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3564B1 - 모의 이동층에서의 개선된 흡착분리방법 - Google Patents

모의 이동층에서의 개선된 흡착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3564B1
KR100233564B1 KR1019970702573A KR19970702573A KR100233564B1 KR 100233564 B1 KR100233564 B1 KR 100233564B1 KR 1019970702573 A KR1019970702573 A KR 1019970702573A KR 19970702573 A KR19970702573 A KR 19970702573A KR 100233564 B1 KR100233564 B1 KR 100233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bent
adsorptive separation
adsorption
stream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2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6877A (ko
Inventor
판 웨이종
왕 유빙
조우 웬
리 유송
쑤에 유송
첸 웨이밍
Original Assignee
씨 쿠오 빈
양지 페트로케미컬 코포레이션 시노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94116990A external-priority patent/CN1038031C/zh
Priority claimed from CN94118796A external-priority patent/CN1036050C/zh
Application filed by 씨 쿠오 빈, 양지 페트로케미컬 코포레이션 시노펙 filed Critical 씨 쿠오 빈
Publication of KR970706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6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01D15/10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 B01D15/1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flow patterns
    • B01D15/1814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operational features relating to flow patterns recycling of the fraction to be distributed
    • B01D15/1821Simulated moving beds
    • B01D15/1828Simulated moving beds characterized by process features
    • B01D15/1835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12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adsorption, i.e. 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hydrocarbons with the aid of solids, e.g. with ion-exchan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12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adsorption, i.e. 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hydrocarbons with the aid of solids, e.g. with ion-exchangers
    • C07C7/13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adsorption, i.e. 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hydrocarbons with the aid of solids, e.g. with ion-exchangers by molecular-sieve techn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 B01D2215/02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with moving adsorbents
    • B01D2215/023Simulated moving beds
    • B01D2215/026Flushing the injection condui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In General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모의 이동층을 이용한 흡착분리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부피계수를 도입하여 제1분출유속을 각 흡착층의 연결라인에 결합시킴으로서 제1분출유속에 대한 개선된 산출공식을 제공하며, 이에 따른 일련의 제어공정을 실시하여 분출스트림의 양을 저하시키고 나아가 최종생성물의 순도와 수율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모의 이동층에서의 개선된 흡착분리방법
[기술분야]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흡착된 성분 A(하나 이상의 성분을 함유)와 상대적으로 적게 흡착된 성분 B(하나 이상의 성분을 함유)를 함유하는 사료의 혼합물로부터 흡착제의 선택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성분을 흡착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탄화수소로 구성되는 사료의 혼합물로부터 한 종류의 이성질체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파라-크실렌과 그 다른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사료의 혼합물로부터 고순도의 파라-크실렌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흡착분리방법은 화학산업 특히 석유화학산업에서 광범위하게 적용하고 있는 분리방법중에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방법은 그동안 여러 가지 성분을 함유하는 사료의 혼합물로부터 기타 공정에 의해 분리하기 어려운 하나의 성분을 분리하는데 적용되어 왔다.
기존 방법의 경우, 현재 다른 종류의 이성질체로부터 한가지 종류의 탄화수소를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특허관련문헌들이 공개되어 있다. 다른 이성질체로부터 디아킬기에 의해 치환된 모노시클릭(monocyclic) 방향족 화합물의 파라 이성질체를 분리하는 방법, 특히 예를 들면, 파라-이성질체들을 바람직하게 흡착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특정한 제올라이트 분자체(zeolite molecular sieve) 흡착제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크실렌 이성질체로부터 파라-크실렌을 분리하는 방법은 관련 미국특허, 즉 제36265020호, 제3663638호, 제3665046호, 제3700744호, 제3686342호, 제373447호, 제3394109 및 제3997620호와 관련 중국 특허, 즉 제1022622호, 제1022826호, 제10493294호, 제1051549A호, 제1064071호 및 제1047489A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문헌에 따르면 벤젠, 톨루엔, 클로로벤젠, 플루오로 방향족 화합물, 할로겐화 톨루엔, 파라디알킬벤젠, 디에틸톨루엔 및 테트랄린 등이 사료혼합물의 구성성분에 따른 탈착제로서 각각 제시되어 있다.
흡착분리공정은 고정 층이나 이동층에서 실시할 수 있는데, 모의 역류이동층 시스템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2985589호, 제3268604호 및 제3268605호에서는 흡탁분리법을 실시하고자 상기 모의 역류이동층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는 반면, 미국특허 제3040777호 및 제3422848호에서는 모의 역류 이동층시스템의 회전 밸브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기존 방법들이 가지고 있는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과 그 해결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상기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흡착분리시스템은 4개의 연속적인 영역, 즉 흡착영역, 정제영역, 탈착영역 및 완충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서 F는 선택적으로 흡착된 성분 A와 상대적으로 적게 흡착된 성분 B를 함유하는 사료의 스트림(stream)을 나타내며, D는 탈착제 스트림을 나타내며, E는 추출물, 즉 선택적으로 흡착된 성분 A를 함유하는 탈착제의 스트림을 나타내며, R은 라피네이트(raffinate), 즉 탈착후 상대적으로 적게 흡착된 성분 B를 함유하는 나머지 스트림을 나타내며, H(in)및 H(out)은 각각 흡착층들을 연결하는 라인에 대한 제1의 분출 스트림과 관련하여 상기 탈착제에 농축되어 있는 유입 및 유출 스트림을 나타내며, X는 흡착층을 연결하는 라인에 대한 제2의 분출 스트림을 나타내며, 그리고 M은 회전밸브에 의해 이동된 모의 흡착이동방향을 나타낸다.
F와 R 사이에 존재하는 영역 I의 경우, 공급된 사료는 흡착제와 역류적으로 접촉하며, 선택적으로 흡착된 성분 A는 사료의 스트림에서 상기 흡착제의 구멍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그 구멍으로부터 탈착제 D를 밀어낸다. 따라서, 영역 I은 흡착영역으로 정의한다. 영역 II는 F와 E 사이에 존재한다. 상기 흡착제는 선택적으로 흡착된 성분 A와 소량의 상대적으로 적게 흡착된 성분 B를 흡착하므로, 상기 흡착제는 영역 II의 상층부로부터 유입되는 A와 D만을 함유하는 스트림과 접촉하며, 영역내에서 스트림의 유속에 대한 적절한 조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적게 흡착된 성분 B는 상기 구멍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흡착된 성분 A와 탈착제 D에 의해 점차적으로 밀려나게 된다. 상기 흡착제는 성분 B보다 성분 A에 강한 흡착선택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성분 A는 성분 B와 동시에 완벽히 밀려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성분 A는 영역내에서 정제된다. 따라서, 영역 II는 정제영역으로 정의된다. E와 D 사이에 있는 영역 III에서는, 순수한 D가 영역 II 내에서 정제된 피흡착제와 접촉하여 상기 흡착제 구멍으로부터 성분 A를 밀어내게 되므로 영역 III는 탈착영역으로 정의된다. D와 R 사이에 있으며 D의 유속을 정의하고 있는 영역 IV의 경우, D는 흐름이 조절된 상태하에 성분 B가 영역 III 내에 있는 스트림으로 흘러 들어가서 추출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영역내에서 윗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영역은 완충영역으로 정의된다.
가동시에 회전밸브 등과 같은 전환장치를 사용하여 유입 및 유출되는 스트림을 재순환시키고 상기 4개의 영역을 차례로 이동시켜서 모의식 흡착제 이동을 실현시킨다. 회전밸브를 전환시키는 동안, 정제된 성분의 순도와 회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흡착층 연결라인으로부터 잔사를 분출시킬 필요가 있다. H(in), H(out)및 X의 위치를 도면에 나타내었으며 이에 따라 영역 II 및 III는 II', II'' 및 III' 등과 같이 3개 이상의 구역으로 추가로 나뉘어져 있다.
한편, H(in)및 H(out)과 같은 유속에 있어서, 상기 유속을 너무 작게 하면 연결라인내에 있는 잔사는 완전히 분출될 수가 없으므로 결국 최종생성물의 순도와 회수율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탈착제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분출스트림이 연결라인을 분출시킨 후 흡착층을 통하여 배수되는 경우에 상기 유속이 너무 크면, 상기 흡착제의 흡착공간은 분출스트림내에서 탈착제에 의해 점유당하게 되며, 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흡착된 성분에 대한 상기 흡착제의 흡착능이 약해져서 결국 선택적으로 흡착된 성분의 순도와 회수율이 저하된다.
상기 공정으로부터 각각의 흡착층 연결라인에 있어 제1분출스트림의 WH(in)및 WH(out)의 일정유속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한다.
[수학식 1]
Figure kpo00001
상기에서, VL은 가장 긴 연결라인의 부피(㎥)이며, T는 회전밸브 전환시의 시간간격 (h)이다.
상기 흡착제의 부피평형에 준하여 각 영역의 유속은 하기 공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kpo00002
상기에서, WH: 제1분출스트림의 유속
WX: 제2분출스트림의 유속
WF: 사료스트림의 유속
WE: 추출물스트림의 유속
WD: 탈착제스트림의 유속
WS: 영역 II에서 명시된 스트림의 유속
그러나 실제의 시스템상에서 흡착제내의 공간을 가지고 있는 각층은 그 위치가 다르고 또한 회전밸브에 대한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흡착층을 회전밸브에 연결하는 각 라인의 부피는 상당히 다르다. 이 때문에 상기 공정에서 공식 (I)에 의거하여 각 라인의 대한 제1분출스트림의 유속은 더 높은 분출스트림으로 산출되므로 최종생성물의 순도와 회수율을 저하하는 요인이 된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최종생성물의 회수율과 순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제1분출스트림의 유속저하를 도모하고 및 생산비용을 절감하고자 모의 이동층에서 개선된 흡착 분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 각각의 흡착층 연결라인에 대한 제1분출스트림의 유속은 제1분출스트림의 양을 낮추기 위하여 각 라인의 부피와 관계가 있는데, 이는 상기 흡착분리공정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높은 유속의 분출스트림, 최종생성물의 낮은 순도 및 회수율과 같은 단점들을 극복하고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은 모의 역류이동층에서의 개선된 흡착시스템을 이용하여 두가지 성분, 즉 선택적으로 흡착된 성분과 상대적으로 적게 흡착된 성분 B를 함유하는 사료의 혼합물에서 상대적으로 적게 흡착된 성분 B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흡착된 성분을 흡착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흡착분리방법은 하기와 같은 공정으로 이루워져 있다.
[제1단계 흡착공정]
분리된 사료는 선택적으로 성분 A를 흡착하는 흡착제와 영역 I에서 역류흡착에 의해 접촉하며, 상대적으로 적게 흡착되는 성분 B가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라피네이트 R을 방치시킨다.
[제2단계 정제공정]
상기 흡착제는 성분 A와 소량의 성분 B에 모두 흡착한다. 상기 공정단계에서는, 정제영역 II 내에서 성분 A를 함유하는 일정한 양의 스트림과 탈착제를 제1단계 공정을 거친 피흡착제와 접촉하게 하며, 이에 따라 상기 흡착제의 구멍으로부터 성분 B를 몰아내어 성분 A를 정제시킨다.
[제3단계 탈착공정]
상기 탈착제는 성분 A에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피흡착제와 탈착영역 III 내에서 접촉하여 상기 흡착구멍으로부터 정제된 성분 A를 탈착시키고 추출물 E를 생성한다. 일정한 양의 추출물은 상기 제2단계 공정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제를 위한 흡착제로서 이용되며 나머지는 증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성분 A의 고순도 최종생성물이 회수되며 상기 탈착제는 재사용을 위해 순환시킨다.
[제4단계 완충공정]
완충영역 IV 내에서, 탈착제 D의 스트림은 흐름이 조절된 상태하에 윗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있는데, 이는 성분 B에 함유되어 있는 라피네이트가 흡착영역내에 있는 스트림으로 흘러 들어가서 추출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5단계 전환공정]
흡착분리공정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4가지 공정은 스트림 전환장치를 이용하여 차례로 반복하게 된다. 각각의 영역은 순차적으로 흡착영역, 정제영역, 탈착영역 및 완충영역이 되며 해당 시스템 내에서 상기 4가지 영역의 순환이동을 실현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사용되는 전환장치는 회전밸브, 스위칭 밸브 또는 스트림 전환기능을 가진 기타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미국특허 제3040777호 및 제3422848호에서 제시된 바 있는 상기 기능을 가진 회전밸브는 본 명세서에 참고적으로 기술하였다.
[제6단계 분출공정]
스트림 전환공정에서는, 각각의 영역내로 새로운 스트림을 유입하기 전에 라인에 있는 잔사를 제거하기 위하여 흡착층을 전환장치와 연결시켜서 그 잔사를 분출할 필요가 있다. 탈착제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용액은 때때로 분출을 위해 이용된다.
상기 분출공정은 최종생성물의 회수율과 순도에 극히 중요하다. 본 공정에서 사용한 제1분출스트림의 유속 2VL/T은 과도한 분출스트림과 이에 따른 잉여 스트림을 초래함은 물론, 분출스트림 내에서 흡착제의 공간이 탈착제에 의해 점유당하게 된다. 이에 따라 흡착된 성분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제의 성능을 저하시키며, 또한 선택적으로 흡착된 성분의 회수율과 순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각층을 연결하는 라인에게 공급되는 제1분출스트림의 유속이 하기 공식 (II)에 의해 산출되어 이에 따른 가동이 가능한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단점들이 해소되어 경제적인 분출이 가능하고, 선택적으로 흡착된 성분의 회수율과 순도를 높힐 수 있으며, 고도의 수용능력을 가진 흡착분리시스템을 실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수학식 2]
Figure kpo00003
상기에서, WHn은 n개의 층을 연결하는 라인을 분출시키는 제1분출스트림의 유속 (㎥/h)이며, Kn은 라인을 연결시키는 n개의 부피계수이며 그 값은 하기 수학식 3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kpo00004
상기에서, KI는 부피계수로서 그 값은 0.5~3.5이며, VL은 가장 긴 연결라인의 부피 (㎥)이며, Vn은 n개의 연결라인의 부피 (㎥)이며, T는 회전밸브 전환시의 시간간격 (h)이다.
한편, 상기 공식 (II)에서 Kn의 선택은 Vn/VL(상이한 라인부피에 대한 상이한 Vn/VL)과 관계가 있으며, 또한 선택된 부피계수인 KI도 관련이 있다. KI계수의 값은 연결라인의 길이, 직경 및 형태에 따라 정해진다. 길이가 보다 짧고, 직경이 크며, 굽힘이 적은 라인의 경우, 보다 작은 KI계수(0.5~2)가 적절한데 예를 들면 1~1.5이다. 길이가 보다 길고, 직경이 작으며, 굽힘이 많은 라인의 경우, 보다 큰 KI계수(2~3.5)가 적절한데 예를 들면 2.5~3.0이다. 중간 정도의 라인인 경우 KI계수는 2가 바람직하다.
적절한 부피계수를 선택함으로써 제1분출스트림의 유속을 각 연결라인의 부피와 연계시키고 각 연결라인에 다른 분출유속을 부여함으로서 상기 유속을 가장 합리적으로 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분출스트림을 절감할 수 있을 뿐아니라 선택적으로 흡착된 성분의 회수율과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된 방법을 사용하고 확실한 분출효과가 보장된 상태하에서, 원래 탈착제가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하기 위하여 제1분출스트림의 유속을 작게 결정하는 경우, 원하는 최종생성물의 흡착공간이 보다 더 확보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회수율은 4~5%, 순도는 0.1~0.2% 및 단위 생성능력은 간접적으로 3~5%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의 이동층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흡착제로 구성이 가능한데, 각 흡착제는 일정한 양의 흡착층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8개 이상의 흡착층, 즉 8~24개의 흡착층을 함유할 수 있다. 8개의 정배수 흡착층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24개의 흡착층이 있다.
본 발명의 모의 이동층 흡착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사료는 흡착분리에 적절한 사료인 경우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상기 사료는 석유화학공정으로부터 생성되며 다른 흡착특성을 지닌 각종 성분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각종의 파라핀계 화합물 및 치환된 파라핀계 화합물, 예를 들면 할로알칸, 시클로알칸, 올레핀 등과, 각종의 방향족 화합물 및 치환된 방향족 화합물, 예를 들면 알킬 방향족 화합물, 할로겐화 방향족 화합물, 헤테로시클릭 방향족 화합물 등, 그리고 알킬아민, 알칸올, 알킬에테르, 알킬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분리되는 사료는 각종의 적용가능한 파라핀계 화합물 또는 C8및 C9방향족 화합물의 혼합물이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사료는 디아킬벤젠, 특히 크실렌의 각종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의 이동층 흡착시스템의 흡착제는 사료스트림에서 분리가능한 흡착제인 경우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다. 흡착제는 사료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성분의 특성과 농도 및 그 상호작용에 따라 주로 선택한다. 여러 가지 천연 흡착제나 합성 흡착제는 상이한 사료성분, 예를 들면 X 또는 Y 형태의 분자체, 활성 알루미나 및 실리카겔과 같은 천연 또는 합성 제올라이트, 그리고 지난 10년간 개발되어 온 이온교환법에 의한 상이한 금속양이온을 가진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분자체 흡착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흡착분리시스템의 탈착제는 이미 흡착된 성분과 비교하여 상이한 흡착능을 가진 액체의 경우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가동중에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기 흡착제로부터 선택적으로 흡착된 성분으로 대치할 수 있다. 탈착제의 선택은 사료와 흡착제에 함유되어 있는 여러 가지 성분과 일치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회수후에도 상기 성분들을 종류와 같은 공정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하여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현재의 공정에서 채택되는 탈착제는 각종의 파라핀계 화합물, 방향족 화합물 및 이들의 치환체가 사용가능하다.
흡착분리에 따른 제반조건에 따르면, 온도의 경우 대기온도에서 약 250℃까지이며 바람직한 온도는 60℃~200℃이다. 그리고 압력의 경우 대기압 1~40이며 탈착에 따른 제반조건은 흡착조건과 동일하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제1분출스트림의 양을 저하시키는 흡착분리효과를 상세하게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은 본 명세서에 명시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정확히 거꾸로 본 발명의 범위는 제1분출스트림의 양을 저하시키는 모든 흡착분리방법을 포함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모의 역류이동층에 대한 주요 연속 흡착분리시스템을 나타낸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 공정상의 조건을 이용하여 파라-크실렌 및 그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사료의 분리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성성분 : p-크실렌, o-크실렌, m-크실렌, 에틸벤젠등
흡착제 : 칼륨 및 바륨을 함유하는 X 형태의 제올라이트 분자체
탈착제 : 파라-디에틸벤젠
제1분출스트림H(in) : 파라-디에틸벤젠에 다량 함유된 용액
온도 : 177℃
압력 : 0.88MPa
흡착제를 통한 사료스트림의 유속 (부하율: 95%)
WF= 224㎥/h
WD= 336㎥/h
WE= 132㎥/h
WX= 18㎥/h
WK= 446㎥/h
회전밸브 스위칭의 시간간격:
T = 101.4s = 0.0281h
흡착제는 24개의 층을 함유하며, 각 층을 연결시키는 라인의 부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부피계수인 KI의 선택값은 2이며, 라인을 연결하는 각 층의 부피계수 Kn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Vn/VL의 공식에 의거하여 산출하였다.
T 값, 가장 긴 층의 연결라인인 부피 VL과 각 층의 연결라인인 부피계수 Kn에 의거하여 제1분출스트림의 유속인 WH(in)n및 WH(out)n은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 수학식 4에 의하여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kpo00005
[표 1]
Figure kpo00006
*VL: 가장 긴 연결라인의 부피
표 1에 나타낸 WH(in)n및 WH(out)n을 각각 24개의 흡착층 연결라인을 가진 각각의 라인부피에 결함시킴으로서 각 라인에 대한 제1분출스트림의 유속조절은 일련의 통제를 통하여 그 실현이 가능하다. 정상적인 가동이 되었을 때 p-크실렌의 회수율은 95%, 그리고 최종생성물의 순도는 99.46%에 이르고 있다.
[비교예 1]
비교예의 공정조건은 하기 공식에 따라 산출된 WH(in)및 WH(out)의 값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Figure kpo00007
p-크실렌의 회수율은 90%이었으며 최종생성물의 순도는 99.3%이었다.
실시예 1의 각 라인에 대한 제1분출유속을 비교예 1의 각 라인에 대한 분출속도 (71 m3/h)와 비교해 볼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사용된 제1분출스트림의 양은 종래의 구현예보다 15~45%가 낮으며 평균 30% 정도가 낮다는 사실을 명백히 나타내 주고 있다. 비교예 1에 따른 분출스트림의 양은 실시예 1의 양보다 많으므로 선택적으로 흡착된 성분의 회수율은 낮고 그 순도도 낮아지게 된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 따른 공정은 하기 변수를 가지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WF= 235㎥/h
WD= 355㎥/h
WE= 140㎥/h
WX= 19㎥/h
WK= 467㎥/h
회전밸브 전환시의 시간간격:
T = 99.3s = 0.0275h
부피계수인 KI의 선택값은 1.8이며, 라인을 연결하는 각 층의 부피계수 Kn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8Vn/VL의 공식에 의거하여 산출하였다.
T의 값, 가장 긴 층의 연결라인인 부피 VL과 각 흡착층의 연결라인인 부피계수 Kn에 의거하여 제1분출스트림의 유속인 WH(in)n및 WH(out)n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 수학식 5에 의하여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kpo00008
[표 2]
Figure kpo00009
표 2에 나타낸 WH(in)n및 WH(out)n을 각각 24개의 층연결라인을 가진 각각의 라인부피에 결함시킴으로서 각 라인에 대한 제1분출스트림의 유속조절은 일련의 통제를 통하여 그 실현이 가능하다. 정상적인 가동이 도는 경우 p-크실렌의 회수율은 96%, 그리고 최종생성물의 순도는 99.5%에 이르고 있다.
실시예 2를 실시예 1과 비교했을 때, p-크실렌의 회수율과 순도는 제1분출스트림의 유속을 저하시킴으로서 상승되고 있다는 사실을 명백히 보여주고 있다.
[비교예 2]
비교예 2의 공정조건은 공식(II)에 따라 산출된 제1분출스트림의 유속인 WH(in)및 WH(out)의 값이 65.4㎥/h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정상적인 가동이 되었을 때 p-크실렌의 회수율은 90.2%, 그리고 최종생성물의 순도는 99.3%에 이르고 있다.
실시예 2의 각 라인에 대한 제1분출유속을 비교예 2의 각 라인에 대한 분출속도 (65.4㎥/h)와 비교해 볼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사용된 제1분출스트림의 양은 종래의 구현예보다 15~46%가 낮으며 평균 32% 정도가 낮다는 사실을 명백히 나타내 주고 있다. 비교예 1에 따른 분출스트림의 양은 실시예 1의 양보다 많으므로 선택적으로 흡착된 성분의 회수율은 낮고 그 순도도 낮아지게 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 공정상의 조건을 이용하여 m-크실렌 및 그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사료혼합물의 흡착분리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료의 구성성분 : p-크실렌, o-크실렌, m-크실렌, 에틸벤젠등
흡착제 : 제올라이트 분자체
탈착제 : 톨루엔
제1분출스트림 H(in) : 톨루엔에 다량 함유된 용액
온도 : 180℃
압력 : 0.90MPa
흡착제는 24개의 흡착층을 함유하고 있으며 회전밸브의 시간간격은 다음과 같다.
T = 90s = 0.025h
부피계수인 KI의 선택값은 1.90 이었으며 이에 따라 각 라인에 대한 제1분출스트림의 유속을 계산하였다. 일련의 제어를 통하여 제1분출스트림의 유속을 조절하였다. 정상적인 가동이 되었을 때 p-크실렌의 회수율은 60%, 그리고 최종생성물의 순도는 98%에 이르고 있다.
[비교예 3]
비교예 3의 공정조건은 하기 공식에 따라 WH(in)및 WH(out)의 값을 산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Figure kpo00010
m-크실렌의 회수율은 51%이었으며, 최종생성물의 순도는 95.0%이었다.
실시예 3을 비교예 3과 비교해 보았을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나타난 감소된 양의 제1분출스트림은 최종생성물의 회수율과 순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본 발명에서는 몇가지 실시예와 비교예를 열거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해 분야에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따른 발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의 내용을 근거로 하여 각종 변화 및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변화 및 변경의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정의된다.

Claims (13)

  1. 개선된 모의 역류이동상 흡착시스템을 이용하여 사료혼합물에 함유되어 있는 선택적으로 흡착된 성분과 상대적으로 적게 흡착된 성분을 흡착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1) 선택적으로 흡착된 성분과 상대적으로 적게 흡착된 성분을 함유하는 사료를 흡착영역 I에 공급하고, 상기 영역에서 공급된 사료는 흡착제와 역류흡착에 의해 접촉하며, 상기 흡착제는 사료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 A와 선택적으로 흡착하되 성분 B가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라피네이트 R을 방치시키는 제1단계 공정과; (2) 선택적으로 흡착된 성분 A와 탈착제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일정한 양의 스트림을 제1단계 공정을 거친 피흡착제와 접촉하게 하며, 이에 따라 상기 흡착제의 구멍으로부터 제1단계 공정에 따라 흡착된, 상대적으로 적게 흡착된 성분 B를 몰아내어 흡착제 구멍내에서 성분 A를 정제시키는 제2단계 공정과; (3) 상기 탈착제를 탈착영역 III 내에서 제2단계 공정을 거친 피흡착제와 접촉시켜서 상기 흡착제 구멍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흡착된 성분 A를 탈착시키고 추출물 E를 생성하고, 이어서 증류를 통하여 고순도 최종생성물을 형성하게 되는 제3단계 공정과; (4) 완충영역 IV 내에서, 탈착제 D의 스트림의 유속을 제어하여 라피네이트가 탈착영역내로 흘러 들어가서 추출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4단계 공정과; (5) 한 종류의 스트림 전환장치를 이용하여 흡착시스템 내에 있는 상기 4가지 영역을 순환이동시켜서 스트림의 유입 및 유출을 재순환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워지며, 또한 스트림 전환공정에서는 탈착제에 다량으로 함유된 분출스트림을 이용하여 흡착층을 연결하는 라인에 그 잔사를 외부로 분출시키고 그 제1분출 유속인 WH는 하기 공식에 의해 산출되는데,
    Figure kpo00011
    상기에서, VL은 n개의 흡착층을 연결하는 라인의 부피계수이고 그 값은 하기 공식에 의하여 산출되는데,
    Figure kpo00012
    상기에서, Vn은 n개의 연결라인의 부피 (㎥)이며, VL은 가장 긴 연결라인의 부피 (㎥)이며, T는 회전밸브 스위칭의 시간간격 (h)이며, KI는 각 연결라인의 부피계수로서 그 값은 0.5~3.5이며, 부피계수를 통하여 분출스트림을 각 연결라인의 양과 결함시킴으로서 상기 분출스트림의 유속이 분출스트림의 상이한 유속이 상이한 연결라인으로 선택되어지도록 하여 일련의 제어를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이동층에서의 개선된 흡착분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Kn의 값이 2Vn/VL, Vn, 및 VL인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이동층에서의 개선된 흡착분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분리되는 사료는 파라핀계, 치환된 파라핀계 이성질체 및 소량의 기타 부산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이동층에서의 개선된 흡착분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분리될 사료는 방향족 화합물, 치환된 방향족 화합물의 이성질체 및 소량의 기타 부산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이동층에서의 개선된 흡착분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화합물은 디아킬벤젠, 디아킬페놀, 디니트로벤젠, 디할로지노벤젠 및 디알킬나프탈렌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이동층에서의 개선된 흡착분리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킬벤젠은 톨루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이동층에서의 개선된 흡착분리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파라-크실렌이 최종생성물로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이동층에서의 개선된 흡착분리방법.
  8. 제1항에서 제7항까지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X 형태의 제올라이트, Y 형태의 제올라이트, 또는 이온교환법에 의하여 도입된 금속 양이온을 가진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이동층에서의 개선된 흡착분리방법.
  9. 제1항에서 제7항까지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제는 파라핀계 화합물이나 이들의 치환체, 또는 방향족 화합물이나 이들의 치환체는 모두 사용이 가능하되 선택적으로 흡착된 성분을 몰아낼 수 있으며, 또한 흡착제와 사료 스트림의 성분이 일치하고 선택적으로 흡착된 성분들로부터 용이하게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이동층에서의 개선된 흡착분리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흡착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이동층에서의 개선된 흡착분리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시스템은 8개 이상의 흡착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이동층에서의 개선된 흡착분리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층의 수는 8개의 정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이동층에서의 개선된 흡착분리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X 형태의 분자체 K-Ba-X이고 탈착제는 피라디에틸벤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이동층에서의 개선된 흡착분리방법.
KR1019970702573A 1994-10-22 1995-10-20 모의 이동층에서의 개선된 흡착분리방법 KR100233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94116990.1 1994-10-22
CN94116990A CN1038031C (zh) 1994-10-22 1994-10-22 改进的吸附分离生产高纯度对二甲苯的方法
CN94118796A CN1036050C (zh) 1994-12-07 1994-12-07 改进的模拟移动床的吸附分离方法
CN94118796.9 1994-12-07
PCT/CN1995/000080 WO1996012542A1 (fr) 1994-10-22 1995-10-20 Procede perfectionne de separation par adsorption a lit mobile sim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6877A KR970706877A (ko) 1997-12-01
KR100233564B1 true KR100233564B1 (ko) 1999-12-01

Family

ID=25743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2573A KR100233564B1 (ko) 1994-10-22 1995-10-20 모의 이동층에서의 개선된 흡착분리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84777A (ko)
EP (1) EP0787517B1 (ko)
JP (1) JP3547759B2 (ko)
KR (1) KR100233564B1 (ko)
AU (1) AU3696595A (ko)
DE (1) DE69516707T2 (ko)
WO (1) WO19960125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8284A3 (en) * 2009-05-29 2011-02-2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arex unit fee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0886B1 (fr) * 1996-07-11 1998-09-25 Inst Francais Du Petrole Dispositif de rincage dans une unite d'adsorption en lit mobile simule et son utilisation
FR2756751B1 (fr) * 1996-12-05 1999-01-08 Inst Francais Du Petrole Dispositif de rincage dans une unite d'adsorption en lit mobile simule comprenant deux lignes de distribution de fluides et son utilisation
US5912395A (en) * 1997-03-12 1999-06-15 Uop Llc Raffinate line flush in simulated continuous moving bed adsorptive separation process
WO2002086030A1 (en) 2001-04-18 2002-10-31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Selection of materials to test for and/or remove drag reducer additive in liquid hydrocarbon fuels
JP4116266B2 (ja) * 2001-05-25 2008-07-09 株式会社オメガ 携帯可能な殺菌洗浄水の生成方法と其の装置
US7018434B2 (en) * 2002-04-18 2006-03-28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Removal of drag reducer additive from fuel by treatment with selected activated carbons and graphites
EP1545574B8 (en) * 2002-09-13 2014-09-24 Biogen Idec Inc. Method of purifying polypeptides by simulated moving bed chromatography
US7364599B2 (en) * 2003-06-03 2008-04-29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Methods for increased removal of drag reducer additives from liquid hydrocarbon fuel
US7264640B2 (en) * 2003-06-03 2007-09-04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engines powered by liquid hydrocarbon fuel
US7261747B2 (en) * 2004-03-08 2007-08-28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Removal of drag reducer additive from liquid hydrocarbon fuel using attapulgus clay
US7208651B2 (en) * 2005-03-03 2007-04-24 Uop Llc Product recovery from simulated-moving-bed adsorption
US7544293B2 (en) 2005-09-26 2009-06-09 Semba Inc. Valve and process for interrupted continuous flow chromatography
US8807164B2 (en) * 2006-08-30 2014-08-19 Semba Biosciences, Inc. Valve module and methods for simulated moving bed chromatography
US7790040B2 (en) 2006-08-30 2010-09-07 Semba Biosciences, Inc. Continuous isocratic affinity chromatography
FR2956037B1 (fr) * 2010-02-11 2012-02-17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et dispositif de separation en lit mobile simule comportant des lignes de derivation d'un lit sur deux avec debits de balayage controles lors des injections et des soutirages
KR101431361B1 (ko) 2010-03-30 2014-08-19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분리 시스템
WO2012129225A2 (en) 2011-03-23 2012-09-2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Reduction in flushing volume in an adsorptive separation system
CN102895800B (zh) 2011-07-28 2016-05-25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模拟移动床吸附分离方法和设备
KR20140108689A (ko) * 2011-12-15 2014-09-12 유오피 엘엘씨 모사 이동층 흡착을 이용한 부산물의 회수 시스템 및 방법
US8992779B2 (en) * 2011-12-15 2015-03-31 Uop Llc System and process for recovering products using simulated-moving-bed adsorption
US20130153503A1 (en) * 2011-12-15 2013-06-20 Uop Llc System and process for recovering products using simulated-moving-bed adsorption
US9017558B2 (en) * 2011-12-15 2015-04-28 Uop Llc System and process for recovering products using simulated-moving-bed adsorption
US8933288B2 (en) 2013-03-20 2015-01-13 Uop Llc System and process for flushing residual fluid from transfer lines in simulated moving bed adsorption
US9328041B2 (en) 2013-09-24 2016-05-03 Uop Llc Methods and systems for separating para-xylene using a radial flow simulated moving bed chamber
US9950972B2 (en) 2013-09-27 2018-04-24 Uop Ll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forming C8 aromatic streams with selected amounts of C9 aromatics
US9302955B2 (en) 2013-09-27 2016-04-05 Uop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xylene isomers using selective adsorption
US9522863B2 (en) 2014-02-28 2016-12-2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Xylene separation process
US9522862B2 (en) 2014-06-30 2016-12-20 Uop Llc Simulated moving bed separators and methods for isolating a desired component
US9464012B2 (en) 2014-11-20 2016-10-1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Xylene separation process and apparatus
CN111760328B (zh) * 2020-07-08 2022-06-10 山东西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老旧变压器油性能恢复工艺与复合吸附柱及其装填和再生方法
CN114748980B (zh) * 2022-03-16 2023-07-25 四川天采科技有限责任公司 合成气分离提取h2/co的全温程模拟旋转移动床变压吸附工艺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5589A (en) * 1957-05-22 1961-05-23 Universal Oil Prod Co Continuous sorption process employing fixed bed of sorbent and moving inlets and outlets
US3040777A (en) * 1959-04-10 1962-06-26 Universal Oil Prod Co Rotary valve
US3268604A (en) * 1961-11-06 1966-08-23 Universal Oil Prod Co Fluid flow control system for simulated moving bed processes
US3268605A (en) * 1961-11-06 1966-08-23 Universal Oil Prod Co Supervisory control system for a simulated moving bed separation process
US3231492A (en) * 1962-05-16 1966-01-25 Universal Oil Prod Co Fluid-solid contacting process
US3291726A (en) * 1964-05-04 1966-12-13 Universal Oil Prod Co Continuous simulated countercurrent sorption process employing desorbent made in said process
DE1234988B (de) * 1964-11-28 1967-02-23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opolymerisaten des Trioxans
US3422848A (en) * 1966-06-09 1969-01-21 Universal Oil Prod Co Multiport rotary disc valve with liner protection means
US3626020A (en) * 1969-03-12 1971-12-07 Universal Oil Prod Co Separation of paraxylene from mixture of c aromatic utilizing crystalline aluminosilicate adsorbent
US3665046A (en) * 1969-10-13 1972-05-23 Universal Oil Prod Co Separation of para-xylene from mixtures of c8 aromatics utilizing crystalline aluminositicate adsorbents
US3734947A (en) * 1970-07-17 1973-05-22 Ueno Seiyaku Oyo Kenkyujo Kk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4-(2-hy-droxyethoxy) benzoic acid lower alkyl esters of high purity
US3663638A (en) * 1970-08-31 1972-05-16 Universal Oil Prod Co Aromatic hydrocarbon separation by adsorption
US3700744A (en) * 1970-09-18 1972-10-24 Universal Oil Prod Co Simultaneous recovery and production of pure xylenes from a c aromatic mixture
US3686342A (en) * 1970-09-18 1972-08-22 Universal Oil Prod Co Aromatic hydrocarbon separation by adsorption
US4051192A (en) * 1971-04-21 1977-09-27 Uop Inc. Separation of bi-alkyl substituted monocyclic aromatic isomers
US3997620A (en) * 1975-10-28 1976-12-14 Uop Inc. Process for separating para-xylene
US4306107A (en) * 1980-02-07 1981-12-15 Uop Inc. Production of pure M-xylene and pure ethyl benzene from a mixture of C8 aromatic isomers
US4423279A (en) * 1982-02-25 1983-12-27 Uop Inc. Separation of bi-alkyl substituted monocyclic aromatic isomers with pyrolyzed adsorbent
US4434051A (en) * 1982-06-07 1984-02-28 Uop Inc. Multiple valve apparatus for simulated moving bed adsorption processes
CN1022826C (zh) * 1987-06-15 1993-11-24 环球油品公司 氟代芳族解吸剂在对烷基芳烃的吸附分离法中的应用
US4992618A (en) * 1988-03-23 1991-02-12 Uop Adsorptive separation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heavy normal paraffins with non-normal hydrocarbon pre-pulse stream
US4864069A (en) * 1988-05-23 1989-09-05 Uop Zeolitic para-xylene separation with diethyltoluene heavy desorbent
US5171922A (en) * 1991-11-14 1992-12-15 Uop Process for separating para-xylene from a C8 and C9 aromatic mixture
KR100352800B1 (ko) * 1993-09-15 2003-01-06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다단계플러싱흡착분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8284A3 (en) * 2009-05-29 2011-02-2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arex unit fe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16707D1 (de) 2000-06-08
EP0787517B1 (en) 2000-05-03
JPH10512484A (ja) 1998-12-02
JP3547759B2 (ja) 2004-07-28
EP0787517A1 (en) 1997-08-06
AU3696595A (en) 1996-05-15
US5884777A (en) 1999-03-23
EP0787517A4 (en) 1998-07-08
DE69516707T2 (de) 2001-02-01
KR970706877A (ko) 1997-12-01
WO1996012542A1 (fr) 199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3564B1 (ko) 모의 이동층에서의 개선된 흡착분리방법
JP4871887B2 (ja) 擬似移動床吸着からの改良された生成物回収方法
JPS6049606B2 (ja) 正パラフイン分離の改良方法
KR100845198B1 (ko) 파라-크실렌의 회수를 위한 흡착 분리 방법
EP1060776B1 (en) Use of raffinate line flush in a simulated continuous moving bed adsorptive separation process
JPS621678B2 (ko)
US8323581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a-xylene from a mixture of C8 and C9 aromatic hydrocarbons
SG175654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para-xylene from a mixture of c8 and c9 aromatic hydrocarbons
US9024105B1 (en) System and process for flushing residual fluid from transfer lines in simulated moving bed adsorption
US20130116485A1 (en) Process for separation by selective adsorption on a solid containing a zeolite with a crystalline structure analogous to im-12
RU2564356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продуктов с помощью адсорбции с имитированным движущимся слоем
KR100228238B1 (ko) 고순도 이소부탄의 흡착분리정제장치 및 공정
US20090326306A1 (en) Process for separating para-xylene from a mixture of C8 and C9 aromatic hydrocarbons
US5510564A (en) N-paraffin purification process with removal of aromatics
JP2015505729A (ja) 擬似移動床吸着を用いて生成物を回収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2060760A (ja) オレフィン炭化水素分離方法
RU97107845A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способ адсорбционного разделения на слое с имитацией движения
JPH02295935A (ja) 他の物質中に混在するインデンを含む原料流からインデンを分離する方法
AU3497599A (en) Use of raffinate line flush in a simulated continuous moving bed adsorptive separation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