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955B1 - 높낮이 조절 베개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955B1
KR101686955B1 KR1020150064637A KR20150064637A KR101686955B1 KR 101686955 B1 KR101686955 B1 KR 101686955B1 KR 1020150064637 A KR1020150064637 A KR 1020150064637A KR 20150064637 A KR20150064637 A KR 20150064637A KR 101686955 B1 KR101686955 B1 KR 101686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n
rotational
height
rotated
adjustable pi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2268A (ko
Inventor
장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텍스
Priority to KR1020150064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955B1/ko
Publication of KR20160132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부재에 각각 상하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단일의 구동회전부재 및 복수의 종동회전부재와;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구동회전부재의 회전력을 종동회전부재들에 전달하는 벨트식 동력전달기구와; 종동회전부재들의 회전운동을 변환하여 상부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의 직선운동을 하면서 상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작동기구를 포함하는 승강장치가 적용된, 높낮이 조절 베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 베개 {Height-Adjustable Pillow}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높낮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높낮이 조절 베개에 관한 것이다.
베개는 사용자가 눕거나 수면을 취할 때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것인바, 일반적으로 일정한 높이와 적정한 쿠션을 갖도록 구성된다.
사람은 다양한 자세로 수면을 취한다. 정자세로 눕기도 하고, 옆으로 눕기도 하며, 엎드리기도 한다. 정자세에서 베개를 베는 경우에는 인체의 뒷머리, 경추 및 등 부위가 대략 일직선을 이루므로 비교적 높지 않은 베개를 사용하더라도 큰 불편함을 느끼지 않겠지만, 동일한 높이의 베개를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베는 경우에는 인체의 한쪽 어깨와 한쪽 얼굴 옆면의 거리차로 인하여 경추 부위가 휘면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반대로, 상대적으로 높은 베개를 사용하면, 옆으로 누운 경우에는 비교적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겠으나, 정자세로 누운 경우에는 머리가 들려져서 편안한 수면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 베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사이에서 상기 상부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상부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중 어느 하나에 상하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변환하여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상하방향의 직선운동을 하면서 상기 상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작동기구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로는 단일의 구동회전부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회전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구동회전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회전부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부재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 쪽을 따라 세워진 측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회전부재 및 상기 종동회전부재는 상기 바닥판 상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부재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에는 노출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구동회전부재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게 상기 노출개구를 통하여 외주 쪽 일부가 노출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기구로는 벨트(belt) 또는 체인(chain)을 포함하는 전동기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작동기구는, 상기 회전부재에서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중 다른 하나와 대향하는 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쪽방향으로 오르막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와;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중 다른 하나로부터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면 상기 경사면에 의하여 상하방향의 직선운동을 하는 접촉부재(접촉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상부부재를 상승시키는 정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을 제한하는 역회전 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회전 방지수단은 상기 회전부재와 동축 상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며 폴(pawl)에 의하여 상기 정방향으로만 회전되는 내치(內齒)래칫(ratchet)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상기 승강장치에 의하여 이동됨에 따른 상기 상부부재의 높낮이를 표시하는 높이표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표시장치는, 상기 상부부재로부터 상하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된 래크(rack)와; 상기 래크와 맞물린 피니언(pinion)과; 상기 하부부재의 외부에 상기 피니언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높낮이 표시부를 갖는 표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높이로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안락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병원이나 호텔, 콘도와 같이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에 적용하면 사용자마다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고객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를 정면에서 본 상태가 도시된 부분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의 승강장치가 도시된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 부분이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의 높이표시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크기나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는 주로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하는 것이 마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하부부재인 베이스(20) 및 상부부재인 승강패널(30)을 포함한다.
베이스(20)는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는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20)는, 바닥판 및 바닥판 상에 가장자리 쪽을 따라 세워진 측벽으로 구성된다. 승강패널(30)은 베이스(20)의 상부에 상하방향(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베이스(20) 및 승강패널(30)은 베개 몸체를 구성한다.
승강패널(30)의 상측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탄력적으로 받치기 위한 쿠션(40)이 배치되어, 쿠션(40)은 베개 몸체의 상부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승강패널(30)이 상하방향으로 정확히 이동할 수 있게 승강패널(30)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수단(52, 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내수단(52, 54)은, 승강패널(30)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핀(52), 베이스(20)의 바닥판 상에 마련되며 가이드핀(52)이 삽입되는 가이드홀을 갖는 핀 삽입부재(5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핀(52)과 핀 삽입부재(54)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승강장치(700)를 더 포함한다. 승강장치(700)는 상부의 승강패널(30)을 하부의 베이스(2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베이스(20)에 대한 승강패널(3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물론, 승강패널(30)이 승강장치(700)에 의하여 승강되면, 쿠션(40)도 승강패널(30)과 함께 동일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승강장치(700)를 살펴본다.
승강장치(70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회전부재(712, 714)를 포함한다. 회전부재(712, 714)로는, 단일의 구동회전원판(712) 및 지름이 서로 동일한 복수의 종동회전원판(714)이 구비된다.
구동회전원판(712)과 종동회전원판(714)은 모두 베이스(20)를 구성하는 바닥판 상에 각각 상하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베이스(2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베이스(20)를 구성하는 측벽의 한쪽에는 노출개구(22)가 마련되고, 구동회전원판(712)은 외주 쪽 일부가 노출개구(22)를 통하여 노출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는 노출개구(22)를 통하여 노출된 구동회전원판(712)의 외주 쪽 일부를 이용하여 구동회전원판(712)을 직접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동회전원판(714)은 네 개가 구비되고 어느 둘 사이에 구동회전원판(712)이 위치하도록 사각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승강장치(700)는, 구동회전원판(712)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회전되면 복수의 종동회전원판(714)이 함께 회전되도록 구동회전원판(712)의 회전력을 각 종동회전원판(714)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722, 724, 726)를 더 포함한다.
동력전달기구(722, 724, 726)는 풀리(722, 724)와 벨트(726)를 포함한다. 벨트(726)는 타이밍벨트이고, 풀리(722, 724)는 타이밍벨트 전동용의 풀리이다. 풀리(722, 724)로는, 단일의 구동풀리(722) 및 피치원 지름이 서로 동일한 복수의 종동풀리(724)가 구비된다.
구동풀리(722)는 구동회전원판(712)의 하측에 구동회전원판(712)과 동축으로 장착되어 구동회전원판(712)과 함께 회전한다. 복수의 종동풀리(724)는 종동회전원판(714)의 하측에 각각 종동회전원판(714)과 동축으로 장착되어 종동회전원판(714)과 함께 회전한다.
구동풀리(722)와 종동풀리(724)들의 하부의 센터에는 축 삽입홈이 각각 마련되고, 베이스(20)의 바닥판에는 각 축 삽입홈에 삽입되는 고정축이 구비되어, 구동풀리(722)와 종동풀리(724)들은 각각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구동회전원판(712)과 종동회전원판(714)들은 각각 구동풀리(722)와 종동풀리(724)들의 상부에 장착된다.
구동풀리(722) 및 종동풀리(724)들은 플랜지를 갖는 풀리(flanged pulley)이고, 구동회전원판(712) 및 종동회전원판(714)들은 각각 구동풀리(722) 및 종동풀리(724)들의 한쪽 플랜지(상부 플랜지)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벨트(726)는 구동풀리(722)의 회전력이 복수의 종동풀리(724) 모두에 전달될 수 있게 구동풀리(722)와 종동풀리(724)들에 감긴다.
도면부호 728은 벨트(726)의 방향 전환이나 벨트(726)의 장력 조정에 이용되는 아이들러로, 아이들러(728)의 구비 개수나 적용 위치 등은 실시 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동력전달기구(722, 724, 726)는 종동풀리(724)들의 회전방향이 모두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승강장치(700)는, 종동회전원판(714)들의 회전운동을 변환하여 승강패널(30)에 대하여 상하방향의 직선운동을 하면서 승강패널(30)을 승강시키는 승강작동기구(732, 734)를 더 포함한다.
승강작동기구(732, 734)는, 종동회전원판(714)의 상부에 각각 마련되며 종동회전원판(71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쪽방향으로 오르막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732), 승강패널(30)의 하부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각 경사부(732)의 경사면에 접촉되는 접촉부재(734)를 포함한다.
종동회전원판(714)들이 회전되면, 각 경사부(732)가 종동회전원판(714)과 함께 동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각 접촉부재(734)가 경사부(732)의 경사면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함으로써, 승강패널(30)이 승강된다.
승강장치(700)는, 구동회전원판(712)이 정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구동회전원판(712)의 회전방향을 제한하는 역회전 방지수단(742, 744)을 더 포함한다. 구동회전원판(712)의 정회전방향은 승강패널(30)이 상승되도록 구동회전원판(712)이 회전되는 방향이다.
역회전 방지수단(742, 744)은, 구동회전원판(712)의 상부에 구동회전원판(712)과 동축으로 장착되어 구동회전원판(712)과 함께 회전되며 내주에 래칫기어가 마련된 내치래칫(742), 내치래칫(742)의 래칫기어에 걸려 내치래칫(742)이 구동회전원판(712)과 함께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폴(pawl)을 단수 또는 복수로 갖는 스토퍼(744)를 포함한다.
내치래칫(742)의 래칫기어는 선단 쪽 부분이 역회전방향 쪽을 향하도록 내치래칫(742)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 경사져서 정회전방향 쪽을 향하는 이동면(742a) 및 역회전방향 쪽을 향하는 스톱면(742b)을 갖는 복수의 기어 이(齒)로 구성된다.
스토퍼(744)는 내치래칫(742)의 내주 측 공간에 배치되며 구동풀리(722)용의 고정축에 센터가 고정된다. 스토퍼(744)의 센터에는 구동회전원판(712)과 구동풀리(722)의 센터를 관통하여 구동풀리(722)용의 고정축에 고정된 축부재를 갖는다. 스토퍼(744)의 폴은 축부재의 상부의 외주에 마련된다. 스토퍼(744)의 폴은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선단이 정회전방향 쪽을 향하도록 구부러진 호형으로 형성된다.
스토퍼(744)의 폴은 선단부가 스톱면(742b)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는바, 내치래칫(742)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유연성이 있는 재질 및 호형의 형상에 의하여 이동면(742a)과 접촉되고 구부러지면서 내치래칫(742)의 정방향회전을 허용하는 반면, 내치래칫(742)을 역회전시키면 그 호형의 형상으로 인하여 구부러지는 변형이 방지되면서 내치래칫(742)의 역방향회전을 제한한다.
설명한 바와 달리, 스토퍼(744)의 폴은 일반적인 래칫폴일 수도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구동회전원판(712)이 역회전 방지수단(742, 744)의 작용에 의하여 정방향으로만 회전된다. 이에 따라, 구동회전원판(712)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종동회전원판(714)들이 동력전달기구(722, 724, 726)에 의하여 함께 회전됨과 아울러, 경사부(732)들도 함께 회전되고, 이 과정에서 경사부(732)들의 경사면에 대한 접촉부재(734)들의 접촉위치가 함께 상승되면서, 접촉부재(734)들이 상승됨과 아울러, 승강패널(30)이 상승된다.
구동회전원판(712)을 정방향으로 계속적으로 회전시키면, 접촉부재(734)들은 경사면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접촉되었다가 낙하하여 경사면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접촉된다.
승강패널(30)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사용 등으로 인하여 승강패널(30)에 상측에서 외력(사용자의 머리 무게)이 가해지더라도, 승강패널(30)은 역회전 방지수단(742, 744)의 작용으로 인하여 하강이 방지된다.
도 1과 도 6의 도면부호 200은 승강장치(700)에 의하여 승강된 승강패널(30)의 높낮이를 표시하는 높이표시장치이다.
높이표시장치(200)는, 승강패널(30)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베이스(20)의 내부에 위치되는 래크(210), 래크(210)와 맞물리며 베이스(20)의 내부에 장착된 피니언(220), 피니언(220)과 맞물리며 베이스(20)의 내부에 장착된 작동기어(230), 베이스(20)의 외부에 배치되고 작동기어(230)와 동축 상에 장착되어 작동기어(230)와 함께 회전되며 높낮이 표시부를 갖는 표시부재(24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는 없으나, 베이스(20)에서 표시부재(240)와 인접하는 부분에는 지시부가 마련되고 표시부재(240)의 높낮이 표시부가 나타내는 높낮이를 지시부가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높이표시장치(200)는, 승강패널(30)이 승강되면 래크(210)가 동일방향으로 함께 승강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220)과 작동기어(230)가 회전됨과 아울러 표시부재(240)가 회전되면서 승강된 승강패널(30)의 높낮이가 표시된다. 이 때, 사용자는 표시부재(240)의 높낮이 표시부를 통하여 승강된 승강패널(30)의 높낮이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승강패널(3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에서는 회전부재(712, 714)들이 베이스(20)에 장착되고 접촉부재(734)가 승강패널(30)에 구비되는 식으로 승강장치(700)가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승강장치(700)는 회전부재(712, 714)들이 승강패널(30)에 장착되고 접촉부재(734)가 베이스(20)에 구비되는 식으로 역순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위에서는 동력전달기구(722, 724, 726)가 벨트식 전동기구이고 역회전 방지수단(742, 744)이 내치래칫(742)을 포함하는 래칫기구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동력전달기구는 체인과 스프로킷휠을 포함하는 체인식 전동기구일 수도 있고, 역회전 방지수단은 외치래칫을 포함하는 래칫기구일 수도 있다.
20 : 베이스(하부부재)
22 : 노출개구
30 : 승강패널(상부부재)
40 : 쿠션
52 : 가이드핀
54 : 핀 삽입부재
200 : 높이표시장치
700 : 승강장치
712 : 구동회전원판(구동회전부재)
714 : 종동회전원판(종동회전부재)
722 : 구동풀리
724 : 종동풀리
726 : 벨트(타이밍벨트)
732 : 경사부
734 : 접촉부재
742 : 내치래칫
744 : 스토퍼

Claims (7)

  1.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 쪽을 따라 세워진 측벽으로 구성된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바닥판 상에 각각 상하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하부부재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단일의 구동회전부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회전부재와;
    상기 구동회전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회전부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와;
    상기 종동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변환하여 상기 상부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의 직선운동을 하면서 상기 상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작동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에는 노출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구동회전부재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게 상기 노출개구를 통하여 외주 쪽 일부가 노출되는 위치에 배치된,
    높낮이 조절 베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벨트 또는 체인을 포함하는 전동기구인,
    높낮이 조절 베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승강작동기구는,
    상기 종동회전부재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종동회전부재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쪽방향으로 오르막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와;
    상기 상부부재로부터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종동회전부재가 회전되면 상기 경사면에 의하여 상하방향의 직선운동을 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종동회전부재가 상기 상부부재를 상승시키는 정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상기 종동회전부재의 회전방향을 제한하는 역회전 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 방지수단은 상기 종동회전부재와 동축 상에 장착되어 상기 종동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며 폴에 의하여 상기 정방향으로만 회전되는 내치래칫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KR1020150064637A 2015-05-08 2015-05-08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686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637A KR101686955B1 (ko) 2015-05-08 2015-05-08 높낮이 조절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637A KR101686955B1 (ko) 2015-05-08 2015-05-08 높낮이 조절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268A KR20160132268A (ko) 2016-11-17
KR101686955B1 true KR101686955B1 (ko) 2016-12-19

Family

ID=57542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637A KR101686955B1 (ko) 2015-05-08 2015-05-08 높낮이 조절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9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881B1 (ko) 2002-02-26 2005-01-03 바이오메디아 주식회사 선반의 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
CN201822426U (zh) 2010-04-27 2011-05-11 谢发连 可调式枕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067B1 (ko) * 1997-01-27 2000-02-01 한상언 후라이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881B1 (ko) 2002-02-26 2005-01-03 바이오메디아 주식회사 선반의 이동이 용이한 선반케이스
CN201822426U (zh) 2010-04-27 2011-05-11 谢发连 可调式枕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268A (ko)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93179B (zh) 升降机构
US8763176B2 (en) Lift device including ring-shaped driving unit
US5412823A (en) Patient's examination table for carrying out medical examinations
US11389017B2 (en) Height adjustment pillow having handle mounted to lower part thereof
TW200843499A (en) Elevation adjusting mechanism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6253799B2 (ja) 高低調節枕
KR101686955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686956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645636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743171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686954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CN202349520U (zh) 显示器移动支架
CN105748245A (zh) 一种诊疗台
TWM579024U (zh) 帶有顯示器的病床
CN206145366U (zh) 电脑显示器调节装置
KR101686952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WO2016182222A1 (ko) 높낮이 조절 베개
JPH0127801Y2 (ko)
KR101686953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CN216962921U (zh) 一种直线导轨式升降立柱机构
CN107839382B (zh) 可多向调节的黑板
CN207575310U (zh) 一种脊柱拉伸装置
CN215117953U (zh) 一种心理学课堂实验教具
KR101723636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CN203736486U (zh) 颈椎牵引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