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034B1 - 2채널 영상효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2채널 영상효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034B1
KR100227034B1 KR1019960046220A KR19960046220A KR100227034B1 KR 100227034 B1 KR100227034 B1 KR 100227034B1 KR 1019960046220 A KR1019960046220 A KR 1019960046220A KR 19960046220 A KR19960046220 A KR 19960046220A KR 100227034 B1 KR100227034 B1 KR 100227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
key
signal
effec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6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432A (ko
Inventor
박근수
이경국
이근식
변혜원
이범구
Original Assignee
박권상
한국방송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권상, 한국방송공사 filed Critical 박권상
Priority to KR1019960046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034B1/ko
Publication of KR19980027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0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173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elementary logic circuits as components
    • H03K19/1733Controllable logic circuits
    • H03K19/1737Controllable logic circuits using 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8Signal distribution or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입력필터와 트레일 효과기능이 있는 2채널 영상효과 처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등을 통하여 얻어진 영상화면의 효과처리에 있어서 2개의 입력 영상화면에 독립적인 효과처리기능과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변 입력필터 기능과 효과화면 이동시 궤적을 남기는 다양한 트레일 효과를 처리하는 기능이 부가되도록 하여 한 장비내에서 2개의 영상신호를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1개의 영상신호에 독립적인 2단계의 영상신호를 처리시켜 다양하게 효과를 처리할 수 있으며, 화면 축소시 발생되는 떨림 현상을 효율적으로 없앨 수 있어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효과화면의 이동시에 다양한 트레일효과를 처리해 줄 수 있어 고품질의 방송화면을 제작해 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2채널 영상효과 처리장치
제1도는 종래 영상효과 처리장치의 블럭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 장치의 전체 블럭 구성도.
제3도의 (a)-(c)는 본 발명 중 가변 입력필터의 개념도.
제4도 본 발명 장치 중 가변입력 필터부의 일 실시 예시도.
제5도 본 발명 장치 중 가변입력 필터부의 다른 실시 예시도.
제6도 제5도 중 메모리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출력상태를 나타낸 도표.
제7도 본 발명 장치 중 트레일 효과 처리부의 기본도.
제8도 트레일 효과 처리부 중 트레일 컨트롤 신호 발생부 및 트레일 키 처리부의 상세도.
제9도 트레일 모드별 동작표.
제10도 본 발명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 하기 위한 기본 흐름도.
제11도 제10도 중 트레일 키 발생 및 저장서브루틴에 대한 상세 흐름도.
제12도 제10도 중 트레일 영상데이터 저장서브루틴에 대한 상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7 : 제1 및 제2 디지탈 디코더 2 : 마이컴
3, 8 : 제1 및 제2 가변입력 필터부 4, 10 : 제1 및 제2 효과 처리부
5, 9 : 제1 및 제2 입력 효과부 6 : 트레일 효과 처리부
11 : 채널 혼합기 12 : 멀티플렉서
13 : 출력효과부 14 : 디지탈 인코더
41 : 소스메모리 42 : 인터폴레이터
43 : 효과어드레스 발생부 44 : 타겟메모리
300 : 수직필터부
301, 302 : 제1 및 제2 1H 지연회로
303-305, 310-312 : 제1 내지 제6 (A+B)/2 평균기
306, 313 : 멀티플렉서 307 : 수평필터부
308, 309 : 제1 및 제2 1D 지연회로 314 : 제어신호 발생부
401 : 고속메모리 402 : 메모리제어부
403 : 데이터 처리부 601 : 트레일 컨트롤신호 발생부
602 : 트레일 키 처리부 603 : 버퍼 및 래치부
604 : 트레일 영상데이터 메모리부 702 : 래치
703 : 연산기 704 : 제어신호 발생부
705 : 랜덤신호 혼합기 706 : 랜덤신호 발생부
707 : 트레일 키 메모리 708 : 어드레스 발생부
709 : 트레일 키 데이터 래치
본 발명은 가변 입력필터와 트레일 효과기능이 있는 2채널 영상효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는, 카메라 등을 통하여 얻어진 영상화면의 효과처리에 있어서 2개의 입력 영상화면에 독립적인 효과처리기능과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변 입력필터 기능과 효과화면 이동시 궤적을 남기는 다양한 트레일 효과를 처리하는 기능이 있는 2채널 영상효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효과처리 장치는 주로 방송국에서 방송제작에 있어 화면 전환시 소정의 화면을 여러 가지 크기와 모양으로 변환시켜 원하는 영상화면을 얻는데 사용된다.
2개의 영상화면에 독립적인 효과를 처리하여 합성하기 위해서는 한 장비내에 독립적인 2개의 영상효과 처리부와 영상합성부를 필요로 하며, 영상효과처리시 화면 축소의 경우 앨리어싱이라 불리우는 떨림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없애기 위하여는 축소율에 따른 가변 입력필터링 처리를 하여야 한다.
또한, 효과화면의 이동시 여러가지 모양의 다양한 트레일 효과처리를 필요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영상효과 처리장치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마이컴(106)의 제어를 받아 입력 컴포지트 영상신호를 R, G, B 신호로 변환하는 디코더부(101)와; 상기 디코더부(101)에 의해 변환된 R, G, B 신호를 앤티 앨리어싱 처리하는 아날로그형 입력 필터부(102)와; 상기 입력 필터부(102)에 의해 앤티 앨리어싱 처리된 R, G, B 신호에 효과를 적용시켜 주는 효과 처리부(103)와; 상기 효과 처리부(103)에서 출력되는 화면에 부가적인 효과를 처리하여 주는 출력 처리부(104)와; R, G, B 신호를 컴포지트신호로 변환하여 주는 인코더부(105)와;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마이컴(106)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영상효과 처리장치는 한 장비에서 1개의 영상신호만 효과처리 할 수 있을 뿐, 2개의 영상신호를 효과처리할 수 없으므로, 결국 2개의 영상신호를 효과처리하기 위해서는 독립적인 2대의 효과처리기와 별도의 영상합성기를 사용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입력 필터로서 아날로그 필터를 사용하게 되므로 축소율에 따라 가변할 수 없거나, 여러 단의 메모리를 사용하여 디지탈 필터링을 하므로 회로가 복잡하여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됨은 물론 고장율이 높으며, 출력 처리부에서는 단순한 트레일 효과처리만 가능하여 유지모드와 순차 감소모드 및 랜덤모드 등 여러가지 다양한 모드의 트레일효과를 처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장비내에 2개의 영상신호를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1개의 영상신호에 독립적인 2단계의 영상신호를 처리시켜 다양하게 효과를 처리할 수 있는 2채널 영상효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개의 1H 지연회로나 고속메모리를 이용한 가변필터부와, 다양한 트레일효과를 처리해 줄 수 있는 트레일 효과 처리부를 개재하여 화면 축소시 발생되는 앨리어싱 현상(즉, 떨림 현상)을 효율적으로 없앨 수 있음과 동시에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효과화면의 이동시에 다양한 트레일효과를 처리해 줄 수 있는 2채널 영상효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 장치의 전체적인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마이컴(2)의 제어를 받아 채널 A로 입력되는 컴포지트 영상신호 및 키신호를 R, G, B, K신호로 변환하는 제1 디지탈 디코더(1)와; 상기 제1 디지탈 디코더(1)에 의해 변환된 R, G, B, K신호를 축소율에 따라 앤티 앨리어싱 처리하는 제1 가변입력 필터부(3)와; 상기 제1 가변입력 필터부(3)에 의해 앤티 앨리어싱 처리된 R, G, B, K 입력신호의 크랍(crop) 및 보더(boarder) 효과를 처리하는 제1 입력 효과부(5)와; 상기 제1 입력 효과부(5)로 부터 입력되는 디지탈 영상데이터를 소스메모리(41)에 저장하고, 이어서 마이컴(2)에 의하여 제어를 받는 효과어드레스 발생부(43)에서 발생되는 소스메모리 어드레스에 의하여 소스메모리(41)내의 영상데이타를 읽어 내어 인터폴레이터(interpolator)(42)를 거쳐 마이컴(2)의 제어를 받는 효과어드레스 발생부(43)에서 발생되는 타켓메모리 어드레스에 의하여 타겟메모리(44)에 이를 저장하여 영상효과처리를 수행하는 제1 효과 처리부(4)와; 마이컴(2)의 제어를 받아 채널 B로 입력되는 컴포지트 영상신호 및 키신호를 R, G, B, K신호로 변환하는 제2 디지탈 디코더(7)와; 상기 제2 디지탈 디코더(7)에 의해 변환된 R, G, B, K신호를 축소율에 따라 앤티 앨리어싱 처리하는 제2 가변입력 필터부(8)와; 상기 제2 가변입력 필터부(8)에 의해 앤티 앨리어싱 처리된 R, G, B, K 입력신호의 크랍 및 보더 효과를 처리하는 제2 입력 효과부(9)와; 상기 제1 효과 처리부(4)와 제2 입력 효과부(9)에서 각각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제2 효과 처리부(10)로 입력시켜 주는 멀티플렉서(12)와; 상기 제1 효과 처리부(4)와 같이 소스메모리(41), 마이컴(2)에 의하여 제어를 받는 효과어드레스 발생부(43), 인터폴레이터(42) 및 타겟메모리(44)를 구비하고 채널 B로 입력된 영상신호를 효과 처리하거나, 제1 효과 처리부(4)를 통해 1차적으로 효과 처리된 채널 A의 영상신호를 재차 효과 처리하는 제2 효과 처리부(10)와; 채널 A에서 효과 처리된 영상신호와 채널 B에서 효과 처리된 영상신호를 마이컴(2)에서 제어하는대로 혼합하는 채널 혼합기(11)와; 상기 채널 혼합기(11)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에서 이동시 궤적을 남기는 다양한 트레일처리를 수행하는 트레일 효과처리부(6)와; 상기 트레일 효과처리부(6)에 의해 트레일 처리된 영상신호에 모자이크(mosaik) 효과 및 포스터라이제어션(posterization)효과 처리하여 주는 출력 효과부(13)와; 상기 출력 효과부(13)에서 출력되는 디지탈의 R, G, B 영상신호 및 키신호를 아날로그 컴포지트신호 및 키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탈 인코더(14)로 구성된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제4도는 본 발명 장치 중 제1 및 제2 가변입력 필터부(3, 8)의 상세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수직필터부(300)와 수평필터부(307) 및 마이컴(2)의 제어를 받아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신호 발생부(314)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필터부(300)는, 제어신호 발생부(314)의 제어를 받아 입력되는 영상데이타를 1H 지연시켜 주는 제1 1H 지연회로(301)와;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314)의 제어를 받아 제1 1H 지연회로(301)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타를 다시 1H 지연시켜 주는 제2 1H 지연회로(302)와; 지연회로를 통과하지 않은 신호(H1)와 제1 1H 지연회로(301)를 통과한 신호(H2)의 평균을 구하는 제1 (A+B)/2 평균기(303)와; 상기 제1 및 제2 1H 지연회로(301, 302)을 통과한 신호(H2, H3)의 평균을 구하는 제2 (A+B)/2 평균기(304)와; 상기 제1 및 제2 (A+B)/2 평균기(303, 304)의 출력신호의 평균을 구하는 제3 (A+B)/2 평균기(305)와; 상기 제1 1H 지연회로(301)를 통해 1H 지연된 신호(H2)와, 상기 제1 (A+B)/2 평균기(303)를 통해 얻어진 평균값 및 상기 제3 (A+B)/2 평균기(305)를 통해 얻어진 평균값 중 어느 하나를 마이컴(2)의 제어를 받아 수평필터부(307)로 선택하여 출력시켜 주는 멀티플렉서(30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평필터부(307)는, 상기 수직필터부(300)로 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타를 1D 지연시켜 주는 제1 1D 지연회로(308)와; 상기 제1 1D 지연회로(308)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타를 다시 1D 지연시켜 주는 제2 1D 지연회로(309)와; 상기 수직필터부(300)로 부터 입력되어 지연회로를 통과하지 않은 신호와 제1 1D 지연회로(308)를 통과한 신호의 평균을 구하는 제4 (A+B)/2 평균기(310)와; 상기 제1 및 제2 1D 지연회로(308, 309)를 통과한 신호의 평균을 구하는 제5 (A+B)/2 평균기(311)와; 상기 제4 및 제5 (A+B)/2 평균기(310, 311)의 출력신호의 평균을 구하는 제6 (A+B)/2 평균기(312)와; 상기 제1 1D 지연회로(308)를 통해 1D 지연된 신호와, 상기 제4 (A+B)/2 평균기(310)를 통해 얻어진 평균값 및 상기 제6 (A+B)/2 평균기(312)를 통해 얻어진 평균값 중 어느 하나를 마이컴(2)의 제어를 받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3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가변입력 필터부(3, 8)를 구성함에 있어서, 또 다른 방법이 있는데, 이는 제4도로 도시한 가변입력 필터부에서 사용된 2개의 1H 지연회로와 제어신호 발생부 대신을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고속메모리(401)와 메모리제어부(402) 및 데이터 처리부(403)를 사용한 것이다.
즉, 2개의 1H 지연회로와 제어신호 발생부 대신 메모리제어부(402)에서 출력되는 한 클럭 주기동안 2H 지연된 영상데이터와 1H 지연된 영상데이터를 읽어들어 기억하는 고속메모리(401)와; 상기 고속메모리(401)에 소정주기의 클럭펄스를 발생시키는 메모리제어부(402)와; 1H 지연된 데이터(H2)와, 2H 지연된 데이터(H3)로 분리한 신호와 지연회로를 통과하지 않은 신호(H1)를 제1 및 제2 (A+B)/2 평균기(303, 304)와 멀티플렉서(306)로 출력시켜 주는 데이타처리부(403)를 개재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제7도는 본 발명 장치중 트레일 효과 처리부(6)에 대한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채널 혼합기(11)를 통해 입력된 키신호로 부터 각종 트레일 키 처리용 제어신호 및 트레일 영상데이터 메모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트레일 컨트롤신호 발생부(601)와; 상기 트레일 컨트롤신호 발생부(601)에서 출력되는 트레일 키를 처리하여 키신호를 출력하는 트레일 키 처리부(602)와; 상기 채널 혼합기(11)를 통해 입력되는 R, G, B 영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버퍼 및 래치부(603)와; 상기 트레일 컨트롤신호 발생부(601)로 부터 출력되는 트레일 키에 의하여 제어되어 버퍼 및 래치부(603)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트레일 영상데이터 메모리부(604)로 구성되어 있다.
제8도는 상기 트레일 컨트롤 신호발생부(601)와 트레일 키 처리부(602)에 대한 상세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채널 혼합기(11)로 부터 입력되는 키 신호를 안정화시켜 주는 래치(702)와; 상기 래치(702)를 통하여 입력된 키신호와 트레일 키 메모리(707)에서 읽혀져 래치(709)를 거친 1필드 직전의 키신호 및 제어신호발생부(704)에서 발생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키신호의 값을 계산하는 연산기(703)와; 마이컴(2)의 제어값과 1필드 직전의 키 값에 의하여 상기 연산기(703), 트레일 키 메모리(707), 어드레스 발생부(708), 트레일 키 데이터 래치(709), 랜덤신호 발생부(706)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704)와; 랜덤 트레일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랜덤신호 발생부(706)와; 상기 연산기(703)에서 계산된 키 값에 랜덤신호를 혼합하는 랜덤신호 혼합기(705)와; 1필드 분의 키 데이터를 저장하는 트레일 키 메모리(707); 상기 트레일 키 메모리(707)의 어드레스를 생성해내는 어드레스 발생부(708)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플로우챠트는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일모드에 따라 입력키와 트레일 키 메모리에 의하여 트레일 효과를 발생하여 저장하는 트레일 키 발생 및 저장 서부르틴과; 트레일모드 및 입력키에 따라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트레일 영상데이터 저장 서부루틴으로 이루어진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트레일 키 발생 및 저장 서부루틴은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일 키 메모리(707)를 초기화하고 키 메모리에서 1필드 전의 키 데이터(KA)를 읽어 내고 래치(702)로 부터 입력되는 키(KB)를 읽어낸 다음 사용자가 지정한 모드가 트레일 모드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트레일모드가 아니면 래치(702)로 부터 입력되는 키(KB)를 그대로 출력하여 키 메모리에 저장하고, 트레일모드이면 순차감소모드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순차감소모드가 아니면 트레일 유지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입력되는 키(KB)가 0인지 판단하여 0이면 키메모리에서 읽어낸 키(KA)를 그대로 출력하여 키메모리에 저장하고 입력되는 키(KB)가 0이 아니면 입력되는 키(KB)를 출력하여 키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순차감소모드이면 랜덤모드로 동작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랜덤모드가 아니면 순차감소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입력되는 키(KB)가 0인지를 판단하여 0이 아니면 입력되는 키(KB)를 그대로 출력하여 키메모리에 저장하고 입력되는 키(KB)가 0이면 키메모리에서 읽어낸 1필드전의 키(KA)가 0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1필드전의 키(KA)가 0이면 KA=KB=0이므로 KB를 그대로 출력하여 키 메모리에 저장하고 1필드전의 키(KA)가 0이 아니면 KA의 값에서 1을 빼서 출력하여 키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가 랜덤모드이면 입력되는 키(KB)가 0인지를 판단하여 0이 아니면 입력되는 키(KB)를 그대로 출력하여 키메모리에 저장하고 입력되는 키(KB)가 0이면 키메모리에서 읽어낸 1필드전의 키(KA)가 0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1필드전의 키(KA)가 0이면 KA=KB=0이므로 KB를 그대로 출력하여 키 메모리에 저장하고 1필드전의 키(KA)가 0이 아니면 KA의 값에 랜덤신호를 혼합하여 키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의 과정들이 완료되면 마지막 어드레스인지를 판단하여 마지막어드레스가 아니면 어드레스를 증가하여 다시 키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는 것을 계속 진행하고 마지막 어드레스이면 동작을 종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트레일 영상데이터 저장 서부루틴은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일 영상데이터 메모리 어드레스를 초기화하고 래치(702)로 부터 입력되는 키(KB)를 읽어 내어 트레일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판단한 결과 트레일 모드가 아니면 무조건 비디오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되, 트레일모드이면 입력되는 키(KB)가 0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입력되는 키(KB)가 0이면 저장하지 않고 0이 아니면 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마지막 어드레스인지를 판단하여 마지막이 아니면 어드레스를 증가하여 계속 진행하고 마지막이면 종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영상효과 처리장치에서 채널 A로 입력된 컴포지트 영상신호 및 키신호는 제1 디지털 디코더(1)를 통하여 R, G, B, K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다음, 축소율에 따른 제1 가변입력 필터부(3)를 거쳐 앤티앨리어싱처리를 한 후 제1 입력효과부(5)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입력효과부(5)에서는 입력신호의 크랍(crop) 및 보더(boarder) 효과를 처리하여 제1 효과처리부(4)로 전달하게 되므로 상기 제1 효과처리부(4)내의 소스메모리(41)와 타겟메모리(44)가 있어 들어오는 디지탈 영상데이터를 소스메모리(41)에 저장하고 마이컴(2)에 의하여 제어되는 효과어드레스 발생부(43)에서 발생되는 소스메모리 어드레스에 의하여 소스메모리(41)에서 읽어 내어 인터폴레이터(42)를 거쳐 마이컴(2)에 의하여 제어되는 효과어드레스 발생부(43)에서 발생되는 타겟메모리 어드레스에 의하여 타겟메모리(44)에 저장하여 영상효과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같이 효과처리된 영상데이터는 채널혼합기(11)를 거쳐 트레일 효과처리부(6)로 입력되어지거나, 채널 B의 제2 효과처리부(10) 전단에 설치된 멀티플렉서(12)(즉, MUX)로 입력되어진다.
한편, 채널 B로 입력된 컴포지트 영상신호 및 키신호는 동일한 방법으로 별도의 제2 디지털 디코더(7)와 제2 가변입력 필터부(8) 및 제2 입력효과부(9)를 거쳐 제2 효과처리부(10) 전단의 멀티플렉서(12)로 입력되어진다.
이때, 채널 B의 제2 효과처리부(10)는 채널 B로 입력된 영상신호를 처리하거나 채널 A에서 효과 처리된 영상신호를 다시 효과처리를 하는 2단 효과처리 기능을 갖게 된다.
또, 상기 채널 혼합기(11)에서는 채널 A에서 효과 처리된 영상신호와 채널 B에서 효과 처리된 영상신호를 마이컴(2)에서 제어하는대로 혼합하여 트레일 효과 처리부(6)로 입력시켜 준다.
따라서, 상기 트레일 효과 처리부(6)에서는 이동시 궤적을 남기는 다양한 트레일 처리를 하여 출력효과부(13)로 전달하게 되므로 상기 출력효과부(13)에서는 모자이크(mosaik) 효과 및 포스터라이제어션(posterization)효과 처리를 하여 디지탈 인코더(14)로 전달하게 됨에 따라, 상기 디지탈 인코더(14)에서는 디지탈 R, G, B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컴포지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3도의 (a)-(c)는 상기 제1 및 제2 가변입력 필터부(3, 8)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a)는 화면의 수직, 수평축소율이 0.6이상일 때 필터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에 중심 픽셀이 주변 픽셀에서 영향을 받는 정도를 나타내며, (b)는 화면의 수직, 수평축소율이 0.4이상 0.6미만의 경우 주변 픽셀의 영향도를 나타내는 표이며, (c)는 화면의 수직, 수평축소율이 0.4미만일 경우 주변 픽셀의 영향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즉, 축소율이 적을때는 주변픽셀의 영향을 적게 받도록하여 세밀한 부분을 나타내도록 하고 축소율이 클 때는 넓은 범위의 주변픽셀의 영향을 받도록하여 고주파 성분을 줄여서 축소시에 앨리어싱효과가 적게 나타나도록 하여 화면이 안정되어 보이도록 한다.
따라서, 축소율에 따라 가변적으로 입력신호를 필터링하여야 하며, (c)의 경우 주변의 8픽셀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1H 지연회로가 2개, 1D 지연회로가 2개 필요하게 된다.
제4도는 상기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제1 및 제2 가변입력 필터부(3, 8)의 상세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먼저 수직필터부(300)를 살펴보면 입력신호가 지연회로를 통과하지 않은 신호(H1), 제1 1H 지연회로(301)를 통과한 신호(H2), 제2 1H 지연회로(302) 까지 2단을 통과한 신호(H3)가 발생되며, 제어신호 발생부(314)는 상기 제1 및 제2 1H 지연회로(301, 302)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에 있어서 지연회로를 통과하지 않은 신호(H1), 제1 1H 지연회로(301)를 통과한 신호(H2) 및 제2 1H 지연회로(302) 까지 통과한 신호(H3)들은 제1 내지 제3 (A+B)/2 평균기(303, 304, 305)를 통과하여 멀티플렉서(306)로 입력되어지는데, 이때 상기 멀티플렉서(306)로 입력된 신호는 평균기를 통과하지 않은 신호, 제1 (A+B)/2 평균기(303)만 통과한 신호, 제1 내지 제3 (A+B)/2 평균기(303, 304, 305)를 통과한 신호로서 각각 수직 축소율 0.6이상, 0.6미만 0.4이상, 0.4미만에 사용되는 신호이며, 축소율에 따라 마이컴(315)에서 선택하여 수평필터부(307)로 전달시켜 준다.
또한, 상기 수평필터부(307)는 수직필터부(300)와 그 구조가 똑같으나, 2개의 1H 지연부 대신 1D 지연부가 지연회로 제어부는 없다.
이와같은 수평필터부(307)를 살펴보면, 먼저 입력신호가 지연회로를 통과하지 않은 신호, 제1 1D 지연회로(308)를 통과한 신호, 제2 1D 지연회로(309)까지 통과한 신호가 발생되며, 이 신호들은 제4 내지 제6 (A+B)/2 평균기(310, 311, 312)를 통과하여 선택기 즉, 멀티플렉서(313)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멀티플렉서(313)로 전달된 신호는 평균기들을 통과하지 않은 신호, 제4 (A+B)/2 평균기(310)만 통과한 신호, 제4 내지 제6 (A+B)/2 평균기(310, 311, 312)를 모두 통과한 신호로서 각각 수평 축소율 0.6이상, 0.6미만 0.4이상, 0.4미만에 사용되는 신호이며, 축소율에 따라 마이컴(315)에서 선택하여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수직 축소율과 수평축소율에 따라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2 가변입력 필터부(3, 8)는 또 다른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제4도의 가변입력 필터부 등의 구성과 같은 기능을 수행토록 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1H 지연회로(301, 302)와 제어신호 발생부(314) 대신 1개의 고속메모리(401)와 메모리제어부(402) 및 데이터 처리부(403)를 개재하는 방법으로 그 구성회로를 변경하여 메모리의 속도에 따라 2개 이상의 1H 지연회로도 대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와같은 방식을 채택하면 전술한 구성 보다 확장성이 용이하게 된다.
이와같이 고속메모리를 이용한 가변입력 필터부의 구성은 제5도와 같은데, 상기 메모리제어부(402)에서 한클럭 주기동안 2H 지연된 데이터와 1H 지연된 데이터를 읽고, 입력되는 데이터를 메모리(401)에 저장하는 동작을 제어하며, 데이터 처리부(403)에서는 1H 지연된 데이터(H2), 2H 지연된 데이터(H3)로 분리한 신호와, 지연회로를 통과하지 않은 신호(H1)를 제1 내지 제3 (A+B)/2 평균기(303, 304, 305)와 멀티플렉서(306)로 보내도록 한다.
상기 메모리제어부(402)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살펴보면, 한 클럭 주기동안 2H 지연된 데이터와, 1H 지연된 데이터를 읽고 현재 입력된 데이터를 써 넣어야 하므로, 예를들어 1H가 858개의 픽셀로 구성되어 있을때 어드레스는 0에서 1716까지 반복하여 발생되며 현재 어드레스 0의 데이터를 읽으면 그 내용은 1716픽셀(2H)전 데이터가 되고 현재의 데이터로 써넣는다.
또, 어드레스 858의 데이터는 858픽셀(1H)전 데이터를 읽게 된다.
다음 클럭에서는 어드레스 1의 데이터를 읽고 (2H전의 데이터) 현재의 데이터를 써넣고 어드레스 859의 데이터(1H전의 데이터) 읽는 방식으로 1H 지연 데이터와 2H 지연 데이터를 만들어 낸다.
한편, 트레일 효과처리부(6)는 고속 메모리를 사용한 트레일 메모리와 관련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효과화면 이동시 궤적이 지워지지 않고 남아 있는 유지모드, 시간적으로 오래된 부분 부터 순차적으로 지워지는 순차감소모드와, 랜덤하게 없어지는 랜덤모드 등 3가지 방법으로 동작된다.
이와같은 트레일 효과 처리부(6)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된 키신호로 부터 각종 트레일 키 처리부 제어신호 및 트레일 영상데이터 메모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트레일 컨트롤 신호 발생부(601)와, 트레일 키를 처리하는 트레일 키 처리부(602)와, R, G, B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기 위한 버퍼 및 래치부(603)와, 트레일 키에 의하여 제어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트레일 영상데이터 메모리부(60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트레일 컨트롤 신호발생부(601)와 트레일 키 처리부(602)를 상세히 나타내면 제8도와 같다.
먼저, 래치(702)는 입력되는 키 신호를 안정화시켜 연산기(703)로 출력시켜 주므로, 상기 연산기(703)는 래치를 통하여 입력된 키신호(KB)와 트레일 키 메모리(707)에서 읽혀져 래치(709)를 거친 1필드 직전의 키(KA)를 입력받아 제어신호 발생부(704)에서 발생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어를 받아 키신호의 값을 계산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704)는 마이컴(2)의 제어값과 1필드 직전의 키 값에 의하여 연산기 (703)와, 트레일 키 메모리(707) 및 어드레스 발생부(708)와, 트레일 키 데이터 래치(709), 랜덤신호 발생부(70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704)의 제어를 받는 랜덤신호 발생부(706)는 랜덤트레일을 위한 신호를 랜덤신호 혼합기(705)에 발생시켜 주므로 상기 랜덤신호 혼합기(705)에서는 상기 연산기(703)에서 계산된 키 값에 랜덤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게 된다.
또, 트레일 키 메모리(707)는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704)의 제어를 받아 1필드 분의 키 데이터를 저장하게 되며, 어드레스 발생부(708)는 상기 트레일 키 메모리(707)에 소정의 어드레스를 발생시켜 주게 된다.
한편, 상기 트레일 효과 처리부(6)에서 수행되는 트레일 모드별 동작상태를 제9도로 나타낸 표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트레일모드가 0으로 되어 있으면 트레일효과를 처리하지 않는 것이고, 트레일모드가 1일 때 감소모드가 0이면 유지모드로 동작하므로 입력키 값이 0이 아니면 입력키(KB)를 트레일 키 메모리(707)에 저장하고 입력키가 0이면 키 메모리에서 읽어 낸 값( KA)을 다시 저장한다.
또, 트레일모드가 0인 상태에서 감소모드가 1일 때 랜덤모드가 0이면 순차 감소모드이므로 입력키(KB)가 0이 아니면 트레일 키 메모리에 저장하고 입력키(KB)가 0이고 키 메모리에서 읽어 낸 값(KA)이 0이 아니면 KA-1의 값으로 저장한다.
또한, 감소모드가 1일 때 랜덤모드가 1이면 랜덤모드이므로 입력키(KB)가 0이 아니면 트레일 키 메모리(707)에 저장하고 입력키(KB)와 키 메모리에서 읽어 낸 값(KA)이 0이면 0을 저장하고 입력키(KB)가 0이나 키 메모리에서 읽어 낸 값(KA)이 0이 아니면 KA를 랜덤신호 혼합기(705)를 거쳐 트레일 키 메모리(707)에 저장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내용을 뒷받침 하는 동작 플로우챠트는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일모드에 따라 입력키와 트레일 키 메모리에 의하여 트레일 효과를 발생하는 트레일 키 발생 및 저장 서부루틴과, 트레일모드 및 입력키에 따라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트레일 영상데이터 저장 서부루틴으로 크게 대변된다.
이때, 상기 트레일 키 발생 및 저장 서부루틴은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트레일 키 메모리를 초기화하고, 트레일 키 메모리(707)에서 1필드 전의 키 데이터(KA)를 읽어 내고 래치(702)를 통해 입력되는 키(KB)를 읽어낸다.
이후, 사용자가 지정한 모드가 트레일 모드인지 판단하여 트레일모드가 아니면 입력되는 키(KB)를 그대로 출력하여 트레일 키 메모리에 저장하고, 트레일모드로 동작할 때는 순차감소모드인지 판단하여 만약 아니면 트레일 유지모드로 동작하여야 하므로 입력되는 키(KB)가 0인지 판단하여 0이면 키메모리에서 읽어낸 키(KA)를 그대로 출력하여 키 메모리에 저장하고 입력되는 키(KB)가 0이 아니면 입력되는 키(KB)를 출력하여 키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러나, 순차감소모드로 동작할 때는 랜덤모드로 동작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랜덤모드가 아니면 순차감소모드로 그대로 동작하여야 하므로 입력되는 키(KB)가 0인지를 판단하여 0이 아니면 입력되는 키(KB)를 그대로 출력하여 키 메모리에 저장하고 입력되는 키(KB)가 0이면 키 메모리에서 읽어낸 1필드전의 키(KA)가 0인지를 판단하여 0이면 KA=KB=0이므로 KB를 그대로 출력하여 키 메모리에 저장하고 1필드전의 키(KA)가 0이 아니면 KA의 값에서 1을 빼서 출력하여 키 메모리에 저장한다.
한편, 랜덤모드로 동작할 때는 입력되는 키(KB)가 0인지를 판단하여 0이 아니면 입력되는 키(KB)를 그대로 출력하여 키 메모리에 저장하고 입력되는 키(KB)가 0이면 키 메모리에서 읽어낸 1필드전의 키(KA)가 0인지를 판단하여 0이면 KA=KB=0이므로 KB를 그대로 출력하여 키 메모리에 저장하고 1필드전의 키(KA)가 0이 아니면 KA의 값에 랜덤신호를 혼합하여 키 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마지막 어드레스인지를 판단하여 마지막 어드레스가 아니면 어드레스를 증가하여 다시 키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는 것을 계속 진행하고 마지막 어드레스면 동작을 마친다.
또한, 상기 트레일 영상데이터 저장 서부루틴은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트레일 영상데이터 메모리 어드레스를 초기화하고 래치(702)를 통해 입력되는 키(KB)를 읽어 내어 트레일 모드가 아니면 무조건 비디오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트레일모드인 경우에는 입력되는 키(KB)가 0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0이면 저장하지 않고 0이 아니면 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마지막 어드레스인지를 판단하여 마지막이 아니면 어드레스를 증가하여 계속 진행하고 마지막이면 마치게 되므로써 효과화면의 이동시에 다양한 트레일효과를 처리해 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장비내에서 2개의 영상신호를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1개의 영상신호에 독립적인 2단계의 영상신호를 처리시켜 다양하게 효과를 처리할 수 있으며, 화면 축소시 발생되는 떨림 현상을 효율적으로 없앨 수 있어 화일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효과화면의 이동시에 다양한 트레일효과를 처리해 줄 수 있어 고품질의 방송화면을 제작해 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마이컴(2)의 제어를 받아 채널 A로 입력되는 컴포지트 영상신호 및 키신호를 R, G, B, K신호로 변환하는 제1 디지탈 디코더(1)와; 상기 제1 디지탈 디코더(1)에 의해 변환된 R, G, B, K신호를 축소율에 따라 앤티 앨리어싱 처리하는 제1 가변입력 필터부(3)와; 상기 제1 가변입력 필터부(3)에 의해 앤티 앨리어싱 처리된 R, G, B, K 입력신호의 크랍(crop) 및 보더(boarder) 효과를 처리하는 제1 입력효과부(5)와; 상기 제1 입력 효과부(5)로 부터 입력되는 디지탈 영상데이터를 소스메모리(41)에 저장하고, 이어서 마이컴(2)에 의하여 제어를 받는 효과어드레스 발생부(43)에서 발생되는 소스메모리 어드레스에 의하여 소스메모리(41)내의 영상데이타를 읽어 내어 인터폴레이터(interpolator)(42)를 거쳐 마이컴(2)의 제어를 받는 효과어드레스 발생부(43)에서 발생되는 타겟메모리 어드레스에 의하여 타겟메모리(44)에 이를 저장하여 영상효과처리를 수행하는 제1 효과 처리부(4)와; 마이컴(2)의 제어를 받아 채널 B로 입력되는 컴포지트 영상신호 및 키신호를 R, G, B, K신호로 변환하는 제2 디지탈 디코더(7)와; 상기 제2 디지탈 디코더(7)에 의해 변환된 R, G, B, K신호를 축소율에 따라 앤티 앨리어싱 처리하는 제2 가변입력 필터부(8)와; 상기 제2 가변입력 필터부(8)에 의해 앤티 앨리어싱 처리된 R, G, B, K 입력신호의 크랍 및 보더 효과를 처리하는 제2 입력 효과부(9)와; 상기 제1 효과 처리부(4)와 제2 입력 효과부(9)에서 각각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제2 효과 처리부(10)로 입력시켜 주는 멀티플렉서(12)와; 상기 제1 효과 처리부(4)와 같이 소스메모리(41), 마이컴(2)에 의하여 제어를 받는 효과어드레스 발생부(43), 인터폴레이트(42) 및 타겟메모리(44)를 구비하고 채널 B로 입력된 영상신호를 효과 처리하거나, 제1 효과 처리부(4)를 통해 1차적으로 효과 처리된 채널 A의 영상신호를 재차 효과 처리하는 제2 효과 처리부(10)와; 채널 A에서 효과 처리된 영상신호와 채널 B에서 효과 처리된 영상신호를 마이컴(2)에서 제어하는대로 혼합하는 채널 혼합기(11)와; 상기 채널 혼합기(11)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에서 이동시 궤적을 남기는 다양한 트레일처리를 수행하는 트레일 효과처리부(6)와; 상기 트레일 효과처리부(6)에 의해 트레일 처리된 영상신호에 모자이크(mosaik) 효과 및 포스터라이제어션(posterization)효과 처리하여 주는 출력 효과부(13)와; 상기 출력 효과부(13)에서 출력되는 디지탈의 R, G, B 영상신호 및 키신호를 아날로그 컴포지트신호 및 키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탈 인코더(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채널 영상효과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변입력 필터부(3, 8)는, 수직필터부(300)와 수평필터부(307) 및 마이컴(2)의 제어를 받아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신호 발생부(3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채널 영상효과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 효과 처리부(6)는, 채널 혼합기(11)를 통해 입력된 키신호로 부터 각종 트레일 키 처리용 제어신호 및 트레일 영상데이터 메모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트레일 컨트롤신호 발생부(601)와; 상기 트레일 컨트롤신호 발생부(601)에서 출력되는 트레일 키를 처리하여 키신호를 출력하는 트레일 키 처리부(602)와; 상기 채널 혼합기(11)를 통해 입력되는 R, G, B 영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버퍼 및 래치부(603)와; 상기 트레일 컨트롤신호 발생부(601)로 부터 출력되는 트레일 키에 의하여 제어되어 버퍼 및 래치부(603)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트레일 영상데이터 메모리부(60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채널 영상효과 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필터부(300)는, 제어신호 발생부(314)의 제어를 받아 입력되는 영상데이타를 1H 지연시켜 주는 제1 1H 지연회로(301)와;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314)의 제어를 받아 제1 1H 지연회로(301)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타를 다시 1H 지연시켜 주는 제2 1H 지연회로(302)와; 지연회로를 통과하지 않은 신호(H1)와 제1 1H 지연회로(301)를 통과한 신호(H2)의 평균을 구하는 제1 (A+B)/2 평균기(303)와; 상기 제1 및 제2 1H 지연회로(301, 302)을 통과한 신호(H2, H3)의 평균을 구하는 제2 (A+B)/2 평균기(304)와; 상기 제1 및 제2 (A+B)/2 평균기(303, 304)의 출력신호의 평균을 구하는 제3 (A+B)/2 평균기(305)와; 상기 제1 1H 지연회로(301)를 통해 1H 지연된 신호(H2)와, 상기 제1 (A+B)/2 평균기(303)를 통해 얻어진 평균값 및 상기 제3 (A+B)/2 평균기(305)를 통해 얻어진 평균값 중 어느 하나를 마이컴(2)의 제어를 받아 수평필터부(307)로 선택하여 출력시켜 주는 멀티플렉서(30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채널 영상효과 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필터부(307)는, 상기 수직필터부(300)로 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타를 1D 지연시켜 주는 제1 1D 지연회로(308)와; 상기 제1 1D 지연회로(308)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타를 다시 1D 지연시켜 주는 제2 1D 지연회로(309)와; 상기 수직필터부(300)로 부터 입력되어 지연회로를 통과하지 않은 신호와 제1 1D 지연회로(308)를 통과한 신호의 평균을 구하는 제4 (A+B)/2 평균기(310)와; 상기 제1 및 제2 1D 지연회로(308, 309)을 통과한 신호의 평균을 구하는 제5 (A+B)/2 평균기(311)와; 상기 제4 및 제5 (A+B)/2 평균기(310, 311)의 출력신호의 평균을 구하는 제6 (A+B)/2 평균기(312)와; 상기 제1 1D 지연회로(308)를 통해 1D 지연된 신호와, 상기 제4 (A+B)/2 평균기(310)를 통해 얻어진 평균값 및 상기 제6 (A+B)/2 평균기(312)를 통해 얻어진 평균값 중 어느 하나를 마이컴(2)의 제어를 받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3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채널 영상효과 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필터부(300)는, 메모리제어부(402)에서 출력되는 한 클럭 주기동안 2H 지연된 영상데이터와 1H 지연된 영상데이터를 읽어들어 기억하는 고속메모리(401)와; 상기 고속메모리(401)에 소정주기의 클럭펄스를 발생시키는 메모리제어부(402)와; 1H 지연된 데이터(H2)와, 2H 지연된 데이터(H3)로 분리한 신호와 지연회로를 통과하지 않은 신호(H1)를 제1 및 제2 (A+B)/2 평균기(303, 304)와 멀티플렉서(306)로 출력시켜 주는 데이타처리부(403)와; 지연되지 않은 신호(H1)와 데이타처리부(403)를 통과한 신호(H2)의 평균을 구하는 제1 (A+B)/2 평균기(303)와; 상기 데이타처리부(403)를 통과한 두 신호(H2, H3)의 평균을 구하는 제2 (A+B)/2 평균기(304)와; 상기 제1 및 제2 (A+B)/2 평균기(303, 304)의 출력신호의 평균을 구하는 제3 (A+B)/2 평균기(305)와; 상기 데이타처리부(403)를 통해 1H 지연된 신호(H2), 상기 제1 (A+B)/2 평균기(303)을 통해 얻어진 평균값 및 상기 제3 (A+B)/2 평균기(305)를 통해 얻어진 평균값 중 어느 하나를 마이컴(2)의 제어를 받아 수평필터부(307)로 선택하여 출력시켜 주는 멀티플렉서(30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채널 영상효과 처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 컨트롤신호 발생부(601)와 트레일 키 처리부(602)는, 채널 혼합기(11)로 부터 입력되는 키 신호를 안정화시켜 주는 래치(702)와; 상기 래치(702)를 통하여 입력된 키신호와 트레일 키 메모리(707)에서 읽혀져 래치(709)를 거친 1필드 직전의 키신호 및 제어신호발생부(704)에서 발생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키신호의 값을 계산하는 연산기(703)와; 마이컴(2)의 제어값과 1필드 직전의 키 값에 의하여 상기 연산기(703), 트레일 키 메모리(707), 어드레스 발생부(708), 트레일 키 데이터 래치(709), 랜덤신호 발생부(706)를 제어하기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704)와; 랜덤 트레일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랜덤신호 발생부(706)와; 상기 연산기(703)에서 계산된 키 값에 랜덤신호를 혼합하는 랜덤신호 혼합기(705)와; 1필드 분의 키 데이터를 저장하는 트레일 키 메모리(707); 상기 트레일 키 메모리(707)의 어드레스를 생성해내는 어드레스 발생부(70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채널 영상효과 처리장치.
KR1019960046220A 1996-10-16 1996-10-16 2채널 영상효과 처리장치 KR100227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220A KR100227034B1 (ko) 1996-10-16 1996-10-16 2채널 영상효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220A KR100227034B1 (ko) 1996-10-16 1996-10-16 2채널 영상효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432A KR19980027432A (ko) 1998-07-15
KR100227034B1 true KR100227034B1 (ko) 1999-10-15

Family

ID=19477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6220A KR100227034B1 (ko) 1996-10-16 1996-10-16 2채널 영상효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0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255A (ja) * 1992-07-29 1994-02-25 Nec Corp ディジタル映像効果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255A (ja) * 1992-07-29 1994-02-25 Nec Corp ディジタル映像効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432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46583B2 (ja) スローモーション映像信号発生装置及びスローモーション映像信号発生方法
JPH0389678A (ja) 位置依存遠隔制御装置を備えた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4660081A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having interpolators switchable between an input and an output of a field memory
JPS63198485A (ja) キー信号発生器
US5018179A (en) Recursive filt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0424995B1 (en) A recirculating special effects video framestore
KR100227034B1 (ko) 2채널 영상효과 처리장치
US4682227A (en)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providing zoom and compressive images with soft focus
GB2073536A (en)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JPH0686316A (ja) ビデオ特殊効果装置
JPS5853826B2 (ja) 画像信号処理装置
JP2650896B2 (ja) 動き適応信号処理回路
JP3237556B2 (ja) 映像処理装置
JP3752874B2 (ja) 画像縮小処理装置
JP3082400B2 (ja) 映像特殊効果発生装置
JP2783188B2 (ja) 画像処理装置
KR970006305B1 (ko) 디지탈 tv의 2배 주사를 위한 적응형 보간 필터회로
JPH053564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2855636B2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2003032708A (ja) 映像信号発生装置
JPH06268981A (ja) 画像データ符号化装置
JP2003298934A (ja) 画像合成装置及び画像合成方法
JPH0759001A (ja) トレール効果を生成する映像信号合成装置
JPH05328309A (ja) ハイビジョン受信機
JPH06290266A (ja) 画像合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