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087B1 - 쇄빙선 - Google Patents

쇄빙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087B1
KR100215087B1 KR1019920000495A KR920000495A KR100215087B1 KR 100215087 B1 KR100215087 B1 KR 100215087B1 KR 1019920000495 A KR1019920000495 A KR 1019920000495A KR 920000495 A KR920000495 A KR 920000495A KR 100215087 B1 KR100215087 B1 KR 100215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icebreaking
icebreaker
icebreaking means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684A (ko
Inventor
페터얀스
칼-하인츠루프
엔스-홀거헬만
Original Assignee
프리드리히 클링에, 크리스티안 힐비히
티센 노르드세베르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드리히 클링에, 크리스티안 힐비히, 티센 노르드세베르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프리드리히 클링에, 크리스티안 힐비히
Publication of KR920014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0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8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operation in ice-infested waters; 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having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Toy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Shovels (AREA)
  • Prevention Of Electric Corrosion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쇄빙기능 및 우수한 선회항행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선체의 폭이 쇄빙된 얼음에 의해 형성된 항로의 폭에 실제로 일치하는 쇄빙선을 제공한다.
선체의 선수부분(2)은 그것의 홀수선(W)의 범위내에서 양측면(3, 3')에 제 1쇄빙수단(5, 5')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 1쇄빙수단(9, 9')이 배치되며, 2개의 쇄빙수단 사이의 선체벽면 영역은 선체의 내측선회원의 수직선에 실질적으로 적합하도록 선체후부에 배치된다. 제 2쇄빙수단의 측부는 선체의 폭을 넘지않도록 제한되며, 선체 후부에 배치된 2개의 쇄빙수단 사이의 선체 벽면 영역은 선체 내측에 좁아진 요부(6, 6')로서 형성된다.

Description

쇄빙선(碎氷船)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쇄빙선의 제 1실시예를 예시하는 부분사시도.
제 2도는 제 1도에 예시된 쇄빙선의 평면도.
제 3도는 제 2도의 선 A-A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4도는 협소한 선체 후부를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쇄빙선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쇄빙선의 선수 부분의 변형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쇄빙선(선체) 2 : 선수부분
B : 폭 5, 5' : 제 1쇄빙수단
E : 얼음표면 6, 6' : 협소한 요부
R : 항로 8 : 선미
W : 홀수선 9, 9' : 제 2쇄빙수단
11, 11', 12, 12' : 쐐기형 부분
본 발명은, 선체의 선수 부분이 그 선체의 흘수선(吃水線)의 범위내의 양측면에 제 1쇄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쇄빙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간격을 두고 제 2쇄빙수단이 배치되며, 상기 제 2개의 쇄빙수단 사이의 선체 벽면 영역이 선체의 내측 선회원의 수직선에 실제로 적합하도록 선체 후부에 배치된 쇄빙선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쇄빙선이 예를 들면 US-PS 4831951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쇄빙선에는 제 1 및 제 2쇄빙수단이 선체의 폭을 넘어 경사지게 돌출하여 선체에 설치되어 있고, 선체 외판에 설치된 긴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 2쇄빙수단은 흘수선의 상방에 배치되며, 실제로 선체의 폭의 후방에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하여 있다.
이같은 구조에 의해, 상대적으로 작은 선회원 반경을 지니는 쇄빙선의 선회항행이 가능하다.
그러나, 쇄방에 의해 형성된 항로와 선체의 폭 사이의 가장 적절한 관계가 달성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쇄빙부는 선체의 폭을 넘어 돌출하는 경계를 지니며, 선체의 폭의 외측에 항로의 폭을 규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쇄빙선의 중량, 구동력 및 안정성 때문에, 선체는 얼음에 형성된 항로의 폭에 대해 가능한한 큰 폭을 지니며, 쇄빙선 전체의 폭과 얼음의 항로의 폭은 가능한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요구를 달성하며, 그에 따라, 특허청구의 범위 제 1항의 전단부분에 기재된 쇄빙선을, 선체의 폭이 실제로 쇄빙에 의해 형성되는 항로의 폭과 일치하게 하여, 우수한 쇄빙능력 및 우수한 선회항행성을 유지하도록 개량시키는데 있다.
[발명의 구성 및 효과]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체의 선부부분이, 그 흘수선의 범위내에 있어서의 양측면에 제 1의 쇄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의 쇄빙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간격을 두고 제 2의 쇄빙수단이 배치되며, 상기 2개의 쇄빙수단 사이의 선체 벽면 영역이, 선체의 내측 선회원의 수직선에 실제로 적합하도록 선체 후부에 배치된 쇄빙선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쇄빙수단의 측부가 선체의 폭을 넘지않도록 제한되며, 상기 선체 후부에 배치된, 2개의 쇄빙수단 사이의 선체 벽면 영역이 상기 선체 내측으로 협소한 요부로부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선을 구성한 것이다.
이 경우, 선체내측으로 협소해진 요부에 의해서, 제 2의 쇄빙수단은 선체의 폭을 넘어 돌출하는 것이 아니라, 선체의 폭과 동일한 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체의 폭은 쇄빙수단에 의해 형성된 항로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될 수 있다. 더우기, 쇄빙수단은 선박의 외판상에 설치된 긴 돌출부로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선체 내측으로 협소해진 요부의 각으로서 형성된다. 그 요부의 깊이는 가능한한 크게 되도록 선택되며, 따라서 선회원은 가능한한 작게 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선체의 이러한 구성을 부여하는 것은, 해당하는 위치에 제한을 두지 않는 것으로 된다.
DE-OS 2246173에 의하면, 쇄빙선의 쇄빙수단의 측방에 잇어서의 제한은, 쇄빙수단이 선체의 외측 윤곽과 동일한 열에 배치되도록 부여되며, 그 결과, 협소해진 요부는 선체의 내측에 위치된다. 그러나, 이 경우, 2개의 직렬연결된 쇄빙수단 사이의 여부는 문제가 되지 않으며, 불가분의 쇄빙수단의 후방에 위치하는 요부가 문제가 된다. 따라서, 요부는 가능한한 큰 선체의 폭을 이용한다고 하는 목적에는 유용하지 않으며, 오히려 쇄빙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관계(導管系)로부터, 압축공기를 가능한한 얼음의 방해를 받지 않고 방출하는 출구로서 사용된다.
특허청구 범위의 종속청구항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 3항에 있어서는 홀수선의 범위내에 제 2의 쇄빙수단을 배치시킴으로서, 쇄빙선이 선회할때, 그 쇄빙수단이 얼음을 쇄빙하기 위한 구조가 단순하게 된다. 왜냐하면, 흘수선의 상방에 배치된 적당한 2개의 쇄빙수단은, 통상 선체를 교대로 현(舷; 뱃전)측으로 경사지게 하기 때문에 비용이드는 펌프 시스템을 필요로 하며, 상기에서 기술된 효과가 발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쇄빙선은, 선회항행 또는 쇄빙시에 다단한 얼음내에 쇄빙에 의해 형성된 항로로부터 회전방향에 따른 위치로 벗어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 4항에 있어서는, 선체 후부가 얼음에 형성된 항로내에서 확실하게 여유를 갖는데, 이는 선체 후부의 협소한 부분에 의해 달성된다.
특허청구범위 제 5항에 있어서는, 선체 측벽의 발코니 모양의 부분도 또한 단단한 얼음에서의 항로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촉진시키고, 회전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서의 부가적인 쇄빙 효과를 발생시킨다.
특허청구범위 제 6항에 있어서, 제 2쇄빙수단에 의해 부숴진 얼음은 제 1쇄빙수단에 의해 부숴진 얼음의 반출과는 무관하게 프로펠라내에 또는 얼음에 형성된 항로내에 모이지 않도록 반출된다.
[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표기되어 있다. 부호(S)는 쇄빙선을 표시하며, 그 쇄빙선(S)은 그것의 쇄빙기능에 의해 형성된 얼음표면(E ; 해칭선으로 표시됨)의 항로(R)내에 있다.
쇄빙선(S)의 선수는 선수외판(1)에 의해 형성되며, 전방을 향해 경사지고 상방으로 연장된 상선(箱船; 네모난 배) 형상의 선수부분(2)의 전방부 종단을 형성한다. 제 1도 및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부분(2)의 측면(3, 3')은 실제로 수직하고 또한 선체 종축(4)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며, 또한 제 5도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수부분(2)의 측면(3, 3')은 실제로 만곡되어 있으며, 또한 둥근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선 형상의 선수부분(2)의 측면(3, 3')에는, 흘수선(W)의 범위내에 제 1쇄빙수단(5, 5')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쇄빙수단(5, 5')은 절취된 각을 지니고 있다.
선수부분(2)에 연속하여 선체(S)는 그 양측면에 협소한 요부(6, 6')를 지닌다. 그 협소한 요부(6, 6')의 깊이 및 길이는 쇄빙선(S)이 선회항행할때, 가능한한 작은 선회원 반경(τi)을 부여하며, 그것에 의해 우수한 기동성을 얻을 수 있도록 규정된다.
협소한 요부(6, 6')에 연속하고, 선미를 향해 연장하는 선체(S)의 측벽(7)은, 제 2도 및 제 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실제로 선체 종축(4)에 대해 평행하게 되어 있다.
선체(S)에서의 협소한 요부(6, 6')의 선미를 향하여 만곡된 부분에는 제 2쇄빙수단(9, 9')이 형성되어 있다. 제 2쇄빙수단(9, 9')도 제 1쇄빙수단(5, 5')과 마찬가지로 절취된 각을 지니며, 또한 흘수선(W)의 범위내에 위치한다. 제 2쇄빙수단(9, 9')은 선체의 폭(B)을 넘어 돌출하지 않는다.
또한 제 1-3도에 있어서, 선체(S)에서의 협소한 요부(6, 6')에 연속하는 측벽(7, 7')은 그 측면에 발코니 모양의 부분(10, 10')을 지닌다. 이것은 특히 제 3도의 개략적 단면도에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다. 발코니 모양의 부분(10, 10')의 하측부분은 아래로부터 위로 향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하며, 흘수선(W)을 횡단한다.
이것에 의해 발코니 모양의 부분의 하측부분은, 쇄빙선의 선회항행시에, 경사진 쇄빙수단으로서 작용한다. 통상, 선체(S)의 아래측에 위치하고 선미를 향해 분할된 후크형상의 부분에 부가하여 선저부설(船底部楔)로 불리우는 쐐기형 부분(11, 11')과 선저 만곡부설로 불리는 쐐기형 부분(12, 12')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쐐기형 부분은 협소한 요부(6, 6')에 연속하여 있으며, 또한 선미를 향해 개방된 쐐기형상을 지닌다.
선저 만곡부설로 불리우는 쐐기형 부분(12, 12')은 선저부설로 불리우는 쐐기형 부분(11, 11') 보다도 높은 수준에 위치하며, 제 2쇄빙수단(9, 9')에 의해 부숴진 얼음더미를, 얼음에 형성된 항로(R) 및 프로펠러 영역으로부터 배제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보조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제 4도에 도시된 변형예에 있어서, 선미부분은 홀수선(W)은, 선미(8)에 대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그 윤곽은 선미(8)의 협소하지만 실제로 선회원의 기하학에 적합하도록 선택된다.

Claims (6)

  1. 선체의 선수부분이 그 선체에 흘수선의 범위내의 양측면에 제 1의 쇄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의 쇄빙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간격을 두고 제 2쇄빙수단이 배치되며, 상기 2개의 쇄빙수단 사이의 선체 벽면영역이 선체의 내측 선회원의 수직선에 실제로 적합하도록 선체 후부에 배치되는 쇄빙선(碎氷船)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쇄빙수단(9, 9')의 측부는 선체(S)의 폭(B)을 넘지않도록 제한되며, 상기 선체 후부에 배치된 2개의 쇄빙수단 사이의 선체 벽면 영역은 상기 선체(S) 내측으로 협수한 요부(6, 6')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쇄빙수단(9, 9')은 상기 쇄빙선의 선회원의 정점(M) 영역에서 상기 선체의 협소해진 부분의 길이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쇄빙수단(9, 9')은 상기 흘수선(W)의 범위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선.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후부는 선미(8)를 향해 협소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선.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S)의 측벽(7, 7')은 상기 협소한 요부(6, 6')에 연속하여 연장하며, 부분적으로 발코니 모양의 부분(10, 10')을 형성하며, 상기 발코니 모양의 부분(10, 10')은 상기 흘수선(W)내로 경사진 쇄빙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선.
  6. 제 5항에 있어서, 쐐기형 부분(11, 11', 12, 12')을 구비하며, 상기 쐐기형 부분(11, 11', 12, 12')은 상기 제 1쇄빙수단(5, 5') 및 상기 제 2쇄빙수단(9, 9')과 관련하여 상기 쐐기형 부분(11, 11')이 상기 쐐기형 부분(12, 12')보다 깊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선.
KR1019920000495A 1991-01-16 1992-01-15 쇄빙선 KR100215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101034A DE4101034A1 (de) 1991-01-16 1991-01-16 Eisbrechendes schiff
DEP4101034.5 1991-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684A KR920014684A (ko) 1992-08-25
KR100215087B1 true KR100215087B1 (ko) 1999-08-16

Family

ID=642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495A KR100215087B1 (ko) 1991-01-16 1992-01-15 쇄빙선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231944A (ko)
JP (1) JP3306083B2 (ko)
KR (1) KR100215087B1 (ko)
CN (1) CN1027149C (ko)
CA (1) CA2059564C (ko)
DE (1) DE4101034A1 (ko)
FI (1) FI111925B (ko)
FR (1) FR2671533B1 (ko)
GB (1) GB2251826B (ko)
NO (1) NO180077C (ko)
PL (1) PL293198A1 (ko)
RU (1) RU2041121C1 (ko)
SE (1) SE507653C2 (ko)
UA (1) UA23018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8121B (fi) * 2005-11-08 2007-07-13 Mobimar Oy Menetelmä jään murtamiseksi, moottorikäyttöinen alus ja sen käyttö
CN103231780B (zh) * 2013-05-23 2015-08-12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研究所 一种冰区工作船
CN108928441A (zh) * 2018-06-12 2018-12-04 嘉兴市禾东船业有限责任公司 一种海上航行船体的破冰系统
CN112660313A (zh) * 2021-03-17 2021-04-16 张明华 一种海洋探测用极地破冰船载机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12333A1 (de) * 1971-03-15 1972-09-21 Weser Ag Frachtschiff fuer Fahrtrouten in Eis
US3850125A (en) * 1971-09-24 1974-11-26 Global Marine Inc Icebreaking
DE2212147A1 (de) * 1972-03-14 1973-09-27 Weser Ag Eisbrechende vorschiffsform
DE2241840A1 (de) * 1972-08-25 1974-03-07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Heckkonstruktion fuer eisbrecher
US4326476A (en) * 1979-12-17 1982-04-27 Upper Lakes Shipping Ltd. Navigation in ice covered waterways
GR77123B (ko) * 1981-11-05 1984-09-07 Thyssen Nordseewerke
SE462480B (sv) * 1987-02-23 1990-07-02 Goetaverken Arendal Ab Isbrytande fartyg
EP0281653B1 (de) * 1987-03-10 1992-02-19 Thyssen Nordseewerke GmbH Eisbrechendes Schiff
DE8802053U1 (de) * 1988-02-18 1989-06-15 Thyssen Nordseewerke GmbH, 2970 Emden Eisbrechendes Schif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31944A (en) 1993-08-03
PL293198A1 (en) 1992-09-21
UA23018C2 (uk) 1998-06-30
NO914976L (no) 1992-07-17
CA2059564C (en) 2000-05-02
FR2671533B1 (fr) 1993-06-25
NO914976D0 (no) 1991-12-17
CN1027149C (zh) 1994-12-28
NO180077C (no) 1997-02-12
FR2671533A1 (fr) 1992-07-17
FI920178A0 (fi) 1992-01-15
GB9200577D0 (en) 1992-03-11
CA2059564A1 (en) 1992-07-17
FI920178A (fi) 1992-07-17
KR920014684A (ko) 1992-08-25
JP3306083B2 (ja) 2002-07-24
SE9200080D0 (sv) 1992-01-13
GB2251826A (en) 1992-07-22
DE4101034A1 (de) 1992-07-23
FI111925B (fi) 2003-10-15
CN1063654A (zh) 1992-08-19
SE507653C2 (sv) 1998-06-29
RU2041121C1 (ru) 1995-08-09
SE9200080L (sv) 1992-07-17
JPH04303097A (ja) 1992-10-27
NO180077B (no) 1996-11-04
GB2251826B (en) 1995-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7216B1 (ko) 쇄 빙 선
KR100493510B1 (ko) 쇄빙(碎氷)방법및쇄빙선(碎氷船)
SU1308188A3 (ru) Судно дл плавани в открытом море и покрытом льдом бассейне
KR930009037B1 (ko) 선각(船殼)
KR100215087B1 (ko) 쇄빙선
FI85967B (fi) Isbrytare.
US5588388A (en) Hull shape of small watercraft
RU2062245C1 (ru) Ледокол
US5125352A (en) Boat hull with bottom sloping upwardly and rearwardly between sponsons
JP2825631B2 (ja)
US5325803A (en) Icebreaking ship
JP4441637B2 (ja) 砕氷船および砕氷方法
JP4850333B2 (ja) 砕氷船及び船型改良法
KR920001621B1 (ko) 쇄빙선
SU903243A1 (ru) Ледокольный комплекс судов
FI75772B (fi) Fartygs bottenkonstruktion.
FI74672C (fi) Fartygsskrov.
KR940008164B1 (ko) 선박의 조종성을 향상시킨 쇄빙선
WO1998038078A1 (en) Boat hull
FI110251B (fi) Jäätä murtava laiv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