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605B1 - 형강 압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형강 압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605B1
KR100240605B1 KR1019970705760A KR19970705760A KR100240605B1 KR 100240605 B1 KR100240605 B1 KR 100240605B1 KR 1019970705760 A KR1019970705760 A KR 1019970705760A KR 19970705760 A KR19970705760 A KR 19970705760A KR 100240605 B1 KR100240605 B1 KR 100240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mill
edge
universal mill
ro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2362A (ko
Inventor
다께시 히오끼
스에후사 시미즈
다쓰야 호끼모또
Original Assignee
아사무라 타카싯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50623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168801A/ja
Priority claimed from JP30070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201603A/ja
Application filed by 아사무라 타카싯,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아사무라 타카싯
Publication of KR19980702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tructural sections, i.e. work of special cross-section, e.g. angle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tructural sections, i.e. work of special cross-section, e.g. angle steel
    • B21B1/088H- or I-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7/00Roll parameters
    • B21B2267/24Roll 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압연 롤의 기본 유니트(fundamental unit), 치수 정확도 및 압연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높은 형강 압연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압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X형 압연을 수행하는 중간 유니버설 압연기 UR와, 패스 스케줄에 대응하는 박수 캘리버중 하나를 급속하게 이동시키므로써, 에징(edging) 압연을 수행하기 위하여 크기가 다른 복수의 박스 캘리버를 구비하는 급속 이동 에지 밀 QE와, 양측의 플랜지를 세워서 H형 압연을 수행하는 피니쉬 유니버설 압연기 UF를 사용하여, 단일 내지 복수의 브레이크다운 밀 BD 등에 의하여 대충 압연된 도그-본(dog-bone)과 같은 형상의 피압연재료를 역 압연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형강 압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기술분야]
블랭크(blank)는, 중간 유니버설 밀에 의하여, 그 플랜지가 양측으로 개방될수 있는 형상으로 압연된 다음에 형강 압연의 피니쉬(finish) 유니버설 압연기의 수직 롤에 의하여,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H 형강으로 압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박스 캘리버를 구비하는 에지 밀을 사용하여 에징 압연을 수행하고, 이 캘리버를 급속하게 이동시키므로써, 형강을 압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에는, 대형 H 형강은, 일반적으로 연속주조등에 의하여 생산되는 빔 블랭크, 블룸 또는 슬라브를 브레이크다운 밀로 대충 압연한 다음, 유니버설 압연기 등에서 중간 압연 또는 마무리 압연을 수행하므로써 제조된다. 도 1은 가장 일반적인 형강 압연기의 레이아웃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압연기는, 함께 수직 쌍을 형성하는 홈이 파여진 수평롤(1과 2)을 포함하는 브레이크다운 밀(BD)과, 각각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수평롤(3과 4) 및 수직롤(5와 6)을 구비하는 중간 유니버설 밀(UR)과, 함께 수직 쌍을 형성하는 수평롤(7과 8)을 구비하는 에지 밀(E)과, 각각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수평롤(9와 10) 및 수직롤(11과 12)을 구비하는 피니쉬 유니버설 밀(UF)을 포함한다. 도 1의 중간 및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형강은 브레이크다운 밀(BD)에서 복수의 역(reverse) 패스, 중간 유니버설 밀과 에너지 밀에서의 복수 역 패스 및 피니쉬 유니버설 밀에서의 단일 패스에 의하여 제조된다.
제2도는,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52-88565호에서 제안되고,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형강 밀 콤팩트를 구성하는, 하나의 형강 밀을 도시한 것으로, 피니쉬 유니버설 밀(UF)은 에지 밀(E)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압연 밀의 압연 패스 스케줄이 도 2의 하단에 도시되어 있다. 즉, 브레이크다운 밀의 복수 패스에서 역 압연이 수행된 후에, 중간 유니버설 밀(UR)과 에지 밀(E)의 복수의 패스에서 역 압연이 수행되고, 그 후에 피니쉬 유니버설 밀에서 단일 패스 압연이 수행된다.
제3도는 일본 공개 특허 공보(Kokai) 제63-52701호에서 제안된 형강 압연 밀을 도시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중간 유니버설 밀(UR), 에지밀(E) 및 피니쉬 유니버설 밀(UF)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H형강은, 블랭크를 복수의 패스에서 이들 밀을 통과시키므로써 생산된다. 도면에서 인용 부호 14는 가열로를 나타낸다.
제1도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압연 밀에서는, 중간 유니버설 밀(UR)의 상부 및 하부 수평롤(3과 4)은 제4a도에서 실선으로 표시되는 형상을 가지며, 피압연재로서의 H형강의 플랜지는 양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하에서, 이러한 형상으로 H형강을 압연하는 것을 "X형 압연"이라 한다.) 수평롤(3)(및 수평롤 4도)은, 사용중에 제4b도에서 파선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마모된다. 그러나, 연삭되면, 롤(3)은 일정 폭(b)을 확보할 수 있고,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H 형강의 피압연 재료(15)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반면에, 피니쉬 유니버설 밀의 상부 및 하부 수평롤(9와 10)의 폭(b1)은,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H 형강의 최종제품과 맞추어지도록, 방사 방향으로 일정한 형상을 가지며, 피압연 재료인 H 형강이 상, 하 수평롤(9와 10) 및 좌우 수직 롤(11과 12)을 사용하여, H형상(이하에서, 이러한 형상으로 H 형강을 압연하는 것을 "H형 압연"이라 한다)으로 압연된다. 그러나, 이러한 폭(b1)은 도(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정 시간 사용하는 과정 중에 폭(b2)으로 변하며, 연삭되고 수정되는 때에도, 규정된 롤 폭(b1)이 확보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롤은, 다음 압연 동작때에는 더 작은 크기의 제품의 압연에 사용된다. 즉, 피니쉬 유니버설 밀(UF)의 롤 소모가, 중간 유니버설 밀(UR)의 롤 소모보다 열악하다는 문제점이 남게 된다.
다음으로, 제6도에 도시된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52-88565호에 기술된 압연 밀에는, 피니쉬 유니버설 밀(UF)이 좁은 공간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에지 밀(E)에 가까이 배치되어 있으나, 압연의 성형은 기본적으로 도1에 도시된 종래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피니쉬 유니버설 밀(UF)의 롤 소모 유니트가 열악하고, 결과적으로, 운전 비용이 높아진다. 이러한 이유로, 피니쉬 유니버설 밀(UF)은 마지막 단일 패스에서의 압연에만 사용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63-52701호에는, 중간 유니버설 밀(UR), 에지밀(E) 및 피니쉬 유니버설 밀(UF)을 사용하여, 복수의 정 및 역압연이 수행된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된 피니쉬 유니버설 밀(UF)의 롤 소모 유니트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63-52701호의 압연 밀은, 피니쉬 유니버설 밀(UF)의 면적 감소율을 중간 유니버설 밀(UR)의 15-55%로 설치하는 소극적인 대책을 제시한다.
또한, X형 압연과 H형 압연이 반복되면, H형강의 플랜지가 반복적으로 상하로 접히게 된다. 그러나, 역패스의 초기 단계에서 H 형강의 플랜지의 두께가 60-80㎜만큼 되면, 바이팅 오류(biting error)가 생겨서 잘못된 압연(miss-rolling)이 초래되고, 이는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전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롤 소모 유니트를 개선하므로써 치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압연의 안정도 향상시키며, 높은 생산성으로 형강을 생산할 수 있는 압연 방법 및 이러한 압연 방법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일 또는 복수의 브레이크다운 밀에 의하여 대충 압연된 도그 본(dog-bone)과 같은 형상을 피압연 재료가, X형 압연을 수행하는 중간 유니버설 밀, 크기가 다른 복수의 박스 캘리버(box caliber)를 구비하고, 각 패스 스케줄에 대응하는 박스 캘리버중 하나를 급속하게 이동시키므로써, 에징(edging) 압연을 수행하는 급속 이동 에지밀(quick shift edger mil) 및 양측으로 플랜지를 세우기 위하여, H형 압연을 수행하는 피니쉬 유니버설 밀에 의하여 역 압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압연방법.
(2) X형 압연을 수행하는 중간 유니버설 밀, 에징(edging) 압연을 수행하는 에지밀(edger mill) 및 양측의 플랜지를 세우기 위한 피니쉬 유니버설 밀을 이용하여, 단일 또는 복수의 브레이크다운 밀에 의하여 대충 도그 본(dog-bone)과 같은 형상으로 압연된 피압연 재료를 적어도 수회 역 압연하는 형강 압연방법으로서, H형 압연을 수행하는 피니쉬 유니버설 밀의 하나 이상의 압연 패스가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압연 방법.
(3) 크기가 다른 복수의 박스 캘리버(box caliber)를 구비하고, 각 패스 스케줄에 대응하는 박스 캘리버중 하나를 급속하게 이동시키므로써, 에징(edging) 압연을 수행하는 급속 이동 에지밀(quick shift edger mill)을 상기 에지밀로서 사용하는 (2)에 의한 방법.
(4) 피니쉬 유니버설 밀 압연 패스의 생략이 수회 이상 수행되는 역 압연 중 초기 단계에 행하여지는, (2) 또는 (3)에 의한 방법.
(5) 피니쉬 유니버설 밀 압연 패스의 생략이 수회 이상 수행되는 역 압연 중의 중간에 행하여지는 (2) 또는 (3)에 의한 방법.
(6) 단일 또는 복수의 브레이크다운 밀에 의하여 대충 압연되는 피압연 재료를 압연하는 형강 압연 장치로서, 좌우 양측에 애버커스(abacus)형 수직롤을 구비하고, 피압연 재료를 X형으로 압연하기 위한 중간 유니버설 밀과, 패스 스케줄에 따라 피압연재료의 플랜지 에지 부분을 압연하는 복수의 다양한 박스 캘리버를 가지는 에지 롤 및 에지 롤의 박스 캘리버가 압연선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급속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급속 이동 에지밀과, 좌우 양측에 직원주형(right circular cylindricla) 수직 롤을 구비하고, X형 피압연 재료를 H형으로 압연하기 위한 피니쉬 유니버설 밀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 유니버설 밀, 급속 이동 에지밀 및 피니쉬 유니버설 밀은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형강 압연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의한 H형강의 압연 방법의 설명도이다.
제2도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의한 H형강의 압연 방법의 설명도이다.
제3도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의한 H형강의 압연 방법의 설명도이다.
제4a도 및 제4b도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의한 중간 유니버설 밀의 설명도로서, 제4a도는 압연 상태를, 제4b도는 마모 상태를 도시한다.
제5a도 및 도5b도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의한 피니쉬 유니버설 밀의 설명도로서, 제5a도는 압연 상태를, 제5b도는 마모 상태를 도시한다.
제6a도, 제6b도 및 제6c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압연밀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설명도로서, 제6a도는 레이아웃을 나타내고, 제6b도는 1회가 생략된 패스 스케줄을 나타내며, 제6c도는 3회 생략된 패스 스케줄을 도시한다.
제7도는 급속 이동 에지밀의 롤에 대한 설명도이다.
제8a - 제8f도는 에징 압연의 설명도로서, 제8a도는 압연 상태를, 제8b도는 금속 플로우(metal-flow)를, 제8c도는 압연상태를, 제8d도는 금속 플로우를, 제8e도는 캘리버의 각도 α를, 제8f도는 캘리버의 각도 β를 나타낸다.
제9a -제9b도는 H형강의 압연 형성에 대한 설명도로서, 제9a도는 X형 압연을, 제9b도는 QE형 압연을, 제9c도는 H형 압연을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D : 브레이크다운 밀 UR : 중간 유니버설 밀
QE : 급속 이동 에지밀 UF : 최종 유니버설 밀
E : 에지밀 A 내지 C : 박스 캘리버
7, 8 : 상하 수평롤 14 : 가열로
15 : 피압연 재료 16 : 에지롤
17 내지 19 : 중간 롤 제품 20 내지 22 : 플랜지
23 : 돌출 초과 두께 24 : 금속
16a : 플랜지 외곽선과 접촉하는 측벽부
[발명의 수행을 위한 최상의 방식]
본 발명을 실시하는 여러 가지 방식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연 밀의 개략적인 설명도이고, 제7도는 급속 이동 에지밀의 에지롤에 대한 설명도이고, 제8도는 에지 압연의 설명도이며, 제9도는 H형강의 압연방식에 대한 설명도이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연밀은 후속 단계에서 브레이크다운 밀(BD)를 연장하는 중간 유니버설 밀(UR)과 급속 이동 에지밀(QE) 및 최종 유니버설 밀(UF)을 포함하며, 이러한 밀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브레이크다운 밀(BD), 중간 유니버설 밀(UR) 및 피니쉬 유니버설 밀(UF)는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것과 동일한 기본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유니버설 밀(UR)과 피니쉬 유니버설 밀(UF) 사이의 중간 부분에 삽입된 급속 이동 에지밀(QE)에는, 그 상하 에지롤(16)에, 중간 롤 제품의 플랜지(20 내지 22)가 각각 캘리버(A 내지 C)내에 끼워 맞추어지는 동안, H형강의 중간 롤 제품(17 내지 19)을 압연하기 위한 박스 캘리버(A 내지 C)가 장착되어 있다. 각 캘리버(A 내지 C)의 폭(t1내지 t3)은, 대충 압연된 중간 롤 제품(17 내지 19)이 최종제품인 H형강의 플랜지 크기에 점진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캘리버의 깊이(h1내지 h3)가 점차적으로 변화하는 동안, 점진적으로 작아진다. 유압 실린더등과 같은 왕복 구동원을 갖춘 급속 이동수단(미도시)이, 급속 이동 에지밀(QE)이 그 박스 캘리버중 어느 하나를 단시간 내에 압연 라인(L)의 중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급속 이동 에지밀(QE)에 제공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압연 밀을 사용하는 압연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단면형상을 가지고, 가열로(14)에서 1250 내지 1300℃로 가열되는 피압연 재료(13)는, 대충 압연된 중간 압연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브레이크다운 밀(BD)에 의하여 총 7 내지 13회 역 압연된다. 이러한 중간 압연 제품은 패스 스케줄에 근거하여, 중간 유니버설 밀(UF)에 의하여 역 압연된다.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압연 동작에서(이 실시예에서는 1회), 중간 압연제품이 중간 유니버설 밀(UR)과 급속 이동 에지밀(QE)를 사용하여 압연되며, 나머지 압연은 중간 유니버설 밀(UR), 급속 이동 에지밀(QE) 및 피니쉬 유니버설 밀(UF)에 의한 역 압연으로 수행된다.
전술한 압연 동작에서의 역 압연 회수가 예를 들어 5회인 때에는, 첫 번째 및 두 번째 패스는 급속 이동 에지밀(QE)내의 박스 캘리버(A)에 의하여, 세 번째 및 네 번째 패스는 급속 이동 에지밀(QE)의 급속 이동 수단의 동작에 의한 박스 캘리버(B)에 의하여, 최종 패스는 급속 이동 수단의 추가적인 작동에 의한 박스 캘리버(C)에 의하여 수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급속 이동 에지밀(QE)을 사용하므로써, 종래의 압연 방법에 비하여 롤 소모 유니트, 치수 정확성 및 압연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제6c도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형강 압연 방법에서, H형 압연은, 중간 유니버설 밀(UR), 급속 이동 에지 밀(QE) 및 피니쉬 유니버설 밀(UF)에 의한 역 압연에서 한 두번(이 실시예에서는 1회) 생략된다.
제6b도 및 제6c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수회 수행되는 역 압연에서 H형 압연이 생략되는 때에는, 바이팅 실수(biting mistake, 잘못된 압연)의 발생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고, 압연의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다.
특히, H형강의 플랜지 두께가 압연의 초기단계에서 60 내지 80㎜만큼인 경우에는, 강의 밀이 거쳐서 피니쉬 유니버설 밀(UF)까지 통과할 때, 바이팅 실수(잘못된 압연)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첫 번째 H형 압연 작동이 생략되기 때문에, 압연 실수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다음으로, 소모 유니트 개선을 설명한다.
제4b도 및 제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에 의한 롤의 마모상태는 넓게, 피압연 재료의 플랜지 단부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P)과, 피압연 재료의 웨브 밀바닥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Q) 및 피압연 재료의 나머지 부분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R)로 분류된다. 그중에서, 피압연재료의 프랜지 단부와 접촉하게 되는 부분(P)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롤 소모 유니트는 이 부분의 마모를 개선하므로써,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랜지 에지 부분(P)에서의 롤 마모 메카니즘을 검토한다. 제8c도 및 제8d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에지 압연에서의 금속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즉, 제8d도에 도시된 금속(24)은 상하 수평롤(에지 롤)(7 및 8)에 의하여 밀려나고, 가로 방향으로 흐른 다음에, 제8d도에서와 같이 플랜지(20)의 외부 에지 부분으로 흐르며, 초과 두께(23)를 형성한다. 이러한 돌출 초과 두께(23)는 제4b도 및 제5b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음 패스의 유니버설 압연시 플랜지 에지부분과 접촉하게 되는 수평 롤상에서의 국부적 마모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7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스 캘리버(A 내지 C)를 가지는 상하 에지 롤(16)을 갖추고 있는 급속 이동 에지밀(QE)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금속 플로우는 제8a도 및 제8b도에서와 같은 플로우로 변하며, 플랜지 (30)의 외부에 얇은 두께(23)를 형성하여, 돌출된 국부 영역을 감소시키므로써, 국부적 표면 압력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급속 이동 에지밀(QE)의 전후에서의 중간 유니버설 밀(UR) 및 피니쉬 유니버설 밀(UF)의 롤 마모가 현저하게 감소된다.
수평롤의 압연 감소가 큰 때에는, 팽출(膨出, bulging)도 커진다. 따라서, 중간 유니버설 밀과 피니쉬 유니버설 밀의 마모가 수평 측면 부분에서 더 커지게 되고, 잘못된 압연(miss-rolling)이 더 많이 일어날 수 있다.
다음으로, 치수의 정확도의 개선, 특히 H형강의 치수 정확도 가운데 중요한 요소인 웨브 편향(web adviation)의 개선에 대하여 설명한다. 웨브 중심 이탈을 막기 위하여는, 제7도에 도시된 박스 캘리버(A 내지 C) 내의 크기 h1, h2및 h3를 정확하게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압연방법에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 쌍의 수평롤(에지롤)(7 및 8)을 사용하여 플랜지 단부 표면을 압연한다. 그러나, H형강을 구성하는 피압연 재료(15)의 폭 h는 제8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 패스에 따라서 변환한다. 따라서, 재료(15)가, 한 종류의 플랜지 폭/높이를 가지는 에지 롤에 의하여 압연되는 경우에는, 중심에서의 웨브 위치가 편향된다. 그 결과, 플랜지 폭 h는 상하위치 사이에서 다르게 되어(제9b도 참조), 웨이브 중심 이탈이 발생되고, 치수 정확도가 저하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각 폭에 대응하는 h1내지 h3를 가지는 박스 캘리버(A 내지 C)에 의하여 에징이 수행되고, 웨브의 중심 이탈은 현저하게 제한될 수 있다.
다음에는, 압연 안정성을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63-52701호에 설명된 압연방법에서는, 중간 유니버설 밀(UR)로부터 피니쉬 유니버설 밀(UF)로 압연이 정상적인 방향으로 수행되고, 피니쉬 유니버설 밀(UR)로부터 중간 유니버설 밀(UR)로 역 압연이 수행되는 때에는, 피압연 재료인 H형강 플랜지의 운동은, 제9a도 및 제9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패스별로 X형 압연 방식 및 H형 압연의 방식을 각각 반복한다. 초기 단계에서의 패스에서, 플랜지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60 내지 80㎜로 한다. 피압연재료의 온도가 900 내지 1000℃이 고온인 경우에도, 플랜지가 변형되고 있는 동안, 다음 패스의 스탠드에 의하여 웨브가 잡히는 때에는, 바이팅 실수(biting mistake)가 일어나기 쉽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급속 이동 에지 밀(QE)의 상하 에지 롤(16)의 박스 캘리버 각도 θO를 X형 압연내의 플랜지 각도 θx와 H형 압연내의 플랜지 각도 θn사이의 중간 각도를 맞추고, 이러한 각도 사이의 연결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급속 이동 에지 밀 압연 QE(QE압연)을 수행한다. 이러한 급속 이동 에지밀의 경우에는, 중간 각도가, 역 패스의 선행단계, 중간 단계 및 후속 단계에서 패스 스케줄에 따라 변한다. 이에 따라, 박스 캘리버(A 내지 C)의 각도는 변할 수 있고, 압연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기술에 의하여, 형강 압연이 생산율, 각종 롤의 기본 유니트 (fundamental unit)와 제품의 치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설치 비용 및 공간을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에지롤(16)의 박스 캘리버 형상과 관련하여, 제8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외곽선과 접촉하는 측벽부(16a)를 피압연 재료 방향으로 경사진 각도로 조절(즉, 도면내의 α를 피압연 재료의 플랜지 경사에 더 근접되게)하므로써, 초과 두께의 돌출 거리가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또한, 제8f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롤 변형 및 마찰, 롤의 강도 압연시의 통과능력(passabiliy) 등을 고려하여, 측벽부(16a)를 피압연재료와 대향측으로 약간 기울어진 각도 β로 배치하므로써 얻을 수도 있다.
종래의 에지 밀(E)를 구성하는 수평롤이 전술한 급속 이동 에지밀 (QE) 대신에 에지 밀로써 사용되는 때에도, 중간 유니버설 밀(UR), 에지 밀(E)및 피니쉬 유니버설 밀(UF)를 사용하여 역 압연이 수회 수행될 때에는, 잘못된 압연이 발생확률은, 피니쉬 유니버설 밀(UF)에 의한 H형 압연을 적절하게 생략되므로써, 감소될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한 형강 압연방법에서는, H형 압연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스가 생략된다. 그 결과, 잘못된 압연의 확률이 감소되고, 유니버설 밀의 롤의 국부적 마모가 감소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크기가 다른 복수의 박스 캘리버를 가지는 급속 이동 에지밀을 사용하기 때문에, 팽출(膨出)이 감소되며, 급속 이동 에지 밀의 전후에서 중간 유니버설 밀과 피니쉬 유니버설 밀의 국부적 롤 마모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H형강의 치수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고, 잘못된 압연의 감소에 의하여 압연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외에도, 피니쉬 유니버설 밀에 의하여 초기 단계에서 H형 압연이 수행되기 때문에, 두꺼운 H형강의 플랜지가 피니쉬 유니버설 밀에 끼워 맞추어지는 때에 발생하는 잘못된 압연이 감소될 수 있고, 압연 안정성이 더 향상된다. 이와 동시에, 밀의 레이 아웃을 조밀하게 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형강의 압연 방법으로서, 도그-본(dog-bone)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고, 단일 또는 복수의 브레이크다운 밀(BD)에 의하여 대충 압연된 피압연재료(15)를, X형 압연을 수행하는 중간 유니버설 밀(UR)과, 크기가 다른 복수의 박스 캘리버(A 내지 C)를 가지고 각 패스 스케줄에 대응하는 상기 박스 캘리버(A 내지 C)중 하나를 급속하게 이동시켜 에징 압연을 수행하는 급속 이동 에지 밀(QE)과, 양측으로 플랜지(20 내지 22)를 세우기 위하여 H형 압연을 수행하는 피니쉬 유니버설 밀(UF)을 사용하여, 역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압연 방법.
  2. 도그 본(dog-gone)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고, 단일 또는 복수의 브레이크 다운 밀(BD)에 의하여 대충 압연된 피압연재료(15)를, X형 압연을 수행하는 중간 유니버설 밀(UR), 에징(edging) 압연을 수행하는 에지 밀(edger mill)(E) 및 양측의 플랜지(20 내지 22)를 세우기 위한 피니쉬 유니버설 밀(UF)을 이용하여, 수회 이상 역 압연하는 형성 압연 방법으로서, 상기 H형 압연을 수행하는 상기 피니쉬 유니버설 밀(UF)의 하나 이상의 압연 패스가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압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크기가 다른 복수의 박스 캘리버(box caliber)(A 내지 C)를 구비하고, 각 패스 스케줄에 대응하는 상기 박스 캘리버(A 내지 C)중 하나를 급속하게 이동시키므로써, 에징(edging) 압연을 수행하는 급속 이동 에지밀(quick shift edger mill)(QE)을 상기 에지밀(E)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압연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쉬 유니버설 밀(UR)의 상기 압연 패스의 생략이 수회 이상 수행되는 상기 역 압연이 초기 단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압연 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쉬 유니버설 밀(UF)의 상기 압연 패스의 생략이, 수회 이상 수행되는 상기 역 압연공정 중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압연 방법.
  6. 단일 또는 복수의 브레이크다운 밀(BD)에 의하여 대충 압연된 피압연 재료(1 5)를 압연하는 형강 압연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좌우 양측에 애버커스(abacus)형의 수직롤을 구비하고, 피압연 재료(15)를 X형으로 압연하기 위한 중간 유니버설 밀(UR)과, 패스 스케줄에 따라 피압연재료(15)의 플랜지 에지 부분을 압연하는 복수의 각종 박스 캘리버(A 내지 C)를 가지는 에지롤(16) 및 상기 에지롤(16)의 상기 박스 캘리버(A 내지 C)가 압연선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급속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급속 이동 에지밀(QE)과, 좌우 양측에 직원주형(直圓柱形)수직롤을 구비하고, X형의 상기 피압연재료(15)를 H형으로 압연하기 위한 피니쉬 유니버설 밀(UF)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간 유니버설 밀(UR), 급속 이동 에지밀(QE) 및 피니쉬 유니버설 밀(UF)이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압연 장치.
KR1019970705760A 1995-12-21 1996-12-19 형강 압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240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0623/1995 1995-12-21
JP35062395A JPH09168801A (ja) 1995-12-21 1995-12-21 形鋼の圧延方法及びその装置
JP30070/1996 1996-01-23
JP3007096A JPH09201603A (ja) 1996-01-23 1996-01-23 形鋼の圧延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362A KR19980702362A (ko) 1998-07-15
KR100240605B1 true KR100240605B1 (ko) 2000-01-15

Family

ID=2636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760A KR100240605B1 (ko) 1995-12-21 1996-12-19 형강 압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96770A (ko)
KR (1) KR100240605B1 (ko)
CN (1) CN1081493C (ko)
TW (1) TW377308B (ko)
WO (1) WO19970233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791A (ko) 2021-08-31 2023-03-07 백종덕 신체단련을 위한 운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9735B1 (en) 1998-07-31 2003-12-30 Davol, Inc. Prosthesis for surgical treatment of hernia
DE10135601A1 (de) * 2001-07-21 2003-02-06 Sms Demag Ag Arbeitsverfahren zum X-H-Walzen von parallelflanschigen Stahlprofilen (-Trägern)
US20110094085A1 (en) * 2008-05-23 2011-04-28 Mitsubishi Shindoh Co., Ltd. Method for producing contour strip
CN102794298A (zh) * 2012-08-16 2012-11-28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H型钢的轧制工艺和装置
CN102921722B (zh) * 2012-11-13 2015-07-01 莱芜钢铁集团有限公司 H型钢轧制设备及方法
CN104384180A (zh) * 2014-10-08 2015-03-04 柳州科尔特锻造机械有限公司 异型钢生产工艺
KR20180097665A (ko) * 2016-01-07 2018-08-31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H형 강의 제조 방법 및 압연 장치
CN105945068B (zh) * 2016-06-06 2019-03-19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具有嵌套孔槽结构的轧边辊及h型钢的轧制方法
JP6421900B2 (ja) * 2016-08-29 2018-11-14 新日鐵住金株式会社 圧延h形鋼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732054B (zh) * 2021-09-02 2024-04-05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热轧h型钢的ur孔型及热轧h型钢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401A (ja) * 1989-06-13 1991-01-28 Sumitomo Metal Ind Ltd フランジを有する形材の熱間圧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2616C (ko) *
JPS54110955A (en) * 1978-02-21 1979-08-30 Nippon Steel Corp Edger rolling mill for shape steel rolling
FR2474906A1 (fr) * 1980-02-04 1981-08-07 Sacilor Procede de logement, par emboitage, d'une pluralite de cannelures refouleuses differentes sur un seul jeu de cylindres d'une cage refouleuse d'un laminoir universel a poutrelles, a rails ou autres profils similaires, ainsi que cylindres, cages et laminoirs
FR2474905A1 (fr) * 1980-02-04 1981-08-07 Sacilor Methode de placement de cannelures sur des cylindres de laminoir, procede et dispositif d'alimentation en profiles desdites cannelures, cylindres de laminoir munis de telles cannelures, cages de laminoirs munies de tels cylindres et laminoirs comportant de telles cages
FR2490115A1 (fr) * 1980-09-15 1982-03-19 Sacilor Procede de placement de cannelures, cylindres, cages et laminoirs permettant sur une cage universelle ou semi-universelle finisseuse des passes refouleuses pour des rails
JPS58199601A (ja) * 1982-05-17 1983-11-21 Sumitomo Metal Ind Ltd エツジヤ
FR2543027B1 (fr) * 1983-03-21 1986-05-16 Sacilor Procede de laminage universel integral de profiles metalliques du type poutrelle h ou i
JPS6186001A (ja) * 1984-10-02 1986-05-01 Nippon Kokan Kk <Nkk> 粗形鋼片の製造方法
SU1301501A1 (ru) * 1985-11-12 1987-04-07 В.П.Зайцев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калиброванных прокатных валков после их восстановлени
JPS63260610A (ja) * 1986-12-29 1988-10-27 Nippon Steel Corp フランジを有する形材のエッジング圧延ロール
JPH02187201A (ja) * 1989-01-13 1990-07-23 Sumitomo Metal Ind Ltd H形鋼の粗圧延方法
US5107695A (en) * 1989-10-17 1992-04-28 Jacky Vandenbroucke Roll former and/or cutter with quick automated tool
JP2712846B2 (ja) * 1991-02-08 1998-02-16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形鋼の圧延方法および圧延装置
JPH07106388B2 (ja) * 1991-02-26 1995-11-15 川崎製鉄株式会社 幅可変ローラ矯正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401A (ja) * 1989-06-13 1991-01-28 Sumitomo Metal Ind Ltd フランジを有する形材の熱間圧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791A (ko) 2021-08-31 2023-03-07 백종덕 신체단련을 위한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5914A (zh) 1998-03-11
WO1997023310A1 (fr) 1997-07-03
CN1081493C (zh) 2002-03-27
US5896770A (en) 1999-04-27
KR19980702362A (ko) 1998-07-15
TW377308B (en) 1999-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0605B1 (ko) 형강 압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4385512A (en) Tandem rolling mill train for metal plate and sheet
US35387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hannel steels
US4334419A (en) Method for rolling steel sections having flanges or flange-like portions
EP0756905A1 (en) Method of rolling shape having flange and web, and line of rolling apparatus
JPH07284801A (ja) H形鋼の圧延方法
JP3695289B2 (ja) 外法一定の平行フランジ溝形鋼とその製造方法
JP2522059B2 (ja) フランジを有する形材の熱間圧延方法
JPH11342401A (ja) 形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178404A (ja) 鋼製連壁用形鋼の製造方法
JPH0364201B2 (ko)
JPH05177205A (ja) 平鋼の圧延方法及びその圧延装置列
JP2530405B2 (ja) 溝形鋼の熱間圧延方法およびその圧延装置列
JPH02187201A (ja) H形鋼の粗圧延方法
JPH0550108A (ja) H形鋼圧延用エツジヤー圧延機
JPH09168801A (ja) 形鋼の圧延方法及びその装置
JPH0596301A (ja) H形鋼のエツジング圧延方法
JPS6293008A (ja) ウエブ高さの調整可能なh形鋼の圧延方法
JP2520528B2 (ja) 連続継手型形鋼の圧延方法
JPH07178406A (ja) 鋼製連壁用形鋼の製造方法
JP3582222B2 (ja) 形鋼用粗形鋼片の圧延方法
KR100214730B1 (ko) 에이치형 비임의 압연방법
JP2720750B2 (ja) H形鋼の圧延機列
JPH05329502A (ja) 連続壁用形鋼の圧延方法
JP3027503B2 (ja) 形鋼の圧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