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713B1 - 베드 - Google Patents

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713B1
KR100227713B1 KR1019960707386A KR19960707386A KR100227713B1 KR 100227713 B1 KR100227713 B1 KR 100227713B1 KR 1019960707386 A KR1019960707386 A KR 1019960707386A KR 19960707386 A KR19960707386 A KR 19960707386A KR 100227713 B1 KR100227713 B1 KR 100227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frame
height
panel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7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히로 오니시
겐조 갓사이
Original Assignee
겐조 갓사이
앗프리카 갓사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겐조 갓사이, 앗프리카 갓사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겐조 갓사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7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47C19/045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with entire frame height or inclination adjust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1/00Children's 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e.g. children's chairs or benches convertible into beds or constructional play-furniture
    • A47D11/005Convertible children's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1/00Children's 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e.g. children's chairs or benches convertible into beds or constructional play-furniture
    • A47D11/005Convertible children's beds
    • A47D11/007Children's beds convertible into children's p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7/00Children's beds
    • A47D7/01Children's beds with adjustable parts, e.g. for adapting the length to the growth of the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12Cradles ; Bassinets with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2 연결부재(9)와, 제1 패널(4) 및 제2 패널(5)을 구비한 베드 프레임 본체의 바닥면에서의 높이를 조정가능하게, 또한 베드 프레임 본체를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베이스바(11)를 구비하고, 베이스 프레임(1A)과 제2 베이스바(11)는 제1 패널(4) 및 제2 패널(5)이 가장 들어올려진 상태에 있어서, 제2 연결바(9)의 윗면이 제2 베이스바(11)의 윗면보다도 위쪽에 위차하도록, 제1 스윙 샤프트(12), 제2 스윙 샤프트(13)에 의해, 피봇축부(11A, 11B)와 활주부(4A, 5A)가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베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베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아로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각각 세대의 용도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 베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 베드로서는 유아용 아기 베드로부터, 어른용 베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다. 유아용 베드에는 베드 자체가 흔들리는 것으로부터, 베드의 내부를 아기 놀이장(playpen)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있다. 또한, 어른용 베드에는 대낮에는 의자로서 사용하고, 야간은 베드로서 사용하는 것도 있다. 또한, 베드의 양단부에 리클라이닝 기구가 설치되어진 것도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여러가지 베드는, 가령 유아용 아기 베드는 아이가 크면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유아를 어른용 베드에 재워서는 아기 베드가 갖는 편안함을 유아에게 줄 수 없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유아의 아기 베드로서의 기능과, 어른용 베드 기능 모두를 겸비한 베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성인까지 사용가능한 유아용 베드에 있어서, 아이의 성장시기에 적당한 부모의 애정이나 정감을 느낄 수 있는 베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거한 하나의 국면에 있어서는 베드는 베드부와, 상기 베드부 주위를 둘러싸며, 그 형태를 바꾸는 것으로 상기 베드부의 면적을 변화시키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베드부를 지지하고, 상기 베드부의 바닥면에서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높이 조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높이 조정수단은 대략 중앙부에서 역 V자 형상으로 피봇식으로 구부림으로써, 상기 베드부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조정하는 다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베드부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드부는 높이 조정수단에 설치된 스윙 샤프트에 연결됨으로써, 높이 조정수단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 본체에는 부모가 아이에게 주는 애정을 담은 메세지 등을 수용하고, 프레임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액자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해, 프레임 본체의 형태를 바꿈으로써 베드부의 면적을 변화시켜, 유아로부터 어른까지, 각각 세대의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베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거한 다른 면에 있어서의 베드는 베드부와, 상기 베드부의 양단부 부근에 설치된 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리클라이닝(reclining) 가능하게 설치된 1쌍의 패널과, 상기 베드부와 1쌍의 패널을 구비한 베드 프레임 본체의 바닥면에서의 높이를 조정가능하게, 또한, 베드 프레임 본체를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베드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베드 프레임 본체와 베드 베이스부는 1쌍의 패널이 최고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베드부의 윗면이 베드 베이스부의 윗면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도록, 1쌍의 패널 각각의 하단부에 설치된 활주부와 베드 베이스부의 양단부 부근에 설치된 지지부 사이에서, 활주부로부터 피봇축부를 향해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스윙 샤프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해, 1쌍의 패널을 최고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베드 프레임 본체가 베드 베이스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1쌍의 패널간의 양측에 측벽을 설치함으로써, 요동가능한 유아용 아기 베드로 할 수 있다. 또한, 역으로 요동하지 않도록 패널 하단부를 바닥면에 접속되도록 함으로, 고정형의 아기 베드라든지, 유아용 놀이장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측벽을 한방향에만 설치함으로써, 어른용 의자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1쌍의 패널을 베드부에 대하여 서서히 기울여지게 함으로써, 아이의 성장에 맞는 베드 길이로 할 수 있으며, 1쌍의 패널을 베드부와 동일면으로 될때까지 넘어뜨리면, 어른용 베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거한, 또다른 면에 있어서의 베드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의 각각 양단부 부근에 설치된 축부에, 대략 중앙부 부근이 회전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도록 축에 지지된 리클라이닝 가능한 제1 패널 및 제2 패널과,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와,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구비한 베드 프레임 본체의 바닥면에서의 높이를 조정가능하게, 또한 베드 프레임 본체를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를 양측으로부터 끼워넣도록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베이스부재 및 제2 베이스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베드 프레임 본체와, 제1 베이스부재 및 제2 베이스부재는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이 최고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윗면 및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윗면을 포함한 평면이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윗면 및 상기 제2 베이스부재의 윗면을 포함한 평면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도록, 그 중앙부가 상기 제1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의 하단부에 설치된 활주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양단부가 위쪽으로 연장되며, 한쪽단부가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피봇축부에 지지되고, 다른쪽 단부가 상기 제2 베이스부재의 피봇축부에 지지된 제1 스윙 샤프트 및 제2 스윙 샤프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청구항 1에 기재된 베드와 같이,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최고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베드 프레임 본체가 제1 베이스부재 및 제2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1 패널 및 제2 패널간의 양측에 측벽을 설치함으로써, 요동가능한 유아용 아기 베드로 할 수 있다. 또한, 역으로 요동하지 않도록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하단부를 바닥면에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고정형의 아기 베드라든지 아기 놀이장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측벽을 한쪽에만 설치함으로써, 어른용 의자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제1 베이스부재 및 제2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서서히 쓰러뜨려감으로써, 아이의 성장에 맞는 베드 길이로 할 수 있고,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제1 베이스부재 및 제2 베이스부재와 동일면으로 될때까지 쓰러뜨림으로써, 어른용 베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베이스부재는 상기 제1 연결부재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피봇축부가 설치된 제1 베이스부재와 대략 중앙부로부터 절곡됨으로써 상기 제1 베이스부재 바닥면에서의 높이를 조정가능하게 상기 제1 베이스부재에 설치된 제1 다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베이스부재는 상기 제2 연결부재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피봇축부가 설치되는 제2 베이스바와, 중앙부에서 절곡됨으로써 상기 제2 베이스바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조정가능하게 상기 제2 베이스바에 장착된 제2 다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해, 제1 다리부 및 제2 다리부를 사용하여, 베드 프레임 본체의 바닥면에서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유아로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그 성장단계에 맞추어, 적당히 높이를 조정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이 가장 넘어뜨려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베이스바와 상기 제2 베이스바 사이에, 제1 연결부재의 아랫면 및 제2 연결부재의 아랫면에 접촉되는 제1 보조부재가 걸쳐져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해,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이 최저로 넘어뜨려진 상태에서, 어른용 베드로서 사용된 경우에, 제1 보조부재에 의해, 제1 보조부재에 의해,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가 하방에서 지탱되어지기 때문에, 베드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다리부 및 상기 제2 다리부가 각각의 중앙부로 부터 가장 넓혀진 상태에서, 또한, 상기 제1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이 최저로 넘어뜨려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다리부와 상기 제2 다리부 사이에 상기 제1 패널의 아랫면 및 제2 패널의 아랫면에 접촉되는 제2 보조부재가 걸쳐져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해, 어른용 베드로서 사용한 경우에,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이, 제2 보조부재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탱됨으로써, 청구항 4에 기재된 베드와 같은 모양의 베드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거한 또다른 면에서의 베드에서는 유아의 성장에 따라서 그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유아용 베드에 있어서, 머리측에 위치하는 끝테두리에서 베드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보드와, 부모가 아이에게 주는 애정을 담은 메세지 등을 수용하는 것으로, 헤드보드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액자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부모가 아이에게 주는 애정을 담은 메세지를 수용하는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액자를 헤드보드에 구비해 놓음으로써, 때때로 상기 액자에 수용된 메세지를 봄으로써, 아이는 적당한 부모의 애정이라든지 부모와의 정감을 느끼면서 성장하고, 순진한 마음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헤드보드 부분에 양면측에 만화라든지 사진 등을 삽입할 수 있는 액자를 설치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는 한쪽 면에 풍경화나 아이가 기뻐하는 만화 등을 넣어두고, 다른쪽 면에 부모가 아이에게 주는 애정이라든지 부모와 아이 사이의 정감을 확인할 수 있는 사진이나 메시지 카드 등을 넣어둠으로써, 때때로 상기 액자의 다른쪽 면을 보는 것으로, 아이는 적당한 부모의 애정이라든지 부모와의 정감을 느끼면서 성장하여, 순진한 마음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액자를 헤드보드에 설치한 개구부에 있어서, 세로축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하거나, 또한 헤드보드에 설치된 오목부에 액자를 넣도록 수용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상술한 효과를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어서, 보다 바람직한 상태에서 아이가 부모의 애정이라든지 부모와의 정감을 적당히 확인하여 순진한 마음을 가지면서 성장할 수 있다.
또한, 베드가 불필요해진 경우에도, 액자를 떼어내어 자립가능한 구조로 함으로써, 아이가 성장했을 때에 액자를 책상 위 등에 세워둘 수 있다. 그 결과, 유아기에서 사용한 베드에 구체화된 부모의 애정이라든지 부모의 정감이 액자에도 구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는 액자를 봄으로써, 적당한 보모의 애정이라든지 부모와의 정감을 상기하게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베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 중 B-B선 화살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 1에 있어서 베드의 제1 사용 상태를 도시한 제1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 1에 있어서 베드의 제1 사용 상태를 도시한 제2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 1에 있어서 베드의 제1 요동 상태를 도시한 제1 모식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 1에 있어서 베드의 제1 요동 상태를 도시한 제1 모식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 1에 있어서 베드의 제1 요동 상태를 도시한 제3 설명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 1에 있어서 베드의 제2 사용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 1에 있어서 베드의 제3 사용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 1에 있어서 베드의 제4 사용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 1에 있어서 베드의 제5 사용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 1에 있어서 베드의 제6 사용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13도는 제12도에 도시된 상태의 제1도에 있어서 B-B선 화살표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 1에 있어서 베드의 리클라이닝 동작을 도시한 제1 모식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 1에 있어서 베드의 리클라이닝 동작을 도시한 제2 모식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 1에 있어서 베드의 리클라이닝 동작을 도시한 제3 모식도.
제17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 1에 있어서 베드에 사용되는 플레이트의 사시도.
제18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 2에 있어서 베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19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 2에 있어서 베드의 제1 사용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20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 2에 있어서 베드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
제21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 2에 있어서 베드의 제2 사용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22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 2에 있어서 베드의 제3 사용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23도는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 2에 있어서 베드의 제4 사용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24도는 제23도 중 X-X선 화살표 단면도.
제25도는 실시예 3에 있어서 외측 프레임의 전체 사시도.
제26도는 제25도 중 Z-Z선 화살표 단면도.
제27도는 제25도 중 A화살표 부분 확대도.
제28도는 실시예 3에 있어서 액자의 전체 사시도.
제29도는 제28도 중 Y-Y선 화살표 분해 단면도.
제30도는 제28도 중 A-A선 화살표 부분 단면도.
제31도는 실시예 4에 있어서 액자의 전체 사시도.
제32는 제31도 중 B-B선 화살표 부분 단면도.
제33도는 실시예 4에 있어서 액자를 헤드보드에 장착한 제1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34도는 실시예 4에 있어서 액자를 헤드보드에 장착한 제2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35도는 실시예 4에 있어서 액자의 다른 사용 상태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제36도는 실시예 5에 있어서 액자의 평면도.
제37도는 제36도 중 C-C선에서 바라본 단면도.
제38도는 제36도 중 D-D선에서 바라본 단면도.
[실시예]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에 의거한 베드의 실시예 1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제1도는 상기 실시예의 베드(1)의 구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 중 B-B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우선,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상기 베드(1)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연결부재(8)와, 제2 연결부재(9)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연결부재(8)와 제2 연결부재(9)의 양단부에는 각각 축부(4B, 5B)를 중심으로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패널(4)과 제2 패널(5)이 설치되어 있다.
제1 패널(4)와 제2 패널(5)의 리클라이닝 각도의 조정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재(8) 및 제2 연결부재(9)의 양단부에서, 소정의 원주상에 설치된 복수의 절결홈(14A, 15A)에, 로크바(14C, 15C)를 끼워넣음으로써, 제1 패널(4) 및 제2 패널(5)의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 로크바(14C, 15C)에는 상기 로크바(14C, 15C)를 절결홈(14A, 15A)에 걸어맞추기 위해 가압력을 주기 위한 스프링(14D, 15D)이 고정바(14B, 15B)에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제1 연결부재(8), 제2 연결부재(9), 제1 패널(4) 및 제2 패널(5)에 의해, 베드 프레임 본체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1 패널(4) 및 제2 패널(5)이 동시에 최고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널(4) 및 제2 패널(5)의 양측에 보호책(2, 3)을 설치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8) 및 제2 연결부재(9)의 양측에는 제1 연결부재(8) 및 제2 연결부재(9)에 대하여 평행하게 제1 베이스바(10)와 제2 베이스바(11)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베이스바(10)와 제2 베이스바(11)의 양단부 부근에는 각각 피봇축부(11A, 11B)가 설치되고, 상기 피봇축부(11A, 11B)에 양단부가 지지되며, 그 중앙부가 제1 패널(4) 및 제2 패널(5)의 하단부에 설치된 U자 홈으로 이루어진 활주부(4A, 5A)에 지지되는 제1 스윙 샤프트(12), 제2 스윙 샤프트(13)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 스윙 샤프트(12) 및 제2 스윙 샤프트(13)에 의해, 상술한 베드 프레임 본체가 제1 베이스바(10) 및 제2 베이스바(11)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1 베이스바(10)와 제2 베이스바(11) 사이에는 베이스 연결바(21, 22)가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베이스바(10) 및 제2 베이스바(11)에는 각각 제1 베이스바(10) 및 제2 베이스바(11)의 바닥면에서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1 다리부(6)와 제2 다리부(7)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다리부(6)와 제2 다리부는 그 중앙부에서 회전축(7C)을 중심으로 하여 절곡되도록 되어 있고, 제1 다리부(6) 및 제2 다리부(7) 사이에 걸쳐진 로크 샤프트(7D, 7E)가 제1 베이스바(10) 및 제2 베이스바(11)에 설치된 고정플레이트(17)의 고정홈(17A)이라든지, 로크핀(18)과 걸어맞춤으로써, 제1 베이스바(10) 및 제2 베이스바(11)의 바닥면에서의 높이를 조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로크 샤프트(7D)는 제1 베이스바(10) 및 제2 베이스바(11)에 고정축(11C)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플레이트(16)에 연결되어 있고, 제1 다리부(6) 및 제2 다리부(7)의 회전축(7C)의 좌우방향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게 그 높이 방향의 조정을 가능케 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제1 다리부(6) 및 제2 다리부(7) 사이에는 각각 다리부 연결바(19, 20)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조로 이루어진 베드(1)에서의 사용 상태에 대하여 제3도 내지 제1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3도는 제1도중 A-A선을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 제1 베이스바(10) 및 제2 베이스바(11)는 제1 다리부(6) 및 제2 다리부(7)에 의해, 바닥면에서 가장 높은 위치로 설정되며, 제1 패널(4)과 제2 패널(5)의 하단은 바닥면보다 소정거리 떠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패널(4)과, 제2 패널(5)의 양단부는, 보호책(2, 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연결바(8), 제2 연결바(9), 제1 패널(4) 및 제2 패널(5)로 이루어진 베드 프레임 본체(1A)는 스윙 샤프트(12, 13)에 의해, 피봇축부(11A, 11B)를 중심으로 요동하게 된다. 제4도는 베드 프레임 본체(1A)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제5도 내지 제7도는 베드 프레임 본체(1A)의 요동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상태이며, 제6도는 제4도에 도시된 상태이며, 제7도는 베드 프레임 본체(1A)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5도 내지 제7도로부터 알수 있듯이, 예를 들면 제2 연결부재(9)의 1점(9A)만의 운동에 주목하면, 좌우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도 이동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드를 아기 베드로서 사용한 경우, 유아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다음에, 제8도에 도시된 상태는 제1 다리부(6) 및 제2 다리부(7)를 조절함으로써, 제1 패널(4)과 제2 패널(5)의 하단부가 바닥면에 접속되도록 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베드 프레임 본체(1A)는 좌우방향으로 요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유아용 놀이장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의 보호책(3)을 떼어냄으로써, 어른용 의자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제10도에 도시된 상태는 제2 패널(5)만을 최저로 넘어뜨린 상태이며, 아이용 베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1도에 도시된 상태는 제1 패널(4)을 약45도 기울여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중학생, 고교생용 베드 또는 옥외에서의 독서라든지 일광욕용 베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제12도는 제1 다리부(6) 및 제2 다리부(7)를 가장 개방된 상태로 하며, 또한, 제1 패널(4)과 제2 패널(5)을 최저로 넘어뜨린 상태로서, 어른용 베드로서 사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3도는 제12도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제1도 중 B-B선에서 바라본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제12도 및 제13도를 참조하여, 제1 패널(4) 및 제2 패널(5)이 최저로 넘어뜨려진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제2도를 참조한 경우 제1 연결부재(8)의 윗면 및 제2 연결부재(9)의 윗면은 제1 베이스바(10)의 윗면 및 제2 베이스바(11)의 윗면보다도 위쪽에 위치되고 있지만,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제1 연결부재(8)의 윗면 및 제2 연결부재(9)의 윗면과, 제1 베이스바(10)의 윗면 및 제2 베이스바(11)의 윗면은 거의 동일한 평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8)의 아랫면 및 제2 연결부재(9)의 아랫면이 제1 베이스바(10) 및 제2 베이스바(11)에 걸쳐진 베이스 연결바(21, 22)의 윗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패널(4)의 아랫면 및 제2 패널(5)의 아랫면이 제1 다리부(6) 및 제2 다리부(7)에 걸쳐진 다리부 연결바(19, 20)의 윗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된 상태의 베드에서, 어른이 베드로서 사용한 경우라도, 베드로서의 강성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4도 내지 제16도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베드의 제1 패널(4) 및 제2 패널(5)을 넘어뜨림으로써, 제1 연결부재(8)의 윗면 및 제2 연결부재(9)의 윗면이 제1 베이스바(10)의 윗면 및 제2 베이스바(11)의 윗면과 동일하게 되는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4도에 도시한 상태는 베드가 제3도에 도시한 상태를 나타내고, 제2 베이스바(11)보다도 제2 연결부재(9) 쪽이 위쪽에 위치되어 있다.
다음에, 제15도를 참조하여, 제1 패널(4) 및 제2 패널(5)을 서서히 넘어뜨려간다. 이 때, 제1 패널(4)과 제2 패널(5)은 제2 연결부재(9)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축부(4B, 5B)는 아래로만 이동할 수 있고, 활주부(4A, 5A)는 피봇축부(11A, 11B)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또한, 제1 패널(4) 및 제2 패널(5)을 넘어뜨려가면,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4B, 5B)는 서서히 아래로 이동되며, 제2 베이스바(11)의 윗면과 제2 연결부재(9)의 윗면이 거의 동일한 높이로 된다.
이것에 의해서, 제12도에 도시한 상태에서의 베드를 사용한 경우, 베드의 윗면은 모두 거의 동일한 평면으로 되기 때문에, 이 위에 매트리스 등을 깔므로써, 용이하게 어른용 베드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 실시예에 의한 베드에서는 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매트 등을 기재하지 않고서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제2도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제1 연결부재(8)의 윗면 및 제2 연결부재(9)의 윗면에 의해서 규정되는 평면 A 또는 베이스 연결바(21, 22)의 윗면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 B 위에 제17도에 도시된 플레이트(23)를 적재하고, 또한 상기 플레이트(23) 상에 매트리스 등을 깔아서 바닥면에서 2개의 높이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베이스바(10) 및 제2 베이스바(11)의 바닥면에서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제1 다리부(6) 및 제2 다리부(7)를 사용하였지만, 이들의 구조를 한정되지 않고, 다른 주지의 기술을 사용함으로써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베드에 관해 제18도 내지 제2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베드에 대한 기본적인 사고방식중 하나는 베드상의 높이와, 베드의 형태 변화의 조합에 있다. 아이의 성장 과정을 생각해 보면, 유아 단계에서는 베드 사이즈는 적을수록 좋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모친이 유아의 보살핌을 위해, 베드 바닥의 높이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가 성장하게 되었을 때에는 베드의 사이즈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가 커진 단계에서는 모친의 보살핌은 불필요해진다. 또한, 아이가 베드상에서 활발히 돌아다니기 위해서 베드 바닥의 높이는 안전성 면에서도 낮은 것이 좋다.
그리하여, 상기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베드는 베드의 사이즈가 작을 때에는 베드상의 높이를 높게 유지하고, 베드의 사이즈가 클 때에는 베드 바닥의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우선, 제18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베드(50)는 베드부(52)와, 상기 베드부(52)를 둘러싸는 프레임 본체(51a 내지 51d)와, 베드부(52)의 바닥면에서의 높이 조정이 가능한 다리부(53)를 구비하고 있다. 제18도에서의 상태는 베드부(52)가 바닥면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어머니가 아기를 보살피기 쉬운 위치이다.
또한, 프레임 본체(51a 내지 51d)에서,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본체(51c)는 프레임 본체(51a) 및 프레임 본체(51b)에 설치된 슬라이드홈(51e)을 따라서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모친 유아에게 대하여 기저귀를 교환하는 경우라든지, 앉을 때 등은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본체(51c)를 아래로 내림으로써, 모친은 용이하게 유아의 시중을 들 수 있다.
다음에, 제20도는 베드(50)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베드부(52)는 이 베드부(52)의 하방에 설치된 베드 베이스(55)상에서 설치되고, 베드 베이스(55)에는 프레임 본체(51a) 및 프레임 본체(51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드 베이스(55)에는 다리부(53)에 설치된 지지 베이스(54)에 대하여 요동가능한 스윙 샤프트(58)에 결합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56)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베드부(52)는 베드 베이스(55)와 함께 다리부(53)에 대하여, 도면중 S로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 요동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베드부(52)의 요동은 공지 기술에 의해서 설치된 스토퍼 등에 의해서, 그 요동을 정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리부(53)는 중앙부에 설치된 지지점(53c)을 중심으로 역 V자 형상으로 절곡된 제1 다리부(53a)와 제2 다리부(53b)를 구비하고, 그 서로가 이루는 각도를 크게 함으로써, 베드부(52)의 바닥면에서의 높이가 낮아진다. 또한, 제1 다리부(53a)와 제2 다리부(53b)를 거쳐 거의 180도로 연장시키며, 바닥면상에 평행하게 따르도록 함으로써, 베드부(52)를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낮은 위치에 오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1도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프레임 본체(51c)를 뗀 상태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지만, 프레임 본체(51c)를 설치한 상태에서는 베드를 유아의 놀이장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본체(51c)를 뗀 상태에서는 소파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베드(50)는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본체(51d)가 베드부(52)에 대하여, 공지의 기술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프레임 본체(51c) 및 프레임 본체(51d)를 떼고, 프레임 본체(51b)에 설치된 보조다리(60)를 일으킴으로써, 베드부의 면적을 확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2에서의 베드(50)에 있어서도, 유아의 성장과 생활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목적에 따라 베드부의 길이 혹은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유아용 베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본적인 사고방식에 근거하면, 베드 프레임 본체는 반드시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베드 프레임 본체 자체의 형태 변화는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어느 쪽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베드 프레임 본체의 높이가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의 경우, 베드는 베드바닥의 주위 사방을 프레임 본체로써 둘러싼 베드 프레임 본체와, 상기 베드 프레임 본체를 바닥면에서 뜨게 한 상태로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베드 서포트를 구비한다. 베드 서포트는 베드 프레임 본체를 각각의 길이방향(유아의 머리와 발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도에 도시된 베드는 베드 프레임 본체가 요동가능하고, 게다가 베드 프레임 본체의 형태가 변화됨으로써 베드바닥으로 되는 부분의 면적이 변화화되며, 또한 베드 프레임 본체의 높이가 조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베드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3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즉, 베드는 베드 프레임 본체(4, 5, 8, 9)와, 이 베드 프레임 본체를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바(10, 11)와, 베이스바를 높이 조절가능하게 지지하는 다리부(6, 7)를 구비한다. 베드 프레임 본체의 높이를 고정하며, 단지 베드 프레임 본체를 요동가능하게 지지하게만 되면, 베이스바(10, 11)와 다리부(6, 7)가 고정되는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베드 프레임 본체의 형태의 변화와, 베드바닥의 높이의 조합만을 실현할 수 있고, 요동 불가능한 것이면, 베이스바(10, 11)와 베드 프레임 본체가 고정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실시예 3]
여기에서, 본 출원인의 유아에게 대한 육아의 고려에 대하여 간단히 언급한다.
「육아의 원리: 아프리카 육아 연구회 발행」에 의하면, 인간의 발육은 신체라든지 형태뿐만 아니라, 인격이나 사회성 등 모든 측면이 포함되며, 특히 유아기의 아기에게는 「모자 상호작용」이 극히 중요하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상기 「모자 상호작용」에는,
1. 어머니(아버지)와 아기와의 피부 접촉에 의거한 「촉각에 의한 상호작용」
2. 어머니(아버지)와 아기가 서로 눈으로 바라보는 것에 의거한 「시각에 의한 상호작용」
3. 어머니(아버지)로부터의 아기에게 말걸기, 아기로부터 어머니(아버지)에의 울음소리라고 하는 「청각에 의한 상호작용」
4. 어머니의 체취, 아기의 젖내남에 의거한 「후각에 의한 상호작용」
5. 모유에 의거한 「모자 상호작용」
이 있다.
이들의 「모자 상호작용」은 각각 단독으로 행해지는 것이 아니고, 앉음, 업기, 우유를 마시게 하거나 산보를 하거나 평소의 유아에게 온화하게 안정된 어머니의 피부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행해진다.
이와 같이, 유아때부터 어머니와 아이의 정감, 아버지와 아이의 정감을 만들어냄으로써, 부모 자식간에 풍부한 인간 관계가 생기고, 그것을 유지하면서 육아를 하게 되면, 아이는 후의 인생에 있어서, 사랑, 우정, 신뢰라고 하는 풍부한 인간성을 만들고, 또한 인간 관계의 핵이 되는 「기본신뢰」를 완벽히 만들어 낼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부모로부터 아이에의 애정, 부모와 아이와의 정감은 무형이다. 그리하여, 부모는 아이의 탄생시에 있어서의 부모의 감동이라든지, 부모로부터 아이에의 생각 등의 무형의 애정, 정감을 유형의 것으로 구체화시키기 위해서, 아이의 사진을 포토 스탠드에 넣어 장식하거나, 아이의 성장기록으로서 앨범을 작성하거나, 메시지 카드를 만들기도 한다.
또한, 일상의 생활 속에서도, 부모로부터 아이에의 애정 등이 구체화되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유아용 베드 등에는 자연스럽게 부모의 아이에의 애정이라든지 정감이 구체화된다. 그러나, 상기 유아용 베드는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모처럼 애정이라든지 정감이 구체화된 유아용 베드에서도, 아이가 성장하면, 아이가 때때로 그것을 보고, 자기가 유아기에 받은 부모의 애정이라든지 부모와의 정감을 접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유아용 베드에서는 당초부터 아이가 성인이 되어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염두로 설계하면, 신생아부터 성인까지 길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아용 베드 근처에 상술한 바와 같은 사진이라든지 메세지 등을 놓아두는 것에 의해, 아이는 항상 부모의 사랑이라든지 부모와의 정감을 느끼면서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10세 내지 15세의 민감한 시기를 맞이하게 되거나, 0세 내지 3세, 0세 내지 6세의 인격의 기본이 형성되는 시기에, 부모의 애정이라든지 부모와의 정감을 느끼면서 성장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앨범은 항상 보는 것이 아니고, 통상은 서가 등에 돌아다니기 때문에, 일상적으로 부모의 사랑이라든지 부모와의 정감을 느길 수 없다. 또한, 사진틀에 넣어 항상 볼 수 있는 상태로 해 놓으면, 실제로 눈에 익어서, 반대로 아무것도 느끼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고, 그 효과는 비교적 희미하게 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 3에서는 아이의 성장시기에, 적절한 부모의 애정이라든지 부모와의 정감 등을 가질 수 있는 베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 3에서의 유아용 베드(50)에 대하여 제23도 내지 제3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23도를 참조하여 상기 유아용 베드(50)의 구성의 개략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유아용 베드(50)는 유아가 잠자는 베드부(52)와, 베드부(52)를 둘러싸는 프레임 본체(51a 내지 51d)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본체(51b)에는 직사각형의 개구부(3a)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3a)에는 도면중 화살표 A로 나타낸 회전 방향을 따라서, 세로축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액자(10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아용 베드(50)는 실시예 2의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의 성인으로의 성장에 따라, 베드부(52)의 길이를 공지의 기술을 사용하여 바꿀 수 있는 가변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액자(100)는 프레임 본체(51b)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프레임 본체(51a 내지 51d)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에, 제24도 내지 제30도를 참조하여 액자(10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24도는 제23도중 X-X선에서 바라본 단면을 따른 액자(100)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상기 액자(100)는 프레임 본체(51b)의 개구부(3a)의 내주면을 덮도록 설치된 외측 프레임(101)에 세로축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액자(100)는 내부에 사진이나 메시지 카드 등을 끼워 넣는 2장의 투명판(103, 104)을 구비하고 있다.
외측 프레임(101)의 윗변 중앙부와 아랫변의 중앙부에는 원주형상의 1쌍의 회전축(101i)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101i)이 액자(100)의 윗변 중앙부와 아랫변 중앙부에 설치된 1쌍의 베어링부(102i)에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액자(100)가 외측 프레임(101)에 대하여, 세로축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제25도 내지 제27도를 참조하여, 외측 프레임(101)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5도는 외측 프레임(101)의 전체 사시도이고, 제26도는 제25도 중 Z-Z선에서 바라본 단면도, 제27도는 제25도 중 A에서 바라본 부분 단면도이다.
외측 프레임(101)은 제2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본체(51b)의 개구부(3a)를 양측에서 끼워넣도록 이분할되는 제1 외측 프레임(101a)과 제2 외측 프레임(101b)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외측 프레임(101a) 및 제2 외측 프레임(101b)은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1 외측 프레임(101a)과 제2 외측 프레임(101b)은 동시에 개구부(3a)의 내주면을 따르는 가이드 프레임부(101m, 101n)를 구비하고, 또한 개구부(3a)의 내주면에 연속되는 헤드보드의 표면을 따르도록, 가이드 프레임부(101m, 101n)의 한쪽단부에서 가이드 프레임부(101m, 101n)에 대하여 외측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부(101k, 101j)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측 프레임(101a)과 제2 외측 프레임(101b) 각각의 윗변의 중앙부와 아랫변의 중앙부의 플랜지부(101k, 101j)의 반대측에는 반원통형상의 1쌍의 돌기부 구성부재(101h, 101g)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돌기부 구성부재(101h, 101g)를 끼우도록, 가이드 프레임부(101m, 101n)에, 걸어맞춤구멍(101e, 101c)과, 걸어맞춤 클릭(101d, 101f)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외측 프레임(101a)과 제2 외측 프레임(101b)을 프레임 본체(51b)의 개구부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는 제2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측 프레임(101a) 및 제2 외측 프레임(101b)의 각각에 설치된 플랜지부(101k, 101j)에 의해서 개구부의 둘레 테두리부는 끼워넣어지고, 외측 프레임(101) 자체가 개구부(3a)의 둘레 테두리부에 고정되어진다.
또한, 반원통형상의 돌기부 구성부재(101h, 101g)는 제2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중합되어지며 회전축(101i)을 구성한다. 또한, 제1 외측 프레임(101a)과 제2 외측 프레임(101b)의 걸어맞춤 구멍(101c, 101e)과 걸어맞춤 클릭(101d, 101f)은 제2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서로 결합되며, 이것에 의해 제1 외측 프레임(101a)과 제2 외측 프레임(101b)이 결합된다.
다음에, 제28도 내지 제30도를 참조하여, 액자(100)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8도는 액자(100)의 전체 사시도이고, 제29도는 제28도 중 Y-Y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제30도는 제28도 중 A-A선에서 바라본 부분 단면도이다.
액자(100)는 제2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이라든지 메시지 카드를 끼우는 대략 직사각형의 아크릴판 등으로 이루어진 2장의 투명판(103, 10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2장의 투명판(103, 104)은 그 둘레 테두리부가 제1 내측 프레임(102a)과, 제2 내측 프레임(102b)에 의해서 끼워지지된다.
제1 내측 프레임(102a)의 투명판(103, 104)의 둘레 테두리부를 유지하는 위치에는 제2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판(103, 104)의 둘레 테두리부를 수용하는 절결부(102h)가 전체 주위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2 내측 프레임(102b)의 둘레 테두리부에는 제1 내측 프레임(102a)과 함께 투명판(103, 104)을 끼워지지하기 위해서, 제1 내측 프레임(102a)에 수용된 투명판(103, 104)의 둘레 테두리부에 접촉되는 접촉면(102f)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2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측 프레임(102a)과 제2 내측 프레임(102b)을 겹쳤을 때에, 액자(100)의 윗변의 중앙부와 아랫변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베어링(102i)을 구성하기 위한 반원주형상의 홈구멍(102e, 102g)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내측 프레임(102a) 및 제2 내측 프레임(102b)의 네구석에는 제1 내측 프레임(102a)과 제2 내측 프레임(102b)을 겹치기 위한 나사구멍(102c)이 형성되고, 제3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102d)를 사용하여 결합된다.
상술한 구조로 구성된 액자(100)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유아측의 면에 캐릭터 만화 등을 끼워 넣고, 반대측의 면에 부모의 아이에게 대한 생각을 철한 메세지 카드라든지, 아이가 태어날 때의 사진을 끼워넣음으로써, 일상생활에 있어서는 아이는 항상 캐릭터 만화 등을 눈으로 보기 때문에, 아이에게 즐거운 기분을 줄 수 있다.
또한, 때때로 액자(100)를 회전시킴으로써, 아이가 부모의 자기에게 대한 애정을 느낄 수 있다. 특히, 10세 내지 15세의 민감한 시기에 있어서, 이와 같이 하여 때때로 부모의 애정을 느끼게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아이의 마음에 부모의 애정이라든지 부모와 아이의 마음의 정감을 추억시켜, 순진한 마음을 갖도록 성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액자(100)는 외측 프레임(101a, 101b)에 대하여 세로축 회전이 가능하게 하였지만 횡축회전이 가능하게 해도 상관없다.
또한, 제2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프레임의 윗변 폭(L1)보다도 아랫변의 폭(L2)를 길게 만들어서 베드를 쓸 수 없게 되었을 때에도, 베드에서 내측 프레임을 떼어 책상의 위에 자립시켜 놓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도, 유아기에서 이용하고 있는 베드에의 애착 등이 내측 프레임에 구체화되어 그것과 함께 부모의 애정이라든지 부모와의 정감을 재확인하여 풍부한 인간성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4]
이하, 본 발명에 근거한 실시예 4에 대하여, 제31도 내지 제3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 3에서의 유아용 베드에 있어서는 프레임 본체(51b)에 설치된 개구부(3a)에 액자를 끼워넣고, 액자를 세로축 회전시키는 구조로 하였지만, 본 실시예 4에서는 헤드보드(3)에 설치된 홈부에 액자를 끼워 넣어 부착되도록 한 것이다.
우선, 제31도 및 제32도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 4에서의 액자(2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제31도는 액자(200)의 전체 사시도이고, 제32도는 제31도 중 B-B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상기 액자(200)는 제3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에 사진 등을 끼우는 아크릴판 등으로 이루어진 2장의 투명판(203, 204)을 구비하고, 상기 2장의 투명판(203, 204)의 둘레 테두리부를 둘러싸고, 투명판(204)의 외측의 둘레 테두리부를 지지하는 내측 프레임(20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내측 프레임(201)의 투명판(203)측에는 제3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판(204)측으로 힘을 가하여 2장의 투명판(203, 204)을 고정하기 위한 탄성부재(205)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측 프레임(201)의 측변부분에는 헤드보드(3)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용 구멍(20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액자(200)는 제3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보드(3)에 설치된 액자 장착용 홈(7)에 끼워 넣고, 장착용 비스(vis:206)를 사용하여 헤드보드(3)에 고정된다. 또한, 제33도에서는 투명판(203)측이 항상 보이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지만, 제3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판(204)측이 항상 보이도록 설치되어도 상관없다.
상기 구조에 구성된 액자(200)에서도, 예를 들면 항상 볼 수 있는 면쪽에 실시예 3과 같이 캐릭터 만화 등을 끼워 넣고, 반대측에 아이에의 생각을 철한 플레이트라든지 아이가 태어날 때의 사진을 넣는다. 이와 같이 해 둠으로써, 아이는 때때로 액자(200)를 헤드보드(3)로부터 떼었을 때에는 플레이트라든지 사진을 보기 때문에, 실시예 3과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베드를 쓸 수 없게 된 경우에 있어서도, 제3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200)의 아랫변측에 보조 플레이트(207)를 설치함으로써, 액자(200)를 자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이 경우에도 실시예 3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5]
이하, 본 발명에 의거한 실시예 5에 대하여 제36도 내지 제3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 4에서는 액자를 헤드보드에 설치된 액자 장착용 홈에 끼워 넣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 5에서는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본체(51)의 표면에 나사 등을 사용하여 설치하는 액자(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제36도는 액자(300)의 정면도이고, 제37도는 액자(300)를 헤드보드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제26도 중 C-C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제38도는 마찬가지로 액자(300)를 헤드보드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제36도 중 D-D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예 5에서의 액자(300)는 대략 타원형의 프레임(301)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301)의 주위의 내부에는 사이에 사진 등을 끼워넣고, 아크릴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2장의 투명판(303, 304)을 헤드보드(3)측에 고정하기 위한 접촉면(30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액자(300)는 프레임(301)에 설치된 장착용 구멍(305)을 사용하여 비스(306)로써 헤드보드(3)에 고정된다.
상기 구조로 구성되는 액자(300)에서도 상술한 실시예 2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액자를 뗀 상태로 판매하며, 각 가정에서 메시지 카드를 넣은 후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그 때문에, 미리 헤드보드에 액자의 장착에 알맞은 구조를 준비해 두어도 무방하다.
이상, 개시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를 든 것이며,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액자의 형상도 직사각형이라든지 타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형상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3에 예시된 액자(100)에서 외측 프레임(101a, 101b)을 설치하는 구조로 하였지만, 개구부(3a)에 직접 회전축(101i)을 형성하는 구조라도 상관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가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나며,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유아로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성장단계에 맞추어 일생동안 사용하는 것인 베드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5)

  1. 베드부와, 상기 베드부 주위를 둘러싸며, 그 형태를 변경할 수 있어서 상기 베드부의 면적을 유아용 베드에 적합한 최소한의 크기에서 성인용 베드에 적합한 최대한의 크기로 변화시킬 수 있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베드부를 지지하며 바닥면에 대하여 베드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높이 조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높이 조정수단은 실제로 중심부에서 피봇 가능하게 함께 접속된 2개의 다리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중심부에 대하여 역전된 V 형상으로 피봇식으로 구부림으로써 바닥면에서 베드의 높이를 조정하는 다리부를 구비하는 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다수의 프레임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중 적어도 하나를 베드부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도록 유지하는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하는 베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정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높이 조정수단에 대하여 베드부를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스윙 샤프트를 추가로 구비하는 베드.
  4. 제1항에 있어서, 사진이나 시각적 이미지를 저장하며 상기 프레임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액자를 추가로 구비하는 베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는 상기 프레임 본체로부터 떼어내어 수평면에 놓여질 때에 자립가능하게 만드는 스탠드 베이스를 구비하는 베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액자를 분리가능하게 끼워넣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베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는 상기 개구부에서 축선에 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베드.
  8. 제7항에 있어서, 외측 프레임의 윗변의 중앙부와 아랫변의 중앙부에서 축선을 형성하는 한쌍의 돌기부를 갖는 외측 프레임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외측 프레임이 프레임 본체의 개구부의 주변 테두리부에 삽입되고, 상기 액자는 윗변의 중앙부와 아랫변의 중앙부에서 상기 외측 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1쌍의 돌기부를 받아들이는 1쌍의 베어링 오목부를 구비하는 베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레임은, 각기 양측면에서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기 적합하게 형성된 제1 외측 프레임 및 제2 외측 프레임을 구비하며, 이에 의해 상기 프레임 본체를 양측면에서 상기 제1 외측 프레임과 제2 외측 프레임과 결합시키는 베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는 사진 또는 시각적 이미지를 사이에 끼우는 2장의 투명판과, 상기 2장의 투명판의 둘레 테두리부를 수용하는 절결부를 내면측에 구비한 제1 내측 프레임과, 상기 제1 내측 프레임과 함께 상기 2장의 투명판을 끼워 지지하는 제2 내측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베어링 오목부는 상기 제1 내측 프레임과 상기 제2 내측 프레임의 표면에 상호 관련이 있게 형성되어 있는 베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액자를 분리가능하게 끼워넣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베드.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는 사진 또는 시각적 이미지를 사이에 끼우는 2장의 투명판과, 상기 2장의 투명판의 둘레 테두리부를 둘러싸며 상기 둘레 테두리부의 제1 측면을 지지하는 내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둘레 테두리부의 제2 측면을 상기 제1 측면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베드.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의 아랫변의 폭이 윗변의 폭보다도 크게 만들어져 있는 베드.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의 둘레 테두리부의 아랫변측에는 상기 액자를 베드에서 떼어냈을 때에 액자가 자립할 수 있도록 보조 플레이트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을 구비하는 베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정수단은 유아에게 사용하는 베이비 베드로서 적합한 제1의 높이와, 상기 제1의 높이보다 낮으며 상기 유아의 성장에 따라서 베드부의 면적을 확대한 신장베드로서 적합한 제2의 높이로 베드부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져 있고, 상기 베드부의 면적이 베드부의 높이를 더 낮은 제2의 높이로 조정할 때 프레임 본체의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확대되는 베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베드부의 사방을 둘러싸는 네개의 패널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형태는 다리측에 위치하는 패널을 경사지게하는 것에 의해 변경되어 베드부의 면적을 확대하는 베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정수단은 상기 베드부의 높이를 유아에 사용하는 베이비 베드로서 적합한 제1의 높이에서 소자에 적합하며 제1의 높이보다 낮은 제3의 높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 본체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베드부의 높이를 제3의 높이로 조정하여 소파로서 사용할 수 있는 베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의 형태를 변화시켜 베드를 소파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프레임 본체는 머리측과 다리측 및 한쪽 측부에서 베드부를 둘러싸는 3개의 패널을 구비하는 베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베드부의 사방을 둘러싸는 네개의 패널을 가지며, 상기 베드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면에 위치한 제1의 패널을 분리하는 것에 의해 프레임 본체의 형태를 변화시켜 상기 베드를 소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네개의 패널중에서 다리측에 위치하는 패널을 피봇식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에 의해 프레임 본체의 형태를 변화시켜서 상기 베드부의 면적을 다리측으로 확대하여 신장베드로서의 형태를 부여하며, 상기 높이 조정수단은 상기 베드부의 높이를 베이비 베드로 사용하기 적합한 제1의 높이와, 상기 소파로 사용하기 적합한 제2의 높이와, 상기 신장베드로 사용하기 적합한 제3의 높이로 조정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베드.
  20. 베드가 베드부 및 한 쌍의 패널을 갖는 베드 프레임 본체와,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베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베드 프레임 본체를 연결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2개의 스윙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패널은 베드부의 양단부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패널이 거의 수직 위치에서 거의 수평 위치로 피봇식으로 경사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베드 프레임 본체의 면적이 작은 유아의 치수에서 큰 성인용 치수로 조정될 수 있고, 상기 스윙 샤프트는 베드 베이스부의 2개의 양단부 부근에 각각 설치된 회전부에서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회전부에서 패널의 각 하단부에 제공된 지지부로 아래로 연장하여서 패널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베드부의 윗면이 패널을 거의 수직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베드 베이스부의 윗면보다 위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베드.
  21. 베드 프레임 본체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와, 경사 가능한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실질적인 중앙부는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의 각각의 양단부 부근에 설치된 축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패널이 거의 수직위치에서 거의 수평위치로 피봇식으로 경사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베드 프레임 본체의 면적이 작은 유아용 치수에서 큰 성인용 치수로 조정될 수 있으며, 베드는 베이스와 제1 스윙 샤프트 및 제2 스윙 샤프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베드 프레임 본체를 바닥면에서의 조정가능한 높이에서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베이스 부재 및 제2 베이스 부재로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윙 샤프트는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와 제2 베이스 부재 사이로 각각 연장하며 상기 베드 프레임 본체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 제1 및 제2 패널의 하부에 설치된 활주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서 위로 연정하는 단부들과 함께 U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단부들중 한쪽 단부는 제1 베이스 부재의 피봇축부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 다른 쪽 단부는 제2 베이스 부재의 피봇축부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이 거의 수직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윗면 및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윗면을 포함한 평면이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윗면 및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의 윗면을 포함한 평면보다도 위쪽에 위치하게 되는 베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1 연결부재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며 피봇축부가 설치된 제1 베이스바와, 실제로 중앙부에서 절곡됨으로써, 상기 제1 베이스바의 바닥면에서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부에서 피봇식으로 구부릴 수 있으며 상기 제1 베이스바에 장착된 제1 다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2 연결부재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며 피봇축부가 설치된 제2 베이스바와, 실제로 중앙부에서 절곡됨으로써 상기 제2 베이스바의 바닥면에서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부에서 피봇식으로 구부릴 수 있으며 상기 제2 베이스바에 장착된 제2 다리부를 구비하는 베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부와 제2 다리부가 중앙부에서 거의 똑바르게 되고 또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이 거의 수평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2 보조부재가 상기 제1 패널의 아랫면 및 제2 패널의 아랫면에 접촉하게 되는 위치에서 제1 다리부와 제2 다리부 사이로 연장하며 이들 다리를 상호연결하도록 배열된 제2 보조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베드.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이 거의 수평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1 보조부재가 제1 연결부재의 아랫면 및 제2 연결부재의 아랫면에 접촉하게 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베이스바 및 제2 베이스바 사이에서 연장하며 이들 바를 상호연결하도록 배열된 제1 보조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베드.
  25. 베드부와, 상기 베드부를 둘러싸며 형태를 변화시킴으로써 베드부의 면적을 유아용 베드에 적합한 최소 크기에서 성인용 베드에 적합한 최대 크기까지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베드부를 지지하며 바닥면에 대하여 베드부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 조정수단과, 상기 높이 조정수단에 연결되며 베드부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윙 샤프트를 포함하는 베드.
KR1019960707386A 1995-04-21 1996-04-17 베드 KR100227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96847 1995-04-21
JP9684795 1995-04-21
JP95-270052 1995-10-18
JP27005295 1995-10-18
PCT/JP1996/001040 WO1996032870A1 (fr) 1995-04-21 1996-04-17 L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7713B1 true KR100227713B1 (ko) 1999-11-01

Family

ID=26438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7386A KR100227713B1 (ko) 1995-04-21 1996-04-17 베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802634A (ko)
EP (1) EP0766940B1 (ko)
KR (1) KR100227713B1 (ko)
CN (1) CN1152256A (ko)
AU (1) AU5346096A (ko)
CA (1) CA2192829A1 (ko)
DE (1) DE69623090D1 (ko)
WO (1) WO19960328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30579B1 (de) * 1997-11-10 2002-08-28 Detlef Künkes Kinderbett
US6026528A (en) * 1998-07-22 2000-02-22 The First Years Inc. Frame
WO2000042884A1 (en) 1999-01-22 2000-07-27 Hill-Rom Services, Inc. Convertible stretcher
US6578211B2 (en) * 2001-04-20 2003-06-17 Arms Research Concepts, Inc. Combination co-sleeper and changing table
NZ507590A (en) * 2000-10-17 2002-06-28 Kraka Design Ltd A cot with a flexible raisable side
US6684420B2 (en) 2001-04-27 2004-02-03 Hill-Rom Services, Inc. Crib apparatus
US6701547B2 (en) * 2001-12-12 2004-03-09 Ben M. Hsia Foldable frame for bassinet, playyard, pen, stroller, and the like
US6877173B2 (en) * 2002-01-09 2005-04-12 Arms Reach Concepts, Inc. Multi-purpose convertible play yard
US7406725B2 (en) * 2003-05-28 2008-08-05 Arm's Reach Concepts, Inc. Bedside bassinettes
US7527585B2 (en) * 2004-07-21 2009-05-05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s of making reclosable packages for vacuum, pressure and/or liquid containment
US7281284B2 (en) * 2005-10-31 2007-10-16 Sims Jr Dewey M Variable motion rocking bed
NZ592002A (en) * 2008-11-11 2012-07-27 Starwove Pty Ltd A crib where the mattress base and three sides move vertically and the fourth side remains stationary
US8112835B2 (en) * 2009-03-16 2012-02-14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Bassinet with height adjustable wall
US8856982B1 (en) * 2010-07-13 2014-10-14 Christopher George Kalivas Motion bed
GB2498488A (en) * 2010-11-11 2013-07-17 Mattel Inc Infant support structure with integrated electronic system
CN102525176A (zh) * 2010-12-15 2012-07-04 郭莉 宽度可调式木制床架
US20120167299A1 (en) * 2011-01-05 2012-07-05 Peter Tarquinio Crib frame with lifting device
US9351588B2 (en) 2012-11-29 2016-05-31 Kids Ii, Inc. Child support unit for a play yard
US9861210B2 (en) 2015-09-09 2018-01-09 Kids Ii, Inc. Dual arm child motion device
US9648961B1 (en) * 2015-02-16 2017-05-16 Angela Laverne Lovely Translocatable child care changing station
US10383455B2 (en) 2015-03-30 2019-08-20 Kids Ii, Inc. Depth-adjustable bassinet
US10477981B2 (en) 2015-04-25 2019-11-19 Kids2, Inc. Depth-adjustable fabric enclosure
KR102532823B1 (ko) * 2016-05-19 2023-05-1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스크 도수치료기
JP6711707B2 (ja) * 2016-06-24 2020-06-17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寝台構成部材および寝台装置
CN106263817B (zh) * 2016-09-14 2023-06-13 兔迪芙如迪直销有限公司 便携式婴儿床
USD839625S1 (en) 2017-09-12 2019-02-05 Kids Ii, Inc. Bassinet
CN109965601A (zh) * 2019-03-22 2019-07-05 广东工业大学 一种多功能儿童床
DE102020111967A1 (de) * 2019-05-07 2020-11-12 Wonderland Switzerland Ag Rahmen für babyscha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0765A (ko) * 1974-02-27 1975-11-12
JPS6065064U (ja) * 1983-10-12 1985-05-08 フランスベッド株式会社 ベツド装置
JPS6173271A (ja) * 1984-09-17 1986-04-15 Hitachi Ltd デイスク装置のデイスク偏心吸収機構
JPH0190461U (ko) * 1987-12-07 1989-06-14
JPH067577U (ja) * 1992-02-24 1994-02-01 株式会社日興 輸送衣装ケース用ハンガーバー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495A (en) * 1901-03-12 1903-11-10 Timothy Hanley Combined crib, sofa, and lounge.
US2698442A (en) * 1949-11-09 1955-01-04 Simmons Co Variable height bed
US2932344A (en) * 1958-03-04 1960-04-12 Murphy Door Bed Company Inc Adjustable chair
JPS5124444Y1 (ko) * 1970-06-24 1976-06-22
IT949296B (it) * 1972-01-27 1973-06-11 Regutti Spa Flli Lettino per bambini con rete porta materasso a posizione regolabile in altezza
JPS50140765U (ko) * 1974-05-09 1975-11-19
US3900907A (en) * 1974-06-24 1975-08-26 Mariton Limited Baby crib
JPS5124444A (ja) * 1974-08-23 1976-02-27 Sumitomo Shipbuild Machinery Kafukaboshisochi
JPS58185966A (ja) * 1982-04-23 1983-10-29 Isuzu Motors Ltd 蒸発燃料損失防止装置
JPS58185966U (ja) * 1982-06-04 1983-12-10 小川 宏
JPS6065064A (ja) * 1983-09-20 1985-04-13 Mitsubishi Petrochem Co Ltd 高導電性カ−ボンブラツク配合組成物
JPS6173271U (ko) * 1984-10-18 1986-05-17
JPS6430049U (ko) * 1987-08-19 1989-02-23
JPS6490461A (en) * 1987-09-30 1989-04-06 Minolta Camera Kk Method for driving image forming device
JPH01112768A (ja) * 1987-10-27 1989-05-01 Seiko Epson Corp 高分子ラジカル素子
JPH0437493Y2 (ko) * 1988-01-22 1992-09-03
FR2642962A1 (fr) * 1989-01-23 1990-08-17 Doriant Jean Claude Dispositif servant a reduire la hauteur d'un lit orthopedique par la tete et le pied de ce lit
JP2583287Y2 (ja) * 1992-07-08 1998-10-22 株式会社キンタロー ベビーベッド
JP2729746B2 (ja) * 1993-04-05 1998-03-18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ロータリ式電気かみそり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0765A (ko) * 1974-02-27 1975-11-12
JPS6065064U (ja) * 1983-10-12 1985-05-08 フランスベッド株式会社 ベツド装置
JPS6173271A (ja) * 1984-09-17 1986-04-15 Hitachi Ltd デイスク装置のデイスク偏心吸収機構
JPH0190461U (ko) * 1987-12-07 1989-06-14
JPH067577U (ja) * 1992-02-24 1994-02-01 株式会社日興 輸送衣装ケース用ハンガー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66940A1 (en) 1997-04-09
EP0766940A4 (en) 1998-08-12
AU5346096A (en) 1996-11-07
EP0766940B1 (en) 2002-08-21
US5802634A (en) 1998-09-08
CN1152256A (zh) 1997-06-18
CA2192829A1 (en) 1996-10-24
WO1996032870A1 (fr) 1996-10-24
DE69623090D1 (de) 200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7713B1 (ko) 베드
US6145926A (en) Computer chair device
US4972532A (en) Infant carrier
US20080209639A1 (en) Formable sleep positioner along with method for adjusting same
US4074374A (en) Reading bed
JP5096361B2 (ja) インキュベータ
KR20210009020A (ko) 기능성 하이 체어
KR102273164B1 (ko) 높이 조절기능을 가지는 베개
KR101062371B1 (ko) 침대 겸용 의자
JPS63125213A (ja) ベツド
CN221286133U (en) Folding nursing bed
CN214317521U (zh) 一种候诊椅
KR20050078204A (ko) 병원용 보호자 침대
JPH08299138A (ja) 高さ可変式安眠枕
KR200301487Y1 (ko) 누워서 사용하는 독서대
JP3723307B2 (ja) ベッド
KR200258330Y1 (ko) 수강용 의자
JP6945124B2 (ja)
KR200252197Y1 (ko) 흔들리는 침대
JPH10277102A (ja) 医療用枕
CN109788854B (zh) 用于床垫的折叠结构
KR200347622Y1 (ko) 병원용 보호자 침대
JPH07177956A (ja) 安眠用枕
JP3087016U (ja) 乳児用椅子
JPH02872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