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611B1 -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611B1
KR102137611B1 KR1020190127357A KR20190127357A KR102137611B1 KR 102137611 B1 KR102137611 B1 KR 102137611B1 KR 1020190127357 A KR1020190127357 A KR 1020190127357A KR 20190127357 A KR20190127357 A KR 20190127357A KR 102137611 B1 KR102137611 B1 KR 102137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hollow shaft
roasting plate
roast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희
Original Assignee
자이글주식회사
이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이글주식회사, 이진희 filed Critical 자이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7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6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horizontal turn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Abstract

본 발명은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원이 상부에서 하부로 조사되어 그 열에 의해 열원 하부에 배치된 구이판의 고기와 음식을 익혀, 익힌 음식을 원활하게 먹을 수 있으면서도 구이판이 승강 또는 하강되어 최소한의 열에너지를 이용해 높은 가열효과를 얻을 수 있는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는, 조리하고자 하는 요리재료를 올려놓고 조리할 수 있는 구이판(110)이 상부에 지지되는 본체부(100)와;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면서 본체부(100)의 상부에서 하 방향으로 적외선을 가하여 구이판(110) 위의 요리재료가 익혀질 수 있도록 하는 발열부(2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이판(110)을 지지함과 동시에 구이판(110)이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하면서 구이판(110) 상의 요리재료들이 상기 발열부(200)의 열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부(300); 및 상기 승하강부(300)와 연결되어 승하강부(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APPARATUS ROASTER WITH HIGH AND LOW CONTROL STRUCTURE}
본 발명은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원이 상부에서 하부로 조사되어 그 열에 의해 열원 하부에 배치된 구이판의 고기와 음식을 익혀, 익힌 음식을 원활하게 먹을 수 있으면서도 구이판이 승강 또는 하강되어 최소한의 열에너지를 이용해 높은 가열효과를 얻을 수 있는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쇠고기나, 돼지고기, 오리 고기, 닭고기 등과 같은 고기류를 굽는 데 사용하는 고기 구이기는 숯불이나 가스히터 위에 석쇠나 고기 구이판을 올려놓고, 이 석쇠 또는 고기 구이판 위에 고기를 얹어 굽도록 되어있다.
석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숯불이나 히터에서 발생하는 불꽃이 고기에 직접 가해지기 때문에 고기를 적시(適時)에 뒤집어 주어도 부분적으로 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탄 고기는 발암 물질 등과 같이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는 학설이 있어 석쇠 사용시의 문제가 된다.
또한, 고기 구이판을 사용하여 고기를 굽는 경우에도 이 고기 구이판이 열원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면서, 그 위에 얹어진 고기를 굽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 고기 구이판에 닿은 고기가 부분적으로 타게 되므로 인해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고기구이기는 고기가 타는 문제를 완전하게 해결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석쇠나 고기 구이판을 사용하여 고기를 굽는 경우에는 자주 고기를 뒤집어 주어야 고기의 앞뒷면이 고르게 익히게 되고, 이러한 뒤집는 동작을 소홀히 하면 고기가 부분적으로나 전체적으로 타버리게된다.
이에 따라, 돼지고기 및 소고기와 닭, 오리, 생선 등을 불에 구워 익혀서 먹기 위해서는 후라이팬과 같은 조리용 기구 등을 주로 많이 사용하였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고기를 보다 맛있게 즐기기 위하여 황토로 만들어진 가마에 고기를 넣어 고열로 구워 익혀서 먹는 방법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하는 고기나 음식물을 열로 익히는 구이장치는 고기나 음식물을 익히는 구이판의 하부에 열원이 배치되어 고기나 음식물 등의 식재료가 익은 후 전원을 오프시키더라도 구이판의 잔존 열원으로 인해 구이판 위의 식재료가 과열로 인해 탄화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고기나 음식물을 익히는 구이판의 경우 하부 열원의 화력 조절로 식재료 들을 익히고, 식재료들이 익을 경우 구이판의 잔존열에 의해 구이판 위의 식재료들이 탄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이판 위의 식재료들을 바로바로 접시나 다른 식기로 옮겨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실용신안 20-0411296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는, 고기나 음식물 등의 식재료를 구이판에 올리고 상부에서 하부로 열원을 제공하여 구이판의 식재료를 상부 열원에 더욱 가까이 하여 상부 열을 하부에 놓여진 식재료를 상부 열원에 더욱 가까이 하여 상부 열을 하부에 놓여진 식재료에 더욱 강하게 전달함으로써 익힘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는, 고기나 음식물 등의 식재료가 익은 후 전원을 오프시키게 되면 식재료에 더 이상의 열전달을 차단하여 익은 식재료가 탄화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는, 고기나 음식물 등의 식재료가 익은 후 열전달이 차단되어 식재료의 탄화 우려 없이 구이판 상에 식재료를 그대로 놓고 구이판의 상하 높낮이 조절을 함으로써 식음 할 수 있는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는, 조리하고자 하는 요리재료를 올려놓고 조리할 수 있는 구이판(110)이 상부에 지지되는 본체부(100)와;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면서 본체부(100)의 상부에서 하 방향으로 적외선을 가하여 구이판(110) 위의 요리재료가 익혀질 수 있도록 하는 발열부(2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이판(110)을 지지함과 동시에 구이판(110)이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하면서 구이판(110) 상의 요리재료들이 상기 발열부(200)의 열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부(300); 및 상기 승하강부(300)와 연결되어 승하강부(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발열부(200)는, 상기 구이판(110)에 상부에서 하 방향으로 적외선을 발산하는 하방발열기(210)와, 상기 하방발열기(210)가 고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케이스(230)를 포함하고, 상기 하방발열기(210)는 상기 고정케이스(23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이판(110)은, 육류가 익으면서 발생 되는 기름이 구이판(110) 상면의 중심부위로 집중될 수 있도록 구이판(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114)과, 상기 구이판(110) 상의 경사면(114)의 하부에 다수 개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114)에 의해 집중된 기름이 구이판(110)의 하부로 낙하 될 수 있도록 하는 낙하공(112)과, 상기 낙하공(112)을 통하여 낙하되는 기름의 낙하방향을 안내하며 구이판(110)의 하부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원기둥 형태의 기름안내관(1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구이판(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이판(110)의 낙하공(112)을 통하여 낙하 되는 기름을 받는 기름받이(150)와, 상기 기름받이(150)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수납 및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수납홀(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구이판(110)을 지지하고, 회전되면서 구이판(110)이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이판(110)에서 식재료들이 익으면서 발생되는 기름이 내부를 통해 통과 되도록 하는 승하강중공축(310)과, 상기 본체부(100)에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하는 관 형태의 수용관(320)과, 상기 수용관(320)의 외면에 수용관(320)과 일체로 형성되되 수용관(320)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대기어(330)와, 상기 대기어(330)와 연결되어 대기어(330)가 회전되도록 연동되어 회전되는 소기어(340)와, 상기 소기어(340)와 연결되어 소기어(340)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모터(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은,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외면에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는 나선홈(312)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관(320)은, 상기 수용관(320)의 내부에 1개 이상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나선홈(312)과 연결되는 가이드핀(3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은,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중공축안내핀(314)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관(320)은, 상기 수용관(320)의 내측에 수용관(320)의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축안내핀(314)과 연결되는 안내핀홈(3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은, 상기 대기어(330)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핀(322)이 나선홈(312) 상에서 회전시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중공축안내핀(314)이 상기 수용관(320)의 안내핀홈(324)을 따라 승강되는 것과 연동되어 승강하게 되고, 상기 대기어(330)의 일방향과 반대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핀(322)이 나선홈(312) 상에서 회전시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중공축안내핀(314)이 상기 수용관(320)의 안내핀홈(324)을 따라 하강되는 것과 연동되어 하강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대기어(33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대기어(330)가 일방향 또는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이 최대로 승강 되거나 최대로 하강 될 경우, 각각 전기가 단락 되도록 하는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410)와, 상기 대기어(330)에 돌출 형성되어 대기어(3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리미트스위치(410)와 접점되거나 이격 되는 스위치단락편(420)과,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350)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승강 또는 하강을 제어하는 제어버튼(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구이판(110)을 지지하고, 회전되면서 구이판(110)이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이판(110)에서 식재료들이 익으면서 발생되는 기름이 내부를 통해 통과 되도록 하는 승하강중공축(310)과, 상기 본체부(100)에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하는 관 형태의 수용관(320)과,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외면에 형성되는 렉기어(360)와, 상기 수용관(32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렉기어(360)에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회전을 통하여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이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하는 피니언기어(370)와, 상기 피니언기어(370)에 연결되어 피니언기어(37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모터(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은, 상기 피니언기어(370)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렉기어(360)가 승강 되면서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이 연동되어 승강하게 되고, 상기 피니언기어(370)의 일방향과 반대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렉기어(360)가 하강 되면서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이 연동되어 하강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상부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구이판(110)의 하부를 직접 지지하면서 구이판(110)의 이동시 구이판(110)의 기름이 상기 승하강중공축(310)과 수용관(320)의 사이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3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이판(110)은, 상부가 상기 경사면(114)의 일부에 거치되고, 하부는 상기 낙하공(112)을 관통하여 상기 기름안내관(116)에 결합되어 탈착되면서 상기 낙하공(112)을 개구 및 폐쇄하는 개폐마개(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는, 상부에서 하부로 열원을 공급하고, 열원의 하부에 식재료를 올려놓은 구이판을 통하여 식재료를 조리하면서도 구이판의 승강을 통하여 동일한 열원으로 식재료의 익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는, 고기나 음식물 등의 식재료가 익은 후 전원을 오프시키게 되면 식재료에 더 이상의 열전달을 차단하여 익은 식재료가 탄화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는, 고기나 음식물 등의 식재료가 익은 후 열전달이 차단되어 식재료의 탄화 우려 없이 구이판 상에 식재료를 그대로 놓고 간편하게 식음 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따른 분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 및 4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열원이 상부에서 하부로 조사되어 그 열에 의해 열원 하부에 배치된 구이판의 고기와 음식을 익혀, 익힌 음식을 원활하게 먹을 수 있으면서도 구이판이 승강 또는 하강되어 최소한의 열에너지를 이용해 높은 가열효과를 얻을 수 있는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특히, 승하강부]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따른 분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 및 4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는, 조리하고자 하는 요리재료를 올려놓고 조리할 수 있는 구이판(110)이 상부에 지지되는 본체부(100)와;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면서 본체부(100)의 상부에서 하 방향으로 적외선을 가하여 구이판(110) 위의 요리재료가 익혀질 수 있도록 하는 발열부(2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이판(110)을 지지함과 동시에 구이판(110)이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하면서 구이판(110) 상의 요리재료들이 상기 발열부(200)의 열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부(300); 및 상기 승하강부(300)와 연결되어 승하강부(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0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조리하고자 하는 요리재료를 올려놓고 조리할 수 있는 구이판(110)이 본체부(100)의 상부에 지지 된 상태로 상기 발열부(200)를 통하여 적외선 열을 공급받아 구이판(110) 상에 올려진 요리재료들이 익혀질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이판(110)은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지지 된 상태로, 상기 발열부(200)를 통해 공급받는 적외선 열을 통해 구이판(110) 상에 올려진 육류 또는 어류 등의 요리재료들을 익힐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이판(110)은, 상기 발열부(200)로부터 적외선 열을 직접 받으면서, 구이판(110) 상면에 올려진 육류 또는 어류 등의 요리재료들을 익히기 때문에, 열에 강한 철이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구이판(110)은, 상기 발열부(200)에서 구이판(110)에 적외선 열을 가하여 요리재료들이 익혀지는 동안 본체부(100)의 상면에 견고하게 지지 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이판(110)은, 육류가 익으면서 발생 되는 기름이 구이판(110) 상면의 중심부위로 집중될 수 있도록 구이판(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114)과, 상기 구이판(110) 상의 경사면(114)의 하부에 다수 개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114)에 의해 집중된 기름이 구이판(110)의 하부로 낙하 될 수 있도록 하는 낙하공(112)과, 상기 낙하공(112)을 통하여 낙하되는 기름의 낙하방향을 안내하며 구이판(110)의 하부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원기둥 형태의 기름안내관(1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구이판(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이판(110)의 낙하공(112)을 통하여 낙하 되는 기름을 받는 기름받이(150)와, 상기 기름받이(150)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수납 및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수납홀(16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면(114)은, 구이판(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각을 갖으며 형성되어, 상기 구이판(110)에서 음식들이나 육류가 익으면서 발생되는 기름이 경사면(114)을 통하여 상기 낙하공(112)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경사면(114)을 통하여 상기 낙하공(112)으로 유동 된 기름은 상기 낙하공(112)을 통하여 낙하 되어 낙하공(112)에서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상기 기름안내관(116)을 통하여 상기 기름받이(150)로 진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기름받이(150)는, 상기 낙하공(112)과 기름안내관(116)을 통하여 낙하되는 기름이 모여진 후 상기 수납홀(160)을 통하여 외부로 반출된 후 버려지게 된다.
즉, 상기 수납홀(160)은, 상기 기름받이(150)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진입 되거나 외부로 인출 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기름받이(150)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납홀(160) 내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수납홀(160)의 내부로 진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구이판(110)과 기름받이(150)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낙하공(112)에서 연장형성되는 기름안내관(116)은, 상기 승하강부(300)와 부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이판(110)에서 발생 되는 기름은 상기 기름안내관(116)를 통과한 후 상기 승하강부(300)의 하기 승하강중공축(310)을 통과하여 상기 기름받이(150)로 원활하게 유동된 후 저장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발열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면서 본체부(100)의 상부에서 하 방향으로 적외선을 가하여 구이판(110) 위의 요리재료가 익혀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일 실시 예로 상기 발열부(200)는, 상기 구이판(110)에 상부에서 하 방향으로 적외선을 발산하는 하방발열기(210)와, 상기 하방발열기(210)가 고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케이스(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케이스(230)는, 상기 하방발열기(210)의 고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방발열기(210)의 상부를 감싸면서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하방발열기(210)는 상기 고정케이스(23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하방발열기(210)는 상기 고정케이스(230)의 하면에 고정배치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방발열기(210)는 내부에 열선(미도시)이 배치되고 전원을 인가받아 적외선을 발산할 수 있고, 상기 열선은 코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열선은 유리관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리관은 상기 고정케이스(230)의 하면에 형성되는 고정편(미도시)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구이판(110)이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구이판(110)을 지지하고, 회전되면서 구이판(110)이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이판(110)에서 식재료들이 익으면서 발생되는 기름이 내부를 통해 통과 되도록 하는 승하강중공축(310)과, 상기 본체부(100)에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하는 관 형태의 수용관(3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수용관(320)의 외면에 수용관(320)과 일체로 형성되되 수용관(320)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대기어(330)와, 상기 대기어(330)와 연결되어 대기어(330)가 회전되도록 연동되어 회전되는 소기어(340)와, 상기 소기어(340)와 연결되어 소기어(340)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모터(3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350)는 일방향과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각각 회전가능한 모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로, 상기 모터(350)에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350)와 연결되는 상기 소기어(340)가 회전되게 되고, 상기 소기어(340)가 회전되면 소기어(340)와 연결되어 연동되는 대기어(330)가 회전되고, 상기 대기어(330)가 회전되면 대기어(330)와 일체로 형성되는 수용관(320)이 연동되어 회전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은,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외면에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는 나선홈(312)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관(320)은, 상기 수용관(320)의 내부에 1개 이상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나선홈(312)과 연결되는 가이드핀(3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은,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중공축안내핀(314)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관(320)은, 상기 수용관(320)의 내측에 수용관(320)의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축안내핀(314)과 연결되는 안내핀홈(3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은, 상기 대기어(330)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핀(322)이 나선홈(312) 상에서 회전시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중공축안내핀(314)이 상기 수용관(320)의 안내핀홈(324)을 따라 승강되는 것과 연동되어 승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대기어(330)의 일방향과 반대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핀(322)이 나선홈(312) 상에서 회전시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중공축안내핀(314)이 상기 수용관(320)의 안내핀홈(324)을 따라 하강되는 것과 연동되어 하강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대기어(330)가 회전되면 대기어(330)와 일체로 형성되는 수용관(320)이 연동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은 상기 중공축안내핀(314)과 연결되는 안내핀홈(324), 상기 가이드핀(322)이 나선홈(312)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되게 된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은 승하강중공축(310)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중공축안내핀(314)이 상기 수용관(320)의 내측에 형성되는 안내핀홈(324)에 진입 연결된 채로 상기 수용관(320)의 내부에 배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용관(320) 내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핀(322)은 상기 승하강중공축(310) 외면에 형성되는 나선홈(312)에 진입 연결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대기어(330)의 회전으로 상기 수용관(320)이 일 방향으로 연동회전되면 그 회전력에 의해 상기 수용관(320)의 가이드핀(322)이 상기 승하강중공축(310) 외면의 나선홈(312)을 따라 회전되면서 승하강중공축(310)이 승강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대기어(330)의 회전으로 상기 수용관(320)이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동회전되면 그 회전력에 의해 상기 수용관(320)의 가이드핀(322)이 상기 승하강중공축(310) 외면의 나선홈(312)을 따라 회전되면서 승하강중공축(310)이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중공축안내핀(314)이 상기 수용관(320)의 내측에 형성되는 안내핀홈(324)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핀(322)이 상기 승하강중공축(310) 외면의 나선홈(312)을 따라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은 원활하게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구이판(110)과 기름받이(150)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낙하공(112)에서 연장형성되는 기름안내관(116)은,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내부로 진입되게 되고,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상부는 상기 구이판(110)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기름받이(150)의 상부에는 내부가 관통된 원기둥 형태의 기름받이관(152)이 구비되어, 상기 기름받이관(152)이 상기 수용관(320)과 수용관(3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하강중공축(310)의 하부를 통하여 승하강중공축(310)의 내부로 진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름안내관(116)은 상기 수용관(320)과 승하강중공축(310)의 내부에서 상기 기름받이관(152)과 맞닿거나 이격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이판(110)에서 발생 되는 기름이 상기 기름안내관(116)를 통과하게 되면 그 기름은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을 통과하여 상기 기름받이관(152)으로 진입된 후 상기 기름받이(150)에 원활하게 저장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내면이 원형이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각형은 사각, 오각, 육각, 팔각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이판(11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내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기름안내관(116)의 외면 또한 승하강중공축(310)의 내면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중공축(310)과 기름안내관(116)과의 결합 분리가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내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기름받이관(152)의 외면 또한 승하강중공축(310)의 내면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중공축(310)과 기름받이관(152)과의 결합 분리가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승하강부(300)와 연결되어 승하강부(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대기어(33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대기어(330)가 일방향 또는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이 최대로 승강 되거나 최대로 하강 될 경우, 각각 전기가 단락 되도록 하는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4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대기어(330)에 돌출 형성되어 대기어(3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리미트스위치(410)와 접점되거나 이격 되는 스위치단락편(420)과,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350)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승강 또는 하강을 제어하는 제어버튼(4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400)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도 7 및 도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는, 조리하고자 하는 요리재료를 올려놓고 조리할 수 있는 구이판(110)이 상부에 지지되는 본체부(100)와;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면서 본체부(100)의 상부에서 하 방향으로 적외선을 가하여 구이판(110) 위의 요리재료가 익혀질 수 있도록 하는 발열부(2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이판(110)을 지지함과 동시에 구이판(110)이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하면서 구이판(110) 상의 요리재료들이 상기 발열부(200)의 열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부(300); 및 상기 승하강부(300)와 연결되어 승하강부(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승하강부(300)와 연결되어 승하강부(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대기어(33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대기어(330)가 일방향 또는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이 최대로 승강 되거나 최대로 하강 될 경우, 각각 전기가 단락 되도록 하는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4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대기어(330)에 돌출 형성되어 대기어(3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리미트스위치(410)와 접점되거나 이격 되는 스위치단락편(420)과,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350)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승강 또는 하강을 제어하는 제어버튼(430)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리미트스위치(410)에서 대기어(33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대기어(3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위치단락편(420)이 일 방향 또는 일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 후 각각의 설정된 한계 점에서 스위치단락편(420)과 맞닿게 되는 스토퍼(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구이판(110)이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구이판(110)을 지지하고, 회전되면서 구이판(110)이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이판(110)에서 식재료들이 익으면서 발생되는 기름이 내부를 통해 통과 되도록 하는 승하강중공축(310)과, 상기 본체부(100)에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하는 관 형태의 수용관(3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수용관(320)의 외면에 수용관(320)과 일체로 형성되되 수용관(320)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대기어(330)와, 상기 대기어(330)와 연결되어 대기어(330)가 회전되도록 연동되어 회전되는 소기어(340)와, 상기 소기어(340)와 연결되어 소기어(340)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모터(3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350)에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350)와 연결되는 상기 소기어(340)가 회전되게 되고, 상기 소기어(340)가 회전되면 소기어(340)와 연결되어 연동되는 대기어(330)가 회전되고, 상기 대기어(330)가 회전되면 대기어(330)와 일체로 형성되는 수용관(320)이 연동되어 회전되게 된다.
일 실시 예로, 한 쌍의 상기 리미트스위치(410) 중 하나의 리미트스위치(410)는 상기 모터(350)로부터 동력을 받는 상기 대기어(330)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스위치단락편(420)이 리미트스위치(410)를 가압함으로 인해 모터(350)의 전기단락이 되어 대기어(330)의 일방향 회전이 정지되게 될 수 있다.
더불어, 한 쌍의 상기 리미트스위치(410) 중 다른 하나의 리미트스위치(410)는 상기 모터(350)로부터 동력을 받는 상기 대기어(330)의 일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스위치단락편(420)이 리미트스위치(410)를 가압함으로 인해 모터(350)의 전기단락이 되어 대기어(330)의 일방향 회전이 정지되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440)는 상기 대기어(330)의 일방향 또는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위치단락편(420)이 리미트스위치(410)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단락편(420)이 리미트스위치(410)를 가압하는 상태일 경우 상기 스위치단락편(420)은 상기 스토퍼(440)와 밀착된 상태가 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스위치단락편(420)이 하나의 리미트스위치(410)를 가압하는 상태가 될 경우, 상기 모터(350)는 일방향 회전은 정지되고 일방향과 반대방향의 회전만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35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일방향과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동력을 제공하는 두 개의 모터가 사용될 수 있고, 두 개의 모터가 사용될 경우, 하나의 대기어(330)에 두 개의 소기어(340)가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이는 실시 예일뿐, 상기 모터(350)가 대기어(330)를 일방향 또는 일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 된 후 정지되고 다시 회전될 수 있다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버튼(430)은,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350)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승강 또는 하강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버튼(430)은, 상기 모터(35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거나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여 대기어(330)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이 상기 구이판(110)을 지지한 채로 상기 수용관(320) 상에서 승강 또는 하강되어 상기 구이판(110)이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버튼(430)은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이 승강되도록 하는 버튼과 하강되도록 하는 버튼과 승하강 동작의 정지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버튼이 추가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도 9 및 도 10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는, 조리하고자 하는 요리재료를 올려놓고 조리할 수 있는 구이판(110)이 상부에 지지되는 본체부(100)와;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면서 본체부(100)의 상부에서 하 방향으로 적외선을 가하여 구이판(110) 위의 요리재료가 익혀질 수 있도록 하는 발열부(2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이판(110)을 지지함과 동시에 구이판(110)이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하면서 구이판(110) 상의 요리재료들이 상기 발열부(200)의 열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부(300); 및 상기 승하강부(300)와 연결되어 승하강부(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구이판(110)이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구이판(110)을 지지하고, 회전되면서 구이판(110)이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이판(110)에서 식재료들이 익으면서 발생되는 기름이 내부를 통해 통과 되도록 하는 승하강중공축(3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에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하는 관 형태의 수용관(320)과,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외면에 형성되는 렉기어(360)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수용관(32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렉기어(360)에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회전을 통하여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이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하는 피니언기어(370)와, 상기 피니언기어(370)에 연결되어 피니언기어(37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모터(3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350)는 일방향과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각각 회전가능한 모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은, 상기 피니언기어(370)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렉기어(360)가 승강 되면서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이 연동되어 승강하게 되고, 상기 피니언기어(370)의 일방향과 반대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렉기어(360)가 하강 되면서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이 연동되어 하강하게 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모터(350)에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350)와 연결되는 상기 피니언기어(37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상기 피니언기어(370)가 회전되면 피니언기어(370)와 연결되어 연동되는 상기 렉기어(360)가 승강되며, 상기 렉기어(360)가 승강되면 상기 렉기어(360)와 일체로 형성되는 수용관(320)이 연동되어 승강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모터(350)에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350)와 연결되는 상기 피니언기어(370)가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상기 피니언기어(370)가 회전되면 피니언기어(370)와 연결되어 연동되는 상기 렉기어(360)가 하강되며, 상기 렉기어(360)가 하강되면 상기 렉기어(360)와 일체로 형성되는 수용관(320)이 연동되어 하강되게 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구이판(110)과 기름받이(150)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낙하공(112)에서 연장형성되는 기름안내관(116)은,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내부로 진입되게 되고,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상부는 상기 구이판(110)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기름받이(150)의 상부에는 내부가 관통된 원기둥 형태의 기름받이관(152)이 구비되어, 상기 기름받이관(152)이 상기 수용관(320)과 수용관(3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하강중공축(310)의 하부를 통하여 승하강중공축(310)의 내부로 진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름안내관(116)은 상기 수용관(320)과 승하강중공축(310)의 내부에서 상기 기름받이관(152)과 맞닿거나 이격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이판(110)에서 발생 되는 기름이 상기 기름안내관(116)를 통과하게 되면 그 기름은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을 통과하여 상기 기름받이관(152)으로 진입된 후 상기 기름받이(150)에 원활하게 저장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도 11 및 도 1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는, 조리하고자 하는 요리재료를 올려놓고 조리할 수 있는 구이판(110)이 상부에 지지되는 본체부(100)와;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면서 본체부(100)의 상부에서 하 방향으로 적외선을 가하여 구이판(110) 위의 요리재료가 익혀질 수 있도록 하는 발열부(2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이판(110)을 지지함과 동시에 구이판(110)이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하면서 구이판(110) 상의 요리재료들이 상기 발열부(200)의 열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부(300); 및 상기 승하강부(300)와 연결되어 승하강부(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구이판(110)을 지지하고, 회전되면서 구이판(110)이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이판(110)에서 식재료들이 익으면서 발생되는 기름이 내부를 통해 통과 되도록 하는 승하강중공축(310)과, 상기 본체부(100)에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하는 관 형태의 수용관(320)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상부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구이판(110)의 하부를 직접 지지하면서 구이판(110)의 이동시 구이판(110)의 기름이 상기 승하강중공축(310)과 수용관(320)의 사이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3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390)은, 상기 구이판(110)을 사용한 후 구이판(110)을 이동 시키는 과정에서 구이판(110) 상의 나머지 기름이 상기 승하강중공축(310)과 수용관(320)의 사이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패킹(390)은 탄력을 갖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도 13 및 도 1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는, 조리하고자 하는 요리재료를 올려놓고 조리할 수 있는 구이판(110)이 상부에 지지되는 본체부(100)와;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면서 본체부(100)의 상부에서 하 방향으로 적외선을 가하여 구이판(110) 위의 요리재료가 익혀질 수 있도록 하는 발열부(2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이판(110)을 지지함과 동시에 구이판(110)이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하면서 구이판(110) 상의 요리재료들이 상기 발열부(200)의 열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부(300); 및 상기 승하강부(300)와 연결되어 승하강부(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구이판(110)은, 육류가 익으면서 발생 되는 기름이 구이판(110) 상면의 중심부위로 집중될 수 있도록 구이판(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114)과, 상기 구이판(110) 상의 경사면(114)의 하부에 다수 개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114)에 의해 집중된 기름이 구이판(110)의 하부로 낙하 될 수 있도록 하는 낙하공(112)과, 상기 낙하공(112)을 통하여 낙하되는 기름의 낙하방향을 안내하며 구이판(110)의 하부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원기둥 형태의 기름안내관(1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114)은, 상기 구이판(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각을 갖으며 형성되어, 상기 구이판(110)에서 음식들이나 육류가 익으면서 발생되는 기름이 경사면(114)을 통하여 상기 낙하공(112)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구이판(110)은, 상부가 상기 경사면(114)의 일부에 거치되고, 하부는 상기 낙하공(112)을 관통하여 상기 기름안내관(116)에 결합되어 탈착되면서 상기 낙하공(112)을 개구 및 폐쇄하는 개폐마개(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마개(118)는, 상기 경사면(114)을 통하여 상기 구이판(110) 상에서 음식들이나 육류가 익으면서 발생되는 기름이 상기 낙하공(112)으로 흐르는 것을, 상기 개폐마개(118)를 통해 폐쇄하게 된다.
즉, 상기 개폐마개(118)는 상부가 상기 경사면(114)에 거치되고 하부가 상기 낙하공(112)을 관통하여 상기 기름안내관(116)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낙하공(112)을 완전히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마개(118)가 상기 낙하공(112)을 견고하게 폐쇄하게 되면, 상기 구이판(110) 상에서 국물요리 또는 볶음요리가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폐마개(118)는, 상기 구이판(110) 상에서 기름이 발생해서 상기 낙하공(112)을 통하여 기름이 배출되어야 하는 음식이 조리될 경우, 상기 개폐마개(118)를 낙하공(112)에서 분리한 후 구이판(110)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구이판(110) 상에서 국물요리 또는 볶음요리를 조리할 경우, 상기 개폐마개(118)가 낙하공(112)을 폐쇄한 상태로 구이판(110)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개폐마개(118)는 내열성과 탄성을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낙하공(112)을 폐쇄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부에서 하부로 열원을 공급하고, 열원의 하부에 식재료를 올려놓은 구이판을 통하여 식재료를 조리하면서도 구이판의 승강을 통하여 동일한 열원으로 식재료의 익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더불어, 고기나 음식물 등의 식재료가 익은 후 전원을 오프시키게 되면 식재료에 더 이상의 열전달을 차단하여 익은 식재료가 탄화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고기나 음식물 등의 식재료가 익은 후 열전달이 차단되어 식재료의 탄화 우려 없이 구이판 상에 식재료를 그대로 놓고 간편하게 식음 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본체부 110 : 구이판
112 : 낙하공 114 : 경사면
116 : 기름안내관 118 : 개폐마개
150 : 기름받이 152 : 기름받이관
160 : 수납홀
200 : 발열부 210 : 하방발열기
230 : 고정케이스
300 : 승하강부 310 : 승하강중공축
312 : 나선홈 314 : 중공안내핀
320 : 수용관 322 : 가이드핀
324 : 중공안내핀홈
330 : 대기어 340 : 소기어
350 : 모터 360 : 렉기어
370 : 피니언기어 390 : 패킹
400 : 제어부 410 : 리미트스위치
420 : 스위치단락편 430 : 제어버튼
440 : 스토퍼

Claims (13)

  1. 조리하고자 하는 요리재료를 올려놓고 조리할 수 있는 구이판(110)이 상부에 지지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면서 본체부(100)의 상부에서 하 방향으로 적외선을 가하여 구이판(110) 위의 요리재료가 익혀질 수 있도록 하는 발열부(2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이판(110)을 지지함과 동시에 구이판(110)이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하면서 구이판(110) 상의 요리재료들이 상기 발열부(200)의 열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부(300); 및
    상기 승하강부(300)와 연결되어 승하강부(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구이판(110)을 지지하고, 회전되면서 구이판(110)이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이판(110)에서 식재료들이 익으면서 발생되는 기름이 내부를 통해 통과 되도록 하는 승하강중공축(310)과,
    상기 본체부(100)에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하는 관 형태의 수용관(320)을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은,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외면에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는 나선홈(312)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관(320)은,
    상기 수용관(320)의 내부에 1개 이상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나선홈(312)과 연결되는 가이드핀(322)을 포함하는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200)는,
    상기 구이판(110)에 상부에서 하 방향으로 적외선을 발산하는 하방발열기(210)와,
    상기 하방발열기(210)가 고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케이스(230)를 포함하고,
    상기 하방발열기(210)는 상기 고정케이스(23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110)은,
    육류가 익으면서 발생 되는 기름이 구이판(110) 상면의 중심부위로 집중될 수 있도록 구이판(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114)과,
    상기 구이판(110) 상의 경사면(114)의 하부에 다수 개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114)에 의해 집중된 기름이 구이판(110)의 하부로 낙하 될 수 있도록 하는 낙하공(112)과,
    상기 낙하공(112)을 통하여 낙하되는 기름의 낙하방향을 안내하며 구이판(110)의 하부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원기둥 형태의 기름안내관(116)을 포함하는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상기 구이판(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이판(110)의 낙하공(112)을 통하여 낙하 되는 기름을 받는 기름받이(150)와,
    상기 기름받이(150)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수납 및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수납홀(160)을 포함하는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수용관(320)의 외면에 수용관(320)과 일체로 형성되되 수용관(320)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대기어(330)와,
    상기 대기어(330)와 연결되어 대기어(330)가 회전되도록 연동되어 회전되는 소기어(340)와,
    상기 소기어(340)와 연결되어 소기어(340)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모터(350)를 포함하는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은,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는 중공축안내핀(314)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관(320)은,
    상기 수용관(320)의 내측에 수용관(320)의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축안내핀(314)과 연결되는 안내핀홈(324)을 포함하는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은,
    상기 대기어(330)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핀(322)이 나선홈(312) 상에서 회전시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중공축안내핀(314)이 상기 수용관(320)의 안내핀홈(324)을 따라 승강되는 것과 연동되어 승강하게 되고,
    상기 대기어(330)의 일방향과 반대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핀(322)이 나선홈(312) 상에서 회전시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중공축안내핀(314)이 상기 수용관(320)의 안내핀홈(324)을 따라 하강되는 것과 연동되어 하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대기어(33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대기어(330)가 일방향 또는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이 최대로 승강 되거나 최대로 하강 될 경우, 각각 전기가 단락 되도록 하는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410)와,
    상기 대기어(330)에 돌출 형성되어 대기어(3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리미트스위치(410)와 접점되거나 이격 되는 스위치단락편(420)과,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350)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승강 또는 하강을 제어하는 제어버튼(430)을 포함하는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구이판(110)을 지지하고, 회전되면서 구이판(110)이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이판(110)에서 식재료들이 익으면서 발생되는 기름이 내부를 통해 통과 되도록 하는 승하강중공축(310)과,
    상기 본체부(100)에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하는 관 형태의 수용관(320)과,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외면에 형성되는 렉기어(360)와,
    상기 수용관(32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렉기어(360)에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회전을 통하여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이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하는 피니언기어(370)와,
    상기 피니언기어(370)에 연결되어 피니언기어(37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모터(350)를 포함하는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은,
    상기 피니언기어(370)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렉기어(360)가 승강 되면서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이 연동되어 승강하게 되고,
    상기 피니언기어(370)의 일방향과 반대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렉기어(360)가 하강 되면서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이 연동되어 하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승하강중공축(310)의 상부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구이판(110)의 하부를 직접 지지하면서 구이판(110)의 이동시 구이판(110)의 기름이 상기 승하강중공축(310)과 수용관(320)의 사이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390)을 더 포함하는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1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110)은,
    상부가 상기 경사면(114)의 일부에 거치되고, 하부는 상기 낙하공(112)을 관통하여 상기 기름안내관(116)에 결합되어 탈착되면서 상기 낙하공(112)을 개구 및 폐쇄하는 개폐마개(118)를 더 포함하는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KR1020190127357A 2019-10-14 2019-10-14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KR102137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357A KR102137611B1 (ko) 2019-10-14 2019-10-14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357A KR102137611B1 (ko) 2019-10-14 2019-10-14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611B1 true KR102137611B1 (ko) 2020-07-24

Family

ID=71892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357A KR102137611B1 (ko) 2019-10-14 2019-10-14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61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628A (ko) * 1997-01-27 1998-10-15 한상언 후라이 팬
KR200338472Y1 (ko) * 2003-10-08 2004-01-16 정한섭 숯불 고기 구이기의 석쇠 자동조절장치
KR200411296Y1 (ko) 2005-11-25 2006-03-13 권수문 회전구이용 구이판
KR20120107904A (ko) * 2012-09-12 2012-10-04 이진희 구이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가열 조리기
KR101864576B1 (ko) * 2017-02-10 2018-07-04 자이글주식회사 열원 다중조사형 적외선 조리기
KR101882166B1 (ko) * 2017-02-13 2018-07-26 자이글주식회사 조리팬의 위치조정 및 이동이 가능한 조리팬 회전식 적외선 조리기
KR20180118960A (ko) * 2017-04-24 2018-11-01 지홍식 양방향 적외선 가열 조리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628A (ko) * 1997-01-27 1998-10-15 한상언 후라이 팬
KR200338472Y1 (ko) * 2003-10-08 2004-01-16 정한섭 숯불 고기 구이기의 석쇠 자동조절장치
KR200411296Y1 (ko) 2005-11-25 2006-03-13 권수문 회전구이용 구이판
KR20120107904A (ko) * 2012-09-12 2012-10-04 이진희 구이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가열 조리기
KR101864576B1 (ko) * 2017-02-10 2018-07-04 자이글주식회사 열원 다중조사형 적외선 조리기
KR101882166B1 (ko) * 2017-02-13 2018-07-26 자이글주식회사 조리팬의 위치조정 및 이동이 가능한 조리팬 회전식 적외선 조리기
KR20180118960A (ko) * 2017-04-24 2018-11-01 지홍식 양방향 적외선 가열 조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1017B1 (ko) 구이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가열 조리기
KR20120030118A (ko) 열원체가 승하강 되는 조리용기
EP2392242B1 (en) Two-way heating cooker
EP2238881A2 (en) Infrared heating cooker
KR101796419B1 (ko)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한 구이판이 구비된 구이장치
KR101698180B1 (ko) 화력조절이 가능한 바베큐그릴
KR100701252B1 (ko) 고기구이테이블
KR101998519B1 (ko)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
KR102137611B1 (ko) 높낮이 구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KR100952758B1 (ko) 구이용 불판
KR102137607B1 (ko) 높낮이 조절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KR20160017496A (ko) 적외선 가열 조리장치
KR101292452B1 (ko) 구이판 높이조절대
KR102463742B1 (ko) 숯불구이용 화로대
KR101034060B1 (ko) 받침판체가 아래로 열리는 황토구이기
KR200472637Y1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불판
KR102169100B1 (ko) 구이 테이블
CN206120097U (zh) 一种五合一煎烤器
US20190069353A1 (en) Dimpled Wok
CN210130699U (zh) 一种升降火锅
KR100755214B1 (ko) 구이테이블
CN208957637U (zh) 一种涮煎烤一体多功能机
KR101304126B1 (ko) 승하강 장치를 구비한 다용도 로스터
KR200470925Y1 (ko) 조리기기가 구비된 가구 상판
KR101003161B1 (ko) 로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