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8950B1 - 생대두 분말을 원료로 사용하는 두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생대두 분말을 원료로 사용하는 두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8950B1
KR100208950B1 KR1019960061505A KR19960061505A KR100208950B1 KR 100208950 B1 KR100208950 B1 KR 100208950B1 KR 1019960061505 A KR1019960061505 A KR 1019960061505A KR 19960061505 A KR19960061505 A KR 19960061505A KR 100208950 B1 KR100208950 B1 KR 100208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fu
tank
water level
soym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1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3582A (ko
Inventor
박두영
Original Assignee
이우영
중소기업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영, 중소기업은행 filed Critical 이우영
Priority to KR1019960061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8950B1/ko
Publication of KR19980043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8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8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대두 분말을 원료로 사용하여 두부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생대두 분말용액을 고온,고압의 스팀에 의해 신속하게 탕비하여 가공하고 이와 같이 가공된 두유는 성형조(8)에서 간수를 혼합하여 성형한 다음, 다수개의 날로 이루어진 커터(10)에 의해 단번에 재단되도록 하여 신속한 두부생산이 가능토록 하되, 이러한 일련의 제조과정이 컨트롤러(11)에 의해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자동화 생산이 가능토록 하는 두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대두 분말을 원료로 사용하는 두부 제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제조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요부인 성형다이와 커터를 설명하는 요부상세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작동순서를 설명하는 제어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반조 2 : 교반기
3 : 생대두분말 혼합액 4 : 고압 탕비기
5 : 저장조 6 : 개폐기
7 : 간수 주입기 8,8' : 성형조
9 : 성형대 10 : 커터
11 : 컨트롤러 12 : 보일러
13 : 스팀 파이프 14 : 혼합액 공급관
15 : 두유 공급관 16,17 : 흡입펌프
18 : 손잡이 19 : 두부
20 : 가로날 21 : 세로날
22 : 수위센서 24 : 온도센서
25 : 두유량 센서 26 : 물 공급관
27 : 정수기 28 : 수위 표시등
29 : 물 공급 스위치 30 : 교반기 작동스위치
31 : 혼합액 이송스위치 32 : 보일러 작동스위치
33 : 스피커 34 : 두유 이송 스위치
본 발명은 생대두 분말용액을 고온, 고압의 스팀에 의해 신속하게 탕비, 가공하는 두부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러단계의 두부제조공정이 컨트롤러와 각종 센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되도록 함에 따라 작업성이 대폭 개선되고 제조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두부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점, 노점, 슈퍼마켓등에서 판매하는 두부는 대두를 물에 일정시간 침적하여 불린다음 분쇄하고 가열하고 나서 여과하여 제작하게되는데, 여과시 덩어리로 뭉쳐지게 되는 콩비지를 제거하면 연두부액이 남게되며 이 연두부액에 간수를 일정량 부어서 응고시킨 다음 칼로 일일이 재단하여 제조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제조하는 종래의 두부제조방법에서는 콩비지와 같은 찌꺼기가 많이 발생하므로 여과공정이 필요하게 되며 응고된 두부 재단시 칼로 일일이 잘라야 하므로 제조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 성질상 수작업에 의존하여야 하므로 자동화 및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실용공개 제94-25871호에서는 여과공정과 압축 탈수공정 없이 두부가 제조될 수 있도록 한 두부제조기에 대해서 개시한바 있는데, 이 두부제조기는 물에 생대두 분말을 섞어 주기 위한 교반기와, 교반되어진 분말용액을 고온, 고압으로 탕비하기 위한 탕비기와, 저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저장조를 설치하여 각각 공급관으로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저장조 아래에 레버에 의해 회전하는 계량통을 설치하고 계량통 앞에는 성형통을 위치시키고 있어서 여과공정과 압축 탈수공정 없이도 두부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 방법에서는 작업자가 작업개시 버튼을 일일이 조작함에 의해 각 공정들이 수행되도록 구성되어져 있으므로 작업자는 작업이 완료될때까지 작업 진행상황에 주목하여야 하는바, 작업이 대단히 불편하고 제조불량이 발생될 개연성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교반기와 저장조에 물이나 두유액을 주입할시에 작업자가 일일이 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하여야 하므로, 간혹 용액이 용기로부터 넘치게 되거나 정량을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전에 작업자가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경보 기능조차 없었으므로 제조불량이 발생될 개연성도 컸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반기, 탕비기등에 대한 두부 제조공정이 컨트롤러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함에따라 작업성이 개선되도록 하고 제조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교반기의 저장조에서는 용액공급이 수위센서와 콘트롤러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되도록 하고 위험 상황에서는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하여서 편리하고도 안정된 작업이 가능토록 하고 있으며, 탕비기에서는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에의해 두유가 설정온도까지만 가열되도록 하고 이들이 설정온도에 도달되면 자동적으로 저장조에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성형조에서 경화된 두부는 다수개의 가로날과 세로날로 이루어진 커터에 의하여 단번에 여러 조각으로 절단되어지도록 함에 따라 신속하고도 편리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제조장치의 정면도이며, 제2도는 본 발명의 요부인 성형다이와 커터를 설명하는 요부 상세도로서 상기 도면에서 보면, 정수기(27)와 연결된 물공급 파이프(26)가 상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투입되는 대두분말혼합액(3)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센서(22)가 내부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력이 가해지는 교반기(2)가 설치되는 교반조(1)와, 상기 교반조(1)의 하부 토출구로부터 흡입펌프(16)를 사이에 두고 혼합액공급관(14)에 의해서 연결되어지며 보일러(12)로부터의 스팀파이프(13)가 내부로 연결되며 생대두분말 혼합액(3)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24)가 내부에 설치되는 고압 탕비기(4)와, 상기 탕비기(4)의 하부 토출구로부터 흡입펌프(17)를 사이에 두고 두유 공급관(15)에 의해 연결되어지며 상광하협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의 종단에는 개폐기(6)가 부착되고 그 내부에는 두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두유량 센서(25)가 설치되는 저장조(5)와, 상기 저장조(5)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성형조(8`)가 서랍처렴 상하방향으로 여러개 연결되며 상부는 분리된 성형조(8)가 놓여지기에 충분한 평평한 면으로 되고 상부 일측에는 간수공급용도의 간수주입기(7)가 설치되는 성형대(9)와, 상기 성형조(8)에 수용될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가로날(20)과 다수개의 세로날(21)이 일정간격으로 교차되어 구성되고 상부에는 손잡이(18)가 부착되는 커터(10)와, 수위센서(22)에 의해 교반조(1)내부의 수위가 일정범위로부터 벗어난 것으로 감지되면 점등하게 되는 수위표시등(28)과, 정수기(27)로부터 교반조(1)내부로 물공급을 개시토록 하는 물공급 스위치(29)와, 교반기(2)가 작동하도록 하는 교반기 작동 스위치(30)와, 흡입펌프(16)를 작동하기 위한 혼합액이송 스위치(31)와, 보일러(12)를 작동하기 위한 보일러 작동 스위치(32)와, 온도센서(24)에서 설정치의 온도에 도달된 것으로 감지되면 내부 타이머가 작동 개시하고 일정시간이 지나게 되면 경보음을 발생하게 되는 스피커(33)와, 흡입펌프(17)를 작동하기 위한 두유 이송스위치(34)로 구성되는 컨트롤러(11)와, 상기 고압 탕비기(4)와 스팀 파이프(13)에 의해 연결되고 정수기(27)와는 물공급 파이프(26)에 의해 연결되는 보일러(1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제3도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장조(2) 내부의 수위센서(22)로부터 저장조 내부의 수의가 일정범의 이하인 것으로 감지되면 컨트롤러(11)의 수위 표시등(28)이 점등되는데, 이때 물공급 스위치(29)를 ON하면 물공급관(26)을 통해 정수기(27)로부터 교반조(1)내부로 물이 공급된다. 상기한 수위센서(22)에서 물이 일정량이상 공급된 것으로 감지되면 컨트롤러(11)에의해 물공급이 중단되며, 이때 교반기 작동스위치(30)를 ON함에 의해 타이머에 의해서 설정된 시간동안 교반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교반작업이 완료되면 혼합액 이송스위치(31)를 ON하여 흡입펌프(16)가 작동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교반조(1) 내부에 있던 생대두분말 혼합액(3)이 고압 탕비기(4) 내부로 이송되도록 한다.
고압 탕비기(4) 내부에 일정량이 생대두분말 혼합액이 채워지면 보일러 작동스위치(32)를 ON하여 탕비가 개시되도록 하는데, 온도센서(24)에서 설정치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타이머가 작동되어 일정시간후에 스피커(33)에 탕비가 완료되었다는 경보음이 발생된다. 이때 보일러 작동스위치(32)를 OFF하고 두유 이송스위치(34)를 ON하여 흡입펌프(17)가 작동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고압 탕비기(4)내부에 있던 탕비된 생대두분말 혼합액, 즉 두유가 두유이송관(15)를 통해 저장조(5)에 공급되도록 한다. 저장조(5)에 두유가 일정량 이상 공급되어 두유량 센서(25)가 ON 되면 흡입펌프(17)가 작동중단되어 저장조(5)로의 두유공급이 중단된다. 이후에 작업자는 저장조(5)의 하단에 있는 개폐기(4)를 열어 성형조(8)에 두유가 채워지도록 하고 간수 주입기(7)로부터 간수를 주입하고 기타 혼합물을 주입한다. 이상과 같이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형성조(8)를 성형대(9)로 옮겨서 두유가 굳어지도록 하고, 빈 성형조(8`)를 성형대(9)로 상부에 옮겨서 상기한 바와 같은 두유주입작업 및 간수주입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얼마후에 성형조(8`)의 두유가 굳어지게 되면 커터(10)를 성형조(8)의 상부로부터 하강시켜 응고된 두유를 눌러주게되는데. 이때 다수개의 가로날(20)과 세로날(21)에의해 일정크기로 두부가 재단되어져서 두부제조공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교반기, 탕비기등에 대한 두부 제조공정이 컨틀롤러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작업성이 개선되도록고 하고 제조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교반기의 저장조에서는 용액 공급이 수위센서와 큰틀로러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되도록 하고 위험 상황에서는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하여서 편리하고도 안정된 작업이 가능토록 하고 있으며, 탕비기에서는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에의해 두유가 설정온도까지만 가열되도록 하고 이들이 설정온도에 도달되면 자동적으로 저장조에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성형조에서 경화된 두부는 다수개의 가로날과 세로날로 이루어진 커터에 의하여 단번에 여러 조각으로 절단되어지도록 함에 따라 신속하고도 편리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Claims (1)

  1. 내부에는 수위센서(22)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교반기(2)가 설치된 교반조(1)와, 상기 교반조(1)로부터 혼합액 공급관(14)에 의해 연결되어지며 보일러(12)로부터 고온, 고압의 증기가 공급되는 고압탕비기(4)와, 상기 고압 탕비기(4)로부터 두유 공급관(15)에 의해 연결되어지며 저부에는 개폐기(6)가 설치된 저장조(5)와, 상기 저장조(5)하부에 위치하는 성형조(8)로 구성된 생대두 분말을 원료로 사용하는 두부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위센서(22)에서 수위가 하한치 이하인 것으로 감지되면 컨틀로려(11)의 수위표시등(28)이 점등됨과 동시에 물공급 스위치(29)가 ON되어서 교반조(1)에 물 공급이 시작되고 다시 상기 수의센서(22)에서 수위가 상한치에 도달한 것으로 감지되면 자동적으로 물공급 스위치(29)가 OFF되어 물 공급이 중단되어지며, 고압탕비기(4)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24)에서 탕비온도가 설정치를 초과한 것으로 감지되면 타이머가 작동되어 일정시간후 스피커(33)를 통하여 탕비완료를 알리는 경보음이 발생되어지며, 상기 저장조(5) 내부에 설치된 두유량 센서(25)에서 두유량이 설정치 이상공급되어진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두유 공급관(15)중간에 설치된 흡입펌프(17)가 자동적으로 멈춰짐에 따라 두유공급이 중단되고, 상기 성형조(8)에서 경화되어진 두부는 다수개의 가로날(20)과 세로날(21)이 일정 간격으로 교차 형성되고 상부에는 손잡이(18)가 부착되어진 커터(10)에 의해서 단번에 여러조각으로 절단되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대두분말을 원료로 사용하는 두부제조장치.
KR1019960061505A 1996-12-04 1996-12-04 생대두 분말을 원료로 사용하는 두부 제조장치 KR100208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505A KR100208950B1 (ko) 1996-12-04 1996-12-04 생대두 분말을 원료로 사용하는 두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1505A KR100208950B1 (ko) 1996-12-04 1996-12-04 생대두 분말을 원료로 사용하는 두부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582A KR19980043582A (ko) 1998-09-05
KR100208950B1 true KR100208950B1 (ko) 1999-07-15

Family

ID=19485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1505A KR100208950B1 (ko) 1996-12-04 1996-12-04 생대두 분말을 원료로 사용하는 두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89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922Y1 (ko) * 2012-08-20 2013-05-14 황광연 정수 공급기능을 갖는 생두부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922Y1 (ko) * 2012-08-20 2013-05-14 황광연 정수 공급기능을 갖는 생두부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582A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561B1 (ko) 두부 제조 장치
CN107668218B (zh) 一种豆腐生产线
KR100208950B1 (ko) 생대두 분말을 원료로 사용하는 두부 제조장치
WO2001093697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e lait de soja, procede de fabrication de tofu et dispositif permettant de fabriquer le tofu
JPS6221496B2 (ko)
KR200160852Y1 (ko) 생대두 분말을 이용하여 신속한 두부제조가 가능토록 하는 두부 제조장치
CN109090265A (zh) 一种环保型全自动豆腐生产线及其生产方法
JP2639454B2 (ja) 家庭用全自動豆腐製造機における豆乳製造装置
KR20090075333A (ko) 소형 두부제조장치
EP3747274A1 (en) A method for macerating cold coffee and a device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KR20220124473A (ko) 다기능 두부 제조기
KR200465509Y1 (ko) 두부 제조기
US6143351A (en) Continuous production of gelatinous products
JPH0646315Y2 (ja) 蒸気式煮沸抽出装置
CN212997466U (zh) 一种快速降温中药煎药机
KR101741004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자동제어장치 장착형 기능성 두부 제조기계
JPH0260561A (ja) 豆腐製造装置
JPH02182166A (ja) 家庭用全自動豆腐製造機における豆乳製造装置
KR100317850B1 (ko) 두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S6328364A (ja) 豆腐製造における凝固剤の注入方法
CN112369936B (zh) 一种自动滤渣的豆浆机
US20220133078A1 (en) Method and machine for emulsifying milk
JPH01196275A (ja) 豆腐製造器
JPS5813360A (ja) 豆腐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511967Y2 (ja) 絹ごし豆腐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