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170B1 - 리튬전지의 캐소드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리튬전지의 캐소드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170B1
KR100216170B1 KR1019960050615A KR19960050615A KR100216170B1 KR 100216170 B1 KR100216170 B1 KR 100216170B1 KR 1019960050615 A KR1019960050615 A KR 1019960050615A KR 19960050615 A KR19960050615 A KR 19960050615A KR 100216170 B1 KR100216170 B1 KR 100216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battery
guide
index table
cathod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0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1084A (ko
Inventor
최병희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50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6170B1/ko
Publication of KR19980031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6Star-shaped wheels or wheel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8Star-shaped wheels or wheel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the article-engaging elements being suction or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05Devices for making primary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rimary Cel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전지(Li/MnO2Battery)를 조립생산하는 공정중에서 소정의 기능들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캔의 내부에 내장된 소정의 캐소드를 일방향으로 정렬시켜 주도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캐소드(3)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시킨 리튬전지(1)를 인덱스테이블(4)상에 공급시킬 수 있으므로 인덱스테이블(4)상에 장착되어지는 각종장치들의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고 따라서 작동의 원리도 단순화시킬 수 있으므로 검사장치들의 제조원가 및 운용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검사시간들이 단축되어져서 검사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생산성도 증대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리튬전지(Li/MnO2Battery)의 캐소드 정렬장치.
본 발명은 리튬전지(Li/MnO2 Battery)를 조립생산하는 공정중에서 소정의 기능들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캔의 내부에 내장된 캐소드를 소정의 일방향으로 정렬시켜 주도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이송가이드를 따라 이송되어지는 리튬전지를 인덱스테이블에 인입시켜 주기전에 캐소드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시켜 공급시켜주고 인덱스테이블에 인입된 리튬전지는 정렬된 상태 그대로를 유지한채 회전되어지도록하여 각종 검사장치를 보다 간소하고 간단하게 설치 및 운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정렬장치가 장착되어지는 인덱스테이블을 보인 예시도로서 리튬전지(1)가 안치되는 안치홈(1-1)들 마다 회선판이 장치되어지는 것이다.
벨트콘베이어(7)의 작동에 의해 인입가이드(8)를 공급되어지는 리튬전지(1)는 인덱스테이블(4)이 단속적으로 회전될때마다 안치홈(4-1)에 인입되어 회전 이동되며,디스켓유무검사장치(5)에서는 리튬전지(1)에 가스켓(도시하지 아니함)이 안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게 되고, 불량전지배출장치(6)에서는 가스켓이 안치되어 있지 않은 리튬전지(1)를 인출하여 가스켓을 장착하는 장치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절연저항검사장치(10)에서는 리튬전지(1)의 절연상태를 검사하게 되고, 불량전지배출장치(6)에서는 절연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불량품을 배출시켜 주게 되며, 이와같은 과정을 모두 통과한 리튬전지(1)는 배출가이드(9)를 통하여 차기공정으로 이송되어 진다.
본 발명은 이와같이 작동되어지는 인덱스테이블(4)상의 각종장치 즉 디스켓유무검사장치(5)와 절연저항검사장치(10)에서 리튬전지(1)의 디스켓 및 절연저항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리튬전지(1)를 회전시켜 캐소드가 소정의 위치에만 정렬시켜 줄 수 있도록 된 캐소드정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종래에는 인덱스테이블(4) 또는 여타의 장치들에는 캐소드를 정렬시켜 줄 수 있도록 된 장치가 제안되어 있지 않았었기 때문에 각종검사장치들이 복잡하게 구성되어 졌으며, 이로인하여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고 작동관계가 복잡하여 검사시간이 길어지면서 전체적인 검사시간이 지연되어지는등의 문제가 있었으며, 따라서 검사능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데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에는 인덱스테이블(4)의 안치홈(4-1)에 안치되어 있는 리튬전지(1)를 정렬시켜 주도록 된 장치가 없었기 때문에 절연저항검사장치(10)에서는 캐소드(3)가 어느방향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에 캐소드(3)와 접촉되어지는 프로브(14)를 사방에 구비하여 그중 어느하나가 접촉되어지도록 되어 있었다.
즉 리듐전지(1)가 인덱스테이블(4)에 의해 절연저항검사장치(10)측으로 이송되어오면 실린더(16)가 작동하여 브라켓(17)에 굴대설치되어 있는 롤러(18)로 접촉시켜 억류시킨 상태에서 소정의 승하강장치에 의해 실린더(11)가 하강하여 고정대(15)가 캔(2)의 내부에 내장된 소자의 중앙에 삽입되어지고 핑거(13)에 구비된 프로브(14)가 캐소드(3)의 외측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준다. 이 상태에서 실린더(11)가작동하면 로드(11-1)가 수납되면서 지지대(12)에 굴대 설치되어 있는 핑거(13)를 내향으로 모아 주게되며, 따라시 프로브(14)중 어느하나가 캐소드(14)와 접촉되면서 절연상태를 검사하게 된다. 이와같이 캐소드(3)의 위치를 정렬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캐소드(3)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사면에서 프로브(14)를 작동시키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또한 작동시간의 지체로인하여 검사능률이 떨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된 캐소드정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리튬전지의 캐소드를 일방향으로 정렬시켜 줌으로써 각종검사장치의 검사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캐소드정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종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고 따라서 설치 및 운용비용이 절감되면서 검사시간도 단축시켜 검사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한 캐소드정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목적은, 벨트콘베어어(7)의 이송가이드(8)를 따라 이송되어지는 리튬전지(1)가 인덱스테이블(4)의 안치홈(4-1)에 공급되어지고 인덱스테이블(4)을 따라 회전이송된후 배출가이드(9)를 통하여 벨트콘베이어(7)측으로 배출되어 지도룩 된 것에 있어서, 인덱스테이블(4)의 각 안치홈(4-1)의 내면에 마그네트(21)를 매설하고, 이송가이드(8)의 끝단에는 인덱스테이블(4)측으로 인입가이드(8-1)를 구비 하여 이송가이드(8)에는 스톱퍼(28)를 구비하고 인입가이드(8-1)의 외측에는 실린더(30)에 의해 작동되는 푸셔(32)를 구비하며, 인입가이드(8-1)와 이송가이드(8)의 교차지점에는 광센서헤드(28)와 모터(24)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25)을 구비하되 상기 회전판(25)의 내부에 마그네트(26)를 매설시켜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소드정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되어 있으므로 이송가이드(8)를 따라 이송되어오는 리튬전지(1)가 회전판(25)위에 안착되면 모터(24)에 의해 회전판(25)을 회전시켜서 캐소드(3)를 정렬시킨후 실린더(30)에 의해 작동되는 푸셔(32)에 의해 인덱스테이블(4)의 안치홈(4-1)에 공급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 정렬장치를 설명하기위한 인덱스테이블장치의 예시도
제2도는 인덱스테이블상에 구비되는 절연저항검사장치의 예시도로서
제2a도는 절연저항검사장치의 예시 정면도이고,
제2b도는 검사상태를 보인 평면 예시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정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정렬장치에서 인덱스테이블의 요부를 보인 부분확대 예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정렬장치에서 리튬전지를 정렬시켜주는 장치의발췌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정렬장치의 설치 상태만을 보인 평면 확대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튬전지 2 : 캔
3 : 캐소드 4 : 인덱스테이블
5 : 디스켓유무검사장치 6 : 불량전지배출장치
7 : 벨트콘베이어 8 : 이송가이드
8-1 : 인입가이드 9 : 배출가이드
10 : 절연저항검사장치 20 : 캐소드정렬장치
21, 26 : 마그네트 22, 28 :광센서헤드
23, 27, 29 : 센서 24 : 모터
25 : 회전판 30 : 실린더
31 : 로드 32 : 푸셔
33 : 스프링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 및 효과는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다.
첨부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정렬장치(20)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제4도 내지 제6도는 요부발췌도이다.
인덱스테이블(4)의 각 안치홈(4-1)의 내면에는 마그네트(21)를 각각 매설하고 또한 벨트콘베이어(7)상에 구비된 이송가이드(8)의 말단에는 인덱스테이블(4)측과 연계되는 인입가이드(8-l)를 구비하며 인입가이드(8-1)와 연계되는 안치홈(4-1)의 측방과 상측에 센서(23) 및 광센서헤드(32)를 구비하였다.
상기 센서(23)는 리튬전지(1)가 인덱스테이블(4)의 안치홈(4-1)에 안치되었는지를 감지하게 되고 광센서헤드(22)는 안치홈(4-1)에 안치된 리튬전지(1)의 캐소드(3)를 감지하여 디스켓유무검사장치(5) 및 절연저항검사장치(6)와 같은 검사장치측으로 리튬전지를 이송시키기 전에 그 정렬상태를 재차 확인하여 주도록 하여 정렬상태가 확인되면 인덱스테이블(4)이 작동되어 질 수 있도록 하고, 정렬상태가 감지되지 않으면 그 정렬상태를 재확인할 수 있도록 경보 수단을 작동시켜 주도록 한다.
이송가이드(8)와 인입가이드(8-1)의 교차지점에서 측방에는 센서(27)를 구비하고 상측에는 정렬되는 캐소드(3)를 감지하는 광센서헤드(28)를 구비하며 하측에는 모터(24)의 축에 고정된 회전판(25)을 구비하되 회전판(25)의 내부에는 마그네트(26)를 매설하여 회전판(25)위에 안치된 리튬전지(1)를 회전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고, 인입가이드(8-1)의 외측에 실린더(30)를 고정하고 그 로드(31)에 푸셔(32)를 구비하되 푸셔(32)는 로드(31)의 선단에서 스프링(33)에 의해 탄발되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이송가이드(8)의 말단에는 스톱퍼(28)와 센서(29)를 구비하되 스톱퍼(28)는 인입가이드(8-1)축으로 이송되는 리튬전지(1)를 단속할 수 있도록 하였고 센서(29)는 리튬전지(1)의 통과상태를 확인하여 스톱퍼(28)의 작동을 단속하도록 하였다.
이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벨트콘베이어(7)가 지속적으로 작동되어 있는 상태에서 리튬전지(1)는 이송가이드(8)를 따라 이송되어지며 스톱퍼(28)에 의해 인입가이드(8-1)측으로의 인입이 제한된다.
스톱퍼(28)가 작동하여 출구를 개방시키면 리튬전지(1)가 인입되는데 센서(29)가 통과되는 하나를 쎈싱하게되면 스톱퍼(28)를 즉시원상태로 복귀시켜 출구를 폐쇄시킨다.
스톱퍼(28)를 통과한 리튬전지(1)는 회전판(25)위에 안치되어지고 센서(21)에 의해 인입상태가 감지되어지며, 그 상태에서 모터(24)가 서서히 작동하여 회전판(25)과 함께 그 위에 안치된 리튬전지(1)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회전되는 리튬전지(1)의 캐소드(3)가 광센서헤드(28)에 감지되어지면 모터(24)의 작동은 정지된다.
캐소드(3)가 정렬된 상태에서 실린더(30)가 작동된다.
실린더(30)가 작동되면 로드(3)와 함께 푸셔(32)가 전진되면서 캐소드(3)가 정렬된 리튬전지(1)를 밀어서 인덱스테이블(4)의 안치홈(4-1)에 안치시켜 주며, 안치홈(4-1)에 안치된 리듐전지(1)는 마그네트(21)에 의해 억류되어진다.
실린더(30)가 작동하여 푸셔(32)로 리튜전지(1)를 밀어줄 때 즉 리튬전지(1)가 안치홈(4-1)에 안치되어질 때 스프링(33)이 약간 압축되면서 푸셔(32)에 의해 리튬전지(1)의 캔(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안치가 완료되어지면 실린더(30)가 역으로 작동하여 푸셔(32)를 회수함과 동시에 센서(23)는 안치된 리튬전지(1)를 감지하고 광센서헤드(22)는 캐소드(3)의 정렬상태를 재차확인하며 확인이 완료되면 인덱스테이블(4)은 한스텝회전하여 리튬전지(1)가 고정된 안치홈(4-1)을 디스켓유무검사장치(5)측으로 회전이송 시켜주게 된다.
푸셔(32)의 회수가 완료되면 스톱퍼(28)가 작동하여 리튬전지(1)를 회전판(25)위로 올려주게 되고 센서(29)는 하나의 리튬전지(1)가 통과하면 스톱퍼(28)를 복귀시켜 후행의 리튬전지(1)가 인입되어지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캐소드정렬장치(2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실시되면서 인덱스테이블(4)의 안치홈(4-1)에 리튬전지(1)를 공급시켜주게되며, 캐소드(3)가 정렬된 리튬전지(1)는 인덱스테이블(4)에 의해 회전이송될 때마다 디스켓유무검사장치(5)와 불량전지배출장치(6) 그리고 절연저항검사장치(10) 및 불량전지배출장치(6)를 순차적으로 거친후 베출가이드(9)로 배출된후 차기공정으로 이송되어지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캐소드(3)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시킨 리튬전지(1)를 인덱스테이블(4)상에 공급시킬 수 있으므로 인덱스테이블(4)상에 장착되어지는 각종장치들의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고 따라서 작동의 원리도 단순화시킬 수 있으므로 검사장치들의 제조원가 및 운용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검사시간들이 단축되어져서 검사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생산성도 증대 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Claims (2)

  1. 벨트콘베이어(7)의 이송가이드(8)를 따라 이송되어지는 리튬전지(1)가 인덱스테이블(4)의 안치홈(4-1)에 공급되어지고 인덱스테이블(4)을 따라 회전이송된후 배출가이드(9)를 통하여 벨트콘베어어(7)측으로 배출되어 지도록 된 것에 있어서, 인덱스테이블(4)의 각 안치홈(4-1)의 내면에 마그네트(21)를 매설하고, 이송가이드(8)의 끝단에는 인덱스테이블(4)측으로 인입가이드(8-1)를 구비하여 이송가이드(8)에는 스톱퍼(28)를 구비하고 인입가이드(8-1)의 외측에는 실린더(30)에 의해 작동되는 푸셔(32)를 구비하며, 인입가이드(8-1)와 이송가이드(8)의 교차지점에는 광센서헤드(28)와 모터(24)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25)을 구비하되 상기 회전판(25)의 내부에 마그네트(26)를 매설시켜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전지(Li/MnO2Battery)의 캐소드정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인입가이드(8-1)의 외측에 실린더(30)를 고정하고 그 로드(31)에 푸셔(32)를 구비하되 푸셔(32)는 로드(31)의 선단에서 스프링(33)에 의해 탄발되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전지(Li/MnO2Battery)의 캐소드정렬장치.
KR1019960050615A 1996-10-31 1996-10-31 리튬전지의 캐소드 정렬장치 KR100216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0615A KR100216170B1 (ko) 1996-10-31 1996-10-31 리튬전지의 캐소드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0615A KR100216170B1 (ko) 1996-10-31 1996-10-31 리튬전지의 캐소드 정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084A KR19980031084A (ko) 1998-07-25
KR100216170B1 true KR100216170B1 (ko) 1999-08-16

Family

ID=19480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0615A KR100216170B1 (ko) 1996-10-31 1996-10-31 리튬전지의 캐소드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6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586B1 (ko) * 2001-05-07 2007-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지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084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138B1 (ko) 태양전지 시험장비
US4478352A (en) Integrated circuit component handler singulation apparatus
KR100216170B1 (ko) 리튬전지의 캐소드 정렬장치
US6469496B1 (en) Electronic memory module handler with direct socket insertion and related output stacker
US5973285A (en) Connector alignment assembly for an electronic memory module tester
JP2003167020A (ja) 浮き検出方法、浮き検出装置、icハンドラ及びic検査装置
KR100451964B1 (ko) 캐리어위치 어긋남 검출기구
CN213122195U (zh) 一种芯片测试机构
KR19980040980A (ko) 리튬전지(Li/MnO₂Battery)의 단자 직립정렬장치.
KR930007084Y1 (ko) 분류기의 불량소자 검출장치
KR0154679B1 (ko) 건전지 불량 검출장치
KR100216168B1 (ko) 리튬전지의 캐소드 정렬장치
CN112864064B (zh) 电子元件搬送方法及电子元件搬送装置与搬送设备
JPS605419Y2 (ja) 券整列装置
KR100532375B1 (ko)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검사 시스템
KR960001837Y1 (ko) 원격조정기 조립 및 검사장치
CA1215790A (en) Component verifier
KR0168592B1 (ko) 리튬전지의 절연저항검사장치
KR100228580B1 (ko) 불량전지배출장치
KR19980035750A (ko) 배터리 검사 장치
KR20060131463A (ko) 인쇄회로기판 검사시스템의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JPS6240434Y2 (ko)
KR19980054692A (ko) 전자부품 표면실장기
JP2590524Y2 (ja) Ic搬送器内のic検出機構
KR960007149Y1 (ko) 분류기의 리드불량 디바이스 취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