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498B1 - 차량의 이동식 발판 - Google Patents

차량의 이동식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498B1
KR100203498B1 KR1019970021492A KR19970021492A KR100203498B1 KR 100203498 B1 KR100203498 B1 KR 100203498B1 KR 1019970021492 A KR1019970021492 A KR 1019970021492A KR 19970021492 A KR19970021492 A KR 19970021492A KR 100203498 B1 KR100203498 B1 KR 100203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chamber
door
footrest
air inle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1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5402A (ko
Inventor
남춘우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21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3498B1/ko
Publication of KR19980085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5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5/0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capable of being elevated or extended ; Fastening means during transport, e.g. mechanical, hydraulic
    • E06C5/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capable of being elevated or extended ; Fastening means during transport, e.g. mechanical, hydraulic by piston and cylinder, or equivalent means, operated by a pressure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이동식 발판에 관한 것으로, 로커패널(60) 내측에 링크(15)를 매개로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발판(10)과, 상기 링크(15)에 힌지결합된 피스톤로드(20)가 연결되고 후방 챔버(34)의 측벽에는 공기유입구(54)가 관통형성됨과 아울러 전방 챔버(32)의 측벽에 공기배출구(52)가 관통형성되며 피스톤(25) 후방의 상기 후방 챔버(34)에는 리턴스프링(50)이 탄력설치된 작동실린더(30)와, 상기 작동실린더(30)의 후방 챔버(34)와 흡기매니폴드(80)를 상호 연통시켜서 이 흡기매니폴드(80)의 흡입력으로서 후방 챔버(34)의 공기가 배출되는 연결관(56)과, 상기 작동실린더(30)의 공기유입구(54)에 설치된 개폐밸브(42) 및 도어컨택트스위치를 매개로 전원에 연결되어 이 도어컨택트스위치가 온오프됨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42)를 전후진시키는 솔레노이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도어(70)가 열린 상태에서는 발판(10)이 차체 바깥쪽으로 인출되어 승객이 밟고 오르내릴 수 있도록 정상적인 승차수단이 되면서, 도어(70)가 닫힌 상태에서는 발판(10)이 차체 안쪽에 자동으로 인입되어 외부 물체가 부딪치게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이동식 발판
본 발명은 차량의 이동식 발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발판이 차체 바깥쪽으로 인출되어 승객이 밟고 오르내릴 수 있도록 정상적인 승차수단이 되면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발판이 차체 안쪽에 자동으로 인입되어 외부 물체가 부딪치지 않도록 된 차량의 이동식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프형의 RV(Recreational Vehicle) 차량에는 차체 외부에 승객이 밟고 오르내릴 수 있는 승차수단으로 발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발판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로커패널(120) 아래쪽에 결합시킨 별도의 발판지지대(115)에 설치되어 고정되었다.
즉, 로커패널(120) 아래쪽 외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발판(110)을 위치고정시켜, 승차 또는 하차하는 승객이 이 발판(110)과 로커패널(120)을 차례로 밟고 오르내릴 수 있도록 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고정식 발판(110)은 그 위치가 차체 하부인 로커패널(120)의 높이보다 지면쪽으로 근접되고 차체 양쪽의 폭에 비해 옆으로 돌출된 관계로, 도어(130)를 열고 승하차하기 위한 승차수단으로는 별다른 불편은 없으나, 도어(130)가 닫힌 상태에서 차량이 험로를 주행될 때에 로커패널(120)보다 낮은 발판(110)이 불규칙한 지면에 부딪치거나 외부의 물체와도 쉽게 부딪칠 수도 있으며, 아울러 고속 주행시에 발판(110)에 부딪치는 공기 저항이 높아져 주행 안전성이 방해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발판이 차체 바깥쪽으로 인출되어 승객이 밟고 오르내릴 수 있도록 정상적인 승차수단이 되면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발판이 차체 안쪽에 자동으로 인입되어 외부 물체가 부딪치게 않도록 하는 차량의 이동식 발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로커패널 내측에 링크를 매개로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발판과, 상기 링크에 힌지결합된 피스톤로드가 연결되고 후방 챔버의 측벽에는 공기유입구가 관통형성됨과 아울러 전방 챔버의 측벽에 공기배출구가 관통형성되며 피스톤 후방의 상기 후방 챔버에는 리턴스프링이 탄력설치된 작동실린더와, 상기 작동실린더의 후방 챔버와 흡기매니폴드를 상호 연통시켜서 이 흡기매니폴드의 흡입력으로서 후방 챔버의 공기가 배출되는 연결관과, 상기 작동실린더의 공기유입구에 설치된 개폐밸브 및 도어컨택트스위치를 매개로 전원에 연결되어 이 도어컨택트스위치가 온오프됨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를 전후진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식 발판은, 도어가 열리게 되면 도어컨택트스위치에 연결된 솔레노이드의 작동이 의해 공기유입구의 개폐밸브가 열리면서 작동실린더의 후방 챔버는 진공상태를 이루게 되며, 이 후방 챔버쪽의 공기가 흡기매니폴드의 흡입력에 의해 연결관을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피스톤로드가 후퇴되면서 링크를 매개로 발판이 로커패널 외측 방향으로 인출됨으로써 숭객이 이 발판을 밟고 오르내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어가 닫히게 되면 솔레노이드의 작동이 해제되면서 공기유입구의 개폐밸브가 열리게 되어 후방 챔버의 진공상태가 해제되며, 흡기매니폴드의 흡입력에 의해 수축되었던 리턴스프링이 탄발됨과 동시에 피스톤로드가 전방 챔버쪽으로 전진되면서 링크를 매개로 발판이 로커패널 내측 방향으로 인입됨으로써,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발판이 차체 밖으로 노출되어 외부 물체가 부딪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식 발판이 로커패널 아래쪽에 설치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발판의 작동구조를 보인 도 1의 A-A선 방향 단면도.
도 3는 종래의 고정식 발판이 로커패널 아래쪽에 설치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판15 : 링크
20 : 피스톤로드25 : 피스톤
30 : 작동실린더32 : 전방 챔버
34 : 후방 챔버40 : 솔레노이드
42 : 개폐밸브50 : 리턴스프링
52 : 공기유입구54 : 공기배출구
56 : 연결관60 : 로커패널
70 : 도어80 : 흡기매니폴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로커패널 아래쪽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이동식 발판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방향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발판의 작동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로커패널(60) 내측에 힌지축(17)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링크(15)의 상단이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이 링크(15)의 하단에는 고정축(19)을 통해 상기 링크(15)과 회동됨에 따라 로커패널(60)의 안쪽과 바깥쪽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발판(10)이 결합되어 있고, 이 발판(10) 위쪽의 상기 로커패널(60) 하부에는 링크(15)가 후진되면서 로커패널(60)과 면접촉되지 않고 점접촉되도록 스토퍼(6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링크(15) 중간에는 힌지축(18)을 매개로 직선이동되는 피스톤로드(20)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피스톤로드(20)의 일체 구조인 피스톤(25)이 작동실린더(30)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실린더(30)는 후방 챔버(34)쪽의 측벽에 개폐밸브(42)가 설치된 공기유입구(54)가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아울러 반대편 전방 챔버(32)쪽의 측벽에는 이 전방 챔버(32)쪽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구(52)가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실린더(30)는 후방 챔버(34)의 측벽에 상기 공기유입구(54)와는 별도로 흡기매니폴드(80)에 연결되는 연결관(56)이 결합 연통되어 있으며, 이는 도어(70) 열림시의 공기유입구(54)가 닫히면서 작동실린더(30)의 후방 챔버(34)가 진공상태로 될 경우에 흡기매니폴드(80)의 흡입력에 의해 이 후방 챔버(34) 내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작동실린더(30)는 피스톤(25) 후방쪽의 후방 챔버(34)에 리턴스프링(50)이 탄력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도어(70) 닫힘시의 공기유입구(54)가 열리면서 작동실린더(30)의 후방 챔버(34)가 진공 해제된 상태로 될 경우에 수축되었던 상기 리턴스프링(50)이 전방 챔버(32)쪽으로 신장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작동실린더(30)에 관통형성된 공기유입구(54)에는 솔레노이드(40)에 의해 작동되는 개폐밸브(4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솔레노이드(42)는 도어(70)에 구비된 도어컨택트스위치(미도시 됨)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 도어컨택트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공기유입구(54)에 설치된 개폐밸브(42)가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식 발판은, 승객이 승차 또는 하차하고자 도어(70)를 열게 되면 도어컨택트스위치가 온작동되면서 이 도어컨택트스위치를 매개로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솔레노이드(40)에 전류가 통전되며, 전류가 통전되는 솔레노이드(40)의 자력에 의해 작동실린더(30)의 공기유입구(54)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밸브(42)가 솔레노이드(40)쪽으로 접근되어 상기 공기유입구(54)를 막게 된다.
상기 개폐밸브(42)에 의해 공기유입구(54)가 막히면서 작동실린더(30)의 후방 챔버(34)는 진공상태를 이루게 되며, 즉 도어(70) 닫힘시에 리턴스프링(50)의 탄발력에 의해 피스톤(25)이 전진되어 있는 상기 후방 챔버(34)의 공간이 진공상태로 되면서 흡기매니폴드(80)의 흡입력에 의해 이 후방 챔버(34)의 공기는 연결관(56)을 통해 작동실린더(30) 밖으로 배출된다.
아울러, 리턴스프링(50)에 의해 전진되어 있던 피스톤(25)이 후방 챔버(34)의 공기 배출과 함께 이 후방 챔버(25)의 측벽쪽으로 후퇴되면서 상기 리턴스프링(50)도 수축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25)의 후퇴와 함께 피스톤로드(20)를 매개로 힌지결합되어 있는 링크(15)가 로커패널(60)쪽으로 회동되면서, 이 링크(15)에 결합되어 있는 발판(10)이 로커패널(60) 외측 방향으로 인출됨으로서 탑숭하는 숭객이 밟고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어(70)를 닫게 되면 도어컨택트스위치가 오프작동되고, 동시에 솔레노이드(40)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면서 개폐밸브(42)에 작용되었던 자력이 소멸되어 공기유입구(54)가 열리게 된다.
상기 공기유입구(54)가 개방됨에 따라 후방 챔버(34)의 진공상태가 해제되면서 이 후방 챔버(34)에 작용되던 흡기매니폴드(80)의 흡입력이 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후방 챔버(34)에 수축되어 있던 리턴스프링(50)이 탄발 신장되면서 피스톤(25)을 전방 챔버(32)쪽으로 전진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전방 챔버(32) 내의 공기는 상기 피스톤(25)의 전진이동에 의해 이 전방 챔버(32)의 측벽에 관통형성된 공기배출구(5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25)의 전진과 함께 피스톤로드(20)를 매개로 힌지결합되어 있는 링크(15)가 작동실린더(30)쪽으로 회동되면서, 동시에 이 링크(15)에 결합되어 있는 발판(10)이 로커패널(60) 안쪽으로 인입됨으로써, 차체 밖으로 상기 발판(10)이 노출되지 않게 되어 외부 물체가 발판(10)에 부딪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식 발판에 의하면, 흡기매니폴드의 흡입력과 스프링의 탄발력을 이용하여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발판이 차체 바깥쪽으로 인출되어 승객이 밟고 오르내릴 수 있는 승차수단이 되면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발판이 차체 안쪽에 자동으로 인입되도록 하여 외부 물체가 발판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고속 주행시에 발판의 공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로커패널(60) 내측에 링크(15)를 매개로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발판(10)과;
    상기 링크(15)에 힌지결합된 피스톤로드(20)가 연결되고, 후방 챔버(34)의 측벽에는 공기유입구(54)가 관통형성됨과 아울러, 전방 챔버(32)의 측벽에 공기배출구(52)가 관통형성되며; 피스톤(25) 후방의 상기 후방 챔버(34)에는 리턴스프링(50)이 탄력설치된 작동실린더(30)와;
    상기 작동실린더(30)의 후방 챔버(34)와 흡기매니폴드(80)를 상호 연통시켜서 이 흡기매니폴드(80)의 흡입력으로서 후방 챔버(34)의 공기가 배출되는 연결관(56)과;
    상기 작동실린더(30)의 공기유입구(54)에 개폐밸브(42)가 설치되고, 도어컨택트스위치를 매개로 전원에 연결되어 이 도어컨택트스위치가 온오프됨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42)를 전후진시키는 솔레노이드(40)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의 이동식 발판.
KR1019970021492A 1997-05-29 1997-05-29 차량의 이동식 발판 KR100203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492A KR100203498B1 (ko) 1997-05-29 1997-05-29 차량의 이동식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492A KR100203498B1 (ko) 1997-05-29 1997-05-29 차량의 이동식 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402A KR19980085402A (ko) 1998-12-05
KR100203498B1 true KR100203498B1 (ko) 1999-06-15

Family

ID=19507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1492A KR100203498B1 (ko) 1997-05-29 1997-05-29 차량의 이동식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34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737B1 (ko) 2006-07-10 2007-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페달 스위치의 댐핑 구조
KR102019518B1 (ko) * 2013-12-17 2019-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스텝 작동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402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12692B2 (ja) 車両用フード装置
CA2435049A1 (en) Split lift gate swing seat
KR100203498B1 (ko) 차량의 이동식 발판
KR19980050864A (ko) 트렁크 개폐장치
ES2176990T3 (es) Vehiculo con un techo corredizo plegable y un aleron dispuesto delantede este.
US1991611A (en) Vacuum door closer for automobiles and the like
KR100656756B1 (ko) 캡 오버형 트럭의 캡 틸트장치
CN211201487U (zh) 驾驶室翻转解锁系统以及车辆
JP3672978B2 (ja) 液圧式打撃機構
JPS635925Y2 (ko)
KR100792909B1 (ko) 후드패널용 힌지의 리프트장치
JPH034583Y2 (ko)
KR0174057B1 (ko) 자동차의 주행중 도어 열림방지장치
KR0135199Y1 (ko) 차량의 높이 조절식 범퍼
KR20200041004A (ko)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JPH0144551B2 (ko)
KR100494726B1 (ko) 차량용 익스트랙터 그릴
KR20015076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개방 지연장치
KR200150768Y1 (ko) 자동차용 도어의 개방 지연장치
KR0134611B1 (ko) 차량의 실내 공기압 배출장치
JPS62221977A (ja) 可動式フロントスポイラ装置
KR100387614B1 (ko) 도어 연동식 실내공기 추출장치
KR100394726B1 (ko) 출입문 개방시 빗물 차단장치
JPH06305421A (ja) プラグドア装置
KR100224172B1 (ko) 버스의 전동식 루프 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