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264B1 - 조절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자동차 시이트용 힌지 부착구 - Google Patents

조절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자동차 시이트용 힌지 부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264B1
KR100239264B1 KR1019930701333A KR930701333A KR100239264B1 KR 100239264 B1 KR100239264 B1 KR 100239264B1 KR 1019930701333 A KR1019930701333 A KR 1019930701333A KR 930701333 A KR930701333 A KR 930701333A KR 100239264 B1 KR100239264 B1 KR 100239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liding bearing
bearing
hinge member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1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2172A (ko
Inventor
에른스트 한스-헬무트
Original Assignee
구이쿠르본
페.아. 렌트로프, 후베르트 운트 바그너 파르조이가우스스타툰 겐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4129515A external-priority patent/DE4129515C2/de
Application filed by 구이쿠르본, 페.아. 렌트로프, 후베르트 운트 바그너 파르조이가우스스타툰 겐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구이쿠르본
Publication of KR930702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2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2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e.g. one gear without sun gear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차 좌석용 힌지 조립구는 좌석(212)에 결합된 고정 히지부(2)와 배후 등받침(213)에 결합된 선회 힌지부(1)을 구비한다. 양 힌지부는 편심륜(4)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서로 연결되고 진동기구의 일부를 형성하는 치차장치(1a, 2a)를 구비한다. 편심륜은 제1선회 베어링에서 하나의 힌지부(1)에 대해 제1선회축(20)둘레로 선회될 수 있고, 제2선회 베어링에서 또다른 힌지부(2)에 대해 제2선회축 둘레로 선회될 수 있다. 양선회 베어링은 서로에 대해 편심적으로 배치된다. 선회 베어링은 힌지부 및/또는 편심륜에 삽입된 평면 베어링 부싱(5, 6)에 의해 형성된다. 평면 베어링 부싱은 측정용 측정돌기에 의해 소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 각각의 평면 베어링 부싱의 주행면은 평면 베어링 부싱을 수용하는 힌지 조립구의 해당 축으로 부터 가장 작은 간격을 유지한다. 힌지 조립구는 단지 작은 축방향의 너비를 가지며, 사고중 발생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큰 힘에 대해서도 높은 내부 안정성을 가진다.
또한, 힌지 조립구는 간단한 제조공정으로 얻어질 수 있는 극히 감소된 베어링 간극을 가진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조절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용 힌지 부착구
[기술분야]
본 발명은 청구 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힌지 부착구(hinge fittings)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
자동차 시트용 힌지 부착구는 연간 수 백만 개의 대량 생산 부품으로 제조되고 있다. 또한, 현재 힌지 부착구의 조립은 스크린 검사를 이용하여 전자동으로 수행되고, 제조 기계 및 조립 장치로부터 최적으로 인출되는데 약 1시간이 걸린다. 이와 같이 주어진 상황에서, 힌지 부착구를 자동차의 시트에 끼워 넣을 때에 애초부터 높은 제조 공정의 신뢰도가 얻어져야만 조립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무엇보다도 장애가 없이 전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은 제조 공정의 신뢰도는 개개의 부품을 끼워 맞출 때의 여유 틈새를 상응하게 보다 더 크게 함으로써 비교적 쉽게 실현된다. 그러나, 자동차 시트용 힌지 부착구에 있어서, 힌지 부착구의 모든 여유 틈새의 합이 클 경우 등받이의 상연부에서 매우 크고 불쾌한 흔들림을 야기하기 때문에, 그 여유 틈새는 작은 크기로 한정되어야 한다. 등받이의 흔들림 허용 범위는 가능한 한 작게 유지되도록 요구되기 때문에, 힌지 부착구의 설계자는 가능한 한 작은 허용 오차를 얻으려고 애쓰게 된다. 이는 제조 공정의 신뢰도로서 지칭되는 대량 생산 부품의 자동화 제조시의 신뢰도와는 그 지향하는 바가 분명히 상충되는 것이다.
공지의 힌지 부착구(DE 제27 24 637)에서는, 편심륜이 과도하게 고정적으로 특정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이 편심륜을 과도하게 고정적으로 특정되어 설치하는 것은, 편심륜의 여러 측면에 설치되는 등받이 부착구의 장착용 판을 그 장착을 위한 보어(bore)들이 정확히 서로 정렬되도록 배치할 경우에만 장애 없는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이러한 정렬 조건은 대량 생산 체재에서 원하는 정도로 지켜질 수가 없다. 제대로 정렬이 되지 않았을 경우, 회전축이 비뚤어지게 되어 조절 작업이 곤란해지고, 이에 수반하여 편안한 느낌이 감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정렬 방식을 실제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장착을 위한 양 보어에서의 여유 틈새를 상응할 만큼 크게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원하는 조절의 용이성을 보장해 주지만, 등받이의 흔들림 정도가 원하지 않을 만큼 크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편심륜이 고정적으로 특정되어 설치된 또다른 공지의 힌지 부착구(DE 32 26 714 C2)에서는, 힌지 부재 하나당 하나의 베어링만이 제공된다. 등받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2개의 힌지 부재가 서로에 대해 뒤틀리게 되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생성된 힘은 베어링을 거쳐 편심륜의 회전축으로 전달된다. 이 때, 회전축을 뒤틀리게 하는 모멘트가 발생된다. 이러한 뒤틀림에 의해, 베어링이 기울어지게 되고, 그 결과 조절이 곤란해진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베어링이 기름에 의해 윤활되는 중첩된 강 재질의 베어링에 의해 형성될 경우에 가중된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전술한 선행 기술로부터 출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의 힌지 부착구를 힌지 부착구에 관련된 공지의 단점이 제거되도록 구성하는 데 있다. 베어링부에서의 허용 오차가 비교적 작게 유지되는 경우에도 조절이 용이하게 될 수 있는 힌지 부착구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비교적 적은 제조 비용으로 베어링 틈새의 허용 오차를 그와 같이 매우 작게 한정하면서도, 개개의 부품의 제조 및 조립시에 높은 제조 공정의 신뢰도를 달성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 범위 제1항의 특징부에 기재된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항에는 힌지 부착구의 적합한 다른 구성들이 기재되어 있다.
힌지 부재에 삽입되는 미끄럼 베어링 부시에 의한 피벗 베어링의 구성 및 그 배열과, 그러한 피벗 베어링의 가소적인 압축성에 의해 현격한 장점이 제공된다.
저렴하게 스탬핑 가공된 박판 금속과 함께 미끄럼 베어링 부시를 사용하는 것으로도 이미 매우 유리한 장점이 주어진다. 큰 미끄럼 베어링이 이보다 작은 미끄럼 베어링을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에워싸도록 미끄럼 베어링 부시를 구성하고, 하나의 공통의 평면이 미끄럼 베어링 부시뿐만 아니라 연동하는 톱니바퀴를 통해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이에 따라 편심륜의 기울어짐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구조물 전체의 축방향 폭이 단지 작은 크기에 불과하게 되고, 사고시 작용할 수 있는 큰 힘에 대한 힌지 부착구의 내부 안정성이 높아진다.
미끄럼 베어링 또는 미끄럼 베어링 부시는 교정(矯正) 맨드릴(calibrating mandrel)에 의해 교정될 수 있다. 이는, 한편으로 베어링의 허용 오차를 매우 작게 해주는 동시에 저렴한 제작을 가능하게 해주고, 다른 한편으로는 얻고자 하는 높은 제조 공정의 신뢰도를 달성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미끄럼 베어링 부시는 경화 처리되지 않은 슬라이딩 부재(sliding member)와 연동할 수 있다. 경화 처리를 생략함으로써, 경화 처리에 따른 뒤틀림 발생과 관련한 결함이 완전히 없어지게 된다. 또한, 경화 처리되지 않은 개개의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요구되는 높은 제조 공정의 신뢰도도 증대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미끄럼 베어링 부시는 적합하게는 베어링 체적의 약90%를 차지하고,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강철 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강철 링상에는 베어링 체적의 약 9%의 구리층이 피복되고, 다시 그 위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ethylen, PTFE)과 납으로 구성된 약 1%의 슬라이딩 층이 피복된다. 미끄럼 베어링 중에서 강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체적부는 미끄럼 베어링이 소정의 한계 내에서 교정될 수 있도록 해준다. 따라서, 미끄럼 베어링 부시의 체적의 약 10%가 가소적으로(plastically) 압축될 수 있다. 조립 및 교정후, 베어링의 직경은 일천 부의 수 밀리미터의 정밀도를 가지게 된다. 전자동 조립 공정 중, 교정 맨드릴을 베어링을 통해 찔러 넣으면, 이에 의해 제작상 요구되는 최소 치수를 확실히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편심륜도 원하는 최소의 베어링 여유 틈새를 두고 조립될 수 있고, 특히 편심륜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된다. 베어링의 교정이 가능해짐으로써, 제조 공정에서의 정밀도가 높아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여유 틈새가 감소되는 동시에 제조 공정의 신뢰도가 증대된다.
조립 공정 중에 베어링부의 정밀도를 추가적으로 증대시키는 것은 힌지 부착구에 관한 해당 선행 기술에서 공지된 바가 없다. 종래에는, 사용되는 베어링 자체 및 이에 부속된 베어링 수납부의 정밀도를 통해 베어링부의 정밀도를 결정하는 선행 기술만이 다수 있었다. 교정된 베어링부의 정밀도에 의해, 부착구의 작동 모멘트가 인체 공학적으로 요구되는 것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내장된 마찰 브레이크에 의해, 인위적으로 제공해야 할 제동 모멘트에 사용될 수 있는 예비 모멘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적합한 구성은 청구 범위의 종속항 및 첨부 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힌지 부착구와 함께 자동차 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2도는 힌지 부착구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며,
제3도는 힌지 부착구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고,
제4도는 힌지 부착구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이며,
제5도는 힌지 부착구의 제4실시예의 단면도이고,
제6도는 교정 맨드릴과 함께 나타낸 제1힌지 부재 및 제2힌지 부재의 부분 구역의 단면도이며,
제7도는 힌지 부착구의 제5실시예를 제5도와 유사하게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8도는 2개의 교정 맨드릴과 함께 나타낸 2개의 힌지 부재의 부분 구역의 제6도와 유사한 단면도이며,
제9도는 제7도에 따른 편심륜용 캐리어의 변형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제10도는 전기 구동 장치용으로 구성된 캐리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제11도는 전기 구동 장치용으로 또는 핸들 휠 구동 장치용으로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캐리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제12도는 동일한 시트에 설치되어 연결 로드를 개재하여 공동으로 선회하는 2개의 힌지 부착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
첨부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서로 대응하는 부품은 동일한 도면 부호 또는 프라임(')부호로 지시되거나 100을 더한 수의 도면 부호로 지시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힌지 부재(2)는 자동차 시트의 착석부(212)에 결합되는 반면에, 힌지 부재(1)는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213)에 결합된다. 제5도 내지 제12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자동차 시트의 착석부에 고정 결합된 힌지 부재는 도면 부호 "102"로 지시되고, 자동차 시트의 배후 등받이(213)에 결합된 힌지 부재는 도면 부호"101"로 지시된다. 착석부에 고정된 힌지 부재(2, 102)는 부착 부재(210)에 견고히 고정되고, 부착 부재(210)는 배후 등받이(213)를 접거나 펴기 위해 회전축(214)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배후 등받이(213)의 록킹은 래칫(211)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서 이루어진다.
핸들 휠(209)은 편심륜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된다.
힌지 부착구의 주요 고조는 여러 단면도들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우선,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힌지 부재(1, 2)는 엇걸려 각각 배치된 2세트의 톱니바퀴를 각각 구비한다. 힌지 부재(1)는 엇걸려 배열된 톱니 열(1a, 1b)을 구비하는데, 톱니 열(1a)은 톱니 열(1b)보다 작은 기준 직경을 갖는다. 힌지 부재(2)에도 역시 상이한 기준 직경을 갖고 엇걸려 배열된 톱니바퀴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 톱니바퀴는 도면 부호 "2a" 및 "2b"로 각각 지시된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톱니 열(1a, 1b)이 상부 구역에 서는 톱니 열(2a, 2b)과 맞물리는 반면에, 하부 구역에서는 상호 맞물리지 않는다. 연동하는 상기 톱니 열은 자동차 시트용 힌지 부착구의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사판식 전동 기구(wobble mechanism)의 톱니바퀴 부분으로 형성된다.
힌지 부재(1)는 지지체 보어(7a)가 마련되어 있는 지지체(7)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7)의 외측 연부에는 미끄럼 베어링 부시(5)가 설치되며, 이 베어링 부시(5)는 지지체 보어(7a) 및 회전축(20)에 대해 동심원적으로 연장한다.
미끄럼 베어링 부시(5)에는 편심륜(4)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편심륜(4)의 회전은 구동 샤프트(도시 생략)에 의해 중앙 사각형부를 개재하여 수행된다.
상기 편심륜(4)은, 이것의 외측에 편심된 면을 포함한 모든 면들이 힌지 부재(2)에 고정된 미끄럼 베어링 부시(6)와 접한다. 미끄럼 베어링 부시(5, 6)는 편심되게 서로 오프셋 되어 있다. 미끄럼 베어링 부시(5, 6)의 배열은, 이들 미끄럼 베어링 부시뿐만 아니라 톱니 열(1a, 1b)이 회전축(20)에 수직하게 연장하는 공통의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선택되어 있다.
힌지 부재(2)에는 스토퍼(stop)부재로서의 역할을 하는 사발 모양의 체결판 (3)이 고정되어 있다. 체결판(3)의 내측으로 향하는 평평한 측면과, 이 측면에 대향되어 평행하게 연장하는 편심륜(4)의 관절 부분 사이에는 브레이크 디스크(10)가 배치되어 있다. 편심륜(4)은 브레이크 디스크(10)에 의해 지지체(7)의 원주 리브( 7b)에 반발하게 압박된다. 편심륜(4)의 구동에 의해 힌지 부재들이 서로에 대해 회전될 때, 브레이크 디스크(10)의 평평한 단부면이 제동 작용을 하게 된다.
편심륜(4)은 지지체 보어(7a)내에서 틈새를 두고 안내되는 파형부(8a)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은 전체 구조가 매우 얇아지도록 한다.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부재(1, 2), 톱니 열(1a,2a), 미끄럼 베어링 부시(5,6)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1실시예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이한 점으로는, 우선 파형부(8')를 구비하는 편심륜(4')의 구성을 들 수 있다. 파형부(8')의 단부에는 톱니바퀴(11) 및 사각형의 스프로킷(9')이 설치되어 파형부(8')의 구동은 구동 모터에 의해, 또는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파형부(8')는 지지체 보어(7a)내에서 지지된다. 파형부(8')는 사각형부를 개재하여 억지 끼워 맞춤식으로 편심륜(4')에 결합된다. 편심륜(4')은, 그 외측면이 미끄럼 베어링(6)으로 연장하고, 그 내측면이 미끄럼 베어링(5)으로 연장하도록 되어 있다. 편심륜의 파형부(8')의 단부면에는 구형의 돌출부(12)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12)는 힌지 부재(2)에 고정 결합된 사발 모양의 체결판(3')에 반발하게 접한다. 체결판(3')과 대면하는 편심륜(4')의 단부면과 체결판(3')의 내측면 사이에는 브레이크 디스크로서의 역할을 하는 파형 디스크(10')가 마련되어 있다. 편심륜(4')의 단부면(13)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10')에 의해 힌지 부재(1)에 반발하게 압박된다.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상이점으로는 편심륜의 구성, 힌지 부재(1')의 구성 및 브레이크 디스크(10")의 배열을 들 수 있다.
힌지 부재(1')는 고정형 허브(14)를 구비한다. 편심륜(4")은 회전축(20)에 대해 동심원적으로 설치된 미끄럼 베어링(5)에 내측으로 지지된다. 편심륜(4")의 편심된 외측 부위는 힌지 부재(2)에 고정된 미끄럼 베어링(6)에 대해 활주한다.
힌지 부재(2)에 고정된 체결판(3")은 그 단부면에 의해 편심륜(4")을 브레이크 디스크(10")쪽으로 가압한다. 편심륜의 구동은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편심륜(4")에 마련된 사각형의 스프로킷(9)을 개재하여 수행된다.
그 다음, 제5도 내지 제12도에 도시된 힌지 부착구는 2개의 힌지 부재(101, 102)를 구비한다. 힌지 부재(102)는 자동차 시트의 고정된 착석부에 결합되는 반면, 힌지 부재(101)는 자동차 시트의 선회 가능한 배후 등받이에 고정 결합된다.
2개의 힌지 부재는 엇걸려 배열된 2세트의 톱니바퀴를 각각 구비한다. 힌지 부재(101)는 엇걸려 배열된 톱니 열(101a, 101b)을 구비하는 데, 톱니열(101a)은 톱니 열(101b)보다 작은 기준 직경을 갖는다. 힌지 부재(102)에도 역시 상이한 기준 직경을 갖고 엇걸려 배열된 톱니바퀴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 톱니바퀴는 도면 부호"102a" 및 "102b"로 각각 지시된다.
도시된 상기 실시예에서는, 톱니 열(101a, 101b)이 상부 구역에서는 톱니열 (102a, 102b)과 맞물리는 반면에, 하부 구역에서는 상호 맞물리지 않는다. 연동하는 톱니 열은 자동차 시트용 힌지 부착구의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은 사판식 전동 기구의 톱니바퀴 부분으로 형성된다.
힌지 부재(101)는 지지체 보어(107a)가 마련되어 있는 칼라 또는 지지체 (107)를 포함한다. 지지체 보어(107a)에는 미끄럼 베어링 부시(105)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미끄럼 베어링 부시(105)는 지지체 보어(107a) 및 선회 가능한 힌지 부 재(101)의 회전축(120)에 대해 동심원적으로 연장한다. 상기 지지체(107)는 외경부(107b)를 구비한다.
미끄럼 베어링 부시(105)에는 대략 디스크형으로 형성된 편심륜(104)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편심륜의 회전은 구동 샤프트(도시 생략)에 의해 중앙 사각형의 보어(109)를 개재하여 수행된다. 상기 편심륜(104)은, 이것의 외측에 편심된 면을 포함한 모든 면들이 힌지 부재(102)의 중앙 보어(126)에 장착된 미끄럼 베어링 부시(106)상에 지지된다. 미끄럼 베어링 부시(105, 106)의 배열은, 이들 미끄럼 베어링 부시뿐만 아니라 톱니 열(101a 또는 101b)이 회전축(120)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공통의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선택되어 있다.
중앙 보어(126) 또는 미끄럼 베어링 부시(106)의 축은 도면 부호"121"로 지시된다.
힌지 부재(102)에는 체결판(103)이 고정되어 있다. 이 체결판(103)의 평평한 내측면과 이에 대향하는 편심륜(104)의 평평한 부위 사이에는 환형의 브레이크 디스크(110)가 설치되어 있다. 편심륜(104)의 원통형 부위는 도면 부호"108"로 지시되어 있으며, 이 부위(108)는 지지체(107)의 외경부를 작은 틈새를 두고 에워싼다. 원통형 부위(108)의 중심 축은 상기 회전축(120)과 일치한다.
제6도에는 2개의 힌지 부재(101, 102)가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또 교정 맨드릴(122, 123)도 도시되어 있다. 미끄럼 베어링 부시(106)는 힌지 부재(1 02)의 중앙 보어(126)에 장착되고, 이어서, 교정 맨드릴(123)에 의해 교정된다. 소형의 미끄럼 베어링 부시(105)의 교정도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면 되는데, 교정 맨드릴(122)에 의한 교정을 행하기 전에 먼저 상기 미끄럼 베어링 부시를 지지체(107a)에 장착시킨다. 미끄럼 베어링 부시(105, 106)의 장착 작업과 이에 후속한 교정 작업을 단 1회의 작업으로 행할 수 있게 한 조립 장치가 시판되고 있다.
제7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힌지 부재가 각각 하나의 톱니 열만을 구비하고, 편심륜(104)이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107)의 외경부(107b)는 소형의 미끄럼 베어링 부시(105)와 대면하면서 연장한다. 상기 환형의 편심륜(104)은 정교한 스탬핑 가공 혹은 소결 가공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편심륜(104')은 캐리어(124)의 해당 구멍(125)에 삽입될 구동 핀(104a)을 구비한다. 구동은 연결 로드(도시생략)에 의해 캐리어(124)의 사각형부(109')를 개재하여 수행된다.
제8도는 환형 편심륜(104')과 이와 연관된 교정 맨드릴(122')과, 그리고 삽입된 상태의 미끄럼 베어링(106)과 교정 맨드릴(123)이 마련되어 있는 힌지 부재( 102)를 도시하고 있다. 미끄럼 베어링 부시(105)의 교정된 베어링 직경(105a)은 교정 맨드릴(122')에 의해 형성되고, 미끄럼 베어링 부시(106)의 교정된 베어링 직경(106a)은 교정 맨드릴(123)에 의해 형성된다.
제9도 내지 제11도는 환형의 편심륜(104')과 협동하는 캐리어(124', 124", 124"')의 여러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여러 구성의 캐리어는 예컨대, 아연판 프레스 성형 부재 또는 플라스틱 부재로서 매우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9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캐리어(124')연결 로드(111, 제12도 참조)를 수납하기 위한 사각형의 보어(109')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124')는 핸들 휠과의 결합을 위한 경사면(130)을 구비한다. 배후 등받이의 반대편 사이드에 설치되는 힌지 부착구에는 제12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간단한 캐리어(124)만이 마련되어 있다.
제10도는 톱니바퀴(127)를 구비하는 전기 구동 장치용 캐리어(124")를 도시하고 있다. 이 톱니바퀴(127)에는 전동 모터의 피니언이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연결 로드(111)의 수납을 위한 사각형 수켓 보어(109")가 마련되어 있다.
제1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캐리어(124"')가 도시되어 있다. 이 캐리어(124"')의 양측에는 스플라인 형상부(128, 128')를 구비한 수납 보어가 마련되어 있다. 이 수납 보어에는 여러 구성 부재가 압입되거나, 예컨대 클립 결합과 같은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좌측에는 스플라인축(129)을 구비한 핸들 휠 홀더(130')가 도시되어 있고, 우측에는 톱니 형상부(13 2)를 구비한 톱니 벨트 허브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의 구동은, 오프셋 되어 배열된 핸들 휠에 의해 톱니 벨트를 개재하여 톱니 형상부(132)를 통해 수행된다.
제11도에 따른 구성은, 부착구가 다양한 주문자의 요구에 맞춰 조립되는 일체형 캐리어(124"')를 구비할 수 있음을 설명해 주고 있다.
끝으로, 제12도에는 부착구의 좌측 및 우측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생략된 각각의 배후 등받이용 프레임이 부착구의 선회 가능한 힌지 부재(101)에 결합된다. 연결 로드(111)는 편심륜(104)의 사각형 보어(109) 또는 캐리어(124)의 사각형 보어(109')에 지지된다. 좌측 사각형부(111b)는 보다 더 길게 구성되어 있고, 이곳에 조절용 핸들 휠이 설치될 수 있다. 연결 로드(111)에 의해, 양 부착구에서의 조절 작업이 각각 동시에 진행되어 등받이가 완전히 균일하게 기울어질 수 있게 보장된다.

Claims (10)

  1. 자동차 시트의 착석부에 고정 힌지 부재와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에 부착된 선회 가능한 힌지 부재가 편심륜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2개의 힌지 부재는 서로 맞물리며 사판식 전동 기구의 일부를 형성하는 톱니바퀴를 구비하여, 상기 편심륜은 제1 피벗 베어링에서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나의 힌지 부재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제2 피벗 베어링에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또 다른 힌지 부재에 대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피벗 베어링은 서로에 대해 편심되게 배치되어 있는, 조절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용 힌지 부착구에 있어서, 상기 피벗 베어링은 힌지 부재(1, 2, 101, 102)와 편심륜(4, 4', 4")중의 하나 이상에 삽입된 미끄럼 베어링 부시(6, 5, 106, 105)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비벗 베어링의 베어링면은 각각의 미끄럼 베어링 부시를 수용하는 힌지 부재에 부속된 축으로부터 최소의 간격으로 유지되며, 상기 미끄럼 베어링 부시는 교정을 위해 교정 맨드릴에 의해 가소적으로 압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부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베어링 부시(6, 5, 106, 105)의 체적의 약 10%가 가소적으로 압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부착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의 공통의 평면이 상기 미끄럼 베어링 부시(6, 5, 106, 105) 및 상호 연동하는 톱니바퀴(1a/2a, 101a/102a)를 통해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부착구.
  4. 제1항에 있어서, 내측 미끄럼 베어링 부시(5, 105)는 힌지 부재(1, 101)의 지지체 보어(7a, 107a)의 지지체(7,107)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부착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베어링 부시(6, 5, 106, 105)의 베어링면은 힌지 부재(2, 1)의 경화 처리되지 않은 미끄럼 베어링면과 상호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부착구.
  6. 제1항에 있어서, 힌지 부착구에 마찰 브레이크(10, 11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부착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브레이크(10, 110)는 브레이크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부착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브레이크(10, 10', 110)는 일측으로 힌지 부재 또는 힌지 부재(2, 102)에 고정 결합된 부위(3, 3', 103)에 접하고, 타측으로 편심륜(4, 4', 104)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부착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륜(4, 104)의 외경부는 외측 미끄럼 베어링 부시 (6, 106)의 베어링면 상에서 활주하고, 편심륜(4, 104)의 내측 부위에 형성된 또 다른 외경부는 내측 미끄럼 베어링 부시(5, 105)의 베어링면 상에서 활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부착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륜(4, 4', 104)에는 원통형 부위(8, 8', 108)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형 부위(8, 8', 108)의 중심 축은 상기 회전축(20, 120)과 일치하며, 상기 원통형 부위(8, 8', 108)는 이것을 둘러써는 힌지 부재(1)의 지지체 보어 내에 작은 틈새를 두고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부착구.
KR1019930701333A 1991-09-05 1992-08-31 조절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자동차 시이트용 힌지 부착구 KR100239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129515A DE4129515C2 (de) 1991-09-05 1991-09-05 Verstellbeschlag für Kraftfahrzeugsitze
DEP4129515.3 1991-09-05
DEP4138420.2 1991-11-22
DE4138420A DE4138420C2 (de) 1991-09-05 1991-11-22 Verstellbeschlag für Kraftfahrzeugsitze
PCT/EP1992/002002 WO1993004891A1 (de) 1991-09-05 1992-08-31 Gelenkbeschlag für kraftfahrzeugsitz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2172A KR930702172A (ko) 1993-09-08
KR100239264B1 true KR100239264B1 (ko) 2000-01-15

Family

ID=25907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1333A KR100239264B1 (ko) 1991-09-05 1992-08-31 조절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자동차 시이트용 힌지 부착구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452938A (ko)
EP (1) EP0556364B1 (ko)
JP (2) JPH06501642A (ko)
KR (1) KR100239264B1 (ko)
AU (1) AU647965B2 (ko)
BR (1) BR9205387A (ko)
CA (1) CA2090310C (ko)
CZ (1) CZ282896B6 (ko)
DE (2) DE4138420C2 (ko)
ES (1) ES2072153T3 (ko)
MX (1) MX9205075A (ko)
SK (1) SK280525B6 (ko)
TR (1) TR25969A (ko)
WO (1) WO199300489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9668A3 (en) * 2007-12-17 2009-10-08 Rajasingham Arjuna Indraeswara Vehicle occupant support
CN101945776A (zh) * 2008-01-23 2011-01-12 阿尤纳·因德拉斯瓦兰·拉贾辛加姆 运载工具乘员支撑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11214C2 (de) * 1994-03-31 1997-10-23 Keiper Recaro Gmbh Co Gleitlager an einem Fahrzeugsitz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s Gleitlagers
FR2743764B1 (fr) * 1996-01-22 1998-04-03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Mecanisme d'articulation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comportant un tel mecanisme
DE19740850C2 (de) * 1997-09-17 2000-07-13 Faure Bertrand Sitztech Gmbh Verstellbeschlag zur Neigungsverstellung der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sitzes
FR2770810B1 (fr) * 1997-11-07 2000-01-14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Mecanisme d'articulation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 tel mecanisme
US6546595B2 (en) * 2000-04-27 2003-04-15 Moeller Marine Products Hinge
DE10115667B4 (de) * 2001-03-29 2006-05-04 Keiper Gmbh & Co.Kg Vorrichtung, insbesondere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120854C1 (de) * 2001-04-27 2002-08-08 Keiper Gmbh & Co Getriebebeschlag für eine Fahrzeugsitzeinstellvorrichtung
DE10312136B4 (de) * 2003-03-19 2006-06-29 Johnson Controls Gmbh Anordnung zur Feststellung und Neigungsverstellung an einem Fahrzeugsitz sowie Montageverfahren für diese Anordnung
DE10323450B3 (de) * 2003-05-23 2005-01-05 Keiper Gmbh & Co. Kg Beschlagsystem für einen Fahrzeugsitz
JP2005211142A (ja) * 2004-01-27 2005-08-11 Aisin Seiki Co Ltd 角度調整装置
DE102004062049A1 (de) * 2004-12-23 2006-07-06 Keiper Gmbh & Co.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4062050B4 (de) * 2004-12-23 2006-12-07 Keiper Gmbh & Co.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6023363B4 (de) * 2006-05-17 2010-08-12 Johnson Controls Gmbh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WO2008106936A1 (de) * 2007-03-03 2008-09-12 Faurecia Autositze Gmbh Lagerbolzen-bauteil und fahrzeugsitz mit einem lagerbolzen-bauteil
WO2011104862A1 (ja) * 2010-02-26 2011-09-01 株式会社今仙電機製作所 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20120153698A1 (en) * 2010-12-21 2012-06-21 Imasen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lining apparatus
DE102012000296B4 (de) 2011-10-25 2020-08-27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FR2990390B1 (fr) * 2012-05-11 2015-06-2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Articulation debrayable pour siege et siege muni d'une telle articulation
US9475409B2 (en) * 2013-06-17 2016-10-25 Hubei Aviation Precision Machinery Technology Co., Ltd. Seat recliner and oil collecting element
FR3024682B1 (fr) * 2014-08-11 2018-03-02 Faurecia Sieges D'automobile Ensemble d'articulation, articulation pour un tel ensemble et siege de vehicule comprenant un tel ensembl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80128A1 (de) * 1951-01-28 1971-11-11 Keiper Fa F Gelenkbeschlag fuer Sitze mit verstellbarer Lehne,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e
SE7607337L (sv) * 1976-06-28 1977-12-29 Atlas Copco Ab Sett och anordning for brytning av ett fast material
DE2724637A1 (de) * 1977-06-01 1978-12-14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Gelenkbeschlag fuer sitze mit verstellbarer rueckenlehne,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e
EP0076615A3 (en) * 1981-10-07 1984-04-25 L.C.P. Steel Products Limited Seat reclining mechanism
DE3226714C2 (de) * 1982-07-16 1986-09-18 P.A. Rentrop, Hubbert & Wagner Fahrzeugausstattungen Gmbh & Co Kg, 3060 Stadthagen Gelenkbeschlag für Kraftfahrzeugsitze mit verstellbarer Lehne
DE3227222C1 (de) * 1982-07-21 1984-05-03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 Co Kg, 5630 Remscheid Gelenkbeschlag fuer Sitze mit verstellbarer Rueckenlehne,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e
DE3415929A1 (de) * 1984-04-28 1985-10-31 Glyco-Metall-Werke Daelen & Loos Gmbh, 6200 Wiesbaden Hochbelastbares gleitlager mit inhomogener gleitschicht
EP0207183B1 (de) * 1985-07-02 1988-08-31 KEIPER RECARO GmbH & Co. Gelenkbeschlag für Sitze mit verstellbarer Rückenlehne,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sitze
DE3574691D1 (de) * 1985-07-02 1990-01-18 Keiper Recaro Gmbh Co Drehgelenk fuer sitze mit verstellbarer rueckenlehne.
FR2607761B1 (fr) * 1986-12-03 1990-08-17 Tubauto Articulation continue pour siege de vehicule a rattrapage automatique des jeux
DE3705116C2 (de) * 1987-02-18 1996-08-14 Keiper Recaro Gmbh Co Verstellbeschlag für Sitze mit neigungsveränderbarer Rückenlehne
DE3709403A1 (de) * 1987-03-21 1988-09-29 Keiper Recaro Gmbh Co Drehgelenk, insbesondere fuer sitze mit verstellbarer lehne
DE8705554U1 (ko) * 1987-04-14 1987-06-04 Keiper Recaro Gmbh & Co, 5630 Remscheid, De
US4943116A (en) * 1987-12-29 1990-07-24 Akira Ohwada Reclining angle adjustment device
DE3941215C2 (de) * 1989-12-14 1995-07-20 Keiper Recaro Gmbh Co Rücklehnenverstellbeschlag für Sitze,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e
DE4032603C2 (de) * 1990-10-15 1994-12-01 Keiper Recaro Gmbh Co Gelenkbeschlag für Sitze,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e mit verstellbarer Rückenlehne
FR2684154A1 (fr) * 1991-11-21 1993-05-28 Staubli Sa Ets Reducteur de vitesse du type cyclouidal pour robots et autres manipulateurs industrie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9668A3 (en) * 2007-12-17 2009-10-08 Rajasingham Arjuna Indraeswara Vehicle occupant support
CN101945776A (zh) * 2008-01-23 2011-01-12 阿尤纳·因德拉斯瓦兰·拉贾辛加姆 运载工具乘员支撑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3004891A1 (de) 1993-03-18
SK43893A3 (en) 1993-08-11
US5452938A (en) 1995-09-26
EP0556364A1 (de) 1993-08-25
CZ282896B6 (cs) 1997-11-12
ES2072153T3 (es) 1995-07-01
BR9205387A (pt) 1994-06-21
AU647965B2 (en) 1994-03-31
AU2482792A (en) 1993-04-05
CZ82793A3 (en) 1993-10-13
DE59202088D1 (de) 1995-06-08
SK280525B6 (sk) 2000-03-13
TR25969A (tr) 1993-09-27
CA2090310A1 (en) 1993-03-06
MX9205075A (es) 1993-05-01
DE4138420C2 (de) 2001-03-08
KR930702172A (ko) 1993-09-08
DE4138420A1 (de) 1993-05-27
JPH06501642A (ja) 1994-02-24
EP0556364B1 (de) 1995-05-03
CA2090310C (en) 2002-02-05
JP2593363Y2 (ja) 1999-04-05
JPH1110U (ja) 199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9264B1 (ko) 조절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자동차 시이트용 힌지 부착구
US8783774B2 (en) Drive unit for a vehicle seat
KR101313127B1 (ko) 차량 좌석용 피팅 시스템
US6805650B2 (en) Planocentric disc recliner
KR101354596B1 (ko) 차량 시트용 피팅
KR101279444B1 (ko) 차량 시트용 피팅
JP5467104B2 (ja) 可調整取付け具
US7041024B2 (en) Step down gear train, more specifically for an adjust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seat
JP5449582B2 (ja) 車両シート用の取付具
US7235030B2 (en) Step down gear train for an adjusting device of an automotive vehicle seat
JP2007521894A (ja) 車両座席用取り付け具
JPH0464244B2 (ko)
CN115320460A (zh) 一种连续式座椅楔块偏心结构调角器
CN115107597B (zh) 一种小型连续型调角器
KR20100065379A (ko) 요동 기구
JP3536264B2 (ja) 調節可能な背もたれを持つ座席用継手金具
KR101617672B1 (ko) 차량 시트 피팅의 제조 방법
JPH06165715A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H05505327A (ja) 自動車座席の連結式ジョイント取付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