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997B1 - 애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압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애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압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997B1
KR100204997B1 KR1019950064473A KR19950064473A KR100204997B1 KR 100204997 B1 KR100204997 B1 KR 100204997B1 KR 1019950064473 A KR1019950064473 A KR 1019950064473A KR 19950064473 A KR19950064473 A KR 19950064473A KR 100204997 B1 KR100204997 B1 KR 100204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tor
pressure
air bag
upper chamber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697A (ko
Inventor
서광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64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4997B1/ko
Publication of KR970039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9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5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combination of inf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021/264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bustion chambers or sub-cha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자동차의 충돌에 의해 펼쳐지는 에어백의 압력이 너무 높거나 낮을 때 이를 보완하기 위한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과제.
종래의 인플레이터는 에어백작동시 승객에게 너무 강하거나 약하게 부풀려져 상해를 입는 경우가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인플레이터 내부를 이중으로 구성하고 스프링 탄성을 받는 플레이트를 구성하며 상부챔버의 압력에 따라 대처할 수 있게 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에어백이 너무 강하거나 너무 약하게 펴지는 경우가 없어서 탑승자가 안전함.

Description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압력조절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플레이터 2 : 스프링
3 : 플레이트 4 : 상부챔버
4' : 하부챔버 5 : 점화장치
5' : 2차점화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에어백의 인플레이터(INFLATOR)의 구조를 개량하여 에어백의 가스압력이 너무 강하거나 너무 약할 때 이를 보완하게 함으로써, 탑승자에 대한 상해위험을 더욱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에서 에어백을 설치하여 충돌사고시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있는데, 현재까지의 에어백은 항상 균일한 팽창 압력을 갖고 있으므로 탑승자의 체형 충돌강도등 여러가지 상황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여 에어백이 작동하여도 상해를 입는수가 종종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충분히 감안하여 안출한것으로서, 인플레이터의 내부를 상하 2단으로 구성하되 중간에는 스프링의 탄성은 받는 플레이트를 구성하여 상부챔버의 압력이 너무 높거나 낮을 때 플레이트와 하부 챔버가 이를 보완해 주도록 개선하려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1)의 내부 상·하부에 스프링(2)을 설치하고 중간에는 스프링(2)의 지지를 받으면서 피스톤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3)를 설치하여 인플레이터(1) 내부가 상하챔버(4)와 하부챔버(4')로 분리구성 되도록 하였다.
플레이트(3)의 상면에는 점화장치(5)를 설치하고 하면에는 상부챔버(4)의 압력이 낮을 때 이를 감지하여 작동하는 2차점화장치(5')를 설치하였다.
도면중 미설명된 부호 10은 질소가스를 생성시키는 나트륨화합물(Sodium Azide)이다.
이런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보면, 차량의 충돌을 감지한 에어백센서(미도시됨)로부터 신호를 받아 점화장치(5) 불꽃을 일으키고 이에따라 에어백이 부풀어 펴지게 되는 것인데, 이때 상부챔버(4)의 압력이 과다하게 높으면 플레이트(3)가 스프링(2)의 압력을 받으며 아래로 밀려나게 됨으로써, 상부챔버(4)의 과다한 압력을 완충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 상부챔버(4)의 압력이 너무 낮으면 그압력을 감지하여 하부챔버(4')의 2차 점화장치(5')를 작동시키는 것이고, 이에따라 하부챔버(4')내에 생성된 질소가스가 플레이트(3)를 상부로 밀어올림으로써, 상부챔버(4)의 약한압력을 보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1) 내부를 스프링으로 힘받는 플레이트(3)로 구분하여 2중으로 구성되게 하고 하부챔버(4')쪽에는 상부챔버(4)압력이 낮을 때 작동하는 별도의 2차점화장치(5')를 구비한것인데 에어백에 압력이 너무 높거나 낮을 때 이를 모두 보완줌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을 한층더 높여줄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인플레이터(1)의 내부 상·하부에 스프링(2)을 설치하고 중간에는 스프링(2)의 지지를 받으면서 피스톤역할을 하는 플레이트(3)를 설치하여 인플레이트(1) 내부가 상부챔버(4) 및 하부챔버(4')로 분리구성되도록 하며, 플레이트(3)의 상면에는 차량의 충돌에 따라 작동하는 점화장치(5)를 구성하고 하면에는 상부챔버(4)의 압력이 낮을 때 작용하는 2차점화장치(5')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에어백용인플레이터의 압력조절장치.
KR1019950064473A 1995-12-29 1995-12-29 애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압력조절장치 KR100204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4473A KR100204997B1 (ko) 1995-12-29 1995-12-29 애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압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4473A KR100204997B1 (ko) 1995-12-29 1995-12-29 애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압력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697A KR970039697A (ko) 1997-07-24
KR100204997B1 true KR100204997B1 (ko) 1999-06-15

Family

ID=19446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4473A KR100204997B1 (ko) 1995-12-29 1995-12-29 애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압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49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0261548A1 (ja) * 2019-06-28 2021-09-13 ダイコク工業株式会社 溶接ビード切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0261548A1 (ja) * 2019-06-28 2021-09-13 ダイコク工業株式会社 溶接ビード切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697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1266509B1 (it) Dispositivo di ritegno di sicurezza a sacco gonfiabile (air bag) per gli occupanti di veicoli.
KR100204997B1 (ko) 애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압력조절장치
KR100471479B1 (ko) 에어백 쿠션의 볼륨 조절장치
KR100337824B1 (ko) 차량용 에어백과 시트벨트의 작동제어장치
KR200180956Y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0116030Y1 (ko) 차량용 에어백장치
KR100324375B1 (ko) 더블 에어 백 시스템
KR20030063738A (ko) 자동차용 천장 에어백
KR0156467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지지장치
KR0137240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에 설치된 에어백
KR19990026346U (ko) 팽창압 조절이 가능한 에어백
KR100512856B1 (ko) 자동차용 2단 운전석 에어백
KR0151632B1 (ko) 충돌시 뒷좌석 탑승객 보호장치
KR19990005606A (ko) 자동차의 에어 백 시스템 제어장치
KR19990051052A (ko) 사이드 에어백
KR19980013951U (ko) 자동차용 에어백
KR19980064968U (ko) 자동차용 2중 에어백 쿠션
KR19990017854U (ko) 트럭과의 충돌을 대비한 승용차의 에어백 시스템
KR20040045945A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KR19980048826U (ko)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
KR19990029277U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9980022309U (ko) 체형 감지용 시트 벨트 조절장치
KR20040088722A (ko) 인플레이터의 가스배출구조
KR19980048872U (ko) 조수석 에어백의 튜브고정구조
KR20040088723A (ko) 인플레이터의 가스배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