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145B1 - 복수의 입력 비트를 갖는 n비트 비교기 - Google Patents

복수의 입력 비트를 갖는 n비트 비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145B1
KR100212145B1 KR1019960045701A KR19960045701A KR100212145B1 KR 100212145 B1 KR100212145 B1 KR 100212145B1 KR 1019960045701 A KR1019960045701 A KR 1019960045701A KR 19960045701 A KR19960045701 A KR 19960045701A KR 100212145 B1 KR100212145 B1 KR 100212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inverter
node
input
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043A (ko
Inventor
김중권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45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2145B1/ko
Publication of KR19980027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1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22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 H03K5/24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the characteristic being amplitude
    • H03K5/2472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the characteristic being amplitude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3K5/249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the characteristic being amplitude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using clock sig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ogic Circuits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n비트 제1입력신호(A)와 n비트 제2입력신호(B)를 각 비트별로 각각 비교하는 비교수단(100, 500)과, 상기 비교수단의 비트 비교 결과를 검출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EN)를 발생하는 인에이블 수단(250, 650)과, 상기 인에이블 신호(EN) 및 클록신호(CLK)를 제공받아 비트 비교 전에 비트 검출노드(Nd22)의 전위론 일정 레벨로 초기화시키는 초기화수단(200, 600)과, 상기 비트 검출노드(Nd22)와 접지전압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비교수단의 각 비트의 비교 값(Nd11)과 인에이블 신호(EN)에 각각 응답하여 비트 비교결과를 검출하는 검출수단(300, 700), 및 상기 검출수단의 비교 검출노드의 신호에 응답하여 최종출력단의 전압상태를 반전시켜 증폭하는 인버팅수단(350, 750)을 구비함으로써, 비교할 입력 비트가 증가할 때마다 배타적 논리게이트 셀만 추가하면 되므로 입력비트 확장에 따른 레이아웃의 변형이 용이하고, 종래와는 다르게 앤드게이트나 오아게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출력단을 구성함으로서 레이아웃 면적의 감소와 회로의 동작속도가 대폭 향상되는 복수의 입력비트를 갖는 n비트 비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수의 입력 비트를 갖는 n비트 비교기
본 발명은 복수의 입력 비트를 갖는 비트 비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작 속도의 향상과 레이아웃의 면적을 최소화한 복수의 입력 비트를 갖는 n비트 비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여러 비트의 입력을 가진 비트 비교기를 설계할 때, 일반적인 배타적 논리게이트(XOR, XNOR)나 조합적인 논리게이트를 사용하는 데, 배타적 논리게이트와 조합적인 논리게이트의 출력들을 앤드게이트로 연결하여 비트 비교기를 구성했으며 그 결과, 비트 비교기로 들어오는 입력 비트 수에 따라 회로 구성과 레이아웃의 확장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과 신호의 흐름이 접속 게이트의 증가에 따른 전파지연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비트 비교기는 일반적으로 배타적 오아게이트 셀을 이용하여 비교하려는 비트의 값이 같거나 다른지를 결정한 후에, 상기 출력들을 앤드 또는 오아하여 모든 입력들 중에서 다른 값이 존재하면 고전압을 출력하고, 만약 모두 각은 값을 가진다면 저전압을 출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비교할 입력 비트 수가 적은 경우, 최종 출력을 만드는데 까지 소비되는 시간이 적지만, 비트 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배타적 오아게이트 또는 배타적 노아게이트 셀의 개수와 이의 출력을 모아 앤드 또는 오아하여 최종 출력을 만드는 시간이 상당히 많이 소요된다.
또한 입력 비트 수의 증가에 비례하여, 배타적 오아게이트 또는 배타적 노아게이트 셀 뿐 아니라, 이를 이용하여 출력을 만드는 앤드게이트 또는 오아게이트 수도 크게 증가하여 동작속도를 떨어뜨리며 레이아웃 면적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제1도는 32비트 비트 비교기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32개의 배타적 오아게이트 셀들(10)과 8개의 낸드게이트(50)와 2개의 노아게이트(60)와 1개의 낸드게이트(70) 및 1개의 인버터(80)를 포함하고, 제2도는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 셀의 구성을 나타낸다.
한편, 제2도는 제1도의 배타적 오아게이트의 단위 셀(I1)의 상세 회로를 나타낸 것으로서, 입력 값에 대해 출력상태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1)와, 서로 다른 입력단에서 입력신호를 인가받는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M2)(PM4)과, 서로 다론 입력단에서 입력신호를 인가받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M2)(NM4) 및 입력값에 대해 출력상태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3)를 포함한다.
한편, 인버터(I1)는 전원전압(VDD)과 접지전압(VSS) 사이에 연결되고 제1입력단(A)의 전압레벨을 반전하여 출력하는 시-모스 트랜지스터(PM1, NM1)로 구성되어 있고, 피-모스 트랜지스터(PM2)는 상기 인버터(I1)와 제1노드(N1) 사이에 연결되고 제2입력단(B)의 신호에 응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엔-모스 트랜지스터(NM2)는 상기 제1입력단(A)과 제1노드(N1)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단(B)의 신호에 응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피-모스 트랜지스터(PM4)는 상기 제2입력단(B)과 제1노드(N1)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인버터(I1)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엔-모스 트랜지스터(NM4)는 상기 제2입력단(B)과 제1노드(N1)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입력단(A)의 신호에 응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버터(I3)는 상기 전원전압(VDD)과 접지전압(VSS)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노드(N1)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출력단(Y)의 신호를 반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도의 게이트단(50)의 낸드게이트(G1)는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11∼14)의 출력전압을 입력으로 받아 그 중 하나라도 저전압 신호가 있으면 고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다음 게이트단(60)의 노아게이트(G11)는 상기 게이트단(50)의 낸드게이트(G1∼G4)를 입력으로 받아 그 중 하나라도 고전압 신호가 있으면 저전압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다음 낸드게이트(70)는 상기 노아게이트단(G11. G12)의 출력전압을 입력으로 받아 그 중 하나라도 저전압 신호가 있으면 고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인버터(80)는 상기 낸드게이트(70)의 출력전압을 입력으로 받아 출력단(Y)의 전압 상태를 반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32비트 비교기의 1비트 입력 값(A0, B0)(A1, B1)(‥‥)들이 배타적 오아게이트(10)로 각각 입력되면 각각의 셀(11∼42)들은 제2도와 같이 동작한다.
제1도에 앞서서 제2도를 참조하여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 셀(I1)의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I1)의 제1입력(A0)과 제2입력(B0)이 동일한 전압레벨로 입력되면 출력단(N1)은 저전압이 출력되고, 또한 상기 제1입력(A0)과 제2입력(B0)이 서로 다른 전압레벨로 입력되면 출력단(N1)에서는 고전압이 출력된다.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I1)의 제1입력단(A0)에 '하이' 신호를 인가하고 제2입력단(B0)에 '로우' 신호를 인가했을 때, 회로의 각 동작을 살펴보자.
상기 제1입력단(A0)의 '하이' 신호는 인버터(I1)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M1)를 온 시키므로 인버터(I1)의 출력노드의 전압레벨은 풀-다운되며, 상기 출력신호는 피모스 트랜지스터(NM4)에 인가되어 턴-온시킨다. 또한 제2입력단(B)의 '로우' 신호는 피-모스 트린지스터(PM2)를 온 시키므로 상기 피-모스 트랜지스터(PM2)를 통한 '로우' 신호가 출력노드(N1)로 출력된다. 상기 출력노드(N1)의 출력전압은 인버터(I3)의 피-모스 트랜지스터(PM3)를 온 시켜 출력단의 출력노드(N11)의 전압레벨을 전원전압(VDD)으로 풀-업시킨다.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I1)의 출력노드(N11)의 전압은 제1도의 게이트단(50)으로 입력된다.
또한, 게이트단(50)의 낸드게이트(G1)는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11∼14)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받고 그 입력값(A0∼A3, B0-B3)들 중에 하나라도 저전압이 있으면 제2노드(N21)의 전압레벨은 고전압으로 상태천이된다.
또한, 다음 게이트단(60)의 노아게이트(G11)는 상기 낸드게이트(G1∼G4)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받고 그 입력값들 중에 하나라도 고전압이 있으면 제3노드(N31)의 전압레벨은 저전압으로 상태천이된다.
또한, 다음 낸드게이트(70)는 상기 게이트단(60)의 노아게이트(G11, G12)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받고 그 입력값들 중에 하나라도 저전압이 있으면 제4노드(N41)의 전압레벨은 고전압으로 상태천이 된다.
또한, 인버터(80)는 상기 낸드게이트(70)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출력단(Y)의 전압상태를 반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비교할 입력 비트 수가 많으면 배타적 논리게이트 셀의 개수와 이의 출력을 모아 논리곱 또는 논리합하는 게이트의 수도 크게 증가하여 회로의 동작속도를 떨어뜨리고, 회로 설계시 레이아웃의 면적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작속도의 향상과 비트 확장에 따른 레이아웃의 변경이 용이하고 설계 면적을 최소화한 복수의 입력 비트를 갖는 n비트 비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n비트 제1입력신호와 n비트 제2입력신호를 각 비트별로 각각 비교하는 비교수단, 상기 비교수단의 비트 비교 결과를 검출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인에이블 수단, 상기 인에이블 신호 및 클록신호를 제공받아 비트 비교 전에 비트 검출노드의 전위를 일정레벨로 초기화시키는 초기화수단; 상기 비트 검출노드와 접지전압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비교수단의 각 비트의 비교 값과 인에이블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비트 비교결과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및 상기 검출수단의 비교 검출노드의 신호에 응답하여 최종 출력단의 전압상태를 반전시켜 증폭하는 인버팅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교수단은 전원전압과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1입력단의 전압레벨에 응답하고 상기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1인버터; 상기 전원전압과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2입력단의 전압레벨에 응답하고 상기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2인버터; 상기 제2인버터와 제1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입력단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1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입력단과 제1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인버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2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비교수단은 상기 전원전압과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1입력단의 전압레벨에 응답하고 상기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1인버터; 상기 전원전압과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2입력단의 전압레벨에 응답하고 상기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2인버터, 상기 제2입력단과 제1노드 사이에 연결피고 상기 제1입력단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1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인버터와 제1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인버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2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상기 초기화수단은 클록신호와 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며 두 신호 모두가 고전압일 때 저전압을 출력하는 낸드게이트; 상기 낸드게이트의 출력전압를 반전시키는 제1인버터; 상기 제1인버터의 출력전압을 반전시키는 제2인버터; 및 전원전압과 제2노드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고 상기 제2인버터의 출력전안에 응답하여 상기 제2노드의 전압레벨을 전원전압으로 풀-업시키는 풀-업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상기 인에이블수단은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인에이블 신호론 반전시키는 제1인버터; 및 상기 제1인버터의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2인버터를 구비한다.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제2노드와 접지전압 사이에 병렬 전류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진압에 각각 응답하는 제1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제1트랜지스터들의 소오스단과 접지전압 사이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인에이블수단의 출력신호에 각각 응답하는 제2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제2노드와 접지전압 사이에 전류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신호에 각각 응답하는 제1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소오스단과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인에이블수단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2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상기 인버팅수단은 상기 제2노드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제3노드의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1인버터, 및 상기 제3노드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최종출력단의 전압상태를 반전시키는 제2인버터를 구비한다.
제1도는 종래의 32비트 비교기를 나타낸 회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사용된 배타적 오아게이트 셀을 나타낸 회로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32비트 비교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고,
제4도는 제3도에 사용된 배타적 오아게이트 셀을 나타낸 회로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32비트 비교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고,
제6도는 제5도에 사용된 배타적 노아게이트 셀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배타적 오아게이트(XOR) 200, 600 : 초기화수단
250, 650 : 인에이블수단 300, 700 : 검출수단
500 : 배타적 노아게이트(XNOR) Nd11 : 제1노드
Nd22 : 비교 검출노드(제2노드) Y: 최종 출력단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32비트 비교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비교수단(100)과 초기화수단(200)과 인에이블수단(250)과 검출수단(300) 및 인버팅수단(350)을 구비하고, 상기 비교수단(100)의 배타적 오아게이트(111)는 제4도와 같이 구성된다.
한편, 제3도를 설명함에 앞서서 제4도를 참조하여 상기 비교수단(100)의 배타적 오아게이트(111)를 살펴보면,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111)는 전원전압(VDD)과 접지전압(VSS) 사이에 연결되고 제1입력단(A0)의 전압레벨에 응답하고 상기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1인버터(I11)와, 상기 전원전압과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2입력단(B0)의 전압레벨에 응답하고 상기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2인버터(I22)와, 상기 제2입력단(B0)과 제1노드(Nd11)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입력단(A0)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1트랜지스터(N1) 및 상기 제2인버터(I22)와 제1노드(Nd11)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인버터(I11)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2트랜지스터(M2)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배타적 오아게이트에 제1입력(A0)가 제2입력(B0)이 동일한 전압레벨로 입력되면 제1노드(Nd11)에서는 저전압이 출력되고, 또한 상기 제1입력(A0)과 제2입력(B0)이 서로 다른 전압레벨로 입력되면 제1노드(Nd1)에서는 고전압이 출력된다.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111)의 제1입력단(A0)에 '하이' 신호를 인가하고 제2입력단(B0)에 '로우' 신호를 인가했을 때, 회로의 각 동작을 살펴보자.
상기 제1입력단(A0)의 '하이' 신호는 인버터(I11)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1)를 턴-온시키므로 인버터(I11)의 출력노드의 전압레벨은 풀-다운되며, 상기 출력신호는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M2)에 인가되어 턴-오프시킨다.
또한, 제1입력단(A0)의 '하이' 신호는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M1)의 입력단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M1)를 턴-온시키므로 제2입력단(B0)의 '로우' 신호는 제2인버터(I22)의 피-모스 트랜지스터(P2)를 온 시키므로 인버터(I22)의 출력노드는 전원전압(VDD)으로 풀-업되고 상기 풀-업된 고전압은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M1)를 통해 제1노드(Nd11)로 출력된다.
상기 제1노드(Nd11)의 출력신호는 제3도의 검출수단(300)의 제1트랜지스터(N11)로 인가된다.
또한, 제3도의 상기 초기화수단(200)은 클록신호(CLK)와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며 두 신호 모두가 고전압일 때 저전압을 출력하는 낸드게이트(210)와, 상기 낸드게이트의 출력전압을 반전시키는 제1인버터(220)와, 상기 제1인버터(220)의 출력전압을 반전시키는 제2인버터(230) 및 전원전압(VDD)과 제2노드(Nd22)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고 상기 제2인버터(230)의 출력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제2노드(Nd22)의 전압레벨을 전원전압(VDD)으로 풀-업시키는 풀-업 트랜지스터(PM11)로 구성된다.
따라서 비교수단(100)의 출력신호보다 앞서서 클록신호(CLK)와 인에이블신호(EN)가 제2노드(Nd22)에 전달되고, 제2노드(Nd22)의 고전압 신호가 인버팅수단(350)으로 인가되어 최종출력단(Y)을 고전압으로 초기화시킨다.
또한, 상기 인에이블수단(250)은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반전시키는 제1인버터(260) 및 상기 제1인버터(260)의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2인버터(27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인버터(270)의 출력신호는 검출수단(300)의 제2트랜지스터들(EM11-EM42)의 게이트단으로 인가되며 상기 인에이블 신호(EN)가 '로우' 신호일 때는 상기 비교수단(100)의 출력신호를 디스에이블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검출수단(재0)은 상기 제2노드(Nd22)와 접지전압(VSS) 사이에 병렬 전류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비교수단(100)의 출력전압에 각각 응답하는 제1트랜지스터들(M11∼M42) 및 상기 제1트랜지스터들(M11∼M42)의 소오스단과 접지전압(VSS) 사이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인에이블수단(250)의 출력신호에 각각 응답하는 제2트랜지스터들(EM11∼EM4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인에이블수단(250)의 줄력신호가 고전압이고, 상기 비교수단(100)의 출력신호가 하나라도 고전압이 있으면 제2노드(Nd22)의 전압은 접지전압(VSS)으로 풀-다운되고. 상기 제2노드(Nd22)의 저전압이 인버터수단(350)에 인가되어 최종출력단(Y)은 저전압으로 상태천이된다.
그리고, 상기 인버팅수단(350)은 상기 제2노드(Nd22)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제3노드(Nd33)의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1인버터(360) 및 상기 제3노드(Nd33)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최종출력단(Y)의 전압상태를 반전시키는 제2인버터(370)로 구성되어, 상기 제2노드(Yd22)의 전압레벨이 고전압이면 최종출력단(Y)은 고전압이 출력되고, 상기 제2노드(Nd22)의 전압레벨이 저전압이면 최종출력단(Y)은 저전압이 출력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32비트 비교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비교수단(500), 초기화수단(600), 인에이블수단(650), 검출수단(700) 및 인버팅수단(750)을 구비하고, 상기 비교수단(500)의 배타적 오아게이트(511)는 제6도와 같이 구성된다.
한편, 제5도를 설명함에 앞서서 제6도을 참조하여 상기 비교수단(500)의 배타적 오아게이트(511)를 살펴보면,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511)는 전원전압(VDD)과 접지전압(VSS) 사이에 연결되고 제1입력단(A0)의 전압레벨에 응답하고 상기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1인버터(I11)와, 상기 전원전압(VDD)과 접지전압(VSS) 사이에 연결되고 제2입력단(70)의 전압레젤에 응답하고 상기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2인버터(I22)와, 상기 제2입력단(B0)과 제1노드(Nd11)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입력단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1트랜지스터(N1) 및 상기 제2인버터(122)와 제1노드(Nd11)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인버터(I11)의 출력신고에 응답하는 제2트랜지스터(M2)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반전 배타적 논리게이트(500)에 제1입력(A0)과 제2입력(B0)이 동일한 전압레벨로 입력되면 제1노드(Nd11)에서는 고전압이 출력되고, 또한 상기 제1입력(A0)과 제2입력(B0)이 서로다른 전압레벨로 입력되면 제1노드(Nd11)에서는 저전압이 출력된다.
상기 배타적 노아게이트(511)의 제1입력단(A0)에 '하이' 신호를 인가하고 제2입력단(B0)에 '로우' 신호를 인가했을 때, 회로의 각 동작을 살펴보자.
상기 제1입력단(A0)의 '하이' 신호는 인버터(I11)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1)를 턴-온시키므로 인버터(I11)의 출력노드의 전압레벨은 풀-다운되며, 상기 출력신호는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M2)에 인가되어 턴-오프시킨다.
또한, 제1입력단(A0)의 '하이' 신호는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M1)의 입력단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M1)를 턴-온시키므로 제2입력단(B)의 '로우' 신호는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N1)의 전류통로를 통해 제1노드(Nd11)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제1노드(Nd11)에 전달된 저전압은 제5도의 검출수단(700)의 트랜지스터(M11)에 인가된다.
제5도의 초기화수단(600)은 클록신호(CLK)와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며 두신호 모두가 고전압일 떼 저전압을 출력하는 낸드게이트(610)와, 상기 낸드게이트의 출력전압를 반전시키는 제1인버터(720)와, 상기 제1인버터(620)의 출력전압을 반전시키는 제2인버터(630) 및 전원전압(VDD)과 제2노드(Nd22)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고 상기 제2인버터(630)의 출력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제2노드(Nd22)의 전압레벨을 전원전압(VDD)으로 풀-업시키는 풀-업 트랜지스터(PM11)로 구성된다.
따라서, 비교수단(500)의 출력신호보다 앞서서 클록신호(CLK)와 인에이블신호(EN)가 제2노드(Nd22)에 전달되고, 상기 제2노드(Nd22)의 고전압이 인버터(750)에 인가되어 최종출력단(Y)을 저전압으로 초기화시킨다.
또한, 상기 인에이블수단(650)은 상기 인에이블 신호(EN)를 반전시키는 제1인버터(660) 및 상기 제1인버터(660)의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2인버터(67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인버터(670)의 출력신호는 검출수단(700)의 제2트랜지스터(EM43)의 게이트단으로 인가되며 상기 인에이블 신호(EN)가 '로우' 신호일 때는 상기 비교수단(500)의 출력신호를 디스에이블시키게 된다.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제2노드(Nd22)와 접지전압(VSS) 사이에 전류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비교수단(500)의 출력신호에 각각 응답하는 제1트랜지스터들(M11-M42) 및 상기 제1트랜지스터(742)의 소오스단과 접지전압(VSS)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인에이블수단(650)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2트랜지스터(EM43)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인에이블수단(650)의 출력신호가 고전압이고, 상기 비교수단(500)의 출력신호가 모두 고전압일 때, 제2노드(Nd22)의 전압은 진지전압(VSS)으로 풀-다운되고, 상기 제2노드(Nd22)의 저전압이 인버터(750)에 인가되어 최종출력단(Y)은 고전압으로 상태천이된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750)는 상기 제2노드(Nd22)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최종출력단(Y)의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인버터(360)로 구성되어, 상기 제2노드(Nd22)의 전압레벨이 고전압이면 최종출력단(Y)은 저전압이 출력되고, 상기 제2노드(Nd22)의 전압레벨이 저전압이면 최종출력단(Y)은 고전압이 출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비교할 입력 비트가 증가할 때마다 배타적 논리게이트 셀만 추가하면 되므로 입력비트 확장에 따른 레이아웃의 변형이 용이하고, 종래와는 다르게 앤드게이트나 오아게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출력단을 구성함으로써 레이아웃 면적의 감소와 회로의 동작속도가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n비트 제1입력신호와 n비트 제2입력신호를 각 비트별로 각각 비교하는 비교수단; 상기 비교수단의 비트 비교 결과를 검출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인에이블 수단; 상기 인에이블 신호 및 클록신호를 제공받아 비트 비교 전에 비트 검출노드의 전위를 일정레벨로 초기화시키는 초기화수단, 상기 비트 검출노드와 접지전압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비교수단의 각 비트의 비교 값과 인에이블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비트 비교결과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및 상기 검출수단의 비교 검출노드의 신호에 응답하여 최종출력단의 전압상태를 반전시켜 증폭하는 인버팅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입력 비트를 갖는 n비트 비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수단은, 전원전압과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1입력단의 전압레벨에 응답하고 상기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1인버터; 상기 전원전압과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2입력단의 전압레벨에 응답하고 상기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2인버터; 상기 제2인버터와 제1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입력단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1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입력단과 제1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인버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2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입력 비트를 갖는 n비트 비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수단은, 전원전압과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1입력단의 전압레벨에 응답하고 상기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1인버터; 상기 전원전압과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2입력단의 전압레벨에 응답하고 상기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2인버터; 상기 제2입력단과 제1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입력단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1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인버터와 제1노드 사이에 여녈되고 상기 제1인버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2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입력 비트를 갖는 n비트 비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수단은, 클록신호와 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며 두 신호 모두가 고전압일 때 저전압을 출력하는 낸드게이트; 상기 낸드게이트의 출력전압을 반전시키는 제1인버터; 상기 제1인버터의 출력전압을 반전시키는 제2인버터; 및 전원전압과 제2노드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고 상기 제2인버터의 출력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제2노드의 전압레벨을 전원전압으로 풀-업시키는 풀-업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입력 비트를 갖는 n비트 비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수단은,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반전시키는 제1인터, 및 상기 제1인버터의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2인버터를 구비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입력 비트를 갖는 n비트 비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제2노드와 접지전압 사이에 병렬 전류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전압에 각각 응답하는 제1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제1트랜지스터들 소오스단과 접지전압 사이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인에이블수단의 출력신호에 각각 응답하는 제2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입력 비트간 갖는 n비트 비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제2노드와 접지전압 사이에 전류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신호에 각각 응답하는 제1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소오스단과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인에이블수단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2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입력 비트를 갖는 n비트 비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팅수단은, 상기 제2노드의 진압레벨에 응답하며 제3노드의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1인버터, 및 상기 제3노드의 전압레벨에 응답하여 최종출력단의 전안상태를 반전시키는 제2인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입력 비트를 갖는 n비트 비교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수단의 풀-업 트랜지스터는, 피-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입력 비트를 갖는 n비트 비교기.
KR1019960045701A 1996-10-14 1996-10-14 복수의 입력 비트를 갖는 n비트 비교기 KR100212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701A KR100212145B1 (ko) 1996-10-14 1996-10-14 복수의 입력 비트를 갖는 n비트 비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701A KR100212145B1 (ko) 1996-10-14 1996-10-14 복수의 입력 비트를 갖는 n비트 비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043A KR19980027043A (ko) 1998-07-15
KR100212145B1 true KR100212145B1 (ko) 1999-08-02

Family

ID=1947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701A KR100212145B1 (ko) 1996-10-14 1996-10-14 복수의 입력 비트를 갖는 n비트 비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21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8470B2 (en) 2005-02-07 2008-06-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arator having small size and improved operating speed
US9960759B2 (en) 2015-08-14 2018-05-01 Qualcomm Incorporated N-bit compare logic with single ended inpu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8470B2 (en) 2005-02-07 2008-06-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arator having small size and improved operating speed
US9960759B2 (en) 2015-08-14 2018-05-01 Qualcomm Incorporated N-bit compare logic with single ended inpu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043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1791B1 (en) Charge-redistribution low-swing differential logic circuit
US4697105A (en) CMOS programmable logic array
US4831285A (en) Self precharging static programmable logic array
KR960001107B1 (ko) 메모리 장치
US7408482B2 (en) Integrated circuit devices having data inversion circuits therein with multi-bit prefetch structure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5073872A (en) Data output control circuit for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US5502680A (en) Sense amplifier with pull-up circuit for accelerated latching of logic level output data
US5748070A (en) High spe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ssertion of multiple signals
US20040008068A1 (en) Flip-flop for high-speed operation
US6037827A (en) Noise isolation circuit
KR100212145B1 (ko) 복수의 입력 비트를 갖는 n비트 비교기
JPH06208793A (ja) 半導体メモリ装置のデータ出力回路
US6177823B1 (en) Pincer movement delay circuit for producing output signal different in repetition period from input signal
JP2001189648A (ja) 高速ダイナミックラッチ
JP3109986B2 (ja) 信号遷移検出回路
US4841279A (en) CMOS RAM data compare circuit
JP3110221B2 (ja) 全加算器回路
JP3462950B2 (ja) 比較回路
KR100475892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용출력버퍼회로
WO2001024189A1 (en) Zero power sram precharge
KR0136479B1 (ko) 저잡음 고속 출력버퍼
KR20000043230A (ko) 데이타 입력버퍼
JP3830765B2 (ja) ラッチング無効化に基づく論理ゲート
JPH09288562A (ja) 多ビット一致回路
KR100188015B1 (ko) 비트 비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