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015B1 - 비트 비교기 - Google Patents

비트 비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015B1
KR100188015B1 KR1019960045703A KR19960045703A KR100188015B1 KR 100188015 B1 KR100188015 B1 KR 100188015B1 KR 1019960045703 A KR1019960045703 A KR 1019960045703A KR 19960045703 A KR19960045703 A KR 19960045703A KR 100188015 B1 KR100188015 B1 KR 100188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input
supply voltage
inverter
respon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045A (ko
Inventor
김중권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45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8015B1/ko
Publication of KR19980027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02Comparing digital val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타적 논리게이트의 비트 비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 1 전원전압과 제 2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 1 입력단의 전압레벨에 응답하고 상기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 1 인버터; 상기 제 1 전원전압과 제 2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입력단의 전압레벨에 응답하고 상기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 2 인버터; 상기 제 2 인버터와 제 1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입력단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 1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입력단과 제 1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 2 트랜지스터; 및 출력단과 제 2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노드의 출력신호와 인에이블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상기 출력단과 제 2 전원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배타적 오아게이트의 출력단의 스위칭수단을 사용함으로서, 입력 비트 수의 증가에 따른 레이아웃의 확장이 용이하며, 입력신호가 출력되기까지 통하는 회로단을 감소시킴으로서 데이터의 업-데이트 시간을 대폭 감소시킨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트 비교기.
본 발명은 비트 비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 비트수의 증가에 따른 레이아웃의 확장이 용이하고 회로단을 감소시킴으로 인한 데이터의 업-데이트 시간을 최소화한 배타적 논리게이트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산회로는 전자계산기를 비롯한 디지탈 회로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메모리나 입출력 회로가 데이터의 축적이나 전송을 하는데 반하여, 연산회로는 데이터를 조작하는 회로이며, 비교기는 그런 연산회로의 가장 기본적인 장치 중의 하나이다.
종래에는 여러 비트의 입력을 가진 비교기를 설계시, 일반적인 배타적 논리게이트(XOR,XNOR)나 조합적인 논리게이트를 사용하는데, 배타적 논리게이트와 조합적인 논리게이트의 출력들을 앤드게이트로 연결하여 비교기를 구성했으며 그 결과, 비교기로 들어오는 입력의 비트수에 따라 회로구성과 레이아웃의 확장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과 신호의 흐름이 접속 게이트의 증가에 따른 전파지연시간이 길어진다.
결국, 종래에는 입력 비트수에 따른 회로 및 레이아웃의 최적 상태를 다시 설계하고 구성하여야 하며, 기존 데이터를 업-데이트 함에 있어 많은 시간적 손실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 을 참조하면, 도 1 은 종래의 배타적 오아게이트(XOR)로서, 입력값에 대해 출력상태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1)와, 서로 다른 입력단에서 입력신호를 인가받는 피-모스 트랜지스터들(PM2)(PM4)과, 서로 다른 입력단에서 입력신호를 인가받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들(NM2) (NM4) 및 입력값에 대해 출력상태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3)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인버터(I1)는 제 1 전원전압(VDD)과 제 2 전원전압(VSS) 사이에 연결되고 제 1 입력단(A)의 전압레벨을 반전하여 출력하는 시-모스 트랜지스터(PM1,NM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모스 트랜지스터(PM2)는 상기 인버터(I1)와 제 1 노드(N1)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입력단(B)의 전압레벨에 대응하여 응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엔-모스 트랜지스터(NM2)는 상기 제 1 입력단(A)과 제 1 노드(N1)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입력단(B)의 전압레벨에 대응하여 응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피-모스 트랜지스터(PM4)는 상기 제 2 입력단(B)과 제 1 노드(N1)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인버터(I1)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응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엔-모스 트랜지스터(NM4)는 상기 제 2 입력단(B)과 제 1 노드(N1)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입력단(A)의 전압레벨에 대응하여 응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버터(I3)는 상기 제 1 전원전압(VDD)과 제 2 전원전압(VSS)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노드(N1)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출력단(Y)의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배타적 오아게이트(10)에 제 1 입력(A)과 제 2 입력(B)이 동일한 전압레벨로 인가되면, 출력단(Y)에서는 저전압이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제 1 입력(A)과 제 2 입력(B)이 서로다른 전압레벨로 회로에 인가되면, 출력단(Y)에서는 고전압이 출력된다.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10)의 제 1 입력단(A)에 하이 신호를 인가하고 제 2 입력단(B)에 로우 신호를 인가했을 때, 회로의 각 동작을 살펴보자.
상기 제 1 입력단(A)의 하이 신호는 인버터(I1)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M1)를 온 시키므로 인버터(I1)의 출력노드의 전압레벨은 풀-다운되며, 상기 출력신호는 피모스 트랜지스터(PM4)에 인가되어 턴-온시킨다. 또한, 제 2 입력단(B)의 로우 신호는 피-모스 트랜지스터(PM2))를 온 시키므로 상기 피-모스 트랜지스터(PM2)를 통한 로우 신호가 제 1 노드(N1)로 출력된다. 상기 제 1 노드(N1)의 출력전압은 인버터(I3)의 피-모스 트랜지스터(PM3)를 온 시켜 출력단(Y)의 전압레벨을 풀-업시킨다.
따라서,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는 입력단부터 출력단까지 복수의 회로단으로 인해 신호전달지연이 발생하여 업-데이트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모되며 입력 비트 수의 확장시 회로 및 레이아웃의 최적상태를 다시 진행해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입력 비트수의 증가에 따른 레이아웃의 용이함과 기존의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한 배타적 논리게이트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제 1 전원전압과 제 2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 1 입력단의 전압레벨에 응답하고 상기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 1 인버터; 상기 제 1 전원전압과 제 2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입력단의 전압레벨에 응답하고 상기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 2 인버터; 상기 제 2 인버터와 제 1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입력단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 1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입력단과 제 1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 2 트랜지스터; 및 출력단과 제 2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노드의 출력신호와 인에이블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상기 출력단과 제 2 전원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전원전압과 제 2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 1 입력단의 전압레벨에 응답하고 상기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 1 인버터; 상기 제 1 전원전압과 제 2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입력단의 전압레벨에 응답하고 상기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 2 인버터; 상기 제 2 입력단과 제 1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입력단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 1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인버터와 제 1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 2 트랜지스터; 및 출력단과 제 2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노드의 출력신호와 인에이블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상기 출력단과 제 2 전원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일반적인 배타적 오아게이트를 나타낸 회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타적 오아게이트(XOR)와 스위칭수단을 나타낸 회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타적 노아게이트(XNOR)와 스위칭수단을 나타낸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배타적 오아게이트(XOR). 150 : 스위칭수단.
200 : 배타적 노아게이트(XNOR). 250 : 스위칭수단.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배타적 오아게이트(XOR)와 스위칭수단을 나타낸 회로도로서, 제 1 입력단(A)의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 1 인버터(I11)와, 제 2 입력단(B)의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 2 인버터(I22)와, 상기 제 1 입력단의 전압레벨에 응답하는 제 1 엔-모스 트랜지스터(M1)와,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 2 엔-모스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배타적 오아게이트(100) 및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의 출력신호와 인에이블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출력단과 제 2 접지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15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100)의 제 1 인버터(I11)는 제 1 전원전압(VDD)과 제 2 전원전압(VSS) 사이에 연결되고 제 1 입력단(A)의 전압레벨을 반전하여 출력하는 시-모스 트랜지스터(P1, N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엔-모스 트랜지스터(M1)는 상기 제 2 인버터(I22)와 제 1 노드(Nd1) 사이에 연결되고 제 1 입력단(A)의 전압레벨에 대응하여 응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엔-모스 트랜지스터(M2)는 상기 제 2 입력단(B)과 제 1 노드(Nd1)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인버터(I11)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응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수단(150)은 출력단(Y)과 제 2 전원전압(VSS) 사이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 1 노드(Nd1)의 출력신호와 인에이블 신호(EN)에 각각 응답하며, 상기 제 1 노드(Nd1)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출력단과 제 2 전원전압을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M3)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EN)에 응답하여 인에이블 신호가 저전압일 때는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100)의 출력을 디스에이블시키는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EM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배타적 논리게이트에 제 1 입력(A)과 제 2 입력(B)이 동일한 전압레벨로 인가되면, 제 1 노드(Nd1)에서는 저전압이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제 1 입력(A)과 제 2 입력(B)이 서로다른 전압레벨로 회로에 인가되면, 제 1 노드(Nd1)에서는 고전압이 출력된다.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100)의 제 1 입력단(A)에 하이 신호를 인가하고 제 2 입력단(B)에 로우 신호를 인가했을 때, 회로의 각 동작을 살펴보자.
상기 제 1 입력단(A)의 하이 신호는 인버터(I11)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1)를 턴-온시키므로 인버터(I11)의 출력노드의 전압레벨은 풀-다운되며, 상기 출력신호는 제 2 엔-모스 트랜지스터(M2)에 인가되어 턴-오프시킨다.
또한, 제 1 입력단(A)의 하이 신호는 제 1 엔-모스 트랜지스터 (M1)의 입력단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M1)를 턴-온시키므로 제 2 입력단(B)의 로우 신호는 제 2 인버터(I22)의 피-모스 트랜지스터(P2)를 온 시키므로 인버터(I22)의 출력노드는 제 1 전원전압(VDD)으로 풀-업되고 상기 풀-업된 고전압은 제 1 엔-모스 트랜지스터(M1)를 통해 제 1 노드(Nd1)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제 1 노드(Nd1)에 전달된 고전압은 스위칭수단(150)의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M3)를 턴-온시키며, 상기 스위칭수단의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EM3)에 인가되는 인에이블 신호(EN)도 고전압일 때 출력단 (Y)의 전압은 제 2 전원전압(VSS)으로 풀-다운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배타적 노아게이트(XNOR)와 스위칭수단을 나타낸 회로도로서, 제 1 입력단(A)의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 1 인버터(I11)와, 제 2 입력단(B)의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 2 인버터(I22)와, 상기 제 1 입력단의 전압레벨에 응답하는 제 1 엔-모스 트랜지스터(M1)와,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 2 엔-모스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배타적 노아게이트(200) 및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의 출력신호와 인에이블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출력단과 제 2 접지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25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배타적 노아게이트(200)의 제 1 인버터(I11)는 제 1 전원전압(VDD)과 제 2 전원전압(VSS) 사이에 연결되고 제 1 입력단(A)의 전압레벨을 반전하여 출력하는 시-모스 트랜지스터(P1, N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엔-모스 트랜지스터(M1)는 상기 제 2 입력단(B)과 제 1 노드(Nd1) 사이에 연결되고 제 1 입력단(A)의 전압레벨에 대응하여 응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엔-모스 트랜지스터(M2)는 상기 제 2 인버터(I22)의 출력노드와 제 1 노드(Nd1)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인버터(I11)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응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수단(250)은 출력단(Y)과 제 2 전원전압(VSS) 사이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 1 노드(Nd1)의 출력신호와 인에이블 신호(EN)에 각각 응답하며, 상기 제 1 노드(Nd1)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출력단과 제 2 전원전압을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M3)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EN)에 응답하여 인에이블 신호가 저전압일 때는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100)의 출력을 디스에이블시키는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EM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배타적 논리게이트에 제 1 입력(A)과 제 2 입력(B)이 동일한 전압레벨로 인가되면, 제 1 노드(Nd1)에서는 고전압이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제 1 입력(A)과 제 2 입력(B)이 서로다른 전압레벨로 회로에 인가되면, 제 1 노드(Nd1)에서는 저전압이 출력된다.
상기 배타적 노아게이트(200)의 제 1 입력단(A)에 하이 신호를 인가하고 제 2 입력단(B)에 로우 신호를 인가했을 때, 회로의 각 동작을 살펴보자.
상기 제 1 입력단(A)의 하이 신호는 인버터(I11)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1)를 턴-온시키므로 인버터(I11)의 출력노드의 전압레벨은 풀-다운되며, 상기 출력신호는 제 2 엔-모스 트랜지스터(M2)에 인가되어 턴-오프시킨다.
또한, 제 1 입력단(A)의 하이 신호는 제 1 엔-모스 트랜지스터 (M1)의 입력단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M1)를 턴-온시키므로 제 2 입력단(B)의 로우 신호는 제 1 엔-모스 트랜지스터(M1)의 전류통로를 통해 제 1 노드(Nd1)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제 1 노드(Nd1)에 전달된 저전압은 스위칭수단(250)의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M3)를 턴-오프시키므로 출력단(Y)의 전압상태는 변함이 없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타적 오아게이트의 출력단의 스위칭수단을 사용함으로서, 입력 비트 수의 증가에 따른 레이아웃의 확장이 용이하며, 또한 입력신호가 출력되기까지 통하는 회로단을 감소 시킴으로서 데이터의 업-데이트 시간을 대폭 감소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제 1 전원전압과 제 2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 1 입력단의 전압레벨에 응답하고 상기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 1 인버터; 상기 제 1 전원전압과 제 2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입력단의 전압레벨에 응답하고 상기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 2 인버터; 상기 제 2 인버터와 제 1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입력단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 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입력단과 제 1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 2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비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비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비교기.
  4. 제 1 전원전압과 제 2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 1 입력단의 전압레벨에 응답하고 상기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 1 인버터; 상기 제 1 전원전압과 제 2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입력단의 전압레벨에 응답하고 상기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 2 인버터; 상기 제 2 인버터와 제 1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입력단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 1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입력단과 제 1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 2 트랜지스터; 및 출력단과 제 2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노드의 출력신호와 인에이블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상기 출력단과 제 2 전원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비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제 1 노드에 응답하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는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비교기.
  6. 제 1 전원전압과 제 2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 1 입력단의 전압레벨에 응답하고 상기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 1 인버터; 상기 제 1 전원전압과 제 2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입력단의 전압레벨에 응답하고 상기 전압레벨을 반전시키는 제 2 인버터; 상기 제 2 입력단과 제 1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입력단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 1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인버터와 제 1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 2 트랜지스터; 및 출력단과 제 2 전원전압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노드의 출력신호와 인에이블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상기 출력단과 제 2 전원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비교기.
KR1019960045703A 1996-10-14 1996-10-14 비트 비교기 KR100188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703A KR100188015B1 (ko) 1996-10-14 1996-10-14 비트 비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703A KR100188015B1 (ko) 1996-10-14 1996-10-14 비트 비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045A KR19980027045A (ko) 1998-07-15
KR100188015B1 true KR100188015B1 (ko) 1999-06-01

Family

ID=1947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703A KR100188015B1 (ko) 1996-10-14 1996-10-14 비트 비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80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4662U (ko) 2014-06-23 2015-12-31 안숙희 공작기계의 칩 비산 방지용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360B1 (ko) * 2014-01-03 2014-10-08 주식회사 포뉴텍 원전제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4662U (ko) 2014-06-23 2015-12-31 안숙희 공작기계의 칩 비산 방지용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045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27337A (ko) 출력신호레벨이 개선된 정논리회로
JPH07141875A (ja) ラッチ制御型出力ドライバ
JPH11203869A (ja) 半導体装置のモードレジスターセット回路及び動作モードの設定方法
US6975151B2 (en) Latch circuit having reduced input/output load memory and semiconductor chip
JPH03117020A (ja) 集積回路の出力バッファ回路
US6215351B1 (en) Fuse-latch circuit
KR100188015B1 (ko) 비트 비교기
GB2296612A (en) Low power ring oscillator for bias generator
US5748541A (en) Latch circuit operating in synchronization with clock signals
JPH0644794A (ja) 半導体記憶装置
JP3016757B2 (ja) アドレス遷移検出回路
US5986956A (en) Repair control circuit
JP3769310B2 (ja) 入力回路
KR100739240B1 (ko) 반도체 소자의 리던던시 입출력 퓨즈 회로
US5991227A (en) Clock sync latch circuit
JPH09261021A (ja) 信号遷移検出回路
KR100212145B1 (ko) 복수의 입력 비트를 갖는 n비트 비교기
KR100474587B1 (ko) 센스앰프출력회로
KR100278992B1 (ko) 전가산기
KR100505393B1 (ko) 출력위상 선택이 가능한 칩 인에이블 버퍼
KR100295653B1 (ko) 전류감소형엔디씨회로
KR100248802B1 (ko) 클럭신호 드라이브 회로
KR0147469B1 (ko) 출력 노이즈 감소회로
JPH06236691A (ja) 半導体記憶装置
JPH06150681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