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6927B1 -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출력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출력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6927B1
KR100206927B1 KR1019960030586A KR19960030586A KR100206927B1 KR 100206927 B1 KR100206927 B1 KR 100206927B1 KR 1019960030586 A KR1019960030586 A KR 1019960030586A KR 19960030586 A KR19960030586 A KR 19960030586A KR 100206927 B1 KR100206927 B1 KR 100206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output
kill
terminal
address tran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0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1463A (ko
Inventor
박이환
신현수
Original Assignee
구본준
엘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준, 엘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본준
Priority to KR1019960030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6927B1/ko
Priority to JP9200476A priority patent/JP3030621B2/ja
Priority to US08/900,340 priority patent/US5896323A/en
Publication of KR980011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1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6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69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57Data out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Data output l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타를 읽어낼때 트루데이타와 폴스데이타의 출력을 제한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출력회로에 있어서는 본의 아니게 폴스데이타가 출력되어 처리속도가 지연되고 전력을 낭비하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반도체 메모리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DATA), (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출력 제어회로
제1도는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출력 제어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서 데이타 출력버퍼의 상세 회로도.
제3a도 내지 제3f도는 제1도 각부의 파형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출력 제어회로에 대한 일실시 예시 블록도.
제5도는 제4도에서 데이타 출력버퍼의 일실시 예시 상세 회로도.
제6a도 내지 제6h도는 제4도 각부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메인 증폭부 12 : 멀티플렉서 및 래치부
13 : 데이타 출력버퍼 13A : 출력구동부
14 : 지연기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타를 읽어낼때 트루데이타(True Data)와 폴스데이타(False Data)의 출력을 제한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를 근거로 폴스데이타의 출력을 차단함에 있어서 처리속도를 향상시키고 전력소모를 저감하는데 적당하도록한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출력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출력 제어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의 제어를 받아 반도체 메모리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DATA), ()를 적정 레벨로 증폭하는 메인 증폭부(1)와; 상기 메인 증폭부(1)의 출력데이타를 소정 형식으로 멀티플렉싱하여 래치하는 멀티플렉서 및 래치부(2)와; 선택신호(SEL)의 제어를 받아 상기 멀티플렉서 및 래치부(2)에 래치된 데이타를 외부로 출력하는 데이타 출력버퍼(3) 및 이의 출력을 공급받아 외부와 인터페이스하는데 적당한 레벨로 증폭하는 출력구동부(3A)와; 상기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를 소정 시간 지연시켜 상기 선택신호(SEL)로 출력하는 지연기(4)로 구성된 것으로, 이의 작용을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가 하이로 공급되면 이에 의해 메인 증폭부(1)가 구동되어 반도체 메모리로 부터 입력되는 데이타(DATA), ()가 그 메인 증폭부(1)에서 일정 레벨로 증폭된 후 다시 멀티플렉서 및 래치부(2)에서 소정 형식으로 멀티플렉싱되어 래치된다. 이때, 상기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가 지연기(4)를 통해 선택신호(SEL)로 출력되고, 이 선택신호(SEL)가 제2도와 같이 구성된 데이타 출력버퍼(3)에 공급되어 상기 멀티플렉서 및 래치부(2)에 래치된 데이타(D), ()의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어드레스가 전이되면 이에 따라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가 제3도의 (a)와 같이 로우로 인에이블되고, 이에 의해 상기 메인 증폭부(1)의 구동이 중지되어 제3도의 (b)와 같은 데이타(DATA), ()의 입력 및 데이타(OUT), ()의 출력이 차단된다.
이후, 상기 지연기(4)를 통해 상기 데이타 출력버퍼(3)에 제3도의 (e)와 같이 선택신호(SEL)가 공급되면 상기 멀티플렉서 및 래치부(2)에 래치되어 있던 이전 사이클의 데이타 또는, 랜덤한 데이타가 그 데이타 출력버퍼(3) 및 출력 구동부(3A)를 통해 제3도의 (f)와 같이 출력되는데, 이렇게 출력되는 데이타가 바로 폴스데이타(False Data)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출력회로에 있어서는 본의 아니게 폴스데이타가 출력되어 처리속도가 지연되고 전력을 낭비하게 되는 결함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를 근거로 출력버퍼에 공급되는 선택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조절하여 폴스데이타가 출력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으나, 그 출력 타이밍을 일치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어 특정 타이밍에서 폴스데이타가 그대로 출력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드레스전이 검출시 선택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타 출력버퍼의 구동을 제어하지 않고 그 어드레스전이 검출신호로 직접 데이타 출력버퍼의 구동을 제어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출력 제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제4도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출력 제어회로에 대한 일실시 예시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의 제어를 받아 반도체 메모리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DATA), ()를 적정 레벨로 증폭하는 메인 증폭부(11)와; 상기 메인 증폭부(11)의 출력데이타를 소정 형식으로 멀티플렉싱하여 래치하는 멀티플렉서 및 래치부(12)와; 선택신호(SEL)의 제어를 받아 상기 멀티플렉서 및 래치부에 래치된 데이타를 외부로 출력하는 데이타 출력버퍼(13) 및 이의 출력을 공급받아 외부와 인터페이스하는데 적당한 레벨로 증폭하는 출력구동부(13A)와; 상기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를 소정 시간 지연시켜 상기 선택신호(SEL)로 출력하는 지연기(14)와; 상기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를 상기 데이타 출력버퍼의 킬신호(Kill)로 제공하여 상기 출력구동부(13A)로 하여금 그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의 인에이블 구간동안 제로 레벨의 신호(Hi-Z)를 출력하도록 하는 출력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반도체 메모리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DATA), ()의 정상적인 출력과정은 종래의 기술에서와 동일하다.
즉,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가 하이로 공급되면 이에 의해 메인 증폭부(11)가 구동되어 반도체 메모리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DATA), ()가 그 메인 증폭부(11)에서 일정 레벨로 증폭된 후 다시 멀티플렉서 및 래치부(12)에서 소정 형식으로 멀티플렉싱되어 래치된다. 이때, 상기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가 지연기(14)를 통해 선택신호(SEL)로 출력되고, 이 선택신호(SEL)가 제5도와 같이 구성된 데이타 출력버퍼(13)에 공급되어 상기 멀티플렉서 및 래치부(12)에 래치된 데이타(D), ()의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어드레스신호(Add)가 제6도의 (a)와 같이 전이되면 이에 따라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가 제6도의 (b)도와 같이 로우로 인에이블되고, 이에 의해 상기 메인 증폭부(11)의 구동이 중지되어 제6도의 (c)도와 같은 데이타(DATA), ()의 입력 및 데이타(OUT), ()의 출력이 차단된다.
이후, 종래와 달리 본 발명의 킬신호(Kill)에 의해 상기 데이타 출력버퍼(13)로부터 폴리데이타가 출력되는 것이 방지되는데, 이의 처리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가 제6도의 (b)와 같이 로우로 인에이블된 후 상기 지연기(14)를 통해 상기 데이타 출력버터(13)에 제6도의 (f)의와 같이 선택신호(SEL)가 공급되면 상기 멀티플렉서 및 래치부(12)에 래치되어 있던 이전 사이클의 데이타 또는, 랜덤한 데이타가 그 데이타 출력버퍼(13) 측으로 전달된다.
하지만, 상기 제6도의 (b), (g)에서와 같이 상기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가 그대로 데이타 출력버퍼(13)의 킬신호(Kill)로 공급되어 이 킬신호(Kill)의 로우 구간동안 데이타 출력버퍼(13)의 구동이 중지되므로 제6도의 (h)에서와 같이 해당 기간동안 출력구동부(13A)에서 제로 레벨의 신호(Hi-Z)가 출력되어 폴스데이타의 출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가 다시 하이로 전이되면 이와 동시에 상기 킬신호(Kill)가 하이로 디스에이블되어 상기 데이타 출력버퍼(13)가 정상적으로 구동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와 같이 멀티플렉서 및 래치부(12)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타(D), ()를 정상적으로 처리하여 출력하게 된다.
한편, 제5도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타 출력버퍼(13) 및 출력구동부(13A)의 작용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킬신호(Kill) 및 선택신호(SEL)가 모두 하이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데이타 출력버퍼(13)의 입력데이타(D), ()가 각각 로우, 하이로 공급되면, 그 입력데이타(D)에 의해 낸드게이트(ND11)에서 하이가 출력되고, 이에 의해 엔모스(NM11)가 온되므로 전원단자(VPP)에 직렬접속된 피모스(PM12)의 게이트에 로우 신호가 공급되어 그가 온된다. 또한, 상기 로우의 입력데이타(D)에 의해 엔모스(NM12)가 오프되므로 상기 피모스(PM12) 및 엔모스(NM12)의 드레인 공통접속점(QN)으로부터 출력구동부(13A)의 제1입력단자에 하이가 공급된다.
이때, 낸드게이트(ND12)의 3입력이 모두 하이로 공급되므로 이로부터 상기 출력구동부(13A)의 제2입력단자에 로우 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상기 출력구동부(13A)의 제1, 2입력단자에 각각 하이, 로우가 공급될 때 그 출력구동부(13A)는 출력데이타(DQ)를 소정 레벨의 로우로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와 반대로 데이타 출력버퍼(13)의 입력데이타(D), ()가 각각 하이, 로우로 공급되면, 상기 낸드게이트(ND11)의 3입력단자에 모두 하이가 공급되어 이로부터 로우가 출력되고, 이에 의해 상기 엔모스(NM11) 및 피모스(PM12)가 오프된다. 이때, 하이로 공급되는 상기 입력데이타(D), 선택신호(SEL), 킬신호(Kill)에 의해 상기 피모스(PM12)에 직렬접속된 각각의 엔모스(NM12-NM14)가 모두 온되어 상기 드레인 공통접속점(QN)으로부터 출력구동부(13A)의 제1입력단자에 로우가 공급된다.
이때, 로우로 공급되는 입력데이타()에 의해 상기 낸드게이트(DN12)에서 하이가 출력되어 상기 출력구동부(13A)의 제2입력단자에 그 하이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상기 출력구동부(13A)의 제1, 2입력단자에 각각 로우, 하이가 공급될 때 그 출력구동부(13A)는 출력데이타(DQ)를 소정 레벨의 하이로 출력한다.
그런데, 어드레스가 변경되어 상기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가 로우로 공급되면 동일 구간동안 상기 킬신호(KILL)가 로우로 공급되면 이에 의해 상기 낸드게이트(ND11), (ND12)에서 모두 하이가 출력되어 상기 출력버퍼(13A)의 두 입력단자에 모두 하이가 공급되므로 이때에는 그 출력구동부(13A)가 출력(DQ)를 제6도의 (h)에서와 같이 제로 레벨의 신호(Hi-Z)를 출력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드레스전이 검출시 선택신호를 데이타 출력버퍼의 킬신호로 사용하여 어드레스전이 검출신호 구간동안 출력구동부로부터 제로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게 함으로써 출력구동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타의 반전(풀 스윙)되는 구간이 존재하지 않게 되어 처리속도를 향상시키고 전력소모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반도체 메모리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DATA), ()가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의 제어를 받는 메인 증폭부(11), 멀티플렉서 및 래치부(12), 데이타 출력버퍼(13) 및 출력구동부(13A)를 순차적으로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메모리 데이타 출력회로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를 상기 데이타 출력버퍼의 킬신호(Kill)에 제공하여 상기 출력구동부로 하여금 그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의 인에이블 구간동안 제로 레벨의 신호(Hi-Z)를 출력하도록 하는 출력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출력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데이타 출력버퍼는 데이타입력단자(D), 킬신호단자(Kill), 선택신호단자(SEL)를 낸드게이트(ND11)의 입력단자에 각기 접속하고, 데이타입력단자(), 킬신호단자(Kill), 선택신호단자(SEL)를 낸드게이트(ND12)의 입력단자에 접속하며, 소오스가 전원단자(VPP)에 각기 접속된 피모스(PM11), (PM12)의 게이트를 크로스시켜 상대측 드레인에 각기 접속하고, 상기 피모스(PM11)의 드레인에 엔모스(NM11)의 드레인을 공통접속하여 이의 소오스를 접지단자(VSS)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낸드게이트(ND11)의 출력단자를 그 엔모스(NM11)의 게이트에 접속하며, 상기 피모스(PM12)의 드레인과 접지단자(VSS) 사이에 엔모스(NM12-NM14)를 직렬접속한 후 상기 데이타입력단자(D), 선택신호단자(SEL), 킬신호단자(Kill)를 그 엔모스(NM12-NM14)의 게이트에 각기 접속하고, 상기 피모스(PM12) 및 엔모스(NM12)의 드레인 공통접속점(QN)과 상기 낸드게이트(ND12)의 출력단자를 출력구동부(13A)의 입력단자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출력 제어회로.
KR1019960030586A 1996-07-26 1996-07-26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출력 제어회로 KR100206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586A KR100206927B1 (ko) 1996-07-26 1996-07-26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출력 제어회로
JP9200476A JP3030621B2 (ja) 1996-07-26 1997-07-25 半導体メモリのデータ出力制御回路
US08/900,340 US5896323A (en) 1996-07-26 1997-07-25 Data output control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586A KR100206927B1 (ko) 1996-07-26 1996-07-26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출력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463A KR980011463A (ko) 1998-04-30
KR100206927B1 true KR100206927B1 (ko) 1999-07-01

Family

ID=1946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0586A KR100206927B1 (ko) 1996-07-26 1996-07-26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출력 제어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96323A (ko)
JP (1) JP3030621B2 (ko)
KR (1) KR1002069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7125B2 (ja) * 1998-01-23 2008-03-05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記憶装置
JP4144436B2 (ja) 2003-06-02 2008-09-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US7853385B2 (en) * 2007-08-10 2010-12-1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shifting during vehicle braking along a decl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4361A (en) * 1992-03-18 1997-12-02 Uchida; Toshiya Output circuit
KR0179859B1 (ko) * 1995-11-24 1999-04-15 문정환 반도체 메모리의 출력 제어 회로
JPH09153288A (ja) * 1995-11-30 1997-06-10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96323A (en) 1999-04-20
JPH1069779A (ja) 1998-03-10
JP3030621B2 (ja) 2000-04-10
KR980011463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6530B1 (ko) 단속제어회로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제어방법
US5517129A (en) High-speed dual-buffered output circuit
US5502681A (en) Column start signal generation circuit for memory device
KR970012792A (ko) 입력 버퍼 회로
KR100206921B1 (ko) 출력버퍼회로
KR950009713A (ko) 작은 동작 전류로 플래시 기록을 행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회로
US5764591A (en) Memory device and memory control circuit
US5835449A (en) Hyper page mode control circuit for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206927B1 (ko)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출력 제어회로
KR950005171B1 (ko) 전류 미러 증폭회로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206928B1 (ko)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라인 등화 제어회로
KR940026946A (ko) 데이타출력 확장방법과 이를 통한 신뢰성있는 유효데이타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반도체집적회로
EP0405411A2 (en) Semiconductor memory having improved data readout scheme
KR970003259A (ko) 2 스테이지 래치회로를 이용한 페이지 모드 마스크롬 및 그 제어방법
KR100613447B1 (ko) 데이터 래치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US5648932A (en) Output control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US6242940B1 (en) Data input buffer circuit
KR100289341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어드레스 천이 검출 회로
US6850460B1 (en) High performance programmable array local clock generator
JP3846748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281104B1 (ko) 컬럼 디코더 회로
KR100301820B1 (ko) 센스 앰프
KR100224790B1 (ko) 스트로브 신호 제어 수단을 갖는 반도체 장치
KR100239882B1 (ko) 기입 동작시 소모되는 전류를 줄이기 위한 워드라인 구동회로 및 이를 이용한 sram 장치
KR100318323B1 (ko) 반도체 메모리의 어드레스 신호 발생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