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9052B1 - 에어백 수납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백 수납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9052B1
KR100209052B1 KR1019960013136A KR19960013136A KR100209052B1 KR 100209052 B1 KR100209052 B1 KR 100209052B1 KR 1019960013136 A KR1019960013136 A KR 1019960013136A KR 19960013136 A KR19960013136 A KR 19960013136A KR 100209052 B1 KR100209052 B1 KR 100209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airbag
intermediate retainer
retaine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3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648A (ko
Inventor
마사미 도노오까
요시오 호리이께
미쯔따까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히로세 마꼬또
니혼 플라스트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 마꼬또, 니혼 플라스트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히로세 마꼬또
Publication of KR970061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9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90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1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specially adapted for elongated cylindrical or bottle-like inflators with a symmetry axis perpendicular to the main direction of bag deployment, e.g. extruded reaction cani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021/2172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cover being connected to the surrounding part and to the module, e.g. floating mou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수석 승객용 에어백 수납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 에어백 수납 유닛은 상부 및 하부 챔버를 갖는다. 가스를 방출하기 위한 팽창기는 케이싱의 하부 챔버에 배치된다. 에어백은 팽창기로부터 가스가 공급될 때 팽창되어 전개되도록 케이싱의 상부 챔버에 배치된다. 중간 리테이너는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팽창기와 에어백 사이에 위치한다. 케이싱은 에어백을 향한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접근하도록 경사지는 대향 제1 및 제2결합 표면을 갖는 제1결합 섹션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장착 구멍은 케이싱의 제1 및 제2결합 표면에 각각 형성된다. 중간 리테이너는 케이싱의 제1결합 섹션의 제1 및 제2결합 표면에 각각 결합되는 대향 제1 및 제2결합 표면을 갖는 제2결합 섹션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체결 부재는 중간 리테이너의 제2결합 섹션의 제1 및 제2결합 표면으로부터 각각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중간 리테이너의 제1 및 제2체결 부재는 케이싱의 제1 및 제2장착 구멍에 각각 삽입된다.

Description

에어백 수납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제1a도 내지 제1c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수납 유닛의 제1실시예의 조립 공정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수납 유닛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유닛의 종축에 수직한 평면을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에어백 수납 유닛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유닛의 종축에 평행한 또 다른 평면을 취한 수직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에어백 수납 유닛의 케이싱 형성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제2도의 에어백 수납 유닛의 중간 리테이너 형성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제2도의 에어백 수납 유닛의 에어백 형성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선 7-7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취한 부분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수납 유닛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유닛의 종축에 수직한 평면을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에어백 수납 유닛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유닛의 종축에 평행한 또 다른 평면을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에어백 수납 유닛의 케이싱 형성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11도는 제8도의 에어백 수납 유닛의 중간 리테이너 형성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12도는 제8도의 에어백 수납 유닛의 에어백 형성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13도는 제12도의 에어백의 사시도.
제14a도 내지 제14e도는 제8도의 에어백 수납 유닛의 조립 공정을 도시한 개략 수직 단면도.
제15도는 제8도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에어백 수납 유닛의 변경예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
제16도는 제8도에 도시된 에어백 수납 유닛의 또 다른 변경예의 중간 리테이너 형성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17도는 제16도 에어백 수납 유닛의 에어백과 중간 리테이너 사이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확대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에어백 수납 유닛 14 : 케이싱
15 : 팽창기 16 : 중간 리테이너
17 : 에어백 25 : 연통 공간
33 : 안내 채널 41 : 커버 부재
43 : 레그부 47 : 본체부
48 : 가스 방출부 58 : 결합편
68 : 벌지부 71 : 장착부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계기 패널에 장착되어 조수석에 탑승한 승객을 보호하도록 구성된 에어백 수납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에어백 수납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자동차의 조수석에 탑승한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에어백 수납 유닛이 제안되어 실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에어백 수납 유닛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공개 (평) 6-8784호, 6-24285호, 7-117607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상기 공보의 각 에어백 수납 유닛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계기 패널에 장착되도록 배열되고 팽창기와 에어백을 저장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상기 팽창기는 차량의 충돌을 나타내는 신호에 반응하여 가스를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에어백은 팽창기로부터 방출된 가스의 작용하에서 팽창되어 전개된다.
케이싱은 팽창기를 저장하는 하부 케이싱과 에어백을 절첩 상태로 저장하는 상부 케이싱을 포함한다. 하부 및 상부 케이싱은 별도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된다. 이와 달리, 케이싱은 팽창기 및 에어백을 함께 저장하는 일편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에어백을 팽창기로부터 분리하도록 분리 중간 리테이너가 케이싱내에 배치된다. 상기 양 경우에, 케이싱은 주로 두 개의 부재로부터 이루어진다. 이들 두 개의 부재는 에어백의 단부가 상기 두 개의 부재들 사이에 고정된 상태에서 볼트 또는 리벳 등의 별도의 체결 부재로 체결 및 고정되며, 여기서 상기 볼트 또는 리벳은 에어백과 두 개의 부재들 각각에 형성된 복수개의 장착 구멍에 끼워진다. 따라서, 이렇게 배열된 에어백 수납 유닛에서는 차량 충돌 등이 일어나면 팽창기로부터 고압 가스가 방출되어 하부 케이싱 또는 중간 리테이너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서 에어백 안으로 취입된다. 그 결과, 에어백이 팽창되어 전개됨으로써 조수석에 있는 승객이 전면 유리 등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해 준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에어백 수납 유닛에서는 에어백에 형성된 복수개의 장착 구멍과 케이싱을 구성하는 분리 부재들의 위치를 서로 정렬시켜서 이렇게 정렬된 장착 구멍에 볼트를 끼워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작업은 여러 작업 단계를 필요로 하고 매우 번거로운데, 특히 에어백의 장착 구멍을 확인하여 이를 케이싱을 구성하는 두 개의 부재들의 장착 구멍과 정렬시키는 작업이 어렵다. 그 결과, 상기 종래의 에어백 수납 유닛에서는 그 제조 비용을 낮추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조수석 승객을 보호하는 데 사용된 종래 기술의 에어백 수납 유닛에서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개선된 에어백 수납 유닛 및 그 제조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낮은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에어백 수납 유닛 및 그 제조방법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조립 공정에서의 번거로운 작업을 생략하여 조립 공정을 간편화 시킬 수 있는 에어백 수납 유닛 및 그 제조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백 수납 유닛의 주요 구성부인 케이싱과 중간 리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가 중간 리테이너를 케이싱에 체결하는 수단을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되어서 에어백 수납 유닛의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 작업이 용이한 에어백 수납 유닛과 그 제조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싱을 포함한 에어백 유닛이 마련된다. 케이싱 내에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팽창기가 배치된다. 에어백은 팽창기로부터 가스가 공급될 때 팽창되어 전개되도록 상기 케이싱 내에 마련된다. 중간 리테이너는 케이싱내에 그리고 팽창기와 에어백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케이싱은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결합 표면을 갖는 제1결합부를 포함한다. 중간 리테이너는 케이싱의 제1결합부의 제1 및 제2결합 표면에 각각 결합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결합 표면을 갖는 제2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케이싱과 중간 리테이너중 적어도 하나는 제2결합부의 제1 및 제2결합 표면이 제1결합부의 제1 및 제2결합 표면에 각각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중간 리테이너를 케이싱에 체결하며 케이싱과 중간 리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형성된 체결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에어백은 팽창기와 에어백 사이에 배치된 중간 리테이너에 의해 팽창기로부터 이격된 적절한 위치에서 유지된다. 중간 리테이너는 이의 제1 및 제2결합 표면에 케이싱의 제1 및 제2 결합 표면에 각각 결합되도록 케이싱의 내측에 고정 체결된다. 또한, 케이싱과 중간 리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는 중간 리테이너를 케이싱에 체결하는 수단을 자체에 일체로 갖추고 있다. 이는 별도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필요했던 중간 리테이너 및 케이싱의 장착 구멍을 위치 결정하는 작업과 상기 장착 구멍에 볼트 등을 끼우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게 해 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결합부를 갖춘 중간부와 케이싱 내에서 상기 중간부의 대향 측면 상에 형성되고 일단부에서 개방되는 제1 챔버와 케이싱 내에서 상기 중간부의 대향 측면 상에 형성된 제2챔버를 갖는 케이싱과, 가스를 방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챔버 내에 배치된 팽창기와, 팽창기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을 때 팽창하여 전개되고 상기 제1챔버 내에 배치된 에어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팽창기와 에어백 사이에 위치하고 제1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에어백이 고정되는 장착부를 갖는 중간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에어백 수납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에 마련된다. 상기 제조 방법은, 에어백을 중간 리테이너의 장착부에 장착하는 단계와, 중간 리테이너를 이 리테이너가 케이싱에 고정 장착되는 장착 상태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케이싱의 개방단을 통해서 제2챔버에 삽입하는 단계와, 중간 리테이너를 장착 상태를 이루는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와, 장착 상태를 얻도록 상기 리테이너의 제2결합부를 케이싱의 제1결합부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 방법에서, 에어백을 갖춘 상태의 중간 리테이너는 중간부가 경사질 때 이 중간부를 통해서 제2챔버에 삽입된다. 그 후에, 중간 리테이너는 이의 결합부가 케이싱의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회전된다. 따라서, 중간 리테이너와 케이싱을 체결하는 동시에 에어백을 체결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써 에어백 수납 유닛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다.
전체 도면을 통해서 유사한 도면 부호는 유사한 부재 또는 부분을 나타낸다.
제2도 및 제3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수납 유닛(11)이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에어백 수납 유닛(11)은 자동차(도시 생략)의 조수석(도시 생략)용으로 계기 패널(1) 내측에 위치되어 있다. 계기 패널(1)은 차량의 승객실 내측에 그리고 승객이 착석한 전방 시트(도시 생략)의 전방에 위치되어 있다. 에어백 수납 유닛(11)은 팽창기(15) 및 에어백(17) 등을 수납하는 케이싱(14)등을 포함한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싱(14)은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대체로 채널 형상의 U형 단면을 취하는 측판(21)을 포함한다. 이 측판(21)의 측방향 개방 대향 단부들은 케이싱(14)이 디프 드로잉에 의해 얻어지는 측방향 연장 용기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점용접 등에 의해 상기 측판(21)에 고정되는 단부판(22)들로 각각 덮이게 된다. 측판(21)은 서로 대면하여 근접하는 내향 오목부(24)를 중간부(높이 또는 깊이 방향)에 형성하고 있다. 이들 내향 오목부(24)는 연통 공간(25)을 그 사이에 형성한다. 전방측 및 후방측 상단부(21a)들은 내향 오목부(24)에 각각 인접하여 그 위에 배치된다. 제1챔버(26)는 에어백(17)을 수납하도록 연통 공간(25)의 상단측에 형성된다. 제2챔버(27)는 팽창기(15)를 수납하도록 연통 공간(25)의 하측면에 형성된다.
결합부(31)들은 서로 대면하는 방식으로 내향 오목부(24)들에 인접하여 그 아래에 형성된다. 결합부(31)들은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챔버(26)를 향해 서로 접근하도록 점진적으로 경사지는 내측 표면들을 갖는다. 각 결합부(31)는 소정의 간격으로 측판(21)의 종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개의 케이싱측 장착 구멍(32)을 형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3개의 장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음). 각 장착 구멍(32)은 키이홈 결합되도록 원형의 대경 구멍부(32a)와 이러한 구멍부에 인접하여 그 위에 위치한 소경 구멍부(32b)를 포함한다.
복수개(3개)의 안내 채널(33)은 매끄러운 호형으로 형성되어 케이싱(14)의 측판(21)의 외주연 표면으로부터 외향 돌출한다. 각 안내 채널(33)은 측판(21)의 후방측으로부터 저부측으로 연장되어 장착 구멍(32)을 갖는 후방측 결합부(31)에 인접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각 안내 채널(33)이 대응 호형 홈을 자체의 내측 표면에 형성하고 있다.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싱(14)은 그 저부에서 자동차의 차량 본체의 부재(도시 생략)에 고정되도록 볼트(34)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장착판(35)을 자체의 하부에 고정식으로 갖추고 있다.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대향 단부판(22)들은 그 하부에 팽창기 장착 구멍(36)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리테이너(14)의 측판(21)의 전방측 및 후방측 상단부(21a)들은 그 상단부 가까이에 대체로 C형 단면을 취하는 결합 집게 부재(마우스 판, 37)를 고정식으로 갖추고 있다.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커버 부재(41)는 계기 패널(1)에 형성된 상부측 개구(23)를 덮도록 결합 집게 부재(37)의 작용하에서 케이싱(14) 상에 장착된다. 특히, 커버 부재(41)는 계기 패널(1)과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한 상부판부(42)를 포함한다. 전방 및 후방 레그부(43)는 상부판부(42)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하향 돌출하면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장착편부(44)도 상부판(42)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전방 및 후방 레그부(43)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되어 있다. 전방 및 후방 레그부(43)는 커버 부재(41)가 케이싱(14) 위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케이싱(14) 외측에 끼워져서 각 관통 구멍(45)에서 결합 집게 부재(37)에 각각 결합된다. 한편, 장착편부(44)는 계기 패널(1)의 주연부에 결합되어 커버 부재(41)를 제위치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상부판부(42)는 상부판부(42)가 에어백의 팽창시에 파열되도록 감소된 두께를 갖는 선형부를 따라 형성된 파열선(42a)을 자체의 내측 표면에 형성하고 있다. 이 파열선(42a)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 대체로 H형을 취한다.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팽창기(15)는 가스 방출부(48)를 일단에 갖추고 있는 폭탄형 본체부(47)를 포함한다. 가스 방출부(48)는 복수개의 가스 방출 개구(48a)를 자체의 외주연 표면에 형성하고 있다. 고온 및 고압 가스가 충격 센서를 포함하는 제어기(도시 생략)로부터의 리드선(49)을 통해서 전달되는 신호(차량의 충돌 등을 나타냄)에 반응하여 가스 방출 개구(48a)를 통해서 방출된다. 이 실시예의 팽창기(15)는 본체(47)가 파열성 격벽(도시 생략)을 통해서 서로 인접하는 가스 저장 챔버(도시 생략) 및 가스 발생 챔버(도시 생략)를 자체 내에 형성하고 있는 소위 하이브리드 팽창기형이다. 가스 저장 챔버에는 압축된 가스가 충전되어 있고, 가스 발생 챔버에는 고체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다. 팽창기(15)는 본체부(47)가 점화기(도시 생략) 및 추진제(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는 가스 발생 챔버만을 형성하고 있는 또 다른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관형 뚜껑(48b)은 가스 방출부(48)의 선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대체로 원통형인 볼트부(47b)는 본체(47)의 저부 또는 대향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팽창기(15)를 제위치에 장착하기 위하여 볼트부(47b)를 외부로부터 단부판(22)에 형성된 하나의 팽창기 장착 구멍(36, 제3도의 좌측)을 통해서 케이싱(14) 안에 삽입한 후에 케이싱(14)의 외부로부터 대향 단부판(22)에 형성된 또 다른 팽창기 장착 구멍(36)을 통해서 돌출시킨다. 그러면, 너트 부재(50)는 팽창기(15)가 케이싱(14)의 제2챔버(27) 내의 제위치에 고정되도록 뚜껑(48b)이 팽창기 장착 구멍(36)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부(47b)에 결합되어 조여진다.
제2도,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 리테이너 또는 격벽 부재(16)는 연통 공간(25)에 고정 배치되며, 평면으로 보았을 때 대체로 장방형을 취하는 기부판부(51)를 포함한다. 전방측 및 후방측 결합부(52)는 기부판부(51)의 전방측 및 후방측 모서리부(도시 생략)에 일체로 된다. 결합부(52)는 기부판부(51)의 하방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방으로 서로 점진적으로 이격되도록 경사진다. 기부판부(51) 및 결합부(52)는, 예를 들어 블랭크를 얻도록 금속 시트 또는 판을 압단하여 블랭크를 절곡함으로써 일편 구조로 형성된다. 기부판부(51)는 프레임부(54)가 관통 구멍(55) 주위에 남아 있도록 기부판부(51)의 종방향으로 정렬되는 복수개의 관통 구멍(55)을 소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있다. 복수개의 루버(56)는 관통 구멍(55)을 통과하는 가스의 방출 방향을 조정하도록 인접 관통 구멍(55)들 사이에 각각 위치하도록 기부판부(51) 상에 일체로 마련된다.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각 루버(56)는 케이싱(14)의 일단부에 위치한 가스 방출 개구(48a)로부터의 가스 진행 방향을 조정하도록 경사져 있으며, 이로써 에어백(14)이 팽창되어 소정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또한, 각 루버(56)의 상단부는 거의 수평하게 만곡되어 있다.
좌측 및 우측 결합편(58)들은 프레임부(54)의 종방향 대향 단부들의 내측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결합편(58)은 프레임부(54)로부터 상방 돌출하여 상부에서의 폭이 프레임부(54)에 연결된 하부에서의 폭보다 길도록 중간 리테이너(16)의 종방향에서 보았을 때 T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결합편(58)은 프레임부(54)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이에 고정된다. 또한, 각 결합편(52)는 결합부(52)에 일체로 되고 케이싱(14)의 장착 구멍(32)에 각각 대응하는 체결 볼트(용접 볼트, 61)를 고정식으로 갖추고 있다. 특히, 각 볼트(61)는 헤드부(61a)와 나사 형성부(61b)를 갖는다. 나사 형성부(61b)는 헤드부(61a)가 결합부(52)의 내측 표면에 접촉하여 이에 고정되도록 결합부(52)에 형성된 구멍(도시 생략)을 통해서 결합부(52)의 벽을 관통한다. 따라서, 각 볼트(61)의 나사 형성부(61b)는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부(52)의 외측 표면 위로 돌출한다.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 리테이너(16)는 케이싱(16)의 각 장착 구멍(32) 안에 볼트(61)를 끼우고 이 볼트(61) 상에 있는 리테이너 판(63)을 통해서 너트(일본공업 규격에 따른 M5 너트, 62)를 결합하여 중간 리테이너(16)의 결합부(52)들이 케이싱(14)의 결합부(31)들에 각각 접촉하는 상태 하에서 상기 너트(62)를 조임으로써 연통 공간(25)에서 케이싱(14) 내측의 제위치에 체결된다.
제2도, 제3도,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에어백(17)은 케이싱(14)의 제1챔버(26)에 배치되고 대체로 장방형이 개방 마우스(65)를 갖는 백(bag)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방 마우스(65)는 중간 리테이너(16) 주위에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백(17)은 중간 리테이너(16) 상에 위치하고 에어백(17)이 파형으로 절첩되어 일방향으로 권취된 상태에서 케이싱(14)의 제1챔버(26)에 저정된다. 제6도에 도시된 것처럼 에어백(17)의 하부[개방 마우스(65) 주위]는 중간 리테이너(16) 주위에 가까워 질 때 장방형 단면을 갖는 관 형상을 취하며, 여기서 에어백(17)의 하부는 개방 마우스(65)를 형성하는 저부 주연부 가까이에 위치하는 전방측 및 후방측 장착부(66)를 갖는다. 각 장착부(66)는 케이싱(14)의 장착 구멍(32)에 대응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장착 구멍(66a)을 갖추고 있다. 핀(로드, 67)은 장착부(66)의 백형 저부 모서리부에 끼워져서 에어백(17)의 다른 부분들보다 두껍고 중간 리테이너(16)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벌지부(68)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에어백(17)의 하부는 각 장착부(71)가 각각 장착부(66)에 수직하게 전방측 및 후방측 장착부(66)들을 일체로 연결하도록 위치한 좌측 및 우측 장착부(71)를 포함한다. 각 장착부(71)의 저부 모서리부는 설부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장착 슬릿(72)을 갖는다. 에어백(17)은 그 안에 있는 가스가 배출될 수 있게 해주는 한 쌍의 원형 개구(도시 생략)도 형성하고 있다.
에어백(17)은 중간 리테이너(16) 상의 개방 마우스(65)에 장착되며, 그 이에서 중간 리테이너(16)의 볼트(61)들은 에어백(17)의 장착 구멍(66a)에 각각 삽입되고 각각의 좌측 및 우측 장착부(71)들은 관통 구멍(55)에 삽입되어 외향으로 말아 올려지며, 이로써 중간 리테이너(16)의 좌측 및 우측 결합편(58)들 각각이 에어백(17)의 좌측 및 우측 장착부(71) 각각의 결합 슬릿(72)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중간 리테이너(16)는 케이싱(14)에 장착되며, 여기서 전방측 및 후방측 장착부(66) 각각은 케이싱(14)의 대응 결합부(31)와 중간 리테이너(16)의 대응 결합부(52) 사이에 놓이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각각의 좌측 및 우측 장착부(71)는 대응 결합편(58)에 결합되고 에어백(17)의 벌지부(68)는 중간 리테이너(16)의 결합부(52)의 하부 모서리부에 결합되며, 이로써 에어백(17)의 결합부(66)가 케이싱(14)과 중간 리테이너(16) 사이의 틈새를 통해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배열된 에어백 수납 유닛(11)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차량 충돌 등이 일어나면 이 충돌에 의한 충격이 제어기에 의해 검출되어 팽창기(15)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팽창기(15)가 고온 고압의 질소 가스 등을 가스 팽창 개구(48a)를 통해서 방출한다. 이 가스는 중간 리테이너(16)의 관통 구멍(55)을 통해서 에어백(17)으로 유동하여 에어백(7)을 밀어내게 되며, 여기서 절첩된 에어백(17)이 말아 올려질 커버 부재(41)에 충돌하게 된다. 이로써 커버 부재(41)가 그 파열선(42a)을 따라 개방되어 에어백(17)이 통과하게 되는 개구를 형성한다. 그 다음에, 가스가 에어백(17) 안에 취입되어 에어백(17)이 승객측으로 또는 자동차의 앞 유리(도시 생략)를 따라 팽창되어 조수석의 전방으로 전개되며, 이로써 승객이 유리 등에 직접 접촉하지 않게 효과적으로 보호하게 된다.
다음에는 에어백 수납 유닛(11)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 리테이너(16)의 체결 볼트(61)는 에어백(17)의 장착 구멍(66a)에 각각 끼워지고 좌측 및 우측 장착부(71)는 관통 구멍(55)에 삽입되어 약 180°의 각으로 외향으로 말아 올려지며, 이로써 결합편(58)이 결합 슬릿(72)에 삽입된다. 그 결과, 에어백(17)이 결합 방식으로 중간 리테이너(16)에 장착된다.
그 후에, 제1a도에 도시된 것처럼 에어백(17)을 갖춘 중간 리테이너(16)가 상부측 개구(23)를 통해서 빈 상태의 케이싱(14) 안에 삽입되며, 여기서 팽창기(15) 등은 아직 장착되지 않고 제2챔버(27)안에 삽입되는 경사지 상태로 유지되는 연통 공간(25)을 통과하게 된다.
그 후에, 중간 리테이너(16)의 전방측 결합부(52)에 있는 체결 볼트(61)는 안내 채널(33)이 연장되지 않는 케이싱(14)의 전방측 결합부(31)에 있는 장착 구멍(32)에 각각 삽입된다. 그러면, 제1a도 및 제1b도에 도시된 것처럼 반대쪽 또는 후방측 결합부(52)에 있는 체결 볼트(61)의 선단부들은 안내 채널(33)의 내측 홈들에 각각 끼워져서 매끄럽게 상방으로 안내되며, 여기서 중간 리테이너(16)가 후방측 결합부(31)에 있는 체결 볼트(61)를 당기는 방식으로 회전되게 된다. 그 다음에, 중간 리테이너(16)의 후방측 결합부(52)에 있는 볼트(61)가 케이싱(14)의 후방측 결합부(31)에 있는 장착 구멍(32)에 삽입된다. 중간 리테이너(25)의 기부판부(51)가 연통 공간(25)에 평행한 상태에서 전체 중간 리테이너(16)는 제1c도에 도시된 상태를 이루도록 상방으로 당겨지며, 여기서 중간 리테이너(16)의 각 결합부(52)가 케이싱(14)의 대응 결합부(31)에 접촉하게 되고 에어백(17)의 각 장착부(66)가 그 사이에 끼워지게 되어 중간 리테이너(16)가 에어백(17)과 함게 케이싱(14)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너트(62)는 중간 리테이너(16)가 에어백(17)과 함께 케이싱(14)에 고정되도록 대응 볼트(61)로 결합되어 조여진다.
그 후에, 에어백(17)이 절첩되어 제1 챔버(26) 내에 수납된다. 그 다음에, 커버 부재(41)가 케이싱(14)에 장착되어 상부측 개구(23)를 덮게 된다. 마지막으로, 팽창기(15)가 케이싱(14)의 제2챔버(27)에 삽입되어 수납되어서 에어백 수납 유닛(11)의 조립 공정이 완료된다.
상기에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수납 유닛(11)에서는 팽창기(15)와 에어백(17) 사이에 중간 리테이너(16)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14)에 수납된 에어백이 팽창기(15)로부터 이격되어 적절한 위치에 유지된다. 중간 리테이너(16)는 이의 결합부(52)와 케이싱(14)의 대응 결합부(31) 사이에서 체결되기 때문에 케이싱(14)에 고정식으로 체결될 수 있고, 여기서 결합부들은 상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 점진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으로 경사지고 중간 리테이너(16)의 결합부(52)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로부터 돌출하는 체결 볼트(61)들은 체결될 케이싱(14)의 장착 구멍에 삽입된다.
또한, 복수개의 볼트(61)가 중간 리테이너(16)의 결합부(52)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로부터 돌출하기 때문에 중간 리테이너(16)와 에어백(17)을 케이싱(14)에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이로써 에어백 수납 유닛(11)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조립 방법에서는 별도의 체결 부재가 사용되는 종래의 경우에 필요했던 작업인 중간 리테이너(16)에 형성된 복수개의 장착 구멍을 에어백과 케이싱에 위치 결정하는 작업과 이렇게 위치 결정된 구멍들에 볼트를 끼우는 작업을 포함하여 번거러운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제1실시예에 따르면, 볼트(61)들을 에어백(17)의 장착 구멍(66a)에 각각 삽입한 후에 중간 리테이너(16)를 케이싱(14)안에 삽입할 수 있어서 에어백 수납 유닛(11)의 조립 작업이 용이해지고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케이싱(14)은 중간 리테이너(16)로부터 돌출하는 볼트(61)들을 소정 위치들로 효과적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후방측 결합부(31)에 있는 장착 구멍(32)에 인접한 안내 채널(33)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볼트(61)가 중간 리테이너(16)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케이싱(14)의 대응 장착 구멍(32)에 쉽게 끼울 수 있어서 에어백 수납 유닛(11)의 조립 작업이 용이해지고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중간 리테이너(16)는 이의 전방측 체결 볼트(61, 앞 유리 측에 위치함)들이 케이싱(14)의 전방측 장착 구멍(32)에 각각 삽입되는 방식으로 제위치에 조립되며, 그 후에 중간 리테이너(16)는 후방측 체결 볼트(61, 승객측에 위치함)들을 케이싱(14)의 후방측 장착 구멍(32)에 각각 삽입되도록 회전된다. 따라서, 안내 채널(33)은 케이싱(14)의 수직 외측 표면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볼트(61)용의 벌지형 해제구조의 형태로 케이싱(14)의 일측면(승객측)에만 형성되면 충분하다. 그 결과, 케이싱(14)이 복잡하지 않은 구조를 취함으로써 에어백 수납 유닛(11)의 제조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최소한의 벌지형 부분을 케이싱에 형성할 수 있어서 에어백 수납 유닛을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에어백(17)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제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에어백(17)의 장착부(66)는 케이싱(14)의 결합부(31)와 중간 리테이너(16)의 결합부(52) 사이에 놓인다. 체결 볼트(61)들이 에어백(17)의 장착 구멍(66a)에 각각 삽입된다. 벌지부(68)가 에어백(17)의 장착부(66)의 하부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중간 리테이너(16)의 전방측 및 후방측 결합부(52) 각각의 모서리부에 결합된다. 또한, 중간 리테이너(16)의 각각의 좌측 및 우측 결합편(58)은 좌측 및 우측 장착부(71) 각각이 중간 리테이너(16)로부터 해제되지 않도록 이들 장착부(71)의 결합 슬릿(72)에 삽입된다. 따라서 에어백(17)은 중간 리테이너(16)에 견고하게 체결된다.
에어백(17)의 각각의 벌지부(68)는 개방 마우스(65)를 형성하는 저부 주연부의 전체 종방향 길이에 걸쳐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에어백(17)의 전개 중에 에어백(17)에 가해진 응력을 그 저부 주연부의 전체 종방향 길이에 분포시킬 수 있어서 에어백(17)을 제위치에 고정식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백(17)의 좌측 및 우측 장착부(71)들은 이들 각 장착부(71)가 중간 리테이너(16)의 관통 구멍(55)에 삽입되어 외향으로 말아 올려지도록 배열되며, 이로써 결합편(58)이 결합 슬릿(72)에 삽입되어 장착부(71)와의 고정 결합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장착부(71)는 에어백(17)이 전개 중에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장된 상태로 된다. 이는 팽창기(15)로부터 방출된 가스가 그 일부에 직접 충돌하게 되는 영역을 감소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서, 말아 올려진 장착부(71)는 중간 리테이너(16)의 두께와 비슷한 두께로 형성된다. 이는 에어백(17)에 가해지는 열의 영향을 억제하게 되어 에어백(17)을 열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에어백(17)의 각 장착부(66)는 에어백(17)의 돌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된 중간 리테이너(16)의 결합부(52, 31)들과 케이싱(14) 사이에 체결되며, 이로써 에어백(17)을 제위치에 견고하게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보유된 장착부(66)는 에어백(17)의 팽창 및 전개 중에 이에 큰 충격이 가해질 때 약간 이동될 수 있어서 에어백(17)에 가해지는 충격을 약화시켜서 에어백(17)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에어백 수납 유닛(11)을 계기 패널(11)에 인접하게 배치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에어백 수납 유닛은 케이싱(14)의 상부측 개구(23)가 조수석의 승객에 면하도록 배치하거나 뒷좌석 승객을 위한 에어백 수납 유닛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에어백(17)을 각 장착부(66)의 저부 모서리부를 백 형상으로 접어 올려서 재봉하고 로드형 핀(67)을 백 형상의 저부 모서리부에 삽입함으로써 형성된 벌지부(68)를 갖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장착부(66)의 저부 모서리부는 에어백(17)의 저부 모서리부에 벌지 또는 두꺼운 부분을 형성하도록 복수회 절첩한 후에 재봉할 수도 있다.
제8도 내지 제17도는 제1실시예의 에어백 수납 유닛에 비해 간단한 구조를 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수납 유닛(11)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에어백 수납 유닛(11)은 팽창기(115)와 중간 리테이너(116) 및 에어백(117) 등을 내장하고 있는 케이싱(114)을 포함한다.
제8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싱(114)은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채널 형상의 U형 단면을 취하는 측판(121)을 포함한다. 이 측판(121)의 개방 측방향 대향 단부들은 케이싱(114)이 디프 드로잉에 의해 얻어지는 측방향 연장 용기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점용접 등에 의해 측판(121)에 고정되는 단부판(도시 생략)들로 각각 덮인다. 상기 측판(121)은 서로 대면하여 접근하는 내향 오목부(124)들을 그 중간부(높이 또는 깊이 방향)에 형성하고 있다. 이들 내향 오목부(124)들은 연통 공간(125)을 그 사이에 형성한다. 전방측 및 후방측 상부 L은 에어백(117)이 배치되게 되는 에어백 저장 챔버(126)를 형성하도록 내향 오목부(124)에 인접하여 그 위에 각각 위치된다. 대체로 대칭형인 하부 M은 팽창기(115)가 배치되게 되는 팽창기 저장 챔버(127)를 형성하도록 내향 오목부(124)에 인접하여 그 아래에 위치된다.
대칭 하부 M 부분을 형성하는 전방측 및 후방측 외향 돌출부 C는 오목부(124)에 인접하며 서로 대면한다. 각 돌출부 C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부 계단을 자체에 형성하는 수직한 평면부(131)를 포함한다. 각 돌출부 C는 하부 계단을 자체에 형성하고 있는 레지부(133)도 포함한다. 평면부(131) 및 레지부(133)는 서로 수직하게 대면하며 수직한 벽부(도시 생략)를 통해서 서로 일체로 연결된다. 각 평면부(131)는 케이싱(114)의 종방향 및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위치한 복수개의 결합 홈 또는 구멍(134)을 형성하고 있다.
케이싱(114)의 단부판 중 하나는 팽창기(115)가 팽창기 저장 챔버(127)에 삽입되게 되는 팽창기 삽입 구멍(도시 생략)을 형성하고 있다. 팽창기(115)는 대체로 원통형을 취하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점화기와 추진제 등을 내부에 마련하고 있으며, 자동차의 차량 본체 여러 부분에 배치된 충격 센서에 연결되어 있다. 팽창기(115)는 추진제가 충격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반응하여 연소되어 높은 온도 및 압력의 질소 가스를 그 주연부에 형성된 가스 방출 개구(도시 생략)를 통해서 방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정 볼트(136)는 케이싱 하부 M의 저부에 마련된다. 케이싱(114)은 고정 볼트(136)를 통해서 자동차의 차량 본체에 장착된다. 또한, 복수개의 장착 볼트(137)가 케이싱(114)의 각각의 전방측 및 후방측 상부 L에 마련된다.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커버 부재(141)는 장착 볼트(137)에 의해 케이싱(114)상에 장착되어 케이싱(114)의 상부측 개구(122)를 덮게 된다. 특히, 커버 부재(141)는 자동차의 계기 패널과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한 상부판부(142)를 포함한다. 전방측 및 후방측 레그부(143)는 상부판부(142)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판부(142)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다. 전방측 및 후방측 레그부(143)는 케이싱(114)의 전방측 및 후방측 상부 L의 외측 표면들에 각각 끼워지며, 여기서 장착 볼트(137)들이 레그부(143)의 관통 구멍(145)에 삽입된다. 너트(148)는 장착 구멍(137) 상에 결합되어 보강판(147)과 함께 체결되며, 이로서 케이싱 상부 L과 커버 부재(141)의 대응 레그부(143)를 기밀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부판부(142)는 에어백(117)의 팽창시에 파열될 수 있도록 감소된 두께의 선형부가 형성되어 있는 파열선(144)을 자체의 내측 표면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파열선(144)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 대체로 ]형을 취한다.
제11도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 리테이너(116)는 예를 들어 블랭크를 형성하도록 금속 시트 또는 판을 압단하여 이 블랭크를 절곡함으로써 일편 구조로 형성된다. 중간 리테이너(116)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대체로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외측 표면을 원통형 표면의 일부로서 형성하도록 상방으로 약간 돌출하는 기부판부(151)를 포함한다. 기부판부(151)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타원형을 취하고 상기 기부의 종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위치한 복수개의 관통 구멍(152, 가스가 통과함)을 형성하고 있다.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153)는 하향 돌출하여 중간 리테이너(116)의 종방향 대향 단부들 가까이에 각각 위치한다. 위치 결정 돌기(153)는 팽창기(115)의 상부측 표면에 접촉하게 되어 중간 리테이너(116)의 위치를 결정하는 작용을 한다.
평면 프레임부(155)는 기부판부(151) 주위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 종방향 대향 측면 모서리들에는 에어백(117)이 고정되는 보조판 부분(157) 및 결합편 부분(158)이 마련되어 있으며, 여기서 보조판 부분(157) 및 결합편 부분(158)은 중간 리테이너(16)의 종방향을 따라 교대로 위치되어 있다. 한 쌍의 보조판 부분(157)은 기부판부(151)의 대향 측면들 상에 형성되고 이들이 상부측을 향한 방향으로 서로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다. 한 쌍의 결합편 부분(158)은 기부판부(151)의 대향 측면들 상에 형성되며, 여기서 각 결합편 부분(158)은 상방 연장부를 갖도록 L형 단면을 취한다. 또한, 한 쌍의 평면 결합 집게 부분(159)은 종방향 대향 모서리들에 각각 형성되어 프레임부(155)의 종방향 중간 부분에 위치한다. 각 결합 집게 부재(159)는 하나의 보조판 부분(157)에 C형 절결선을 따라 C형 부분을 압단하여 이 C형 부분을 상방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부(155)는 이의 종방향 대향 단부들에 위치하는 단부 결합 집게 부재(160)를 일체로 갖추고 있다. 각 결합 집게 부재(160)는 프레임부(155)의 각 종방향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된다. 각 결합 집게 부재(160)는 그 선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대체로 U형 단면을 형성하게 된다. 한 쌍의 피팅편 부분(161)은 종방향 대향 측면 모서리들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부(155)의 종방향 대향 단부들에 위치한다. 한 쌍의 피팅편 부분(161)은 기부판부(151)의 대향 측면들에 위치한다. 각 피팅편 부분(161)은 대체로 L형인 단면으로 형성되며, 대체로 수평한 또는 제1접촉부(163)와 대체로 수직한 또는 제2접촉부(164)를 갖는다.
중간 리테이너(116)는 다음 방식으로 케이싱(114) 내측에 고정된다. 각 결합편 부분(158)을 케이싱(114)의 결합 홈(134)에 삽입하여 케이싱(114)의 내향 오목부(124)의 벽의 외측 표면에 끼운다. 각 피팅편 부분(161)의 제1접촉부(163) 및 제2접촉부(164)를 수평 평면부(131)의 내측 표면 및 외향 돌출부 C의 레지부(133)에 각각 접촉시킨다. 이 상태에서, 중간 리테이너(116)의 각 위치 결정 돌기(153)는 중간 리테이너(116)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팽창기(115)의 상부 표면에 접촉하거나 또는 (약간의 간격을 갖고) 이에 대면하게 된다.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된 것처럼 에어백(117)은 대체로 장방형이고 중간 리테이너(116) 주위에 끼워질 수 있도록 된 개구 마우스(166)를 갖는 백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에어백(117)은 중간 리테이너(116) 상에 위치하여 에어백(117)이 파동 형상으로 절첩되어 일방향으로 권취된 상태로 케이싱(114)의 에어백 저장 챔버(126)에 저장된다. 제12도에 도시된 것처럼 에어백(117)의 하부[개구 마우스(65)주변]는 중간 리테이너(116) 주위에 끼워질 때 장방형 단면을 취하는 대체로 관 형상을 취하고, 여기서 에어백(117)의 하부는 개구 마우스(166)를 형성하는 저부 주연부 근처에 위치한 전방측 및 후방측 보강 장착부(168)와 좌측 및 우측 보강 장착부(169)를 갖는다. 좌측 및 우측 보강 장착부(169)들 전방측 및 후방측 보강 장착부(168)들에 각각 수직한다. 각 전방측 및 후방측 보강부(168)들은 중간 리테이너(116)의 전방측 및 후방측 모서리부 중 대응하는 것에 끼워지고, 각 좌측 및 우측 보강 장착부(169)는 중간 리테이너(126)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부 중 대응하는 것에 끼워진다. 각 보강 장착부(168, 169)는 에어백(117)의 하부[섹션(168, 169)에 대응함]를 외향으로 접어 올려 이 부분을 재봉선(167)을 따라 재봉함으로써 형성된다.
각 보강 장착부(168)는 이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정렬되는 복수개의 결합 슬릿(171)을 형성하고 있으며, 각 보강 장착부(169)는 결합 슬릿(172)을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배열된 에어백(117)은 중간 리테이너(116)가 에어백(117)의 개구 마우스(166)에 위치 결정되는 상태에서 다음 방식으로 중간 리테이너(116)에 장착된다. 중간 리테이너(116)의 각 결합편 부분(158) 및 결합 집게 부재(159)를 에어백(117)의 보강 장착부(168)의 대응 결합 슬릿(171)안에 각각 결합식으로 삽입하고, 중간 리테이너(116)의 각 결합 집게 부재(160)를 에어백(117)의 보강 장착부(169)의 대응 결합 슬릿(172)안에 결합식으로 끼운다. 이 상태에서 에어백(168)의 각 보강 장착부(168)는 중간 리테이너(116)의 보조 평면부(157) 위에 위치하며, 따라서 팽창기(115)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또한, 에어백(117)은 개구 마우스(166) 근처에 보조 피륙부(174)를 갖추고 있으며, 에어백(117)에 충전된 가스가 배출될 수 있게 해주는 원형 개구(175)를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배열된 에어백 수납 유닛(11)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차량의 충돌 등이 일어나면 이 충돌의 충격이 충격 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팽창기(115)의 점화기를 작동시키게 되어 팽창기(115)가 높은 온도 및 압력의 질소 가스를 방출하게 된다. 이 가스는 중간 리테이너(116)의 관통 구멍(152)을 통해서 에어백(117)으로 유동하여 에어백(117)을 밀어내게 되며, 여기서 롤형 에어백(117)의 회전시에 커버 부재(141)에 충돌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커버 부재(141)를 파열선(144)을 따라 개방하게 되어 에어백(117)이 돌출하게 되는 개구를 형성하게 된다. 그 후에, 가스가 에어백(117)안에 취입되어 에어백(117)이 승객측 또는 자동차의 앞유리를 향해 팽창되어 조수석의 전방으로 전개되어서 승객이 유리 등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에는 제14a도 내지 제14e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의 에어백 수납 유닛(11)을 조립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4a도에 도시된 것처럼 에어백(117)이 이미 장착되어 있는 중간 리테이너(116)를 케이싱 상부측 개구(122)를 통해서 팽창기(115) 등이 없는 빈 케이싱(114)을 향해 경사진 상태에서 삽입한다. 그 후에, 제14b도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 리테이너(116)를 경사졌을 때 연통 공간(125)을 통과시켜서 팽창기 저장 챔버(127)에 삽입한다.
그 후에, 제14c도 및 제14d도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 리테이너(116)를 케이싱(114)의 연통 공간(125)에 대체로 평행하게 되는 위치로 회전시킨다. 그 후에, 제14e도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 리테이너(116)를 당기거나 밀어서 평행 이동시키셔 중간 리테이너(116)의 대향 단부들에 형성된 피팅편 부분(161)이 중간 리테이너(116)와 케이싱(114) 중 적어도 하나의 탄성 변형 하에서 케이싱(114)의 레지부(133)에 접촉하거나 그 위에 놓이게 한다.
이 상태에서, 중간 리테이너(116)는 각 결합편 부분(158)이 케이싱(114)의 결합 홈 또는 구멍(134)에 삽입되어 오목부(124)에 끼워지도록 케이싱(114)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각 결합편 부분(161)의 제1접촉부(163) 및 제2접촉부(164)는 수평 평면부(131)의 하부 표면과 케이싱(114)의 외향 돌출부 C의 레그부(133)의 상부 표면에 각각 접촉하게 된다.
그 후에, 에어백(117)을 절첩하여 에어백 저장 챔버(126)에 저장한다. 그 다음에, 커버 부재(141)를 케이싱(114) 상에 장착하여 상부측 개구(122)를 덮는다. 마지막으로, 팽창기(115)를 케이싱(114)의 팽창기 저장 챔버(127)에 삽입하여 저장하여 에어백 수납 유닛(11)의 조립 공정을 완료한다. 이 상태에서 중간 리테이너(116)의 위치 결정 돌기(153)는 팽창기(115)의 상부 표면에 접촉하거나 (약간의 간격을 두고) 이에 대면하게 되며, 이로써 중간 리테이너(116)가 하방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2실시예의 에어백 수납 유닛(11)에 따르면, 팽창기(115)와 중간 리테이너(116) 및 에어백(117)은 일편 구조 케이싱(114)에 저장되므로 에어백 수납 유닛(11)의 부품 수효 및 제조 공정의 단계를 줄일 수 있어서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중간 리테이너(116)가 팽창기(115)와 에어백(117) 사이에 삽입되므로 절첩시에 저장된 에어백(117)이 팽창기(115)로부터 이격된 적절한 위치에 유지되어 에어백(117)이 팽창기(115)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에어백(117)을 고온 가스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는 에어백(117)을 비교적 얇은 재료로 형성할 수 있게 하여 에어백 수납 유닛(11)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제2실시예에서 에어백(117)의 하단부는 중간 리테이너(116)의 보조판 부분(157)의 작용하에서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팽창기(115)에 접촉하게 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에어백(117)을 갖춘 중간 리테이너(116)는 1회 접촉 작동 또는 스냅 결합 방식으로 케이싱(114)에 장착될 수 있어서 에어백 수납 유닛(11)의 부품 수효 및 제조 공정의 단계를 줄이면서 제조 비용도 낮출 수 있다.
또한, 에어백(117)은 볼트 또는 리벳등의 별도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중간 리테이너(116)에 결합되어 장착되므로 부품 수효 및 제조 공정의 단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케이싱(114)은 팽창기(115)를 제위치에 고정하고 중간 리테이너(116)를 제 위치에 고정하고 에어백(117)을 자체 내에 수납하고 커버 부재(141)를 제위치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팽창기(115)용 압력 용기로서 작용한다. 이는 에어백 수납 유닛(11)의 제조 비용은 낮추면서 부품 수효 및 제조 공정의 단계는 줄게 된다.
케이싱(114)은 중간 리테이너(116)가 접촉하게 되는 수평 평면부(131)를 갖는 외향 돌출부 C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로써 중간 리테이너(116) 및 에어백(117)을 제위치에 고정 유지할 수 있어서 상기 보유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도 비교적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싱(114)의 결합 홈 또는 구멍(134)에 삽입되는 각각의 결합편 부분(158)의 작용하에서 중간 리테이너(116)가 종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에어백(117)의 보강 장착부(168)들은 보조(117) 평면부(157) 위에 유지되며, 이로써 에어백(117)의 팽창기(115)로부터 방출된 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팽창기(115)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가스가 에어백(117)에 효과적으로 도입되게 해준다.
중간 리테이너(116)는 팽창기(115)의 외주연 표면의 상부에 접촉하거나 (약간의 간격을 갖고) 이에 대면하도록 하는 위치 결정 돌기(153)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중간 리테이너(116)가 제위치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에어백 수납 유닛(11)은 리벳 등의 별도의 체결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서 부품 수효를 줄이게 된다. 또한, 에어백 수납 유닛(11)의 주요부의 조립 작업을 스냅 작동으로 수행할 수 있어서 조립 설비에 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어서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를 이루는 동시에 에어백 수납 유닛(11)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커버 부재(141)가 케이싱 상부 L에 장착된 장착 볼트(137)를 사용하여 케이싱(114)의 상부 L에 장착된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커버 부재(141)는 보강판(181)이 점용접 등에 의해 케이싱 상부 L에 고정되는 제15도에 도시된 방식으로 장착할 수도 있다. 각 보강판(181)은 대체로 U형인 단면을 취하는 결합부(182)를 갖는다. 이 결합부(182)는 커버 부재(141)가 케이싱(114)에 고정식으로 결합되도록 커버 부재(141)의 각 레그부(143)에 형성된 관통 구멍(145)에 결합된다. 이러한 배열 방식은 부품 수효를 줄이고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해주면서도 케이싱(114)을 보강하게 되어 케이싱(114)이 에어백(117)의 전개 중에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리테이너(116)가 제11도에 도시된 것처럼 배열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중간 리테이너(116)는 각 결합 집게 부재(159)가 상방으로 상승되어서 에어백(117)의 결합 슬릿(171)에 결합되는 후크부(159a)를 자체의 선단부에 형성하고 있는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된 것처럼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중간 리테이너(116)의 기부판부(151)는 평면부 형상으로 형성되며 3개의 위치 결정 돌기(153)를 갖는다. 또한, 중간 리테이너(116)는 각각의 전방측 및 후방측 모서리부들에 소정 간격으로 정렬된 복수개(예를 들어 4개)의 피팅편 부분(161)을 갖추고 있으며, 여기서 3개의 피팅편(161) 각각은 결합편 부분(158)의 C형 부분을 절결하여 이를 상승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상방 상승 결합편 부분(158)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자동차의 계기 패널에 장착된 에어백 수납 유닛(11)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에어백 수납 유닛(11)은 케이싱(114)의 상부측 개구(122)가 앞좌석의 승객에 대면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고 뒷좌석 승객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에어백 수납 유닛에 있어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가스를 방출하기 위한 팽창기와, 상기 케이싱에 배치되고 팽창기가 가스를 공급하면 팽창하여 전개되도록 된 에어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팽창기와 에어백 사이에 위치된 중간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결합 표면을 갖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 리테이너는 제1결합부의 제1 및 제2결합 표면에 각각 결합 가능한 대향하는 제1 및 제2결합 표면을 갖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과 중간 리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는 제2결합부의 제1 및 제2결합 표면이 제1결합부의 제1 및 제2결합 표면에 각각 결합하도록 중간 리테이너를 케이싱에 체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수단을 케이싱과 중간 리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 수단을 제1결합부의 제1 및 제2결합 표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장착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수단은 제2결합부의 제1 및 제2결합 표면으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제1 및 제2 체결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체결 부재는 제1 및 제2장착 구멍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수납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케이싱의 상기 제1결합부의 제1 결합 표면을 향해 상기 케이싱의 내주연을 따라 상기 제1 체결 부재를 안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수납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제1 및 제2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장착부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의 제1표면들 사이에 놓이며, 상기 제2장착부는 제1 및 제2결합부 중 제2표면들 사이에 놓이며, 상기 제1 및 제2장착부에는 상기 중간 리테이너의 상기 제1 및 제2 체결 부재가 각각 삽입되는 제1 및 제2 장착 구명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수납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및 제2장착부는,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장착부를 제위치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중간 리테이너의 모서리부와 결합 가능한 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수납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리테이너는 가스가 통과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수단과, 상기 중간 리테이너의 대향 단부들에 위치되어 에어백을 향해 돌출하는 제1 및 제2결합편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은 상기 중간 리테이너의 제1 및 제2결합편과 각각 결합하는 제3 및 제4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수납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 표면은 상기 에어백을 향한 방향으로 점점 접근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수납 유닛.
  7. 에어백 수납 유닛에 있어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가스를 방출하기 위한 팽창기와,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팽창기가 가스를 공급하면 팽창하여 전개되도록 된 에어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팽창기와 에어백 사이에 위치된 중간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결합을 표면을 갖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 리테이너는 제1결합부의 제1 및 제2결합 표면에 각각 결합 가능한 대향하는 제1 및 제2결합 표면을 갖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과 중간 리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는 제2결합부의 제1 및 제2결합표면이 제1결합부의 제1 및 제2결합 표면에 각각 결합하도록 중간 리테이너를 케이싱에 체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수단은 케이싱과 중간 리테이너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 수단은 케이싱의 내부 표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피팅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부의 제1 및 제2결합 표면은 제1 및 제2피팅홈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체결 수단은 제2결합부의 제1 및 제2결합 표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피팅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피팅부는 제1 및 제2피팅홈에 각각 견고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수납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홈을 형성하는 수단은 상기 케이싱의 벽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는 상기 케이싱의 각각의 피팅홈을 사이에서 형성하기 위해 서로 대면하며, 상기 중간 리테이너의 각각의 피팅부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와 각각 결합 가능한 제1 및 제2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수납 유닛.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및 제2피팅부 근방에 각각 위치된 제1 및 제2에어백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은 상기 제1 및 제2에어백 장착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수납 유닛.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단일편 구조이고, 상기 팽창기가 배치되는 팽창기 저장 챔버와 에어백이 배치되는 에어백 저장 챔버를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수납 유닛.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에는 제1 및 제2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및 제2피팅부 근방에 각각 위치되는 제1 및 제2결합 집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결합 집게부는 상기 에어백의 상기 제1 및 제2 슬릿에 각각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수납 유닛.
  12. 제1결합부를 갖중 중간부, 케이싱 내에서 상기 중간부의 대향 측면 상에 형성되고 일단부가 개방되는 제1챔버, 및 케이싱 내에서 상기 중간부의 대향 측면 상에 형성된 제2 챔버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제2 챔버 내에 배치되고 가스를 방출하기 위한 팽창기와; 상기 제1챔버 내에 배치되고 팽창기가 가스를 공급하면 팽창하여 전개되는 에어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상기 팽창기와 상기 에어백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제2결합부와 상기 에어백이 고정 가능한 장착부를 갖는 중간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에어백 수납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을 상기 장착부에서 상기 중간 리테이너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중간 리테이너가 상기 케이싱에 견고하게 장착되는 장착 상태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상기 중간 리테이너를 상기 케이싱의 개방 단부를 통해 제2챔버 내로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중간 리테이너를 장착 상태를 이루는 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장착 상태를 얻기 위해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제2결합부를 상기 케이싱의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수납 유닛 제조 방법.
  13. 제1결합부 및 장착 구멍을 갖는 중간부, 케이싱 내에서 상기 중간부의 대향 측면 상에 형성되고 일단부가 갭이 되는 제1 챔버, 및 케이싱 내에서 상기 중간부의 대향 측면상에 형성된 제2챔버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제2챔버 내에 배치되고 가스를 방출하기 위한 팽창기와; 상기 제1챔버 내에 배치되고 상기 팽창기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면 팽창하여 전개되는 에어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상기 팽창기와 상기 에어백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제2결합부와 상기 케이싱의 상기 장착 구멍 내에 삽입 가능한 체결 부재를 갖는 중간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에어백 에어백 수납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간 리테이너가 상기 케이싱에 견고하게 장착되는 장착 상태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상기 중간 리테이너를 상기 케이싱의 개방 단부를 통해 제2챔버 내로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중간 리테이너의 상기 체결 부재를 상기 케이싱의 상기 장착 구멍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중간 리테이너를 장착 상태를 이루는 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중간 리테이너의 상기 결합부를 상기 케이싱의 상기 결합부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수납 유닛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단계는 상기 체결 부재를 상기 케이싱의 내부 표면을 따라 형성된 안내 채널에 활주 가능하게 끼우는 단계와, 상기 체결 부재를 상기 안내 채널을 따라 상기 케이싱의 상기 결합부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수납 유닛 제조 방법.
  15. 제1결합부를 갖는 중간부-상기 제1결합부는 서로 대면한 제1 및 제2피팅홈을 가짐-, 케이싱 내에서 상기 중간부의 대향 측면 상에 형성되고 일단부가 개방되는 제1 챔버, 및 케이싱 내에서 상기 중간부의 대향 측면 상에 형성된 제2챔버를 갖는 단일편 구조의 케이싱과; 상기 제2챔버 내에 배치되고 가스를 방출하기 위한 팽창기와; 상기 제1챔버 내에 배치되고 상기 팽창기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면 팽창하여 전개되는 에어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상기 팽창기와 상기 에어백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제2결합부와 상기 에어백이 고정 가능한 장착부를 갖는 중간 리테이너-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중간 리테이너의 대향 모서리부들에 위치되는 제1 및 제2피팅부를 가짐-를 포함하는 에어백 수납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을 상기 장착부에서 중간 리테이너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중간 리테이너를 상기 케이싱의 개방 단부를 통해 케이싱 내로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중간 리테이너가 상기 케이싱 내부에 견고하게 끼워지는 장착 상태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상기 케이싱의 중간부에 있는 제1 및 제2피팅홈들 사이를 통과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중간 리테이너를 상기 제1 및 제2피팅홈을 통과하는 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장착 상태를 얻기 위해 상기 중간 리테이너의 상기 제1 및 제2피팅부를 상기 케이싱의 상기 제1 및 제2피팅홈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수납 유닛 제조 방법.
KR1019960013136A 1996-02-14 1996-04-26 에어백 수납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KR100209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26586A JP2980839B2 (ja) 1996-02-14 1996-02-14 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
JP96-26586 1996-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648A KR970061648A (ko) 1997-09-12
KR100209052B1 true KR100209052B1 (ko) 1999-07-15

Family

ID=12197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3136A KR100209052B1 (ko) 1996-02-14 1996-04-26 에어백 수납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75724A (ko)
EP (1) EP0790151B1 (ko)
JP (1) JP2980839B2 (ko)
KR (1) KR100209052B1 (ko)
DE (1) DE6962890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2833A (en) * 1997-03-14 2000-07-25 Takata Corporation Air bag mounting structure for passenger-side air bag device
DE29723034U1 (de) * 1997-12-22 1998-02-19 Petri Ag Airbagmodul, insbesondere Beifahrerairbagmodul, mit Abdeckkappe
DE29800444U1 (de) * 1998-01-13 1998-04-23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Flammschutz für einen Gassack
AUPP247798A0 (en) * 1998-03-18 1998-04-23 Rudduck, Dickory Fixing and release systems
US6120056A (en) * 1998-04-30 2000-09-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Self-locking air bag retainer
KR100310856B1 (ko) * 1998-06-30 2001-10-17 히로세 마꼬또 에어백 장치, 에어백 접는 방법 및 에어백 접는 장치
DE29814233U1 (de) * 1998-08-07 1998-10-22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Luftsackmodul
DE19837899A1 (de) * 1998-08-20 2000-02-24 Takata Europ Gmbh Gassackmodul
US6161865A (en) * 1999-05-28 2000-12-19 Autoliv Asp, Inc. Interlocking airbag attachment and module assembly
JP4120132B2 (ja) 1999-08-19 2008-07-16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ケース
JP3758429B2 (ja) * 1999-08-27 2006-03-22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ケース
JP2001122070A (ja) * 1999-10-22 2001-05-08 Takata Corp エアバック装置及び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DE29922562U1 (de) * 1999-12-22 2000-05-04 Trw Repa Gmbh Gassackmodul mit Gasführungseinrichtung
JP2001213257A (ja) * 2000-02-03 2001-08-07 Toyoda Gosei Co Ltd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DE20004830U1 (de) * 2000-03-16 2000-08-03 Trw Repa Gmbh Baugruppe, insbesondere Gassack-Modul
DE10062160B4 (de) * 2000-12-14 2013-03-07 Volkswagen Ag Gehäuse für wenigstens einen Airbag eines Airbagmoduls
US6435541B1 (en) * 2000-12-21 2002-08-20 Delphi Technologies, Inc. Modular air bag housing
US6705635B2 (en) 2001-08-01 2004-03-16 Autoliv Asp,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apidly fastening an airbag apparatus
SE0200905D0 (sv) * 2002-03-26 2002-03-26 Lear Corp Motor vehicle occupant inpact protection arrangement
US6851704B2 (en) 2002-05-13 2005-02-08 Lear Corporation Air bag assembly
KR100500287B1 (ko) * 2002-07-18 2005-07-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
KR100522870B1 (ko) * 2003-08-13 2005-10-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
US20060237950A1 (en) * 2005-01-14 2006-10-26 Worrell Barry C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a side airbag
US20080007035A1 (en) * 2006-06-26 2008-01-10 Trw Automotive Gmbh Airbag module
JP5933236B2 (ja) * 2011-11-29 2016-06-0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ガス供給装置およびエアバッグ装置
JP6178110B2 (ja) * 2013-05-13 2017-08-09 スズ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08042A1 (en) * 1991-10-21 1993-04-2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bag assembly
US5490690A (en) * 1991-10-21 1996-02-1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hicle safety apparatus including inflatable restraint
US5344182A (en) * 1992-02-24 1994-09-06 Morton International, Inc. Air bag retention in inflatable restraint systems
US5255937A (en) * 1992-03-16 1993-10-2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hicle air bag with continuous frame retainer
JP3074942B2 (ja) * 1992-07-03 2000-08-07 タカタ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におけるエアバッグ取付構造
CA2117831C (en) * 1993-10-13 1998-06-09 Akihiro Ikeya Passive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occupant using an air bag
JP3016683B2 (ja) * 1993-10-22 2000-03-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3016682B2 (ja) * 1993-10-19 2000-03-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式乗員保護装置
JP3212053B2 (ja) * 1993-10-25 2001-09-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式乗員保護装置
US5588675A (en) * 1993-12-20 1996-12-31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with gas augmentation
JP3020086U (ja) * 1994-07-27 1996-01-19 モート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膨張可能な拘束式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US5484165A (en) * 1994-08-12 1996-01-1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US5588667A (en) * 1994-09-30 1996-12-3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hicle occupant restraint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y
US5503425A (en) * 1994-10-28 1996-04-02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with expandable retaining ring
US5533745A (en) * 1995-01-10 1996-07-0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US5556124A (en) * 1995-01-24 1996-09-1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US5529332A (en) * 1995-04-26 1996-06-2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80839B2 (ja) 1999-11-22
US5775724A (en) 1998-07-07
DE69628905T2 (de) 2003-12-24
EP0790151A2 (en) 1997-08-20
EP0790151B1 (en) 2003-07-02
EP0790151A3 (en) 2000-12-06
KR970061648A (ko) 1997-09-12
DE69628905D1 (de) 2003-08-07
JPH09216545A (ja) 1997-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9052B1 (ko) 에어백 수납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US6250669B1 (en) Instrument panel having integral airbag door portion
US5806879A (en) Air bag apparatus for passenger seat and bag folding method used therefor
KR100262260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Air Bag Apparatus for Vehicle)
US7185912B2 (en) Knee protection airbag device
US7669884B2 (en) Air bag device
EP1674349B1 (en) Head-protecting airbag apparatus
US5746447A (en) Airbag module
US8562016B2 (en) Curtain airba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0904992A2 (en) Placement structure for head-protecting air bag body
US6902186B2 (en) Knee protecting airbag device
US5217254A (en) Air bag system for assistant driver
US6994372B2 (en) Air bag cover with articulated tear seam
CN114585542A (zh) 侧安全气囊装置
KR100503294B1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JPH10175500A (ja) 側面衝突用の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組立体
JP2004210099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とその組立体
JPH07117609A (ja) エアバッグ式乗員保護装置
US5342083A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apparatus
EP2692590B1 (en) Airbag device
JP3561900B2 (ja) 乗員拘束装置の配設構造
JPH08142790A (ja)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3463001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H11139236A (ja) エアバッグドア部を一体に有す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2965469B2 (ja) 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