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299B1 - 6단 압연기 - Google Patents

6단 압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299B1
KR100216299B1 KR1019930700100A KR930700100A KR100216299B1 KR 100216299 B1 KR100216299 B1 KR 100216299B1 KR 1019930700100 A KR1019930700100 A KR 1019930700100A KR 930700100 A KR930700100 A KR 930700100A KR 100216299 B1 KR100216299 B1 KR 100216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mill
roller
roll
crow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0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1244A (ko
Inventor
도시끼 히루따
구니오 기따무라
이꾸오 야리따
Original Assignee
에모토 간지
가와사키 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57141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1629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모토 간지, 가와사키 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모토 간지
Publication of KR930701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1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2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14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having 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Back-up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14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having 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Back-up rolls
    • B21B13/142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having 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Back-up rolls by axially shifting the rolls, e.g. rolls with tapered ends or with a curved contour for continuously-variable crown CV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02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with axes of rolls arranged horizontally
    • B21B2013/028Sixto, six-high 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2Shape or construction of rolls
    • B21B27/021Rolls for sheets or strips
    • B21B2027/022Rolls having tapered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6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 B21B27/10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externally
    • B21B2027/103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externally cooling exter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7/00Roll parameters
    • B21B2267/18Roll crown; roll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9/00Roll bending or shifting
    • B21B2269/02Roll bending; vertical bending of rolls
    • B21B2269/04Work roll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9/00Roll bending or shifting
    • B21B2269/02Roll bending; vertical bending of rolls
    • B21B2269/06Intermediate roll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9/00Roll bending or shifting
    • B21B2269/12Axial shifting the rolls
    • B21B2269/14Work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9/00Roll bending or shifting
    • B21B2269/12Axial shifting the rolls
    • B21B2269/16Intermediate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6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 B21B27/10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extern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각 1쌍의 워크로울(2), 중간로울(3) 및 백업로울(4)를 갖추고, 각각의 중간로울(3) 및 워크로울(2)중 적어도 중간로울(3)은 축방향의 이동을 가능하게한 6단 압연기로서,
각 중간로울(3)에 최대 및 최소이동 자세에 있어서도 그 배럴끝이 백업로울의 배럴 끝보다도 바깥으로 돌출할 수 있고, 백업로울의 배럴길이 보다도 긴 배럴길이를 갖추어 특히 종강성이 높은 6단 압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6단 압연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압연기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중간로울의 로울크라운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중간로울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압연기의 제어계통도.
제5도는 각 로울간의 접촉선압 및 판크라운을 나타낸 그래프.
제6도는 중간로울 및 백업로울의 비와 로울간 최대 접촉선압을 나타낸 그래프.
제7도는 중간로울 및 백업로울의 비에 관한 로울간 접촉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제8도는 중간로울의 굽힘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제9도는 중간로울 및 백업로울의 비와 중간로울의 굽힘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10도는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의 분포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제11도는 윤활유를 공급하는 수법을 설명하는 모식도.
제12도는 윤활유를 공급하는 수법을 설명하는 모식도.
제13도는 워크로울 직경과 크라운제어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14도는 압연기를 나타낸 정면도.
제15도는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의 분포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제16도는 에지드롭의 발생량을 나타낸 그래프.
제17도는 압연기를 나타낸 정면도.
제18도는 로울의 원추부분의 윤곽형상을 나타낸 모식도.
제19도는 중간로울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20도는 로울간 접촉선압분포를 나타낸 그래프.
제 21도는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제22도는 압연기를 나타낸 정면도.
제23도는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제24도는 압연기를 나타낸 정면도.
제25도는 로울의 원추부분의 윤곽형상을 나타낸 모식도.
제26도는 중간로울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27도는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제28도는 압연기를 나타낸 정면도.
제29도는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제30도는 압연기를 나타낸 정면도.
제31도는 워크로울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32도는 에지드롭의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
제33도는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제34도는 에지드롭의 발생량을 나타낸 그래프.
제35도는 압연기를 나타낸 정면도.
제36도는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제37도는 압연기를 나타낸 정면도.
제38도는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제39도는 압연기를 나타낸 정면도.
제40도는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제41도는 압연기를 나타낸 정면도.
제42도는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제43도는 압연기를 나타낸 정면도.
제44도는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제45도는 압연기를 나타낸 정면도.
제46도는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제47도는 압연기를 나타낸 정면도.
제48도는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제49도는 압연기를 나타낸 정면도.
제50도는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제51도는 압연기를 나타낸 정면도.
제52도는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제53도는 압연기를 나타낸 정면도.
제54도는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제55도는 압연기를 나타낸 정면도.
제56도는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워크로울
3 : 중간로울 4 : 백업로울
5, 6 : 이동장치 7 : 스핀들
8 : 피니언스탠드 9 : 모터
10 : 감속기 11, 12 : 위치검출장치
13 : 압연판 14 : 워크로울벤더
15 : 중간로울벤더 16 : 부하전지
21 : 연산장치 22 : 이동제어장치
23 : 벤더제어장치 24 : 판형상검출기
26 : 윤활용노즐 27 : 윤활유탱크
28 : 펌프 29 : 공급관
30 : 냉각수펌프 31 : 공급관
본 발명은 열간압연기, 그 중에서도 조압연기로 압연된 시이트바를 제품두께로까지 압연하는 열간끝마무리 압연기, 또는 이 열간끝마무리 압연으로 언어진 코일을 압연하는 냉각압연기에 사용하는 6단압연기에 있어서, 특히 판의 판폭중앙부와 가장자리부분의 판두께차로 정의되는 판크라운(sheet crown)을 고정밀도로 제어하고, 또는 판가장자리에서의 두께가 극히 얇게되는 에지드롭(edge drops)도 줄일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간끝마무리 압연기로 열연강판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압연하중에 따라 로울이 구부러져 판폭중앙부보다도 가장자리부의 판두께가 얇게되어 그곳에 판크라운이 발생한다.
판크라운이 크게되면 후속공정의 냉간압연에서 적절한 형태를 유지하기 곤란하게 됨과 동시에, 형상불량이 발생하기 쉬어 능률저하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특히 열간끝마무리 압연기에서는 판크라운을 가능한한 줄일 필요가 있다.
한편 냉간압연은 상온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열간압연에 비해 판의 변형저항이 크고 압연하중도 커지기 때문에 특히 판의 가장자리부에서의 두께가 극단적으로 얇아지는 에지드롭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냉간압연에 사용하는 압연기에는 에지드롭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는 기능도 필요하게 된다.
판의 형상제어를 목표로하는 기술로서 예를들면 판크라운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한 일본국 특공소 62-10722호 공보에는, 백업로울과 워크로울 사이에서 로울 전체길이에 걸쳐 균일한 직경을 갖는 소위 평로울로된 중간로울을 설치하고 양쪽의 중간로울을 그들의 축과 평행한 방향(축방향이라함)으로 서로 상반되게 이동가능하게 한 6단압연기를 후단스탠드에 설치함으로서, 크라운제어기능을 높힌 압연기군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소 57-91807호 공보에는 워크로울, 중간로울 또는 백업로울에 S자형의 크라운을 부여하고, 그 S자형 크라운을 갖는 로울을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크라운 제어기능을 높힌 압연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국 특공소 62-10722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중간로울의 길이를 백업로울 및 워크로울의 각 길이와 같은 정도의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판크라운을 적게하기 위해 중간로울을 이동시킨 경우는, 그 중간로울과 백업로울 및 워크로울의 접촉길이가 짧게되어 압연기의 수직강도(vertical rigidity)가 저하하기 때문에 시이트바의 온도편차 등에 의해 압연하중이 변화하면, 워크로울의 로울간틈새가 크게 변하여 소정의 판두께정밀도를 가죠홀 수 없는 문제가 있고, 또한 시이트바 등의 편차로 인해 판폭중심이 압연기 중심으로부터 벗어날 때 압연기 좌우의 강도차에 기인하는 사행굴곡(meandering)이 발생하고, 리덕션 이어(reduction ear : 변형의 일종)가 생겨 압연불능에 빠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중간로울을 이동시킨 경우에, 다른 로울과의 접촉길이가 짧기 때문에 로울간 접촉선압의 증가에 기인하여 로울손상이 발생하고, 로울수명이 단축되는 또다른 문제도 대두되었다.
또한, 상기한 문제는 중간로울의 이동량을 적게하면 회피할 수 있으나 그럴 경우 당연히 압연기의 크라운제어기능의 범위가 좁아진다.
또한 일본국 특개소 57-91807호 공보에 개시된 후자의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S자형 크라운을 부여한 워크로울의 이동에 의해 프로파일 제어(profile control)를 하는 경우 워크로울의 마모가 원인되어 크라운제어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중간로울 또는 백업로울에 만곡형의 로울크라운을 부여하여 판프로파일을 제어함에 있어서, 큰 크라운제어량을 얻어려면 로울크라운을 크게할 필요가 있으나 이럴 경우 비교적 판폭이 좁고 압연하중이 적은 시이트바의 압연시 중간로울과 백업로울 사이 또는 워크로울과 백업로울 사이에 비접촉부가 생겨 압연기의 수직강도와 판두께정밀도가 저하한다. 또한 비접촉부가 생기면 로울축방향의 강도차이로 인해 판의 사행굴곡이나 리덕션 이어를 발생시켜 압연불능이 되는 경우도 있다.
한편 에지드롭 감소에 관하여, 일본국 특개소 55-77903호 공보에는 단부를 축소시켜 워크로울의 이동량을 제어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으나, 에지드롭 감소만 가능하고 판폭전체에 걸친 프로파일제어는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이러한 문제를 모두 해결하는 것으로, 판크라운 제어 및 에지드롭 감소가 가능하고 특히 중간로울의 이동량 확대에 기인한 압연기의 강도저하 및 압연재의 사행굴곡을 방지하고 로울수명도 연장할 수 있는 6단 압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하 각 1쌍의 워크로울, 중간로울 및 백업로울을 갖추고, 각각의 중간로울 및 워크로울 중 적어도 중간로울은 축방향이동이 가능한 6단 압연기로서, 각 중간로울은 최대 및 최소이동위치에 있을 때도 그 배럴끝이 백업로울의 배럴보다 바깥으로 돌출할 수 있고, 백업로울의 배럴길이보다 긴 배럴길이로 되며 또한 상하 중간로울쌍의 로울크라운이 점대칭관계에 있는 것으로된 6단 압연기이다.
여기서, 중간로울의 배럴길이가 백업로울의 배럴길이의 1.2-2.5배이고, 또한 워크로울의 배럴길이가 상기의 중간로울의 배럴길이보다 더 긴 것, 바람직하게는 백업로울의 배럴길이의 1.4-2.5배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중간로울의 로울크라운은 S자형, 배럴의 한쪽단부가 점차 작아지는 편방향원추형 또는 양단부가 작아지는 양방향첨두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이 적합하다.
여기서 S자형 로울크라운이란 3차 이상의 고차원 함수곡선, 사인함수 곡선의 1피치분이나 기타 유사한 곡선으로된 로울크라운을 지칭한다.
또한, 워크로울에는 배럴의 한쪽단부가 점차 작아지는 편방향원추형 또는 양단부가 작아지는 양방향원추형 로울크라운을 부여하고, 이 워크로울과 상기한 어느 로울크라운을 부여한 중간로울을 적절히 조합시켜 6단 압연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6단 압연기는 중간로울에 로울크라운을 부여함으로서 각 로울간 특히 중간로울단부와 워크로울단부 사이에 작용하는 하중이 저감되기 때문에 크라운제어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S자형 로울크라운의 경우, 판의 측단부에 작용하는 압연하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특히 각 중간로울을 서로 역방향으로 점대칭이동시킨 경우 하중감소가 더욱 커지며 따라서 크라운제어기능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본발명의 압연기에서는, 중간로울의 배럴길이가 백업로울의 배럴길이보다 더 길기 때문에, 중간로울의 이동량을 크게해도 백업로울의 전체길이에 걸쳐 항시 그리고 확실히 중간로울이 접촉하기 때문에 프로파일제어에 기인한 압연기의 수직강도 저하를 방지하는데 아주 효과적이며, 따라서 압연판폭의 변동에 영향받지 않고 판두께정밀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으며, 압연판에 굽힘변형이 존재해도 그것을 전체폭에 걸쳐 거의 균등하게 압하할 수 있어, 사행굴곡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중간로울의 배럴길이가 백업로울의 배럴길이와 거의 동등한 경우, 원하는 크라운제어량을 얻으려면 로울크라운을 부여한 중간로울의 최대 및 최소직경차를 크게해야하며 그결과, 로울간 접촉선압이 증대하기 때문에 로울손상 혹은 로울수명의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압연판의 폭이 비교적 좁아 압연하중이 작은 경우는, 중간로울과 백업로울 또는 중간로울과 워크로울의 배럴간에 비접촉부분이 발생하고, 따라서 수직강도가 저하하여 소정의 판두께정밀도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우려된다.
그래서 이들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중간로울의 배럴길이를 백업로울의 배럴길이의 1.2-2.5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워크로울의 배럴길이를 중간로울의 배럴길이보다도 길게, 바람직하게는 백업로울의 1.4-2.5배로하여, 중간로울의 이동량에 관계없이 워크로울은 그 전체길이에 걸쳐 항시 그리고 확실하게 중간로울과 접촉하기 때문에 압연기의 수직강도를 증대하고, 특히 사행굴곡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
더구나 각 로울간 접촉영역이 넓어 로울간 접촉선압의 상승을 억제할수 있기 때문에 로울의 수명연장에도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도에, 본 발명에 다른 6단 압연기에 대해 나타낸다.
여기서는 하우징(1)에 각각 상하로 쌍을 이루는 워크로울(2), 중간로울(3) 및 백업로울(4)를 각각 배치하고, 한쌍의 워크로울(2)은 각 로울의 이동장치(5)에 의해 축방향으로 서로 상반되게 이동함과 동시에 한쌍의 중간로울(3)은 이동장치(6)에 의해 역시 축방향으로 서로 상반 되게 이동한다.
백업로울(4)은 전체길이에 걸쳐 배럴지름이 균일한, 소위 평로울로 구성하는 한편, 중간로울(3)은 백업로울(4)의 배럴길이보다 긴 배럴길이로 되고 동시에, 제 2도에 나타낸 S자형 로울크라운을 가진다.
여기서, S자형 로울크라운의 형성곡선은 3차이상의 고차함수곡선 혹은 사인함수곡선의 1핏치분 또는 이와 유사한 곡선을 모두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중간로울에 부여된 S자형 로울크라운은 로울의 최대 및 최소직경차를 1㎜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로울크라운을 갖는 각각의 중간로울(3)은 제 1도와 같이, 서로 역방향으로 배치되고 이동장치(6)의 작용에 따라 제 3도(a) 및 (b)와 같이 최소 및 최대이동위치 사이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3도(a)에 나타낸 최소이동위치에 있어서는, 중간로울(3)의 한쪽 배럴단(3a)이 백업로울(4)의 한쪽 배럴단(4a)과 함께 정렬되며, 제 3도(b)에 나타낸 최대이동위치에서는, 중간로울(3)의 다른쪽 배럴단(3a)이 백업로울(4)의 다른쪽 배럴단(4b)과 함께 정렬한다.
또한 워크로울(2)은 제 1도 및 제 3도에서와 같이 백업로울(4)과 동등한 길이의 배럴길이를 갖는 균일한 지름의 평로울이다.
각각의 로울(2),(3) 및 (4)를 이상과 같이 구성함에 있어서, 제 1도에서는 각 워크로울(2), 스핀들(7) 및 피니언스탠드(8)을 순차적으로 끼우고, 모터(9)에 부착된 감속기(10)에 연결한다.
여기서, 피니언스탠드(8) 및 스핀들(7)을 통해 워크로울(2)에 연결한 이동장치(5)에 의한 워크로울(2)의 이동위치는 예를들면 자기저울을 사용한 위치검출장치(11)로 검출하고 또한 중간로울(3)에 연결한 이동장치(6)에 의한 중간로울(3)의 이동위치는 역시 자기저울을 사용한 다른 위치검출장치(12)로 각각 검출한다.
또한 도면에서 (13)은 제품이 될 압연판, (14)는 워크로울벤더, (15)는 중간로울벤더이고 (16)은 부하전지이다.
제 4도는, 이상과 같은 압연기의 제어계통도이다.
즉 도면에서 (21)은 연산장치를 나타내고, 이 연산장치(21)에는 1회압연의 조건, 예를들면 워크로울(2)의 원추형상 및 치수, 중간로울(3)의 크라운 형상 및 치수, 판폭, 각 스탠드의 압하율, 마무리판두께, 목표판크라운, 목표판형상 등이 미리 입력되어 있다. 연산장치(21)은 이들 정보와 또한 워크로울(2)의 1회이동량에 기초하여, 목표판크라운 및 판형상을 취하기 위해 중간로울(3)의 이동량 및 각 로울벤더(14),(15)의 굽힘력설정치를 계산한다.
그리고 이 계산결과에 기초하여, 이동제어장치(22) 및 벤더제어장치(23)가 각각 이동장치(6) 및 로울벤더(14),(15)의 작동을 제어하여 중간로울(3)의 이동량 및 로울굽힘력에 대한 설정치를 각각 준비하고 이 상태에서의 압연개시에 대기한다.
압연시, 판형상검출기(24) 및 판크라운검출기(25)에서 연산장치(21)로 가는 피이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장치(21)가 목표판형상 및 목표판크라운을 고정밀도로 유지하고, 중간로울(3)의 이동량 및 각 로울굽힘력의 수정치를 산출하고, 이동제어장치(22) 및 벤더제어장치(23)은 이 수정치에 기초하여 중간로울(3)의 이동량 및 로울벤더(14),(15)의 굽힘력을 조절한다.
이러한 압연기로 압연할 경우, 특히 중간로울(3)에 있는 로울크라운의 기능에 의해 시이트바의 측단부가 워크로울로부터 받는 압연하중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로울벤더(14),(15)의 작용도 병행하여, 판크라운을 고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중간로울(3)을 이동시키면 제어범위를 크게 확대할 수 있다.
중간로울(3)에 로울크라운을 부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앞서 제 2도와 같이 3차식에 따라 부여된 로울크라운을 예로 설명한다.
즉 제 2도(a)에서, 중간로울(3)의 아래쪽 로울프로파일은 제 2도(b)의 곡선에 따르며 이 곡선은 하기의 식(1)로 표시할 수 이다.
y1(x) = - a [{x - (δ + OF)} / L]3+B (x / L)····(1)
여기서 y1: 로울크라운의 형성곡선
a : 3차계수
b : 1차계수
x : 재럴중심의 좌표
L : 중간로울 배럴길이의 1/2
δ : 중간로울 이동량 (단 x = LB를 기점으로 함)
OF : 축방향 옵셋량
한편, 중간로울(3)의 위쪽 로울프로파일은 아래쪽과 점대칭이므로 다음식(2)에 따른다.
y2(x) = -a [{x + (δ + OF)} / L]3+ b (x / L)····(2)
상기식(1) 및 (2)로부터, 상하 중간로울간의 차이 △y는,
△y(x) = y1- y2
그리고, 상하중간로울에 의해 형성되는 합성로울크라운 CR은, 압연기 중심을 영(O)으로 하여 다음식(4)로 표시할 수 있다.
CR = △y (O) - △y (x)
= -6a {(δ + OF / L} ( x/L )2····(4)
또한, 최대의 합성로울 크라운을 부여한 이동량 δmax는,
δmax= L - LB····(5)
여기서, LB: 백업로울 배럴길이의 1/2이며, 최소 이동량 δmin{= -(L - LB)}에서 상하 중간로울의 합성로울크라운을 영(=0)으로 하기 위해서는, 옵셋량 OF를
OF = L - LB····(6)
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통상의 열간압연에서 상하중간로울의 합성크라운이 0일때를 최소의 크라운량으로 하면 좋으나, 최소합성크라운을 0보다 크게 또는 작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중간로울의 이동량이 0의 위치(X = L)을 기점으로 할 때의 옵셋량 OF를
OF = C (L - LB) (여기서 C는 정수) ····(7)
로 하면 좋다.
또한, 합성로울크라운을 변화시키지 않고 중간로울의 최대 및 최소직경차이를 감소시키려면, 상기식(4)에 식(5) 및 (6)을 대입한 다음식
CR = -6a {(1 + C) (L - LB) / L3}·X3····(8)
로부터, 3차계수 a를 최소로, 따라서(L - LB) / L3를 최대로 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리고 (L - LB) / L3를 최대화 하려면
L = 1.5 LB····(9)
로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중간로울의 배럴길이를 백업로울의 배럴길의의 1.5배로 하면, 중간로울의 최대 및 최소직경차이가 작아진다. 즉, 중간로울에 S자형 로울크라운을 형성하면 연삭량이 감소하고 중간로울의 수명연장에 기여할 수 있다.
여기서, L = 1.5 LB의 배럴길이를 갖는 중간로울을 사용할 때의 로울간 접촉선압 분포 및 판크라운을 L = 1.1 LB이 경우와 비교하여 제5도에 나타낸다.
제5도와 같이, 배럴길이가 1.5 LB (실선)이면 워크로울이 중간로울을 따라 굽어지고 1.1 LB(점선)일 때보다 판크라운이 감소한다. 또한 최대 접촉선압을 제1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대선압은 배럴길이가 1.5 LB일 때 더 작은 것이 명백하며 따라서 로울수명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제 1 표]
[실험예]
중간로울의 특히 배럴길이에 관한 실험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즉, 워크로울의 배럴길이 2300㎜ 및 직경 680㎜, 백업로울의 배럴길이 2300㎜ 및 직경 1330㎜로 하고, 상기한 식(8)의 3차계수 a가 0.833인 중간로울의 배럴길이를 여러 가지로 변화시켜 각각 판폭 1500㎜, 스탠드입구측의 판두께 5.2㎜로된 시이트바를 4.16의 판두께로 압연하여 다음같이 조사했다.
우선 제6도에, 중간로울 및 백업로울의 배럴길이비(L/LB)와 중간로울 및 백업로울간 최대 접촉선압의 관계를 나타낸 바와 같이, 지(L/LB)가 최소한 1.2배 이상일 때 접촉선압이 약간 떨어지기 때문에 중간로울의 배럴길이를 백업로울의 배럴길이보다도길게, 바람직하게는 1.2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유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7도는 동일한 판크라운을 얻는 조건에서, 배럴길이의 비에 대하여 중간로울 및 백업로울의 접촉상태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배럴길이의 비를 1.2배 이상으로하면 비접촉부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판두께정밀도가 향상되고 또한 사행굴곡이나 리덕션 이어현상을 억제하는데 유효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그런데, 압연기의 하우징에 부착된 중간로울의 이동블록과 중간로울의 초크 사이에 틈새(중간로울의 미끄러짐에 의한 마모나 기계정밀도 불량 때문에 발생하는)가 있으며, 제8도(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간로울(2)에 굽힘 현상이 발생한다.
제8도(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초크사이에서의 최대변위량 t를 수평굽힘량으로 하고, 상기 틈새가 3㎜ 일 때 수평굽힘량 t와 배럴길이의 비(L/LB)의 관계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제9도에 나타낸다.
제9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평굽힘량 t는 배럴길이 비가 커지면 이것도 따라서 커진다.
이 수평굽힘량이 변화하면 상하워크로울의 틈새가 변화하고, 또한 상하의 중간로울에서 수평굽힘량이 달라지면 상하워크로울의 축방향의 로울간격이 변화하기 때문에 판크라운이나 판형상이 압연중에 변화하는 등 불리함을 초래한다. 따라서, 배럴길이의 비를 축소하기 위해 중간로울의 배럴길이는 짧은 것이 바람직하나, 수평굽힘량이 0.45㎜ 정도까지는 판크라운이나 판형상에 대한 영향이 적기 때문에 통상의 압연에서는 문제되지 않는다.
그외에, 상기의 틈새를 3㎜ 이하로 관리하는 것이 통례이기 때문에 중간로울의 럴길이가 백업로울의 배럴길이의 2.5배 이하이면 압연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구체예]
그다음, 본 발명에 관계된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와, 종래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를 압연된 사이트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의 비교시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압연기
제1도와 같은 구성의 6단 압연기를 후단 3스탠드에 배치한 열간끝마무리 압연기군에 있어서, 폭이 900-1600㎜ 및 두께가 40㎜인 시이트바를 끝마무리두께가 1.6-3.2㎜인 저탄소강박판으로 압연처리했다. 처리된 5개 코일마다 가장자리로부터 25㎜위치의 판크라운을 측정했다.
여기서는, 워크로울의 배럴길이를 2300㎜, 중간로울의 배럴길이를 3000㎜, 백업로울의 배럴길이를 2300㎜로하여, 중간로울 최대지름과 최소지름의 차이를 0.8㎜로 하고 또한 이 중간로울을 0㎜ 내지 700㎜ 범위에서 이동시켰다.
종래 압연기
최종 스탠드를 포함한 후단 3스탠드에 배럴길이가 모두 2300㎜인 워크로울, 중간로울 및 백업로울로 된 평로울형 6단 압연기를 배치함에 있어서, 중간로울을 이동시키면서, 본 발명 압연기에 의한 경우와 같은 열간압연을 함과 동시에 그 경우와 같이 판크라운의 측정을 했다.
시험결과
이들 측정결과를 제10도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목표크라운을 변경해도 이에 그기 가까운 고정밀도의 판으로 압연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판폭에 관한 압연스케줄은 본 발명의 압연기 및 종래압연기 모두 같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압연기 및 종래 압연기를 사용하여 씬 사이클(thin cycle)압연스케줄에 따라 10만톤의 시이트를 압연했을 때, 리덕션이어 발생횟수, 판두께정밀도 및 판크라운 평균치는 제 2표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이 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압연기에서는 판두께정밀도와 통판성(리덕션이어 발생감소)이 모두 종래의 압연기 보다도 훨씬 우수한 것으로 되었다.
[제 2표]
압연시에는 백업로울과 중간로울 또는 중간로울과 워크로울 사이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백업로울(4)과 중간로울(3) 사이 및 중간로울(3)과 워크로울(2)의 사이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용노들(26)을 설치하고, 윤활유탱크(27)로부터 펌프(28)에 의해 윤활유를 급유하며, 이 윤활유를 공급관(29)를 통하여 윤활용 노즐(26)에 공급한다. 또한, 중간로울(3) 및 워크로울(2)에 있어서, 냉각수펌프(30)에서 공급관(31)을 통한 냉각수를, 냉각용노즐(32)에서 공급한다. 또한, 여기서 사용하는 윤활유는 기유에 극압제를 함유한 고농도의 에멀션이 바람직하고 특히 윤활유로 로울냉각을 겸하는 경우는, 자농도의 에멀션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제12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중간로울(3)에서의 직경이 큰 부분의 근방에서는, 직경이 작은 부분의 근방보다도 윤활유 공급량을 증가하기위해 윤활용 노즐(26)의 설치간격을 좁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윤활유의 공급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로울축방향에서 윤활유의 농도를 변화시켜도 마찬가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도에 나타난 압연기에 의한 압연에 있어서, 윤활유로 1%의 에멀션을 사용함과 동시에, 냉각수로서 공업용수를 사용하여 제11도에 따라 압연을 한 바, 로울에 시저(seizure)발생없이 120개이상 압연할 수 있었다.
비교로서, 공업용수로만 냉각하고 마찬가지의 압연을 실시한 바, 100개를 넘는 시점에서 워크로울과 중간로울에 시저가 발생하여 판의 표면성상이 열화하고 또한 120개를 넘자 큰 시저가 발생하여 더 이상 압연하기 곤란하게 되었다.
중간로울에 로울크라운을 부여한 압연기는, 로울크라운의 크기에 따라 로울간의 접촉선압분포가 변화하고 그 결과 워크로울 축심의 굽힘력이 변화하여 판크라운, 계속해서 형상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압연하중의 크기에 따라 크라운제어량이 변화하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워크로울의 직경이 작은 경우는 축심의 굽힘량 변화가 크게되어 중간로울의 이동에 의한 크라운제어량도 커진다. 한편 워크로울의 직경이 큰 경우는,축심의 굽힘량 변화가 작아져 중간로울의 이동에 의한 크라운제어량도 작다.
이 워크로울의 직경과 크라운제어량을 폭 1500㎜ 의 압연기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가 제13도에 나타난다. 이 도면에서 워크로울의 직경을 바람직하게는 700㎜ 이하로 하면 크라운제어량이 크게 나타난다.
한편, 워크로울의 직경이 400㎜미만이면 워크로울의 수평굽힘이 크고 판형상이 악화하며, 또한 워크로울의 구동이 어렵게된다. 그밖에, 워크로울에 의한 굽힘효과가 작아져 400㎜ 이상의 직경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2]
제14도는 제1도에 나타낸 6단압연기에서, 워크로울(2)의 배럴길이를 중간로울(3)의 배럴길이보다 길게하여, 압연기의 수직강도를 향상하는 압연기를 나타낸다. 즉, 압연기의 수지강도는 압연하중이 변화할 때의 워크로울간의 틈새량에 따라 결정된다. 이 틈새량에 영향을 주는 것은 백업로울의 휨, 하우징 등의 타성변형 및 로울간의 편평변형이다. 그리고, 워크로울의 배럴길이가 긴 경우는 워크로울과 중간로울의 접촉부분보다 길어 압연하중이 변화하여도 로울간 접촉선압은 접촉부분이 짧은 경우에 비해 작기 때문에 당연히 압연기의 수직강도가 커진다. 그 때문에 압연판이 압연기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워크로울의 배럴길이가 길면 로울간의 접촉선압변화가 적고 압연기 중심의 조우측 변형량차도 작으며 판의 사행굴곡이나 리덕션 이어현상의 억제에 유효하다.
또한, 워크로울의 배럴길이는 백업로울의 1.4-2.5배이며 그 한정범위를 정하는 이유는 상기한 중간로울의 경우와 거의 같다.
이 압연기에 역시 이것과 종래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를 비교했다.
본 발명의 압연기
제14도 나타낸 구성의 6단 압연기를 열간끝마무리 압연기군의 후단 3스탠드에 배치하고, 상기 실시예1에서의 처리와 같은 조건하에서 압연했다.
처리된 5개코일마다 가장자리로부터 25㎜위치에서의 판크라운을 측정했다.
여기서는, 워크로울의 배럴길이를 3400㎜, 중간로울의 배럴길이를 3000㎜, 백업로울의 배럴길이를 2300㎜로 함에 있어서, 중간로울 최대지름과 최소지름의 차이를 0.8㎜로 함과 동시에, 그 중간로울을 0㎜부터 700㎜의 범위로 이동시켰다. 또한, 비교를 위한 종래 압연기의 사양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의 경우와 같다.
시험결과
판크라운의 측정결과를 제15도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목표크라운을 변경하여도 이에 아주 가까운 고정밀도의 핀압연을 할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압연기 및 종래 압연기를 사용하고 씬 사이클 압연스케줄에서 10만톤을 압연한 경우, 리덕션 이어의 발생횟수, 판두께 정밀도 및 판크라운 평균치는 제3표에 나타낸 바와 같고, 이 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압연기에서는 판두께정밀도, 통판성(리덕션 이어의 감소)등이 종래 압연기보다 매우 우수한 것임을 알수 있다.
[제 3표 ]
[실시예 3]
제 1도에 나타낸 6단 압연기를, 4스탠드로된 냉각압연기열의 제 1단스탠드에 배치하고 폭이 900-110㎜ 및 두께가 2-3㎜인 코일을, 끝마무리 두께가 0.5㎜인 박물저탄소강판으로 압연처리했다. 이 처리를 거친판에서의 가장자리로부터 100㎜ 위치에서 판두께 편차를 조사했다.
또한 여기서는, 워크로울의 배럴길이를 2000㎜, 중간로울의 배럴길이를 2700㎜, 백업로울의 배럴길이를 2000㎜로 함에 있어서, 중간로울 최대 및 최소직경의 차이를 0.8㎜로 하고 그 중간로울을 0㎜ 내지 700㎜의 범위에서 이동시켰다.
종래압연기
제1스탠드에 배럴길이가 모두 2000㎜인 워크로울, 중간로울 및 백업로울로된 평로울형 6단압연기를 배치함에 있어서, 중간로울을 이동시키면서 본 발명의 압연기와 마찬가지로 냉간압연함과 동시에, 판두께 편차를 측정했다.
시험결과
판두께 편차의 측정결과를 제16도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 에지드롭의 발생이 저감되고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압연기 및 종래압연기를 사용하여 다시 10만톤을 압연실시한 경우의 리덕션 이어의 발생횟수 및 에지드롭량은 제 4표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이 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압연기에서는 판두께정밀도, 통판성(리덕션 이어의 감소)가 종래 압연기보다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에지드롭량은 가장자리로부터 100㎜와 7.5㎜위치의 판두께 편차로 정의했다.
[제 4표]
본 발명의 압연기를 뱅간압연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특히 에지드롭제어의 경우, 압연판이 냉간압연의 후단스탠드에 이동함에 따라 판폭방향의 변형이 적어지기 때문에 제1스탠드에 배치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순차적으로 후단으로 적용범위를 넓혀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간압연기의 스탠드사이에는 장력이 작용하여 판의 사행굴곡은 제한돼나, 열연판의 캠버나 쐐기가 크면 이에 기인한 리덕션 이어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압연기에서는, 중간로울의 배럴길이를 길게 하여 수직강도를 확보하기 때문에 리덕션 이어의 발생을 회피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중간로울에 부여하는 로울크라운을 한쪽이 원추형 또는 양쪽이 원추형인 6단 압연기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4]
제17도에 나타난 압연기는 중간로울(3)에 편방향원추형 로울크라운을 부여한 예로 그외의 구성은 앞의 제1도에 나타난 압연기와 같다.
즉, 각 중간로울(3)은 서로 반대쪽의 배럴끝부분에 원추부분(3a)을 갖음과 동시에, 그 원추부분(3a)에 인접하여 연속하고, 로울길이의 대부분을 점유하는 균일한 지름부분(3b)를 갖는 로울로 구성한다.
이와같은 중간로울(3)은 최대이동위치에서, 전체길이에 걸쳐 백업로울(4)에 접촉살 수 있는 길이로되고 또한 중간로울(3)의 원추부분(3a)은 그 이동량이 0일 때 백업로울(4)의 배럴끝을 초과하여 로울끝쪽으로 연장된 부분을 갖는다.
여기서, 원추부분(3a)는 압연하중시에 적어도 백업로울(4), 보통은 워크로울(2)이 이동해도 그 워크로울(2) 및 백업로울(4)의 양측에 모두 접촉하여 이들간의 접촉선압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기능이 있다.
따라서, 원추부분(3a)에서 워크로울(2) 및 백업로울(4)에 대한 접촉위치를 중간로울(3)의 이동에 따라 적절히 선택함으로서 판크라운을 원하는대로 제어할 수 있다.
그런데 원추부분(3a)의 축선을 포함한 단면 내의 윤곽형상은 판크라운, 중간로울의 최대이동량 등에 따라 제17도에 나타난 바와같은 테이퍼 형상외에 제18도(a)에 나타내는 사인 또는 코사인곡선 형상 또는, 제18도(b)에 나타내는 2차, 4차 또는 6차 이상의 고차함수곡선 형상으로 할수도 있다.
이러한 압연기에 있어서, 중간로울(3)을 예를 들면 제19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점대칭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그 중간로울(3)의 원추부분(3a)에 접촉하는, 각각의 로울(2),(4)의 배럴부분의 접촉선압을 크게 줄일수 있고, 이 때문에 로울벤더(14),(15)의 작용도 병행하여 판크라운을 광범위에 걸쳐 제어할 수 있다.
제20도는, 상부워크로울(2)와 중간로울(3)사이의 접촉선압분포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로 이들 양측로울(2),(3)의 접촉상태에서 중간로울(3)으로부터 워크로울(2)에 작용하는 압력은, 워크로울(2)의 원추부분(3a)와의 접촉부분에서 그 원추부분(3a)의 원추형상과의 대칭하에, 그것의 지름이 작게됨에 따라 감소하고, 워크로울(2)의 배럴끝에서 가장 작은 값이 된다. 따라서, 워크로울(2)는 전체로서 아래쪽으로모양을 한 형상으로 만곡하게 되며, 판(13)의 판크라운은 중간로울(3)을 이동시키지 않는 경우에 비해 유효하게 저감된다. 이렇게 하여 이 압연기에 따르면, 특히 중간로울(3)이 백업로울(4)보다 긴길이를 갖고 있고, 그 중간로울(3)이 이동하여도 중간로울(3)과 백압로울(4) 및 워크로울(2)의 접촉길이가 변화하지 않고, 압연기의 종강성이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열간끝마무리 압연의 판뚜께 정밀도가 크게 개선되고 더구나 시이트바가 압연기중심에 대하여 벗어난 경우에도, 압연기의 좌우측부의 선압변화가 종래 기술보다 적게되어 로울간의 편평량의 변화 : 나아가서는 판의 쐐기가 작게 되기 때문에 판의 휘는 것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구체예]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와, 종래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와의 압연개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 등에 관한 비교시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 압연기
제17도에 나타난 구성의 6단 압연기를, 후단 3스탠드에 배치한 열간 압연기열에 있어서, 폭이 900-1600㎜, 두께가 40㎜인 사이트바를, 끝마무리 두께가 1.6-3.2㎜인 박물저탄소강판으로 압연처리했다. 이 처리의 5코일마다 가장자리로부터 25㎜위치에서의 판크라운을 측정했다.
또한 여기서는, 워크로울 및 백업로울의 각각의 배럴길이를 2300㎜로 하고, 중간로울의 배럴길이를 3000㎜로 함에 있어서, 중간로울의 원추부분을, 1.6 × 10-3(0.32㎜/200㎜직경)의 테이퍼모양으로 함과 동시에, 그 중 간로울을 0㎜에서 700㎜의 범위로 이동시켰다.
종래 압연기
최종 스탠드를 포함한 후단 3스탠드에 배럴길이가 모두 2300㎜이고 평로울형인 워크로울, 중간로울 및 백업로울 각각을 갖춘 6단압연기를 배치함에 있어서, 중간로울을 이동시키면서 본 발명 압연기와 마찬가지로 압연하고 동시에 판크라운 측정을 했다.
시험결과
이들 측정결과를 제21도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목표크라운을 변경하여도 이에 극히 가까운 고정밀도의 판압연을 할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판폭에 관한 압연스케줄은 본 발명 압연기 및 종래 압연기가 모두 같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 압연기 및 종래 압연기로 다시 10만톤을 압연 실시한 경우의 리덕션이어 발생횟수, 판두께정밀도 및 압연기에서는 판두께 정밀도, 통판성(리덕션이어의 감소)모두 종래 압연기보다 매우 우수한 것으로 되었다.
[제 5표]
[실시예 5]
제22도는 제17도에 나타낸 6단 압연기에 있어서, 워크로울(2)의 배럴길이를 중간로울(3)의 배럴길이보다 길게한 압연기를 나타낸다.
이 압연기와 종래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서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분포 등을 비교했다.
본 발명 압연기
제22도에 따른 구성의 6단 압연기를 열간끝마무리 압연기열의 후단 3스탠드에 배치하고, 상기 실시예 4와 같은 조건하에 압연을 했다. 처리된 5개 코일마다 가장자리로부터 25㎜위치에서의 판크라운을 측정했다.
여기서는, 워크로울의 배럴길이를 3400㎜, 중간로울의 배럴길이를 3000㎜, 백업로울의 배럴길이를 2300㎜로 하고 중간로울에 실시예 4와 같은 한쪽방향으로 로울테이퍼를 부여하였고 이 중간로울을 0㎜ 내지 700㎜범위에서 이동시켰다.
또한, 비교된 종래 압연기의 사양은 실시예 4의 경우와 같다.
시험결과
판크라운의 측정결과를 제23도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목표크라운을 변경하여도 거기에 극히 가까운 높은 정밀도의 판압연을 할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 압연기 및 종래 압연기로 다시 10만톤을 압연 실시한 경우의 리덕션이어 발생회수, 판두께정밀도 및 판크라운 평균치는 제 6표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이 표에 따르면 본발명의 압연기에서는 판두께 정밀도, 통판성(리덕션이어의 감소)이 모두 종래 압연기보다 매우 우수한 것으로 되었다.
[제 6표]
[실시예 6]
제24도에 나타낸 압연기는, 중간로울(3)에 배럴중앙으로부터 각각 양배럴끝을 향하여 지름이 점차 작아지는 양방향원추형 로울크라운을 부여한 예이며 그외의 구성은 앞의 제1도에 나타난 압연기와 같다.
즉, 각 중간로울(3)은 서로 반대쪽의 배럴끝부분에 원추부분(3a)이 있고 동시에 그 원추부분(3a)에 인접하고 로울길이의 대부분을 점유하는 균일한 지름부분(3b)으로된, 즉 중간이 높은 비대칭이 로울크라운을 갖는 로울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중간로울(3) 각각은 그것의 최대이동위치에 있어서, 백업로울(4)에 대해 그 전체길이에 걸쳐 접촉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여기서, 원추부분(3a)은 압연하중 적용시에 적어도 백업로울(4), 통상은 예컨대 워크로울(2)이 이동하더라도 그 워크로울(2) 및 백업로울(4) 양쪽에 접촉하여 로울간의 접촉선압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원추부분(3a) 및 (3b)의 경계부의 위치를 중간로울(3)의 이동에 따라 적절히 선택함으로서 판크라운을 원하는대로 제어할 수 있다.
그런데 중간로울의 축선을 포함한 단면내 윤곽형상은 판크라운, 중간로울 의 최대이동량 등에 따라 제24도와 같은 양쪽의 원추형상 외에도 제25도(a)에 나타내는 사인 또는 코사인곡선 형상 또는, 제25도(b)에 나타내는 2차, 4차 또는 6차 이상의 고차함수곡선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양쪽의 원추부분의 윤곽형상은 동일하거나 달라도 좋다.
이러한 압연기에 있어서, 중간로운(3)을 예컨대 제26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점대칭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그 중간로울(3)의 원추부분(3a)(3b)에 접촉하는 각각의 로울(2), (4)의 배럴부분의 접촉선압을 극히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이 때문에 로울벤더(14), (15)의 작용도 병행하여 판크라운을 원하는대로 광범위하게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중간로울(3)에 양방향원추형 로울크라운을 부여한 경우는 제26도에 나타낸 백업로울(4)의 배럴끝(4a)와 중간로울(3)의 배럴끝(3c)이 일치하는 최대이동위치에 있어서, 원추부분(3a) 및 (3b)의 경계부의 위치를 백업로울(4)의 축방향 배럴중심과 일치시킬 수 있고 압연기에서의 로올축방향의 강성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 압연기에서의 상부워크로울(2)과 중간로울(3) 사이의 선압분포는 상술한 제20도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즉 중간로울(3)으로부터 워크로울(2)에 작용하는 압력은, 워크로울(2)의 원추부분과의 접촉부분에서 그 원추부분의 원추형상과 대응하여 지름이 작게될 때 감속하고 워크로울(2)의 배럴 끝에서 최소값이 된다. 따라서, 워크로울(2)은 전체가 아래쪽으로형상으로 만곡하며, 핀(13)의 판크라운은 중간로울(3)을 이동시키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더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구체예]
분발명에 관한 압연기와 종래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를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분포 등의 비교시험으로 설명한다.
본발명 압연기
제24도에 나타난 구성의 6단압연기를 후단 3스탠드에 배치한 열간압연기열에 있어서, 폭이 900-1600㎜, 두께가 40㎜인 사이트바를 끝마무리두께가 1.6-3.2㎜인 저탄소강박판으로 압연처리했다. 5개의 코일마다 가장자리로부터 25㎜위치에서 판크라운을 측정했다.
또한 여기서는 워크루울 및 백업로울 각각의 배럴길이를 2300㎜로 하고, 중간로울의 배럴길이를 3000㎜로 함에 있어서, 중간로울의 원추부분(3a)을 1.6×10-3(0.32㎜/200㎜직경당)의 테이퍼모양으로 또한 원추부분(3)를 0.1×10-3(0.02/200 직경당의 테이퍼모양으로 함과 동시에, 그 중간로울을 0㎜ 내지 700㎜ 범위에서 이동시켰다.
종래 압연기
최종스탠드를 포함한 후단 3스탠드에 배럴길이가 모두 2300㎜이고 편평로울인 원크로울, 중간로울 및 백업로울 각각을 갖춘 6단압연기를 배치함에 있어서, 중간로울을 이동시키면서 본발명 압연기와 동일한 압연작업을 하고 판크라운 측정을 했다.
시험결과
이들 측정결과를 제27도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목표크라운을 변경하여도 거기에 극히 가까운 높은 정밀도의 판압연을 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 압연기 및 종래 압연기로 다시 10만톤을 압연 실시한 경우의 리덕션이어 발생횟수, 판두께정밀도 및 판크라운 평균치는 제 7 표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이 표에 따르면 본발명의 압연기에서는 판두께 정밀도, 통판성(리덕션이어의 감소)이 모두 종래 압연기보다 매우 우수한 것으로 되었다.
[제 7표]
[실시예 7]
제28도는 제24도에 나타낸 6단 압연기에 있어서, 워크로울(2)의 배럴길이를 중간로울(3)의 배럴길이보다 길게한 압연기를 나타낸다.
이 압연기에 있어서도,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 등에 관하여 종래 압연기와 비교했다.
본발명 압연기
제28도에 따른 구성의 6단압연기를 열간끝마무리 압연기열의 후단 3스탠드에 배치하고,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은 조건하에 압연했다. 5개의 코일마다 가장자리로부터 25㎜위치에서의 판크라운을 측정했다.
여기서는 워크로울의 배럴길이를 3400㎜, 중간로울의 배럴길이를 3000㎜, 백업로울의 배럴길이를 2300㎜로 하였다. 중간로울에 실시예 6과 같은 양쪽원추형 로울테이퍼를 부여하고 그 중간로울을 0㎜ 내지 700㎜ 범위에서 이동시켰다.
또한, 비교를 위한 종래 압연기의 사양에 대해서는 실시예 6의 경우와 같다.
시험결과
판크라운의 측정결과를 제29도에 나타내다.
이 도면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목표크라운을 변경하여도 거기에 극히 가까운 높은 정밀도의 판압연을 할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 압연기 및 종래 압연기로 다시 10만톤을 압연 실시한 경우의 리덕션이어 발생횟수, 판두께정밀도 및 판크라운 평균치는 제 8표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이 표에 따르면 본발명의 압연기에서는 판두께정밀도, 통판성(리덕션이어의 감소)이 모두 종래 압연기보다 매우 우수한 것으로 되었다.
[제 8표]
중간로을에 S자형, 편방향원추형 또는 양방향원추형 로울크라운을 부여한 여러 가지의 압연기에 대해 설명했으나 다양한 로울크라운의 조합도 가능하며, 아래에서 그 조합을 예시한다.
[실시예 8]
제30도에 나타낸 6단압연기는 중간로울(3)에 S자형의 로울크라운을 부여하는 한편 워크로울(2)에 편방향원추형 로울크라운을 부여한 예이다.
이 압연기에 있어서는, 워크로울(2)를 제31도(a)에 나타낸 배열로부터 제 31도(b)와 같이 이동시켜 워크로울(2)의 원추부분(2a)가 압연재(13)의 측단부로 상하워크로울(2) 사이의 로울틈새를 직접 넓히기 때뭉에 에지드롭을 한층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2도와 같이 워크로울(2)를 이동시켜 원추부분(2a)의 기점에서 판가장자리까지의 거리(EL)(제31도 참조)를 조정하여 에지드롭을 변화시킬 수 있고, 목표 에지드롭량을 부여한 경우는 우크로울 이동에 의한 에지드롭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 압연기에와 종래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서,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 등을 비교시험한다.
본발명 압연기
제30도에 나타난 구성의 6단 압연기를 후단 3스탠드에 배치한 열간압연기열에 있어서, 폭이 900-1600㎜ 두께가 40㎜인 시이트바를 끝마무리 두께가 1.6-3.2㎜인 저탄소강박판으로 압연처리했다. 처리된 5개코일마다 가장자리로부터 25㎜위치에서의 판크라운을 측정했다.
또한 여기서는, 워크로울 및 백업로울 각각의 배럴길이를 2300㎜로하고 중간로울의 배럴길이를 3000㎜로 함에 있어서, 중간로울에 최대 및 최소직경차가 0.8㎜인 S자형의 로우크라운을 부여함과 동시에 워크로울의 원추부분(2a)를 0.8×10-3(0.16㎜/200㎜직경당)의 테이퍼형으로하여, 그 중간로울을 0㎜ 내지 700㎜ 범위에서 이동켰다.
종래 압연기
최종 스탠드를 포함한 후단 3스탠드에 모두 평로울형이고 배럴길이가 2300㎜인 워크로울, 중간로울 및 백업로울 각각을 갖춘 6단 압연기를 배치함에 있어서, 중간로울을 이동시키면서 본발명의 압연기와 같이 압연하고 판크라운 측정을 했다.
시험결과
이들 측정결과를 제33도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목표크라운을 변경하여도 거기에 극히 가까운 높은 정밀도의 판압연을 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 압연기 및 종래 압연기로 다시 10만톤을 압연 실시한 경우의 리덕션이어 발생회수, 판두께정밀도 및 판크라운 평균치는 제 6 표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이 표에 따르면 본발명의 압연기에서는 판두께정밀도, 토판성(리덕션이어의 감소)이 모두 종래 압연기보다 매우 우수한 것으로 되었다. 에지드롭량은 가장자리 100㎜와 25㎜의 판두께차로 했다.
[제 9 표]
[실시예 9]
제30도에 나타낸 6단 압연기를 4스탠드로된 냉간압연기열의 제 1단 스탠드에 배치하고, 폭이 900-1100㎜ 및 두께가 2-3㎜인 코일을 끝마무리 두께가 0.5㎜인 저탄소강박판으로 압연처리했다. 처리된 판의 가장자리로부터 100㎜위치에서 판두께편차를 조사했다.
또한, 워크로울의 매럴길이를 200㎜, 중간로울의 배럴길이를 2700㎜, 백업로울의 배럴길이를 2000㎜로하고, 중간로울 최대 및 최소직경의 차이를 0.8㎜로 하며, 그 중간로울을 0㎜ 내지 700㎜ 범위에서 이동시켰다.
종래 압연기
제1스탠드에, 평로울형이고 배럴길이가 모두 2000㎜인 워크로울, 중간포울 및 백업로울 각각을 갖춘 6단압연기를 배치함에 있어서, 중간로울을 이동시키면서 본발명 압연기와 마찬가지로 압연하고 판두께 편차를 측정했다.
시험결과
판두께 편차의 측정결과를 제34도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목표크라운을 변경하여도 거기에 극히 가까운 높은 정밀도의 판압연을 할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 압연기 및 종래 압연기로 다시 10만톤을 압연 실시한 경우의 리덕션이어 발생횟수, 판두께정밀도 및 판크라운 평균치는 제 10표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이 표에 따르면 본발명의 압연기에서는 판두께정밀도, 통판성(리덕션이어의 감소)이 모두 종래 압연기보다 매우 우수한 것으로 되었다.
[제 10 표]
제35도는 제30도의 6단압연기에 있어서, 워크로울(2)에 양방향원추형로울크라운을 부여한 압연기를 나타낸다.
이 압연기와 종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 등을 비교했다.
본발명 압연기
제35도에 나타난 구성의 6단압연기를, 열간끝마무리 압연기열의 후단 3스탠드에 배치하고, 상기 실시예 8와 같은 조건하에서 압연했다. 처리된 5개코일마다 가장자리로부터 25㎜위치에서의 판크라운을 측정했다.
여기서, 워크로울의 양방향원추부분(2a) 및 (2b)를 0.4×10-3(0.08/200㎜직경당)의 테이퍼형상으로하고 중간로울을 0㎜ 내지 700㎜범위에서 이동시켰다.
또한, 비교를 위한 종래 압연기의 사양에 대해서는 실시예 8의 경우와 같다.
시험결과
판크라운의 측정결과를 제36도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목표크라운을 변경하여도 거기에 극히 가까운 높은 정밀도의 판압연을 할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 압연기 및 종래 압연기로 다시 10만톤을 압연 실시한 경우의 리덕션이어 발생횟수, 판두께정밀도 및 판크라운 평균치는 제 11표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이 표에 따르면 본발명의 압연기에서는 판두께정밀도, 통판성(리덕션이어의 감소)이 모두 종래 압연기보다 매우 우수한 것으로 되었다.
[제 11 표]
[실시예 11]
제37도는 제35도에 나타낸 6단압연기에 있어서, 워크로울(2)의 배럴길이를 중간로울(3)의 배럴길이보다 길게하여된 압연기를 나타낸다.
이 압연기와 종래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서,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 등을 비교했다.
본발명 압연기
제37도에 나타난 구성의 6단압연기를 열간끝마무리 압연기열의 후단 3스탠드에 비치하고, 상기 실시예 10와 조건하에 압연했다. 처리된 5개코일마다 가장자리로부터 25㎜위치에서의 판크라운을 측정했다.
워크로울의 배럴길이를 3400㎜, 중간로울의 치수 및 형상은 실시예 10과 같이하며, 그 중간로울을 0㎜ 내지 700㎜ 범위에서 이동시켰다.
또한, 비교로서 종래압연기의 사양에 대해서는 실시예 10의 경우와 같다.
시험결과
판크라운의 측정결과를 제28도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목표크라운을 변경하여도 거기에 극히 가까운 높은 정밀도의 판압연을 할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 압연기 및 종래 압연기로 다시 10만톤을 압연 실시한 경우의 리덕션이어 발생횟수, 판두께정밀도 및 판크라운 평균치는 제 12표 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이 표에 따르면 본발명의 압연기에서는 판두께 정밀도, 통판성(리덕션이어의 감소)이 모두 종래 압연기보다 매우 우수한 것으로 되었다.
[제 12 표]
[실시예 12]
제39도는 제37도에 나타낸 6단 압연기에 있어서, 워크로울(2)의 양방향원추형 로울크라운을 부여하여된 압연기를 나타낸다.
이 압연기와 종래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서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 등을 비교했다.
본발명 압연기
제39도에 나타난 구성의 6단압연기를 열간끝마무리 압연기열의 후단 3스탠드에 배치하고, 상기 실시예 11와 같은 조건하에 압연했다. 처리된 5개코일마다 가장자리로부터 25㎜위치에서의 판크라운을 측정했다.
로울치수 및 형상은 실시예 11과 같이하고, 워크로울(2)의 원추부분(2a)를 0.8×10-3(0.16㎜/200㎜직경당) 및 (26)를 0.01×10-3(0.02㎜/200㎜직경당)의 테이퍼형상으로하고 그 중간로울을 0㎜ 내지 700㎜ 범위에서 이동시켰다. 또한, 비교로서 종래압연기의 사양에 대해서는 실시예 11 경우와 같다.
시험결과
판크라운의 측정결과를 제40도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목표크라운을 변경하여도 거기에 극히 가까운 높은 정밀도의 판압연을 할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 압연기 및 종래 압연기로 다시 10만톤을 압연 실시한 경우의 리덕션이어 발생횟수, 판두께정밀도 및 판크라운 평균치는 제 13 표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이 표에 따르면 본발명의 압연기에서는 판두께정밀도, 통판성(리덕션이어의 감소)이 모두 종래 압연기보다 매우 우수한 것으로 되었다.
[제 13 표]
[실시예 13]
제41도에 나타낸 6단압연기는, 중간로울(3) 및 워크로울(2)에 편방향원추형 로울크라운을 부여한 예이다.
이 압연기와 종래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서,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 등을 비교했다.
본발명 압연기
제41도에 나타난 구성의 6단압연기를 후단 3스탠드에 배치한 압연기열에 있어서, 폭이 900-1600㎜, 두께가 40㎜인 시이트바아를 끝마무리 두께가 1.6-3.2㎜인 저탄소강박판으로 압연처리했다. 처리된 5개코일마다 가장자리로부터 25㎜위치에서의 판크라운을 측정했다.
여기서는, 워크로울 및 백업로울의 매럼길이를 각각 2300㎜, 중간로을의 배럴길이를 3000㎜로하고 중간로울의 원추부분(3a)를 1.6×10-3(0.32㎜/200㎜직경당)의 테이퍼형상으로하고, 워크로울의 원추부분(2a)를 0.8×10-3(0.16㎜/200㎜직경당)의 테이퍼형상으로하여 그 중간로울을 0㎜ 내지 700㎜ 범위에서 이동시켰다.
종래 압연기
최종 스탠드를 포함한 후단 3스탠드에 평로울형태로 배럴길이가 모두 2300㎜인 워크로울, 중간로울 및 백업로울 각각을 갖춘 6단압연기를 배치하고, 중간로울을 이동시키면서 본발명 압연기와 마찬가지로 압연하고 판크라운을 측정했다.
시험결과
이들 측정결과를 제42도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목표크라운을 변경하여도 거기에 극히 가까운 높은 정밀도의 판압연을 할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 압연기 및 종래 압연기로 다시 10만톤을 압연 실시한 경우의 리덕션이어 발생횟수, 판두께정밀도 및 판크라운 평균치는 제 14 표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이 표에 따르면 본발명의 압연기에서는 판두께 정밀도, 통판성(리덕션이어의 감소)이 모두 종래 압연기보다 매우 우수한 것으로 되었다.
[제 14 표]
[실시예 14]
제43도는 제41도에 나타낸 6단압연기에 있어서 워크로울(2)에 양방향원추형 로울크라운을 부여하여된 압연기를 나타낸다.
이 압연기화 종래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서,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 등을 비교했다.
본발명 압연기
제43도에 나타난 구성의 6단압연기를 열간끝마무리 압연기열의 후단 3스탠드에 배치하고, 상기 실시예 12와 같은 조건하에 압연했다. 처리된 5개코일마다 가장자리로부터 25㎜위치에서의 판크라운을 측정했다.
로울치수는 실시예 14와 같고 또한 중간로울의 형상은 실시예 13과 같고, 워크로울(2)의 원추부분(2a) 및 (2b)를 0.4×10-3(0.8㎜/200㎜직경당)의 테이퍼형상으로하고, 그 중간로울을 0㎜ 내지 700㎜ 범위에서 이동시켰다.
또한 비교로 종래압연기의 사양은 실시예 13의 경우와 같다.
시험결과
판크라운의 측정결과를 제44도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목표크라운을 변경하여도 거기에 극히 가까운 높은 정밀도의 판압연을 할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 압연기 및 종래 압연기로 다시 10만톤을 압연실시한 경우의 리덕션이어 발생횟수, 판두께정밀도 및 판크라운 평균치는 제 15 표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이 표에 따르면 본발명의 압연기에서는 판두께정밀도, 통판성(리덕션이어의 감소)이 모두 종래 압연기보다 매우 우수한 것으로 되었다.
[제 15 표]
[실시예 15]
제45도는 제41도에 나타낸 6단압연기에 있어서, 워크로울(2)의 배럴길이를 중간로울(3)의 배럴길이보다 길게하여된 압연기를 나타낸다.
이 압연기와 종래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서,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 등을 비교했다.
본발명 압연기
제45도에 나타난 구성의 6단압연기를 열간끝마무리 압연기열의 후단 3스탠드에 배치하고, 상기 실시예 1와 같은조건하에 압연했다. 처리된 5개코일마다 가장자리로부터 25㎜위치에서의 판크라운을 측정했다.
워크로울의 배럴길이를 3400㎜, 중간로울의 배럴길이를 3000㎜, 백업로울의 배럴길이를 2300㎜로하고, 중간로울 및 워크로울에 실시예 11과 같은 편방향원추형 로울테이퍼를 부여하고 그 중간로울을 0㎜ 내지 700㎜ jadnl에서 이동시켰다. 또한, 비교로서 종래압연기의 사양은 실시예 13의 경우와 같다.
시험결과
판크라운의 측정결과를 제46도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목표크라운을 변경하여도 거기에 극히 가까운 높은 정밀도의 판압연을 할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 압연기 및 종래 압연기로 다시 10만톤을 압연 실시한 경우의 리덕션이어 발생횟수, 판두께정밀도 및 판크라운 평균치는 제 16 표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이 표에 따르면 본발명의 압연기에서는 판두께정밀도, 통판성(리덕션이어의 감소)이 모두 종래 압연기보다 매우 우수한 것으로 되었다.
[제 16 표]
[실시예 16]
제47도는 제43도에 나타내 6단압연기에 있어서, 워크로울(2)의 양방향원추형 로울크라운을 부여하여된 압연기를 나타낸다.
이 압연기와 종래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서,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 등을 비교했다.
본발명 압연기
제47도에 나타난 구성의 6단 압연기를, 열간끝마무리 압연기열의 후단 3스탠드에 배치하고, 상기 실시예 13와 같은 조건하에 압연했다. 처리된 5개코일마다 가장자리로부터 25㎜위치에서의 판크라운을 측정했다.
여기서, 로울치수 및 형상은 실시예 15와 같고 워크로울의 원추부분(2a)을 0.8×10-3(0.16㎜/200㎜직경당)의 테이퍼형상으로하고 또한 중간로울을 0㎜ 내지 700㎜ 범위에서 이동시켰다. 또한, 비교로서 종래압연기의 사양은 실시예 13의 경우와 같다.
시험결과
판크라운의 측정결과를 제48도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목표크라운을 변경하여도 거기에 극히 가까운 높은 정밀도의 판압연을 할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 압연기 및 종래 압연기로 다시 10만톤을 압연 실시한 경우의 리덕션이어 발생횟수, 판두께정밀도 및 판크라운 평균치는 제 17 표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이 표에 따르면 본발명의 압연기에서는 판두께정밀도, 통판성(리덕션이어의 감소)이 모두 종래 압연기보다 매우 우수한 것으로 되었다.
[제 17 표]
[실시예 17]
제49도의 6단압연기는 중간로울(3)에 양방향원추형 로울크라운을 부여하고 워크로울(2)에 편방향원추형 로울크라운을 부여한 예이다.
이 압연기와 종래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서,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 등을 비교했다.
본발명 압연기
제49도에 나타난 구성의 6단압연기를 압연기열에서, 폭이 900-1600㎜, 두께가 40㎜인 시이트바를 끝마무리두께가 1.6-3.2㎜인 저탄소강박판으로 압연처리했다. 처리된 5개코일마다 가장자리로부터 25㎜위치에서의 판크라운을 측정했다.
또한, 워크로울 및 백업로울 각각의 배럴길이를 2300㎜로 하고, 중간로울의 배럴길이를 300㎜로하고, 중간로울의 편방향원추부분(3a)를 1.6×10-3(0.32㎜/200㎜직경당)의 테이퍼형상으로하고 또한 워크로울의 편방향원추부분(2a)를 0.8×10-3(0.16㎜/200㎜직경당)의 테이퍼형상으로하고, 이 중간로울을 0㎜ 내지 700㎜ 범위에서 이동시켰다.
종래 압연기
최종 스탠드를 포함한 후단 3스탠드에 모두 평로울형태이고 배럴길이가 2300㎜인 워크로울, 중간로울 및 백업로울 각각을 갖춘 6단 압연기를 배치함에 있어서, 중간로울을 이동시키면서 본발명 압연기와 마찬가지로 압연하고 판크라운 측정을 했다.
시험결과
판크라운의 측정결과를 제50도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목표크라운을 변경하여도 거기에 극히 가까운 높은 정밀도의 판압연을 할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 압연기 및 종래 압연기로 다시 10만톤을 압연 실시한 경우의 리덕션이어 발생횟수, 판두께정밀도 및 판크라운 평균치는 제 18표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이 표에 따르면 본발명의 압연기에서는 판두께정밀도, 통판성(리덕션이어의 감소)이 모두 종래 압연기보다 매우 우수한 것으로 되었다.
[제 18 표]
[실시예 18]
제51도는 제49도에 나타낸 6단압연기에 있어서, 워크로울(2)에 양방향원추형 로울크라운을 부여하여된 압연기를 나타낸다.
이 압연기와 종래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서,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 등을 비교했다.
본발명 압연기
제51도에 나타난 구성의 6단압연기를 열간끝마무리 압연기열의 후단 3스탠드에 배치하고, 상기 실시예 17와 같은 조건에서 압연했다. 처리된 5개코일마다 가장자리로부터 25㎜위치에서의 판크라운을 측정했다.
여기서, 중간로울(3)의 원추부분(3a),(3b) 및 워크로울(2)의 원추부분(2a)을 실시예 17과 같은 테이퍼형상으로하고 워크로울(2)의 반대편 원추부분(2b)을 0.4×10-3(0.08㎜직경당)의 테이퍼형상으로하고, 그 중간로울을 0㎜ 내지 700㎜ 범위에서 이동시켰다. 또한, 비교로서 종래 압연기의 사양은 실시예 17와 같다.
시험결과
판크라운의 측정결과를 제52도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목표크라운을 변경하여도 거기에 극히 가까운 높은 정밀도의 판압연을 할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 압연기 및 종래 압연기로 다시 10만톤을 압연 실시한 경우의 리덕션이어 발생횟수, 판두께정밀도 및 판크라운 평균치는 제 19표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이 표에 따르면 본발명의 압연기에서는 판두께정밀도, 통판성(리덕션이어의 감소)이 모두 종래 압연기보다 매우 우수한 것으로 되었다.
[제 19 표]
[실시예 19]
제53도는 제49도에 나타낸 6단압연기에 있어서, 워크로울(2)의 배럴길이를 중간로울(3)의 배럴길이보다 길게하여된 압연기를 나타낸다.
이 압연기와 종래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서,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 등을 비교했다.
본발명 압연기
제53도에 나타난 구성의 6단압연기를 열간끝마무리 압연기열의 후단 3스탠드에 배치하고, 상기 실시예 17와 같은 조건하에 압연했다. 처리된 5개코일마다 가장자리로부터 25㎜위치에서의 판크라운을 측정했다.
여기서는, 워크로울의 배럴길이를 3400㎜, 중간로울의 배럴길이를 3000㎜, 백업로울의 배럴길이를 2300㎜로하고, 중간로울에 실시예 17와 같은 양방향원추형 로울테이퍼를 춰크로울에 실시예 17과 같은 편방향원추형 로울테이퍼를 부여하고 그 중간로울을 1㎜ 내지 700㎜ 범위에서 이동시켰다.
또한, 비교로서 종래압연기의 사양은 실시예 17의 경우와 같다.
시험결과
판크라운의 측정결과를 제54도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목표크라운을 변경하여도 거기에 극히 가까운 높은 정밀도의 판압연을 할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 압연기 및 종래 압연기로 다시 10만톤을 압연 실시한 경우의 리덕션이어 발생횟수, 판두께정밀도 및 판크라운 평균치는 제 20표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이 표에 따르면 본발명의 압연기에서는 판두께정밀도, 통판성(리덕션이어의 감소)이 모두 종래 압연기보다 매우 우수한 것으로 되었다.
[제 20 표]
[실시예 20]
제55도는 제51도에 나타낸 6단 압연기에 있어서의 워크로울(2)에 양방향원추형 로울크라운을 부여하여된 압연기를 나타낸다.
이 압연기와 종래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서, 압연판갯수에 대한 판크라운 분포 등을 비교했다.
본발명 압연기
제55도에 나타난 구성의 6단압연기를 열간끝마무리 압연기열의 후단 3스탠드에 배치하고, 상기 실시예 17와 같은 조건하에 압연했다. 처리된 5개코일마다 가장자리로부터 25㎜위치에서의 판크라운을 측정했다.
여기서는, 로울치수 및 중간로울의 형상을 실시예 19와 같고, 워크로울의 원추부분(2a)을 0.8×10-3(0.16㎜/200㎜직경당)의 테이퍼형상으로하고 또한 (2b)를 0.1×10-3(0.02㎜/200㎜직경당)의 테이퍼형상으로하고, 중간로울을 0㎜ 내지 700㎜ 범위레서 이동시켰다. 또한, 비교로서 종래 압연기의 사양은 실시예 17의 경우와 같다.
시험결과
판크라운의 측정결과를 제56도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압연기를 사용한 경우에는 목표크라운을 변경하여도 거기에 극히 가까운 높은 정밀도의 판압연을 할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 압연기 및 종래 압연기로 다시 10만톤을 압연 실시한 경우의 리덕션이어 발생횟수, 판두께정밀도 및 판크라운 평균치는 제 21표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이 표에 따르면 본발명의 압연기에서는 판두께정밀도, 통판성(리덕션이어의 감소)이 모두 종래 압연기보다 매우 우수한 것으로 되었다.
[제 21 표]
본발명에 따르면, 원하는 판크라운 및 에지드롭을 갖는 목표판형상의 압연판을 고정말도로 수득할 수 있고, 다음공정에서의 수율을 향상하고 또한 항상 안정한 압연을 할 수 있다. 또한, 중간로울 및 워크로울의 수명연장도 가능하게 된다.

Claims (6)

  1. 상부 및 하부로울로 된 한쌍의 워크로울(2), 한쌍의 중간로울(3) 또한 한쌍의 백업로울(4)로 구성된 압연기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중간로울과 워크로울이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의 중간로울에는 압연기의 중심점에 대해 점대칭되는 위치에 로울크라운이 부여되고, 상기의 워크로울에는 역시 압연기의 중심점에 대해 점대칭되는 위치에 로울프로파일이 부여되고, 상기의 중간로울(3) 중 하나의 로울프로파일을 다음의 3차식(1)으로 표시하며;
    y1(x) = -a[{δ+OF)/L]3+ b(x/L) ...........(1)
    여기서 y1은 로울크라운의 형성곡선이고, a 는 3차계수이고, b 는 1차계수이고, x 는 배럴중심의 좌표이고, L 는 중간로울의 배럴길이의 1/2이고, δ 는 x=LB일 때 출발점에 대한 중간로울의 축방향 상대이동량이고 OF는 축방향의 옵셋량이며, 또한 중간로울(3) 중 다른하나의 로울프로파일은 다음 3차식(2)으로 표시하며,
    y2(x) = -a[{δ+OF)/L]3+ b(x/L) ...........(2)
    여기서 y2은 로울크라운의 형성곡선이고, 또한
    각 중간로울의 배럴길이는 백업로울보다 1.2-2.5배 더 길어 중간로울의 최대 및 최소이동위치에서도 중간로울의 길이전체에 걸쳐 백업로울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6단압연기.
  2. 제1항에 있어서, 각 워크로울(2)은 전체길이에 걸쳐 직경크기가 일정한 평로울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6단압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워크로울(2)에 배럴의 한쪽단부에서 다른쪽으로 경사진 편방향원추형 로울크라운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6단압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워크로울(2)에 배럴의 중간부분에서 양단부쪽으로 경사진양방향원추형 로울크라운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6단압연기.
  5. 제1항에 있어서, 워크로울(2)의 배럴길이가 중간로울(3)의 배럴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한 6단압연기.
  6. 제1항에 있어서, 워크로울(2)의 배럴길이가 중간로울(3)의 배럴길이의 1.4-2.5배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6단압연기.
KR1019930700100A 1991-05-16 1992-05-18 6단 압연기 KR100216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39431 1991-05-16
JP13943191 1991-05-16
JP91-139428 1991-05-16
JP13942891 1991-05-16
JP91-144152 1991-05-21
JP14415291 1991-05-21
JP91-189470 1991-07-04
JP18947091 1991-07-04
JP18946891 1991-07-04
JP91-189469 1991-07-04
JP18946991 1991-07-04
JP18946791 1991-07-04
JP91-189467 1991-07-04
JP91-189468 1991-07-04
JP92-942 1992-01-07
JP94292 1992-01-07
JP92-000942 1992-01-07
PCT/JP1992/000639 WO1992020471A1 (fr) 1991-05-16 1992-05-18 Laminoir a six eta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1244A KR930701244A (ko) 1993-06-11
KR100216299B1 true KR100216299B1 (ko) 1999-08-16

Family

ID=2757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0100A KR100216299B1 (ko) 1991-05-16 1992-05-18 6단 압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543014B2 (ko)
JP (1) JP2654313B2 (ko)
KR (1) KR100216299B1 (ko)
CA (1) CA2087156C (ko)
DE (1) DE69226690T3 (ko)
WO (1) WO19920204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20131A1 (de) * 2003-12-19 2005-07-21 Sms Demag Ag Kombinierte Fahrweisen und Gerüsttypen in Kalttandemstraßen
DE102004020132A1 (de) * 2003-12-23 2005-07-28 Sms Demag Ag Verfahren und Walzgerüst zur mehrfachen Profilbeeinflussung
CN103084391A (zh) 2004-09-14 2013-05-08 Sms西马格股份公司 用于加工轧制带材的轧制机架
BR112012027654B1 (pt) * 2011-09-20 2018-03-13 Mitsubishi-Hitachi Metals Machinery, Inc. Laminador a frio para laminar uma tira de aço, sistemas de laminação em tandem e de laminação inversor, e, métodos de modificação de um sistema de laminação e operacional de um laminador a frio
FR3006211B1 (fr) 2013-05-28 2015-05-15 Fives Dms Procede de changement de configuration d'un laminoir et laminoir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JP6470134B2 (ja) 2015-07-08 2019-02-13 Primetals Technologies Japan株式会社 圧延機および圧延方法
JP7342831B2 (ja) * 2020-09-29 2023-09-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間圧延機及び熱延鋼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0018B2 (ko) * 1973-05-16 1977-06-01
JPS5413442A (en) * 1977-07-01 1979-01-31 Hitachi Ltd Rolling mill series for controlling sheet crown and shape
JPS5944125B2 (ja) * 1978-08-03 1984-10-2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6段圧延機
JPS55161512A (en) * 1979-06-06 1980-12-16 Hitachi Ltd Roll shifter for rolling mill
JPS573401U (ko) * 1980-06-09 1982-01-08
JPS6018243B2 (ja) * 1980-07-07 1985-05-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圧延ロ−ル
DE3038865C1 (de) 1980-10-15 1982-12-23 SMS Schloemann-Siemag AG, 4000 Düsseldorf Walzgeruest mit axial verschiebbaren Walzen
DE3213496A1 (de) * 1982-04-10 1983-10-20 SMS Schloemann-Siemag AG, 4000 Düsseldorf Walzgeruest mit axial verschiebbaren walzen
JPS5956905A (ja) * 1982-09-28 1984-04-02 Kawasaki Steel Corp 調質圧延用6段圧延機
DE3602698A1 (de) * 1985-04-16 1986-10-16 SMS Schloemann-Siemag AG, 4000 Düsseldorf Walzgeruest mit axial verschiebbaren walzen
JPS62151203A (ja) * 1985-12-25 1987-07-06 Kawasaki Steel Corp 板材の圧延方法
JPH0688053B2 (ja) * 1986-05-30 1994-11-0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圧延方法
JPS6316802A (ja) * 1986-07-10 1988-01-23 Kawasaki Heavy Ind Ltd 圧延方法
JPS6360006A (ja) * 1986-08-29 1988-03-16 Kawasaki Heavy Ind Ltd 圧延スタンド
DE3638331C2 (de) * 1986-11-10 1995-07-13 Schloemann Siemag Ag Walzgerüst zum Walzen von Flachmaterial mit einem Paar von axial verschiebbaren Arbeitswalzen
DE3712043C2 (de) 1987-04-09 1995-04-13 Schloemann Siemag Ag Walzgerüst mit axial verschiebbaren Walzen
JPH01118804U (ko) * 1988-02-01 1989-08-11
JPH0313220A (ja) * 1989-06-09 1991-01-22 Kawasaki Steel Corp 圧延機
JPH03294006A (ja) * 1990-04-11 1991-12-25 Kawasaki Steel Corp 熱間仕上圧延機及び熱間仕上圧延機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43014A4 (ko) 1995-05-24
KR930701244A (ko) 1993-06-11
DE69226690T3 (de) 2005-02-10
JPH05245506A (ja) 1993-09-24
DE69226690D1 (de) 1998-09-24
CA2087156A1 (en) 1992-11-17
EP0543014A1 (en) 1993-05-26
DE69226690T2 (de) 1999-01-07
JP2654313B2 (ja) 1997-09-17
CA2087156C (en) 2000-12-26
EP0543014B1 (en) 1998-08-19
WO1992020471A1 (fr) 1992-11-26
EP0543014B2 (en) 200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33836B2 (ja) 圧延物、特に圧延板材の製造のための圧延装置
EP1228818B2 (en) Rolling method for strip rolling mill and strip rolling equipment
KR101130607B1 (ko) 압연 스트립의 윤곽 및 평면성에 영향을 주기 위한 콘벡스롤
KR101100051B1 (ko) 강대의 조질 압연 방법 및 고장력 냉연 강판의 제조 방법
US5406817A (en) Rolling mill and rolling method
US6158260A (en) Universal roll crossing system
US5622073A (en) Six high rolling mill
KR100216299B1 (ko) 6단 압연기
JP5045264B2 (ja) 鋼帯の調質圧延方法および高張力冷延鋼板の製造方法
US6029491A (en) Continous spiral motion and roll bending system for rolling mills
JP3933325B2 (ja) 圧延機
JP2993414B2 (ja) 熱間圧延における板プロフィル制御方法
JP3244119B2 (ja) 板材圧延における板形状・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JPH05154509A (ja) 熱間仕上圧延機
JPH0616890B2 (ja) 圧延材板形状の調整装置
JP3022222B2 (ja) 金属板の冷間圧延機
JP3283811B2 (ja) 圧延機および圧延方法
JPH05154508A (ja) 熱間仕上圧延機
JP3244112B2 (ja) 板材の圧延機及び板材の圧延方法
JP3068980B2 (ja) 圧延機
CA1302743C (en) Method of controlling strip crown in planetary rolling
JPH0459111A (ja) タンデムミルによる冷間圧延におけるクラウン制御方法
JPS586710A (ja) 圧延機
JPH04118106A (ja) 熱間仕上圧延における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JPH10225709A (ja) タンデム圧延機及び板材の圧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