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335B1 - 공기 타이어용 트레드 - Google Patents

공기 타이어용 트레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335B1
KR100212335B1 KR1019910007928A KR910007928A KR100212335B1 KR 100212335 B1 KR100212335 B1 KR 100212335B1 KR 1019910007928 A KR1019910007928 A KR 1019910007928A KR 910007928 A KR910007928 A KR 910007928A KR 100212335 B1 KR100212335 B1 KR 100212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d
block
low
tire
stiff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7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809A (ko
Inventor
프랑세스 레옹 퐁텐 쟝
Original Assignee
스위셔 케드린 엠
더 굿이어 타이어 앤드 러버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위셔 케드린 엠, 더 굿이어 타이어 앤드 러버 캄파니 filed Critical 스위셔 케드린 엠
Publication of KR910019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3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6Patterns comprising block rows or discontinuou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2Tread patterns directional pattern, i.e. with main roll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81Blind or isolated grooves
    • B60C2011/0383Blind or isolated grooves at the centre of the t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86Continuous ribs
    • B60C2011/0388Continuous ribs provided at the equatori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0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 B60C2011/12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sinusoidal or zigzag at the tread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S152/03Slits in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타이어 트레드(2)는 다양한 강성 특성을 갖춘 블럭(21, 22, 23, 24)과 리브(12)를 갖는다. 상기 강성 특성은 상기 블럭 및, 또는 리브의 반경방향 높이와 상기 블럭 및, 또는 리브의 슬로트의 조밀도에 따라 각기 다른 기능을 한다.

Description

공기 타이어용 트레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트레드를 구비한 타이어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트레드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을 따라 취한 트레드의 단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변형된 트레드 패턴의 실시예의 부분 확대도.
제6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타이어의 블럭 요소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내지 7 : 직선홈 3, 8 : 직선형 슬롯
9,10,11,14,15,16 : 블럭열 12 : 리브
13 : 비드 19 : 횡단 좁은 홈
21 내지 24 : 저강성 블럭 요소 31 내지 33 : 횡단 연장 홈
20, 25 : 고강성 블럭 요소 48 : 지그재그형 중심 홈
본 발명은 공기 레이디얼 타이어용 트레드에 관한 것이다.
공기 타이어의 트레드부는 대체로 탄성 중합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중합 물질은 접지 고무 요소를 규정하는 다수의 홈을 그 내부에 가지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의 각각의 크기 및 형상은 타이어의 전체 성능에 현저한 영향을 미친다. 타이어는 대체로 특별한 성능, 예를들면 겨울철과 같은 때에 높은 견인력 또는 고속 성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하나의 특정 성능 특성을 획득한다는 것은 또다른 하나의 특정 성능을 잃어버리는 것과 같다. 예를 들면, 훌륭한 동절기 성능의 성취는 안락한 승차간의 감소라는 댓가를 얻게 되며, 타이어의 훌륭한 건조기 견인력은 동절기 성능을 감소시켜야 얻어지게 된다.
운행 기간중 타이어의 적합한 사계절 성능과 하절기용 타이어에서 요구되는 소음 및 조작 특성을 제공하는 트레드 패턴이, 예를 들면, 유럽 특허 출원 제 0 139 606호에 개시되어 있다.
사계절형 타이어 특성을 성취하기 위해, 낮은 원주 방향 강성을 보여주는 트레드 설계가 통상 선택되는바, 이는 상기 설계가 서로 다른 계절하에서도 보다 균일한 작용을 하는 타이어를 유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강성 트레드 설계는 전륜(front wheel) 구동차에서는 특별한 문제점이 생기게 되는데, 이는 전륜 구동차가 제동 및 코너링시 전륜축상에 고부하 이송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제동 및 코너링시 상기 트레드 블럭 요소는 넓은 폭의 축방향 및 원주방향 힘하에서 작동해야만 한다. 전륜 구동차의 고부하 이송과 연관되는 고마찰면상에서, 사계절용 트레드 설계의 고블럭 변형성으로 인하여, 기존의 사계절형 타이어는 고마찰면상에서 하절기형 타이어와는 반대로 타이어로서의 기능을 겨우 수행한다.
프랑스 공화국 특허 제 1 214 717 호는 돌기형 블럭 요소를 구비한 트레드 패턴을 제공함으로써 도로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돌기형 요소는 탄성체와 같은 작용을 하는 것으로 설명되는바, 무거운 하중에 의해 압축된 돌출부는 도로 표면의 작은 구멍속으로 들어가서 타이어의 그립(grip)을 향상시킨다.
축방향에서 트레드의 정중앙부가 양측 트레드 요소 보다 더욱 부드럽고 탄력있는 고무로 만들어졌다는 것이 또한 알려져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1,664,352 호에 개시된 바에 따르면, 이러한 구조가 보다 좋은 도로 접착력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범위한 조작 상태하에서 보다 균일한 조작 조건을 갖는 사계절형 타이어 트레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고마찰 도로면상에서 양호한 그립을 수행하는 한편 저마찰 도로면상에서도 적절한 그립을 유지하는 트레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타이어 트레드에 의해 성취된다.
트레드의 강성은 부하가 걸린 상태하의 타이어 자국으로 측정되며, 대체로 원주방향(길이방향 강성) 또는 축방향(측방향 강성)을 따라 측정된 강성 치수이다. 하절기용 타이어의 트레드 요소의 강성과 같은 고강성 트레드 요소의 강성은 동절기용 타이어의 트레드 요소의 강성과 같은 저강성 트레드 요소의 강성보다 3 내지 6배 높다. 본 설명을 위하여, 단지 세로방향의 강성만을 고려한다. 동절기용 타이어의 트레드 요소의 세로방향 강성 범위는 통상 150 내지 300kg.F/m이다. 선행 기술인 사계절용 타이어의 트레드 요소는 300 내지 800kg.F/m 으로서 통상 500 kg.F/m정도의 세로방향 강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도로 표면상태와는 관계없이 가장 균일하게 작용하는 공기 타이어가 제공된다. 이러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고강성 및 저강성 트레드 요소가 하나의 트레드 패턴으로 결합된다. 트레드 표면상에 고 및 저강성 요소를 분배하는 경우, 자국내의 압력 분포는 자국의 폭을 가로질러 변화한다는 것을 명심해야만 한다. 즉, 압력은 대체로 숄더부에서 높으며, 타이어의 중심부에서 약간 낮으며, 양쪽의 중간부에서 가장 낮다. 저강성 트레드 요소를 상기 중간부에 넣고, 상기 요소에 돌기형 돌출부를 만들어서, 타이어 자국내에 보다 균일한 압력 분포가 생기도록 한다. 많은 수의 요인이 직진 및 자유 구름 타이어의 트레드 마멸을 결정하지만, 그중에서도 타이어 표면과 도로사이에서 가장 높은 상대 운동이 발생하는 장소가 트레드 마멸에 있어서는 중요한 요인인다. 본 발명에 따라 보다 균일하게 분포된 타이어의 압력은 보다 작은 미끄럼 운동을 유발시킴으로써, 트레드가 보다 느리게 마멸되도록 한다.
숄더부에서의 고압은 트레드 밴드와 측벽사이의 과도적 상태에 기인한다. 강성 트레드 요소가 상기 숄더부에 박혀 있으므로, 반경방향 및 세로방향 힘의 대부분은 고마찰 도로 표면상에서 이들 요소들에 의해 흡수되며, 한편 돌기형의 저강성 블럭 요소는 구부러져서 타이어의 전체적 그립 및 조작 특성을 감소시키도록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저마찰 도로 표면에서, 상기 돌기형의 가요성 요소는 타이어의 적절한 그립을 유지시키며 타이어가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정교함이 블럭 요소내의 슬롯의 각도에서 보여질 것이다. 제동, 견인 및 측방향 가속 작용중에 부하이송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슬롯각의 적도면에 대하여 30°내지 60°의 각도를 이루도록 적절하게 기울어진다. 상기 적도면(EP)은 타이어의 직각인 면으로서 트레드의 중심을 지나는 면으로 규정된다.
게다가, 저강성 블럭 요소의 강성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해, 인접한 슬롯사이의 간격은 같은 블럭 요소내에서도 변화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정중앙의 슬롯은 블럭의 가장자리 근처에 위치한 슬롯보다 더 좁게 이격된다는 점이다. 슬롯의 간격이 각기 다른 상태의 블럭요소를 서로 인접되게 제공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저소음레벨은 별문제라 하더라도, 타이어 작용이 보다 균일하게 나타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이익이 될 것이다.
타이어의 전체 수명기간 동안에 고 및 저강성 요소의 동등한 마멸을 보장함으로써 타이어의 특성 효과를 완전히 수행하기 위해, 전륜축 및 후륜축사이에 균등하게 분포되는 견인력을 갖는, 즉 4륜 구동차(four wheel drive)에 타이어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사전 지식을 주기 위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여기에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청구범위에서 규정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와 청구범위에 사용된 바에 따르면, 적도면은 타이어의 회전축에 직각인 면으로서 트레드의 중심을 지나는 면을 의미한다. 반경방향의 및 반경방향으로라는 용어는 타이어의 회전축에 직각인 방향에 적용되는 것을 의미하며, 축방향의 및 축방향으로라는 용어는 타이어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의 선에 적용되는 것을 의미하며, 측방향의 및 측방향으로 라는 용어는 타이어의 하나의 측벽에서 다른 측벽을 향해 나아가는 방향에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홈이라는 용어는 트레드안에 길다란 형상으로 파여진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원주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직선, 곡선, 또는 지그재그방식으로 연장되며; 후술하는 패턴의 원주방향 및 측방향으로 연장된 홈은 공유부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홈은 넓은, 좁은 또는 슬롯으로 세분된다. 넓은 홈의 폭은 통상 트레드 폭의 3보다 큰데 반하여 좁은 홈의 폭은 트레드 폭의 약 0.8내지 3범위이다. 슬롯의 홈의 폭은 트레드 폭의 약 0.2내지 0.8범위이다. 슬롯은 통상 주물 또는 주형 틀내에 삽입된 강철 칼날에 의해 형성되며; 그 폭이 대단히 좁기 때문에, 그것들은 하나의 선으로서 도시된다. 트레드 폭(TW)은 트레드를 가로지르는 가장 큰 축방향 거리로서 규정된다. 상기 트레드 폭은 타이어가 타이어에 맞추어 설계된 림(rim)상에 장착되었을 때 설계 하중을 기준으로, 상기 하중만큼 설계 압력을 높인 상태에서, 타이어의 자국으로부터 측정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또다른 타이어 치수는 모두 다음과 같은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즉 타이어에 맞추어진 림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어떤 특정의 하중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그때의 하중에 적합한 팽창 압력만큼 높여져 있는 타이어에 적용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띠형 타이어 트레드 뿐만 아니라 새로운 타이어 및 재생 타이어에도 적용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띠형 타이어 트레드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가황처리되어 있으면서 홈 및 돌기형 요소가 일체의 패턴을 갖는 타이어를 말한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이디얼 타이어 및 트레드부가 도시되어 있다. 타이어(1)는 레이디얼 구조체로서 승용차용으로 설계되었다. 접지부(2)는 4개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직선홈(4 내지 7)과 2개의 일련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슬롯(3, 8)을 포함한다. 몇 개의 홈 및 슬롯이 트레드 표면을 가로질러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트레드를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블럭열(9 내지 11) 및 (14 내지 16)과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리브(12)로 나눈다.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슬롯(3, 8)은 저강성 요소열(10, 15)을 트레드(2)의 측면에 있는 고강성 숄더 블럭열(9, 16)로부터 분리시키며, 트레드는 상기 슬롯에서 한쌍의 측벽과 합치되는바, 상기 한쌍의 측벽은 상기 트레드로부터 내측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비드(13)에서 종결된다.
두 개의 정중앙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홈(5, 6)은 고강성 중앙리브(12)를 규정하며, 축방향 폭(RW)을 가지며 적도면(EP)의 양측상에서 대체로 같은 거리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중앙 리브의 폭(RW)은 트레드부와 맞닿은 접지면의 트레드 폭(TW)의 약 7내지 25의 범위를 갖는다. 상기 중앙 리브(12)는 복수개의 반각 횡단 좁은 홈(19)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반각 횡단 좁은 홈(19)은 두 개의 정중앙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홈(5, 6)에서 시작되어 상기 중앙 리브를 단지 일부분만 횡단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홈(5, 6)중의 하나로부터 시작된 횡단 좁은 홈(19)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홈(5, 6)의 다른 하나로부터 시작된 횡단 좁은 홈과 원주방향을 따라 번갈아가며 파여진다.
블럭열(11, 14)은 중앙 리브의 양측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블럭 요소(22, 23)를 포함하며, 일련의 횡단 연장 홈(32, 33)에 의해 나눠진다. 상기 일련의 횡단 연장 홈(32, 33)은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홈(4, 5, 6, 7)과 각기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홈(4, 5, 6, 7)은 블럭열의 경계선 역할을 한다. 상기 횡단 연장 홈들은 타이어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되는 방식으로 배열되며, 그 폭과 경사는 피치변화에 따라 바뀔 수 있으며, 원상태 그대로 소음 감소용 산업부문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들면, 제1도 및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횡단연장 홈(31, 32, 33)은 세 개의 레그부를 갖는 지그재그형 홈일 수 있으며, 제1 및 제3 레그부는 적도면과 30°내지 60°사이의 각도를 형성하며, 제2 레그부는 적도면과 평행하다. 상기 중간열(11, 14)의 블럭 요소(22, 23)는 돌기형의 저강성 요소로서, 상기 트레드 폭(TW)의 8내지 20사이의 범위인 축방향 폭(LW)을 갖는다. 상기 블럭 요소의 강성은 평행 슬롯의 숫자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슬롯은 블럭의 반경방향 최외각면에서 사이의 슬롯 길이를 갖는 표면 밀도와 상기 블럭 체적 사이의 슬롯 면적을 갖는 체적 밀도를 갖는다.
저강성 요소의 반경방향 높이 대(VS) 강성 중앙리브(12)의 반경방향 높이의 차이는 8내지 18사이에 포함되는데, 그 중 약 12정도가 바람직하며(제3도 참조); 바꿔 말하면 고강성 요소가 저강성 요소의 반경방향 높이의 약 88의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적도면(EP)에 대하여 약 45°정도의 각도를 갖는다. 우선적으로, 제동, 견인 및 측방향 작용력하에서 자동차가 향상된 부하이송 능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슬롯 방위각은 상기 적도면에 대하여 30°내지 60°사이의 각을 가져야 한다.
저강성 블럭요소의 중간열(11) 및 (14)과 고강성 숄더 블럭요소의 열(9) 및 (16)의 사이에는 저강성 블럭의 제2열(10) 및 (15)의 세트가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위치된다. 여러개의 블럭요소(21, 24)가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4, 7) 및 슬롯(3, 8)과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홈(31, 34)에 의해 규정된다.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롯(3, 8)은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4 내지 7)의 깊이의 40내지 60사이의 깊이 범위를 갖는다.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열의 제2 세트의 블럭(21, 24)은 같은 축방향 폭(LW) 및 같은 형상을 갖는바, 이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열의 제1 세트의 블럭(22, 23)과 같다는 말이다.
열(9) 및 (16)의 숄더 블럭은 각각 블럭요소(20) 및 (25)를 포함하며, 상기 블럭요소(20) 및 (25)는 횡단연장 홈(30) 및 (35)에 의해 나눠지며, 상기 횡단연장 홈은 타이어의 적도면에 대하여 60°내지 90°사이의 각도를 갖지만, 75°내지 85°사이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고강성 블럭요소(25) 및 (26)는 각각 폭(HW)을 갖는바, 상기 폭은 상기 트레드 폭(TW)의 10내지 25사이이다.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좁은 홈(36) 및 (37)은 상기 트레드의 각 축방향 가장자리부에 위치되며, 상기 고강성 블럭요소(20) 및 (25)를 상기 숄더부로 부터 분리시킨다.
각각의 고강성 블럭(20, 25)은 하나의 단일 슬롯(28, 39)을 포함하며, 상기 슬롯은 상기 블럭중 단지 하나의 가장자리 쪽으로만 연장되는바, 이는 적절한 조작 및 마멸 특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횡단 슬롯(38) 및 (39)은 바람직하게도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각각의 좁은 홈(36) 및 (37)으로 부터 시작되며, 인접한 횡단 연장 홈(30, 35) 사이에서 반정도만 파여진다.
제2도에 도시된 고 및 저강성 요소들의 분포는 상기 중간요소에 작용하는 힘을 감소시켜, 결국 타이어의 중심부 및 숄더부상에 부하를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된 부하 이송 감응도가 성취된다.
제4도에는 방향성이 있는 트레드 패턴을 갖는 본 발명의 지침에 따라 제조된 타이어의 트레드부가 도시되어 있다. 두 개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41) 및 (42)이 돌기된 저강성 중심부(43)를 두열의 고강성 숄더 블럭(44) 및 (45)으로 부터 분리시킨다. 상기 트레드는 일련의 측방향 연장 홈(46) 및 (47)을 갖는바, 상기 홈은 중심에서 협력하여 지그재그형 중심 홈(48)을 규정하는 교차부를 갖는다. 상기 측방향 연장 홈(46) 및 (47)은 숄더 블럭열(44) 및 (45)을 통해 연장되는 경로를 따라 가는바, 상기 경로는 상기 적도면으로부터의 축방향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상기 적도면에 대한 각도가 접차적으로 증가되도록 놓여진 것이다. 상기 저강성 중심부(43)는 상기 지그재그형 홈(48)에 의해 저강성 블럭의 제1 및 제2열(49A, 49B)로 나누어지며, 상기 저강성 블럭에는 많은 수의 슬롯이 파여진다. 상기 제 1 열(49A)의 블럭내의 슬롯과 상기 2 열(49B)의 블럭내의 슬롯은 70°내지 90°사이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5도에도 하나의 트레드부가 도시되는바, 상기 트레드부는 다이아몬드형의 블럭(51, 52, 53)의 배열을 포함한다. 인접한 블럭들의 측방향 가장자리부는 일련의 제1 및 제 2홈(54, 55)을 규정하며, 상기 홈은 상기 트레드를 대각선으로 교차하여 연장된다. 상기 일련의 제 1홈(54)과 상기 일련의 제2 홈(55)은 60°내지 90°사이의 각도를 갖는다.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정중앙열의 블럭(51)은 측방향 인접한 두열의 블럭과 마찬가지로 많은 수의 평행한 슬롯을 구비하고 있다. 정중앙열의 블럭내의 슬롯은 인접한 두열의 블럭내의 슬롯과 60°내지 90°사이의 각도를 갖는다. 상기 트레드의 숄더부내의 열은 고강성 블럭(52) 및 (53)을 포함하며, 상기 고강성 블럭은 상기 저강성 블럭(51) 보다 10정도 작은 반경방향 높이를 갖는다.
트레드 요소의 강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슬롯을 직선으로 만들 필요는 없고,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 형상으로 만들면 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두 슬롯의 인접한 슬롯 또는 인접한 부분이 평행할 필요는 없다. 둘 또는 그 이상의 평행한 슬롯의 조합은, 등간격으로 이격되었거나 안되었거나, 하나의 단일 블럭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7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두 세트의 슬롯 설계가 포함된다. 이러한 설계는 결국 블럭 요소의 보다 중립적인 작용을 유발시키며, 상기 블럭요소는 타이어의 측방향 힘이 고려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는 많은 수의 슬롯에 의해 성취된 저강성 블럭이 포함되지만, 강성을 낮추며 고무블럭의 그립(grip)을 향상시키는 또다른 방법이 본 발명을 이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8도에 그 예로서 저강성 고무 블럭이 도시되는바, 상기 저강성 고무블럭은 원형부를 구비한 구멍을 포함한다. 구멍밀도, 즉, 전체 블럭체적당 구멍체적은 8내지 15사이가 바람직하다. 구멍의 직경은 1 내지 3사이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제9도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타원형 단면을 갖는다. 이런 구멍들의 횡단면 주축은 상기 타이어의 적도면과 약 30°내지 60°사이의 경사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인접한 블럭내의 상기 구멍의 횡단면 주축은 갖는 경사도를 갖지 않는다. 상기 적도면에 대한 블럭내의 상기 구멍의 주축의 경사도는, 예를들면, 상기 적도면으로 부터 상기 블럭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증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하나의 블럭의 구멍의 주축 경사도는 인접한 블럭의 구멍의 주축 경사도와 45°내지 90°사이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강성 및 고강성 블럭요소는 기본적으로 동일 조성물질로 제조되며, 상기 블럭요소에서 요구되는 물리적 특성차는 단지 주형 매트릭스의 적절한 설계의 변경을 통해서만 얻어지는 것이다. 상기 트레드에 다른 탄성중합 화합물을 사용한다고 해도 그 역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날 수 없음은 물론이다. 예를들면, 가황처리된 상태에서 쇼어 A 경도 50 내지 60 사이의 범위를 갖는 탄성중합 화합물은, 비가황처리 타이어상에 위치될 수 있는바, 그곳의 저강성 블럭요소는 상기 주형내에서 설계된 것인 반면, 가황처리된 상태에서 쇼어 A 경도 65 내지 75 사이의 범위를 갖는 탄성중합 화합물도 역시, 비가황처리 타이어상에 위치될 수 있는바, 그곳의 고강성 블럭요소도 역시 상기 주형내에서 설계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비가황처리 타이어를 효율적으로 조합하기 위한 트레드 설계에 있어, 상기 고강성 요소를 상기 저강성 요소로 부터 분리시키는 것은 직선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탄성중합 화합물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바, 상기 탄성중합 화합물은 쇼어 A 경도 50 내지 60 사이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저강성 블럭요소가 요구되는 물리적 특성을 갖도록 그리고 상기 탄성 중합물질내에 함침되도록 적용되어, 상기 탄성중합물질내에서 금속성 또는 비금속성 섬유 조직인 상기 고강성 블럭요소가 형성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 매트릭스 물질은 짧은 길이의 세분된 섬유질로 흩뜨려진다. 세분된 섬유질은 복수개의 섬유근을 구비한 몸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섬유근은 몸통부로 부터 외향 연장되며 대체로 상기 몸통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바, 상기 몸통부는 복수개의 섬유근이 연장되는 매트릭스이다. 섬유질로서 바람직한 것은 아라미드 섬유로서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2 내지 5정도의 평균 길이 범위를 갖는다. 이런 종류의 세분된 섬유조직을 포함하는 타이어 트레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출원이 소유한 미합중국 특허 제 4,871,004호에 개시되어 있다.

Claims (10)

  1. 공기 타이어용 트레드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는 탄성 중합물질로 제조되며, 상기 트레드는 중앙부 및 두 개의 측방향부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측방향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강성 블럭열을 규정하는 홈을 그 내부에 가지며, 상기 중앙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강성 블럭열을 규정하는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저강성 블럭은 상기 고강성 블럭의 반경방향 높이보다 8내지 18정도 더 높은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용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a) 각각의 측방향부는 하나의 고강성 블럭열 및 하나의 저강성 블럭열을 포함하며, 상기 고강성 블럭은 적도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가장 멀리 떨어져 있고 그리고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형 슬롯 또는 홈에 인접한 저강성 블럭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b) 상기 중앙부는 상기 적도면의 양측선상의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고강성 중앙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리브의 한쪽 측면상에서 저강성 블럭열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 홈에 의해 중앙 리브 및 측방향부로부터 분리되며, c) 상기 중앙부는 상기 트레드폭의 20내지 50사이의 축방향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용 트레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강성 블럭은 세 개의 레그부를 갖는 지그재그형 홈에 의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레그중 제 1 및 제 3 레그는 상기 적도면에 대하여 30°내지 60°사이의 각도를 형성하며, 제 2레그는 상기 적도면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용 트레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 블럭은 상기 적도면에 대하여 70°내지 85°의 각도를 형성하는 홈에 의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용 트레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강성 및 상기 고강성 블럭의 탄성 중합물질은 동일하며, 상기 저강성 블럭은 슬롯을 갖고, 상기 슬롯은 블럭 체적당 적어도 3.5의 체적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용 트레드.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저강성 블럭은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평행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용 트레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강성 및 상기 고강성 블럭의 탄성 중합물질은 동일하며, 상기 저강성 블럭은 그 내부에 구멍을 가지며, 상기 구멍의 단면은 타원형이며 적어도 8의 체적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용 트레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강성 블럭은 가황처리된 상태에서 쇼어 A 경도 50 내지 60 사이의 범위인 탄성 중합물질로 제조되며, 상기 고강성 블럭은 가황처리된 상태에서 쇼어 A 경도 65 내지 75 사이의 범위인 탄성 중합물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용 트레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강성 블럭은 가황처리된 상태에서 쇼어 A 경도 50 내지 60 사이의 탄성 중합물질로 제조되며, 상기 고강성 블럭은 가황처리된 상태에서 쇼어 A 경도 50 내지 60 사이의 범위인 탄성 중합물질로 제조되며 그 내부에 분산된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용 트레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조직은 세분된 아라미드 섬유 조직이며, 상기 아라미드 섬유 조직은 2 내지 5사이의 평균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용 트레드.
KR1019910007928A 1990-05-17 1991-05-16 공기 타이어용 트레드 KR100212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2461690A 1990-05-17 1990-05-17
US524,616 1990-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809A KR910019809A (ko) 1991-12-19
KR100212335B1 true KR100212335B1 (ko) 1999-08-02

Family

ID=24089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7928A KR100212335B1 (ko) 1990-05-17 1991-05-16 공기 타이어용 트레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343918A (ko)
EP (1) EP0456949B1 (ko)
JP (1) JP2854432B2 (ko)
KR (1) KR100212335B1 (ko)
AU (1) AU638126B2 (ko)
CA (1) CA2023538C (ko)
DE (1) DE6901389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00134B (de) * 1991-11-28 1995-10-25 Semperit Ag Fahrzeugluftreifen mit einem laufflächenprofil
US5957179A (en) * 1993-11-03 1999-09-2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having improved wet traction
JP2966748B2 (ja) * 1994-03-08 1999-10-2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H08104111A (ja) * 1994-10-06 1996-04-23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IT1275552B (it) * 1995-07-14 1997-08-07 Pirelli Pneumatico polivalente per autoveicoli
DE19650655C2 (de) * 1996-12-06 2000-08-24 Continental Ag Fahrzeugreifen mit Einschnitten im Laufstreifen
JP3714761B2 (ja) * 1997-03-18 2005-11-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3204926B2 (ja) * 1997-06-17 2001-09-04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US6439284B1 (en) * 1997-10-03 2002-08-2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read for a pneumatic tire including aquachannel
JP3822338B2 (ja) * 1997-11-19 2006-09-2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3788866B2 (ja) * 1998-06-04 2006-06-2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の高速ユニフォミティの高次成分予測方法及び装置並びにタイヤの製造方法
KR100539149B1 (ko) * 1998-12-31 2006-03-1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승차감과고속주행성능을향상시킨승용차용타이어
USD433355S (en) * 1999-10-19 2000-11-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tread
US6800234B2 (en) 2001-11-09 2004-10-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making a molded polymeric article
US7703179B2 (en) * 2001-11-09 2010-04-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replicated surface
EP1372049A1 (fr) * 2002-06-13 2003-12-17 Société de Technologie Michelin Méthode d'asservissement, utilisable notamment pour maintenir le glissement d'un pneu à un niveau optimal pour qu'il fonctionne à un niveau de coefficient d'adhérence maximal
FR2841827A1 (fr) * 2002-07-04 2004-01-09 Michelin Soc Tech Estimation de l'usure d'un pneu
JP3930391B2 (ja) * 2002-07-29 2007-06-1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DE10312488A1 (de) * 2003-03-20 2004-09-30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Fahrzeugreifen, insbesondere Winterreifen mit einem Laufstreifenprofil
US6968881B2 (en) * 2003-06-23 2005-11-2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including steeply slanted grooves, rib having sipes and blocks having sipes
US7222651B2 (en) * 2003-10-27 2007-05-29 Treadfx, Llc Tire for preventing rollover or oversteer of a vehicle
DE10360189A1 (de) * 2003-12-20 2005-08-04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Fahrzeugrad
ATE345249T1 (de) * 2004-01-16 2006-12-15 Michelin Soc Tech System zur stabilitätsregelung eines fahrzeugs mit mehreren prädiktiven algorithmen und einem auswahlprozess
KR20050075717A (ko) * 2004-01-16 2005-07-21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다른 매개 변수의 함수로써 편차의 평균 기울기를비교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제어하기위한 시스템
KR20050075708A (ko) * 2004-01-16 2005-07-21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소정 시간에 걸쳐 대표 매개변수의 편차를 분석한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제어하기 위한시스템
DE102005058363A1 (de) * 2005-12-06 2007-06-14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Laufstreifenprofil
DE102006041142B4 (de) * 2006-09-01 2009-04-02 Klaus-Dieter Matzel Sommerreifen mit geräuschminderndem Profil
JP4377934B2 (ja) * 2007-08-03 2009-12-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4377933B2 (ja) * 2007-08-03 2009-12-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394698B2 (ja) * 2008-11-06 2014-01-2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EP2698261B1 (en) * 2008-12-19 2016-03-16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Improved hydroplaning performance for a tire
US8170839B2 (en) * 2009-04-24 2012-05-01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Method of designing a tire tread
JP5421800B2 (ja) * 2010-01-18 2014-02-1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US9878508B2 (en) 2010-11-30 2018-01-3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tiffness enhanced tread element
JP5667614B2 (ja) * 2012-10-02 2015-02-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05848931B (zh) * 2013-12-24 2017-07-07 普利司通美国轮胎运营有限责任公司 具有可变深度的沟槽的轮胎
FR3044595B1 (fr) * 2015-12-03 2017-12-08 Michelin & Cie Geometrie de blocs d’une bande de roulement pour pneu.
JP6819110B2 (ja) * 2016-07-21 2021-01-2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JP6867121B2 (ja) * 2016-08-03 2021-04-28 Toyo Tire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825327B2 (ja) * 2016-11-22 2021-02-0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7009787B2 (ja) * 2017-06-08 2022-01-26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US11498368B2 (en) * 2017-10-27 2022-11-15 Shinji Marui Tire with enhanced tread
JP6969474B2 (ja) * 2018-03-26 2021-11-2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384271A (ko) * 1930-11-20
US2261025A (en) * 1939-03-08 1941-10-28 Us Rubber Co Pneumatic tire
DE2263455A1 (de) * 1972-12-27 1974-07-04 Barth Erich Laufflaechenprofilierung fuer fahrzeugreifen
US4319620A (en) * 1980-09-19 1982-03-1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having axially varying tread composition
FR2505265A1 (fr) * 1981-05-06 1982-11-12 Kleber Colombes Pneumatique routier de tourisme
JPS6116111A (ja) * 1984-06-30 1986-01-24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S61111804U (ko) * 1984-12-27 1986-07-15
JPS621603A (ja) * 1985-06-27 1987-01-07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S62122804A (ja) * 1985-11-25 1987-06-04 Yokohama Rubber Co Ltd:The 乗用車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EP0235072A2 (en) * 1986-01-29 1987-09-0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All-season pneumatic tire with improved tread stiffness
JPS62241709A (ja) * 1986-04-14 1987-10-22 Bridgestone Corp 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554256B2 (ja) * 1987-04-20 1996-11-1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のパタ−ン
US4871004A (en) * 1988-02-17 1989-10-0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Rubber containing aramid pulp reinforcement
JPH02299909A (ja) * 1989-05-15 1990-12-12 Toyo Tire & Rubber Co Ltd 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US5160385A (en) * 1989-08-08 1992-11-03 Bridgestone Corporation Heavy duty pneumatic ti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23538A1 (en) 1991-11-18
DE69013894D1 (de) 1994-12-08
AU7599091A (en) 1991-11-21
US5343918A (en) 1994-09-06
DE69013894T2 (de) 1995-04-20
EP0456949A1 (en) 1991-11-21
JP2854432B2 (ja) 1999-02-03
CA2023538C (en) 2000-01-11
KR910019809A (ko) 1991-12-19
AU638126B2 (en) 1993-06-17
JPH04231201A (ja) 1992-08-20
EP0456949B1 (en) 1994-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2335B1 (ko) 공기 타이어용 트레드
US5198047A (en) Winter type tire tread
KR100212334B1 (ko) 사계절용 타이어 트레드
US6116309A (en) Tread for a tire including five rib parts
US5388625A (en) Tire having tread with improved wear resistance
US5361815A (en) Tread for a tire with blocks and ribs
EP1363790B1 (en) Tyre tread for motor vehicles, particularly for snow-covered ground
US5361814A (en) Asymmetric tire
KR101066533B1 (ko) 오토바이용 한 쌍의 전후륜 공기압 타이어 및 상기 타이어 쌍이 설치된 오토바이의 습한 지면과 건조 지면 모두에서의 성능 향상 방법
US5445201A (en) Heavy duty pneumatic tires preventing uneven wearing
US6000450A (en) Studless tire
JP3177466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4798236A (en) High performance tire tread
US6079464A (en) Studless tire having lateral grooves
US6378583B1 (en) Heel and toe wear balancing
US5456301A (en) Tire tread with improved resistance to chunking
EP3017964A1 (en) An improved tread for a snow tire
WO2010116710A1 (ja) 空気入りタイヤ
JPH08324211A (ja) 空気入りタイヤ
EP2447091B1 (en) Tread for a vehicle tire
WO2002068221A1 (en) Directional tread pattern for winter tire
US4221254A (en) Tread for pneumatic tire
CN115916554A (zh) 汽车轮胎
US6843290B2 (en) Surface profile of the tread-pattern elements of a tread for a tire
EP0485884B1 (en) Sipes for tire tre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