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6076B1 - 반도체소자의 배선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소자의 배선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6076B1
KR100236076B1 KR1019970038880A KR19970038880A KR100236076B1 KR 100236076 B1 KR100236076 B1 KR 100236076B1 KR 1019970038880 A KR1019970038880 A KR 1019970038880A KR 19970038880 A KR19970038880 A KR 19970038880A KR 100236076 B1 KR100236076 B1 KR 100236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wiring
semiconductor device
forming
condu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350A (ko
Inventor
강동만
강정호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38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6076B1/ko
Priority to US08/956,387 priority patent/US6146999A/en
Priority to JP10010183A priority patent/JP2942231B2/ja
Publication of KR19990016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86Modifying permanently or temporarily the pattern or the conductivity of conductive members, e.g. formation of alloys, reduction of contact resistances
    • H01L21/76892Modifying permanently or temporarily the pattern or the conductivity of conductive members, e.g. formation of alloys, reduction of contact resistances modifying the pattern
    • H01L21/76894Modifying permanently or temporarily the pattern or the conductivity of conductive members, e.g. formation of alloys, reduction of contact resistances modifying the pattern using a laser, e.g. laser cutting, laser direct writing, laser repai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3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 H01L21/285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 H01L21/28506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 H01L21/28512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o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01L21/28518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o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the conductive layers comprising silic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with adaptable inter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3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53204Conductive materials
    • H01L23/53209Conductive materials based on metals, e.g. alloys, metal silicides
    • H01L23/53257Conductive materials based on metals, e.g. alloys, metal silicides the principal metal being a refractory 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금속간을 연결하는 배선공정에 있어서 연결하고자 하는 금속들간의 사이에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결합력이 우수한 전도성물질을 형성하는데 적당한 반도체소자의 배선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반도체기판상에 복수개의 금속라인들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금속라인을 포함한 전면에 제 1 전도성물질을 증착하는 공정과, 서로 연결시키고자 하는 금속라인들 사이의 제 1 전도성물질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제 2 전도성물질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전도성물질 이외의 제 1 전도성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반도체소자의 배선형성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게이트 어레이(Gate Array)형성시 TAT(Turn Around Time)단축 및 새로이 추가되는 마스크없이 공정을 간략화하는데 적당한 반도체소자의 배선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게이트 어레이의 동작은 병렬적으로 나열된 복수개의 게이트들을 배선을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동작시키는 것이다.
배선을 어떻게 연결하느냐에 따라 어떠한 소자로서 동작할 것인지가 결정된다.
즉, 기존의 스텐다드(standard)셀과 비교할 경우 기존의 스텐다드 셀은 소자 및 배선구조을 미리 결정하여 칩을 제조하는 방식인 반면에 게이트 어레이는 병렬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게이트 및 소자를 미리 형성한 다음 칩(chip)을 장착할 제품의 사향에 맞추어 배선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이하, 종래 반도체소자의 배선형성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배선형성방법은 미리 소자공정까지 완료한 후 커스터머(customer)의 요구가 있을 때까지 이후의 모든 공정은 대기상태가 된다.
즉, 소자공정을 완료하고 소자와 배선을 연결해주는 콘택홀 형성전에 서로 다른 배선 레이아웃을 갖는 커스터머들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일단 공정진행을 중단한 다음 커스터머들의 요구를 기다리게 된다.
그러므로 최종적으로 공정을 중단하는 시점은 소자공정 후 층간절연막 형성 이후부터이다.
이와같은 종래 반도체소자의 배선형성방법을 도 1a 내지 1d에 나타내었다.
도 1a 내지 1d는 종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배선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이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같이 웨이퍼(11)상에 제 1 금속층을 형성한 후 제 1 금속층위에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다.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 포토레지스트를 패터닝한 후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트를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 1 금속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복수개의 제 1 금속배선(13)들을 형성한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 금속배선(13)들을 포함한 웨이퍼(11)전면에 제 1 층간절연층(15)을 형성한다.
상기의 공정이 완료되었으면 공정을 중단하고 커스터머의 요구를 기다렸다가 커스터머로부터 제공된 배선 레이아웃에 따라 상기 제 1 층간절연층(15)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즉, 복수개의 제 1 금속배선(13)들중 임의의 제 1 금속배선(13)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제 1 층간절연층(15)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여기서 임의의 제 1 금속배선이라함은 커스터머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배선형성에 요구되는 금속배선을 말한다.
노출된 제 1 금속배선(13)을 포함한 전면에 제 1 텅스텐(17)을 증착한 후 에치백한다.
이어, 도 1c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 텅스텐(17) 및 제 1 층간절연층(15)을 포함한 전면에 제 2 금속층을 형성한 후 이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제 2 금속배선(19)들을 형성한다.
이때 제 2 금속배선(19)들중 어느하나와 상기 임의의 제 1 금속배선(13)과는 제 1 텅스텐(17)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d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2 금속배선(19)들을 포함한 전면에 제 2 층간절연층(21)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2 금속배선(19)들중 어느하나의 제 2 금속배선(19)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제 2 층간절연층(21)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이때에도 커스터머의 요구에 따라 어느하나의 제 2 금속배선(19)을 선택한다.
이후 노출된 제 2 금속배선(19) 및 제 2 층간절연층(21)을 포함한 전면에 제 2 텅스텐(23)을 증착한 후 에치백한다.
이와같은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다층의 금속배선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2는 종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배선형성방법을 나나탠 거승로서 이는 미국 Light speed 사에서 제시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Light speed 사에서 제시한 방법은 배선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두 금속간을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직접 연결시키는 방법이다.
즉, 하부 금속라인(31)과 그 상부에 층간절연층(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을 개재하여 형성된 상부의 금속라인(33)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비아콘택홀(35)을 형성한다.
그리고 배선공정시 비아콘택홀(35)과 연결된 금속(37)과 상기 상부의 금속라인(33)을 연결한다.
이때 두 금속(33,37)이 연결될 부위(점선으로 표시)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두 금속(33,37)을 직접 연결시킨다.
이는 종래 제 1 실시예에 비해 금속 패터닝까지 완료한 후 레이저를 이용한 배선공정을 통해 TAT를 단축시키고자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반도체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소자공정이 완료된 이후 커스터머의 요구가 있을때까지는 이후의 공정을 진행할 수 없기 때문에 최초공정에서부터 하나의 칩(chip)으로 완성되기까지 걸리는 시간(TAT)이 많이 소요된다.
둘째, 종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과 금속을 직접 연결시킴으로써 두 금속간의 접촉이 불량하여 소자의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셋째, 종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7∼12V에서 프로그램이 이루어지므로 0.5㎛이하 즉, 0.35㎛, 0.25㎛ 등의 미세선폭을 갖는 소자에서는 고전압에 의한 정션 브렉다운(Junction Breakdown)이 생겨 0.5㎛이하에서는 FPGA 칩(chip)으로 사용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TAT를 단축시키고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미세선폭의 소자에서도 FPGA를 적용할 수 있는 반도체소자의 배선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1d는 종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 배선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
도 2는 종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 배선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레이아웃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배선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반도체소자 배선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레이아웃의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반도체소자의 배선구조에 따른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7,23 : 제 1, 제 2 텅스텐 35 : 비아콘택홀
41 : 웨이퍼 43 : 금속라인
45 : 제 1 전도성물질 45a : 제 2 전도성물질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소자 배선형성방법은 반도체기판상에 복수개의 금속라인들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금속라인을 포함한 전면에 실리사이드화가 가능한 제 1 물질을 증착하는 공정과, 금속라인들이 서로 연결될 부위에 상응하는 제 1 물질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전도성물질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전도성물질 이외의 제 1 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반도체소자 배선형성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배선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측이 굴곡진 패턴을 갖고 형성된 제 1 금속라인(43)과, 상기 제 1 금속라인(43)의 굴곡진부분에서 동일한 굴곡을 갖고 대칭적으로 형성된 제 2 금속라인(43a)과, 상기 제 1, 제 2 금속라인(43,43a)들의 굴곡진 부분에서 두 금속라인(43,43a)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실리사이드(45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반도체소자의 배선형성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반도체소자 배선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도체기판(41)상에 금속을 증착한다.
여기서 금속으로서는 티타늄(Ti), 텅스텐(W), 티타늄 나이트라이드(TiN), 그리고 티타늄 텅스텐(TiW)중 어느하나를 사용한다.
금속을 포함한 웨이퍼(41)전면에 포토레지스트(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를 도포한 후 노광 및 현상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를 패터닝한다.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트를 마스크로 이용한 식각공정을 통해 금속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복수개의 금속라인(43)들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금속라인(43)들을 패터닝함에 있어서, 두 금속간의 전기전도도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디자인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의 금속라인(43,43a)들의 일측을 굴곡지게 패터닝한 후 굴곡진 부분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하면, 두 금속이 전체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패터닝되었을 때보다 두 금속간의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는 이와같이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금속간의 패터닝형태를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 금속라인(43)과 제 2 금속라인(43a)이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서 요철모양을 갖도록 패터닝하고 상기 제 1 금속라인(43)과 제 2 금속라인(43a)의 접촉부분에 실리사이드를 형성한 것이다.
이후, 금속라인(43,43a)들이 형성되었으면 커스터머의 요구에 부응하여 배선공정을 수행한다.
상기의 배선공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도 3b에 도시한 바와같이 복수개의 금속라인(43,43a)들을 포함한 반도체기판(41)전면에 실리사이드화가 가능한 제 1 물질(45)을 증착한다.
여기서, 상기 실리사이드화가 가능한 물질(45)이란, 넓은 의미에서는 안티퓨즈용 물질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퓨즈는 외부적인 신호에 의해 두 금속간의 전기적 연결을 단절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안티퓨즈는 외부적인 신호에 의해 두 금속을 서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안티퓨즈용 물질은 실리사이드화가 가능한 물질을 포함한다.
이어서, 금속라인(43,43a)들중 서로 연결시키고자 하는 부위에 상응하는 제 1 물질(45)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1 물질(45)로서는 a-실리콘(비정질 실리콘) 또는 폴리실리콘중 어느하나를 사용한다.
이어, 노출된 제 1 물질(45)에 레이저빔을 조사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ESIN9300(장비명)에서 레이저의 에너지를 3.0μJ, 스팟 사이즈를 2.5∼6.5㎛(직경기준)로 조절하여 레이저빔을 조사한다.
따라서 레이저빔이 제 1 물질(45)에 조사됨에 따라 상기 제 1 물질)45)은 상기 금속라인(43)들과 반응하여 도 3c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도성물질(45a)이 형성된다.
여기서 전도성물질(45a)은 실리사이드(silicide)이며 면적은 약 4.5×4.5㎛2이다.
이러한 실리사이드는 직접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금속과 금속을 접촉시킬 때보다 두 금속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이어서, 도 3d에 도시한 바와같이 레이저빔이 조사됨에 따라 형성된 전도성물질(45a)을 제외한 제 1 물질(45)을 제거하면 본 발명의 반도체소자 배선공정이 완료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반도체소자 배선형성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배선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므로 전체적으로 TAT를 단축시킨다.
둘째, 커스터머들이 요구할 때마다 각각의 마스크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마스크비용을 절감시킨다.
셋째, 연결시키고자 하는 금속과 금속사이에 결합력이 우수한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므로 금속들이 오픈(open)될 염려가 없으므로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넷째, 전원을 공급하여 금속간을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레이저빔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미세선폭을 갖는 소자에서도 FPGA를 적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웨이퍼상에 복수개의 금속라인들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금속라인을 포함한 웨이퍼 전면에 실리사이드화가 가능한 제 1 물질을 증착하는 공정과,
    금속라인들이 서로 연결될 부위에 상응하는 제 1 물질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금속라인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전도성물질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전도성물질 이외의 제 1 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배선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질은 α-실리콘 또는 폴리실리콘중 어느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배선형성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라인들의 물질은 티타늄(Ti), 텅스텐(W), 티타늄 나이트라이드(TiN), 티타늄 텅스텐(TiW)중 어느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배선형성방법.
KR1019970038880A 1997-08-14 1997-08-14 반도체소자의 배선형성방법 KR100236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880A KR100236076B1 (ko) 1997-08-14 1997-08-14 반도체소자의 배선형성방법
US08/956,387 US6146999A (en) 1997-08-14 1997-10-23 Method for forming metal line of semiconductor device
JP10010183A JP2942231B2 (ja) 1997-08-14 1998-01-22 半導体素子の配線形成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880A KR100236076B1 (ko) 1997-08-14 1997-08-14 반도체소자의 배선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350A KR19990016350A (ko) 1999-03-05
KR100236076B1 true KR100236076B1 (ko) 1999-12-15

Family

ID=19517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880A KR100236076B1 (ko) 1997-08-14 1997-08-14 반도체소자의 배선형성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146999A (ko)
JP (1) JP2942231B2 (ko)
KR (1) KR1002360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54140A4 (en) * 2005-02-10 2008-06-04 Semiconductor Energy Lab MEMORY ELEMENT AND SEMICONDUCTOR DEVICE
CN112290223B (zh) * 2020-09-27 2021-06-18 南京大学 一种极化可编程超构表面及宽带动态波束调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0355A (en) * 1985-03-08 1986-12-23 Energy Conversion Devices, Inc. Electric circuits having repairable circuit lin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835118A (en) * 1986-09-08 1989-05-30 Inmos Corporation Non-destructive energy beam activated conductive links
US4931353A (en) * 1989-03-01 1990-06-05 The Boeing Company Structure and method for selectively producing a conductive region on a subst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42231B2 (ja) 1999-08-30
KR19990016350A (ko) 1999-03-05
US6146999A (en) 2000-11-14
JPH1167770A (ja) 1999-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1216B2 (en) Fuse structure
JPH03179763A (ja) アンチヒューズ構造とそれを形成する方法
US602279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through holes in a semiconductor device
JPH10270566A (ja) レーザ溶断導線を有する固体回路とその固体回路の製造方法
KR101993854B1 (ko) 반도체 소자의 안티퓨즈, 그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모듈 및 시스템 그리고 그 안티퓨즈 형성 방법
KR100476938B1 (ko) 듀얼 다마신 공정의 퓨즈 형성방법
US5682059A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nti-fuse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vice
US5652169A (en) Method for fabricating a programmable semiconductor element having an antifuse structure
KR100236076B1 (ko) 반도체소자의 배선형성방법
US6194318B1 (en) Manufacturing multiple layered structures of large scale integrated semiconductor devices
KR100358567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US6255144B1 (en) Repairing fuse for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952581B2 (ja) アンチヒューズの形成方法
EP1151474A1 (en) Programmable semiconductor device structur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100205340B1 (ko) 안티퓨즈의 구조 및 제조 방법
KR100244255B1 (ko) 안티퓨즈 및 그 제조방법
JPH0316169A (ja) プラズマメタルエッチングを可能とする書込み可能リンク構成体
KR0135046B1 (ko) 최종 공정이 끝난 반도체 회로의 선택적 연결방법
KR970003633A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층간 절연막 형성방법
KR20010065341A (ko) 반도체 소자의 퓨즈제조방법
KR100505567B1 (ko) 반도체장치의리던던시셀과그제조방법
KR100186499B1 (ko) 앤티퓨즈 제조방법
KR20020019739A (ko) 안티퓨즈 및 그의 제조방법
JPH0595048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KR19990018323A (ko) 반도체 장치의 다층의 안티퓨즈(Antifuse)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