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1253B1 -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1253B1
KR100231253B1 KR1019910015571A KR910015571A KR100231253B1 KR 100231253 B1 KR100231253 B1 KR 100231253B1 KR 1019910015571 A KR1019910015571 A KR 1019910015571A KR 910015571 A KR910015571 A KR 910015571A KR 100231253 B1 KR100231253 B1 KR 100231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monitoring
image
data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5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473A (ko
Inventor
고바야시 노부히사
Original Assignee
미쓰다 가쓰시게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다 가쓰시게,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미쓰다 가쓰시게
Publication of KR920007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2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감시진단 시스템에는, 각 빌딩마다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운전을 감시하는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진단장치와, 그의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진단장치에 전화회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각 빌딩의 엘리베이터를 집중관리하는 감시센터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감시진단 시스템에 잇어, 엘리베이터카내에 카메라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카메라로 촬상한 엘리베이터카내의 화상정보를 디지탈화하여 압축하는 화상 압축 장치를 엘리베이터카에 설치한다.
그리고, 화상압축장치에서의 화상데이터와 엘리베이터카내의 인터콤에서의 음성데이터를,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진단 장치에서 전화회선을 통하여 감시센터장치에 시분할로 전송한다.
이것에 의해 전화회선 사용효율의 향상과 엘리베이터카내의 안정성 향상을 기도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의 개략구성도.
제2도는 엘리베이터 윈격감시진단장치의 구성도.
제3도는 화상압축장치의 구성도.
제4도는 화상재생장치의 구성도.
제5도는 감시센터장치의 구성도.
제6도는 데이터 전송제어 프로토콜(protocol)을 표시하는 설명도.
제7도는 화상선형 예측오차 전송시스템의 구성도.
제8도는 선형화상모델을 표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엘리베이터 전용전송회선 20 : 인터콤 통화제어선
30 : 화상신호 전달케이블 41, 42 : 화상전송케이블
50 : 전화회선
206, 214, 303, 403, 506 : 미이크로 프로세서
101 :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
171, 172 : 엘리베이터 제어패널
210 : 듀얼포트 메모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카(car)내화상을 관리인실 또는 감시센터에서 모니터 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승객의 안정향상에 적합한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카내의 화상을 전송하는 장치로서는, 일본특허 공개 제 63-12579 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 엘리베이터 관리인실에 텔레비젼 모니터하는것이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관리인실을 가지는 빌딩은 아주 작고, 대부분의 경우, 엘리베이터 관리인 그 자체가 없는 것이 현상이다.
이러한 상황뿐아니라, 엘리베이터카내의 범죄방지에 대한 필요는 강하다.
종래의 장치로서, 일본특허공개 제 59-22869 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시스템의 하드웨어 보수효율을 올리도록, 전화회선을 사용하여, 에리베이터의 운전상황을 원격으로 일괄감시하는 것도 있으나, 이것은 하드웨어의 보수가 주된 목적이고, 엘리베이터의 승객에 대한 안정을 고려한 점은, 기껏해야, 엘리베이터카내 인터폰을 엘리베이터 감시센터에 직접 접속하여, 음성통화를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현재, 엘리베이터의 이용자부터, 엘리베이터카내에서의 안정확보의 필요가 높아져 있으나, 그 반면, 인력부족, 인원삭감등의 이유에 의해,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빌딩마다에, 엘리베이터카내를 텔리비젼 모니터등에 의해 감시하는 것이 어렵게 되었다.
상기 종래기술은 엘리베이터 설치 빌딩마다에, 엘리베이터카내에서의 안전향상등의 대응을 취할 수는 있으나,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제어시스템의 원격감시진단시스템에 엘리베이터카의 내부화상 전송기능을 가지게하여, 원격감시진단용의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와 감시센터장치와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전화회선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제어시스템의 하드웨어의 보수효율의 향상을 기도하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이용객의 안정을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진단시스템에서는, 전화회선을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감시진단데이터의 전송과, 엘리베이터카내의 인터폰에서의 음성통화를 하고 있다.
이 감시진단시스템상하에서, 감시진단 데이터전송, 인터폰통화의 기능을 방해함이 없이, 엘리베이터카내의 화상전달을 해야 한다.
화상정보는, 아날로그정보로서, 전화회선에 운송되지 않을 뿐만아니라,그대로 디지탈화한 것으로서는 매우 대용량의 데이터로 되기 때문에, 전화회선상을 모뎀(modem)변조하여 전송하여도, 1∼2분의 전송시간을 소비한다.
이때문에, 화상정보전송중에는, 인터폰에 의한 엘리베이터카와 감시센터수단과의 음성통화가 1∼2분중단된다.
엘리베이터가 고장나서 엘리베이터카내에 승객이 갇힐때에는, 음성통화가
1∼2분중단되는 것은, 이상상태에 있는 엘리베이터카내 승객에 대해, 심리적 허용한계를 넘는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화상정보를 그대로의 상태에서, 감시진단데이터, 인터폰음성과 함께,1개의 전화회로상에 시분할기준으로 전달하는 것은 실용적이 아니다.
그래서, 엘리베이터카내 승객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엘리베이터카내 화상은 정지화상이라도 충분하다고 판단하여, 이 정지화상을 평균 1화소 1비트 정도로 압축한다.
이와 같이 하면, 1화면의 화상전송시간을 10∼20초정도로 할 수가 있어, 엘리베이터 감시진단데이터 및 인터폰에서의 음성데이터와 함께, 화상데이터를 시분할기준으로 동일 전화회선상에 전송한 경우, 엘리베이터카내와 감시센터와의 사이에서 음성통화가 중단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고, 엘리베이터카내의 승객에 제공하는 심리적 불안을 갖게할 수가 있다.
엘리베이터카내 화상의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수단에의 전송에 있어, 엘리베이터카내의 카메라에서의 화상신호를, 엘리베이터카상에 설치한 화상압축수단으로 디지탈화 압축하는 것에 의해, 통상의 화상신호전송용의 동축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데이터전송용의 트위스트-패어케이블(twisted-pair cables)을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특성 및 이점은 첨부도면의 참조와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 설명이 참조될때 명백하게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1실시예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1도는 엘리베이터카내 화상전송시스템의 전체 시스템 구성을 표시한다.
제2도는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진단장치의 하드웨어구성을 표시한다.
제3도는 엘리베이터상에 설치되는 화상압축장치의 하드웨어구성을 표시한다.
제4도는 엘리베이터 관리인실에 설치되는 화상재생장치의 하드웨어구성을 표시하고, 제5도는 감시센터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를 각각 표시한다.
제1도에 있어, 101은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진단잔치이고, 171, 172는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진단장치(101)에 의해 동작상태에 감시가 행하여지는 엘리베이터 제어패널이다.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진단장치(101)과 엘리베이터 제어패널(171, 172)는 엘리베이터 전용전송회선(10)에 의해 접속되어, 엘리베이터원격감시진단장치(101)을 제어국으로 하고, 엘리베이터 제어패널(171, 172)를 종주국으로 하는 1 : N통신을 행한다.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진단장치(101)은, 엘리베이터 전용전송회선(10)을 사용하여 복수대의 엘리베이터 제어패널(171, 172)에서 운전정보를 입력하여, 엘리베이터 제어패널(171, 172)의 동작감시, 이상검출을 한다.
참조번호 131, 132는 엘리베이터카내의 인터콤부기기(slaveintercom)이고,161은 엘리베이터 관리인실내의 인터콤주기기(master intercom)이다.
인터콤부기기(131, 132)와 인터콤주기기(161)는, 인터콤통화제어선(20)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진단장치(101)에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진단장치(101)는, 인터콤부기기 131 또는 132의 호출가 조작되었는가 아닌가를 감시하고 있다.
인터콤부기기 131 도는 132의 호출단추의 조작에 대해, 관리인실의 인터콤주기기(161)가 일정시간이상 조작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카내의 비상호출에 대해, 관라인이 응답하지 않았다고 보고, 비상통보 요구발생으로 판단한다.
참조번호 181은 감시센터장치이고, 이 감시센터장치(181)과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진단장치(101)와 전화회선(5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101)은, 엘리베이터 제어패널(171, 172)의 이상을 검출하는 동시에, 엘리베이터카내의 인터콤부기기(131, 132)에서의 비상 통보요구를 검출하고, 전화회선(50)을 통하여, 모뎀변조등에 의해, 데이터전송, 음성통화를 한다.
더욱, 전화회선(50)은, 일반가입회선등의 음성통화용 회선이다.
엘리베이터카내의 인터콤부기기(131, 132)에서 비상통보요구가 있었던 경우에는, 인터콤부기기(131, 132)와 인터콤주기기(161)와 엘리베이터 감시센터의 헤드폰(192)과의 3자간에서, 음성통화가 가능하게 되어, 엘리베이터 감시센터의 어페레이터는, 엘리베이터카내의 승객과 빌딩관리인실의 관리인과의 회화에 의해, 엘리베이터카내 승객에 대해, 대응조치등의 연락을 할 수 있다 .
엘리베이터 제어패널(171, 172)의 이상을 검출했을때는, 전화회선(50)을 통한 모뎀변조 데이터전송에 의해, 엘리베이터 제어패널(171, 172)의 이상내용을 자동적으로 엘리베이터 감시센터의 감시센터장치(181)에 연락할 수 있다.
더욱, 감시센터장치(181)에서, 전화회선(50)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101)에 전기적으로 엑세스하고, 엘리베이터 제어패널(171, 172)의 운전상태를 진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도에서는 엘리베이터가 2개 설치된 경우를 표시하고 있으나, 엘리베이터는 1대 또는 3대 이상이라도 좋다.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101)과 감시센터장치(181)와의 사이에 데이터 전송제어 프로토콜(protocol)을 제6도에 표시한다.
동도면은,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101)에서의 엘리베이터이상검출, 및 인터콤 비상통보요구검출의 연속데이터송출의 예이다.
제6도에 있어서, 식별신호 1D1은,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101)에 고유하게 붙여진 번호를, 더욱 암호화 한 것이다.
또, 응답신호 1D1는, 식별번호 1D1을 암호화한 것이다.
암호와 알코리즘(algorithm)은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101), 감시센터장치(181)와 함께 동일하다.
이 식별신호 1D1과 응답신호 1D2와의 교환은, 각각이 동일 네트워크(network)시스템내와 단말장치, 감시센터장치인 것을 인식하기 위한 것이고,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101)에서의 발신, 또는 감시센터장치(181)에서의 발신의 어느 경우에 있어도, 공통으로 행하여지는 처리이다.
이 처리를 식별응답처리라 한다.
이 처리에는,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101)이 반듯이 먼저 식별신호를 송출한다.
감시센터장치(181)에서는, 식별번호를 정상으로 수신하면, 식별 ACK신호를 직송하는 동시에, 식별번호 1D1을 재암호화하고, 응답신호 1D2로서,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101)에 송출한다.
응답신호 1D1를 정상수신한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101)은, 식별신호 1D1에 대해, 응답신호 1D2가 정확하게 만들어져있으면, 응답 ACK신호를 반송하고, 식별응답의 주고받기가 정상 종료했다고 판단한다.
한편, 감지센터장치(181)은, 응답 ACK신호가 직송되는 것으로, 식별응답의 주고받기가 정상종료라고 판단한다.
이 식별응답처리가 종료하면, 엘리베이터 이상검출 데이터 송출등의 데이터전송이 행하여 진다. 이후, 음성통화가 필요하면, 그것을 요구하는 측에서, 통화모드변경신호 SI이 송출된다. 통신모드 변경신호 SI의 수신측에서는, ACK신호의 반송과 함께, 통신모드 변경신호 SI를 송출하고,더욱, 그의 수신확신의 ACK신호를 수신하면 음선통화상태에 이동한다. 음성통화상태일때, 데이터전송이 필요하게 된 경우에는, 이 통신모드 변경신호 SI의 교환을 하는 것으로, 재차, 데이터전송상태에 변화한다.
제1도에 있어서, 111, 112는 엘리베이터카상에 설치된 화상압축장치이고, 이들의 화상압축장치(111, 112)에는 동축 등의 화상전송케이블(41, 42)를 통하여 각각 카메라(121, 112)가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카내의 화상은, 엘리베이터카내의 안정성확보를 위한 것이라면, 흑백화상으로, 그의 화소수도 128×120정도로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단, 1화소당의 양자화 비트수는, 계조수를 128∼256으로하면, 7∼8비트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128×120화소로 128계조의 화상정보량은, 약 100KB로된다. 엘리베이터원격감시용의 전화회선에 의해 전송하면, 전화회선상에 모뎀변조속도를 1200bps로 하여도, 약 90초의 전송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엘리베이터카내에서 이상이 발생하여, 인터콤부기기 131 또는 132에 의한 비상통보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 인터콤부기기 131 또는 132와 감시센터 헤드폰(192)과의 사이에서 음성통화로 사용하고 있는 전화회선으로, 엘리베이터카내화상을 압축하지 않고 보낼려고 하면, 약 90초 음성통화가 중단되어, 엘리베이터승객의 심리적불안을 초래하는 것아 된다.
그러므로, 엘리베이터카내 화상정보의 전송수단으로서, 화상을 2차원 선형으로 예측하고, 그의 예측오차를 보내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7도는 화상의 선형예측 오차전달시스템의 구성이고, 제 8 도는 2차원화상의 선형모델이다. 2차원화상에서는, 화소 P의 계조레벨은,
P = aA + βC + γD ……(1)
로되는 예측식으로 표시할 수가 있다. 여기서 a, β, γ는 예측계수이고, A, B, C는 각각의 화소계조레벨이다. 이 선형에측을 사용하여, 송신측에서 예측과 실제의 값의 오차를 양자화하여, 압축하면, 화상정보를 1/7∼1/8로 압축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압축하면, 128×120의 화소의 화상은, 약2KB의 정보로 되고, 전화회선을 사용하여, 1200bps의 모뎀변조속도로 데이터전송하면 약 13초로 1화면을 전송가능하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카내의 인터콤부기기 131 또는 132와 감시센터헤드폰(192)로 통화중이더라도, 통화를 그리 방해하지않고, 통화상태에서 데이터전송모드에 전환하여, 화상의 전송이 행하여 진다.
결과로서 1개의 전화회선을 통화모드 전환신호에 의해 전환하면서, 시분할기준으로 엘리베이터 운전상태, 화상정보의 데이터전송, 엘리베이터카내 인터콤과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101)은, 자신이 제어국이되어, 화상압축장치(111, 112)에서 화상신호전송 케이블(30)을 통하여 화상정보를 주기적으로 모은다. 관리인실의 화상압축장치(141)은, 화상압축장치(111, 112)에서의 화상정보가 엘리베이터 감시센터에 보내어 지지않아도, 화상신호전달케이블(30)상의 화상정보를 모니터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엘리베이터카내 화상을 모니터(151)상에 재생할 수가 있다.
그리고, 화상압축장치(111,112)에 의해, 이미 화상이 디지탈화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카내에서의 화상정보전달을 위한 포선을, 코스트가 높은 동축케이블대신에, 코스트가 낮은 트위스트페어 케이블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엘리베이터카내의 화상정보는, 정지화면으로서, 엘리베이터감시진단장치(101)내에 존재하고 있다. 이 화상정보는, 엘리베이터 제어패널(171, 172)의 이상검출시, 또는 엘리베이터카내의 인터콤부기기 131또는 132에서의 비상통보 요구 검출시에, 감시센터장치(181)에 보내어져, 모니터(191)에 엘리베이터카내 화상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 감시센터장치(181)에서의 엑세스로, 엘리베이터카내 화상을 감시센터장치(181)에 판독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은, 제2도는 엘리베이터 원격감시 진단장치의 하드웨어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206, 214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이고, 마이크로프로세서(214)는 엘리베이터 제어패널(171, 172)의 데이터 전송제어를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06)은, 엘리베이터 제어패널의 상태데이터에 의거하여, 엘리베이터 제어패널의 상태감시진단과, 화상압축장치에서의 화상데이터의 입력과, 전화회선을 통하여 감시센터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전송제어를 한다.마이크로 프로세서(214)는, 엘리베이터 제어패널과의 통신 때문에, 전용의 엘리베이터 통신제어회로(213)와, 전송제어용 타이머회로(212)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패널과의 통신은, 엘리베이터 상태감시 진단처리와는 상호관련없고, 병행하여 행하여져, 판독된 엘리베이터제어패널의 상태데이터는,듀얼포트메모리(210)를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06)에 넘겨진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14)의 제어프로그램용 ROM, 제어데이터용 RAM은, 미이크로 프로세서(214)내장의 ROM, RAM을 사용하고 있다.
미이크로 프로세서(206)은, 그의 제어프로그램용 ROM, 제어데이터용 RAM로서, 외부의 ROM 208, ROM 209를 가진다. 또, 감시센터장치와의 전화회선을 통한 모뎀데이터전달을 위해, 전화회선망 제어회로(201)을 가지고, 데이터통신제어, 변복조 제어를 위해 각각 통신제어회로(204), 모뎀회로(203)을 가진다. 감시센터장치와 엘리베이터카내 인터콤과의 인터페이스회로(202)가 있다. 타이머(205)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06)의 감시센터장치와의 데이터전송 제어용으로서 사용된다.
엘리베이터카내 화상전달을 위한 회로로서, 화상압축장치와의 데이터전송 인터페이스회로(211)와, 통신제어회로(207)가 있다.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진단장치로서는, 종래의 회로에, 화상압축장치와의 인터페이스 회로를 배설할 뿐이고, 화상전송이 실현될 수 있다.
제3도는, 엘리베이터카상에 설치되는 화상압축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이다.
제3도에 있어, 303은 화상압축장치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고, 카메라에서 입력된 화상정보를 압축하고,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진단 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를 한다.
참조번호 304, 305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3)의 제어프로그램격납 ROM, 제어데이터격납 RAM이다.
308은 엘리베이터카내 카메라와의 인터페이스회로이다.
또, 306은 인터페이스회로(308)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화상신호를, 디지탈화상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회로이고, 307은 아날로그/디지탈변환의 제어회로이다.
엘리베이터카내 화상신호는, 디자탈화되어 압축되면, 제어데이터격납 RAM에격납된다.
그리고, 이 압축된 화상신호는, 디지탈치 그대로, 엘리베이터원격감시 진단장치에 보내어진다.
더욱, 302압축화상의 디지탈치의 통신제어회로이고, 301은 통신인터페이스회로이다.
제4도는. 엘리베이터 관리인실에 설치되는 화상재생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이다.
화상재생장치는, 엘리베이터카상의 화상압축장치와 엘리베이터원격감시 진단장치를 연결하는 압축화상 데이터전송선에 접속되어, 압축화상데이터를 모니터하는 것에 의해, 관리인실에서, 엘리베이터카내 화상을 모니터하는 것이다.
제4도에 있어, 403은 화상재생장치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고, 압축화상 데이터의 입력, 및 화상의 재생처리를 한다.
404, 405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403의 제어프로그램 격납 ROM, 제어데이터 격납 RAM이다.
408은 화상모니터장치화의 인터페이스회로이다.
또, 406은 이 화상모니터장치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디지탈화되어 있는 화상정보를 아날로그화하는 디지탈/아날로그변환회로이고, 407은 디지탈/아날로그변환의 제이회로이다.
더욱, 402는 압축화상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통신제어회로이고, 401은 통신인터페이스회로이다.
제5도는 감시센터장치의 하드웨어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이다.
감시센터장치는, 엘리베이터 감시센터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원격감시진단장치에서 보내어지는 엘리베이터 감시진단데이터의 수신과, 엘리베이터카내 인터콤과의 통화와, 엘리베이터카내화상데이터의 수신을 각각 제어하고 있다.
제5도에 있어, 506은 미이크로 프로세서이고, 데이터전송, 인터콤통신, 화상전송의 제어를 한다. 또, 515는 압축화상데이터의 재생제어를 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501은 전화회선의 접속제어를 하는 회선망 제어회로이다.
502는 엘리베이터카내 인터콤과의 사이에서 음성통화를 하기 위해서의 헤드폰 인터페이스회로이다.
503은 엘리베이터 감시진단데이터전송, 및 압축화상데이터전송을 하는 모뎀 변복조회로이고, 504는 데이터통신 제어회로이고, 505는 전송제어등을 위해 사용되는 타이머회로이고, 507, 508은 각각 마이크로프로세서(506)을 위한 제어프로그램 격납 ROM,제어데이터 격납 RAM이다. 또, 509는 마이크로 프세서(506)과 마이크로 프로세서(515)간의 압축화상데이터 인도용 듀얼포트RAM이다.
513과 514는 각각 마이크로 프로세서(515)를 위한 제어프로그램격납 ROM, 제어데이터격납 RAM이고, 512는 엘리베이터카내 화상재생을 위한, 화상모너터장치 인터페이스회로이다.
511은 디지탈 화상신호를 아날로그화 하기위한 디지탈/아날로그변환회로이고, 510은 디지탈/아날로그 변환제어회로이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카내의 화상정보를 디지탈화하여 압축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감시진단데이터나 엘리베이터카내의 인터콤에서의 음성데이터와 함께, 동일 전화회선상에 시분할기준으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전환회선사용효율의 향상과, 엘리베이터카내의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화상압축수단으로 압축한 화상정보를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진단수단까지 전송하는 경우, 기설의 예비선을 사용할 수가 있어, 새로히 전송선을 시설할 필요가 없으므로,매우 경재적이다.
더욱, 엘리베이터카내의 화상정보는 감시센터 뿐만 이니라 관리실에도 전송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이상시에는 즉시 관리인이 대응조치를 취할 수가 있고, 승객에의 서비스향상을 기도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많은 타 실시에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서 아탈함이 없이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서 설명된 일정한 실시예의 한정되지않고, 다만 첨부 청구범위에만 제외되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9)

  1. 내부에 인터콤이 설치된 엘리베이터카와, 엘리베이터카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패널과, 엘리베이터제어패널의 동작상태를 총합적으로 감시하는 엘리베이터원격감시진단수단 및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진단수단과 전화회선을 통하여 접속되고,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진단수단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카내의 감시진단정보를 입력하여 엘리베이터를 중앙관리하는 감시센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에서 카메라는 엘리베이터카내의 장착되고, 그 카메라가 촬상한 상기 엘리베이터카내의 화상정보를 디지탈화하여 압축하는 화상압축수단을 설치되고, 상기 화상압축수단에서의 화상데이터와, 상기 인터콤에서의 음선데이터는 시분할기준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진단수단을 통하여 상기 감시센터수단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
  2. 내부에 인터콤이 설치된 엘리베이터카와, 이 엘리베이터 카의 운전을 제어하는엘리베이터 제어패널과, 이 엘리베이터제어패널의 동작상태를 총합적으로 감시하는 엘리베이터원격감시수단과, 이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수단과 전화회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진단 수단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카내의 감시진단정보를 입력하여 엘리베이터를 중앙관리하는 감시센터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에 있어서,카메라는 상기 엘리베이터카내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가 촬상한 상기 엘리베이터카내의 화상정보를 디지탈화하여 압축하는 화상 압축수단을 설치하고, 엘리베이터의 감시진단데이터, 상기 화상 압축수단에서의 화상데이터 및 상기 인터콤에서의 음성데이터는 시분할기준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진단 수단을 통하여 상기 감시센터수단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
  3. 내부에 인터콤이 설치된 엘리베이터카와, 엘리베이터 제어패널의 작동상태를 중앙감시하기위한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진단수단및, 상기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진단수단과 전기회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엘리베이터를 중앙감시하도록 원격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수단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카내의 감시진단 정보를 입력하는 감시센터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에서 카메라는 엘리베이터카내의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가 촬상한 상기 엘리베이터카내의 화상정보를 디지탈화하여 압축하는 화상압축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화상압축수단에서의 화상데이터와 상기 인터콤에서의 음성데이터는 시분할기준으로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진단수단을 통하여 상기 감시센터수단에 전송되고, 상기 화상압축수단에서의 화상데이터와 상기 인터콤에서의 음성데이터는 빌딩관리인실에도 또한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압축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카내의 상면에 설치된것을 특징으로하는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압축수단은 엘리베이터가 2 또는 그이상일 때 상기엘리베이터카내의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에서 복수의 화상압축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진단수단은 공통신호선 전송방식의 화상정보전송케이블로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정보 전송케이블은 트위스트-페어케이블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
  7. 엘리베이터카내의 감시된 진단정보가 전화회선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감시센터에 입력되고, 엘리베이터의 감시와 진단을 원격으로 중앙관리하는 엘리베이터 감시진단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로 촬상한 엘리베이터카내의 화상정보를 디지탈화하여 압축하는 단계, 압축된 화상데이터와 상기엘리베이터카내의 음성데이터는 상기 전화회선을 통하여 시분할기준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센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센터에서 엘리베이터를 진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내를 감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
  8. 엘리베이터카내의 감시된 진단정보는 전화회선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감시센터에 입력되고, 엘리베이터의 오류진단은 원격으로 중앙관리하는 엘리베이터 감기진단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로 촬상한 엘리베이터카내의 화상정보를 압축하는 단계, 압축된 화상데이터와 엘리베이터의 오류진단데이터를 디지탈데이터로서 모뎀변조를 하는 단계, 데이터가 본래 아날로그 데이터로서, 상기 전화회선을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와 감시센터에 엘리베이터의 음성데이트를 전송하도록 상기 화상데이터, 엘리베이터의 오류진단데이터, 또는 상기 음성데이터인것에 의해 모드를 전환하는 단계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엘리베이터 감시진단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감시센터에 전송되는 화상데이터는 빌딩관리인실에도 전송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카내의 내부는 빌딩관리인실로부터 감시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엘리베이터 감시진단방법.
KR1019910015571A 1990-09-10 1991-09-06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 및 방법 KR100231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39741A JPH04121380A (ja) 1990-09-10 1990-09-10 エレベータ監視診断システム
JP90-239741 1990-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473A KR920007473A (ko) 1992-04-28
KR100231253B1 true KR100231253B1 (ko) 1999-11-15

Family

ID=1704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5571A KR100231253B1 (ko) 1990-09-10 1991-09-06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4121380A (ko)
KR (1) KR100231253B1 (ko)
CN (1) CN1032303C (ko)
TW (1) TW2086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3666B2 (ja) 2000-09-20 2008-07-09 三菱電機株式会社 磁石発電機
JP3894487B2 (ja) * 2002-10-28 2007-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かご監視装置及び方法並びにエレベータかご監視装置の取付け方法
WO2007066376A1 (ja) * 2005-12-05 2007-06-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監視システム
JP2008074617A (ja) * 2006-08-21 2008-04-03 Land X:Kk エレベーター防災緊急通報システム
JP5022809B2 (ja) * 2007-08-01 2012-09-12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乗かご内の異常監視装置
CN102219139A (zh) * 2010-04-15 2011-10-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梯安全监控系统及方法
CN102616617B (zh) * 2012-03-23 2014-11-19 佛山市智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监控方法
CN102602762B (zh) * 2012-03-23 2015-05-20 佛山市智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检修监控方法
KR101443763B1 (ko) * 2013-03-15 2014-10-01 스마트엘리베이터(주)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승강 수단 무선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3231962A (zh) * 2013-05-15 2013-08-07 北京晶科华盛科技有限公司 电梯故障诊断和预警系统
WO2014200457A1 (en) * 2013-06-10 2014-12-1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noise monitoring
JP6295191B2 (ja) * 2014-12-15 2018-03-1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乗りかごの画像監視装置
CN108778975B (zh) * 2016-03-14 2020-08-07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系统
JP6655530B2 (ja) * 2016-12-19 2020-02-26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通話点検システム、通話点検装置、および通話点検方法
JP6571817B2 (ja) * 2018-02-19 2019-09-04 Nic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用インターホンの監視装置
JP6843935B2 (ja) * 2019-09-05 2021-03-1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利用者検知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2238U (ko) * 1985-07-15 1987-03-16 주식회사 금성사 엘리베이터의 감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2238U (ko) * 1985-07-15 1987-03-16 주식회사 금성사 엘리베이터의 감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880A (zh) 1992-04-01
TW208694B (ko) 1993-07-01
JPH04121380A (ja) 1992-04-22
CN1032303C (zh) 1996-07-17
KR920007473A (ko) 199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1253B1 (ko) 엘리베이터 감시진단장치 및 방법
CN1020700C (zh) 电梯防犯罪装置
US4580291A (en)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s, and subscriber station for telecommunication and teledistribution
EP0535890A2 (en) Multimedia communication apparatus
JPS63280536A (ja) デ−タ端末装置の制御方式
JP2003300679A (ja) エレベータ装置並びに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H08111858A (ja) テレビ対話監視システム
JP4965771B2 (ja) 集合住宅用通信システム
US5996094A (en) Communications terminal and communications system
KR20020092601A (ko) 에이디에스엘 전송방식을 이용한 원격 보안감시 장치
CN1572700A (zh) 电梯的远程监视系统
JP2888346B2 (ja) エレベータの監視装置
JP3134143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異常検出伝送装置
JP3904330B2 (ja) 画像監視システム
JP3836705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4043274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0224569A (ja) 監視装置
JP2000125033A (ja) データ送信装置及びデータ受信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データ通信システム
CA2139941A1 (en) Low power video security monitoring system
JPH03291043A (ja) テレビ電話装置
JPH0699097B2 (ja) エレベータ監視装置
JPH0951527A (ja) 監視システム
JP2000251180A (ja) 機械警備システム
JPH0467828B2 (ko)
KR20050045769A (ko) 인터폰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및 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