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1492B1 -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 및 탈수방법 - Google Patents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 및 탈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1492B1
KR100211492B1 KR1019960706841A KR19960706841A KR100211492B1 KR 100211492 B1 KR100211492 B1 KR 100211492B1 KR 1019960706841 A KR1019960706841 A KR 1019960706841A KR 19960706841 A KR19960706841 A KR 19960706841A KR 100211492 B1 KR100211492 B1 KR 100211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sulfide
distillation column
distillation
hydrophobic organic
organic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6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3331A (ko
Inventor
히토시 야노
요시나리 야마구찌
히로카주 이토오
류우이치 이시카와
유키히로 마쯔모토
테루히사 카지와라
Original Assignee
겐지 아이다
니폰 쇼쿠바이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0396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6857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5637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685731B2/ja
Application filed by 겐지 아이다, 니폰 쇼쿠바이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겐지 아이다
Publication of KR970703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3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4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of less than five member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1/02Three-membered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143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by two or more of a fractionation, separation or rectification step
    • B01D3/146Multiple effect distillation

Abstract

에틸렌 황화물과, 에틸렌 황화물보다 비점이 높은 톨루엔(소수성 유기화합물)과, 톨루엔보다도 비점이 높은 고비점 화합물을 포함하고, 또한, 수분을 함유하는 원액(용액)을, 연속증류탑(2), 증류탑(4) 및 정류탑(5)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증류하는 것에 의해 에틸렌 황화물을 회수하는 방법이다. 연속증류탑(2)에서 톨루엔 및 물과 함께 에틸렌 황화물을 유출시킨다. 이 유출액을 분리조(3) 내에서 유층과 수층으로 분리시킨다. 증류탑(4)에서 상기한 유층을 환류조작을 행하지 않고서 연속적으로 증류하고, 에틸렌 황화물의 일부와 함께 물을 유출시킨다. 증류탑(4)의 부출액을 정류탑(5)에서 정류하고, 에틸렌 황화물을 회수한다.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반응을 억제할 수가 있고, 그 에틸렌 황화물을 연속적, 효율적 또한 안정적으로 분리·회수할 수가 있다. 또한, 각종 증류탑이나 배관 등이 폐색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에틸렌 황하물의 회수방법 및 탈수방법
에틸렌 황화물은, 비중이 거의 1로 비점이 55의 유상의 화합물이고, 공지의 문헌 및 본원 발명자 등의 지견을 요약하면, 아래에 표시한 것 같은 성질을 구비하고 있다. 즉, ① 물과 혼합하지 않는다. ② 물과 공비한다. 상압하에서의 공비온도는 약 51이고, 공비조성물은, 에틸렌 황화물:물이 중량비로 대충 95:5이다. ③ 액체의 상태로 물과 접촉하면, 점차로 중합한다. 결국, 물과의 직접 접촉에 대하여 불안정하다. 그리고, 생성하는 중합물은, 융점이 높은 백색의 고형물로 된다. ④ 머캅탄류와 온화하게 반응하여, 개환부가물을 생성한다.
종래부터, 에틸렌 황화물을 합성하는 방법은, 예를들면, 미국특허 3,687,976호, 미국특허 3,622,597호, 영국특허 1,135,800호, 네덜란드특허 7,001,172호, 네덜란드 특허 6,512,117호, J. Chem. Soc,(Sect C) 1252(1969)등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에틸렌 황화물을 공업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2-머캅토에탄올을 기상으로 접촉탈수(분자내 탈수)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고, 특개평 5-202027호 공보에는, 그 탈수반응에 유용한 촉매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특개평 5-339257호 공보에는, 상기한 탈수반응으로 얻어지는 에틸렌 황화물을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이용하여 포집하는 포집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포집방법에 있어서는, 에틸렌 황하물은, 미반응의 원료인 2-머캅토에탄올, 부생성물인 황화물 화합물류, 및 소량의 물과 같이 소수성 유기화합물의 용액으로서 포집된다.
한편, 에틸렌 황화물은, 알킬머캅탄이라든지 티오아미드화합물 등의 공지의 안정제, 및 소량의 물의 공존하, 소수성 유기화합물 용액으로서 보존된다. 한편, 상기한 소수성 유기화합물은, 취급이 용이하다는 등의 공업적인 관점에서, 통상, 에틸렌 황화물보다는 비점이 높은 화합물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공보 등의 문헌에는, 에틸렌 황화물의 제조방법은 개시되어 있지만, 얻어지는 반응혼합물로부터 에틸렌 황화물을 안정적으로 단리·정제하는 방법, 결국, 에틸렌 황화물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하여는 하등 기재되어 있지 않다. 한편, 에틸렌 황화물의 제조방법은, 공업적으로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
상술한 바와같이, 소수성 유기화합물은 에틸렌 황화물보다도 비점이 높고, 또한, 에틸렌 황화물은 유상의 화합물이다. 따라서, 소수성 유기화합물 용액으로부터 에틸렌 황화물을 분리·회수하는 경우에, 그 소수성 유기화합물 용액을 증류탑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증류하면 에틸렌 황화물은 물과의 사이에서, 증류계에서 가장 낮은 비점을 보유하는 공비조성물을 형성한다. 결국, 에틸렌 황화물은 물과 공비한다. 이 때문에, 소수성 유기화합물 용액중에 용해 및/또는 현탁하여 존재하느 물은, 에틸렌 황화물과 같이 증류탑에서 유출한다.
그렇지만, 상기한 유출액을 냉각하면, 에틸렌 황화물은, 액체의 상태로 물과 접촉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점차로 중합하여 융점이 높은 중합물로 된다. 이 때문에, 그 중합물의 생성에 의해, 에틸렌 황화물의 손실이 발생하여, 회수율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한 중합물이 증류탑 내라든지 배관내등에서 생성하여 축적하면, 이들 증류탑이라든지 배관 등이 폐색하여, 연속적으로 증류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도 초래한다.
따라서, 에틸렌 황화물과, 소수성 유기화합물과, 황화물 화합물 등의 고비점 화합물 등을 포함하고, 또한, 수분을 함유하는 용액으로부터, 상기한 문제점을 발생하는 일없이 에틸렌 황화물을 분리·회수하는 방법이 갈망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제1의 목적은, 에틸렌 황화물과, 소수성 유기화합물과, 고비점화합물을 포함하고, 또한, 수분을 함유하는 용액으로부터, 연속적인 증류에 의해서 에틸렌 황화물을 효율적이고 또한 안정적으로 분리·회수할 수 있는 신규의 회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에틸렌 황화물은, 액체의 상태로 물과 접촉하면, 점차로 중합하여 백색의 중합물을 생성한다고 하는 성질을 구비하고 있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수분을 함유하는 에틸렌 황화물에서, 그 에틸렌 황화합물의 중합을 억제하면서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하여는 알려져 있지 않다.
결국, 상기한 공보 등의 문헌에는, 수분을 함유하는 에틸렌 황화물에서, 그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을 억제하면서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하여는 하등 기재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예를 들면, 수분을 함유하는 에틸렌 황화물에서 그 수분을 제거하는 경우에, 그 에틸렌 황화물을 증류탑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증류하여, 탈수된(건조한) 에틸렌 황화물을 얻고자 하면, 에틸렌 황화물은 물과의 사이에서 공비조성물을 형성한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같이, 에틸렌 황화물은, 증류탑 안이나 배관 안 등으로 점차로 중합하여 융점이 높은 중합물로 된다. 즉, 상기한 중합물이 증류탑 안이나 배관 안 등에서 생성하여 축적하면, 이들 증류탑이나 배관 등이 폐색하여, 연속적으로 증류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그 중합물의 생성에 의해, 에틸렌 황화물의 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예를 들면 각종 탈수제를 이용하여 에틸렌 황화물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도 생각되지만, 상술한 바와같이, 에틸렌 황화물은 반응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상기한 탈수제의 접촉에 의한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반응이나 부반응 등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독성을 갖는 에틸렌 황화물을 부착한 탈수제의 폐기방법 등의 뒤처리문제를 초래한다. 결국, 각종 탈수제를 이용하는 방법은, 공업적으로 실시곤란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수분을 함유하는 에틸렌 황화물에서 그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방법이 갈망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제2목적은, 수분을 함유하는 에틸렌 황화물에서, 그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을 억제하면서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이것에 의해, 건조한 에틸렌 황화물을 안정적으로 얻는 것이 가능한 신규인 탈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에틸렌 황화물(황화에틸렌)의 회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분을 함유하는 에틸렌 황화물에서, 그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을 억제하면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틸렌 황화물은 반응성이 우수하고, 의약품, 농약, 각종 공업약품, 함유황폴리머 등의 원료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유용한 화합물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에 적절히 이용되는 증류장치의 개략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에 적절히 이용되는 다른 증류장치의 개략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에 적절히 이용되는 다른 증류장치의 개략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에 적절히 이용되는 증류장치의 개략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에 적절히 이용되는 다른 증류장치의 개략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발명의 개시]
본원 발명자 등은, 신규인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소수성 유기화합물 용액을 증류탑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증류할 때에, 에틸렌 황화물 및 물과 같이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유출시키는 것에 의해서, 그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반응을 억제할 수가 있고, 에틸렌 황화물을 효율적이고 또한 안정적으로 분리·회수할 수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어서,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에틸렌 황화물과, 에틸렌 황화물보다도 비점이 높은 소수성 유기화합물과, 그 소수성 유기화합물보다도 비점이 높은 고비점 화합물을 포함하고, 또한, 수분을 함유하는 용액을, 제1의 증류탑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증류하는 것에 의해 에틸렌 황화물을 회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소수성 유기화합물 및 물과 같이 에틸렌 황화물을 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원 발명자 등은, 신규인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예의검토한 결과, 수분을 함유하는 에틸렌 황화물을 증류탑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증류할 때에, 에틸렌 황화물보다도 비점이 높은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공존시켜서, 에틸렌 황화물의 일부와 같이 물을 유출시키는 한편, 에틸렌 황화물과 소수성 유기 화합물과의 혼합물을 부출시키는 것에 의해서, 그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반응을 억제하면서,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가 있고, 이것에 의해, 건조한 에틸렌 황화물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어서,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수분을 함유하는 에틸렌 황화물, 및, 에틸렌 황화물보다도 비점이 높은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증류탑에 공급하면서 연속적으로 증류하고, 에틸렌 황화물의 일부와 같이 물을 유출시키는 한편, 에틸렌 황화물과 소수성 유기화합물과의 혼합물을 부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우수한 점은, 아래에 표시하는 기재에 의해서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익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다음 설명으로 명백하게 될 것이다.
아래에,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이러한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에 있어서, 증류조작의 대상이 되는 원액으로서의 용액은, 에틸렌 황화물과, 에틸렌 황화물보다도 비점이 높은 소수성 유기화합물과, 그 소수성 유기화합물보다도 비점이 높은 고비점 화합물 등을 포함하고 또한, 수분을 함유하는 혼합용액이다. 상기한 용액은, 예를 들면, 상기한 종래의 에틸렌 황화물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용이하게 얻어진다. 그 용액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2-머캅토에탄올을 기상으로 접촉탈수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에틸렌 황화물을, 소수성 유기화합물로서 포집한 포집용액(특개평 5-339257호 공보 참조), 에틸렌 황화물을 알킬머캅탄이라든지 티오아미드 화합물 등의 공지의 안정제의 공존하, 소수성 유기화합물 용액으로 한 보존용액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고비점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미반응의 원료인 2-머캅토에탄올, 부생성물인 황화물 화합물, 머캅탄류 등의 함유황화합물, 각종 불순물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소수성 유기화합물은, 에틸렌 황화물보다도 비점이 높고, 또한, 에틸렌 황화물이라든지 고비점 화합물 등에 대하여 불활성인 화합물이면 좋고,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소수성 유기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푸소이드크멘(pseudocumene), 디에틸벤젠, 티타린(tetralin)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플오로벤젠(fluorobenzene), 헥사플오로벤젠, 클로로벤젠(chlorobenzene), 클로로틀엔, 등의 함할로겐(halogen)방향족 화합물류; 헥산, 데칸, 이소오크탄(isooct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탄화수소류; 클로로폼, 4염화탄소, 1, 2-지클로로에탄, 플오로시클로헥산 등의 함할로겐 지방족 화합물류; 디프로필에테르, 부틸메틸에테르, 피넬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 화합물류; 3-헥산, 2-헤프타논(2-heptanone), 시클로헥사논, 페닐메틸케톤등의 카톤화합물류; 초산페닐, 벤조산메틸 등의 에스테르 화합물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예시의 화합물중, 취급이 용이함 등의 공업적인 관점에서, 방향족 탄화수소류라든지 지방족 탄화수소류가 보다 바람직하며, 증류조작(결국, 정류)이 용이하고, 에틸렌 황화물의 비점차가 비교적 큰 탄소수 6이상의 탄화수소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한 용액으로부터 에틸렌 황화물을 연속적으로 회수하는 방법에 관해서 아래에 설명한다. 우선,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에 적절히 이용되는 증류장치의 한 예에 관해서, 제1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증류장치는, 제1도에 표시하는 구성에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증류장치는 탱크(1), 연속증류탑(제1증류탑)(2), 분리조(3), 증류탑(제2증류탑)(4), 정류탑(제3증류탑)(5) 및 응축기(6, 7, 8) 등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탱크(1)는, 그 내부에, 소정량의 상기한 용액(원액)을 상시 저류하는 탱크(1)는, 배관(11)을 통해 연속증류탑(2)의 중단부와 접속되어 있고, 배관(12)을 통해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에틸렌 황화물 제조장치 또는 원액공급탱크와 접속되어 있고, 배관(16) 및 응축기(7)을 통해 증류탑(4)의 탑정부와 접속되어 있다. 탱크(1)의 밑바닥부에는, 용액으로부터 분리한 물을 적당히 뽑아내기 위한 배관(21)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중단부」는, 증류탑에 있는 최상단 및 최하단을 제외한 중간의 단을 표시하고 있다.
상기한 탱크(1)에는, 에틸렌 황화물 제조장치 또는 원액공급 탱크로부터 원액이 연속적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증류탑(4)의 유출액이 연속적으로 반환된다. 또한, 탱크(1)는, 용액을 연속증류탑(2)의 중단부에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연속증류탑(2)은, 에틸렌 황하물을 방산하는 소위 방산탑이고, 용액을 연속적으로 증류한다. 연속증류탑(2)의 중단부는, 배관(11)을 통해 탱크(1)와 접속되어 있고, 탑정부는, 배관(13) 및 응축기(6)를 통해 분리조(3)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연속증류탑(2)의 탑밑바닥부에는, 부출액을 뽑아내기 위한 배관(2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속증류탑(2)의 탑정부 근방에는, 배관(15)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한 연속증류탑(2)의 중단부에는, 탱크(1)로부터 용액이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연속증류탑(2)은, 소수성 유기화합물 및 물과 함께 에틸렌 황화물을 유출액으로부터 유출하는 한편, 고비점 화합물을 포함하는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부출액으로서 부출한다. 또한, 연속증류탑(2)의 탑정부 근방에는, 분리조(3)로부터 유충(후술한다)의 일부가 반환된다.
상기한 응축기(6)는, 배관(13)의 소정위치에 배설되어 있고, 연속증류탑(2)으로부터 유출하는 가스(유출액)를 응축하여 액화한다.
분리조(3)는, 소위 데칸터(decanter)이고, 연속증류탑(2)의 유출액을 정치(靜置)하는 것에 의해, 그 유출액을 유층과 수층으로 분리한다. 분리조(3)는, 배관(13) 및 응축기(6)를 통해 연속증류탑(2)의 탑정부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분리조(3)에 있어서의 유충을 뽑아낼 수 있는 위치에는, 배관(14, 15)이 설치되어 있다. 배관(14)은, 증류탑(4)의 탑정부 근방과 접속되어 있고, 배관(15)은, 연속증류탑(2)의 정부근방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분리조(3)의 밑바닥부에는, 수층을 뽑아 내기 위한 배관(2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분리조(3)에는, 연속증류탑(2)의 유출액이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분리조(3)는, 유층을 증류탑(4)의 탑정부 근방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한편, 그 유층의 일부를 연속증류탑(2)의 탑정부 근방에 연속적으로 반환한다. 또한, 분리조(3)는, 밑바닥부에서 적당한 수층이 뽑아내여진다. 한편, 상기한 유층에는, 수분이 약간 포함되어 있다.
증류탑(4)은, 환류조작을 행하지 않고, 결국, 환류비를 실질적으로 0에 설정하여 유층을 연속적으로 증류하여, 그 유층에 포함되는 수분을 완전히 추출한다. 증류탑(4)의 탑정부는, 배관(16) 및 응축기(7)를 통해 탱크(1)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증류탑(4)의 탑밑바닥부는, 배관(17)을 통해 정류탑(5)의 중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증류탑(4)의 탑정부 근방에는, 배관(14)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한 증류탑(4)의 탑정부 근방에는, 분리조(3)로부터 유층이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증류탑(4)은, 에틸렌 황화물의 일부와 같이 물을 유출액으로 하여 유출하는 한편, 에틸렌 황화물과 소수성 유기화합물과의 혼합물을 부출액으로서 부출한다.
상기한 응축기(7)는, 배관(16)의 소정위치에 배설되어 있고, 증류탑(4)으로부터 유출하는 가스(유출액)를 응축하여 액화한다.
정류탑(5)은, 상기한 혼합물을 정류하여, 에틸렌 황화물을 분리·회수, 즉, 정제한다. 정류탑(5)의 중단부는, 배관(17)을 통해 증류탑(4)의 탑밑바닥부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정류탑(5)의 탑정부는, 배관(18) 및 응축기(8)를 통해 도면표시하지 않은 에틸렌 황화물 저장탱크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정류탑(5)의 탑밑바닥부는, 배관(24)을 통해 도면표시하지 않은 소수성 유기화합물 회수장치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정류탑(5)의 탑 정부 근방에는, 배관(18)으로부터 분지한 배관(18a)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한 정류탑(5)의 중단부에는, 증류탑(4)의 탑밑바닥부에서 그 혼합물이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정류탑(5)은, 에틸렌 황화물을 유출액으로서 유출하는 한편,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부출액으로서 부출한다. 또한, 정류탑(5)의 탑정부 근방에는, 에틸렌 황화물의 일부가 환류된다.
상기한 응축기(8)는, 배관(18)의 소정위치에서 배설되어 있고, 정류탑(5)으로부터 유출하는 가스(유출액)를 응축하고 액상의 에틸렌 황화물로 한다.
한편, 증류장치에는, 상기한 각종장치 외에, 예를 들면, 열교환기나 펌프, 중간탱크(어느쪽도 도면표시하지 않음) 등, 증류조작에 필요한 여러 가지의 장치가 또한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의 증류장치를 이용한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의 한 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탱크(1)에 원액인 용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그 탱크(1)로부터 연속증류탑(2)의 중단부에 용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연속증류탑(2)에 공급된 용액은, 연속적으로 증류되고, 에틸렌 황화물과, 물과, 소수성 유기화합물의 일부등이 유출액으로서 탑정상에서 유출된다. 또한, 고비점 화합물과, 소수성 유기화합물의 나머지가 부출액으로서 탑밑바닥에서 부출된다. 에틸렌 황화물은 고비점 화합물의 일종의 머캅탄류가 온화하게 반응하여 개환부가물을 생성하지만, 연속증류탑(2)에서의 증류에 의해 빠르게 머캅탄류가 분리되기 때문에, 그 부가반응에 의한 손실을 억제할 수가 있다.
유출액의 조성, 결국, 상기한 삼자의 조성비는, 연속증류탑(2)에서의 증류조건, 예를 들면, 탑정상의 온도, 탑밑바닥의 온도, 탑의 단수, 및 분리조(3)로부터 반환되는 유층의 양 등에 의해 결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연속증류탑(2)에서의 증류조건을 적당히 변경하는 것에 의해, 유출액 및 부출액의 조성을 바꿀 수가 있다. 또한, 연속증류탑(2)에서의 증류는, 상압하 혹은 감압하에서 실시할 수가 있다. 한편, 소수성 유기화합물은, 에틸렌 황화물이라든지 물과 공비하는 것은 아니고, 소위 동반에 의해, 에틸렌 황화물과 함께 유출한다.
상기한 유출액에 있어서의 에틸렌 황화물의 함유량은 7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 황화물의 함유량이 75중량%를 넘으면, 에틸렌 황화물의 비중이 거의 1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유출액에 있어서의 물의 함유량이 많은 경우에는, 유층과 수층 사이의 비중차가 작게 된다. 이 때문에, 분리조(3)에 있어서, 소위 유수분리 불량을 발생하여, 유출액을 정치하더라도 유층과 수층으로 분리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유수분리 불량을 발생하면, 액체의 상태에서의 에틸렌 황화물과 물과의 접촉빈도가 증대한다. 이 때문에,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반응, 즉, 중합물의 생성이 촉진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유수분리 불량을 발생하면, 증류탑(4)에 다량의 물이 공급된다. 이 때문에, 그 증류탑(4)의 유출액에 있어서의 에틸렌 황화물의 함유량이 많아짐과 같이, 증류탑(4) 내에 있어서의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물의 생성이 촉진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다음에, 연속증류탑(2)의 유출액을 분리조(3)에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분리조(3) 내에서 정치된 유출액은, 유층과 수층으로 분리한다. 그리고, 유층을 증류탑(4)의 탑정부 근방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한편, 수층을 그 분리조(3)의 밑바닥부에서 뽑아낸다. 또한, 유층의 일부를 연속증류탑(2)의 탑정부 근방에 연속적으로 반환한다.
이와 같이, 분리조(3)로부터 연속증류탑(2)에 유층의 일부를 반환하는 것에 의해, 연속증류탑(2)에 있어서는, 통상의 환류조작과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연속증류탑(2)의 유출액에 고비점 화합물이 포함되는 일은 없다. 또한, 유출액중, 수층을 제외한 유층만을 연속증류탑(2)으로 반환하기 때문에, 물이 연속증류탑(2)으로 복귀되는 것은 실질적으로 없다. 따라서, 연속증류탑(2) 내에 있어서의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반응, 즉, 중합물의 생성이 억제된다.
이어서, 분리조(3)로부터 증류탑(4)의 탑정부 근방에 유층을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증류탑(4)에 공급된 유층은, 연속적으로 증류되어, 에틸렌 황화물의 일부와 물 등이 유출액으로서 탑정상에서 유출된다. 또한, 나머지의(결국, 대부분의) 에틸렌 황화물과, 소수성 유기화합물 등이 부출액으로서 탑밑바닥에서 부출된다. 증류탑(4)에 있어서는, 그 탑정부 근방에 유층이 공급되고, 환류비를 실질적으로 0으로 설정하여 유층을 연속적으로 증류하여, 그 유층에 포함되는 수분을 완전히 또한 빠르게 추출한다. 이 때문에, 증류탑(4)에 있어서의 물의 체류시간을 짧게 할 수가 있기 때문에, 그 증류탑(4) 내에 있어서의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반응, 즉, 중합물의 생성이 억제된다.
증류탑(4)에 있어서의 유출액의 조성, 즉, 상기한 양자의 조성비는, 증류탑(4)에서의 증류조건, 예를 들면, 탑정상의 온도, 탑밑바닥의 온도, 및 탑의 단수 등에 의해 결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증류탑(4)에서의 증류조건을 적당히 변경하는 것에 의해, 유출액 및 부출액의 조성을 변화시킬 수가 있다. 또한, 증류탑(4)에서의 증류는, 상압하 혹은 감압하에서 실시할 수가 있다.
한편, 증류탑(4)의 유출액에는, 소수성 유기화합물은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다. 또한, 증류탑(4)의 유출액에 있어서의 에틸렌 황화물과 물과의 중량비는, 연속증류탑(2)의 유출액에 있어서의 그 중량비와 서로 다르다.
그리고, 증류탑(4)의 유출액을 탱크(1)에 연속적으로 반환한다. 이것에 의해, 탱크(1) 내의 용액의 조성이 변화하는 것을 극히 억제할 수가 있다. 결국, 연속증류탑(2)에 공급되는 용액의 조성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그리므로, 증류계가 정상상태로 되고, 안정적으로 증류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증류탑(4)의 유출액에 포함되는 에틸렌 황화물을 다시 연속증류탑(2)에 공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율을 보다 한층 더 향상시킬 수가 있다.
계속해서, 증류탑(4)의 부출액을 정류탑(5)의 중단부에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정류탑(5)에 공급된 부출액은, 연속적으로 정류되고, 에틸렌 황화물이 유출액으로서 탑정상에서 유출되는 한편, 소수성 유기화합물이 부출액으로서 탑밑바닥에서 부출된다. 정류탑(5)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정류조작이 행하여진다. 한편, 정류탑(5)에 있어서는 증류조건, 예를 들면, 탑정상의 온도, 탑밑바닥의 온도, 탑의 단수, 및 환류비 등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증류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용액으로부터 에틸렌 황화물이 연속적으로 회수된다. 한편, 소수성 유기화합물은, 정류탑(5)의 부출액을 소수성 유기화합물 회수장치로서 예를 들면 증류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회수할 수가 있다. 회수된 소수성 유기화합물은, 예를 들면 에틸렌 황화물 제조장치 등으로 복귀되어서 재이용(recycle)된다.
한편,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에 이용되는 증류장치는, 제1도에 표시하는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의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증류장치는, 예를 들면, 증류탑(4)의 탑정부와 탱크(1) 등을 접속하는 배관(16)(제1도)을 마련하는 대신에, 제2도에 표시하듯이, 증류탑(4)의 탑정부와 분리조(3) 등을 접속하는 배관(26)을 마련하는 구성으로서도 좋다.
이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증류탑(4)의 유출액은, 분리조(3)에 연속적으로 반환된다. 이것에 의해, 분리조(3) 내의 유층의 조성이 변화하는 것을 극히 억제할 수가 있다. 결국, 증류탑(4)에 공급되는 유층의 조성울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증류계가 정상상태로 되어, 안정적으로 증류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증류탑(4)의 유출액에 포함되는 에틸렌 황화물을 다시 증류탑(4)에 공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율을 보다 한층더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증류장치는, 예를 들면, 분리조(3)와 연속증류탑(2)의 탑정부 근방을 접속하는 배관(15)(제1도)을 마련하는 대신에, 제3도에 표시하듯이, 연속증류탑(2)의 탑정부 근방에, 용액중의 소수성 유기화합물과 동일한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가 있도록, 배관(25)을 마련하는 구성으로서도 좋다. 결국,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소수성 유기화합물 공급탱크와 연속증류탑(2)의 탑정부 근방을 접속하는 배관(25)을 마련하는 구성으로서도 좋다. 한편, 상기한 소수성 유기화합물 공급탱크는, 연속증류탑(2)에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이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연속증류탑(2)에는, 유층의 일부가 반환되는 대신에, 새로운 소수성 유기화합물이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연속증류탑(2)의 탑정부 근방에 새로운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연속증류탑(2)에 있어서는, 통상의 환류조작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따라서, 연속증류탑(2)의 유출액에 고비점 화합물이 포함되는 일은 없다. 또한, 유출액으로서 유출한 물이 연속증류탑(2)에 복귀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연속증류탑(2) 내에 있어서의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반응, 즉, 중합물의 생성이 억제도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밞여에 이러한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은, 에틸렌 황화물과 소수성 유기화합물과 고비점 화합물을 포함하고, 또한, 수분을 함유하는 용액을, 연속증류탑(2)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증류하는 것에 의해, 소수성 유기화합물 및 물과 같이 에틸렌 황화물을 유출액으로서 유출시킨다. 이것에 의해, 고비점 화합물로부터 에틸렌 황화물을 분리할 수가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에틸렌 황화물의 부가반응이라든지 중합반응에 의한 손실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이러한 회수방법은, 분리조(3) 내에서 연속증류탑(2)의 유출액을 정치하는 것에 의해, 유층과 수층으로 분리시킨다. 이것에 의해, 에틸렌 황화물이 물과 접촉하기 어렵기 때문에,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반응, 즉, 중합물의 생성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이러한 회수방법은 상기한 유층의 일부를 연속증류탑(2)의 탑정부에 환류시킨다. 이것에 의해, 연속증류탑(2)의 유출액에 고비점 화합물이 포함되는 일은 없다. 또한, 유출액중, 수층을 제외한 유층만을 연속증류탑(2)에 반환하기 때문에, 물이 연속증류탑(2)에 복귀되는 일은 실질적으로 없다. 따라서, 연속증류탑(2) 내에 있어서의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반응, 즉, 중합물의 생성이 억제된다.
그 위, 본 발명에 이러한 회수방법은, 상기한 유층을 증류탑(4)의 탑정부에 공급하면서, 환류조작을 행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증류하여, 에틸렌 황화물의 일부와 같이 물을 유출시키는 한편, 에틸렌 황화물과 소수성 유기화합물과의 혼합물을 부출시킨다. 이것에 의해, 증류탑(4)에 있어서의 물의 체류시간을 짧게할 수가 있기 때문에, 그 증류탑(4) 내에 있어서의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반응 즉, 중합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이러한 회수방법은, 증류탑(4)의 부출액을, 정류탑(5)을 이용하여 정류하여, 에틸렌 황화물을 유출시킨다. 이것에 의해, 에틸렌 황화물을 단리·정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이러한 회수방법은, 탱크(1)에, 원액인 새로운 용액과, 증류탑(4)의 유출액 등을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연속증류탑(2)에 공급되는 용액의 조성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증류계가 정상상태로 되어, 안정적으로 증류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증류탑(4)의 유출액에 포함되는 에틸렌 황화물을 다시 연속증류탑(2)에 공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율을 보다 한층더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이러한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은, 탱크(1)에, 원액인 새로운 용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한편, 분리조(3)에, 증류탑(4)의 유출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증류탑(4)에 공급되는 유층의 조성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증류계가 정상상태로 되고, 안정적으로 증류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증류탑(4)의 유출액에 포함되는 에틸렌 황화물을 다시 증류탑(4)에 공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율을 보다 한층더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이러한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은, 연속증류탑(2)의 탑정부에, 용액중의 소수성 유기화합물과 동일한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연속증류탑(2)의 유출액에 고비점 화합물이 포함되는 일은 없다. 또한, 유출액으로서 유출한 물이 연속증류탑(2)에 복귀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연속증류탑(2) 내에 있어서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반응, 즉, 중합물의 생성이 억제된다.
그리고, 상기한 회수방법을 행하는 것에 의해,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반응을 억제할 수가 있고, 그 에틸렌 황화물을 연속적, 효율적 또한 안정적으로 분리·회수할 수가 있다.
다음에,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이러한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에 있어서, 증류조작의 대상이 되는 용액은, 수분을 함유하는 에틸렌 황화물 및 수분을 함유하는 에틸렌 황화물과, 상기한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이다. 상기한 혼합용액은, 예를들면, 상기한 종래의 에틸렌 황화물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반응액을 증류하여, 에틸렌 황화물과 물을 포함하는 유출액에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서 용이하게 얻을 수가 있다. 상기한 반응액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들면, 상기한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에 있어서 진술한 포집내용이나, 보존용액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용액으로부터 수분을 연속적으로 제거하고, 에틸렌 황화물을 단리하는 방법, 결국, 탈수방법에 관해서 아래에 설명한다. 우선, 수분을 함유하는 에틸렌 황화물에서의 그 수분의 제거에 적절히 이용되는 증류장치의 한 예에 관해서, 제4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4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증류장치는, 증류탑(31) 및 응축기(3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증류탑(31)은, 다단식의 증류탑이고, 환류조작을 행하지 않고, 결국, 환류비를 실질적으로 0으로 설정하여 용액을 연속적으로 증류하고, 그 용액에 포함되는 수분을 완전히 추출한다. 즉, 에틸렌 황화물에서 수분을 제거한다.
증류탑(31)의 탑정부 근방은, 배관(33)을 통해서 예를 들면 용액공급탱크(도면표시하지 않음)와 접속됨과 동시에, 배관(34)을 통해 예를 들면 소수성 유기화합물 공급탱크(도면표시하지 않음)와 접속되어 있다. 증류탑(31)의 탑정부는, 배관(35) 및 응축기(32)를 통해 예를 들면 유출액저장탱크(도면표시하지 않음)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증류탑(31)의 탑밑바닥부는, 배관(36)을 개재하고 예를 들면 정류탑(도면표시하지 않음)과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증류탑(31)의 탑정부 근방에는, 배관(33)을 통해서 용액이 연속적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배관(34)을 통해서, 소수성 유기화합물이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증류탑(31)은, 에틸렌 황화물의 일부와 같이 물을 유출액으로서 유출하는 한편, 에틸렌 황화물과 소수성 유기화합물의 혼합물을 부출액으로서 부출한다.
상기한 응축기(32)는, 배관(35)의 소정위치에 배설되어 있고, 증류탑(31)으로부터 유출하는 가스(유출액)를 응축하여 액화한다.
용액공급탱크는, 그 내부에 소정량의 상기한 용액을 상시 저류하고, 증류탑(31)에 그 용액을 공급한다. 소수성 유기화합물 공급탱크는, 그 내부에 소정량의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상시 저류하여, 증류탑(31)에 그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공급한다. 유출액 저장탱크는, 상기한 유출액을 저류한다. 정류탑은, 상기한 혼합물을 정류하여, 에틸렌 황화물을 유출액으로 하여 유출하는 한편,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부출액으로서 부출한다. 즉, 정류탑은, 에틸렌 황화물을 단리·정제한다.
한편, 증류장치에는, 상기한 각종 장치 외에, 예를 들면, 열교환기나 펌프(어느쪽도 도면표시하지 않음) 등, 증류조작에 필요한 여러 가지의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의 증류장치를 이용한 에티렌 황화물의 탈수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용액공급탱크에서 증류탑(31)의 탑정부 근방에 용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함과 같이, 소수성 유기화합물 공급탱크에서 증류탑(31)의 탑정부 근방에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증류탑(31)에 공급된 용액 및 소수성 유기화합물은, 연속적으로 증류되어, 에틸렌 황화물의 일부와 물 등이 유출액으로서 탑정상에서 유출된다. 또한, 나머지의(결국, 대부분의) 에틸렌 황화물과, 소수성 유기화합물 등이 부출액으로서 탑밑바닥에서 부출된다. 증류탑(31)에 있어서는, 그 탑정부 근방에 용액이 공급되어, 환류비를 실질적으로 0에 설정하여 용액을 연속적으로 증류하여, 그 용액에 포함되는 수분을 완전히 또한 빠르게 추출한다. 이 때문에, 증류탑(31)에 있어서의 물의 체류시간을 짧게할 수가 있기 때문에, 그 증류탑(31)내에 있어서의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반응, 즉, 중합물의 생성을 억제하면서,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가 있다.
증류탑(31)에 있는 유출액의 조성, 결국, 상기한 양자의 조성비는, 증류탑(31)에서의 증류조건, 예를 들면 탑정상의 온도, 탑밑바닥의 온도, 및 탑의 단수 등에 의해 결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증류탑(31)에서의 증류조건을 적당히 변경하는 것에 의해, 유출액 및 부출액의 조성을 바꿀 수가 있다. 또한, 증류탑(31)에서의 증류는, 상압하 혹은 감압하고 실시할 수가 있다. 한편, 증류탑(31)의 유출액에는, 소수성 유기화합물은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다.
계속해서, 증류탑(31)의 부출액을 정류탑에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정류탑에 공급된 부출액은, 연속적으로 정류되어, 에틸렌 황화물이 유출액으로 하여 탑정상에서 유출되는 한편, 소수성 유기화합물이 유출액으로서 탑밑바닥에서 부출된다. 정류탑에서는,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정류조작이 행하여진다. 한편, 정류탑에 있어서의 증류조건, 예를 들면, 탑정상의 온도, 탑밑바닥의 온도, 탑의 단수, 및 환류비 등은,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의 증류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용액으로부터 그 수분이 효율적으로 제거되어, 건조한 에틸렌 황화물이 안정적으로 얻어진다.
다음에, 혼합용액으로부터의 수분의 제거에 적절히 이용되는 증류장치의 한 예예 관헤서, 제5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한 증류장치는, 배관(33, 34)(제4도)를 구비하는 대신에, 제5도에 표시하듯이, 배관(37)을 구비하고 있다. 결국, 증류탑(31)의 탑정부 근방은, 배관(37)을 통해 예를 들면 혼합용액 공급탱크(도면표시하지 않음)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증류탑(31)의 탑정부 근방에는, 배관(37)을 통하여 혼합용액이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혼합용액 공급탱크는, 그 내부에 소정량의 상기한 혼합용액을 상시 저류하고, 증류탑(31)에 그 혼합용액을 공급한다. 증류장치의 그 외의 구성은, 제4도의 증류장치와 동일하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의 증류장치를 이용한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혼합용액 공급탱크에서 증류탑(31)의 탑정부 근방에 혼합용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증류탑(31)에 공급된 혼합용액은, 연속적으로 증류되어, 에틸렌 황화물의 일부와 물 등이 유출액으로서 탑정상에서 유출된다. 또한, 나머지의(결국, 대부분의) 에틸렌 황화물과, 소수성 유기화합물 등이 부출액으로서 탑밑바닥에서 부출된다. 아래의 증류조작은, 상술한(제4도) 증류장치와 동일하다.
이상의 증류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혼합용액으로부터 그 수분이 효율적으로 제거되어, 건조한 에틸렌 황화물이 안정적으로 얻어진다. 한편, 증류장치는 제4도 및 제5도에 표시하는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의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제5도에 표시하는 구성의 증류장치에 있어서, 혼합용액이 함유하는 소수성 유기화합물과 동일한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배관(도면표시하지 않음)을, 증류탑(31)에 마련하더라도 좋다. 결국, 증류탑(31)에, 혼합용액과 소수성 유기화합물 등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증류조작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이러한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은, 수분을 함유하는 에틸렌 황화물 및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증류탑(31)에 공급하면서 연속적으로 증류하여, 에틸렌 황화물의 일부와 같이 물을 유출시키는 한편, 에틸렌 황화물과 소수성 유기화합물과의 혼합물을 부출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이러한 탈수방법은, 상기한 에틸렌 황화물 및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증류탑(31)의 탑정부 근방에 공급하면서, 환류조작을 행하지 않고 증류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이러한 탈수방법은, 수분을 함유하는 에틸렌 황화물과,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증류탑(31)에 공급하면서 연속적으로 증류하여, 에틸렌 황화물의 일부와 같이 물을 유출시키는 한편, 에틸렌 황화물과 소수성 유기화합물과의 혼합물을 부출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이러한 탈수방법은, 상기한 혼합용액을 증류탑(31)의 탑정부 근방에 공급하면서, 환류조작을 행하지 않고 증류한다. 그 위, 본 발명에 이러한 탈수방법은, 상기한 소수성 유기화합물과 동일한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증류탑(31)에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증류탑(31)에 있어서의 물의 체류시간을 짧게할 수가 있기 때문에, 그 증류탑(31) 내에 있어서의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반응, 즉, 중합물의 생성을 억제하면서,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이러한 탈수방법은, 증류탑(31)의 부출액을 증류하는 것에 의해 에틸렌 황화물을 단리한다. 이것에 의해, 에틸렌 황화물을 정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탈수방법을 행하는 것에 의해,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반응을 억제하면서,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가 있고, 이것에 의해, 건조한 에틸렌 황화물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가 있다.
아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실시예 1~4는,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에 관한 실시예이고, 실시예 5~7은,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에 관한 실시예이다.
[실시예 1]
제1도에 표시하는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에틸렌 황화물을 연속적으로 회수하였다. 단, 증류탑(4)의 탑정부에 배설된 배관(16)을 탱크(1)에 접속하지 않고, 회수탱크(도면표시하지 않음)에 접속하였다. 즉, 증류탑(4)의 유출액을 탱크(1)에 반환하지 않고서, 회수탱크를 이용하여 회수하였다. 또한, 소수성 유기화합물로서 톨루엔(toluene)을 이용하였다.
연속증류탑(2)으로서, 내경 50의 유리판에, 충전물로서 5φ의 스테인레스제 디크손파킹을 농축부에 50, 회수부에 80충전한 것을 이용하였다. 증류탑(4)으로서, 내경 30의 유리관에, 충전물로서 5φ의 스테인레스제 디크손파킹을 회수부에 40충전한 것을 이용하였다. 정류탑(5)으로서, 내경 30의 유리판에, 충전물로서 5φ의 스테인레스제 디크손파킹을 농축부에 30, 회수부에 50충전한 것을 이용하였다. 또한, 분리조(3)내의 온도, 즉, 정치하기 위한 유출액의 액유를 5로 유지하였다.
그리고, 이들 연속증류탑(2), 증류탑(4) 및 정류탑(5)을, 상압으로 조작하였다. 이 때, 연속증류탑(2)에 있어서의 환류비가 5가 되도록, 분리조(3)로부터 연속증류탑(2)에 반환되는 유층의 반환량을 조작하였다. 또한, 정류탑(5)은, 환류비(7)로 되도록 조작하였다. 한편, 증류탑(4)에 있는 환류비는, 환류조작을 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0이다.
연속증류탑(2)에 공급한 용액의 단위시간당의 공급량(아래, 공급속도로 칭한다), 연속증류탑(2)으로부터 유출한 유출액의 단위시간당의 유출량(이하, 유출속도라 칭한다). 연속증류탑(2)으로부터 부출한 부출액의 단위시간당의 부출량(아래, 부출속도라 칭한다). 증류탑(4)에 공급한 유층의 공급속도, 증류탑(4)으로부터 유출한 유출액의 유출속도, 증류탑(4)으로부터 부출한 부출액의 부출속도, 정류탑(5)에 공급한 증류탑(4)의 부출액의 공급속도, 정류탑(5)으로부터 유출한 유출액의 유출속도, 및, 정류탑(5)으로부터 부출한 부출액의 부출속도를, 각파의 조성과 같이 표 1에 표시한다.
한편, 연속증류탑(2)에 있는 유출액의 체류시간은 5시간이었다. 또한, 분리조(3)로서 분리된 수층의 단위시간당의 분리량은 0.8g/hr이었다. 따라서, 분리조(3)에 있어서는, 유출액중의 수분의 40중량%가 수층으로서 분리된 것으로 된다.
상기한 표 1에 표시한 각 수치로부터 명백하듯이, 연속증류탑(2)에 있어서는, 용액중의 에틸렌 황화물이 가의 톨루엔과 함께 유출액으로서 유출되고, 한편, 고비점 화합물의 전체가 나머지의 톨루엔과 함께 부출액으로서 부출된 것이 판명된다. 또한, 증류탑(4)에 있어서는, 유층중의 수분 전체가 에틸렌 황화물의 일부 및 소량의 톨루엔과 함께 유출액으로서 유출된 것이 판명된다. 한편, 상기한 수분과 함께 유출한 에틸렌 황화물의 양은, 논리적은 공비조성물을 형성하는 양보다도, 약간 과잉이었다.
상기한 증류장치, 즉, 본 실시예에 이러한 회수방법에 의해 연속적으로 회수된 에틸렌 황화물의 순도는 99.6중량%이었다. 한편, 주요 불순물은 톨루엔이었다.
또한, 연속증류탑(2)에 공급한 에틸렌 공급량에 대한, 정류탑(5)으로부터 유출한 에틸렌 황화물의 유출량의 비율, 결국,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율은 89.5중량%였다. 한편, 상기한 에틸렌 황화물의 공급량에 대한, 증류탑(4)으로부터 유출한 에틸렌 황화물의 유출량의 비율, 결국,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회수탱크에 회수된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율은 9.1중량%였다.
[실시예 2]
제3도에 표시하는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에틸렌 황화물을 연속적으로 회수하였다. 단, 실시예 1의 증류장치와 같이, 증류탑(4)의 유출액을 탱크(1)에 반환하지 않고, 회수탱크를 이용하여 회수하였다. 또한, 소수성 유기화합물로서 톨루엔을 이용하였다. 또한, 연속증류탑(2), 증류탑(4) 및 정류탑(5)의 구성을 실시예 1의 증류장치와 같은 구성으로 함과 같이, 정치하기 위한 유출액의 액유를 5로 유지하였다.
그리고, 이들 연속증류탑(2), 증류탑(4) 및 정류탑(5)을, 상압으로 조작하였다. 이때, 연속증류탑(2)에는, 도면표시하지 않은 톨루엔 공급탱크(소수성 유기화합물 공급탱크)로부터 톨루엔을 350g/hr이 되도록 연속적으로 공급하였다. 또한, 정류탑(5)은, 환류비가 7이 되도록 조작하였다. 한편, 증류탑(4)에 있는 환류비는, 환류조작을 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0이다.
연속증류탑(2), 증류탑(4) 및 정류탑(5)의 각각의 공급속도, 유출속도, 및 부출속도를, 각 파의 조성과 같이, 표 2에 표시한다.
한편, 연속증류탑(2)에 있는 유출액의 체류시간은 5시간이었다. 또한, 분리조(3)로서 분리된 수층의 단위시간당의 분리량은 0.4g/hr이었다. 따라서, 분리조(3)에 있어서는, 유출액중의 수분의 25중량%가 수층으로서 분리된 것으로 된다.
상기한 표 2에 표시한 각 수치로부터 명백하듯이, 연속증류탑(2)에 있어서는, 용액중의 에틸렌 황화물이 거의 톨루엔과 함께 유출액으로서 유출되는, 한편, 고비점 화합물의 전체가 나머지의 톨루엔과 같이 부출액으로서 부출되는 것이 판명된다. 또한, 증류탑(4)에 있어서는, 유층중의 수분전체가 에틸렌 황화물의 일부 및 소량의 톨루엔과 같이 유출액으로서 유출된 것이 판명되었다. 한편, 상기한 수분과 함께 유출한 에틸렌 황화물의 양은, 양론적인 공비조성물을 형성하는 양보다도, 약간 과잉되었다.
상기한 증류장치, 즉, 본 실시예예 이러한 회수방법에 의해 연속적으로 회수된 에틸렌 황화물의 순도는 99.5중량%였다. 한편, 주된 불순물은 톨루엔이었다.
또한, 연속증류탑(2)에 공급한 에틸렌 황화물의 공급량에 대한, 정류탑(5)으로부터 유출한 에틸렌 황화물의 유출량의 비율, 결국,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율은 87.0중량%이었다. 한편, 상기한 에틸렌 황화물의 공급량에 대한, 증류탑(4)으로부터 유출한 에틸렌 황화물의 유출량의 비율, 결국, 도면표시하지 않은 회수탱크에 회수된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율은 12.1중량%였다.
[실시예 3]
제2도에 표시하는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에틸렌 황화물을 연속적으로 회수한다. 소수성 유기화합물로서 톨루엔을 이용하였다. 또한, 연속증류탑(2), 증류탑(4) 및 정류탑(5)의 구성을 실시예 1의 증류장치와 같은 구성으로 함과 같이, 정치하기 위한 유출액의 액유를 5로 유지하였다.
그리고, 이들 연속증류탑(2), 증류탑(4) 및 정류탑(5)을 상압으로 조작하였다. 이 때, 연속증류탑(2)에 있어서는 환류비가 5가 되도록, 분리조(3)로부터 연속증류탑(2)에 반환되는 유층의 반환량을 조작하였다. 또한, 정류탑(5)은, 환류비가 7이 되도록 조작하였다. 한편, 증류탑(4)에 있어서 환류비는, 환류조작을 행하고 있지 안힉 때문에 실질적으로 0이다.
연속증류탑(2), 증류탑(4) 및 정류탑(5)의 각각의 공급속도, 유출속도 및 부출속도를, 각 파의 조성과 같이, 표 3에 표시한다. 한편, 분리조(3)로서 분리된 수층의 단위시간당의 분리량은 2g/hr이었다.
상기한 증류장치, 즉 본 실시예에 이러한 회수방법에 의해 연속적으로 회수된 에틸렌 황화물의 순도는 99.2중량%였다. 한편, 주된 불순물은 톨루엔이었다.
또한, 분리조(3)에 공급한 에틸렌 황화물의 공급량에 대한, 정류탑(5)으로부터 유출한 에틸렌 황화물의 유출량의 비율, 결국,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율은 99.6중량%였다.
[실시예 4]
제1도에 표시하는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에틸렌 황화물을 연속적으로 회수하였다. 소수성 유기화합물로서 톨루엔을 이용하였다. 또한, 연속증류탑(2), 증류탑(4) 및 정류탑(5)의 구성을 실시예 1의 증류장치와 같은 구성으로 함과 같이, 정치하기 위한 유출액의 액유를 5로 유지하였다.
또한, 탱크(1)에 도면표시하지 않은 원액공급탱크에서 원액(용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였다. 즉, 탱크(1)에, 에틸렌 황화물을 248g/hr, 톨루엔을 735g/hr, 고비점화합물을 6g/hr의 공급속도로 공급하였다. 또한, 탱크(1)로서 용액으로부터 분리한 물은 적당히 뽑아내어, 그 탱크(1)의 유층만을 연속증류탑(2)에 공급하였다.
그리고, 이들 연속증류탑(2), 증류탑(4) 및 정류탑(5)을 상압으로 조작하였다. 이 때, 연속증류탑(2)에 있어서 환류비가 5가 되도록, 분리조(3)로부터 연속증류탑(2)에 반환되는 유층의 반환량을 조작하였다. 또한, 정류탑(5)은, 환류비가 7이 되도록 조작하였다. 한편, 증류탑(4)에 있어서 환류비는, 환류조작을 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0이다.
연속증류탑(2), 증류탑(4) 및 정류탑(5)의 각각의 공급속도, 유출속도 및 부출속도를, 각 파의 조성과 같이, 표 4에 표시한다. 한편, 분리조(3)로서 분리된 수층의 단위시간당의 분리량은 0.7g/hr이었다.
상기한 증류장치, 즉, 본 실시예에 이러한 회수방법에 의해 연속적으로 회수된 에틸렌 황화물의 순도는 99.6중량%였다. 한편, 주요불순물은 톨루엔이었다.
또한, 탱크(1)에 공급된 에틸렌 황화물 원액중의 공급량에 대한, 정류탑(5)에서 유출한 에틸렌 황화물의 유출량의 비율, 결국,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율은 98.4중량%였다.
상기한 실시예 1~4의 결과에서 명백하듯이, 본 실시예에 이러한 회수방법을 행하는 것에 의해,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반응을 억제할 수가 있고, 그 에틸렌 황화물을 연속적, 효율적 또한 안정적으로 분리·회수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명되었다.
[실시예 5]
제4도에 표시하는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수분을 함유하는 에틸렌 황화물에서 그 수분을 연속적으로 제거한다. 용액으로서, 수분을 0.2중량% 함유하는 에틸렌 황화물을 이용하고, 비수성 유기화합물로서 톨루엔을 이용하였다.
증류탑(31)으로서, 내경 30의 유리관으로, 충전물로서 5φ의 스테인레스제 디크손파킹을 회수부에 40충전한 것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증류탑(31)을 상압으로 조작하였다. 이 때, 증류탑(31)에 있어서 환류비는, 환류조작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0이다. 증류탑(31)에 공급한 용액의 단위시간당의 공급량(아래, 용액공급속도라 칭한다)은, 400g/hr이었다. 또한, 증류탑(1)에 공급한 비수성 유기화합물의 단위시간당의 공급량(아래, 비수성 유기화합물 공급속도라 칭함)은, 300g/hr이었다.
그 결과, 증류탑(31)에서 유출한 유출액의 단위시간당의 유출량(아래, 유출속도라 칭한다)은, 물이 0.8g/hr, 에틸렌 황화물이 38g/hr, 톨루엔이 2g/hr이었다. 또한, 증류탑(31)에서 부출한 부출액의 단위시간당의 부출량(아래, 부출속도라 칭한다)은, 에틸렌 황화물이 362g/hr, 톨루엔이 298g/hr이고, 수분이 함유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상기한 조건의 증류조작을 약 100시간 연속하여 실시하지만, 증류탑(31) 내에 있는 에틸렌 황화물의 종합반응, 즉, 중합물의 생성은 인식되어 있지 않았다.
상기한 결과에서 명백하듯이, 증류탑(31)에 있어서는, 용액중의 수분의 전체가 에틸렌 황화물의 일부 및 소량의 톨루엔과 같이 유출액으로서 유출된 것이 판명되었다. 한편, 증류탑(31)의 부출액을 증류하는 것에 의해, 에틸렌 황화물을 단순히 단리·정제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5와 동일한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수분을 함유하는 에틸렌 황화물에서 그 수분을 연속적으로 제거하였다. 용액으로서, 수분을 0.2중량% 함유하는 에틸렌 황화물을 이용하고, 소수성 유기화합물로서 메시틸렌(1, 3, 5-트리메틸벤젠)을 이용하였다. 한편, 증류의 조건 등은, 실시예 5와 동일하다.
용액공급속도는, 400g/hr이었다. 또한, 소수성 유기화합물 공급속도는, 200g/hr이었다. 그 결과, 유출속도는, 물이 0.8g/hr, 에틸렌 황화물이 45g/hr, 메시틸렌이 0.5g/hr이었다. 또한, 부출속도는, 에틸렌 황화물이 355g/hr, 메시틸렌 199.5g/hr이고, 물은 함유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상기한 조건에서의 증류조작을 약 100시간 연속하여 실시하지만, 증류탑(31) 내에 있는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반응, 즉, 종합물의 생성은 인식되어있지 않았다.
상기한 결과에서 명백하듯이, 증류탑(31)에 있어서는, 용액중의 수분의 전체가 에틸렌 황화물의 일부 및 소량의 메시틸렌과 함께 유출액으로서 유출된 것이 판명되었다. 한편, 증류탑(31)의 부출액을 증류하는 것에 의해, 에틸렌 황화물을 단순히 단리·정제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실시예 7]
제5도에 표시하는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수분을 함유하는 에틸렌 황화물에서 그 수분을 연속적으로 제거하였다. 용액으로서, 물 0.1중량%, 에틸렌 황화물 45.6중량%, 및 소수성 유기화합물로서의 톨루엔 54.3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용액을 사용하였다. 오히려, 증류탑(31)의 구성은, 실시예 5의 증류장치와 동일하다. 또한, 증류의 조건 등은, 실시예 5와 동일하다.
증류탑(31)에 공급한 혼합용액의 단위시간당의 공급량은 70g/hr이었다. 그 결과, 유출속도는, 물이 0.7g/hr, 에틸렌 황화물이 35.7g/hr, 톨루엔이 1.6g/hr이었다. 또한, 부출속도는, 에틸렌 황화물이 283.5g/hr, 톨루엔 378.5g/hr이고, 물은 함유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상기한 조건의 증류조작을 약 100시간 연속하여 실시하지만, 증류탑(31)내에 있는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반응, 즉, 중합물의 생성은 인식되고 있지 않았다.
상기한 결과에서 명백하듯이, 증류탑(31)에 있어서는, 용액중의 수분 전체가 에틸렌 황화물의 일부 및 소량의 메시틸렌과 함께 부출액으로서 부출된 것이 판명되었다. 한편, 증류탑(31)의 부출액을 증류하는 것에 의해, 에틸렌 황화물을 단순히 단리·정제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상기한 실시예 5~7의 결과에서 명백하듯이, 본 실시예에 이러한 탈수방법을 행하는 것에 의해,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반응을 억제하면서,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에 의해, 건조한 에틸렌 황화물을 안정적으로 얻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명되었다.
한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의 항에 있어서 이루어진 구체적인 실시형태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명백하게 하는 것으로서, 그와 같은 구체예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결해야 할 일이 없고,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가지각색으로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이러한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에 의해,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 반응을 억제할 수가 있고, 그 에틸렌 황화물을 연속적, 효과적 또한 안정적으로 분리·회수할 수가 있다. 또한, 각종 증류탑이나 배관 등이 폐색하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이렇나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에 의해, 에틸렌 황화물의 중합반응을 억제하면서,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가 있고, 건조한 에틸렌 황화물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가 있다.

Claims (27)

  1.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은, 에틸렌 황화물과, 에틸렌 황화물보다도 비점이 높은 소수성 유기화합물과, 그 소수성 유기화합물보다도 비점이 높은 고비점 화합물 등을 포함하고, 또한, 수분을 함유하는 용액을, 제1의 증류탑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증류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소수성 유기화합물 및 물과 함께 에틸렌 황화물을 유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증류탑을 이용하여 증류하는 단계는, 제1의 증류탑의 탑정부에, 그 소수성 유기화합물과 동일한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증류탑을 이용하여 증류하는 단계는, 용액을 제1의 증류탑의 중단부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증류탑을 이용하여 증류하는 단계는, 상압하 혹은 강압하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소수성 유기화합물은, 방향족 탄화수소 및 지방족 탄화수소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탄화수소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소수성 유기화합물은, 탄소수 6이상의 탄화수소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
  7. 제1의 증류탑의 유출액에 있어서의 에틸렌 황화물의 함유량은, 75중량%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은, 또한, 제1의 증류탑을 이용하여 증류하는 단계 후에, 제1의 증류탑의 증류액을 정치하는 것에 의해, 유층과 수층으로 분리시킨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은, 또한, 제1의 증류탑의 유출액을 정치하는 단계 후에, 상기한 유층의 일부를 제1의 증류탑의 탑정부에 환류시킨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은, 또한, 제1의 증류탑의 유출액을 정치하는 단계 후에, 상기한 유층을 제2의 증류탑의 탑정부에 공급하면서, 제2의 증류탑을 사용하여 환류조작을 행하지 않고서 연속적으로 증류하고, 에틸렌 황화물의 일부와 함께 물을 유출시키는 한편, 에틸렌 황화물과 소수성 유기화합물과의 혼합물을 부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제2의 증류탑을 사용하여 증류하는 단계는, 상압하 혹은 감압하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은, 또한, 제2의 증류탑을 이용하여 증류하는 단계후에, 그 제2의 증류탑의 부출액을 제3의 증류탑을 이용하여 증류하고, 에틸렌 황화물을 유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은, 또한, 제2의 증류탑을 이용하여 증류하는 단계의 후에, 제1의 증류탑에 용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탱크에, 원액인 새로운 용액과, 제2의 증류탑의 유출액 등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은, 또한, 제2의 증류탑을 이용하여 증류하는 단계의 후에, 제1의 증류탑에 용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탱크에, 원액인 새로운 용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한편, 제1의 증류탑의 유출액을 유층과 수층으로 분리시킨 분리조에, 제2의 증류탑의 유출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
  15.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은, 수분을 함유하는 에틸렌 황화물 및 에틸렌 황화물보다도 비점이 높은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증류탑에 공급하면서 연속적으로 증류하고, 에틸렌 황화물의 일부와 함께 물을 유출시키는 한편, 에틸렌 황화물과 소수성 유기화합물의 혼합물을 부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증류탑을 이용하여 증류하는 단계는, 상기한 에틸렌 황화물 및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증류탑의 탑정부에 공급하면서, 환류조작을 행하지 않고서 증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증류탑을 이용하여 증류하는 단계는, 상압하 혹은 감압하에서 행하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한 소수성 유기화합물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및 지방족 탄화수소류로 이루어지는 군에 의해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탄화수소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한 소수성 유기화합물은, 방향족(6) 이상의 탄화수소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은, 또한, 증류탑을 이용하여 증류하는 단계의 후에, 증류탑의 부출액을 증류하는 것에 의해 에틸렌 황화물을 단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
  21.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은, 수분을 함유하는 에틸렌 황화물과, 에틸렌 황화물보다도 비점이 높은 소수성 유기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용액을 증류탑에 공급하면서 연속적으로 증류하고, 에틸렌 황화물의 일부와 함께 물을 유출시키는 한편, 에틸렌 황화물과 소수성 유기화합물과의 혼합물을 부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증류탑을 이용하여 증류하는 단계는, 상기한 용액을 증류탑의 탑정부에 공급하면서, 환류조작을 행하지 않고서 증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증류탑을 이용하여 증류하는 단계는, 상기한 소수성 유기화합물과 동일한 소수성 유기화합물을, 증류탑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증류탑을 이용하여 증류하는 단계는, 상압하 혹은 감압하에서 행하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한 소수성 유기화합물은, 방향족 탄화수소 및 지방족 탄화수소류로 이루어지는 군에 의해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탄화수소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한 소수성 유기화합물은, 탄소수 6 이상의 탄화수소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
  27. 제21항에 있어서,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은, 또한, 증류탑을 이용하여 증류하는 단계후에, 증류탑의 부출액을 증류하는 것에 의해 에틸렌 황화물을 단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황화물의 탈수방법.
KR1019960706841A 1995-04-05 1996-04-02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 및 탈수방법 KR1002114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80396 1995-04-05
JP8039695A JP2685730B2 (ja) 1995-04-05 1995-04-05 エチレンスルフィドの回収方法
JP8563795A JP2685731B2 (ja) 1995-04-11 1995-04-11 エチレンスルフィドの脱水方法
JP95-85637 1995-04-11
PCT/JP1996/000890 WO1996031495A1 (fr) 1995-04-05 1996-04-02 Procede de recuperation et de deshydratation du sulfure d'ethyle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3331A KR970703331A (ko) 1997-07-03
KR100211492B1 true KR100211492B1 (ko) 1999-08-02

Family

ID=26421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6841A KR100211492B1 (ko) 1995-04-05 1996-04-02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 및 탈수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33813A (ko)
EP (1) EP0764646B1 (ko)
KR (1) KR100211492B1 (ko)
CN (1) CN1149872A (ko)
DE (1) DE69628889D1 (ko)
TW (1) TW318180B (ko)
WO (1) WO19960314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9996A (zh) * 2016-06-20 2016-10-12 保定加合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从废气回收环硫乙烷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35800A (ko) *
GB1051947A (ko) * 1964-09-18
US3687976A (en) * 1966-01-04 1972-08-29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yclic sulfides
US3622597A (en) * 1968-09-13 1971-11-23 Dow Chemical Co Method of preparing thiiranes from mercaptoalcohols
NL7001172A (en) * 1970-01-28 1970-06-23 Production of alkylene sulphides
FR2136912B1 (ko) * 1971-05-07 1973-05-11 Aquitaine Petrole
IT956765B (it) * 1972-06-22 1973-10-10 Montedison Spa Procedimento per la purificazione di 1 3 diossolano
US5304656A (en) * 1991-11-29 1994-04-19 Nippon Shokubai Co., Ltd. Process for preparing alkylene sulfides
JP2537324B2 (ja) * 1992-06-11 1996-09-25 株式会社日本触媒 アルキレンスルフィドの捕集方法
JP3164707B2 (ja) * 1993-08-30 2001-05-08 三井化学株式会社 1,3−ジメチル−2−イミダゾリジノンを回収する方法
JPH0770097A (ja) * 1993-09-02 1995-03-14 Daicel Chem Ind Ltd クロロスチレンオキシド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64646A1 (en) 1997-03-26
WO1996031495A1 (fr) 1996-10-10
CN1149872A (zh) 1997-05-14
US5833813A (en) 1998-11-10
KR970703331A (ko) 1997-07-03
DE69628889D1 (de) 2003-08-07
EP0764646A4 (en) 2001-08-08
EP0764646B1 (en) 2003-07-02
TW318180B (ko) 1997-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05445C (en) Process for the continuous separation of water from mixtures with organic substances
US5910607A (en) Process for producing acrylic acid
KR100733400B1 (ko) 아세트산, 메틸아세테이트 및 물을 분리하기 위한공비증류공정
US5637222A (en) Process for the fractional separation of (meth)acrylic acid from a mixture containing (meth)acrylic acid
CA1105051A (e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catalyst and solvent from the mother liquor of a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terephtalic acid
EP34040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recovery of (meth)acrylic acid
RU2237652C2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KR101227170B1 (ko) 정제된 메틸 이소부틸 케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7098810A (zh) 一种制备电子级丙二醇甲醚醋酸酯的分离提纯方法
KR100211492B1 (ko) 에틸렌 황화물의 회수방법 및 탈수방법
US11655228B2 (en) Process for preparing dioxolane
CA1236469A (en) Recovery of sulfolane
CN106687438B (zh) (甲基)丙烯酸的回收方法和回收装置
JP2000281617A (ja) アクリル酸の精製方法
CA1193282A (en) Method for esterifying methacrylic acid
CA1131657A (en) Recovery of methacrylic acid and alcohol in methacrylate production process
US20220073490A1 (en) Process for preparing dioxolane
JP2685730B2 (ja) エチレンスルフィドの回収方法
JP2003160530A (ja) (メタ)アクリル酸の精製方法
US20230150912A1 (en) Process for eliminating interfering by-products in the direct oxidative esterification of methacrolein
EP2192104B1 (en) A process of removing hydrocarbons from the reaction products of producing sec-butyl acetate
JP3002122B2 (ja) アルキレンスルフィドの製造方法
US8530705B2 (en) Purification method of dihydroxybenzene
KR20240031052A (ko) 고순도 아크릴산의 제조방법
KR20240031055A (ko) 고순도 아크릴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