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7543B1 - 2륜차용 파워 메인스탠드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2륜차용 파워 메인스탠드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543B1
KR100217543B1 KR1019910003785A KR910003785A KR100217543B1 KR 100217543 B1 KR100217543 B1 KR 100217543B1 KR 1019910003785 A KR1019910003785 A KR 1019910003785A KR 910003785 A KR910003785 A KR 910003785A KR 100217543 B1 KR100217543 B1 KR 100217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standing
switch
state
main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3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848A (ko
Inventor
하다야스 후지다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910019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륜차에 있어서 전동에 의해 메인 스탠드의 기립 수납을 행하는 파워 메인 스탠드 장치의 제어에 관한 것으로써 스탠드의 반정도 기립상태를 회피할 수 있도록 메인 스탠드의 수납상태 및 기립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동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를 입력해서 메인 스탠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추고, 동 제어 수단은 기립 또는 수납지시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해 메인 스탠드가 수납 상태 또는 기립상태의 어느쪽도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는 메인 스탠드를 수납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륜차용 파워 메인스탠드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일실시예의 제어장치가 적용된 자동 2륜차의 전체 측면도.
제2도는 동 자동 2륜차의 좌측핸들 부분의 사시도.
제3도는 메인 스탠드 부분의 사시도.
제4도는 동 메인 스탠드 부분의 일부단면으로한 측면도.
제5도는 동 메인 스탠드 부분의 일부단면으로한 하부에서 본 도면.
제6도는 동 메인 스탠드의 일부 단면으로한 후면도.
제7도 내지 제9도는 본 실시예의 각 상태별 제어시스템의 회로도.
제10도 내지 제12도는 다른 실시예의 상태별 제어시스템의 회로도.
제13도는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어시스템의 회로도.
제14도는 동 제어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제15도는 동 제어시스템에 있어서의 타임 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륜 2 : 후륜
3 : 핸들 4 : 좌석시트
5 : 메인스탠드 6 : 엔진
7 : 그립 8 : 스탠드스위치
10 : 다운튜브 11 : 브래킷
12 : 기도축 13 : 스탠드 다리부재
14 : 트레드 플레이트 15 : 기어 박스
16 : 모터 17 : 수평프레임
18 : 브래킷 19 : 지지축
20 : 돌기 21 : 플로팅 러버
30 : 웜 31 : 웜 기어
32,36 : 회전축 33,37,40 : 축받침
34,35,38,39 : 기어 36 : 회전축
38,39 : 기어 41,71 : 기립축 리밋스위치
42,72 : 수납측 리밋 스위치 50,55 : 전원
51 : 회전판 52 : 스프링
53,54 : 접촉편 60 : 모터
60,78 : 모터 61,78 : 수납측 릴레이
70 : ECU 73 : 스탠드 스위치
74 : 리버스 인히비터 스위치 75 : 인기어 인히비터스위치
77 : 기립측 릴레이 79 : 이그니션 스위치
80 : 브레이크 스위치 81 : 퓨즈
82 : 전원 83 : 모터
84 : 퓨즈 85 : 인디케이터
본 발명은 2륜차에 있어서 전동에 의해 메인 스탠드의 기립.수납을 행하는 파워 메인 스탠드 장치의 제어에 관한 것이다.
메인 스탠드의 수납도 전동으로 행하는 파워 메인 스탠드 장치는 일반적으로 모터의 구동을 기어를 통해서 메인 스탠드가 요동케 전달해서 메인 스탠드를 기립.수납하고 있다.
일본국 실개소 53-4564호 공보기재의 예에서는 차체 프레임에 요동자재케 지지된 메인스탠드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기어에 모터의 구동축에 끼워진 웜기어가 맞물려 있어, 정회전 구동 하면 메인 스탠드는 기립하고, 역회전 구동하면 접어져 수납된다.
따라서, 기어 끼리는 항상 맞물고 있고, 전환 스위치를 기립측으로 전환하면 모터는 정회전하고, 수납측으로 전환하면 역회전하고 중립 상태에 있을 때에는 모터는 정지 한다.
이와같이 전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메인 스탠드의 기립,수납이 행해지나, 예를 들면 메인 스탠드를 기립시키는 경우에, 전환 스위치를 기립측으로 하고, 메인 스탠드가 기립되어 있는 도중에 완전히 기립 했다고 생각하여 전환 스위치를 중립상태로 되돌리면, 메인 스탠드는 반정도 기립한 상태에서 중지하여 차체를 충분히 지탱할 수도 없고, 수납도 되지 않으며 방해가 될 뿐이다.
반대로 메인 스탠드를 수납시킬 경우에는 완전히 수납되기 전에 전환 스위치가 중립상태로 되돌아 오면 마찬가지의 불편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그 목적은 메인 스탠드의 반정도 기립상태를 회피할 수 있는 2륜차용 파워 메인 스탠드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2륜차용 파워 메인 스탠드 장치에 있어서, 메인 스탠드의 수납 상태 및 기립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동 검출수단으로 부터의 검출 신호를 입력해서 메인 스탠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추고, 동 제어수단은 기립 또는 수납의 지시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메인 스탠드가 수납상태 또는 기립 상태의 어느쪽도 아니라고 판단 했을 때에는 메인 스탠드를 수납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구동제어하는 2륜차용 파워 메인 스탠드 제어장치이다.
따라서, 메인 스탠드가 기립 또는 수납동작 중에 기립 또는 수납지시를 중지해도 메인 스탠드는 반정도의 기립상태로 정지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수납된다. 이하 제1도 내지 제9도에 도시한 본 발명에 관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실시예의 파워 메인 스탠드 제어장치가 적용된 자동 2륜차의 전체측면도이다.
(1)은 전륜, (2)는 후륜 (3)은 핸들 (4)는 좌석시트이고, 메인 스탠드(5)는 차체의 중앙보다 약간 뒤쪽 부근의 차체 프레임[다운튜브(1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차체의 중앙에서 약간 앞쪽의 좌우에 실린더가 돌출한 수평대향 엔진(6)이 탑재되어 있고, 동 엔진(6)의 후방에서 경사진 아래쪽 위치에 상기 메인 스탠드(5)가 부착되어 있다.
메인 스탠드(5)는 기단부를 차체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핸들(3)에 설치된 스탠드 스위치(8)의 조작에 의해 요동 가능하다.
제1도는 이 메인 스탠드(5)가 기립된 상태로 있고, 차체후부를 들어올려 전륜(1)과 함께 차체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주행시에는 메인 스탠드(5)는 후방으로 회동되어 수납된다. 스탠드 스위치(8)는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좌측핸들(3)의 그립(7)의 근처에 배설되고, 그 조작부(5/a)는 상하로 요동해서 접점의 전환이 가능하다.
이 메인 스탠드(5)의 사시도를 제3도에 도시한다. 헤드 파이프로부터 하부로 연설되는 한쌍의 다운 튜브(10)의 낮은 수평상태로부터 상부로 굴곡하는 그 굴곡부에 각각 브래킷(11)이 돌설되어 있고, 양 브래킷(11)사이에 기도축(12)이 좌우수평방향으로 지향해서 회동자재케 가설되어 있다.
동 기도축(12)의 브래킷(11)의 내측근방에 한쌍의 스탠드 다리부재(13)가 기단부에 용착되어서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동 기도축(12)의 회동에 의해 스탠드 다리부재(13)가 요동가능하다.
스탠드 다리부재(13)의 선단부에는 트레드 플레이트(14)가 고착되어 있다.
기도축(12)은 그 중앙부에서 기어박스(15)를 관통지지하고 있고, 동 기어 박스(15)의 상부위치에는 모터(16)가 고정 되어 있고, 그 후방을 향해 설치된 구동축을 기어 박스(15)내로 감삽하고 있다.
기도축(12)의 전방에서 다운튜브(16)의 굴곡부 사이에 수평프레임(17)이 가설되어 있고, 동 수평 프레임(17)의 중앙에서 좌, 우 한쌍의 브래킷(18)이 하부를 향해 돌설되고, 양 브래킷(18) 사이에 수평으로 지지축(19)이 설치되어 있다 (제5도 참조).
그리고, 상기 기어 박스(15)의 전면에 돌설된 돌기(20)의 원형구멍을 상기 지지축(19)이 관통하고 있고, 지지축(19)과 돌기(20)의 원형구멍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둥근 모양의 플로팅 러버(21)가 끼워져서 배설되어 있다. (제4도 참조).
따라서, 기어 박스(15)는 기도축(12) 및 지지축(19)에 의해 지지되며, 기어 박스(15)의 돌기(20)와 차체 프레임과 일체인 지지축(19)과의 결합부에는 플로팅 러버(21)가 개재하고, 기도축(12)을 중심으로 회동하려고 하는 기어박스(15)를 결합부의 플로팅 러버(21)를 통해서 지지축(19)이 저지하고 있다.
기어 박스(15)내의 구조를 제4도 내지 제6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4도는 기어 박스(15)의 측면도, 제5도는 그 일부 결절하부면도, 제7도는 그 후면도이다.
모터(16)의 기어박스(15)내에 끼워진 구동축에는 웜(30)이 끼워져 있고, 동 원(30)에 좌우 수평방향으로 지향한 회전축(32)에 끼워진 웜기어(31)가 맞물려 있다.
웜 기어(31)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축받침(33)에 지지되어 웜기어(31)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회전축(32)에는 또다른 작은 직경의 기어가 일체적으로 끼워져 있다.
상기 회전축(32)과 평행하게 전방의 경사진 하부위치에 회전축(36)이 축받침에 의해 회동자재케 지지되어 있고, 동 회전축(36)에 큰 직경의 기어(35)와 작은직경의 기어(38)가 끼워져 있고, 큰 직경의 기어(35)는 상기 작은 직경의 기어(34)와 맞물려 있다.
한쪽의 작은 직경의 기어(38)는 기어 박스(15)를 관통하는 상기 기도축(12)에 끼워진 큰 직경의 기어(39)와 맞물려 있다.
기도축(12)은 축받침(40)을 통해서, 기어 박스(15)에 대해 회동자재케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모터(16)의 구동에 의해 웜(30)이 회전하면, 이것과 맞물리는 웜 기어(31)와 일체인 회전축(32)을 개재해서 작은 직경의 기어(34)가 회전하고, 동 기어(34)의 회전은 이것과 맞물리는 큰 직경의 기어(35)를 회전 시키고, 기어(35)와 일체인 회전축(36)을 통해서 작은 직경의 기어(38)가 회전하며, 동 기어(38)의 회전은 이것과 맞물리는 큰 직경의 기어(39)를 기도축(12)과 함께 회동한다.
이와같이 웜(30)으로부터 웜 기어(31), 작은 직경의 기어로부터 큰 직경의 기어로 구동이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기도축(12)을 회동시키므로 각 단계에서 회전 속도는 감속되어 간다.
감속 되어가므로 반대로 작용하는 힘은 배로 증가되어가서 기도축(12)의 회전에는 큰 토크가 부여되게 된다.
모터(16)의 정전구동에 의해 기도축(12)과 일체인 스탠드 다리부재(13)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 접어지는 동작을 하며 수납된다.
이 스탠드 다리부재(13)의 완전기립 상태 및 수납상태를 검지하기 위하여 2개의 리밋 스위치(41),(42)가 소정위치에 배설되어 있고(제3도 참조), 기립 상태를 검지하는 기립축 리밋 스위치(41)는 브래킷(11)의 내면 소정위치에 배치되어 스탠드 다리부재(13)가 완전히 기립하였을 때에 동작편이 스탠드 다리부재(13)에 의해 압압되어 접점을 여는 b접점을 이루고, 수납상태를 검지하는 수납측 리밋 스위치(42)는 차체측 소정위치에 배치되어 스탠드 다리부재(13)가 완전히 접어져 수납되었을 때에 동작편이 스탠드 다리부재(13)에 의해 압압되어 접점을 여는 b접점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스탠드 다리부재(13)의 기립. 수납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기구 및 그 동작을 제7도 내지 제9도에 도시하고 설명한다.
먼저, 스탠드 스위치(8)는 중앙을 핀(5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서 회전판(51)이 회동자재케 설치되고, 동 회전판(51)의 일부가 바깥쪽으로 돌출해서 조작부(51a)를 형성하고 있고, 동조작부(51a)와 대칭위치의 약간의 팽출부분에는 스프링(52)의 일단부가 계지되어 인장력을 받고 있다.
따라서, 회전판(51)은 스프링(52)의 축방향 일직선상에 핀(50), 조작부(51a)가 있을 때에 안정된 중립상태에 있고, 조작부(51a)에 힘을 부과하여 스프링(52)에 대항해서 회전판(51)을 회전시켜 스위치를 전환할 수가 있고, 이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52)의 인장력에 의해 회전판(51)은 원래 중립 상태로 복귀된다.
회전판(51)의 표면에는 대체로 부채 형상을 한 2매의 접촉편(53),(54)이 소정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접촉편(53),(54)은 부채형상의 일부가 결탁되어서 소정의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표면에 접촉가능케 배치한 복수의 접촉단자 중 필요한 단자 끼리의 도통.비도통을 회전판(51)의 회전에 의해 제어한다.
모터(16)로부터 연출한 2본의 전력선은, 그 단부의 접촉단자(m1),(m2)가 핀(50)에 대하여 대칭의 위치에 배설되고, 전원(55)의 양극으로부터 연출한 전력선은 2본으로 분기해서, 한쪽단부 접촉단자(V1)는 상기 접촉 단자(m2)에 인접해서 배설되고, 다른쪽 전력선은 상기 기립측의 리밋스위치(41)의 한 단자에 접속되고, 그 다른쪽 단자는 접촉단자(V2)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수납측 리밋 스위치(42)를 개재해서 접촉단자(V3)에 접속되어 있다.
접촉단자(V3)의 핀(50)에 대한 대칭위치에 접지된 접촉단자(e)가 배설되어 있다.
제7도는 메인 스탠드(5)가 수납 상태에 있을 때 [제7(a)도] 및 기립상태에 있을 때 [(제7(b)도]를 도시하고 있고, 스탠드 스위치(8)는 중립위치에 있다.
수납상태에 있을 때는 기립측 리밋 스위치(41)는 접점이 크로스되어 있지만, 수납측 리밋스위치(42)는 접점이 오픈되어 있어 접촉단자(V3)는 전원(55)과 접촉이 차단되어 있고, 전원과 접촉된 다른 접촉단자(V1),(V2)는 접촉편(54)에 접촉하지 않아서, 결국 모터(16)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아 정지 상태에 있다[제7(a)도].
메인 스탠드(5)가 기립상태에 있을 때는 기립측 리밋스위치(41)가 오픈되고, 수납측 리밋드위치(42)가 크로스된 상태에 있으므로, 접촉단자(V3)는 역시 전원(55)과 접속이 차단되어 있고, 회전판(51)은 같은 중립상태에 있으므로, 모터(16)는 정지 상태에 있다 (제7(b)도).
지금, 메인스탠드(5)가 수납상태에 잇을 때 [제7(a)도]로부터 스탠드 스위치(8)의 조작부(51a)를 조작해서, 회전판(51)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접촉편(53)이 접촉단자(V2)와 (m1)을 도통시켜, 접촉편(54)이 접촉단자(m2)와 (e)를 도통시키므로 전원(55)의 전류는 기립측 리밋 스위치(41)
Figure kpo00002
접촉단자(V2)
Figure kpo00003
접촉단자(m1)
Figure kpo00004
모터(16)
Figure kpo00005
접촉단자(M3)
Figure kpo00006
접촉단자(e)로 흘러서, 모터(16)를 정회전 구동함으로써 스탠드 다리부재(13)는 기립동작을 행한다.
이 동작개시 직후에 수납측 리밋스위치(42)가 닫히기는 하나, 전류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완전히 기립하면 기립측 리밋스위치(41)가 열리고, 모터(16)에의 전류는 차단되어 모터(16)는 정지하고, 스탠드 다리부재(13)는 기립상태를 유지하며, 여기에서 스탠드 스위치(8)의 조작을 멈추고 조작부(51a)를 놓으면 회전판(51)은 스프링(52)에 의해 중립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제7(b)도에 도시한 기립상태가 된다.
또 반대로, 메인스탠드(5)를 기립상태로부터 수납시키는 경우는 스탠드 스위치(8)의 조작부(51a)를 조작해서 회전판(51)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제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편(53)은 접촉단자(V1)와 (m2)를 도통시키고, 접촉편(54)은 접촉단자(m1)와 (e)를 도통 시키므로 전원(55)의 전류는 접촉단자(V1)
Figure kpo00007
접촉단자(m2)
Figure kpo00008
모터(16)
Figure kpo00009
접촉단자(m1)
Figure kpo00010
접촉단자(e)로 흘러서 모터(16)를 역회전 구동시켜 스탠드 다리부재(13)는 수납동작을 한다.
이 동작의 개시 직후에 기립측 리밋 스위치(41)가 닫히기는 하나 전류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못하고, 또 스탠드 다리부재(13)가 완전히 접혀서 수납되면 수납측 리밋스위치(42)가 열리고 스탠드 스위치(8)의 조작부(51a)를 놓으면 제7(a)도에 도시한 수납상태가 된다.
이상은 스탠드 스위치(8)의 조작을 정확하게 행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 것이지만, 기립 또는 수납 동작 도중에 부주의로 스탠드 스위치(8)의 조작부(51a)를 놓치는 일이 있으면, 회전판(51)은 스프링(52)에 의해 중립상태로 되돌아 오며 제9도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즉 스탠드 다리부재(13)는 동작도중에 있으므로, 기립측 리밋스위치(41) 및 수납측 리밋 스위치(42)는 모두 닫혀 있고, 또한 회전판(51)은 중립위치에 있어서 접촉편(53)이 접촉단자(V3)와 (m2)를 도통시키고, 접촉편(54)가 접촉단자(m1)와 (e)를 도통시키고 있다.
따라서, 전원(55)의 전류는 기립측 리밋스위치(41)
Figure kpo00011
수납측 리밋스위치(42)
Figure kpo00012
접촉단자(V3)
Figure kpo00013
접촉단자(m2)
Figure kpo00014
모터(16)
Figure kpo00015
접촉단자(m1)
Figure kpo00016
접촉단자(e)로 흘러서 모터(16)을 역회전 구동시켜 스탠드 다리부재(13)는 수납 동작을 하며, 완전히 수납되면 수납측 리밋스위치(42)가 열려서 모터(16)는 정지하여 제7(a)도의 수납상태가 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제어기구에서는, 스탠드 다리부재(13)의 기립상태에서 스탠드 스위치(8)를 수납방향으로 조작할 때는, 단시간 조작부(51a)를 요동시키면 나중에는 조작부(51a)를 방치해도 자동적으로 스탠드 다리부재(13)는 접어져서 수납되고, 또 스탠드 다리부재(13)의 수납상태로부터 스탠드 스위치(8)를 기립방향으로 조작해서 완전히 스탠드 다리부재(13)가 기립하기 전에 조작부(51a)를 놓았을 때는 스탠드 다리부재(13)가 요동도중 어느 위치에 있어도 자동적으로 수납동작으로 전환되어 수납된다.
따라서, 스탠드 다리부재(13)는 기립, 수납 동작 도중에서 정지 상태가 계속되는 일이 없이 자동적으로 수납되어 스탠드 스위치(8)의 조작미스에 의한 스탠드 다리부재(13)의 반정도 기립상태를 회피할 수가 있다.
다음에 모터 용량이 큰 경우에 적용하기 위해 릴레이를 사용한 제어 기구의 예를 제10도 내지 제12도에 도시하고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스위치 기구와 전원(55)과의 접속관계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같은 부재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스탠드의 기계적 구조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모터(60)로부터 연출되는 2개의 전력선은 각각 릴레이(61),(62)의 가동공통접점(61c),(62c)에 접속되어 있다.
2개의 릴레이(61),(62)의 상시 오픈접점(61no),(62no)은 전원(55)의 양극에 접속되고 한쪽의 상시 크로스접점(61nc),(62nc)은 접지되어 있다.
릴레이(61)의 일단부를 접지시킨 코일(61co)은 타단이 스탠드 스위치(8)의 접촉단자(m1)에 접속되고, 릴레이(62)의 일단부를 접지시킨 코일(62co)은 타단부가 접촉단자(m2)에 접속되어있다.
따라서, 스탠드 스위치(8)가 중립위치에 있는 경우에 스탠드 다리부재(13)가 수납상태 [제10(a)도]또는 기립상태 [제10(b)도]에 있을 때는, 양쪽 릴레이 코일(61co),(62co)도 여자 되지 않아 모터(60)는 정지한다.
수납상태[제10도(a)]로부터 스탠드 스위치(8)를 기립조작하면 접촉편(53)에 의해 접촉단자(V3)와 (m1)가 도통해서 릴레이 코일(61co)을 여자시키므로 접점(61c)과 (61no)이 접속되고, 모터(60)에 전류가 흘러서 모터(60)을 정회전 구동시켜서 스탠드 다리부재(13)는 기립한다 [제11(a)도].
완전히 기립하면 기립측 리밋스위치(41)가 그 접점을 오픈시키므로 릴레이 코일(61co)이 소지되어 접점(16c)과 (16co)의 접속이 단절되어 모터(60)를 정지시켜 스탠드 스위치(8)의 조작부(51a)를 내버려두어도 기립 상태가 유지된다 [제10(b)도].
또한, 반대로 기립상태[제10(b)도]로부터 스탠드 스위치(8)를 접는 조작을 하면, 접촉편(53)에 의해 접촉단자(V1)와(m2)가 도통해서 릴레이 코일 (62co)을 여자시키기 때문에 접점(62c)과 (62no)이 접속되어, 모터(60)에 상기 설명과는 반대로 전류가 흘러 모터(60)를 역회전 구동시켜서 스탠드 다리부재(13)는 접혀진다.
스탠드 다리부재(13)가 완전히 수납되어, 스탠드 스위치(8)의 조작부(51a)를 놓으면 제10(a)도에 도시한 수납상태가 된다.
스탠드 다리부재(13)의 기립 또는 접는 동작 도중에 스탠드 스위치(8)의 조작부(51a)를 놓았을 경우는, 제12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기립측 리밋 스위치(41) 및 수납측 리밋스위치(42)는 접점이 닫혀서, 접촉편(53)이 접촉단자(V3)와 (m2)를 접속시키므로, 릴레이 코일(62co)이 여자되어 릴레이 접점(62c)과 (62co)을 접속시켜 모터(60)를 역회전 구동하여, 스탠드 스위치 다리부재(13)는 접히는 동작을 하여 수납된다.
완전히 수납되면, 수납측 리밋스위치(42)가 접점을 열기 때문에 릴레이 코일(62co)은 소지되어, 릴레이 접점(62c)과 (62no)은 접속이 끊어져서 모터(60)는 정지하고 제10도(a)의 수납상태가 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는 릴레이 (61),(62)를 사용해서 모터(60)를 구동하는 전류를 스위치 기구를 개재하지 않고 흐르도록 하므로 모터의 용량이 큰 경우에 적합하다.
다음에, 컴퓨터를 이용한 중앙 제어장치(ECU) (70)에 의한 제어의 예를 제13도 내지 제15도에 도시하고 설명한다.
제13도는 본 실시예의 제어 회로도이고, 제어 중추인 ECU(70)에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기립측 리밋 스위치(71), 수납측 리밋 스위치(72)의 on.off 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스탠드 스위치(73)의 상태 신호가 입력된다.
기립측 및 수납측의 양쪽 리밋스위치(71),(72)도 완전히 기립 또는 수납하였을 때에 접점이 열리고, 1신호가 출력되며 그외는 0신호를 출력한다 (제15도 참조).
또, 스탠드 스위치(73)는 중립상태와 기립조작 상태와 수납조작상태가 있고, 중립상태에서 0 신호, 기립 조작 상태에서 1 신호, 수납조작 상태에서 -1신호를 출력한다 (제15도 참조)
또한, ECU(70)에는 그외 리버스 인히비터 스위치(74), 인 기어 인히비터 스위치(75) 또한 속도 센서로부터 각각 신호를 입력하고 있다.
ECU(70)는 2개의 릴레이 코일(77co),(78co)을 구동제어 하도록 되어 있고, 동 릴레이 코일(77co) (78co)은 스탠드 스위치(73)의 공통 접점과 함께 이그니션스위치(79) 브레이크 스위치(80) 및 퓨즈(81)를 통해서 전원(82)에 접속되어 있다.
모터(83)의 2본의 입력 단자는 각각 릴레이(77),(78)의 각 가동 공통접점(77a),(78c)에 접속되어 있고, 릴레이 (77),(78)의 상시 오픈접점(77no),(78no)은 퓨즈(84)를 통해서 전원(82)에 접속되고 다른 쪽 상시 크로스 접점(77nc),(78nc)은 접지되어 있다.
또한, 본 제어 회로에는 ECU(70)에 의해 제어되는 인디케이터(85)를 갖추고 있다.
이상과 같이 제어회로가 구동되어 있고, 기립측 릴레이 코일(77co)은 기립측 릴레이(77)의 접점 전환을 행하며, 수납측 릴레이 코일(78co)은 수납측 릴레이(78)의 접점전환을 행하고, 양 릴레이 코일(77co),(78co)도 스위치(79),(80)가 on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즉 이그니션 스위치가 들어가 있고 또 브레이크를 걸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여자되도록 되어있다.
ECU(70)에 있어서의 릴레이 코일(77co),(78co)의 구동제어 순서를 제14도의 플로 챠트로 도시하고 각종 신호사이의 관계를 제15도에 타임챠트로 도시한다.
제14도의 플로 챠트에 따라서 설명하면, 먼저 초기화가 이루어지며(스텝①), 다음에 수납측 리밋 스위치(72)의 상태를 판단하여, 스탠드가 완전 수납 상태에 있을 때는 이 스위치(72)의 접점이 열려서 신호 1을 판별해서 스텝 ⑥으로 나아가며, 그 이외일 때는 신호 0을 판별하기 때문에 다음 스텝 ③으로 나아간다.
스텝 ③에서는 기립측 리밋 스위치(71)의 상태를 판단하여 스탠드가 완전기립상태에 있을 때는 이 스위치(71)의 접점이 열려 신호 1을 판별해서 스텝 ⑨로 나아가고, 그 이외 일때는 신호 0을 판별하기 때문에 다음 스텝 ④로 나아간다.
스텝 ④에서는 스탠드 스위치(73)의 상태를 판단하여 기립측에 전환조작이 되어 있을 때에는 신호 1을 판별하여 스텝 ⑫로 나아가서, 기립측 릴레이 코일 (77co)을 여자하여 기립측 릴레이(77)의 접점 전환을 행해서 모터(83)를 정전구동하여 스탠드의 기립동작을 개시하고, 한쪽 스탠드 스위치(73)가 중립자세 (신호 0) 또는 수납측 (신호 -1)에 있을 때는 스텝 ⑤로 나아가서, 수납측 릴레이 코일(78co)을 여자하여 수납측 릴레이(78)의 접점 전환을 행해서 모터(83)를 역전 구동시켜서 수납동작을 행한다.
따라서, 리밋 스위치(71),(72)가 신호 0의 상태에서 스탠드 스위치(73)가 신호 1이외에 있을 경우, 즉 스탠드가 완전 기립 또는 수납상태가 아니며 스탠드가 동작도중에 있고, 스탠드 스위치(73)가 기립측으로 전환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① - ② -③ -④ -⑤를 반복하여, 항상 수납측 릴레이 코일(78co)을 여자하는 상태로해서 스탠드를 수납측으로 구동시킨다.
제15도에 있어서, 리밋 스위치(71),(72)가 신호 0에서 스탠드 스위치(73)를 수납측으로 조작하고 있을 경우는 모터(83)는 역회전하고 있지만, 스탠드 스위치(73)의 조작을 도중에서 포기(제5도에 있어서의 P시점)해도 역시 모터 (83)는 역회전해서 스탠드를 수납한다.
스탠드가 완전히 수납되면, 리밋스위치(72)가 신호 1을 출력하므로, 스텝 ②에서 스텝 ⑥으로 나아가서, 수납측 릴레이 코일(78co)소자해서 모터(83)의 구동을 정지하여 다시 스탠드 스위치(73)의 상태를 판별하여 (스텝 ⑦) 기립측으로 조작(신호 1)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① - ② - ③ - ⑥ - ⑦을 반복하여 스탠드의 수납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스탠드 스위치(73)가 기립측으로 조작(신호 1)되면, 스텝 ⑦에서 스텝 ⑧로 나아가서 기립측 릴레이 코일 (77co)이 여자되어 스탠드의 기립동작을 개시한다.
스탠드의 기립동작에 의해 수납측 리밋 스위치(72)는 신호 0을 출력하므로, 스텝 ②에서 스텝 ③으로 나아가며, 다시 스텝 ④로 나아가며, 이어서 스탠드 스위치(73)가 신호 1 상태에 있으므로, 스텝 ⑫로 나아가 릴레이 코일(77co)의 여자가 유지되어, 이후 스텝 ① - ② - ③ - ④ - ⑫를 반복해서 스탠드는 기립 동작을 행한다.
이 기립동작 도중에 스탠드 스위치(73)의 조작을 포기하는 일이 있으면, 스탠드 스위치(73)의 신호는 0으로 되므로, 스텝 ④에서 스텝 ⑤로 나아가, 릴레이 코일(77co)은 여자를 해제해서 릴레이 코일 (78co)을 여자해서 이번에는 수납동작으로 전환되어, 이후 스텝 ① - ② - ③ - ④ - ⑤를 반복해서 스탠드는 수납된다.
제15도에 있어서는 기립측으로 전환되어 있던 스탠드 스위치(73)의 조작을 방치한 시점(Q)에서 모터(83)가 정회전에서 역회전 구동으로 반전해서 스탠드를 수납측으로 접는 구동을 하고 있다.
이러한 스탠드 스위치(73)의 기립조작의 방치가 없이 그대로 기립동작이 되면, 스탠드는 완전기립상태가 되어 리밋 스위치(71)의 신호가 1이 되므로, 스텝 ③에서 스텝 ⑨로 나아가 기립측 릴레이 코일(77co)을 소자하며 모터(83)의 정회전 구동을 정지하고, 다시 스탠드 스위치(73)의 상태를 판단하며 (스텝 ⑩), 수납측으로 조작되지 않는 한 (신호 1이외), 스텝 ① - ② - ③ - ⑨ - ⑩을 반복해서 스탠드의 기립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스탠드 스위치(73)가 수납측으로 조작되면 [ 스탠드 스위치(73)의 신호 -1]스텝 ⑩에서 스텝 ⑪로 나아가서, 수납측 릴레이(78co)가 여자되어 모터(83)가 역전 구동되어 스탠드의 수납동작이 개시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는 ECU(70)에 의해 제어되므로, 운전자의 착각, 서투름 혹은 부주의에 의한 조작실수에 의해 스탠드 스위치(73)의 조작을 도중에 방치해도 스탠드는 동작도중에 정지상태가 유지되지 않고, 반드시 자동적으로 수납된다.
본 발명은 스탠드 스위치의 오조작에 의한 메인 스탠드의 반정도 기립상태에 있어서의 정지를 회피하고, 이러한 경우에는 항상 메인 스탠드를 자동적으로 수납할 수가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2륜차용 파워 메인 스탠드장치에 있어서, 메인 스탠드의 수납상태 및 기립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동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를 입력해서 메인 스탠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추고, 동 제어 수단은 기립 또는 수납지시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해 메인 스탠드가 수납 상태 또는 기립상태의 어느쪽도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는 메인 스탠드를 수납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륜차용 파워 메인 스탠드 제어장치.
KR1019910003785A 1990-05-17 1991-03-09 2륜차용 파워 메인스탠드 제어장치 KR100217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0711 1990-05-17
JP1990050711U JP2523403Y2 (ja) 1990-05-17 1990-05-17 二輪車用パワーメインスタンド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848A KR910019848A (ko) 1991-12-19
KR100217543B1 true KR100217543B1 (ko) 1999-09-01

Family

ID=12866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3785A KR100217543B1 (ko) 1990-05-17 1991-03-09 2륜차용 파워 메인스탠드 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23403Y2 (ko)
KR (1) KR1002175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441A (ko) * 2002-06-03 2003-12-11 조영래 이륜차 스탠드의 선회장치
WO2020138861A1 (ko) * 2018-12-26 2020-07-02 김몽룡 모터사이클용 마그네틱센서를 이용한 랜딩장치 구동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7273U (ko) * 1984-09-20 1986-04-17
JP5255505B2 (ja) * 2009-03-31 2013-08-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メインスタンドの状態検出装置及びメインスタンドの状態検出装置を備える自動2輪車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8709A (ja) * 1982-10-13 1984-04-18 Hitachi Cable Ltd イメ−ジガイドの製造方法
JPS6239602A (ja) * 1985-08-13 1987-02-20 Kao Corp 二酸化炭素を含有するシクロデキストリン及びその誘導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441A (ko) * 2002-06-03 2003-12-11 조영래 이륜차 스탠드의 선회장치
WO2020138861A1 (ko) * 2018-12-26 2020-07-02 김몽룡 모터사이클용 마그네틱센서를 이용한 랜딩장치 구동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23403Y2 (ja) 1997-01-22
KR910019848A (ko) 1991-12-19
JPH0411191U (ko) 199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7543B1 (ko) 2륜차용 파워 메인스탠드 제어장치
EP3865392A1 (en) Electric outboard motor
JPH1176220A (ja) 移動型x線装置
JP4274954B2 (ja) 船外機用電子スロットル制御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小型船舶
JP2001106031A (ja) ワイパ装置
JP4298991B2 (ja) ワイパ装置の制御方法及びワイパ装置並びに減速機構付きモータ
JPH03239865A (ja) 自動変速操作装置
KR950008271A (ko) 전자식 동력조향장치
JP3595727B2 (ja) 変速機シフト操作装置
CN111022627A (zh) 一种语音控制的汽车换挡系统
JP3916177B2 (ja) 船外機
JP2955394B2 (ja) 電動シート装置
JP2006082681A (ja) 伝達比可変装置
KR0139987B1 (ko) 스티어링 휠 연동식 자동 방향 지시장치
JP2023165617A (ja) 少なくとも半自動運転する自動車を能動的に制御するためのステアリング装置
KR960006459Y1 (ko) 자동차의 조향핸들(steering wheel) 자동복원장치
JPH09267757A (ja) 車両用操舵制御装置
JP2004291906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3973505B2 (ja) 非常時切換装置付き変速装置
KR100309341B1 (ko) 파킹브레이크기능을갖는변속레버
KR930002556Y1 (ko) 자동차의 조향위치 확인장치
JPH054271B2 (ko)
JPS6040852A (ja) 変速機の操作装置
KR200200844Y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자동 제어장치
JPH0277374A (ja) 自動二輪車用スタン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