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150B1 -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 - Google Patents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150B1
KR100205150B1 KR1019950065532A KR19950065532A KR100205150B1 KR 100205150 B1 KR100205150 B1 KR 100205150B1 KR 1019950065532 A KR1019950065532 A KR 1019950065532A KR 19950065532 A KR19950065532 A KR 19950065532A KR 100205150 B1 KR100205150 B1 KR 100205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iring
auxiliary beam
rotating roll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5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2063A (ko
Inventor
쇼하치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야마다 아키오
미라이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다 아키오, 미라이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다 아키오
Publication of KR970002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1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소정의 하중지지 강도를 확보하여,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의 주 빔들 사이에 가설되는 보조 빔의 부착 수의 저감을 도모하면서, 배선·배관재의 인입력을 경감시킨다.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의 주 빔들 사이에 가설되고, 위쪽으로 개구하는 지지부(5a)를 가진 지지체(5)와, 상기 지지부(5a)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한 회전 롤러(4)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체(5)는 상기 회전 롤러(4)를 그의 일부가 상기 지지부(5a)의 개구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수용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르로 하는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요부 정면도.
제3도는 제1실시예의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요부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보조 빔의 종단면도.
제7도는 제2실시예의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8도는 종래의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의 연선(沿線) 롤러를 나타내는 요부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 2: 주 빔
3: 보조 빔 4: 회전 롤러
5: 지지체 5a: 지지부
5b: 먼지 배출홈 7: 지지판
본 발명은, 케이블 등의 배선, 배관재를 끌어 넣어 통선(通線)시키는 케이블랙 등의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의 주 빔(beam)들 사이에 가설되는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 보조 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선, 배관재를 끌어 넣을 때의 인입력(引入力)을 경감시킨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으로서는,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고 소62-172210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제8도 및 제9도에서,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1)은 일정한 단면형상의 알루미늄 등의 판재(板材)로 형성된 주 빔(2)과, 그 주 빔(2)들 사이에 가설된 복수의 보조 빔(3), 및 복수의 연선(延線) 롤러(10)로 구성되며, 전체가 사다리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보조 빔(3)은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1)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고, 단면이 일정한 형상인 알루미늄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연선 롤러(10)는 상기 보조 빔(3)들 사이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고, 주 빔(2)들 사이에 가설된 롤러 축(11)과, 이 롤러 축(11)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원반 형상의 회전 롤러(12)로 구성되고, 상기 롤러 축(11)은 그이 단부에 설치된 덮개체(11a)에 결합되는 부착 나사(6)를 사용하여 주 빔(2)에 부착되어 있다. W는 회전 롤러(12)상에 올려 놓여진 케이블이다.
이러한 종래의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1)은 회전 롤러(12)가 롤러 축(11)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배선작업시에 회전 롤러(12)상에 끌어 넣어 통선(通線)시킨 케이블(W) 등의 배선 혹은 배관재를 끌어 넣는 인입력(引입力)이 경감되어, 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케이블(W)의 인입력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연선 롤러(10)는 보조 빔(3)들 사이에서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인입력 경감만을 위해 연선 롤러(10)를 다수개 설치하는 것은 부재로서의 낭비가 있어, 경적적 부담이 크다. 따라서, 연선 롤러(10)를 보조 빔(3)으로도 사용함으로써 보조 빔(3) 및 연선 롤러(10) 전체의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런데,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1)은 연선 롤러(10)의 회전 롤러(12)에 삽입되어 통과된 롤러 축(11)이 주 빔(2)들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롤러 축(11)은 회전 롤러(12)를 받치기 위해 가는 직경의 원통 혹은 환봉(丸捧)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선 롤러(10)를 보조 빔(3)으로서 사용하는데에는 하중지지 강도가 작기 때문에, 통선(通線)되는 케이블(W) 등의 배선 혹은 배관재의 수가 제약되게 된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하중지지 강도를 크게 함으로써, 케이블(W)의 인입력을 경감시키는 연선 롤러로서의 작용도 함께 가지는 보조 빔의 출현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정의 하중지지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배선·배관재의 인입력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의 제공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제1항에 기재된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은,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의 주 빔들 사이에 가설되고, 위쪽으로 개구하는 지지부를 가진 지지체와, 상기 지지부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한 회전 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회전 롤러를 그의 일부가 상기 지지부의 개구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수용하여 지지한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제2항에 기재된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은, 상기 회전 롤러가 복수의 분할체로 이루어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제3항에 기재된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은, 상기 회전 롤러가 상기 지지체의 지지부에 직접 얹힌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제4항에 기재된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은, 상기 지지체의 지지부의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먼지 배출홈이 형성된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제5항에 기재된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은, 상기 회전 롤러가 상기 지지체의 지지부내에 배치된 복수의 지지판들 사이에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제6항에 기재된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은, 상기 회전 롤러가 상기 지지부내에 그의 위쪽 개구로부터 빠지지 않게, 또한 그의 측방 개구로부터 삽입하여 수용된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제1항의 발명에서는, 회전 롤러가 지지체의 지지부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하고, 또한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회전 롤러에 걸리는 하중을 지탱하는 지지체는 하중지지 강도가 작은 가는 직경의 원통, 환봉 등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지지체를 강도가 큰 구조로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보조 빔으로서의 하중지지 강도가 증대된다. 그리고, 회전 롤러에 의해 배선·배관재의 인입력이 경감된다.
특허청구범위의 제2항의 발명에서는, 회전 롤러가 복수의 분할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복수의 배선·배관재의 인입에 적합하다.
특허청구범위의 제3항의 발명에서는, 회전 롤러가 지지체의 지지부에 직접 얹혀 있기 때문에, 보조 빔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특허청구범위의 제4항의 발명에서는, 회전 롤러와 지지부 내면 사이에 부착한 먼지가 회전 롤러의 회전에 의해 밀어내어져 먼지 배출홈내로 낙하하여 제거 되기 때문에, 회전 롤러는 먼지에 의해 회전동작이 저해되는 일이 없이 원활하게 회전한다.
특허청구범위의 제5항의 발명에서는, 회전 롤러가 지지체의 지지부내에 배치된 복수의 지지판들 사이에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것이기 때문에, 회전 롤러의 회전동작이 한층 원활해진다.
특허청구범위의 제6항의 발명에서는, 회전 롤러가 상기 지지체의 지지부내에 그의 위쪽 개구로부터 빠지지 않게, 또한 그의 측방 개구로부터 삽입하여 수용된 것이기 때문에, 지지부내에 회전 롤러의 수용이 용이하며, 동시에 보조빔이 간단하고 콤팩트한 구성이 된다.
[제1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 및 제2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1)은 일정한 단면형상의 알루미늄 등의 판재(板材)로 형성된 주 빔(beam)(2)과, 그 주 빔(2)들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가설된 보조 빔(3)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조 빔(3)은 지지체(5)에 형성된 대략 반통(半筒)형상의 지지부(5a)내에 복수의 회전 롤러(4)가 수용되어 지지된 것이며, 지지체(5)에 설치된 나사부착부(5b)에 주 빔(2)을 관통하는 부착 나사(6)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주 빔(2)의 측면에 부착된다. W는 회전 롤러(4)상에 얹힌 케이블이다.
여기에서, 지지체(5)는 단면형상이 일정하고 합성수지, 알루미늄 등을 압출가공함으로써 간단히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지지체(5)의 지지부(5a)는 회전 롤러(4)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하여 회전 롤러(4)가 원할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부(5a)의 대략 반통형상의 양측 가장자리부(5c)는 회전 롤러(4)의 바깥 둘레면을 따라, 회전 롤러(4)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보다도 소정 길이 만큼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어,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1)이 뒤집혔을 때 지지부(5a)의 위쪽 개구로부터 회전 롤러(4)가 외측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이기 때문에, 지지체(5)내에의 회전 롤러(4)의 수용은 지지부(5a)의 좌우 양측의 개구면으로부터 회전 롤러를 차례로 삽입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지지체(5)는 도면에 나타낸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나사부착부(5b)가 지지부(5a)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있어, 회전 롤러(4)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지지부(5a)의 양 측부에서 주 빔(2)에 나사로 부착되는 구조이어도 좋다.
한편, 회전 롤러(4)는 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아니고, 자신이 지지부(5a)내에서 자전(自轉)하는 것이며, 그의 일부가 지지체(5)의 지지부(5a)의 위쪽 개구로부터 돌출하여 있어, 그 위에 얹힌 케이블(W)을 직접 지지하고 있다. 회전 롤러(4)는 합성수지, 발포수지 등을 사용하여 원주형상 혹은 두께가 얇은 원통형상으로 한 것이 사용되며, 두께가 얇은 원통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알루미늄 등의 경량 금속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지지부(5a)내에서 원할하게 회전하고, 케이블(W)에 대해 소정의 하중지지 강도가 있으며, 또한 경량이라면, 어떤 재질, 내부형상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보조 빔의 작용을 설명한다.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1)에 케이블(W)을 끌어 넣을 때, 케이블(W)은 회전 롤러(4)에 얹힌다. 따라서, 케이블(W)을 끌어 넣으면, 회전 롤러(4)가 지지체(5)의 지지부(5a)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인입력이 경감된다. 여기에서, 회전 롤러(4)는 지지체(5)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회전 롤러(4)에 걸리는 하중은 회전 롤러(4)가 아니라, 지지체(5)가 지지하게 된다. 즉, 종래예와 같이 회전 롤러(12)를 회전시키기 위한 룰러 축(11)인 가는 직경의 원통, 환봉 등의 부재에 의해 케이블(W)을 끌어 넣을 때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 롤러(4)를 수용하고 있는 지지체(5)에 의해 지지하는 것이다. 그 결과, 지지체(5)를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지지체(5)를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강도가 큰 틀구조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빔(3) 전체의 하중지지 강도가 증대한다.
또한, 회전 롤러(4)는 지지체(5)의 지지부(5a)내에 직접 얹혀 있기 때문에, 보조 빔(3)의 구조는 간단한 것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은 소정의 하중지지 강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 빔(3)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케이블(W) 등의 배선·배관재의 인입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조 빔(3), 더 나아가서는,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1)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롤러(4)는 각 분할체의 길이가 각각 상이한 것이어서도 좋고, 혹은, 보조 빔(3)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체로 한 것이어서도 좋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지지체(5)의 지지부(5a)에는,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통하는 먼저 배출홈(5d)을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회전 롤러(4)와 지지부(5a)의 내면 사이에 먼지가 부착해도, 회전 롤러(4)의 회전에 의해 먼지가 밀어내어져 먼지 배출용(5d)내로 낙하하여 제거되기 때문에, 회전 롤러(4)는 회전동작이 저해되지 않는다. 먼지 배출홈(5d)내에 축척된 먼지는 공기, 브러시 등에 의해 간단히 지지부(5a) 밖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지지체(5)는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서리부(5e)를 곡면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배선, 배관재의 인입력을 더궁 한층 경감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4도-제6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보조 빔(3)은 전체가 위쪽으로 개구하여 있는 긴 상자형상을 이룬 지지부(5)내에 복수의 회전 롤러(4)를 그의 일부를 위쪽으로 돌출시켜 회전할 수 있게 수용한 것이다. 지지체(5)의 긴 상자형상의 지지부(5a)의 위쪽 개구의 양측에는, 수용된 회전 롤러(4)가 외측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지지부(5a)내로 직각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5f)가 보조 빔(3)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지지부(5a)의 양단부의 개구는 지지판(7)으로 폐쇄되고, 또한, 지지부(5a)의 좌우 양측면에는 나사부착부(5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체(5)의 지지부(5a)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일정 폭의 판재로 된 지지판(7)이 측방 개구로부터 삽입되어 수용되어 있고, 또한, 이 지지판(7)의 양측면 중앙부에는, 외측으로 돌출한 원주형상의 축부(7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현편, 이 실시예의 회전 롤러(4)는 제1실시예의 회전 롤러(4)의 양측면 중심부에 상기 지지판(7)의 축부(7a)가 회전할 수 있게 결합하는 축구멍(4a)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 회전 롤러(4)는 지지판(7)의 축부(7a)에 의해 지지되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회전롤러(4)가 지지체(5)의 지지부(5a)내에서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게 수요되어 있기 때문에,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동시에, 특히 회전 롤러(4)는 그의 축구명(4a)에 결합하는 지지판(7)의 축부(7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한층 원할하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이 제2실시예의 변형예로서, 회전롤러(4)는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체(5)내의 지지판(7)측에 축구멍(7b)을 형성하고, 회전 롤러(4)측에 양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축부(4b)를 설치하여, 회전 롤러(4)를 회전기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도, 상기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회전 롤러(4)는 축부(4b)를 축으로 하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회전 롤러(4)는 축부(4b)에서 축받이되어 있기는 하지만, 종래예와 같이 1개의 롤러 축(11)으로 저지하는 것과는 달리, 복수의 분할체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각 축부(4b)에 가해지는 케이블(W)의 하중의 지지체(5)가 지지하고 이 지지체(5)는 임의로 굽힘 강도가 큰 구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 빔(3) 전체의 하중지지 강도는 종래의 연선 롤러(10)와 비교하여 매우 큰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체(5)의 모서리 부를 곡면으로 함으로써 배선, 배관재의 인입력을 더욱 경감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1)을 구성하는 보조 빔 모두를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회정 롤러(4)를 구비한 보조 빔(3)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다수의 보조 빔(3)중 일부를 회전 로러(4)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통상의 보조 빔으로 치환하여 양자를 병용한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케이블(W)을 끌어 넣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배선·배관재를 끌어 넣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상과 같이,특허청구범위의 제1항의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은, 회전 롤러가 지지체의 지지부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하고, 또한 지지체에 의해 지지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지지체를 강도가 큰 구조로 함으로써 보조 빔으로서의 하중지지 강도를 증대 시킬 수 있고, 또한, 배선·배관재의 인입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제2항의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은, 회전 롤러가 복수의 분할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특히 회전 롤러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제3항의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은, 회전 롤러가 지지체의 지지부에 직접 얹혀져 있기 때문에, 보조 빔의 구조가 간단한 것이 된다.
특허청구범위의 제4항의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은, 회전 롤러와 지지부 내면 사이에 부착한 먼지가 회전 롤러의 회전에 의해 밀어내어져 먼지 배출홈내로 낙하하여 제거되기 때문에, 회전 롤러가 먼지에 의해 그의 회전동작을 저해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청구범위의 제5항의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은, 회전 롤러가 지지체의 지지부내에 배치된 복수의 지지판들 사이에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롤러의 회전 동작을 한층 원활해진다.
특허청구범위의 제6항의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은, 회전 롤러가 상기 지지부내에 그의 위쪽 개루로부터 빠지지 않게, 또한 그의 측방 개구로부터 삽입되어 수용된 것이기 때문에, 지지부내에의 회전롤로의 수용이 용이한 동시에, 보조 빔을 간단하고 또한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Claims (6)

  1.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1)의 주 빔(2)들 사이에 가설되고, 위쪽으로 개구한 지지부(5a)를 가진 지지체(5)와, 상기 지지부(5a)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한 회전롤러(4)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체(5)는 상기 회전 롤러(4)를 그의 일부가 상기 지지부(5a)의 위쪽 개구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수용하여 지지하는 것을 하는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
  2. 제1항에 있어서, 상시 회전롤러(4)가 복수의 분할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롤러(4)가 상기 지지체(5)의 상기 지지부(5a)내에 직접 얹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5)의 상기 지지부(5a)의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먼지 배출홈(5b)내에 직접 얹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롤러(4)가 상기 지지체(5)의 상기 지지부(5a)내에 배치된 복수의 지지판(7)들 사이에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
  6. 제1항, 제2항, 제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5)의 상기 지지부(5a)가 측방으로 개구하여 있는 동시에, 상기 회전 롤러(4)가 상기 지지부(5a)의 측방 개구로부터 삽입되어 사기 지지부(5a)내에 그의 위쪽 개구로부터 빠지지 않게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
KR1019950065532A 1995-06-22 1995-12-29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 KR100205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55725 1995-06-22
JP15572595 1995-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063A KR970002063A (ko) 1997-01-24
KR100205150B1 true KR100205150B1 (ko) 1999-07-01

Family

ID=1561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5532A KR100205150B1 (ko) 1995-06-22 1995-12-29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730398A (ko)
KR (1) KR100205150B1 (ko)
DE (1) DE19606236C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851B1 (ko) * 2001-09-08 2004-04-30 박도찬 안경테 제조방법 및 장치
WO2017045319A1 (zh) * 2015-09-16 2017-03-23 朱文华 一种大型微晶化搪玻璃管道及其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8442B2 (ja) * 1996-11-18 2001-09-10 未来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受具へのケーブル布設方法、ケーブル受具装置及びケーブル受具
US6042061A (en) * 1996-11-28 2000-03-28 Mirai Industries Co. Ltd. Roller rung for a cable bed
DE102008059383B3 (de) * 2008-11-27 2010-06-10 Adc Gmbh Vorrichtung zur Aufnahme von Komponenten der Telekommunikations- und Datentechnik
US9379528B2 (en) 2012-12-01 2016-06-28 Reliance Industries, Llc Cable tray service trolley
US9528635B2 (en) * 2015-02-17 2016-12-27 Diversitech Corporation Line set duct with channel clip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45836A (en) * 1926-08-21 1932-02-16 Hauser Martin Conduit
DE1029630B (de) * 1955-11-10 1958-05-08 Krantz H Fa Rollenlagerung fuer Rohrleitungen
US3426988A (en) * 1966-10-06 1969-02-11 Burndy Corp Cable installation roller
US3637175A (en) * 1970-01-27 1972-01-25 James A Mcelroy Cable draw mechanism
US3770233A (en) * 1970-01-27 1973-11-06 Elroy J Mc Cable draw mechanism
US3686888A (en) * 1970-02-19 1972-08-29 Marion P Helton Pipe laying apparatus
US4221365A (en) * 1979-02-23 1980-09-09 Pilgrim Technical Products Ltd. Adjustable cable draw mechanism
DE8521199U1 (de) * 1985-07-23 1985-09-12 Peter Lancier Maschinenbau-Hafenhütte GmbH & Co KG, 4400 Münster Pritschenvielfachrolle zum Einziehen von Kabeln in Kabelpritschen
JPH0412730Y2 (ko) * 1986-04-18 1992-03-26
JPH0734615B2 (ja) * 1989-12-30 1995-04-12 未来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の布設方法
US5580014A (en) * 1993-12-22 1996-12-03 B-Line Systems, Inc. Ladder-type cable tr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851B1 (ko) * 2001-09-08 2004-04-30 박도찬 안경테 제조방법 및 장치
WO2017045319A1 (zh) * 2015-09-16 2017-03-23 朱文华 一种大型微晶化搪玻璃管道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606236C2 (de) 1998-12-17
KR970002063A (ko) 1997-01-24
US5730398A (en) 1998-03-24
DE19606236A1 (de) 199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57464B (fi) Markis
KR100205150B1 (ko) 배선.배관재 지지 구조물용 보조 빔
CA2259911C (en) Lint roller assembly
US3273192A (en) Paint roller device having a pivotally adjustable handle
DE60128630T2 (de) Durchführungstülle
EP3359007B1 (de) Reinigungswalze
DE10082234T5 (de) Uhrfeder mit nicht-nachgebenden und nachgebenden Trommelelementen
JPWO2007063696A1 (ja) 転動体ねじ装置
DE60014874T2 (de) Schachtelähnlicher behälter mit einer haltevorrichtung für haspel mit aufgewickelter elektrischer leitung oder ähnlichem strangförmigen material das von der haspel abgewickelt werden kann
US5620259A (en) Linear Guide
DE102018006080B4 (de) Halbschale für Drehstablager, Drehstablager und Verfahren zur Lagerung eines Drehstabs
US6041672A (en) Recirculation ball-screw device
JP3174232B2 (ja) アクチュエータ
JP3665849B2 (ja) 配線・配管材受具用の子桁
DE19813361A1 (de) Lagerung eines Motorpumpenaggregates in schwingungsgedämpften Lagern
JPH0970118A (ja) 配線・配管材受具用の子桁
US5606759A (en) Brush assembly of a cup washing machine
KR0181606B1 (ko) 헬리컬 코일 삽입장치
KR100757517B1 (ko) 절첩되는 놀이용 보드
US3963360A (en) Cam lock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3035646B2 (ja) 配線・配管材受具用の子桁
US6637945B2 (en) Apparatus that mounts a steering shaft to a vehicle
KR200191463Y1 (ko) 호스권취기용 호스지지원판의 보강구조
DE4405403C1 (de) Wickeltrommel für strangförmiges Wickelgut
DE19851649C1 (de) Fahrzeugsitzteil mit Belüf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