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002B1 -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002B1
KR100210002B1 KR1019920006266A KR920006266A KR100210002B1 KR 100210002 B1 KR100210002 B1 KR 100210002B1 KR 1019920006266 A KR1019920006266 A KR 1019920006266A KR 920006266 A KR920006266 A KR 920006266A KR 100210002 B1 KR100210002 B1 KR 100210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exposure
diaphragm
shutter speed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0257A (ko
Inventor
오사무 사또오
사또시 나까노
이사무 히라이
도시유끼 기다자와
다까유기 센스이
마사또 야마모도
도시마사 야마나까
다께나오 시시꾸라
아끼오 다까하시
노부히꼬 마쓰도
Original Assignee
마츠모토 도루
아사히 고오가쿠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14834A external-priority patent/JP29973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33611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100724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모토 도루, 아사히 고오가쿠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모토 도루
Publication of KR920020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0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0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091Digital circuits
    • G03B7/097Digital circuits for control of both exposure time and aper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1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with selection of either manual or automatic mo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G03B17/20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visible in viewfind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Abstract

셔터속도 및 다이어프램치를 포함하는 한쌍의 노출인자가 수동 및 독립적으로 설정될수 있는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더욱이, 노출제어장치에서, 고정될수 있는 노출인자에 따라 결정된 노출치, 및 다른 노출인자가 관련된 수동설정수단에 의해 변화될때, 고정된 노출치를 근거로 변화될수 있는 노출인자중 하나이다.

Description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제1도는 본발명이 응용되는 단렌즈 리플렉스 카메라의 평면도.
제2도 및 제3도는 각각 제1도에 보이는 단렌즈 리플렉스 카메라의 주요부의 배면도 및 정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보이는 단렌즈 리플렉스 카메라의 회로배열의 블록도.
제5도는 본발명에 따른 CPU의 주동작의 흐름도.
제6도는 본발명에 따른 CPU와 IPU사이의 통신 동작의 타이밍도.
제7도는 본발명에 따른 자동노출모드동작의 흐름도.
제8도는 본발명에 따른 에러정정 동작의 흐름도.
제9도는 본발명에 따른 하이퍼프로그램 노출모드동작의 흐름도.
제10도는 제9도에 보이는 하이퍼프로그램 노출모드의 다이어그램.
제11도는 본발명에 따른 한계 프로그램 노출모드동작의 흐름도.
제12도는 제11도에 보이는 한계 프로그램 노출모드의 다이어그램.
제13도는 본발명에 따른 하이퍼셔터속도 우선 자동노출모드동작의 흐름도.
제14도는 본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퍼셔터속도 우선자동노출모드 동작의 흐름도.
제15도는 제13도 및 제14도에 보이는 하이퍼셔터속도 우선자동노출모드의 다이어그램.
제16도는 본발명에 따른 하이퍼 다이어그램 우선자동노출모드동작의 흐름도.
제17도는 본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LA 수동노출 모드동작의 흐름도.
제18도는 제16도 및 제17도에 보이는 하이퍼다이어프램 우선자동노출모드의 다이어그램.
제19도는 본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LA 수동우선자동노출 모드동작의 흐름도.
제20도는 본발명에 따른 LM 수동노출모드 동작의 흐름도.
제21도는 본발명에 ㄸ른 LM 애퍼추어 우선자동노출모드 동작의 흐름도.
제22도 및 제23도는 각각 본발명에 따른 LA 전국 및 LM 전구 노출모드 동작의 흐름도.
제24도는 본발명에 따른 LA 하이퍼 수동노출모드동작의 흐름도.
제25도는 하이퍼 수동선택플랙을 보여주는 도면.
제26도는 본발명에 따른 IPU의 주동작의 흐름도.
제27도는 본발명에 따른 IPU와 촬영렌즈사이의 통신동작의 흐름도.
제28도는 스위치 입력동작의 흐름도.
제29도는 Tv 전자식 다이얼 동작의 흐름도.
제30도는 Av 전자식 다이얼 동작의 흐름도.
제31도는 Tv 전자식 다이얼에 의해 이루어지는 셔터속도 변경동작의 흐름도.
제32도는 Av 전자식 다이얼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이어프램값 Av 변경동작의 흐름도.
제33도는 모드 천이 동작의 흐름도.
제34a도 및 제34b도는 모드 선택동작의 흐름도.
제35도는 검사동작의 흐름도.
제36도는 IPU의 RAM 에서 데이터 기억의 예.
제37도는 메모리 록킹 동작의 흐름도.
제38도는 IPU의 RAM 에서 메모리 록킹 플랙의 예.
제39a도 내지 제39h도는 본발명에 따른 표시동작의 흐름도.
제40도는 본발명에 따른 Ev 검사동작의 흐름도.
제41a도 내지 제41f도는 여러가지 초기표시위치로 도시된 LCD 표시판의 표시 및 파인더내의 표시기 유니트의 표시를 도시하는 도면.
제42a도 내지 제42h도는 LCD 표시판 및 파인더내의 표시유니트상에 나타난 여러가지 노출 모드를 보여주는 도면.
제43a도 내지 제43c도는 LCD 표시판 및 파인더내의 표시유니트상에 나타난 렌즈수동모드에서의 여러가지 노출 모드를 보여주는 도면.
제44a도 내지 제44b도는 제39a도에 보이는 하이퍼 프로그램의 표시 동작의 수정된 흐름도.
제45도는 제2Tv 다이얼 검사동작의 서브루틴의 흐름도.
제46도는 제2Av 다이얼 검사동작의 서브루틴의 흐름도.
제47도는 본발명에 따른 노출제어장치를 갖는 단렌즈 리플렉스 카메라의 평면도.
제48도는 제47도에 도시된 노출제어장치의 제어회로의 블럭도.
제49도는 제48도에 도시된 제어회로의 CPU의 주연산의 흐름도.
제50도 및 제51도는 제48도에 도시된 제어회로의 수동 노출제어의 흐름도.
본발명은 다수의 노출모드를 갖는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노출모드를 갖는 종래의 카메라에서, 사진사는 관련된 스위치나 버튼, 기타등을 작동시킴으로써 바라는 노출모드를 선택할수 있었다.
연속적인 촬영모드, 기타등과 같은 노출모드이외의 모드를 갖는 최근의 카메라에서 모드선택은 조합된 다수의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이행된다.
그러나 일반 사진사들은 모든 노출모드를 자주 사용하지는 않는다. 즉, 몇개의 특정한 노출모드만이 사용된다.
따라서, 일반 사진사들에게 있어서, 모드를 선택하는 조합된 여러스위치를 작동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귀찮고 복잡한 일이다.
더욱이, 공지된 카메라의 프로그램노출모드에서, 셔터속도 및 다이어프램치는 임의의 관계( 조합) 로 자동적으로 결정되며, 따라서 사진사에게 있어서, 동일한 모드인 동안 소정의 관계를 만족치 않는 선택적인 셔터속도 및 아이어프램치를 설정하기란 불가능한 일이다.
예컨대, 작동스위치가 공지된 카메라의 프로그램 노출모드에서 작동할때, 셔터속도 및 다이어프램치 모두는 그 사이에서 특정관계를 유지하는 동시에 변경되고, 따라서 셔터속도 및 다이어프램치만 변화하기란 불가능하다.
따라서 만약 사진사가, 프로그램노출모드인 동안 셔터속도 또는 다이어프램치만 변화하도록 요구한다면, 사진사에게는 우선 프로그램 노출모드를 다이어프램 우선자동노출모드 또는 셔터속도 우선자동노출모드로 교체하는것이 필요하다.
더욱이, 공지된 카메라의 수동노출모드에서 사진사는 파인더의 시계영역에서 제공된 노출측정을 관찰하면서, 최적의 셔터 속도 및 다이어프램값을 수동으로 선택했다. 즉, 사진사 자신이 최적의 셔터속도 및 다이어프램값 모두를 수동으로 선택했기 때문에, 사진사 자신에 의해서 더욱 예술적이고 기술적인 사진을 얻을수 있었다.
그러나, 셔터속도 및 다이어프램값의 조정은 특히 일반 사진사들에게는 귀찮은 일이다. 특히, 만약에 셔터속도 및 다이어프램값중 하나가, 셔터속도 및 다이어프램값이 최적의 노출치를 얻기 위해 조정된후 재조정된다면, 다이어프램값 또는 셔터속도이외의 것 또한, 재 조정 결과로서 변화하는 최적의 노출치를 유지하도록 틀림없이 재 조정된다.
본발명의 제1목적은 단순한 노출제어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노출모드를 갖는 공지된 노출제어시스템의 상기 언급된 결점을 제거하는 것인데, 여기서 만약 노출인자( 다이어프램값 및 셔터속도) 중 하나가 수동노출모드에서 변화한다면, 다른 노출인자는 최적노출치를 얻기 위해 간단한 동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상기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발명에 따르면, 셔터속도 및 다이어프램값을 포함하는 한쌍의 노출인자를 수동으로 및 개별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수동설정수단을 갖는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노출제어장치는 기타의 노출인자가 관련수동설정수단에 의해 변화될때, 고정된 노출치를 근거로, 노출인자중 하나를 변화하기 위한 노출인자 및 노출인자 변화수단에 따라 결정된 노출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노출치고정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규정에 따라, 사진사는 프로그램노출모드를 예를들어 다이어프램 우선자동노출모드 또는 셔터속도우선자동노출모드로 먼저 바꾸지 않고, 및 그 값 사이의 소정의 관계를 깨뜨리지 않고 셔터속도 또는 다이어프램값을 바꿀수 있다.
본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논의될 것이다.
제1도 및 제3도는 각각 본발명에 따른 노출조절장치를 갖는 단렌즈 리플렉스 카메라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 및 제3도에 보이는 카메라 몸체의 DX 코드 판독부의 배면도이다.
카메라 몸체(11)는 상면의 전단( 즉, 피사체쪽) 에 셔터버튼(15)이 제공된 그립부(13)를 가지고 있다. Tv 전자식 다이얼(17)및 Av 전자식 다이얼(19)은 각각 셔터버튼(15)뒤에 그리고 그립부(13)의 후면의 상단에 제공되어 있다. Tv전자식 다이얼(17)및 Av 전자식 다이얼(19)은 둘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논의될 회전식 다이얼의 형태로 되어있다.
Tv 전자식 다이얼(17)및 Av 전자식 다이얼(19)이 회전될때, 셔터속도(Tv), 다이어프램값(Av)및 노출모드가 변경된다. Tv 전자식 다이얼(17)및 Av 전자식 다이얼(19)은 각각 제1 및 제2수동설정수단 또는 제1 및 제2셔터속도 및 다이어프램값 수동설정수단의 일부를 구성한다.
클리어버튼(23)은 카메라몸체(11)의 후면의 상부에 Av 전자식 다이얼(19)의 근처에 제공된다. 홀드버튼(25)은 클리어버튼(23)의 오른쪽에 제공된다. 클리어버튼(23)은 클리어스위치수단의 일부를 형성한다.
전자식 다이얼(17 및 19), 클리어버튼(23)및 홀드버튼(25)은, 촬영자가 카메라 몸체를 정상자세로 들고 있을때, 카메라 몸체(11)를 천이시킴이 없이 엄지 또는 검지로 작동될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활동적은 노출 정정/ISO 레버(27)및 활동적인 노출모드/구동레버(29)는, 둘다 중간위치에서 반대방향으로 활동가능한데, 카메라 몸체(11)의 상면에 오각 프리즘의 왼쪽에 위치되어있다. 주 스위치(31)는 카메라 몸체(11)의 상면에 오각 프리즘의 왼쪽에 위치되어있다.
주 스위치(31)는 카메라 몸체(11)의 상면에 오각프리즘의 오른쪽에 위치되며 활동적인 방식으로 3개의 서로다른 위치로 이동될수 있다.
DX핀(DX1내지 DX6) 은 카메라몸체(11)의 패트론 수납체임버(33)에 제공되며 DX 코드와 접속되는데, DX코드는 필름의 패트론의 표면에 인쇄되어 이것에 의해 그 데이터를 판독한다. 특히, DX핀(DX1내지 DX6) 은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ISO 감도(Sv)를 나타내는 DX 코드부와 접촉되게 한다.
일군의 장착핀(CONT, RES/Fmin3, SI/Fmin2, Fmax1, A/M, Fmax2 및SCK/Fmin1)이 카메라 몸체(11)의 몸체 장착부(35)에 제공되어, 예를들어 카메라 몸체(11)와 촬영 렌즈사이의 데이타 통신을 한다.
몸체 장착부(35)가 촬영렌즈의 렌즈장착부에 부착될때, 몸체장착부(35)의 장착핀은 촬영렌즈의 대응하는 장착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카메라몸체(11)는 최소 F 넘버(Fmin)( 오픈 F 넘버) 및 최대 F넘버를 포함하여 렌즈데이타를 촬영렌즈로부터 판독하고 제어수단(ROM 또는 CPU) 과 데이타 통신을 수행할수 있다. 제어수단(ROM 또는 CPU) 은 초점거리데이타(f) 또는 부착된 촬영렌즈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타등과 같은 추가 렌즈 데이타를 판독하기 위하여 촬영렌즈에 제공된다. 접두사및 접미사(예로,SCK)를 갖는 마크 또는 심벌등은 본 명세서에서 액티브 로우 또는 반전된 값을 나타낸다.
제4도는 본발명에 따라서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유니트의 회로 배열을 보여준다. 카메라 몸체(11)는 제어수단으로서 CPU(41)및 IPU(43)를 가지고 있다. CPU(41)는 노출인자( 즉, 다이어프램값 Av 및 셔터속도 TV)의 계산 및 결정, 노출조절, 자동초점조절에 필요한 데이타의 계산등과 같은 기본적인 촬영계산 및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CPU(41) 는 또한 모드를 강제적으로 변경하고, 노출모드를 복귀시키고, 우선노출인자를 변경하고, 특별한 노출모드내에서 노출모드를 강제적으로 변경하고, 한계치를 설정하고 노출값을 유지하고, 수동천이, 그리고 설정된 모드를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IPU(43) 는 셔터 버튼(15)과 같은 스위치, Tv전자식 다이얼(17), Av전자식 다이얼(19)등의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IPU(43) 는 또한 노출모드설정수단, 표시기를 제어하기위한 수단, CPU(41) 의 전원( 전력유지) 을 온 및 오프하기 위한 조정기 및 설정된 데이타 및 셔터속도(Tv)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IPU(43) 는 스위치 데이타의 입력의 결정, 모드의 표시, CPU(41) 와의 통신, 촬영렌즈와의 통신등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43a) 을 가지고 있다. IPU(43) 는 또한 설정된 모드, 셔터속도(Tv)및 다이어프램값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43b) 을 가지고 있다. IPU(43) 는 또한 카메라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필름수, ISO 감소등을 보유하는 E2PROM(43c) 을 가지고 있다.
IPU(43) 는 촬영렌즈(65)와 통신하며 최대 F넘버(Fmax), 최소 F넘버(Fmin)및 초점거리(f) 등과 같은 렌즈데이타를 수신한다. IPU(43) 는 CPU(41)와 통신하여 데이타를 송수신하여 촬영동작 및 데이타의 표시를 제어한다.
수광소자(45)의 출력은 연산증폭기(47)및 다이오드(D1)에 의해 대수적으로 압축되고, 증폭기(49)에 의해 증폭되고, A/D 변환기(51)에 의해 아펙스값에 대응하는 디지탈값(Bv, BV)으로 변환되고, 입력포트(P30~P37)을 통해 CPU(41)에 입력된다.
A/D 변환기(51)는 촬영렌즈(65)에 의해 설정된 피사체 휘도신호 및 다이어프램값 신호를 판독하는 CPU(41)에 포트(P30내지 P37) 의 레벨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소정의 시간에서 동작하며 신호를 대응하는 아펙스값으로 변환시킨다. 포트(P40) 는 증폭기(49)에 의해 증폭되는 대수적으로 압축된 전압과 다이어프램 볼륨(53)에 의해 설정되는 다이어프램전압을 스위치하는 입력스위칭 제어포트이다. 다이어프램볼륨(53)은 수동모드에서 촬영렌즈( 도시되어있지않음)의 다이어프램링을 회전시킬때 촬영자에 의해 설정된 값에 대응하는 다이어프램 전압을 발생한다. CPU(41) 의 포트(P10내지 P14) 는 DX 핀(DX2내지 DX6) 에 연결된다. CPU(41) 는 ISO 강도(Sv)를 판독하기 위하여 소정의 시간에서 이들 포트(P10내지 P14) 의 레벨을 검사한다. CPU(41) 는 그 다음에 다이어프램값(Av), 피사체휘도(Bv)및 ISO강도(Sv)등을 포함하는 입력데이타를 RAM(41b) 에 소정의 어드레스에 기억시킨다.
와인딩모터(55)는 필름을 감기도하고 되감기도하며, 미러모터(57)는 미러를 상하로 움직인다.
모터(55 및 57)의 동작은 모터구동회로(59)를 통해 CPU(41)에 의해 제어된다.
해방자석(RL)은 셔터의 기계적 맞물림을 해방하여 해방동작을 시작한다. 해방자석(RL)에 의해 기계적 맞물림으로부터 해방되는 셔터 메카니즘( 셔터커튼) 은 선행커튼자석(ES1) 및 추종커튼자석(ES2) 에 의해 해방될수있게 맞물려져서, 셔터커튼의 이동은 이것에 의해 제어된다.
다이어프램자석(EE)은 촬영렌즈 다이어프램의 스톱- 다운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들 자석의 동작은 자석구동회로(61)를 통해 CPU(41)에 의해 제어된다.
EE 펄스계수기(63)는 셔터해방에 뒤이은 미러의 업- 다운이동과 연관된 스톱- 다운동작과 연관해서 EE 펄스를 발생하고 그 출력을 CPU(41)의 포트(PDD)에 보낸다.
CPU(41) 는 포트(PDD)의 레벨변화를 계수하며, 계수된 수가 설정된 다이어그램값(Av)에 대응하는 값에 도달할때, 다이어프램자석(EE)은 스톱- 다운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해 자석구동회로(61)를 통해 온되어 다이어프램값(Av)을 유지한다.
CPU(43) 의 포트(PL0내지 PL6) 는 장착핀(A/M, CONT, RES/Fmin3, SI/Fmin2, Fmax1,Fmax2 및SCK/Fmin1)에 접속되어 촬영렌즈(65)( 즉, 촬영렌즈의 메모리 또는 제어수단) 에 전기적 접속을 완성한다.
IPU(43) 는 오픈 F넘버(Fmin), 최대 F넘버(Fmax), 초점거리(f) 등을 포함하는 렌즈 데이타를 판독하기 위해 포트(PL0내지 PL6) 를 통해 촬영렌즈(65)와 통신한다.
촬영렌즈(65)는 다이어프램링(12)과 관련하여 수동다이어프램모드( 렌즈- 수동모드) 와 자동다이어프램모드( 렌즈- 자동모드) 사이에서 스위치하는 렌즈 자동/수동 선택스위치(67)을 가지고 있다. 렌즈 자동/ 수동선택스위치(67)는 장착핀(A/M) 을 통해 IPU (43) 의 입력포트(PL0) 에 연결된다.
IPU(43) 는 포트(PL0) 의 레벨에 따라서 수동 다이어프램모드 또는 자동다이어프램모드의 존재를 결정한다.
위에서 언급된 렌즈- 자동모드 는 다이어프램값이 카메라 몸체에서 설정된 소정의 값이 될때까지 카메라의 스톱- 다운 메카니즘이 스톱- 다운동작을 계속하는 자동 다이어프램 모드이다.
위에서 언급된 렌즈수동모드 는 다이어프램값이 촬영렌즈측에서 수동으로 설정되는 수동다이어프램 모드이다.
렌즈- 자동모드는 또한 이후에는 보디세트 라고 지칭될 것이다.
IPU(43) 의 입력포트(PC0내지 PC2 및 PB0내지 PB5) 는 주스위치(SWMAIN), 광도계스위치(SWS), 해방스위치(SWR), 노출모드스위치(SWMODE), 구동스위치(SWDRIVE), 노출정정스위치(SW ± EF), ISO 감도설정스위치(SWISO), 클리어스위치(SWCL)및 홀드스위치(SWHOLD)에 각각 접속된다.
주스위치(SWMAIN)는 주스위치레버(31)에 연관되어 있다.
광도계 스위치(SWS) 및 해방스위치(SWR) 는 셔터 버튼(15)과 연관되어 있다.
스위치(SWS) 는 셔터버튼(15)이 스위치가 온되는 반스텝만큼 눌러질때까지 열린채로 되어있다. 스위치(SWR) 는 셔터버튼(15)이 전스텝만큼 눌러질때 온된다. 노출모드스위치(SWMODE)및 구동스위치(SWDRIVE) 는 노출모드/구동레버(29)와 연관되어있다. 노출 정정 스위치(SW ± EF)및 ISO 감도설정 스위치(SWISO) 는 노출/ISO 레버(27)와 연관되어있다.
클리어 스위치(SWCL)및 홀드스위치(SWHOLD)는 연관된 버튼 즉 클리어버튼(23) 및 홀드버튼(25)각각이 온될대까지 열린채로 되어있다.
IPU(43) 는 IPU(43)의 입력포트(PC 및 PB)의 입력레벨에 따라서 위에서 언급된 스위치(SW)의 온/ 오프상태를 검출하여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IPU(43)의 한쌍의 입력포트(PA0내지 PA1) 및 또다른 한쌍의 입력포트(PA2및 PA3)는 Tv 전자식 다이얼(17)및 Av 전자식 다이얼(19)에 각각 접속된다.
Tv 전자식 다이얼(17)및 Av 전자식 다이얼(19)의 각각은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는 클럭- 스톱 회전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다.
예를들어, 한쌍의 입력포트(PA0내지 PA1) 는 클릭- 스톱 위치에서 부동 상태에 있는데, 전자식 다이얼(17 및 19)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때, 다이얼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입력포트중 하나의 레벨이 먼저 L 로 떨어지고 그 다음에 다른것의 레벨이 레벨 L 로 떨어진다.
그후에, 레벨이 다른것보다 먼지 레벨L 로 떨어진 한 입력포트가 다른것보다 먼저 부동상태로 복귀된다.
입력포트(PA0및 PA1 또는 PA2 및 PA3) 의 레벨의 변화의 순서는 다이얼의 회전에 달려있으므로, IPU(43) 는 변화의 순서에 근거하여 회전방향을 구별할수 있다.
IPU(43) 의 일군의 포트(PLCD)는 LCD 표시판(69)및 표시기(71)에 접속된다. 표시기(71)는 파인더에 위치되어 있다.
LCD 표시판(69)은 노출모드, 셔터속도(Tv), 다이어그램값(Av), 필름롤에 남아있는 프레임의 수, 구동모드 및 다른 데이타( 즉, ISO 감도 데이타, 및 노출 정정 데이타 ± EF 등) 과 같은 여러가지 촬영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IPU(43)에 의해 제어된다. 파인더내의 표시기(71)는 셔터속도(Tv), 다이어프램값(Av)및 필름의 부족노출, 과도노출 또는 최적노출을 나타내는 표시소자(71a 및 71b) 를 가지고 있다. 표시기(71)는 또한 메모리가 록크되어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소자(71C) 도 가지고 있다.
위에서 논의된 본발명에 따른 카메라 시스템의 주회로 구성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아래에서 논의되는 대수적 연산에서 셔터속도(Tv), 다이어프램값(Av)및 피사체휘도(Bv)의 값은 모두 APEX 값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것들이다.
CPU(41) 의 주 동작은 제5도에 보이는 흐름도를 참조해서 하기에서 논의될 것이다. 주동작은 CPU(41)의 ROM(41a) 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수행된다.
광도계스위치(SWS) 가 주스위치(SWMAIN)가 온된후 온될때, 전력이 CPU(41)에 공급되고 제5도의 흐름도에 도시된 동작이 수행된다.
CPU(41) 는 우선 단계(S11) 에서 모든 입력포트(P) 를 초기화하고, 그 다음에 단계(S12) 에서 RAM(41b) 를 초기화한다.
그후에, DX 코드(ISO 감도(SV)), 피사체휘도(Bv)및 LM 모드일때 다이어프램볼륨(53)에 의해 설정되는 다이어프램값(Av)이 CPU 에 입력된다 ( 단계 S13, S14 및 S15).
그후에 CPU(41)는 IPU(43)와 통신하여 설정된 촬영노출모드 및 노출인자등과 같은 필요한 데이타를 IPU(43)로부터 수신한다( 단계 S16).
제어는 선택된 촬영노출모드에 따라서 최적노출인자를 얻기위해 노출계산이 이루어지는 단계(S18) 로 진행하는데, 계산은 ISO 감도(Sv)및 피사체휘도(Bv) 등에 근거한다.
그후에, CPU(41) 는 계산된 노출인자( 즉, 셔터속도(Tv)및 다이어프램값(Av)) 를 IPU(43)에 보내기 위해 IPU(43)와 데이타 통신을 수행한다( 단계 S19).
노출인자가 결정된후, 제어는 해방스위치(SWR) 가 온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20) 로 진행한다.
해방스위치(SWR) 가 온되면, 해방동작이 이루어진다( 단계 S21).
해방스위치(SWR) 가 오프되면, 제어는 단계(S13) 로 복귀된다.
전력이 유지되는 동안( 즉 전력이 계속공급되는 동안), 단계(S13내지 S20) 의 동작이 반복된다.
CPU(41) 는 IPU(43)와 데이타 통신을 수행한다.
데이타 통신은 제6도 및 아래의 표1 과 관련해서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CPU(41) 및 IPU(43)의 각각은 서로 접속되는 CE, READY,SCK및 DATA 에 대응하는 단자를 가지고 있다.
CPU(41) 는 IPU(43)가 통신준비가 되도록 단자(CE)( 도시안됨) 의 레벨을 상승한다.
IPU(43) 가 L로부터 H 로 변하는 단자(CE)의 레벨을 모니터할때, CPU(41)에 의한 인터럽션이 가능하도록 단자(READY) 의 레벨이 하강되었다가 상승한다.
CPU(41) 가 인터럽트 허용을 모니터할때, 클록신호가 단자(SCK)(도시안됨)에 출력되고 명령이 단자(DATA)에 출력된다.
명령수신이 완료되면, IPU(43) 는 CPU(41)가 수신의 완료를 검출하도록 단자(READY) 의 레벨을 하강시켰다가 상승시킨다.
IPU(43) 는 CPU(41)의 단자(SCK) 로부터 보내진 클록신호에 따라서 수신된 명령에 대응하는 데이타를 출력하거나 CPU(41)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한다.
필요한 데이타의 통신이 완료될때, IPU(43) 는 단자(READY) 의 레벨을 하강시킨다. 그후에, CPU(41) 는 IPU(43)가 CPU와의 통신이 완료되는 것을 검출하도록 단계(CE)의 레벨을 하강시킨다.
IPU(43) 가 단자(CE)의 레벨하강을 모니터할때, IPU(43) 는 데이타 통신을 종료하기 위해 단자(READY) 의 레벨을 상승시킨다.
단계(S18) 에서 노출( 자동노출모드) 을 계산하기 위한 서브루틴이 제7도에 보이는 흐름도를 참고해서 하기에서 논의될 것이다.
AE 과정에서, ISO 감도를 나타내는 DX 코드가 단계(S50) 에서 APEX 값( 필름감도(Sv)) 으로 변환된다.
ISO 감도의 DX 코드는 5비트 신호로 구성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코드와 접촉되는 5 개의 DX 핀(5비트)(DX4, DX3, DX2, DX5 및 DX6)에 의해 판독된다.
상위 3비트( DX4, DX3 및 DX2)는 정수를 구성하고 하위 2비트(DX5및 DX6) 는 소수를 구성한다.
예를들어, 소수가 1 또는 11 이면, 아펙스값은 0/3이고, 소수가 1 이면 아펙스값은 1/3이고, 소수가 0 이면 아펙스값은 2/3이다.
아펙스값으로 이와같이 변환된 소수는 정수에 가산된다.
예를들면, 정수 101은 아펙스값 5로 변환되고 소수 1 는 아펙스값 0으로 변환되므로 ISO 100의 DX 코드는 Sv = 5 로 표현된다.
그후에, 피사체휘도(Bv)는 다음식 BVD = BV +7 을 사용하여 계산에 적합한 계산피사체휘도(BVD) 로 변환된다( 단계 S51).
그 다음에, 필름감도(Sv)및 노출정정값(Xv)이 다음식 SVD = Sv-1; XVD = 4 - XV를 각각 사용하여 계산에 적합한 계산감도(SVD) 및 계산노출정정값(XVD) 로 변환된다( 단계 S52).
상기 언급된 연산은 계산 노출인자(BVD, SVD, XVD) 의 값이 음수가 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노출인자의 정확도 또는 정밀도가 1/8 Ev 스텝이 되도록 통일하기 위해서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APEX 계산( 즉, 가산 및 감산) 은 계산정확도를 고려함이 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질수 있다.
Sv 및 Xv 의 정밀도는 1/3 EV 이내이므로, 이론적으로는 그들을 1/8 Ev 스텝의 값으로 변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유의한다.
이 때문에, Sv 및 Xv 는 대략 1/3 Ev 및 2/3 Ev 내지 3/8 Ev 및 5/8 Ev 로 각각 반올림된다.
그 다음에, 오픈 F 넘버의 변경에 달려있는 휘도 정정 값(MND) 이 단계(S53) 에서 계산된다.
휘도정정값(MND) 은 예를들어 주밍동안 오픈 F넘버의 변경( 즉, 렌즈의 휘도의 변화) 와 무관하게 필름면에서의 노출량을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도록 피사체 휘도(Bv)를 정정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고 촬영렌즈에 고유한 값이다.
휘도정정값(MND) 은 IPU(43)의 촬영렌즈와의 통신(IPU- 렌즈통신) 에 의해 촬영렌즈로부터 입력되는데, 하기에서 논의될 것이며, 단계(S16) 에서 CPU-IPU 통신을 통해 IPU(43)로부터 CPU(41)로 전송된다.
그 다음에, 계산노출값(LVD) 은 계산피사체휘도(BVD), 계산감도(SVD), 계산노출정정값(XVD) 및 휘도정정값(MND) 에 기초하여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CPU(41) 는 선택된 노출모드를 검출하고 선택된 노출모드에 대응하는 노출인자 계산 서브루틴을 호출한다( 단계 S55-1 내지 S55-n, S56-1 내지 S56-n).
다이어프램값(Av)및 셔터속도(Tv)가 그 다음에 선택된 노출모드의 알고리즘에 따라서 계산된다.
그후에, 제어가 복귀된다. 부정확한 노출모드가 설정되면, 하기에서 설명되는 에러동작이 수행된다( 단계 S57).
단계(S57) 에서의 에러동작에서, 계산셔터속도(TVD) 및 계산 다이어프램값(AVD)은 계산최대셔터속도(TVDMAX)및 계산최대다이어프램값(AVDMAX)로 각각 대체되고, EE 펄스의 수(PN 또는 Pno) 는 최대값 즉 225에 설정된다.
이후에, 계산셔터속도(TVD)(계산최대셔터속도(TVDMAX)) 및 계산다이어프램값(AVD)( 즉, 계산최대 다이어프램값(AVDMAX)) 은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제8도 참조) TVDT(TVD-TVT) 및 AVDT(AVD-AVT)로 명명된 과정에서 IPU로의 전송에 적당한 값으로 변환된다. 그후에 제어는 복귀된다.
계산셔터속도(TVD) 및 계산다이어프램값(AVD) 를 계산최대 셔터속도(TVDMAX)및 계산최대 다이어프램값(AVDMAX)대신에 계산최소 셔터속도(TVDMIN)및 계산최소 다이어프램값(AVDMIN)로 각각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노출모드는 셔터속도 및 다이어프램값이 피사체휘도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프로그램 자동노출모드, 다이어프램값이 수동으로 설정된 셔터속도 및 피사체 휘도에 따라서 자동으로 설정되는 셔터속도우선(EELA)자동노출모드( 렌즈- 자동모드), 셔터속도가 수동으로 설정된 다이어프램값 및 피사체 휘도에 따라서 자동으로 설정되는 다이어프램우선(ES LA) 자동노출모드, 수동노출(Manual LA) 및 전구 노출(Bulb LA) 모드, 그리고 다이어프램우선(ES LA) 자동노출모드( 렌즈- 수동모드) 를 포함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한계 프로그램( 프로그램 LIMT)자동노출모드, 특별한 프로그램노출모드로서 사용되는 하이퍼프로그램(Hyper Program) 자동노출모드, 하이퍼 셔터우선(Hyper EE)자동노출모드( 렌즈- 자동모드) 및 하이퍼 다이어프램우선(Hyper ES) 자동노출모드가 있다.
다음의 논의는 제9도 내지 제23도를 참조하면서 위에서 언급된 노출모드에서의 노출인자계산과정에 향하게 될 것이다. 여기에서 언급되는 하이퍼프로그램노출모드는 프로그램모드, EE 자동노출모드 및 ES 자동노출모드가 하이퍼프로그램노출모드, 하이퍼 EE 자동노출모드 또는 하이퍼 ES 자동노출모드를 임의로 선택함으로써 변경되는 모드이다. 노출모드가 전자식 다이얼(17,19) 또는 클리어버튼(23)을 작동함으로써 변경될수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하이퍼 프로그램모드의 동작은 보통 프로그램모드의 동작과 동일하다.
제9도는 하이퍼 프로그램 노출모드 및 보통 프로그램 노출모드와 관련된 흐름도를 보여주고, 제10도는 프로그램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우선, Tv 값에 대응하는 계산 TVD와 Av 값에 대응하는 계산 AVD 사이의 관계는 단계(S54) 에서의 공식에 따라서 다음 공식에 의해 얻어진다.
여기에서,
식(1) 및 (2)로부터, Tv와 TVD 및 Av 와 AND사이의 관계가 얻어진다.
식(1) 및 (2)에서 Tv 및 Av 에 가산되는 각각의 상수는 5 4/8및 4 4/8에 한정되지 않고 합이 10 이 되는 어떠한 2개의 값이라도 된다.
5 4/8 및 4 4/8의 값은 실시예에서 서로 비슷하게 선택된다.
이렇게 얻어진 Tv 와 TVD 및 Av 와 AVD 사이의 대응값이 아래의 표2 및 표3 에,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프로그램노출모드에서, 최적계산셔터속도(TVD) 는 다음식에 의해 얻어진다:
계산노출값(LVD) 은 단계(S54) 에서 얻어진다.
결과적으로 최적 계산다이어프램값(AVD) 는 이 계산의 결과로부터 얻어진다( 단계 S61내지 S78).
위에서 언급된 식은 TVD = Tv + 5 4/8 그리고 AVD = Av + 4 4/8 인 프로그램라인(Tv = 3/8 Ev + 3) 의 기본공식으로부터 얻어진다.
최적 계산 셔터속도(TVD) 및 최적계산 다이어프램값이 카메라몸체(11)의 셔터능력범위( 계산최대셔터속도(TVDMAX)와 계산최소셔터속도(TVDMIN)사이의 범위) 및 촬영렌즈의 다이어프램능력범위( 계산최대 다이어프램값(AVDMAX)와 계산최소다이어프램값(AVDMIN)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때, 최적계산셔터속도 및 최적계산다이어프램값이 유지되고, 해방동작중에 촬영렌즈의 다이어프램의 다이어프램값(Av)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EE 펄스수(PN)가 계산된다( 단계 S62,S64 내지 S66,S68,S69,S72).
언급되는 최대셔터속도(TVDMAX)및 최소 다이어프램값(AVDMIN)은 각각 최대셔터속도 및 오픈 F 넘버이다.
최대 및 최소셔터속도(TVDMAX 및 TVDMIN)는 카메라 몸체(11)에 고유한 것이며, 양호한 실시예에서 각각 TVDMAX = 13(1/8000 초) 이고 TVDMIN = - 5(30초) 이다.
결과적으로, TVD = TV + 5 4/8 이므로, 계산최대 및 최소셔터속도(TVDMAX 및 TVDMIN)은 각각 다음과 같이 나타내진다;
계산 최대 및 최소 셔터속도(TVDMAX 및 TVDMIN)는 미리 CPU(41)의 내부 ROM(41a) 에 기억되며 연산중에는 RAM(416) 의 소정의 어드레스에 기억된다.
고유의 최대 및 최소 다이어프램값(AVDMAX 및 AVDMIN) 그리고 공식(AVD = AV + 4 4/8) 을 사용하여, 계산 최대 및 최소 다이어프램값(AVDMAX 및 AVDMIN)은 각각 다음과 같이 나타내진다;
최대 및 최소 다이어프램값(AVDMAX 및 AVDMIN)은 단계(S35) 에서 촬영렌즈와의 통신에 의해 입력되고 계산 최대 및 최소 다이어프램값(AVDMAX 및 AVDMIN )은 CPU(41)의 내부 RAM(41b) 에서 소정의 어드레스에 기억된다.
피사체가 위에서 언급된 프로그램라인을 사용하여 최적 노출인자를 계산하기에 너무 밝거나 또는 어두우면, 다음 동작이 수행된다.
피사체가 너무 밝을때:
계산셔터속도(TVD) 가 계산최대셔터속도(TVDMAX)보다 크면, 최적계산 다이어프램값(AVD) 는 계산셔터속도(TVD) 가 계산최대셔터속도(TVDMAX)로 대체된후 계산된다( 단계 S62내지 S64).
이와같이 얻어진 최적계산다이어프램값(AVD) 가 다이어프램능력범위내에 있으면, EE 펄스수(PN)은 그것에 따라서 얻어진다( 단계 S65, S66, S68및 S72).
최적계산다이어프램값(AVD) 가 계산최대다이어프램값(AVDMAX)보다 크면, 최적계산셔터속도(TVD) 는 최적계산다이어프램값(AVD) 이 계산최대다이어프램값(AVDMAX)로 대체된후 재계산된다( 단계 S65내지 S68).
재계산된 계산셔터속도(TVD) 가 계산최대셔터속도(TVDMAX)보다 크면, 그것은 최적노출이 계산셔터속도(TVD) 및 계산다이어프램값(AVD) 의 조합에 의해 얻어질수 있는 범위밖에 있다. 결과적으로, Ev 연관밖 비트는 계산셔터속도가 연관밖( 즉, 허용범위) 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 1 에 설정되며, 계산셔터속도(TVD) 는 그 다음에 EE 펄스수(PN)를 계산하기 위해 계산최대셔터속도(TVDMAX)로 대체된다( 단계 S69내지 S72).
재계산된 계산셔터속도(TVD) 가 셔터능력범위내에 있으면, 최적노출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어는 단계(S70및 S71) 을 뛰어넘어 최적 계산다이어프램값(AVD)에 따라서 EE 펄스수(PN)의 계산을 수행한다( 단계 S69 및 S72).
EV 연관밖 비트가 1 에 설정될때, 셔터속도( 최대셔터속도 (TVMAX))및 다이어프램값 (최대다이어프램값( AVMAX)) 이 깜박이는 방식으로 LCD 표시판(69)에 표시된다.
피사체가 너무 어두울때:
최적계산다이어프램값(AVD) 가 계산 최소다이어프램값(AVDMIN)보다 작으면, 최적계산셔터속도(TVD) 는 계산다이어프램값(AVD) 가 계산 최소다이어프램값(AVDMIN)으로 대치된후 재계산된다. 재계산된 계산셔터속도(TVD) 가 셔터능력범위내에 있으면, 값은 유지되고, 다이어프램은 오픈 F 넘버이므로 EE 펄스수(PN)는 0에 설정된다( 단계 S73 내지 S75, S78).
최적계산셔터속도(TVD) 가 계산최소셔터속도(TVDMIN ) 보다 작으면, 부족노출 조건이 존재하고, 따라서, Ev연관밖 비트는 1 에 설정되고 계산셔터속도(TVD)는 계산최소셔터속도(TVDMIN ) 로 대치된다. 그후에, EE 펄스수(PN)는 0에 설정된다( 단계 S75내지 S78). TVD 및 AVD 는 RAM(41b) 의 소정의 어드레스에 기억되고 해방될때 셔터속도 및 다이어프램값을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위에서 언급된 동작이 완료될때, 계산다이어프램값(AVD) 및 계산셔터속도(TVD)는 각각 전송 다이어프램값(AVT) 및 전송셔터속도(TVT) 로 대치된다( 단계 S79및 S80). 계산다이어프램값(AVD) 과 전송다이어프램값(AVT) 및 계산셔터속도(TVD) 와 전송셔터속도(TVT)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TVT 및 AVT는 상기 식에서 반올림되지 않지만, TVT 및 AVT는 실제 연산에서는 반올림된다.
전송셔터속도(TVT) 및 전송다이어프램값(AVT) 는 1/2 Ev 스텝의 데이타이다.
즉, 이 데이타가 CPU(41)로부터 IPU(43)로 전송될때, 1/8 Ev 스텝의 계산된 값은 1/2 Ev 로 반올림된다. 이것은 데이타가 IPU(43)에서 필요한 정보를 나타내는데만 사용되기 때문이며 1/2 Ev 스텝보다 큰 정확도는 불필요하다.
위에서 언급된 표2 및 표3 은 TVD 및 AVD 값에 대응하는 표시섹션을 예로써 보여준다. 이리하여, 프로그램노출모드의 동작이 완료되고 제10도에서 실선으로 보이는 프로그램라인( 다이어그램) 이 얻어진다.
제11도는 촬영자가 계산 최소 및 최대셔터속도(TVD 1 및 TVD 2) 그리고 계산최소 및 최대 다이어프램값(AVD 1 및 AVD 2) 를 각각 설정할 수 있는 한계프로그램노출( 자동 노출) 모드의 서브루틴을 보여준다.
이 서브루틴에서의 연산흐름은 다음의 점을 제외하고는 프로그램 노출 모드의 서브루틴의 그것과 유사하다.
즉, 제11도에 보이는 서브루틴에서, 계산 최소 및 최대 다이어프램값(AVDMIN 및 AVDMAX)이 각각 설정된 최소 및 다이어프램값(AVD 1및 AVD 2) 로 대치되고( 단계 S85, S93, S86, S87), 계산 최소 및 최대 셔터속도(TVDMIN 및 TVDMAX)는 각각 설정된 최소 및 최대셔터속(TVD 1및 TVD 2) 로 대치된다( 단계 S95, S97, S82, S83, S89, S91). 한계프로그램 노출모드의 프로그램 다이어그램은 제12도에 도시되어있다. 계산최소 및 최대 다이어프램값(AVDMIN 및 AVDMAX), 그리고 계산최소 및 최대 셔터속도(TVDMIN 및 TVDMAX)는 한계 프로그램노출모드가 선택되었을때 홀드버튼(25)을 작동하고 Tv 전자식 다이얼(17)및 Av 전자식 다이얼(19)을 회전함으로써 설정된다. 제39c도 및 제39d도의 흐름도에 보이는 설정 동작은 이후에서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제13도는 하이퍼셔터우선(Hyper-EE)자동노출모드의 흐름도를 보여준다.
프로그램 다이어그램은 제10도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이퍼 셔터우선자동노출모드에서 노출인자를 계산하기 위한 동작은, 노출모드가 전자식 다이얼(17,19) 또는 클리어버튼(23)을 작동함으로써 변경될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보통 셔터우선자동노출모드 ( 렌즈- 자동모드) 의 동작과 같다. 하이퍼 EE 자동노출모드는 하이퍼 프로그램노출모드가 선택될때 그리고 Tv 전자식 다이얼(17)이 작동되었을때 강제적으로 선택되는 EE 자동노출모드이다. 하이퍼 EE 자동노출모드로부터 하이퍼프로그램 노출모드의 복귀는 클리어버튼(23)또는 전원 스위치등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이퍼 EE 자동노출모드로부터 하이퍼 ES 노출모드로의 스위치는 Av 전자식 다이얼(19)의 회전에 의해 강제적으로 이루어진다.
하이퍼 EE 자동노출모드에서 데이타통신에 의해 IPU(43)로부터 전송되는 설정된 셔터속도(TVT) 가 판독되어 계산셔터속도(TVD) 로 변환된다( 단계 S101).
전송셔터속도(TVT) 와 계산셔터속도(TVD)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스텝이 1/2 Tv 인 전송셔터속도(TVT) 는 상기 연산에 의해 스텝이 1/8 Tv 인 계산셔터속도(TVD) 로 변환된다. 전송셔터속도(TVT) 는 계산시 1/2 Ev 스텝의 데이타에 의해 표현되고 처리되어 소수자리가 계산셔터속도(TVD)(즉, 스텝이 1/8 Ev 인 데이타) 의 그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Tv 값( 즉, TVT)은 RAM(41b) 의 소정의 어드레스에 계산셔터속도(TVD) 로서 설정된다.
그후에, 최적 계산다이어프램값(AND) 이 계산셔터속도(TVD) 및 계산노출값(LVD)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단계 102). 최적계산셔터속도(AVD) 가 다이어프램능력범위내에 있으면, 값이 유지되고 EE 펄스수가 계산된다( 단계 S103, S104, S108 내지 S110). 최적계산다이어프램값(AVD) 이 다이어프램능력범위밖에 있으면, 즉 피사체가 너무 밝거나 또는 어두우면, 다음 동작이 수행된다.
피사체가 너무 밝을때:
최적계산다이어프램값(AVD) 가 계산최대 다이어프램값(AVDMAX)보다 크면, 계산다이어프램값(AVD) 은 계산최대다이어프램값(AVDMAX)로 대치된다.
이 대치는 과도노출 조건을 생기게 하며, 따라서 EE 펄스수(PN)는 Av 연관밖 비트신호가 최적계산 다이어프램값(AVD) 이 연관밖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1에 설정된후 설정된다( 단계 S103, S106 내지 S110).
Av 연관밖 비트신호가 설정될때, LCD 표시판(69)에서 다이어프램값(Av)을 나타내는 수자 22 는 과도노출을 나타내기 위해 깜박인다.
피사체가 너무 어두울때:
최적계산다이어프램값(AVD) 이 계산최대 다이어프램값(AVDMIN)보다 작으면, 계산다이어프램값(AVD) 는 계산최소다이어프램값(AVDMIN)으로 대치된다.
이 대치는 부족노출 조건을 생기게 하며, 따라서 EE 펄스수(PN)는 Av 연관밖 비트신호가 1에 설정된후 설정된다( 단계 S103 내지 S105, S107, S108 및 S110). 이리하여, 제10도에 일점쇄선으로 보이는 다이어그램이 얻어진다.
EE 펄스수(PN)의 설정이 끝나면, 계산다이어프램값(AVD) 및 계산셔터속도(TVD)는 동작을 완료하기 위해 전송다이어프램값(AVT) 및 전송셔터속도(TVT) 로 각각 변환된다( 단계 S111 및 S112). 하이퍼 다이어프램우선(ES)자동노출모드( 렌즈- 자동 모드) 의 실시예가 제10도 및 제16도를 참조해서 하기에는 설명될 것이다. 하이퍼 ES 자동노출모드에서 기본동작은 기본적으로 종래의 ES 자동노출모드( 렌즈- 자동 또는 보디세트모드) 의 동작과 같다.
하이퍼 ES 자동노출모드는 하이퍼프로그램 노출모드가 선택될때 그리고 Av 전자식 다이얼(19)이 작동되었을때 강제적으로 선택되는 ES 자동노출모드이다.
하이퍼 ES 자동노출모드로부터 하이퍼 프로그램노출모드로의 복귀는 클리어 버튼(23)또는 전원 스위치등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이퍼 ES 자동노출모드로부터 하이퍼 EE 노출모드로의 스위치는 Tv 전자식 다이얼(19)의 회전에 의해 강제적으로 이루어진다. 하이퍼 ES 자동노출모드에서 데이타 통신에 의해 IPU(43)로 부터 전송되는 설정된 다이어프램값(AVT) 은 동일한 것을 계산 다이어프램값(AVD) 로 변환하기 위해 판독된다( 단계 S131).
전송다이어프램값(AVT) 은 계산다이어프램값(AVD) 과 동일하다( 즉, AVD = AVT).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되는 다이어프램값(Av)( 즉, AVT)은 RAM(41b) 의 소정의 어드레스에 계산다이어프램값(AVD) 으로서 설정된다.
전송다이어프램값(AVT) 은 스텝이 1/2 Ev 인 데이타에 의해 표현되며, 그것은 자리수가 계산 다이어프램값(AVD)(즉, 스텝이 1/8 Ev 인 데이타) 의 그것과 동일하도록 계산시 처리된다.
그후에 최적계산셔터속도(TVD) 가 계산노출값(AVD) 및 계산노출값(LVD) 를 사용하여 계산된다( 단계 S132).
최적계산셔터속도(TVD) 가 셔터능력범위내에 있으면, 값은 유지되고 EE 펄스수는 계산다이어프램값(AVD) 에 따라서 계산된다( 단계 S133, S134, S138 내지 S140).
최적계산셔터속도(TVD) 가 셔터능력범위밖에 있으면, 즉, 피사체가 너무 밝거나 또는 어두우면, 다음의 동작이 수행된다.
피사체가 너무 밝을때:
최적계산셔터속도(TVD) 가 계산최대 셔터속도(TVDMAX)보다 크면, 계산셔터속도(TVD) 는 계산최대셔터속도(TVDMAX)로 대치된다.
이 대치는 과도노출을 생기게 하며, 따라서 EE 펄스수(PN)는 최적계산셔터속도(TV)가 연관밖이라는 것을 구별하기 위해서 Tv 연관밖 비트신호가 1에 설정된후 설정된다( 단계 S133, S136 내지 S140).
피사체가 너무 어두울때:
최적계산셔터속도(TVD) 이 계산최소셔터속도(TVDMIN)보다 작으면, 계산셔터속도(TVD) 는 계산최소셔터속도(TVDMIN)으로 대치된다.
이 대치는 부족노출 조건을 생기게 하며, 따라서 EE 펄스수(PN)는 Tv 연관밖 비트신호가 1에 설정된후 0에 설정된다( 단계 S133 내지 S135, S137, S138 내지 S140).
EE 펄스수(PN)의 설정될때, 계산다이어프램값(AVD) 및 계산셔터속도(TVD) 는 노출인자의 계산을 완료하기 위해 (단계 S141 및 S142) 각각 전송다이어프램값(AVT) 및 전송셔터속도(TVT) 로 변환된다.
이리하여, 제10도에서 점선으로 보이는 다이어그램이 얻어진다.
제2하이퍼 EE 또는 ES 자동노출모드는 비우선 노출인자가 부족노출 또는 과도노출의 발생을 피하기 위해 조정될수 없다는 조건하에서만 우선노출인자가 수정되는 자동노출모드이다.
즉, 피사체가 너무 밝거나 또는 어둡더라도 우선노출인자( 즉, 우선순위를 갖는 다이어프램값 또는 셔터속도) 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위에서 언급된 하이퍼 EE 또는 하이퍼 ES 자동노출모드와는 같지않게 우선순위를 갖는 노출인자는 우선순위를 갖지않는 노출인자의 수정이 과도노출 또는 부족노출을 피하기 위해 조정될수 없을때 수정된다.
제2하이퍼 EE 또는 ES 자동노출모드에서, 우선순위를 갖는 셔터속도 또는 다이어프램값이 부족노출 또는 과도노출을 생기게 하면, 셔터속도 또는 다이어프램값은 최적 노출을 제공하기 위해 수정된다( 제15도 및 제18도).
제2하이퍼 EE 자동노출모드 및 제2하이퍼 ES 자동노출모드에서의 동작은 제14도 및 제17도를 각각 참조하면서 하기에서 논의될 것이다.
제2하이퍼 EE 자동노출모드에서 IPU(43)에 기억되는 설정된 셔터속도(TUT) 는 동일한 것을 계산 셔터속도(TVD) 로 변환하기 위해 Tv 전자식 다이얼(17)의 동작에 의해 판독되어, 최적계산다이어프램값(AVD) 가 계산셔터속도(TVD) 및 계산노출값(LVD) 에 따라 계산된다( 단계 S121 및 S122).
최적 계산다이어프램값(AVD) 가 다이어프램능력범위내에 있으면, 제어는 제16도에서 볼수있는 것처럼 하이퍼 ES 자동노출모드의 단계(S132)에 들어간다( 단계 S123, S125및 S127).
최적계산다이어프램값(AVD) 가 계산최대다이어프램값(AVDMAX)보다 크면, ( 즉, 피사체가 너무 밝으면), 계산다이어프램값(AVD) 는 계산최대다이어프램값(AVDMAX)로 대치되고, 그 다음에 제어는 단계(S132)에 들어간다.
역으로, 최적계산다이어프램값(AVD) 가 계산최소다이어프램값(AVDMIN)보다 작으면( 즉, 피사체가 너무 어두우면), 제어는 계산다이어프램값(AVD) 가 계산최소다이어프램값(AVDMIN)으로 대치된후, 단계(S132)에 들어간다 ( 단계 S123, S125 내지 S127).
하이퍼 ES 자동노출모드( 다이어프램 우선자동노출모드) 의 단계(S132)에서, 계산셔터속도(TVD) 가 셔터속도를 수정하기 위해 재계산된다.
결과적으로, 제15도에서 실선, 일점쇄선,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다이어그램이 얻어진다. 제15도에서 볼수있는것처럼, 최적노출범위가 확장된다. 이것은 셔터우선자동노출모드가 어떤 노출범위에서 기능하는 프로그램 자동노출모드의 일종으로 생각될수 있다.
제2하이퍼 ES 자동노출모드에서, IPU(43) 에 기억된 설정된 다이어프램값(AVT)이 동일한 것을 계산다이어프램값(AVD) 로 변환하기 위해 Av 전자식 다이얼(17)의 동작에 의해 판독되어, 최적계산셔터속도(TVD) 가 계산다이어프램값(AVD) 및 계산노출값(LVD) 에 따라 계산된다( 단계 S151 및 S152).
최적계산셔터속도(TVD) 가 셔터능력범위내에 있으면, 값이 유지되고 제어는 제13도에서 하이퍼 EE 자동노출모드의 단계(S102)에 들어간다( 단계 S153, S155 및 S157).
최적계산셔터속도(TVD) 가 계산최대셔터속도(TVDMAX)보다 크면( 즉, 피사체가 너무 밝으면), 계산셔터속도(TVD) 는 계산최대셔터속도(TVDMAX)로 대치되고, 그 다음에 제어는 셔터우선자동노출모드의 단계(S102)에 들어간다.
역으로, 최적계산셔터속도(TVD) 가 계산최소셔터속도(TVDMIN)보다 작으면( 즉, 피사체가 너무 어두우면), 제어는 계산셔터속도(TVD) 가 계산최소셔터속도(TVDMIN)으로 대치된후 단계(S102)에 들어간다.
단계(S102)에서, 계산다이어프램값(AVD) 는 다이어프램값을 수정하기 위해 재계산된다( 단계 S103 내지 S112).
결과적으로 제18도에서 실선, 일점쇄선,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다이어그램이 얻어진다. 제18도에서 볼수있는 것처럼, 최적노출범위가 확장된다.
이것은 다이어프램 우선자동노출모드가 어떤 범위내에서 기능하는 프로그램자동노출모드의 일종으로 생각될수 있다.
제1 및 제2하이퍼 EE 자동노출모드 그리고 제1 및 제2하이퍼 ES 자동노출모드가 따로따로 설명되고 있지만, 이들 모드의 동작은 동일 카메라에서 수행될수 있다. IPU(43) 에 내장된 E2PROM(43C) 의 노출모드데이타의 2비트 신호는 하이퍼 EE 및 하이퍼 ES 자동노출모드에서 상기 언급한 제1 및 제2방법의 그것들과 각각 일치한다.
신호데이타는 CPU-IPU 통신에 의해 CPU(41)로 전송되어, 2 비트 신호는 하이퍼 EE 모드 또는 하이퍼 ES 모드가 검출된후 제1 및 제2하이퍼 EE 및 하이퍼 ES 모드를 스위치하기 위해 결정될수 있다.
셔터속도 및 다이어프램값이 둘다 카메라 몸체측에서의 동작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될수 있는 하이퍼 수동노출모드( 보디세트모드) 가 제19도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논의될 것이다.
하이퍼 수동노출모드( 렌즈자동 또는 보디세트모드) 에서, 촬영자는 전자식 다이얼(17 및 19)를 작동함으로써 노출인자를 설정할수 있다.
그러나, 클리어버튼(23)이 온될때, 최적노출인자는 프로그램노출모드의 알고리즘과 같은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피사체휘도(Bv)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계산된다. 클리어버튼(23)이 오프될때, 계산된 노출인자는 수동으로 설정된 것들로 대치된다.
LA 하이퍼수동노출모드에서, 셔터속도(Tv)및 다이어프램값(Av)는 둘다 Tv 및 Av전자식 다이얼(17 및 19)이 각각 작동될때 설정될수 있다.
또한, 클리어 버튼(23)은 온될때, 프로그램 자동노출모드와 동등한 기능이 수행될수 있다. 설정된 셔터속도(Tv)및 다이어프램값(Av)는 IPU(43)의 RAM(43b)에서 소정의 어드레스에 기억되고 LCD 표시판(69)및 파인더내의 표시기 유니트(71)에 표시된다.
클리어버튼(23)이 온될때, 계산셔터속도(TVD) 및 계산다이어프램값(AVD) 는 프로그램노출모드에 따라서 계산되고 제어는 그 다음에 단계(S167)로 진행한다( 단계 S164).
클리어버튼(23)이 온되지 않으면, IPU(43) 로부터 전송되는 설정된 다이어프램값(AVT) 및 설정된 셔터속도(TVT) 는 계산다이어프램값(AVD) 및 계산셔터속도(TVD)로 변환되고, 제어는 그 다음에 단계(S167)로 진행한다( 단계 S161 내지 S163).
단계(S167)에서, 노출에러( △Ev) 는 실제 광도측정의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최적 계산노출값(LVD) 및 노출값(AVD + TVD) 에 근거한 다음식에 의해 계산되는데, 노출값(AVD + TVD) 는 설정된 계산다이어프램값과 동일한 계산다이어프램값(AVD) 및 설정된 계산셔터속도와 동일한 계산셔터속도(TVD) 에 의해 얻어진다:
노출에러( △Ev) 가 허용한계( - 3/8 △Ev + 3/8)내에 있으면, 과도노출 및 부족노출 표시비트가 파인더내의 표시기유니트(71)에 있는 한쌍의 LED 노출표시소자(71a 및 71b)(제42e도)를 발광하기 위해 세트된다( 단계 S168, S170, S171). 노출에러( △Ev) 가 허용상한보다 크면, 과도노출표시비트만이 표시소자(71a) 를 발광하기 위해 세트되어 과도노출을 나타낸다( 단계 S168 및 S169).
역으로, 노출에러( △Ev) 가 허용하한보다 작으면, 부족노출표시비트만이 표시소자(71b) 를 발광하기 위해 세트되어 부족노출을 나타낸다( 단계 S168, S170 및 S172). 노출에러( △Ev) 의 허용단계가 도시된 실시예에서 ± 3/8 Ev 이지만, 또다른 한계가 선택될수 있다. 또한, 상한값 및 하한값은 서로 다를수 있다. DX코드로부터 장전된 필름의 관용도를 판독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며, 허용한계는 필름관용도의 그것과 동일하게 결정된다.
그후에, EE 펄스의수(PN)이 계산다이어프램값(AVD) 로부터 얻어지고( 단계 S173, S174및 S175), 계산다이어프램값(AVD) 및 계산셔터속도(TVD) 는 각각 전송다이어프램값(AVT) 및 전송셔터속도(TVT) 로 변환된다.
클리어버튼이 온된후 오프될때, 프로그램노출모드에서 최적노출값은 단계(S162 및 S163) 에서 급수값으로 변환되는데, 이후에서 논의될 것이며, 그리고 수동모드의 정확도와 동등한 정확도로 RAM(41b) 의 소정의 어드레스에 기억된다.
상기한 것으로부터 이해할수 있는 것처럼, 클리어 버튼(23)이 하이퍼 수동노출모드에서 온될때, 셔터속도(Tv)및 다이어프램값(Av)이 둘다 프로그램노출모드에 따라서 광도측정데이타( 피사체 휘도 Bv)에 달려있는 최적값으로 수정되므로, 최적노출값은 간단한 동작에 의해 수동으로 신속하게 설정될수 있다.
클리어버튼(23)이 위에서 언급된 실시예에서 온되어 있는동안 최적 노출인자의 계산이 계속되지만, 클리어 버튼(23)이 오프에서 온으로 스위치될때에만 노출인자를 계산하여 RAM(41b) 에 기억시키는것이 가능하다.
이 대안에서는 단계(161) 에서, 클리어 버튼(23)이 오프에서 온으로 스위치될 것인지가 검토된다.
위에서 언급된 실시예에서, 다이어프램값(Av)및 셔터속도(Tv)는, 클리어버튼(23)이 온될때, 프로그램자동노출모드에 따라서 광도측정동작에 의해 검출된 것들로 수정된다. 노출인자(Av 및 Tv)중 하나만을 최적값으로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최적 노출값(Ev)대신에 반올림된 또는 시스템 Av및 Tv 값에 노출인자 또는 노출인자들을 설정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반올림된( 또는 시스템) 값은 수동으로 설정될수있고 CPU(41)에 의해 계산된 APEX 값의 스텝이 수동으로 설정된 APEX 값의 스텝보다 작다는 것을 고려하여 계산된 APEX 값을 반올림함으로써 얻어질수 있는 스텝( 정확도)을 갖는 값을 의미한다.
최적값 및 반올림값의 선택은 EEPROM(43C)의 하이퍼 수동선택플랙의 1비트에 따라서 결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5도에서 볼수있는 것처럼, 0 위비트가 0및 1일때, 최적값 및 반올림된 값이 각각 선택된다.
또한, 자동노출모드의 종류는 플랙의 제1 및 제2비트에 따라서 결정된다.
비트데이타는 카메라가 선적될때 미리 설정될수 있고 또는 촬영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되고 수정될수도 있다.
제24도는 IPU(43)내의 E2PROM(43C) 의 하이퍼 수동선택플랙의 데이타를 사용하여 노출인자중 적어도 하나가 최적값으로 수정될 수 있는 예 및 최적/시스템 값 선택이 조합으로 이루어질수 있는 예의 흐름도를 보여준다.
E2PROM(43C) 의 데이타는 동작시 IPU(43)의 RAM(43b)에 기억되며, 동일 데이타가 또한 CPU(41)의 RAM(41b) 에 기억되기 위해 CPU-IPU 통신에 의해 CPU(41)에 전송된다.
클리어버튼(23)의 상태는 단계(S601)에서 검사된다.
클리어 버튼(23)이 온되면, 하이퍼수동선택 플랙 데이타에 따라서 LA 하이퍼 수동모드에서 Tv 및 Av 의 수정모드가 검사되는 단계(S603)로 진행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이퍼수동선택 플랙데이타의 제1 및 제2비트가 사용된다. 2 비트에 의해 표현되는 값이 0, 1 및 2이면, 제어는 단계(S605) ( 프로그램자동노출모드동작), 단계(S607)(LA 다이어프램우선자동노출모드동작),및 단계(S609)(LA 셔터 우선자동노출모드동작) 으로 각각 진행한다.
2 비트에 표현되는 값이 3이면, 제어는 노출모드동작을 수행함이 없이 단계(S611)로 진행한다.
결과적으로, 계산셔터속도(TVD), 계산다이어프램값(AVD), 표시셔터속도(TVT) 및 표시다이프램값(AVT) 은 CPU(41)의 RAM(41b) 에 기억된다.
그후에, 선택플랙데이타의 시스템/ 최적 비트가 단계(S611)에서 검사된다.
비트에 의해 표현되는 값이 0 이면, 제어는 단계(S163)( 시스템값 설정 동작)로 진행하고 값이 1 이면 제어는 수동-1(Manual-1)의 서브루틴( 최적값 설정 동작) 으로 직접 진행한다.
최적값 설정동작은 제1실시예의 동작과 같다.
시스템값 설정동작이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단계(S605, S607 및 S609)에서의 동작에 이은 AVTD 및 TVTD 의 계산은 (단계 (S605, S607및 S609)의 서브루틴에서 AVDT 및 TVDT 의 마지막 계산에 의해) 얻어진 계산최적값(AVD(=AVT)및 TVD(TVT))에 따라서 얻어지는 표시최적값(TVT및 AVT) 에 근거하여 계산최적값(AVD=ATV) 및 TVD) 이 얻어진후 계산셔터속도(TVD)(S613) 및 계산 다이어프램값(AVD)(S615) 이 다시 계산되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일단 얻어진 계산최적 다이어프램값(AVD) 및 계산최적셔터속도(TVD)가 계산시스템 다이어프램값 및 계산시스템 셔터속도로 각각 대치된다.
단계(S167)에 이은 동작은 제1실시예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다.
위에서 언급된 제2실시예에서는 아래의 6종류 LA 하이퍼 수동노출모드( 제어모드) 가 선택될수 있다.
① 클리어버튼(23)이 프로그램자동노출모드( 제1실시예) 에서 작동될때 얻어지는 최적셔터속도(Tv)및 최적 다이어프램값(Av)에 의한 노출제어;
② 클리어버튼(23)이 프로그램자동노출모드에서 작동될때 얻어지는 시스템( 반올림된) 셔터속도(Tv)및 시스템( 반올림된) 다이어프램값(Av)에 의한 노출제어;
③ 클리어버튼(23)이 셔터속도우선 자동노출모드에서 작동될때 얻어지는 최적 다이어프램값(Av)에 의한 노출제어;
④ 클리어버튼(23)이 셔터속도우선 자동노출모드에서 작동될때 얻어지는 시스템( 반올림된) 다이어프램값(Av)에 의한 노출제어;
⑤ 클리어버튼(23)이 다이어프램우선자동노출모드에서 작동될때 얻어지는 최적 셔터속도(Tv)에 의한 노출제어;
⑥ 클리어버튼(23)이 다이어프램우선자동노출모드에서 작동될때 얻어지는 시스템( 반올림된) 셔터속도(Tv)에 의한 노출제어;
다음 논의는 제17도를 참조하면서 셔터속도는 카메라 몸체측에서 설정되고 다이어프램값은 촬영렌즈(65)에 의해 설정되는 하이퍼 수동노출모드( 렌즈수동모드) 에 향해질 것이다.
LM 하이퍼수동노출모드에서, 셔터속도(Tv)는 Tv 전자식 다이얼(17)을 조정함으로써 수동으로 설정되나, 클리어버튼(23)( 클리어 스위치(SWCL)) 가 온될때는, 셔터속도는 피사체 휘도(Bv)에 따라서 최적치에 자동적으로 수정된다.
클리어버튼(23)이 온되지 않으면, IPU(43) 로부터 보내지는 전송셔터속도(TVT)(1/2 Ev)스텝의 값) 는 계산셔터속도(TVT) 로 직접 변환된다( 단계 S181 및 S182). 그후에 제어는 단계(S185)로 진행한다.
역으로 클리어버튼(23)이 온되면, 셔터속도(Tv)는 이후에 논의될 렌즈 수동 다이어프램우선(ES)자동노출모드에 따라서 촬영렌즈의 다이어프램링에 의해 설정되고 다이어프램 볼륨(53)및 A/D 변환기(51)를 통해서 제5도의 단계(S15)에 의해 입력되는 다이어프램값에 근거하여 계산된다( 단계 S181 및 S183).
그후에, 시스템/ 최적값의 선택이 단계(S184)에서 LA 하이퍼 수동 노출모드에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시스템값이 선택되면, TVDT의 계산은 LA 하이퍼 수동 노출모드에서와 같은 이유로 이루어진다.
단계(S185)에서, 계산다이어프램값(AVVRD) 은, 디지탈값(AvA/D) 으로 변환되고 촬영렌즈(65)의 다이어프램링에 의해 설정되는 다이어프램값(Av)에 근거하여 그리고 카메라몸체(11)에 고유한 조정값(AVadj) 에 근거하여, 계산된다.
결과적으로 노출에러( △Ev) 는 다음식에 의해 얻어진다( 단계 S186):
노출에러( △Ev) 가 허용한계내에 있으면, 과도노출 및 부족노출표시비트가 세트된다. 노출에러( △Ev) 가 상한값보다 크면, 과도노출표시비트데이타가 세트되고, 노출에러( △Ev) 가 하한값보다 작으면, 부족노출표시비트데이타가 세트된다( 단계 S187 내지 S191).
그후에 EE 펄스수(PN)은 최대값( 도시된 실시예에서 255) 으로 설정되고, 계산셔터속도(TVD) 는 전송셔터속도(TVT) 로 변환된다.
이것으로 노출인자설정동작이 완료된다( 단계 S192 및 S193).
EE 펄스수(PN)가 최대값으로 설정되는 이유는 카메라몸체(11)의 스톱- 다운 메카니즘이 촬영렌즈(65)의 다이어프램링에 의해 설정되는 다이어프램값에 대응하는 최종 스톱- 다운 위치까지 구동된다.
아펭서 설명된것으로부터 알수있는 것처럼, 본발명에 따라서, 셔터속도(Tv)는 클리어버튼(23)이 LM 하이퍼 수동노출모드에서 온될때 다이어프램우선자동노출모드에서 얻어지는 최적값 또는 반올림된 시스템값으로 설정되므로, 최적 노출값은 간단한 동작에 의해서 수동으로 신속하게 얻어질수 있다.
다음의 논의는 제21도를 참조하면서 다이어프램이 촬영렌즈(65)의 다이어프램링에 의해 설정되는 렌즈수동다이어프램우선(ES)노출모드로 향하게 될 것이다.
계산다이어프램값(AVVRD) 은 촬영렌즈(65)의 다이어프램링에 의해 설정되는 다이어프램값(Av)을 변환하여 얻어지는 변환된 다이어프램값(AvA/D) 및 카메라몸체(11)의 고유한 조정값(AVADJ) 에 따라서 계산된다( 단계 S201).
이와같이 얻어진 AVVRD값에 근거하여, 계산셔터속도(TVD) 가 다음식에 의해 계산된다( 단계 S202);
그후에, 계산셔터속도(TVD) 가 셔터능력범위내에 있으면, EE펄스수(PN)은 최대값으로 설정된다( 단계 S203, S205, S208).
계산셔터속도(TVD) 가 계산최대셔터속도(TVMAX) 보다 크거나 또는 계산최소셔터속도(TVMIN) 보다 작으면, 계산셔터속도(TVD) 는 계산최대셔터속도(TVMAX) 로 대치되거나( 단계 S203 및 S204)또는 계산최소셔터속도(TVMIN) 으로 대치된다( 단계 S203, S205및 S206).
그후에 EE 펄스수(PN)는 Ev 연관밖 비트가 설정된후 최대값에 설정된다( 단계 S207, S208).
마지막으로 계산셔터속도(TVD) 는 IPU(43)에 전송되기 위해 전송셔터속도로 변화되며 이로써 동작을 완료한다( 단계 S209).
전구노출모드는 제22도 및 제23도를 참조하면서 하기에서 논의될 것이다.
렌즈- 자동전구노출모드에서, Av전자식 다이얼(19)에 의해 설정되는 전송다이어프램값(AVT) 는 CPU-IPU 통신을 통해 판독되고 계산다이어프램값(AVD)으로 변환된다( 단계 S211). 그후에, 계산다이어프램값(AVD) 에 대응하는 EE 펄스수(PN)가 계산되고( 단계 S212 및 S213), 부족노출 및 과도노출 표시비트가 리세트되고, 그 다음에 계산다이어프램값(AVD) 이 다시 전송다이어프램값(AVT) 로 변환된다( 단계 S215 및 S216).
이리하여 동작이 완료된다.
계산다이어프램값(AVD) 가 계산최소다이어프램값(AVDMIN)과 동일하면, EE 펄스수(PN)는 0 에 설정된다( 단계 S212, S214).
렌즈- 수동 전구노출모드에서, EE펄스수(PN)는 최대값에 설정되어, 스톱- 다운 메카니즘은 촬영렌즈의 다이어프램링에 의해 설정되는 다이어프램값까지 구동될수 있다.
그후에 부족노출 및 과도노출표시비트가 동작을 끝내기 위해 리세트된다.
상기 설명은 CPU(41)의 동작에 향하여졌다.
IPU(43) 의 주 루틴은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26도).
수동으로 설정된 다이어프램값(Av)및 셔터속도(Tv), 표시다이어프램값(Av)및 셔터속도(Tv), 선택된 노출모드 CPU(41)와 촬영렌즈사이의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전송다이어프램값(AVT) 및 셔터속도(TVT), 최대 F 넘버(F No.) 및 최소 F 넘버(F No.) 와 같은 촬영데이타는 IPU(43)의 내부 RAM(43b) 에서 서로 다른 어드레스에 기억된다.
IPU(43) 는 전지가 카메라내에 있을때는 항상 동작하여 제26도에 보이는 IPU-MAIN 을 수행한다.
IPU(43) 는 우선 포트 및 RAM(43b) 을 초기화하여 모드의 초기설정을 수행한다( 단계 S220 내지 S222).
그후에, 노출모드는 초기모드로 설정된다.
초기모드는 IPU(43)의 포트(PLO) 의 상태에 따라서 결정되며 렌즈- 자동 모드와 렌즈- 수동 모드의 경우에 각각 대응하는 하이퍼 프로그램노출모드나 다이어프램 우선자동노출모드가 된다.
그후에, 단속동작이 32㎳ 타이머에 의해 반복된다( 단계 S223 내지 S229-2).
IPU(43) 는 다음의 단속동작을 수행한다.
32㎳ 타이머의 설정시간이 다될때, 스위치입려 즉 스위치입력포트(PC0내지 PB5)의 레벨이 계속해서 IPU(43)에 입력된다.
포트의 레벨이 L( 온) 이면, 스위치에 대응하는 입력동작 및 촬영렌즈의 형식의 결정이 수행되어, 스위치 또는 렌즈형식 데이타등에 의해 설정되는 모드와 같은 데이타가 RAM(43b) 에 기입되고, 렌즈데이타는 렌즈와의 통신을 통해 IPU(43) 로 입력된다( 단계 S223 내지 S225). 32㎳ 타이머의 시간이 다되지 않으면, 제어는 단계(S228)로 뛴다( 단계 S223 및 S228).
그후에, 주스위치(SWMAIN)가 온되어 있는지 여부가 검사된다.
주스위치가 오프되면, Hyp-Tv 플랙 및 Hyp-Av 플랙이 리세트되어 전력- 유지를 오프시킨다( 즉, CPU(41) 의 주전원을 오프시킨다).
그후에, ML 모드플랙이 리세트되며( 즉, 홀드비트가 클리어된다), 제어는 그 다음에 단계(S223)으로 복귀된다( 단계 S226, S226-2, S229-2).
주스위치(SWMAIN)가 온되면, 광도측정스위치(SWS) 가 온되어 있는지 여부가 검사된다. 광도측정스위치(SWS) 가 온되면, 사진촬영동작이 이미 시작되었음을 통상 의미하는데, 광도측정타이머가 시동하고 전력- 유지가 액티브로되어 CPU(41)를 작동시킨다( 단계 S226, S227-1, S227-2 및 S228).
그후에, 제어는 단계(S228)로 진행한다.
역으로, 광도측정스위치(SWS) 가 온되지 않으면, 광도측정타이머의 시동 및 전력- 유지동작을 뛰어넘어 단계(S228)로 간다( 단계 S226, S227-1 및 S228).
단계(S228)에서, 선택된 촬영모드에서 촬영동작에서 사용되는 다이어프램값(F) 및 셔터속도(S-1) 등이 LCD 표시판(69)및 파인더내의 표시기 유니트(71)에서 표시된다. 그후에 광도측정타이머의 설정된 시간이 다 되었는지 여부가 검사된다. 시간이 지났으면, 전력- 유지는 인액티브로 되고 제어는 그 다음에 단계(S223)으로 복귀된다.
역으로, 시간이 지나지 않았으면, 제어는 단계(S223)는 직접 복귀된다( 단계 S229-1, S229-2, S223).
타이머에 의한 단속동작이 CPU(41)와의 통신에 의해 인터럽트되면, 통신이 수행된다. 유사하게 전자식 다이얼(17 및 19)가 회전되면, 전자식 다이얼 설정이 수행된다.
주스위치(SWMAIN)가 오프될때 인터럽션은 일어나지 않는것을 유의한다.
단계(S225)에서 렌즈 CPU와의 통신의 서브루틴은 제27도를 참조하면서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CPU(43) 은 핀(CONT)의 레벨을 L( 논리 0) 로 낮추고, 입력되는 장착핀 데이타( 오픈 F 넘버(Fmin), 최대 F넘버(Fmax)및 자동/ 수동(A/M) 데이타) 를 수신한다( 단계 S31 및 S32). 본 출원의 양수인의 이름으로 출원된 일본특허공개( 미심사공개) 번호 63-184719에서 개시된 것처럼, 핀(RES/Fmin 3, SI/Fmin2, Fmax1, Fmax2 및SCK/Fmin1)과 접촉되는 촬영렌즈의 핀은 트랜지스터에 접속되어, 2 비트의 최대 F넘버(Fmax)및 3비트의 오픈 F넘버(Fmin)는 트랜지스터의 온/ 오프 상태에 따라 조합된 그들의 레벨에 의해 구성된다.
핀(A/M) 은 A/M선택스위치(SWA/M) 에 접속되어, 2 비트의 다이어프램 자동/ 수동 데이타는 A/M 선택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에 의해 구성된다.
CPU(41) 는 카메라 몸체에 부착된 자동초점조절(AF)렌즈(KAF) 의 존재 및 부착된 렌즈의 종류를 결정하기 위해 핀(CONT)의 레벨을 논리 1 (즉 레벨 H)로 반전시킨다( 단계 S33및 S34).
본발명에서 구별될수 있는 촬영렌즈는 장착핀을 가지고 있지 않은 수동렌즈(K), 장착핀을 가지고 있으나 렌즈 ROM을 가지고 있지 않은 자동렌즈(KA) 또는 장착핀 및 렌즈 ROM 을 가지고 있는 자동 AF 렌즈(KAF) 이다.
핀(CONT)의 레벨이 1이면, 촬영렌즈(65)와의 통신이 수행되고 렌즈 데이타가 입력된다( 단계 S34및 S35).
장착핀(Fmax1, Fmax2, Fmin1, Fmin2 및 Fmin3) 의 레벨이 모두 1이고, 렌즈의 종류를 표현하는 5비트가 11111이면, 렌즈에 문제가 있다고 결정되며, 따라서 렌즈없음 비트(NoLens)가 세트되고 제어는 복귀된다( 단계 S36, S37 및 S38).
장착핀(Fmax1 내지 Fmax2 및 Fmin1 내지 Fmin3)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이 0이고 구분되는 렌즈의 종류가 AF 렌즈(KAF) 이면, AF렌즈(KAFLens ) 비트가 세트되고 제어는 복귀된다( 단계 S36, S39 및 S40).
그렇지 않으면, 모드가 렌즈- 자동 모드인지 또는 렌즈- 수동모드인지 여부가 검사된다. 모드가 렌즈- 자동이면, 자동렌즈(KALens)비트가 세트되고 제어는 복귀된다( 단계 S34 내지 S36, S39, S41, S42).
모드가 렌즈수동이고 핀(Fmax1 및 Fmax) 의 레벨이 11 이고 핀(Fmin1 내지 Fmin3) 의 레벨이 111이면, 촬영렌즈가 카메라 몸체에 부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렌즈없음 플랙(NoLens 비트) 가 세트되고 제어는 복귀된다( 단계 S43및 S44).
모드가 렌즈수동모드이고 핀(Fmax1및 Fmax2) 의 레벨이 0 이고 핀(Fmin1 내지 Fmin3) 의 레벨이 0이면, 렌즈는 수동렌즈(K) 이고, 따라서 수동렌즈플랙(KLens 비트) 가 세트되고 제어는 복귀된다( 단계 S45및 S46).
핀(Fmax1,Fmax2, Fmin1 내지 Fmin3) 의 레벨이 모두 1또는 0이 아니면, 렌즈는 렌즈수동모드에서 자동렌즈(KALens)이며, 따라서는 자동렌즈(KALens)비트가 세트되고 제어는 복귀된다( 단계 S41, S43, S45 및 S42).
이리하여, 렌즈의 형식, 렌즈데이타 및 렌즈 자동/ 수동데이타가 IPU(43)의 메모리에 설정되고 CPU(41)로 전송된다.
제28도는 단계(S224)에서 스위치 입력동작의 서브루틴을 보여준다.
구동스위치(SWDRIVE),ISO 감도설정스위치(SWISO), 노출정정스위치(SW ± EF)및 노출모드스위치(SWMODE)중 어느하나가 온되면, 대응하는 서브루틴에서의 동작( 주: 모드천이 및 MODE IN 서브루틴만이 제28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수행된다( 단계 S231 내지 S233). 입력동작이 완료되면, 모드천이동작, MODE IN 동작 및 메모리록크동작이 이루어지고 제어는 복귀된다( 단계 S234 내지 S236). 모드천이 서브루틴, MODE IN 서브루틴 및 메모리록크 서브루틴은 이후에서 논의 될 것이다.
제29도 및 제30도는 Tv 및 Av 전자식 다이얼(17 및 19)의 동작의 서브루틴을 보여준다. 주 루틴은 Tv 또는 Av 전자식 다이얼(17 또는 19)가 회전될때 이들 서브루틴에 의해 인터럽트되어, 포트(PA0, PA1, PA2, PA3)중 어느하나가 온되어 연관된 Tv 또는 Av 다이얼 변경 비트를 세트한다( 단계 S271, S281).
Tv전자식 다이얼(17)이 회전될때, Tv전자식 다이얼(17)의 회전방향이 단계(S272)에서 검사된다.
Tv전자식 다이얼(17)이 오른쪽방향( 시계방향) 으로 회전되면, 포트(PA0) 가 0에 세트되고( 포트(PA1) 는 여전히 1이다), 시계방향회전비트가 세트되고, Tv전자식 다이얼(17)이 왼쪽방향( 반시계방향) 으로 회전되면, 포트(PA1) 가 0 에 세트되고( 포트(PA0) 는 여전히 1 이다), 오른쪽방향비트가 리세트되고, 그 다음에 제어는 복귀된다( 단계 S273 및 S274).
유사하게, Av전자식 다이얼(19)이 회전될때, Av 다이얼 변경비트가 세트되고, 오른쪽방향 비트는 세트되거나 또는 리세트된다( 단계 S282 내지 S284).
전자식 다이얼 변경비트 및 오른쪽방향비트는 Av 및 Tv 전자식 다이얼(17 및 19)의 설정동작 그리고 노출모드선택동작등에 사용되는데,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다음의 논의는 전자식 다이얼(17 또는 19)이 특별한 노출모드에서 작동될때, 제31도 및 제32도에 보이는 서브루틴에 따라서, IPU(43) 의 동작에 향하게 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특별한 노출모드는 프로그램모드, 한계프로그램모드, 하이퍼프로그램모드, EE자동모드, 렌즈자동 ES 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이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카메라의 셔터능력은 30 초 내지 1/800초(Tv = - 5Tv 내지 + 13 Tv) 이고 다이어프램능력은 촬영렌즈로부터 판독되는 오픈 F 넘버(Fmin)(=Avmin)내지 최대 F넘버(Fmax)(=Avmax)이다.
명백히 하기 위해서, Tv및 Av 둘다 1/2 Ev 라고 가정한다.
Tv다이얼 검사에 관해서는 Tv 다이얼변경비트가 우선 검사된다.
비트가 0이면, 제어는 직접 복귀되고, 비트가 1이면, 오른쪽방향 회전비트가 세트되어 있는지 여부가 검사된다( 단계 S401, S402).
오른쪽 방향회전비트가 세트되면( 즉, Tv전자식 다이얼(19)이 오른쪽방향으로 회전된다), 셔터속도(Tv)는 최대셔터속도(Tvmax) 까지 1/2 Tv 만큼씩 증가된다( 단계 S402, S403, S404).
역으로, 오른쪽 방향 회전비트가 리세트되면( 즉, Tv 전자식 다이얼(19)가 왼쪽 방향으로 회전된다), 셔터속도(Tv)는 최소셔터속도(Tvmin) 에 도달할때까지 1/2 Tv만큼씩 감소된다( 단계 S402, S405, S406).
그후에, Tv 다이얼변경비트가 클리어되고 Tv 오른쪽방향 회전비트가 리세트된다( 단계 S407).
Av 다이얼검사에 대해서는, Av 전자식 다이얼(17)이 오른쪽방향으로 회전되면, 다이어프램값(Av)는 최대 다이어프램값(Avmax) 에 도달할때까지 1/2 Av만큼씩 증가한다( 단계 S411 내지 S414).
그후에, Av 다이얼 변경비트가 클리어되고, Av 오른쪽방향 회전비트가 리세트된다( 단계 S418).
역으로, Av전자식 다이얼(17)이 왼쪽방향으로 회전되면, 다이어프램값(Av)는 최소 다이어프램값(Avmin) 에 도달할때까지 1/2 Av 만큼씩 감소된다( 단계 S411, S412, S415, S416) 그후에 Av 다이얼 변경비트가 클리어되고 Av 오른쪽방향 회전비트가 리세트되고( 단계 S418), 제어는 복귀된다.
제31도 및 제32도의 서브루틴은 이후에서 논의될 Tv 다이얼설정 및 Av 다이얼 설정에서 호출된다.
제33도, 제34a도, 제34b도는 노출모드의 선택 또는 수정동작의 서브루틴을 보여준다. 노출모드의 변경은 IPU(43)의 내부 ROM(43a) 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IPU(43)에 의해 이루어진다.
모드천이 동작은 IPU노출모드를 CPU 노출모드로 변환하기위해 이루어진다.
즉, IPU(43) 에서 사용되는 IPU 모드가 CPU(41)에서 사용되는 CPU 모드로 변환된다.
아래의 표4 는 IPU모드번호 사이의 관계를 보여준다.
모드천이 동작에서( 제33도), IPU(43)는 렌즈다이어프램 모드를 검사한다. 렌즈 다이어프램모드가 수동모드이면, CPU 모드는 렌즈수동모드로 설정되고( 즉, IPU 모드 LB(0 ~2)중 하나가 CPU 모드로서 설정된다), 제어는 복귀된다( 단계 S621 및 S623). 하이퍼-Tv 플랙 및 하이퍼-Av 플랙이 둘다 렌즈자동모드에서 클리어되면, CPU 모드는 렌즈자동모드 +8 에 일치되고 제어는 복귀된다. 하이퍼-Tv 플랙이 세트되면, CPU 모드는 8에 설정되고, 제어는 복귀된다( 단계 S621, S625, S629및 S631).
모드- 인 동작( 단계 S235)은, 노출모드/ 구동레버(29)가 MODE 측으로 이동될때, 즉 노출모드스위치(SWMODE)가 온될때, 32㎳ 타이머에 의한 단속동작동안 SW-IN 동작의 서브루틴으로서 수행된다( 단계 S224).
노출모드의 변경은 노출모드/ 구동레버(29)가 MODE 측으로 이동될때 Tv 전자식 다이얼(17)에 의해 이루어진다.
노출모드번호에 대응하는 노출모드는 위에서 언급된 표4 에 도시되어 있다.
모드- 인 동작은 제34a도 및 제34b도를 참조하면서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하이퍼-EE 및 하이퍼-ES 모드는 각자의 모드번호를 가지지 않으며 하이퍼 프로그램의 번호와 같은 노출모드번호(14)를 가진다. 하이퍼-EE 및 하이퍼-ES 모드는 Hyp-TV 및 Hyp-Av 플랙에 의해 각각 구별될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촬영렌즈는 다이어프램링에 의해 작동되는 자동/ 수동선택스위치(SWA/M) 를 가지고 있다.
자동/ 수동선택스위치(SWA/M) 이 수동측으로 이동될때, 다이어프램은 촬영렌즈측에서 설정된다. 렌즈- 수동 모드가 단계(S241)에서 검사되면, 제어는 LM 다이어프램우선(ES) 자동노출모드( 노출모드번호2), LM 하이퍼- 수동노출모드( 노출모드번호1), 및 LM 전구노출모드( 노출모드번호0)중에서 원하는 노출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단계(S242)로 진행한다.
LM 다이어프램 우선자동노출모드( 노출모드번호2)는 초기노출모드이다.
단계(S242)에서, 모드스위치(SWMODE)가 온되어있는지 여부가 검사된다.
모드스위치(SWMODE)가 온되면, Tv 전자식 다이얼(17)이 동작되는지( 즉, Tv 다이얼 변경비트가 세트되는지) 여부가 검사된다.
변경이 없으면, Tv다이얼 변경비트가 리세트되고, 제어는 그 다음에 검사 서브루틴으로 진행한다.
다이얼 변경이 있으면, 다이얼회전방향이 검사된다( 단계 S243, S244 및 S2510.
Tv전자식 다이얼(17)이 왼쪽방향( 반시계방향) 으로 회전될때, 즉, 오른쪽방향 비트가 0 이면, 노출모드는 LM 다이어프램 우선모드로부터 LM 하이퍼- 수동모드 및 LM 전구모드로 하나씩 이 순서대로 스위치된다.
Tv 다이얼 변경 비트가 리세트된후, 제어는 검사 서브루틴으로 뛴다( 단계 S241내지 S247 및 S251).
Tv전자식 다이얼(17)이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되면( 오른쪽 방향 비트가 1이다), 노출모드는 위에서 언급된 순서에 반대되는 순서로 변경된다.
Tv 다이얼 변경비트가 리세트된후, 제어는 검사 서브루틴으로 뛴다( 단계 S244, S248내지 S251).
노출모드스위치(SWMODE)가 오프되거나, 또는 Tv 전자식 다이얼(17)이 작동되지 않으면(Tv 다이얼 변경비트가 0이다), Tv 다이얼 변경비트는 노출모드를 수정함이 없이 리세트되어, 제어는 검사 서브루틴으로 뛴다( 단계 S242, S243 및 S251).
검사 서브루틴에서 NOLens 비트플랙, 하이퍼-Av 플랙, 또는 하이퍼-Tv 플랙중 하나가 세트되면, 하이퍼-Av 플랙 및 하이퍼-Tv 플랙이 리세트된후 모드표시 동작이 수행된다. 하이퍼-Av 플랙 및 하이퍼- Tv 플랙은 AE 모드를 나타낸다. 즉, 하이퍼-EE 모드 및 하이퍼-ES 모드가 AE 모드의 형식에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하이퍼-EE 모드 및 하이퍼-ES 모드는 각각 하이퍼-Av 플랙 및 하이퍼-Tv 플랙에 의해 구별될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이퍼 프로그램번호 14 및 하이퍼 Tv 플랙은 하이퍼-EE 모드에서 세트되고, 하이퍼 프로그램 번호 14 및 하이퍼 Av 플랙은 하이퍼-ES 모드에서 세트된다.
하이퍼-EE 모드 또는 하이퍼-ES 모드로부터 각각의 하이퍼 프로그램 모드로 복귀하기 위해서, 하이퍼-Av 플랙 또는 하이퍼 Tv 플랙이 리세트된다.
하이퍼-Av 플랙 및 하이퍼-Tv 플랙은 반드시 검사 서브루틴에 의해 렌즈- 수동 모드에서 리세트되고, 따라서 자동/ 수동 선택 스위치(SWA/M) 이 수동에서 자동 으로 스위치될때 또는 촬영렌즈가 카메라 몸체로부터 분리된후 다시 부착될때, 노출모드는 하이퍼- 프로그램 노출모드로 초기화 된다.
촬영렌즈가 자동- 렌즈이고, 따라서 자동/ 수동 선택스위치(SWA/M) 이 자동으로 스위치되면, 노출모드는 다음의 순서로 스위치된다:
프로그램모드 → 하이퍼- 프로그램모드 → 한계프로그램모드 → ... → LA 전구모드 → 프로그램 모드.
노출모드는 노출모드스위치(SWMODE)가 온되고 Tv 전자식 다이얼(17)이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될때 표시된다( 단계 S241, S251 내지 S257, S264).
Tv전자식 다이얼(17)이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되면, 노출모드는 위에서 언급된 순서에 반대되는 순서로 변경되고 그다음에 표시된다( 단계 S258 내지 S260 및 S264).
촬영렌즈가 자동- 렌즈이고 노출모드스위치(SWMODE)또는 Tv 전자식 다이얼(17)중 하나가 오프되면, 노출선택동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단계 S241, S251 내지 S253, S261).
클리어버튼(23)이 온되지 않으면( 즉, 클리어 스위치(SWCL)가 온되지 않으면), 최후의 노출모드가 표시된다( 단계 S261 및 S264).
클리어버튼(23)이 온되고 노출모드가 하이퍼- EE 모드 또는 하이퍼 ES 모드이면, 노출모드는 하이퍼- 프로그램모드로 초기화된다.
노출모드가 하이퍼-EE 모드도 아니고 하이퍼 ES 모드도 아니면, 현재의 노출모드가 유지된다. 즉, 노출모드가 하이퍼-EE 모드 또는 하이퍼-ES 모드일때 하이퍼-Tv 플랙 또는 하이퍼-Av 플랙이 세트되므로, 플랙은 리세트된다( 단계 S261 및 S263).
결과적으로, 촬영자가 클리어버튼(23)을 누를때, 하이퍼-EE 자동노출모드 또는 하이퍼-ES 자동노출모드는 하이퍼- 프로그램 노출모드로 복귀된다.
위에서 언급된 노출모드선택동작에서, 하이퍼-EE 또는 하이퍼-ES 자동노출모드를 직접 선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하이퍼-EE 또는 하이퍼-ES 자동노출모드의 선택은 하이퍼- 프로그램노출모드가 선택될때 전자식 다이얼(17 또는 19)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전자식다이얼(17 또는 19)가 하이퍼- 프로그램모드에서 작동될때, 하이퍼-Tv 플랙 또는 하이퍼-Av 플랙이 세트되어, 모드는 하이퍼-EE 또는 하이퍼-ES 자동노출모드로 강제적으로 변경된다.
또한, 전자식 다이얼(17 또는 19)이 하이퍼-EE 또는 하이퍼-ES 프로그램 모드에서 작동될때, 모드는 하이퍼-ES 또는 하이퍼-EE 자동노출모드로 각각 강제적으로 변경된다.
클리어버튼(23)이 온되면, 하이퍼-EE 또는 하이퍼-ES 자동노출모드는 각각의 하이퍼- 프로그램 노출모드로 강제적으로 변경될수 있다.
노출모드의 강제적 변경의 표시는 이후에서 논의될 노출모드표시동작에서 수행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렌즈- 자동모드 및 렌즈- 수동모드에서의 노출모드는 일련 번호로 지정된다.
그러나, 실제에서는 렌즈- 자동모드에서의 노출모드와 렌즈- 수동모드에서의 노출모드는 별개의 데이타로서 IPU(43)의 메모리에 기억된다.
또한, 렌즈- 자동/ 렌즈- 수동(A/M) 데이타, Hyp-Tv 플랙 및 Hyp-Av 플랙은 제36도에서 볼수있는 것처럼 IPU(43)의 메모리에 따로따로 할당된다.
노출모드는 촬영렌즈의 다이어프램링에 의해 스위치되는 자동/ 수동데이타(A/M단자) 가 자동 즉 0 일때는, 렌즈- 자동모드에 대한 3비트 및 Hyp-Tv 또는 Hyp-Av 플랙에 따라서 결정된다.
반면에, 자동/ 수동 데이타(A/M 단자) 이 수동 즉 1일때는, 노출모드는 렌즈- 수동모드에 대한 2비트에 따라서 결정된다.
자동노출모드 및 수동노출모드둘다를 포함하는 4비트의 노출 모드 데이타는 CPU(41) 로 보내진다.
IPU 와 CPU사이의 노출모드(IPU모드 및 CPU모드) 의 대응은 앞에서 나온 표4 에 도시되어 있다.
메모리 록크 동작에서 노출값(Ev)은 홀드버튼(25)이 한번 눌러지면 메모리에 록크되고 홀드버튼(25)이 두번눌러지면 록크가 해방된다.
즉, 홀드버튼(25)이 온 및 오프될때마다 노출값(Ev)의 메모리록크 및 해방이 반복된다. 예를들면, RAM(43b)내의 메모리록크 플랙 데이타내에서의 3 비트는 메모리 록크동작에서 사용된다.
제38도에서 볼수있는 것처럼, 한비트는 ML 모드플랙( 홀드 비트) 이고, 또 하나의 비트는 현재의 홀드 스위치 데이타이고, 또 하나의 비트는 이전의 홀드스위치 데이타이다. 이들 데이타 모드는 초기상태에서 클리어 된다.
단계(S236)에서의 메모리 록크동작은 다음과 같이( 제37도) 수행된다.
이 동작에서, 홀드스위치(25)가 온 및 오프될때마다, ML 모드플랙이 세트되고 리세트된다.
우선, 현재의 홀드 스위치 데이타가 이전의 홀드스위치 데이타로 이전되어, 홀드 스위치(25)의 온/ 오프상태가 현재의 홀드스위치데이타에 입력된다( 단계 S641및 S643).
즉, 홀드 스위치가 온 및 오프될때, ML 모드플랙은 각각 0 에 세트되고 1 에 리세트된다.
홀드스위치(25)는 상시 오픈 자동복귀형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마이크로 컴퓨터의 처리시간은 극히 짧으므로, 메모리록크 서브루틴은 촬영자가 홀드스위치(25)를 작동하는 동안 여러번 반복된다.
그후에, 현재 홀드 스위치 데이타의 상태가 검사된다( 단계 S645).
ML 모드플랙은 홀드스위치(25)가 오프될때 리세트되므로, 제어는 메모리 록크 표시동작으로 진행한다. 홀드스위치(25)가 온될때 ML 모드 플랙이 세트되므로, 제어는 이전 홀드 스위치 데이타를 검사하기 위해 단계(S647)로 진행한다. 홀드 스위치(25)가 온될때의 제1동작에서 또는 홀드 스위치(25)가 오프될때의 제2 및 이어지는 동작에서 ML 모드 플랙이 리세트되며, 따라서 제어는 단계(S651)로 진행한다.
홀드스위치(25)가 온될때의 제2 및 이어지는 동작에서 또는 홀드스위치(25)가 오프될때의 제1동작에서, ML 모드 플랙이 세트되며, 따라서 제어는 단계(S649)로 진행한다.
ML 모드 플랙이 세트되어 있는지 여부가 단계(S651)에서 검사된다.
ML 모드플랙이 세트되면, 플랙은 클리어된다.
플랙이 클리어되면, ML 모드 플랙은 세트된다( 단계 S655 및 S653).
ML 모드플랙이 세트될때, 현재의 노출값(Ev)가 기억되고( 록크되고) 전력유지 플랙이 5초동안 세트된다.
그후에, 제어는 ML 표시동작으로 진행한다( 단계 S655, S657 및 S659).
ML 모드 플랙이 클리어되면, 제어는 ML 표시 동작으로 직접 진행한다( 단계 S651및 S653).
단계(S649)에서, ML 모드플랙이 세트되어 있는지 여부가 검사된다.
홀드스위치(25)가 온될때, ML 모드플랙이 세트되며, 따라서 제어는 단계(S659)로 진행한다. 역으로, 홀드스위치(25)가 오프될때, ML 모드플랙이 클리어되며, 따라서 제어는 ML 표시동작으로 직접 진행한다.
ML표시동작에서, 별표되어 있는 마크표시플랙이 클리어된다.
ML 모드 플랙이 리세트되면, 제어는 복귀된다.
ML모드 플랙이 세트되면, 별표된 마크 표시블랙이 세트되고 그 다음에 제어는 복귀된다( 단계 S663 및 S665). 홀드스위치(25)가 오프될때, 현재의 ML 스위치 데이타, 이전의 ML 스위치 데이타 및 ML 모드 플랙이 모두 클리어 된다.
LCD 표시판(69)및 파인더내의 표시기 유니트(71)의 표시의 예가 제41a도 내지 제41f도, 제42a도 내지 제42f도 및 제43a도 내지 제43c도에서 각각 왼쪽 및 오른쪽에 도시되어 있다.
제41a도에서 표시정보를 구성하는 문자, 마크, 심벌 및 수자등과 같은 모든 표시소자( 액정 세그먼트) 가 도시되어 있다.
제41b도는 주스위치(SWMAIN)가 오프되었을때의 표시를 보여준다.
다른 도면은 여러가지 표시예를 보여준다.
노출모드표시동작과 표시사이의 관계는 제39a도 내지 제39d도를 참조하면서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노출모드표시동작은 IPU(43)의 ROM(43a) 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IPU(43)에 의해 수행된다.
카메라 몸체에 부착된 촬영렌즈가 자동렌즈일때 제어는 다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단계(S301)로부터 단계(S302)로 진행한다.
하이퍼- 프로그램 노출모드가 설정되고, 전자식 다이얼(17 및 19)중 어느것도 작동되지 않으면, 하이퍼 프로그램 노출모드가 제42b도에서 처럼 표시된다. 즉, 하이퍼 프로그램 노출모드를 나타내는 Hyp, 셔터속도의 초기값(1/8000 초)을 나타내는 Tv 8000, 다이어프램값의 초기값을 나타내는 Av 5.6 (= F5.6), 필름의 촬영된 프레임의 수를 나타내는 22 모두가 LCD 표시판(69)에 나타나고, 셔터속도(Tv)의 초기값 및 다이어프램값(Av)이 파인더내의 표시기 유니트(71)에 나타난다( 단계 S302 내지 S308).
IPU(43) 는 CPU(41)의 전력이 유지되고 있는한 CPU(41)에 의해 하이퍼프로그램 노출 서브루틴에서 계산된 최적셔터속도(Tv)( 전송셔터속도(TVT))및 최적 다이어프램값(Av)( 전송다이어프램값(AVT))을 판독하고 이들 데이타를 RAM(43b) 에서 소정의 어드레스에 기억시킨다( 단계 S309 및 S310).
RAM(43b)에 기억된 전송셔터속도(TVT) 및 전송 다이어프램값(AVT) 는 CPU(41)의 전력이 유지되는한 LCD 표시판(69)및 파인더내의 표시기 유니트(71)에 표시된다.
Tv 전자식 다이얼(17)이 작동될때 (즉, Tv 다이얼변경비트가 1에 설정될때), 하이퍼-Tv 플랙은 세트되고 하이퍼-Av 플랙은 리세트되어 하이퍼-EE 자동 노출모드를 작동시킨다( 단계 S303 및 S311).
그후에, 셔터속도(Tv)는 Tv 전자식 다이얼(17)의 동작에 따라서 수정되는데, 수정된 셔터속도는 RAM(43b) 에서 소정의 어드레스에 기억되며 하이퍼-EE 자동노출모드 및 설정된 셔터속도(Tv)등은 제42g도에서 보이는 것처럼 LCD 표시판(69)및 파인더 표시기 유니트(71)에 표시된다( 단계 S312 및 S313).
설정된 다이어프램값(Av)의 초기값은 하이퍼- 프로그램 노출모드 또는 하이퍼-EE 노출모드에서 계산된 값이다. 제42g도에서 LCD표시판에서, 심벌 Tv 를 둘러싸고 있는 4분의 3원 및 심벌Tv위에 위치된 2개의 검은색 화살표와 파인더 표시기 유니트(71)에서 수자400 아래의 밑줄친 선은 Tv 전자식 다이얼(17)의 회전에 의한 셔터속도(Tv)수정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을 유의한다.
CPU(41) 의 전력이 유지되는 동안, IPU(43) 는 하이퍼-EE 자동노출서브루틴에서 계산된 최적 다이어프램값(Av)(AVD) 에 대응하는 데이타(AVT) 를 판독하고( 또는 수신하고), 그 데이타를 LCD 표시판(69)등에 표시함과 동시에 RAM(43b)에 기억시킨다( 단계 S314 및 S315).
Av 전자식 다이얼(19)이 작동될때 (즉, Av다이얼 변경 비트가 1일때), 하이퍼-Av 플랙은 세트되고 하이퍼-Tv 플랙은 리세트되어 하이퍼-ES 자동노출모드를 작동시킨다( 단계 S304 및 S316).
다이어프램값(Av)은 Av 전자식 다이얼(19)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변화되어, 수정된 다이어프램값(Av)은 RAM(43b) 에 기억된다.
하이퍼-ES 자동노출모드 및 수정된 다이어프램값(Av)는 제42h도에서 보이는 것처럼 LCD 표시판(69)및 파인더 표시기 유니트(71)에 표시된다( 단계 S317 및 S318).
설정된 다이어프램값(Av)의 초기값은 하이퍼- 프로그램노출모드 또는 하이퍼-EE 노출 모드에서 계산된 값이다.
제42h도에서, LCD 표시판에서 심벌 Av 를 둘러싸고 있는 4분의 3원 및 심벌 Av아래 위치된 2개의 검은색 화살표와 파인더 표시기 유니트(71)에서 수자 8.0 아래의 밑줄친선은 Av 전자식 다이얼(19)의 회전에 의한 다이어프램값(Av)수정의 가능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유의한다.
IPU(43) 는 CPU(41)의 전력이 유지되는한 하이퍼-ES 자동노출서브루틴에서 계산된 최적셔터속도(Tv)(TVD) 에 대응하는 데이타(TVT) 를 판독하고 데이타를 RAM(43b) 에 기억시킨다. 기억된 데이타는 LCD 표시판(69)및 파인더 표시기 유니트(71)에 표시된다( 단계 S319 및 S320).
하이퍼-EE 또는 ES 자동노출모드가 선택될때( 즉, 하이퍼-Tv 또는 하이퍼-Av 플랙이 이미 세트되었을때), IPU(43)는 전자식 다이얼(17 또는 19)중 어느것도 작동되지 않더라도, 하이퍼-ES 또는 하이퍼-EE 자동노출 서브루틴에서 CPU(41)에 의해 계산된 최적전송셔터속도(TVT) 및 최적전송 다이어프램값(AVT) 를 RAM(43b)에 기억시키고, 동일한 것을 LCD표시판(69)등에 표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PU(43) 는 다이어프램값(Av) 또는 셔터속도(Tv)의 수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단계 S303 내지 S305,S313 내지 S315 또는 S303 내지 S306, S319 내지 S320).
이와같이, 촬영자는 하이퍼- 프로그램 노출모드를 하이퍼-EE 자동노출모드로 스위치하고 셔터속도(Tv)를 선택하기 위해 Tv 전자식 다이얼(17)을 회전시킬수 있다. 유사하게, 촬영자가 Av 전자식 다이얼(19)을 회전시킴으로써 하이퍼-프로그램 노출모드를 하이퍼-ES 자동노출모드로 스위치하고 다이어프램값(Av)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노출모드를 스위칭하면, 이전의 노출모드에서 계산된 최적셔터속도 또는 최적다이어프램값은 새로 선택된 노출모드에서 설정될 수 있는 노출인자( 즉, 셔터속도 또는 다이어프램값) 의 초기값이 된다.
새로 선택된 노출모드에서 설정되는 노출인자의 초기값은 전자식 다이얼(17 또는 19)의 다음번 동작에 의해 다시 변경될수 있다.
또 다르게는, 노출모드가 변경될때 노출인자가 수정되는 제어시스템을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논의로부터 이해할수 있는 것처럼, 클리어버튼(23)이 온될때 모드는 하이퍼-EE 자동노출모드 또는 하이퍼-ES 자동노출모드로부터 하이퍼 프로그램 노출모드로 스위치될수 있다.
하이퍼-EE 자동노출모드로부터 하이퍼-ES 자동노출모드로의 변경 및 그 역은 각각 Av 전자식 다이얼(19)및 Tv 전자식 다이얼(17)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질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이퍼- 프로그램 노출모드가 선택될때, 제10도에서 실선, 점선 및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다이어그램은 클리어버튼(23) 및 전자식 다이얼(17 및 19)을 각각 작동함으로써 용이하게 얻어질수 있다.
제33도 및 제34도를 참조하여 위에서 언급된 것처럼, 하이퍼 Tv 및 Av 플랙은 클리어 버튼(23)이 온되거나( 단계 S261 내지 S263), 하이퍼- 프로그램 노출모드가 선택되거나, 주스위치(SWMAIN)가 오프되거나, 또는 촬영렌즈가 카메라 몸체로부터 분리될때 해방된다. 주스위치(SWMAIN)가 온될때 또는 촬영렌즈가 부착될때, 모드는 초기모드 즉 하이퍼- 프로그램 자동노출모드로 복귀된다.
보통 프로그램 노출모드가 선택될때, 프로그램 노출모드를 나타내는 P가 LCD 표시판(69)에 표시된다( 단계 S301, S302, S321 내지 S323).
또한, CPU(41) 의 전력유지가 이루어질때, IPU(43) 는 프로그램노출 서브루틴에서 계산된 최적셔터속도(Tv)및 최적다이어프램값(Av)에 대응하는 통신데이타(TVT, AVT)를 판독하고 데이타를 RAM(43b) 에 기억시킨다.
데이타는 제42a도에서 보이는 것처럼 LCD 표시판(69)등에 표시된다( 단계 S324 및 S325).
한계 프로그램 노출모드에서, 촬영자는 전자식 다이얼(17 및 19)및 홀드스위치(25)를 작동함으로써 둘다 프로그램 다이어그램에 따라서 변화하는 셔터속도의 상한 및 하한을 수정할수 있다.
한계 프로그램노출모드의 선택은 제41c도에서 보이는 것처럼 심벌 Av 및 Tv 를 둘러싸는 4분의 3원을 발광하여 표시된다( 단계 S461 및 S462).
클리어 스위치(SWCL)가 온될때, 셔터속도의 하한 및 상한(TV1 및 TV2) 과 다이어프램값의 하한 및 상한(AV1및 AV2) 가 초기화된다( 단계 S463-1, S463-2). 도시된 실시예에서, 한계 프로그램노출모드에서의 셔터속도한계 및 다이어프램값 한계의 초기값은 다음과 같다.
즉, TV1 = TVMIN = 30(초); TV2 = TVMAX = 1/8000(초); AV1 = AVMIN; AV2 = AVMAX. 이들 초기값은 전지가 충전된후 한계 프로그램 노출모드가 처음으로 선택될때 설정된다. 클리어 스위치(SWCL)가 오프되면, 제어는 셔터속도한계(TV1 및 TV2)와 다이어프램값 한계(AV1 및 AV2) 를 초기화함이 없이 광도측정스위치(SWS) 를 검사하기 위해 단계(S464)로 진행한다.
즉, 다음의 과정에 따라서 촬영자에 의해 설정되는 한계는 클리어버튼(23)( 클리어 스위치(SWCL)) 가 온될때 초기화된다.
광도측정 스위치(SWS) 가 온될때 또는 광도측정스위치(SWS) 가 오프되어있더라도 전력이 유지될때는 제어는 단계(S485)로 진행한다( 단계 S464, S465-1).
광도측정스위치(SWS) 가 오프되고 CPU(41)의 전력이 유지될때, 한계값이 수정되고, 제어는 그 다음에 단계(S485)로 진행한다( 단계 S465-1, S465-2, S466 내지 S486). 단계(S485)에서, CPU(41) 의 전력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가 검사된다. 전력이 유지되면, CPU(41) 는 한계 프로그램노출모드에서 계산된 최적 다이어프램값(Av)및 최적 셔터속도(Tv)를 판독하고 데이타를 RAM(43b) 에 기억시킨다. 데이타는 LCD 표시판(69)등에 표시된다.
그후에 제어는 복귀된다.
전력이 유지되지 않으면, 제어는 직접 복귀된다( 단계 S486).
한계값의 변경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단계 S465-2 및 뒤따르는 단계).
Tv전자식 다이얼(17)이 작동될때, 셔터속도(Tv)의 한계는 Tv 전자식 다이얼(17)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증가되거나 감소된다.
한계는 RAM(43b) 에 기억되고 표시된다( 단계 S465-2, S466).
홀드버튼(25)이 온될때, 셔터속도의 상한 및 하한(TV1및 TV2) 이 설정된다. 즉, 홀드버튼(25)이 처음으로 또는 기수회수만큼 온될때, ML 모드플랙이 세트되므로, 설정된 Tv 데이타가 하한(TV1) 으로 수정되고( 단계 S467 내지 S470), 홀드버튼(25)이 2번째로 또는 우수회수만큼 온될때, 설정된 Tv 데이타는 상한(TV2) 로 수정되고, 제어는 단계(S485)로 진행한다( 단계 S467, S468, S469, S472). 홀드버튼(25)이 온되지 않으면, 셔터속도의 변경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단계 S467, S485).
한편, Av 전자식 다이얼(19)가 온되면, 다이어프램값의 한계는 셔터속도(Tv)와 한계와 동시에 변경된다.
즉, 다이어프램값은 Av 전자식 다이얼(19)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증가되거나 감소된다.
다이어프램값은 최종적으로 RAM(43b) 에 기억되며 LCD표시판(69)등에 표시된다( 단계 S475, S476).
홀드버튼이 처음으로 또는 기수회수만큼 온되면, ML 모드플랙이 1에 설정되므로, 설정된 Av 데이타는 하한(AV1) 으로 수정되고, 홀드버튼(25)이 두번째로 또는 우수회수만큼 온 될때는(M1 모드플랙이 0 이다), 설정된 Av 데이타는 상한(AV2) 으로 수정되고, 제어는 단계(S486)로 진행한다( 단계 S478, S479, S482).
셔터속도 및 다이어프램값의 한계(TV1 및 TV2 그리고 AV1및 AV2) 의 변경이 완료되면, CPU(41) 는 CPU(41)의 전력이 유지되는한 한계 프로그램 노출모드에서 계산된 최적셔터속도(Tv)및 다이어프램값(Av)을 판독하고 데이타를 RAM(43b) 에 기억시킨다( 단계 S485, S486). 기억된 데이타는 LCD 표시판(69)및 파인더내의 표시기에 표시된다.
앞에서 설명된 것으로부터 이해할수있는것처럼, 한계 프로그램노출모드에서, 촬영자에 의해 설정된 셔터속도 및 다이어프램값은 홀드스위치(25)가 온될때 상한 또는 하한 셔터속도한계 및 상한 또는 하한 다이어프램 한계로 변경된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전자식다이얼(17 또는 19)이 작동될때마다 셔터속도한계 또는 다이어프램 한계를 변경하기 위해서, 단계(S467 및 S477) 에서의 동작을 뛰어넘는것이 가능하다.
보디- 세트 다이어프램우선(ES)자동노출모드( 렌즈자동 ES 자동노출모드) 가 선택될때, LCD 표시판(69)및 파인더내의 표시기 유니트(71)는 제42d도에서 보이는 것처럼 표시된다 (단계 S301, S302, S321, S461, S331 내지 S333).
Av전자식 다이얼(19)이 회전될때, 다이어프램값(Av)은 회전방향에 따라서 증가되거나 감소되며, 설정된 다이어프램값(Av)으로서 RAM(43b)에 기억되며, LCD 표시판(69)등에 표시된다. CPU(41) 의 전력이 유지될때, IPU(43) 는 다이어프램 우선 자동노출모드에서 계산된 다이어프램값(AVT) 을 LA 다이어프램 우선 자동 노출 서브루틴에서 계산되는 최적 셔터 속도(Tv)를 판독하는 CPU(41)로 출력하고, 데이타를 RAM(43b)에 기억시키고 동일한것을 LCD 표시판(69) 등에 표시한다 (단계 S334 내지 S338).
셔터속도우선(EE)자동노출모드가 선택될때, LCD표시판(6)및 파인더내의 표시기 유니트(71)의 표시는 제42c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데, 셔터속도(Tv)의 초기값(1/8000 초) 이 나타난다 (단계 S301, S302, S321, S331, S341 내지 S343).
Tv 전자식 다이얼(17)이 회전될때, 셔터속도(Tv)는 회전방향에 따라서 증가되거나 감소되고, 설정된 셔터속도(Tv)로서 RAM(43b)에 기억되고, LCD표시판(69) 등에 표시된다. CPU(41) 의 전력이 유지될때, IPU(43) 는 셔터속도우선 자동노출모드에서 계산된 셔터속도(TVT) 를 EE 자동 노출 서브루틴에서 계산된 최적전송 다이어프램값(AVT) 를 판독하는 CPU(41) 로 출력하고, 데이타를 RAM(43b)에 기억시키고, 동일한것을 제42c도에 도시된것처럼 LCD 표시판(69) 등에 각각 표시한다 (단계 S344 내지 S348).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이퍼- 수동노출모드에서, 프로그램 노출모드, EE 자동노출모드 또는 ES자동노출모드에서의 셔터속도(Tv) 및/ 또는 다이어프램값(Av)의 계산과 동등한 기능은 클리어버튼(23)을 작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보디- 세트 하이퍼- 수동 노출모드가 선택될때, LCD표시판(69)등의 표시는 제42e도에 도시된 것과 같다( 단계 S301, S302, S321, S461, S331, S341, S379 내지 S351).
Ev 검사 서브루틴이 수행될때, 전자식 다이얼(17 및 19) 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셔터속도(Tv)및 다이어프램값(Av)은 RAM(43b)에 설정되고 LCD 표시판(69)등에 각각 표시된다 (단계 S352).
CPU(41) 의 전력이 유지되면, 수동노출모드에서 선택되는 셔터속도(TVT) 및 다이어프램값(AVT) 는 보디- 세트 수동 노출 서브루틴에서 계산된 특별한 점 LED 비트를 판독하고 동일한것을 RAM(43b)에 기억시키고 노출표시소자(71a 및 71b)의 발광을 제어하는 CPU(41) 에 출력된다( 단계 S353 내지 S360).
보디- 세트 전구노출모드가 선택될때, LCD표시판(69)등의 표시는 제42f도에 도시된 것과 같다 (단계 S301, S302, S321, S461, S331, S341, S349, S361, S362). Av전자식 다이얼(19)이 회전될때, 다이어프램값(Av)은 Av전자식 다이얼(19)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증가되거나 감소되고, RAM(43b)에 기억되고, LCD표시판(69) 및 표시기 유니트(71)에 표시된다 (단계 S363 내지 S365).
위에서 언급된 보디- 세트 셔터 우선 노출 모드, 다이어프램 우선노출모드, 수동노출모드 및 전구노출모드에서, 촬영자는 전자식 다이얼(17 및 19) 을 작동함으로써 셔터속도(Tv)및 다이어프램값(Av)을 설정할수있다.
이 경우에, 4 분의 3원, 화살표, 문자 Tv 및 Av 가 LCD 표시판(69)에 나타난다. 또한, 셔터속도(Tv) 또는 다이어프램값(Av)은 위에서 언급된 것처럼 밑줄이 그어진다. 따라서, 셔터속도(Tv)및 다이어프램값(Av)이 전자식 다이얼(17 및 19)를 각각 작동함으로써 수동으로 설정될수있다는 것을 촬영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준다.
또한, 홀드버튼(25)이 온될때, 표시소자(71C) 의 별표 마크가 파인더내의 표시기 유니트(71)에서 발광되고, 따라서 메모리가 록크되어 있다는것을 촬영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준다.
다이어프램값이 촬영렌즈측에서 설정되는 렌즈- 수동 모드에서 노출모드의 표시는 다음과 같이 IPU(43) 에 의해 이루어진다:
LM 하이퍼- 수동 노출 모드의 선택은 제43a도에 도시된 것처럼 LCD 표시판(69)등에 표시된다 (단계 S301, S371 내지 S373).
Tv전자식 다이얼(17)이 회전될때, 회전방향에 따라서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셔터속도(Tv)는 설정된 셔터속도(Tv)로서 RAM(43b)에 기억되고 LCD 표시판(69) 및 파인더내의 표시기 유니트(71)에 표시된다 (단계 S374 내지 S376).
또한, CPU(41) 의 전력이 유지될때, 수동노출모드에서 선택되는 셔터속도(TVT) 및 다이어프램값(AVT) 은, LA수동노출 서브루틴에서 설정되는 노출 표시 비트를 판독하고 데이타를 RAM(43b)에 기억시키고 표시소자(71a 및 71b)의 발광을 제어하는 CPU(41) 로 출력된다 (단계 S377 및 S378).
제43(a)도의 (a),(b) 및 (c)는 최적노출, 과도노출 및 부족노출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렌즈- 수동 다이어프램 우선(ES)자동노출모드는 제43b도에 도시된것처럼 LCD 표시판(69)에 표시된다 (단계 S301, S381 내지 S383).
CPU(41) 의 전력이 유지되면, CPU(41) 는 렌즈- 수동 ES 자동노출 서브루틴에서 계산된 셔터속도(TVT) 를 판독하고 데이타를 RAM(43b)에 기억시킨다.
데이타는 LCD 표시판(69)등에 표시되며, 제어는 복귀된다 (단계 S384, S385).
렌즈- 세트 전구노출모드가 선택될때, 셔터속도(Tv)는 제43c도에 도시된 것처럼 LCD 표시판(69)에 표시된 B(전구) 에 설정된다 (단계 S301, S371, S381, S391, S392).
Ev 검사 동작에서, 홀드스위치(25)가 온될때, 그때의 최적 노출값은 록크되고, 전자식 다이얼(17 또는 19) 이 그후에 작동되면, 연관된 노출인자( 셔터속도 또는 다이어프램값) 는 전자식 다이얼(17 또는 19) 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증가되거나 감소되고, 다른 노출인자 (다이어프램값 또는 셔터속도) 는 록크된 노출값을 유지하기위해 각각 감소되거나 증가된다.
단계(S352)에서의 Ev검사서브루틴에서, 홀드버튼(25)이 온되어 있을때 전자식 다이얼(17 및 19) 이 1 스텝씩 회전될때마다, 1/2 Tv 및 1/2 Av만큼씩의 셔터속도(Tv)및 다이어프램값(Av)의 증가 또는 감소가 각각 일어난다.
Ev 검사 서브루틴은 제40도를 참조하면서 하기에서 논의될것이다.
IPU(43)의 RAM(43b)은 홀드 버튼(25)의 스위칭 동작에 대응하는 홀드비트를 가지고있다. 홀드 비트가 0 이면, 즉, 홀드버튼(25)이 온되지 않으면, 이미 설정된 셔터속도(Tv)및 다이어프램값(Av)는 수정되지 않는다 (단계 S421, S437). 역으로, 홀드비트가 1이면, 즉, 홀드버튼(25)이 온되면, 다음동작이 수행된다.
Tv 전자식 다이얼(17)이 1 스텝 또는 그이상 왼쪽방향 (반시계방향) 으로 회전되면 (즉 Tv 변경 비트가 0이다) 셔터속도(Tv)가 -5(Tv= -5 내지 30 초)가 될때까지 또는 다이어프램값(Av)이 최대 다이어프램값(AVMAX) 이 될때까지 셔터속도(Tv)는 1/2 Tv 만큼씩 감소되고 다이어프램값(Av)은 1/2 Av만큼씩 증가된다( 단계 S422 내지 S427). Av 전자식 다이얼(19)이 오른쪽 방향( 시계방향) 으로 회전되면, 상기와같은 동작이 수행된다 (단계 S422, S428, S429, S424 내지 S427).
Tv 전자식 다이얼(17)이 오른쪽 방향 (시계방향) 으로 회전되면, 셔터속도(Tv)가 13(Tv=13내지 1/8000초) 이 될때까지 또는 다이어프램값(Av)이 최소 다이어프램값(AVMIN) 이 될때까지 셔터속도(Tv)는 1/2 Tv 만큼씩 증가되고 다이어프램값(Av)은 1/2 Av만큼씩 감소된다( 단계 S422, S423, S430 내지 S433).
Av전자식 다이얼(19)이 왼쪽방향 (반시계 방향) 으로 회전되면, 상기와 같은 동작이 수행된다 (단계 S422, S428 내지 S433).
증가되거나 감소된 셔터속도(Tv)및 다이어프램값(Av)은 RAM(43b)에 기억되고 Tv, Av 변경비트는 리세트된다( 단계 S434 내지 S437).
이와같이, 셔터속도(Tv)및 다이어프램값(Av)은 둘다, 최적 셔터속도 및 다이어프램값이 수동으로 설정된후 홀드 버튼(25)이 온될때, 노출값(Ev)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전자식 다이얼(17 또는 19) 중 하나를 작동함으로써 동시에 조절될 수 있다. 예를들어, 최적 셔터 속도(Tv)및 다이어프램값(Av)이 하이퍼 수동 모드에서 각각 1/125 초 및 F8.0이라는 가정하에서, 홀드 버튼(25)이 온되면, 메모리는 록크된다. 그후에, 예를들어 Tv전자식 다이얼(17)이 2 스텝만큼 회전되면, 셔터속도(Tv)및 다이어프램값(Av)은 노출을 최적값에 유지하면서 각각 1/60초 및 F11 로 변경될수있다.
비교를 위해서, Tv전자식 다이얼(Tv)이 보통 하이퍼- 수동노출모드에서 작동되면, 단지 셔터속도만이 변경되어, 노출값의 변화로 결과된다.
이 모드는 홀드버튼이 다시 작동될때 취소될것이다.
제2노출모드표시동작은 전자식 다이얼(17 또는 19)이 하이퍼- 프로그램 노출모드에서 2 스텝이상 회전될때에만 노출모드가 변경될수 있다는 점에서 제1노출모드 표시동작과 다르다.
렌즈- 자동 하이퍼 프로그램 모드에서 전자식 다이얼(17 또는 19) 중 어느것도 동작되지 않고 하이퍼- Tv및 하이퍼-Av 플랙이 둘다 0일때 (즉, 하이퍼- 프로그램 노출모드가 선택될때) LCD 표시판(69)및 파인더내의 표시기 유니트(71)에서의 표시는 제42b도에 보이는 것과 같다( 단계 S501 내지 S508).
CPU(41) 에 의해 계산된 전송 셔터 속도(TVT) 및 전송 다이어프램값(AVT) 은 CPU(41) 의 전력이 유지되는한 RAM(43b)에 기억된다 (단계 S509, S510).
하이퍼-EE 자동노출모드가 선택될때, 하이퍼-TV 플랙이 세트되므로, 제어는 단계(S505)로 부터 단계(S514)로 진행한다.
그후에, 단계(S514 내지 S518) 에서는, 단계(S311 내지 S315) 의 동작과 유사한 동작이 이루어진다. 반면에, 하이퍼 ES 자동노출모드가 선택되면, 하이퍼-Av 플랙이 세트되므로, 제어는 단계(S506)로 부터 단계(S524)로 진행한다. 그후에, 단계(S524 내지 S528) 에서는, 단계(S316 내지 S320) 의 동작과 유사한 동작이 이루어진다.
Tv 전자식 다이얼(17)는 Av 전자식 다이얼(19)이 회전될때, 즉, Tv 변경비트 또는 Av 변경비트가 1 일때, Tv 다이얼 또는 Av 다이얼 검사서브루틴에서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이해할수있는 것처럼, Tv다이얼 또는 Av다이얼 검사 서브루틴에서, 노출모드는 Tv 또는 Av 전자식 다이얼(17 또는 19)이 같은 방향으로 2 이상의 스텝만큼 회전될때만 변경된다.
Tv 또는 Av 전자식 다이얼(17 또는 19) 이 소정의 방향으로 1 스텝만큼 회전될때, 또는 Tv 또는 Av 전자식 다이얼(17 또는 19)이 그후에 반대방향으로 1 스텝만큼 회전될때, 제어는 단계(S505)로 진행한다 (단계 S503, S511, S505 또는 단계 S503, S521, S505).
Tv 전자식 다이얼(17)이 같은 방향으로 2 스텝만큼 회전될때, 제어는 단계(S511)로부터 단계(S512)로 진행하는데, 단계(S512)에서는 하이퍼-Tv 플랙이 0이면, 하이퍼-EE 자동노출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므로, Tv 다이얼변경플랙은 모드가 하이퍼-EE 자동노출모드로 변경되게하고 셔터속도(Tv)가 변경되는것을 방지하기위해 리세트된다. 그후에, 제어는 단계(S514)로 진행한다( 단계 S512, S513 및 S514). 하이퍼-Tv 플랙이 1이면, 하이퍼-EE 자동 노출 모드가 선택되므로, 제어는 셔터속도(Tv)가 조절될수있는 단계(S514)로 직접 진행한다( 단계 S512, S514).
반면에, Av전자식 다이얼(17)이 같은 방향으로 2 스텝만큼 회전될때, 제어는 단계(S521)로 부터 단계(S522)로 진행하는데, 단계(S522)에서 하이퍼-Av 플랙이 0 이면, 하이퍼-ES 자동노출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므로, Av 다이얼 변경플랙은 모드가 하이퍼-ES 자동노출모드로 변경되게 하고 다이어프램값(Av)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리세트된다. 그후에, 제어는 단계(S524)로 진행한다( 단계 S521, S522, S523, S524). 하이퍼-Av 플랙이 1이면, 하이퍼-ES 자동노출모드가 선택되므로, 제어는 다이어프램값(Av)이 조절될수있는 단계(S524)로 직접 진행한다 (단계 S521, S522, S524).
Tv, Av 다이얼 검사 서브루틴은 제45도 및 제46도에서 단계(S511 및 S521)를 참조하면서 하기에서 설명될것이다.
Tv 다이얼 검사 서브루틴에서, Tv 더미플랙이 1 인지 여부가 단계(S551)에서 검사된다. Tv 더미플랙은 초기에 세트되지 않으므로, Tv 더미플랙이 세트되고 이전의 Tv 다이얼 방향플랙은 현재의 Tv 다이얼방향 플랙으로 대치되고 제어는 그다음에 단계(S505)로 복귀된다( 단계 S552).
서브루틴을 통해 두번째로, Tv 전자식 다이얼(17)의 회전방향이 첫번째 회전방향과 같으면, 현재의 Tv 다이얼방향 플랙이 이전의 Tv 다이얼 방향플랙과 동일하므로 Tv 다이얼 더미 플랙은 세트되고 Av 다이얼 더미플랙은 리세트된다 (단계 S553, S555). 그후에, 제어는 단계(S512)로 진행한다.
역으로, Tv전자식 다이얼(17)의 두번째 회전방향이 첫번째 회전방향과 다르면, 이전의 Tv 다이얼방향 플랙이 현재의 플랙과 다르므로, Tv 다이얼 더미플랙은 리세트되고 이전의 Tv 다이얼 방향 플랙은 현재의 다이얼 방향 플랙으로 대치된다 (단계 S551, S553, S554).
그후에, 제어는 단계(S505)로 진행한다.
Av다이얼 검사 서브루틴에서, Av 더미 플랙이 1 인지 여부가 단계(S561)에서 검사된다. Av 더미 플랙은 초기에 세트되지않으므로, Av더미플랙이 세트되고 이전의 Av 다이얼 방향 플랙은 현재의 Av다이얼 방향 플랙으로 대치되며, 제어는 그다음에 단계(S505)로 복귀된다 (단계 S562).
서브루틴을 통해서 2 번째로, Av전자식 다이얼(19)의 회전방향이 첫번째 회전방향과 같으면, 현재의 Av 다이얼 방향 플랙이 이전의 Av 다이얼방향 플랙과 동일하다는 사실로 인하여 Av 다이얼 더미 플랙은 세트되고 Tv 다이얼 더미플랙은 리세트된다( 단계 S563, S565).
그후에, 제어는 단계(S524)로 진행한다.
역으로, Av전자식 다이얼(19)의 두번째 회전방향이 첫번째 회전방향과 다르면, 이전의 Av다이얼 방향 플랙은 현재의 플랙과 다르므로, Av 다이얼더미플랙은 리세트되고 이전의 Av 다이얼 방향 플랙은 현재의 다이얼 방향 플랙으로 대치된다 (단계 S561, S563, S564).
그후에, 제어는 단계(S505)로 진행한다.
상기 논의로 부터 이해할수 있는 것처럼, 두번째 표시 서브루틴에 따라서, 전자식 다이얼(17 또는 19) 이 2 스텝이상 회전되지 않는한, 노출모드에서 변경이 없으므로, 전자식 다이얼(17 또는 19) 이 우발적으로 또는 실수로 회전되더라도, 모드는 변경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자식 다이얼(17 또는 19) 이 극히 짧은 시간내에 2 번 연속적으로 회전되면 모드변경이 일어나지 않는 제어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의 논지는 실시예로 방향지워질 것인데, 여기서 노출치(EV)는 제47도 내지 제51도를 참조로 렌즈수동( 렌즈설정) 수동노출모드로 고정될수 있다.
제47도는 본발명에 따른 노출제어장치를 갖는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제47도에서, 카메라몸체(111) 는 손잡이 부위를 갖는다.
셔터버튼(113) 은 손잡이 부위의 상면의 정면부위에 자리잡고 있다.
Tv전자식 다이얼(114) 및 Av 전자식 다이얼(115) 은, 각각 셔터버튼(113) 의 뒤쪽 및 손잡이 부위의 후면의 상측 부위에 자리잡고 있다.
Tv 전자식 다이얼(114) 및 Av 전자식다이얼(115) 모두 시계방향 및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전식 다이얼의 형태이다.
Tv 전자식 다이얼 및 Av 전자식 다이얼이 회전할때, 셔터속도 및 다이어프램값은 각각 변화될수 있다.
Av 전자식 다이얼(115) 에 의한 다이어프램값의 조정은 촬영렌즈(116) 에 자리잡은 다이어프램링(117) 이 A로 표시된 자동위치(AUTO)로 조정되었을때 이행된다. 다이어프램링(117) 이 AUTO 위치이외의 위치로, 즉 수동노출제어모드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정될때, 다이어프램값의 조정은 다이어프램링(117) 의 회전에 의해 이행된다. 다이어프램링(117) 은 회전하지 않도록 AUTO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고정상태는 해제버튼(119) 를 누름으로써 풀릴수 있다.
소거버튼(121) 은, Av 전자식 다이얼(115) 의 주위 카메라 몸체(111) 의 후면 상측 부위에 자리잡고 있다. 정지버튼(122) 은 카메라 몸체(111) 의 후면상의 파인더(118) 에 대하여 소거버튼(121) 반대측에 자리잡고 있다.
서로 반대방향에서 중앙, 중립위치로부터 모두 활송가능한, 활송가능노출수정/ISO 레버(123) 및 활송가능노출모드/ 구동레버(124) 는, 카메라몸체(111) 의 상면 및 파인더(118) 의 좌측상에 자리잡고 있다.
주 스위치(125) 는 카메라 몸체(111) 의 상면 및 파인더(118) 의 우측상에 자리잡고서 3상이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활송 가능하게 조정될수 있다.
제48도는 본발명에 따른 카메라 시스템의 제어장치의 회로도표를 보여준다.
노출측정회로는 다이어프램볼륨(143) 이 접속된 A/D 컨버터(142) 를 통해서 CPU(131) 로 연결되어 있다.
촬영렌즈(116) 의 다이어프램링(117)(제47도) 와 연결된 다이어프램볼륨(143) 은 다이어프램링(117) 의 다이어프램값을 나타내고 그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다이어프램 전압을 출력한다. 다이어프램 전압은, A/D 컨버터(142) 에 의해 다이어프램값(Av)에 대응하는 디지탈값으로 전환된다.
그 디지탈값은 CPU(131)로 출력한다. CPU(131)는 소정시간에서 A/D 컨버터(142)를 작동시키고, 촬영렌즈(116) 에 설정된 피사체 휘도 신호 및 다이어프램볼륨신호를 판독하고, 및 신호를 대응 APEX 치로 전환시킨다.
감기모터(144) 는 필름을 감김 및 되감기하고, 반사경 모터(145) 는 반사경을 올렸다 내렸다 한다.
상기 모터(144및 145) 의 동작은 모터구동회로(146) 를 통해 CPU(131) 에 의해 제어된다.
IPU(132)는 촬영렌즈(116) 의 CPU 또는 RAM에 접속된다.
IPU(132)는 촬영렌즈(116) 와 통신하고, 개방 F수(Fmin, 최대 F수(Fmax), 촛점거리(F), 기타등과 같은 렌즈데이타를 판독한다.
촬영렌즈(116) 는 다이어프램링(177) 과 연결하여 수동다이어프램모드를 자동다이어프램모드로 바꾸고 이와반대로 자동다이어프램모드를 수동다이어프램모드로 바꾸기 위해 이행되는 렌즈- 자동/ 렌즈 수동 선택스위치(151) 를 갖는다.
렌즈- 자동/ 렌즈- 수동선택스위치(151) 는 IPU(132) 에 접속된다.
IPU(132)는 렌즈- 자동/ 렌즈- 수동 선택스위치(151) 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따라 수동다이어프램모드 또는 자동다이어프램모드의 존재를 결정한다.
렌즈- 자동모드 는 자동다이어프램모드를 의미하는것과 관련되는데, 여기서 다이어프램값은 카메라몸체측 상에 설정된다.
즉 다이어프램값이 카메라 몸체에 설정된 소정치가 될때까지 조리값의 조임이 계속된다.
렌즈- 수동모드 는 수동다이어프램모드를 의미하는 것과 관련되는데, 여기서 다이어프램값은 촬영렌즈(116) 상의 다이어프램링(117) 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된다.
IPU(132)의 입력포트는, 주 스위치(SWMAIN), 노출측정스위치(SWS), 릴리즈스위치(SWR), 노출모드스위치(SWMODE), 구동스위치(SWDRIVE), 노출수정스위치(SWEP), ISO 감도설정스위치(SWISO), 소거스위치(SWCL)및 정지스위치(SWHOLD)에 각각 접속된다. IPU(132)의 기능 및 이들 스위치로의 접속은 근본적으로 전기한 실시예의 것들과 동일한 것이다.
주 스위치(SWMAIN)는 주 스위치(125) 에 연결되어 있다.
노출측정스위치(SWS) 및 릴리즈 스위치(SWR) 는 셔터버튼(113) 과 연결되어 있다. 노출측정스위치(SWS) 는 셔터버튼(113) 이 반 단계에 의해 눌려졌을때 ON 된다. 릴리즈스위치(SWR) 는 셔터버튼(15)이 전단계에 의해 눌려졌을때 ON 된다.
노출모드스위치(SWMODE)및 구동스위치(SWDRIVE) 는 노출모드/ 구동레버(124) 에 연결되어 있다.
노출수정스위치(SWEF) 및 ISO 감도설정스위치(SWISO) 는 노출수정/ISO 레버(123)에 연결되어 있다.
모두 정상적으로 열리는 소거스위치(SWCL)및 정지스위치(SWHOLD)는, 각각 소거버튼(121) 및 정지버튼(122) 과 연결되어 있다.
Tv 전자식 다이얼(114) 및 Av 전자식 다이얼(115) 은 IPU(132) 에 접속된다. Tv 및 Av 전자식 다이얼(114및 115) 각각은 그 자체로서 공지된 클릭- 스톱 회전메카니즘을 갖는다.
예컨대, 한쌍의 입력포트(PA0및 PA1) 는 클릭- 스톱 위치에서 부유상태에 있고, Tv 전자식 다이얼(114) 이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때, 입력포트중 하나의 레벨이 먼저 L 로 떨어지고 그다음 나머지 레벨이 L로 떨어진다. 이후에, 그 나머지에 우선인 레벨 L 로 떨어지는 입력포트의 레벨은 그 나머지 이전 부유상태로 복귀한다.
입력포트(PA0 및 PA1) 의 레벨의 변화순서가 Tv 전자식 다이얼의 회전에 의거하기 때문에, IPU(132)는 바뀌는 순서를 근거로 회전의 방향을 식별할수 있다. 이와 동일한 사항이 Av 전자식 다이얼(115) 에 대해서도 사실이다.
IPU(132)는, 노출모드, 셔터속도 Tv, 다이어프램값(Av), 촬영된 필름의 프레임수, 기타등과 같이, 다양한 사진정보를 나타내도록 IPU(132) 에 의해 제어되는 LCD 판넬(152) 과 접속되어 있다.
제47도에 도시된 실시예1 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49도 내지 제51도).
제49도는 주 프로그램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S601)에서, 자동노출(AE)상의 초기화가 이행된다.
즉, 노출제어의 계산을 위해 필요한 데이타가 IPU(132) 의 E PROM 으로부터 독출된다. 제어는 릴리즈 스위치(SWR) 가 소정시간에서 시작하는 4㎳ 의 간격동안 ON 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사하기 위해 단계(S602)로부터 단계(S603)로 진행한다.
만약 릴리즈 스위치(SWR) 가 ON 되었다면 릴리징이 단계(S604)에서 실행된다.
만약 릴리즈 스위치(SWR) 가 단계(S603)에서 ON 되지 않았거나, 또는 25 4㎳ 사이클에 대응하는 소정시간으로부터 100㎳의 시간이 경과한지 아닌지가 단계(S605)에서 검사된다.
만약 100㎳ 의 경과가 없다면, 제어는 단계(S602)로 복귀된다.
이와 반대로, 만약 100㎳ 가 경과되었다면, 제어는 단계(S606)로 진행한다.
단계(S606)에서, 필요한 데이타는 IPU(132) 로부터 CPU(131) 로 보내어진다. 그 데이타는 노출모드, 촬영렌즈(116) 의 노출제어모드( 렌즈- 자동모드 또는 렌즈- 수동모드), 기타등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포함한다.
단계(S607)에서, 노출측정은 촬영된 피사체의 휘도를 근거로 노출측정동작에서 검출된 노출치(Ev)를 계산하도록 이행된다.
촬영렌즈(116) 의 노출제어모드가 렌즈- 자동모드인지 렌즈- 수동모드인지가 단계(S608)에서 검사된다.
만약 모드가 렌즈- 수동모드이면 수동노출제어는 단계(S610)에서 이행되고, 모드가 렌즈- 자동모드이면, 자동노출제어는 단계(S611)에서 이행된다.
단계(S612)에서, LCD 판넬(152) 에 대한 표시 데이타는 CPU(131) 로부터 IPU(132)로 입력된다.
제50도 및 제51도는 단계(S610)에서 실행된 수동노출제어의 프로그램, 즉 렌즈- 수동 다이어프램 우선 노출모드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노출값은 촬영렌즈(116) 의 다이어프램링(117) 에 의해 설정된다.
수동 노출 제어에서, 아래 기술될 것처럼, Ev치는 정지버튼(122) 이 눌려졌을때 고정된다.
이후, 다이어프램값이 다이어프램링(117) 에 의해 변화되었을때, 셔터속도는 고정된 Ev 값에 따라 변화된다.
사진이 촬영되기 전에는 정지버튼(122) 이 눌려지지않는것처럼, Ev값은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래그(FAEL)는 1로 설정되지 않아, 제어는 단계(S700, S701, S711 및 S712) 의 순서로 진행한다. 단계(S700)에서, 계산다이어프램값(AVVRD) 이, 다이어프램링(117) 에 의해 설정된 다이어프램값(AVA/D) 및 카메라몸체(111) 의 고유조정치(Avadj) 를 근거로 우선 계산된다.
정지버튼(122) 이 눌려졌는지가 단계(S712)에서 검사된다.
만약 정지버튼이 눌려지지 않았다면, 제어는 종료이전단계(S714 및 S716)로 진행한다. 셔터속도(Tv)의 설정동작이 제50도 및 제51도의 프로그램에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제39h도의 단계(S374 내지 S376)의 것과 유사한 동작이 셔터속도(Tv)를 설정하기 위해 실행된다.
여기서, 사진사는 셔터속도 및 다이어프램값을 설정하기 위해 Tv 전자식 다이얼(113) 및 다이어프램링(117) 을 작동시키고난후, 셔터속도 및 다이어프램값에 의해 결정된 Ev 값을 고정시키기 위해 정지버튼(122) 을 누른다고 가정한다.
이후, 제어가 제50도 및 제51도에 도시된 서브루틴으로 들어갔을때, 플래그(FAEL)는 1로 설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제어는 단계(S700, S701, S711, S712 및 S713) 로 진행한다. 단계(S713)에서, 고정된 Ev 값(LVDL)은 계산셔터속도(TVD), 계산 다이어프램값(AVVRD) 및 수정치(MND) 를 가산함으로써 획득된다.
수정치(MND) 는 촬영렌즈(116) 에 의존한다.
이후에, 정지버튼(122) 이 단계(S714)에서 ON 되기 때문에 제어는 플래그(FAEL)를 설정하기 위해 단계(S715)로 진행한다.
프로그램이 이후 실행될때, 플래그(FAEL)는 설정되고, 따라서 제어는 단계(S700, S701, S702 및 S703)로 진행한다.
단계(S703)에서, 고정된 Ev 값(LVDL)은 계산 Ev 치(LVD) 로 대치된다.
단계(S705)에서 계산다이어프램값(AVVRD) 및 수정치(MND) 는 계산 셔터속도(TVD)를 획득하기 위해 계산 Ev 값(LVD) 으로부터 감산된다.
이후, 단계(S706)에서, 계산셔터속도(TVD) 가 계산최적셔터속도(TVDMAX)보다 더 크다면, 계산셔터속도(TVD) 는 단계(S707)에서 계산최적셔터속도(TVDMAX)와 같도록 설정된다. 만약, 계산셔터속도(TVD) 가 단계(S708)에서 계산최저셔터속도(TVDMIN)보다 작다면, 계산셔터속도(TVD) 는 단계(S709)에서 계산최저셔터속도(TVDMIN)와 같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계산셔터속도(TVD) 는 단계(S707 또는 S709)에서 획득되어서, CPU(131)가 셔터속도(TVD) 에 따라 셔터를 제어하도록 한다.
셔터속도(TVD) 는 IPU(132) 로 보내어지는 통신셔터속도(TVT) 로 전환되고, LCD 판넬(152) 에 표시된다.
앞에서 볼수있는 바와같이, 제48도 내지 제51도에 도시된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지버튼(122) 이, 셔터속도 및 다이어프램값이 수동으로 설정된후 눌려졌을때, 셔터속도 및 다이어프램값에 의해 결정된 노출치가 저장된다.
이후, 만약 다이어프램값이 다이어프램링(117) 의 회전에 의해 변화된다면, 셔터속도 또한 노출치에 따라 변화된다.
따라서, 사진사는 다이어프램링(117) 이 회전할때마다 셔터속도를 수동으로 조정하지 않고서도 바라는 노출치로 사진을 찍을 수 있다.
더욱이, 만약 정지버튼(122) 이 OFF 된다면, 제어는 플래그(FAEL)를 재설정하기 위해 단계(S702)로부터 단계(S711, S714 및 S716)으로 진행하여서, 셔터속도(TV) 및 다이어프램값(Av)이 각각 설정되도록 한다.
정지버튼(122) 은 수동노출제어모드뿐만 아니라 자동노출제어모드에서도 노출치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것처럼, 본발명에 따르면, 사진사는 다이어프램링이 수동노출제어모드에서 회전할때마다 셔터를 조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진촬영이 간단해지게 된다.

Claims (20)

  1. 카메라로 촬영되는 피사체의 휘도와 독자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다이어프램치와 셔터속도가 설정되는 수동 설정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수동 설정모드에서 설정된 상기 다이어프램치와 상기 셔터속도에 따라서 결정된 노출치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상기 고정된 노출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다이어프램치와 상기 셔터속도중 하나가 상기 수동설정모드에서 변할때 상기 고정된 노출치를 근거로 상기 다이어프램치와 상기 셔터속도 중 다른 하나를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치 고정수단은 상기 노출치를 고정하기 위해 턴온되는 고정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치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 스위치가 턴 오프될때 상기 상기 노출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상기 노출치를 고정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치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스위치가 각각 턴 온 및 오프될 때 마다 상기 노출치를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치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스위치가 턴 온될 때 상기 노출치를 고정 및 유지하기 위한 고정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치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 스위치가 홀수 작동에 의해 작동될 때 상기 노출치를 고정하고 유지하기 위한 고정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치와 셔터속도는 소정의 스텝의 아펙스치로서 증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속도 또는 상기 다이어프램치 중 하나가 소정의 값만큼 증가될 때, 상기 변화시키는 수단은 상기 노출치가 상기 노출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때 동일한 값으로 상기 다이어프램치 또는 셔터속도 중 다른 하나를 증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카메라 몸체와, 카메라 몸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촬영렌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설정 모드를 설정하는 수단은 상기 카메라 몸체에 구비된 상기 셔터속도를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촬영렌즈에 구비된 상기 다이어프램치를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몸체는 상기 다이어프램치를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렌즈에서 구비된 상기 다이어프램치를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다이어프램치가 상기 카메라 몸체에 구비된 상기 다이어프램치를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상기 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제1위치와 상기 다이어프램치가 상기 촬영렌즈에 구비된 상기 다이어프램치를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상기 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다이어프램 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치가 상기 노출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때 그리고 상기 다이어프램치가 상기 촬영렌즈에 구비된 상기 다이어프램치를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상기 수단에 의해 변할 때, 상기 변화시키는 수단은 상기 수동으로 설정되는 셔터속도를 변화시키는 한편 상기 고정된 노출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14. 카메라로 촬영되는 피사체의 휘도와 독자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다이어프램치와 셔터속도가 상기 카메라의 수동으로 설정되는 모드에서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수동으로 설정된 셔터속도와 상기 수동으로 설정된 다이어프램치의 아펙스치의 산출을 기억하기 위한 노출치 기억수단; 및 변한 다이어프램치와 셔터속도의 산출이 상기 노출치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아펙스치와 동일해지도록 상기 아펙스치의 산출이 상기 노출치 기억수단에 기억될 때 상기 다이어프램치와 셔터속도 중 하나가 상기 수동설정수단에 의해 변할 때 상기 다이어프램치와 셔터속도중 다른 하나를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15. 수동설정모드에서 셔터속도를 수동으로설정하기 위한 제1수단; 카메라로 촬영되는 피사체의 휘도에 대하여 독자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셔터속도와 다이어프램치를 수동설정모드에서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2수단; 상기 수동으로 설정된 셔터속도와 상기 수동으로 설정된 다이어프램치에 따라서 노출치를 일정한 값으로 고정하기 위한 노출치 고정수단; 및 상기 노출치를 상기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도록 다이어프램 링이 회전하여 상기 다이어프램치를 변하도록 할 때 상기 노출치는 상기 고정된 노출치에 따라서 상기 노출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때 상기 셔터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셔터속도 변화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속도 또는 상기 다이어프램치 중 하나가 소정의 값만큼 변할 때 상기 다이어프램치 또는 셔터속도 중 다른 하나는 동일한 값만큼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치 고정수단은 고정스위치가 각각 턴 온 및 오프될 때마다 상기 노출치를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18. 촬영되는 피사체의 휘도에 대하여 독자적으로 설정가능한 셔터속도와 다이어프램치를 수동설정모드에서 수동으로 입력하기 위한 수단; 상기 수동으로 입력된 셔터속도와 수동으로 입력된 다이어프램치에 따라서 계산된 노출치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고정된 노출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셔터속도와 다이어프램치 중 하나가 수동으로 변할 때 상기 노출치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후 상기 셔터속도와 다이어프램치 중 다른 하나를 자동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속도를 입력하기 위한 상기 수동입력수단이 상기 카메라의 카메라 몸체에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다이어프램치를 입력하기 위한 상기 수동입력수단이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속도 또는 상기 다이어프램치 중 하나가 소정의 값만큼 변할 때 상기 다이어프램치 또는 셔터속도 중 다른 하나는 동일한 값만큼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KR1019920006266A 1991-04-15 1992-04-15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KR100210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349591 1991-04-15
JP91-173495 1991-04-15
JP3214834A JP2997343B2 (ja) 1991-05-21 1991-05-21 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JP91-214834 1991-05-21
JP03361198A JP3100724B2 (ja) 1991-04-15 1991-11-28 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JP91-361198 1991-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257A KR920020257A (ko) 1992-11-20
KR100210002B1 true KR100210002B1 (ko) 1999-07-15

Family

ID=2747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266A KR100210002B1 (ko) 1991-04-15 1992-04-15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382997A (ko)
KR (1) KR1002100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0005B1 (ko) * 1991-04-15 1999-07-15 마츠모토 도루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CA2066014C (en) * 1991-04-15 2001-04-03 Osamu Sato Exposure control apparatus of camera
US5623706A (en) * 1994-07-26 1997-04-22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Camera having auto focusing and auto exposure functions
US6302599B1 (en) 1999-09-01 2001-10-16 Eastman Kodak Company Thermal film camera with processing
JP6623916B2 (ja) 2016-04-26 2019-12-25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85055B (de) * 1958-08-26 1965-01-07 Agfa Ag Fotografische Kamera mit einer Einrichtung zur Steuerung des Blenden- und des Belichtungszeiteinstellers nach einem vorbestimmten Programm
US4103307A (en) * 1973-07-16 1978-07-25 Canon Kabushiki Kaisha Exposure control device
GB1552597A (en) * 1975-10-09 1979-09-19 Haskell R Camera controller
JPS5478124A (en) * 1977-12-03 1979-06-22 Nippon Chemical Ind Automatic exposure control camera display unit
JPS54151445A (en) * 1978-05-19 1979-11-28 Canon Inc Camera
JPS5624326A (en) * 1979-08-07 1981-03-07 Canon Inc Camera of program system
JPS60173526A (ja) * 1984-02-20 1985-09-06 Asahi Optical Co Ltd 自動露出カメラ
US4653893A (en) * 1984-09-03 1987-03-31 Minolta Camera Co., Ltd. Camera exposure calculating device
JPS6199130A (ja) * 1984-10-22 1986-05-17 Toshiba Corp 露光光学装置
JPS60242437A (ja) * 1985-04-18 1985-12-02 Minolta Camera Co Ltd プログラムシヤツタ−装置
JPS60242438A (ja) * 1985-04-18 1985-12-02 Minolta Camera Co Ltd プログラムシヤツタ−装置
JPS60242439A (ja) * 1985-04-18 1985-12-02 Minolta Camera Co Ltd プログラムシヤツタ−装置
JPS60242436A (ja) * 1985-04-18 1985-12-02 Minolta Camera Co Ltd 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JPS60258523A (ja) * 1985-04-22 1985-12-20 Minolta Camera Co Ltd 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US4792823A (en) * 1985-06-27 1988-12-20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amera and camera system
JPH0785154B2 (ja) * 1986-03-14 1995-09-13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のプログラム露出特性の設定方法および設定装置
KR960005186B1 (ko) * 1986-10-01 1996-04-22 아사히 고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상호 교환 가능한 촬영 렌즈와, 그것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카메라 보디를 갖는 카메라
JPS62168123A (ja) * 1986-11-07 1987-07-24 Minolta Camera Co Ltd 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JPS63271239A (ja) * 1986-12-05 1988-11-09 Asahi Optical Co Ltd レンズ交換式カメラ露出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382997A (en) 1995-01-17
KR920020257A (ko) 199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0002B1 (ko)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KR100210003B1 (ko)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US5280319A (en) Exposure control apparatus of camera including exposure factor limit value setting means
CA2066022C (en) Exposure control apparatus of camera
KR100210005B1 (ko)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KR100210004B1 (ko) 카메라의 노출제어장치
JP3103414B2 (ja) 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JP3068697B2 (ja) 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AU649806B2 (en) Exposure control apparatus of camera
JP3164623B2 (ja) 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JP3164622B2 (ja) 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JP3199806B2 (ja) 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JP3103411B2 (ja) 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JP3100724B2 (ja) 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JP3199802B2 (ja) 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AU649804B2 (en) Exposure control apparatus of camera
JP3140521B2 (ja) 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JP3103412B2 (ja) 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JPH0527295A (ja) 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US5164758A (en) Exposure control apparatus of camera having an automatic exposure bracket drive mode
JP3345048B2 (ja) 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JPH0136087B2 (ko)
JPH0534752A (ja) カメラ
JPH0534751A (ja) カメラ
JPH01285927A (ja) カメラの露出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