22 1989-10-12 Cohnen Beteiligungs Gmbh & Co Loesbare schnell-steckverbindung
DE3815168A1 (de) * 1988-05-04 1989-11-09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ankuppeln eines schlauches an ein rohr
DE3815170A1 (de) * 1988-05-04 1989-11-09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ankuppeln eines schlauches an ein rohr
US4856823A (en) * 1988-07-01 1989-08-15 L. R. Nelson Corporation Coupling with improved locking/unlocking member
ATE119981T1 (de) * 1991-04-29 1995-04-15 Caillau Ets Verbindungselement zur schnellkupplung eines rohres.
US5226679A (en) * 1991-05-16 1993-07-13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 insertion indicator
US5178424A (en) * 1991-07-01 1993-01-12 Itt Corporation Pop-off quick connect indicator
JPH0522985U (ja) * 1991-09-05 1993-03-26 鈴木 茂 パイプ接続器
US5228728A (en) * 1991-12-17 1993-07-20 Huron Products Industries, Inc. Tube retainer release slee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I0651198T1 (en) 2000-02-29
PL305218A1 (en) 1995-04-03
BR9403830A (pt) 1995-05-30
TW253021B (ko) 1995-08-01
JP3532260B2 (ja) 2004-05-31
FR2710717A1 (fr) 1995-04-07
PT911565E (pt) 2002-09-30
EP0651198A1 (fr) 1995-05-03
GR3032032T3 (en) 2000-03-31
EP0651198B1 (fr) 1999-09-22
ATE215197T1 (de) 2002-04-15
JPH07174278A (ja) 1995-07-11
US5536047A (en) 1996-07-16
ES2137340T3 (es) 1999-12-16
CZ246794A3 (en) 1995-06-14
FR2710717B1 (fr) 1995-12-22
PL175853B1 (pl) 1999-02-26
RU2101602C1 (ru) 1998-01-10
DE69430274D1 (de) 2002-05-02
RU94031743A (ru) 1996-07-20
CA2117544A1 (en) 1995-04-02
EP0911565A3 (fr) 1999-11-17
ES2174391T3 (es) 2002-11-01
CN1103150A (zh) 1995-05-31
EP0911565B1 (fr) 2002-03-27
CN1040575C (zh) 1998-11-04
HUT69889A (en) 1995-09-28
HU216752B (hu) 1999-08-30
EP0911565A2 (fr) 1999-04-28
KR950011894A (ko) 1995-05-16
ATE184970T1 (de) 1999-10-15
CA2117544C (en) 2005-10-18
DE69420811D1 (de) 1999-10-28
HU9402426D0 (en) 1994-10-28
DE69430274T2 (de) 2002-11-07
SK118694A3 (en) 1995-04-12
DK0651198T3 (da) 2000-03-27
DE69420811T2 (de) 200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1820B1 (ko) 강체튜브 신속체결용 연결구
US5178424A (en) Pop-off quick connect indicator
US5897145A (en) Connector
US4969668A (en) Hose coupling
US4681351A (en)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US5813705A (en) Snap-action pipe coupling retainer
US5080404A (en) Hose coupling
US5897142A (en) Push-to-release quick connector
JPH0631668B2 (ja) コネクタ組立体
US4969667A (en) Hose coupling
EP1705417A2 (en) Quick connector for pipes
US5425556A (en) Pop top insertion indicator for thin walled connectors
JPH04211791A (ja) 入れ子式チューブを結合する継手とその方法
JPH10509501A (ja) ポジィティブ・ラッチ・クイック・コネクタ
JPH0211994A (ja) ホースカップリング及びその組立て方法
US5228729A (en) Tube tab locking and coupling connector
US20040066039A1 (en) Mechanical tube to fitting connection
US6170886B1 (en) Quick connector
JPH0451715B2 (ko)
US5772263A (en) One piece quick connector and integral retainer
MX2008006421A (es) Acoplamiento para tubo de escape.
JPH0512596B2 (ko)
JP3669222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ー
EP0729556B1 (en) Coupling system with quick connector
JPH09317973A (ja) 配管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