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543B1 - 스템프 소재 및 스템프 소재용 패키지 - Google Patents

스템프 소재 및 스템프 소재용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543B1
KR100203543B1 KR1019960008685A KR19960008685A KR100203543B1 KR 100203543 B1 KR100203543 B1 KR 100203543B1 KR 1019960008685 A KR1019960008685 A KR 1019960008685A KR 19960008685 A KR19960008685 A KR 19960008685A KR 100203543 B1 KR100203543 B1 KR 100203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mp
photosensitive resin
resin
package
adhesive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8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우이치 고다이라
고조 고다
히로시 구리야마
Original Assignee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카와 히데아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5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02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 G03F7/2012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using liquid photohardening compositions, e.g. for the production of reliefs such as flexographic plates or stamp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15Production of aperture devices, microporous systems or stamp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34Imagewise removal by selective transfer, e.g. peeling aw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Abstract

인쇄면 작성용으로 설치된 겔형의 감광성수지를 적절히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인쇄면 형성후, 감광상수지의 미경화 부분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는 스템프 소재를 또는 상기 종류의 스템프 소재의 보존에 적합한 스템프 소재용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쇄면을 작성하는 베이스부로서, 수광한 광에 의해 겔에서 고체로 변화하는 감광성수지(80)를 이용한 스템프소재(7)에 있어서, 스템프 받침대(71)와 스템프 받침대의 인쇄면 형성측면에 접착된 감광성수지와, 감광성수지의 표면에 접착된 투광성을 갖는 커버부재(100)를 구비하고, 겔 상태에 있어서의 감광성수지(80)의 스템프 받침대(71)간의 접착강도는 커버부재(100)간의 점착강도보다도 작고, 고체화 상태에 있어서의 감광성수지(80)의 스템프 받침대(71)간의 점착강도는 커버부재(100)간의 점착강도 보다도 큰 것이다.

Description

스템프 소재 및 스템프 소재용 패키지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스템프 작성용 유닛을 이용하여 스템프를 작성하기 위한 스템프 작성 장치의 외관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리본 카트리지 장착부에의 카트리지 및 스템프 작성용 유닛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카트리지 장착부 및 거기에 장착된 리본 카트리지의 구성을 도시한 확대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스템프 작성용 유닛의 구조도.
제5a도 및 5b도는 제4도의 유닛의 수지 유지부의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5a도는 노광경화시킨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5b도는 커버부재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스템프 작성용 패키지의 외관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패키지의 통기부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템프 작성 장치 7 : 스템프 작성용 유닛
63 : 적외선 조사광원 71 : 받침대
72 : 수지유지부 80 : 수지층
80A : 경화부분 80B : 미경화 부분
90 : 베이스 91 : 플리에스테르 필름
92 : 제 1 접착제층 92A : 노광부분
92B : 미노광부분 100 : 커버부재
101 : 점착제층 101A : 노광부분
101B : 미노광부분 102 : 필름층
200 : 보존용 패키지 201 : 장갑형 부재
202 : 개구 203 : 통기부
210 : 관통구멍 220 : 밀봉부재
221 : 다공질막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겔형의 감광성수지를 노광하여 원하는 인영의 인감, 스템프 등을 간단히 얻을 수 있는 스템프 소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종류의 스템프 소재의 보존에 적합한 스템프 소재용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 인감, 고무판 등의 스템프(본 명세서에서는 이들을 총칭하여 [스템프]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를 전문가 이외에도 간단히 작성할 수 있는 인장작성기 혹은 스템프 작성기로 불리는 장치가 시판되고 있다. 이들 장치에 사용되는 스템프 소재는 인쇄면 형성부재와 이것을 유지하는 스템프 받침대로 구성되고, 이들은 다른 부재로서 준비되어 있다. 인쇄면 형성부재는 베이스체와 베이스체에 고정장착한 적외선 경화 수지로 구성되고 있고, 이 적외선 경화수지에 의해 인쇄면이 형성된다. 이 적외선 경화 수지는 정상상태에 있어서, 소정의 경도 및 취약성을 갖지만, 적외선의 조사에 의해 경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소성을 띠는 성질을 갖고 있다. 또한, 이 적외선 경화 수지는 정상 상태에 있어서는 수용성이지만 적외선의 조사에 의해 비수용성으로 된다.
이 스템프 소재를 이용하여 스템프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미리 장치의 노광부를 이용하여 원하는 인장화상을 바뀌어넣은 네가필름(negative film)을 형성해두고, 이 네가필름을 마스크로서, 스템프 소재의 적외선 경화수지에 적외선을 노광한다. 이 노광에 의해, 적외선 경화 수지의 인장화상에 상당하는 부분이 경화되기 때문에, 다음에 플랜지 등을 이용하고, 물에 담그면서 적외선 경화수지의 경화하지 않은 부분을 떨어뜨리도록 물로 씻어낸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다시, 적외선 경화수지에 적외선을 조사하고, 인쇄면을 안정시키고, 그후에 인쇄면 형성 부재를 스템프 받침대에 부착하여 스템프가 완성된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템프의 제조 방법에서는 적외선 경화수지의 미경화 부분에 있어서도, 소정의 경도 및 소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물에 의해 연화시키면서 물로 씻도록하여도, 세부까지 완전히 씻기 위해서는 시간이 걸림과 동시 번잡한 작업을 강요하게 되어 있다. 게다가, 익숙하지 않으면, 브러시 등으로 지나치게 강한 마찰로 경화 부분을 손상하는 일이 있고, 또한 잉크가 부착하는 경화 부분의 표면의 거친면(잉크가 튀지않도록 인쇄면에의 유지하는 부분)을 평활하게 깍아버리는 일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에, 적외선 경화수지로서 미경화 상태가 겔형의 것을 이용하면, 상기의 불합리한 경우는 해소되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겔형의 적외선 경화수지를 이용하면, 미경화 상태에 있어서 이것을 적절히 보호해둘 필요가 있다. 또한, 인쇄면 형성후, 적외선 경화수지의 미경화부분의 제거에 겔 형태를 살린 방법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종류의 감광성 수지는 미경화 상태에 있어서, 항상 산소에 접촉(호흡)하고 있지 않으면, 또는 고온하에 놓여지면 약화하는 성질이 있다. 즉, 완전 밀봉한 상태로 보관해두면, 경화하거나 감광성이 악화되어진다.
본 발명은 인쇄면 작성용에 설치된 겔 형태의 감광성 수지를 적절히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인쇄면 형성 후, 감광성 수지의 미경화부분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는 스템프 소재를 또한 상기 종류의 스템프 소재의 보존에 적합한 스템프 소재용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청구항 1의 스템프 소재는 인쇄면을 작성하는 베이스로서, 수광한 광에 의해 겔에서 고체로 변화하는 감광성수지를 이용한 스템프 소재에 있어서, 스템프 받침대와 스템프 받침대의 인쇄면 형성측면에 접착된 감광성 수지와, 감광성 수지의 표면에 접착된 투광성을 갖는 커버부재를 구비하고, 겔형태에 있어서의 감광성수지와 스템프 받침대간의 접착 강도는 겔 형태에 있어서의 감광성 수지와 커버부재간의 접착강도보다 작고, 고체화 상태에 있어서의 감광성 수지와 스템프 받침대간의 접착강도는 고체화 상태에 있어서의 감광성 수지와 커버부재간의 접착강도보다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광한 광에 의해 겔에서 고체화에 변화하는 감광성 수지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커버부재를 통과하여 인영 모양에 대응한 노광을 행하면, 노광부분만이 고체화(응고)하고, 그외의 부분은 겔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겔 형태에 있어서의 감광성수지의 스템프와 받침대간의 접착강도는 커버부재간의 접촉강도보다도 작고, 고체화 상태에 있어서의 감광성 수지의 스템프 받침대간의 접착 강도는 커버부재간의 접착 강도보다도 크기 때문에, 노광후(인쇄면 형성후)에 있어서, 감광성 수지의 노광부분은 스템프 받침대극에 강하게 접착하고, 미노광 부분은 커버 부재측에 강하게 접착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인쇄면 형성후, 커버부재를 벗겨내면, 감광성수지의 미노광 부분이 커버부재와 함께 스템프 받침대측에서 이탈하고, 감광성 수지의 노광부분은 스템프 받침대측에 남는다. 이것에 의해 불필요한 감상성수지의 미노광부분이 커버부재와 함께 제거되고, 감광성수지의 고체화 부분에 의해, 스템프 받침대에 볼록판 혹은 오목판의 스템프면이 형성된다. 또한, 이 경우 겔이란 액체와 고체의 중간 상태이고, 자체 유지 가능한 것을 말한다. 또한, 접착의 개념은 접착성에 있어서의 강약의 문제로서 점착도 포함된다.
청구항 1의 스템프 소재에 있어서, 커버부재는 감광성 수지측면에 감광성수지에의 접착을 위한 접착제층을 갖고, 접착제층은 수광한 광에 의해 그접착강도가 저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커버부재의 접착제층에 있어서의 노광부분의 접착력을 감광성수지를 노광했을 때 저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불필요한 감광성수지의 미노광부분을 커버부재와 함께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 1 또는 2의 스템프 소재에 있어서, 스템프 받침대는 인쇄측면에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감광성 수지는 베이스부를 거쳐 상기 스템프 받침대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부를 거쳐서 감광성수지와 스템프 받침대를 접착함으로써, 베이스부로서 감광성수지와의 친숙함이 양호한 재료를 선정하면, 인쇄면 형성 전후에 걸쳐 스템프 받침대에서 감광성수지가 이탈하는 등의 지장이 발생되지 않고 또한 스템프 받침대의 재질 등이 제한되지 않는다.
청구항 3의 스템프 소재에 있어서, 베이스부는 감광성수지측면에 감광성수지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층을 갖고, 접각제층을 수광한 광에 의해 그접착 강도가 향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부의 접착제에 있어서의 노광부분의 접착력을 감광성수지를 노광했을 때에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감광성수지의 미노광부분을 커버부재와 함께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 1 내지 4 항중 어느 한 항의 스템프 소재에 있어서, 감광성수지는 적외선 경화형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재료의 입수가 용이한 동시에 가격도 저렴하게 완료된다.
청구항 5의 스템프 소재에 있어서, 감광성 수지는 적외선 경화형의 실리콘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아크릴계의 적외선 경화형인 것에 비해 경화후의 고무탄성 특성이 뛰어나고, 또한 내구성은 우수하게 되어 더욱 인체에 무해하여 바람직한 인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스템프 소재용 패키지는 인쇄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부로서 감광성수지를 구비한 스템프 소재를 밀봉하기 위한 스템프 소재용 패키지에 있어서, 차광성,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차광성 및 방수성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감광성수지가 감광되지 않고, 또한 미노광 상태에 있어서 수용성의 감광성 수지 등에서는 보관중에 용해되지 않는다. 더욱이 통기성에 의해, 내부의 쓸데없는 온도상승이 억제되고, 또한 감광성수지가 항상 신선한 공기, 즉 산소와 접촉하기 때문에 경화나 감광성의 악화 등의 감광성수지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키지로서는 소위 장갑형인 것 및 용기형상의 것중 어느것이라도 무방하다.
청구항 8의 스테프 소재용 패키지는 인쇄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부로서 감광성 수지를 구비한 스템프 소재를 밀봉하기 위한 스템프 소재용 패키지에 있어서, 방수성 및 차광성을 갖고, 스템프 소재를 수용하는 패키지 본체와, 패키지 본체의 일부에 형성된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갖는 통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체로서, 차광성, 통기성 및 방수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감광성 수지의 열화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스템프 소재를 적절히 보존할 수 있다. 또한, 부분적으로 통기부를 설치함으로써,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스템프 소재용 패키지에 있어서, 통기부는 패키지 본체에 형성한 투명구멍과 투명구멍을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갖고, 밀봉부재는 4 불화 에틸렌수지의 다공질막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밀봉부재에 의해, 일반적으로는 상반되는 통기성과 방수성을 1개의 부재에 겸비할 수 있고, 또한 구조를 단순화시키는 동시에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적용가능한 스템프 작성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스템프 작성 장치는 볼록판 스템프를 작성한 것이고,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템프 장치(1)는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2)와 입력된 문자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와, 리본 카트리지 장착부(4)를 갖고 있다. 리본 카트리지 장착부(4)는 개폐 뚜껑(4a)을 구비하고, 이것을 개방함으로써,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의 장착용 오목부(4b)가 노출된다. 그리고, 이 장착용 오목부(4b)에 직사각형의 리본 카트리지(5)가 장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리본 카트리지(5)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심부에 직사각형의 포켓(5a)이 형성되고, 상기 포켓(5a)에는 스템프 소재인 스템프 작성용 유닛(7)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포켓(5a)을 회피한 리본 카트리지(5)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잉크리본 및 인쇄지 리본이 내장되어 있다.
다음에, 제3도를 참조하여, 리본 카트리지 장착부(4) 및 리본 카트리지(5)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리본 카트리지(5)는 일정 두께의 카트리지 케이스(51)의 내부에 잉크리본(52)을 감는 릴(53)과, 잉크리본(52)을 감아들이는 릴(58)을 갖고, 또한 인쇄지리본(54)을 감는 인쇄지릴(55)을 갖고 있다. 잉크리본(52)은 감는 릴(53)에서 풀어내어지고, 가이드(56) 등에 안내되어 인자 장치(57)에 인도되고, 또한 노광위치(60)에서 케이스 내주벽(51b)을 따라 인도되고, 감아들이는 릴(58)에 감아들인다. 또한 감아들이는 릴(58)의 구동축은 카트리지 장착부(4)의 장착용 오목부(4b)측에 설치되어 있고, 리본 카트리지(5)를 장착용 오목부(4b)에 장착함으로써, 감아들이는 릴(58)이 구동축에 끼워맞춘다.
한편, 인쇄지리본(54)은 인쇄지 릴(55)에서 풀어내어지고, 잉크 리본(52)에 겹쳐진 상태로 인자 위치(57)에 인도되고, 또한 카트리지 케이스(51)의 측면에 형성한 배출구(51a)를 통과하여 외부로 인도된다. 상기 배출구(51a)의 연장상에 위치하여, 장치 본체측에도 배출구(4c)가 형성되어 있고, 인쇄지리본(54)은 배출구(4c)를 통과하여 장치외로 송출된다. 배출구(4c)의 근처에는, 수동식 커터(4d)가 배열설치되어 있고, 커터(4d)는 인접한 위치에 배열 설치한 커터보턴(4e)을 눌러내림으로써 절단 동작된다. 장치외로 송출된 인쇄지 리본(54)은 상기 커터(4d)에 의해 소정 길이로 절단된다.
상기의 인자 위치(5a)에는 열전사식 인자 헤드(57a)와, 이것에 대치시킨 플라틴 롤러(57b)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인자 헤드(57a)는 카트리지 장착부(4)의 장착용 오목부(4b)측에 설치되어 있고, 리본 카트리지(5)의 카트리지 케이스(51)를 관통하여 직사각형 게이스(51)내에 대향하고 있다. 또한, 플라틴 롤러(57b)는 그 롤러가 카트리지(5)측에 부착되는 한편, 그 구동축이 장착용 오목부(4b)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5)를 장착용 오목부(4b)에 장착하면, 인자 헤드(57a)와 플라틴롤러(57b)가 약간 간격진 상태로 대치하는 동시에, 플라틴 롤러(57b)가 그 구동축에 끼워 맞추어 회전가능한 상태로 된다.
상기의 노광 장치(60)는 카트리지 케이스(51)의 내주벽(51b)의 한변을 따른 부분이고, 내주벽(51b)의 양단에는 한쌍의 가이드(61,62)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가이드(61,62)간에 건너질려진 잉크 리본(53)에 대해 평행하게 대치하도록, 장치 본체축에는 노광 수단으로서의 적외선 조사광원(63)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잉크리본(53)과 적외선 조사 광원(63)간에는 적외선 투과성의 리본 가압판(65)이 잉크 리본(53)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리본 가압판(65)은 예를들면, 스템프 작성 장치(1)의 장착용 오목부(4b)측에 설치되어 있고, 카트리지(5)를 장착하면,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가이드(51, 52)보다도 약간 적외선 조사 광원(63)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리본 가압판(65)은 도면외의 구조에 의해 가이드(61, 62)측에 평행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적외선 노광시에는 이들의 가이드(61,62)간에 건너질러 있는 잉크 리본(53)을 스템프 작성용 유닛(7)측에 가압한다. 이 경우, 한쌍의 가이드(61, 62)는 도면외의 스프링 등에 의해 스템프 작성용 유닛(7)측에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리본 가압판(65)의 평행 이동을 따르도록 이동한다.
이와 같이 노광시에는 리본 가압판(65)에 의해 잉크 리본(53)의 네가부분이 후술하는 스템프 작성용 유닛(1)의 투명커버(72)에 가압되기 때문에, 조사광이 필요 이외의 부분에 누설될 염려가 없다. 또한, 리본 가압판(65)은 상기와 같이 적외선 투과성판 대신에, 잉크리본(53)의 네가 부분에 대응하는 중앙부가 직사각형의 개구로 되어 있는 직사각형 케이스라도 무방하다.
또한,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4)에는 그 개폐 뚜껑(4a)의 개폐를 검출하는 뚜껑 오픈 검출 스위치(6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뚜껑 오픈 검출 스위치(66)는 개폐 뚜껑(4a)의 개폐에 연이어 운동함으로, 개폐 뚜껑(4a)이 열리면, 적외선 조사광원(63)을 자동적으로 오프한다. 이것에 의해, 적외선 노광시에, 잘못 개폐 뚜껑(4b)이 열려지더라도, 자동적으로 적외선 조사광원(63)이 자동적으로 오프되기 때문에, 적외선이 외부로 새지 않는다.
다음에,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카트리지(5)에 형성한 개구(5a)에 장착한 스템프 작성용 유닛(7)에 관해 설명한다.
스템프 작성용 유닛(7)은 전체로서 직방체 형상을 갖고 있고, 받침대(71)와 상기 받침대(71a)에 부착된 수지 유지부(72)를 갖고 있다. 상기 수지유지부(72)는 특정 파장의 광, 본 예에서는 적외선을 조사함으로서 겔 상태(액체 상태와 고체상태의 중간에 있어서 자기 유지가능한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변화하는 적외선 경화형의 감광성수지를 외측에서 노광가능한 상태로 유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지유지부(72)는 적외선 경화형 수지인 겔 형태의 실리콘수지 등으로 구성된 수지층(감광수지) (80)과 상기 수지층(80)에 있어서의 받침대(71)측의 표면에 접착 고정된 베이스부(90)와 수지층(80)의 다른측 표면에 접착 고정한 커버부재(100)로 구성된 3층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받침대(71)의 단면(71a)을 수지층(80)과의 사이에서 충분히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처리, 가공하면, 베이스부(90)를 생략한 2층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수지층(80)을 지지히기 위한 베이스부(90)의 역할은 받침대 단면(71a)이 담당한다.
수지층(80)을 형성하고 있는 적외선 경화형실리콘 수지는 아크릴계의 적외선 경화형인 것에 비해, 고무형으로 조제하기 쉽고, 경화후의 고무 탄성 특성이 뛰어나고, 또한 내구성이 뛰어나게 된다. 따라서, 볼록판 스템프면으로서 가장 적합하다.
한편, 베이스부(90)는 예를들면, 폴리에스테르 필름(91)과 수지층(80)측의 제 1 접착제층(92)과 받침대(71)측의 제 2 접착제층(93)으로 이루어진 3층 구조를 하고 있고, 제 1 접착제층(92)을 거쳐 수지층(80)에 접착 고정되고, 제 2 접착제층(93)을 거쳐 받침대(71)에 접착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91)에 제 1 접착제층(92)이 만들어 넣어져 있고, 상기 제 1 접착제층(92)이 부착된 폴리에스테르 필름(91)이 제 2 접착제층(93)을 거쳐 받침대(71)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제 1 접착제층(92)은 적외선 조사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필름(91)과 수지층(80)과의 접착강도를 높이는 성질을 갖고, 수지층(80)이 경화함과 함께 이 부분의 접착강도를 커버부재(100)와 수지층(80)간의 접착 강도보다 현격이 크게 한다.
커버부재(100)는 아크릴계 수지 등의 접착제층(101)과, 이것을 유지하고 있는 필름층(102)으로 구성된 소위 점착 테이프이다. 상기 커버부재(100)는 적외선 투과 특성을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적외선을 조사하면, 조사된 부분의 접착제층(101)의 접착(점착) 강도가 초기 점착강도에 비해 대폭 저하하는 특성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점착 테이프는 일반적으로 UV 시트라고 불리고, 반도체 웨이퍼의 다이싱 가공용 테이프로서 이용되고 있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점착제층(42)에 의한 수지층(80)과 폴리에스테르 필름(91)간의 접착강도와, 상기 점착제층(101)에 의한 수지층(80)과 커버부재(100)간의 접착 강도와는 노광을 행하기 전에 있어서는 후자편이 크게 되도록 조정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 형태의 스템프 작성 장치(1)에 의한 스템프 작성의 수순을 제 1 도 내지 제 3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템프 작성자는 카트리지 장착부(4)의 개폐 뚜껑(4a)을 열고, 장착용 오목부(4b)에 리본 카트리지(5)를 장착한다. 또한, 장착한 리본 카트리지(5)의 개구(5a)에 스템프 작성용 유닛(7)을 장착하고, 그런 후에 개폐 뚜껑(4a)을 담는다.
다음에, 작성하려고 하는 인영 문자(인장 화상)를 키입력부(2)를 거쳐 입력한다. 입력된 문자군은 표시부(3)에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희망하는 문자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희망하는 문자를 입력한 후는 키입력부(2)를 거쳐 인자 동작을 지시한다. 이것에 의해, 장치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리본 반송 구동 기구 및 인자 제어 기구가 동작하여, 잉크 리본(52) 및 인쇄지리본(53)의 전송을 개시함과 동시에, 인자 헤드(57a)의 발열체를 구동하여 인자 위치(57)를 통과하는 잉크 리본(52) 및 인쇄지리본(54)에 대해 인자동작을 행한다.
이결과, 인자 위치(57)를 통과하는 인쇄지리본(54)에는 인영 문자가 인자되지만, 잉크 리본(52)에는 인영문자 부분의 잉크가 인쇄지리본(54)에 전사하여 없어진다. 즉, 인쇄지리본(54)에는 인영문자가 인자되고, 잉크 리본(52)에는 인영문자부분이 적외선 투과성으로 된 네가필름이 형성된다. 그후, 인쇄지리본(54)은 배출구(51a,4c)를 거쳐 장치 외부로 배출되고, 커터(4b)에 의해 소정 길이로 절단된다. 한편, 잉크 리본(52)은 또한 상대편으로 보내지고, 그 네가필름 형성부분이 노광 위치(60)에 달한 곳에서 정지한다.
노광 위치(60)에 잉크 리본(52)의 네가필름 형성부분이 도달하면, 먼저 리본 가압판(65)이 평행 이동하여 한쌍의 가이드(61, 62) 사이에 건너질러 있는 잉크 리본(52)의 네가필름 형성부분을 스템프 작성용 유닛(7)의 커버부재(100)의 표면에 밀착시킨다. 그런후에, 적외선 조사광원(63)이 점등되고, 잉크 리본(52)의 네가필름 부분을 마스크로서 커버부재(100)를 거쳐 스템프 작성용 유닛(7)의 수지유지부(72)의 수지층(80)에 소정시간 노광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수지층(80)의 노광부분은 경화하여, 겔에서 고체로 변화하는 동시에, 미노광 부분은 겔 상태로 남는다. 이와같이 하여, 수지층(80)의 인영문자에 대응한 경화부분에 의해 인쇄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노광 종료후는 리본 가압판(65)은 다시 초기 위치로 후퇴한다. 이결과, 한쌍의 가이드(61, 62)도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그후는 개폐 뚜껑(4a)을 열고, 장착용 오목부(4b)에서 스템프 작성용 유닛(7)을 추출한다. 그리고, 스템프 작성용 유닛(7)에서 커버부재(100)를 떼어낸다.
커버부재(100)(점착제층 101)는 상술한 바와같이, 적외선 조사부분의 점착강도가 초기 강도에 비해 대폭적으로 저하하는 성질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노광을 행하면, 제5(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지층(80)의 경화부분(80A)에 대응한 점착제층(101)의 노광부분(101A)의 접착(점착)강도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로 된다. 즉, 수지의 경화부분(80A)과 커버부재(100)간의 접착강도는 작고, 수지층(80)의 미경화부분(80B)과 커버부재(100)와의 접착강도는 초기의 큰 접착 강도대로 유지된다.
또한, 수지층(80)과 베이스부(90)간의 접착강도는 노광전 상태에 있어서는 수지층(80)과 커버부재(100)간의 접착 강도 보다도 작다. 그런데, 노광후에 있어서는 제 1 접착제층(92)의 노광부분(92A)은 수지층(80)의 경화와 더불어 접착 강도는 향상하고, 미노광부분(92B)은 초기 접착강도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수지층(80)의 경화부분(80A)과 이것이 접하고 있는 베이스부(90)의 부분간의 접착 강도는 향상한다. 이것에 대해, 수지층(80)의 미경화부분(80b)과 이것이 접하고 있는 베이스부(190)부분 간의 접착강도는 초기 상태인 채로 유지된다.
이결과, 노광후에 있어서는 수지층(80)의 경화부분(80A)은 노광전에 비해 베이스부(90)에의 접착력이 강화되고, 커버부재(100)에의 접착력이 약화되고, 베이스부(90)에의 접착력쪽이 대폭 커진다. 이에반해 수지층(80)의 미경화 부분(80B)에 있어서는 노광전 상태대로이고, 베이스부(90)에의 접착력에 비해 커버부재(100)에의 접착력쪽이 크다.
따라서, 커버부재(100)를 벗기면 커버부재(100)는 수지층(80)의 경화부분(80A)에서 간단히 벗겨지기 때문에, 상기 경화부분(80A)이 받침대(71)측에 남는다. 한편, 겔 상태의 미경화부분(80B)은 커버부재(100)에 부착된 채, 경화부분(80A) 및 받침대(71)에서 분리하여 상기 커버부재(100)와 함께 벗겨진다.
이결과, 스템프 작성용 유닛(7)에서, 원하는 인영문자의 볼록판 스템프면이 형성된 스템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템프 작성용 유닛(7)의 인영을 표시하기 위해, 그 받침대(71)의 비면에는 상술의 인자 공정에서 얻은 인영문자가 인쇄된 인쇄지리본(54)을 부착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스템프 작성용 유닛(7)에는 적외선 경화형 겔형의 수지층을 노광하여 경화시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경화부분과 미경화부분을 간단히 분리하는 것만으로 좋고, 고체형의 적외선 경화수지를 이용한 경우와는 달리, 물 등의 유체를 이용한 씻어냄이 불필요해진다. 특히, 본예에서는 점착테이프로서의 커버부재(100)로서, 적외선 조사부분의 점착력이 초기 점착력에 비해 저하하는 성질의 것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경화한 수지층(80)의 경화부분(80a)에서 수지층(80)의 미경화부분(80B)을 분리하는 작업을 극히 간단히 행할 수 있고, 단시간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향으로서 액체형의 수지를 이용한 경우와 같이, 그것을 밀봉해두기 때문에 밀봉부를 구성해둘 필요가 없으므로, 그만큼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경화수지로서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아크릴계의 적외선 경화형 수지에 비해, 내열성, 내한성이 뛰어나고, 또한 인체에 대해서도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 부가하여, 실리콘 수지의 경화물은 고무탄성체로서 우수한 성질과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예를들면, 형성된 볼록판 스템프면과 받침대(71)간에 완충재가 불필요해지는 강점도 있다.
또한, 사용하는 감광성 수지로서는 적외선 경화형의 실리콘 수지이외의 겔형의 감광성 수지를 사용하여도 좋다.
다음에, 제 6 도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한 스템프 작성용 유닛(7)을 보존하는데 적합한 보존용 패키지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보존용 패키지(200)는 유체 불투과성(방수성)의 소재로 형성형 장갑형부재(패키지 본체) (201)이고, 이 장갑형부재(201)에는 스템프 작성용 유닛(7)을 출납하기 위한 개구(202)가 형성되어 있다. 스템프 작성용 유닛(7)은 상기 개구(202)에서 장갑형부재(201)의 내부에 투입되고, 그후 개구(202)는 밀봉된다. 또한, 장갑형부재(201)의 측면에는 통기부(203)가 형성되어 있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통기부(203)는 장갑형부재(201)의 측면에 열린 관통 구멍(투명구멍) (210)과 상기 관통 구멍(201)은 밀봉하고 있는 밀봉부재(2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밀봉부재(220)는 통기성 및 방수성을 구비한 소재로 구성된 것이다 본 예에서는 4 불화 에틸렌 수지의 다공질막(221)과, 상기 표면에 적층한 나일론제의 부직포(222)로 구성되고, 다공질막(221)의 이면 주위가 접착제의 층(223)을 거쳐 장갑형부재(201)의 관통구멍(210)의 주위에 밀폐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장갑형부재(201)의 소재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알루미늄박(205)의 양면에 PET 의 수지필름(206,207)을 맞붙인 3층 구조의 것을 사용하여 차광성과 함께 방수성을 확보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보존용 패키지(200)를 이용하면, 수지층(80)이 항상 유통하는 공기에 접촉하여 악화하지 않고, 스템프 작성용 유닛(7)의 보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존용 패키지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예를들면, 통기부(203)를 설치하는 대신에 장갑형 부재(201)의 전체를 통기성 및 방수성을 구비한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소재로서는 고어텍스(상품명)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존용 패키지는 용기형의 것이어도 무방하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청구항 1의 스템프 소재에 의하면, 인쇄면 작성용에 설치된 겔형의 감광성수지를 적절히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인쇄면 형성후, 감광성수지의 미경화부분을 그성질을 이용하여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감광성수지를 손상하지 않고, 취급이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의 스템프 소재용 패키지에 의하면, 감광성 수지의 악화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스템프 소재의 품질을 손상하지 않으면서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템프 소재의 보존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의 스템프 소재용 패키지에 의하면 스템프 소재의 보존에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낮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Claims (9)

  1. 인쇄면을 작성하는 베이스부로서, 수광한 광에 의해 겔에서 고체로 변화하는 감광성수지를 이용한 스템프 소재에 있어서, 스템프 받침대와, 상기 스템프 받침대의 인쇄면 형성측면에 접착된 상기 감광성수지와, 상기 감광성수지 표면에 접착된 투광성을 갖는 커버부재를 구비하고, 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감광성수지와 상기 스템프 받침대간의 접착강도는 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감광성수지와 상기 커버부재간의 접착강도 보다도 작고, 고체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감광성수재와 상기 스템프 받침대간의 접착강도는 고체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감광성수지와 상기 커버부재간의 접착강도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템프 소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감광성수지측면에 상기 감광성 수지에의 접착을 위한 접착제층을 갖고, 상기 접착제층은 수광한 광에 의해 그 접착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템프 소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프 받침대는 인쇄측면에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광성수지는 상기 베이스부를 거쳐 스템프 받침대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템프 소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감광성수지측면에 상기 감광성수지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층을 갖고, 상기 접착제층은 수광한 광에 의해 그 접착강도가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템프 소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수지는 적외선 경화형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템프 소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수지는 적외선 경화형 실리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템프 소재.
  7. 인쇄면을 작성하는 베이스로서 감광성수지를 구비한 스템프 소재를 봉입하기 위한 스템프 소재용 패키지에 있어서, 차광성,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템프 소재용 패키지.
  8. 인쇄면을 작성하는 베이스로서 감광성수지를 구비한 스템프 소재를 봉입하기 위한 스템프 소재용 패키지에 있어서, 방수성 및 차광성을 갖고, 상기 스템프 소재를 수용하는 패키지 본체와, 상기 패키지 본체의 일부에 형성된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갖는 통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템프 소재용 패키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패키지 본체에 형성한 투명구멍과, 상기 투명 구멍을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갖고, 상기 밀봉부재는 4 분화 에틸렌수지의 다공질막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템프 소재 패키지.
KR1019960008685A 1995-03-30 1996-03-28 스템프 소재 및 스템프 소재용 패키지 KR100203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99775 1995-03-30
JP9977595 1995-03-30
JP8035242A JPH08324087A (ja) 1995-03-30 1996-02-22 スタンプ素材およびスタンプ素材用パッケージ
JP96-35242 1996-0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3543B1 true KR100203543B1 (ko) 1999-06-15

Family

ID=26374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8685A KR100203543B1 (ko) 1995-03-30 1996-03-28 스템프 소재 및 스템프 소재용 패키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15299A (ko)
JP (1) JPH08324087A (ko)
KR (1) KR100203543B1 (ko)
CN (1) CN1075000C (ko)
TW (1) TW3144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0456B1 (en) * 1999-03-31 2002-10-08 Brother Kogo Kabushiki Kaisha Stamp making apparatus and attachment thereof
KR100689166B1 (ko) * 1999-07-06 2007-03-08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스탬프용 도장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스탬프 유닛
US6371022B1 (en) * 1999-07-31 2002-04-16 Enid R. Crystal Detachable handle for inkpads
US6732649B1 (en) * 1999-09-28 2004-05-11 Alexander C. Wall Methods for providing custom rubber stamps
EP1417539A1 (en) * 2001-08-10 2004-05-12 Paul Mayo Holt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photopolymer plate manufacture
GB2372575B (en) * 2001-08-10 2003-01-15 Chemence Ltd Method for forming a sachet
US10029396B2 (en) * 2014-10-30 2018-07-24 Shachihata Inc. Seal carving apparatus and thermal carv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7855B2 (ko) * 1973-12-03 1977-09-26
JPH0585027A (ja) * 1991-09-27 1993-04-06 Taisei Plus Kk 押印具の製造方法及び押印具材料
JP3317126B2 (ja) * 1995-03-30 2002-08-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タンプ素材およびスタンプ素材の作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14491B (ko) 1997-09-01
JPH08324087A (ja) 1996-12-10
CN1075000C (zh) 2001-11-21
CN1139620A (zh) 1997-01-08
US5915299A (en) 1999-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50057B2 (ja) 積層物の二面印刷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る製品
KR100203543B1 (ko) 스템프 소재 및 스템프 소재용 패키지
US5771808A (en) Stamp material, stamp making method using the stamp material and stamp manufactured by the stamp making method
JPH09511953A (ja) スライドブランク
JP3317126B2 (ja) スタンプ素材およびスタンプ素材の作成方法
US20020089656A1 (en) Containers for lithography mask and method of use
JPH09511954A (ja) スライドブランク
US5745222A (en) Apparatus for making a stamp from an original picture
WO1999030907A1 (en) Thermal head printer and method of using same to print on a thermoplastic medium
JP3296683B2 (ja) 印面部材、分離型スタンプ作成用ユニットおよびスタンプ作成装置
JP3287825B2 (ja) スタンプ作成装置
JPH1199734A (ja) 製版用基板
JPH1191221A (ja) 製版用基板
JP3861933B2 (ja) スタンプの製版方法
JPH11101687A (ja) 紫外線の放射照度測定装置及び原稿シート作成装置
JPH1191063A (ja) 製版方法及び製版装置
JP2860967B2 (ja) ポストカード用文字焼付方法
JPH08267886A (ja) スタンプ用プリント板、スタンプ用プリント原板及びこれの製造装置並びに製造方法
JP2000162744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Severus-Laubentei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omposite Material
JPH11143046A (ja) 印刷版の製造に使用するネガ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31954A (ja) スタンプ
JP2001080184A (ja) スタンプ作成方法およびスタンプ作成システム
JPH11249288A (ja) 印刷版の製造方法及び印刷版製造用感光性樹脂入りパック
JPH01101169A (ja) 文字焼込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