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895B1 - 판형상 제품의 천공방법 및 그 장치와 구멍 위치 검출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판형상 제품의 천공방법 및 그 장치와 구멍 위치 검출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895B1
KR100221895B1 KR1019970037293A KR19970037293A KR100221895B1 KR 100221895 B1 KR100221895 B1 KR 100221895B1 KR 1019970037293 A KR1019970037293 A KR 1019970037293A KR 19970037293 A KR19970037293 A KR 19970037293A KR 100221895 B1 KR100221895 B1 KR 100221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eference hole
product
mark
ji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571A (ko
Inventor
쯔또무 사이또
Original Assignee
야마무라 가쯔미
세이꼬 프레시젼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무라 가쯔미, 세이꼬 프레시젼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무라 가쯔미
Publication of KR980008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GAPPARATUS FOR BRONZE PRINTING, LINE PRINTING, OR FOR BORDERING OR EDGING SHEETS OR LIKE ARTICLES; AUXILIARY FOR PERFORATING IN CONJUNCTION WITH PRINTING
    • B41G7/00Auxiliary perforating apparatus associated with prin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44Mechanical working of the substrate, e.g. drilling or punching

Landscapes

  • Drilling And Bo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Machine Tool Sensing Apparatuse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이동 수단의 작동 정밀도에 관계없이 고정밀도의 위치 검출을 행한다.
지그판(4)과 기판(P)을 고정시키고, 기판(P)의 한 쌍의 마크(M)가 한 쌍의 촬상 수단의 촬상 영역으로 들어가도록 이동시킨다. 마크(M)와 기준구멍(A1)을 촬상하고 각각의 중심 위치를 산출한다. 이 결과, 기판(P)과 지그판(4)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알 수 있다. 즉, 기준구멍(A1)의 각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 각 마크(M)를 연결하는 직선이 어느정도 어긋나 있는가를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기준구멍(A2)이 한 쪽의 촬상수단의 촬상 영역내에 들어가도록 기판(P)을 이동한다. 천공 위치는 기준구멍(A2)내에 위치되어 있다. 기준구멍(A2)을 쵤상하여 그 중심 위치를 구한다. 기준구멍(A1)과 기준구멍(A2)의 위치 관계는 미리 판명되어 있고 지그판(4)과 기판(P)의 위치 관계도 알고 있으므로 기준구멍(A2)내에 있어서 구멍을 뚫어야 할 위치가 판명된다.

Description

판형상 제품의 천공방법 및 그 장치와 구멍 위치 검출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인쇄기판 등의 판형상 제품의 천공방법 및 그 장치와 구멍 위치 검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패턴이 형성된 기판(내층판)을 복수개 겹쳐서 고착하므로서 한개의 다층 인쇄 기판을 제조하고 있다. 이 때, 각 기판의 패턴끼리의 위치가 어긋나면, 다층 기판으로서 희망하는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불량이 되기 때문에, 각 기판의 소정 위치에 최소한 두개의 안내구멍을 설치하고, 이 안내구멍에 지그 안내축을 삽통하므로서 각 기판을 위치 맞춤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기판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안내구멍은 겹쳐지는 기판의 위치 정밀도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므로 고정밀도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기준 구멍을 천공 방법으로서 회로 패턴을 인쇄할 때에 미리 식별용 마크를 붙여두고, 이 마크를 천공 장치에 설치된 CCD카메라나 X선 카메라 등의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하고, 이것을 화상 처리하여, 그 결과로부터 구해진 마크의 중심 위치나 또는 이 중심 위치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드릴 등의 천공수단을 이동시켜서 구멍을 뚫고 있다.
이와 같은 천공을 행하는 장치로서, 인쇄기판의 식별용 마크의 위치에 대향하도록 촬상 수단을 구비하고, 이 촬상 수단과 떨어진 위치에 복수의 천공 수단을 갖춘 것이 있다. 이것은 식별용 마크의 중심 위치와 천공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미리 천공 수단이 천공 위치와 거의 대향하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촬상 수단과 천공 수단과의 위치 관계를 정해두고, 마크의 촬상 결과와 촬상 수단 및 천공 수단의 위치 관계에 의거해서, 천공 수단과 천공 위치와의 어긋남을 구하고 이것을 엄밀히 일치시키도록 미소조정하여 구멍을 뚫는 것이다. 이 동작을 복수의 장소에서 동시에 행하여, 복수의 천공 수단에 의해 동시에 다수의 천공 수가 있다.
다른 천공 장치로서는 촬상 수단과 천공 수단이 유닛화되고 일체화되어 있어 차례로 천공 위치로 이동하는 것도 있다.
또 화상 처리에 의하지 아니하고 수치 제어로 천공을 행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위치에 구멍을 뚫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것이 요망된다.
상기한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전자의 경우는 촬상 수단과 천공 수단의 위치관계를 정확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고, 이것은 촬상수단이나 천공 수단의 위치가 변화한 경우 등에는 그때 그때 수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환경의 변화 등에 약하고 경시적으로 정밀도가 저하되기 쉬운 것이다.
또한 후자의 경우는 유닛화된 촬상 수단 및 천공 수단을 천공 위치에 차례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이 유닛을 넓은 범위에 걸쳐서 매우 정밀도가 좋게 이동시킬 필요가 있어서 고정밀도인 XY 이동 수단(XY테이블)이 필요하게 되므로 고가가 되는 것이다.
또한 이미 제품에 설치되어 있는 구멍부의 위치를 측정하는 경우에, 촬상 수단을 XY이동수단에 탑재하여 이것을 구멍부 위치까지 이동시켜서 촬상하고, 화상처리에 의해 촬상 영역내에 있어서의 구멍부의 중심위치를 구하고 있다. 그래서, XY이동수단의 작동량과 촬상 영역내에 있는 구멍부의 중심 위치에 의거해서 제품상에 있는 구멍부의 중심 위치를 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촬상 수단을 넓은 범위에 걸쳐서 정밀도가 좋게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XY이동수단의 작동량이 중심 위치 검출을 위한 연산 데이타로 되기 때문에, XY이동수단의 작동 오차가 있으면 확실하게 위치 검출 정밀도가 저하된다. 그 때문에 대형이지만 정밀도가 좋은 XY이동수단이 필요하여 가격이 높아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판형상 제품의 천공 및 구멍 위치 검출의 어느 경우에도 XY이동수단의 작동량은 연산을 위한 데이타로서는 사용하지 아니하고 이동후에 촬상한 지그판의 기준구멍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XY이동수단 자체는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지 아니하고 염가인 것이 사용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천공 방법은, 3개 이상의 기준구멍이 설치된 지그판을 사용하며, 한 쌍의 식별용 마크가 설치된 판 형상 제품을 상기 마크가 기준 구멍중 어느 한 쪽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지그판과 겹쳐서 일체적으로 유지하고, 상기 한 쌍의 마크를 상기 기준구멍을 거쳐서 각각 촬상하고, 화상 처리에 의해 상기 기준구멍의 중심과 마크의 중심을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와 미리 판명되어 있는 기준구멍간의 간격에 의거해서 상기 지그판과 제품과의 상대 위치 관계를 구하고, 상기 마크와 대향하는 것이외의 기준구멍을 거쳐서 희망하는 천공 위치가 촬상 수단의 촬상범위에 들어가도록 제품을 쵤상수단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하고, 그 후에, 천공 위치와 대향하는 기준구멍의 중심을 화상 처리에 의해 검출하여 이 검출결과와, 미리 판명되어 있는 마크와 대향하는 기준구멍과 천공 위치와 대향하는 기준구멍간의 간격과, 상기 지그판과 제품과의 상대 위치관계에 의거해서 제품의 천공 위치를 구하고, 천공 수단에 의해 상기 지그판의 기준구멍을 거쳐서 제품의 천공 위치에 구멍을 뚫는 것이다.
그래서, 그 때문에 천공장치는, 한 쌍의 식별용 마크가 설치된 판형상 제품과 일체적으로 유지되는 지그판과, 상기 지그판에 3개 이상 설치되어 있고, 그 중 2개 이상은 한 쌍의 마크와 각각 대향가능하고, 그 밖에 제품의 희망하는 천공 위치와 대향 가능한 것을 포함하고 서로의 위치관계가 미리 판명되어 있는 기준구멍과, 상기 기준구멍과 마크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제품을 촬상 수단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의 촬상결과에 의거하여 기준구멍의 중심 위치 및 마크의 중심 위치를 구하는 화상 처리 수단과, 상기 마크와 대향하는 기준구멍의 중심 위치와 마크의 중심 위치와 미리 판명되어 있는 기준구멍간의 간격에 의거하여, 지그판과 제품과의 상대 위치 관계를 구할 수 있음과 동시에 , 천공 위치와 대향하는 기준구명의 중심 위치와, 미리 판명되어 있는 마크와 대향하는 기준구멍과, 천공 위치와 대향하는 기준구멍 사이의 간격과, 상기 지그판과 제품과의 상대 위치관계에 의거하여 제품의 천공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연산 수단과, 상기 지그판의 기준구멍을 거쳐서 제품의 천공 위치에 구멍을 뚫는 천공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구멍의 위치 검출 방법은 상기한 천공 방법과 같이 지그판과 제품과의 상대 위치 관계를 구한 후 기준구멍을 거쳐서 구멍부가 촬상수단의 촬상 범위에 들어가도록 제품을 촬상 수단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킨 후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하고 그 후 구멍부와 기준구멍의 중심을 화상 처리에 의해 검출하고 이 검출결과와 미리 판명되어 있는 마크와 마주하는 기준구멍과 천공 위치와 마주하는 기준구멍 사이의 간격과 지그판과 제품과의 상대 위치관계에 의거해서 제품상에 있는 구멍부의 위치를 구하는 것이다.
그래서 그 장치는 한 쌍의 식별용 마크와 구멍부가 설치된 판형상 제품이 일체적으로 유지되는 지그판과, 상기 지그판에 3개 이상 설치되어 있고 그 중의 2개 이상은 한 쌍의 마크와 각각 대향가능하며 그 밖에 상기 구멍부와 대향가능한 것을 포함하고 서로의 위치관계가 미리 판명되어 있는 기준구멍과, 상기 기준구멍과 마크 및 구멍부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제품을 촬상 수단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의 촬상결과에 의거해서 기준구멍의 중심 위치와 마크의 중심 위치 및 구멍부의 중심 위치를 구하는 화상 처리수단과, 상기 마크와 대향하는 기준구멍의 중심 위치와 마크의 중심 위치 및 미리 판명되어 있는 기준구멍간의 간격에 의거하여, 상기 지그판과 제품과의 상대 위치 관계를 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구멍부와 대향하는 기준구멍의 중심 위치와, 상기 구멍부의 중심 위치와, 미리 판명되어 있는 마크와 대향하는 기준구멍과 구멍부와 대향하는 기준구멍간의 간격과, 지그판과 제품과의 상대 위치 관계에 의거하여 제품상에 있는 구멍부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연산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 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1도에 도시한 천공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1도에 도시한 천공 장치의 블록도.
제4도는 제품과 지그판의 위치관계를 구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5도는 천공위치를 구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6도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구멍위치 검출공정을 도시하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XY 이동 수단(이동 수단) 4 : 지그판
5 : 촬상수단 6 : 천공수단
11 : 화상 처리 수단 13 : 연산수단
P : 기판(판형상 제품) A1, A2 : 기준 구멍
H : 천공 위치 H' : 구멍부
M, M' : 식별용 마크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공 장치의 정면도를 도1에, 평면도를 도2에, 블록도를 도3에 도시하고 있다. 베이스(2)에는 XY이동수단(3)이 설치되어 있다. 즉,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에 의해 구동되어, 테이블(7)은 베이스(2)상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8)을 따라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모터 등으로 구동되어, 작업 테이블(1)은 테이블(7)상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11)을 따라 도2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 테이블(1)은 베이스(2)상에서 XY방향으로 넓은 범위에 걸쳐서 이동이 자유롭다. 작업 테이블(1)상에는 기판(판형상 제품 : P)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천공 기준이 되는 지그판(4)이 경첩(9)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작업 테이블(1)의 상부에는 베이스(2)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촬상 수단(5 : 설치 수단에 대해서는 생략한다)이 있고, 한 쌍의 촬상 수단(5)의 일측은 실질적으로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고 타측의 촬상 수단은 여러가지 크기의 기판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작업 테이블의 하부에는 고정측 촬상 수단과 대향하는 위치에 단일의 천공 수단(6)이 있다. 천공 수단(6)은 소형의 XY이동수단(10)사에 설치되어 있고 XY방향으로 미소한 범위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XY이동수단(10)은 XY이동수단(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나 그것의 이동 범위가 작은 것이다.
지그판(4)에는 내부에 기판(P)의 식별 마크(M)가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기준구멍(A1)과 기판의 구멍을 뚫어야 할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기준구멍(A2)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로 1개 씩의 기준구멍(A1)과 지그판(4)의 상변에 거쳐서 3개, 하변에 거쳐서 3개의 기준구멍(A2)을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그판(4)은 경첩(9)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나 경첩(9)에 의해 지그판(4)을 개방한 상태를 도1의 좌측에 파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작업 테이블(1)상에 직접 기판(P)을 재치하고, 그 다음 지그판을 닫아주므로서 기판(P)은 지그판(4)과 작업 테이블(1)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렇게 해서 기판(P)은 지그판(4)과 일체로 베이스(2)위를 이동하게 된다.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들은 제어 수단(CPU : 12)에 의해 제어되고 1쌍의 촬상 수단(5)의 촬상 결과는 화상 처리 수단(11)으로 보내진다. 또한, 중심위치 검출 등을 위한 연산을 하는 연산 수단(13)이 제어 수단(12)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해 구멍을 뚫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먼저 상술한 대로 기판(P)을 작업 테이블(1)상에 셋팅시키고 개폐가 가능한 지그판(4)을 닫아 기판(P)을 고정한다. 이로서 기판(P)과 지그판(4)은 일체로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 테이블(1)을 기판(P)의 1쌍의 식별용 마크(M)가 1쌍의 촬상수단(5)의 촬상 영역에 각각 들어가도록 XY 이동 수단(3)으로 이동시킨다. 양 마크(M)가 각각의 촬상 영역에 들어가면 마크(M)와 지그판(4)의 기준구멍(A1)을 동시에 촬상하고 화상 처리 수단(11) 및 연산 수단(13)에 의해 각각의 중심 위치를 산출한다. 이 결과 기판(P)과 지그판(4)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알 수 있다. 즉, 도4(도4에서는 기준구멍(A2)이 생략되어 있다)에 있어서 좌측의 기준구멍(A1)의 중심에 대한 마크(M)의 중심 위치의 어긋난 양이 판명되고 동일하게 우측의 기준구멍(A1)의 중심에 대한 마크(M)의 중심 위치의 어긋난 양이 판명된다. 이들에 의거해서 기준구멍(A1)의 중심 끼리를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 마크(M)끼리를 연결하는 직선이 어느만큼 어긋나 있는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도4에 있어서, 각도 θ, X 방향의 거리 d(=(d1+d2)/2)만큼 어긋나 있고, 상술하지 아니하였으나 Y방향으로도 어긋난 것을 알 수 있으나 이것이 위치의 어긋난 양이고 지그판(4)과 기판(P)은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위치관계에 있는 것이 판명된다.
다음으로 기준구멍(A2)이 고정측 촬상 수단(5)의 촬상 영역내로 들어가도록 기판(P)을 이동시킨다. 이 때 기판(P)의 구멍을 뚫어야 할 위치(여기에서는 마크(M)에서 소정의 간격(L1)만큼 떨어진 위치에 구멍을 뚫도록 되어 있다)는 기준구멍(A2)내에 위치하고 있다. 거기에서 지그판(4)의 기준구멍(A1)을 촬상 수단(5)으로 촬상하고 그 중심 위치를 화상 처리 수단(11) 및 연산 수단(13)으로 구한다. 지그판(4)의 기준구멍(A1)과 기준구멍(A2)과의 위치관계(L2)는 미리 판명되어 있고, 지그판(4)과 기판(P)의 위치 관계도 알고 있으므로 기준구멍(A2)내에 있어서 구멍을 뚫어야 할 위치(H)가 판명된다. 그래서, 제어 수단(12)이 XY이동수단(10)을 작동해서 천공 수단(6)이 구멍을 뚫어야할 위치(H)와 마주하도록 미조정해서 천공을 행한다.
복수개의 구멍을 뚫는 경우에는, 차례로 기판(P)을 이동시키고 지그판(4)의 기준구멍(A2)을 계측하고 그 위치에 의거해서 구멍을 뚫어야할 위치(H)를 산출하여 구멍을 뚫는다. 또한 도5에서는 기준구멍(A1,A2) 및 마크(M)를 약간 크게 도시함과 동시에 나머지 5개의 기준구멍(A2)은 생략하였다.
상술한 방법에 의하면 지그판(4)의 기준구멍(A2)을 기준으로 하여 구멍을 뚫은 위치(H)를 결정하므로 기판(P)의 식별용 마크(M)가 없는 위치에서도 정밀도가 좋게 구멍을 뚫을 수가 있다. 또한 지그판(4)의 각 기준구멍(A1,A2)은 마크(M) 또는 천공 위치(H)가 그 내부에 존재하는 범위이면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가 있기 때문에 특히 정밀도가 좋게 뚫을 필요는 없다. 구멍을 뚫은 후에 정밀도고 좋게 위치 측정을 행하여 그 중심의 좌표치를 알 수 있으면 되고, 위치 측정 작업은 상당히 정밀도가 좋게 행하여도, 천공 작업에 비해서 간단하고 또한 저비용이므로 제조상의 장점이 크다.
종래의 방법에는 작업 테이블의 XY이동수단의 작동량에 의거해서 천공위치를 결정하므로 XY이동수단의 동작에 오차가 생기면 치명적이고, 천공 위치에 차질이 생긴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에서는 기판(P)의 이동후에 지그판(4)의 기준구멍(A2)을 촬상하여 중심 위치를 검출해서 그것을 기준으로 하여 천공 위치(H)를 결정하므로 이동시에 오차가 생겨도 문제되지 아니한다. 그 때문에 XY이동수단(3)은 지그판(4)의 기준구멍(A2)이 촬상 영역으로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정밀도이면 좋고 그 이상의 정밀도는 필요로 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XY 이동수단(3)으로서 그 만큼 정밀도가 좋지 아니한 염가의 것을 사용하므로서 가격의 삭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천공 수단의 미소조정을 위해 고정밀도의 XY이동수단(10)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것은 매우 미소한 이동 범위를 갖는 소형의 것이기 때문에 비교적 염가의 것이다. 종래는 기판 이동용의 대형의 것과 천공 수단 미소조정용의 소형의 것 어느 것도 고정밀도의 것을 사용할 필요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그중의 기판 이동용의 대형의 것을 염가의 것으로 바꿀수가 있으므로 가격 삭감의 효과가 높다.
지그판의 재질을 열팽창 계수가 작은 재질을 선택하면 열의 영향을 받지 아니한다. 또한 기판과 열팽창 계수가 같은 재질로 지그판을 제조하면 양자가 동일하게 신축되므로 열변형의 영향이 상쇄되어서 무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기판을 이동하고 있으나 기판을 고정시켜서 촬상 수단과 천공 수단을 일체로 이동시켜도 좋다. 또한 작업 테이블과 지그판에 의해 기판을 끼우고 있으나 이 방법은 휨이 큰 기판에는 적합하나 휨이 작은 기판의 경우는 작업 테이블을 폐지하여 지그판으로 흡착 보존해도 좋다. 또한 식별용 마크가 노출되지 아니한 경우는 X선 카메라를 사용하여 그 위치를 투시하므로서 구하면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촬상 수단을 2대 사용하고 있으나 1대라도 좋다.
여러가지 기판(P)에 대해서 마크나 구멍을 뚫어야할 위치와 대향하도록 기준구멍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지그판(4)에 다수의 기준구멍을 개설하여 두고 그 중의 어떤 것인가가 대향하고 또한 다른 어떤 것인가가 구멍을 뚫어야 하는 위치와 대향하도록 하면 다양한 기판에 널리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구멍을 뚫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판형상 제품에 뚫은 구멍의 정밀도 확인에도, 동등한 입장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즉 상술한 마크(M)와 같이 위치 결정의 기준이 되는 1쌍의 마크(M')를 제품(W)에 부여시켜 두고 이 마크(M')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진 위치에 구멍을 뚫고 있는가 어떤가를 알기 위해 위와 같은 지그판(4)을 사용한다.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그판(4)의 1쌍의 구멍(A1)내에 마크(M')가 각각 들어가도록 셋팅하여 촬상하고 양자의 중심 위치의 어긋남이 구해지고 지그판(4)과 제품(W)과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구한다. 그 후 구멍(A2)이 촬상 가능하도록 제품(W)을 이동시키고 지그판(4)의 구멍(A2)의 내부에 제품에 설치된 구멍(H')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촬상한다. 여기에서 구멍(A2)의 중심을 구하면 구멍(A1,A2)의 위치관계와 지그판(4)과 제품(W)과의 상대위치 관계를 미리 알고 있기 때문에 촬상 영역이 제품(W)내의 어느 위치인가가 판명된다. 거기에서 구멍(A2)의 중심 검출과 동시에 구한 구멍(H')의 중심이 제품(W)내의 어느곳에 위치하는가가 구해진다. 이와 같이 해서 희망하는 위치에 구멍을 뚫고 있는가 어떤가를 판정할 수가 있고 예를 들면 수치 제어 NC공작 기계에 의해 구멍을 뚫은 제품의 정밀도를 확인하기 위한 구멍 위치 검출 장치로서의 사용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과 일체적으로 보존되는 지그판의 기준구멍에 의거해서 천공 위치 또는 구멍의 위치의 검출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제품과 촬상 수단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으로서 비교적 정밀도가 낮은 염가의 것이 사용 가능하므로 저가격이면서 매우 고정밀도로 된다. 촬상 수단의 교환시에도 영향을 받지 아니한다.

Claims (4)

  1. 3개 이상의 기준구멍이 설치된 지그판을 사용하며, 한 쌍의 식별용 마크가 설치된 판 형상 제품을 상기 마크가 기준구멍중 어느 한 쪽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지그판과 겹쳐서 일체적으로 유지하고, 상기 한 쌍의 마크를 상기 기준구멍을 거쳐서 각각 촬상하고, 화상 처리에 의해 상기 기준구멍의 중심과 마크의 중심을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와 미리 판명되어 있는 기준구멍간의 간격에 의거해서 상기 지그판과 제품과의 상대 위치 관계를 구하고, 상기 마크와 대향하는 것이외의 기준구멍을 거쳐서 희망하는 천공 위치가 촬상 수단의 촬상범위에 들어가도록 제품을 촬상수단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하고, 그 후에, 천공 위치와 대향하는 기준구멍의 중심을 화상 처리에 의해 검출하여 이 검출결과와, 미리 판명되어 있는 마크와 대향하는 기준구멍과 천공 위치와 대향하는 기준구멍간의 간격과, 상기 지그판과 제품과의 상대 위치관계에 의거해서 제품의 천공 위치를 구하고, 천공 수단에 의해 상기 지그판의 기준구멍을 거쳐서 제품의 천공 위치에 구멍을 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상 제품의 천공방법.
  2. 한 쌍의 식별용 마크가 설치된 판형상 제품과 일체적으로 유지되는 지그판과, 상기 지그판에 3개 이상 설치되어 있고, 그 중 2개 이상은 한 쌍의 마크와 각각 대향가능하고, 그 밖에 제품의 희망하는 천공 위치와 대향가능한 것을 포함하고 서로의 위치관계가 미리 판명되어 있는 기준구멍과, 상기 기준구멍과 마크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제품을 촬상수단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의 촬상결과에 의거하여 기준구멍의 중심 위치 및 마크의 중심 위치를 구하는 화상 처리 수단과, 상기 마크와 대향하는 기준구멍의 중심 위치와 마크의 중심 위치와 미리 판명되어 있는 기준구멍간의 간격에 의거하여, 지그판과 제품과의 상대 위치 관계를 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천공 위치와 대향하는 기준구멍의 중심 위치와, 미리 판명되어 있는 마크와 대향하는 기준구멍과, 천공 위치와 대향하는 기준구멍 사이의 간격과, 상기 지그판과 제품과의 상대 위치관계에 의거하여 제품의 천공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연산수단과, 상기 지그판의 기준구멍을 거쳐서 제품의 천공 위치에 구멍을 뚫는 천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상 제품의 천공장치.
  3. 3개 이상의 기준구멍이 설치된 지그판을 사용하며, 한 쌍의 식별용 마크와 구멍부가 설치된 판형상 제품을 마크가 상기 기준구멍중 어느 한 쪽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구멍부가 다른 기준구멍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지그판과 겹쳐서 일체적으로 유지하고, 상기 한 쌍의 마크를 기준구멍을 거쳐서 각각 촬상하고, 화상 처리에 의해 기준구멍의 중심과 마크의 중심을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와 미리 판명되어 있는 기준구멍 사이의 간격에 의거하여 지그판과 제품과의 상대위치 관계를 구하고, 상기 기준 구멍을 거쳐서 구멍부가 상기 촬상 수단의 촬상 범위에 들어가도록 제품을 촬상 수단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킨 후에 촬상 수단으로 촬상하고, 그 후에 구멍부와 기준 구멍의 중심을 화상 처리에 의해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와, 미리 판명되어 있는 마크와 대향하는 기준구멍과 천공 위치와 대향하는 기준구멍 사이의 간격과, 상기 지그판과 제품과의 상대 위치 관계에 의거하여 제품상 있는 구멍부의 위치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상 제품의 구멍 위치 검출 방법.
  4. 한 쌍의 식별용 마크와 구멍부가 설치된 판형상 제품과 일체적으로 유지되는 지그판과, 상기 지그판에 3개 이상 설치되어 있고 그 중의 2개 이상은 한 쌍의 마크와 각각 대향가능하며 그 밖에 상기 구멍부와 대향가능한 것을 포함하고 서로의 위치관계가 미리 판명되어 있는 기준구멍과, 상기 기준구멍과 마크 및 구멍부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제품을 촬상 수단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의 촬상결과에 의거해서 기준구멍의 중심 위치와 마크의 중심위치 및 구멍부의 중심 위치를 구하는 화상 처리 수단과, 상기 마크와 대향하는 기준구멍의 중심 위치와 마크의 중심 위치 및 미리 판명되어 있는 기준구멍간의 간격에 의거하여, 상기 지그판과 제품과의 상대 위치 관계를 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구멍부와 대향하는 기준구멍의 중심 위치와, 상기 구멍부의 중심 위치와, 미리 판명되어 있는 마크와 대향하는 기준구멍과 구멍부와 대향하는 기준구멍간의 간격과, 지그판과 제품과의 상대 위치 관계에 의거하여 제품상에 있는 구멍부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연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상 제품의 구멍위치 검출장치.
KR1019970037293A 1996-07-31 1997-07-30 판형상 제품의 천공방법 및 그 장치와 구멍 위치 검출방법 및 그 장치 KR100221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02423 1996-07-31
JP20242396A JP3550462B2 (ja) 1996-07-31 1996-07-31 板状ワークの穴明け方法及び穴明け装置及び穴位置検出方法及び穴位置検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571A KR980008571A (ko) 1998-04-30
KR100221895B1 true KR100221895B1 (ko) 1999-09-15

Family

ID=16457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293A KR100221895B1 (ko) 1996-07-31 1997-07-30 판형상 제품의 천공방법 및 그 장치와 구멍 위치 검출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550462B2 (ko)
KR (1) KR100221895B1 (ko)
TW (1) TW33436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629B1 (ko) 2008-03-11 2011-10-21 야마하 파인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1089B2 (en) 2004-06-09 2011-09-20 Novator Ab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holes of various dimensions and configurations in a workpiece
JP4840559B2 (ja) * 2005-04-19 2011-12-21 株式会社トッパンNecサーキットソリューションズ 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製造装置並びに製造方法
JP4542046B2 (ja) * 2006-01-30 2010-09-08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穴開け方法及び穴開け装置
CN102284718B (zh) * 2011-07-21 2013-05-08 上海瑞纽机械装备制造有限公司 加工具有多个孔的板件的方法
JP5466686B2 (ja) * 2011-11-04 2014-04-09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配線板測定装置及び配線板測定方法
JP5952053B2 (ja) * 2012-03-29 2016-07-13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穴開け装置
JP5952052B2 (ja) * 2012-03-29 2016-07-13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穴開け装置
JP5965232B2 (ja) * 2012-07-17 2016-08-03 株式会社アマダホールディングス タレットパンチプレス
CN104942873B (zh) * 2014-03-27 2017-02-01 维嘉数控科技(苏州)有限公司 印制电路板的钻孔方法
CN104476611B (zh) * 2014-12-03 2016-05-04 深圳崇达多层线路板有限公司 一种大尺寸背板分区域钻孔方法
CN108537153B (zh) * 2018-03-27 2021-08-24 华南农业大学 一种基于椭圆拟合的原木板材孔洞缺陷检测与定位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629B1 (ko) 2008-03-11 2011-10-21 야마하 파인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571A (ko) 1998-04-30
JP3550462B2 (ja) 2004-08-04
TW334368B (en) 1998-06-21
JPH1043917A (ja) 1998-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7266B1 (ko) 프린트 기판 천공장치 및 천공방법
KR100221895B1 (ko) 판형상 제품의 천공방법 및 그 장치와 구멍 위치 검출방법 및 그 장치
EP0669792B1 (en) Drill coordinate optimization for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US6036994A (en) Screen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JP4542046B2 (ja) 穴開け方法及び穴開け装置
US5206820A (en) Metrology system for analyzing panel misregistration in a panel manufacturing process and providing appropriate information for adjusting panel manufacturing processes
US6268920B1 (en) Registration of sheet materials using statistical targets and method
US20060253270A1 (en) Model for modifying drill data to predict hole locations in a panel structure
CN103079746A (zh) 激光加工装置及基板位置检测方法
KR100841334B1 (ko) 워크의 가공장치
WO2000037884A1 (fr) Procede et appareil permettant de mesurer des erreurs de positionnement au moyen d'un repere, et appareil d'usinage susceptible de corriger des erreurs en fonction de resultats de mesure
JP2001516503A (ja) 電気的コンポーネントの製造装置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H0599616A (ja) 多層積層体の層の位置ずれの検知方法及びその検知装置
JP3248092B2 (ja) プリント基板の方向性判別方法及び穴明け方法及びその装置
JP3212368B2 (ja) プリント基板用自動基準孔明機
JPH0657381B2 (ja) 穴加工位置の補正方法
JPH0829458B2 (ja) 部品の自動マウント方法
KR970008478B1 (ko) 프린트기판의 가공 방법 및 그 장치
JP2680135B2 (ja) プリント配線板の孔加工方法
JP2015112671A (ja) 加工装置
CN111273525B (zh) 一种应用于内层板的曝光机及对位系统的实时监测方法
JP3005515B2 (ja) 穿孔機の芯出し方法
JPH04311087A (ja) プリント基板の穴明け方法
JPH09183097A (ja) プリント基板の穴明け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穴明け方法
JPH06232564A (ja) 配線板の穴あけ方法及び穴あけ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