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444B1 - 액체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체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444B1
KR100221444B1 KR1019930700912A KR930700912A KR100221444B1 KR 100221444 B1 KR100221444 B1 KR 100221444B1 KR 1019930700912 A KR1019930700912 A KR 1019930700912A KR 930700912 A KR930700912 A KR 930700912A KR 100221444 B1 KR100221444 B1 KR 100221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weight
alkyl
composition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0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엔 다이어트 쥴리
로버트 폴리 피터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068296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2144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4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08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aqueous liquid non soap compositions
    • C11D17/003Colloidal solutions, e.g. gels; Thixotropic solutions or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52Carboxylic amides, alkylolamides or imides or their condensation products with alkylene oxides
    • C11D1/525Carboxylic amides (R1-CO-NR2R3), where R1, R2 or R3 contain two or more hydroxy groups per alkyl group, e.g. R3 being a reducing sugar res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65Mixtures of anionic with cationic compounds
    • C11D1/652Mixtures of anionic compounds with carboxylic amides or alkylol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66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2Amides; Substitute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8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amino alcohols
    • C11D1/20Fatty acid condens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9Sulfates of polyoxyalkylene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52Carboxylic amides, alkylolamides or imides or their condensation products with alkylene oxides
    • C11D1/523Carboxylic alkylolamides, or dialkylolamides, or hydroxycarboxylic amides (R1-CO-NR2R3), where R1, R2 or R3 contain one hydroxy group per alk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5Amino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0Beta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2Sulfobetaines ; Sulfitobeta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5 내지 95중량%의 수용성 음이온성 설페이트 또는 설포네이트 계면활성제 염과 95 내지 5중량%의 1개 이상의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중심 계면활성제 혼합물 15 내지 65중량%(조성물 기준)를 포함하고, 이때, 조성물중의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0.12중량% 수용액은 48℃에서, 계면장력(IFT)이 0.2Pacm미만이고; 폴리프로필렌 컵(PPC)에서 기름진 오물제거 값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성분 단독의 0.12% 용액을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하에서 동일한 시험으로 수득한 값의 1.4배 이상인 수성 비-빌트 액체 또는 겔형 세정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식에서,
Z 는 하이드로카빌 직쇄에 3개 이상의 하이드록시 그룹이 직접 결합된 폴리하이드록시 하이드로카빌 잔기이고, 이 잔기는 글루코오즈 및 이와 말토오즈와의 혼합물(여기서, 말토오즈는 혼합물중 33중량% 이하를 구성한다)로부터 유도되고,
R은 탄소수 6 내지 16의 하이드로카빌 라디칼이고;
R1은 C1-4알킬 또는 C2-4하이드록시알킬 그룹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액체 세정제 조성물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수정 액체 세정제 조성물, 특히 식품 제조 및 소비에 사용되는 식기 및 기타 제품과 같은 경질 표면으로부터의 고지성(高脂性)오물을 제거하기 위한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식기 세척 제품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중심(core)'계면활성제 물질로서의 하나 이상의 설페이트와 설포네이트와의 혼합물을 비누거품 촉진제 또는 안정화제와 함께 수용액의 형태를 취한다. 비누거품 안정화제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아미드 유도체, 아민 옥사이드, 에톡시화 지방족 알콜, 양쪽성 계면황성제, 예를 들어, 베타인 또는 이들 다수 개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물질의 투여 수준은 통상적으로 조성물의 2 내지 8중량%, 보통 3 내지 5중량%의 범위이다.
비누거품 촉진 및 안정화를 위해 제안되었던 아미드 유도체의 하나의 그룹은 N-알카노일 N-알킬 글루카민이다. 이들 물질은 글루코오즈로부터 유도되며 저급 알킬아민을 글루코오즈와 반응시켜 글루카민을 형성시킨 후 이를 목적한 쇄길이의 지방산의 메틸 에스테르로 처리하여 N-알카노일-N-알킬 글루카민을 생성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US-A 제2703798호, WO 제83/04412호 및 GB-A 제809060호에 교시되어 있다. 상기 마지막으로 언급한 특허 문헌에는 분자 구조내에 황산 또는 설폰산 라디칼을 지닌 유기 황의 반응 생성물의 수용성 염 하나 이상 및 수용성 유기 황의 반응 생성물의 5 내지 60중량%의 양으로 상기한 유형의 아미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아미드 유도체는 특히 라틴 아메리카 국가(여기서는, 60℉ 정도로 낮은 온도에서 세척을 한다)에서 100℉ 이항의 온도에서 조성물의 비누거품 특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상기특허는 계면활성제 배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예측하고 있으나, 바람직하고 예시된 양태는 포스페이트 증강제 및 황산 나트륨 충전제를 혼입시킨 과립 생성물이다.
본 출원인은 중심 계면활성제로서의 특정 N-알카노일-N-알킬 글루카민과 설페이트화되거나 설포네이트화된 계면활성제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비-빌트(unbuilt)액체 또는 겔-형태 세정제 조성물이 공지 제품에 비해 월등한 비누거품 마일수 성능 및 약간의 피부 온화 잇점과 함께 경질 표면으로부터 지성 오물을 제거할 때 상당한 개선점을 제공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음이온성 설페이트 또는 설포네이트 계면활성제와 N-알카노일-N-알킬 글루카민과의 혼합물이 낮은 세척 온도에서 빌트 제품(built product)의, 비누거품면에서 개선점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안되어 왔으나, 지금까지 이 혼합물에 대해 발견되었던 지성 오물 제거 및 피부 온화 특성의 성능 양상은 인식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a) 5 내지 95중량%의, 하나 이상의 수용성 음이온성 설페이트 또는 설포네이트 계면활성제 염;
(b) 95 내지 5중량%의 하나 이상의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중심 계면활성제 혼합물 15 내지 65 중량%(조성물 기준)를 포함하는 물리적으로안정한 수용액 형태의 비-빌트 액체 또는 겔-형 세정제 조성물이 제공되며, 이때, 조성물중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0.12중량% 수용액은 클락(Clark)광물 경도가 2°(Ca : Mg 비 3 : 1)이고 48℃인 물에서,
(i)99.7% 순도의 트리올레인 오물을 사용하였을 때의 회전 소적 계면 장력(IFT)이 0.2Pa·㎝미만이고;
(ii)폴리프로필렌 컵(PPC)에서 지성 오물제거 값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성분 단독의 0.12%용액을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하에 동일한 시험에서 수득한 값의 1.4배 이상이다 :
상기식에서, Z는 하이드로카빌 직쇄에 3개 이상의 하이드록시 그룹이 직접 결합된 폴리하이드록시 하이드로카빌 잔기이고, 이 잔기는 글루코오즈 및 이와 말토오즈와 의 혼합물(여기서, 말토오즈는 혼합물중 33중량% 이하를 구성한다)로부터 유도되고,
R은 탄소수 8 내지 16의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지방족 그룹 또는 이러한 그룹의 혼합물이며,
R1은 C1-4알킬 또는 C2-4하이드록시알킬 그룹이다.
본 발명을 위해 '물리적으로 안정한'은 21℃의, 온도에서 3개월 저장 후에도 침전되지 않고 단일상 조건을 유지함을 의미한다. 생성물에 불투명제를 혼입시키는 경우에 불투명제의 침전은 일어나지 않거나 최소화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IFT&PPC 시험 측정을 위해, 수용성 음이온성 설페이트 또는 설포네이트 계면활성제의 양이온을 세정제 조성물에서의 양이온에 상응할 것이고, 양이온의 혼합물은 각각의 양이온이 혼합물중에 존재하는 중량 비율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조성물은 폴리하이드록시 하이드로카빌 잔기가 글루코오즈 또는 이의 말토오즈와의 혼합물(여기서, 말토오즈는 혼합물의 25중량% 미만을 구성한다)로부터 유도된 성분(b)화합물을 사용한다. 시판용으로 구입가능한 공업용 등급의 글루코오즈는 불순물로서 5중량% 이하의 농도로 말토오즈를 함유한다. 본 발명을 위해 하기에 글루카민에 대한 언급은 말토오즈로부터 유도된 상응하는 물질의 5중량 % 이하를 포함하는 물질로서 이해된다.
적합한 음이온성 설페이트 또는 설포네이트 계면활성제는 알킬 에톡시설 페이트 1mol당 평균 에틸렌 옥사이드 6mol 이하를 함유하는 C10-16알킬 에톡시설 페이트, C10-8파라핀 설포네이트 및 N-C9-17아실-N-C1-4알킬 글루카민 설페이트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용한 조성물은 C12-14알킬 에톡시설페이트 1mol당 평균 에틸렌 옥사이드 그룹 0.4 내지 4.0개,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0개를 함유하는 1급 C12-14알킬 에톡시설페이트 재료 9 내지 18중량%(조성물 기준)을 N-코코넛 아실-N-메실 글루카민 9 내지 15중량%(조성물 기준)와 함께 포함하는 음이온성 게면활성제 시스템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조성물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대 글루카민의 중량비는 2 : 1내지 1 : 1이다. 특히 바람직한 조성물은 C12-14알킬 에톡시설페이트 10 내지 18중량% 및 글루카민 계면활성제 7 내지 15중량%를 함유한다. 알킬 에톡시설페이트는 평균 에틸렌 옥사이드 약 0.8mol/mol을 함유하는 물질과 평균 에틸렌 옥사이드 약 3.0mol/mol을 함유하는 물질의 혼합물을 2 : 1 내지 5 : 1, 바람직하게는 약 4 : 1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C10-16알킬 모노 또는 디-C2-3알칸 올마이드, C12-14알킬 또는 알킬 아미도 베타인, C12-14알킬 설포베타인, C10-16알킬 디-C1-4알킬 또는 디-C2-4하이드록시알킬 아민 옥사이드, 알콜 1mol당 평균 에틸렌 옥사이드 그룹 7 내지 12개 함유하는 C9-121급 알콜 에톡실레이트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비누거품 증진제 1 내지 8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중량%를 함유한다.
바람직한 비누거품 증진제는 조성물중 1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중량%의 C12-14알킬 베타인과 조성물중의 6 내지 8중량%의 C9-121급 알콜 에톡실레이트(바람직하게는 C10알킬 EO8)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물의 또 하나의 바람직한 성분은 조성물중 1.5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중량% 농도는 Mg이다. 특히 바람직한 조성물은 마그네슘 이온 이외에 칼슘을 0.3 내지 0.5중량%의 농도로 함유한다.
[발명의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은 중심 계면할성제의 혼합물을 조성물중 15 내지 65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40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이 혼합물은 하나 이상의 수용성 음이온성 설페이트 또는 설포네이트 게면활성제 염의 혼합물 5 내지 95중량%(혼합물 기준) 및 N-C8-16아실-N-C1-4알킬 글루카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95 내지 5중량%(혼합물기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혼합물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20 내지 80% 및 알킬 글루카민 80 내지 20%, 가장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40 내지 70% 및 알킬 글루카민 60 내지 30%를 포함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필수적으로 어떠한 유기 설페이트 또는 설포네이트 계면활성제 염일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C11-5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C10-16알킬 설페이트, 및 알킬 에톡시설페이트 1mol당 에틸렌 옥사이드 6mol 이하를 함유하는 이의 에톡시 동족체, C13-18파라핀 설포네이트, C10-16올레핀 설포네이트, C10-20알킬 글리세릴 에테르 설포네이트, C19-17아실 -N-C1-4알킬 또는 C2-4하이드록시알킬 글루카민 설페이트 및 상기한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에톡시설페이트, 알킬 글리세릴 에테르 설포네이트 및 파라핀 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용한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는 실질적으로 직쇄인 알킬 그룹이 10 내지 16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3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이고, 평균 탄소 쇄 길이가 11.8인 물질이 가장 바람직하다. 페닐 이성체 분포, 즉, 벤젠 핵에서 알킬 쇄의 부착 지점은 중요하지 않으나, 2-페닐 이성체 함량이 높은 알킬 벤젠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알킬 설페이트는 알킬 그룹이 바람직하게는 직쇄내에 탄소수 10 내지 16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 12 내지 14개를 함유하는 1급 알킬 설페이트이다. 천연 지방 또는 지글러(Ziegler) 올레핀 구조 또는 옥소 합성으로부터 유도된 C10-16알콜은 알킬 그룹에 대한 접합한 공급원이 된다. 합성적으로 유도된 물질의 예에는 도바놀(Dobanol) 23(RTM)[제조원 : 쉘 케미칼즈 리미티드(Shell Chemicals Ltd, 영국)], 에틸 24[제조원 : 에틸 코포레이션(Ethyl Crpotrition)], 상표명 루텐솔(Lutensol)[제조원 : BASF GmbH]과 신퍼로닉(Synperonic)(RTM)[제조원 : ICI Ltd.]의, C13-15알콜의 블렌드[C13대 C15의 비율 = 67% : 33%] 및 리알(Lial) 125[제조원 : 리퀴키미카 이탈리아나(Liquichimica Italiana)]가 포함된다. 알콜이 유도될 수 있는 천연산 물질의 예는 코코넛 오일 및 야자핵 오일 및 상응하는 지방산이다. 알킬 에톡시설페이트 계면활성제는 평균 에틸렌 옥사이드 그룹 6개 이하를 갖는 C10-16알콜의 축합 생성물로부터 유도된 1급 알킬 에톡시설페이트를 포함한다. C10-16알콜 자체는 알킬 설페이트 성분에 대해 상기한 공급원중 어떠한 것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C12-13알킬 에테르 설페이트가 바람직하다.
평균 에톡시도 6을 생성시키는 통상의 염기-촉매된 에톡실화 반응은 알콜 1mol당 에톡시 그룹을 1 내지 15개 갖는 각각의 에톡실레이트의 분포를 생성시키므로, 목적한 평균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다. 블렌드는 사용된 특정 에톡시화 기술 및 종류와 같은 후속적 가공 단계로부터 발생하는 상이한 에톡시화도 및/또는 상이한 에톡실레이트 분포를 갖는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킬 설페이트와 알킬 트리에톡시 에테르 설페이트와의 블렌드에 의해 얻어지는 것과 동등한 비누거품화 및 유성 물질 제거 성능은 알킬 설페이트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평균 알콜 1 mol당 약 2개의 에톡시 그룹을 지닌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조성물에서 평균 에톡시화도가 0.4 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8인 물질을 평균 에톡실화도가 2.0 내지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인 물질과 혼합시킨 알킬 에톡시설페이트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2급 알칸 설포네이트는 분자당 탄소수가 13 내지 18,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자당 탄소수 13 내지 15이다. 이 설포네이트는 상기 특정화시킨 쇄 길이에 상응하는 파라핀의 단편에 잘 공지된 설폭사이드와 방법에 따라 이산화황 및 산소를 적용시킴으로써 바람직하게 제조된다. 이 반응응의 생성물은 2급 설폰산이고, 이어서 이를 적합한 염기로 중화시켜 수용성 2급 알킬 설포네이트를 수득한다. 기타의 방법, 예를 들어 설포염소화 방법, 즉 염소 및 이산화황을 활성선(actinic light)의 존재하에서 파라핀과 반응시키고, 생성된 설포닐 클로라이드를 가수분해시키고 중화시켜 2급 알킬 설포네이트를 형성시킴으로써 유사한 2급 알킬 설포네이트를 수득할 수 있다. 어떠한 기술이 사용되든지, 미반응 출발 탄화수소를 함유하지 않거나 이를 제한된 비율로만 함유하고 무기염 부산물을 거의 또는 전혀 함유하지 않는 모노 설페이트로서 설페이트를 생성시키는 것이 통상적으로 바람직하다. 유사하게, 디설포네이트 또는 고급 설포네이트화 물질은 최소화될 것이나 소량은 존재할 수 있다. 모노설페이트는 말단에서 설포네이트될 수 있거나 설포네이트 그룹은 직쇄의 2-탄소 또는 다른 탄소에 결합될 수 있다. 유사하게, 과량의 설폰이트화제가 존재할 때 통상적으로 함께 생성되는 디설포네이트는 파라핀 기재의 상이한 탄소 원자에 걸쳐 분포된 설포네이트 그룹을 갖을 수 있고, 모노설포네이트와 디설포네이트의 혼합물이 존재할 수 있다.
알칸의 탄소수가 14 및 15인 모노알칸 설포네이트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고, 이때 설포네이트는 1 : 3 내지 3 : 1 범위의 C14-15파라핀의 중량비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올레핀 설포네이트는 알켄-1-설포네이트, 알켄 하이드록시설포네이트, 알켄 디설포네이트 및 하이도록시디설포네이트의 혼합물이고, 피. 에프. 플라우머(P.F.Pflaumer) 및 에이. 케슬러(A. Kessler)에게 1967년 7월 25일에 허여되고 통상적으로 양도된 US-A 제3332880호에 기술되어 있다.
적합한 알킬 글리세릴 에테르 설포네이트는 코코넛 오일 및 탈로우의 에테르로부터 유도된 것이다.
기타의 설페이트 계면활성제에는 N-C19-17-아실-N-C1-4알킬 글루카민 설페이트, 바람직하게는 C9-17아실 그룹이 코코넛 오일 또는 야자핵유로부터 유도된 설페이트가 포함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성분에 대한 짝 이온은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암모늄 또는 알칸올-암모늄 또는 이의 혼합물중 어느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조성물의경우에, 나트륨이 바람직한 짝 이온이나, 본 발명의 조성물이 완전히 투명하고 침전물 형성에 대한 높은 내성을 지니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나트륨 보다 칼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겔-형 조성물에서, 겔을 형성하기 위해 나트륨이 칼륨 또는 암모늄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냉각점 (chill point)이 8℃미만, 바람직하게는 5℃미만이고, 암모늄 이온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화된다.
칼슘 및/또는 나트륨 이온이 존재하는 경우에, 이들은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로서 혼입되어 계면활성제 산을 중화시킬 수 있거나 수용성 염으로서 조성물에 가할 수 있다. 그러나, 적절한 농도의 이러한 염을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정 조성물에 가하면 냉각시에 조성물에 유기 염 결정이 형성되는 온도가 상승되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첨가되는 양은 최소화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조성물에서, 캄슘 및 마그네슘 이온의 혼합물은 조성물중에 Ca++1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5중량% 및 Mg++1.5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중량%가 되도록 가할 수 있다. 바람직한 혼합물은 마그네슘이 풍부하고, 바람직하게는 1 : 1 내지 1 : 4의 Ca++: Mg++중량비를 제공한다. Mg++및/또는 Ca++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매우 낮은 물경도(<2°클락)의 조건 및 생성물 농도가 0.5중량% 보다 큰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비-빌트 액체 조성물의 두번째 중심 계면활성제 성분은 하기 일반식의 화합물이다.
상기식에서, Z는 직쇄 하이드로카빌 쇄에 3개 이상의 하이드록시 그룹이 직접 결합된 폴리아히드록시 하이드로카빌 잔기이고, 이 잔기는 글루코오즈 및 이의 말토오즈와의 혼합물(이때, 말토오즈는 혼합물중 33중량% 이하를 구성한다)로부터 유도되고, R은 탄소수 8 내지 16의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지방족 그룹 또는 이러한 그룹의 혼합물이며
R1은 C1-4알킬 또는 C2-4하이드록시 알킬 그룹이다.
R 은 상기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해 참조로 언급한 어떠한 하이드로카빌 그룹의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천연 기원이다. 바람직하게는 R 의 쇄 길이는 탄소수 12 내지 14이고 코코넛 오일 또는 야자핵유로부터 유도된다. R1은 바람직하게는 메틸 그룹이다.
글루카민 화합물의 합성은 본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본 발명의 부분을 형성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US-A 제270379에는 N-알카노일 N-알킬 글루카민의 대표적인 제조방법(이 방법은 2개의 주요 단계를 갖는다)이 기술되어 있다. 첫번째 단계는 상온 및 상압하에서 글루코오즈와 1급 알킬 아민을 반응시켜 글루카민을 형성시킴을 포함한다. 이어서, 이를 상온에서 에스테르와 반응시켜 N-알카노일-N-알킬 글루카민을 형성시킨다. 이 두번째 단계에 촉매로서 소량이 나트륨 메톡사이드를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혀졌다.
본 발명의, 액체 및 겔-형태 조성물에서 N-알카노일-N-알킬 글루카민의 바람직한 농도는 8 내지 2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8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리적으로 안정한 조성물은 마그네슘 이온의 부재하에 칼슘 이온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으나, 고순도의 N-알카노일-N-알킬 글루카민의 사용르 필요로 하고, 이때, 미반응된 출발물질, 불순물 및 부산물, 특히 지방산의 농도가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가장 광범위한 양태에서,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나머지 부분은 물 또는 겔-형 조성물의 경우에는 겔화제 및 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조성물에서 기타의 작용성 성분이 포함되고,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글루카민 성분의 중량의 합은 20 내지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0중량%의 범위에 있다. 매우 바람직한 임의의 성분은 하나 이상의 비누거품 개질제 또는 촉진제이고, 보통 조성물중에 1 내지 8중량%의 각각의 농도로 존재한다. 이러한 물질은 또한, 예를 들어 오물 현탁제와 같이 부수적인 기능적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비누거품 촉진제중 하나는 C10-16알킬 모노-또는 디-C2-3알칸올아미드이며, 예로는 코코넛 알킬 모노에탄올아미드, 코코넛 알킬 디에탄올아미드 및 야자핵 및 코코넛 모노- 및 디-이소프로판올 아미드가 포함된다. 야자핵 또는 코코넛 알킬 잔기는 C10및 C16분절과 같은 '완전 단편"일 수 있거나 소위 '좁은-단편' C12-14분절일 수 있다. C10-16알킬 그룹의 합성적 공급원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유용한 비누거품 촉진제는 하기 일반식의 양쪽성 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
상기식에서,
R1은 C10-16알킬이고,
R2는 C1-3알킬이며,
R3는 -(CH2)3그룹또는그룹이고,
Y는이며,
n 및 m은 0 또는 1이고,
X-는 CH2COO-또는 SO3이며,
단, X-가 CH2COO-일 때 m은 0이고, X-가 SO3일 때 n은 0이고 m은 1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1의 평균 탄소 쇄, 길이는 탄소수 12 내지 16이고, 합성적 공급원(이 경우에 쇄는 약간의 측쇄를 함유할 수 있다)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거나 천연 지방 및 오일(이 경우에, 쇄는 직쇄이고 소량의 C8-10및 C14-18잔기를 함유할 수 있다)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R1그룹에 대한 합성적 공급원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성분에서 알킬 그룹에 대해 상기 언급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비누거품 촉진제의 추가의 부류는 일반식 R1R2R3N→O(여기서, R1은 탄소수 10 내지 16의 알킬 그룹이고, R2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3알킬 및 C2-3하이드록시 알킬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의 아민 옥사이드이다. 이 부류의 바람직한 예에는 디메틸도데실아민 옥사이드, 디메틸 테트라데실아민 옥사이드, 비스-(2-하이드록시에틸) 도데실아민 옥사이드 및 이의 동족체가 포함되고, 이때 도데실 또는 테트라데실 잔기는 코코넛 또는 야자핵 과 같은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된다.
바람직한 비누거품 개질제는 에톡실화된 알콜 또는 규정된 조성의 에톡실화된 알콜의 혼합물이다.
에톡실화된 알콜은 알콜 1mol당 에틸렌 옥사이드가 평균 1.5 내지 25,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가장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mol인 C6-C13지방족 알콜 에톡실레이트를 포함한다. 지방족 알콜 에톡실레이트는 1중량%이하의 비에톡실화되지 않은 알콜(이때, 에톡실화된 알콜은 평균 8mol 인 C6-C13지방족 알콜 에톡실레이트를 포함한다. 지방족 알콜 에톡실레이트는 1중량% 이하의 비에톡실화되지 않은 알콜(이때, 에톡실화되지 않은 알콜(이때, 에톡실화된 알콜은 알콜 1mol당 평균 8 내지 25mol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한다)을 포함한다.
출발 알콜은 1차 또는 2차 알콜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천연 또는 합성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될 수있는 1차 알콜이다. 따라서, 천연 지방 또는 오일, 또는 지글러 올레핀 형성(build-up)반응 또는 OXO 합성의 생성물이 탄화수소 쇄의 공급원으로서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구조는 직쇄형 또는 측쇄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비누거품 용적 및 마일수(mileage) 성능은 상기 알콜로부터 제조된 에톡실레이트가 혼입되는 경우 적정하다고 밝혀졌으므로 바람직한 알콜 쇄 길이 범위는 C9내지 C11이다. 또한, 에톡실화된 알콜의 친수성-친지방 평형(HLB)이 8.0 내지 17.0,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7.0, 가장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5.0 범위라는 것은 수행 이유를 위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알콜 에톡실레이트 알콜 1mol당 평균 8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축합반응된, 알킬 쇄에 평균 1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1차 알콜 에톡시레이트이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성분으로서 알킬 에톡시설페이트에 대해 논의한 바와 같이, 평균 에톡실화 정도 Eav가 6이 되도록 하는 정상(염기 촉매된) 에톡실화 공정은 알콜 1몰당 에틸렌 옥사이드가 1 내지 15mol의 범위인 에톡실레이트종의 분배를 초래한다. Eav 증가는 이러한 분배에 어떤 변화, 주로 비에톡실화된 물질의 수준의 감소를 야기시키지만 Eav가 3에서 5로 증가하면 여전히 약 5 내지 10%의,비에톡실화된 물질이 에톡실화된 생성물중에 남을 것이다.
본 발명의 액상 식기 세척용 세정제 조성물에서, 비에톡실화된 물질의 수준은 상 안정성/냉점 문제를 야기할 것이고/거나 소비자에게 허용될 수 없고 통상의 세정제 향료에 의해 차단될 수 없는 지방 알콜 냄새를 갖는 생성물을 초래 할 것이다. 에톡실화된 알콜 조성물에서 허용될 수 없는 에톡실화되지 않은 알콜의 최대 수준은 1중량%인 것으로 밝혀졌다. 더욱 바람직한 에톡실화되지 않은 알콜 수준은 에톡실화된 알콜 성분의 0.7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미만이다.
진공하에서의, 증류는 목적하지 않은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것은 또한 일부의 모노에톡실레이트 분획을 제거함으로써 잔류 물질의 Eav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모노에톡실레이트의 수준은 에톡실레이트된 알콜의 5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조성물에서, 비누거품 개질제 또는 촉진제의 배합은 각각 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중량%의 수준으로 존재하도록 사용된다. 하나의 이러한 바람직한 배합은 알콜 1몰당 평균 7 내지 9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로 축합 반응된 C9-C11알콜 및 C12-C14알킬 디메틸 베타인이 각각 조성물의, 2 내지 8중량%로 존재하도록 하는 양이다.
바람직한 조성물에서, 일반식의 평형은 하이드로트롭(hydrotrope)이 요소, C1-C3지방족 알콜, 저급 알킬 또는 디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염, 예를 들어, 톨루엔 설포네이트, 크실렌 설포네이트, 또는 쿠멘 설포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하이드로트롭-물 시스템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단일 하이드로트롭은 필요한 상 안정성을 제공하기에 충분할 것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목적하는 점성을 달성하고 안정하고 용이한 유출성을 유지하기 위해 요소-알콜-물, 알콜-저급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물, 또는 요소-저급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물, 또는 요소-저급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물과 같은 혼합물을 사용한다. 약 40중량% 미만의, 유기 활성 농축물을 갖는 조성물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통상 요소와의 혼합물에서 4 내지 8중량%로 사용되는 에탄올이다. 약 40중량% 초과의 유기 활성 농축물을 갖는 조성물을 위해, 요소 및/또는 저급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와 에탄올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물론, 하이드로트롭의 혼합물은 비용 효능적 이유에서 안정성/점성 관점 각각을 고려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상 세정제 조성물의 임의 성분은 불투명체,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증점제(예; 구아르 검), 살균제(예; 글루타르알데하이드 및 브로노폴(RTM)), 항 변색제(antitarhish agents)(예; 벤조시트리아졸), 중금속 킬레이트제(예 : EDTA 또는 ETDMP), 향료 및 염료를 포함한다. 조성물의 pH는 6.0 내지 8.5 범위내에 있을 수 있지만, 제조된 조성물의, pH는 정상적으로 6.5 내지 7.3 범위내에 있고, 목적하는 최종 생성물 pH를 수득하기위해 최종 pH트리밍(trimming)조작을 수행한다. 착색된 생성물을 위해, pH는 착색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2의 범위내에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조성물에 포함되는 쯔비터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실질적으로 첨가되는 마지막 성분을 형성하지 않는 한 제조 공정 말기에 혼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조 공정 초기에 기존의 산 조건하에서 쯔비터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분해의, 유형을 최소화하고 또한 최종 생성물의 점성 조절을 촉진한다. 글루카민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제의 가수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4보다 낮거나 10보다 큰 pH에 노출시켜서는 안된다.
따라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들)는 pH가 4 내지 10으로 조성된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 염의 수성 용액으로서 제조될 수있으며, 그 다음에 이것은 N-알카노일-N-알킬 글루카민과 함께 혼압된 후, 이어서 특정 에톡실화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기타 비누거품 촉진제(들) 및 하이드로트롭과 혼합한 후, 특정 칼슘 또는 마그네슘 이온이 클로라이드 또는 설페이트와 같은 수용성 염으로서 도입될 수 있다. 그 다음에 특정 쯔비터 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소량의 성분을 동시에 가하여 pH 및 점성이 조정된다. 이 방법은 통상의 기술 및 장치를 이용하는 잇점을 가지지만, 냉점 온도(무기 염이 액체중에 결정으로서 침전되는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추가의 클로라이드 또는 설페이트 이온의 도입을 초래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알킬 에톡시설페이트를 함유하는 바람직한 조성물에서, 목적하는 알콜 및 알콜 에톡실레이트는 함께 혼합될 수 있으며 그 다음에 단일 황산화 및 중화가 상기 두 물질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을 위해, 알콜 및 알콜 에톡실레이트가 4 : 3 내지 1 : 6의 중량비 범위로 혼합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한 기술은 단일 알콕 에톡실레이트 원액이 알콜 및 에톡실화된 알콜중의 수준이 조절되어 상기 목적하는 비의 출발 물질들을 제공하도록 생성되는 것이다.
알콜 및 알콜 에톡실레이트의 황산(설폰)화는 삼산화황 또는 클로로설폰산과 같은 통상의 황산(설폰)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알킬 에테르 황산 및 알킬 황산의 중화가 적당한 알칼리를 사용하거나 마그네슘, 칼슘 또는 마그네슘/칼슘 옥사이드 또는 하이드록사이드 슬러리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이 모든 목적하는 Ca++및 Mg++이온이 상기 방법으로 첨가되는 것을 허용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잔류량은 수용성 염의 형태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겔 조성물은 미합중국 특허 제4615819호에 기술된 일반적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조성물은 낮은 계면장력(IFT), (IFT는 지성 오일상 고체를 유화시키는 능력이 표시이다), 높은 폴리프로필렌 컵(PPC)중량 손실(이것은 표면으로부터 지성 상 고체를 제거하고 용액중 고체를 현탁시키는 능력을 나타낸다) 및 우수한 피부 온화성으로 특징지워진다. 이러한 배합은 통상적으로 액상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더우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선행 기술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경수 및 연수에서 우수한 비누거품 마일수 성능을 보여준다.
이러한 매개변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험 방법이 하기에 기술된다.
1)계면장력(IFT)
IFT의 측정은 규정된 세트의, 조건하에서 오물을 유화시키는 계면활성제 샘플의 능력을 표시한다. IFT 는 스퍼닝 드롭 장력계(Spinning Drop Tensiometer) 및 텍사스 주립대학의 모델 500(미합중국 텍사스주 오스틴 소재 텍사스 주립대학 제조)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2개의, 장치, 즉 모델 SITE 04(독일 연방공화국 데 2000 함부르크 61 보르스텔러쇼세 85-9Pa 소재의 크류스 게엠베하비센 샤프틀리쉐라보르게래테 제조)를 유럽식 수동 식기 세척 실시에서 권장되는 대표적인 조건하에서 사용한다. 따라서, 측정은 몰 기준으로 Ca : Mg 비가 3 : 1인 2° 클락 경도(Clark hardness) 또는 18° 클락 경도의 물중에 0.12 중량%의 생성물 농도를 사용하여 48℃±1℃의 샘플 온도에서 수행한다. 토양은 99.7%(잔류하는 0.3%은 혼합된 유리 지방산을 포함한다) 순도의 트리올레인(영구도르세트 길링행 뉴 로드 소재의 알드리히 케미칼 캄파니 리미티드 제공)이다. 결과는 Pa·cm로 표시한다(1Pa·cm=10dynes/cm)
2) 폴리프로필렌 컵 중량 손실(PPC)
폴리프로필렌 컵 시험 방법은 수동 식기 세척 실시에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한 조건하에서 제품의 전체 지성 취급 용량을 측정한다. 이 시험은 지방이 용융되는 온도 미만에서 폴리프로필렌 컵의 기재로부터의 고체 지방 제거량의 측정을 포함한다.
지방 고체는 하기 지방의 혼합물을 제조함으로써 제조한다 :
70% 고체 100% 야채유(영국 웨스트 수섹스 버게스 힐 소재의 반 덴 버그에 의해 제조된 스프레이 RISP 'N' DRY)
30% 액체 100% 옥수수 오일(영국 서레이 에쉬어 클레이 게이트 하우스 소재의 CP(CUK)리미티드에 의해 제조된 MAZZOLA)
혼합물은 혼화성이 될 때까지 가열 한 후 냉각시키고 0℃ 미만의 온도에서 저장한다.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략 150ml의 지방을 유리 비이커에 용융시키고 70 내지 75℃에 둔다. 15개의 250ml 깨끗하고 건조한 폴리프로필렌 TRIPOUR 컵을 각 중량을 측정하고 6.00± 0.03g의 지방을 옆으로 흘리지 않고 컵의 기저로 직접 부음으로써 각각의 중량을 측정한다. 컵을 수평하게 두고 21±1℃의 항 온실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지방이 고형화되도록 한다.
시험 제품의 0.12% 용액을 50 내지 55℃에서 준비하고 100±0.1g을 5개의 유리 항아리 각각에 가한 후 뚜껑으로 밀봉한다. 밀봉된 항아리를 항온실에 위치된 수욕에 두고 온도를 45 내지 46℃로 셋팅시켜 각 항아리 속의 용액이 43.8±0.1℃의 온도에 있도록 한다. 유사한 공정을 시험하에서 각 제품에 대해 그리고 시험 제품과 비교되는 표준 제품에 대해 수행한다.
그 다음에, 항아리의, 내용물은 바닥에 있는 지방을 방해하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컵의 한쪽 벽을 따라 아래로 컵에 붓고 컵을 21℃에서 1/2시간 동안 수평으로 방치한 다음 빙욕으로 옮기고 10분 동안 방치한다. 냉각시키는동안 지방침적 선이 컵 안에 있는 용액의 표면에 발생한다. 이러한 부음 및 냉각 순서는 각 컵-항아리 조합을 위해 수행한다. 10분 후에 각 컵을 신속히 비우고 컵 내부를 건조시켜 지방선의 가장 자리 및 수평 사이의 컵벽에 부착된 모든 물질을 제거한다. 그 다음에 컵을 흡수성 부엌용 로울상에 거꾸로 방치하여 10 내지 15분 동안 배수시키고 오븐에서 30℃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추가로 50℃에서 1시간 건조시킨다. 그 다음에 다시 컵의 중량을 측정한다. 지방의 원래 중량과 시험 후 잔류하는 중량의 평균 중량 차이를 5개의 샘플에 대해 계산한다. 이러한 차이를 표준 제품을 사용하여 수득한 중량 차이로 나누어 시험 제품과 표준 제품 사이의 성능비를 나타내는 값을 수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약 1.3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약 1.4 이상의 성능비를 나타낸다.
시험의 목적으로, 표준 제품은 동일한 농도에서 실험용 제품과 동일한 일반적 영역에서 지성 취급 성능을 가져야만 한다. 이것은 고체 조성물로서 작용하는 액체 및 고체 지방의 중량비를 조정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므로 표준(참조용) 제품이 시험 조건하에서 20 내지 35% 지방 제거를 제공한 반면 시험 제품은 20 내지 80%의 지방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지방의 동일한 욕을 시험 및 참조용 제품에 대해 사용해야만 한다.
3) 전체 비누거품 및 비누거품 마일수
전체 비누거품은 표준 식기 세척 시험동안 발생하는 비눅품의, 총 용적이며 제형물의 인지된 발포력의 척도이다. 비누거품 마일수는 표준 조건의 제품 농도 온도 및 수 경도하에서 규정된 최소 값으로 시험 용액의 비누거품을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고체 부하의 척도이다. 이것은 수동 식기 세척 용액의 인지된 유용한 생활을 반영한다. 동일한 시험 조건하에서 조성물의, 비누거품 마일수는 기술된 기계적 비누거품화 시험 방법에서 준비된 혼합 영양 토양 및 준비된 지성오물을 사용하여 만들어 진다.
[시험 조건]
제품농도 0.12%
수 온도 48℃
수 경도 2°클락 및 18°클락
혼합 영양 오물
쌀/저민 고기/계란 "진정한 식사"
1x392g Tin Tyne 상표의 저민 고기 및 양파1
1x439g Tin Ambrosia 크림형 쌀 푸딩2
1 계란
25ml 2% 옥수수 오일중 혼합 유리 지방산(MFFA)*
25ml 옥수수 오일
지성 오물
케이크 혼합물 슬러리
30g 스폰지 혼합물3
60g 2% 옥수수 오일중 MFFA*
1영국 노보르포크 킹스린 소재의, 마스터 푸즈(Master Foods)에 의해 시판.
2영국 데본 리프톤 소재의 암브로시아 크리머리(Ambrosia Creameng)에 의해 시판.
3영국 리딩 와르톤 그레이지 임페리알 웨이 소재의 맥더갈스 카터링 푸즈 리미티드(Mc Dougalls Catering Foods Ltd.) 에서 시판.
*4g 올레산, 4g 리놀레산, 2g 스테아르산, 5g 팔미트산, 735g순 옥수수 오일.
[시험 방법]
이 방법은 옆으로 나란하게 고정되고 약 중앙축에서 24rpm 의 속도로 회전 가능한 길이 30cm 및 직경 10cm의, 실린더 4개를 사용한다. 각 실린더에는 48℃의, 0.12% 농도의, 제품 용액 500ml을 충전한다. 바깥쪽 2개의 실린더를비교되는 하나의 제품을 위해 사용하고 안쪽 두개의 실린더를 기타 제품을 위해 사용한다.
실린더를 2분 동안 회전시키고 정지시키고 초기 비누거품을 측정하고 오물 부하를 전형적으로 2ml 분취량에 첨가한다. 1 분 후, 실린더를 재출발시키고 1분 동안 회전하도록 한다. 비누거품 높이를 주시하고 2ml의 오물을 각 실린더에 가한다. 1분 후 실린더를 재출발시킨다. 이 공정을 실린더 내의 비누거품 높이가 0.6cm 미만이 될 때까지 계속한다.
각 시험에서 비누거품 높이의 전체 모든 측정값(즉, 비누거품 높이가 0.6cm 미만이 될 때까지) 이 총 비누거품 측정 값을 형성한다.
하나의, 제품을 대조군으로서 지정하고 비누거품 인덱스 및 비누거품 마일수 값을 하기 기준에 따라 기타 제품 대 '대조군' 제품에 대해 계산한다.
시험 제품의 비누거품 지수
=[시험 제품의 전체 비누거품/대조군 제품의 전체 비누거품×100
시험 제품의 비누거품 마일수
=[비누거품 높이를 0.6cm를 감소시키는 시험 제품 용액으로의 오물 첨가수/비누거품 높이를 0.6cm로 감소시키는 대조군/제품의 오물 첨가 수]×100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고 이로써 제한되지 않으며, 이들 실시예에서 모든 부 및 퍼센트는 달리언급이 없는 한 중량에 의한다.
[실시예 1]
알킬 에톡시설페이트 계면활성제 및 N-라우로일-N-메틸 글루카민의 혼합물을함유하는 일련의 중심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제조한다. 알킬 에톡시설페이트는 알콜 1mol당 평균 0.8mol의 에틸렌 옥사이드로 축합반응된 C12-C141급 알콜로부터 유도하고 암모늄 및 마그네슘 이온의 혼합물로 중화시켜 알킬 에톡시설페이트 1mol 당 0.22mol의 마그네슘이 함유되도록 한다. 30% 중심 계면활성제 농도의 모의 제품을 증류수에서 우선 제조한다. 그 다음에 이 제품의 0.12중량% 용액을 연수(2°클락)또는 경수(18°클락)에서 형성하고 상기 기술된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PPC 지성 오물 제거를 위한 2°클락 수에서 IFT에 대해 시험한다. 이 방법을 알킬 에톡시설페이트 대 알킬 글루카민의 비가 100 : 1. 75 : 25, 65 : 35, 50 : 50, 25 : 75 및 0 : 100인 경우에 대해 수행하고 결과를 하기에 나타내었다.
알킬 글루카민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첨가는 IFT 값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성 유화에서, 증진된 PPC 오물 제거 값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은 지성오물 취급에서 두드러진 향상을 초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계면활성제 혼합물은 상기 기술된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총 비누거품 높이 및 비누거품 마일 수 성능에 대해 평가한다. 그러나 결과는 표준 제품에 대해 지표되지 않았지만 직접적으로 비누거품/비누거품 마일수 값으로서 보고되어 있다.
지성 오물 부하 조건하에서 지성 오물 제거 데이타 및 비누거품화 데이타 둘 다를 고려하기 위해, 지성 제거 및 비누거품화 성능을 위한 혼합물의 바람직한 범위는 알킬 에톡시설페이트 : 알킬 글루카민이 75 : 25 내지 50 : 50인 경우이고, 약 65 : 35가 적당하다. 100% 알킬 글루카민 시스템은 비교될만한 지성 제거 성능을 제공하지만 특히 지성오물 조건하에서 총 서징 및 비누거품 마일수에서 심각하게 결핍되어 있다.
[실시예 2]
하기 조성물 A내지 E를 제조한다 :
조성물 A 는 대조용인 시판용 액상 세정제 식기 세척 제품이고 반면 조성물 B, C, D 및 E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이다.
알콜 1mol당 평균 10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하고 에톡실화되지 않은 알콜 2중량% 미만을 함유하는 주로 직쇄 C-C블렌드.
IFT, PPC 및 비누거품 마일수 값은 모두 5개의 제품에 대해 수득하였고 결과는 하기에 나타내었다.

Claims (27)

  1. (a)C10-16알킬 에톡시설페이트 및 C10-16피라핀 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수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의 염의 혼합물 5 내지 95중량%와
    (b)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의 혼합물 95 내지 5중량%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중심(core) 계면활성제 혼합물 15 내지 65중량%(조성물 기준)를 포함하고, 조성물 중의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0.12중량% 수용액은 클락(Clark)광물경도가 2°(Ca : Mg 비는 3 : 1)이고 온도가 48℃인 물에서,
    (i) 순도 99.7% 의, 트리올레인 오물을 사용하였을 때의 회전 소적 계면장력(IFT)이 0.2Pa·cm미만이고;
    (ii)폴리프로필렌 컵(PPC)에서 지성(脂性) 오물제거 값이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성분 단독의 0.12% 용액을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하에서 동일한 시험으로 수득한 값의 1.4배이상인, 물리적으로 안정한 수용액 형태의 비-빌트(unbuilt)액체 또는 겔형 세정제 조성물.
    상기식에서,
    Z는 3개 이상의 하이드록시 그룹이 직접 결합된 하이드록시 탄화수소쇄와 함께 탄화수소 직쇄를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하이드로카빌 잔기이고, 당해 잔기는 글루코오즈 및 이와 말토오즈와의 혼합물(여기서, 말토오즈는 혼합물의 33중량% 이하를 구성한다)로부터 유도되고,
    R은 탄소수 8 내지 16의포화 또는 불포 알킬 그룹 또는 이러한 그룹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잔기이며
    R1은 C1-4알킬 또는 C2-4하이드록시알킬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잔기이다.
  2. 제1항에 잇어서, 성분(b)의 폴리하이드록시 하이드로카빌 잔기가 글루코오즈 및 글루코오즈와 말토오즈와의 혼합물(이때, 말토오즈는 혼합물의 25중량%이하를 구성한다)로부터 유도되는 비-빌트 액체 또는 겔형 세정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20 내지 40중량%의 중심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포함하는 비-빌트 액체 또는 겔형 세정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22내지 40중량%의 중심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포함하는 비-빌트 액체 또는 겔형 세정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20 내지 40중량%의 중심 계면활성제 혼합물이 20 내지 80중량%의 성분(a) 및 80 내지 20중량%의, 성분(b)를 포함하는 비-빌트 액체 또는 겔형 세정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중심 계면활성제 혼합물이 40 내지 70중량%의 성분(a) 및 60 내지 30중량%의 성분(b)를 포함하는 비-빌트 액체 또는 겔형 세정제 조성물.
  7. (a) 알킬 에톡시설페이트 1mol 당 평균 6mol 이하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C10-16알킬 에톡시설페이트 및 C10-16피라핀 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수용성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이의 염의 혼합물 5 내지 95중량%와
    (b)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의 혼합물 95 내지 5중량%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중심 계면활성제 혼합물 20 내지 50중량%(조성물 기준)를 포함하고, 조성물 중의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0.12중량% 수용액은 클락(Clark)광물경도가 2°(Ca : Mg 비는 3 : 1)이고 온도가 48℃인 물에서,
    (i) 순도 99.7% 의, 트리올레인 오물을 사용하였을 때의 회전 소적 계면장력(IFT)이 0.2Pa·cm미만이고;
    (ii)폴리프로필렌 컵(PPC)에서 지성(脂性) 오물제거 값이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성분 단독의 0.12% 용액을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하에서 동일한 시험으로 수득한 값의 1.4배이상인, 물리적으로 안정한 수용액 형태의 비-빌트(unbuilt)액체 또는 겔형 세정제 조성물.
    상기식에서,
    R은 포화 또는 불포화 C8-C16하이드로카빌 그룹 또는 이러한 그룹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잔기이며,
    R1은 C1-4알킬 또는 C2-4하이드로카빌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Z는 글루코오즈 및 이와 말토오즈와의, 혼합물(여기서, 말토오즈는 혼합물의 25 중량 이하를 구성한다)로부터 유도된 폴리하이드록시 하이드로카빌 잔기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22내지 40중량%의 중심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포함하는 비-빌트 액체 또는 겔형 세정제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중심 계면활성제 혼합물이 20 내지 80중량%의 성분(a) 및 80 내지 20중량%의, 성분(b)를 포함하는 비-빌트 액체 또는 겔형 세정제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중심 계면활성제 혼합물이 40 내지 70중량%의 성분(a) 및 60 내지 30중량%의, 성분(b)를 포함하는 비-빌트 액체 또는 겔형 세정제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성분(a)가 알킬 에톡시설페이트 1mol당 평균 1.5개 이하의 에톡시 그룹을 함유하는 1급 C12-C14알킬 에톡시설페이트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비-빌트 액체 또는 세정제 조성물.
  12. 제7항에 있어서, 성분(a)가 알킬 에톡시설페이트 1mol당 평균 0.4내지 1.0개의 에톡시 그룹을 함유하는 1급 C12-C14알킬 에톡시설페이트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비-빌트 액체 또는 세정제 조성물.
  13. 제7항에 있어서, Mg2+를 조성물의 1중량% 이하의 양으로 혼입한 비-빌트 액체 또는 겔형 세정제 조성물.
  14. 제7항에 있어서, Ca2+를 조성물의 1중량% 이하의 양으로 혼입한 비-빌트 액체 또는 겔형 세정제 조성물.
  15. 제7항에 있어서, C10-C16알킬 모노- 또는 디-C2-C3알칸올아미드, C12-C16알킬 설포베타인, C10-C16알킬, 디 C1-C4알킬 또는 디 C2-C4하이드록시알킬아민 옥사이드, 알콜 1mol당 평균 7 내지 12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그룹을 함유하는 C9-C121급 알콜 에톡실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비누 거품 촉진물질을 혼입한 비-빌트 액체 또는 겔형 세정제 조성물.
  16. (a) 알킬 에톡시설페이트 1mol 당 평균 6mol이하의 에틸렌 옥사이드를함유하는 C10-16알킬 에톡시설페이트 및 C10-16피라핀 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수용성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이의 염의 혼합물 5 내지 95중량%와 (b)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의 혼합물 60 내지 30중량%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중심 계면활성제 혼합물 20 내지 50중량%(조성물 기준)를 포함하고, 베타인, 및 알콜 1mol당 평균 7 내지 9mol의 에틸렌 옥사이드와 축합된 C9-C111급 알콜을 포함하는 비누 거품 촉진 물질을 조성물의 2 내지 8 중량 %의 양으로 포함하며, 조성물 중의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0.12중량% 수용액은 클락(Clark)광물경도가 2°(Ca : Mg 비는 3 : 1)이고 온도가 48℃인 물에서,
    (i) 순도 99.7% 의, 트리올레인 오물을 사용하였을 때의 회전 소적 계면장력(IFT)이 0.2Pa·cm미만이고;
    (ii)폴리프로필렌 컵(PPC)에서 지성(脂性) 오물제거 값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성분 단독의, 0.12% 용액을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하에서 동일한 시험으로 수득한 값의 1.4배이상인, 물리적으로 안정한 수용액 형태의 비-빌트(unbuilt)액체 또는 겔형 세정제 조성물.
    상기식에서,
    R은 포화 또는 불포화 C8-C16하이드로카빌 그룹 또는 이러한 그룹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잔기이며,
    R1은 C1-4알킬 또는 C2-4하이드로카빌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Z는 글루코오즈 및 이와 말토오즈와의 혼합물(여기서, 말토오즈는 혼합물의 5 중량 이하를 구성한다)로부터 유도된 폴리하이드록시 하이드로카빌 잔기이다.
  17. 제16항에 있어서 C1-C3지방족 알콜, 우레아, 저급 알킬 또는 디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이드로트롭을 추가로 포함하는 비-빌트 액체 세정제 조성물.
  18. 제16항에 있어서,조성물이 불투명제를 포함하는 물리적으로 안정한 비-빌트 액체 식기 세척용 세정제 조성물.
  19. 제16항에 있어서, pH가 6.0 내지 8.5 범위인 비-빌트 액체 세정제 조성물.
  20. (a) 알킬 에톡시설페이트 1mol 당 평균 6mol이하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C10-16알킬 에톡시설페이트 및 C10-16피라핀 설포네이트의 혼합물 40 내지 70중량%와
    (b)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의 혼합물 60 내지 30중량%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중심 계면활성제 혼합물 20 내지 50중량%(조성물 기준)를 포함하고, 0.3 내지 0.5중량%의 Ca2+이온 및 0.5 내지 1.0중량%의 Mg2+이온을 혼입하고, 베타인, 및 알콜 1mol당 평균 7 내지 9mol의 에틸렌 옥사이드와축합된 C9-C111급 알콜을 포함하는 비누 거품 촉진 물질을 조성물의 2 내지 8 중량 %의 양으로 포함하며, 조성물 중의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0.12중량% 수용액은 클락(Clark)광물경도가 2°(Ca : Mg 비는 3 : 1)이고 온도가 48℃인 물에서,
    (i) 순도 99.7% 의, 트리올레인 오물을 사용하였을 때의 회전 소적 계면장력(IFT)이 0.2Pa·cm미만이고;
    (ii)폴리프로필렌 컵(PPC)에서 지성 오물제거 값이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성분 단독의, 0.12% 용액을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하에서 동일한 시험으로 수득한 값의 1.4배 이상인, 물리적으로 안정한 수용액 형태의 비-빌트 액체 또는 겔형 세정제 조성물.
    상기식에서,
    R은 C12-C14직쇄 또는 거의 직쇄 알킬 잔기이며,
    R1은 메틸이고,
    Z는 글루코오즈 및 이와 말토오즈와의, 혼합물(여기서, 말토오즈는 혼합물의 5 중량 이하를 구성한다)로부터 유도된 폴리하이드록시 하이드로카빌 잔기이다.
  21. 폴리하이드록시 지방산 아미드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N-C9-C17-아실-N-C1-C4알킬 글루카민 설페이트 중에서 선택된 황산화 폴리하이드록시 지방산 아미드인 음이온성 세정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22. 제21항에 있어서, 알칸올아미드, 베타인 계면활성제, 설포베타인 계면활성제, 아민 옥사이드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거품 촉진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23. 제21항에 따르는 액체 조성물.
  24. 제22항에 따르는 식기 세척용 액체 조성물.
  25. 제22항에 있어서,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식기 세척용 액체 조성물.
  26. 제21항에 따르는 조성물을 함유하는 수용액과 식기 접촉시킴을 포함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방법.
  27. 제22항에 따르는 조성물을 함유하는 수용액과 식기를 접촉시킴을 포함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방법.
KR1019930700912A 1990-09-28 1991-09-25 액체 세정제 조성물 KR100221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021217.6 1990-09-28
GB909021217A GB9021217D0 (en) 1990-09-28 1990-09-28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PCT/US1991/006977 WO1992006171A1 (en) 1990-09-28 1991-09-25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1444B1 true KR100221444B1 (ko) 1999-09-15

Family

ID=10682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0912A KR100221444B1 (ko) 1990-09-28 1991-09-25 액체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31)

Country Link
EP (1) EP0550636B1 (ko)
JP (1) JP3007150B2 (ko)
KR (1) KR100221444B1 (ko)
CN (1) CN1042236C (ko)
AR (1) AR244328A1 (ko)
AT (1) ATE127834T1 (ko)
AU (1) AU664023B2 (ko)
BR (1) BR9106935A (ko)
CA (1) CA2092194C (ko)
CO (1) CO4180440A1 (ko)
CZ (1) CZ281716B6 (ko)
DE (1) DE69113055T2 (ko)
DK (1) DK0550636T3 (ko)
EG (1) EG19516A (ko)
ES (1) ES2077247T3 (ko)
FI (1) FI931369A (ko)
GB (1) GB9021217D0 (ko)
GR (1) GR3017416T3 (ko)
HU (1) HU213448B (ko)
IE (1) IE76141B1 (ko)
IN (1) IN185274B (ko)
MA (1) MA22303A1 (ko)
MX (1) MX9101373A (ko)
MY (1) MY108070A (ko)
NO (1) NO931078L (ko)
NZ (1) NZ240022A (ko)
PT (1) PT99087B (ko)
SK (1) SK25393A3 (ko)
TR (1) TR26013A (ko)
TW (1) TW265361B (ko)
WO (1) WO19920061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9206470A (pt) * 1991-09-06 1995-10-31 Procter & Gamble Composiçoes detergentes contendo cálcio e polihidróxi amida de ácido graxo
EP0572723A1 (en) * 1992-06-02 1993-12-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uctured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WO1994004640A1 (en) * 1992-08-21 1994-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centrated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an alkyl ether sulphate and a process for making the composition
US5580849A (en) * 1992-09-01 1996-12-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or gel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calcium and stabilizing agent thereof
CA2143328A1 (en) * 1992-09-01 1994-03-17 Kofi Ofosu-Asante Liquid or gel dishwashing detergent containing alkyl ethoxy carboxylate, divalent ions and alkylpolyethoxypolycarboxylate
US5545354A (en) * 1992-09-01 1996-08-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or gel dishwashing detergent containing a polyhydroxy fatty acid amide, calcium ions and an alkylpolyethoxypolycarboxylate
CA2143330C (en) * 1992-09-01 1999-02-23 Julie Anne Dyet Liquid or gel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calcium and stabilizing agent thereof
US5269974A (en) * 1992-09-01 1993-12-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or gel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alkyl amphocarboxylic acid and magnesium or calcium ions
AU5540994A (en) * 1992-11-04 1994-05-24 Procter & Gamble Company, The Detergent gels
CA2148097A1 (en) * 1992-11-30 1994-06-09 Jean-Pol Boutique Cleaning with low-sudsing mixed polyhydroxy fatty acid amide nonionic/anionic surfactants
AU5853294A (en) * 1992-12-28 1994-07-19 Procter & Gamble Company, The Clear detergent gels
PE4995A1 (es) * 1993-06-30 1995-03-01 Procter & Gamble Gel detergente que contiene alquilsulfatos etoxilados y sulfonatos secundarios
DE4323253C1 (de) * 1993-07-12 1995-01-05 Henkel Kgaa Verwendung von Fettsäure-N-alkylpolyhydroxyalkylamiden als Klarspülmittel für die maschinelle Reinigung harter Oberflächen
US5417893A (en) * 1993-08-27 1995-05-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centrated liquid or gel light duty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calcium ions and disulfonate surfactants
US5415814A (en) * 1993-08-27 1995-05-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centrated liquid or gel light duty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calcium xylene sulfonate
US5415801A (en) * 1993-08-27 1995-05-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centrated light duty liquid or gel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sugar
US5474710A (en) * 1993-08-27 1995-12-12 Ofosu-Asanta; Kofi Process for preparing concentrated surfactant mixtures containing magnesium
US5489393A (en) * 1993-09-09 1996-02-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igh sudsing detergent with n-alkoxy polyhydroxy fatty acid amide and secondary carboxylate surfactants
US5500150A (en) * 1993-09-09 1996-03-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olidified detergent additive with n-alkoxy polyhydroxy fatty acid amide and alkoxylated surfactant
EP0717766B1 (en) * 1993-09-09 1998-04-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utomatic dishwashing detergent with alkoxy or aryloxy amide surfactant
BR9407498A (pt) * 1993-09-14 1996-06-25 Procter & Gamble Composiçoes detergentes para lavagem de pratos geis ou liquidas de trabalho leve contendo protease
DE4331297A1 (de) * 1993-09-15 1995-03-16 Henkel Kgaa Stückseifen
US5750748A (en) * 1993-11-26 1998-05-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alkyl polyhydroxy fatty acid amide compositions and their method of synthesis
EP0659870A1 (en) * 1993-11-26 1995-06-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alkyl polyhydroxy fatty acid amide compositions and their method of synthesis
DE4400632C1 (de) * 1994-01-12 1995-03-23 Henkel Kgaa Tensidgemische und diese enthaltende Mittel
ATE178934T1 (de) * 1994-01-25 1999-04-15 Procter & Gamble Langkettiges aminoxyd enthaltende, hoch schäumende, milde,flüssige oder gelförmige spülwaschmittelzusammensetzungen
CN1142221A (zh) * 1994-01-25 1997-02-05 普罗格特-甘布尔公司 多羟基二胺及它们在洗涤剂组合物中的应用
US5512699A (en) * 1994-01-25 1996-04-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oly polyhydroxy fatty acid amides
US5534197A (en) * 1994-01-25 1996-07-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Gemini polyhydroxy fatty acid amides
DE4409321A1 (de) * 1994-03-18 1995-09-21 Henkel Kgaa Detergensgemische
WO1995030730A1 (en) * 1994-05-06 1995-11-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detergent containing polyhydroxy fatty acid amide and toluene sulfonate salt
US5500153A (en) * 1994-07-05 1996-03-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ndwash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having improved mildness and cleaning performance
USH1632H (en) * 1994-08-15 1997-02-04 Shell Oil Company Liquid laundry detergent formulations
US5686603A (en) * 1995-05-04 1997-11-11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Sulfated polyhydroxy compounds as anionic surfactants and a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DE19533539A1 (de) 1995-09-11 1997-03-13 Henkel Kgaa O/W-Emulgatoren
DE19544710C2 (de) 1995-11-30 1998-11-26 Henkel Kgaa Verdickungsmittel
US5932535A (en) * 1995-12-21 1999-08-03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light-colored, low-viscosity surfactant concentrates
DE19548068C1 (de) 1995-12-21 1997-06-19 Henkel Kgaa Verfahren zur Herstellung hellfarbiger, niedrigviskoser Tensidkonzentrate
AU2602597A (en) * 1996-04-08 1997-10-29 Colgate-Palmolive Company, The Light duty liquid cleaning compositions
DE19749560C2 (de) * 1997-11-10 2002-01-10 Henkel Kgaa Hautfreundliche Handgeschirrspülmittel
DE10018812A1 (de) 2000-04-15 2001-10-25 Cognis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ichtionischen Tensidgranulaten
EP1167500A1 (en) * 2000-06-29 2002-01-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of cleaning a hard surface
DE102005025933B3 (de) 2005-06-06 2006-07-13 Centrotherm Photovoltaics Gmbh + Co. Kg Dotiergermisch für die Dotierung von Halbleitern
AR072859A1 (es) 2008-05-23 2010-09-29 Colgate Palmolive Co Metodos y composiciones liquidas de limpieza
CN102775831B (zh) * 2012-07-31 2014-11-12 华南理工大学 在材料表面紫外表固化接枝两性离子凝胶涂层的方法
US11879111B2 (en) 2020-03-27 2024-01-23 Ecolab Usa Inc. Detergent compositions, cleaning systems and methods of cleaning cosmetic and other soil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72347B (ko) * 1956-05-14
GB2058823B (en) * 1979-09-17 1983-06-22 Unilever Ltd Dishwashing compositions
CA1151501A (en) * 1981-03-24 1983-08-09 Gilles M. Tastayre Cleaning gel,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and use
GB8405266D0 (en) * 1984-02-29 1984-04-04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s
ES8708009A1 (es) * 1984-11-07 1987-09-01 Procter & Gamble Un metodo para preparar una composicion detergente liquida
DE3711776A1 (de) * 1987-04-08 1988-10-27 Huels Chemische Werke Ag Verwendung von n-polyhydroxyalkylfettsaeureamiden als verdickungsmittel fuer fluessige waessrige tensidsyste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77247T3 (es) 1995-11-16
GB9021217D0 (en) 1990-11-14
ATE127834T1 (de) 1995-09-15
HUT64390A (en) 1993-12-28
EP0550636A1 (en) 1993-07-14
PT99087A (pt) 1992-08-31
HU213448B (en) 1997-06-30
MX9101373A (es) 1992-05-04
MY108070A (en) 1996-08-15
DK0550636T3 (da) 1996-02-05
IN185274B (ko) 2000-12-16
JPH06501729A (ja) 1994-02-24
WO1992006171A1 (en) 1992-04-16
AU8735291A (en) 1992-04-28
IE913404A1 (en) 1992-04-08
NZ240022A (en) 1995-03-28
BR9106935A (pt) 1993-08-17
SK25393A3 (en) 1993-07-07
CZ281716B6 (cs) 1996-12-11
JP3007150B2 (ja) 2000-02-07
FI931369A (fi) 1993-04-26
TW265361B (ko) 1995-12-11
EP0550636B1 (en) 1995-09-13
CA2092194C (en) 1996-11-19
CN1062160A (zh) 1992-06-24
DE69113055T2 (de) 1996-04-04
AR244328A1 (es) 1993-10-29
CO4180440A1 (es) 1995-06-07
PT99087B (pt) 2001-05-31
CA2092194A1 (en) 1992-03-29
EG19516A (en) 1995-08-30
GR3017416T3 (en) 1995-12-31
HU9300888D0 (en) 1993-07-28
NO931078L (no) 1993-05-27
CZ53393A3 (en) 1994-10-19
IE76141B1 (en) 1997-10-08
DE69113055D1 (de) 1995-10-19
MA22303A1 (fr) 1992-04-01
NO931078D0 (no) 1993-03-24
FI931369A0 (fi) 1993-03-26
CN1042236C (zh) 1999-02-24
AU664023B2 (en) 1995-11-02
TR26013A (tr) 199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1444B1 (ko) 액체 세정제 조성물
US4923635A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alkylbenzene sulfonate, alkyl ethanol ether sulfate, alkanolamide foam booster and magnesium and triethanolammonium ions
EP0181212B1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US3332876A (en) Detergent composition
JPH0635595B2 (ja) 軽質洗剤組成物
EP0125854B1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US4671894A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US4259216A (en) Process for producing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CA1192470A (en) Detergent compositions
CN1057116C (zh) 含有乙氧基化烷基硫酸盐和辅助的磺酸盐的洗涤剂凝胶
JPH09501969A (ja) カルシウムイオンおよびジスルホネート界面活性剤を含有する濃縮液体またはゲル食器洗い用洗剤組成物
US4162994A (en) Powdere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a calcium salt of an anionic surfactant
AU654508B2 (en) Concentrated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alkyl benzene sulfonate and magnesium
US5096622A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alkylbenzene sulfonate, alkyl ethonal ether sulfate, alkanolamide foam booster and magnesium and triethanolammonium ions
EP0107946B1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JPS606995B2 (ja) 洗剤組成物
EP0112044B1 (en) Detergent compositions
CA2111548C (en) Amide thickening agent and thickened cleaner compositions
GB2130237A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PT93859A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composicors tensio-activas contendo uma mistura de um alcool-etoxilado e um alcool-etoxi-sulfato
JPS59221392A (ja) 無リン洗剤組成物
JPH0665717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