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814B1 - 텔레비젼 수상기용 다이오드 분배 고전압 변압기 - Google Patents

텔레비젼 수상기용 다이오드 분배 고전압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814B1
KR100235814B1 KR1019940700533A KR19940700533A KR100235814B1 KR 100235814 B1 KR100235814 B1 KR 100235814B1 KR 1019940700533 A KR1019940700533 A KR 1019940700533A KR 19940700533 A KR19940700533 A KR 19940700533A KR 100235814 B1 KR100235814 B1 KR 100235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diode
high voltage
cell
voltage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0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발터 고제베르크
볼프강 라이호브
한스-베르너 잔더
롤프 하이드리히
Original Assignee
루엘랑 브리지뜨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4127836A external-priority patent/DE4127836A1/de
Priority claimed from DE4129678A external-priority patent/DE4129678A1/de
Application filed by 루엘랑 브리지뜨,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루엘랑 브리지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8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71Winding coils of special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01F2005/02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wound on formers with several winding chambers separated by flanges, e.g. for high voltage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텔레비젼 수상기용 다이오드 분배 고전압 변압기.
상기 고전압 변압기는 셀(4) 및 셀 사이에 배열된 다이오드(3)에 위치된 다수의 부분권선(7)을 가진다. 목적은 변압기에 대해 초과 공간요구가 공칭량 이상 정도로 증가되지 않은채 다수의 다이오드가 축적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주변에 분포된 몇 개의 다이오드(3)는 권선틀(1)의 둘레에 대해서 언제나 축방향으로 상호 오프셋 없이 배열된다.
특히 35kV의 증가된 고전압을 가진 "고-주사" 텔레비젼 수상기용이다.

Description

텔레비젼 수상기용 다이오드 분배 고전압 변압기
본 발명은 권선틀의 셀에 배치된 다수의 부분권선 및 상기 셀 벽상에 배열된 다이오드를 가진 텔레비젼 수상기용 다이오드 분배 고전압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변압기는 권선틀의 셀에 배치된 다수의 부분권선 및 대략적으로 같은 수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오드는 회로적으로는 부분권선들 사이에 위치해 있고, 공간적 위치로는 부분권선들 사이에 있는 권선틀의 외부 모서리에 위치한다. 부분권선이 있는 셀 뿐만 아니라 다이오드는 권선틀의 축방향으로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특히 다수의 부분권선들 및 다이오드들의 경우에 대응해서 긴 권선틀이 요구되고, 상기 긴 권선틀은 요구되는 공간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결합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분권선 및 다이오드가 어떤 특정 정도까지 증가해도 권선 틀의 과공간이 필요치 않은채 다수의 다이오드가 수용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권선틀의 셀에 배치된 다수의 부분권선 및 상기 셀 벽상에 배열된 다이오드를 가진 텔레비젼 수상기용 다이오드 분배 고전압 변압기에 있어서, 권선틀의 핀(fin) 둘레위로, 다른 부분권선 사이에 접속되고 핀위로 고르게 분포된 다수의 다이오드가 축방향으로 어떤 상호 오프셋없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다이오드 분배 고전압 변압기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은 다른 장점은 첨부된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회로관점에서 두 개의 부분권선 사이에 위치한 다이오드를 나타내는 두 개의 직렬접속된 다이오드가 하나의 셀 벽의 외부벽 위치에 있으며, 셀방식 권선틀에 있는 고전압 권선을 가진 고전압 변압기 또한 공지되었다 (EP-A-0 033 450). 두 개의 다이오드의 직렬 접속은 하나의 다이오드가 고접압 권선에서 펄스전압에 대한 고장에 대해서 충분한 저항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고전압에서 고장을 견디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게다가, 고전압 변압기는 공지되었고(EP-A0 201 335), 상기에서는 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떨어져 있는 다수의 다이오드가 셀방식 권선틀의 외부 모서리에 배열된다. 다이오드는 권선틀의 둘레방향에 대해 각이지게 놓여있고, 따라서 상기 다이오드들은 각기 권선틀의 축방향으로 뻗어있다. 상기 배열 때문에 권선틀의 자동 제조에 대한 설계가 단순화되고, 특히 권선틀로부터 상대적으로 긴 다이오드단자들의 반경에 따른 거리가 줄어든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권선틀 둘레에 분포된 다수의 다이오드는 축방향으로 어떤 상호 오프셋 없이 둘레에 배열되어 있다. 예를들어, 만일 4개의 다이오드가 셀 벽의 외부 모서리에 배열되어 있다면, 축방향에 있는 다이오드에 필요한 공간은 공지된 해결책에서 요구되는 공간의 1/4 정도이고, 각 경우에 단지 하나의 다이오드만 셀 벽에 위치된다. 권선틀의 축방향에 있는 다이오드에 필요한 전체공간이 줄어들게 됨에 따라, 권선틀의 초과 길이 또한 줄어든다. 따라서, 1차권선 및 2차권선간의 증가된 커플링이 차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개발안에 있어서, 각각의 셀 벽은 완전하게 셀 벽을 간섭하지 않고 외부 모서리에서부터 셀 하부로 접선방향으로 연장하는 램프형-리세스(ramp-shaped recess)가 제공된다; 권선은 상기 리세스를 통해서 다이오드 단자 또는 지지점으로부터 셀 하부까지 이어진다. 이것은 권선자체가 램프형 리세스안에 놓이고 셀에 배치된 권선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특히 상부 권선 모서리의 권선과 관련해서 이미 상당한 전압을 나타내는 셀의 권선 및 권선 사이에 갭이 형성된다. 상기 방식으로 권선의 전기적인 세기는 증가될 수 있다.
예를들어, 4개의 다이오드는 셀 벽을 따라 원주 둘레에 배치되고, 관련된 부분권선은 권선틀의 축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되어 있는 셀들내에 배치된다. 회로적인 면에서 하나의 다이오드는 언제나 두 개의 부분권선 사이에 위치한다는 사실 때문에, 연속적인 셀에 부분권선을 감을 때 권선은 각각의 다이오드에 피드팩 되어야 한다. 추후 개발안에 있어서, 이것은 권선틀의 축방향으로 연속해서 배열된 권선 셀에 의해, 하나의 다이오드는 또는 지지점에서 셀까지의 전도선이 이미 감겨진 상기 셀 위로만 놓여지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어떤 셀의 부분권선은 관련 다이오드로부터 상당히 분리되어 있지만, 상기 방법은 이전처럼 여전히 자동적인 권선감기를 허용하는 권선 감기 작업을 만든다. 따라서, 권선틀의 축방향으로 있는 두 다이오드 그룹간에 위치한 셀의 수에 따라, 축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연속해서 여러 셀 그룹을 감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모든 셀의 감겨지고, 감는 과정동안 권선틀의 축방향으로 이어진 전도선은 언제나 이미 감겨진 상기 셀 위로만 놓여진다.
본 발명은 다수의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하기에서 기술될 것이다.
제1도는 권선틀의 주변을 따라 다수의 다이오드를 배열하는 원리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변형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에 대한 실시예.
제5도는 제4도의 측면 및 평면도.
제6도는 셀 및 다이오드에 있는 부분권선 사이의 회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감는 과정을 도시한 도.
제8도는 내지 제10도는 고정된 결합을 얻기 위한 권선틀의 특정 실시예.
제1도는 권선틀의 셀에 배열된 고전압 변압기용 다수의 부분권선을 가진 셀 권선틀(1)을 도시한다. 셀에 있는 부분권선에 접속된 4개의 고전압정류 다이오드(3a,3b,3c,3d)는 핀(2)의 외부 모서리 주변둘레에 분산되어 배열된다. 4개의 다이오드를 가진 다수의 상기 어셈블리들이 권선틀(1)의 전체 길이상에 제공되므로, 부분권선을 가진 각각 3내지 5개의 셀은 상기 각각의 어셈블리 쌍 사이에 위치한다.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이다. 전체적으로 주변둘레에 분산된 각각 4개의 다이오드(3a 내지 3d)로 구성된 세 개의 그룹이 제공된다. 상기 다이오드 그룹의 각쌍 사이에 4개의 셀(4)이 있는데, 상기 셀에는 다이오드에 접속된 부분권선이 위치한다. 셀(4)은 셀 벽(5)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핀(2)은 주로 다이오드(3)의 직경으로 인해 대략 2㎜의 두께이다. 셀 벽은 그렇게 두껍지 않아 대략 1㎜ 의 두께인데, 그 이유는 상기 벽이 단지 셀(4)을 형성하고 고전압 전기세기를 얻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다이오드(3)의 접속선은 각 핀(2)의 외부 모서리상 상호 잠김 유지수단에 고정된다. 셀(4)에 있는 권선에서 권선의 단부는 다이오드(3)의 접속선 둘레에 감겨지고, 따라서 상기 접속선들은 얇은 권선에 대한 지지점으로써 역할을 한다.
제3도는 다이오드(3)가 핀(2)의 외부 모서리 위에 지지되지 않고, 오히려 핀(2)의 외부 모서리상에 있는 원주형 홈(6)에 삽입된다는 점에서 제2도와 다르다. 상기 해결책은 권선틀(1)의 외부직경이 다이오드(3)에 의해 증가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4도는 부분권선(7a 및 7b)을 가진 두 개의 셀(4a 및 4b)을 도시한다. 셀(4a)의 상부 모서리의 부분권선(7a)에서 나온 권선(8a)은 다이오드(3)의 단자에 접속된다. 셀(4b)에 있는 부분권선(7b)의 권선(8b)은 다이오드(3)의 다른 단자에 접속된다. 셀(4a 및 4b) 사이의 핀(2)에는 램프형 리세스(9)가 제공되고, 상기 리세스는 핀(2)의 상부 모서리에서 시작해서 셀 베이스(11)를 향해서 접선방향으로 뻗어 있다. 리세스(9)는 핀(2)이 완전히 간섭하지 않는 크기이다. 권선(8b)은 그 자체가 리세스(9)내에 놓여지고, 따라서 권선(7b)으로부터 분리된다. 이것은 특히 권선(7b)의 상부영역에서 유리한데, 그 이유는 권선(8b)에 관련된 권선은 이미 권선(7b)의 전체 임펄스 전압을 전도시키기 때문이다. 리세스(9)에도 불구하고, 핀(2)은 셀(4a 및 4b) 사이에 절연효과를 유지한다. 특히 리세스(9)에도 불구하고 셀(4a 및 4b) 사이의 어떤 직접적인 접속도 존재하지 못하는데, 다시말해서 권선(7a 및 7b)은 "서로 직접적으로 대면"할 수 없다는 것이 분명해진다. 램프형 리세스(9)가 또한 셀 벽(5)에 제공되어, 셀에 위치한 권선으로부터 셀 베이스에 이르는 권선을 분리한다.
제5도에서 램프형 리세스(9)는 빗금으로 표시되었다. 램프형 리세스(9)가 시작되는 셀 벽(5) 또는 핀(2)의 모서리에 있는 지점에서, 돌출부(돌기)(10)는 핀(2) 또는 셀 벽(5)상에 제공된다. 돌출부(10)는 권선(8b)에 대한 방향 변환점으로써 역할을 하며, 권선(8b)이 리세스(9)에 놓여지는 것을 보장한다.
제6도는 다이오드(3) 및 셀(4)에 있는 부분권선(7) 사이의 회로에 대한 원리를 도시한다. 셀 베이스(11)로부터 각각의 권선은 다이오드의 양극에 접속되고, 셀(4)에서 가장 상부층의 각 권선은 다이오드(3)의 음극에 접속된다. 키네스코프용 고전압(UH)을 가진 고전압 단자(M1)는 마지막 부분권선(7)의 셀 베이스로부터 인출된다. 제1부분권선(7)의 가장 상부층은 지지점(M2)으로 표시된 접지에 연결된다.
제7도는 제1도, 제2도에 따른 3 또는 4개의 다이오드의 5개 그룹을 가진 권선틀에 대한 권선도이고, 상기 틀 사이에 위치된 제2도에 따른 3 또는 4 또는 각각 5개의 셀(4)에 대한 도면이다. 권선은 제6도에 따라서 다이오드(3) 및 부분권선(7) 사이의 접속을 형성한다. 다이오드 전극상 사각형은 언제나 다이오드의 두 접속도선 또는 지지점을 나타내며, 상기 지지점에는 권선이 공급된다. 5개의 넓은 핀(2a 내지 2e)이 도시되고, 각 핀은 4개의 다이오드(3a 내지 3d)를 지지한다. 셀 벽(5)에 의해 만들어진 셀(4a 및 4p)은 핀(2a 내지 2e)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셀은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부분권선(7)으로 각각 채워진다. 권선은 M1에 접속된 지지점에서 시작해서 셀(4)의 베이스에 이른다. 셀(4a)의 상부 셀 모서리에서 나온 권선은 핀(2a)상의 다이오드(3b)의 음극에 이른다(접속된다). 다이오드의 양극(3b)에서 나온 권선은 셀(4b)에 이어지고, 셀(4b)의 최상부층의 권선에서 나온 권선은 다이오드의 음극(3c)에 접속되고, 상기 다이오드의 양극은 셀(4c)의 셀 베이스에 접속된다. 셀(4a 내지 4p)은 상기 방식으로 감겨지고, 따라서 부분권선은 동시에 다이오드(3)의 접속도선에 접속된다. 다이오드(3)의 한 단자에서 대응 셀까지의 도선을 접속하는 것은 언제나 이미 감겨져 있는 상기 셀 위로만 놓여지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각 다이오드 및 관련 셀의 권선 사이에 접속도선이 몇 개의 셀에 걸쳐 권선틀의 축방향으로 뻗어 있을지라도 자동권선 과정이 가능하게 된다.
셀(4k)에서 권선은 셀(4k)에 두 번 들어가서 셀(4k)에 두 번 남는 것(있는 것)으로 표시된다. 그러므로, 포커싱 전압의 발생을 위한 권선속의 픽-오프(pick-off)가 표시된다. 포커싱 전압은 어떤 다이오드(3)에도 접속되지 않은 지지점(M3)에서 인출될 수 있다. 셀(4l)의 권선은 먼저 셀의 권선(4a, 4e, 4i)처럼 시작한다. 셀(4m)에서 나중에 나온 권선은 먼저 핀(2d) 상의 다이오드(3c)의 양극에 고정되고, 상기 다이오드에서 권선 감기 과정은 첫 번째로 중단된다. 왜냐하면 전체적으로 핀(2d 및 2e)의 다이오드 그룹 사이에 있는 5개의 셀(4l 내지 4p) 때문에, 이미 감겨진 셀 위에만 도선의 피이드백 요구는 더 이상 유지될 수 없기 때문이다. 대신에 권선 감기 과정은 권선틀의 오른쪽 끝에서 계속된다. 권선은 셀(4p)의 베이스에 있는 'A'에서 시작한다. 'A'점은 제6도의 대응점 'A'에 대응한다. 최상부층에 있는 셀(4p)로부터 나온 권선은 도선 브리지의 한 단부로 이어지고, 상기 브리지는 제6도에 따른 접지된 지지점(M2)에 속한다. 그러므로, 상기 권선 감기 과정은 당분간 끝난다. 상기 과정에 이어, 권선은 핀(2e)상의 다이오드 양극(3a)에서 셀(4o)에 이어지고, 최상부층에서부터 핀(2e)상의 다이오드 음극(3c)의 접속도선으로 이어진다. 그러므로써, 상기 권선 감기 과정이 또한 끝난다. 순차적으로 핀(2d)상의 다이오드 양극(3c)에서 나온 권선은 셀(4n)로 이어지고, 상기 권선은 최상부층에서 빠져나간다. 권선은 이제 셀(4o 및 4p)을 경우하여 핀(2e)상의 다이오드 음극(3a)으로 이어진다. 셀(4o 및 4p)은 기술된 것처럼 이전 권선 감기 과정으로 이미 감겨져 있기 때문에 상기 과정이 가능하다.
(M21, M22 및 M23)과 같은 다수의 지지점에는 다이오드가 제공되지 않는다. 하나의 단자는 언제나 권선의 고정을 위하여 사용하고, 상기에 접속된 또다른 단자는 고전압 클램프(UH) 또는 접지로 향하는 대응 라인에 용접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해결책은 도선을 지지점의 한 단부에 용접할 때, 권선을 가지는 지지점의 다른 단부에서 용접 단부가 더 이상 손상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제7도에 따라 셀(4)의 각 그룹이 감겨지고 적당한 다이오드에 접속되는 순서는 거의 임의적이다. 단지 준수되야할 것은 권선틀의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권선이 이미 감겨진 상기 셀 위로만 놓이는 것이고, 그 이유는 상기 과정 이후 상기 셀의 권선 감기가 배제되기 때문이다.
기술된 형태의 변압기와 더불어, 다수의 보조권선, 예를들어 키네스코프의 가열, 추가 동작전압 또는 플라이백 임펄스용 권선들이 코어가 돌출되어 있는 권선틀 위로 먼저 감겨지고, 상기 위에 일차권선, 그리고 그 위에 변압기의 고전압 권선이 감겨진다. 보통 보조권선은 권선수, 권선층, 권선직경이 다르다. 따라서 보조권선은 권선틀의 베이스에 대해 다른 높이를 가지며, 또한 각 권선들 사이에 끼어든다. 이것은 권선의 상부측에 매우 불규칙한 표면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권선틀의 상부에 감겨진 일차권선 또한 권선의 표면에 불규칙한 표면을 갖는다. 그러나 일차권선 위로 감겨진 고전압용 이차권선은 직접 일차 권선에 감기지 않는다. 오히려 고전압 전기세기 때문에 일차권선 위로 추가적인 권선틀이 필요하고, 이차권선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일차권선의 불규칙한 표면은 일차 및 이차권선 사이의 손상된 결합을 유발한다.
제8도 내지 제10도 및 청구범위 제11항 내지 제12항에 따른 발명의 추후 개발안을 통해서, 권선틀을 구축하는 작업이 해결되고 그결과, 보조권선의 표면이 불규칙함에도 불구하고 일차 및 이차권선간의 결합은 손상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해결책에서, 다른 높이 및 간격을 가진 보조권선의 불규칙한 구축은 일부로 변경하지 않고 남겨진다. 대신에 중간 바닥으로서 작용하는 슬리브가 보조권선 위로 삽입되어, 돌출 및 함몰없이 미리 감겨진 일차권선을 감기 위해 형성되는 매끄러운 베이스를 형성한다. 불규칙함이 없이 상기 새롭게 만들어진 매끄러운 기초를 사용해서 연속적인 층으로 일차권선 상에 "깨끗하게" 감는 것이 가능하고, 그 결과 일차권선의 상부 모서리는 또한 중단없이 명확하게 한정된 진행면을 갖는다. 따라서, 일차권선 및 고전압 권선간의 한정된 최소 간격이 유지될 수 있고, 상기 간격은 고전압 전기세기를 이루는데 필요하다.
슬리브의 사용은 일차권선 및 보조권선간의 결합이 약간 감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이것은 불이익의 결과로 나타나진 않는데, 상기 결합이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제8도는 권선틀(22)이 배열되어 있는 코어(21)를 가진 고전압 변압기의 단순화된 표현이다. 권선틀(22)의 베이스에서, 다른 권선수, 다른 층 및 다른 권선직경을 가진 다수의 보조권선(23)이 감겨진다. 따라서 권선표면(33)이 불규칙하게 된다. 권선(23)을 둘러싸고 있는 슬리브(24)는 보조권선(23)위에 삽입되고, 상기 슬리브는 합성물질로 만들어지며 두께가 2/10 내지 6/10㎜인 벽을 가진다. 3개의 층을 가진 일차권선(25)은 슬리브(24) 위에 "깨끗한" 권선으로서 감겨진다. 슬리브(24)에 의해 형성된 매끄러운 기초는 높낮이 없이 권선(25)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데 필수불가결한 요건이다.
권선틀(22)은 권선틀(26)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권선틀(26)은 셀벽(27)에 의해 만들어진 다수의 셀(28)을 가진 셀 권선틀로서 구성된다. 이차권선 또는 고전압 권선의 부분권선(29)은 셀(28)에 배치된다. 부분권선(29)은 다이오드 분배 변압기의 원리에 따라 고전압 정류 다이오드를 경유해 서로 접속된다.
제9도에서, 권선틀(22)에는 권선틀의 표면상에 다수의 니플(상승 부분)(210)이 제공되고, 상기 니플은 주변 및 축길이를 가로질러서 다소 균일하게 분포된다. 권선틀(22)의 베이스 위쪽으로의 니플의 높이(210)는 보조권선(23)의 최대 높이보다 약간 크다. 니플(210)은 슬리브(24)용 지지점을 형성하고, 슬리브(24)가 권선틀(22)의 전체 주변 및 전체길이 상에서 셀 베이스로부터 한정된 거리에 유지되며, 보조권선(23) 또는 일차권선(25)에 의해 손상되지 않게하는 효과를 가진다. 니플(210)은 축방향으로 보조권선(23)용 도선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니플(210) 사이의 간격은 보조권선(23)의 도선이 언제나 권선틀(22)의 한 단부에 피이드 백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주변 및 길이 위로 분포된 상기 다수의 니플(210)은 대략 0.2 내지 0.6㎜의 상대적으로 얇은 물질이 슬리브(24)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0도에 따라, 슬리브에는 축방향으로 나있는 슬릿(211)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슬리브가 반경방향 또는 축방향(213)으로 스냅링(snap ring) 형태에 따른 퍼짐을 통해서 권선틀(22) 위에 장착될 수 있다. 슬리브는 자동적으로 니플(210)의 상부 모서리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반경방향으로 유연하게 탄력있도록 만들어진다. 슬리브(24)의 둘레는 본래의 조건에서 슬리브가 완전하게 밀폐되지 않고 슬리브의 단부 사이에 슬릿(211)을 형성하는 크기이다. 권선틀(22)에는 반경 또는 축방향으로 장착된 후 슬릿(211)과 맞물리는 꺽쇠(212)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슬리브(24)는 권선틀(22)에 대해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제8도, 제9도 또는 제10도에 따라 코어없이 전체 어셈블리는 공지된 방식으로 밀봉 화합물에 놓여진다. 이렇게 하여, 슬리브(24)의 추가적인 고정 및 위치조정이 보상된다. 일차권선(25)에서 도선의 직경은 상대적으로 크고, 대략 0.5 내지 1㎜이다. 따라서, 일차권선(25)용 및 적용가능하다면 보조권선(23)용 권선으로서 표준 전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준 전도체는 무거운 구리선보다 상당히 더 유연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어서, 자동권선과정이 쉽게 이루어지며, 응용가능하다면 이용가능한 권선공간이 무거운 구리선보다 좀더 잘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권선틀의 셀에 배치된 다수의 부분권선(7, 29) 및 상기 셀 벽상에 배열된 다이오드를 가진 텔레비젼 수상기용 다이오드 분배 고전압 변압기에 있어서, 권선틀(1)의 핀(2) 둘레위에서, 부분권선틀(7a, 7b) 사이에 접속되고 핀 위로 고르게 분포된 다수의 다이오드들(3)이 축방향으로 상호 오프셋 없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다이오드 분배 고전압 변압기.
  2. 제1항에 있어서, 4개의 다이오드(3a 내지 3d)는 핀(2)의 둘레를 따라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다이오드 분배 고전압 변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3)는 핀(2)의 외부 모서리 또는 핀(2)의 외부 모서리에 있는 원주형 홈(6)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다이오드 분배 고전압 변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3) 및 다이오드 접속도선은 상호 잠김 유지 수단에 의해 핀(2)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다이오드 분배 고전압 변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도선은 부분권선(7)의 도선단부(8a, 8b)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점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다이오드 분배 고전압 변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핀(2) 또는 각각의 셀 벽(5)은 핀(2) 또는 셀 벽(5)을 완전하게 간섭하지 않고 셀의 외부 모서리로부터 셀의 베이스(11)로 접선방향으로 연장하는 램프형 리세스(9)를 포함하고, 상기 권선(8b)은 상기 리세스를 통해서 셀 모서리 상의 다이오드 단자 또는 지지점으로부터 셀의 베이스(11)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다이오드 분배 고전압 변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형 리세스(9)가 시작되는 지점에 있는 핀(2) 또는 셀 벽(5)의 외부 모서리 위에서, 방사상의 돌출부(10)는 권선(8b)용 방향 변환점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다이오드 분배 고전압 변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29)은 다수의 감겨진 셀을 가로질러 권선틀(1)의 축방향으로 다이오드 단자 또는 지지점으로부터 셀(4)의 베이스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다이오드 분배 고전압 변압기.
  9. 권선틀(1)의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셀(4)이 상기 순서대로 감겨지고, 그결과 다이오드(3) 또는 지지점(M)으로부터 셀(4)까지의 권선은 이미 감겨진 상기 셀 위에만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8항에 따른 텔레비젼 수상기용 다이오드 분배 고전압 변압기의 권선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셀(4)이 연속해서 감겨지는 축방향으로의 방향은 연속적인 셀(4) 그룹에 대해 반대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다이오드 분배 고전압 변압기의 권선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부에 있는 일차권선(25)을 가진 보조권선(23) 및 상기 일차권선 위에 있는 이차권선(29)은 권선틀(22)상에 놓이고, 슬리브(24)는 보조권선(23) 위에 배열되어 일차 권선(25)을 위한 필수적으로 매끄러운 권선기초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다이오드 분배 고전압 변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틀(22)은 슬리브(24)용 지지점으로써 역할을 하는 권선틀의 주변 및 길이 위로 분포된 니플형 돌출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보조권선(23)의 최대높이보다 경미하게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다이오드 분배 고전압 변압기.
KR1019940700533A 1991-08-22 1992-08-13 텔레비젼 수상기용 다이오드 분배 고전압 변압기 KR100235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127836A DE4127836A1 (de) 1991-08-22 1991-08-22 Hochspannungstransformator fuer einen fernsehempfaenger
DEP4127836.4 1991-08-22
DE4129678A DE4129678A1 (de) 1991-09-06 1991-09-06 Dioden-split-hochspannungstransformator fuer einen fernsehempfaenger
DEP4129678.8 1991-09-06
PCT/EP1992/001844 WO1993004557A1 (de) 1991-08-22 1992-08-13 Dioden-split-hochspannungstransformator für einen fernsehempfän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5814B1 true KR100235814B1 (ko) 1999-12-15

Family

ID=25906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0533A KR100235814B1 (ko) 1991-08-22 1992-08-13 텔레비젼 수상기용 다이오드 분배 고전압 변압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629589A (ko)
EP (2) EP0599947A1 (ko)
JP (1) JPH06510398A (ko)
KR (1) KR100235814B1 (ko)
CN (1) CN1041775C (ko)
BR (1) BR9206392A (ko)
CZ (1) CZ282042B6 (ko)
DE (1) DE59202215D1 (ko)
ES (1) ES2075985T3 (ko)
HK (1) HK113096A (ko)
HU (1) HU215312B (ko)
MX (1) MX9204853A (ko)
MY (1) MY109868A (ko)
WO (1) WO19930045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309571D1 (de) * 1992-08-04 1999-06-17 Thomson Brandt Gmbh Hochspannungs-Zeilentransformator für einen Fernsehempfänger
FR2726686B1 (fr) * 1994-11-07 1996-12-20 Thomson Television Components Transformateur haute tension a redressement fractionne avec diodes regroupees
DE19544900A1 (de) * 1995-12-01 1997-06-05 Thomson Brandt Gmbh Hochspannungstransformator für einen Fernsehempfänger
TW369654B (en) 1997-07-07 1999-09-11 Thomson Brandt Gmbh Diode-split high-voltage transformer
FR2783965B1 (fr) * 1998-09-30 2000-12-29 Thomson Television Components Transformateur haute tension
DE19900111A1 (de) 1999-01-05 2000-07-06 Thomson Brandt Gmbh Diodensplitt-Hochspannungstransformator
US6433663B1 (en) * 1999-12-22 2002-08-13 Thomson Licensing Sa High voltage transformer arrangement
DE10066186B4 (de) 2000-11-17 2008-02-28 Epcos Ag Ferritkern mit neuer Bauform
JP2004516648A (ja) * 2000-12-14 2004-06-0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過電圧保護機能を有する高電圧トランスと過電圧保護方法
RU2482562C2 (ru) * 2010-07-09 2013-05-20 В & С Ворлд Ко. Лтд Высоковольтный импульсный трансформатор без сердечника
EP3189528B1 (en) * 2014-09-02 2018-07-18 Koninklijke Philips N.V. Bobbin assembly and method of producing a bobbin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59223C (ko) * 1973-10-10
US4039924A (en) * 1975-12-29 1977-08-02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 voltage winding assembly with improved regulation
JPS5532083U (ko) * 1978-08-24 1980-03-01
DE3001975A1 (de) * 1980-01-21 1981-07-23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Zeilentransformator fuer einen fernsehempfaenger
US4675639A (en) * 1985-05-10 1987-06-23 Rca Corporation Transformer assembly and winding therefor
US4638282A (en) * 1985-07-18 1987-01-20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Wire cross-over arrangement for coil assembly
US4862130A (en) * 1987-07-16 1989-08-29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Wire cross-over arrangement for angular coil assembly
DE3810314A1 (de) * 1988-03-26 1989-10-05 Electronic Werke Deutschland Hochspannungstransformator fuer einen fernsehempfaenger
DE4039373A1 (de) * 1990-12-10 1992-06-11 Thomson Brandt Gmbh Hochspannungstransform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35994A3 (en) 1994-06-15
CZ282042B6 (cs) 1997-04-16
WO1993004557A1 (de) 1993-03-04
EP0529418B1 (de) 1995-05-17
HU9400230D0 (en) 1994-05-30
US5629589A (en) 1997-05-13
DE59202215D1 (de) 1995-06-22
BR9206392A (pt) 1994-12-13
EP0529418A1 (de) 1993-03-03
CN1041775C (zh) 1999-01-20
HU215312B (hu) 1998-11-30
JPH06510398A (ja) 1994-11-17
MY109868A (en) 1997-09-30
CN1070528A (zh) 1993-03-31
ES2075985T3 (es) 1995-10-16
EP0599947A1 (de) 1994-06-08
MX9204853A (es) 1993-02-01
HUT68038A (en) 1995-05-29
HK113096A (en) 199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814B1 (ko) 텔레비젼 수상기용 다이오드 분배 고전압 변압기
US4204263A (en) Flyback transformer
US4429358A (en) Flyback transformer
US3671903A (en) Non-inflammable horizontal output transformer
GB2033669A (en) Flyback transformer
EP0196857A2 (en) Transformer winding arrangement especially for video display
KR19990001403A (ko) 트랜스
KR100194191B1 (ko) 텔레비젼 수상기용 고전압 변환기
EP0043615B1 (en) High-voltage transformer
US4047139A (en) Transformers of large capacity for ultra-high voltages
US5973584A (en) High-voltage transformer for a television receiver
JPH03279167A (ja) トランス用ボビン
JP2958972B2 (ja) 高圧発生用トランス装置
KR890001348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KR940001387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JPH0751786Y2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JPS5940750Y2 (ja) 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KR0139840Y1 (ko) 네온관용 변압기의 2차 코일권선용 권선케이스 구조
JPS5936152Y2 (ja) 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の巻線ボビン
KR0160571B1 (ko) 플라이백 트랜스 및 그 제조방법
JPS5852658Y2 (ja) 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JP3173264B2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RU2050611C1 (ru) Диодно-каскадный трансформатор строчной развертки
JPS591435Y2 (ja) 高電圧発生装置のボビン装置
JPH033105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