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9162B1 - 영상프린터 - Google Patents

영상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9162B1
KR100229162B1 KR1019970054832A KR19970054832A KR100229162B1 KR 100229162 B1 KR100229162 B1 KR 100229162B1 KR 1019970054832 A KR1019970054832 A KR 1019970054832A KR 19970054832 A KR19970054832 A KR 19970054832A KR 100229162 B1 KR100229162 B1 KR 100229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color
output
drive gear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4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3153A (ko
Inventor
마사미 나가가와
다카시 고이케
데쓰야 호카무라
다카유키 가와무라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2188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828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2189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73320B2/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19980033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32Electromagnetic power drives, e.g. applied to key levers
    • B41J23/34Electromagnetic power drives, e.g. applied to key levers applied to elements other than key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2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by selective transfer of ink from ink carrier, e.g. from ink ribbon or she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Common Mechanism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기록매체(6) 상에 색상을 프린팅하기 위한 프린팅수단(5);
색상이 도포되는 색상매체(1)를 감기 위한 색상매체 감기수단(3);
색상매체 감기수단(3)에 출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출력전달수단(21);
기록매체(6)를 이송하기 위한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
색상매체 감기수단(3)이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을 구동시키기 위한, 순방향과 역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는 구동수단(19);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의 회전에 응해 추축운동될 수 있는 추축수단(22);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에서 추축수단(22) 상에 설치되는 제1출력전달수단(21)으로 출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출력전달수단(23);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의 구동력을 추축수단(22)에 전달하기 위해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이 추축수단(22)과 접촉되게 하는 강압수단(24); 및
제2출력전달수단(23)이 제1출력전달수단(21)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방지수단(25, 26)을 포함하는 영상프린터(K1).

Description

영상프린터
본 발명은 기록용지에 영상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열전사형 영상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기록용지에 총 천연색으로 다양한 영상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영상프린터가 상업적으로 입수될 수 있다. 도 1a와 1B는 공지된 영상프린터의 정면을 보여준다. 도 1a와 1B에서, 잉크시트(1)는 잉크시트(1)의 감기는 측에서 보았을 때 노란색, 자홍색 및 남색의 삼원색 잉크가 도포되는 직사각형의 잉크도포부를 가져, 잉크도포부중에서 인접한 도포부 사이에 잉크 비도포부가 제공된다. 잉크시트(1)는 사용전에 공급릴(2) 둘레에 감겨져 있는 반면, 잉크시트(1)는 사용후에 감는릴(take-up reel)(3)에 의해 감겨진다. 잉크카세트(4)가 공급릴(2)과 감는릴(3) 사이에 제공되어, 공급릴(2)과 감는릴(3)을 지지한다. 열전사기록은 열헤드(5)로 기록용지(6)에 이루어진다. 잉크시트(1)와 기록용지(6)는 열헤드(5)와 압반롤러(platen roller)(7) 사이에 걸린다. 핀치롤러(9)는 기록용지(6)가, 기록용지(6) 공급을 위한 캡스턴롤러(8)와 압착접촉이 되게 한다. 잉크시트(1)에서 삼원색의 잉크도포부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광방출소자(10)와 광센서(11)가 제공된다.
한편, 도 2는 공지된 도 1의 영상프린터의 뒤쪽을 보여준다. 도 2에서, 캡스턴 구동풀리(12)가 캡스턴롤러(8)의 구동축에 설치된다. 풀리(14)는 용지공급모터(13)의 구동축에 설치된다. 풀리(14)의 구동력을 캡스턴 구동풀리(12)에 전달하기 위한 출력 전달벨트(15)가 캡스턴 구동풀리(12)와 풀리(14) 위에 설치된다. 감는릴(3)을 구동시키기 위한 릴 구동기어(16)가 감는릴(3)과 동축으로 지지된다. 시트공급모터(17)의 구동력을 릴 구동기어(16)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18)가 시트공급모터(17)의 회전축에 설치된다.
이후에, 상기 설명된 구성의 공지된 영상프린터의 작동이 설명된다. 초기에, 만일 용지공급모터(13)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반롤러(7)로부터 열헤드(5)가 철수된 상태에서 회전된다면, 갭스턴롤러(8)는 풀리(14), 출력전송벨트(15) 및 캡스턴 구동풀리(12)를 통해 회전된다. 따라서, 기록용지(6)가 규정된 위치에 전달된다. 한편, 시트공급모터(17)가 회전된다면, 감는릴(3)은 기어(18)와 릴 구동기어(16)를 통해 회전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가 공급릴(2)로부터 공급되어, 규정된 위치로 이송되게 된다.
그런 다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시트(1)와 기록용지(6)를 압반롤러(7)측으로 누르기 위하여 열헤드(5)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용지공급모터(13)와 시트공급모터(17)는 동시에 회전된다. 따라서, 캡스턴롤러(8)와 감는릴(3)을 회전시킴으로써 캡스턴롤러(8)와 감는릴(3)이 이송되는 동안 전압이 열헤드(5)에 인가된다. 삼원색의 프린팅을 위해 상기 동작을 세 차례 반복함으로써, 규정된 총 천연색영상이 기록용지(6)에 프린트된다.
마지막으로, 열헤드(5)는 잉크시트(1)로부터 떨어져 이격되도록 상방으로 이동되고 그리고 캡스턴롤러(8)는 기록용지(6)를 좌측으로 공급시키도록 회전되어, 기록용지는 공지된 영상프린터로부터 방출된다.
그러나, 상기 설명된 구성의, 공지된 영상프린터에서, 잉크시트(1)와 기록용지(6)를 이송시키기 위한 두 개의 구동원, 즉 기계장치의 값비싼 부품인 시트공급모터(17)와 용지공급모터(13)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모터(17 및 13)를 사용해야 하는 필요성으로 인해, 공지된 영상프린터는 생산단가가 높아지게 되고 그리고 크기가 커지게 된다.
한편, 도 3a 내지 3C는 다른 선행기술 영상프린터의 정면을 보여준다. 이 선행기술 영상프린터에서, 도 1a의 공지된 영상센서의 광방출소자(10)와 광센서(11)는 광방출 및 수신소자(10') 및 반사기(11')로 대체되었다. 한편, 도 4는 이 선행기술 영상프린터의 뒤쪽을 보여준다. 도 4에서, 공급릴(2)을 구동시키기 위한 기어(60)와 리테이닝(retaining)부재와 구동부재로 열헤드(5)를 압반롤러(7)와 압박접촉을 시키고 그리고 압박접촉을 해제시키기 위한 캠기어(61)와 캠기어(61)의 구동력을 기어(60)에 전달하기 위한 이완제거 아이들러 기어(62)가, 기어(60), 캠기어(61) 및 이완제거 아이들러 기어(62)로 잉크시트(1)의 이완을 제거하기 위한 이완제거 매카니즘이 구성되도록 제공된다. 이 선행기술 영상프린터의 다른 구조는 도 1a의 공지된 영상프린터의 구조와 비슷하기 때문에, 편의를 위해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이후에, 상기 기술된 구성의 선행기술 영상프린터의 동작이 설명된다. 캠기어(61)가 도 4의 화살표(J)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열헤드(5)가 압반롤러(7)에 압박되어 있는 상태에서 잉크카세트(4)가 이 선행기술 영상프린터에 설치될 수 있거나 또는 제거될 수 있는 철회상태로 열헤드(5)를 상승시키면, 이완제거 아이들러 기어(62)가 도 4의 화살표(I)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따라서 기어(60)가 도 4의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열헤드(5)에 의해 인출된 잉크시트(1)는 공급릴(2) 둘레에 감겨지게 되어 잉크시트(1)의 이완이 제거된다.
상기 선행기술 영상프린터에서, 열헤드(5)가 잉크시트(1)와 압박접촉이 되고 또한 압박접촉이 해제될 때 발생되는 잉크시트(1)의 이완을 제거하기 위해 복잡한 이완제거 매카니즘이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언급된 도 1a의 선행기술 영상프린터의 단점외에도, 도 3a의 선행기술 영상프린터는, 이 공지된 영상프린터를 소형화시키고 또는 제조비용을 낮추기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에서 언급된 선행기술의 단점을 제거할 목적으로, 본 발명의 필수적인 목적은 저가로 용이하게 생산될 수 있고 또한 작고, 가볍게 만들어질 수 있는 영상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프린터는: 기록매체 상에 색상을 프린팅하기 위한 프린팅수단; 색상이 도포되는 색상매체를 감기 위한 색상매체 감기수단; 색상매체 감기수단에 출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출력전달수단; 기록매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기록매체 이송수단;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는, 색상매체 감기수단과 기록매체 이송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기록매체 이송수단의 회전에 응해 추축운동을 하는 추축(pivotal)수단; 기록매체 이송수단에서 제1출력전달수단으로 출력을 전달하기 위한, 추축수단상에 설치되는 제2출력전달수단; 기록매체 이송수단의 구동력을 추축수단에 전달하기 위하여 기록매체 전달수단이 추축수단과 접촉하도록 하는 강압수단; 및 제2출력전달수단이 제1출력전달수단과 접촉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방지수단을 포함하고, 구동수단이 제1방향으로 회전되면, 구동수단의 구동력이 기록매체 이송수단에 전달되어 기록매체 이송수단을 통해 기록매체를 제1방향으로 이송시킬 뿐만 아니라, 추축수단을 제1출력전달수단을 향해 추축운동시켜, 이에 따라 제2출력전달수단이 제1출력전달수단과 접촉하게 되어 구동수단의 출력으로 색상매체 감기수단을 구동시켜, 색상매체가 색상매체 감기수단에 의해 감겨지고; 구동수단이 제2방향으로 구동되면, 구동수단의 구동력이 기록매체 이송수단에 전달되어 기록매체 이송수단을 통해 기록매체를 제2방향으로 이송시킬 뿐만 아니라 추축수단을 제1출력전달수단으로부터 떨어지게 추축운동시켜, 이에 따라 제2출력전달수단은 제1출력전달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색상매체 감기수단은 구동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영상프린터의 이 구성으로, 캡스턴롤러가 열헤드의 철수상태에서 용지공급 및 방출부에서 기록부로 기록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릴 구동기어에서 아이들러 기어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아이들러 레버가 회전된다. 따라서, 잉크시트의 중단상태에서 기록용지만이 규정된 위치로 이송된다. 계속하여, 갭스턴롤러가 기록부에서 용지공급 및 방출부로 기록용지(6)를 이송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아이들러 기어와 릴 구동기어를 결합시키기 위해 아이들러 레버가 회전된다. 따라서, 기록용지의 공급과 동시에, 잉크시트가 규정된 위치로 이송된다. 그런 다음, 다시 잉크시트의 중단상태에서 기록용지만이 규정된 위치로 이송된다. 이후에, 열헤드가 압반롤러에 압박되어 열헤드와 압반롤러 사이에 기록용지와 잉크시트를 걸고 그리고 캡스턴롤러가 기록부에서 용지공급 및 방출부로 기록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아이들러 기어와 릴 구동기어를 결합시키기 위해 아이들러 레버가 회전된다. 따라서, 기록용지와 잉크시트가 동시에 이송되어, 열헤드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규정된 영상이 기록용지 상에 프린트된다. 그런 다음,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잉크시트의 이송, 기록용지의 이송 및 프린팅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총 천연색 영상이 기록용지 상에 프린트된다. 최종 프린팅작업이 완료되면, 열헤드는 철수되고 그리고 아이들러 기어는 아이들러 레버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릴 구동기어로부터 분리된다. 그런 다음, 캡스턴롤러가 기록용지를 기록부에서 용지공급 및 방출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기록용지만이 용지방출부로 방출된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특징들은 첨부도면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이루어진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기에 앞서, 여러 첨부도면에서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도 1a와 1b는 두 작동단계에 있는 선행기술 영상프린터의 부분적인 정면도.
도 2는 도 1a의 선행기술 영상프린터의 부분적인 배면도.
도 3a, 3b 및 3c는 세 작동단계에 있는 다른 선행기술 영상프린터의 부분적인 정면도.
도 4는 도 3a의 선행기술 영상프린터의 부분적인 배면도.
도 5a 및 5b는 두 작동단계에 있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프린터의 부분적인 정면도.
도 6a, 6b 및 6c는 세 작동단계에 있는 도 5a의 영상프린터의 부분적인 배면도.
도 7a 및 7b는 두 작동단계에 있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상프린터의 부분적인 정면도.
도 8a, 8b 및 8c는 세 작동단계에 있는, 도 7a의 영상프린터의 부분적인 배면도.
도 9a 및 9b는 두 작동단계에 있는, 도 7a의 영상프린터의 부분적인 정면도.
도 10은 도 7a의 영상프린터의 부분적인 정면도.
도 11a 및 11b는 도 7a의 영상프린터와 열악한 전송특성의 기록용지로 획득된 기록용지의 사시도.
도 12a, 12b 및 12c는 세 작동단계에 있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영상프린터의 부분적인 배면도.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도 5a와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프린터(K1)의 정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와 5B에서, 잉크 비도포부가 잉크도포부중 인접한 것들 사이에 제공되도록, 프린팅용 노란색, 자홍색 및 남색의 삼원색 잉크가, 잉크시트(1)의 감는측에서 보이는 잉크시트(1)의 정사각형 잉크도포부에 도포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는 색상매체로서 역할한다. 잉크시트(1)는 사용전에 공급릴(2) 둘레에 감겨있지만, 사용 후에는 감는릴(3)에 의해 감긴다. 잉크카세트(4)가 하우징으로 형성되어, 공급릴(2)과 감는릴(3) 사이에 제공되어 공급릴(2)과 감는릴(3)을 지지한다. 기록용지(6)는 기록매체로 역할하는 한편, 열헤드(5)는 프린팅수단으로서 역할한다. 열전사기록은 열헤드(5)에 전압을 인가할 때 열헤드(5)에 의해 기록용지(6)상에 이루어진다. 잉크시트(1)와 기록용지(6)는 열헤드(5)와 압반롤러(7) 사이에 물림수단(grip means)에 의해 걸린다. 핀치롤러(9)는 기록용지(6)가 기록용지(6)를 이송시키기 위한 기록매체 이송수단으로서 역할하는 갭스턴롤러(8)와 압박접촉하도록 한다. 광방출소자(10)와 광센서(11)가 잉크시트(1)의 잉크도포부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6a 내지 6C는 영상프린터(K1)의 뒤쪽을 보여준다. 기록매체 이송수단으로서 역할하는 갭스턴 구동기어(18)가 갭스턴롤러(8)의 회전축에 설치된다. 모터(19) 예컨대, DC모터는 구동수단으로서 작동한다. 워엄(20)은 또한 구동수단으로 작동하고 그리고 모터(19)의 회전축에 설치된다. 감는릴(3)을 구동시키기 위한 릴 구동기어(21)가 감는릴(3)과 동축으로 지지된다. 아이들러 레버(22)는 갭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축에 추축적으로 설치되어 추축수단으로서 작동한다. 출력전달수단으로서 역할하는 아이들러 기어(23)는 아이들러 레버(22)에 의해 지지되고, 그리고 캡스턴 구동기어(18)와 릴 구동기어(21)와 맞물릴 수 있다. 강압수단으로서 작동하는 추력전달수단(24)이 캡스턴 구동기어(18)를 아이들러 레버(22)쪽으로 밀치기 위해 제공된다. 아이들러 레버(22)의 추축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봉(25)이 아이들러 레버(22)와 접촉이 되게 그리고 접촉이 해제되게, 활주가능하게 제공된다. 아이들러 레버(22)의 추축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26)가 영상프린터(K1)의 프레임에 고정된다. 아이들러 레버(22)의 추축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제1방지수단이 봉(25)과 스토퍼(26)로 구성된다.
이후에, 상기 설명된 구성의 영상프린터(K1)의 작동이 설명된다. 초기에,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헤드(5)가 잉크시트(1)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모터(19)가 순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워엄(20)을 통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진 접촉으로 발생된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따라서,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을 하게 되고 그리고 스토퍼(26)에서 정지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의 정지상태에서 기록용지(6)만이 규정된 위치로 이송된다.
계속하여, 열헤드(5)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철수되는 상태에서, 모터(19)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는 워엄(20)을 통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B)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려전달스프링(24)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22) 사이에 만들어진 접촉에 의해 발생된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따라서,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되고 그리고 릴 구동기어(21)와 아이들러 기어(23)가 서로 맞물리게 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는 도 6b의 화살표(C)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도 5a의 화살표(b)의 방향으로 기록용지(6)의 공급과 동시에, 잉크시트(1)가 도 5a의 화살표(c)의 방향으로, 규정된 위치까지, 즉 노란색잉크용 잉크도포부의 선도위치까지 이송된다. 이때에, 잉크시트(1)가 이송되어야 하는 규정된 위치는 광방출소자(10)와 광센서(11)에 의해 검출된다.
그런 다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헤드(5)가 상방으로 철수되는 상태에서 모터(19)가 순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진 접촉에 의해 발생된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그런 다음,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을 하여, 스토퍼(26)에서 정지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의 정지상태에서 기록용지(6)만이 규정된 위치(프린팅 시작위치)까지 이송된다.
이후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헤드(5)가 압반롤러(7)를 향해 압박된다. 그런 다음, 모터(19)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는 워엄(20)을 통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B)의 방향으로 구동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진 접촉에 의해 발생된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따라서, 아이들러 레버(22)가 추축운동되어, 릴 구동기어(21)와 아이들러 기어(23)가 서로 맞물리게 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C)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가 화살표(C)의 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 기록용지(6)는 화살표(b)의 방향으로, 규정된 위치까지 영상의 길이만큼 공급된다. 이때에, 규정된 전압이 열헤드(5)에 인가되게 되어, 규정된 노란색의 영상이 기록용지(6) 상에 프린트된다.
그런 다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헤드(5)가 상방으로 철수된다. 모터(19)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는 워엄(20)을 통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B)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진 접촉에 의해 발생된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따라서,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되어, 릴 구동기어(21)와 아이들러 기어(23)가 서로 맞물리게 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는 도 6b의 화살표(C)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도 5a의 화살표(b)의 방향으로 기록용지(6)의 공급과 동시에, 잉크시트(1)가 도 5a의 화살표(c)의 방향으로 규정된 위치까지, 즉 자홍색잉크용 잉크도포부의 선도위치까지 이송된다. 이때에, 잉크시트(1)가 이송되어야 하는 규정된 위치는 광방출소자(10)와 광센서(11)에 의해 검출된다.
그런 다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헤드(5)가 상방으로 철수되는 상태에서 모터(19)가 순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진 접촉에 의해 발생된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그런 다음,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되어, 스토퍼(26)에서 정지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의 정지상태에서 기록용지(6)만이 규정된 위치(프린트 시작위치)까지 이송된다.
이후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헤드(5)가 압반롤러(7)쪽으로 압박된다. 그런 다음, 모터(19)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는 워엄(20)을 통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B)의 방향으로 구동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진 접촉에 의해 발생된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로 전달된다. 따라서,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되어, 릴 구동기어(21)와 아이들러 기어(23)가 서로 맞물리게 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C)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가 화살표(c)의 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 기록용지(6)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b)의 방향으로, 규정된 위치까지 영상의 길이만큼 공급된다. 이때에, 규정된 전압이 열헤드(5)에 인가되게 되면, 규정된 자홍색의 영상이 기록용지(6) 상에 프린트된다.
그런 다음, 열헤드(5)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철수된다. 모터(19)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워엄(20)을 통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B)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진 접촉에 의해 발생된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따라서,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회전되어, 릴 구동기어(21)와 아이들러 기어(23)가 서로 맞물리게 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는 도 6b의 화살표(C)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도 5a의 화살표(b)의 방향으로 기록용지(6)의 공급과 동시에, 잉크시트(1)가 도 5a의 화살표(c)의 방향으로 규정된 위치까지, 즉 남색잉크용 잉크도포부의 선도위치까지 이송된다. 이때에, 잉크시트(1)가 이송되어야 하는 규정된 위치는 광방출소자(10)와 광센서(11)에 의해 검출된다.
그런 다음, 도 5a 도시된 바와 같이 열헤드(5)가 상방으로 철수되는 상태에서 모터(19)가 상방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진 접촉에 의해 발생된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그런 다음,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되어, 스토프(26)에서 정지된다. 따라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시트(1)의 정지상태에서 기록용지(6)만이 규정된 위치(프린트 시작위치)로 이송된다.
이후에, 열헤드(5)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반롤러(7)쪽으로 압박된다. 그런 다음, 모터(19)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는 워엄(20)을 통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B)의 방향으로 구동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진 접촉에 의해 발생된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따라서,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되어, 릴 구동기어(21)와 아이들러 기어(23)가 서로 맞물리게 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C)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가 화살표(c)의 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 기록용지(6)가 화살표(b)의 방향으로 규정된 위치까지 영상의 길이만큼 공급된다. 이때에, 규정된 전압이 열헤드(5)에 인가되게 되어, 규정된 남색의 영상이 기록용지(6) 상에 프린트된다.
상기에서 기술된 작업에 의해, 총 천연색영상이 기록용지(6) 상에 프린트된다. 마지막으로, 열헤드(5)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철수된다. 그런 다음,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25)이 아이들러 레버(22)와 접촉될 수 있게 되는 위치까지 봉(25)이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19)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워엄(20)을 통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B)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진 접촉에 의해 발생된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로 전달된다.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되어, 봉(25)과 접촉함으로써 정지된다. 따라서, 릴 구동기어(21)와 아이들러 기어(23)는 서로 결합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의 정지상태에서, 기록용지(6)만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b)의 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따라서, 기록용지(6)가 영상프린터(K1)로부터 배출된다.
도 7a와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상프린터(K2)의 정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a 내지 8C는 영상프린터(K2)의 뒤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영상프린터(K2)의 정면은 영상프린터(K1)의 정면과 구조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영상프린터(K2)는 주로 도 8a 내지 8C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영상프린터(K2)는 릴래치(real ratch)(33)와 래치스프링(34)을 포함한다. 릴래치(33)는 릴 구동기어(21)와 직접 결합되고 그리고 릴래치의 외측 주변에 다수의 이빨이 형성되어 있다. 래치스프링(34)은 릴래치(33)의 이빨과 결합가능하다. 래치스프링(34)이 릴래치(33)의 이빨과 결합되면, 릴래치(33)의 시계반대방향 회전이 방지된다. 따라서, 릴래치(33)의 시계반대방향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제2방지수단이 릴래치(33)와 래치스프링(34)으로 구성된다. 영상프린터(K2)의 다른 구성은 영상프린터(K1)의 구성과 비슷하기 때문에, 편의를 위해 설명이 생략된다.
이후에, 상기 설명된 구성의 영상프린터(K2)의 작동이 설명된다. 초기에,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헤드(5)가 상방으로 철수되는 위치에서 모터(19)가 순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는 워엄(20)을 통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B)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진 접촉에 의해 발생된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로 전달된다. 따라서,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되어, 스토퍼(26)에서 정지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의 정지상태가 릴래치(33)와 결합되어 있는 래치스프링(34)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의 정지상태에서 도 7a와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C)의 방향으로 기록용지(6)만이 규정된 위치까지 이송된다.
계속하여, 모터(19)가 역방향으로 이동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워엄(20)을 통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K)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지는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로 전달된다. 따라서, 아이들러 레버(22)가 추축운동되어, 릴 구동기어(21)와 아이들러 기어(23)가 서로 맞물리게 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D)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에, 릴래치(33)도 또한 래치스프링(34)으로부터 분리되어 회전된다. 따라서, 도 7a의 화살표(A)의 방향으로 기록용지(6)의 공급과 동시에, 잉크시트(1)가 도 7a의 화살표(F)의 방향으로 규정된 위치까지, 즉 노란색잉크용 잉크도포부의 선도부분까지 이송된다. 이때에, 잉크시트(1)가 이송되어야 하는 규정된 위치는 광방출소자(10)와 광센서(11)에 의해 검출된다.
그런 다음, 모터(19)가 순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B)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지는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그런 다음,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되어, 스토퍼(26)에서 정지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의 정지상태는 릴래치(33) 맞물려있는 래치스프링(34)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의 정지상태에서, 도 7a의 화살표(C)의 방향으로 기록용지(6)만이 규정된 위치(프린트 시작위치)까지 이송된다.
이후에, 열헤드(5)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반롤러(7)쪽으로 압박된다. 그런 다음, 모터(19)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워엄(20)을 통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K)의 방향으로 구동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진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따라서,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되어, 릴 구동기어(21)와 아이들러 기어(23)가 서로 맞물리게 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D)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에, 릴래치(33)는 또한 래치스프링(34)으로부터 결합이 분리되어 회전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가 화살표(F)의 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 기록용지(6)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E)의 방향으로 규정된 위치까지 영상의 길이만큼 공급된다. 이때에, 규정된 전압이 열헤드(5)에 인가되게 되어, 노란색의 규정된 영상이 기록용지(6) 상에 프린트된다.
그런 다음, 열헤드(5)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철수된다. 모터(19)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워엄(20)을 통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K)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진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따라서,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되어, 릴 구동기어(21)와 아이들러 기어(23)가 서로 맞물리게 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는 도 8b의 화살표(D)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에, 릴래치(33) 또한 래치스프링(34)으로부터 결합분리되어 회전된다. 따라서, 도 7a의 화살표(E)의 방향으로 기록용지(6)의 공급과 동시에, 잉크시트(1)가 도 7a의 화살표(E)의 방향으로 규정된 위치까지, 즉 자홍색잉크용 잉크도포부의 선도위치까지 이송된다. 이때에, 잉크시트(1)가 이송되어야 하는 규정된 위치는 광방출소자(10)와 광센서(11)에 의해 검출된다.
그런 다음, 모터(19)가 순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B)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지는 접촉에 의해 발생된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그런 다음,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되어, 스토퍼(26)에서 정지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의 정지상태는 릴래치(33)와 맞물려있는 래치스프링(34)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의 정지상태에서, 도 7a의 화살표(C)의 방향으로 기록용지(6)만이 규정된 위치(프린트 시작위치)까지 이송된다.
이후에,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헤드(5)가 압반롤러(7)쪽으로 압박된다. 그런 다음, 모터(19)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워엄(20)을 통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K)의 방향을 구동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지는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따라서, 아이들러 레버(22)가 추축운동되어, 릴 구동기어(21)와 아이들러 기어(23)가 서로 맞물리게 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D)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에, 릴래치(33) 또한 래치스프링(34)으로부터 결합분리되어 회전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가 화살표(c)의 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 기록용지(6)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E)의 방향으로 규정된 위치까지 영상의 길이만큼 공급된다. 이때에, 규정된 전압이 열헤드(5)에 인가되게 되어, 자홍색의 규정된 영상이 기록용지(6) 상에 프린트된다.
그런 다음, 열헤드(5)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철수된다. 모터(19)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워엄(20)을 통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K)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지는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따라서,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되어, 릴 구동기어(21)와 아이들러 기어(23)가 서로 맞물리게 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는 도 8b의 화살표(D)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에, 릴래치(33) 또한 래치스프링(34)으로부터 결합분리되어 회전된다. 따라서, 도 7a의 화살표(E)의 방향으로 기록용지(6)의 공급과 동시에, 잉크시트(1)가 도 7a의 화살표(F)의 방향으로 규정된 위치까지, 즉 남색잉크용 잉크도포부의 선도부분까지 이송된다. 이때에, 잉크시트(1)가 이송되어야 하는 규정된 위치는 광방출소자(10)와 광센서(11)에 의해 검출된다.
그런 다음, 모터(19)가 순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B)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지는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그런 다음,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되어, 스토퍼(26)에서 정지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의 정지상태는 릴래치(33)와 맞물려있는 래치스프링(34)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의 정지상태에서, 기록용지(6)만이 도 7a의 화살표(C)의 방향으로 규정된 위치(프린트 시작위치)까지 이송된다.
이후에, 열헤드(5)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반롤러(7)쪽으로 압박된다. 그런 다음, 모터(19)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워엄(20)을 통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B)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지는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그런 다음,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되어, 릴 구동기어(21)와 아이들러 기어(23)가 서로 맞물리게 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D)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에, 릴래치(33) 또한 래치스프링(34)으로부터 결합분리되어 회전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가 화살표(F)의 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 기록용지(6)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E)의 방향으로 규정된 위치까지 영상의 길이만큼 공급된다. 이때에, 규정된 전압이 열헤드(5)에 공급되게 되어, 남색의 규정된 영상이 기록용지(6) 상에 프린트된다.
상기에서 기술된 동작으로, 총 천연색 영상이 기록용지(6)상에 프린트된다. 마지막으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헤드(5)가 상방으로 철수되고 그리고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25)이 아이들러 레버(25)와 접촉되어, 아이들러 기어(23)가 릴 구동기어(21)로부터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19)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워엄(20)을 통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K)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으로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지는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로 전달된다. 아이들러 레버(22)가 추축운동되어, 봉(25)과의 접촉을 통해 정지된다. 따라서, 릴 구동기어(21)와 아이들러 기어(23)는 서로 결합이 분리되게 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의 정지상태는 릴래치(33)와 결합되어 있는 래치스프링(34)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의 정지상태에서 기록용지(6)만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E)의 방향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기록용지(6)가 영상프린터(K2)로부터 배출된다.
영상프린터(K2)에서, 릴 구동기어(21)는 캡스턴 구동기어(18)의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를 작동시킴으로써 아이들러 기어(23)를 통해 회전되고 또한 정지될 수 있기 때문에, 잉크시트(1)와 기록용지(6) 둘다는 구동원으로서 작동하는 단일의 모터(19)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이후에, 도 8a 내지 8C 및 도 9a 와 9C를 참조하여 영상프린터(K2)의 다른 작동이 설명된다. 프린팅의 완료후에, 즉 기록용지(6)가 영상프린터(K2)로부터 배출된 후에, 열헤드(5)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카세트(4)가 영상프린터(K2)에 설치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위치로 철수되어, 잉크시트(1)가 열헤드(5)에서부터 외부로 배출되어 이완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25)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K)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지는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따라서,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되어, 릴 구동기어(21)와 아이들러 기어(23)가 서로 맞물리게 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는 도 8b의 화살표(D)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에, 릴래치(33) 또한 래치스프링(34)으로부터 결합분리되어 회전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가 광방출소자(10)와 광센서(11)로 위치가 검출되면서, 도 9b의 화살표(F)의 방향으로 규정된 위치까지, 즉 노란색잉크용 잉크도포부의 선도부분까지 이송되기 때문에, 잉크시트(1)의 이완이 제거된다.
영상프린터(K2)에서, 광방출소자(10)와 광센서(11)가 열헤드(5)의 위치에 상관없이 잉크시트(1)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한 이완제거 매카니즘을 제공할 필요가 없이, 잉크시트(1)의 이완이 제거될 수 있다.
이후에, 도 10, 11A 및 11B를 참조하여 영상프린터(K2)가 더 설명된다. 도 10은 영상프린터(K2)의 정면을 보여주고, 그리고 도 11a는 정사각형의 현상층(6a)이 영상프린터(K2)에 의해 전사되는 기록용지(6)를 보여준다. 도 10에서, 잉크시트(1)는 노란색, 자홍색 및 남색의 삼원색잉크의 잉크도포부 외에 정사각형의 현상층(6a)을 가진다. 기록용지(6)는 백지로 만들어진다. 현상층(6a)은 잉크의 전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특별한 코팅이고 그리고 백지로 만들어진 기록용지(6)의 프린트면에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현상층(6a)이 잉크시트(1)에 제공된 후에 삼원색의 잉크가 기록용지(6)에 전사된다. 도 11a는 기록용지(6)에 전사된 현상층(6a)을 보여준다.
이후에, 상기 설명된 구성의 영상프린터(K2)의 동작이 설명된다. 현상층(6a)은 다층 구조와 두께를 가진다. 따라서, 열헤드(5)가 압반롤러(7)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도, 잉크시트(1)는 기록용지(6)와 밀접하게 접촉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만일 현상층(6a)이 기록용지(6)로 전사된 후에, 열헤드(5)가 압반롤러(7)로부터 이격되고 그리고 기록용지(6)가 도 11의 화살표(C)의 방향으로 수 mm 이송된다면, 감는릴(3)이 릴래치(33)와 래치스프링(34)에 의해 잠겨지기 때문에, 잉크시트(1)의 현상층(6a)과 기록용지(6)간의 밀접한 접촉선을 따라 커다란 파괴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층(6a)이 잉크시트(1)로부터 부드럽게 분리되어 기록용지(6)로 전사되게 된다. 도 11b는 도 11a의 기록용지(6)에 비해 열악한 전사특성을 가지는 기록용지(6)를 보여준다.
게다가, 영상프린터(K2)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프린팅의 완료후에,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헤드(5)가 상방으로 철수된다. 그런 다음, 모터(19)가 순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워엄(20)을 통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B)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지는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그런 다음, 아이들러 레버(22)가 추축운동되어, 스토퍼(26)에서 정지된다. 이때에, 릴 구동기어(21)와 결합되어 있는 아이들러 기어(23)가 캡스턴 구동기어(18)와 아이들러 기어(23)에 의해 회전되어 릴 구동기어(21)로부터 분리된다.
계속하여, 봉(25)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된다. 모터(19)가 이 상태에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워엄(20)을 통해 도 8c의 화살표(K)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지는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되어, 봉(25)과 접촉하여 정지된다. 따라서, 릴 구동기어(21)와 아이들러 기어(23)는 서로 맞물리게 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의 정지상태는 릴래치(33)와 결합되어 있는 래치스프링(34)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의 안정된 정지상태에서 기록용지(6)만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E)의 방향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기록용지(6)가 영상프린터(K2)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기술된 영상프린터(K2)의 동작에 의해, 릴 구동기어(21)와 맞물려있는 아이들러 기어(23)가 회전되는 동안 릴 구동기어(21)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아이들러 기어(23)가 회전되지 않으면서 릴 구동기어(21)로부터 강제적으로 분리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릴 구동기어(21)로부터 아이들러 기어(23)를 분리할 때 발생되는 소음이 감소되고, 아이들러 기어(21)와 릴 구동기어(23)에 대한 손상이 경감되고 그리고 아이들러 기어(23)가 릴 구동기어(21)로부터 상당히 명확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후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영상프린터(K3)가 도 12a 내지 12C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2a 내지 12C는 영상프린터(K3)의 뒤쪽을 보여준다. 영상프린터(K3)는 공급릴(2)을 지지하는 회전가능한 공급릴 베이스(35)와 봉(25)의 작동에 응해 공급릴 베이스(35)와 접촉될 수 있게 되는 마찰스프링(36)을 포함한다. 영상프린터(K3)의 다른 구조는 영상프린터(K2)의 구조와 비슷하기 때문에, 편의를 위해 설명이 생략된다.
상기 기술된 구성의 영상프린터(K3)의 동작이 도 7a 와 7B 및 도 12a 내지 12C를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된다. 초기에,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헤드(5)가 상방으로 철수되는 상태에서 모터(19)가 순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워엄(20)을 통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L)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지는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아이들러 레버(22)로 전달된다. 따라서, 아이들러 레버(22)가 추축운동되어, 스토퍼(26)에서 정지된다. 이때에, 마찰스프링(36)이 봉(25)에 의해 규정된 압력으로 공급릴 베이스(35)의 외측주변부와 접촉하게 되어 공급릴 베이스(35)의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의 정지상태는 릴래치(33)와 맞물려있는 래치스프링(34)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의 안정된 정지상태에서 기록용지(6)만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C)의 방향으로 규정된 위치까지 이송된다.
계속하여, 모터(19)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워엄(20)을 통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M)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지는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따라서, 아이들러 레버(22)가 추축운동되어, 릴 구동기어(21)와 아이들러 레버(23)가 서로 맞물리게 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가 도 12b의 화살표(N)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에, 릴래치(33) 또한 래치스프링(34)으로부터 결합이 분리되어 회전된다. 한편, 마찰스프링(36)은 공급릴 베이스(35)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도 7a의 화살표(E)의 방향으로 기록용지(6)의 공급과 동시에, 잉크시트(1)가, 마찰스프링(36)에 의해 역방향 장력(backward tension)을 받지 않고서, 도 7a의 화살표(F)의 방향으로 규정된 위치까지, 즉 노란색잉크용 잉크도포부의 선도부까지 이송된다. 이때에, 잉크시트(1)가 이송되어야 하는 규정된 위치는 광방출소자(10)와 광센서(11)로 검출된다.
그런 다음, 모터(19)가 순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L)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지는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그런 다음,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되어, 스토퍼(26)에서 정지된다. 이때에, 마찰스프링(36)이 봉(25)에 의해 규정된 압력으로 공급릴 베이스(35)의 외측주변부와 접촉하게 되어 릴 공급 베이스(35)의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의 정지상태는 릴래치(33)와 맞물려있는 래치스프링(34)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의 안정된 정지상태에서 기록용지(6)만이 도 7a의 화살표(C)의 방향으로 규정된 위치(프린트 시작위치)까지 이송된다.
이후에, 열헤드(5)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반롤러(7)쪽으로 압박된다. 그런 다음, 모터(19)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워엄(20)을 통해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M)의 방향으로 구동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지는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따라서, 아이들러 레버(22)가 추축운동되어, 릴 구동기어(21)와 아이들러 레버(23)가 서로 맞물리게 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는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N)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에, 릴래치(33) 또한 래치스프링(34)으로부터 결합 분리되어 회전된다. 한편, 마찰스프링(36)이 봉(25)에 의해 규정된 압력으로 릴공급 베이스(35)의 외측주변부와 접촉하게 되어 릴공급 베이스(35) 상에서 규정된 부하토크가 발생된다. 따라서, 마찰스프링(36)에 의해 잉크시트(1)에 규정된 역방향 장력이 인가되면서 잉크시트(1)가 화살표(F)의 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 기록용지(6)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E)의 방향으로 규정된 위치까지 영상의 길이만큼 공급된다. 이때에, 규정된 전압이 열헤드(5)에 인가되게 되어, 규정된 노란색의 영상이 기록용지(6)상에 프린트된다.
그런 다음, 열헤드(5)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철수된다. 모터(19)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워엄(22)을 통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M)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지는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따라서,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되어, 릴 구동기어(21)와 아아들러기어(23)가 서로 맞물리게 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는 도 12b의 화살표(N)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에, 릴래치(33) 또한 래치스프링(34)으로부터 결합 분리되어 회전된다. 한편, 마찰스프링(36)은 릴공급 베이스(35)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도 7a의 화살표(E)의 방향으로 기록용지(6)의 공급과 동시에, 마찰스프링(36)에 의해 잉크시트(1)에 역방향 장력이 인가됨이 없이 잉크시트(1)가 도 7a의 화살표(E)의 방향으로 규정된 위치까지, 즉 자홍색잉크용 잉크도포부의 선도부까지 이송된다. 이때에, 잉크시트(1)가 이송되어야 하는 규정된 위치는 광방출소자(10)와 광센서(11)에 의해 검출된다.
그런 다음, 모터(19)가 순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L)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지는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그런 다음, 아이들러 레버(22)가 추축운동되어, 스토퍼(26)에서 정지된다. 이때에, 마찰스프링(36)이 봉(25)에 의해 규정된 압력으로 공급릴 베이스(35)의 외측주변부와 접촉하게 되어 공급릴 베이스(35)의 정지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의 정지상태는 릴래치(33)와 맞물려있는 래치스프링(34)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의 안정된 정지상태에서 기록용지(6)만이 도 7a의 화살표(C)의 방향으로 규정된 위치(프린트 시작위치)까지 이송된다.
이후에, 열헤드(5)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반롤러(7)쪽으로 압박된다. 그런 다음, 모터(19)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워엄(22)을 통해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M)의 방향으로 구동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지는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따라서,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되어, 릴 구동기어(21)와 아이들러 기어(23)가 서로 맞물리게 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는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N)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에, 릴래치(33) 또한 래치스프링(34)으로부터 결합 분리되어 회전된다. 한편, 마찰스프링(36)이 봉(25)에 의해 규정된 압력으로 공급릴 베이스(35)의 외측주변부와 접촉하게 되어 공급릴 베이스(35)에서 규정된 부하토크가 발생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에 마찰스프링(36)에 의해 규정된 역방향 장력이 인가되면서 잉크시트(1)가 화살표(c)의 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 기록용지(6)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E)의 방향으로 규정된 위치까지 영상의 길이만큼 공급된다. 이때에, 규정된 전압이 열헤드(5)에 인가되게 되어, 자홍색의 규정된 영상이 기록용지(6)상에 프린트된다.
그런 다음, 열헤드(5)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철수된다. 모터(19)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워엄(22)을 통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M)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지는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따라서,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되어, 릴 구동기어(21)와 아이들러 기어(23)가 서로 맞물리게 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N)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에, 릴래치(33) 또한 래치스프링(34)으로부터 결합 분리되어 회전된다. 한편, 마찰스프링(36)은 공급릴 베이스(35)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도 7a의 화살표(E)의 방향으로 기록용지(6)의 공급과 동시에, 잉크시트(1)가 마찰스프링(36)에 의해 어떠한 역방향 장력을 인가받음이 없이 잉크시트(1)가 도 7a의 화살표(F)의 방향으로 규정된 위치까지, 즉 남색잉크용 잉크도포부의 선도부까지 이송된다. 이때에, 잉크시트(1)가 이송되어야 하는 규정된 위치는 광방출소자(10)와 광센서(11)에 의해 검출된다.
그런 다음, 모터(19)가 순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L)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로 전달된다. 그러면,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되어, 스토퍼(26)에서 정지된다. 이때에, 마찰스프링(36)은 봉(25)에 의해 규정된 압력으로 릴공급 베이스(35)의 외측주변부와 접촉하게되어, 릴공급 베이스(35)의 정지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의 정지상태는 릴래치(33)와 맞물려있는 래치스프링(34)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의 안정된 정시상태에서 기록용지(6)만이 도 7a의 화살표(C)의 방향으로 규정된 위치(프린트 시작위치)까지 이송된다.
이후에, 열헤드(5)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반롤러(7)쪽으로 압박된다. 그런 다음, 모터(19)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워엄(20)을 통해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M)의 방향으로 구동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 만들어지는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에 전달된다. 따라서,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되어, 릴 구동기어(21)와 아이들러 기어(23)가 서로 맞물리게 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는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N)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에, 릴래치(33) 또한 래치스프링(34)으로부터 결합 분리되어 회전된다. 한편, 마찰스프링(36)은 봉(25)에 의해 규정된 압력으로 공급릴 베이스(35)의 외측주변부와 접촉하게 되어, 공급릴 베이스(35)에 규정된 부하토크가 발생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에 마찰스프링(36)에 의해 규정된 역방향 장력이 인가되면서, 잉크시트(1)가 화살표(F)의 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안 기록용지(6)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E)의 방향으로 규정된 위치까지 영상의 길이만큼 공급된다. 이때에 규정된 전방이 열헤드(5)에 인가되게 되어, 남색의 규정된 영상이 기록용지(6)상에 프린트된다.
상기에 기술된 동작으로, 총 천연색 영상이 기록용지(6)상에 프린트된다. 마지막으로, 열헤드(5)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철수되고 그리고 봉(25)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러 레버(22)와 접촉하게 되어, 아이들러 기어(23)가 릴 구동기어(21)로부터 분리된다. 모터(19)가 이 상태에서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캡스턴 구동기어(18)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엄(20)을 통해 화살표(M)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캡스턴 구동기어(18)의 회전력은 추력전달 스프링(24)의 강압력에 의해 캡스턴 구동기어와 아이들러 레버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로 전달된다. 아이들러 레버(22)는 추축운동되어, 봉(25)과 접촉함으로써 정지된다. 따라서, 릴 구동기어(21)와 아이들러 기어(23)는 서로 결합 분리되게 된다. 이때에, 마찰스프링(36)은 봉(25)에 의해 규정된 압력으로 공급릴 베이스(35)의 외측주변부와 접촉하게 되어, 릴공급 베이스(35)의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릴 구동기어(21)의 정지상태는 릴래치(33)와 맞물려있는 래치스프링(34)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잉크시트(1)의 안정된 정지상태에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용지(6)만이 화살표(E)의 방향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기록용지(6)가 영상프린터(K3)로부터 배출된다.
영상프린터(K3)에서, 캡스턴 구동기어(18)의 구동력에 의해 발생된 마찰력을 통해 아이들러 레버(22)를 작동시킴으로써 릴 구동기어(21)가 아이들러 기어(23)를 통해 회전 및 정지될 수 있기 때문에, 잉크시트(1)와 기록용지(6) 둘다는 구동원으로서 작동하는 단일의 모터(19)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이외에도, 마찰스프링(36)이 공급릴 베이스(35)와 접촉이 되게 하고 또한 접촉해제가 되게 함으로써, 이 동작에 상응하는 역장력이 잉크시트(1)에 인가되게 되어, 잉크시트(1)가 안정적으로 공급되고 또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상프린터의 상기 설명으로부터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지 하나의 모터(19)가 잉크시트(1) 이송을 위한 구동원 뿐만 아니라 기록용지(6) 이송을 위한 구동원으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값비싸고 부피가 큰 하나의 모터가 제거될 수 있어서, 영상프린터는 작고 가볍게 만들어질 수 있고 또한 저가로 제조될 수 있다.

Claims (4)

  1. 기록매체(6) 상에 색상을 프린팅하기 위한 프린팅수단(5);
    색상이 도포되는 색상매체(1)를 감기 위한 색상매체 감기수단(3);
    색상매체 감기수단(3)에 출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출력전달수단(21);
    기록매체(6)를 이송하기 위한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
    색상매체 감기수단(3)이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을 구동시키기 위한, 순방향과 역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는 구동수단(19);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의 회전에 응해 추축운동될 수 있는 추축수단(22);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에서 추축수단(22) 상에 설치되는 제1출력전달수단(21)으로 출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출력전달수단(23);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의 구동력을 추축수단(22)에 전달하기 위해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이 추축수단(22)과 접촉되게 하는 강압수단(24); 및
    제2출력전달수단(23)이 제1출력전달수단(21)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방지수단(25, 26)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19)이 제1방향으로 회전되면, 구동수단(19)의 구동력은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에 전달되어 기록매체를 제1방향으로 이송시킬 뿐만 아니라,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을 통해 추축수단(22)을 제1출력전달수단(21)을 향해 추축운동시켜, 이에 의해 제2출력전달수단(23)이 제1출력전달수단(21)과 접촉하게 되어 구동수단(19)의 출력으로 색상매체 감기수단(3)을 구동시켜, 색상매체(1)가 색상매체 감기수단(3)에 의해 감기고;
    구동수단(19)이 제2방향으로 회전되면, 구동수단(19)의 회전력이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에 전달되어 기록매체(6)를 제2방향으로 이송시킬 뿐만 아니라,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을 통해 추축수단(22)을 제1출력전달수단(21)으로 떨어지게 추축운동시켜, 이에 의해 제2출력전달수단(23)이 제1출력전달수단(21)으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색상매체 감기수단(3)이 구동되지 않는 것이 특징인 영상프린터(K1).
  2. 기록매체(6) 상에 색상을 프린팅하기 위한 프린팅수단(5);
    색상이 도포되는 색상매체(1)를 감기 위한 색상매체 감기수단(3);
    색상매체 감기수단(3)에 출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출력전달수단(21);
    기록매체(6)를 이송하기 위한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
    색상매체 감기수단(3)이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을 구동시키기 위한, 순방향과 역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는 구동수단(19);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의 회전에 응해 추축운동될 수 있는 추축수단(22);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에서 추축수단(22) 상에 설치되는 제1출력전달수단(21)으로 출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출력전달수단(23);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의 구동력을 추축수단(22)에 전달하기 위해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이 추축수단(22)과 접촉되게 하는 강압수단(24);
    제2출력전달수단(23)이 제1출력전달수단(21)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제1방지수단(25, 26); 및
    제1출력전달수단(21)이 색상매체(1)의 감기방향에 반대인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제2방지수단(33, 34)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19)이 제1방향으로 회전되면, 구동수단(19)의 구동력은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에 전달되어 기록매체를 제1방향으로 이송시킬 뿐만 아니라,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을 통해 추축수단(22)을 제1출력전달수단(21)을 향해 추축운동시켜, 이에 의해 제2출력전달수단(23)이 제1출력전달수단(21)과 접촉하게 되어 구동수단(19)의 출력으로 색상매체 감기수단(3)을 구동시켜, 색상매체(1)가 색상매체 감기수단(3)에 의해 감기고;
    구동수단(19)이 제2방향으로 회전되면, 구동수단(19)의 회전력이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에 전달되어 기록매체(6)를 제2방향으로 이송시킬 뿐만 아니라, 기록매체 이송수단(8, 18)을 통해 추축수단(22)을 제1출력전달수단(21)으로 떨어지게 추축운동시켜, 이에 의해 제2출력전달수단(23)이 제1출력전달수단(21)으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색상매체 감기수단(3)이 구동되지 않는 것이 특징인 영상프린터(K2, K3).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방지수단(25, 26)의 동작에 응해 마찰적인 브레이크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색상매체 공급수단(2)에 제공되는 브레이크력 발생수단(35, 36)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영상프린터(K3).
  4. 청구항 2에 있어서, 프린팅수단(5)이 철수되어, 색상매체(1)를 수용하는 하우징(4)이 영상프린터(K2, K3)에 설치될 수 있거나, 또는 영상프린터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태에서, 색상매체(1)가 규정된 위치에 이송될 수 있도록 색상매체(1)의 색상의 선단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5)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영상프린터(K2, K3).
KR1019970054832A 1996-10-25 1997-10-24 영상프린터 KR100229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361396 1996-10-25
JP96-283613 1996-10-25
JP96-287883 1996-10-30
JP28788396 1996-10-30
JP97-112188 1997-04-30
JP11218897A JP3482811B2 (ja) 1996-10-25 1997-04-30 画像プリンタ
JP11218997A JP3473320B2 (ja) 1996-10-30 1997-04-30 画像プリンタ
JP97-112189 1997-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153A KR19980033153A (ko) 1998-07-25
KR100229162B1 true KR100229162B1 (ko) 1999-11-01

Family

ID=27469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4832A KR100229162B1 (ko) 1996-10-25 1997-10-24 영상프린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39838A (ko)
KR (1) KR100229162B1 (ko)
CN (1) CN107751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9255B2 (en) * 1998-08-18 2005-02-01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nhancing cartilage repair
JP2000218892A (ja) * 1999-01-29 2000-08-08 Mitsubishi Electric Corp 熱転写記録装置
CN102896907B (zh) * 2011-07-29 2015-01-28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热转印打印机及其打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4902A (en) * 1989-11-26 1993-02-09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having a single drive source for conveying recording means and feeding recording medium
US5547183A (en) * 1991-08-30 1996-08-20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Imaging device
JP2919200B2 (ja) * 1992-07-03 1999-07-12 シャープ株式会社 記録装置
JP3362444B2 (ja) * 1993-05-14 2003-01-07 ソニー株式会社 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0618A (zh) 1998-05-06
KR19980033153A (ko) 1998-07-25
CN1077514C (zh) 2002-01-09
US5839838A (en) 1998-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84169A1 (ja)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インクリボンカートリッジ、印刷装置およ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KR100229162B1 (ko) 영상프린터
US6664993B2 (en) Image transfer apparatus and image transfer method
JP5943817B2 (ja)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インクリボンカートリッジおよび印刷装置
JPS59135181A (ja) 印刷装置
JP3473320B2 (ja) 画像プリンタ
JP3482811B2 (ja) 画像プリンタ
JP2915710B2 (ja) プリンタ
US5718522A (en) Heat transfer printer
JP2011037007A (ja) 記録装置
JP4172110B2 (ja) 画像プリンタ
JPH1199720A (ja) 画像プリンタ
JP2001301292A (ja) 熱転写プリンタ
JP2692291B2 (ja) 記録装置
JP2003305910A (ja) プリンタ
JPH08156303A (ja) 熱転写プリンタ装置
JP3121182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0006488A (ja) 熱転写プリンタ用カセット
JPH068060B2 (ja) 感熱転写型記録装置
JPH02231176A (ja) 感熱転写記録装置
JPH0441263A (ja) カラープリント装置
JPH081970A (ja) プリンタ装置
JP2000001013A (ja) 熱転写プリンタ
JPS63267590A (ja) 熱転写記録装置
JPH10226130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