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4797B1 - 액체 용기, 제조 방법, 잉크 제트 카트리지 및 잉크제트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용기, 제조 방법, 잉크 제트 카트리지 및 잉크제트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797B1
KR100234797B1 KR1019970005445A KR19970005445A KR100234797B1 KR 100234797 B1 KR100234797 B1 KR 100234797B1 KR 1019970005445 A KR1019970005445 A KR 1019970005445A KR 19970005445 A KR19970005445 A KR 19970005445A KR 100234797 B1 KR100234797 B1 KR 100234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iquid
container
ink
liqui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5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아끼 사사끼
히데히사 마쯔모또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41J2002/17516Inner structure comprising a collapsible ink holder, e.g. a flexible bag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실질적인 배기구와 그 2개의 표면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된 코너부를 다면체형 외벽과,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액체 보유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벽의 내부 형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외벽의 코너부에 대응되는 코너부를 갖는 외면을 구비한 내벽과, 상기 액체 보유부로부터 외부로 상기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 및 외벽은 상기 액체 공급부를 구비하지 않고 최대 면적을 갖는 주 표면을 구비하며, 상기 액체가 상기 액체 공급부를 통해 토출될 때, 상기 액체 용기의 상기 내벽의 주 표면에 수직한 평면에서 다면체 형태를 형성하는 한 측면과 이에 인접한 다른 측면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각이 감소하고 또한 감소 각도를 형성하는 측면과 상기 감소 각도 형성 측면에 인접하지만 감소하는 각도 형성 측면이 아닌 측면 사이에 형성된 각이 증가하도록 상기 내벽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Description

액체 용기, 제조 방법, 잉크 제트 카트리지 및 잉크 제트 기록 장치
본 발명은 펜, 잉크 토출부 등과 같은 기록 스테이션에 부압으로 잉크를 공급하는 액체 수용 용기와, 용기 제조 방법과, 용기부 및 잉크 제트 기록 헤드부를 포함하는 잉크 제트 카트리지와,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기 내에서 부압을 유지하면서 용기로부터 액체가 공급되는 액체 수용 용기는 공지되어 있다. 이같은 용기는 펜의 펜촉 또는 선단, 또는 용기에 연결된 기록 헤드와 같은 액체 사용부에 적절한 잉크 공급을 용기 자체에 의해 발생된 부압에 의해 수행한다.
이러한 종류의 다양한 액체 수용 용기가 사용되지만, 그 사용가능한 범위는 다소 제한된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제조하기 용이하고 구조가 단순한 것이 없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적절한 부압 특성을 필요로 하는 잉크 제트 기록의 분야에서, 부압의 발생윈으로서 스폰지를 내장하는 용기 또는 잉크의 소모에 의한 내측 변형에 대한 스프링 제공력을 갖는 블래더형 용기가 예를 들어, 일본 특개소 56-67269호 및 일본 특개평 6-226993호에 개시되었다. 미국 특허 제4,509,062호는 다른 부분 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둥근 상부를 구비한 원추 형상을 갖는 고무 잉크 수용부를 개시한다. 원형 원추부의 둥글고 얇은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일찍 변위되고 변형 되는 부분을 제공한다. 이러한 예들은 실시되었으며 현재 만족스럽다. 그러나, 전술한 부압 발생 기구는 비교적 고가이므로 마커 및 기록 선단을 갖는 플로터와 같은 기록 장치에는 적합하지 않다. 복잡한 부압 발생 기구의 사용은 기록 장치를 커지게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기록 장치에서, 부압을 발생시킬 수 있고 잉크의 공급을 허용하는 선단으로부터 공기를 도입할 수 있는 펠트가 사용된다. 잉크 공급을 위한 이러한 유형이 기체-액체 교환 구조의 주요 문제는 선단에서의 잉크누출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기 조건의 변경 등에서 누출하게 되는 잉크를 보유함으로써 잉크 누출을 방지할 목적으로, 선단과 잉크 공급 방향으로 연장되는 액체 수용 용기 사이에 복수개의 핀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잉크 보유 기구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같은 기구는 비교적 많은 양의 사용불가능한 잉크를 용기 내에 남기게 된다.
이같은 기록 장치의 잉크 공급 시스템은 잉크의 증발을 유발하는 개방형을 사용하고, 사용가능한 잉크의 양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사실상 밀봉된 형태를 사용하여 잉크 증발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제트 기록시 사실상 밀봉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부압 발생원이 잉크 공급 시스템 내에 사용되지 않을 때, 잉크는 잉크 사용부(잉크 토출 헤드)에 대한 수준차, 즉 정적 수두차(static head difference)를 사용하여 공급된다. 이는 잉크 수용부 내의 특정한 조건을 요구하지 않고, 따라서 단순한 잉크 수용 블래더가 많은 경우에 사용된다.
그러나, 밀폐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잉크 공급 경로는 잉크 수용 블래더 사이에서 그 위의 잉크 사용부(잉크 토출 헤드)로 연장되어야 되고, 그 결과 긴 잉크 공급 튜브가 필요하고 시스템이 커지게 된다. 잉크 공급 경로의 정적 수두차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해, 잉크 토출 헤드에 부압을 제공할 수 있는 잉크 용기가 제안되고 실시되었다. 본원에서, 용어 "헤드 카트리지"는 통합된 헤드 및 잉크 용기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헤드 카트리지는 기록 헤드 및 잉크 수용부가 항상 통합되는 형태와, 기록 수단 및 잉크 수용부가 분리가능하고 기록 장치에 별도로 장착가능하나 사용시 통합되는 형태로 분류된다.
어느 구조에서나, 기록 수단에 대한 잉크 수용부의 연결부는 잉크 수용부 내에 수용되는 잉크의 사용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잉크 수용부의 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제공된다. 잉크를 안정되게 유지하고 기록 수단 내의 노즐과 같은 토출부로부터 잉크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헤드 카트리지 내의 잉크 수용부에는 기록 수단으로의 잉크 유동에 대한 배압을 발생시키는 기능이 주어진다. 배압은 "부압"이라고 하며, 이는 토출 출구부에서 대기압에 대한 부압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부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다공성 재료 또는 부재의 모세관력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방법을 사용하는 잉크 용기는 내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잉크 용기 전체에서 압축된 스폰지와 같은 다공성 재료와, 인쇄 중에 잉크 공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공기를 그 내부로 도입하는 배기구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공성 재료가 잉크 보유 부재로 사용되면, 단위 체적당 잉크 수용 효율은 낮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공성 재료는 잉크 용기의 전체가 아니고 일부분에만 내장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같은 구조에서, 잉크 수용 효율 및 단위 체적당 잉크 보유 성능은 잉크 용기의 전체에서 다공성 재료를 갖는 구조보다 크다.
잉크 수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스프링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블래더형 용기 또는 고무 잉크 수용 용기가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잉크 용기는 현재 폭넓게 사용된다.
그러나, 추가 개선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잉크 수용 효율을 더욱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다량의 잉크는 용기의 동일 체적 내에 보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용기를 형성하는 적은 개수의 부품과 단순한 용기가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액체가 안정된 부압으로 토출될 수 있는 액체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의 내부 공간은 상기 잉크를 최대로 수용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고 그 질의 변화는 작은, 부압을 이용하는 형태의 액체 수용 용기와,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정적 수두차가 이용되고 크기가 작은 액체 공급 시스템과 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액체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잉크 제트 헤드에 특히 적용가능한 액체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a도 내지 제1c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잉크 용기의 개략도로서, 제1a도는 단면도, 제1b도는 저면도, 제1c도는 사시도.
제2a도 내지 제2d도는 제1a도 내지 제1c도에 도시한 잉크 용기의 잉크 토출로 인한 변형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3a도 내지 제3c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의 개략도로서, 제3a도는 단면도, 제3b도는 저면도, 제3c도는 사시도.
제4a도 내지 제4d도는 본 발명이 사용되는 다른 잉크 용기의 예들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
제5a도 내지 제5c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수용 용기의 코너부의 각도의 한정을 도시하는 도면.
제6a도 내지 제6d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용기의 코너부에 곡면을 제공하는 이점을 도시하는 도면.
제7a도 내지 제7d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잉크 용기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제9a도 내지 제9d도는 사출 취입 성형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잉크 용기 제조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제10a도 내지 제10c도는 이중 벽 취입 성형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잉크 용기의 제조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제11a도는 본 발명의 잉크 용기와 연결가능한 기록 헤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 제11b도는 기록 헤드와 잉크 용기 사이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를 보유하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13도는 제1a도 내지 제1c도의 실시예의 잉크 용기의 부압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10 : 잉크 용기 101, 111 : 외벽
102, 112 : 내벽 103, 113 : 잉크 공급부
104, 114 : 압착부 또는 용접부 105 : 배기구
106 : 토출 허용 부재 301 : 주 축압기
302 : 주 압출기 303 : 보조 축압기
304 : 보조 압출기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실질적인 배기구(vent)와 이의 2개의 표면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된 코너부를 갖는 다면체형 외벽과,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액체 보유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벽의 내부 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외벽의 코너부에 대응되는 코너부를 갖는 외면을 포함하는 내벽과, 액체 보유부로부터 외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 및 외벽은 최대 면적을 갖고 상기 액체 공급부를 구비하지 않는 주 표면을 구비하며, 액체가 상기 액체 공급부를 통해 토출될 때, 상기 내벽을 상기 액체 용기의 상기 내벽의 주 표면에 수직한 평면 내의 다면체 형태를 구성하는 한 측면과 이에 인접한 측면들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각이 감소하고 그리고 감소 각도를 형성하는 측면과 감소 각도 형성 측면에 인접하지만 감소하는 각도 형성 측면이 아닌 측면 사이에 형성된 각이 증가하도록 변형하는 액체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실질적인 배기구와 이의 2개의 표면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된 코너부를 갖는 다면체형 외벽과,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액체 보유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벽의 내부 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외벽의 코너부에 대응되는 코너부를 갖는 외면을 포함하는 내벽과, 액체 보유부로부터 외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 및 외벽은 최대 면적을 갖고 상기 액체 공급부를 구비하지 않는 주 표면을 구비하며, 상기 액체 용기의 상기 내벽의 주 표면에 수직한 평면에서 다면체 형태를 형성하는 한 측면과 이에 인접한 측면들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각은 0°보다 크고 90°보다 작으며, 감소 각도를 형성하는 측면과 감소 각도 형성 측면에 인접하지만 감소 각도 형성 측면이 아닌 측면 사이에 형성된 각은 90°도 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액체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실질적인 배기구와 이의 2개의 표면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된 코너부를 갖는 다면체형 외벽과,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액체 보유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벽의 내부 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외벽의 코너부에 대응되는 코너부를 갖는 외면을 포함하는 내벽과, 액체 보유부로부터 외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의 코너부는 상기 액체가 토출될 때 상기 외벽의 대응 코너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제1 코너부와, 상기 액체가 토출될 때에도 보유될 수 있는 제2 코너부를 구비하는 액체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실질적인 배기구를 구비한 외벽과,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액체 보유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벽의 내부 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형태를 갖는 외면을 포함하는 내벽과, 액체 보유부로부터 외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은 액체가 토출될 때 상기 외벽의 대응 부분으로부터 분리가능한 굽힘부를 갖고, 사익 굽힘부는 최대 면적을 갖는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주 표면에 대면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액체 용기가 제공된다.
첫째, 용기는 상기 내벽의 외부 측면이 상기 외벽에 근접하여 접촉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상기 외벽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모두 분리되도록 될 수 있다.
둘째, 용기는 상기 내벽이 상기 외벽에 의해 압착되는 압착부가 주 표면 이외의 부분에 제공되도록 될 수 있다.
셋째, 용기는 상기 액체 공급부가 액체 토출 허용 부재를 구비하도록 될 수 있다.
넷째, 용기는 이러한 복수개의 압착부가 대향 위치에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들 특징은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잉크 제트 기록 분야에서와 같이 잉크를 토출시킴으로써 기록이 수행되는 액체 토출 헤드 카트리지 또는 액체 토출 기록 장치에 특히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액체 용기 및 상기 액체 용기의 액체 공급부에 연결된 액체 토출 기록 헤드를 갖고 있는 액체 토출 헤드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 용기는, 액체 수용 용기 배기구를 구비한 외벽과, 내부에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액체 보유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벽의 내부 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형태를 갖는 외면을 포함하는 내벽과, 액체 보유부로부터 외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은 액 체가 토출될 때 상기 외벽의 대응 부분으로부터 분리가능한 굽힘부를 갖고, 상기 굽힘부는 최대 면적을 갖는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주 표면에 대면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액체 토출 기록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액체 토출 기록 장치에 있어서, 실질적인 배기구를 갖춘 외벽과, 내부에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액체 보유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벽의 내부 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형태를 갖는 외면을 포함하는 내벽과, 액체 보유부로부터 외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와, 상기 액체 용기의 액체 공급부와 연결가능한 액체 토출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은 액체가 토출될 때 상기 외벽의 대응 부분으로부터 분리가능한 굽힘부를 갖고, 상기 굽힘부는 최대면적을 갖는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주 표면에 대면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구성의 액체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토출 기록 장치는 스캐닝 운동용 캐리지를 구비하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카트리지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액체 토출 헤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액체 토출 기록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며, 실질적인 배기구를 구비한 외벽과,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액체 보유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벽의 내부 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형태를 갖는 외면을 포함하는 내벽과, 액체 보유부로부터 외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은 액체가 토출될 때 상기 외벽의 대응 부분으로부터 분리가능한 굽힘부를 갖고, 상기 굽힘부는 최대 면적을 갖는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주 표면에 대면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액체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체 용기의 외부 형태에 대응하는 주형과, 형태가 원통형이고 상기 주형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외벽용 제1 패리슨(parison)과, 내벽요 제2 패리슨을 준비하는 단계와, 내벽에 의해 형성된 영역과 외벽에 의해 형성된 영역이 분리가능하고 사실상 형태가 유사한 모양을 가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 패리슨을 상기 주형으로 팽창시키도록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체 용기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실질적인 배기구를 구비한 외벽과,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액체 보유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벽의 내부 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형태를 갖는 외면을 포함하는 내벽과, 액체 보유부로부터 외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은 액체가 토출될 때 상기 외벽의 대응 부분으로부터 분리가능한 굽힘부를 갖고, 상기 굽힘부는 최대 면적을 갖는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주 표면에 대면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구성의 액체 용기를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체 용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액체 보유부의 압력 감소에 의해 내벽과 외벽을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액체 보유부 내로 액체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실시된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 설명을 고려할 때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일례로 잉크 제트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가능한 잉크 용기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액체를 외측으로 적절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부압을 이용하는 액체 펜 또는 액체 수용 용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작동 원리)
도1a 내지 도1c, 도2a 내지 도2d, 도5a 내지 도5c 및 도13를 참고하여, 첫째로 안정된 부압 발생 기구와 본 발명의 특징들 중 한가지 특징인 상기 기구의 유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a 내지 도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1a는 단면도이고, 도1b는 측면도이며, 도1c는 사시도이다. 도2a 내지 도2d는 도1a의 선 A-A를 따른 단면도로서, 잉크 용기가 잉크로 채워진 후에 잉크 용기 내의 잉크가 잉크 용기의 잉크 공급부로부터 토출된 때에 그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도2a 내지 도2d). 도5a 내지 도5c 도는 본 발명의 잉크 용기의 코너부의 각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잉크 용기는 직접 취입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데, 이와 함께 잉크 용기의 내벽과 외벽이 한 단계에서 동시에 성형된다.
도1a 내지 도1c의 잉크 용기(100)는 외부 셸을 형성하는 외벽(101)으로부터 분리되는 내벽(102)으로 포위되는 구역(잉크 수용 부분) 내에 잉크를 수용한다. 외벽(101)은 내벽(102)보다 충분히 큰 두께를 가지므로, 내벽(102)이 잉크의 토출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외벽은 배기구(105)를 구비한다. 내벽은 용접부(압착부)(104)를 구비하고, 내벽은 용접부에서 외벽에 의해 지지되며 외벽과 결합된다.
도1a 내지 도1c의 잉크 용기(100)는 평행사변형 바닥 표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인 프리즘과 곡형 부분으로서 연결되어 있는 원통형 잉크 공급부(103)를 포함한다. 잉크 용기는 프리즘 형상의 가장자리 선에 대응하는 부분에 작은 곡률의 또는 원형 부분(R)을 갖는다. 본원에서, 2개의 표면들 바람직하게는, 2개의 평평한 표면 사이의 횡단 부분에 또는 표면들의 연장부들의 가로지르는 부분에 인접한 용기의 부분을 "코너부"라고 한다. 각각의 내벽 및 외벽 코너부에 의하여 한정된 표면들 중에서 최대 면적을 갖는 표면은 잉크 공급부(103)의 측방의 양 측면에서 서로에 대해 대면한다.
도1b에서, θ와 φ는 잉크 용기의 코너부를 구성하는 외벽들 사이에 형성된 각이고, 특히 도5a 및 도5c에 되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표면의 연장부의 횡단 부분에서 형성된 각이다. 각 θ는 90°보다 크며, 각 φ는 90°보다 작다. 본 실시예에서, 각 θ는 약 140°이고, 각 φ는 약 40°이다. 외벽의 각은 잉크 용기의 제조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외벽에 기초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내벽은 외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이에 따라 사용을 개시할 때(초기 상태)의 내벽의 각은 외벽의 대응하는 부분의 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잉크 용기는 사실상 프리즘 형상을 갖고, 도2a 내지 도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표면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서 절단하였을 때 그 평면을 따른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행사변형 형상을 갖는다. 다면체 형상의 한 측면과 인접 측면 사이에 형성된 각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각은 0°보다는 크고 90°보다는 작으며, 상기 2개의 측면과 그리고 2개의 측면과는 다르며 2개의 측면에 인접한 측면들 사이에 형성된 각들은 각각 90°보다는 크며 180°보다는 작다. 절단면은 최대 면적의 표면에 대해 수직을 이룬다.
잉크 공급부(103)는 작은 진동이나 외압이 용기에 가해졌을 때 잉크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잉크 누출 방지 기능을 갖는 토출 허용 부재(106)를 통해서 도시되지 않은 잉크 제트 기록 수단과 연결된다. 잉크 공급부(103)에서, 내벽과 외벽은 잉크 토출 허용 부재(106)와 둘레에 있는 다른 구조체에 의하여 서로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잉크 공급부의 크기는 잉크 수용 부분에 비하여 충분히 작고, 이에 따라 잉크 공급부는 내벽이 변형이 잉크의 토출에 이해 발생되더라도 쉽게 함몰되지 않는다. 따라서, 잉크가 완전히 소비된 경우에라도 내벽과 외벽은 잉크 공급부에서 변형되지 않으며 초기 상태를 유지한다.
도1a 내지 도1c도는 개략도이므로, 잉크 용기의 외벽(101)과 내벽(102) 사이에 공간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들 벽이 분리 가능한 경우, 내벽과 외벽은 서로 접촉하거나 혹은 작은 간극으로 이격된다. 어떤 경우라도 내벽의 코너부는 도2a에 도시된 초기 상태에서는 외벽(101)의 내면 형상을 따라서 외벽의 코너부에 적어도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2a 내지 도2d에서, 도면 부호 10은 잉크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2a에서 대응하는 잉크 공급부(103)의 위치를 점선으로 나타내었으나 도2b 내지 도2d에서는 내벽의 변형에 대하여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잉크 공급부의 위치를 나타내지 않았다.
잉크가 잉크 제트 기록 수단의 잉크 제트 기록 헤드로부터 토출될 때 잉크는 잉크 수용부로부터 소비되고 잉크 용기의 내벽(102)의 최대 면적 면들은 그 중앙부에서 잉크 수용부의 체적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변형하기 시작한다.
외벽의 코너부들 중에서 도1c에 도시된 중앙부(α1)는 내벽의 코너부(α2)의 이동을 제한하여서 이들 사이의 위치 관계가 유지되게 한다. 한편, 내벽의 코너부(β2)는 외벽의 대응하는 코너부로부터 결합이 분리되어서 내벽의 변형을 제한하게 된다. 즉, 잉크 용기 내벽의 최대 면적 표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절단 평면(도2a 내지 도2d의 경우에서 절단 평면은 바닥 표면과 수평임) 상의 다면체 형상에 있어서, 변형은 한 측면과 이 측면에 인접한 측면 사이에 형성된 각들 중 한 각(φ)이 감소되도록 그리고 상기 각을 형성하는 측면들과 이 측면에 인접한들 측면 사이에 형성된 각(θ)들이 증가되도록 발생한다.
이것은 절단면에 형성된 다면체 형상의 각들이 상이하고, 따라서 내벽의 각감소 코너부(α2)와 각 증가 코너부(β2)에서 잉크 토출로 인해 가해지는 힘들이 상이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그 결과, 코너부(α2)의 상술한 위치 변동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잉크 수용부는 잉크 소비로 인한 변형력과 초기 형상 방향으로의 복원력을 받고, 그에 의해 부압이 안정화된다.
이 때, 공기는 내벽의 변형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기구(105)를 통해 내벽(102)과 외벽(101) 사이로 도입되며, 따라서 안정화된 부압이 잉크의 사용 또는 소비동안 유지된다. 따라서, 내벽과 외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배기구(105)를 통해 주변 대기(ambience)와 유체 연통한다. 그 후, 잉크는 내벽에 의해 제공된 힘과 기록 헤드의 토출 출구에 형성된 메니스커스(meniscus)에 의해 제공된 힘 사이의 평형에 의해 잉크 수용부에 보유된다.
또한, 다량의 잉크가 잉크 수용부로부터 토출되고 그에 따라 잉크 수용부가 더욱 변형되면(도2c), 용접부(104)는 또한 외벽으로부터 내벽의 분리가 공급부를 구비한 측면과 그에 대면한 측면에서 억제되도록 내벽을 위한 변형 제한부로서 기능한다. 그 결과, 공급부를 갖는 측면 내의 외벽의 코너부(γ1)와 내벽의 코너부(γ2) 사이의 위치 관계가 유지되고, 따라서 공급부는 인접한 내벽 표면에 의해 막히지 않게 된다. 외벽의 코너부로부터 분리된 내벽의 코너부(β2)는 그에 대향하는 최대 면적 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 접촉부는 잉크의 부가적인 소비에 의해 그 영역을 증가시킨다.
조만 간에, 잉크는 잉크 제트 기록 헤드로부터 토출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상태가 제 2d 도에 도시되어 있다(최종 상태). 이 상태에서, 잉크 수용부의 접촉부는 일반적으로 전체 잉크 수용부만큼 크다. 내벽의 두께에 따라, 용접부(104)는 외벽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변형의 방향은 용법부(104)가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기 때문에 제한된다. 그러므로, 용접부가 외벽에서 분리되더라도, 변형은 불규칙적인 것이 아니라 평형을 이루게 된다.
전술한 것은 본 발명의 잉크 용기가 잉크로 채워지고 그 후에 잉크가 잉크 공급부로부터 토출되는 경우의 변화를 설명한 것이다. 변형은 최대 면적 표면들에서 개시되며, 내벽의 각종 부품들의 변형 정도는 외벽의 대응하는 코너부로부터 분리가능한 내벽의 코너부 및 외벽의 코너부와 위치적 관계로 유지되는 내벽의 코너부를 제공함으로써 확실하게 결정된다.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 잉크 용기의 내벽의 최대 면적 표면에 수직한 절단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변형은 절단면 내에 실질적으로 다면체 형상을 구성하는 한 측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각이 감소 또는 증가되도록 발생한다. 본원에서, 제 5b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벽의 각은 내벽의 대체로 평평한 표면 부분들의 연장부들 사이의 교차점에서 형성된 각(θ2)으로 한정된다. 그러므로, 코너부 부근에 형성된 각(θ1)이 초기 상태의 각(θ)으로부터 거의 변화되지 않더라도, 각(θ2)이 변화되면 그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도13는 잉크 수용부로부터의 잉크 사용량과 본 발명의 잉크 용기의 부압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13는 도1a 내지 도1c의 실시예의 잉크 용기의 부압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로써, 여기서 가로 좌표는 외부로의 잉크 토출량을 나타내고, 세로 좌표는 전체 부압을 나타낸다.
잉크 용기와 함께 사용가능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있어서, 잉크 용기 내의 전체 부압의 바람직한 그리고 실용적인 범위는 대략 -50 내지 -200㎜Aq(게이지 압력)이다. 도13는 다음의 조건들을 갖고 수행된 실험의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
외벽의 두께 : 1㎜
내벽의 두께 : 150㎛
내벽의 표면적 : 40㎠
외벽의 재료 : 바이임팩트 (biimpact) 폴리스티렌 수지 재료
내벽의 재료 : 바이임팩트 폴리스티렌의 탄성 계수보다 낮은 탄성 계수를 갖는 폴리에틸렌 수지 재료.
본 실시예의 잉크 용기는 잉크 제트 기록 기술 분야에 특유한 조건인 안정화된 부압을 생성하기에 충분한 기능들을 갖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성능은 외부 진동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단위 시간당 잉크 소비량이 정상적인 기록보다 더 심한 경우라 할지라도 실질적으로 유사한 특성들이 나타난다.
(용기의 형상)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액체 수용 용기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1a 내지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체 수용 용기에 있어서, 내벽(102)의 코너부들은 외벽(101)의 형상에 따라 외벽(101)의 코너부들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도1a에 있어서, 내벽과 외벽은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잉크 공급부(103)가 없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잉크 공급부가 잉크 용기의 측면의 용접부(104)에 대면한 위치에 제공되면, 또 다른 용접부가 잉크 공급부에 인접하여 존재하게 된다.
내벽은 외벽의 내면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갖는 외면을 가지며, 외벽의 코너부에 대응하는 코너부를 갖고, 이에 의해 내부에 케이싱 및 블래더형(bladder-like) 용기를 갖는 종래의 용기 내에 초기 상태에서 존재하는 죽은 공간(dead space)이 제거될 수 있어서, 단위 부피 당 잉크 수용 능력이 증가될 수 있다. 즉, 잉크 수용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배기구를 제공함으로써, 잉크 수용부(액체 수용부) 내에 수용된 잉크와 같은 액체가 외부로 공급될 때 액체 수용부가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부압은 단위 시간 당 잉크의 사용 양에 무관하게 양호한 범위 내에서 제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잉크 용기는 실질적인 배기구 및 다면체로 구성된 코너부가 제공된 다면체 외벽과, 내부에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액체 보유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벽의 내부 형상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형상 및 내벽의 코너부에 대응하는 코너부를 갖는 외면을 포함하는 내벽과, 액체 보유부로부터 외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1a 내지 도1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사변형 단면을 갖는 사각 프리즘 형상의 용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실질적인 배기구와 이의 2개의 표면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된 코너부를 갖는 다면체형 외벽과,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액체 보유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벽의 내부 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외벽의 코너부에 대응되는 코너부를 갖는 외면을 구비한 내벽과, 액체 보유부로부터 외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 및 외벽은 최대 면적을 갖는 주표면을 가지며 상기 액체 공급부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액체가 상기 액체 공급부를 통해 토출될 때 상기 액체 용기의 상기 내벽의 주 표면에 수직한 평면에서 다면체 형태를 형성하는 한 측면과 이에 인접한 측면들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각이 감소하고 또한 감소 각도를 형성하는 측면과 상기 감소 각도 형성 측면에 인접하지만 감소하는 각도 형성 측면이 아닌 측면 사이에 형성된 각이 증가하도록 상기 내벽은 변형되는 용기를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내벽 코너부들 중 소정 코너부(들)는 대응 코너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내부 용기의 붕괴 방식이 조절될 수 있다. 즉, 변형은 최대 면적 표면(들)에서 그리고 내벽의 코너(들)에서 개시되며, 내벽은 외벽의 코너부(들)로부터 분리되며, 내벽의 다른 코너부(들)에서 외벽의 대응 코너부(들)에 대해 소정 위치 관계로 유지되어, 내벽이 여러 부분의 변형 순서 또는 방식이 조절된다.
도3a 내지 도3c 및 도4a 내지 도4d는 잉크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3a 내지 도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를 도시하며, 도3a는 단면도이며, 도3b는 저면도이며, 도3c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110)는 대체로 평행한 다면체 형상을 가지며, 용기의 하부 면과 잉크 공급부(113)를 갖는 측면과 측면은 수직하지 않다. 따라서, 용접부(114)를 갖는 내벽(112)의 표면을 구성하는 코너부는 잉크의 토출에 따라 외벽(111)의 대응하는 코너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된다. 이는 도1a 내지 도1c의 실시예와 다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최종 상태에서 불충분한 붕괴의 발생이 구조적으로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부압이 소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형상은 내벽의 매끄러운 변형을 가능하게 하도록 고려된다.
도4a 내지 도4d는 잉크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4a는 오각형 프리즘 형상의 잉크 용기를 도시하며 도4b는 육각형 프리즘 형상의 잉크 용기를 도시한다. 이러한 잉크 용기는, 도1a 내지 도1c의 잉크 용기와 유사하게, 잉크의 소비에 따라 내벽의 대응 코너부가 분리되는 외벽의 코너부(α1)를 포함한다. 도4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하부 면과 잉크 공급부를 갖는 면과 측면이 수직할 필요는 없다. 도4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은 프리즘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된 잉크 용기들 중 코너부가 세 개의 수직한 측면에 의해 형성된 부분을 갖는 잉크 용기에서, 내벽의 코너부는 잉크의 사용 결과 내벽이 변형될 때 내벽의 코너부가 외부의 대응 코너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는다. 코너부는 라운딩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은 도5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에 의해 단면을 구성하는 측면들 사이에 형성된 각으로서 한정된다. 특히 잉크의 소비에 의해 내벽이 붕괴될 때 코너부 각이 증가되는 부분이 도6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딩(R)될 때, 최종 상태는 도6b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도6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딩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최종 상태는 도6d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라운딩된 경우에서, 최종 상태에서 불충분하게 붕괴된 부분이 보다 작다. 또한, 라운딩부는 잉크 용기의 변형을 촉진하는 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라운딩이 바람직하다. 용기가 후술되는 제조 단계에서 재료의 패리슨을 금속 주형에 확장시키면서 재료를 성형함으로써 제조될 때, 이러한 방식으로 코너부의 형상과 같이 작은 곡률의 표면 형상을 사용함으로써, 코너부 및 표면들 사이의 교차부는 작은 두께로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핀 홀(pin hole)의 발생은 이러한 방식으로 코너부 및 교차부에 작은 곡률의 표면을 사용함으로써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다면체 형상이 사용된다. 외벽의 대응 코너부로부터 분리된 내벽의 코너부에서 알 수 있듯이, 그 코너부는 최대 표면 영역 측면에 대면하여 위치된다. 이것이 충족되면, 용기는 다면체 용기로 제한되지 않으며, 만곡 표면을 갖는 블래더형일 수 있다. 만곡 표면 형상을 갖는 그러한 용기에서, 분리가능한 코너부를 형성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그러한 경우에, 만곡면이 불연속적인 부분은 굽힘부로 형성되고, 굽힘부에 의해 둘러싸인 표면은 표면으로 형성되며, 내벽의 굽힘부가 외벽의 대응 굽힘부로부터 분리되고 최대 면적 표면에 대면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 중에서, 특정 절단 면 내의 외벽에 의해 구성된 형상의 종횡비는 1과 차이가 많이 나고, 즉 잉크 용기는 평평하고 얇다. 종횡비가 1에 근접할 때 단면 형상은 정사각형에 가까우며, 내벽의 변형은 외벽에 의해 더욱 제한되고 따라서 더 많은 양의 잉크가 최종 상태에서 잉크 용기의 중심부에 사용 불가능하게 남아 있게 된다. 그러나, 용기가 너무 평평하면, 그 용량은 너무 작아 진다. 그러므로, 사용되는 잉크 제트 기록 헤드 또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상태를 고려하여 종횡비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잉크 공급부를 갖는 표면은 하부 표면에 대면하나, 이것은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잉크 제트 기록 헤드 유니트 및 이를 이송하는 캐리지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
(주형 수지 재료)
본 발명의 잉크 용기의 수지 재료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잉크 용기는 잉크를 보유하는 내벽과, 내벽(이중 벽 구조)을 덮는 외벽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내벽의 재료는 양호하게 탄성, 높은 친수성 및 낮은 기체 침투성을 나타낸다. 외벽의 재료는 양호하게 높은 강도를 갖는다.
그러한 모든 특성을 충족시키는 동일한 수지 재료로부터 내벽 및 외벽 모두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다른 재료로 내벽 및 외벽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재료의 선택 폭이 다양해질 수 있고,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되지 않는 재료가 용기의 용이한 제조 관점에서 바람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1a 내지 도1c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주형 수지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재료, 폴리에틸렌 수지 재료 및 노릴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노릴 수지 재료는 결정 구조를 거의 이루지 않고 비결정 구조이나, 폴리프로필렌 수지 재료 및 폴리에틸렌 수지 재료는 결정 특성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비결정 수지는 더 작은 열 수축률을 갖고, 결정 수지는 더 큰열 수축률을 갖는다.
폴리스틸렌,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는 비결정 재료로 분류될 수 있다. 폴리아세탈 및 폴리아미드 등은 이들 각각 이 특정 환경 내에 위치될 때 특정 종횡비로 결정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결정 재료로 분류될 수 있다.
폴리아세탈 및 폴리아미드 등은 이들 각각이 특정 환경 내에 위치될 때 특정 종횡비로 결정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결정 재료로 분류될 수 있다. 반면에, 비결정 플라스틱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나, 특정한 녹는점을 갖지는 않는다.
플라스틱이 기계 강도, 비용적, 비열, 팽창 계수 등은 유리 전이 온도 또는 녹는점에서 급격하게 변화된다. 플라스틱 재료의 이러한 특성은 내부 셀 수지와 외부 셀 수지의 분리성을 개선하는 재료의 혼합물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결정인 노릴 수지는 외부 셀 또는 벽용으로 사용되고, 결정 수지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내부 셀 또는 벽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외부 셀에는 기계 강도가 제공되고, 내부 셀에는 탄성 및 더 큰 열 수축률이 제공된다.
단지 C-C 결한 및 C-H 결합의 분자 구조로 이루어진 중합체는 비극성 중합체로 명명되며, 반면에 분자 구조가 O, S, N 또는 할로겐과 같은 다량의 극성 원자로 이루어진 중합체는 극성 중합체로 명명된다. 극성 중합체는 더 큰 분자간 응집력을 나타냄으로써, 극성 중합체 수지는 더 강한 결합력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특성의 중합체 수지는 수지 재로의 분리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2개의 극성 수지의 혼합 또는 비극성 수지 및 극성 수지의 혼합은 하나의 수지 재료와 다른 수지 재료의 분리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외벽 및 내벽은 단일 층을 갖는 벽으로 설명되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벽들은 충격 저항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다수 층의 다른 재료로 구성된 박판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잉크 용기가 운반 또는 설치될 때에 또는 그와 유사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손상은 외벽에 다수 층 벽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잉크 용기의 내벽의 재료에 관해,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이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고, 그 인장 탄성 계수가 150 내지 3000 ㎏f/㎠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에서, 수지 재료로 제한되지 않는 적합한 재료가 바람직한 부압 발생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특정구성 또는 두께로 선택될 수 있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잉크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설명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잉크 용기는 성형 가능한 수지 재료로 구성된 이중 구조를 사용한다. 외벽은 강도 면에서 더 두껍게 되고, 반면에 내벽은 내부에 보유되는 잉크의 부피 변화를 수용할 수 있게 탄성적이도록 더 얇게 된다. 내벽의 구조체 벽들의 재료는 적합하게는 잉크 내성이 있으며, 외벽의 구조체 벽들의 재료는 내충격성 등과 같은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취입 성형 방식을 이용하는 방법은 잉크 용기의 구조체 벽들이 수지 재료를 끌어당기지 않고 제조될 수 있도록 사용된다. 그러므로, 잉크 보유부를 구성하는 잉크 용기의 내벽은 하중을 실질적으로 전방향적으로 견딜 수 있다. 결과적으로, 내벽 내에 보유된 잉크가 어느 정도 소모된 후에, 내벽 내에 남아있는 잉크가 이동하는 방향에 관계없이, 내벽은 확실하게 잉크를 보유할 수 있고 따라서 잉크 용기의 전반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취입 성형 방식의 선택에 관하여, 주입 취입 성형, 직접 취입 성형 및 이중벽 취입 성형 등이 이용가능하다.
이 실시에에서, 취입 성형들 중 어떠한 것들도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제조 방법은 일 실시예로서 직접 취입 성형 방법을 취하여 상술될 것이다.
도7a 내지 도7d는 이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 제조 단계를 나타내고, 도8은 잉크 용기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7a 내지 도7d에서, 참조 번호 301은 내벽용 수지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주 축압기를 나타내고, 302는 내벽 수지를 압출시키기 위한 주 압출기를 나타내고, 303은 외벽용 수지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 축압기를 나타내고, 304는 외벽수지를 압출시키기 위한 보조 압출기를 나타낸다.
내벽 수지 및 외벽 수지는 링(305)을 통하여 다이(306)에 동시에 공급되어서, 일체형 패리슨(307)이 형성되도록 한다. 도7b 내지 도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리슨(307)은 패리슨(307)을 겹치는 금속 주형(308)과 상부로부터 공기를 주입시키는 공기 노즐(309)에 의해서 성형된다. 제 8 도를 참조하면, 잉크 용기 제조 공정은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내부 수지 재료와 외부 수지 재료는 공급(단계 S401, S402)되어서 패리슨(307)을 압출(단계 S403)시킨다.
이 실시예에서, 수지 재료들은 내벽용 내부 수지 재료와 외벽용 외부 수지 재료가 서로 접촉되는 방식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그들이 접촉면은 표면 재료의 선택에 의한 서로 결합되지 않는 재료이므로 수지 재료들이 서로에 대해 융해되지 않는다. 내부 및 외부 수지 재료의 공급시, 이들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내벽 및 외벽용 수지 재료들은 각각의 벽들의 상호 대면 표면이 서로 부착되지 않거나 또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가 주형에 공급될 때 수지 재료들 중 하나에 적절한 화학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분리가능하도록 선택된다. 특성과 관련된 액체 접촉 또는 잉크 용기의 형상을 위한 동일 그룹에 속하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때, 내부 셸 벽 및 외부 셸 벽은 박층 구조로 제공되고, 여기에서 다양한 수지 재료들은 상이한 재료들이 각각이 셸의 상호 대면 표면상에 노출되도록 주입된다.
벽 두께가 셸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되도록 내부 셸을 성형시키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벽 두께는 벽이 내압 변화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국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벽 두께를 부분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은 액체 용기의 내부구조에 따라서 임의적으로 선택되고, 벽 두께는 수지가 다이 내로 주입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감소된다.
다이(금속성 다이)(308)는, 도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리슨(307)을 둘러싸기 위해 준비되도록 배치된 다음, 도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리슨을 둘러싸도록 이동된다(단계 S404). 동시에, 내벽 및 외벽은 그 사이에 간격없이 밀접하게 접촉되지만, 예를 들어, 주형의 주형 분리 방향이 최대 면적 면과 평행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용접된 부분(압착부)이 액체 수용 용기의 최대 표면적 면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너부에 작은 곡률 표면의 제공에 의하여, 금속 주형의 제조는 용이하게 수행되고, 따라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그러므로 잉크 용기 제조의 비용은 상당히 저하된다.
그 다음, 도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는 공기 노즐(309)을 통해서 주입되고, 취입 성형은 주형(308)의 형상으로 수행된다(단계 S405). 종래 취입 성형 제품과 달리, 서로에 대하여 접착성을 나타내지 않는 내부 및 외부 재료들을 선택함으로써, 벽은 서로에 대하여 용이하게 접착되지 않고, 이중 벽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이 온도가 성형 중에 기준 온도로부터 ±30℃의 범위 내에 유지될 때 잉크 용기들 중의 벽 두께의 차이는 제조 공정동안 감소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온도 제어가 바람직하다.
그 다음, 내벽 및 외벽은 잉크 공급부 외에 다른 부분에서 분리된다(단계 S406). 내벽과 외벽 사이의 분리는 잉크 용기 내벽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의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압력 감소 이외의 내벽 및 외벽사이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하여, 상이한 열 팽창 계수(수축률)를 갖는 재료를 내벽 및 외벽의 수지 재료용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에, 취입 성형 후에 수지 재료의 온도를 저하시킴으로써, 분리는 제조 공정의 단계 수가 감소될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내벽 및 외벽은 취입 성형 시에 다이에 의해 패리슨이 겹쳐지는 부분에 성형 공정 후에 외력을 작용시킴으로써 분리될 수 있고, 생성되는 간격은 대기 공기와 연통될 수 있어서, 간격은 배기구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제조 공정의 단계 수가 감소되므로, 잉크 제트 기록용 잉크 수용 용기의 경우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내벽은 외벽으로부터 분리된 다음, 잉크가 주입된다. 잉크 주입 전에, 잉크 수용부는 용기의 초기 단계에서와 같은 동일 형태를 제공하기 위해 압축 공기에 의해 팽창되고, 그후 잉크 주입이 실행된다. 또한, 잉크 수용부가 초기 상태에 형태로 팽창될 때, 잉크는 가압에 의해 주입된다.
주입된 잉크 양은 바람직하게 잉크 수용부의 용적의 약 90 내지 95%이고, 그 후로 온도 및/또는 압력 변화와 같은 주위 상태가 변화될 때 또는 외압이 작용될 때에도 잉크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바람직한 것은 잉크 양이 최종적으로 90%이고, 따라서 잉크가 용기 내로 100%까지 채워진 다음 잉크의 5 내지 10%를 방출시킬 수 있다. 잉크의 방출은 잉크 용기의 외벽에 외압을 가함으로서 실행된다. 이 경우에, 배기구는 분리에 의해 제공된 간극에 의해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의 잉크 주입 후에, 잉크 토출 허용 부재가 장착된다(단계 S408).
취입 성형에서, 패리슨(307)은 실제 점성을 갖고 있는 동안 처리되고, 따라서 내벽 수지 재료와 외벽 수지 재료 모두는 방향 특성을 갖지 못한다. 내부 수지 재료와 외부 수지 재료는 처음부터 접촉 없이 주형 안으로 공급되는 경우에, 외부 수지 재료는 주형 내에 흡수되고, 그후에 공기는 내부와 외부 수지 재료 사이로 공급되고, 그후에 취입 성형이 실행된다. 이 경우에, 수지 재료는 동일 재료로 되고, 따라서 광범위한 수지 재료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잉크 용기는 취입 성형 전의 내벽 수지 및 외벽 수지의 두께(t,T)가 각각 취입 성형 후의 내벽 수지 및 외벽 수지의 두께(t1, T1)보다 더 작게 되도록 성형된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라, 잉크 용기는 외벽 수지 재료와 내벽 수지 재료 사이의 두께 관계가 다음과 같은 식,
즉 T〉t, T1〉t1을 만족하도록 성형된다.
취입 성형의 사용은 제작 단계 수와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고, 그 결과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내벽(102)이 내벽(102)의 단부 및 코너가 순서대로 외벽(101)의 단부 및 코너에 설치되는 방식으로 성형되게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직접 취입 성형 방법이 이용되지만, 다른 취입 성형 방법도 이용 가능하다. 도9a 내지 도9d 및 도10a 내지 도10c를 참조하여, 이러한 제작 공정에 대해 설명을 하기로 한다.
잉크 용기가 주입 취입 성형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경우에, 다음의 단계가 수행된다. 첫째로, 용기 외벽은 (도9a의) 예비 성형된 패리슨을 이용하여 준비된다. 그 다음 내벽용 패리슨은 (도9b에서와 같이) 가열된 후에 삽입되고, (도9c에서와 같이) 취입 성형이 수행된다. 그후, 내벽과 외벽은 (도9d에서와 같이) 용기를 완성하기 위해 서로 용접된다.
이 경우에, 외벽 재료와 내벽 재료의 결합은 재료들이 서로 용접 가능하다면 이루어지게 된다. 취입 성형 중에, 패리슨의 온도를 적절히 제어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러한 방법의 경우에, 단지 하나의 개구가 제작 방법으로 인해 대개 제공되고, 내벽과 외벽은 개구에서 서로 고정된다. 따라서,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이 주위와 연통하는 경우에, 배기구를 제공해야 하는 추가의 단계가 필요하게 된다. 이중벽 취입 성형 방법이 이용될 때, 공기는 우선 (도10a에서와 같이) 패리슨을 팽창시키기 위해 패리슨의 내부로 유입되고, 그 다음 금속 주형은 (도10b과 같이) 재료를 성형하기 위해 폐쇄된다. 좌, 우측 금속 주형은 폐쇄되고, 그 다음 송풍 공기는 패리슨을 (도10c의) 주형에 의해 제공된 공동 형태로 팽창시키기 위해 패리슨 내로 공급된다.
이 때에, 금속 주형에 대한 접착성은 진공을 이용하여 금속 주형의 내부를 빨아들임으로서 향상될 수 있다. 용기는 이러한 방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이중벽 취입이 이용될 때, 외벽은 원주부 위의 주형에 겹쳐지고, 따라서 수지 재료가 서로에 대해 용융 특성을 갖는다면 내벽은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수지 재료들 사이의 접착 특성이 대개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의 잉크 용기에서, 내벽과 외벽은 지지부 이외에서 분리되고, 따라서 접착 특성이 특히 요구되지 않는다. 잉크 수용부는 외벽과 동일한 재료의 캡으로 이중벽 구조를 갖는 용기의 개구를 막음으로서 성형된다.
외벽과 내벽 사이의 공간 사이의 주위와 연통하기 위한 압력 조정용 배기구는 송풍 공기의 유입을 위해 주입부를 이용함으로서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취입 성형을 사용해서 잉크 용기를 제작하는 것은 부압 발생 부재와 같은 다공성 부재를 사용하는 잉크 용기의 종래의 제작 방법보다 그 제작 단계 수가 작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다공성 재료를 사용하는 잉크 용기의 경우, 예를 들어, 제작 단계에서 다공성 부재가 삽입될 때 잉크 용기에서 만들어지는 잉크 제트 기록 헤드에 이물질이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를 구비한 잉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필요로 하게 된다. 취입 성형을 이용하는 잉크 용기의 제작 방법에 따라, 어떠한 이물질도 잉크 용기 내에 생성되지 않으며, 따라서 잉크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도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실시에의 구조에서, 잉크가 침착되는 내벽은 외벽에서 분리되고 얇은 재료로 만들어지며, 따라서 외벽에서 쉽게 분리시킬 수 있고, 분류 폐기 또는 분류 재활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서, 수지 재료가 연속 공급되는 것으로서 설명되었지만, 동일한 재료가 내벽 및 외벽용으로 사용되고, 내벽 및 외벽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재료가 내벽의 패리슨과 외벽의 패리슨 사이로 간혈적으로 공급되어서 잉크 수용부(내벽)가 케이싱(외벽)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조 단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잉크 공급부의 위치가 잉크 공급부를 갖는 표면에서 벗어날 때, 패리슨과 금형 사이의 거리는 일부분에서 상이하게 되며, 따라서 일부의 경우에 취입 성형시 내벽 및 외벽에서 두께 분포가 발생할 수 있다.
도1a 내지 도1c에 도시된 잉크 용기의 경우에, 패리슨이 용기의 종방향으로 공급되고, 따라서 종방향으로의 두께 분포를 고려할 필요가 거의 없다. 그러나, α및 β에 의해 한정된 코너부에 대하여, 내벽 및 외벽의 두께는 공급부를 향해 더 크게 되어 있다. 최대 면적 표면에 관해서는, 이들이 바닥 표면에 대해 평행한 평면을 따라 절단될 때, 두께 분포가 있다. 이는 원통형의 패리슨이 평행사변형 단면을 갖는 프리즘으로 연장되는 때문이며, 따라서 코너부의 두께는 금형 표면으로부터 멀수록 작게 된다.
이는 잉크 용기의 함몰의 정도를 효과적으로 결정하는 데 있어서 유효한데, 그 이유는 잉크 공급부를 갖는 측면에 인접한 코너부(β2)가 대응 외벽으로부터 덜 용이하게 분리되게 하는 인자들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기타 실시예)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액체 수용 용기들 중 어느 용기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잉크 토출 허용 부재)
도1a 내지 도1c에서 참조 부호 106으로 나타낸 잉크 토출 허용 부재(액체 토출 허용 부재)는 작은 진동이 잉크 제트 헤드에 대한 연결부에 대해 가해질 때 또는 외부 압력이 용기에 가해질 때 잉크 공급부로부터의 잉크의 누출이 방지되게 하는 누출 방지 기능을 갖는다. 도1a 내지 도1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잉크 흡수 기능을 갖고, 따라서 메니스커스 유지력을 갖는 단방향성 섬유가 사용된다. 이는 실제로 잉크 보유부를 밀봉하며, 이는 잉크 제트 헤드의 잉크 탭핑 부재가 잉크 공급부로 삽입될 때 잉크 유지부 내의 잉크가 기밀 상태를 유지함면서 공급되어 나가게 할 수 있다.
잉크 용기(100) 및 잉크 제트 헤드가 어떻게 연결되는 지에 따라, 접촉 압력에 의해 작동 가능한 부재로서의 잉크 토출 부재는 고무 플러그, 다공성 재료, 밸브, 필터 및 수지편(resin piece)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압착부)
압착부(예를 들어, 도1a 내지 도1c에서 104)의 형태는 취입 성형 제조 방법에 사용된 금형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도10b에서, 지지부(104)는 파형 형상을 갖지만, 잉크 공급부(103)가 제조 단계 중에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방출된다면 직선형일 수 있다. 길이는 본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상이할 수 있다.
직접 취입 성형법이 사용될 때, 내벽은 잉크 공급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분에서 어려움 없이 지지될 수 있지만, 내벽을 복수의 부분에서 지지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압착부의 제공은 내벽의 불규칙한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배기구)
예를 들어, 도1a 내지 도1c에서 참조 부호 105로 나타낸 배기구는 잉크 수용부를 형성하는 내벽이 잉크 소비에 따른 체적 감소에 의해 변형될 때 내벽과 외벽사이로 공기를 도입하는 기능을 한다. 도1a 내지 도1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벽(102) 및 외벽(101)의 재료는 서로 접착되지 않아, 내벽(102)이 외력의 인가에 의해 외벽(10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생성된 작은 간극이 배기부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내벽(102)은 외벽(101)으로부터 분리되지만, 이들 사이의 간극은 수 미크론으로부터 수십 미크론 정도로 작으며, 따라서 내벽(102)은 외벽(101)에 의해 충분히 지지된다. 간극을 형성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는, 외벽 및 내벽을 위한 상이한 재료의 사용 결과로서 야기되는 잔류 응력 등을 이용하여 내벽은 전술된 바와 같이 외벽으로부터 분리된다.
배기구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외력에 의해 제공된 용접부에서 간극을 사용하지 않고도, 잉크 용기의 외벽의 적당한 위치에서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마련될수 있다. 더구나, 도2a 내지 도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개방될 수 있는 밸브가 잉크 용기의 외벽(111)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는 용기 내벽에 대한 압력 평형을 돕는 기능을 하며, 또한 잉크 용기가 떨어졌을 때 순간적인 압력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압력 변화를 신속히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액체 토출 헤드 카트리지)
본 발명의 잉크 용기의 기록 헤드에 대한 연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1a는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와 연결 가능한 기록 수단으로서의 기록 헤드를 도시하고, 도11b는 기록 헤드와 잉크 용기 사이의 연결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1a에서, 기록 수단인 기록 헤드 유니트가 참조 부호 701로 나타나 있으며, 전색 인쇄(full-color printing)를 위하여 흑색, 황색, 청록색 및 자홍색 기록 헤드를 일체로 포함한다.
기록 헤드 유니트는 전기 신호에 응답하여 잉크 내의 막 비등을 야기하는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기 열 변환기를 사용한다. 참조 부호 702는 각각의 기록 헤드들로 잉크를 도입하기 위한 잉크 도입부인 잉크 공급 튜브이며, 잉크 공급 튜브(702)의 단부에는 기포들(bubbles)이나 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703)가 제공된다.
상술한 잉크 용기(100)가 기록 헤드 유니트(701)에 장착되면, 잉크 공급 튜브(702)는 잉크 공급을 허용하기 위해 잉크 용기(100)에 제공된 압력 접촉 부재(106)에 연결된다.
잉크 용기의 장착 후에, 잉크는 잉크 용기로부터 기록 헤드로 도입되어 잉크 연통 상태를 설정해준다. 그 후, 인쇄 작업 동안에, 잉크는 기록 헤드에 제공된 잉크 토출부(704)로부터 토출되어 잉크 용기 내벽(102)내의 잉크를 소비한다.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 잉크 용기는 잉크 토출 기록 헤드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지만, 잉크 토출 기록 헤드와 일체로 될 수도 있다.
토출될 액체는 잉크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기록 재료 상의 잉크와 반응하는 처리 액체일 수도 있다.
(기록 장치)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용기가 기록을 위해 장착되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12는 도1a 내지 도1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를 포함하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제 12 도에 있어서, 헤드 유니트(701)와 잉크 용기(100)는 도시되지 않은 위치결정 수단을 사용하여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주 조립체 측에 제공된 캐리지 상에 견고하지만 제거가능하게 장착된다. 구동 모터(5013)의 전방 및 후방 회전은 구동력 전달 기어(5011, 5009)를 통해 리드 스크류(5004)에 전달되어, 리드 스크류(5004)를 회전시킨다. 리드 스크류(5004)에는 캐리지 상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핀과 맞물리는 헬리컬 홈이 제공된다. 이러한 배열로 인해, 캐리지는 상기 장치의 종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참조 부호 5002는 기록 헤드 유니트 내의 각 기록 헤드의 전방 표면을 씌우기 위한 캡을 나타낸다. 또한, 이 캡은 기록 헤드 성능을 복원하기 위해서도 사용되는데, 이 캡의 개구를 통해 도시되지 않은 흡입 수단에 의해 잉크가 흡입된다. 캡(5002)은 기어(5008) 등을 통해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이동되어, 각 기록 헤드의 토출 표면을 덮을 수가 있다. 도시되지 않은 세척 블레이드는 캡(5002)에 인접하여 본 도면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블레이드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공지된 세척 블레이드가 본 발명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장방치는 캡핑(capping), 세척 및 성능 복원 흡입 작업들 가운데 적절한 작업이 캐리지가 그 원래 위치에 있을 때 리드 스크류(5005)의 기능에 의해 적당한 위치에서 수행되도록 구성되지만, 그 구조는 공지된 타이밍을 갖고 적절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한 어떠한 구조라도 본 발명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캐리지 상에 기록 헤드 유니트가 장착되면, 기록 헤드 유니트의 연결 패드(4502)는 캐리지 상에 제공된 연결판(5030)의 연결 패드(5031)에 연결됨으로써, 전기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속은 연결 패드(5030)가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발생한다. 이러한 전기 접속은 커넥터를 사용하지 않고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록 헤드에 불필요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지 하부 표면 부분은 잉크 용기에 대해 확실하게 지지하도록 잉크 용기 외벽의 외면의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잉크 용기에 대한 지지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 잉크 용기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이 연결판(5030)에 제공되며, 따라서 이 연결판(5030)은 잉크 용기의 상부 부분을 한정하도록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정화된 부압 상태로 액체 공급을 할 수가 있다.
밀봉성은 잉크 용기를 제조하기 위해 취입 성형법을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부품들을 용접 및 보딩(boding)하여 제조된 잉크 용기 보다 양호하다. 부가적으로, 제조 단계 중에 내부에 이물질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이물질용의 필터에 대한 필요성이 제거될 수도 있다. 액체 수용부에서 스폰지와 같은 액체 보유 재료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됨으로써, 용기 내에 보유될 수 있는 액체를 광범위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액체 수용 용량이 크다. 게다가, 잉크 용기 구성 요소들의 수가 감소되고, 따라서 품질 관리 설비들의 수가 감소되어, 잉크 용기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잉크 용기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실제 정밀도 수준에 용이하게 부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양호한 생산량으로 제조가능한 저렴한 잉크 용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 용기를 정적 수두차를 사용하는 액체 공급 시스템에 대해 사용하면, 전체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본문에 개시된 구조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의 범위의 개량 목적이나 범주 내에 올 수 있는 바와 같은 수정 예들이나 변형 예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화된 부압 상태로 액체를 공급할 수 있는 액체 용기가 제공된다.
용기의 내부 공간은 상기 잉크를 최대로 수용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고 그 질의 변화는 작은, 부압을 이용하는 형태의 액체 수용 용기와,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정적 수두차가 이용되고 크기가 작은 액체 공급 시스템과 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액체 수용 용기가 제공된다.
잉크 제트 헤드에 특히 적용가능한 액체 수용 용기가 제공된다.

Claims (26)

  1. 실질적인 배기구와 이의 2개의 표면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된 코너부를 갖는 다면체형 외벽과, 내부에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액체 보유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벽의 내부 형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외벽의 코너부에 대응되는 코너부를 갖는 외면을 포함하는 내벽과, 액체 보유부로부터 외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 및 외벽은 최대 면적을 가지며 상기 액체 공급부를 구비하지 않는 주 표면을 갖고, 액체가 상기 액체 공급부를 통해 토출될 때, 상기 액체 용기의 상기 내벽의 주 표면에 수직한 평면에서 다면체 형태를 구성하는 한 측면과 이에 인접한 측면들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각이 감소하도록 그리고 감소 각도를 형성하는 측면과 감소 각도 형성 측면에 인접하지만 감소하는 각도 형성 측면이 아닌 측면 사이에 형성된 각이 증가하도록 상기 내벽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의 외면은 상기 외벽에 근접하여 접촉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상기 외벽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모두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이 상기 외벽에 의해 압착되는 압착부가 주 표면 이외의 부분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이러한 복수개의 압착부는 대향 위치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부는 액체 토출 허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6. 실질적인 배기구와 이의 2개의 표면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된 코너부를 갖는 다면체형 외벽과, 내부에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액체 보유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벽의 내부 형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외벽의 코너부에 대웅되는 코너부를 갖는 외면을 포함하는 내벽과, 액체 보유부로부터 외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 및 외벽은 최대 면적을 가지며 상기 액체 공급부를 구비하지 않는 주 표면을 갖고, 상기 액체 용기의 상기 내벽의 주 표면에 수직한 평면에서 다면체 형태를 구성하는 한 측면과 이에 인접한 측면들 사이에 형성된 각들 중 적어도 하나는 0°보다 크며 90°보다 작고, 감소하는 각을 형성하는 측면들과 감소 각도 형성 측면에 인접하지만 감소 각도 형성 측면이 아닌 측면들 사이에 형성된 각은 90°보다 크며 180°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이 상기 외벽에 의해 압착되는 압착부가 주 표면 이외의 부분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용기가 사실상 평행한 육면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이 공간을 갖고서 상기 내벽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보유부는 액체를 보유하며, 상기 액체 공급부는 액체 토출 허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11. 실질적인 배기구와 이의 2개의 표면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된 코너부를 갖는 다면체형 외벽과, 내부에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액체 보유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벽의 내부 형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외벽의 코너부에 대응되는 코너부를 갖는 외면을 포함하는 내벽과, 액체 보유부로부터 외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의 코너부는 액체가 토출될 때 상기 외벽의 대응 코너부로부터 분리가능한 제1 코너부와, 액체가 토출될 때에도 유지될 수 있는 제2 코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 및 외벽은 최대 면적을 갖는 주 표면을 가지며, 상기 액체 공급부는 주 표면 이외의 상기 내벽 및 외벽의 표면 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이 상기 외벽에 의해 압착되는 압착부가 주 표면 이외의 부분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 및 상기 외벽의 코너부는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15. 실질적인 배기구를 구비한 외벽과, 내부에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액체 보유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벽의 내부 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형태를 갖는 외면을 포함하는 내벽과, 액체 보유부로부터 외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은 액체가 토출될 때 상기 외벽의 대응 부분으로부터 분리가능한 굽힘부를 가지며, 상기 굽힘부는 최대 면적을 갖는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주 표면에 대면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 및 외벽은 수지 재료로 되어 있고, 상기 내벽의 수지 재료 및 상기 외벽의 수지 재료는 다른 열 수축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 및 상기 외벽은 수지 재료로 되어 있고, 상기 내벽이 수지 재료는 결정성이고, 상기 외벽의 수지 재료는 비결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 및 외벽을 구성하는 수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지 재료는 비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19. 잉크 제트 기록용 액체 용기에 있어서, 실질적인 배기구를 구비한 외벽과, 내부에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액체 보유브를 형성하고 상기 외벽의 내부 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형태를 갖는 외면을 포함하는 내벽과, 액체 보유부로부터 외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은 액체가 토출될 때 상기 외벽의 대응 부분으로부터 분리가능한 굽힘부를 갖고, 상기 굽힘부는 최대 면적을 갖는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주 표면에 대면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20.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액체 용기 및 상기 액체 용기의 액체 공급부에 연결된 액체 토출 기록 헤드를 갖고 있는 액체 토출 헤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액체 용기는, 액체 수용 용기 배기구를 갖춘 외벽과, 내부에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액체 보유부를 형성하고 상기 이벽의 내부 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형태를 갖는 외면을 포함하는 내벽과, 액체 보유부로부터 외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은 액체가 토출될 때 상기 외벽이 대응 부분으로부터 분리가능한 굽힘부를 갖고, 상기 굽힘부는 최대 면적을 갖는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주 표면에 대면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출 헤드 카트리지.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토출 기록 헤드는 상기 액체 수용 용기에 대해서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출 헤드 카트리지.
  22. 액체 토출 기록 장치에 있어서, 실직적인 배기구를 구비한 외벽과, 내부에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액체 보유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벽의 내부 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형태를 갖는 외면을 포함하는 내벽과, 액체 보유부로부터 외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은 액체가 토출될 때 상기 외벽의 대응 부분으로부터 분리가능한 굽힘부를 갖고, 상기 굽힘부는 최대 면적을 갖는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주 표면에 대면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구성의 액체 용기를 포함하는 액체 토출 헤드 카크리지와. 상기 액체 용기의 액체 공급부와 연결가능한 액체 토출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토출 기록 장치는 상기 카트리지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스캐닝 운동용 캐리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토출 기록 장치.
  23. 실질적인 배기구를 구비한 외벽과, 내부에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액체 보유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벽의 내부 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형태를 갖는 외면을 포함하는 내벽과, 액체 보유부로부터 외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은 액체가 토출될 때 상기 외벽의 대응 부분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굽힘부를 갖고, 상기 굽힘부는 최대 면적을 갖는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주 표면에 대면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구성의 액체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체 용기의 외부 형태에 대응하는 주형과, 형태가 원통형이고 상기 주형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외벽용 제1 패리슨과 내벽용 제2 패리슨을 준비하는 단계와, 내벽에 의해 형성된 영역과 외벽에 의해 형성된 영역이 분리가능하고 사실상 형태가 유사한 모양이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패리슨을 상기 주형으로 팽창시키기 위해서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제조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이 벽은 이것이 팽창할 때 사실상 팽창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용기를 성형한 후, 내벽 및 외벽이 서로 분리되고, 잉크가 상기 용기 내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실질적인 배기구를 구비한 외벽과, 내부에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액체 보유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벽의 내부 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형태를 갖는 외면을 포함하는 내벽과, 액체 보유부로부터 외부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은 액체가 토출될 때 상기 외벽의 대응 부분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굽힘부를 갖고, 상기 굽힘부는 최대 면적을 갖는 상기 액체 수용 용기의 주 표면에 대면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구성의 액체 용기를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체 용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액체 보유부의 압력 감소에 의해 내벽과 외벽을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액체 보유부 내로 액체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제조 방법.
KR1019970005445A 1996-02-23 1997-02-22 액체 용기, 제조 방법, 잉크 제트 카트리지 및 잉크제트 기록 장치 KR1002347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53196 1996-02-23
JP96-36531 1996-02-23
JP97-27736 1997-02-12
JP02773697A JP3245082B2 (ja) 1996-02-23 1997-02-12 液体収納容器、該容器の製造方法、該容器を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4797B1 true KR100234797B1 (ko) 1999-12-15

Family

ID=26365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5445A KR100234797B1 (ko) 1996-02-23 1997-02-22 액체 용기, 제조 방법, 잉크 제트 카트리지 및 잉크제트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90345B1 (ko)
EP (1) EP0791465B1 (ko)
JP (1) JP3245082B2 (ko)
KR (1) KR100234797B1 (ko)
CN (1) CN1077507C (ko)
AU (1) AU704208B2 (ko)
CA (1) CA2198188C (ko)
DE (1) DE69722282T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6299A (zh) * 2018-07-13 2020-11-24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打印液体供应装置和部件的套件
US11173719B2 (en) 2018-07-13 2021-11-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liquid supply
US11179941B2 (en) 2018-07-13 2021-11-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liquid supply
US11364720B2 (en) 2018-07-13 2022-06-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liquid supply
US11420444B2 (en) 2018-07-13 2022-08-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liquid supp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5092B2 (ja) 1996-09-11 2002-01-0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注入方法
US6030073A (en) * 1997-03-03 2000-02-29 Hewlett-Packard Company Space-efficient enclosure shape for nesting together a plurality of replaceable ink supply bags
US6276787B1 (en) 1997-09-26 2001-08-2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supplying device
JP3880232B2 (ja) * 1997-12-25 2007-02-14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供給方法、該液体供給方法を用いる液体供給システム、インクタンク
JP3667127B2 (ja) 1998-12-24 2005-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供給システムの液体残量検出方法
CN100398302C (zh) * 2002-10-31 2008-07-02 株式会社吉野工业所 吹塑成形容器和吹塑成形用金属模
US20060125887A1 (en) * 2004-12-15 2006-06-15 Hwang Peter G Fluid reservoir and ink pen assembly
JP4998184B2 (ja) 2007-10-01 2012-08-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滴吐出装置
JP5824945B2 (ja) 2011-07-29 2015-12-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US8622531B1 (en) * 2012-09-14 2014-01-07 Eastman Kodak Company Ink tank having a single gasket
CN106671607B (zh) * 2015-11-11 2018-07-06 珠海纳思达企业管理有限公司 墨盒及喷墨打印机
CN107554932B (zh) * 2017-09-29 2023-10-31 微能聚粒环境科技发展(南京)有限公司 一种双层纸筒包装容器
JP2022072403A (ja) * 2020-10-29 2022-05-17 キョーラク株式会社 二重容器
WO2024102329A1 (en) * 2022-11-07 2024-05-16 Videojet Technologies Inc. Case for a printer cartridge and manufactur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7269A (en) * 1979-11-06 1981-06-06 Seiko Epson Corp Ink tank
GB2063175B (en) 1979-11-06 1984-02-15 Shinshu Seiki Kk Ink jet printer
US4509062A (en) * 1982-11-23 1985-04-02 Hewlett-Packard Company Ink reservoir with essentially constant negative back pressure
JPS60204366A (ja) 1984-03-30 1985-10-15 Canon Inc インクジエツト記録ヘツドおよびその保存方法
JPS6193246A (ja) 1984-10-11 1986-05-12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装置
JPS6312427A (ja) 1986-06-25 1988-01-19 東洋製罐株式会社 プラスチツク製押出し多層容器
GB8925472D0 (en) 1989-11-10 1989-12-28 Ici Plc Container
JP3014058B2 (ja) 1990-12-28 2000-02-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ボト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211243A (ja) 1990-12-28 1994-08-02 Yoshino Kogyosho Co Ltd 農薬用積層ボトル
JPH04267727A (ja) 1991-02-05 1992-09-24 Keisuke Ito 多層成形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840482B2 (ja) 1991-06-19 1998-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及び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カートリッジ、並びに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WO1993002926A1 (en) 1991-08-05 1993-02-18 Yoshino Kogyosho Co., Ltd. Bottle of laminate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said bottle
JP3062631B2 (ja) 1991-08-05 2000-07-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ボトル
JP3108147B2 (ja) 1991-09-18 2000-11-13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213373A (ja) 1991-09-18 1993-08-24 Kamaya Kagaku Kogyo Co Ltd 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05047B2 (ja) 1991-11-18 2000-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容器、これを用いた記録ヘッド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記録装置
JP3207908B2 (ja) 1992-03-13 2001-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容器
DE69315870T2 (de) 1992-03-13 1998-05-20 Canon Kk Tintenbehälter
JPH05318756A (ja) 1992-05-22 1993-12-03 Canon Inc インク容器
JP3098619B2 (ja) 1992-06-25 2000-10-16 大阪瓦斯株式会社 燃料電池
JPH0627523A (ja) 1992-07-13 1994-02-04 Olympus Optical Co Ltd データ写し込み装置
US5440333A (en) 1992-12-23 1995-08-08 Hewlett-Packard Company Collapsible ink reservoir and ink-jet cartridge with protective bonding layer for the pressure regulator
JP3346064B2 (ja) 1993-12-28 2002-11-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
JP3251845B2 (ja) 1995-04-17 2002-01-28 キヤノン株式会社 負圧を与える液体収納容器、該容器の製造方法、該容器と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とを一体化した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6299A (zh) * 2018-07-13 2020-11-24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打印液体供应装置和部件的套件
US11173719B2 (en) 2018-07-13 2021-11-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liquid supply
US11179941B2 (en) 2018-07-13 2021-11-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liquid supply
CN111976299B (zh) * 2018-07-13 2022-06-10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打印液体供应装置和部件的套件
US11364720B2 (en) 2018-07-13 2022-06-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liquid supply
US11420444B2 (en) 2018-07-13 2022-08-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liquid supply
US11590761B2 (en) 2018-07-13 2023-02-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liquid supply
US11667125B2 (en) 2018-07-13 2023-06-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liquid supply
US11667124B2 (en) 2018-07-13 2023-06-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liquid supply
US11840091B2 (en) 2018-07-13 2023-12-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liquid supply
US11951748B2 (en) 2018-07-13 2024-04-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liquid supply
US11981143B2 (en) 2018-07-13 2024-05-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liquid supp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22282D1 (de) 2003-07-03
JP3245082B2 (ja) 2002-01-07
AU704208B2 (en) 1999-04-15
CN1077507C (zh) 2002-01-09
CN1167682A (zh) 1997-12-17
CA2198188A1 (en) 1997-08-24
US6290345B1 (en) 2001-09-18
CA2198188C (en) 2002-11-12
JPH09286117A (ja) 1997-11-04
EP0791465B1 (en) 2003-05-28
EP0791465A2 (en) 1997-08-27
AU1484897A (en) 1997-08-28
EP0791465A3 (en) 1998-05-27
DE69722282T2 (de) 200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4797B1 (ko) 액체 용기, 제조 방법, 잉크 제트 카트리지 및 잉크제트 기록 장치
KR100222280B1 (ko) 부압을 제공하는 액체 수용 용기와 그 제조 방법, 상기 용기와 잉크 제트 기록 헤드를 유니트로서 갖는 잉크 제트 카트리지 및 잉크 제트 기록 장치
KR100220136B1 (ko) 잉크 용기, 잉크 용기 제조 방법, 잉크 제트 카트리지및잉크제트장치
EP0794058B1 (en) Valve member, valve, ink container and ink cartridge having same
US6435673B1 (en) Liquid container,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ink jet cartridge that uses such container,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H11123834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大容量インク補充容器及び該容器の製造方法
US6305794B1 (en) Liquid container, ink jet cartridge hav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tainer
JP3245090B2 (ja) 負圧を与える液体収納容器、該容器と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とを一体化した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及び該容器の製造方法
JP3251881B2 (ja) 液体収納容器及び該液体収納容器を備える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及び該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を備え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AU731621B2 (en) Ink container
AU726614B2 (en) Ink container
AU715849B2 (en) Liquid container
AU741550B2 (en) Ink container
JPH1044385A (ja) 負圧を与える液体収納容器、該容器と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とを一体化した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2086750A (ja) 負圧を与える液体収納容器の製造方法
JPH1034956A (ja) インク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