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6121B1 - 차량의 변속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변속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6121B1
KR100226121B1 KR1019970000580A KR19970000580A KR100226121B1 KR 100226121 B1 KR100226121 B1 KR 100226121B1 KR 1019970000580 A KR1019970000580 A KR 1019970000580A KR 19970000580 A KR19970000580 A KR 19970000580A KR 100226121 B1 KR100226121 B1 KR 100226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path
shift lever
leve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540A (ko
Inventor
히데아키 와카바야시
미네오 히라노
야스오 토리이
야스히로 사토
Original Assignee
스즈키 타케토시
나이루스부 힌 가카시키가이샤
나까무라히로까즈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즈키 타케토시, 나이루스부 힌 가카시키가이샤, 나까무라히로까즈,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즈키 타케토시
Publication of KR970059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6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6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2059/006Overriding automatic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39Up- and down-shift or range or mode selection by repeated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51Control mechanis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67Control convertible between automatic and manual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85Restriction of shift, gear selection, or gear engagement
    • Y10T74/20122Spherical restri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636Detents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와 마찬가지의 시프트조작에 의해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프트레버(7)를 구비한 변속조작장치(5)는, 시프트레버(7)가 자동변속모드용 시프트로(11)로부터 중계용 시프트로(12)를 거쳐 수동변속모드용 시프트로(13)에 위치했을 때, 수동조작에 의해서 변속단의 설정, 변경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변속조작장치(5)는, 차체쪽에 설치된 디텐트유닛(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유닛(20)의 내부에 선택용 가동자(21)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자(21)는, 시프트레버(7)가 중계용 시프트로(12)를 이동할때에 스프트레버(7)와 일체적으로 이동하고,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로(11) 또는 시프트로(13)를 이동할때에, 시프트레버(7)의 움직임에 추종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디텐트유닛(20)에는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로(12)를 이동할때에 이 시프트로(12)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있어서 시프트레버(7)를 유지하는 유지력과 절도감을 발생시키기 위한 유지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시프트레버(7)는, 자동변속모드와 수동변속모드의 절환에 필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구조가 간소화된 것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변속조작장치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와 마찬가지의 시프트조작에 의해서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 등의 차량에 장비되어 있는 전자제어식 자동변속기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변속모드에 의거한 자동변속기능이외에, 눈길을 주행하거나 엔진브레이크를 들게하는 등을 위하여, 수동조작에 의해 변속단을 소망의 포지션으로 홀드할 수 있는 변속조작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 최근 승용차에서는 수동식변속기에 가까운 시프트조작을 행할 수 있는 변속조작장치를 구비한 자동변속기도 나타나고 있다. 이런 종류의 변속조작장치는, 제20a도 및 제20b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P(Parking), R(Reverse), N(Neutral), D(Drive) 등의 복수의 시프트포지션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소정순서로 설정된 자동변속모드용 제1시프트로(100)를 가지고 있다. 또, 이 변속조작장치는, 제1시프트(100)와 평행한 수동변속모드용 제3시프트로(101)를 가지고, 또한 시프트로(101)의 중간부분과 시프트로(100)의 D포지션을 연결하는 제2시프트로(102)를 가지고 있다. 이들 시프트로(100)∼(102)내에는, 시프트레버(103)가 이동자재하게 관통하고 있다. 이 시프트레버(103)는 각 시프트로(100)∼(102)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축(105)(106)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다.
상기한 변속조작장치는, 시프트레버(103)를, 제1시프트로(100)로부터 제2시프트로(102)를 통해서 제3시프트로(101)의 중립위치로 옮긴 후, 이 시프트레버(103)를 앞쪽의 시프트업포지션 또는 뒤쪽의 시프트다운포지션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동식 시프트레버와 마찬가지의 감각으로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변속조작장치에 있어서, 시프트레버(103)를 자동변속모드쪽 또는 수동변속모드쪽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와, 이 시프트레버(103)가 자동변속모드 또는 수동변속모드로 절환될때에 절도감(click feeling)을 얻기 위하여, 디텐트기구(104)가 채용되고 있다. 이 명세서에서 말하는 절도감이란, 시프트레버(103)가 소정위치에 이른 순간에 시프트레버(103)의 조작에 요하는 힘이 변화함으로써, 이 시프트레버(103)를 조작하는 손의 감촉으로 시프트레버(103)가 소정위치로 절환된 것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디텐트기구(104)로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2-8545호 공보나 EP331797호 명세서 및 USP4987792호 명세서에 표시된 바와 같이, 디텐트기구전체를 시프트레버(103)에 일체적으로 조립한 것이 공지의 사실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0b도에 표시된 구조이다. 즉, 시프트레버(103)는, 그 하부쪽이 2개의 회동축(105)(106)에 의해, 시프트방향이 되는 차체전후방향과, 선택방향이 되는 차폭방향으로 요동자재하게 지지되고 있다. 시프트레버(103)에는, 시프트레버(103)의 옆쪽에 배열하도록 해서, 선택방향 및 시프트방향의 양방향으로 요동자재한 연동부재(107)가 연결되어 있다. 이 연동부재(107)는, 시프트레버(103)를 따라서 아래쪽으로 뻗어 있다. 연동부재(107)의 하단부로부터, 시프트레버(103)의 하단부를 향해서 판스프링(108)이 뻗어있다. 판스프링(108)의 선단부는, 시프트레버(103)의 하당부와 대향하고 있다. 판스프링(108)의 선단부는, 위로 볼록한 원호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시프트레버(103)의 하단부에는, 판스프링(108)의 원호형상부(109)에 의해서 지지되는 볼(110)이 설치되어 있다. 볼(110)은 시프트레버(103)가 시프트로(100)에 있을 때, 원호형상부(109)의 기부에 있어서 판스프링(108)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이 볼(110)은 시프트레버(103)가 시프트로(101)에 있을때에는, 원호형상부(109)의 선단부에 있어서 판스프링(108)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디텐트기구(104)는, 시프트레버(103)가 좌우방향으로 조작되었을때에, 볼(110)이 원호형상부(109)를 타고 넘을때에 발생하는 판스프링(108)의 반력에 의해서 절도감을 얻도록 하고 있다. 즉, 제20b도중의 실선 또는 2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레버(103)는 자동변속모드의 위치 또는 수동변속모드의 위치에 있어서, 판스프링(108)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유지된다. 시프트레버(103)가 자동변속모드 또는 수동변속모드로 절환될때(시프트로(100)로부터 시프트로(101)에 이동할 때, 또는 반대로 시프트로(101)로부터 시프트로(100)에 이동할때)에, 볼(110)이 원호형상부(109)를 타고 넘음으로써 판스프링(108)의 휘어짐이 변화함으로써, 상기 절도감이 생긴다.
그런데, 변속조작장치의 디텐트기구(104)에는, 구조가 간단한 것, 및 시프트레버의 조작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요망된다. 그러나, 시프트레버(103)에 디텐트기구(104)를 일체로 조립하는 구조의 경우, 시프트레버(103)와 함께 이동하는 연동부재(107)를 시프트레버(103)와 일체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연동부재(107)와 시프트레버(103)와의 사이에, 시프트레버(103)를 시프트로(102)의 양단부 즉 한쪽의 시프트로(100)쪽 또는 다른쪽의 시프트로(101)쪽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기구(110)(판스프링(108)이나 볼(110)등)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시프트레버(103)의 구조가 복잡해지기 쉬운 결점이 있다. 또한, 디텐트기구(104)를 구성하는 각 부품이, 자동변속모드 또는 수동변속모드에서의 시프트조작시에 시프트레버(103)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 때문에, 시프트로(100)(101)를 따라서 시프트레버(103)를 이동시킬때에 큰 조작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자동변속모드 및 수동변속모드에 있어서 시프트레버(103)의 조작성이 나빠지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프트레버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또한, 자동변속모드와 수동변속모드에 있어서의 시프트레버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자동변속모드와 수동변속모드를 절환할때의 시프트레버의 절도감 및 시프트레버의 유지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의 변속조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변속조작장치를 그것에 연결되는 자동변속기와 함께 표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표시된 변속조작장치의 외관을 시프트레버가 D포지션의 상태에서 표시한 사시도.
제3도는 상기 변속조작장치의 시프트레버가 D포지션으로부터 수동변속모드의 중립위치로 조작된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제4도는 상기 변속조작장치의 시프트레버가 중립위치로부터 시프트업포지션으로 조작된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제5도는 상기 변속조작장치의 시프트레버와는 별체로 구성된 디텐트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을 표시한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에 표시된 디텐트유닛의 외관을 표시한 사시도.
제7도는 상기 디텐트유닛의 구조의 상세한 것을 표시한 사시도.
제8도는 상기 디텐트유닛의 시프트레버가 D포지션에 있을때의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제9a도는 상기 디텐트유닛의 모드스위치계의 구조를 표시한 사시도.
제9b도는 제9a도에 표시된 모드스위치계의 분해사시도.
제10a는 상기 디텐트유닛의 시프트스위치계의 구조를 표시한 사시도.
제10b는 제10a에 표시된 시프트스위치계의 분해사시도.
제11도는 상기 디텐트유닛의 시프트레버가 수동변속모드의 중립위치에 있을때의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제12도는 상기 디텐트유닛의 시프트레버가 시프트업포지션에 있을때의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제13a도 및 제13b도는 각각 상기 시프트레버가 자동변속모드로부터 수동변속모드로 이동하는 동안의 시프트용 암의 거동을 표시한 측면도.
제13c도와 제13d도 및 제13e도는 각각 제13a도에 표시된 시프트용 암의 거동을 표시한 정면도.
제14a도 및 제14b도는 각각 상기 시프트레버가 자동변속모드로부터 수동변속모드에 이동하는 동안의 선택용 가동자의 거동을 표시한 횡단면도.
제14c도와 제14d도는 각각 제14a도에 표시된 선택용 가동자의 거동을 표시한 정면도.
제14e도와 제14f도는 각각 제14a도에 표시된 시프트레버가 중립위치로부터 시프트업포지션에 이동하는 동안의 선택용암의 거동을 표시한 측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요부가 되는 디텐트유닛의 사시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요부가 되는 디텐트유닛과 그 주변부의 구조를 표시한 사시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요부가 되는 디텐트유닛과, 모듈스위치를 사용한 모드스위치계 및 시프트스위치계의 시시도.
제18도는 제17도중의 XVⅠⅠⅠ-XVⅠⅠⅠ선을 따른 모드스위치계의 모듈스위치와 그 주변부의 단면도.
제19도는 제18도에 표시된 모듈스위치의 단면도.
제20a도는 종래의 모드절환용 시프트로를 표시한 평면도.
제20b도는 종래의 디텐트기구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2 : 자동변속기의 본체
3 : 토크컨버터 4 : 제어밸브유닛
5 : 변속조작장치 6 : 베이스판(기체)
7 : 시프트레버 7a : 디텐트핀
7b : 시프트노브 7c : 록해제버튼
7d, 66 : 긴구멍 8 : 커플링
8a, 8b : 회동축 9 : 지지암
10 : 표시패널
11 : 자동변속모드용 시프트로(제1경로)
11a : 시프트포지션(P) 11b : 시프트포지션(R)
11c : 시프트포지션(N) 11d : 시프트포지션(D)
12 : 중계용 시프트로(제2경로)
13 : 수동변속모드용 시프트로(제3경로)
13a : 중립위치 13b : 시프트업포지션
13c : 시프트다운포지션 14 : 디텐트플레이트
16 : 디텐트홈 17 : 시프트케이블
20 : 디텐트유닛(지지수단) 21 : 선택용 가동자(연동부재)
21a : 기부 21b, 30a, 74 : 개구부
22 : 암부재 22a : 시프트용 암(암부재의 제1부분)
22b : 선택용 암(암부재의 제2부분)
23 : 중립유지기구
24 : 모드스위치계(모드검출수단)
25 : 시프트스위치계(시프트검출수단)
30 : 케이스 30b : 측벽
30c, 38, 41a, 44f, 57a : 구멍
32 : 홀더 32a : 스톱퍼
33 : 본체(디텐트유닛의) 34 : 단차
35 : 레버실 35a : 벽면
36 : 슬라이드실 37, 73b : 관통구멍
38a : 내벽면 39 : 관통부
40 : 유지기구 41, 47a, 47b : 압축스프링
42 : 절도자 43 : 절도홈
44a, 48a, 49a : 가동접점 44b, 48b, 49b : 고정접점
44c, 55 : 가동접점판 44d, 56 : 삽입구
44e, 57 : 접점스프링 44g, 58 : 기판
44i, 58a : 나사 44h, 59 : 접점부
45a, b : 시프트용가동자 45c, d : 클릭체
46 : 지지축 50 : 코드
50a : 커넥터 51 : 트랜스미션제어장치
52 : 록캠 53 : 브레이크페달
54 : 케이블 60 : 선택용 마이크로스위치
60a : 브래킷 61 : 작동기
62a, b : 시프트용 마이크로스위치
65a : 제1암부 65b : 제2암부
67, 67a : 모듈스위치 68 : 수용체
69 : 기반 70a, b, c : 고정접편
71 : 접점지지대 72 : 요동접편
73 : 조작체 73a : 조작자
73c : 밀봉용 돌기 75 : 볼
76, 77 : 압축스프링 N1 : 중립위치
t : 간격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에 대해서 요동자재하게 지지된 시프트레버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경로로서, 변속기의 변속단의 절환이 차량의 운전상태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행해지는 자동변속포지션을 포함한 복수의 시프트포지션이 설정된 제1경로와, 이 제1경로에 일단부가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1경로와 다른 방향으로 뻗은 제2경로와 상기 제2경로의 타단부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2경로와 다른 방향으로 뻗은 제3경로를 가지고, 상기 시프트레버가 상기 제1경로중에 설정된 상기 각 시프트포지션의 어느 하나에 위치했을때에 이 포지션에 대응한 상기 변속단의 설정 또는 변경이 행해지는 차량의 변속조작장치에 있어서, 차체쪽에 설치된 지지수단에 의해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시프트레버가 상기 제2경로를 이동할때에는 상기 시프트레버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시프트레버가 상기 제1경로 및 제3경로를 이동할때에는 상기 시프트레버의 움직임에 대해서 자유롭게 되도록 상기 시프트레버에 대해서 걸고벗기기 가능하게 설치된 연동부재와, 상기 지지수단과 상기 연동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시프트레버가 상기 제2경로를 이동할때에 제2경로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레버를 유지하는 유지력을 발생시키는 유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경로의 일단부쪽에 위치하고 있는 시프트레버는, 베이스부재 등에 설치된 유지수단이 발생하는 유지력이 연동부재에 전달됨으로써, 제2경로의 일단부쪽에 유지된다. 이 위치로부터 제1경로에 설정된 시프트포지션을 선택하기 위하여, 시프트레버가 제1경로를 따라서 이동되면 스프트레버가 연동부재와는 독립해서, 제1경로를 이동한다. 또 제3경로에 설정된 시프트포지션을 선택하기 위하여, 시프트레버가 제2경로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쪽으로 조작되면, 이번에는 시프트레버는 연동부재와 함께 제2경로를 이동하면서, 제2경로의 타단부에 향한다. 이 시프트레버는, 제2경로의 타단부에 있어서도, 유지수단이 발생하는 유지력에 의해 유지된다. 이들 유지력의 발생에 의해, 자동변속모드와 수동변속모드를 절환할때에 절도감을 얻을 수 있다. 수동변속모드로 절환된 시프트레버가 제3경로를 따라서 조작되면, 자동변속모드일때와 마찬가지로, 시프트레버가 연동부재와 독립해서, 제3경로를 이동한다. 이에 의해, 시프트레버에 유지경로를 설치하지 않아도, 즉 간소화된 시프트레버에 의해서, 자동변속모드와 수동변속모드의 절환시의 시프트레버의 절도감과, 시프트레버의 유지기능이 확보된다. 상기 연동부재는 시프트레버와는 별체이고, 제1경로 및 제3경로를 이동할때의 시프트레버의 움직임에 대하여 자유이다. 이 연동부재에 유지수단으로부터의 유지력을 작용시키면서, 자동변속모드 또는 수동변속모드를 조작할때의 시프트레버조작에 연동부재의 중량등이 가해지지 않아도 된다. 이 때문에 자동변속모드 및 수동변속모드에 있어서의 시프트레버의 조작성이 향상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시프트레버자체에 유지기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자동변속모드와 수동변속모드의 절환에 관한 시프트레버의 절도감과 시프트레버의 유지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결과, 시프트레버의 간소화가 도모되고, 시프트레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지력을 전달하는 연동부재는, 제1경로 및 제3경로를 이동할때의 시프트레버의 움직임에 대해서 자유롭기 때문에, 자동변속모드 및 수동변속모드를 조작할때의 시프트레버조작에 연동부재의 중량등이 부담되지 않아도 되고, 자동 및 수동변속모드를 조작할때의 조작력의 경량화가 도모되고, 각 모드에 있어서의 시프트레버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제1경로와 상기 제3경로는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경로는 상기 제1경로 및 제3경로에 대해서 대략 직교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경로와 제3경로가 평행관계에 있는 차량의 변속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제1경로와 제3경로에 있어서의 시프트레버의 이동방향에 대응하도록 뻗은 구멍 또는 홈을 가지고, 상기 시프트레버에는, 상기 구멍 또는 홈에 걸어맞춤하는 동시에 상기 제2경로를 이동할때에 상기 구멍 또는 홈의 벽면에 당접함으로써 상기 연동부재를 상기 제2경로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암 등의 작동부재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또 제1경로와 제3경로가 평행관계에 있는 차량의 변속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시프트레버가 삽입되는 동시에 시프트레버의 축선방향으로 개구하고 또한 제1경로 및 제3경로에 있어서의 시프트레버의 이동방향으로 뻗은 긴구멍을 가지고, 상기 시프트레버가 상기 제2경로를 이동할때에 이 시프트레버가 상기 긴구멍의 내벽면에 당접함으로써 상기 연동부재를 상기 제2경로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제1경로와 제3경로가 평행관계에 있는 차량의 변속조작장치에 있어서는, 시프트레버와 걸어맞춤하는 구멍 또는 홈을 가진 연동부재와, 시프트레버에 설치하는 작동부재를 채용함으로써 시프트레버가 제2경로를 이동할때에 상기 구멍 또는 홈의 내벽면에 당접시켜 연동부재를 제2경로를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시프트레버가 삽입되고 또한 제1경로 및 제3경로를 따라서 뻗은 구멍을 가진 연동부재를 채용함으로써, 시프트레버가 제2경로를 이동할때만, 상기 구멍의 내벽면에 시프트레버를 당접시켜 연동부재를 제2경로를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해, 작동신뢰성이 높은 디텐트기능을 다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동변속모드에 있어서의 시프트레버의 조작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한 제3경로에 있어서, 제2경로의 타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중립위치를 설정하는 동시에, 이 중립위치를 사이에 두고 한쪽편에 제1시프트포지션이 설정되고, 다른쪽편에 제2시프트포지션이 설정된 구성으로 하고,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제3경로를 이동할때의 시프트레버쪽의 부재와 걸어맞춤함으로써 시프트레버를 중립위치, 또는 제1시프트포지션 또는 제2시프트포지션의 어느 하나로 유지시키는 제2유지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시프트레버가 제3경로의 어느 포지션에 있는지를 운전자가 손의 감각에 의해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수동변속모드에 있어서의 시프트레버의 조작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또, 시프트레버의 조작력을 저감하고 또한 수동변속모드에 있어서의 시프트레버의 중립유지를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유지수단을, 중립위치와 제1시프트포지션과의 사이에서 시프트레버쪽의 부재와 걸어맞춤함으로써 시프트레버를 중립위치쪽에 부세하는 제1부세수단과, 제2시프트포지션과 중립위치와의 사이에서 시프트레버쪽의 부재와 걸어맞춤함으로써 시프트레버를 중립위치쪽에 부세하는 제2부세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제3경로내를 조작하는 시프트레버의 관성모먼트를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고, 시프트레버의 조작력을 경감할 수 있고 또한 수동변속모드에 있어서의 시프트레버의 중립위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변속조작장치의 차체에의 조립작업이나 교환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수단이, 차체쪽에 장착되는 변속조작부의 기체에 재치되는 디텐트유닛에 의해서 구성되고, 이 디텐트유닛은, 제3경로에 위치하고 있는 시프트레버가 제1시프트포지션에 이동했을때에 시프트업신호를 송신하고, 시프트레버가 제2시프트포지션에 이동했을때에 시프트다운신호를 송신하는 시프트검출수단과, 상기 연동부재의 위치에 따라서 시프트레버가 자동변속모드에 있는지 수동변속모드에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모드검출수단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변속조작장치의 차체에의 조립이나 교환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작업성이 향상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시프트검출수단을 구성하는 스위치와 모드검출수단을 구성하는 스위치 등을 디텐트유닛에 수용하면, 변속조작장치를 차체에 조립할때에 스위치류를 잘못하여 파손하는 것도 방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에 대해서는 이하의 개재에 의해서 명백하게 되거나 또는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명백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럭 가지 목적 및 이점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명백하게 지적된 구성 및 조합에 의해 달성된다.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한 개략적인 기재 및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기재와 협동해서, 발명의 본질을 설명하기 위하여 기여한다.
이하에 본 발명을 제1도 내지 제14f도에 표시한 제1실시형태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제어식 자동변속기의 전체의 개략이 표시되고 있다. 제1도에 표시한 엔진(1)은 자동차의 엔진룸에 수용되어 있다. 엔진(1)의 출력축(도시생략)에 토크컨버터(3)을 개재해서 자동변속기의 본체(2)가 연결되어 있다. 자동변속기의 본체(2)는, 미션케이스내에 수용된 예를 들면 유성기어기구(도시생략)와, 이 유성기어기구의 요소의 회전을 규제하는 클러치 등의 단속기구(도시생략)와, 이 단속기구를 오일의 유입 및 유출에 의해서 제어하는 제어밸브유닛(4)등의 기기에 의해서 구성된다.
자동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5)는, 운전석과 조수석(모두 도시생략)의 사이에 설치된다. 변속조작장치(5)는, 자동변속모드와, 수동조작에 의해서 변속이 가능한 수동변속모드의 2개의 변속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변속조작장치(5)의 전체의 구조가 제2도로부터 제4도에 표시되어 있다. 변속조작장치(5)의 구조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도 중에 있어서 자체의 전후방향을 따른 화살표 YF, YR로 표시되는 방향을 시프트방향, 차체의 폭방향을 따른 화살표 XL, XR로 표시되는 방향을 선택방향으로서 설명한다.
베이스판(기체)(6)은 운전석주변의 차체쪽(소생략)에 장착되어 있고, 베이스판(6)은 자동차의 변속조작부의 장착면을 구성하고 있다. 베이스판(6)의 중앙으로부터는 시프트레버(7)가 위쪽으로 향해서 뻗어 있다. 제5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레버(7)의 하단부는 커플링(8)을 개재해서 베이스판(6)의 중앙부분에 회동자재하게 지지되고 있다. 커플링(8)의 회동축(8a)(8b)은 서로 선택방향과 시프트방향으로 +자형상으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시프트레버(7)전체가 선택방향과 시프트방향의 쌍방으로 요동할 수 있다.
시프트레버(7)의 하부외주에 형성된 상하방향으로 뻗은 긴구멍(7d)으로부터는, 디텐트핀(7a)이 차폭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디텐트핀(7a)는, 평상시는 디텐트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서 위쪽으로 부세되고, 시프트노브(7b)에 설치한 록해제버튼(7c)을 눌렀을때에, 디텐트핀(7a)이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판(6)의 위쪽에는, 이 베이스판(6)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위쪽으로 뻗은 지지암(9)을 개재해서 표시패널(10)이 지지되고 있다. 표시패널(10)은 베이스판(6)을 위쪽으로부터 덮는 평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패널(10)의 중앙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치우친(XR방향)부분에는, 차체전후방향으로 뻗은 긴구멍으로 이루어진 자동변속모드용 시프트로(main gate)(11)(제1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프트로(11)에는, 예를 들면 차체앞쪽으로부터 뒤쪽으로 차례로, P(주차)포지션, R(후퇴)포지션, N(중립)포지션, D(주행)포지션과 같은 복수의 시프트포지션(11a)(11b)(11c)(11d)이 설정되어 있다. D포지션은 자동차의 운전상태에 따라서 자동변속기의 변속단의 절환이 행해지는 자동변속포지션이다. 시프트로(11)의 D포지션이 되는 부분으로부터는, 하기 시프트로(13)의 중앙에 향하는 중계용 시프트로(12)(제2경로에 상당한다)가 뻗어 있다. 중계용 시프트로(12)는 시프트로(11)와는 다른 방향, 예를 들 면 차폭방향으로 뻗은 긴구멍으로 이루어진다. 이 시프트로(12)의 단부에 수동변속모드용 시프트로(13)(manual gate)(제3경로에 상당)가 접속되어 있다. 시프트로(13)는, 중계용 시프트로(12)와의 접속위치로부터, 시프트로(12)와는 다른 방향으로 뻗은 긴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3시프트로(13)는 제2시프트로(12)와의 접속위치로부터 차체앞쪽과 뒤쪽에 균등하게 뻗고, 또한, 제1시프트로(11)와 평행한 긴구멍으로 이루어진다. 제2시프트로(12)는 제1시프트로(11) 및 제3시프트로(13)에 대해서, 거의 직교해서 형성되어 있다. 중계용시프트로(12)에 대한 시프트로(13)의 접속위치가, 중립위치(13a)가 되고 있다. 이 중립위치(13a)를 경계로해서, 시프트로(13)의 차체앞쪽의 단부가 시프트업포지션(+)(13b)이 되고 있다. 중립위치(13a)의 뒤쪽이 시프트다운포지션(-)(13c)이 되고 있다.
시프트레버(7)는, 시프트로(11)(12)(13)내를 이동자재하게 관통하고 있다. 시프트레버전체는, 시프트로(11)(12)(13)에 있어서의 이동방향, 즉 제1도중의 화살표 XL, XR로 표시되는 시프트방향과 화살표 YF, YR로 표시되는 선택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다. 베이스판(6)의 차폭방향한쪽, 예를 들면 시프트레버(7)를 사이에 두고 오른쪽(XR방향)으로, 차체전후방향으로 뻗은 아치형상 디텐트플레이트(14)가 세워설치되어 있다. 디텐트플레이트(14)의 하면에는, 시프트로(11)의 각 시프트포지션(11a)(11b)(11c)(11d)과 대응한 위치에, 각 시프트포지션을 규정하기 위한 디텐트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시프트레버(7)의 디텐트핀(7a)은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로(11)에 있을때에 디텐트홈(16)과 걸어맞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시프트레버(7)는, 각 시프트포지션에 따른 디텐트홈(16)을 이용해서, 시프트로(11)의 소망의 시프트포지션(11a)∼(11d)에 위치결정할 수 있다.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로(11)에 있을 때 시프트레버(7)는, 시프트케이블(17)이 접속된 암어셈블리(도시생략)에 걸어맞춤하도록 되어 있다. 시프트케이블(17)은 자동변속기의 본체(2)로부터 변속조작장치(5)의 방향으로 뻗어있다. 따라서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로(11)내를 이동함으로써, 자동변속기의 본체(2)가 조작된다. 디텐트핀(7a)은 시프트레버(7)가 차폭방향으로 경사이동되어 시프트로(11)로부터 시프트로(13)에 이동했을때에, 디텐트플레이트(14)의 디텐트홈(16)으로부터 이탈한다. 즉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로(13)쪽으로 기울어졌을때에, 자동변속모드가 해제된다.
시프트레버(7)를 사이에 두고 디텐트플레이트(14)와는 반대쪽 즉 베이스판(6)의 왼쪽(XL방향)으로, 지지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디텐트유닛(20)이 설치되어 있다. 디텐트유닛(20)은, 시프트레버(7)를 자동변속모드쪽 또는 수동변속모드쪽에 유지하는 기능과 자동변속모드와 수동변속모드를 절환할때에 절도감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5도의 개략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디텐트유닛(20)에는 시프트레버(7)와는 별체로 구성된 선택용 가동자(21)가 채용되고 있다. 이 가동자(21)로부터 시프트레버(7)의 하부외주(구체적으로는 디텐트핀(7a)의 위쪽의 외주부에 설치된 암부재(22))에 유지력이 전달된다. 선택용가동자(21)는 연동부재로서 기능한다. 디텐트유닛(20)에는, 상기 가동자(21) 및 암부재(22)이외에 수동변속모드에 있어서 시프트레버(7)를 중립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중립유지기구(23)와, 시프트레버(7)가 자동변속모드에 있는지 수동변속모드에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모드스위치계(24)와, 수동변속모드일때에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업포지션(13b)에 있는지 시프트다운포지션(13c)에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시프트스위치계(25)도 내장되어 있다. 모드스위치계(24)는 모드검출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시프트스위치계(25)는 시프트검출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각 기능을 하나로 집약한 디텐트유닛(20)의 구체적인 구조가 제6도 및 제7도에 표시되어 있다. 제8도와 제11도 및 제12도에는 시프트레버(7)를 조작했을때의 디텐트유닛(20)의 거동이 표시되고, 제9도 및 제10도에는 디텐트유닛(20)의 각부의 상세한 구조가 표시되고 있다. 디텐트유닛(20)을 설명하기 전에, 암부재(22)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5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암부재(22)는, 예를 들면 금속제의 띠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간부가 시프트레버(7)의 디텐트핀(7a)의 바로 위의 외주면에 감겨있다. 암부재(22)의 제1부분(22a)은 시프트레버(7)의 축선을 따르도록 세로방향의 자세로 되어 있고, 디텐트유닛(20)과 마주보는 시프트레버(7)의 외주부로부터 디텐트유닛(20)의 방향으로 뻗어있다. 암부재(22)의 제2부분(22b)은 시프트레버(7)의 축선에 대하여 직각이 되는 가로방향의 자세로 되어 있고, 시프트레버(7)의 자체뒤쪽의 외주부로부터 뒤쪽으로 뻗어있다. 디텐트유닛(20)쪽에 뻗은 제1부분(22a)이 시프트용 암으로서 기능한다. 차체뒤쪽으로 뻗은 제2부분(22b)이 선택용 암으로서 기능한다. 이 선택용 암(22b)은 작동부재에 상당한다.
다음에, 디텐트유닛(2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6도는 디텐트유닛(20)의 외관을 표시하고, 제7도는 디텐트유닛(20)의 내부구조를 표시하고 있다. 베이스판(6)의 상면에 상자모양의 케이스(30)가 차체전후방향을 따라서 장착되어 있다. 케이스(30)는, 예를 들면 시프트레버(7)와는 반대쪽의 면이 개구한 개구부(30a)를 가진 직방체형상의 상자모양을 이루고 있다. 케이스(30)의 개구부(30a)로부터 케이스(30)내에 블록형상의 홀더(32)가 삽입된다. 케이스(30)와 홀더(32)와의 조합에 의해서, 디텐트유닛(20)의 본체(33)가 구성된다. 케이스(30)에 대한 홀더(32)의 삽입부분중, 시프트레버(7)와 마주보는 개소, 예를 들면 홀더(32)의 전달부에는 케이스(30)의 측변(30b)으로부터 후퇴한 단차(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34)와 케이스(30)의 측벽(30b)으로 둘러싸인 공간부분에 레버실(35)이 규정되어 있다.
케이스(30)에 대한 홀더(32)의 삽입부분중 선택용 암(22b)의 옆가장자리와 마주보는 홀더(32)의 뒤쪽부분에, 슬라이드실(36)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실(36)은 홀더(32)의 상기 삽입부분의 단면으로부터 홀더(32)의 반대쪽의 면을 향해서 차폭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뻗어있다. 슬라이드실(36)의 형상은, 예를 들면 바닥이 있는 사각형구멍이다. 선택용 가동자(21)는, 슬라이드실(36)의 내면에 의해서 시프트레버(7)의 선택방향으로 슬라이딩자재하게 지지된다. 이 점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선택용가동자(21)의 기부(21a)는 슬라이드실(36)의 형상에 따라서 단면이 사각형의 대략 띠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실(36)에는, 선택용가동자(21)의 기부(21a)가 슬라이드자재하게 삽입된다.
선택용 가동자(21)의 선단부쪽은, 케이스(30)의 측벽(30b)에 형성된 사각형의 관통구멍(37)으로부터 시프트레버(7)쪽으로 돌출한다. 선택용가동자(21)의 선단부에, 구멍(38)을 가진 관통부(39)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38)은 시프트로(11)(13)의 긴쪽방향 즉 시프트레버(7)의 이동방향으로 뻗어 있다. 암부재(22)의 선택용암(22b)이 구멍(38)을 슬라이딩자재하게 관통하고 있다. 구멍(38)의 크기는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로(11)(13)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때에는 선택용 암(22b)이 구멍(38)의 안쪽을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치수로 하고 있다. 또한 이 구멍(38)은, 시프트레버(7)가 중계용 시프트로(12)를 좌우방향으로 이동할때에는, 구멍(38)의 내벽면(38a)에 선택용 암(22b)의 옆가장자리가 당접하는 치수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시프트레버(7)가 스프트로(12)를 이동할때에 선택용 가동자(21)의 전체가 시프트로(12)를 따라서 슬라이트실(36)의 긴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선택용가동자(21)는 자동변속모드 또는 수동변속모드에 있어서 시프트레버(7)가 전후방향으로 조작될때에는, 시프트레버(7)에 대해서 자유롭고, 시프트레버(7)의 움직임에 추종하는 일이 없다. 시프트레버(7)가 자동변속모드와 수동변속모드의 사이에서 절환될때만, 선택용가동자(21)가 시프트레버(7)와 일체적으로 차체의 폭방향(좌우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선택용암(22b)은, 시프트레버(7)가 자동변속모드 및 수동변속모드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조작될때에, 항사 구멍(38)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있다. 단, 구멍(38)의 대신에, 도시는 하지 않으나 전후방향으로 뻗고 또한 위쪽이 개구하는 홈을 선택용 가동자(21)의 선단부에 설치함으로써, 선택용 암(22b)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자재하게 삽통시켜도 된다.
선택용 가동자(21)의 기부(21a)에는 시프트레버(7)를 시프트로(12)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있어서 유지가능한 유지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유지기구(40)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기구(40)는 유지수단으로서 가능한다. 유지기구(40)에 절도자(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절도자(42)는, 예를 들면 슬라이드실(36)에 의해서 둘러싸인 선택용가동자(21)의 기부(21a)의 벽면, 예를 들면 기부(21a)의 일측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돌출침몰자재하게 삽입되어 있다. 절도자(42)는, 압축스프링(41)에 의해서 상기 오목부로부터 밀려나오는 방향으로 부세되고 있다. 절도자(42)의 일례는 스틸볼 또는 선단부가 둥근핀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9a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선택용 가동자(21)의 일측면에, 두께방향을 따른 구멍(41a)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41a)의 내부에 절도자(42)와, 이 절도자(42)를 부세하는 압축스프링(41)이 수용되어 있다. 슬라이드실(36)의 내벽면에는, 시프트레버(7)가 스프트로(12)의 일단부가 타단부로 이동했을때에 절도자(42)의 위치와 대응하는 2개소에, 절도자(42)를 받아들이는 1쌍의 절도홈(43)이 형성되어 있다. 절도홈(43)의 일례는 오목부, 바람직하게는 상하방향으로 뻗은 대략 V자형상의 홈이다. 선택용가동자(21)가 시프트레버(7)에 연동해서 시프트로(12)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이동하면, 절도자(42)가 한쪽의 절도홈(43)을 이탈해서 다른쪽의 절도홈(43)에 걸어맞춤된다. 이에 의해, 절도홈(43)의 위치에 따라서 선택용가동자(21)가 유지되고, 시프트레버(7)를 유지하는 유지력이 발생한다. 절도자(42)에 스틸볼이 채용된 경우에는, 절도홈(43)은 오목구면이어도 된다. 상기와 같이 절도자(42)가 절도홈(43)을 출입할때에 시프트레버(7)의 유지력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해서, 모드절환조작의 개시시와 종료시(자동변속모드와 수동변속모드를 절환할때)에 절도감을 발생시킨다.
선택용가동자(21)의 일측면과 이것과 대향하는 슬라이드실(36)의 벽면에, 서로 쌍을 이루는 가동접점(44a)과 고정접점(44b)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접점(44a)(44b)은, 예를 들면 선택용가동자(21)가 수동변속모드의 위치에 이르렀을때에 양자가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반대로 선택용 가동자(21)가 자동변속모드의 위치에 이르렀을때에, 접점(44a),(44b)이 서로 떨어짐으로써 전기적으로 비도통이 된다. 상세하게는 제9b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가동접점(44A)은, 대략 ㄷ자모양의 가동접점판(44c)으로 이루어진다. 가동접점판(44c)의 양단부는, 절도자(42)의 근처에 있어서 가동자(21)의 일측면에 형성된 1쌍의 삽입구(44d)에 슬라이딩자재하게 삽입되어 있다. 가동접점판(44c)의 이면중앙과, 이것에 대향하는 가동자(21)의 측면부분과의 사이에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접점스프링(44e)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44e)은, 가동접점판(44c)을 고정접점(44b)을 향해서 밀어내는 방향으로 부세한다. 구체적으로는 1쌍의 삽입구(44d)사이의 가동자(21)의 측면부분에 스프링(44e)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44f)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44f)에 접점스프링(44e)의 일단부쪽이 슬라이딩자재하게 삽입되어 있다. 접점스프링(44e)는, 그 전체가 압축된 상태에서 가동접점판(44c)과 가동자(21)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접점(44b)은, 예를 들면 프린트기판 등에 대표되는 기판(44g)에 설치되어 있다. 기판(44g)은 가동접점판(44c)과 대응하는 슬라이드실(36)의 벽면부분에 예를 들면 나사(44i)등에 의해서 고정된다.
기판(44g)의 표면에는, 가동자(21)가 수동변속모드의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접점판(44c)과 당접함으로써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1쌍의 접점부(44h)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점부(44h)는, 선택용가동자(21)가 자동변속모드의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가동접점판(44c)으로부터 떨어짐으로써 전기적으로 비도통이 된다. 기판(44g)은 선택용 가동자(21)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슬라이드실(36)의 벽면부분에 매설되어 있다. 접점(44a)(44b)사이의 전기적인 도통 또는 비도통의 신호에 의거해서 가동자(21)가 자동변속모드에 위치하고 있는지 수동변속모드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가동접점(44a)과 고정접점(44b)은 모드절환신호를 얻기위한 모드스위치계(24)를 구성한다.
제5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레버실(35)에 중립유지기구(23)가 수용되고 있다. 중립유지기구(23)는, 예를 들면 부채모양을 중간부터 2분할한 대략 삼각형의 외형의 1쌍의 시프트용가동자(45a)(45b)를 가지고 있다. 이들 가동자(45a)(45b)는, 스톱퍼(32a)(제7도에 표시함)를 양쪽으로부터 끼우도록 해서 레버실(35)내에 배치되어 있다. 스톱퍼(32a)는, 예를 들면 케이스(30)에 대한 홀더(32)의 삽입부분의 단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스톱퍼(32a)는 시프트로(13)의 중립위치(13)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가동자(45a)(45b)를 향해서 돌출하고 있다. 환언하면 시프트용 가동자(45a)(45b)는, 시프트로(13)의 이동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배치된다. 시프트용가동자(45a)(45b)의 하단부에는, 케이스(30)의 측벽(30b)의 내면에 설치된 서로평행한 1쌍의 지지축(46)이 회동자재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지지축(46)에 의해서, 시프트용가동자(45a)(45b)는 스톱퍼(32a)로부터 접리하는 방향(시프트로(13)의 이동방향)으로 요동자재하게 지지된다. 시프트용가동자(45a)(45b)의 상단부의 서로 인접하는 부위로부터 1쌍의 클릭체(45c)(45d)가 위쪽으로 뻗어 있다. 이들 클릭체(45c)(45d)는 케이스(30)의 상부벽에 형성한 전후방향으로 뻗은 가늘고 긴 구멍(30c)을 관통해서, 케이스(30)의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구멍(30c)의 전후방향의 길이는, 지지축(46)을 지지점으로 해서 요동하는 클릭체(45c)(45d)의 변위를 손상하지 않는 치수로 하고 있다.
케이스(30)의 위쪽으로 돌출한 클릭체(45c)(45d)사이의 간격t는, 스톱퍼(32a)의 폭에 따라서, 시프트용 암(22a)이 삽탈가능한 거리로 유지되고 있다. 이 간격t를 확보함으로써 시프트레버(7)를 중계용 시프트로(12)로부터 제3시프트로(13)의 중립위치(13a)가지 이동시켰을때에, 시프트용 암(22a)을 클릭체(45c)(45d)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시프트용가동자(45a)(45b)는, 각 가동자의 측면과 레버실(35)의 벽면과의 사이에 설치한 압축스프링(47a)(47b)의 탄력에 의해, 시프트로(13)의 중립위치쪽을 향해서 부세된다. 즉, 클릭체(45c)(45d)는, 스프링(47a)(47b)에 의해서 전후양쪽으로부터 부세됨으로써, 중립위치(13a)로 유지된다. 따라서, 시프트용 암(22a)이 시프트용가동자(45a)(45b)의 클릭체(45c)(45d)사이에 삽입되면 시프트용 암(22a)이 중립위치(13a)를 향해서 탄성적으로 유지되고, 또한, 시프트레버(7)가 중립위치(13a)에 유지된다. 한쪽의 시프트용 가동자(45a)와 스프링(47a)은 제1부세수단으로서 기능하고, 다른 쪽의 시프트용 가동자(45b)와 스프링(47b)은 제2부세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로(13)의 중립위치(13a)로부터 시프트업포지션(13b) 또는 시프트다운포지션(13c)으로 조작되었을 때, 조작방향에 있는 시프트용가동자(45a) 또는 (45b)만이 시프트용암(22a)과 걸어맞춤한 상태에서 중립위치(13a)로부터 포지션(13b) 또는 (13c)에 회동한다. 이때 압축스프린(47a) 또는 (47b)이 압축됨으로써, 시프트레버(7)를 중립위치로 복귀시키는 반력이 발생한다.
앞쪽의 시프트용가동자(45a)의 측면과, 이것에 대향하는 홀더(32)의 단부면에, 서로 쌍을 이루는 가동접점(48a)과 고정접점(48b)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접점(48a)(48b)은 시프트용가동자(45a)가 예를 들면 시프트업포지션(13b)에 이동했을 때에 양자가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시프트용가동자(45a)가 중립위치(13a)로 복귀했을때에, 접점(48a)(48b)이 서로 떨어짐으로써, 양자는 비도통이 된다. 뒤쪽의 시프트용가동자(45b)의 측면과, 이것에 대향하는 홀더(32)의 단부면에도, 상기 접점(48a)(48b)과 마찬가지의 도통/비도통기능을 가진 가동접점(49a)과 고정접점(49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동접점(48a)(49a)과 고정접점(48b)(49b)의 구조가 제10b도에 표시되어 있다. 한쪽의 가동접점(48a) 및 고정접점(48b)의 구조와, 다른쪽의 가동접점(49a) 및 고정접점(49b)의 구조는 서로 동일하므로, 그 중의 한쪽, 예를 들면 가동접점(49a) 및 고정접점(49b)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가동접점(49a)은 대략 ㄷ자모양의 가동접점판(55)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가동접점판(55)의 양단부는 시프트용가동자(45b)의 측면에 형성된 1쌍의 삽입구(56)에 슬라이딩자재하게 삽입되어 있다. 가동접점판(55)의 이면중앙과, 이것에 대향하는 시프트용가동자(45b)의 측면과의 사이에,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접점스프링(5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57)은, 가동접점판(55)을 삽입구(56)로부터 밀어내는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1쌍의 삽입구(56)사이의 가동자(45b)의 측면부분에, 스프링(57)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57a)이 형성되고, 이 구멍(57a)에 접점스프링(57)의 일단부쪽이 슬라이딩자재하게 삽입되어 있다. 접점스프링(57)은 그 전체가 압축된 상태에서, 가동접점판(55)과 가동자(45b)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접점(49b)은, 예를 들면 프린트기판으로 이루어진 기판(58)에 설치되어 있다. 이 기판(58)은, 시프트용 가동자(45a)(45b)의 측면과 대향하는 레버실(35)의 벽면(35a)에 예를 들면 나사(58a)에 의해서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기판(58)의 표면에, 시프트용가동자(45a)(45b)가 각각 시프트업포지션(13b)과 시프트다운포지션(13c)으로 이동했을때의 각 가동접점판(55)의 위치에 대응해서 각각 접점부(59)가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시프트용가동자(45a)가 시프트업포지션(13b)에 있을 때, 앞쪽의 가동접점판(55)이 앞쪽의 접점부(59)와 당접함으로써 양자가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다른쪽의 시프트용가동자(45b)가 시프트다운포지션(13c)에 있을때에, 뒤쪽의 가동접점판(55)이 뒤쪽의 접점부(59)와 접함으로서 양자가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가동자(45a)(45b)가 중립위치(13a)에 있을때에는, 각각의 가동접점판(55)이 접점부(59)로부터 떨어짐으로써, 접점부(59)는 비도통이 된다. 기판(58)은 시프트용 가동자(45a)(45b)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레버실(35)의 벽면(35a)에 매설되어 있다. 상기 가동접점(48a)(49a)과 고정접점(48b)(49b)에 의해서 얻어지는 전기적인 도통/비도통의 신호에 의거해서, 시프트업신호 또는 시프트다운신호가 출력된다. 가동접점(48a)(49a)과, 고정접점(48b)(49b)는, 시프트스위치계(25)를 구성한다.
제7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가동접점(44a)(48a)(49a)과 고정접점(44b)(48b)(49b)은, 홀더(32)로부터 도출하는 코드(50) 및 그 선단부에 접속된 커넥터(50a)(제1도에 표시함)를 개재해서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된 트랜스미션제어장치(51)에 접속되어 있다. 가동접점(44a)(48a)(49a) 및 고정접점(44b)(48b)(49b)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모드절환신호와 시프트업신호 및 시프트다운신호는, 트랜스미션제어장치(51)에 있어서 처리된다. 즉 시프트레버(7)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어장치(51)에 의해서 자동변속모드와 수동변속모드와의 절환이 이루어지고, 또,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업포지션(13b)에 위치했을때에는 시프트업하는 변속단의 설정 또는 변경이 행해진다.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다운포지션(13c)에 위치했을때에는 시프트다운하는 변속단의 설정 또는 변경이 행해진다.
제1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디텐트플레이트(14)에 설치되어 있는 록캡(52)은, 브레이크페달(53)을 밟았을때만, 시프트레버(7)를 P포지션(11a)으로부터 다른 포지션(11b)~(11d)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시프트레버(7)의 동작을 규제하는 기능을 가진다. 케이블(54)은, 브레이크페달(53)의 움직임을 록캠(52)에 전달하기 위한 부재이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변속조작장치(5)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시프트레버(7)가, 중계용 시프트로(12)의 일단부인 시프트로(11)의 D포지션(11d)에 있다고 하자. 이때, 시프트레버(7)는, 제2도 및 제8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디텐트유닛(20)에 의해서, D포지션(11d)에 탄성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때, 시프트로(11)쪽으로 이동하고 있는 선택용 가동자(21)는, 이 가동자(21)로부터 밀려나오려고 하는 절도자(42)가 한쪽의 절도홈(43)에 끼워맞춤함으로써, 상기 위치에 유지된다. 즉, 절도자(42)의 움직임이 상기 절도홈(43)에 의해서 규제된다. 이와 같이 해서 선택용 가동자(21)의 움직임이 규제됨으로써, 가동자(21)를 유지하는 힘이 생긴다. 이 유지력이 선택용 암(22b)을 개재해서 시프트레버(7)에 전달됨으로써, 시프트레버(7)가 중계용시프트로(12)의 일단부 즉 시프트로(11)에 유지된다.
운전자가 D포지션(11d)이외의 다른시프트포지션(11a)∼(11c)을 선택하기 위하여, 시프트레버(7)를 시프트로(11)를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조작했다고 하자. 이 경우, 선택용 가동자(21)는 이동하지 않고, 선택용암(22b)만이 선택용가동자(21)의 관통부(39)의 구멍(38)내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즉, 시프트로(11)를 따라서 레버(7)를 전후방향으로 조작하면, 선택용 가동자(21)가 이동하지 않는 그대로, 시프트레버(7)만이 시프트로(11)를 따라서 이동한다. 록해제버튼(7c)으로부터 손을 떼는 것에 의해, 디텐트핀(7a)을 소망의 시프트포지션의 디텐트홈(16)에 걸어맞춤시키면, 자동변속모드의 소망의 시프트포지션에 시프트레버(7)가 유지된다.
자동변속모드로부터 수동변속모드로 절환하기 위하여, 시프트레버(7)를 D포지션(11d)으로부터 중계용 시프트로(12)의 타단부쪽 즉 시프트로(13)의 중립위치(13a)에 이동시켰다고 하자. 이때에는 제3도, 제11도, 제14b도, 제14d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선택용 가동자(21)는, 시프트레버(7)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시프트레버(7)가 상기한 방향으로 조작되면, 가동자(21)의 구멍(38)의 내면벽(38a)에 선택용 암(22b)의 옆가장자리가 당접함으로써, 선택용가동자(21)전체가 시프트레버(7)의 이동방향으로 압압된다. 이 때문에 선택용 가동자(21)는, 시프트레버(7)가 조작되는 방향과 동일방향, 즉 슬라이드실(36)내에 진입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해간다. 시프트레버(7)가 상기한 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할때에, 절도자(42)가 오른쪽(XR쪽)의 절도홈(43)으로부터 나와서 슬라이드실(36)의 평탄한 측면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그때까지 시프트레버(7)를 시프트로 (11)에 유지하고 있던 힘이 감소한다.
상기와 같이 절도자(42)가 절도홈(43)으로부터 탈출하면, 절도자(42)가 절도홈(43)에 끼워맞춤하고 있을때에 비해서, 유지력이 현저하게 작아진다. 이 때문에, 모드절환조작개시시에 절도감을 얻을 수 있다. 제3도와 제11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로(13)쪽으로 쓰러지면, 시프트용암(22a)은, 시프트레버(7)와 함께, 시프트레버(7)의 요동중심인 회동축(8a)을 지지점으로해서, 디텐트유닛(20)쪽으로 기울어진다. 이에 의해, 디텐트핀(7a)이 디텐트홈(16)으로부터 이탈한다. 시프트레버(7)가 중립위치(13a)에 있을때의 시프트용 암(22a)은, 디텐트유닛(20)의 위쪽에 돌출하고 있는 1쌍의 클릭체(45c)(45d)의 사이에 받아들일 수 있는 자세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로(13)쪽으로 기울어져서 중립위치(13a)에 이동하면, 시프트용암(22a)이 클릭체(45c)(45d)사이에 삽입된다. 시프트레버(7)가 중립위치(13a)에 달하면, 선택용가동자(21)의 절도자(42)가 왼쪽(XL쪽)의 절도홈(43)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그때까지 구멍(41a)내에 들어 있던 절도자(42)가 압축스프링(41)의 탄력에 의해서 절도홈(43)과 끼워맞춤하는 방향으로 밀려나온다. 절도자(42)가 이 절도홈(43)에 끼워맞춤함으로써 선택용가동자(21)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로(13)의 중립위치(13a)에 유지된다. 이에 의해, 시프트레버(7)가 자동변속모드로부터 수동변속모드로 절환되는 동새에, 절도자(42)가 가동자(21)의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하여, 모드절환조작 종료시에 절도감을 얻을 수 있다. 모드의 절환이 종료하면, 제14d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선택용가동자(21)의 가동접점(44a)이 슬라이드실(36)의 고정접점(44b)과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이에 의해, 자동변속모드로부터 수동변속모드로 절환된 것을 표시하는 신호가 트랜스미션제어장치(51)에 출력된다.
다음에, 상기 조작에 의해서 수동변속모드로 절환된 시프트레버(7)를 중립위치(13a)로부터 시프트로(13)을 따라서 조작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들면 시프트업조작을 위하여 시프트레버(7)를 시프트업포지션(13b)에 향해서 움직이게 했다고 하자. 이 경우, 제4도, 제12도 제13e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앞쪽의 클릭체(45c)가 시프트레버(7)가 함께 앞쪽으로 이동하는 시프트용암(22a)에 걸어맞춤한다. 이 클릭체(45c)는 지지축(46)을 지지점으로 해서 앞쪽으로 회동한다. 이때, 선택용가동자(21)는 절도자(42)에 의해서 수동변속모드의 위치에 유지되고 있다. 선택용암(22b)은 선택용가동자(21)의 구멍(38)에 대해서 전후방향(시프트조작방향)으로 이동자재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자동변속모드일 경우와 마찬가지로, 선택용가동자(21)는 움직이지 않는다. 즉, 제12도와 제14f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선택용 암(22b)이 가동자(21)의 구멍(38)을 슬라이딩함으로써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업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허용된다. 이에 의해 시프트레버(7)는, 자동변속모드일 경우와 마찬가지로 선택용가동자(21)와는 독립한 상태가 되고, 시프트로(13)의 시프트업포지션(13b)까지 이동할 수 있다.
제12도 및 제13e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업위치(13b)에 도달하면, 시프트용가동자(45a)의 가동접점(48a)이, 레버실(35)의 앞쪽에 위치하는 홀더(32)의 고정접점(48b)과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이에 의해,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업포지션(13b)에 조작된 것을 표시한 검출신호가 트랜스미션제어장치(51)에 출력된다. 이렇게 해서 시프트업조작이 종료한다.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다운포지션(13c)의 방향으로 조작되었을때에는, 시프트용암(22a)에 의해서 뒤쪽의 시프트용 가동자(45b)가 뒤쪽으로 회동된다. 이 경우도, 선택용 암(22b)이 가동자(21)의 구멍(38)을 슬라이딩한다. 이 때문에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다운포지션(13c)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허용된다.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다운포지션(13c)에 달하면, 시프트용가동자(45b)의 가동접점(49)이 고정접점(49b)에 접함으로써,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다운포지션(13c)에 조작된 것을 표시하는 검출신호가 트랜스미션제어장치(51)에 출력된다. 상기한 시프트업 또는 시프트다운을 표시하는 검출신호에 의거해서 트랜스미션제어장치(51)는, 자동변속기의 변속단을 변경해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모드절환용 디텐트유닛(20)은, 시프트레버(7)와는 별체로 구성된 선택용 가동자(21)(연동부재)를 사용해서 시프트레버(7)를 유지한다. 이렇게 하므로써, 시프트레버(7) 그 자체에 유지기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시프트레버(7)를 자동변속모드 또는 수동변속모드로 절환할때에 절도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시프트레버(7)의 유지기능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시프트레버(7)의 구조의 간소화가 도모되고, 그에 따라서, 시프트레버(7)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지력을 발생하는 선택용가동자(21)는, 시프트레버(7)가 제1시프트로(11)와 제3시프트로(13)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시프트레버(7)의 움직임에 추종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자동변속모드 및 수동변속모드에 있어서 시프트레버(7)를 전후방향으로 조작할때에는, 선택용가동자(21)나 절도자(42) 및 접점판(44c) 등의 중량이 시프트레버(7)에 가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자동변속모드 및 수동변속모드에 있어서의 시프트레버(7)의 조작력을 경감할 수 있고, 각 모드일때의 시프트레버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시프트로(11)(13)를 서로 평행하게 배치한 변속조작장치(5)에 있어서 디텐트유닛(20)은 시프트레버(7)의 암(22a)을 통과시키는 구멍(38)(또는 홈)을 가진 선택용 가동자(21)와, 시프트레버(7)에 설치된 선택용 암(22b)을 가지고, 또한,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로(12)를 이동할때에 암(22b)을 구멍(38)(또는 홈)의 내벽면에 당접시킴으로써 가동자(21)를 시프트로(12)를 따라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이면서 신뢰성이 높은 디텐트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수동변속모드용 시프트로(13)는, 중계용시프트로(12)의 타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중립위치(13a)를 가지고, 또한, 중립위치(13a)를 사이에 두고 전후에 각각 시프트포지션(13b)(13c)(제1시프트포지션, 제2시프트포지션)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베이스판(6)에 설치한 중립유지기구(23)(제2유지수단)에 의해 시프트로(13)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시프트레버(7)를 중립위치(13a)에서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로(13)내에서 비조작상태에 있을때에 시프트레버(7)가 항상 중립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수동변속모드에 있어서의 시프트레버(7)의 조작성이 높아진다.
중립유지기구(23)는, 제1부세수단으로서의 시프트용가동자(45a)와, 제2부세수단으로서의 시프트용가동자(45b)를 가지고 있다. 제1가동자(45a)는, 중립위치(13a)와 시프트업포지션(13b)과의 사이에 있어서 시프트레버(7)에 당접함으로써, 시프트레버(7)를 중립위치의 방향으로 부세한다. 제2가동자(45b)는, 중립위치(13a)와 시프트다운포지션(13c)과의 사이에 있어서 시프트레버(7)에 당접함으로써, 시프트레버(7)를 중립위치의 방향으로 부세한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시프트로(13)를 따라서 조작되는 시프트레버(7)의 관성모먼트의 경감이 도모된다. 이 때문에, 시프트레버(7)의 조작에 요하는 힘이 경감되고, 또한, 수동변속모드에 있어서 시프트레버(7)를 중립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1개의 본체(33)내에, 상기한 선택용 가동자(21), 시프트용가동자(45a)(45b), 유지기구(40), 중립유지기구(23), 모드스위치계(24), 시프트스위치계(25)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1개의 본체(33)에 시프트레버(7)의 선택조작 및 시프트조작에 필요한 각종 기능이 집약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텐트유닛(20)이 채용됨으로써, 시프트레버(7)에 디텐트유닛(20)을 조합시키는 것만으로도, 선택조작과 시프트조작에 필요한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디텐트유닛(20)은 서로 다른 복수종류의 형식의 변속조작장치(5)에 공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디텐트유닛(20)은 베이스판(6)에 고정하는 것만으로도 차량에의 장착이 끝나므로, 변속조작장치(5)의 조립작업이나 교환작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디텐트유닛(20)내에 모드스위치계(24)와 시프트스위치계(25)가 수용됨으로써, 디텐트유닛(20)의 장착작업을 행할때에 스위치류를 잘못해서 파손시키는 등의 불편이 방지된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표시한다. 이 실시형태는 상기한 가동접점 및 고정접점의 대신에 예를 들면, 마이크로스위치 등의 스위치(복수)를 사용하고 있다. 이들 스위치에 의해, 자동변속모드와 수동변속모드의 모드검출신호가 출력되고, 또한, 시프트업신호나 시프트다운신호도 출력된다. 구체적으로는 모드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상기한 가동접점 및 고정접점의 대신에, 케이스(30)의 외면에, 브래킷(60a)에 의해서 선택용 마이크로스위치(6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스위치(60)는 선택용 가동자(21)가 화살표 XL 또는 XR방향으로 움직였을때에 작동함으로써, 시프트레버(7)가 중계용시프트로(12)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로 이동한 것을 검출하는 것이다. 케이스(30)의 외면에 1쌍의 시프트용 마이크로스위치(62a)(62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스위치(62a)(62b)는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로(13)의 중립위치(13a)로부터 시프트업포지션(13b) 또는 시프트다운포지션(13c)으로 이동했을때에 ON/OFF작동하는 것이다. 스위치(62a)(62b)의 각 작동기(61)는, 클릭체(45c)(45d)사이의 간격t와 대응하는 위치의 전후양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를 표시한다. 이 실시형태는 선택용 가동자(21)의 일부를 시프트레버(7)에 직접 당접시킴으로써, 가동자(21)가 화살표X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가동자(21)는 슬라이드실(36)내에 X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암부(65a)와 제1암부(65a)의 외단부로부터 시프트레버(7)를 향하고 또한 시프트로(11)(13)를 따라서 뻗은 제2암부(65b)를 가지고, 대략 ㄴ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암부(65b)에는 시프트로(11)(13)를 따르는 방향으로 뻗은 긴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긴구멍(66)에 시프트레버(7)가 삽통되어 있다. 시프트레버(7)가 시프트로(12)를 화살표X방향으로 이동하면, 시프트레버(7)의 외주면이 긴구멍(66)의 내벽면에 당접한다. 이 때문에, 가동자(21)의 제1암부(65a)가 시프트로(12)를 따라서 X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형상의 선택용가동자(21)를 사용해도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제17도내지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를 표시한다. 이 실시형태는, 가동접점 및 고정접점이 모듈스위치(슬라이드형 스위치)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선택용 가동자(21)는, 그 기부(21a)에 아래쪽으로 개구하는 개구부(21b)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드실(36)의 하면에, 모듈스위치(67)가 설치되어 있다. 제18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모듈스위치(67)는 수용체(68)를 가지고 있다. 수용체(68)의 기반(69)에 고정접편(70a)(70b)(70c)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접편(70b)에 접점지지대(71)가 설치되어 있다. 접점지지대(71)에 의해서 요동접편(72)이 요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쪽의 고정접편(70a)은 항상 개방용고정접편이고, 다른쪽의 고정접편(70c)는 항상 폐쇄용 고정접편이다.
수용체(68)에 조작체(73)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체(73)는 선택용가동자(21)의 이동방향(화살표X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조작체(73)에는, 그 대략 중앙위치에 있어서 위쪽으로 뻗어나온 원통형상의 조작자(73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자(73a)는 수용체(68)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74)를 관통해서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조작자(73a)의 상부는 선택용가동자(21)의 개구부(21b)내에 삽입되어 있다. 개구부(74)는 선택용가동자(21)의 상기 이동방향을 따라서 개구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자(73a)는 가동자(21)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이동자재하다. 조작자(73a)는, 조작자(73a)의 내부에 형성된 수직방향의 관통구멍(73b)을 가지고 있다. 구멍(73b)의 내부에 볼(75)과, 볼(75)을 요동접편(72)쪽으로 부세하는 압축스프링(76)이 삽입되어 있다. 조작자(73a)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밀봉용돌기(73c)에 열을 가해서 변형시킴으로써, 스프링(76)의 빠짐방지가 이루어지고 있다.
요동접편(72)은, 접점지지대(71)에 의해서 지지되는 위치로부터 약간 떨어진 중립위치N1이 낮아지는 단면 대략 V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볼(75)은, 요동접편(72)의 V형상바닥면을 위쪽으로부터 압압하고 있다. 조작체(73)의 이동방향의 한쪽편과, 이것에 마주보는 조작체(73)의 측벽과의 사이에 압축스프링(7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77)은, 항상, 조작체(73)를 중립위치N1를 향해서 부세하고 있다. 시프트레버(7)가 자동변속모드에 있을때에, 조작체(73)가 압축스프링(77)의 탄력에 의해 중립위치N1에 유지된다. 조작체(73)가 중립위치N1에 있을 때, 요동접편(72)의 일단부가 항상 폐쇄용 고정접편(70c)에 당접함으로써, 고정접편(70a)과 요동접편(72)은 전기적으로 비도통이 된다. 제18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레버(7)가 자동변속모드로부터 수동변속모드로 절환되면, 선택용가동자(21)가 슬라이드실(36)내를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개구부(21b)의 벽면이 조작체(73)에 당접하기 위하여, 압축스프링(77)의 탄력에 대항해서 조작체(73)가 왼쪽위치L(제19도에 표시한다)까지 슬라이드한다. 이 때문에 요동접편(72)이 볼(75)에 밀림으로써 왼쪽으로 이동하고, 요동접편(72)의 타단부가 항상 개방용 고정접편(70a)에 당접함으로써 양자가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상기 모듈스위치(67)에 의해서 얻어지는 도통 또는 비도통의 신호에 의거해서, 시프트레버(7)가 자동변속모드에 있는지 수동변속모드에 있는지가 검출된다.
제17도에 시프트용 가동자(45a)(45b)의 변형예가 표시되고 있다. 이 시프트용가동자(45a)(45b)의 옆에 상기 모듈스위치(67)와 마찬가지의 스위치(67a)가 설치되어 있다. 시프트용가동자(45a)(45b)가 전후방향으로 요동하면, 스위치(67a)에 의해서 도통 또는 비도통의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모듈스위치(67a)는, 상기한 제18도 및 제19도의 스위치(67)과 동일한 구조이므로, 서로 공통하는 개소에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17도에 표시된 시프트용가동자(45a)(45b)와 모듈스위치(67a)에 의해, 시프트업신호 또는 시프트다운신호가, 트랜스미션제어장치(51)에 출력된다. 또한, 항상 폐쇄용 고정접편(70c)은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제15도∼제19도에 있어서, 상기한 제1실시형태와 공통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했다.
이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제1시프트로(11)와 제3시프트로(13)가 평행관계에 있는 변속조작장치를 사용한 예를 들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진 변속조작장치이면, 시프트로(11)(13)가 서로 평행이 아니어도 된다. 상기 상기형태(복수)에서는, 수동변속모드일때에 사용되는 제3시프트로(13)에 있어서, 시프트레버(7)는 제2유지수단에 의해서 중립위치에만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제3시프트로(13)에 있어서 시프트레버(7)는 중립위치 이외의 각시프트포지션에서 유지되도록 해도 되고, 각 시프트포지션과 중립위치의 쌍방에 유지되도록 해도 된다. 수동변속모드일때에 사용되는 제3시프트로(13)는, 일본국 특개평 3-103649호 공보에 표시된 바와 같이 3개 이상의 시프트포지션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상기한 실시형태(복수)의 제3시프트로(13)는, 시프트업 및 시프트다운만을 조작하기 위한 것이지만, 제3시프트로(13)의 시프트포지션은 특정한 변속단을 설정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복수단 설치해도 된다.
그밖의 이점 및 변형예는 당업자에 있어서 용이하게 생각나게 될 것이다. 이 발명의 보다 넓은 개념은, 특정한 상세한 대표적 장치나, 여기서 기재된 도시에는 한정되는 성질의 것은 아니다. 즉 이 발명의 여러 가지 변형예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 및 그것과 마찬가지의 것에 의해 규정된 큰 발명의 개념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프트레버자체에 유지기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자동변속모드와 수동변속모드의 절환에 관한 시프트레버의 절도감과 시프트레버의 유지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결과, 시프트레버의 간소화가 도모되고, 시프트레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지력을 전달하는 연동부재는, 제1경로 및 제3경로를 이동할때의 시프트레버의 움직임에 대해서 자유롭기 때문에, 자동변속모드 및 수동변속모드를 조작할때의 레버조작에 연동부재의 중량등이 부담되지 않아도 되고, 자동 및 수동변속모드를 조작할때의 조작력의 경량화가 도모되고, 각 모드에 있어서의 레버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0)

  1. 차량의 차체에 장비되는 자동변속기를 조작하기 위한 변속조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대하여 요동자재하게 지지되는 시프트레버(7)와, 상기 시프트레버(7)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경로수단(gate means)으로서, 차량의 운전상태에 따라서 상기 변속기의 변속단의 절환이 자동적으로 행해지는 자동변속포지션을 포함한 복수의 시프트포지션(11a,11b,11c,11d)이 설정되고 또한 이들 시프트포지션의 어느 하나에 상기 시프트레버(7)가 위치했을때에 이 포지션(11a,11b,11c,11d)에 대응한 상기 변속단이 선택되는 제1경로(first gate)(11)와,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일단부가 상기 제1경로(11)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제1경로(11)와 다른 방향으로 뻗은 제2경로(second gate)(12)와, 상기 제2경로(12)의 상기 타단부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2경로(12)와 다른 방향으로 뻗은 동시에 수동조작용 시프트포지션(13b,13c)이 설정된 제3경로(third gate)(13)를 가진 경로수단과, 상기 차체에 설치된 지지수단(20)과, 상기 지지수단(20)에 의해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시프트레버(7)가 상기 제2경로(12)를 따라서 이동할때에는 상기 시프트레버(7)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시프트레버(7)가 상기 제1경로(11) 및 제3경로(13)를 따라서 이동할때에는 상기 시프트레버(7)의 움직임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제2경로(12)를 따른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도록 상기 시프트레버(7)에 걸어맞춤시킨 연동부재(21)와, 상기 지지수단(20)과 상기 연동부재(21)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시프트레버(7)가 상기 제2경로(12)를 따라서 이동할때에 제2경로(12)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레버(7)를 유지하는 유지력을 발생시키는 유지수단(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조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40)은, 상기 시프트레버(7)가 상기 제2경로(12)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위치했을때에 서로 대향하는 절도자(42) 및 오목부(43)와, 이 절도자(42)를 상기 오목부(43)를 향해서 부세하는 스프링(41)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조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경로(13)는, 상기 제2경로(12)의 타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중립위차(Neutral position)(13a)를 가지고, 또한 상기 중립위치(13a)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3경로(13)의 일단부쪽에 제1시프트포지션(13b)을 가진 동시에 타단부쪽에 제2시프트포지션(13c)을 가지고 또한 상기 지지수단(20)은, 상기 시프트레버(7)가 상기 제3경로(13)를 이동할때에 시프트레버(7)와 걸어맞춤함으로써 시프트레버(7)를 상기 제3경로(13)의 포지션(13a,13b,13c)중의 특정한 포지션에 유지시키는 제2유지수단(23)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조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지수단(23)은, 상기 중립위치(13a)와 상기 제1시프트포지션(13b)과의 사이에서 시프트레버(7)와 걸어맞춤함으로써 시프트레버(7)를 중립위치(13a)쪽으로 부세하는 제1부세수단(45a,47a)과, 상기 중립위치(13a)와 상기 제2시프트포지션(13c)과의 사이에서 시프트레버(7)과 걸어맞춤함으로써 시프트레버(7)를 중립위치(13a)쪽으로 부세하는 제2부세수단(45b,47b)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조작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지수단(23)은 상기 제3경로(13)를 따른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설치된 1쌍의 시프트용가동자(45a,45b)와, 이들 시프트용가동자(45a,45b)를 서로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47a,47b)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시프트레버(7)는 상기 1쌍의 시프트용 가동자(45a,45b)의 사이에 삽입가능한 시프트용암(22a)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조작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0)은, 차체에 장착되는 변속조작부의 기체(6)와, 이 기체(6)에 재치되는 디텐트유닛(20)을 포함하고, 이 디텐트유닛(20)은, 상기 제3경로(13)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시프트레버(7)가 상기 제1시프트포지션(13b)에 이동했을때에 시프트다운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시프트레버(7)가 상기 제2시프트포지션(13c)에 이동했을 때에 시프트라운신호를 출력하는 시프트검출수단(25)과, 상기 시프트레버(7)가 자동변속모드에 있는지 수동변속모드에 있는지를 상기 연동부재(21)의 위치에 따라서 검출하는 모드검출수단(24)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조작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0)은, 차체에 장착되는 변속조작부의 기체(6)와, 이 기체(6)에 재치되는 디텐트유닛(20)을 포함하고, 이 디텐트유닛(20)은, 상기 제3경로(13)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시프트레버(7)가 상기 제1시프트포지션(13b)에 이동했을때에 시프트다운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시프트레버(7)가 상기 제2시프트포지션(13c)에 이동했을 때에 시프트다운신호를 출력하는 시프트검출수단(25)과, 상기 시프트레버(7)가 자동변속모드에 있는지 수동변속모드에 있는지를 상기 연동부재(21)의 위치에 따라서 검출하는 모드검출수단(24)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조작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로(11)와 상기 제3경로(13)는 서로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2경로(12)는 상기 제1경로(11) 및 제3경로(13)에 대하여 대략 직교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조작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21)는, 상기 지지수단(20)에 의해서 상기 제2경로(12)를 따라서 이동자재하게 유지되는 선택용가동자(21)로 이루어지고, 이 가동자(21)에는 상기 제1경로(11)를 따르는 방향의 구멍(38)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시프트레버(7)는 상기 제1경로(11)를 따른 방향으로 뻗은 선택용암(22b)을 구비하고 있고, 이 선택용암(22b)이 상기 선택용가동자(21)의 상기 구멍(38)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조작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21)는, 상기 지지수단(20)에 의해서 상기 제2경로(12)를 따라서 이동자재하게 유지되는 제1암부(65a)를 가진 선택용가동자(21)로 이루어지고, 이 가동자(21)에는 상기 시프트레버(7)가 상하방향으로 삽통되고 또한 상기 제1경로(11)의 방향으로 뻗은 긴구멍(6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조작장치.
KR1019970000580A 1996-01-11 1997-01-11 차량의 변속조작장치 KR100226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076 1996-01-11
JP8003076A JP2916889B2 (ja) 1996-01-11 1996-01-11 車両の変速操作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540A KR970059540A (ko) 1997-08-12
KR100226121B1 true KR100226121B1 (ko) 1999-10-15

Family

ID=11547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580A KR100226121B1 (ko) 1996-01-11 1997-01-11 차량의 변속조작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45535A (ko)
EP (1) EP0784169B1 (ko)
JP (1) JP2916889B2 (ko)
KR (1) KR100226121B1 (ko)
DE (1) DE69706449T2 (ko)
MY (1) MY118399A (ko)
TW (1) TW3315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2213A (en) * 1995-06-27 2000-07-04 Scandmec Ab Control device for the transmission of a vehicle
JP3447482B2 (ja) * 1996-08-29 2003-09-16 ナイルス株式会社 車両の変速操作装置
DE29711365U1 (de) * 1997-06-30 1997-08-21 Haefele Gmbh & Co Fußbeschlag für ein Wandklappbett
JP3558111B2 (ja) * 1997-08-29 2004-08-25 富士機工株式会社 自動変速機操作装置
KR19990072573A (ko) * 1998-02-16 1999-09-27 그라우엘 안드레아스 자동차의파워트레인에서사용하기위한변속기
US6000296A (en) * 1998-03-30 1999-12-14 Chrysler Corporation Gated selector lever and controls for automatic transmission and transfer case
DE19844276C2 (de) * 1998-09-26 2000-11-09 Porsche Ag Wähleinrichtung für ein Fahrzeug-Getriebe sowie Schaltermodul hierzu
DE19924791C1 (de) * 1999-05-29 2001-02-08 Deere & Co Schalt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getriebe
WO2001008919A1 (en) * 1999-07-29 2001-02-08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Shifter with park lock and neutral lock
JP4548751B2 (ja) * 1999-10-08 2010-09-22 ナイルス株式会社 車両用シフトスイッチ装置
NO312564B1 (no) * 2000-01-25 2002-05-27 Kongsberg Automotive Asa Girskifteanordning for kjöretöyer
JP2001248716A (ja) * 2000-03-07 2001-09-1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シフト制御装置
DE10015079C2 (de) * 2000-03-28 2002-01-24 Zf Lemfoerder Metallwaren Ag Schaltvorrichtung für ein Automatikgetriebe eines Kraftfahrzeuges
DE10022433B4 (de) * 2000-05-09 2006-07-13 Daimlerchrysler Ag Wählhebelvorrichtung
KR100380064B1 (ko) * 2000-09-04 2003-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용 셀렉터 레버유닛의 쉬프트 스위치 조작장치
KR100380059B1 (ko) * 2000-09-04 2003-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용 셀렉터 레버유닛의 쉬프트 스위치 조작장치
JP4668439B2 (ja) * 2001-03-12 2011-04-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レバー装置
DE10157393B4 (de) * 2001-11-23 2013-05-16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Schaltungen eines automatischen Getriebes eines Kraftfahrzeuges
EP1333199B1 (de) * 2002-01-31 2007-01-24 Schaeffler KG Vorrichtung zum Erhöhen einer Wählkraft
JP4205372B2 (ja) * 2002-06-28 2009-01-07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セレクトシステム
US6786108B2 (en) * 2002-08-12 2004-09-07 Taiwan Power Industrial Co., Ltd. Gear lever clutching structure for prevention of gear slip
KR100456892B1 (ko) * 2002-08-13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셀렉트레버 비를 갖는 변속레버 장치
AU2002951613A0 (en) 2002-09-24 2002-10-10 M.T.M. Pty Ltd A shift lever assembly
US20040168537A1 (en) * 2003-02-28 2004-09-02 Teleflex Incorporated Shifter assembly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USPP15990P3 (en) * 2003-04-23 2005-09-20 J. C. Bakker & Sons Limited Lilac plant named ‘Golden Eclipse’
US7393304B2 (en) 2003-05-15 2008-07-01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Shifter with gear position indicator
US7221248B2 (en) * 2003-05-15 2007-05-22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Solenoid with noise reduction
JP4442854B2 (ja) * 2003-06-09 2010-03-3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レンジ位置表示装置
DE102004006150B3 (de) * 2004-02-07 2005-09-15 Teleflex Automotive Germany Gmbh Steuereinrichtung zur elektronischen Schrittschaltsteuerung für Automatikgetriebe
JP2005306276A (ja) * 2004-04-23 2005-11-04 Tokai Rika Co Ltd 二方向回動検出装置及びシフトレバー装置
US7328782B2 (en) 2004-07-26 2008-02-12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Company, A Division Of Jsj Corporation Vehicle shifter with powered pawl having neutral lock
US7568404B2 (en) 2004-07-26 2009-08-04 Ghsp, A Division Of Jsj Corporation Shifter having neutral lock
JP4575849B2 (ja) * 2005-06-14 2010-11-04 ミック電子工業株式会社 シフトスイッチ
JP4832883B2 (ja) * 2005-12-19 2011-12-07 富士機工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シフト位置表示装置
JP2008105584A (ja) * 2006-10-26 2008-05-08 Tokai Rika Co Ltd シフトレバー装置
JP4754459B2 (ja) * 2006-10-31 2011-08-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駆動切換えレバー構造
US8371188B2 (en) * 2008-10-02 2013-02-12 Kongsberg Driveline Systems I, Inc. Transmission control assembly having a locking mechanism
JP5643034B2 (ja) 2010-09-10 2014-1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イッチユニット、車輌用スイッチユニット
DE102010053534A1 (de) * 2010-12-04 2012-06-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Äußere Schaltung für ein Handschaltgetriebe
US8656802B2 (en) * 2011-09-30 2014-02-25 Kongsberg Automotive Ab Shifter assembly for providing mechanical and electronic actuation to a transmission of a vehicl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hifter assembly
JP5995689B2 (ja) * 2012-11-29 2016-09-2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JP5921421B2 (ja) * 2012-11-29 2016-05-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US9676079B2 (en) 2013-03-11 2017-06-13 Stanley Black & Decker, Inc. Clamp
RU2551786C1 (ru) * 2013-03-21 2015-05-27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елорусско-Россий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електор режимов управлени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трансмиссией автомобиля
DE102014205248A1 (de) * 2014-03-20 2015-09-24 Zf Friedrichshafen Ag Wählhebelrückstellvorrichtung für ein Fahrzeuggetriebe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solchen Wählhebelrückstellvorrichtung
DE102014210126A1 (de) * 2014-05-27 2015-12-03 Zf Friedrichshafen Ag Gangwahleinheit für ein Automatikgetriebe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Gangwahleinheit
CN105090473A (zh) * 2015-08-31 2015-11-25 德韧干巷汽车系统(上海)有限公司 一种模块化的微动开关
JP6698043B2 (ja) * 2017-03-14 2020-05-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KR102324753B1 (ko) * 2017-03-16 2021-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
CN112937294B (zh) * 2021-03-31 2022-09-06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换挡底座总成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2450A (en) * 1963-11-06 1966-12-20 George H Hurst Gear shifting apparatus
DE3807881A1 (de) * 1988-03-10 1989-09-21 Porsche Ag Schaltvorrichtung fuer ein automatik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US5070740A (en) * 1988-03-10 1991-12-10 Dr. Ing. H.C.F. Porsche Ag Shifting arrangement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JPH02275176A (ja) * 1989-04-14 1990-11-09 Hino Motors Ltd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遠隔操作装置
JPH03153957A (ja) * 1989-11-09 1991-07-01 Aisin Aw Co Ltd 車両用自動変速機の手動選択装置
EP0575658B1 (en) * 1992-06-30 1998-10-28 Aisin Aw Co., Ltd. Shift system having a manual speed selecting mechanism for a vehicular automatic transmission
DE4421534A1 (de) * 1994-06-20 1995-12-21 Schaeffler Waelzlager Kg Rastvorrichtung
DE4426207C5 (de) * 1994-07-23 2008-08-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Wähleinrichtung für ein Automatik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EP0736408B1 (de) * 1995-04-08 1999-01-13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Wählhebelanordnung für automatische Getriebe für Kraftfahrzeuge mit manueller Schaltmöglichkeit
DE19549437C2 (de) * 1995-07-17 1999-06-10 Lemfoerder Metallwaren Ag Schaltvorrichtung für ein automatisches 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540A (ko) 1997-08-12
JPH09196153A (ja) 1997-07-29
DE69706449T2 (de) 2002-04-11
MY118399A (en) 2004-10-30
JP2916889B2 (ja) 1999-07-05
EP0784169A3 (en) 1998-05-20
EP0784169B1 (en) 2001-09-05
TW331546B (en) 1998-05-11
EP0784169A2 (en) 1997-07-16
DE69706449D1 (de) 2001-10-11
US5845535A (en) 1998-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6121B1 (ko) 차량의 변속조작장치
JP5086130B2 (ja) 自動車用変速機のシフト装置
JP4068393B2 (ja) シフト装置
JP5319676B2 (ja) シフトキャリッジロック機構を備えた操作装置
KR100380064B1 (ko) 자동변속기용 셀렉터 레버유닛의 쉬프트 스위치 조작장치
EP1314916A2 (en) Shift lock device
JP4886606B2 (ja) レバー装置
JP3486339B2 (ja) 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JP2001246956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6060962B2 (ja) 車両用シフト装置
JP3453306B2 (ja) 回動ノブを備えた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US11906038B2 (en) Shifter mechanism with manual shift function
JP3216414B2 (ja) 自動変速機の操作レバ−装置
JP3397701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4036979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構造
JP3592859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入力装置
JP6079769B2 (ja) 車両用シフト装置
JPH10309955A (ja) 自動変速装置の変速操作装置
KR100412853B1 (ko) 자동변속기의 시프트레버 어셈블리
JP2876089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手動選速機構付シフト装置
JP3592858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入力装置
JP2000055198A (ja) 自動変速機のレンジ切換装置
JP3208347B2 (ja) 自動変速機用ゲート式シフトレバー装置
JP4468655B2 (ja) 車両のシフト装置
JP3742187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