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644B1 -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및 접속핀 및 이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및 접속핀 및 이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644B1
KR100216644B1 KR1019960029969A KR19960029969A KR100216644B1 KR 100216644 B1 KR100216644 B1 KR 100216644B1 KR 1019960029969 A KR1019960029969 A KR 1019960029969A KR 19960029969 A KR19960029969 A KR 19960029969A KR 100216644 B1 KR100216644 B1 KR 100216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pattern
wiring
matrix switch
hole
matr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9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오 호소가이
세투오 꼬지마
히토시 요께무라
리에 타까다
히로유끼 오타구로
타까유끼 아시다
토시오 아베
Original Assignee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끼구사 나오유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6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038Through-connections; Vertical interconnect access [VIA] connections
    • H05K3/4046Through-connections; Vertical interconnect access [VIA] connections using auxiliary conductive elements, e.g. metallic spheres, eyelets, pieces of wi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3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by an interconnection through aligned holes in the boards or multilayer bo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04Q1/145Distribution frames with switches arranged in a matrix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04Q1/147Distribution frames using robots for distribu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86Programmable, customizable or modifiable circuits
    • H05K1/0287Programmable, customizable or modifiable circuits having an universal lay-out, e.g. pad or land grid patterns or mesh patterns
    • H05K1/0289Programmable, customizable or modifiable circuits having an universal lay-out, e.g. pad or land grid patterns or mesh patterns having a matrix lay-out, i.e. having selectively interconnectable sets of X-conductors and Y-conductors in different pla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53Switch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295Metallic connector elements partly mounted in a hole of the PC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431Details of mounted components
    • H05K2201/1059Connections made by press-fit inser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4Reinforcing the conductive pattern
    • H05K3/244Finish plating of conductors, especially of copper conductors, e.g. for pads or la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6Lead-in-hole components, e.g. affixing or retention before soldering, spacing means
    • H05K3/308Adaptations of l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 Y10T29/4916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by forming conductive walled aperture in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obo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 Of Telephone Exchang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히 제조할 수 있고, 저비용이고 또한 회선간의 크로스토크가 작은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및 접속핀 및 이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교환기와 가입자간의 회선을 접속 및 절단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는 절연부재로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표리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배선패턴과, 접속핀을 삽입함으로서 상기 기판의 표리의 각각의 배선패턴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비된 관통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및 접속핀 및 이들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및 접속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입자와 교환기 사이의 접속을 임의로 변경하는 기능을 갖는 주회선 분배접속장치(main distributing frame : MDF)에서 사용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및 접속핀에 관한 것이다.
제34도에 주회선 분배접속장치(MDF)의 전형적인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을 나타낸다. MDF는 복수의 가입자측 단말과 교환기의 가입자회로 사이를 임의로 접속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장치에서는 새로운 가입자가 추가된 경우 그 가입자와 교환기 사이가 접속되고, 또 가입자의 이사 또는 전화번호가 변경된 경우에는 그 접속이 변경된다. 그 접속의 변경은 교환기가 동작중에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접속의 변경을 효율좋게 행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는 가입자측의 단자수(예를들어, 3600단자)의 쪽이 교환기측의 단자수(예를 들어, 2100단자)보다도 많이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MDF에서는 단자보드가 구비되고, 가입자와 단자보드 사이 및 단자보드와 교환기 사이는 각각 1쌍의 케이블로 접속되고, 또 2개의 단자보드 사이를 점퍼에 의해서 수동으로 접속함으로써 가입자와 교환기 사이가 접속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 작업에는 전문적인 기술자가 필요하게 되고, 원격지나 멀리 떨어진 섬의 무인 전화국인 경우, 작업자의 파견에 시간이 걸리고,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 작업은 주로 교환기의 동작중에 행해지기 때문에, 정확성이 필요하고, 그 결과 작업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했다. 따라서 최근 점퍼작업을 로봇이 하는 자동화MDF가 도입되고 있다.
제35도 내지 제37도에 종래의 자동화MDF의 개요를 나타낸다. 제35도는 종래의 자동화MDF의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36도는 종래의 자동화MDF에 사용하는 종래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및 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36(a)도는 종래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구성이고, 제36(b)도는 종래의 접속핀의 구성이고, 제36(c)도는 접속핀이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도를 나타낸다. 제37도는 종래의 자동화MDF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3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화MDF에서는 점퍼용의 단자보드 대신에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이후, MB라 함)가 사용되고 있다. MB는 다층구조의 기판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가입자측 배선(X)과 복수의 교환기측 배선(Y)이 다른 층에서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그 교차점에서는 교차점구멍(홀)이 구비되어 있고, 접속용 핀을 삽입함으로써 소망하는 가입자측 배선(X)을 소망하는 교환기측 배선(Y)에 접속할 수 있다. 접속용 핀의 소망하는 교환기측 배선(Y)에 접속할 수 있다. 접속용 핀의 삽입은 로봇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예를 들어, 1개의 MB에서 가입자측에서 3600단자, 교환기측에서 2100단자를 구비하는 경우에 750만의 교차점 구멍을 구비해야 하고, 로봇에 의한 제어도 큰 부하를 받게된다. 따라서, 실제로는 복수의 소형 MB를 소정의 법칙에 따라서 네트워크 구성의 형태로 접속하여 실질적으로 같은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이 방법에 의해서, 교차점 구멍의 수를 대폭 줄일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MB는 제36도의 (a),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4층의 도체층을 갖는 프린트 배선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가입자와 교환기 사이는 A선 및 B선의 2선으로 배선되어 있고, 2선을 동시에 배선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종래의 MB는 가입자측 배선(X층에서의 A선/B선)과, 또한 이것에 직교하는 교환기측 배선(Y층에서의 A선/B선)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배선의 교차점에서, 프린트배선판을 관통하는 구멍이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MB에서 프린트기판상에서의 구멍의 간격은 약 1.5이다.
또 종래의 접속핀도 제36(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구성된 2단의 접속스프링(a, b)을 갖고 있다. 이 접속핀을 MB의 교차점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제36(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입자측 A선과 교환기측 A선, 가입자측 B선과 교환기측 B선을 각각 동시에 접속할 수 있다. 종래의 접속핀은 약 8.7의 길이 약 1.2의 직경을 갖고 있다.
종래의 자동화MDF에서는 제3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MB(1)가 1매의 평판을 구성하도록 2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이 2매의 평판이 접속핀(2)을 삽입하는 로봇(3)을 수용하는 장치(4)의 양측에 부착되어 있다. 로봇은 이 1매의 평판중에서, 지정된 교차점을 검색하여, 그 교차점구멍(5)에 접속핀을 삽입한다. 로봇(3)에 부착된 접속핀(2)은 반대측으로 턴할 수 있어, 반대측에 구비된 평판내의 MB에도 삽입이 가능하다. 가입자측 회선과 교환기측 회선과의 접속은 주로 교환기가 동작중에 행해지기 때문에, 접속해야 할 1개의 회선에 대해서 1개의 접속핀(2)이 삽입된다. 상기한 자동화MDF에서는 복수의 MB가 2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그 길이는 수미터에 이를 수도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MB) 및 접속핀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MB에는 많은 교차점구멍 수가 필요하다. 그러나, 실제로 사용되는 교차점구멍의 수는 이들중 일부이고, 거의 모든 교차점구멍은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자동화MDF에서 MB중 1개의 교차점구멍에 필요한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의 하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MB에서도 교차점구멍의 미소피치화, 구멍의 소직경화, 접속핀의 소직경화 등이 행해져 왔다. 그러나, 한층더 미세화를 위한 가공정밀도의 향상은 저비용화를 저해하게 된다.
또 회선을 위한 배선패턴이 근접하여 배치되면, 크로스토크가 발생하여, 1개의 회선을 전송하는 신호가 다른 회선에 잡음으로서 누설된다. 제36도에 나타낸 종래의 4층 MB에서는 하나의 접속핀으로 1조의 가입자측의 배선과 1조의 교환기측의 배선을 동시에 접속하기 때문에, 1조의 가입자측의 배선 및 1조의 교환기측의 배선이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었다. 이러한 배선구조로는 배선 사이의 크로스토크를 저감하는 것은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접속핀은 2개소의 접속부를 갖고 있어야만 했다. 따라서 수지성의축에 링상의 접속부재를 끼워맞추는 성능을 손상하지 않도록 고정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조립이 어렵고,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간단히 제조할 수 있고, 저비용이고 또한 크로스토크가 작은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및 접속핀 및 이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하기한 수단을 강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서는 교환기와 가입자간의 회선을 접속 및 절단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 절연부재로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표리에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배선패턴과, 상기 제1 및 제2 배선패턴의 각각의 방향에 하나 걸러 교차점마다 형성된 관통구멍을 포함하며, 2개의 금속스프링을 갖는 접속핀을 2개의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배선패턴과 상기 제2배선패턴의 2조의 접속이 동시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서는 기판이 다른 층에 형성된 제1패턴과 제2 배선패턴의 교차점에 구비된 관통구멍에 삽입할 때, 상기 제1배선패턴과 상기 제2배선패턴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핀에 있어서, 절연재료로 형성된 베이스부와,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된 2개의 금속 스프링을 갖고, 상기 2개의 금속스프링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똑바로 뻗어 있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 계속하여 서로 가까워지도록 뻗어 있는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에 계속하여 서로 떨어지도록 뻗어 있는 선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핀을 상기 기판중 2개의 관통구멍에 동시에 삽입할 때, 2조의 상기 제1 및 제2 배선패턴이 접속되고, 상기 금속스프링과 상기 제1배선패턴의 제1접속점은 상기 금속스프링의 제1부분에 존재하고, 상기 금속스프링과 상기 제2 배선패턴의 제2접속점은 상기 금속스프링의 제2 부분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4 기재의 발명에서는 기판의 다른 층에 형성된 제1 배선패턴과 제2 배선패턴의 교차점에 구비된 관통구멍에 삽입할 때, 상기 제1 배선패턴과 상기 제2 배선패턴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핀에 있어서, 절연재료로 형성된 베이스부와,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된 2개의 금속 스프링을 갖고, 상기 2개의 금속스프링의 각각은 제1 배선패턴과 제1 접속점에서 접촉하는 U자형으로 만곡한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계속되어 상기 관통구멍의 벽부와 접촉하는 U자형으로 만곡한 제2 부분과, 상기 제2부분에 계속되어 제2 배선패턴과 제2 접속점에서 접촉하는 U자형으로 만곡한 선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핀을 상기 기판의 2개의 관통구멍에 동시에 삽입할 때, 2조의 상기 제1 및 제2 배선패턴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5 및 21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3 또는 4 기재의 접속핀에 있어서, 상기 금속스프링의 선단부는 테이퍼구조를 갖고, 또 상기 2개의 금속스프링의 선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접속핀을 삽입할 상기 2개의 관통구멍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 및 22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3 또는 4 기재의 접속핀에 있어서, 상기 금속스프링은 상기 배선패턴과 접촉하는 부분을 갖고, 상기 접촉하는 부분은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굵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 및 23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3 또는 4 기재의 접속핀에 있어서, 상기 금속스프링은 상기 배선패턴과 접촉하는 부분을 갖고, 상기 접촉하는 부분은 모따기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 및 24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3 또는 4 기재의 접속핀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금속스프링의 방향으로 뻗어 있는 기둥부를 상기 2개의 금속스프링 사이에 갖고, 상기 접속핀이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된 때, 상기 기둥부에 의해서 상기 접속핀의 삽입거리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 및 25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3 또는 4 기재의 접속핀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상기 제2 부분에 인접한 영역에 2개의 상기 금속스프링의 중심축에 평행한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 기재의 발명에서는 임의의 회선 사이를 접속 및 절단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표리(表裏)에 도체층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에 제1 및 제2 배선패턴을 형성할 소정의 위치에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표리의 도체층을 레지스트를 사용하여 서로 교차하는 상기 제1 및 제2 배선패턴을 생성하도록 패터닝하는 단계와, (c) 상기 단계 (b)의 결과의 기판을 에칭하는 단계와, (d) 상기 제1 및 제2 배선패턴의 상기 관통구멍의 부분을 도금하고, 상기 관통구멍이 실질적으로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한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0 기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각각 제1 및 제2 배선패턴을, 상기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상기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비교하여 가늘게 되도록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 기재의 발명에서는 기판의 다른 층에 형성된 제1 배선패턴과 제2 배선패턴의 교차점에 구비된 관통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제1 배선패턴과 상기 제2 배선패턴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은 절연재료로 형성된 베이스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된 2개의 금속스프링을 갖고, 상기 2개의 금속스프링은 상기 베이스부에서 똑바로 뻗어 있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계속되어 서로 가까워지도록 뻗어 있는 제2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에 계속 되어 서로 떨어지도록 뻗어 있는 선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조방법은 (a) 릴(reel)상으로 순차적으로 복수의 상기 금속스프링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금속스프링의 각각에 상기 베이스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핀이 릴상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피치는 상기 접속핀이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최소 삽입피치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3 기재의 발명에서는 기판의 다른 층에 형성된 제1 배선패턴과 제2 배선패턴과의 교차점에 구비된 관통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제1 배선패턴과 상기 제2 배선패턴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은 절연재료로 형성된 베이스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된 2개의 금속스프링을 갖고, 상기 2개의 금속스프링은 상기 베이스부에서 똑바로 뻗어있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 계속되어 서로 가까워지도록 뻗어있는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에 계속 되어 서로 떨어지도록 뻗어 있는 선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조방법은 금속소재를 형틀가공하여 상기 금속 스프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4 기재의 발명에서는 교환기측의 회선과 가입자측의 회선을 접속 및 절단하는 장치에 사용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 절연부재로 형성되어 복수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다층기판과, 상기 다층기판의 복수의 배선층중 1개에서 수평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교환기측의 회선 및 상기 가입자측의 회선중 적어도 한쪽의 위해 사용되는 제1조의 배선패턴과, 상기 다층기판의 다른 배선층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교환기측의 회선 및 상기 가입자측의 회선의 적어도 한쪽을 위해 사용되는 제2조의 배선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5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4 기재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 상기 제1조의 배선패턴으로서 상기 다층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제1 배선패턴과, 상기 제1조의 배선패턴으로서 상기 다층기판의 이면에 상기 제1 배선패턴과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 제2 배선패턴과, 상기 제1배선패턴과 상기 제2 배선패턴의 교차점에서 양쪽의 배선패턴 방향으로 1개 걸러 비워진 관통구멍을 갖고, 상기 관통구멍중 하나에 접속핀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배선패턴의 1개와 상기 제2 패턴의 1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조의 배선패턴은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에 형성된 관통구멍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6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4 또는 15 기재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 상기 제1조의 배선패턴의 배선층과 상기 제2조의 배선패턴의 배선층 사이의 절연층 두께는 상기 제2조의 배선패턴의 배선층 사이의 절연층의 두께보다도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7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4 또는 15 기재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 상기 제2조의 배선패턴은 상기 제1조의 배선패턴 사이에서 수직방향에 위치하는 배선층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8 기재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5 기재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 외부장치와 접속되는 입력부와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와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 사이의 배선패턴과,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와 상기 출력부 사이의 배선패턴은 배선패턴중 적어도 1피치 이상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9 기재의 발명에서는 교환기측의 회선과 가입자측의 회선을 접속 및 절단하는 장치에 사용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 접속핀을 관통구멍에 삽입 및 제거함으로써 상기 회선의 접속 및 절단을 행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부와 표면의 후단부에 구비된 입출력콘넥터를 갖는 제1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와, 접속핀을 관통구멍에 삽입 및 제거함으로써 상기 회전의 접속 및 절단을 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부와, 이면의 후단부에 구비된 입출력콘넥터를 갖는 제2 매트릭스 스위치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매트릭스 스위치보드를 실장하는 백보드로부터 볼 때 상기 제1 및 제2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입출력콘넥터의 단자배치가 동일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배선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0 기재의 발명에서는 접속핀을 관통구멍에 삽입 및 제거함으로써 교환기측의 회선과 가입자측의 회선을 접속 및 절단하는 장치에 사용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도록 다른 층에 형성된 2개의 배선패턴과 그 교차점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부와,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접속핀을 수용하는 십자상 형태의 접속핀 수용에리어를 가지며, 상기 접속핀 수용에리어의 배선패턴은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의 배선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실시예의 평면도 및 단면도.
제1(a)도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평면도.
제1(b)도는 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접속핀의 실시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접속핀이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제1도에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자동화 MDF에 있어서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네트워크 구성도.
제7도는 제2도에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접속핀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도.
제8도는 제7도에 나타낸 접속핀(30)이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9도는 형틀가공에 의해서 형성된 복수의 금속스프링을 나타낸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접속핀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다른 실시예.
제11(a)도는 정면도.
제11(b)도는 제11(a)도의 선 71-71'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11(c)도는 제11(a)도의 선 73-73'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배선부에서의 배선패턴의 구성예.
제13도는 제11도의 배선부에서의 배선패턴의 구성예.
제14도는 제11도의 배선부에서의 배선패턴의 구성예.
제15도는 제14도의 배선패턴의 구성예에 있어서 제1조의 배선패턴(제1 배선층)과 제2조의 배선패턴(제2 및 제3 배선층)의 위치관계에 대한 크로스토크를 나타내 도면.
제16도는 6층구조의 프린트판을 사용한 경우의 배선부의 배선패턴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제17도는 제11도의 배선부에서의 배선패턴의 구성예.
제18도는 제11도의 배선부에서의 배선패턴의 구성예.
제19도는 제11도의 배선부에서의 배선패턴의 구성예.
제20도는 제11도의 배선부에서의 배선패턴의 구성예.
제21도는 제11도의 배선부에서의 배선패턴의 구성예.
제22도는 매트릭스 스위치부의 제2, 제3배선층의 배선패턴의 다른 구성예.
제23도는 제11도에 나타낸 2개의 매트릭스 스위치부의 배선패턴의 구성예.
제24도는 매트릭스 스위치부와 입출력콘넥터 사이의 접속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25도는 입력콘넥터 및 출력콘넥터와 매트릭스 스위치부를 접속하는 배선패턴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제26도는 매트릭스 스위치부에서 입출력콘넥터로 향한 배선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27도는 제11도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배선부에서의 다른 배선패턴 구조예를 나타낸 도면.
제28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다른 실시예.
제28(a)도는 정면도, 제28(b)도는 측면도.
제29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다른 실시예.
제30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장치로의 실장구조를 나타낸 모식도.
제3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장치의 백보드로의 실장구조의 실시예.
제32도는 제31도에 나타낸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입출력 콘넥터의 단자배치 및 배선패턴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
제3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다른 실시예.
제34도는 주회선 분배접속장치(MDF)의 전형적인 기능을 설명한 도면.
제35도는 종래의 자동화MDF의 원리를 나타낸 도면.
제36도는 종래의 자동화MDF에 사용하는 종래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및 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36(a)도는 종래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구성.
제36(b)도는 종래의 접속핀의 구성.
제36(c)도는 접속핀이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37도는 종래의 자동화MDF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이상의 발명은 이하와 같이 작용한다.
청구항 1 기재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를 2층구조의 기판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관통구멍을 제1 배선패턴의 방향으로 1개의 교차점을 걸러서 구비할 수 있고, 또 제2 배선패턴의 방향에도 1개의 교차점을 걸러서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관통구멍의 위치가 연속하여 인접한 교차점에 구비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고밀도로 관통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또 관통구멍과 배선패턴 사이 및 배선패턴끼리 사이의 거리에 대해서 소정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배선패턴이 부주의로 단락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배선패턴간의 절연의 신뢰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피치는 종래와 거의 같지만, 저가인 2층 프린트판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관통구멍의 저비용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 2개의 금속스프링을 갖는 접속핀을 2개의 관통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배선패턴과 상기 제2배선패턴의 2조의 접속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접속핀에 있어서는 이러한 접속핀을 관통구멍에 삽입한 때 접속핀의 제1 부분의 외측과 선단부의 내측이 관통구멍의 돌출한 도금부분과 접촉된다. 따라서, 2개의 금속스프링을 갖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견고한 접속을 확보할 수 있다. 또 2조의 배선패턴간의 접속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접속핀에 있어서는 이 접속핀이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관통구멍에 삽입될 때, 제1 부분과 선단부가 관통구멍의 도금부와 접촉하고, 제2 부분은 관통구멍의 벽부와 접촉한다. 따라서, 이 접속핀은 관통구멍의 3개소의 지점에서 지탱되고, 금속스프링으로의 부착부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그 겨로가, 베이스부가 금속스프링으로부터의 응력에 의해서 손상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청구항 5 또는 21 기재의 접속핀에 있어서는 금속스프링의 선단부는 테이퍼상으로 가공되고, 또 2개의 선단부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2개의 관통구멍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핀을 작은 관통구멍에 삽입할 때, 테이퍼부가 삽입가이드로서 작용하여 삽입실수를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6 또는 22 기재의 접속핀에 있어서는 각 금속 스프링의 접촉부에서의 두께는 두껍게 설계되어 있다. 접속핀이 관통구멍에 삽입될 때, 금속스프링과 관통구멍의 금속도금부 사이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금속스프링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다.
청구항 7 또는 23 기재의 접속핀에 있어서는 관통구멍의 도금부와 접촉하는 금속스프링의 부분에는 모따기가 행해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관통구멍의 도금부와의 접촉면적을 넓게 할 수 있고, 도금부를 손상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접촉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로봇이 접속핀을 관통구멍에 삽입할 때, 그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8 또는 24 기재의 접속핀에 있어서는 기둥부에 의해서, 접속핀의 삽입한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접속핀이 관통구멍에 삽입된 때, 접속핀의 자립을 보조하는 기능을 갖는다.
청구항 9 또는 25 기재의 접속핀에 있어서는 금속스프링의 선단부의 제2 부분에는 경사가 없는 부분이 접속되어있다. 따라서, 접속핀을 관통구멍에서 약간만 빼낸 경우에, 간단히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0 또는 11 기재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도금부분이 관통구멍으로 돌출하여, 접점구조를 형성한다. 이와같이 간단한 방법에 의해서, 용이하게 도금부분을 돌출할 수 있어, 접속핀과의 확실한 전기적 접촉을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12 기재의 접속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접속핀이 릴상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접속핀을 일괄해서, 핀공급보드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핀공급 에리어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접속핀을 효율좋게 핀공급에리어에 공급할 수 있다.
청구항 13 기재의 접속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접속핀의 금속스프링은 금속소재를 형틀가공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많은 금속스프링을 한 번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금속스프링의 각부에서, 소망하는 두께의 구부림각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14 또는 15 기재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는 제1조의 배선패턴은 수평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조의 배선패턴은 다른 배선층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1조의 배선패턴을 사용하는 회선과 제2조의 배선패턴을 사용하는 회선 사이의 크로스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16 또는 17 기재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는 회선간의 크로스토크를 더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18 기재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는 입력신호용 배선패턴과 출력신호용 배선패턴은 배선패턴의 적어도 1피치 이상 떨어져 있다. 따라서, 이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서는 입력신호용 배선패턴과 출력신호용 배선패턴 사이의 크로스토크를 더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19 기재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매트릭스 스위치보드를 백보드에 실장한 경우, 백보드로부터 본 경우의 입출력콘넥터의 단자위치가 같게 된다. 따라서, 백보드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청구항 20 기재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는 매트릭스 스위치부에 십자상으로 접속핀 수용에리어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접속핀을 삽입 및 제거하는 관통구멍과 접속핀 수용에리어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접속핀의 삽입 및 제거의 조작을 신속히 행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및 접속핀의 실시예의 구성을 제1도 내지 제3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실시예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제1(a)도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평면도이고, 제1(b)도는 그 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접속판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접속핀이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도에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는 2층구조의 프린트판(10)으로 구성되어 있고, 프린트판(10)의 표리에 배선패턴(12, 14)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표면측의 배선패턴(12)은 가입자측 배선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면측의 배선패턴(14)은 교환기측 배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표면측의 배선패턴(12)에서는 이웃하여 인접하는 1조의 배선패턴이 1가입자를 위한 A선 및 B선의 2선을 구성한다. 따라서 표면측의 배선패턴(12)은 A선 및 B선 조의 패턴이 순차적으로 되풀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면측의 배선패턴(14)에서는 이웃하여 인접하는 2개의 배선패턴은 교환기측의 A선 및 B선의 2선을 구성한다. 따라서, 이면측의 배선패턴(14)도 A' 선 및 B' 선 조의 패턴이 순차적으로 되풀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예에서는 표면측의 A선과 이면측의 A'선, 그리고 표면측의 B선과 이면측의 B'이 접속되도록 각각의 배선의 교차점에 관통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에 접속핀(도시하지 않음)을 삽입함으로써, 표면측의 A선과 이면측의 A'선을 접속할 수 있고, 또 표면측의 B선과 이면측의 B'선을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관통구멍(16)은 가입자의 배선패턴(12)의 방향으로 1개의 교차점을 걸러서 구비할 수 있다. 또 관통구멍(16)은 교환기의 배선패턴(14)의 방향에도, 1개의 교차점을 걸러서 구비할 수 있다. 이와같이 관통구멍(16)의 위치가 연속하여 인접한 교차점에 구비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고밀도로 관통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또 관통구멍과 배선패턴의 사이 및 배선패턴끼리 사이의 거리에 대해서 소정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배선패턴이 부주의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절연의 신뢰성을 만족시킬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가입자에 대한 관통구멍의 피치는 약 1.6이다. 제36도에 나타낸 종래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로서는 고가인 4층 프린트판이 사용되고, 그 관통구멍의 피치는 약 1.5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피치는 종래와 거의 같지만, 저가인 2층 프린트판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관통구멍의 저비용화를 기대할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접속핀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분리된 2개의 접속부재(32)(금속 스프링)를 갖고 있다. 이 접속핀(30)을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A선 및 B선용의 2개의 관통구멍(16)에 삽입하면, 표면측의 A선과 이면측의 A'선 및 표면측의 B선과 이면측의 B'선을 동시에 접속할 수 있다. 접속핀(30)은 톱니모양의 격자상(hound's tooth)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A선 및 B선의 양쪽을 기판의 표면에 배치하더라도, 종래의 자동화MDF와 같은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제1도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 각 관통구멍의 주위에는 랜드(18)가 구비되어 있다. 이 랜드는 금속도금되어 있고, 또한 이 금속도금부(20)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16)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돌출된 금속도금에 의해서, 접속핀과 배선패턴의 전기적 접촉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제1도에 나타낸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도는 제1도에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공정(A)에서는 표리면이 동박(약 18㎛)으로 덮여진 글라스에폭시 등의 수지로 구성된 프린트기판(10)에 관통구멍(16)을 형성한다. 공정(B)에서는 표리면의 배선패턴부분에 레지스트를 사용하여 도체층을 패터닝한다. 공정(C)에서는 도체층을 에칭한다. 공정(D)에서는 도체패턴을 도금전극으로서, 분해동도금(약 25㎛), 니켈도금(약 5㎛), 금도금을 (약 1㎛), 순차적으로 행한다.
이렇게하여 도금부분(20)이 관통구멍(16)으로 돌출하여 접점구조를 형성한다. 이와같이 간단한 방법에 의해서, 용이하게 도금부분을 돌출할 수 있어, 접속핀과의 확실한 전기적 접촉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유니트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유니트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유니트(40)는 1매의 보드로 되고, 이 보드는 복수의 매트릭스 스위치부(42)로 구성되어 있다. 각 매트릭스 스위치부(42)로 구성되어 있다. 각 매트릭스 스위치부(42)는 제1도에 나타낸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지만, 배선패턴의 수는 저감되어 있다. 제5도에 나타낸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유니트의 예는 3매의(4842)의 매트릭스 스위치부와, 3매의 (4248)의 매트릭스 스위치부와, 12매의 (5052)의 매트릭스 스위치부로 구성되어 있다.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유니트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금속 등의 테두리로 고정하여 사용한다.
이와같이 간단한 2층 구조의 프린트기판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매트릭스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큰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유니트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제6도에는 자동화MDF에서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4900단자와 4096단자 사이의 접속을 행하는 경우, 이들의 접속을 1개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로 행하는 경우, 약 2007만의 교차점 수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들의 접속네트워크를 복수의 다른 매트릭스 사이즈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7070)의 보드 및 (7064)의 보드)를 사용하고, 3단으로 구성하면, 교차점 수는 약 94만으로 저감할 수 있다.
제5도에 나타낸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유니트는 이러한 다른 매트릭스 사이즈의 매트릭스 스위치부를 용이하게 포함할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유니트를 사용함으로써,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네트워크구성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교차점 수의 저감화를 달성할 수 있다.
제5도에 나타낸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유니트(40)는 유니트 입출력단자(52) 및 라인단자(54)를 포함하고 있다. 유니트 입출력단자(52) 및 라인단자(54)는 각각 배선패턴을 거쳐서 각 매트릭스 스위치부의 입출력단자와 접속된다. 따라서, 이 유니트 입출력단자(52)를 거쳐서, 외부의 회선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또 라인단자(54)를 거쳐서 다른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유니트와 간단히 접속할 수 있다. 이와같이 유니트 입출력단자(52) 및 라인단자(54)를 구비함으로써, 접속구성이 용이하게 실현된다. 따라서, 상술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네트워크구성도 또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5도에 나타낸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유니트(40)도 제4도에 나타낸 제1 제조공정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1개의 프린트 기판상에 복수의 매트릭스 스위치부(42)의 패턴이 구성되고, 그들을 동시에 에칭하고, 또 도금한다. 복수의 매트릭스 스위치부(42)의 배선패턴을 동시에 도금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배선패턴에 동시에 도금을 행하기 위한 전압을 인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매트릭스 스위치부의 배선패턴은 도금용 전극라인(44)으로 서로 접속되어 있다. 그 결과, 복수의 매트릭스 스위치부(42)에 1개소에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금공정의 종료후, 각 도금용 전극라인(44)은 루터가공(rooter processing)(46)에 의해서 절단한다. 이렇게하여, 효율좋게 복수의 매트릭스 스위치부를 1개의 프린트 기판상에 구성할 수 있다. 제5도에 나타낸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유니트(40)에서는 표면측 및 이면측에서 도금용 전극라인(44)이 각각 배선패턴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금공정 및 도금용 전극라인의 절단공정을 효율좋게 행할수 있다.
또한, 제5도에 나타낸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유니트(40)에서는 각 매트릭스 스위치부의 주위에 기준마커(reference maker)(48)가 구비되어 있다. 기준마커(48)는 홀에 의해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 기준마커(48)는 자동화MDF에서 로봇이 레이저 등으로 소망하는 관통구멍을 찾아내고,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기준마커(48)는 각 매트릭스 스위치부마다 구비되어 있고, 기준마커(48)와 매트릭스 스위치부(42)의 관통구멍 사이의 위치관계는 정밀도 좋게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매트릭스 스위치부(42)의 위치관계가 다소 변동되더라도, 로봇은 기준마커(48)에 따라서 관통구멍을 찾아냄으로써, 소망하는 관통구멍을 정밀도 좋게 검출할 수 있다.
또 제5도에 나타낸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유니트(40)에서는 접속핀(도시하지 않음)을 격납하기 위한 핀공급용 보드(50)가 구비돠어 있다. 이 핀공급용 보드(50)는 실질적으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떼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화MDF의 출하시, 접속핀은 핀공급용 보드(50)에 수용된다. 가입자의 이동 등에 의해서, 국측에서 가입자측 선로의 접속변경의 요구가 있으면, 로봇은 핀공급용 보드(50)로부터 접속핀을 제거하여, 매트릭스 스위치부(42)내의 소망하는 관통구멍에 삽입한다. 예를 들어, 핀공급용 보드(50)에는 약 1000개의 접속핀을 수용할수 있다. 이와같이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유니트에 핀공급용 보드(50)를 구비함으로써, 접속핀을 로봇에 효율좋게 공급할 수 있다.
한편, 국측의 요구에 의해 접속핀이 사용될 때까지, 수년 걸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접속핀이 핀공급용 보드(50)에 장기간 계속해서 삽입되어 있다. 접속핀은 금속 스프링재를 갖고 있기 때문에, 기계적 응력에 의해서 스프링재의 크리프(creep)(스프링의 탄성의 열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실용적으로는 핀공급용 보드(50)의 관통구멍의 직경은 매트릭스 스위치부(42)의 관통구멍의 직경보다도 크게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접속핀이 사용될 때까지 생길 우려가 있는 스프링재의 금속 크리프를 완화시킬수 있다. 또 구멍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구멍 형성의 공정이 용이하게 되고, 핀공급용 보드의 제조비용을 저감할수 있다.
제5도에 나타낸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유니트(40)는 1매의 보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매트릭스 스위치부(42)는 독립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로도 구성할 수 있다. 즉,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유니트는 복수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로 구성된다. 이 경우, 복수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는 콘넥터를 거쳐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유니트에 접속할 수 있다. 또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유니트의 기판내에 유니트 입출력단자와 또 이에 접속된 내부배선을 구비하면, 복수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를 유니트 입출력단자에 내부배선을 거쳐서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다음에, 제2도에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접속핀의 실시예에 대해서,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7도는 제2도에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접속핀(30)의 실시예의 상세한 구성도이다. 제8도는 제7도에 나타낸 접속핀(30)이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7도에 나타낸 접속핀(30)은 수지로 형성된 십자상 베이스부(31)와, 그 베이스부(31)에 고정되어 있는 2개의 금속스프링(32)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부(31)의 내부에 있어서, 이들의 2개의 금속스프링(32)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고 서로 절연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31)의 재료는 수지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절연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2개의 금속스프링(32)은 서로 대치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2개의 금속스프링(32)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또는 서로 떨어지도록 뻗어있는 제1부분(32a)과, 그 제1부분(32a)에 계속해서 서로 가까워지도록 뻗어 있는 제2부분(32b)과, 그 제2부분(32b)에 계속해서 서로 떨어지도록 뻗어 있는 제3부분(32c)(선단부)으로 구성된다. 또 선단부(32c)는 제2부분과(32b)의 접속부에 대향하는 금속스프링의 중심선과 평행한 제4부분(32d)을 갖는다.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접속핀(30)을 관통구멍에 삽입하면, 접속핀의 제1부분(32a)의 외측이 관통구멍(16)의 돌출도금부분(20a)과 제1접속점에서 접촉하고, 또 제2부분(32b)의 안쪽이 관통구멍(16)의 돌출된 도금부분(20b)과 제2접속점에서 접촉한다. 특히, 제2접속점에서는 제2부분(32b)이 적당히 경사져 있어 적절한 힘이 도금부분(20b)에 가해진다.
또 금속스프링의 제3부분(32c)의 제2부분에서의 부분에는 경사가 없는 제4부분(32d)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핀(30)을 관통구멍(16)으로부터 약간만 인발한 경우, 간단히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금속스프링을 갖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견고한 접속을 확보할 수 있다.
또 금속스프링(32)의 선단부(32c)는 테이퍼상으로 가공되고, 또 2개의 선단부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2개의 관통구멍(16)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핀(30)이 작은 관통구멍(직경 0.5)에 삽입될 때, 테이퍼상으로 가공된 선단부(32c)가 삽입가이드로서 작용하여 삽입실수를 저감할수 있다.
제7도에 나타낸 접속핀에서는 각 금속스프링(32)은 대략 사각형 단면을 갖고, 제1부분(32a)의 제1접속점에서의 두께가 굻게 설계되어 있다. 접속핀(30)이 관통구멍에 삽입될 때, 금속스프링(32)과 관통구멍의 금속도금부(20) 사이의 접촉면에서 약 100㎏/㎟의 응력이 발생한다. 이 응력을 금속스프링의 한계응력에 의해서 흡수하기 위하여 금속스프링의 접촉부가 굵게 설계되어 있다.
이와같이 일부에 굵은 부분을 갖는 금속스프링은 굽힘 가공으로 설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금속스프링은 금속판의 형틀가공에 의해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제7도의 금속스프링의 도면의 정면방향으로 형을 인출한다. 따라서, 금속스프링의 각부에서 소망의 굵기, 굽힘각을 자유롭게 설정할수 있다.
제9도는 형틀가공에 의해서 형성된 복수의 금속스프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복수의 금속스프링(32)은 릴상의 금속판을 형틀 가공함으로써, 연속적으로 형성한다. 금속판의 형틀가공에 의해서 복수의 금속스프링(32)을 형성한 후, 각 금속스프링(32)에 베이스부(31)가 몰드되어 접속핀이 형성된다. 접속핀이 형성되는 피치는 제3도에 나타낸 최소삽입피치의 정수배로 설정되어 있다.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접속핀을 릴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접속핀을 일괄해서, 제5도에 나타낸 핀공급보드(50)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핀공급에리어에 삽입할수 있다. 따라서, 많은 접속핀을 효율좋게 핀공급에리어에 공급할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스프링(32)은 거의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금속스프링이 관통구멍의 돌출도금부와 접촉될 때, 접촉면적이 작아지고 또한 금속스프링의 예각코너가 도금부를 손상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접촉성이 좋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제7도의 금속스프링(32)의 제2부분(32b) 및 선단부(32c)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의 도금부와 접촉하는 금속스프링의 부분에는 모따기(chamfering)가 행해져 있다.
(제7도에서는 참조번호 34로 나타내고, 모따기 치수는 R0.1임). 이 구성에 의해서, 관통구멍의 도금부와의 접촉면적을 넓게할 수 있고, 도금부를 손상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접촉성이 좋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로봇이 접속핀을 관통구멍에 삽입할 대, 그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제7도에 나타낸 접속핀에서는 2개의 금속스프링(32) 사이에 베이스부(31)로부터 하측으로 뻗어있는 기둥부(pillar part)(36)가 구비되어 있다. 이 기둥부(36)에 의해서, 접속핀(30)의 삽입거리가 물리적으로 제한된다. 실제의 동작에서는 로봇이 접속핀(30)을 관통구멍(16)에 삽입할 때, 이 기둥부(36)의 선단이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표면에 접촉된다. 이때 로봇은 기둥부(36)로부터의 반력을 검출함으로써, 로봇은 삽입을 정지한다.
따라서, 이 기둥부를 접속핀에 구비함으로써, 접속핀의 삽입한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접속핀이 관통구멍에 삽입될 때, 접속핀의 자립을 돕는 기능도 갖는다. 또 제7도에 나타낸 접속핀(30)에서는 베이스부(31)의 일부가 테이퍼구조(38)를 갖고 있다. 제7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테이퍼각은 34로 설계되어 있다. 로봇이 관통구멍(16)으로부터 이미 삽입되어 있는 접속핀(30)을 뽑을 때, 로봇은 인접하는 관통구멍(16)을 레이저로 검색 및 검출하고, 소망하는 접속핀의 위치를 산출한다. 인접하는 관통구멍을 레이저로 검색하는 경우, 접속핀(30)의 베이스부(31)에 의해서 레이저가 차단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31)에 테이퍼를 구비함으로써, 로봇의 레이저에 의한 검색동작을 순조롭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접속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0도는 발명에 의한 접속핀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제10도에 나타낸 접속핀(60)은 절연재료로 형성된 베이스부(61)와, 그 베이스부(61)에 고정되어 있는 2개의 금속스프링(62)으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금속스프링(62)은 베이스부(61)의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지 않다. 금속스프링(62)은 U자형으로 굽혀져 있고, 3개소의 곡부(62a, 62b, 62c)를 갖는다.
이 접속핀(60)이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관통구멍에 삽입될 때, 제1곡부(62a)와 제3곡부(62c)가 관통구멍의 도금부(20)와 접촉하고, 제2곡부(62b)는 관통구멍의 벽부(22)와 접촉된다. 따라서, 이 접촉핀(60)은 관통구멍의 3개소의 포인트에서 지지되고, 금속스프링(62)의 베이스부(61)로의 부착부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그 결과, 베이스부가 금속스프링으로부터의 응력에 의해서 손상될 가능성을 줄일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접속핀(60)도 상술한 제7도에 나타낸 접속핀(30)이 갖는 특징, 예를 들어, 금속스프링의 모따기, 금속스프링의 테이퍼구조를 포함하는 선단처리, 베이스의 테이퍼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11(a)도는 정면도이고, 제11(b)도는 제11(a)도의 선71-71'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제11(c)도는 제11(a)도의 선73-73'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11도에 나타낸 매트릭스 스위치보드(70)는 4층구조의 프린트판(72)을 사용하고 있다.
매트릭스 스위치보드(70)는 매트릭스 스위치부(74-1, 74-2)와, 입출력콘넥터(76)와, 이들을 접속하기 위한 배선부(78)를 갖는다.
매트릭스 스위치부(74-1, 74-2)에서는 프린트판(72)의 표리(제1 및 제4 배선층)에 제1(a)도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와 같이 배선패턴(82, 84)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표면측의 배선패턴(82)은 가입자측 배선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면측의 배선패턴(84)은 교환기측 배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표면측의 배선패턴(82)에서는 이웃하여 인접하는 1조의 배선패턴은 가입자를 위한 A선 및 B선의 2선을 구성한다. 따라서, 표면측의 배선패턴(82)은 A선 및 B선의 조 패턴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면측의 배선패턴(84)에서는 이웃하여 인접하는 2개의 배선패턴은 교환기측의 A'선 및 B'선의 2선을 구성한다. 따라서, 이면측의 배선패턴(84)도 A'선 및 B'선의 조 패턴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예에서는 표면측의 A선과 이면측의 A'선, 표면측의 B선과 이면측의 B'선이 접속되도록, 각각의 배선의 교차점에 관통구멍(9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에 제2도에 나타낸 접속핀(30)(도시하지 않음)을 삽입함으로써, 표면측의 A선과 이면측의 A'선이 접속할 수 있고, 또 표면측의 B선과 이면측의 B'선이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관통구멍(90)은 가입자의 배선패턴(82)의 방향 및 교환기의 배선패턴(84)의 방향으로 교차점 하나 걸러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70)는 제1도에 나타낸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와 같은 특징을 가질수 있다.
또 매트릭스 스위치부(74-1)에서는 제1(a)도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와는 단리, 제11(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트판(72)의 제2 및 제3 배선층에, 배선패턴(86, 88)이 수직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배선패턴(86, 88)은 배선패턴(82)에 따라서 관통구멍(90)의 사이를 짜넣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1쌍의 위쪽의 배선패턴(86)과 하측의 배선패턴(88)은 가입자측의 1쌍의 회선(A선 및 B선), 또는 교환기측의 1쌍의 회선(A' 선 및 B'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매트릭스 스위치부(74-1, 74-2)는 배선부(78)를 거쳐서, 입출력콘넥터(76)와 접속되고, 특히 매트릭스 스위치부(74-2)의 일부는 매트릭스 스위치부(74-1)내의 배선패턴(86, 88)을 거쳐서 입출력콘넥터(76)와 접속되어 있다. 배선부(78)에서는 제11(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패턴(92, 94, 96, 98)이 고밀도로 배치되어 있고, 이들은 입력 및 출력신호를 전송하는 많은 회선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전송신호가 다른 회선으로 누설될 수 있는 크로스토크가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70)에서는 이 크로스토크를 저감하도록 배선패턴이 설계되어 있다.
이하에, 크로스토크를 저감하는 배선패턴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2도 내지 제14도는 배선부(78)에 있어서의 배선패턴의 구성예이다. 배선부(78)에는 관통구멍(90)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1 내지 제4 배선층에 4개의 배선패턴(92, 96, 98, 94)을 각각 서로 평행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들의 구성예에서는 제1 및 제4배선층(프린트판(72)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배선패턴(92, 94)의 각각에서는 한쌍의 이웃하여 인접하는 배선패턴은 A선 및 B선으로 이루어지는 1가입자를 위한 1회선(예를 들어, 도면중의 1A, 1B)를 구성한다. 이 한쌍의 이웃하여 인접하는 배선패턴은 이후제1조의 배선패턴이라 한다. 따라서, 배선패턴(92, 94)의 각각은 A선 및 B선의 조 패턴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2 및 제3 배선층의 배선패턴(96, 98)에서는 한쌍의 상하 배선패턴(96, 98)이 A선 및 B선으로 이루어지는 1가입자를 위한 1회선(예를 들어, 도면중의 2A, 2B)을 구성한다. 이 한쌍의 상하 배선패턴은 이후제2조의 배선패턴이라 한다.
상술한 제1조의 배선패턴과 제2조의 배선패턴을 갖는 구성은 모든 배선층에 있어서 한쌍의 A선 및 B선의 배선패턴이 수평 방향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에 비해서, 회선간의 크로스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제12도의 배선패턴의 구성예에서는 배선패턴(92, 96, 98, 94)은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3도의 배선패턴의 구성예에서는 배선패턴(96)과 배선패턴(98)의 간격(H2)은 배선패턴(92)과 배선패턴(96)의 간격(H1)이나 배선패턴(98)과 배선패턴(94)의 간격(H3)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배선패턴(96)과 배선패턴(98)의 간격(H2)은 비교적 좁기 때문에 배선패턴(96)과 배선패턴(98)으로 이루어지는 제2조의 배선패턴은 주위로부터의 잡음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제14도의 배선패턴의 구성예에서는 제2조의 배선패턴(배선패턴(96, 98))은 제1조의 배선패턴 사이(배선패턴(92)사이 및 배선패턴(94)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은 회선간의 크로스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이 구성의 크로스토크의 억제특성을 실험적으로 해석한다.
제15도는 제14도의 배선패턴의 구성예에 있어서 제1조의 배선패턴(제1배선층)과 제2조의 배선패턴(제2 및 제3 배선층)의 위치관계에 대한 크로스토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배선층의 패턴(92)의 간격이 L로 표시되어 있다. 제1조의 배선패턴의 패턴(1A)에서의 거리(X)에 따라서, 제1조의 배선패턴으로부터 제2조의 배선패턴으로의 크로스토크가 나타나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제2조의 배선패턴이 제1조의 배선패턴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때, 크로스토크는 가장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6도는 6층구조의 프린트판을 사용한 경우의 배선부의 배선패턴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6도의 구성예에서는 제14도의 구성예와 같이 제2 및 제3 배선층의 배선패턴(2A 및 2B)은 제1배선층의 배선패턴(1A)과 배선패턴(1B)사이에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쌍의 배선패턴(1A 및 1B)을 사용하는 회선으로부터 한쌍의 배선패턴(2A 및 2B)을 사용하는 회선으로의 크로스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제16도의 구성예에서는 제4 및 제5 배선층의 배선패턴(3A 및 3B)은 제6 배선층의 배선패턴(4A)과 배선패턴(4B) 사이에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쌍의 배선패턴(4A 및 4B)을 사용하는 회선으로부터 한쌍의 배선패턴(3A 및 3B)을 사용하는 회선으로의 크로스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이하에 크로스토크를 저감하기 위한 다른 배선패턴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제17도 내지 제21도는 배선부(78)에 있어서의 배선패턴의 구성예이다. 제17도의 배선패턴의 구성예에서는 배선패턴(96, 98)의 제2조의 배선패턴에 인접하는 배선패턴은 그라운드패턴이다. 이 그라운드패턴에 의해서 잡음을 바이패스할 수 있고, 회선간의 크로스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제18도의 배선패턴의 구성예에서는 제17도의 배선패턴에 있어서, 그라운드패턴이 제거되어 있다. 즉, 배선패턴(96, 98)의 제2조의 배선패턴은 배선패턴(92 또는 94)의 제1조의 배선패턴의 형성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이웃하는 제2조의 배선패턴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회선간의 크로스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제19도의 배선패턴의 구성예에서는 제1 배선층과 제2 배선층 사이 및 제3 배선층과 제4 배선층 사이에, 어스층이 구비되어 있다. 이 어스층에 의해서, 배선패턴(96, 98)의 제2조의 배선패턴을 사용하는 회선과, 배선패턴(92 또는 94)의 제1조의 배선패턴을 사용하는 회선 사이의 크로스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제20도의 배선패턴의 구성예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제1조의 배선패턴의 간격(P2)은 제1조의 배선패턴 간격(P1)보다도 넓다. 또한, 제21도의 배선패턴의 구성예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제1조의 배선패턴 사이에 그라운드 패턴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구성에서는 인접하는 제1조의 배선패턴을 사용하는 회선간의 크로스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21도의 구성에서는 고속신호가 회선을 전송하는 경우, 더 큰 크로스토크의 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제12도 내지 제21도의 배선패턴의 구성예는 제11도에 나타낸 매트릭스 스위치보드(70)에 한정되지 않고, 매트릭스 스위치보드(70)를 부착시키는 자동분배장치의 백보드에 적용 가능하다.
또 상술한 제20도 및 제21도의 배선패턴의 구성예는 배선부(78)에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매트릭스 스위치부(74-1, 74-2)와 또 제1도에 나타낸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구성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다음에, 매트릭스 스위치부(74-1, 74-2)의 배선패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1도에 나타낸 구성예에서는 제2, 제3배선층의 배선패턴(86, 88)은 배선패턴(82)에 따라서 관통구멍(90) 사이를 짜넣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매트릭스 스위치부(74-2)의 일부는 매트릭스 스위치부(74-1)의 내부에 형성된 배선패턴(86, 88)을 거쳐서 입출력콘넥터(76)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매트릭스 스위치부(74-2)와 입출력콘넥터(76) 사이의 접속을 위해서, 넓은 에리어의 배선부(78)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70)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22도는 매트릭스 스위치부의 제2, 제3배선층의 배선패턴의 다른 구성예이다. 이 구성예에서는 제2, 제3배선층의 배선패턴(86', 88')은 관통구멍(90) 사이를 배선패턴(82)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배선패턴(86', 88')은 배선패턴(82)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배선패턴(82)을 사용하는 회선과 배선패턴(86', 88')을 사용하는 회선 사이의 크로스토크를 제11도의 구성예에 비해서 더 저감할 수 있다.
제23도는 제11도에 나타낸 2개의 매트릭스 스위치의 배선패턴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매트릭스 스위치부(74-1)에서는 그 제2, 제3 배선층에 배선패턴(86, 88)이 형성되어 있다. 매트릭스 스위치부(74-2)에서는 인접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부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제2, 제3 배선층에 배선패턴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매트릭스 스위치부(74-2)에 제2, 제3 배선층을 형성하지 않으면, 매트릭스 스위치부(74-1)와 매트릭스 스위치부(74-2)의 판 두께가 다르고, 매트릭스 스위치보드(70)가 구부러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구성예에서는 매트릭스 스위치부(74-2)에서는 배선패턴(86, 88) 대신에, 더미(dummy)패턴이 구비되어 있다. 또 전하가 대전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더미패턴은 어스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매트릭스 스위치부와 입출력콘넥터 사이의 접속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4도는 매트릭스 스위치부와 입출력콘넥터 사이의 접속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제24도에서는 입출력콘넥터(76)가 입력콘넥터(76-1)와 출력콘넥터(76-2)로 구성되어 있다.
제24도에 나타낸 접속관계에서는 매트릭스 스위치부(74-1)는 입력콘넥터(76-1)와 배선패턴(80-1)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고, 또한, 출력콘넥터(76-2)와 배선패턴(80-3)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매트릭스 스위치부(74-2)는 입력콘넥터(76-1)와 배선패턴(80-2)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고, 또한 출력콘넥터(76-2)와 배선패턴(80-4)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나타낸 에리어(A)에서는 입력신호용의 배선패턴(80-1)과 출력신호용의 배선패턴(80-3)이 서로 가까워져 같은 방향에 비교하여 큰 크로스토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의 배선패턴 사이는 배선패턴을 적어도 1피치 이상 떨어져 있어 이들의 회전 사이에 발생하는 크로스토크를 저감한다.
제25도는 입력콘넥터 및 출력콘넥터와 매트릭스 스위치부를 접속하는 배선패턴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구성예에서는 할 수 없이,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배선패턴이 근접하는 경우에, 입력콘넥터(76-1)와 매트릭스 스위치부(74-1, 74-2)와의 접속에는 제1 및 제1배선층의 제1조의 배선패턴(배선패턴(92, 94))을 사용하고, 출력콘넥터(76-2)와 매트릭스 스위치부(74-1, 74-2)의 접속에는 제2 및 제3 배선층의 제2조의 배선패턴(배선패턴(96, 98))을 사용함으로써 역방향에서의 크로스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배선의 수용방법을 (제1조와 제2조)로 하더라도 좋다.
제26도는 매트릭스 스위치부에서 입출력콘넥터를 향한 배선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6도는 예를 들어, 매트릭스 스위치부(74-1)의 제4배선층의 배선패턴(84)으로부터 출력콘넥터(76-2)을 향한 배선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배선패턴(84)의 한쌍의 패턴(1A 및 1B)은 스루홀을 거쳐서 배선부(78)의 제1배선층의 배선패턴(92)(제1조의 배선패턴)에 접속되어 있다. 한쌍의 패턴(2A 및 2B)은 스루홀을 거쳐서 배선부(78)의 제2, 제3 배선층의 배선패턴(96, 98)(제2조의 배선패턴)에 접속되어 있다. 한쌍의 패턴(3A 및 3B)은 배선부(78)의 제4배선층의 배선패턴(94)(제1조의 배선패턴)에 접속되어 있다. 한쌍의 패턴(4A 및 4B)은 스루홀을 거쳐서 배선부(78)의 제2, 제3 배선층의 배선패턴(96, 98)(제2조의 배선패턴)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같이 배선부(78)에 있어서의 배선구조에서는 인접하는 배선패턴의 조는 다른 배선층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회선간의 크로스토크를 저감할수 있다.
제27도는 제11도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배선부에서의 다른 배선패턴구조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배선부(78)에 있어서의 배선패턴의 구성예에서는 제1 및 제4 배선층의 각각에 수평방향으로 한쌍의 배선패턴(92 또는 94)이 형성되고, 제2 및 제3 배선층에 수직방향으로 한쌍의 상하의 배선패턴(96, 98)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제27도의 구성예에서는 제1 및 제2 배선층, 또 제3 및 제4 배선층에 수직방향으로 한쌍의 상하의 배선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제27도의 구성예에서는 한쌍의 상하의 배선패턴 사이의 거리(H1, H3)가 다른 층의 2조의 배선패턴쌍의 거리(H2)보다도 작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주위에 인접하는 배선패턴쌍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4층이상의 다층 프린트기판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8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다른 실시예이다. 제28(a)도는 정면도이고, 제28(b)도는 측면도이다. 제28도에 나타낸 매트릭스 스위치보드(110)는 매트릭스 스위치부(112)와 입출력부(114)에 더하여, 3개의 기준핀(116)을 포함하고 있다. 기준핀(116)은 접속핀(30)과 거의 같은 높이를 갖고 있다. 접속핀(30)을 삽입하는 로봇(도시하지 않음)은 기준핀(116)에 접촉하여 관통구멍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기준핀(116)을 삽입하기 위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110)의 구멍 직경은 매트릭스 스위치부(112)의 관통구멍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같다. 따라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110)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동일한 드릴로 관통구멍 및 기준핀(116)의 구멍을 형성할수 있다. 즉, 관통구멍 및 기준핀(116)의 구멍 형성을 위해서 드릴을 교환할 필요가 없이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9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다른 실시예이다. 전술한 제11도에 나타낸 매트릭스 스위치보드(70)에서는 입출력콘넥터(76)가 매트릭스 스위치보드(70)의 후단측에 구비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제29도에 나타낸 매트릭스 스위치보드(120)에서는 입출력콘넥터(122 및 124)가 매트릭스 스위치보드(120)의 장변측에 구비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매트릭스 스위치부(126-1, 126-2)와 입출력콘넥터(122 및 124)사이의 접속배선을 짧게 또한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제30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장치로의 실장구조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제6도를 사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매트릭스 스위치보드는 총교차점수를 저감하기 위해서 실용적으로는 네트워크구성의 형식으로 사용된다. 이 경우, 교환기와 가입자 사이의 접속처리는 1차 스위치, 2차 스위치 및 3차 스위치용 매트릭스 스위치보드(70)를 거쳐서 행해진다.
제30도는 1차 스위치, 2차 스위치 및 3차 스위치용 매트릭스 스위치보드(70)가 MDF장치(도시하지 않음)의 백보드에 실장되어 있는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실장구조에서는 1차 스위치용 매트릭스 스위치보드(70)에서는 콘넥터(76-1)는 입력콘넥터로서 사용되고, 콘넥터(76-2)는 출력콘넥터로서 사용된다. 한편, 2차 및 3차 스위치용 매트릭스 스위치보드(70)에서는 콘넥터(76-1)는 출력콘넥터로서 사용되고, 콘넥터(76-2)는 입력콘넥터로서 사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1차 스위치용 매트릭스 스위치보드(70)의 신호의 방향은 2차 및 3차 스위치용 매트릭스 스위치보드(70)의 신호의 방향과 반대로 되어 있다. 이러한 실장구조에 의해서, 동일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70)를 1차-3차 스위치용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사용할 수 있다.
제3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백보드에의 실장구조의 실시예이다. 제31도에서는 복수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130, 140)가 MDF 장치의 백보드에 실장되어 있다. 매트릭스 스위치보드(130)에는 그 표면측의 후단부에 입출력콘넥터(132)가 구비되어 있고, 매트릭스 스위치보드(140)에는 그 이면측의 후단부에 입출력콘넥터(142)가 구비되어 있다.
매트릭스 스위치보드(130 및 140)는 접속핀 삽입인출기구(15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사이에 두도록 백보드에 실장되어 있다. 이 경우, 접속핀 삽입인출기구(150)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130)의 표면측 및 매트릭스 스위치보드(140)의 이면측에, 또 그 기구(150)의 위치를 다음 보드상으로 변경시키지 않고 접속핀을 삽입할 수 있다. 매트릭스 스위치보드(130, 140)의 사이에서는 접속핀 삽입인출기(150)가 이동할 필요가 없는 공간이 존재하므로, 이 경우 매트릭스 스위치보드(130 및 140)는 근접하여 백보드에 실장되어 있다. 이러한 실장구조에 의해서, 많은 수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를 효율좋게 장치에 실장할 수 있다.
제32도는 제31도에 나타낸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입출력 콘넥터의 단자배치 및 배선패턴의 단자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32도는 백보드측에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를 바라본 도면이다. 매트릭스 스위치보드(130 및 140)에서는 입출력콘넥터(132 및 142)가 이들의 콘넥터를 백보드측에서 본 경우와 같이 단자배치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32도에 있어서, 입출력콘넥터(142)의 단자번호(1, 2, 3, …, 7)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140)로부터 오른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고, 입출력콘넥터(132)의 단자번호(1, 2, 3, …, 7)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130)를 향해 오른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또 매트릭스 스위치보드(140)의 배선패턴의 단자번호(1, 2, 3, …, 7)와 매트릭스 스위치보드(130)의 배선패턴의 단자번호(1, 2, 3, …, 7)는 서로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입출력콘넥터(142)의 단자번호(1, 2, 3, …, 7)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140)의 배선패턴의 단자번호(1, 2, 3, …, 7)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입출력콘넥터(132)의 단자번호(1, 2, 3, …, 7)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130)의 배선패턴의 단자번호(1, 2, 3, …, 7)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와같이 입출력콘넥터와 배선패턴의 접속관계를 매트릭스 스위치보드(130, 140) 사이에서 변경함으로써 백보드측에서 바라본 입출력콘넥터의 단자배치를 매트릭스 스위치보드(130, 140)에 대해서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백보드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제3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다른 실시예이다. 제33도에 나타낸 매트릭스 스위치보드(160)는 매트릭스 스위치부(162) 및 입출력부(164)에 더하여, 매트릭스 스위치부(162)내에 접속핀을 수용하기 위한 접속핀 수용에리어(166)가 구비되어 있다. 접속핀 수용에리어(166)는 십자상 형상을 갖고, 매트릭스 스위치부(162)를 실질적으로 4개의 에리어로 분할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속핀 수용에리어(166)를 형성하는 배선패턴은 매트릭스 스위치부(162)의 배선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와같이 매트릭스 스위치부(162)에 십자상으로 접속판 수용에리어(166)를 구비함으로써, 접속핀을 삽입 및 제거하는 관통구멍과 접속핀 수용에리어(166)의 거리가 짧아져 접속핀의 삽입 및 제거조작을 신속히 행할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매트릭스 스위치부(162)의 입력측 회선의 수를 N1, 출력측 회선의 수를 N2로 하면, 접속핀수용에리어(166)에 수용할 수 있는 접속핀의 수는 입력측 회전수(N1) 및 출력측 회선수(N2)중 적은쪽 이상이면 된다.
이것에 의해 과잉의 접속핀을 공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개량 및 변형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에 나타낸 효과를 얻는다.
청구항 1 기재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를 2층구조의 기판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관통구멍을 제1배선패턴의 방향에 1개의 교차점을 걸러서 구비할 수 있고, 제2 배선패턴의 방향에도 1개의 교차점을 걸러서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관통구멍의 위치가 연속하여 인접한 교차점에 구비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고밀도로 관통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또 관통구멍과 배선패턴 사이 및 배선패턴끼리의 사이의 거리에 대해서 소정이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배선패턴이 부주의로 단락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배선패턴간의 절연성의 신뢰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피치는 종래와 거의 같지만, 저가인 2층 프린트판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관통구멍의 저비용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 2개의 금속스프링을 갖는 접속핀을 2개의 관통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배선패턴과 상기 제2배선패턴의 2조의 접속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접속핀에 있어서는 이러한 접속핀을 관통구멍에 삽입할 때, 접속핀의 제1부분의 외측과 선단부의 내측이 관통구멍의 돌출된 도금부분과 접촉된다. 따라서, 2개의 금속스프링을 갖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견고한 접속을 확보할 수 있다. 또 2조의 배선패턴간의 접속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접속핀에 있어서는 이 접속핀이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관통구멍에 삽입될 때, 제1 부분과 선단부가 관통구멍의 도금부와 접촉하고, 제2 부분은 관통구멍의 벽부와 접촉한다. 따라서, 이 접속핀은 관통구멍의 3개소의 포인트에서 기지되고, 금속스프링의 베이스부로의 부착부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그 결과, 베이스부가 금속스프링으로부터의 응력에 의해서 손상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5 또는 21 기재의 접속핀에 있어서는 금속스프링의 선단부가 테이퍼상으로 가공되고, 또 2개의 선단부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2개의 관통구멍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핀이 작은 관통구멍에 삽입될 때, 테이퍼부가 삽입가이드로서 작용하여 삽입실수를 저감할수 있다.
청구항 6 또는 22 기재의 접속핀에 있어서는 각 금속 스프링의 접촉부에서의 두께는 굵게 설계되어 있다. 접속핀이 관통구멍에 삽입될 때, 금속스프링과 관통구멍의 금속도금부 사이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금속스프링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다.
청구항 7 또는 23 기재의 접속핀에 있어서는 관통구멍의 도금부와 접촉하는 금속스프링의 부부에는 모따기가 행해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관통구멍의 도금부와의 접촉면적을 넓게할수 있어 도금부를 손상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접촉성이 좋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로봇이 접속핀을 관통구멍에 삽입할 때, 그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8 또는 24기재의 접속핀에 있어서는 기둥부에 의해서, 접속핀의 삽입한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접속핀이 관통구멍에 삽입될 때, 접속핀의 자립을 돕는 가능도 갖는다.
청구항 9 또는 25 기재의 접속핀에 있어서는 금속스프링의 선단부의 제2 부분쪽의 부부에는 경사가 없는 부분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핀을 관통구멍에서 조금만 인출한 경우에, 간단히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0 또는 11 기재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도금부분이 관통구멍으로 돌출하여, 접점구조를 형성한다. 이와같이 간단한 방법에 의해서, 용이하게 도금부분을 돌출할 수 있어, 접속핀과의 확실한 전기적 접촉을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12 기재의 접속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접속핀이 릴상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접속핀을 일괄해서, 핀공급보드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핀공급 에리어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접속핀을 효율좋게 핀공급에리어에 공급할 수 있다.
청구항 13 기재의 접속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접속핀의 금속스프링은 금속소재를 형틀 가공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많은 금속스프링을 한 번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금속스프링의 각부에서 소망하는 굵기와 굽힘각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14 또는 15 기재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는 제1조의 배선패턴은 수평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조의 배선패턴은 다른 배선층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조의 배선패턴을 사용하는 회선과 제2조의 배선패턴을 사용하는 회선 사이의 크로스토크를 저감할수 있다.
청구항 16 또는 17 기재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는 회선간의 크로스토크를 더 저감할수 있다.
청구항 18 기재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는 입력신호용 배선패턴과 출력신호용 배선패턴이 배선패턴의 적어도 1피치 이상 떨어져 있다. 따라서, 이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서는 입력신호용 배선패턴과 출력신호용 배선패턴 사이의 크로스토크를 더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19 기재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매트릭스 스위치보드를 백보드에 실장한 경우, 백보드로부터 바라본 경우의 입출력콘넥터의 단자위치가 같게 된다. 따라서 백보드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청구항 20 기재의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는 매트릭스 스위치부에 십자상(+)으로 접속핀 수용에리어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핀을 삽입 및 제거하는 관통구멍과 접속핀 수용에리어의 거리가 짧아져 접속핀의 삽입 및 제거의 조작을 신속하게 행할수 있다.

Claims (24)

  1. 교환기와 가입자간의 회선을 접속 및 절단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 절연부재로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표리에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배선패턴과; 상기 제1 및 제2 배선패턴의 각각의 방향에 하나 걸러 교차점마다 형성된 관통구멍을 포함하며, 2개의 금속스프링을 갖는 접속핀을 2개의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배선패턴과 상기 제2배선패턴의 2조의 접속이 동시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2. 기판의 다른 층에 형성된 제1배선패턴과 제2 배선패턴의 교차점에 구비된 관통구멍에 삽입할 때, 상기 제1배선패턴과 상기 제2배선패턴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핀에 있어서, 절연재료로 형성된 베이스부와;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된 2개위 금속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금속스프링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실질적으로 똑바로 뻗어 있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 계속하여 서로 가까워지도록 뻗어 있는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에 계속하여 서로 떨어지도록 뻗어 있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핀을 상기 기판의 2개의 관통구멍에 동시에 삽입한 때, 2조의 상기 제1 및 제2 배선패턴이 접속되고, 상기 금속스프링과 상기 제1배선패턴의 제1접속점은 상기 금속스프링의 제1부분에 존재하고, 상기 금속스프링과 상기 제2 배선패턴의 제2접속점은 상기 금속스프링의 제2 부분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
  3. 기판의 다른 층에 형성된 제1 배선패턴과 제2 배선패턴의 교차점에 구비된 관통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제1 배선패턴과 상기 제2 배선패턴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핀에 있어서, 절연재료로 형성된 베이스부와;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된 2개의 금속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금속스프링의 각각은 제1 배선패턴과 제1 접속점에서 접촉하는 U자형으로 만곡한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계속되어 상기 관통구멍의 벽부와 접촉하는 U자형으로 만곡된 제2 부분과, 상기 제 2부분에 계속되어 제2 배선패턴과 제2 접속점에서 접촉하는 U자형으로 만곡된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핀을 상기 기판의 2개의 관통구멍에 동시에 삽입한 때, 2조의 상기 제1 및 제2 배선패턴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스프링의 선단부는 테이퍼구조를 가지며, 상기 2개의 금속스프링의 선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접속핀을 삽입할 상기 2개의 관통구멍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스프링은 상기 배선패턴과 접촉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접촉하는 부분은 다른 부분과 비하여 굵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스프링은 상기 배선패턴과 접촉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접촉하는 부분은 모따기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금속스프링의 방향으로 뻗어 있는 기둥부를 상기 2개의 금속스프링 사이에 구비하며, 상기 접속핀이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될 때, 상기 기둥부에 의해서 상기 접속핀의 삽입거리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상기 제2 부분에 인접한 영역에 2개의 상기 금속스프링의 중심축에 평행한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
  9. 임의의 회선 사이를 접속 및 절단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표리에 도체층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에 제1 및 제2 배선패턴을 형성할 소정의 위치에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표리의 도체층을 레지스트를 사용하여, 서로 교차하는 상기 제1 및 제2 배선패턴을 생성하도록 패터닝하는 단계와; (c) 상기 단계 (b)의 결과의 기판을 에칭하는 단계와; (d) 상기 제1 및 제2 배선패턴의 상기 관통구멍의 부분을 도금하고, 상기 관통구멍이 실질적으로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각각 제1 및 제2 배선패턴을, 상기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상기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비하여 가늘게 되도록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제조방법.
  11. 기판의 다른 층에 형성된 제1 배선패턴과 제2 배선패턴의 교차점에 구비된 관통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제1 배선패턴과 상기 제2 배선패턴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은 절연재료로 형성된 베이스부와;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된 2개의 금속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금속스프링은 상기 베이스부에서 똑바로 뻗어 있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계속되어 서로 가까워지도록 뻗어 있는 제2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에 계속 되어 서로 떨어지도록 뻗어 있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조방법은 (a) 릴상으로 순차적으로 복수의 상기 금속스프링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금속스프링의 각각에 상기 베이스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핀이 릴상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피치는 상기 접속핀이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최소 삽입피치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의 제조방법.
  12. 기판의 다른 층에 형성된 제1 배선패턴과 제2 배선패턴과의 교차점에 구비된 관통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제1 배선패턴과 상기 제2 배선패턴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은 절연재료로 형성된 베이스부와;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된 2개의 금속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금속스프링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실질적으로 똑바로 뻗어있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 계속되어 서로 가까워지도록 뻗어있는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에 계속 되어 서로 떨어지도록 뻗어 있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조방법은 금속소재를 형틀 가공하여 상기 금속 스프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의 제조방법.
  13. 교환기측의 회선과 가입자측의 회선을 접속 및 절단하는 장치에 사용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 절연부재로 형성되어 복수의 배선층을 포함하는 다층기판과; 상기 다층기판의 복수의 배선층중 1개에서 수평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교환기측의 회선 및 상기 가입자측의 회선중 적어도 한쪽을 위해 사용되는 제1조의 배선패턴과; 상기 다층기판의 다른 배선층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교환기측의 회선 및 상기 가입자측의 회선의 적어도 한쪽을 위해 사용되는 제2조의 배선패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의 배선패턴으로서 상기 다층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제1 배선패턴과; 상기 제1조의 배선패턴으로서 상기 다층기판의 이면에 상기 제1 배선패턴과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 제2 배선패턴과; 상기 제1배선패턴과 상기 제2 배선패턴의 교차점에서, 양쪽의 배선패턴의 방향으로 하나 걸러서 뚫어진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구멍중 1개에 접속핀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배선패턴중 1개와 상기 제2 배선패턴중 1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조의 배선패턴은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에 형성된 관통구멍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의 배선패턴의 배선층과 상기 제2조의 배선패턴의 배선층 사이의 절연층 두께는 상기 제2조의 배선패턴의 배선층 사이의 절연층의 두께보다도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의 배선패턴은 상기 제1조의 배선패턴 사이에서 수직방향에 위치하는 배선층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17. 제14항에 있어서, 외부장치와 접속되는 입력부와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와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 사이의 배선패턴과,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와 상기 출력부 사이의 배선패턴은 배선패턴중 적어도 1피치 이상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18. 교환기측의 회선과 가입자측의 회선을 접속 및 절단하는 장치에 사용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 접속핀을 관통구멍에 삽입 및 제거함으로써 상기 회선의 접속 및 절단을 행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부와 표면의 후단부에 구비된 입출력콘넥터를 갖는 제1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와; 접속핀을 관통구멍에 삽입 및 제거함으로써 상기 회전의 접속 및 절단을 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부와, 이면의 후단부에 구비된 입출력콘넥터를 갖는 제2 매트릭스 스위치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매트릭스 스위치보드를 실장하는 백보드로부터 볼 때 상기 제1 및 제2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입출력콘넥터의 단자배치가 동일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의 배선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19. 접속핀을 관통구멍에 삽입 및 제거함으로써 교환기측의 회선과 가입자측의 회선을 접속 및 절단하는 장치에 사용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도록 다른 층에 형성된 2개의 배선패턴과 그 교차점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부와;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접속핀을 수용하는 십자상 형태의 접속핀 수용에리어를 구비하며, 상기 접속핀 수용에리어의 배선패턴은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부의 배선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2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스프링의 선단부는 테이퍼구조를 가지며, 상기 2개의 금속스프링의 선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접속핀을 삽입할 상기 2개의 관통구멍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
  2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스프링은 상기 배선패턴과 접촉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접촉하는 부분은 다른 부분과 비하여 굵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
  2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스프링은 상기 배선패턴과 접촉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접촉하는 부분은 모따기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
  2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금속스프링의 방향으로 뻗어 있는 기둥부를 상기 2개의 금속스프링 사이에 구비하며, 상기 접속핀이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될 때 상기 기둥부에 의해서 상기 접속핀의 삽입거리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
  2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상기 제2 부분에 인접한 영역에 2개의 상기 금속스프링의 중심축에 평행한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
KR1019960029969A 1995-11-02 1996-07-24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및 접속핀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0216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86219 1995-11-02
JP28621995 1995-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6644B1 true KR100216644B1 (ko) 1999-09-01

Family

ID=17701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969A KR100216644B1 (ko) 1995-11-02 1996-07-24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및 접속핀 및 이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5886309A (ko)
KR (1) KR100216644B1 (ko)
CN (2) CN1189982C (ko)
DE (1) DE19629521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331B1 (ko) 2005-10-10 2007-11-08 주식회사 소리안 자동엠디에프장치의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6274B2 (ja) * 1998-02-25 2005-04-06 富士通株式会社 ロボット単位命令編集機能を有する自動mdf制御システム
DE20104605U1 (de) * 2001-03-16 2001-05-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nschlussblock und Verteilereinrichtung
GB2378608A (en) * 2001-06-19 2003-02-12 Samuel Abekah-Mensah Patch matrix
US6761578B1 (en) * 2003-02-28 2004-07-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niversal docking tray using three point contacts
JP2005183567A (ja) * 2003-12-18 2005-07-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集積回路の製造方法、ヴィアホール形成用共用マスク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
US20070184688A1 (en) * 2006-02-08 2007-08-09 Cesar Avitia Interconnection device for a double-sided printed circuit board
JP5335611B2 (ja) * 2009-08-18 2013-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ヘッド及び液体吐出ヘッドの製造方法
CN102856124B (zh) * 2011-06-30 2015-07-08 西门子公司 一种矩阵接线装置
CN104812156A (zh) * 2014-01-23 2015-07-29 台达电子企业管理(上海)有限公司 插销以及印刷电路板
DE102014210483A1 (de) * 2014-06-03 2015-12-03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Folienanordnung und entsprechende Folienanordnung
CN109149022B (zh) * 2018-10-10 2024-05-24 南京海脉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大功率射频腔矩阵交换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8452A (en) * 1965-10-01 1968-10-29 Elco Corp Electrical interconnector formed of interconnected stacked matrices
US3850711A (en) * 1972-12-07 1974-11-26 Accra Paint Arrays Corp Method of forming printed circuit
US3824433A (en) * 1973-03-05 1974-07-16 Thunderco Inc Universal circuit board
US4084870A (en) * 1974-03-14 1978-04-18 Sealectro Corporation Miniature matrix programming board
JPS5434220Y2 (ko) * 1974-06-27 1979-10-19
US4434321A (en) * 1981-02-09 1984-02-28 International Computers Limited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s
CA1261420A (en) * 1985-05-31 1989-09-26 Masao Hosogai Pin board matrix
DE3523804A1 (de) * 1985-07-03 1987-01-08 Siemens Ag Verteiler fuer fernmeldevermittlungsanlagen
NL8502046A (nl) 1985-07-16 1987-02-16 Du Pont Nederland Elektrische contactpen voor printplaat.
US4859188A (en) * 1987-10-05 1989-08-22 Cray Research, Inc. Wire/disk board-to-board interconnect device
JP2582142B2 (ja) * 1988-04-27 1997-02-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マトリクススイッチボ−ド及びマトリクススイッチボ−ド用接続ピン及びマトリクスボ−ドの製造方法
US4859806A (en) * 1988-05-17 1989-08-22 Microelectronics And Computer Technology Corporation Discretionary interconnect
US5360946A (en) * 1991-09-17 1994-1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 tape protective coating
NL9200117A (nl) * 1992-01-22 1993-08-16 Du Pont Nederland Stelsel en connectoren voor het onderling elektrisch verbinden van componentplaten.
US5352123A (en) * 1992-06-08 1994-10-04 Quickturn Systems, Incorporated Switching midplane and interconnection system for interconnecting large numbers of signals
US5456608A (en) * 1993-08-25 1995-10-10 Conx Corporation Cross-connect system
US5544004A (en) * 1993-10-14 1996-08-06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Pin-board matrix switch
JPH09139961A (ja) * 1995-11-14 1997-05-27 Fujitsu Ltd 自動回線分配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331B1 (ko) 2005-10-10 2007-11-08 주식회사 소리안 자동엠디에프장치의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421C (zh) 2003-04-30
DE19629521C2 (de) 2000-05-18
US6216342B1 (en) 2001-04-17
CN1389958A (zh) 2003-01-08
DE19629521A1 (de) 1997-05-15
US5886309A (en) 1999-03-23
US6116912A (en) 2000-09-12
CN1189982C (zh) 2005-02-16
CN1149807A (zh) 1997-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5406B2 (en) Methods of manufacture of communication connectors and communication connector circuits
KR100216644B1 (ko) 매트릭스 스위치보드 및 접속핀 및 이들의 제조방법
EP1485973B1 (en) Connection header and shield
US4494172A (en) High-speed wire wrap board
CN100533861C (zh) 具有相对倒置导线管理构型的电缆组件
EP0672309B1 (en) High-density electrical interconnect system
KR100778215B1 (ko) 크로스토크 보상형 전기 커넥터 시스템, 보상 크로스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회로 기판 및 원하지 않는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US5017145A (en) Matrix switch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601054A2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EP1049217A1 (en) Connector having internal crosstalk compensation
GB2314466A (en) Capacitor array for reducing cross-talk in connectors
EP0582264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6443740B1 (en) Connector system
US5397861A (en) Electrical interconnection board
EP1247343B1 (en) A slanted connector
JP3927529B2 (ja) 接続ピン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30013326A1 (en) Printed circuit board for pin array connection
JPH09187042A (ja) マトリクススイッチボード及び接続ピン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US5534667A (en)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zig-zag contact arrangement
US10849227B1 (en) Cascading power bus for circuit card assembly stacks
JP3052283B2 (ja) マトリクスボード
JPH04290299A (ja) プリント板ユニット
JPS61138479A (ja) コネクタ付フラツトケ−ブルの相互接続部
JP3239180B2 (ja) ピンボードマトリックススイ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45593B2 (ja) 複数の芯導体を有する層間接続体付き配線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