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7869B1 - 파쇄장치 - Google Patents
파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07869B1 KR100207869B1 KR1019950703479A KR19950703479A KR100207869B1 KR 100207869 B1 KR100207869 B1 KR 100207869B1 KR 1019950703479 A KR1019950703479 A KR 1019950703479A KR 19950703479 A KR19950703479 A KR 19950703479A KR 100207869 B1 KR100207869 B1 KR 1002078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m
- projections
- arms
- tip
- claw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E04G23/082—Wrecking of buildings using shears, breakers, jaws and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E04G2023/086—Wrecking of buildings of tanks, reservoi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한쌍의 아암 (2a), (2b)은 그 중간부를 지지체에 핀 (8)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들 아암의 핀 (8)으로 지지된 부위로부터 선단에 걸친 아암 전방부는, 끝이 포크형으로 갈라져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다. 이들 복수 돌기의 선단에 각각 클로오 ((7a), (7a`), (7a) ; (7b), (7b)를 부착한다. 한쪽의 아암 (2a)의 클로오 (7a), (7a`),(7a)중 특정의 클로오 (7a`)만, 다른 돌기 (7a), (7a)보다도 내측으로 향하여 돌추라는 자세를 부여한다. 각 아암 (2a), (2b)의 전방부의 핀 (8)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부위 까까이에는 전단 블레이드 (10a), (10b)를 부착하고, 또한 아암 전방부의 전단 블레이드가 부착되는 부위와 선단 돌기부를 제외한 중간의 부위에는 복수의 투공부 (12)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파쇄장치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파워쇼벨 등의 작업기계에 부착하여 목조건물이나,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파괴에 사용하는 파쇄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유압 실린더로 아아을 개폐 구동하여 구축물을 파쇄하도록 한 파쇄장치는 이미 공지이다. 이 종류의 파쇄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63-40061호 공보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하는 아암의 선단에 콘크리트 구축물을 협압 (挾壓)을 가하여 파쇄하는 눌러부숨 블레이드를 구비함과 동시에, 아암 중간부의 피봇점 근방에, 철근 콘크리트 구축물의 콘크리트를 눌러 부숨 블레이드로 눌러부쉈을 때 노출되는 철근, 철골 등을 절단하는 전단 (剪斷)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구축물을 눌러부순 그대로의 상태로는 파편이 너무 커서 반출작업에 지장을 초래함과 동시에, 재이용도 할 수 없으므로, 구축물을 눌러부순후 재차 출러부순 파편을 작은 파편으로 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잘게 하기 위하여 살술한 일본국 특개소 63-40061 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파쇄장치를 사용하여서는, 작업효율이 매우 나빠져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큰 파편을 잘게하는 파쇄장치는 일본국 특개소 59-187976 호 공보나 일본국 특개평 4-347270호 공보 등에 의해 공지이다. 이들은, 한쌍의 아암 각각에, 아암 전방부 (아암 피봇부로부터 선단까지 뻗는 부분)의 중간부에 투공 (透孔)을 형성함과 동시에, 한쪽의 아암에는 이 중간부에 돌기 또는 롤러를 갖추고 있다. 그렇게 하여, 한쌍의 아암을 벌려서 구축물을 부숴 발생한 판편을 들어올리고, 그리고 아암을 조여서 이 판편을눌러부수고 (잘게함), 이 파괴된 작은 파편을 상기 투공부로부터 빼낸다.
그러나, 목조가옥이나, 콘크리트 구축물을 파괴하는 작업에는,
(1) 나무나 콘크리트의 기둥, 대들보, 벽을 파괴하는 작업
(2) 파괴에 의해 발생한 콘크리트 파편을 파쇄하여 소편화 (小片化)하는 작업
(3) 나무의 대들보나 기둥, 철근이나 철골을 절단하는 작업
(4) 구축물 파괴로 발생한 대들보나 기둥의 목편, 절단된 철근, 철골의 수집작업
(5) 구축물 파괴로 발생한 목편, 철근, 콘크리트편 등을 트럭 등의 짐받이까지 반송하는 작업이 포함된다.
이들의 작업을 행함에 있어서, 각각의 잡업에 적합한 부착물을 파워쇼벨등의 작업기계에 부착하여 작업을 행하는 데에는, 그 부착물읠 교환작업에 시간을 빼앗겨 효율적이지 못하다. 또, 다수의 부착물을 필요로하여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한편, 구축물 파괴작업에 적합하다. 상술한 일본국 특개소 63-4006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파쇄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1)의 작업은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지만, 다른 상기(2), (4), (5)의 작업은 할 수 없든지, 또는 매우 비효율적으로 되어버린다. 또, 상술한 일본국 특개소 59-187976 호 공보나 일본국 특개평 4-347270 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잘게 부수는 작업에 적합한 파쇄장치에서는, 상기(2) ~ (5)의 작업은 할 수 있어도, 가장 기본적인 상기 (1)의 작업은, 역부족이기 때문에 충분히 달성할 수 없다.
동일하게, 상기 (3) ~ (5) 의 작업에 각각 적합한 부속물도 공지이지만 상기 (1), (2) 의 작업을 행할 수 없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소하고, 상기 (1) ~ (5)의 작업을 하나의 파새장치로 효율 좋게 실시할 수 있는 파쇄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서아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 중간을 아암지지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대략 동형의 한쌍의 아암과, 상기 한쌍의 아암의 후단부를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아암이 사기 아암 지지체에 지지되는 부분으로부터 선단부까지의 아암 전방부에 개폐동작을 부여하는 아암 구동기구로 이루어지는 파쇄자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아암의 각각의 아암 전방부는, 아암 지지체에 지지되는 부분에 가까운 위치에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전단 블레이드를 부착하고, 선단부는 끝이 포크형으로 갈라져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이 들 돌기에는 각각 클로오(claw)를 부착하고, 또한, 상기 전단 블레이드가 부착되는 부위와 상기 돌기가 형성되는 부위를 제외한 중간부에는 복수개의 투공이 형성되고, 그리고, 한쪽의 아암의 전방부 선단의 돌기에 부착되는 상기 복수의 클로오는, 그중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 클로오 보다도 비교적 내측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그 선단이 다른쪽의 아암에 상기 나머지의 클로오의 선단보다도 보다 접근한 위치로 와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이상의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한쪽의 아암의 선단의 돌기에부착된 복수의 클로오내, 선단이 다른 아암에 보다 접근한 위치에 있도록 내측으로 향하여 배치된 클로오가, 먼저 구축물에 닿고, 이 클로오를 통하여 협압력을 구축물에 부여하므로, 구축물에는 이 클로오 주변에 집중적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 집중력에 의해 콘크리트 구축물에 금이나 균열을 발생시킨다. 이 상태로부터 또한 아암을 조이면, 나머지의 클로오를 이용한 조임폭을 크게한 부숨이 행해진다.
콘크리트 구축물 파괴에 의해서 발생한 콘크리트 파편은 아암 전방부의 중간부끼리 사이에서 협압되고, 작은 소편으로 잘게된다. 이 잘게된 소편은 아암 전방부의 중간부의 투공부로부터 빠져나간다.
잘게 눌러부순 콘크리트 파편은, 포크상으로 분할된 아암 선단에서 퍼올릴 수 있다. 또, 기둥, 대들보, 철근, 철골 등의 길이가 긴물건도 이 아암 선단으로 모아서 수집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파쇄장치의 아암의 전방부를 벌렸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파쇄장치를 제1도와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
제3도는 아암의 전방부를 벌린상태에 있는 제1도의 파쇄장치의 정면도.
제4도는 아암의 전방부를 조인상태에 있는 제1도의 파편장치의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나타내는 파쇄장치를 제4도의 좌측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측면도 (일부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실시예의 파쇄장치 (1)는, 제1도 및 제2도에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상물을 그 전방부에서 협압하는 한쌍의 아암(2a), (2b)과, 이 아암 (2a), (2b)을 개폐가능하게 지지하는 아암 지지체 (3)와, 아암 지지체 (3)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작업기용 브래켓 (5)과, 작업기용 브래켓 (5)에 부착된 유압 실린더 (4)와,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와 한쌍의 아암 (2a), (2b)의 선단부를 연결한느 구동력 전달수단으로서의 링크기구 (6)에의해서 구성된다.
한쌍의 아암 (2a), (2b)의 각각은, 그 중간부가, 아암 지지체 (3)에 고정된 핀 (8)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암 (2a), (2b)의 중간 부로부터 선단에 걸친 아암 전방부는, 내측으로 만곡하고 또 끝이 포크형으로 갈라져서, 복수개의 돌기가 핀 (8)의 축심방향으로 정렬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아암 (2a), (2b)의중심부로부터 후단까지의 후방부는, 전방부에 대하여 둔각으로 외측으로 향하여 휘어져 있다.
한편, 아암 (2a) 의 전방부와 다른쪽의 아암 (2b)의 전방부와는,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8)으로 지지되는 부근에서는 그 폭 (핀 (8)의 축심방향 길이) 을 서로 같게 하고 있다. 그러나, 한쪽의 아암 (2a) 은, 핀 (8)으로 지지되는 부분에서 조금 선단으로 향하여 내려간 부분으로부터 선단에 이르기까지의 구간은 폭이 넓게 구성되어 있다.
아암 (2a), (2b)의 전방부 선단의 복수개의 돌기의 선단에는 각각 클로오가 부착되어 있다. 이것을 제1도 및 제2도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한쪽의 아암 (2a)에는 선단에 3개의 돌기가 형성되고, 그들 돌기에 클로오 (7a), (7a`), (7a)가 각각 용접 등에의해 부착된다. 또, 다른쪽의 아암 (2b)의 선단에는 2개의 돌기가 형성되고, 그들 선단에 클로오 (7b), (7b)가 각각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된다.
또한, 한쪽의 아암 (2a)의 선단에 부착되는 클로오 (7a), (7a`), (7a) 중, 중앙에 위치하는 클로오 (7a`) 만은, 양단의 2개의 클로오 (7a), (7a)보다도 비교적 내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즉, 다른쪽의 아암 (2b)의 전방부의 내측면의 법선방향으로 보다 가까운 방향을 가진 돌출자세로)아암 선단돌기에 고착된다. 그 결과, 이 아암 (2a), (2b)의선단에 부착되는 중앙의 클로오 (7a`)는 그 선단이 동 아암 (2a)의 선단에 부착된 양단의 2개의 클로오 (7a), (7a)의 서단 보다도 다른쪽의 아암 (2b)의 전방부에 의해 접근한 위치에 두어지게 된다.
또, 아암 (2a), (2b)의 전방부에는, 그 길이 방향의 중간위치에, 즉, 핀(8)으로 지지되는 부분으로부터 클로오가 부착되는 선단까지 진행하는 경로의 도중위치에, 복수의 투공(11)이 형성된다. 한쪽의 아암 (2a)에는 폭방향으로 2개, 길이방향으로 2개, 계 4개의 투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4개의 투공 (11)이 형성되는 것은 아암 (2a)의 전방부의 폭을 넓게 형성한 부분이다. 다른쪽의 아암 (2b)에는, 길이방향에 2개의 두개의 투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아암 (2a)의 투공과 다른쪽의 아암 (2b)의 투공 (11)은, 아암의 길이방향에는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도 폭방향으로는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서로 대면하는 일은 없다. 또한, 제3도, 또는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투공 (11)중, 아암 (2a), (2b)의 선단에 가까운 것은, 아암 전방부의 내측면 (협압면측) 보다 외측면으로 향하여 넓어져 있다.
또, 한쪽의 아암 (2a)의 폭방향에 형성한 2개의 투공 (11), (11) 의 사이의 투공을 형성하지 않은 부분에는, 잘게 부숨용의 클로오 (9)가 용접 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또한, 양, 아암 (2a), (2b)의 전방부의 핀 (8)의 축심으로 지지되는 부분의 가까이에는, 철근이나 철골 등을 절단하기 위한 전단 블레이드(10a), (10b)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아암 지지체 (3)는 , 제1도,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단이 환형 플렌지 (17)에 형성되어 있다. 이 환형 플렌지 (17)를 통하여 아암 지지체 (13) 는 작업기용 브래켓 (5)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접속된다.
아암 지지체 (3) 에 핀(8) 을 통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아암 (2a), (2b) 의 후단은, 핀 (30)을 통하여 접속 레버 (16)의 일단과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 레버 (16)의 타단은 핀 (40)을 통하여 링크부재 (18)의 일단과 접속되어 있다. 이 링크부재 (18) 링크부재 (18)의 타단은 다른 한쪽의접속레버 (16)와 핀 (40)을 통하여 접속하고 있다. 링크부재 (18)는 그 중앙부가 유압 실린더 (4)의 피스톤 로드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링크부재 (18)에는 한쌍의 롤러 (13),(13) 가 부착되어서, 이들 롤러 (13), (13)가 지지체 (3)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 (12)에 의해서 상하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링크부재 (18)와 접속된 피스톤 로드는, 가이드 구멍 (12)의 방향으로 구 작동이 규제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유압 실린더 (4)의 피스톤 로드의 신축동작이 이러나면, 그 작동은 링크부재 (18), 접속레버 (16)를 거쳐서 아암 (2a), (2b)의 후방부를 핀 (8)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동작으로 변환되어서, 아암 (2a), (2b)의 전방부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하는 것으로 된다.
작업기용 브래켓 (5)은 유압 실린더 (4)를 지지한다. 작업기용 브래켓 (5)에 형성한 장착공 (19), (20)은 , 파쇄장치 (1)를 작업기측의 부움 선단에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파쇄장치(1)는 한쪽의 장착공 (19)을 통하여 작업기측의 부움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축받이됨과 동시에, 다른쪽의 장착공(20)에 피봇된 작업기측의 액튜에이터를 신축시킴으로써, 한쪽의 장착공 (19)을 요동중심으로써 임의의 요동위치에 그 자세를 변화시킨다.
먼저, 본 실시예의 파쇄장치 (1)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축물의 부수기 작업을 행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한쌍의 아암 (2a), (2b)으로 콘크리트벽 이나 기둥 등의 구축물을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부터 압착할 수 있도록 작업기용 브래켓 (5)에 대한 아암 지지체 (3) 의 회전위치를 결정한다. 그후, 한쪽의 아암 (2a)의 선단의 클로오 (7a), (7a`), (7a)와 다른쪽의 아암 (2b)의 선단의 클로오 (7b), (7b)로 구축물을 압착하여 구축물을 파쇄한다. 한쌍의 아암 (2a), (2b)의 전방부는 서로 내측으로 만곡한 형상이므로, 선단의 클로오 (7a), (7a`), (7a) ; (7b), (7b)로 구축물을 압착하고 있는 상태라도, 아암 (2a), (2b)의 길이 방향 중간부는 서로 크게 벌어져서 구축물을 보족함에 이르지 못한다.
그러나, 한쪽의 아암 (2a)의 선단에 부착된 3개의 클로오 (7a), (7a`), (7a)중 맨가운데 클로오 (7a`)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2개의 클로오 (7a), (7a)보다도 클로오 선단이 다른쪽의 아암 (2b)의 전방부에 보다 근접한 위치에 있다. 그래서, 한쌍의 아암 (2a), (2b)을 조이면, 한쪽의 아암 (2a)측에서는, 먼저 중앙부의 클로오 (7a`)가 다른 클로오 (7a), (7a)에 앞서 구축물에 닿는다. 한편, 다른쪽의 아암 (2b)측에서는 2개의 클로오 (7b), (7b)가 동시에 (또는 클로오 (7b) 근방이)구축물에 닿는다.
이 상태로부터 아암 (2a), (2b)을 더욱 조이는 방향으로 구동하면, 구축물에는 한쪽의 아암 (2a)의 중앙의 클로오 (7a`)가 끼여서, 그 위치에 응력을 집중하여 가한다. 그 결과, 클로오 (7a`)가 끼인 콘크리트 구축물에는 금 또는 균열이 발생한다. 이 상태로부터 아암 (2a), (2b)을 더욱 조이는 방향으로 구동하면, 한쪽의 아암 (2a)의 3개의 클로오 (7a), (7a`), (7a)모두가 구축물에 닿고, 구축물의, 클로오에의해 협압되는 면적은 증대하게 된다.
이 시점에서는 콘크리트 구축물에는 이미 금 또는 균열이 발생하여 취약해져 있으므로, 모든 플로오 (7a), (7a`), (7a) ; (7b), (7b)의 작동이 구축물의 부숨작용에 가하고, 따라서, 부숨은 간단하게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한쪽의 아암 (2a)선단에 부착한 복수의 클로오중 하나 (7a`)로 콘크리트 구축물의 특정부분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그 구축물에금이나 균열을 발생시켜서 취약화하고, 이어서, 모든 클로오로 각 취약해진 구축물을 협압하고, 폭넓게 구축물을 눌러부순다.
이렇게 하여 콘크리트 구축물을 눌러부순후, 노출된 철근, 철골 등은, 각 아암 (2a), (2b)의 전방부의 핀 (8)으로 지지되는 부근에 부착한 전단 블레이드 (10a), (10b)에 의해서 전단한다.
또, 콘크리트 구축물의 파괴에 의해서 발생한 콘크리트 파편은, 아암 (2a), (2b)를 벌린상태로 하여, 그 한쪽의 아암 (2a)으로 이를 퍼올린다. 퍼올린후는 그 한쪽의 아암 (2a), (2b)의 만곡부에 구축물의 파편을 유지하면서 아암 (2a), (2b)을 조이므로써, 콘크리트 파편을 만곡한 아암 전방부 사이의 공극에 눌러너허 협압하고, 잘게 부숨을 행한다. 한쪽의 아암 (2a)의 전방부는,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8)으로 지지되는 부근의 일부를 제외하고 특히 폭넓게 구성하였으므로, 그 폭이 넓은 부분으로 콘크리트 파편 등을 원활하게 퍼올릴 수 가 있다.
아암 (2a), (2b) 에 의해서 협압되어 잘게 부숴진 콘크리트 파편은, 아암 전방부에 형성한 투공부 (11)를 통하여 아암 (2a), (2b)간의 공극으로부터 빠져나간다.
특히, 콘크리트 구축물의 파편에 의해 발생한 콘크리트 파편이, 비교적 큰 것이라면, 전술한 바와 같이 아암 (2a), (2b)의각각의 클로오 (7a), (7a`),(7a) ; (7b), (7)로 협압에 의해 잘게 눌러 부술 수 있다.
한편, 비교적 작은 콘크리트 파편의 경우에는, 이것을 아암 (2a), (2b)전방부의 중간부에서 압착한다. 한쪽의 아암 (2a)의 전방부의 중간부에는 다른쪽의 아암 (2b)에 향하여 돌출하는 클로오 (9)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만곡한 아암 (2a), (2b)전방부 사이에서 압착된 콘크리트 파편에는, 아암 (2a), (2b)을 조이는 과정에서 먼저 이 클로오가 (9)가 끼인다. 이렇게 하여 클로오 (9)에 의해 콘크리트 파편의 일개소에 집중적으로 힘을 가하기 때문에, 이 콘크리트 파편은 간단히 부숴진다. 이렇게 하여 콘크리트 파편을 잘게 부숨으로써, 크기를 소정 이하의 소편으로 하여 재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구축물의 기둥이나, 벽, 대들보 등이 큰것이 아니면, 클로우 (7a`) 및 클로우 (9)에의해서 압착하여 구축물을 취약화하여 파괴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목조가옥을 파괴할 때 등은,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2개의 아암 (2a), (2b)의 전방부의 중간부에서 기둥이나, 벽을 잡고 압착하는 것만으로 이들을 파괴할 수 있다.
구축물을 파괴함으로써 발생하여 지상에 떨어진 기둥이나 대들보, 철근, 철골 등의 길이가 긴 물건 등은, 아암 (2a), (2b)을 벌려서, 한쪽의 아암 (2a)의 서단의 클로오 (7a), (7a)를 지상면에 따라서 이동시킴으로써, 이들 길이가 긴 물건을 아암 (2a)위로 들어올릴 수 있다. 아암 (2a)의 선단부는 포크형으로 갈라지고, 또 아암 (2b)의 선단보다도 폭넓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길이가 긴 물건을 수집하는 것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되어 산상 (山狀)으로 체적된 길이가 긴 기둥, 대들보, 철근, 척골 등을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때나, 트럭 등의 짐받이에 실을 때 등은, 이들 길이가 긴 물건을 양 아암 (2a), (2b)의 전방부의 중간부로 압착하여 반송한다. 이 압착을 풀 때에는, 다른쪽의 아암 (2b)쪽을 약간 하측으로 하여 길이가 긴 물건의 압착을 푼다. 아암 (2b)의 선단에 형성된 돌기에 부착되는 클로오(7a), (7b)는, 각각 자세 및 돌출길이가 동일하므로, 아암의 전방과 연속한 곡면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이 아암 (2b)의 전방부에서, 길이가 긴 물건이 걸리는 일 없이 원활하게 길이가 긴 물건을 해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한쪽의 아암 (2a)의 전방부의 중간부에 하나의 클로오 (9)를 설치하였지만, 복수의 클로오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 이 클로오는 다른쪽의 아암 (2b)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아암 (2a), (2b)은, 전방부가 서로 내측으로 만곡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 (2a), (2b)을 조여도 아암의 전방부의 중간부 끼리는 접속하지 않으며, 아암 전방부분에 공간이 발생한다. 그래서, 한쪽의 아암 (2a)의 전방부의 중간부에 설치한 클로오 (9)는 아암 전방부의 중간부 끼리의 공간에 끼인 물체에 작용하여 그 물체의 취약화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아암 (2a), (2b)의 전방부는 형상이, 양 아암 (2a), (2b)을 조였을 때에 양자의 전방부의 내측끼리가 서로 접합하고, 아암 전방부의 중간부끼리 공간을 만들지 않는 경우에는, 한쪽의 아암 (2a)에 반드시 이와 같은 클로오 (9)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 콘크리트 파련의 잘게부숨은, 양 아암의 전방부의 투공부 (11)와 투공부 (11)의 사이의, 투공부 (11)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으로 눌러부술 수 있다.
또한, 유압실린더 (4)의 출력이 큰 경우에는, 한쪽의 아암 (2a)에 부착하는 복수의 클로오 (7a), (7a`)는 그중 2 또는 그 이상의 수의 클로오 (7a`)‥‥를 나머지 클로오 (7a)‥‥에 비하여 보다 내측으로 향하여 돌출시킨 자세로하여 ,그들의 클로오 (7a`)‥‥의 선단을 그 나머지의 클로오 (7a)‥‥의 돌출 선단 보다도 다른쪽의 아암 (2b)의 전방부에 보다 가깝게 한 것이라도 좋다.
Claims (5)
- 길이방향 중간을 아암지지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대략 동형의 한쌍의 아암과, 상기 한쌍의 아암의 후단부를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아암의 상기 아암 지지체에 지지되는 부분으로부터 아암 선단부까지의 아암 전방부에 개폐동작을 부여하는 아암 구동기구로 이루어지는 파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싸의 아암의 각각의 아암 전방부는, 아암 지지체에 지지되는 부분에 가까운 위치에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전단 블레이드를 부착하고, 선단부는 끝이 포크형으로 갈라져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이들 돌기에는 각각 클로오를 부착하고, 또한, 상기 전단 블레이드가 부착되는 부위와 상기 돌기가 형성되는 부위를 제외한 중간부에는 복수개의 투공이 형성되고, 그리고, 한쪽의 아암의 전방부 선단의 돌기에 부착되는 상기 복수의 클로오는, 그중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 클로오 보다도 비교적 내측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그 선단이 다른쪽의 아암에 상기 나머지의 클로오의 선단 보다도 보다 접근한 위치로 와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각 아암 전방부는, 서로 내측으로 만곡한 갈고리 클로오형을 나타내며, 한쪽의 아암의 아암 전방부의 상기 투공이 형성되는 부근에서는, 다른쪽의 아암의 전방부로 향하여 돌출한 1 또는 그이상의 클로오가 형성되어 있는 파쇄장치.
-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쪽의 아암의 전방부 선단의 돌기 부착되는 상기 복수의 클로오는, 각각 자세 및 돌출길이가 동일하며, 클로오의 내측면은 아암 전방부의 내측과 연속한 평면 또는 곡면을 구성하고 있는 파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아암내의 한쌍의 아암의 전방부는, 상기 투공이 형성되는 부위로부터 선단에 걸친 구간을 나머지 구간 보다도 폭을 넓게 구성한 파쇄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폭을 넓게 구성한 아암 전방부를 갖는 한쪽의 아암의, 그 아암 전방부에는 3개의 돌기를 형성하고, 그 중앙의 돌기에 부착하는 돌기는, 양단의 돌기에 부착하는 클로오 보다도 그 선단이 다른쪽의 아암에보다 접근한 위치에 오도록 내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부착되고, 또한, 다른쪽이 아암의 아암 전방부에는, 상기 한쪽의 아암의 아암 전방부에 형성되는 3개의 돌기의, 그 돌기와 돌기의 사이에 대향하도록 2개의 돌기를 형성한 파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34471493 | 1993-12-21 | ||
JP93-344714 | 1993-12-21 | ||
PCT/JP1994/002125 WO1995017569A1 (fr) | 1993-12-21 | 1994-12-16 | Broyeus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701274A KR960701274A (ko) | 1996-02-24 |
KR100207869B1 true KR100207869B1 (ko) | 1999-07-15 |
Family
ID=1837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703479A KR100207869B1 (ko) | 1993-12-21 | 1994-12-16 | 파쇄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5636802A (ko) |
EP (1) | EP0685615A4 (ko) |
KR (1) | KR100207869B1 (ko) |
WO (1) | WO199501756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09946A (ja) * | 1995-02-01 | 1996-08-13 | Sango Juki Kk | 破砕装置 |
JP3156754B2 (ja) * | 1996-10-15 | 2001-04-16 | 大淀ヂーゼル株式会社 | 破砕装置 |
US6092290A (en) * | 1996-12-24 | 2000-07-25 | Rescue Technology, Inc. | Rescue tool |
US5826339A (en) * | 1997-08-11 | 1998-10-27 | Price; Douglas M. | Forestry cutting, mulching and clearing tool |
US6076572A (en) * | 1999-02-16 | 2000-06-20 | Cook; Douglas B. | Apparatus for excavating and crushing tree stumps |
US7975944B2 (en) * | 1999-10-15 | 2011-07-12 | John R. Ramun | Modular system for connecting attachments to a construction machine |
US7954742B2 (en) * | 1999-10-15 | 2011-06-07 | Ramun John R | Dual purpose adapter for a multiple tool attachment system |
US6994284B1 (en) * | 1999-10-15 | 2006-02-07 | Ramun John R | Multiple tool attachment system |
EP2468406A1 (en) | 1999-10-15 | 2012-06-27 | John R. Ramun | Multiple tool attachment system |
US8308092B2 (en) * | 1999-10-15 | 2012-11-13 | Ramun John R | Multiple tool attachment system with universal body with grapple |
GB0111519D0 (en) * | 2001-05-11 | 2001-07-04 | Purser Brian | Breaking apparatus |
US7877906B2 (en) * | 2006-01-13 | 2011-02-01 | Ramun John R | Modular system for connecting attachments to a construction machine |
US8539699B2 (en) * | 2006-01-13 | 2013-09-24 | John R. Ramun | Modular system for connecting attachments to a construction machine |
US20110225829A1 (en) * | 2010-03-22 | 2011-09-22 | Genesis Attachments, Llc | Heavy duty configurable shear crusher demolition tool |
US10668475B2 (en) | 2016-01-31 | 2020-06-02 | Genesis Attachments, Llc | Pulverizer attachment with tooth rails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87976A (ja) * | 1983-04-11 | 1984-10-25 | 株式会社坂戸工作所 | 破砕装置 |
JPS6340061A (ja) * | 1986-08-05 | 1988-02-20 | 多川工業株式会社 | コンクリ−ト構築物等における破砕装置 |
JP2540210B2 (ja) * | 1989-06-19 | 1996-10-02 | 株式会社坂戸工作所 | 破砕機 |
JPH0694104B2 (ja) * | 1989-11-10 | 1994-11-24 | オークマ株式会社 | 工作機械の工具交換方法 |
DE4013126A1 (de) * | 1990-04-25 | 1991-10-31 | Helmut Wack | Abbruchgeraet |
JP2523807Y2 (ja) * | 1991-03-08 | 1997-01-29 | 株式会社エス・テー・ケー商会 | 牙部材を有する破砕機 |
JP2545308B2 (ja) * | 1991-05-27 | 1996-10-16 | 三五重機株式會社 | 破砕装置 |
NL9101437A (nl) * | 1991-08-26 | 1993-03-16 | Verachtert Bv | Inrichting voor het verkleinen van materialen. |
GB9304556D0 (en) * | 1993-03-05 | 1993-04-21 | Hawkins Peter A T | Breaking apparatus |
-
1994
- 1994-12-16 EP EP95902976A patent/EP0685615A4/en not_active Ceased
- 1994-12-16 KR KR1019950703479A patent/KR10020786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4-12-16 US US08/507,377 patent/US5636802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12-16 WO PCT/JP1994/002125 patent/WO1995017569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701274A (ko) | 1996-02-24 |
WO1995017569A1 (fr) | 1995-06-29 |
EP0685615A1 (en) | 1995-12-06 |
US5636802A (en) | 1997-06-10 |
EP0685615A4 (en) | 1996-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07869B1 (ko) | 파쇄장치 | |
KR100207870B1 (ko) | 파쇄장치 | |
US4776524A (en) | Crusher | |
JPH02504236A (ja) | コンクリート粉砕機 | |
JPH0648058Y2 (ja) | コンクリ−ト破砕機 | |
CA2494933C (en) | Cutting or crushing implement | |
JP6353619B1 (ja) | 大型飛行機解体用剪断機及び大型飛行機解体用作業車 | |
JPH06185229A (ja) | 作業機械用工具 | |
JP3194516B2 (ja) | コンクリート等の破砕機 | |
JPS6217059B2 (ko) | ||
JP2001065177A (ja) | 対象物に応じてアームを交換可能な破砕機 | |
JP2010133109A (ja) | 破砕機及びこの破砕機を備えた建設機械 | |
JPH08312162A (ja) | 構築物解体工法 | |
JPH07229313A (ja) | 破砕装置 | |
JP2004143683A (ja) | 構築物破砕機及び破砕刃 | |
JP3430362B2 (ja) | パワーショベルの可動アーム用アタッチメント | |
JP3247586B2 (ja) | 破砕切断機 | |
JP4394847B2 (ja) | 解体機 | |
JP2001062317A (ja) | 木材破砕機 | |
JPH1158328A (ja) | 木材専用破砕機 | |
JPH0726739A (ja) | カッタ付圧砕機 | |
JPH1037488A (ja) | 破砕機 | |
JP2008081999A (ja) | ショベルマシン用コンクリート構造物破砕・切断装置 | |
JPH06108670A (ja) | 構築物破砕機 | |
JP2002210379A (ja) | 木の破砕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