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079B1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독립운전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독립운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079B1
KR100210079B1 KR1019960048742A KR19960048742A KR100210079B1 KR 100210079 B1 KR100210079 B1 KR 100210079B1 KR 1019960048742 A KR1019960048742 A KR 1019960048742A KR 19960048742 A KR19960048742 A KR 19960048742A KR 100210079 B1 KR100210079 B1 KR 100210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indoor
unit
room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8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9469A (ko
Inventor
안상만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48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0079B1/ko
Priority to US08/933,335 priority patent/US5904047A/en
Priority to JP9262549A priority patent/JPH10141743A/ja
Priority to CN97120009A priority patent/CN1102223C/zh
Publication of KR19980029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0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1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digit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24F3/06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with a plurality of evaporators or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25B2313/023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with simultaneous cooling and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독립운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한 대의 실외기에 여러대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여러방을 동시 냉방운전시키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각 실내기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다수의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각 실내열교환기의 배관온도를 감지하는 배관온도감지수단과, 상기 각 실내기 사이에 코드화된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배관온도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배관온도를 기설정된 1차, 2차저온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각 실내기의 1차, 2차저온동작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상대쪽 실내기의 1차, 2차저온동작상태를 파악하여 한쪽 실내기의 2차저온동작시에도 다른쪽 실내기는 정상냉방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1차저온동작시 오프되는 실외팬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2차저온동작시 오프되는 압축기로 이루어져, 실내기간의 통신으로 실내기 상호간의 운전상태를 점검하여 한쪽 실내기의 안전장치 동작시에도 반대쪽 실내기를 정상동작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독립운전장치
제1도는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을 도시한 냉동싸이클도.
제2도는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난방운전을 도시한 냉동싸이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독립운전장치의 제어블록도.
제4a도 내지 제4d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독립운전제어 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상운전시 압축기와 실외팬동작을 도시한 도표.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의한 저온동작시 압축기와 실외팬동작을 도시한 도표.
제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고온동작시 압축기와 실외팬동작을 도시한 도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수단 20 : 리모콘수신수단
30 : 제어수단 40 : 실내온도감지수단
50 : 배관온도감지수단 60 : 사방밸브구동수단
70 : 압축기구동수단 80 : 실외팬모터구동수단
90 : 실내팬모터구동수단 100 : 표시수단
110 : 통신수단
본 발명은 하나의 실외기에 두 대이상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여러방을 동시냉방, 동시난방시키는 히트펌프(HEAT PUMP)식 멀티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기간의 통신으로 서로의 운전상태를 파악하여 한쪽 실내기의 안전장치(제동동작, 고온동작 또는 저온동작) 동작시에도 반대쪽 실내기를 정상동작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독립운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차가운 공기를 따뜻하게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난방장치와, 실내의 뜨거운 공기를 차갑게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냉방장치가 있다.
또한, 상기의 냉방기능과 난방기능을 겸한 냉난방장치도 있으며, 오염된 실내공기를 청정시키는 청정기능도 포함되어지는 상황이다.
종래 냉방전용의 공기조화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압축기(1)에 의해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된 냉매가 실외열교환기(2)에 유입되면, 상기 실외열교환기(2)에서는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를 실외팬(8)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로 열교환하여 냉매를 강제냉각시켜 액화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2)에서 액화된 저온고압의 액상냉매는 증발압력까지 팽창시키는 팽창밸브(3)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로 감압되어 실내열교환기(4)에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열교환기(4)에서는 팽창밸브(3)에서 감압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가 여러개의 파이프를 통과하면서 증발하여 기화할 때 실내팬(9)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서 열을 빼앗아 실내공기를 냉각시킨다음, 그 냉각된 공기(냉풍)를 실내로 토출해서 냉방을 행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4)에서 냉각된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는 다시 상기 압축기(1)로 흡입되어 제1도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복순환하는 냉동싸이클을 형성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냉동싸이클에 의해 냉방을 행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하나의 실외기로 하나의 실내기를 제어하여 개별냉방을 수행하기 때문에 여러방을 동시에 냉방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실내난방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종래 예로써 냉난방을 겸하여 사용하는 인버터에어콘에 있어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1)에서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된 냉매가 사방밸브(5)의 제어에 따라 실외 열교환기(2)에 유입되면, 상기 실외 열교환기(2)에서는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를 실외팬(8)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로 강제냉각시켜 액화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2)에서 액화된 저온고압의 액상냉매는 한방향밸브(7)를 거쳐 증발압력까지 팽창시키는 팽창밸브(3)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로 감압되어 실내열교환기(4)에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열교환기(4)에서는 팽창밸브(3)에서 감압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가 여러개의 파이프를 통과하면서 증발하여 기화할 때 실내팬(9)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서 열을 빼앗아 실내공기를 냉각시킨다음, 그 냉각된 공기(냉풍)를 실내로 토출해서 냉방을 행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4)에서 냉각된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는 다시 압축기(1)로 흡입되어 제2도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복순환되는 냉동싸이클을 형성하면서 실내냉방을 수행한다.
반면, 난방의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1)에서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된 냉매가 사방밸브(5)의 제어에 따라 실내열교환기(4)에 유입되면, 상기 실내열교환기(4)에서는 실내팬(9)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상온의 냉각수 또는 공기에 의해 열교환하여 상온고압의 냉매로 냉각시킴에 따라 따뜻해진 공기(온풍)를 실내로 토출해서 난방을 수행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4)에서 액화된 냉매는 팽창밸브(3) 및 난방용 팽창밸브(6)를 통해 저온저압의 냉매로 감압되어 실외열교환기(2)에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실외열교환기(2)에서는 팽창밸브(3) 및 난방용 팽창밸브(6)에서 감압된 냉매를 실외팬(8)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로 열교환하여 냉각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2)에서 냉각된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는 다시 상기 압축기(1)로 흡입되어 제2도의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복순환되는 냉동싸이클을 형성하면서 실내난방을 수행한다.
그런데, 상기과 같은 냉동싸이클에 의해 냉난방을 행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하나의 실외기로 하나의 실내기를 제어하여 냉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여러방을 도시에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하나의 실외기(압축기 2개, 사방밸브 2개를 구비)에 두 대 이상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여러방을 동시냉방, 동시난방시키는 공기조화기가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었으나, 실내기간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아 상대쪽 실내기의 운전상태를 파악하지 못하므로 한편 실내기에서 안전장치가 동작하면, 반대쪽 실내기는 강제적으로 운전을 오프시켜야만 제어가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기간의 통신으로 상대쪽 실내기의 운전상태를 수시로 점검하여 한쪽 실내기의 안전장치 동작시에도 반대쪽 실내기를 정상동작시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독립운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독립운전장치는, 한 대의 실외기에 여러대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여러방을 동시 냉방운전시키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각 실내기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다수의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각 실내열교환기의 배관온도를 감지하는 배관온도감지수단과, 상기 각 실내기 사이에 코드화된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배관온도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배관온도를 기설정된 1차, 2차저온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각 실내기의 1차, 2차저온동작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상대쪽 실내기의 1차, 2차저온동작상태를 파악하여 한쪽 실내기의 2차저온동작시에도 다른쪽 실내기는 정상냉방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1차저온동작시 오프되는 실외팬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2차저온동작시 오프되는 압축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수단(10)은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부하구동전원, 마이컴 구동전원, 통신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리모콘수신수단(20)은 사용자가 원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조건(냉방, 난방, 자동냉방, 자동난방운전 등)과 설정온도(Ts), 토출공기의 설정풍량 및 설정풍향을 입력하도록 도시되지 않은 리모콘의 키조작에 의한 적외선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수단(30)은 상기 전원수단(1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마이컴 구동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공기조화기를 초기화시킴은 물론, 상기 리모콘수신수단(20)에 의해 입력된 운전조건 및 운전/정지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공조운전을 제어하도록 두 대의 실내기에 각각 설치된 마이컴으로써, 이 제어수단(30)은 각각의 실내기에서 실내온도에 따라 압축기(1)의 운전을 결정하고, 실내열교환기(4)의 배관온도에 따라 안전장치(제상동작, 고온동작 또는 저온동작)의 동작을 제어하며, 각 실내기의 운전상태를 코드화시킨 통신신호를 입출력포트를 통해 입력받음과 동시에 출력한다.
또한, 실내온도감지수단(40)은 상기 리모콘수신수단(20)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로 실내온도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방, 난방운전을 수행하도록 실내공기의 온도(Tr)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30)에 출력하고, 배관온도감지수단(50)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에 변화하는 실내열교환기(4)의 배관온도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4)를 통과하는 냉매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30)에 출력한다.
사방밸브구동수단(60)은 상기 리모콘수신수단(20)에 의해 입력된 운전조건(냉방 또는 난방)에 따라 냉매가 순환하는 유로를 변경하도록 상기 제어수단(3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사방밸브(5)를 온/오프구동제어한다.
또, 압축기구동수단(70)은 상기 리모콘수신수단(20)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와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40)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의 차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3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압축기(1)를 구동제어하고, 실외팬모터구동수단(80)은 상기 리모콘수신수단(20)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Ts)와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40)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의 차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3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실외열교환기(2)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실외로 송풍하도록 실외팬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외팬(8)을 구동제어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실내팬모터구동수단(90)은 상기 리모콘수신수단(20)에 의해 입력된 설정풍량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3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실내열교환기(4)에서 열교환된 공기(냉풍 또는 온풍)를 실내로 송풍하도록 실내팬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내팬(9)을 구동제어하고, 표시수단(100)은 상기 제어수단(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리모콘수신수단(20)에 의해 입력된 운전조건과 설정온도(Ts)을 표시함은 물론,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40)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 및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통신수단(110)은 두 대의 실내기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어수단(30)에서 각 실내기의 안전장치(제상동작, 고온동작 또는 저온동작)와 운전상태(냉방, 난방, 자동냉방, 자동난방)등을 코드화시킨 통신신호를 상대쪽 실내기에 서로 입출력하도록 두 대의 실내기사이에 연결한 통신와이어로써, 이 통신수단(110)은 통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위한 별도의 회로를 구성함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독립운전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제4a도 내지 제4d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독립운전제어 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제4a도 내지 제4d에서 S는 스텝(Step)을 표시한다.
먼저, 공기조화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수단(10)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교류전원단으로부터의 상용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공기조화기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부하공동전원, 마이컴 구동전원, 통신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각 구동회로 및 제어수단(30)에 출력한다.
따라서, 스텝 S1에서는 상기 전원수단(1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마이컴 구동전원)을 제어수단(30)에서 입력받아 상기 공기조화기를 초기화시키고, 스텝 S2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리모콘을 조작하여 원하는 운전조건(냉방, 난방, 자동냉방, 자동난방 등)과 설정온도(Ts), 설정풍량 및 설정풍향을 입력한 다음 운전키를 누르면, 리모콘수신수단(20)으로부터 조작명령 및 운전시작신호(이하, 운전신호라 한다)가 제어수단(30)에 입력된다.
이때, 표시수단(100)에서는 상기 리모콘수신수단(20)에 의해 입력된 운전조건과 설정온도(Ts) 등을 제어수단(30)의 제어에 따라 표시한다.
이어서, 스텝 S3에서는 리모콘수신수단(20)에 의해 입력된 운전조건이 1실운전(예를들면, A실운전)인가를 판별하여, 1실운전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 S4로 나아가서 냉방운전인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 S4에서의 판별결과, 냉방운전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 S5로 나아가서 제어수단(30)은 냉방운전을 수행하기위해 실내팬(9)을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실내팬모터구동수단(9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모터구동수단(90)에서는 리모콘수신수단(20)에 의해 입력된 설정풍량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3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실내팬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실내팬(9)을 구동시킨다.
상기 실내팬(9)이 구동하면, 도시되지 않은 흡입구를 통해 실내공기가 실내기내로 흡입되기 시작하는데, 스텝 S6에서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Tr)를 실내온도감지수단(40)에서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30)에 출력한다.
이이서, 스텝 S7에서는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40)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보다 큰가를 판별하여,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보다 크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실내를 냉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스텝 S6으로 복귀하여 계속해서 실내온도(Tr)를 감지하면서 스텝 S6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 S7에서의 판별결과,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보다 큰 경우(YES일 경우)에는 실내를 냉방시켜야 하므로 스텝 S8에서는 상기 스텝 S5에서의 실내팬(9)구동후에 소정시간(압축기를 보호하기위한 지연시간; 약, 3분정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소정시간이 경과할때까지 스텝 S8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 S8에서의 판별결과,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YES일 경우)에는 소비전류가 일정하여 압축기(1)를 구동시켜도 압축기(1)에 무리가 없으므로 스텝 S9에서 제어수단(30)은 실내온도(Tr)와 설정온도(Ts)의 차에 따라 압축기(1)의 운전주파수를 결정하여 상기 압축기(1)를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압축기구동수단(70)에 출력하고, 실내온도(Tr)와 설정온도(Ts)의 차에 따라 실외팬모터의 회전수를 결정하여 실외팬(8)을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실외팬모터구동수단(8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기구동수단(70)에서는 제어수단(30)에서 결정된 운전주파수에 따라 압축기(1)를 구동시키고, 실외팬모터구동수단(80)에서는 제어수단(30)에서 결정된 회전수에 따라 실외팬(8)을 구동시킨다.
상기 압축기(1)와 실외팬(8)이 구동되면, 압축기(1)에 의해 고온고압의 기체로 압축된 냉매가 사방밸브(5)를 통해 실외열교환기(2)에 유입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2)에서는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를 실외팬(8)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로 강제냉각시켜 액화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2)에서 액화된 저온고압의 액상냉매는 한방향밸브(7)를 거쳐 증발압력까지 팽창시키는 팽창밸브(3)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로 감압되어 실내열교환기(4)에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열교환기(4)에서는 팽창밸브(3)에서 감압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가 여러개의 파이프를 통과하면서 증발하여 기화할 때 실내팬(9)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에서 열을 빼앗아 실내공기를 냉각시킨다음, 그 냉각된 공기(냉풍)를 실내로 토출해서 냉방을 행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4)에서 냉각된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는 다시 압축기(1)로 흡입되어 제2도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반복순환되는 냉동싸이클을 형성하면서 실내냉방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냉방운전이 일정시간 수행되면, 실내팬(9)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실내열교환기(4)에서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열교환하여 냉각시킬때에 외부로 배출되는 냉기에 의해 실내열교환기(4)의 배관온도가 저온으로 떨어지기 시작한다.
따라서, 상기 실내열교환기(4)의 저온동작을 감지하기위해 스텝 S10에서는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시에 변화하는 실내열교환기(4)의 배관온도(Tp) 즉, 실내열교환기(4)를 통과하는 냉매온도를 배관온도감지수단(50)에서 감지하여 제어수단(3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스텝 S11에서는 상기 배관온도감지수단(50)에 의해 감지된 배관온도(Tp)가 제어수단(30)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1차저온온도(Ta; 냉방운전시, 실내열교환기가 저온으로 떨어지기 시작하는 배관온도)이하인가를 판별하여, 배관온도(Tp)가 1차저온온도(Ta)이하가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 S10으로 복귀하여 배관온도(Tp)를 계속해서 감지하면서 스텝 S10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 S11에서의 판별결과, 배관온도(Tp)가 1차저온온도(Ta)이하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 S12로 나아가서 제어수단(30)은 실외팬(8)을 정지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실외팬모터구동수단(8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실외팬모터구동수단(80)에서는 제어수단(30)의 제어에 따라 실외팬(8)의 구동을 정지하고, 스텝 S13에서는 배관온도(Tp)가 제어수단(30)에 기설정된 2차저온온도(Tb; 냉방운전시, 실내열교환기가 완전히 저온으로 떨어진 배관온도)이하인가를 판별하여, 배관온도(Tp)가 2차저온온도(Tb)이하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 S14로 나아가서 제어수단(30)은 압축기(1)를 정지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압축기구동수단(7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기구동수단(70)에서는 제어수단(30)의 제어에 따라 압축기(1)의 구동을 정지하고, 스텝 S15에서는 배관온도(Tp)가 제어수단(30)에 기설정된 저온복귀온도(Tc; 냉방운전시, 실내열교환기가 정상으로 복귀하는 배관온도)이상인가를 판별하여, 배관온도(Tp)가 저온복귀온도(Tc)이상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 S13으로 복귀하고 스텝 S13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 S15에서의 판별결과, 배관온도(Tp)가 저온복귀온도(Tc)이상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 S16으로 나아가서 압축기구동수단(70)에서는 제어수단(30)에서 결정된 운전주파수에 따라 압축기(1)를 구동시키고, 실외팬모터구동수단(80)에서는 제어수단(30)에서 결정된 회전수에 따라 실외팬(8)을 구동시키면서 상기 스텝 S6으로 복귀하여 스텝 S6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 S13에서의 판별결과, 배관온도(Tp)가 2차저온온도(Tb)이하가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 S15로 나아가서 스텝 S15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또한, 상기 스텝 S4에서의 판별결과, 냉방운전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 S20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30)은 난방운전을 수행하기위해 실내공기의 온도(Tr)를 실내온도감지수단(40)에서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30)에 출력한다.
이어서, 스텝 S21에서는 상기 실내온도감지수단(40)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보다 작은가를 판별하여,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보다 작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실내를 난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스텝 S20으로 복귀하여 계속해서 실내온도(Tr)를 감지하면서 스텝 S20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 S21에서의 판별결과, 실내온도(Tr)가 설정온도(Ts)보다 작은 경우(YES일 경우)에는 실내를 난방시켜야하므로 스텝 S22에서 제어수단(30)은 사방밸브(5)를 제어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사방밸브구동수단(6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사방밸브구동수단(60)에서는 제어수단(3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사방밸브(5)를 온시킨다.
상기 사방밸브(5)는 오프시에 실선으로 냉매가 순환하도록 유로를 조절하고, 온시에는 점선으로 냉매가 순환하도록 유로를 조절한다.
이어서, 스텝 S23에서는 소정시간(압축기를 보호하기 위한 지연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소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스텝 S23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YES일 경우)에는 소비전류가 일정하여 압축기(1)를 구동시켜도 압축기(1)에 무리가 없으므로 스텝 S24에서 제어수단(30)은 실내온도(Tr)와 설정온도(Ts)의 차에 따라 압축기(1)의 운전주파수를 결정하여 상기 압축기(1)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압축기구동수단(7)에 출력하고, 실내온도(Tr)와 설정온도(Ts)의 차에 따라 실외팬 모터의 회전수를 결정하여 실외팬(8)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실외팬모터구동수단(8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기구동수단(70)에서는 제어수단(30)에서 결정된 운전주파수에 따라 압축기(1)를 구동시키고, 실외팬모터구동수단(80)에서는 제어수단(30)에서 결정된 회전수에 따라 실외팬(8)을 구동시킨다.
상기 압축기(1)와 실외팬(8)이 구동하면, 실내열교환기(4)의 배관온도가 점차 상승하는데, 스텝 S25에서는 이때의 변화하는 실내열교환기(4)의 배관온도(Tp)를 배관온도감지수단(50)에서 감지하여 제어수단(30)에 출력하고, 스텝 S26에서는 배관온도감지수단(50)에 의해 감지된 배관온도(Tp)가 제어수단(30)에 기설정된 냉풍방지온도(Td; 난방운전시, 실내로 냉풍이 토출되지 않는 실내열교환기의 배관온도)이상인가를 판별하여, 배관온도(Tp)가 냉풍방지온도(Td)이상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 S25로 복귀하여 배관온도(Tp)를 계속해서 감지하면서 스텝 S25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 S26에서의 판별결과, 배관온도(Tp)가 냉풍방지온도(Td)이상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실내팬(9)을 구동시켜도 실내로 냉풍이 토출되지 않게 되므로 스텝 S27로 나아가서 제어수단(30)은 실내팬(9)을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실내팬모터구동수단(9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모터구동수단(90)에서는 리모콘수신수단(20)에 의해 입력된 설정풍량에 따라 실내팬(9)을 구동시킨다.
상기 압축기(1)와 실외팬(8), 실내팬(9)이 구동되면, 압축기(1)에 의해 고온고압의 기체로 압축된 냉매가 사방밸브(5)를 통해 실내열교환기(4)에 유입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4)에서는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기체냉매를 실내팬(9)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로 열교환하여 상온고압의 냉매로 냉각시킴에 따라 생성된 온풍을 실내로 토출해서 난방을 행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4)에서 액화된 저온고압의 액상냉매는 증발압력까지 팽창시키는 팽창밸브(3)와 난방용 팽창밸브(6)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로 감압되어 실외열교환기(2)에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실외열교환기(2)에서는 팽창밸브(3)와 난방용 팽창밸브(6)에서 감압된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를 받아서 실외팬(8)(8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열교환하여 냉각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2)에서 냉각된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는 다시 압축기(1)로 흡입되어 제2도의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복순환되는 냉동싸이클을 형성하면서 실내난방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난방운전이 일정시간 수행되면, 실내열교환기(4)의 배관온도가 고온으로 올라가기 시작하므로, 실내열교환기(4)의 고온동작을 감지하기위해 스텝 S28에서는 배관온도(Tp)가 제어수단(30)에 기설정된 1차고온온도(Te; 난방운전시, 실내열교환기가 고온으로 올라가기 시작하는 배관온도)이상인가를 판별하여, 배관온도(Tp)가 1차고온온도(Te)이상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 S29로 나아가서 제어수단(30)은 실외팬(8)을 정지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실외팬모터구동수단(8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실외팬모터구동수단(80)에서는 제어수단(30)의 제어에 따라 실외팬(8)의 구동을 정지하고, 스텝 S30에서는 배관온도(Tp)가 제어수단(30)에 기설정된 2차고온온도(Tf; 난방운전시, 실내열교환기가 완전히 고온으로 올라간 배관온도)이상인가를 판별하여, 배관온도(Tp)가 2차고온온도(Tf)이상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 S31로 나아가서 제어수단(30)은 압축기(1)를 정지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압축기구동수단(7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기구동수단(70)에서는 제어수단(30)의 제어에 따라 압축기(1)의 구동을 정지하고, 스텝 S32에서는 배관온도(Tp)가 제어수단(30)에 기설정된 고온복귀온도(Tg; 난방운전시, 실내열교환기가 정상으로 복귀하는 배관온도)이하인가를 판별하여, 배관온도(Tp)가 고온복귀온도(Tg)이하가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 S30으로 복귀하여 스텝 S30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 S32에서의 판별결과, 배관온도(Tp)가 고온복귀(Tg)이하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 S33으로 나아가서 압축기구동수단(70)에서는 제어수단(30)에서 결정된 운전주파수에 따라 압축기(1)를 구동시키고, 실외팬모터구동수단(80)에서는 제어수단(30)에서 결정된 회전수에 따라 실외팬(8)을 구동시키면서 상기 스텝 S21로 복귀하여 스텝 S21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 S30에서의 판별결과, 배관온도(Tp)가 2차고온온도(Tf)이상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 S32로 나아가서 스텝 S32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또한, 상기 스텝 S28에서의 판별결과, 배관온도(Tp)가 1차고온온도(Te)이상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 S40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30)은 제상조건인가를 판별한다.
제상조건이라 함은, 난방운전이 일정시간 수행되면, 실외팬(8)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실외열교환기(2)에서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열교환하여 냉각시킬때에 외부로 배출되는 냉기에 의해 실외열교환기(2)의 표면에 성에가 착상되고, 이 착상된 성에가 시간이 지날수록 두터운 얼음으로 되어 실외기의 결빙현상이 발생하는 실내열교환기(4)의 배관온도를 체크하는 것이다.
상기 스텝 S40에서의 판별결과, 제상조건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 S21로 복귀하여 스텝 S21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하고, 제상조건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 S41로 나아가서 제어수단(30)은 압축기(1), 실외팬(8) 및 실내팬(9)을 정지시킨다.
이때, 스텝 S42에서는 상기 압축기(1), 실외팬(8) 및 실내팬(9)의 정지후에 소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여,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 S42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YES일 경우)에는 공기 조화기의 제상운전을 수행하기 위해 스텝 S43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30)은 사방밸브(5)를 제어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압축기(1)를 구동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사방밸브구동수단(60)에서는 제어수단(3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사방밸브(5)를 오프시키고, 압축기구동수단(70)에서는 제어수단(30)의 제어에 따라 압축기(1)를 구동시킨다.
상기 사방밸브(5)가 오프되고 압축기(1)가 구동되면, 냉매가 압축기(1)→ 사방밸브(5)→ 실외열교환기(2)→ 한방향밸브(7)→ 팽창밸브(3)→ 실내열교환기(4)→ 사방밸브(5)→압축기(1)순으로 순환되는 냉동싸이클을 형성하므로 실외열교환기(2)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운전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스텝 S44에서는 제상운전에 따라 실외열교환기(2)에 착상된 성에가 제거되어 제상완료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제상완료감지가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제상운전완료가 감지될때까지 스텝 S44에서의 동작을 반복수행하고, 제상완료감지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 S45로 나아가서 제어수단(30)은 사방밸브(5), 실외팬(8) 및 실내팬(9)을 구동시키면서 상기 스텝 S21로 복귀하면서 스텝 S21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 S3에서의 판별결과, 1실운전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 S50으로 나아가서 2실운전(예를들면, A실과 B실)인가를 판별하여, 2실운전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스텝 S50에서의 판별결과, 2실운전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 S51로 나아가서 냉방 운전인가를 판별하여, 냉방 운전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 S52로 나아가서 제어수단(30)은 1실의 냉방 운전과 마찬가지로 2실의 동시냉방운전을 수행한다.
이어서, 스텝 S53에서는 A실 실내열교환기(4)의 배관온도가 1차저온온도(Ta)이하인가를 판단하여 A실의 저온1차동작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별하여, A실 저온1차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 S54로 나아가서 B실 실내열교환기(4)의 배관온도가 1차저온온도(Ta)이하인가를 판단하여 B실의 저온1차동작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 S54에서의 판별결과, B실 저온1차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 S52로 복귀하여 스텝 S52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하고, B실 저온1차동작이 감지된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 S55로 나아가서 제어수단(30)은 실외팬(8)을 정지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실외팬모터구동수단(8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실외팬모터구동수단(80)에서는 제어수단(30)의 제어에 따라 실외팬(8)을 오프시킨다.
한편, 상기 스텝 S53에서의 판별결과, A실 저온1차동작이 감지된 경우(YES일 경우)에도 상기 스텝 S55로 나아가서 실외팬(8)을 오프시키고, A실과 B실 양쪽에 저온1차동작이 감지되어도 실외팬(8)을 오프시킨다.
이어서, 스텝 S56에서는 A실 실내열교환기(4)의 배관온도가 2차저온온도(Tb)이하인가를 판단하여 A실의 저온2차동작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 S56에서의 판별결과, A실 저온2차동작이 감지된 경우(YES일 경우)에는 A실의 제어수단(30)에서 냉방운전시 저온동작이 감지되었음을 통신하도록 저온동작감지에 해당하는 코드화된 통신신호를 통신출력포트를 통해 송신하고, B실의 제어수단(30)에는 통신입력포트를 통해 A실의 제어수단(30)으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신호를 받아서 A실이 저온동작상태임을 파악하고, A실의 저온동작상태에 관계없이 제6도의 도표에 도시한 바와같이, B실의 정상냉방운전을 별도로 제어하면서 저온동작여부를 계속해서 감지한다.
이어서, 스텝 S57에서는 B실 실내열교환기(4)의 배관온도가 2차저온온도(Tb)이하인가를 판단하여 B실의 저온2차동작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별하여, B실 저온2차동작이 감지된 경우(YES일 경우)에는 B실의 제어수단(30)에서 냉방운전시 저온동작이 감지되었음을 통신하도록 저온동작감지에 해당하는 코드화된 통신신호를 통신출력포트를 통해 송신하고, A실의 제어수단(30)에는 통신입력포트를 통해 B실의 제어수단(30)으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신호를 받아서 B실이 저온동작상태임을 파악하고, B실의 저온동작상태에 관계없이 제6도의 도표에 도시한 바와같이, A실의 정상냉방운전을 별도로 제어하면서 저온동작여부를 계속해서 감지한다.
상기 스텝 S57에서의 판별결과, B실 저온2차동작이 감지된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 S58로 나아가서 A실과 B실의 압축기(1)를 모두 오프시키고, B실 저온2차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 S59로 나아가서 A실의 압축기(1)만 오프시키고, B실의 압축기(1)는 정상동작시키는데, 이때에 A실과 B실의 압축기(1)중에 어느 하나라도 정상동작되면 실외팬(8)은 다시 온된다.
한편, 상기 스텝 S56에서의 판별결과, A실 저온2차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 S60으로 나아가서 B실의 저온2차동작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별하여, B실 저온2차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 S56으로 복귀하여 스텝 S56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 S60에서의 판별결과, B실 저온2차동작이 감지된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 S61로 나아가서 B실의 압축기(1)만 오프시키고, A실의 압축기(1)는 정상동작시킨다.
즉, A실과 B실의 제어수단(30)에서는 냉방운전시 각 실내기에서 저온동작이 감지되었음을 서로 통신하도록 저온동작감지에 해당하는 코드화된 통신신호를 통신출력포트를 통해 송신하고, 그 송신된 통신신호를 통신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받아 A실과 B실중에 어느 한쪽이 저온동작상태인지를 파악하고, 한쪽 실내기의 저온동작상태에 관계없이 제6도의 도표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대쪽 실내기는 정상냉방운전을 별도로 수행하는 것이다.
이어서, 스텝 S62로 나아가서 A실과 B실의 실내열교환기(4)가 저온복귀온도인가를 판별하여, 저온복귀온도가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 S62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하고, 저온복귀온도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 S52로 복귀하여 스텝 S52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 S51에서의 판별결과, 냉방운전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 S70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30)은 1실의 난방운전과 마찬가지로 2실의 동시난방운전을 수행한다.
이어서, 스텝 S71에서는 A실 실내열교환기(4)의 배관온도가 1차고온온도(Te)이상인가를 판단하여 A실의 고온1차동작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별하여, A실 고온1차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 S72로 나아가서 B실 실내열교환기(4)의 배관온도가 1차고온온도(Te)이상인가를 판단하여 B실의 고온1차동작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 S72에서의 판별결과, B실 고온1차동작이 감지된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 S73으로 나아가서 제어수단(30)은 실외팬(8)을 정지하기위한 제어신호를 실외팬모터구동수단(8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실외팬모터구동수단(80)에서는 제어수단(30)의 제어에 따라 실외팬(8)을 오프시킨다.
한편, 상기 스텝 S71에서의 판별결과, A실 고온1차동작이 감지된 경우(YES일 경우)에도 상기 스텝 S73으로 나아가서 실외팬(8)을 오프시키고, A실과 B실 양쪽에 고온1차동작이 감지되어도 실외팬(8)을 오프시킨다.
이어서, 스텝 S74에서는 A실 실내열교환기(4)의 배관온도가 2차고온온도(Tf)이상인가를 판단하여 A실의 고온2차동작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 S74에서의 판별결과, A실 고온2차동작이 감지된 경우(YES일 경우)에는 A실의 제어수단(30)에서 난방운전시 고온동작이 감지되었음을 통신하도록 고온동작감지에 해당하는 코드화된 통신신호를 통신출력포트를 통해 송신하고, B실의 제어수단(30)에는 통신입력포트를 통해 A실의 제어수단(30)으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신호를 받아서 A실의 고온동작상태임을 파악하고, A실의 고온동작상태에 관계없이 제7도의 도표에 도시한 바와같이, B실의 정상난방운전을 별도로 제어하면서 고온동작여부를 계속해서 감지한다.
이어서, 스텝 S75에서는 B실 실내열교환기(4)의 배관온도가 2차고온온도(Tf)이상인가를 판단하여 B실의 고온2차동작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별하여, B실 고온2차동작이 감지된 경우(YES일 경우)에는 B실의 제어수단(30)에서 난방운전시 고온동작이 감지되었음을 통신하도록 고온동작감지에 해당하는 코드화된 통신신호를 통신출력포트를 통해 송신하고, A실의 제어수단(30)에는 통신입력포트를 통해 B실의 제어수단(30)으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신호를 받아서 B실이 고온동작상태임을 파악하고, B실의 고온동작상태에 관계없이 제7도의 도표에 도시한 바와같이, A실의 정상난방운전을 별도로 제어하면서 고온동작여부를 계속해서 감지한다.
상기 스텝 S75에서의 판별결과, B실 고온2차동작이 감지된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 S76으로 나아가서 A실과 B실의 압축기(1)를 모두 오프시키고, B실 고온2차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 S77로 나아가서 A실의 압축기(1)만 오프시키고, B실의 압축기(1)는 정상동작시키는데, 이때에 A실과 B실의 압축기(1)중에 어느 하나라도 정상동작되면 실외팬(8)은 다시 온된다.
한편, 상기 스텝 S74에서의 판별결과, A실 고온2차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 S75로 나아가서 B실의 고온2차동작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별하여, B실 고온2차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 S74로 복귀하여 스텝 S74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 스텝 S78에서의 판별결과, B실 고온2차동작이 감지된 경우(YES일 경우)에는 스텝 S79로 나아가서 B실의 압축기(1)만 오프시키고, A실의 압축기(1)는 정상동작된다.
즉, A실과 B실의 제어수단(30)에서는 난방운전시 각 실내기에서 고온동작이 감지되었음을 서로 통신하도록 고온동작감지에 해당하는 코드화된 통신신호를 통신출력포트를 통해 송신하고, 그 송신된 통신신호를 통신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받아 A실과 B실중에 어느 한쪽이 고온동작상태인지를 파악하고, 한쪽 실내기의 고온동작상태에 관계없이 제7도의 도표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대쪽 실내기는 정상난방운전을 별도로 수행하는 것이다.
이어서, 스텝 S80으로 나아가서 A실과 B실의 실내열교환기(4)가 고온복귀온도인가를 판별하여, 고온복귀온도가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 S80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하고, 고온복귀온도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 S70으로 복귀하여 스텝 S70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 S72에서의 판별결과, B실 고온1차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 S90으로 나아가서 A실 제상조건인가를 판별하여, A실 제상조건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스텝 S91로 나아가서 B실 제상조건인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 S91에서의 판별결과, B실 제상조건이 아닌 경우(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 S70으로 복귀하여 스텝 S70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하고, B실 제상조건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B실의 제어수단(30)에서 난방운전시 제상동작이 감지되었음을 통신하도록 제상동작감지에 해당하는 코드화된 통신신호를 통신출력포트를 통해 송신하고, A실의 제어수단(30)에는 통신입력포트를 통해 B실의 제어수단(30)으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신호를 받아서 B실이 제상동작상태임을 파악하고, B실의 제상동작에 따라 제5도의 도표에 도시한 바와 같이, A실의 제상운전도 동시에 수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 S90에서의 판별결과, A실 제상조건인 경우(YES일 경우)에는 A실의 제어수단(30)에서 난방운전시 제상동작이 감지되었음을 통신하도록 제상동작감지에 해당하는 코드화된 통신신호를 통신출력포트를 통해 송신하고, B실의 제어수단(30)에는 통신입력포트를 통해 A실의 제어수단(30)으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신호를 받아서 A실이 제상동작상태임을 파악하고, A실의 제상동작에 따라 제5도의 도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B실의 제상운전도 동시에 수행한다.
이어서, 스텝 S92에서 제어수단(30)은 실외팬(8)을 오프시키고, 압축기(1)는 제상운전을 위해 정상동작시키고, 스텝 S93에서는 제상조건이 해제되어 제상완료되었는지를 판별하여, 제상완료되지 않은 경우(NO일 경우)에는 제상조건이 해제될때까지 스텝 S93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하고, 제상완료된 경우(YES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 S70으로 복귀하여 스텝 S70이하의 동작을 반복수행한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독립운전장치에 의하면, 실내기간의 통신으로 상대쪽 실내기의 운전상태를 수시로 점검하여 한쪽 실내기의 안전장치 동작시에도 반대쪽 실내기를 정상동작시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한 대의 실외기에 여러대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여러방을 동시 냉방운전시키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각 실내기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다수의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각 실내열교환기의 배관온도를 감지하는 배관온도감지수단과, 상기 각 실내기 사이에 코드화된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배관온도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배관온도를 기설정된 1차, 2차저온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각 실내기의 1차, 2차저온동작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상대쪽 실내기의 1차, 2차저온동작상태를 파악하여 한쪽 실내기의 2차저온동작시에도 다른쪽 실내기는 정상냉방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1차저온동작시 오프되는 실외팬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2차저온동작시 오프되는 압축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독립운전장치.
  2. 한 대의 실외기에 여러대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여러방을 동시 난방운전시키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각 실내기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다수의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각 실내열교환기의 배관온도를 감지하는 배관온도감지수단과, 상기 각 실내기 사이에 코드화된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배관온도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배관온도를 기설정된 1차, 2차고온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각 실내기의 1차, 2차고온동작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상대쪽 실내기의 1차, 2차고온동작상태를 파악하여 한쪽 실내기의 2차고온동작시에도 다른쪽 실내기는 정상난방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1차고온동작시 오프되는 실외팬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2차고온동작시 오프되는 압축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독립운전장치.
  3. 한 대의 실외기에 여러대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여러방을 동시 난방운전시키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각 실내기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다수의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각 실내열교환기의 배관온도를 감지하는 배관온도감지수단과, 상기 각 실내기 사이에 코드화된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배관온도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배관온도를 기설정된 제상감지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각 실내기의 제상동작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상대쪽 실내기의 제상동작상태를 파악하여 한쪽 실내기의 제상동작시에도 다른쪽 실내기도 제상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상동작시 오프되는 실외팬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독립운전장치.
KR1019960048742A 1996-10-26 1996-10-2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독립운전장치 KR100210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742A KR100210079B1 (ko) 1996-10-26 1996-10-2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독립운전장치
US08/933,335 US5904047A (en) 1996-10-26 1997-09-18 Air condition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9262549A JPH10141743A (ja) 1996-10-26 1997-09-26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97120009A CN1102223C (zh) 1996-10-26 1997-09-29 空调器的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742A KR100210079B1 (ko) 1996-10-26 1996-10-2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독립운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469A KR19980029469A (ko) 1998-07-25
KR100210079B1 true KR100210079B1 (ko) 1999-07-15

Family

ID=1947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8742A KR100210079B1 (ko) 1996-10-26 1996-10-2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독립운전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04047A (ko)
JP (1) JPH10141743A (ko)
KR (1) KR100210079B1 (ko)
CN (1) CN110222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1217B1 (ko) * 1996-05-06 1999-01-15 구자홍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0333395B1 (ko) * 1999-06-28 2002-04-24 윤종용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저온제어 운전방법
KR100440999B1 (ko) * 2001-11-08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기동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978627B2 (en) * 2002-01-31 2005-12-2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ir conditioner control system, central remote controller, and facility controller
US7139531B2 (en) * 2002-09-27 2006-11-21 Fujitsu Limited Outdoor radio equipment
JP2004225929A (ja) * 2003-01-20 2004-08-12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US7322205B2 (en) * 2003-09-12 2008-01-29 Davis Energy Group, Inc. Hydronic rooftop cooling systems
JP3856035B2 (ja) * 2004-02-24 2006-12-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監視制御システム
JP5103778B2 (ja) * 2006-04-17 2012-12-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JP4274205B2 (ja) * 2006-07-10 2009-06-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
JP4567637B2 (ja) 2006-07-10 2010-10-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制御装置
KR101225976B1 (ko) * 2007-02-27 2013-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46448B1 (ko) * 2007-09-03 201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절환형 멀티 공기조화기 및 냉난방 절환 방법
CN101852472B (zh) * 2009-04-01 2012-09-05 欧威尔空调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空调系统自动编址的方法和空调控制器
JP5218280B2 (ja) * 2009-05-21 2013-06-26 富士通株式会社 監視装置、監視プログラムおよび監視方法
CN101670926B (zh) * 2009-10-21 2013-08-28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储罐废气减排处理方法和装置
KR20120012613A (ko) * 2010-08-02 2012-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5053430B2 (ja) * 2010-10-05 2012-10-17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5276725B (zh) * 2014-07-23 2019-01-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多联空调热水机组
US20160098026A1 (en) * 2014-10-02 2016-04-07 Mohamed Farouk SALEM Temperature control system and methods of performing the same
US11009248B2 (en) 2018-04-10 2021-05-18 Air2O Inc. Adaptive comfort control system
US11002455B2 (en) 2018-11-14 2021-05-11 Air2O Inc.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6325A (en) * 1986-12-04 1991-10-15 The Cornelius Company Ice cube maker with new freeze and harvest control
JP2557903B2 (ja) * 1987-09-10 1996-11-27 株式会社東芝 空気調和機
JP2909190B2 (ja) * 1990-11-02 1999-06-23 株式会社東芝 空気調和機
CN1106541C (zh) * 1995-11-17 2003-04-23 三菱电机株式会社 空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0817A (zh) 1998-05-06
US5904047A (en) 1999-05-18
JPH10141743A (ja) 1998-05-29
KR19980029469A (ko) 1998-07-25
CN1102223C (zh) 200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007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독립운전장치
JP5405076B2 (ja) 空調冷凍システム
EP0462524B1 (en) Defrost control method for a heat pump
KR2018008121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US5720179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s of a plurality of rooms
KR0157021B1 (ko) 공기조화기 제상방법
KR100187220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808119B2 (en) Heat pump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additional heat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05241195A (ja) 空調冷凍装置
EP167229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JP2003056933A (ja) マルチ式空気調和機
JPH08303903A (ja) 空気調和機の除霜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104507B2 (ja) 冷凍システム、冷凍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0231056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KR100210081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운전제어장치
KR20040002652A (ko)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상 운전 해제 방법
JP2021032466A (ja) ヒートポンプ装置
KR19990054075A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2081713A (ja) 冷凍装置の制御装置
KR10023105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KR100187219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52104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0152114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방법
JP2003254588A (ja) マルチ式空気調和機
KR101135849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