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705B1 - 사진소부장치 - Google Patents

사진소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705B1
KR100205705B1 KR1019950007868A KR19950007868A KR100205705B1 KR 100205705 B1 KR100205705 B1 KR 100205705B1 KR 1019950007868 A KR1019950007868 A KR 1019950007868A KR 19950007868 A KR19950007868 A KR 19950007868A KR 100205705 B1 KR100205705 B1 KR 100205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head
negative film
exposure
inlet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7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647A (ko
Inventor
에에지 모토오까
히로시 오쿠
Original Assignee
니시모토 칸이치
노리쯔 고오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69573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1830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69572A external-priority patent/JP298565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9574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853560B2/ja
Application filed by 니시모토 칸이치, 노리쯔 고오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모토 칸이치
Publication of KR950033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7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62Holders for the original
    • G03B27/6271Holders for the original in enlargers
    • G03B27/6285Handling strip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46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for automatic sequential copying of different originals, e.g. enlargers, roll film prin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46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for automatic sequential copying of different originals, e.g. enlargers, roll film printers
    • G03B27/46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for automatic sequential copying of different originals, e.g. enlargers, roll film printers in enlargers, e.g. roll film prin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 G03B2217/242Details of the marking device
    • G03B2217/244Magnetic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Type Copi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사진소부장치가, 자기기록부를 갖는 네가필름이 반입구와 빈출구와의 사이를 왕복반송하는 반송로의 중간부에 노광부를 배열설치하고, 판독자기헤드(判讀磁氣head)를 노광부와 반입구와의 사이에 배치하고, 판독자기헤드(判讀磁氣head)와 노광부의 노광센터와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 화면피치를 가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사진소부장치(寫眞燒付裝置)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진소부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도는 동실시예의 평면도.
제3도는 네가필름의 간헐(間歇) 이송속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림.
제4도는 네가필름의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사진소부장치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6도는 동실시예의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사진소부장치의 실시예 2의 배치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사진소부장치의 실시예 3의 배치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사진소부장치의 실시예 4의 배치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사진소부장치의 실시예 5의 개략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사진소부장치의 실시예 6의 개략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사진소부장치의 실시예 7의 개략도.
제13도는 사진소부장치의 실시예 8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14도는 동실시예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기기록부 (磁氣記錄部) 6 : 노광부(露光部)
2 : 네가필름 7 : 판독자기헤드(判讀磁氣head)
3 : 반입구(搬入口) 8 : 기입자기헤드(記入磁氣head)
4 : 반출구(搬出口) 9 : 광학센서 (光學sensor)
5 : 반송로 (搬送路) 10 : 잠상정보부 (潛像情報部)
본 발명은 네가필름의 자기기록부(磁氣記錄部)의 판독과 기입(記入)이 가능한 사진소부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사진소부장치는, 네가필름을 간헐적으로 보내어 스캐닝(scanning)이나 프린트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 네가필름의 자기기록부의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을 행할 경우에는, 오독(誤讀)등을 방지하기 위해 네가필름의 반송속도는 일정속도로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종래의 사진소부장치는, 노광(露光)등의 조작과 판독(判讀)등의 조작을 병행하여 행하기 위해, 노광스테이지와 자기헤드의 사이에 네가필름의 루프(loop)형성부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로는, 루프형성부의 배치 스페이스(space)가 필요하게 되므로, 장치가 대형화되고 소규모 현상소의 스페이스의 유효한 이용을 도모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른 종래의 장치로서, 네가필름을 몇번이나 왕복반송시켜, 네가필름을 간헐적으로 보낼 때에는 노광·스캐닝(scanning)의 동작만을 행하고, 네가필름을 일정속도로 보낼 때에는 자기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을 행하도록 구성된 사진소부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로는, 루프형성부를 생략할 수 있지만, 네가필름을 몇번이나 왕복시키지 않으면 안되므로,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또 네가필름에 흠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점은 루프형성부를 설치하지 않고도 정보의 판독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고, 게다가 네가필름을 몇번이나 왕복시킬 필요가 없이 판독이나 기입이 가능한 사진소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제1항의 사진소부장치는, 자기기록부를 갖는 네가필름을 반입구(搬入口)와 반출구(搬出口)의 사이를 왕복반송하는 반송로의 중간부에 노광부를 배열설치하고, 판독자기헤드(判讀磁氣head)를 노광부와 반입구의 사이에 배치하여, 판독자기헤드와 노광부의 노광센터(露光center)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고마(이하"화면" 또는 "화면"으로 칭함)피치(pitch)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 화면피치(pitch)를 가(加)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2항의 사진소부장치는, 청구항 제1항의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 기입자기(記入磁氣head)를 노광부와 반출구(搬出口)와의 사이에 배치하고, 기입자기헤드와 노광부의 노광센터와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pitch)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 화면피치(pitch)를 가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3항의 사진소부장치는, 자기기록부를 갖는 네가필름이 반입구와 반출구와의 사이를 반송되는 반송로의 중간부에 노광부를 배열설치하고, 네가필름을 반입구로부터 노광부의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차례차례 다음으로 보낼 때에 스캐닝(scanning)을 행하고, 네가필름을 반입구의 방향으로 역송할 때에 프린트를 행하는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 판독자기헤드(判讀磁氣head)를 노광부와 반입구와의 사이에 배치하고, 판독자기헤드와 노광부의 노광센터와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pitch)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 화면피치를 가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4항의 사진소부장치는, 청구항 제3항에 기재한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 기입자기헤드를 노광부와 반입구와의 사이에 배치하고, 기입자기헤드와 판독자기헤드와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의 거리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5항의 사진소부장치는, 자기기록부를 갖는 네가필름을 반입구와 반출구와의 사이를 왕복반송(往復搬送)하는 반송로의 중간부에 노광부를 배열설치하고, 네가필름을 반입구로부터 노광부의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차례차례 보낼(順送) 때에 스캐닝을 행하고, 네가필름을 반입구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역송할 때에, 스캐닝계산을 종료시키며, 다시 한번 노광부의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정의 방향으로 순송할 때에 프린트를 행하는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 판독자기헤드를 노광부와 반입구와의 사이에 배치하고, 판독자기헤드와 노광부의 노광센터와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 화면피치를 더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6항의 사진소부장치는, 청구항 제5항에 기재한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역송을 할 때에 기입을 행하는 기입자기헤드를, 노광부와 반입구와의 사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7항의 사진 소부장치는, 청구항 제5항에 기재한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순송(順送)하여 프린트할 때에 기입을 행하는 기입자기헤드를, 노광부와 반입구와의 사이에 배치하고, 기입자기헤드와 판독자기헤드와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의 거리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8항의 사진소부장치는, 자기기록부를 갖는 네가필름을 반입구와 반출구와의 사이를 왕복반송하는 반송로의 중간부에 노광부를 배열설치하고, 네가필름을 반입구로부터 노광부의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순송(順送)할 때에 스캐닝을 행하고, 네가필름을 반입구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역송할 때에 스캐닝 계산을 종료시켜, 다시 한번 노광부의 방향으로 보낼 때에 프린트를 행하고, 다시 반입구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역송하는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 간헐적으로 순송하여 스캐닝할 때에 판독을 행하는 판독자기헤드를, 노광부와 반입구와의 사이에 배치하고, 판독자기헤드와 노광부의 노광센터와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의 정(正) 정수배(整數倍)에 반(半) 화면피치를 가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9항의 사진소부장치는, 청구항 제8항에 기재한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 프린트 종료된 네가필름을 연속적으로 역송할 때에 기입을 행하는 기입자기헤드를 노광부와 반입구와의 사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10항의 사진소부장치는, 청구항 제9항에 기재한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 기입자기헤드를 역송할 때에 판독자기헤드(判讀磁氣head)보다도 상류측에 배열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11항의 사진소부장치는, 청구항 제7항에 기재한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 기입자기헤드를 판독자기헤드보다도 순송에(順送) 있어서 상류측에 배열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12항의 사진소부장치는, 반입구로부터 반출구로 향해 자기기록부를 갖는 네가필름을 반송하는 반송로를 따라, 또한 반송경로 하류측으로 차례차례 스캐너 유니트와 소부 유니트를 배열설치하고, 스캐너 유니트에는 네가필름의 각 화면장치, 네가필름 종별(種別)등을 필름필요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스캐너용의 광원광(光源光)에 의해 화상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갖추고, 소부 유니트에는 스캐너 유니트의 검출정보에 따라 제어되는 노광부의 노광용 광원 및 칼라 조정용 조광(調光)필터를 갖춘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 판독자기헤드(判讀磁氣head)를 스캐너 유니트의 반송로에 배열설치하고, 판독자기헤드와 스캐너용 광원센터와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pitch)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 화면피치를 가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13항의 사진소부장치는, 청구항 제12항에 기재한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 기입자기헤드를 노광부의 상류측의 소부 유니트의 반송로에 배열설치하고, 기입자기헤드와 노광센터와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 화면피치를 가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14항의 사진소부장치는, 청구항 제12항에 기재한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 기입자기헤드를 노광부의 하류측의 소부 유니트의 반송로에 배열설치하고, 기입자기헤드와 노광부의 노광센터와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 화면피치를 가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15항의 사진소부장치는, 각 화면마다에 자기기록부 및 잠상정보부 (潛像情報部)가 형성된 네가필름을 반입구와 반출구와의 사이에서 왕복반송하는 반송로를 갖고, 또한 반송로의 중간에 노광부가 배열설치된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 반송로를 따라 설치된 판독자기헤드, 기입자기헤드 및 광학센서를 반입구로부터 노광부로 향하여 판독자기헤드, 기입자기헤드 및 광학센서의 순으로 배치하고, 판독자기헤드 및 광학센서와 노광부의 노광센터와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정수배(整數倍)에 반(半) 화면피치를 가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하며, 반출구로 향해 네가필름을 간헐적으로 순송(順送)할 때에는, 판독자기헤드 및 광학센서로 네가필름의 정보를 판독하고, 반입구로 향하고 네가필름을 연속적으로 역송할 때에는, 기입자기헤드로 자기기록부에 정보를 기입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1항의 사진소부장치에 의하면, 판독자기헤드(判讀磁氣head)와 노광부(露光部)의 노광센터와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pitch)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 화면 피치를 가(加)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했기 때문에, 네가필름의 간헐(間歇)이송의 정지시에는, 네가필름의 화면센터는 노광부의 노광센터에 합치함과 동시에 판독자기헤드는 1화면분의 자기기록부와 자기기록부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따라서, 간헐(間歇)이송의 동작시에는, 판독자기헤드를 1 화면분의 자기기록부가 연속적으로 통과하고 자기정보를 안정되게 판독할 수 있다.
따라서, 네가필름을 순송하여 스캐닝할 때에, 자기정보를 안정되게 판독할 수 있다.
청구항 제2항의 사진소부장치에 의하면, 기입자기헤드와 노광부의 노광센터와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 화면피치를 가(加)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했으므로, 네가필름의 간헐이송의 정지시에는, 네가필름의 화면센터(center)는 노광부의 노광센터에 합치함과 동시에 기입자기헤드(記入磁氣head)는 1 화면분의 자기기록부와 자기기록부와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따라서 간헐이송의 동작시에는, 기입자기헤드를 1 화면분의 자기기록부가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자기정보를 안정되게 기입할 수 있다. 따라서, 네가필름을 간헐적으로 순송하여 프린트 할 때에, 자기정보를 안정되게 기입할 수 있다.
청구항 제3항의 사진소부장치에 의하면, 네가필름의 간헐이송의 정지시에는, 네가필름의 화면의 센터는 노광부의 노광센터에 합치함과 동시에 판독자기헤드(判讀磁氣head)는 1 화면분의 자기기록부와 자기기록부와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간헐 이송의 동작시에는, 판독자기헤드를 1 화면분의 자기기록부가 연속적으로 통과하게 되어, 자기정보를 안정되게 판독할 수 있다.
따라서, 네가필름을 간헐적으로 순송하여 스캐닝할 때에는, 자기정보를 안정되게 판독할 수 있다.
다음에, 네가필름을 연속적으로 역송(逆送)할 때에 프린트를 행한다.
청구항 제4항의 사진소부장치에 의하면, 네가필름의 간헐이송의 정지시에는, 네가필름의 화면의 센터는 노광부의 노광센터에 합치함과 동시에 기입자기헤드는 1 화면분의 자기기록부와 자기기록부와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간헐이송의 동작시에는, 기입자기헤드를 1 화면분의 자기기록부가 연속적으로 통과하게 되어, 자기정보의 안정된 기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네가필름을 간헐적으로 순송하여 스캐닝할 때에 자기정보를 안정되게 판독한 후, 간헐적으로 역송(逆送)하여 프린트를 행할 때에는, 자기정보의 안정된 기입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제5항의 사진소부장치에 의하면, 간헐이송의 동작시에는, 판독자기헤드를 1 화면분의 자기기록부가 연속적으로 통과하게 되어, 자기 정보의 안정된 판독이 가능하므로, 간헐적으로 순송(順送)하여 스캐닝할 때에는 자기정보를 안정되게 판독할 수 있다.
따라서, 네가필름을 간헐적으로 순송하여 스캐닝할 때에는, 자기정보를 안정하여 판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네가필름을 연속적으로 역송(逆送)할 때에는, 스캐닝 계산이 종료된다.
마지막으로, 네가필름을 간헐적으로 이송하며 프린트를 행한다.
청구항 제6항의 사진소부장치에 의하면, 네가필름을 간헐적으로 순송하여 스캐닝할 때에, 자기정보를 안정되게 판독할 수 있다.
다음에, 네가필름을 연속적으로 역송할 때에는, 스캐닝계산을 종료시킴과 동시에, 자기 정보의 기입을 행한다.
마지막으로, 간헐적으로 순송할 때에 프린트를 행한다.
청구항 제7항의 사진소부장치에 의하면, 네가필름을 간헐적으로 순송하여 스캐닝할 때에는, 자기정보를 안정되게 판독할 수 있다.
다음에, 네가필름을 연속적으로 역송(逆送)할 때에, 스캐닝 계산을 종료시킨다.
마지막으로, 간헐적으로 순송(順送)하여 프린트를 행할 때에는, 자기정보의 안정된 기입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제8항의 사진소부장치에 의하면, 네가필름을 간헐적으로 순송하여 스캐닝을 할 때에, 자기정보를 안정되게 판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네가필름을 연속적으로 역송(逆送)하고, 스캐닝계산을 종료시킨다.
다음으로, 네가필름을 간헐적으로 순송(順送)할 때에, 프린트를 행한다.
마지막으로, 네가필름을 연속적으로 역송한다.
청구항 제9항의 사진소부장치에 의하면, 네가필름을 간헐적으로 순송하여 스캐닝할 때에, 자기정보를 안정되게 판독할 수 있다.
다음에, 네가필름을 연속적으로 역송할 때에, 스캐닝 계산을 종료시킨다.
다음에, 네가필름을 간헐적으로 순송하며 프린트를 행한다.
마지막으로, 네가필름을 연속적으로 역송할 때에, 안정된 기입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제10항의 사진소부장치에 의하면, 기입자기헤드로 기입된 정보를 판독자기헤드로 체크할 수 있다.
청구항 제11항의 사진소부장치에 의하면, 기입자기헤드로 기입된 정보를 판독자기헤드에서 체크할 수 있다.
청구항 제12항의 사진소부장치에 의하면, 네가필름의 간헐이송의 정지시에는, 네가필름의 화면의 센터는 스캐닝용 광원(光源)센터에 합치함과 동시에 판독자기헤드는 1 화면분의 자기기록부와 자기기록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므로, 간헐이송의 동작시에는, 판독자기헤드를 1 화면분의 자기기록부가 연속적으로 통과함으로써, 자기정보의 안정된 판독이 가능하다.
청구항 제13항의 사진소부장치에 의하면, 네가필름의 간헐이송의 정지시에는, 네가필름의 화면의 센터는 노광부센터에 합치함과 동시에 기입자기헤드는 1 화면분의 자기기록부와 자기기록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므로, 간헐이송의 동작시에는, 기입자기헤드를 1 화면분의 자기기록부가 연속적으로 통과하게 되어, 프린트 정보의 안정된 기입이 가능하다.
청구항 제14항의 사진소부장치는, 네가필름의 간헐이송의 정지시에는, 네가필름의 화면의 센터는 노광부 센터에 합치함과 동시에 기입자기헤드는 1 화면분의 자기기록부와 자기기록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므로, 간헐이송의 동작시에는, 기입자기헤드를 1 화면분의 자기기록부가 연속적으로 통과하게 되어, 프린트 정보의 안정된 기입이 가능하다.
게다가, 기입자기헤드를 노광부의 하류측에 위치시키고 있으므로, 프린트 보정(補正) 정보도 기입할 수 있다.
청구항 제15항의 사진소부장치에 의하면, 판독자기헤드 및 광학센서와 노광부의 노광센터와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 화면피치를 가(加)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했으므로, 네가필름의 간헐이송의 정지시에는, 네가필름의 화면센터는 노광부의 노광센터에 합치함과 동시에 판독자기헤드 및 광학센서는 정보부의 사이의 비(非)정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따라서 간헐이송의 동작시에는, 판독자기헤드를 1 화면분의 자기기록부가 연속적으로 통과하여 자기기록부를 안정되게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자기정보를 판독한 후에 네가필름을 연속적으로 역송(逆送)할 때에는, 기입자기헤드를 네가필름의 자기기록부가 연속적으로 통과하여 자기기록부에 안정되게 기입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1]
사진소부장치는, 자기기록부 1을 갖는 네가필름 2을 반입구 3과 반출구 4와의 사이에 왕복반송하는 반송로 5를 가지고, 이 반송로 5에 노광부 6, 판독자기헤드7, 기입자기헤드 8 및 광학센터 9를 배설(配設)하여 구성되어 있다.(제1도 및 제2도)
반송로 5의 반입구 3 부근에는 반송롤러대(roller對) 5a가 배설되고, 노광부 6 쪽에서도 반입구 3쪽에는 반송롤러대 5b 및 반출구 4쪽에는 반송롤러 대 5c, 5d가 각각 배설되어 있다.
이들의 반송롤러대 5a, 5b, 5c, 5d는, 전동(傳動)수단 T를 이용하여 모터 M에 의해 동기(同期, synchrinize)하여 회전구동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송로 5는, 모터 M의 정전(正轉)에 의해 네가필름 2을 반입구 3으로부터 반출구 4를 향해 순송함과 동시에, 모터 M의 역전에 의해 네가필름 2을 반출구 4로부터 반입구 3을 향해 역송(逆送)하는 것이다.
그리고, 순송할 때에는, 네가필름 2을 노광부 6에 1 화면씩 간헐적으로 들여보내고, 역송의 경우는, 네가필름 2을 반출구 4로 일정속도로 연속적으로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도는 네가필름 2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네가필름 2의 자기기록부 1은 네가 필름2의 일측부(一側部)에 각 화면 2a마다 형성되고, 각 자기기록부 1에는 각 화면 2a의 촬영의 날짜, 시간등이 기억되고 있다.
네가필름 2의 일측부(一側部)에는 퍼포레이션(perforation) 2b가 형성되고, 이들의 퍼포레이션 2b는 각 화면 2a의 양 단부(端部)에 위치되어 있고, 자기기록부 1은 퍼포레이션(perforation) 2b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네가필름 2의 타측부에는 각 화면 2a에 대응하여 바아코드등의 잠상정보부(潛像情報部) 10이 형성되어 있다.
판독자기헤드 7은, 네가필름 2의 자기기록부 1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것이고, 반입구 3과 노광부 6와의 사이의 반송로 5의 양측에 배설(配設)되고, 이 판독자기헤드 7은 판독회로 11을 통하여 콘트롤러(controller) 12에 접속되어 있다.
판독자기헤드 7의 센터 C2 와 노광부 6의 센터 C1 와의 간격 L1은, 네가필름 2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화면피치를 가(加)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도시(圖示)한 실시예에서는 2.5 화면의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가입자기헤드 8은 네가필름 2의 자기기록부 1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으로, 반출구 4와 노광부 6와의 사이의 반송로 5의 양측에 배설(配設)되고, 이 기입자기헤드 8은 기입회로 13을 거쳐 콘트롤러 12에 접속되어 있다.
기입자기헤드 8의 센터 C3와 노광부 6의 센터 C1와의 간격 L2는, 네가필름 2의 1 화면피치의 정(政)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화면피치를 더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도시한 실시예에서 1.5 화면의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광학센서 9는 퍼포레이션(perforation) 2b, 잠상정보부 10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판독자기헤드 7과 노광부 6과의 사이에 배설되고, 이 광학센서 9는 증폭회로 9a를 통해 콘트롤러 12에 접속되어 있다.
광학센서 9의 센터 C4와 노광부 6의 센터 C1과의 간격 L3는, 네가필름 2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화면피치를 가(加)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되어있고,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1.5 화면피치의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콘트롤러 12에는 키-보드 17과 디스플레이 18이 접속되어 있다.
노광부 6은, 노광스테이지(stage) 6a에 배설된 네가필름 2의 화면 2a를 인화지(도시생략)에 광원광(光源光)으로 소부한 것이다.
제3도는 네가필름 2의 간헐이송의 이송속도 v와 시간 t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t 1 는 1 화면의 이송구간, t 2는 일정속도의 구간, t 3 는 화면이송의 이송개시시의 가속구간, t 4 는 화면이송을 정지하기 위한 감속구간, t 5 는 이송동작의 정기구간을 나타내고 있고, 판독자기헤드 7에 의한 판독과 기입자기헤드 8에 의한 기입은 1 화면이송동작중의 일정속도의 구간 t 2에서 행한다.
반송로 5의 양 끝에는 카트리지 14의 세트부 15와 필름권취부(卷取部) 16이 형성 되어 있다.
그림중 17은 필름 클리너이다.
위와 같이 하여 구성된 사진소부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함으로써, 노광이나 스캐닝을 행할 때에도, 정보의 판독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1) 우선, 카트리지 14로부터 네가필름 2을 인출하여 간헐적으로 순송할 때에는, 광학센서 9에 의해 스캐닝하면서 판독자기헤드 7에 의해 네가필름 2의 자기정보 및 잠상정보를 판독한다.
(2) 다음으로, 네가필름 2을 일정속도로 연속적으로 역송(逆送)한다. 이때에는, 판독자기헤드 7 및 기입자기헤드 8는 작동하지 않는다.
(3) 다음으로, 네가필름 2을 간헐적으로 순송할 때에, 노광부 6에 의해 프린트 하면서 기입자기헤드 8에 의해 자기기록부 1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이와 같이, 네가필름 2을 1.5 왕복시킴으로써, 작업을 완료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사진소부장치는, 자기기록부 1을 갖는 네가필름 2을 반입구 3으로부터 반출구 4로 반송하는 반송로 5를 가지고, 이 반송로 5에 노광부 6, 판독자기헤드 7, 기입자기헤드 8 및 광학센서 9를 배설하여 구성되어 있다.(제5도 및 제6도)
반송로 5의 반입구 3 부근에는 반송롤러대(對) 5a가 배설되고, 노광부 6에서도 반입구 3쪽에는 반송롤러대 5b, 그리고 반출구 4쪽에는 반송롤러대 5c가 각각 배설되어 있다.
반송롤러대 5a, 5b, 5c는 전동수단(轉動手段) T를 이용하여 모터 M에 의해 동기(同期, synchronize)하여 회전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송로 5는, 실시예 1의 것과 마찬가지로, 모터 M의 정전(正轉)에 의해 네가필름 2을 반입구 3으로부터 반출구 4로 향하여 순송함과 동시에, 모터 M의 역전에 의해 네가필름 2을 반출구 4로부터 반입구 3을 향해 역송하고, 순송할 때에는 네가필름 2을 노광부 6에 1 화면마다 간헐적으로 들여보내고, 역송의 경우에는, 네가필름 2의 반출구 4에 일정속도로 연속적으로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터 M 은, 드라이버 20을 거쳐 콘트롤러 1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네가필름 2의 구성은, 제4도에 나타난 네가필름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판독자기헤드 7은, 실시예 1의 것과 마찬가지로, 네가필름 2의 자기기록부 1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것으로, 반입구 3과 노광부 6와의 사이의 반송로 5의 양측에 배설되고, 이 판독자기헤드 7은 판독회로 11을 거쳐 콘트롤러 12에 접속되어 있다.
판독자기헤드 7의 센터 C2와 노광부 6의 센터 C1와의 간격 L1은, 네가필름 2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화면피치를 가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3.5 화면의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기입자기헤드 8은, 실시예 1의 것과 마찬가지로, 네가필름 2의 자기기록부 1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으로, 반입구 3와 노광부 6와의 사이에 반송로 5의 양측에 배설(配設)되고, 이 기입자기헤드 8은, 기입회로 13을 거쳐 콘트롤러 12에 접속되어 있다. 기입자기헤드 8의 센터 C3와 노광부 6의 센터 C1와의 간격 L1은, 네가필름 2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화면피치를 가(加)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2.5화면의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광학센서 9는, 실시예 1의 것과 마찬가지로, 퍼포레이션 2b, 잠상정보부 10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판독자기 헤드 7와 노광부 6와의 사이에 배설되고, 이 광학센서 9는 증폭회로 9a를 이용하고 콘트롤러 12에 접속되어 있다.
광학센서 9의 센터 C4와 노광부 6의 센터 C1와의 간격 L3는, 네가필름 2이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화면피치를 가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1.5 화면피치의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콘트롤러 12에는 키-보드 17와 디스플레이 18가 접속되어 있다.
노광부 6은, 노광스테이지 6a에 배설된 네가필름 2의 화면 2a를 인화지(도시생략)에 광원광(光源光)으로 소부한 것이다.
반송로 5의 양 끝에는 카트리지 14의 세트부 15와 필름 권취부(卷取部) 16이 설치어 있다.
그림중 17은 필름 클리너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상의 사진소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겠다.
(1) 우선, 카트리지 14로부터 네가필름 2을 인출하고 간헐적으로 순송할 때에는, 광학 센서 9에 의해 스캐닝 하면서 판독자기헤드 7에 의해 네가필름 2의 각 화면 2a의 자기정보 및 잠상정보를 판독한다.
(2) 다음에, 간헐적으로 역송(逆送)하여 프린트를 행할 때에는, 프린트 정보의 안정된 기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입된 프린트 정보는 판독자기헤드 7에서 체크한다.
또한, 기입된 프린트 정보의 체크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기입자기헤드 8을 판독자기헤드 7보다도 하류측(반입구 3측)에 설치해도 좋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원칙적으로 실시예 2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있지만, 콘트롤러 12에 의한 모터 M의 제어와 스캐닝계산의 시기에 따라 다르다.
제7도는 본 실시예상의 배치도를 나타낸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사진소부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1) 우선, 네가필름 2을 반입구 3으로부터 노광부 6의 방향에 간헐적으로 순송할 때에 스캐닝과 동시에 판독을 행한다.
(2) 다음에, 네가필름 2를 반입구 3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역송한다.
그리고, 역송할 때에, 스캐닝계산을 종료시킴과 동시에 자기정보의 기입을 행한다.
(3) 다음에, 네가필름 2을 노광부 6의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순송할 때에, 프린트를 행한다.
또한, 기입된 프린트 정보는 판독자기헤드 7에서 체크한다.
또한, 기입된 프린트 정보의 체크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기입자기헤드 8을 판독자기헤드 7 보다도 하류측(반입구 3측)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기입자기헤드 8은, 연속적으로 역송할 때에 기입을 행하므로, 노광센터 C1과의 간격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원칙적으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있지만, 콘트롤러 12에 의한 모터 M의 제어와 스캐닝계산의 시기에 따라 다르다.
제8도는 본 실시예상의 배치도를 나타낸다.
다음에, 본 실시예어의 사진소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겠다.
(1) 우선, 네가필름 2을 반입구 3로부터 노광부 6의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순송할 때에 스캐닝과 함께 판독을 행한다.
(2) 다음에, 네가필름 2을 반입구 3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역송을 한다.
그리고, 이 역송시에 스캐닝계산을 종료시킨다.
(3) 다음에, 네가필름 2을 노광부 6의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순송할 때에, 프린트를 행함과 동시에 기입자기헤드 8에서 프린트 정보의 기입을 행한다.
또, 기입된 프린트 정보는 판독자기헤드 7에서 체크한다.
또한, 기입된 프린트 정보의 체크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기입자기헤드 8을 판독자기헤드 7 보다도 하류측(반입구 3측)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기입자기헤드 8은, 간헐적으로 순송할 때에 기입을 행하므로, 노광센터 C1 와의 간격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설정되는 것이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원칙적으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콘트롤러 12에 의한 모터 M의 제어와 스캐닝계산의 시기에 따라 다르다.
제9도는 본 실시예상의 배치도를 나타낸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사진소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겠다.
(1) 우선, 네가필름 2을 반입구 3로부터 노광부 6의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순송할 때에 스캐닝과 함께 판독을 행한다.
(2) 다음에, 네가필름 2을 반입구 3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역송한다.
그리고, 역송할 때에, 스캐닝계산을 종료시킨다.
(3) 다음으로, 네가필름 2을 노광부 6의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순송할 때에, 프린트를 행함과 동시에, 기입자기헤드 8에서 프린트 정보의 기입을 행한다.
또한, 기입된 프린트 정보는 판독자기헤드 7에서 체크한다.
또한, 기입프린트 정보의 체크가 불필요할 때에는, 기입자기헤드 8을 판독자기헤드 7보다도 하류측(반입구 3측)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기입자기헤드 8은, 연속적으로 역송할 때에 기입을 행하므로, 노광센터 C1와의 간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6]
제10도는 본 실시예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반입구 3로부터 반출구 4로 향하여 자기기록부 1을 가진 네가필름 2을 반송하는 반송로 5를 따라, 스캐너 유니트 22와 소부 유니트 23가 배설되어 있다.
스캐너 유니트 22에는 네가필름 2의 각 화면장치, 네가필름 종별(種別)등을 필름 필요정보를 검출하는 DX 코드 검출기 24 및 스캐너용 광원 26의 광원광에 의해 화상정보를 검출하는 화상검출기 25를 구비하고, 소부 유니트 23에는 스캐너 유니트의 검출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노광부의 노광용 광원 27 및 칼라 조정용의 조광(調光)필터 28을 구비하고 있다.
DX 코드 검출기 24는, 네가필름 2의 양 끝에 프린트된 DX 코드를 포토센서로 판독하고, 필름의 종별(種別), 화면번호등을 검출하는 것이다.
화상검출기 25는, 포토센서로 네가필름 2의 각 화면의 화상폭을 읽고, 화상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25, 26은 스캐너 유니트 22와 소부 유니트 23과의 사이에 반송로 5에 설치된 루프(loop)부이다.
스캐너용의 광원 26의 빛은 네가필름 2을 조사(照射)하고, 각 화상을 통과한 빛은 렌즈 유니트 28을 통해 측광부(測光部) 29에 설치된 3색 분해필터로 3원색으로 분해되어, 이를 칼라센서로 수광(受光)하고 화상농도정보를 얻도록 구성되어 있다.
24a는 DX 코드 검출기 25a는 화상검출기 25으로, 소부된 화상화면과의 조합(照合)을 하는 것이다.
29는 인화지(印畵紙), 30은 이송롤러이다.
판독자기헤드 7은 스캐너 유니트 22의 반송로 5에 배설(配設)되어 있고, 이 판독자기헤드 7에서 필름 정보를 판독하는 것이다.(제10도)
판독자기헤드 7와 스캐너용 광원 센터 C5와의 간격은,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화면을 가(加)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스캐너용 광원센터 C5와 판독자기헤드 7과의 사이에 루프부를 설치하지 않고도, 네가필름 2을 스캐너용 광원센터 C5에 간헐적으로 순송하여 필름정보를 검출할 때에는, 자기정보를 안정되게 판독할 수 있고, 그 결과 스캐너용 광원 센터 C5와 판독자기헤드 7과의 사이에 루프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판독자기헤드 7은 스캐너용 광원센터 C5의 상류에 설치되어 있는데, 제10도의 2점 사슬선에서 가리키는 대로 하류측에 설치해도 좋다.
[실시예 7]
제11도는, 본 실시예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고, 기입자기헤드 8을 설치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6과 같은 구성이므로, 도면에 동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기입자기헤드 8은, 노광부 6의 상류측의 소부 유니트 23의 반송로 5에 배설되어 있고, 1매 프린트할 때마다 프린트 정보를 기입한다.
기입자기헤드 8와 노광부 6의 센터 C1와의 간격은, 네가필름 2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화면피치를 가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네가필름 2을 노광부 6에 간헐적으로 순송(順送)하며 노광 할 때에는, 자기정보를 안정되게 기입할 수 있고, 그 결과, 노광부 6의 센터 C1와 기입자기헤드 8와의 사이에 루프부를 설치하지 않게 되어, 장치의 소형화(小型化)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8]
제12도는 본 실시예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고, 기입자기헤드 8를 설치한 점을 제외하면 실시예 6와 같은 구성이므로, 도면에 동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기입자기헤드 8은, 노광부 6의 하류측의 소부 유니트 23의 반송로 5에 배설되어 있고 1 매(枚) 프린트할 때마다 프린트 정보 및 오퍼레이터의 보정(補正) 정보를 기입한다.
기입자기헤드 8과 노광부 6의 센터 C1와의 간격은, 네가필름 2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 화면피치를 가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네가필름 2를 노광부 6로 간헐적으로 순송하며 노광 할 때에는, 자기정보를 안정되게 기입할 수 있고, 그 결과, 노광부 6의 센터 C1와 기입자기헤드 8와의 사이에 루프부를 설치하지 않게 되므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9]
사진소부장치는, 자기기록부 1 및 잠상정보부 10이 형성된 네가필름 2을 반입구 3로부터 반출구 4로 반송하는 반송로 5를 가지고, 반송로 5의 중간에 노광부 6가 배설되어 있고, 노광부 6와 반입구 3와의 사이에는 판독자기헤드 7, 기입자기헤드 8 및 광학센서 9가 설치되어있다.
판독자기헤드 7, 기입자기헤드 8 및 광학센서 9는 반입구 3로부터 노광부 6로 향하여 판독자기헤드 7, 기입자기헤드 8 및 광학센서 9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제13도 및 제14도)
반송로 5의 반입구 3 부근에는 반송롤러대(對) 5a가 배설되고, 노광부 6로부터 반입구 3쪽에는 반송롤러대 5b, 반출구 4쪽에는 반송롤러 5c가 각각 배설되어 있다.
반송롤러대 5a, 5b, 5c는 전동(傳動) 수단 T를 이용하고 모터 M에 의해 동기(同期, synchronize)하여 회전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송로 5는, 실시예 1의 것과 마찬가지로, 모터 M의 정전(正轉)에 의해 네가필름 2을 반입구 3로부터 반출구 4로 향해 순송함과 동시에 모터 M의 역전에 의해 네가필름 2을 반출구 4로부터 반입구 3를 향해 역송하는 것으로, 순송할 때에는 네가필름 2를 노광부 6로 1화면마다 간헐적으로 들여보내고, 역송할 때에는, 네가필름 2을 반출구 4로 일정속도로 연속적으로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네가필름 2의 구성은, 제4도에 나타난 네가필름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판독자기헤드 7은 실시예 1의 것과 마찬가지로, 네가필름 2의 자기기록부 1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것으로, 반입구 3과 노광부 6와의 사이의 반송로 5의 양측에 배설(配設)되고, 이 판독자기헤드 7은 판독회로 11를 거쳐 콘트롤러 12로 접속되어 있다.
판독자기헤드 7의 센터 C2와 노광부 6의 센터 C1와의 간격 L1은, 네가필름 2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화면 피치를 가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2.5 화면의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기입자기헤드 8은, 실시예 1의 것과 마찬가지로, 네가필름 2의 자기기록부 1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으로, 반입구 3과 노광부 6과의 사이의 반송로 5의 양측에 배설되고, 이 기입자기헤드 8은, 기입회로 13을 거쳐 콘트롤러 12에 접속되어 있다.
광학센서 9는, 실시예 1의 것과 마찬가지로, 퍼포레이션(perforation) 2b, 잠상정보부(潛象情報部) 10을 판독하는 것으로, 판독자기헤드 7와 노광부 6와의 사이에 배설되고, 이 광학센서 9는 증폭회로 9a를 거쳐 콘트롤러 12에 접속되어 있다.
광학센서 9의 센터 C3와 노광부 6의 센터 C1와의 간격 L2는, 네가필름 2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 에 반(半)화면피치를 가(加)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1.5 화면피치의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광학센서 9의 센터 C3와 판독자기헤드 7의 센터 C2와의 간격 L3는 1 화면피치의 거리로 되어있다.
또한, 콘트롤러 12에는 키-보드 17와 디스플레이 18이 접속되어 있다.
노광부 6은, 노광 스테이지 6a에 배설된 네가필름 2의 화면 2a를 인화지(도시생략)에 광원광으로 소부한 것이다.
네가필름 2의 간헐이송의 이송속도와 시간과의 관계는, 실시예 1에 있어 제3도에 의하여 설명한 이송속도 v와 시간 t와의 관계와 같은 것이고, 판독자기헤드 7 및 광학센서 9에 의한 자기기록부 1 및 잠상정보부 10의 판독은, 1 화면 이송동작중의 일정속도의 구간 t2에 있어 행한 것이다.
반송로 5의 양 끝에는 카트리지 14의 세트부 15와 필름 권취부 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림중 17은 필름 클리너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사진 소부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함으로써, 정보를 정확히 읽어낼 수 있다.
(1) 우선, 카트리지 14로부터 네가필름 2을 인출하고 간헐적으로 순송할 때에는, 판독 자기헤드 7 및 광학센서 9에 의해 네가필름 2의 각 화면 2a의 자기정보 및 잠상정보를 판독한다.
(2) 다음에, 네가필름 2을 일정속도로 연속적으로 역송할 때에는, 기입자기헤드 8에 의해 네가필름 2의 자기기록부 1에 스캐너 보정데이터를 기입한다,
(3) 다음에, 네가필름 2을 간헐적으로 순송할 때에는, 프린트를 하면서 판독자기헤드 7로 프린트 데이터를 판독, 프린트데이터에 오류가 없는가를 체크한다.
(4) 다음에, 네가필름 2을 일정속도로 연속적으로 역송할 때에는, 기입자기헤드 8로 데이터를 기입한다.
이 기업데이터는 (4)의 체크시에 판독이 불완전했던 것과, 매뉴얼보정을 가한 것이다.
다음에, 다른 동작패턴에 관하여 설명하겠다.
(1) 우선, 카트리지 14로부터 네가필름 2을 인출하고 간헐적으로 순송할 때에는, 판독자기헤드 7 및 광학센서 9에 의해 네가필름 2의 각 화면 2a의 자기정보 및 잠상정보를 판독한다.
(2) 다음에, 네가필름 2을 일정속도로 연속적으로 역송할 때에는, 판독자기헤드 7에 의해 자기기록부 1을 재차 판독하고 1회째의 판독체크를 행한다.
(3) 다음에, 네가필름 2을 간헐적으로 순송할 때에는, 노광부 6에 의해 프린트를 행한다.
(4) 다음에, 네가필름 2을 일정속도로 연속적으로 역송할 때에는, 기입자기헤드 8로 기입한다.
이 기입데이터는, 스캐너 데이터 및 보정 데이터이다.
청구항 제1항 및 청구항 제2항의 사진소부장치에 의하면, 네가필름을 간헐 이송하여 스캐닝 및 프린트를할 때에, 정보의 판독 및 기입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루프부가 불필요하게 되어 전체칫수를 작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스캐닝 및 프린트를 할 때에, 이와 병행하여 정보의 판독 및 기입을 행할 수 있으므로, 네가필름을 몇번이나 왕복시킬 필요가 없게되어 작업시간이 짧아지고, 네가필름에 흠이 생기는 일도 없게 된다.
청구항 제3∼14항의 사진소부장치에 의하면, 네가필름을 간헐이송하며 스캐닝과 노광을 행할 때에도, 정보의 판독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루프 형성부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전체칫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청구항 제15항의 사진소부장치에 의하면, 네가필름을 간헐이송하여 노광과 스캐닝을 행할 때에는 정보의 판독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루프 형성부가 불필요하게 되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네가필름을 몇번이고 왕복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시간이 짧아지고, 네가필름에 흠이 생기는 일도 없게 된다.

Claims (15)

  1. 자기기록부를 갖는 네가필름이 반입구와 반출구와의 사이를 왕복반송하는 반송로의 중간부에 노광부를 배열설치하고, 판독자기헤드를 노광부와 반입구와의 사이에 배치하며, 판독자기헤드와 노광부의 노광센터와의 간격을, 네가필름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 화면피치를 가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소부장치(寫眞燒付裝置).
  2. 제1항에 있어서, 기입자기헤드를 노광부와 반출구와의 사이에 배치하고, 기입자기헤드와 노광부의 노광센터와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화면피치를 가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소부장치.
  3. 자기기록부를 갖는 네가필름이 반입구와 빈출구와의 사이를 반송하는 반송로의 중간부에 노광부를 배설하고, 네가필름을 반입구로부터 노광부의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순송할 때에 스캐닝을 행하고, 네가필름을 반입구의 방향으로 역송할 때에 프린트를 행하는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 판독자기헤드를 노광부와 반입구와의 사이에 배치하고, 판독자기헤드와 노광부의 노광센터와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 화면피치를 가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소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기입자기헤드를 노광부와 반입구와의 사이에 배치하고, 기입자기헤드와 판독자기헤드와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의 거리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소부장치.
  5. 자기기록부를 갖는 네가필름이 반입구와 빈출구와의 사이를 왕복반송하는 반송로의 중간부에 노광부를 배설하고, 네가필름을 반입구로부터 노광부의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순송할 때에 스캐닝을 행하고, 네가필름을 반입구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역송할 때에, 스캐닝계산을 종료시키고, 다시 한번 노광부의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순송할 때에 프린트를 행하는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 판독자기헤드를 노광부와 반입구와의 사이에 배치하고, 판독자기헤드와 노광부의 노광센터와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 화면피치를 가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소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역송할 때에 기입을 행하는 기입자기헤드를, 노광부와 반입구와의 사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소부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순송하여 프린트를 행할 때에 기입을 행하는 기입자기헤드를 노광부와 반입구와의 사이에 배치하고, 기입자기헤드와 판독자기헤드와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의 거리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소부장치.
  8. 자기기록부를 갖는 네가필름이 반입구와 빈출구와의 사이를 왕복반송하는 반송로의 중간부에 노광부를 배열설치하고, 네가필름을 반입구로부터 노광부의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순송할 때, 스캐닝을 행하고, 네가필름을 반입구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역송할 때에, 스캐닝 계산을 종료시키고, 다시 한번 노광부의 방향으로 보낼 때에 프린트를 행하고, 다시한번 반입구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역송하는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 간헐적으로 순송하며 스캐닝할 때에 판독을 행하는 판독자기헤드를, 노광부와 반입구와의 사이에 배치하고, 판독자기헤드와 노광부 노광센터와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화면피치를 가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소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프린트가 끝난 네가필름을 연속적으로 역송할 때에 기입을 행하는 기입자기헤드를, 노광부와 반입구와의 사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소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기입자기헤드를 역송할 때에 판독자기헤드보다도 상류측에 배열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소부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기입자기헤드를 판독자기헤드보다도 순송에 있어서의 상류측에 배열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소부장치.
  12. 반입구로부터 반출구로 향하여 자기기록부를 갖는 네가필름을 반송하는 반송로를 따라, 또한 반송경로 하류측에 순방향으로 스캐너 유니트와 소부 유니트를 배열설치하고, 스캐너 유니트에는 네가필름의 각 화면장치, 네가필름 종별등을 필름필요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스캐너용의 광원광에 의해 화상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갖추고, 소부 유니트에는 스캐너 유니트의 검출정보에 의하여 제어되는 노광부의 노광용 광원(光源) 및 칼라조정용의 조광(調光)필터를 갖춘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 판독자기헤드를 스캐너 유니트의 반송로에 배설하고, 판독자기헤드와 스캐너용 광원센터와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화면피치를 가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소부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기입자기헤드를 노광부의 상류측의 소부 유니트의 반송로에 배열설치하고, 기입자기헤드와 노광부의 노광센터와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화면피치를 가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소부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기입자기헤드를 노광부의 하류측의 소부 유니트의 반송로에 배열설치하고, 기입자기헤드와 노광부의 노광센터와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화면을 가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소부장치.
  15. 각 화면마다에 자기기록부 및 잠상정보부가 형성된 네가필름이 반입구와 반출구와의 사이에서 왕복반송하는 반송로를 가지고, 또한 반송로의 중간에 노광부가 배열설치된 사진소부장치에 있어서, 반송로를 따라 설치된 판독자기헤드, 기입자기헤드 및 광학센서를 반입구로부터 노광부로 향하여 판독자기헤드, 기입자기헤드 및 광학센서의 순으로 배치하고, 판독자기헤드 및 광학센서와 노광부의 노광센터와의 간격을, 네가필름의 1 화면피치의 정(正)의 정수배(整數倍)에 반(半)화면피치를 가한 거리가 되도록 설정하고, 반출구로 향하여 네가필름을 간헐적으로 순송흘러싸 때에는, 판독자기헤드 및 광학센서에서 네가펼치심지어 름의 정보를 판독하고, 반입구로 향하여 네가필름을 연속적으로 역송할 때에는, 기입자기헤드로 자기기록부에 정보를 기입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소부장치.
KR1019950007868A 1994-04-07 1995-04-04 사진소부장치 KR100205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6957394A JP3183029B2 (ja) 1994-04-07 1994-04-07 写真焼付装置
JP6069572A JP2985653B2 (ja) 1994-04-07 1994-04-07 写真焼付装置
JP94-069574 1994-04-07
JP94-069573 1994-04-07
JP94-69574 1994-04-07
JP6957494A JP2853560B2 (ja) 1994-04-07 1994-04-07 写真焼付装置
JP94-69573 1994-04-07
JP94-69572 1994-04-07
JP94-069572 1994-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647A KR950033647A (ko) 1995-12-26
KR100205705B1 true KR100205705B1 (ko) 1999-07-01

Family

ID=27300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7868A KR100205705B1 (ko) 1994-04-07 1995-04-04 사진소부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600498A (ko)
EP (1) EP0677770B1 (ko)
KR (1) KR100205705B1 (ko)
CN (1) CN1109921C (ko)
CA (1) CA2146473C (ko)
DE (1) DE6951856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1516A (en) * 1995-04-07 1998-11-24 Noritsu Koki Co., Ltd. Photographic processing apparatus
US5729329A (en) * 1995-06-30 1998-03-17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printing method
DE19641917A1 (de) * 1995-10-19 1997-04-24 Eastman Kodak Co Hochgeschwindigkeits-Filmbearbeitungsgerät
US5956129A (en) * 1996-05-22 1999-09-21 Eastman Kodak Company Writing print characteristics to magnetics-on-film
CN1190702C (zh) * 1996-04-19 2005-02-23 富士写真胶片株式会社 胶片扫描器及其读出方法
US6181409B1 (en) 1998-02-13 2001-01-30 Eastman Kodak Company System for backprinting photographic media
US6842270B2 (en) * 1999-12-16 2005-01-11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reading device
JP2005062285A (ja) * 2003-08-20 2005-03-10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セットアップ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セットアッ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579B2 (ja) * 1988-04-28 1996-03-2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コマ番号特定方法
JP2811101B2 (ja) * 1989-12-19 1998-10-15 コニカ株式会社 写真焼付装置
US4987431A (en) * 1989-12-27 1991-01-22 Eastman Kodak Company Film frame registration and correction by means of film prerecorded track
US5231451A (en) * 1990-09-12 1993-07-27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of recording information onto a photographic film and apparatus therefor
JPH05181209A (ja) * 1991-09-20 1993-07-23 Fuji Photo Film Co Ltd 情報記録読取方法及び装置
JP2656407B2 (ja) * 1991-09-30 1997-09-2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写真焼付装置及びオートカッター
EP0554639A1 (de) * 1992-02-06 1993-08-11 Gretag Imaging Ag Verfahren zur Erstellung fotografischer Kopien von fotografischen Kopiervorlagen in einem fotografischen Kopiergerät
US5337120A (en) * 1992-09-14 1994-08-09 Eastman Kodak Company Scanning apparatus gate drive system and method
US5349484A (en) * 1992-12-23 1994-09-20 Eastman Kodak Company Light pattern detection for film edge following
JPH06273842A (ja) * 1993-03-19 1994-09-30 Nikon Corp カメラの磁気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18568D1 (de) 2000-10-05
CN1109921C (zh) 2003-05-28
KR950033647A (ko) 1995-12-26
DE69518568T2 (de) 2001-05-23
CA2146473C (en) 2000-06-13
CN1119284A (zh) 1996-03-27
EP0677770B1 (en) 2000-08-30
US5600498A (en) 1997-02-04
CA2146473A1 (en) 1995-10-08
EP0677770A1 (en) 199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5705B1 (ko) 사진소부장치
JP2656407B2 (ja) 写真焼付装置及びオートカッター
US5729328A (en) Photographic film inspection apparatus
JP2891116B2 (ja) 写真焼付処理方法
JP3183029B2 (ja) 写真焼付装置
JP3597342B2 (ja) 画像記録装置
JP2868108B2 (ja) 画像プリンタ
JP3687774B2 (ja) 画像露光装置
JP4067533B2 (ja) 画像記録装置
JP2853560B2 (ja) 写真焼付装置
JP3753519B2 (ja) 画像記録装置
JPH11202419A (ja) 画像記録装置
JP2000356845A (ja) 写真処理装置
JPH11338116A (ja) 写真処理方法及びプリンタプロセッサ
US6115102A (en) Light-sensitive material transporting device
JP3258594B2 (ja) 写真フィルム情報読取装置
JPH11133514A (ja) 画像形成装置
JPH07281306A (ja) 写真焼付装置
JP2001083609A (ja) 画像露光装置
JP2001083619A (ja) 印画紙搬送装置
JP2001117180A (ja) 画像露光装置
JPH1164994A (ja) 画像記録装置
JP2007025311A (ja) 写真処理装置
JP2002087631A (ja) ローラ式印画紙搬送装置
JP2001033891A (ja) フィルムスキャ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