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067B1 - 후라이팬 - Google Patents
후라이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41067B1 KR100241067B1 KR1019970002289A KR19970002289A KR100241067B1 KR 100241067 B1 KR100241067 B1 KR 100241067B1 KR 1019970002289 A KR1019970002289 A KR 1019970002289A KR 19970002289 A KR19970002289 A KR 19970002289A KR 100241067 B1 KR100241067 B1 KR 1002410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ickness
- frying pan
- curved surface
- rotating cylinder
- heating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A47J37/103—Broiling- or heating-li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피조리물을 원하는 두께로 조리할 수 있는 후라이팬에 관한 것이다.
피조리물을 조리중 뒤집거나 두께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조리기구와 숙련도가 요구되는 종래의 후라이팬과 달리 임의로 높이를 조절하며 압연 기능이 우수한 후라이팬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힌지로 결합된 하체와 상체의 내부에 각각 부합하는 형태의 곡면열판을 장착하되 하부열판의 높이가 조절되게 구성하기 위하여 하부열판의 중심 타단에 굴곡면을 형성하고 회전원통의 상면에 동일한 굴곡면을 형성하여 서로 대접되게 하고 회전원통을 베벨기어와 치합되게 구성한 것이다.
오무라이스용 후라이나 각종 부치개를 조리할 때 두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두께가 균일하게 양면이 동시에 조리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 하부 열판이 최대의 간격으로 벌려진 상태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하부열판을 상승시켜 상,하부열판이 최소의 간격으로 밀접된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높이조절회전원통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하부열판에 형성된 굴곡면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체 11 : 받침판
12 : 거치대 13 : 걸림턱
14 : 베어링 20 : 덮개
21 : 상부열판 22 : 전열선
30 : 회전원통 31 : 플랜지
32 : 베벨치선 33 : 회전원통 굴곡면
41 : 베벨기어 42 : 축봉
43 : 높이조절스위치 50 : 하부열판
52 : 전열선 53 : 유동관체
55 : 유동관체 굴곡면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후라이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조리물의 두께를 용도에 맞게 조절할 수 있고 두께가 일정한 피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것이다.
전통적인 후라이팬은 전기나 가스등으로 가열되며 둘레에 시울이 형성된 원판형 또는 사각판형의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후라이팬은 오무라이스용 계란 후라이나 부치개를 조리함에 있어서 피조리물의 저면이 어느정도 조리되면 전체를 뒤집어 상면을 조리하고 이러한 과정을 되풀이함으로써 양면이 고른 평면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피조리물의 형태와 두께를 바람직한 상태로 이루기 위해서는 별도의 조리기구를 사용하게 되며 숙련된 솜씨가 요구된다.
한편, 상,하 한쌍의 열판으로 구성된 조리기구가 알려진 바 있으나 피조리물의 두께를 원하는데로 조절하는 기능을 갖지 못하여 조리기구로서 다양한 용도를 갖지 못하는 아쉬움을 주고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피조리물의 두께를 원하는데로 조절할 수 있고 피조리물을 뒤집지 않더라도 양면이 동시에 조리될 수 있는 후라이팬이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손쉽고 간단한 높이조절 수단과 양면을 동시에 압착하여 가열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가열수단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착효과가 우수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높이조절 수단이 구비된 후라이팬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다른 숙련이 없이 손쉽게 오무라이스용 후라이나 다양한 부치개를 원하는 두께로 조리할 수 있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본 발명은 하체(10)와 덮개(20)가 힌지로 결합된 구조를 취하며 하체(10)의 상면에는 오목한 하부열판(50)이, 그리고 덮개(20)의 저면에는 하부열판(50)과 부합하는 볼록한 곡면의 상부열판(21)이 결합되어 있다.
상,하부열판(21)(50)의 이면에는 전열선(22)(52)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부열판(21)은 덮개(20)에 고정되어 있고 하부열판(50)는 수직 승하강될 수 있는 구조로 하체(10)에 결합되어 있다. 하체(10)의 내부에는 중앙에 원형 결합공이 형성된 받침판(11)이 수평으로 가설되고, 그 위에는 거치대(12)가 나사로 조립되는바, 거치대(12)의 중앙은 하부로 함몰되어 걸림턱(13)을 이룬 형태로 받침판(11) 중앙의 결합공에 안착되어 있다.
거치대(12)의 걸림턱(13)위에는 베어링(14)이 개재되며 그 위에는 플렌지(31)이 형성된 회전원통(30)이 안착된다. 회전원통(30)의 플렌지(31) 상면에는 베벨치선(32)이 형성되어 높이조절스위치(43)와 이어진 축봉(42)의 베벨기어(41)과 치합되어 있다. 회전원통(30)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하부에 결합관(34)이 하향돌출되고 베어링(14)위에 안착되는 플렌지(31)의 상면에는 베벨치선(32)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원통(30)의 상부둘레에는 완만한 경사면을 가진 굴곡면(3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열판(50)의 하부중심에는 유동관체(53)가 수직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유동관체(53)의 상단둘레에는 회전원통(30)의 상단부에 형성된 굴곡면(33)과 부합하는 형태의 굴곡면(55)이 형성되어 있다. 유동관체(53)는 회전원통(30)의 내면에 유동되게 끼워 결합되 있어 회전축과 같은 역할을 한다
미설명 부호 (23)은 덮개손잡이이다.
[발명의 작용 및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이 어떻게 작동되며 기대되는 효과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기로 한다.
하부열판(50)위에 피조리물을 적정량 투여한 후 높이조절스위치(43)를 돌려 적정두께를 정하고 덮개(20)를 닫으면 상부열판(20)은 피조리물을 곡면상태도 넓고 균일한 두께로 확장시킨다. 상,하부열판(21)(50)은 서로 부합되는 곡면을 가지므로 평면과 달리 중심부에 힘이 집중되어 피조리물이 매우 용이하게 확산된다. 또한 상,하부열판(20)(50)이 동시에 가열되므로 피조리물을 익히기 위하여 뒤집을 필요가 없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조리가 완료된다.
본 발명은 피조리물의 두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는데 특징이 있으므로 두께조절기능에 관한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높이조절스위치(43)을 회전시켜 하부열판(50)의 높이를 최대한 낮춘 것이 제1도의 상태이며, 높이를 최대한 높힌 것이 제2도의 상태이다.
높이조절스위치(43)를 회전시키면 플렌지(31)의 상면에 형성된 베벨치선(32)에 치합된 베벨기어(41)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원통(30)이 회전한다. 이에따라 회전원통(30)의 상단부에 형성된 굴곡면(33)이 회전되면서 높낮이의 변화를 보이며 굴곡면(33)과 부합되게 맞물린 유동관체(53)에 하향으로 형성된 굴곡면(55)과 엇갈리면서 유동관체(53)가 상승하고 높이조절스위치(43)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강을 하게 된다. 하부열판(50)은 대향하는 굴곡면(33)(55)의 정점과 대접할 때 제1도에서와 같이 가장 높이가 낮아지며, 대향하는 굴곡면(33)(55)의 정점과 정점이 대접할 때 제2도에서와 같이 가장 높이가 높아진다.
베벨기어(41)는 회전운동의 방향을 90°전환시키고 방향이 전환된 회전원통(30)의 회전력은 굴곡면(33)(55)의 마찰과 엇갈림에 의하여 승강운동으로 전환되므로 하부열판(50)에 걸리는 부하로 인하여 베벨기어(41)가 역으로 회전되지는 아니한다. 따라서 높이조절스위치(43)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하부열판(50)의 높이조절은 오로지 높이조절스위치(43)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은 하부열판(50)의 높이를 수직으로 승,하강시킴으로써 피조리물의 두께를 임의로 조절하므로 전체적으로 피조리물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상,하부열판(21)(50)을 동시에 가열함으로써 피조리물을 뒤집어가며 조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고 상,하부열판이 서로 부합하는 곡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피조리물을 압착하는데 용이하며 피조리물의 압착으로 인한, 부하가 높이조절스위치에 걸리지 아니하므로 피조리물의 두께를 일단 정하면 조리중 두께가 달라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아니한다.
Claims (2)
- 볼록곡면과 오목곡면으로 서로 부합되는 상,하부열판(21)(50)의 합치구조와, 상,하부열판(21)(50)을 동시에 가열하여 조리하는 구조와, 상부열판(21)은 고정되고 하부열판(50)은 수직승하강하는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후라이팬.
- 제1항에 있어서, 높이조절수단은 높이조절스위치(43)에 의하여 회전되는 베벨기어(41), 베벨기어(41)과 부합되는 베벨치선(32)이 형성된 플렌지(31)를 구비하고 상단에 굴곡면(33)이 형성된 회전원통(30), 저면에 회전원통(30)에 부합하는 굴곡면(55)을 가진 하부열판(5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라이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02289A KR100241067B1 (ko) | 1997-01-27 | 1997-01-27 | 후라이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02289A KR100241067B1 (ko) | 1997-01-27 | 1997-01-27 | 후라이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6628A KR19980066628A (ko) | 1998-10-15 |
KR100241067B1 true KR100241067B1 (ko) | 2000-02-01 |
Family
ID=19495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02289A KR100241067B1 (ko) | 1997-01-27 | 1997-01-27 | 후라이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4106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240181A (zh) * | 2011-07-09 | 2011-11-16 | 张云峰 | 一种上热铛可伸缩悬浮式电饼铛 |
WO2016182222A1 (ko) * | 2015-05-08 | 2016-11-17 | 주식회사 모텍스 | 높낮이 조절 베개 |
KR101686955B1 (ko) * | 2015-05-08 | 2016-12-19 | 주식회사 모텍스 | 높낮이 조절 베개 |
KR101686956B1 (ko) * | 2015-05-08 | 2016-12-19 | 주식회사 모텍스 | 높낮이 조절 베개 |
KR101686953B1 (ko) * | 2015-05-08 | 2016-12-19 | 주식회사 모텍스 | 높낮이 조절 베개 |
KR101686954B1 (ko) * | 2015-05-08 | 2016-12-19 | 주식회사 모텍스 | 높낮이 조절 베개 |
KR102137611B1 (ko) * | 2019-10-14 | 2020-07-24 | 자이글주식회사 |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
KR102137607B1 (ko) * | 2019-10-14 | 2020-07-24 | 자이글주식회사 | 높낮이 조절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
-
1997
- 1997-01-27 KR KR1019970002289A patent/KR10024106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6628A (ko) | 1998-10-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48883Y1 (ko) | 이중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 |
KR100241067B1 (ko) | 후라이팬 | |
CN201426658Y (zh) | 一种比萨煎烤器 | |
KR200361877Y1 (ko) | 고기구이판의 경사각도 조절장치 | |
KR20130113567A (ko) |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 |
KR200239794Y1 (ko) | 다목적 구이기 | |
CN208365604U (zh) | 一种微波炉专用烘烤架 | |
CN2357647Y (zh) | 一种烤炉结构 | |
CN215190918U (zh) | 多功能捞饭锅 | |
KR200225766Y1 (ko) | 고기구이팬의 기름배출 유도장치 | |
CN218922299U (zh) | 一种高压烤锅 | |
KR200245632Y1 (ko) | 불판 겸용 냄비 | |
KR200288000Y1 (ko) | 온도 조절이 가능한 마늘 구이 용기가 구비된 고기 구이판 | |
CN220967124U (zh) | 锅具 | |
CN216293806U (zh) | 一种下煎上烤一体机 | |
CN212618497U (zh) | 一种能调整高度的煤气灶火盖 | |
CN211609160U (zh) | 一种带可拆手柄结构的不粘锅 | |
CN211609228U (zh) | 涮烤锅 | |
CN211834012U (zh) | 空气炸锅 | |
CN209951099U (zh) | 早餐机 | |
JP2580406Y2 (ja) | 電気調理器 | |
JPH0428510Y2 (ko) | ||
KR200317017Y1 (ko) | 튀김 조리기용 구이장치 | |
CN2322503Y (zh) | 多用煲 | |
CN207186509U (zh) | 火锅与烧烤一体锅以及一体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1104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