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043B1 - 소방관 훈련을 위한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 Google Patents

소방관 훈련을 위한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043B1
KR100202043B1 KR1019930703536A KR930703536A KR100202043B1 KR 100202043 B1 KR100202043 B1 KR 100202043B1 KR 1019930703536 A KR1019930703536 A KR 1019930703536A KR 930703536 A KR930703536 A KR 930703536A KR 100202043 B1 KR100202043 B1 KR 100202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over
burner
simulation system
signal
combus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3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크 알. 레이톤
레이몬드 알. 쥬니어 팔머
레스터 엘. 스미스
Original Assignee
로버트 더블유. 워싱
에이에이아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버트 더블유. 워싱, 에이에이아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로버트 더블유. 워싱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81Training methods or equipment for fire-figh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실재 화재를 진화하는 도중 발생할 수 있는 플래쉬오버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이 기술된다.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은 소방관 트레이너의 연소실(12)의 천장 주위에 배치된 보조 또는 플래쉬오버 연료 버너 어셈블리(41)에 연료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점화함으로써 수행된다. 양호하게,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은 훈련 시나리오의 과정동안 계속 모니터되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선정된 트레이너 동작 파라미터의 임계값에 도달될 때에만 수행된다. 이러한 모니터링을 위한 양호한 트레이너 동작 파라미터는 메인 버너 어셈블리(38)에서의 화염 높이와 연소실(12)의 천장에 가까운 또는 인접한 위치의 기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소방관 훈련을 위한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컴파트먼트 소방관 트레이너의 개략적인 상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트레이너의 컴파트먼트중의 하나의 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관 트레이너의 컴파트먼트를 도시한 단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관 트레이너 컴파트먼트와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관 트레이너에 대한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논리를 도시한 플로우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동작기 콘솔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간단히 도시한 도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배경]
1.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화재를 진화하여 소화하기 위한 양호한 과정에 대해시, 군대의 또는 다른 소방 훈련생을 훈련하기 위한 화재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훈련생의 부적당한 화재 소화 과정에 의해 생기는 플래쉬오버(flashover)의 표시를 발생하기 위해 동작가능한 소방관 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 관련 분야에 대한 논의
종래의 소방관 훈련은 전형적으로 나무, 짚단, 기타 유기 및 무기 가연성 물질이 연소용으로 제공되어, 훈련생은 충분한 양의 소화제(fire extinguishing agent)를 사용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소화제로는 물이 유용성, 경제성 및 소화 물질로서의 광범위한 사용성 때문에 가장 많이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소방관 훈련은 상대적으로 높은 부상율, 환경에 대한 악영향 및 훈련 효율 및 훈련 참가 인원의 제한 때문에 최근 수년간 면밀히 검토되었다. 예를 들어, 국립 소방 협회(National Fire Pretection Association: NFTA)는 1988년 미국에서만 거의 6,000명이 소방관 훈련에 관련하여 부상을 입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재 화재에 대한 훈련은 소방 훈련의 중요하고 필수적인 부분으로서, 이 훈련 과정은 실재 화재시에 소장관이 직면하는 전체적 상황을 경험하게 하여준다. 불행하게도, 소방관 훈련 교육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종래의 실제 화재는 실재 상황과 관련된 많은 동일한 위험을 내포한다. 그것들은 예측할 수 없는 화재의 전파 및 피교육자의 행동에 대한 화재의 반응 등이다. 이러한 특성의 결과, 종종 훈련 감독관이 쓰러진 피교육자를 구하기 이전에 스스로 화재를 진화하여야만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통상 일어나는 실재 화재가 본질적으로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소방관 훈련의 성공을 위한 원하는 화재 상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재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소방관 훈련은 이상과 같은 결함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1970년대 초 이래로 실재 화재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고안되었는데, 그 중에는 다양한 가연성 재료(예를 들어, 나무 및 짚단)에 점화시키는 종래의 연습 대신에 연소실 내에 위치한 다양하게 제어될 수 있는 장치를 가진 프로판과 천연 가스 사용가능 버너를 사용하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실재 소방관 훈련 시뮬레이터의 새로운 세대가 미해군에 의해 대행되어 미합중국에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4,303,396호에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 문헌으로 사용되는 상기 특허 문헌에 기술된 이 시뮬레이터는 다수의 챔버를 제공하는데, 각각의 챔버는 화재의 다양한 종류를 나타내는 연료 버너로 화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시뮬레이터는 스프레이 노즐 제어 및 다양한 소화제 적용 기술과 같은 화재 소화의 몇가지 일반적인 원리에 대해 소방관 훈련생을 교육시키는데 유용하다. 그러나, 소방관이 일반적으로 밀폐된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연발생 화재를 진화하는 도중 부딪힐 수 있는 플래쉬오버와 같은 특정 실재 화재 상황은 시뮬레이터할 수 없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같이, 플래쉬오버라는 용어는 인화점에 도달한 연소 물질로부터 방출된 다양한 가스가 연소실의 천장 주위에 모인 가열된 가스의 자연 연소 및/또는 폭발을 의미한다. 플래쉬오버는 천장에서 바닥까지 하향으로 폭발하는 불덩어리 형태이다. 불덩어리가 종래의 소방관 안전복이 위험하게 되는 온도보다 더 높은 1000F(538) 이상의 온도에 도달하면, 플래쉬오버의 발생은 불덩어리 근처의 모든 사람에게 매우 치명적이 된다. 부가적으로, 불덩어리의 하향 폭발의 충격적인 효과는 불덩어리 주위의 사람을 무기력하게 한다.
플래쉬오버가 소방관의 건강, 안전 및 임무 수행에 심각한 충격을 주기 때문에, 가장 먼저 플래쉬오버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화재 소화 기술에 관하여 소방관을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식적으로 사용되는 플래쉬오버 발생 방지를 위한 한 방법은 불타고 있는 연소실의 천장에 주기적으로 물을 뿌려서 천장 주위에 있는 가스를 냉각시키는 것이다.
종래의 실재 화재 시뮬레이터에서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을 실현한 효과는 그리 성공적이지는 않았고 훈련생의 건강 상태에 해를 끼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이런 시도는 물이 화재에 공급되는 일반적인 방식을 모니터함으로써 플래쉬오버 방지 훈련을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진다. 부적당한 급수 기술이 사용되는 경우, 화재가 번져서 전복되기 위한 조건은 천장을 가로질러 3에서 5피트(1-1.5m)까지 화재가 번졌을 때 일어난다. 불행히도, 이것은 훈련생이 버너와 매우 가까이 있는 경우에는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전술한 한계에 대해, 본 발명은 임의적으로 제어가능한 소방관 훈련을 위한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고, 선정된 조건이 일치될 때 플래쉬오버를 시각적, 청각적 및 열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상이한 화재로부터 발생하고, 물, 거품, CO2및 다른 약품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소화제가 사용될 때 일어나는 플래쉬오버를 시뮬레이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변 사용자 선택 파라미터의 범위에 응답하는 소방관 훈련을 위해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 및 장점은 다음의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의 이해로부터 더 명확해질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시스템 및 방법은 화재 훈련중 플래쉬오버를 시뮬레이트하기 위해 제공된다. 플래쉬오버를 발생하게 하는 전체 조건과 발생할 때 주위에 있는 사람에게 위험하고 심지어 치명적인 플래쉬오버를 피해야 하는 소방관의 입장에서 실시될 수 있는 화재 진화 연습에 대한 소방 훈련생의 교육은 상당히 중요하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서,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밀폐된 연소실(burn room)내에 장착된 메인 버너를 갖는 소방관 트레이너로 사용되기 위해 제공된다.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연소실의 천장과 인접하게 배치된 최소한 하나의 보조 또는 플래쉬오버 버너를 포함한다. 보조 버너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연료 저장소로부터 보조 버너에 제공되는 연료를 태우기 위해 동작가능하다. 연료 점화기는 보조 버너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양호하게는 연속 방식으로 보조 버너로 연료 점화 출력을 발생하기 위해 동작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메인 버너로의 연료 전달과 독립적으로, 규정된 시간 간격으로 양호하게 보조 버너로의 연료 전달을 실행하기 위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시스템은 서로 독립된 각각의 메인 및 보조 버너로의 연료 전달의 다양한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동력화된 선형 밸브와 같은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양호한 측면은 최소한 하나의 소방관 트레이너 동작 파라미터의 모니터링과, 모니터된 동작 파라미터가 선정된 임계값에 이르거나 초과한 후 제어 시스템으로부터의 플래쉬오버 가능 신호의 발생을 제공한다. 양호한 동작 파라미터는 메인 버너 화염 높이와 연소실 천장 주위의 기온이다. 양호하게, 2개의 동작 파라미터는 모니터되고, 플래쉬오버 발생 신호는 각각의 선장된 임계값이 실제로 동시에 도달된 후에만 발생된다. 최선으로, 각각의 임계값의 최소한 하나의 값은 이러한 값의 규정된 범위로부터 선택가능한 연산자이고, 제어 시스템에 입력으로서 인가될 수 있다.
연료의 연소가 원래 위험하기 때문에, 연소실에서 실재 감독관 개인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가능한 플래쉬오버 작동 스위치로 플래쉬오버 가능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방식으로, 감독관의 판단이 훈련 시나리오동안 연소 실내에 존재하는 전체 환경하에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의 적당성의 판단을 실행한다. 이러한 환경은 예를 들어, 메인 및 보조 버너에의 근접성뿐 아니라 훈련 시나리오중 트레이너 경험과 침착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또한 모니터된 동작 파라미터가 허용가능한 동작 범위내일 때 자동적인(즉, 임의적이지 않는)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수행을 위해 제공되기 위해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밀폐된 연소실내부에 장착된 메인 버너를 갖는 형태의 소방관 트레이너로 플래쉬오버르 시뮬레이트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새로운 방법은 버너에 인접하게 배치된 연료 점화기가 연소실의 천장 주위의 화염을 지향하기 위한 동작중에 있을 때, 보조 또는 플래쉬오버 버너에 연소성 연료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엔에이블링하기 위해 제공된다. 양호하게, 연료 유동은 소방관 트레이너용의 최소한 하나의 모니터된 동작 파라미터에 대한 선정된 임계값에 도달한 이후에만 엔에이블된다. 모니터하기에 양호한 동작 파라미터는 메인 버너 화염 높이와 연소실의 천장 위치 부근의 기온이다. 천장 온도는 자동 프로세싱 유니트와 같은 제어 유니트에 감지된 온도를 표시하는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열전쌍에 의해 양호하게 감지된다.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다양한 시각에서 본 대응 부분을 나타내는 참조 번호가 붙은 도면을 참조하면, 특히 제1도를 참조하면 참조 번호(10)으로 표시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다수의 컴파트먼트 소방관 트레이너가 도시된다. 트레이너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컴파트먼트 또는 방(12, 14, 16 및 18)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컴파트먼트 또는 방은 독립적으로 동작가능하고 개인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마스터 프로세싱 유니트(20)에 의해 후술된 방식으로 제어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원리가 1개의 컴파트먼트 또는 연소실만을 갖는 소방관 트레이너에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프로세싱 유니트(20)은 중앙 프로세싱 유니트(CPU)와 최소한 1개의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중앙 유니트(22), CRT와 같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4) 및 키보드 및/또는 수동 입력 장치(예를 들어, 마우스)와 같은 적절한 입력 장치(26)을 포함한다. 마스터 프로세싱 유니트(20)은 컴파트먼트(12, 14, 16 및 18)로부터 멀리 떨어져 배치될 수 있고, 화재 시뮬레이션이 행해지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컴파트먼트와 양호하게 연결되는 로컬 자동 프로세싱 유니크(28)을 갖는 제어 라인(30)에 의해 표시되어 후술되는 방식으로 주/종속 관계로 통신하기 위해 동작 가능하다. 로컬 프로세싱 유니크(28)은 연료 입구 밸브, 연기 발생기 및 비상 화재 진화와 후술된 통풍기 장치와 같은 여러 장치에 제어 입력 신호를 제공한다. 로컬 프로세싱 유니크(28)에 의해 제어된 장치의 동작 및/또는 성능에 관한 데이터는 제어 라인(30)을 따라 마스터 프로세싱 유니트(20)에 전달된다. 부가적으로, 컴파트먼트 천장 온도 감지기(32)와 같은 다양한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는 프로세스된 감지기 데이터가 동작기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마스터 프로세서(20)과 통신할 수 있는 프로세싱 이후에 감지기 데이터 라인(34)를 따라 로컬 프로세싱 유니크(28)과 통신된다. 프로판 또는 중성 가스와 같은 연료가 적절한 저장 탱크(36)내에 저장되고, 연료 공급 라인(40)을 통해 컴파트먼트내부의 메인 가스 버너 유니트(38)에 공급된다. 신호 입력은 훈련이 행해질 컴파트먼트(12, 14, 16 및 18)내부의 소정의 버너와 연결된 적절한 연료 주입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 로컬 프로세싱 유니크(28)에 수신된다. 연료는 또한 뒤에 상세하게 설명될 데이터 입력 장치(26)을 통해 입력으로서 공급된 미리 설정된 기준의 발생시 유사한 방식으로 오버헤드 플래쉬오버 버너에 공급될 수 있다. 플래쉬오버 버너 유니트는 버너 점화시 천장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확산되는 화염을 발생하도록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2개의 가늘고 긴 원통형 버너(41a 및 41b)를 양호하게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일반적으로(42)로 표시된, 종래에 잘 알려진 방식으로 메인 버너 어셈블리(28)에 의해 발생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함 컴파트먼트(12)와 같은 특정한 1개 또는 그 이상의 트레이너 컴파트먼트에 트레이너(10)을 통해서 전진하는 관찰벽 또는 방화벽 뒤에 배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인적인 감독관의 양호한 경계하에 소방관들이 허용되게 한다.
더 상세한 본 발명의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장치가 제2도에 도시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소방관들(42)이 메인 버너 어셈블리(38)의 화재에 물, 거품, 파우더 또는 CO2가스와 같은 소화제를 투입하는 것이 도시된다. 종래에 잘 알려진 방식으로 버너(38)에서의 화재는 나무, 화학성, 전기 및 유화성 화재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화재를 시뮬레이트하기 위해 임의로 제어될 수 있다. 소화제(46)은 부피 및/또는 구성을 분석하기 위한, 예를 들어, 1개 또는 그 이상의 검출기(52)로 운반되기 위해 바닥 격자(50)내에 형성된 퍼늘(funnel)(48)에서 임의로 수집될 수 있다. 분석의 결과는 궁극적으로 예를 들어, 화재에 투입된 소화재의 양 및/또는 적절성에 대한 판단을 위해 트레이너와 감독에게 보고된다. 이렇게 해서, 특정 소화제가 어떤 종류의 화재를 소화하는데 다른 것보다 더 적절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은 일반적으로 유화성 화재에는 적절하지 않은 소화제로 여겨지며, 실제이러한 화재를 더 심화시킬 수 있다. 자연 화재 사태에 부닥친 것 같은 방식에서 트레이너의 감지의 모호성은 1991년 3월 31일 출원되어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계류중의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07/707,868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적절한 연기 발생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임의로 제공될 수 있는 데, 이것은 시뮬레이트 된 연기를 주입 밸브(54)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플래쉬오버 버너(41)은 화재 시뮬레이션 부근의 실내 높이의 최소한 60%정도 높이로 양호하게 컴파트먼트 천장(56)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컴파트먼트 바닥(50)위로 약 2피트(예를 들어, 좁은 공간 또는 천장 강화형 시뮬레이터 시스템)에서 15피트 정도의 높이로 플래쉬오버 버너(41)를 배치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버너는 적절한 브라킷(57)에 의해 천장에 매달 수 있거나, 컴파트먼트 측벽(58)의 하나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고, 버너는 위에서 참조된 브라킷에 의해 그 길이 전체가 지지된다. 플래쉬오버 버너(41)은 소방관이 메인 버너 어셈블리(38)로부터 번지는 화재를 진화하는 위치를 취할 수 있는 바닥(50)위에 양호하게 배치된다. 양호하게는 플래쉬오버 버너(41)은 메인 버너 어셈블리(38)에 공급된 것과 동일한 연료를 태우기에 적합하다. 버너(41a 및 41b)는 천장과 일반적으로 평행한 경로를 따라 버너 노즐(60)(후술되는 방식으로 버너 동작가능 및 점호시)으로부터 분포되는 실제적으로 광범위한 화염까지 제공하도록 양호하게 배열된다. 컴파트먼트(12)내에서 소방관의 위, 아래 이외에 천장을 따라 분포되는 화염은 컴파트먼트내부의 개인의 안전을 보장하도록 양호하게 분포된다. 적절한 버너는 직경이 2인치(5.08)인 파이프를 따라 1/8인치(0.32)의 개구가 모두 약 2인치 간격으로 이격된 열을 제공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의 주요한 목적은 시뮬레이터 컴파트먼트내부에 조립된 소방수(42)에 의해 진화되는 화재 이외에 플래쉬오버의 발생의 그래픽적이고 시각적, 청각적으로 느낄 수 있으며, 열적인 표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래쉬오버 버너는 5초 내지 10초와 같이 짧게 선정된 시간동안에만 양호하게 동작한다.
플래쉬오버 버너(41a 및 41b)은 각각의 버너의 연료 주입 단부(64) 부근에 양호하게 배치된 스파크 점화기(61)에 의해 양호하게 점화된다. 점화기(61)은 후술되는 바와같이 플래쉬오버 동작가능 및 사용시 플래쉬오버 버너에 공급된 연료를 점화하도록,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플래쉬오버 버너를 향하여 스파크를 일으키기 위해 화재 훈련동안 내내 양호하고 계속적으로 동작가능하다. 자외선(UV) 감지기와 같은 적절한 스파크 감지기(65)는 점화기로부터의 스파크 방출을 모니터 하기 위해 점화기(61)의 근처에 제공된다. 점화기(62)와 점화 감지기(66)의 유사한 배열이 메인 버너 어셈블리(38)에서 제공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되는 바와같이, 점화기(61)로부터의 스파크 방출이 감지기(65)에 검출될 때까지는 연료가 플래쉬오버 버너(41)에 공급되지 않으므로 점화되지 않은 가연성 연료는 플래쉬오버 버너에 의해 방출되지 않아서 소방관(42) 주변으로 퍼져서 자발적으로 점화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한다. 스파크 방출을 확인하는 것은 프로판이 버너 연료로서 사용될 때, 프로판이 공기보다 무거워서 컴파트먼트내부에 모인 소방관을 급습하여 불덩어리가 튀어, 버너 노즐(60)으로부터의 연료 방출 이후에 전술한 안전 방지책의 부재로 점화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상술한 것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플래쉬오버는 밀폐된 천장 주위에 모인 가스가 인화점에 이를 때 발생한다. 인화점은 공기 주위의 가스의 화학적인 구성에 따라 변할 수 있고 물질(나무, 화학품 등)로부터 방출된 이런 가스는 연소된다. 전형적으로, 인화점은 약 900F에서 약 1200F까지의 범위로 예상된다. 본 발명의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에서, 시뮬레이터 컴파트먼트(12)의 천장 주위에 모인 가스의 온도는 적절한 천장 온도 감지기(32)에 의해 검출된다. 천장 온도 감지기의 양호한 모양은 최소한의 천장 온도 범위를 포함하는 동작가능 범위를 양호하게 제공하는 열전쌍(33)인데, 이 최소한의 천장 온도 범위는 전형적으로 시뮬레이터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에 사용되는 적절한 열전쌍은 인디아나주의 포트 웨인의 피로모션 인크,(Pyromotion Inc.)에 의해 제조된 모델 K23096G-10A-06이다. 열전쌍(33)은 측벽(58)로부터 시뮬레이터 컴파트먼트(예를 들어, 천장 강하/좁은 공간 또는 전체 실내 크기 시뮬레이터)의 특성과 크기에 따라 컴파트먼트 바닥(50)위로 약 2피트에서 15피트까지의 높이에서 소방관 트레이너 컴파트먼트의 동작중 가열된 가스가 수집되는 영역까지 양호하게 연장되는 지지대(67)의 단부에 배치된다. 천장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절한 지지 브래킷(69)는 원하는 위치에서 열전쌍(33)의 배치를 유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열전쌍으로부터 얻어진 온도 데이터는 적절한 데이터 라인(34)(제1도)를 따라 전달되고, 후술되는 방식으로 프로세스되기 위해 로컬 프로세싱 유니크(28)으로 운송되기 전에 적절한 아날로그-디지탈(A/D) 변환 회로에 의해 변환되어 마스터 프로세싱 유니트(20)와 통신한다. 미리 설정된 플래쉬오버 파라미터에 도달될 때, 플래쉬오버 가능 신호는 방화벽(44)뒤에 위치된 제어 패널(70)에서 마스터 프로세싱 유니트(20)으로부터 [로컬 프로세스(28)을 통해서] 작동 스위치(68)에 전송된다.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비상 오프 스위치(72), 포우즈 온/오프 스위치(74) 및 연기 온/오프 스위치(76)과 같은] 다양한 다른 제어 스위치뿐만 아니라 작동 스위치(68)은 화재 시뮬레이션 훈련동안 계속 잘보이도록 하기 위해 독특한 색 및/또는 역광으로 양호하게 제공된다. 관찰구 또는 창문(78)은 방화벽뒤에 있는 감독관이 소방관 훈련 시나리오의 진행을 볼 수 있도록 허용되기 위해 방화벽(44)내에 제공된다. 감독관은 컴파트먼트(12)내부에서의 모든 활동을 감독하고 훈련의 모든 행위와 진행의 감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훈련이 행해지는 동안 양호하게 존재한다. 감독관 개인의 임의대로 플래쉬오버가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우(사용될 때), 연결된 점화기(61)에 의해 점화하고, 상술된 방식으로 잇달아 화염을 파급하기 위해 저장소(36)으로부터 플래쉬오버 버너(41)에 연료의 공급을 수행함으로써 플래쉬오버 작동 스위치(68)은 감독관 개인 중의 한명에 의해 계합될 수 있다. 전술한 것으로부터 명백하듯이, 플래쉬오버 가능의 소정의 발생 조건과 심지어 모든 조건은 컴파트먼트(12)의 천장에 소화제를 주기적으로 확산함으로써, 그리고 실내의 천장 주위에 모이는 가스를 냉각시킴으로써 금지될 수 있다. 절연 라인(80)(제3도)은 반복되고 갑작스럽고 극단적인 온도 변화의 해로운 영향으로부터 컴파트먼트 천장과 측벽을 보호하기 위해 소화제를 수용하는 각각의 컴파트먼트 천장과 측벽부에 인접하게 제공된다. 리니어(liner)는 펜실바니아주의 피츠버그에 있는 USX 코포레이션에 의해 제조된 연강(mild steel) 또는 코튼(Corten) 강철로 만들어지고, 종래의 브래킷(82)에 의해 천장과 측벽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된다. 연기와 열은 1개 또는 그 이상의 배기팬(79)에 의해 컴파트먼트로부터 배출되는데, 이 배기팬은 컴파트먼트의 측벽에 형성된 대응 개구(81)을 통한 트레이너 부산물을 흡입하기 위해 동작가능하다.
본 발명의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을 위한 전자기계적 제어 장치가 제4도에 도시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마스터 프로세싱 유니트(20)은 개인 컴퓨터 또는 워크 스테이션의 형태이다. 프로세싱 유니트(20)의 동작은 캘리포니아주의 샌디아고에 있는 인터스트리얼 컴퓨터 소스 인크.(Industrial Computer Source Inc.)에 의해 판매되는 모델 SB286SC와 같은 중앙 프로세스 유니트(CPU)(84)에 의해 제어된다. 랜덤 억세스 메모리(RAM)(86)은 CPU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OSS 소프트웨어에 저장되며, CPU에 작업 메모리를 제공한다. 판독 전용 기억 장치(ROM)(88)은 또한 입력/출력, 자가 테스트 진단 및 CPU(84)를 위한 부팅 진행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저장에 제공된다. 1개 또는 그 이상의 디스크 드라이브(90)은 CPU(84)와 접속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위에 참조된 비데오 모니터(24)(제1도)와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26)과 같은 데이터 입력 장치는 사람인 조작자가 CPU(84)와의 상호작용을 허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인쇄기(92)는 그래픽, 열전쌍 온도에 관련된 태블러(tabular) 데이터, 훈련중 공급된 소화제의 양 및 시간에 따른 메인 버너 어셈블리(38)에서의 화염 높이와 같은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에 관한 데이터의 하드 카피를 제공하기 위해 CPU(84)에 임의로 접속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재현되어 1개 또는 그 이상의 콘솔 모니터(24)에서 훈련생에게 디스플레이되기 위해 램(86)에 저장될 수 있다.
마스터 프로세싱 유니트(20)은 양방향 데이터, 어드레스 및 제어 버스(94) 대신 1개 또는 그 이상의 트레이너 컴파트먼트에 수용되는 설비(facility)(또한 화재 빌딩으로 공지된)에서 로컬 프로세싱 유니트(28)에 결합된다. 양호하게, 상세히 후술되는 모든 장점을 갖는 단일의 전용 로컬 프로세싱 유니트(28)은 다수의 트레이너 컴파트먼트, 각각의 프로세싱 유니트의 프로세서 사이에 연장된 데이터 버스의 1개 또는 그 이상에 인접하게 제공된다. 특히, 프로세싱 유니트(20)의 CPU(84)는 로컬 프로세싱 유니트(28)의 CPU(96)에 결합된다. 마스터 프로세싱 유니트(20)의 경우에서와 같이, 로컬 프로세싱 유니트(28)은 다양한 하드웨어 장치와 통신하고 그것을 제어하기 위해 적절한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연료 버너 제어 밸브(98)과 본 발명의 소방관 트레이너 시뮬레이터와 연결된 연기 발생기(100) 및 열전쌍(33)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입력을 수신하고 인터럽트하기 위해 프로세서를 허용하게 하는 A/D 변환기 장치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점화기(61 및 62) 및 UV 감지기(65 및 66)으로부터의 출력은 CPU(96)에 직접 전송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이다.
로컬 프로세싱 유니트의 CPU(96)은 다양한 감지기 및 제4도에 도시된 컴파트먼트(12)와 같은 각각의 시뮬레이션 컴파트먼트와 연결된 하드웨어 장치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CPU(96)은 데이터 라인(106)을 따라 열전쌍(33)으로부터 온도 감지 입력(적절한 A/D 변환기 장치에 의한 후속 프로세싱, 도시되지 않음)을 수신한다. 메인 버너와 메인 버너의 동작에 각각 관련된 플래쉬오버 UV 감지기(65 및 66) 및 플래쉬오버 점화기(61 및 62)로부터의 데이터는 각각 데이터 라인(108 및 110)을 따라 CPU(96)에 전송되고, 점화기에 대응하는 점화 신호 입력은 통신 라인(112 및 114)을 따라 전송된다. 통신 라인(116)을 따라 전송된 명령이 적절한 신호의 버너 제어 밸브 시스템(98)에 의해 수신될 때, 연료가 탱크(36)으로부터 메인 버너 어셈블리(38)과 임의적인 플래쉬오버 버너 유니트(41)로 압력을 받아 운반된다. 밸브 제어 시스템은 오하이오주의 페리에 있는 벤 메쯔거 인크.(Ben Metzger Inc.)에 의해 제조된 일련의 1800-MLV 동력화 선형 밸브와 같은 즉, 각각의 플래쉬오버와 메인 버너 유니트의 각각에 연료 유동 경로내에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CPU(96)으로부터 적절한 신호 입력을 수신할 때, 밸브 제어 시스템(98)은 탱크(36)으로부터 [도관(118)을 통해서]) 각각 버너(38 및 41)에 전달되기 위한 버너 연료 공급 라인(120 및 122)에 대응하는 하나로 압력을 받아 연료의 정확한 계량을 허용하도록 잠금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연료 제어 밸브를 바이어스하기 위해 동작가능하다. T 또는 Y 접속기(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적절한 접속기는 2개의 플래쉬오버 버너(41a 및 41b)에 거의 균등하게 연료의 유동을 분할하기 위해 플래쉬오버 버너 공급 라인(122)를 따라 제공된다. 플래쉬오버 소자와 다른 로컬 제어 패널(70) 제어 입력(예를 들어, 비상 정지, 포우즈 온/오프, 연기 온/오프 등)은 통신 라인(124)를 따라 CPU(96)과 로컬 제어 패널 사이에서 통신된다. 연기 발생기(100)의 CPU(96) 제어는 통신 라인(126)을 따라 수행한다. CPU(96)로부터 동작 신호 입력의 수신시, 1991년 3월 31일에 출원되고 본 발명의 명세서에 참고 문헌으로 이용된, 발명의 명칭이 시뮬레이트된 연기를 제어가능하게 발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인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07/707,868호에 개시된 연기 발생기에 의해 생성된 것과 같은 종류의 무독성으로 양호하게 시뮬레이트 된 연기는 시뮬레이션의 사실성을 더 강화하기 위해 트레이너 컴파트먼트내부의 메인 버너 어셈블리(38) 또는 소정의 다른 적절한 배출구로 도관(128)을 따라 운반된다. CPU(96)은 본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겐 컴파트먼트 통풍, 조명 및 다른 하드웨어와 같은 소정의 다양한 다른 시뮬레이터 컴파트먼트를 제어하기 위해 잘 알려진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지금까지의 하드웨어 컴파트먼트의 가능, 상태 및 제어에 일반적으로 관련된 신호 데이터는 데이터 버스(94)를 따라 로컬 프로세싱 시스템과 메인 프로세싱 시스템 사이에서 교환되어, 이러한 2개의 프로세싱 시스템 사이에 교환된 통신 및 제어의 복잡성이 최소화된다. 전술한 통신 및 제어 계보는 여러 가지 이유중의 몇가지 때문에 마스터 프로세싱 유니트(20)이 화재 빌딩에서 현장에 위치되지 않는 상황에서 더 우수하다.
본 발명의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에 대한 프로그램 제어의 상세한 설명은 제5도의 플로우드에서 설명된다. 훈련의 수행 전에 CPU(84)는 블록(130)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동작성을 확인하기 위해 연료압과 연료 제어 밸브(98)의 테스트를 초기화하기 위해 CPU(96)을 요구한다. 이러한 테스트는 상술한 바와같이, 소방관 트레이너 훈련이 착수되는 트레이너 컴파트먼트에서 현장의 로컬 프로세싱 유니트(28)의 CPU(96)에 적절한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램(86)내에 저장된 적잘한 프로그램 데이터의 CPU(84) 억세싱에 의해 달성된다. 이 테스트는 컴퓨터 분야에서 공지된 방식으로 램(102)내에 저장된 테스트 관련 프로그램 데이터의 CPU(96)에 의해 억세싱시 수행되는데, 이것은 개구, 폐구의 규정된 영역과 시스템 압력 점검을 행하기 위해 제어 밸브 어셈블리(98)에서 하드웨어를 지시하도록 신호 출력이 통신 라인(116)을 따라 CPU(96)으로부터 수행된다. 이렇게 미리 수행된 테스트는 각각의 버너 점화기(61 및 62)의 시뮬레이터 화재 및 각각의 통신 라인(112 114 및 108 110)을 따라 CPU(96)과 교환된 신호에 의해 각각의 점화기에 연결된 UV 감지기(66 및 65)에 의한 모니터링을 더 달성할 수 있다. 미리 수행된 테스트 진행의 만족한 완료시,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20)은 훈련 동안 적절한 화재 시뮬레이션 파라미터의 엔트리를 위해 블록(132 내지 138)로 표시된 것과같은 콘솔 동작기를 자극한다. 동작 콘솔 프롬프트의 한 예가 제6도에 도시된다. 다양하게 요구된 시뮬레이션 파라미터가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 입력(26)을 통해] 삽입 될 때, 훈련 시나리오가 진행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콘솔 동작기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이 선택되는 경우에만 플래쉬오버 트리거 온도[블럭(136)] 메인 버너 높이 플래쉬오버 트리거[블럭(138)] 및 기간 선택[블럭(140)]을 위해 프롬프트를 발생한다. 그러나, 설명을 위해 이러한 각각의 파라미터의 선택을 위한 옵션은 제6도에 도시된 동작 콘솔 스크린내에 포함된다. 블록(136 및 138) 에 의해 표시된 플래쉬오버 프롬프트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 콘솔에서 양호하게 발생되지 않는다.
각각의 훈련 시나리오의 엔트리를 따를 때, 훈련 시나리오는 블록(142)에서 초기화된다.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이 선택될 때[블럭(144)를 참조], 플래쉬 점화기(61)의 동작은 상술된 방식으로[예를 들어, UV 감지기(65)로부터의 신호 출력을 모니터하는 방식] 로컬 프로세싱 유니트(28)에 의해 [블럭(146)이] 확인된다. 로컬 프로세싱 유니트(28)에서 점화 동작의 확인과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20)에 버스(94)를 따른 이러한 데이터의 전송시, 메인 버너(38)에서의 화염 높이를 종래의 방법으로 [블럭(148)을] 모니터하는데, 이 방법은 밸브 위치(예를 들어, 참조 된 밸브에 의해 전송될 때 열리는 밸브 개구의 퍼센트)를 모니터함으로써, 또는 선택적으로 종래의 인-라인 연료 유동 게이지에 의해 버너에 가스 유동의 양을 모니터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결정은 메번 버너 화염이 선정된 플래쉬오버 트리거 높이와 일치하는지 또는 초과하는지에 관해 이루어진다. 메인 버너 화염 높이는 화염이 천장 주위에 모인 가스의 인화점까지 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충분한 열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화재에 필요한 하한 높이에 이르지 않는 경우 플래쉬오버가 화재 긴급 상황에 통상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을 가정할 때 계속적으로 양호하게 모니터된다. 제6도를 참조하면, 프롬프트내에 재공된 소정의 다른 높이값이 훈련생의 숙련성과 경험 및 시뮬레이트 될 화재의 종류(나무, 화학품, 윤활유 등)에 따라 변할 수 있을지라도,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해 선택된 메인 버너 플래쉬오버 트리거 높이는 3피트이다.
메인 버너 화염이 선정된 임계 높이에 이를 때, 열전쌍(32)로부터 데이터 라인(124)를 따라 연속적으로 수신된 온도 데이터는 선정된 플래쉬오버 온도에 도달되었는 지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블럭(150)에 의해 표시된 것과같이 CPU(96)에 의해 평가된다. 천장 온도 데이터는 훈련 시나리오가 완료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양호하게 모니터된다. 선정된 메인 버너 화염 높이 및 천장 온도값에 도달될 때,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인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신호 훈련 시나리오 동안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을 각각 발생함으로써 얻어지는 훈련값이 작거나 없기 때문에, 플래쉬오버가 결정 블럭(152)로 표시된 것처럼 시나리오내의 시간까지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이 시나리오 동안 미리 발생된 경우, 플래쉬오버가 없는 시나리오가 다시 발생된다. 시나리오를 진행하는 동안 아직 발생되지 않은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의 경우, 로컬 프로세싱 유니트(28)은 블럭(154)에 의해 표시된 것과 같이, 로컬 제어 패널(70)에서 플래쉬오버 작동 스위치(68)로 가능 신호를 발생한다. 스위치 동작은 스위치 조광, 청각 수단 및/또는 이러한 각각의 표현 종류의 혼합으로 로컬 제어 패널에서 양호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의 플래쉬오버 양호한 실시에는 스위치 가능을 따라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이 잇달아 일어나는 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을 화재 훈련 감독관[제어 패널(70) 주위에 양호하게 위치됨]에게 제공한다. (위에서 참조된 선정된 파라미터에 도달시 완전히 자동적인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의 발생에 대립된) 이러한 배열은 미리 설정된 플래쉬오버 조건이 완전히 만족된 경우라도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기에 매우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훈련 시나리오의 수행에 안전도를 더 제공한다. 이러한 상황의 예는 컴파트먼트내부 훈련생 일부의 공포, 플래쉬오버 버너에 바람직하지 않은 훈련생의 신체적 접근 및 소방관 보호 기어와 같은 장비의 고장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의 측면으로서 사람의 감독관 입력을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그러나, 본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게는 지금까지 설명한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파라미터[상술한 블럭(136-140)을 참조]에 도달될 때 완전히 자동적으로 진행되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것이다.
플래쉬오버 작동 스위치를 포함하는 각각의 로컬 콘솔 선택 스위치의 상태는 블럭(156)에 표시된 것처럼 시나리오동안 로컬 프로세서(28)에 의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된다.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을 참조하면, 플래쉬오버 작동 스위치(68)이 훈련생 감독관에 의해 계합될 때, CPU(96)은 밸브 어셈블리(98)의 플래쉬오버 버너 제어 밸브가 개방되도록 적절한 명령을 발생하고, 이에 의해 연결된 점화기(61)으로서 점화하기 위해 도관(122) 및 플래쉬오버 버너(41a 및 41b)로 연료의 공급을 제공한다. 플래쉬오버 버너 점화가 UV 검출기(65)[블럭 (160)]으로부터 CPU(96)에 의해 수신된 적절한 신호 데이터에 의해 임의로 확인될 때, 플래쉬오버 제어 밸브는 블럭(162)에 의해 표시된 것처럼 규정된 플래쉬오버 연소 기간 동안 개방을 유지하고, 그 후 밸브가 잠기도록[블럭(164)] 명령 받는다. 유사하게, 플래쉬오버 버너 확인이 UV 감지기(65)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경우, CPU(96)은 플래쉬오버 버너를 통해 점화되지 않은 연료를 최소로 해제하도록 플래쉬오버 밸브가 잠길 것을 명령하기 위해 양호하게 동작가능하다. 이러한 불연소된 가스 해제의 최소화는 공기보다 무거운 프로판 기체와 같은 연료는 지면 높이로 가라앉는 경향이 있어서 컴파트먼트내부의 연소되지 않은 연료의 존재가 건강에 유해하고 훈련생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화재로 둘러싸인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특히 중요하다. 플래쉬오버 버너 제어 밸브가 잠겼을 때, 시나리오는 메인 버너 화재 소화, 로컬 제어 패널 또는 동작기 콘솔에서 감독관 개인에 의한 인터럽트, 또는 감지기로부터 시스템 오동작을 표시하는 신호 데이터가 로컬 프로세싱 유니트(28)에 의해 수신될 때 자동적인 시스템 차단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와 함께 기술되었으나, 이것은 본 발명은 지금까지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의 특징 이외에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한정된 것을 보호하기 위한 것임이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Claims (31)

  1. 밀폐된 연소실내부에 장착된 메인 버너를 갖는 소방관 트레이너에 사용하기 위해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연소실의 천장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연료 저장소로부터 공급된 연료를 연소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동작가능한 1개 이상의 보조 버너, 보조 버너에 인접하여 배치된 연료 점화기 및 메인 버너로의 연료 전달과 독립적으로 상기 보조 버너로의 연료 전달을 수행하기 위해 동작가능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메인 및 보조 버너와 각각 연결된 밸브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입력에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선정된 소방관 트레이너 동작 파라미터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동작 파라미터는 기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열전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동작 파라미터는 상기 메인 버너로부터의 화염높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1개 이상의 감지된 동작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밸브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밸브 수단으로 신호 출력을 발생하기 위해 동작할 수 있는 자동 프로세싱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자동 프로세싱 유니트에 입력으로서 동작 파라미터 임계 데이터를 인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임계값을 나타내는 크기만큼의 크기인 상기 감지된 동작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신호 데이터를 상기 제어 수단에서 수신할 때 상기 보조 버너에서의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을 엔에이블하기 위해 동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플래쉬오버 가능 신호의 수신시 동작가능한 플래쉬오버 작동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쉬오버 작동 스위치가 상기 자동 프로세싱 유니트로부터 지리학적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버너 점화기로부터 스파크 방출을 모니터하고, 상기 제어 수단에 점화기 동작을 표시하는 출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동작가능한 점화 감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점화기 오동작을 표시하는 상기 점화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신호 수신시 상기 1개 이상의보조 버너로의 연료 유동을 종료하기 위해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버너는 상기 연소실의 바닥위에서 전체 연소실 높이의 60% 이상의 높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
  14. 밀폐된 연소실을 갖는 소방관 트레이너내부의 플래쉬오버 상황을 시뮬레이트 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1차 화재를 시뮬레이트하기 위해 연소실의 바닥 부근에서 화염을 발생시키는 단계, 1개 이상의 소방관 동작 파라미터를 모니터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된 동작 파라미터의 선정된 임계값에 도달함에 따라 연소실의 천장 부근에 제2화염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은 연소실의 천장과 평행한 경로를 따라 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된 동작 파라미터가 연소실의 천장 주위의 기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된 동작 파라미터가 연소실의 바닥 근처에 배치된 버너로부터 방출되는 화염의 높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예비적인 연료 유동 가능 신호의 발생후 연소실로의 연료 유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유동 수행이 수동 스위치의 작동 후에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스위치가 소방관 트레이너 연소실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동작 파라미터 임계값은 상기 감지된 동작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상기 임계값에 도달될 때 상기 연료 유동 가능 신호를 자동으로 발생하기 위해 동작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의 동작기 콘솔에 입력으로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된 동작 파라미터가 메인 버너 화염 높이 및 천장 주위의 기온을 포함하고,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가 각각의 상기 동작 파라미터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된 이후에만 상기 연료 유동 가능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4항에 있어서, 조작자가 선택가능한 시간동안 상기 보조 버너로의 연료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밀폐된 연소실내부에 장착된 메인 버너를 갖는 소방관 트레이너에 사용하기 위한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연소실의 천장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연료 저장소로부터 공급된 연료를 연소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동작가능한 1개 이상의 보조 버너, 상기 버너에 연료 점화 신호를 방출하기 위해 동작가능한 보조 버너에 인접하여 배치된 연료 점화기, 연소실 천장 주위의 기온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온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가 선정된 임계값에 도달할 때 플래쉬오버 가능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동작가능한 자동 데이터 프로세싱 유니트를 포함하는 제어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로부터의 화염 높이를 감지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니트와 통신하기 위한 신호 표시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래쉬오버 가능 신호는 각각의 감지된 온도와 화염 높이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각각의 상기 신호들이 그 각각의 선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때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쉬오버 가능 신호가 상기 감지된 온도와 화염 높이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상기 신호들이 그들의 각각의 임계값을 동시에 초과한 후에만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 수단은 열전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각각의 상기 메인 및 보조 버너로의 연료 유동 경로를 따라 장착된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각각의 경로를 따라 연료 유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세싱 유니트로부터 수신된 신호 입력에 따라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어셈블 리가 동력화된 선형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프로세싱 유니트에 동작 파라미터 임계값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
  3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플래쉬오버 가능 신호의 수신시 동작가능한 플래쉬오버 작동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9930703536A 1991-05-22 1992-05-21 소방관 훈련을 위한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KR100202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703,101 US5181851A (en) 1991-05-22 1991-05-22 Flashover simulation for firefighter training
US7/703,101 1991-05-22
PCT/US1992/004010 WO1992021118A1 (en) 1991-05-22 1992-05-21 Flashover simulation for firefighter trai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2043B1 true KR100202043B1 (ko) 1999-06-15

Family

ID=2482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3536A KR100202043B1 (ko) 1991-05-22 1992-05-21 소방관 훈련을 위한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5181851A (ko)
EP (1) EP0585392B1 (ko)
JP (1) JP3327547B2 (ko)
KR (1) KR100202043B1 (ko)
AT (1) ATE163487T1 (ko)
AU (1) AU659175B2 (ko)
CA (1) CA2103054C (ko)
DE (1) DE69224522T2 (ko)
WO (1) WO19920211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5830A (en) * 1988-08-30 1994-09-13 Symtron Systems, Inc. Fire fighting trainer and apparatus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US5226818A (en) * 1991-11-25 1993-07-13 Aai Corporation Firefighter training system with thermal agent detection
US5415551A (en) * 1992-12-24 1995-05-16 R2 Aircraft firefighter trainer
US5374191A (en) * 1993-04-12 1994-12-20 Aai Corporation Enhanced deck for firefighter training simulators
US5518402A (en) * 1994-02-15 1996-05-21 Contraves, Inc. Fire fighter trainer having personal tracking and constructive injury determination and methods of training
US5518403A (en) * 1994-03-25 1996-05-21 Symtron Systems, Inc. Rollover fire fighting trainer
GB2294572A (en) * 1994-10-31 1996-05-01 Roger Firth Balderstone Flashover Simulator
US5700141A (en) * 1995-10-30 1997-12-23 Symtron Systems, Inc. Pilot module assembly
US5688136A (en) * 1995-12-15 1997-11-18 Symtron Systems, Inc. Fire fighting trainer
US6129552A (en) * 1996-07-19 2000-10-10 Technique-Pedagogie-Securite Equipements Teaching installation for learning and practicing the use of fire-fighting equipment
US5752835A (en) * 1997-04-08 1998-05-19 Whitmer, Sr.; Michael A. Mobile fire fighting training facility
US5906493A (en) * 1997-12-31 1999-05-25 Bishop; Michael Firefighter training door device
US5927990A (en) * 1998-04-01 1999-07-27 Welch; Mike Firefighting trainer
DE29808347U1 (de) * 1998-05-08 1998-10-15 Schmid Bernd Gebäudemodell
US6500008B1 (en) * 1999-03-15 2002-12-31 Information Decision Technologies, Llc Augmented reality-based firefighter training system and method
DE19959640C2 (de) * 1999-12-10 2001-12-20 Armin Spaniol Verfahren sowie Vorrichtung zum Simulieren einer schlagartigen Flammenausbreitung
DE10002349C2 (de) * 2000-01-20 2001-11-29 Armin Spaniol Feuerwehrübungsanlage
US6616454B2 (en) * 2000-03-15 2003-09-09 Information Decision Technologies, Llc Method of simulating nozzle spray interaction with fire, smoke and other aerosols and gases
US6607038B2 (en) * 2000-03-15 2003-08-19 Information Decision Technologies, Llc Instrumented firefighter's nozzle and method
DE10145750A1 (de) 2001-09-17 2003-04-24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etallschicht auf einem Trägerkörper und Trägerkörper mit einer Metallschicht
DE10208980B4 (de) 2002-02-28 2004-07-01 Dräger Safety AG & Co. KGaA Waldbrandbekämpfungssimulationsanlage
US6802718B2 (en) * 2002-04-19 2004-10-12 Kidde Fire Trainers Inc. Fuel spill firefighter trainer
DE10302232B3 (de) * 2003-01-20 2004-08-05 Dräger Safety AG & Co. KGaA Leitungseinheit, Rohrleitung und Brandstelle für eine selbstregulierende Feuerlöschübungsanlage sowie diese selbstregulierende Feuerlöschübungsanlage und ein Verfahren zur Kontrolle und Überwachung des Löscherfolgs
US7823357B2 (en) * 2003-05-09 2010-11-02 Fire Facilities, Inc. Live fire burn room and insulating system for a live fire burn room
US7074043B1 (en) * 2003-12-30 2006-07-11 Damon Jacobson Mobile firefighting flashover training unit and arson investigation lab &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20070172801A1 (en) * 2004-03-10 2007-07-26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Training device for extinguishing fires, method and system of use thereof
US7008230B2 (en) * 2004-04-20 2006-03-07 Superior Simulation Technologies Firefighter's training simulator
JP4441321B2 (ja) * 2004-04-27 2010-03-3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R2877125A1 (fr) * 2004-10-27 2006-04-28 Sambuling Soc Par Actions Simp Installation d'entrainement a la lutte contre les incendies
FR2877126A1 (fr) * 2004-10-27 2006-04-28 Sambuling Soc Par Actions Simp Installation d'entrainement a la lutte contre les incendies
DE102004058190B4 (de) * 2004-12-02 2008-02-28 Dräger Safety AG & Co. KGaA Brandsimulationsanlage
US7416412B2 (en) * 2005-07-19 2008-08-26 Segrest Roy R Firefighter training apparatus
US7965178B1 (en) 2005-09-26 2011-06-21 Schmutter Bruce E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facility and fireground management
US7744373B2 (en) * 2006-08-02 2010-06-29 Kidde Fire Trainers, Inc. Dispersion burner for firefighter training
US20080090214A1 (en) * 2006-10-02 2008-04-17 D Anneo Jerome F Burn building for training firefighters
US20090120651A1 (en) * 2007-05-07 2009-05-14 Schmutter Bruce E Water powered firefighting vehicle and methods for use
US9728100B2 (en) * 2008-02-01 2017-08-08 Lion Group, Inc. Hazard suppression training simulator and method of training
DE102008015244B4 (de) * 2008-03-20 2010-01-21 Jakob Spiegel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imulieren einer bestimmten Brandsituation insbesondere mit schlagartiger Flammenausbreitung
EP2276993A4 (en) * 2008-04-11 2014-05-21 Military Wraps Res & Dev IMMERSION LEARNING SCENARIO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US10330441B2 (en) 2008-08-19 2019-06-25 Military Wrap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realistic immersive training environments and computer programs for facilitating the creation of same
US8764456B2 (en) * 2008-08-19 2014-07-01 Military Wraps, Inc. Simulated structures for urban operations training and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same
US8579631B2 (en) * 2009-06-05 2013-11-12 Dan Beishon Clean real smoke fire simulator
JP4917131B2 (ja) * 2009-08-06 2012-04-18 三井造船プラント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実火災訓練装置
US8752640B1 (en) * 2010-08-18 2014-06-17 ULD Fire Systems, LLC Method for detecting and suppressing fire in a container
JP5954952B2 (ja) * 2011-03-31 2016-07-20 大阪瓦斯株式会社 ガス保安訓練システム
JP5628226B2 (ja) * 2012-02-08 2014-11-19 三井造船プラント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実火災訓練装置
JP2013235121A (ja) * 2012-05-09 2013-11-21 Mitsui Zosen Plant Engineering Inc 実火災訓練装置の安全システム
DE102014016311B4 (de) * 2014-11-06 2016-07-28 Dräger Safety AG & Co. KGaA Brandübungsanlage
CN104376757A (zh) * 2014-11-26 2015-02-25 重庆欧派信息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多人联动灭火科普体验系统
US9548004B1 (en) 2015-04-16 2017-01-17 Fireblast Global, Inc. Pilot and burner system for firefighting training
US11020624B2 (en) * 2016-04-19 2021-06-01 KFT Fire Trainer, LLC Fire simulator
US11795667B1 (en) * 2022-08-31 2023-10-24 Walt Dorn Portable, self-contained liquid storage transport system an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5342A (en) * 1971-03-09 1972-07-11 Us Navy Fire fighting trainer
US3675343A (en) * 1971-04-26 1972-07-11 Us Navy Fire fighting and control simulator
US4861270B2 (en) * 1988-08-30 1996-10-29 Symtron Systems Inc Fire fighting trainer
US4983124A (en) * 1988-08-30 1991-01-08 Symtron Systems, Inc. Fire fighting trainer
JPH02114977A (ja) * 1988-10-25 1990-04-27 Kawasaki Heavy Ind Ltd 消防訓練方法及び消防訓練施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85392B1 (en) 1998-02-25
JPH06510373A (ja) 1994-11-17
AU659175B2 (en) 1995-05-11
US5181851A (en) 1993-01-26
CA2103054C (en) 1997-02-25
CA2103054A1 (en) 1992-11-23
EP0585392A1 (en) 1994-03-09
EP0585392A4 (en) 1995-04-26
ATE163487T1 (de) 1998-03-15
WO1992021118A1 (en) 1992-11-26
JP3327547B2 (ja) 2002-09-24
US5316484A (en) 1994-05-31
DE69224522D1 (de) 1998-04-02
DE69224522T2 (de) 1998-10-01
AU2029092A (en) 1992-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2043B1 (ko) 소방관 훈련을 위한 플래쉬오버 시뮬레이션
US5226818A (en) Firefighter training system with thermal agent detection
US5374191A (en) Enhanced deck for firefighter training simulators
KR100265093B1 (ko) 운송가능한 소화 훈련용 소방관 훈련 시스템 및 방법
US4983124B1 (ko)
US4303396A (en) Fire fight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5518402A (en) Fire fighter trainer having personal tracking and constructive injury determination and methods of training
US5509807A (en) Conflagration simulator and method of operating
EP1905486B1 (en) Fire simulator for use during trainings within the framework of fire fighting
US5518403A (en) Rollover fire fighting trainer
AU3000501A (en) Method and device for simulating the rapid spread of flames
US5335559A (en) Fire fighting trainer and apparatus
JPH02114977A (ja) 消防訓練方法及び消防訓練施設
US11623112B2 (en) Fire control utilizing thermal imaging
CN219574970U (zh) 煤层火灾模拟试验系统
CN211536315U (zh) 一种灶台油锅着火模拟装置
Delichatsios et al. Should smoke yield be regulated for wall, ceiling and floor linings?
McKee Jr Blast/fire interaction experiments
Swiatosz et al. Deep Fat Fryer Fire Fighting Sim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