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859B1 - 원통형 중량물 틸팅장치 - Google Patents

원통형 중량물 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859B1
KR100220859B1 KR1019970014380A KR19970014380A KR100220859B1 KR 100220859 B1 KR100220859 B1 KR 100220859B1 KR 1019970014380 A KR1019970014380 A KR 1019970014380A KR 19970014380 A KR19970014380 A KR 19970014380A KR 100220859 B1 KR100220859 B1 KR 100220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frame
base
cylindrical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4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7305A (ko
Inventor
박태갑
Original Assignee
김형벽
현대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벽, 현대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형벽
Priority to KR1019970014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859B1/ko
Publication of KR19980077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7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38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by dumping, tripping, or releasing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4Devices for flexing or tilting travelling structures; Throw-off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2Noise preven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중량물 틸팅(TILTING)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최소공간에서 중량물을 90
Figure kpo00001
틸팅 시키는 것으로, 원통형 중량물 즉 작업물의 반입·반출이 용이하고, 틸팅시 천정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으며, 틸팅완료 후 팔레트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지게차의 작업이 용이함과 동시에 안전성을 향상시킨 원통형 중량물 틸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통형 중량물을 반입·반출할 수 있는 스토커를 탑재하고 사이드 베이스와 팔레트 베이스가 수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된 리프팅 프레임과, 상기 리프팅 프레임의 사이드 베이스가 삽입되고 유압실린더와 센서 유니트가 내설된 틸팅프레임과, 상기 틸팅 프레임의 틸팅 샤프트를 지지하고 틸팅용 유압실린더의 부착베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프레임들을 지지하여 주는 틸팅 베이스로 구성되어 틸팅회전 중 리프팅 프레임을 스텝 바이 스텝에 따라 리프팅 제어를 구현하여 최소회전반경을 구현하고 주변 설비인 지게차와 용이하게 원통형 중량물을 주고받을 수 있는 원통형 중량물 틸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원통형 중량물 틸팅장치
본 발명은 원통형 중량물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지 및 신문원단 이송라인, 섬유원단 이송라인 등에 사용되는 원통형 중량물 이송라인에서 불량품의 임의 취출 후 지게차를 이용하여 원통형 중량물을 배출하거나 원통형 중량물을 공급.배출할 시 지게차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원통형 중량물을 틸팅하는 원통형 중량물 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원통형 중량물 틸팅장치는 원통형 중량물이 놓여지고 일측에 배출용 키커가 장착된 곡선형의 프레임과, 원통형 중량물의 반입점반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하단 하부에 장착되는 원통형 중량물 반입·반출 유지용 실린더와, 상기 프레임과 수직을 이루고 팔렛이 삽입되는 홈이 구비된 틸팅용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틸팅용 프레임을 틸팅용 기어에 의하여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틸팅용 모터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원통형 중량물 틸팅장치를 이용하여 원통형 중량물을 반입할 시에는 원통형 중량물이 놓여지는 프레임이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원통형 중량물 반입·반출 유지용 실린더를 이용하여 곡선형의 프레임 일측을 기울이고 원통형 중량물을 반입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반입된 원통형 중량물을 지게차가 운반하기 용이하도록 틸팅할 시에는 틸팅용 프레임에 장착된 기어를 틸팅용 모터가 회전시켜 힌지부를 중심으로 원통형 중량물이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프레임 상부로 반입된 원통형 중량물이 틸팅용 모터와 기어에 의하여 틸팅용 프레임에 삽입된 팔렛을 받침으로 하여 길이방향으로 세워지게 되어 있었다.
또한 반입된 원통형 중량물을 반출할 시에는 반입 시와 같이 곡선형 프레임을 반입. 반출 유지용 실린더를 이용하여 일측으로 기울게 하고 프레임 일측에 장착된 키커를 이용하여 프레임 외부로 반출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원통형 중량물 틸팅장치는 프레임이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오염물질이 누적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원통형 중량물의 반입.반출 시 원통형 중량물이 손상되거나 오염물질이 묻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또한 원통형 중량물의 틸팅 시 즉, 팔렛 상부에 원통형 중량물을 길이 방향으로 세울 시, 원통형 중량물의 크기에 따라 원통형 중량물의 회전반경이 변경되므로 지름이 큰 원통형 중량물의 틸팅 시 천정부와의 간섭으로 인하여 충분한 회전공간 확보가 어려운 점이 있었으며, 상기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고자 지게차 접근 부분에 피트(FIT)를 형성하여 천정부와의 간섭을 방지하였으나 이로 인하여 지게차의 운용이 불편하고 추락 등의 안전문제가 대두되었다. 또한 건물 기둥을 변형하여 간섭 등을 회피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공사비용이 증대되고 기둥을 변형시키는 것이므로 안전상의 문제가 있었으며, 피트(PIT)를 형성하기 어려운 작업장소(1층이 아닌 2, 3층)에서는 천정부와 원통형 중량물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없으므로 작업에 제약이 있었다.
또한 원통형 중량물을 틸팅시킬 시 모터와 기어를 이용하여 틸팅프레임을 회전시키므로 장비가 증대되고, 회전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전모멘트가 커 소요동력이 매우 크며, 틸팅 회전용 동력전달부 즉 기어의 수명이 단축됨과 동시에 장비의 증대로 인하여 설치면적이 켜야 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원통형 중량물의 반입.반출 및 틸팅을 위하여 유압실린더와 전동모터를 동시에 사용하여야 하므로 고장시 수리비용이 증대되고 전동모터와 유압장치의 이중 사용으로 경제성이 저하되며 장비의 보전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또한 원통형 중량물의 반입.반출시 곡선형 프레임을 기울여야 하므로 평면인 대차와 곡선형인 프레임과의 사이에 공간(틈새)이 발생하게 되므로 원통형 중량물의 반입·반출을 보조하는 별도의 공간틈새 처리용 장치가 삽입되어야 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미 널리 알려진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 6-53517은 대형 통용기의 전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로울러 컨베이어에 의해 반전대로 원통형 작업물을 이송하고, 실린더에 의해 반전대를 90
Figure kpo00003
회전시킨 후, 킥커를 이용하여 회전된 원통형 작업물을 일방향으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었다. 즉, 상기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 6-53517호는 로울러 컨베이어에 의해 원통형 작업물을 이송하므로, 원통형 작업물을 항시 세워서 이송해야 하며, 로울러 컨베이어가 견딜 수 있는 2톤 미만의 비교적 가벼운 작업물만을 이송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종으로 세워져 이송된 원통형 작업물을 횡으로 뉘여서 배출하는 기능 즉, 일방향 물류 이송기능만 있으므로 컨베이어와 반전기, 반전기와 컨베이어간의 쌍방향 물류이송이 불가능하고, 사용장소에 제한을 받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며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최소공간에서 중량물을 90
Figure kpo00004
틸팅시켜 원통형 중량물(작업물)의 반입·반출이 용이하고, 틸팅 시 천정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으며, 틸팅완료 후 팔렛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여 지게차의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안전성을 향상시킨 원통형 중량물 틸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통형 중량물의 틸팅장치를 변형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즉, 원통형 중량물을 반입·반출할 수 있는 스토커를 탑재하고 슬라이드 베이스와 팔렛 베이스가 수직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된 리프팅 프레임과, 상기 리프팅 프레임의 슬라이드 베이스가 삽입되고 유압실린더 및 센서 유니트가 내설된 틸팅 프레임과, 상기 틸팅 프레임의 틸팅 샤프트와 연결되고, 리프팅 프레임과 틸팅 프레임을 지지하는 틸팅 베이스와, 상기 틸팅 베이스에 일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고, 또 다른 일측이 틸팅 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틸팅 회전 중 리프팅 프레임을 스텝 바이 스텝에 따라 리프팅 제어를 구현하여 최소회전 반경을 구현하고 주변 설비인 지게차와 용이하게 원통형 중량물을 주고받을 수 있는 원통형 중량물 틸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커의 작동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완충대.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대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토커 2 : 리프팅 프레임(Lifting Frame)
3 : 틸팅 프레임 4 : 틸팅 베이스
5,34 : 유압실린더 6 : 완충대
10 : 캠 수동 구동용 핸들 11 : 스토커 프레임(Stocker Frame)
12,12',13,13' : 스톱퍼(Stopper) 14,14',15,15' : 키커암(Kicker Arm)
16 : 에어실린더 17 : 스톱퍼 링크(Stopper Link)
18 : 완충실린더 19,19' : 키커(Kicker)
20,20' : 캠(CAM) 21 : 팔렛 베이스(Pallet base)
22 : 슬라이드 베이스(Slide base) 31 : 가이드 레일(Guide rail)
32 : 틸팅 샤프트 33 : 유압실린더 장착용 지지대
35 : 센서 41 : 지지대
42,321,331 : 브래킷 43,332 : 결합봉
44 : 베이스 61 : 스톱퍼
62 : 완충기 63 : 베이스
211 : 홈 212 : 홈 측면부
213 : 에어 클램프 221 : 로울러
621 : 피스톤부 622 : 머리
623 : 몸체 624 : 실린더부
625 : 스프링 W : 작업물(원통형 중량물)
제1도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원통형 중량물을 반입.반출하는 스토커(1)와, 틸팅 완료된 원통형 중량물(이하 작업물이라 칭함)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리프팅 프레임(2)과, 상기 리프팅 프레임(2)이 삽입되는 틸팅프레임(3)과, 상기 틸팅 프레임(3) 하단에 장착되는 틸팅 베이스(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커(1)는 인접 장비인 대차에서 원통형 중량물 즉 작업물(W)이 이동되는 곳으로 전후 스톱퍼(12,12',13,1,3')와 전후 키커암(14,14',15,15')을 힌지 결합시키고, 전후 스톱퍼(12,12',13,13')는 각각의 에어실린더(16)로 스톱퍼 링크(17)에 연결시키고, 상기 스톱퍼 링크(17)는 완충실린더(18)로 전후 스톱퍼(12,12',13,13')의 습동부에 연결시켜 작업물(W)을 반입 및 유지시킬 수 있게 하며, 전후 키커암(14,14',15,15')의 각 선단에는 키커(19,19')를 설치하되 내측에 습동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일측단은 스토커 프레임(11)에 힌지결합시기고 하단에는 캠 모터(도시 없음)에 의해 작동하는 전후 캠(20,20')을 장착하여 경사작동 및 작업물을 반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정전 및 전기적인 문제로 인하여 스토커를 작동시킬 수 없을 때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전후 캠(20,2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스토커 프레임(11) 측면부에 캠 수동 구동용 핸들(10)을 장착한다.
상기 리프팅 프레임(2)은 팔렛(도시 없음)이 삽입되는 팔렛 베이스(21)와 상기 스토커(1)가 놓여지는 슬라이드 베이스(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팔렛 베이스(21)는 팔렛이 삽입되는 홈(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의 측면부(212)에 에어 클램프(213)가 장착되어 팔렛 삽입시 삽입된 팔렛을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22)는 상기 팔렛 베이스(21)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스토커(1)의 캠 작동 중 모터가 일측에 장착되고, 상부에 스토커가 장착되며 양측에 다수개의 로울러(221)가 장착된다.
상기 틸팅 프레임(3)은 슬라이드 베이스(22)의 양측에 장착된 다수개의 로울러(221)가 삽입되는 'ㄷ'형강의 가이드 레일(31)이 양측에 장착된 'ㄷ'자 형상의 구조물로써, 하단에 틸팅 샤프트(32)와 유압실린더 장착용 지지대(33)가 각각 장착되며, 다수개의 센서(35)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장착되어 있다.
상기 틸팅 샤프트(32)는 틸팅 프레임(3) 하단에 장착되어 가이드 레일(31)의 강성을 보조하고 회전반경이 최소가 될 수 있도록 작업물(W)이 스토커(1)에 반입될 시 팔렛 베이스(21)와 일치되는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양측에 브래킷(321)이 장착된다.
상기 유압실린더 장착용 지지대(33)는 틸팅 프레임(3) 하단에 장착되어 가이드 레일(31)의 강성을 보조하는 것으로, 상단에 리프팅 프레임(2)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34)가 장착되고, 하단에 틸팅용 유압 실린더(5)를 장착할 수 있는 브래킷(331)이 장착되어 결합봉(332)에 의해 틸팅용 유압실린더(5)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틸팅 프레임(3)내에서 리프팅 프레임(2)이 습동할 수 있는 길이는 필요에 따라 최대 리프팅 프레임(2) 길이의 1/2, 최소 0 ∼ 리프팅 요구길이(간섭 회피용)까지이며, 상기 틸팅 프레임(3)에 일정간격으로 장착된 센서(35)에 의해 틸팅 회전 중 유압실린더(34)가 스텝 바이 스텝(STEP BY STEP)으로 작동되어 회전 중 틸팅 샤프트(34) 축 중심과 무관하게 틸팅 회전작업이 진행된다.
상기 틸팅 베이스(4)는 상부면에 틸팅 샤프트(32) 양측에 장착된 브래킷(321)이 각각 장착되는 지지대(41)와 틸팅용 유압실린더(5)를 고정하는 브래킷(42)과 결합봉(43), 상기 브래킷(42)과 두 개의 지지대(41)가 장착되는 베이스(4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틸팅용 베이스(4)의 높이는 대차의 적재 상면과 틸팅용 장비의 스토커(1)상부의 적재 상면이 일치되도록 설정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커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 제지 및 신문원단 이송라인, 섬유원단 이송라인 등에 사용되는 원통형 중량물(작업물)을 대차로 이송하여 틸팅장치의 스토커에 반입할 시, 적재시키는 방향에 따라 일측의 에어실린더(18)를 작동시키면 스토커 프레임(11)내에 힌지 결합되어 있던 스톱퍼(13,13')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승하며, 이때 에어실린더(16)의 로드는 스톱퍼 링크(17)를 밀고 스톱퍼 링크(17)에 연결된 완충실린더(18)는 스톱퍼(13,13')의 내측 습동부를 따라 상승하여 습동부 상사점에 도달하면 에어실린더(16)가 작동을 중지하여 작업물(W)의 반입을 대기하며 주변장비로부터 작업물(W)이 스토커(1) 상부로 진입하여 스톱퍼(13,13')에 접촉할 때 스톱퍼 링크(17)와 스톱퍼(13,13') 사이에 설치된 완충실린더(18)가 충격을 흡수하여 작업물(W)의 반발력을 감쇄시켜 안전하게 유지시키며 또한 작업물(W)의 외주연면을 보호하도록 있다. 상기 작업물(W)이 안치되면 타측의 스톱퍼(12,12')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에어실린더(16)를 작동시켜 작업물(W)의 전 후방향에서 유지시키며, 스톱퍼(12,12',13,13')의 활용은 작업물의 진입방향에 따라 전면 스톱퍼(12,12')와 후면스톱퍼(13,13')를 순차적으로 활용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3(a)도에서와 같이 작업물(W)이 안치되면 일측이 틸팅 베이스(4)에 장착되고 타측이 틸팅 프레임(3)에 장착되는 틸팅용 유압실린더(5)가 작동하여 제3(a)도와 같이 작업물(W)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틸팅 프레임(3)의 유압실린더 장착용 지지대(33) 상단부에 장착된 유압실린더(34)가 작동하여 리프팅 프레임(2)과 상기 리프팅 프레임(2)의 상단에 안착된 스토커(1)를 상하로 작동시킨다. 즉 작업물(W)의 회전반경을 가장 작게 하는 범위 내에서 작업물(W)을 90
Figure kpo00005
틸팅시킨다. 제3(c)도와 같이 작업물(W)이 90
Figure kpo00006
틸팅되면 지게차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팔렛 베이스(21)를 유압실린더(5)에 의해 상하로 작동시켜 팔렛 베이스(21)의 홈(211)에 삽입 고정된 팔렛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반입·반출이 자유로워 누운 상태로 이송된 원통형 중량물(W)을 누운 상태(횡방향)로 또는 90
Figure kpo00007
회전하여 세운상태(종방향)로 이송(배출)시킬 수 있으며, 누운 상태로 이송된 원통형 중량물을 누운상태(횡방향) 또는 세운상태(종방향)로 번갈아 가며 이송(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세운상태로 이송된 원통형 중량물을 90
Figure kpo00008
회전한 후 키커(19,19')에 의해 틸팅장치 좌우로 양방향 이송(배출)이 가능하다.
또한, 유압실린더 장착용 지지대(33) 상단부에 장착된 유압실린더(34)에 의해 리프팅 프레임(2)과 상기 리프팅 프레임(2)의 상단에 안착된 스토커(1)가 상하 작동되므로, 지게차 또는 대차 작업이 용이하도록 탑재된 작업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틸팅시 탑재된 작업물(W)이 최소반경 내에서 90
Figure kpo00009
회전할 수 있으며, 탑재된 작업물(W)이 일정 범위 내에서 편차를 구비할 경우(크기가 틀릴 경우) 작업물 기종에 따라 누인자세에서 반출축선을 정렬하여 배출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완충대를 도시한 것으로, 틸팅 프레임(3) 및 리프팅 프레임(2)의 팔렛 베이스(21)가 틸팅 완료 및 비 틸팅 시 회전범위 구속 및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지면의 독립된 적절한 위치에 각각의 완충대(6)를 장착한다.
상기 완충대(6)는 스톱퍼(61)와 완충기(62)가 단을 이루고 베이스(63)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완충기(62)는 거리(622)와 몸체(623)로 구성된 피스톤부(621)와 상기 피스톤부(621)의 몸체(623)가 삽입되는 실린더부(624)와 상기 피스톤부(621)의 머리(622)와 실린더부(621)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625)으로 구성되어 있다. 틸팅장치에 의해 피스톤부(621)의 머리(622)에 힘이 가해지면 피스톤부(621)는 스프링(625)을 압축시키며 피스톤부(621)의 몸체(623)가 실린더(624) 내부로 삽입된다.
즉 틸팅장치에 의하여 상기 완충대에 힘이 가해지면 완충기(62)의 스프링(625)이 압축되어 충격이 1차 완화되고, 상기 스프링(625)을 압축하면서 회전하는 틸팅장치가 스톱퍼(61)에 의하여 2차 완화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대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 틸팅용 유압실린더(5)에 의하여 작업물(W)을 90
Figure kpo00010
틸팅시키는 틸팅장치의 회전범위 내의 지면 적절한 위치에 스톱퍼(61)와 완충기(62)가 장착된 완충대(6)를 각각 장착하여 회전으로 인한 틸팅 장치의 충격을 완화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장비의 표준화가 가능하고 반입.반출 및 틸팅겸용으로 장비구성의 유연성을 확대하였으며 주변장비(대차, 지게차 등의 이송장비)와도 매칭이 가능하고 고중량물인 원통형 중량물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증대됨과 동시에 스토커를 평면으로 형성하여 작업물의 외주연면의 오염 및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원통형 중량물 탑재 후 틸팅 준비 시, 중량물의 무게 중심점을 회전축(틸팅)쪽으로 가깝게 접근시킴으로서 회전관성을 감소시키고 소요동력을 절감하며, 장비의 내구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관성 충격력과 충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여 틸팅 중 최대 회전반경이 간섭을 벗어나는 범위에서 팔렛 프레임의 틸팅회전축 부위의 모서리가 지면과 간섭이 나지 않도록 연속적으로 리프팅 스토커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PIT 억제 및 천정부와의 회전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소음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고 장비의 보전성을 향상시키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원통형 중량물을 반입·반출할 수 있는 스토커를 탑재하고 슬라이드 베이스와 팔렛 베이스가 수직을 이루며 일체형으로 형성된 리프팅 프레임과, 상기 리프팅 프레임의 슬라이드 베이스가 삽입되고 유압실린더와 센서 유니트가 내설된 틸팅 프레임과, 상기 틸팅 프레임의 틸팅 샤프트와 연결되고, 리프팅 프레임과 틸팅 프레임을 지지하는 틸팅 베이스와, 상기 틸팅 베이스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고, 또 다른 일측이 틸팅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틸팅 회전 중 리프팅 프레임을 스텝 바이 스텝에 따라 리프팅 제어를 구현하여 최소회전 반경을 구현하고 주변 설비인 지게차와 용이하게 원통형 중량물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틸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커는 전후 스톱퍼와 전후 키커암을 힌지 결합시키고, 전후 스톱퍼는 각각의 에어실린더로 스톱퍼 링크에 연결시키며, 상기 스톱퍼 링크는 완충실린더로 전후 스톱퍼의 습동부에 연결시켜 작업물을 반입 및 유지시킬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전후 키커암의 각 선단에는 키커를 설치하되, 내측에 습동부를 구비하고 일측단은 스토커 프레임에 힌지 결합시키며 하단에는 캠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전후 캠을 장착하여 경사작동 및 작업물을 반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틸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프레임은 팔렛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이 홈의 양측면부에 에어 클램프가 장착되어 팔렛 삽입시 삽입된 팔렛을 고정시키는 팔렛 베이스와, 상기 팔렛 베이스와 수직을 이루고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스토커의 캠 작동용 모터가 일측에 장착되며 상부에 스토커가 장착됨과 동시에 다수개의 로울러가 양측면에 장착된 슬라이드 베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틸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프레임은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장착된 다수개의 로울러가 삽입되는 'ㄷ'형상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 하부에, 회전반경이 최소가 되도록 작업물이 스토커에 반입될 시 팔렛 베이스와 일치되는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틸팅 샤프트와, 상기 틸팅 샤프트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가이드 레일 하부에 설치되고 상단에 리프팅 프레임의 베이스 프레임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가 장착되며, 하단에 틸팅용 유압 실린더를 장착할 수 있는 브래킷이 장착된 유압실린더 장착용 지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틸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베이스는 상부면에 틸팅 샤프트 양측에 연결·설치되는 브래킷이 각각 장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틸팅용 유압실린더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 및 두 개의 지지대가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틸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회전하는 리프팅 프레임 및 틸팅 프레임의 회전 범위 내 지면의 적절한 위치에, 스톱퍼 및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작동되는 완충기로 구성된 완충대를 장착하여 회전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중량물 틸팅 장치.
KR1019970014380A 1997-04-18 1997-04-18 원통형 중량물 틸팅장치 KR100220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4380A KR100220859B1 (ko) 1997-04-18 1997-04-18 원통형 중량물 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4380A KR100220859B1 (ko) 1997-04-18 1997-04-18 원통형 중량물 틸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305A KR19980077305A (ko) 1998-11-16
KR100220859B1 true KR100220859B1 (ko) 1999-10-01

Family

ID=19503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4380A KR100220859B1 (ko) 1997-04-18 1997-04-18 원통형 중량물 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08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690B1 (ko) 2014-03-13 2014-06-17 김백일 판재 이송용 대차
CN106044611A (zh) * 2016-07-11 2016-10-26 安徽埃玛科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起落装箱小车及装箱方法
KR102043858B1 (ko) 2019-06-08 2019-11-12 이삼암 틸팅 이송장치
KR102089183B1 (ko) * 2018-11-26 2020-03-13 현대제철 주식회사 숏블라스트용 원형소재 지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737B1 (ko) * 2008-08-28 2011-03-24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 롤용 슬리브 틸팅 장치
CN110030886B (zh) * 2019-05-22 2024-03-22 中国人民解放军32181部队 火箭炮弹推进剂自动倒出装置及火箭炮弹分解设备
KR102421502B1 (ko) 2020-04-01 2022-07-15 주식회사 포스코 수리 장치 및 수리 방법
KR102251196B1 (ko) 2020-09-08 2021-05-1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CN115140540A (zh) * 2022-05-31 2022-10-04 国际竹藤中心 一种圆竹仓储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690B1 (ko) 2014-03-13 2014-06-17 김백일 판재 이송용 대차
CN106044611A (zh) * 2016-07-11 2016-10-26 安徽埃玛科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起落装箱小车及装箱方法
CN106044611B (zh) * 2016-07-11 2018-04-03 安徽哈科数控机床制造有限公司 一种起落装箱小车
KR102089183B1 (ko) * 2018-11-26 2020-03-13 현대제철 주식회사 숏블라스트용 원형소재 지그장치
KR102043858B1 (ko) 2019-06-08 2019-11-12 이삼암 틸팅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305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0859B1 (ko) 원통형 중량물 틸팅장치
JPH05330641A (ja) 荷物輸送装置
CN109571438B (zh) 一种工业机器人辅助货柜装卸系统
JP5209549B2 (ja) ドア搬送設備
JPH11199058A (ja) フォーク駆動式荷役装置及び荷役方法
CN115057267B (zh) 一种集装箱自动上下车系统
JPH11130268A (ja) フォーク移動式荷役装置及び荷役方法
JPH05294412A (ja) 回転ラック装置
CN112958933A (zh) 车身自动化焊接生产线
CN109626019A (zh) 一种智能化物流小车搬运辅助装置
KR100416383B1 (ko) 적재화물 이송 시스템
CN115943112A (zh) 用于辊子的穿梭机和用于悬挂式辊子的穿梭机
JP3069984B2 (ja) 車体搬送装置およびドア搬送装置間のドア受渡し装置
EP0462938B1 (en) A system for loading trucks or containers automatically or semiautomatically with freight units of palletizable or at least regular shape and size
JP2890216B2 (ja) 車体搬送装置およびドア搬送装置間のドア受渡し装置
JP4062590B2 (ja) 被搬送物吊下搬送用ハンガー
CN214494979U (zh) 裸包玻璃装卸货柜液压传动装置
JP3050678U (ja) フォーク移動式荷役装置
KR200239891Y1 (ko) 적재화물 이송 시스템
JPH048082Y2 (ko)
CN218808576U (zh) 一种耐火砖转运用输送机
KR100416386B1 (ko) 적재화물 이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운반차
KR100200979B1 (ko) 원통형 중량물 반입, 출이 가능한 이송용 대차
JPH0649540Y2 (ja) 物品の搬送装置
JP3223068B2 (ja) 荷物受け渡し装置および荷物積み降ろ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