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028B1 - 노차간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노차간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028B1
KR100201028B1 KR1019960013354A KR19960013354A KR100201028B1 KR 100201028 B1 KR100201028 B1 KR 100201028B1 KR 1019960013354 A KR1019960013354 A KR 1019960013354A KR 19960013354 A KR19960013354 A KR 19960013354A KR 100201028 B1 KR100201028 B1 KR 100201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antenna
information
vehic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3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9484A (ko
Inventor
히로나오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다 아끼히로
Publication of KR960039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9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0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부조 안테나를 검출함으로써, 차량 탑재용 장치와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 사이에서 확실하게 정보의 수수를 한다.
차량 탑재기로부터의 입구 정보 및 경로 정보에 포함되는 1개의 게이트 번호 n 및 안테나 번호, 해당 안테나의 통신 확률 Pnm을 테이블로부터 판독한다(100, 102). 1차량의 통과시마다 각 안테나에 대한 통신 확률은 1/100 증감하는 것을 이용하여 게이트 n에서의 안테나의 통신 확률을 연산하여 평균치가 구해지면(104 ~ 108), 안테나마다의 통신 확률의 기준치 및 허용 범위를 연산한다(110~116). 안테나의 통신 확률이 허용 범위 밖일 때는 NG 판정, 허용 범위 내일 대는 OK 판정된다(118~122). 이 게이트 n에 설치된 모든 안테나의 처리 및 모든 게이트에 대한 처리가 종료할 때까지 상기 처리를 반복 실행한다(124, 126).

Description

노차간 통신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자동 요금 수수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자동 요금 수수 장치의 출구 게이트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제3도는 출구 게이트에서 부조 안테나 검출을 위한 주요부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4도는 본 실시예의 차량 탑재기를 도시한 블럭도.
제5도는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의 일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6도는 입구 게이트에서 차량 탑재기와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와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핸드셰이크에 의한 기본적인 신호의 송수신(교신)의 개략을 도시한 처리 설명도.
제7도는 도중 경로에서 차량 탑재기와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와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핸드셰이크에 의한 기본적인 신호의 송수신(교신)의 개략을 도시한 처리 설명도.
제8도는 출구 게이트에서 차량 탑재기와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와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핸드세이크에 의한 기본적인 신호의 송수신(교신)의 개략을 도시한 처리 설명도.
제9도는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에서의 부조 안테나 검출을 위한 통계 처리 루틴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10도는 안테나와 통신 확률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11도는 제2 실시예의 차량 탑재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12도는 도로 정보 파악을 위하여 이용하는 차량 탑재기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차량 탑재기 300 : 출구 게이트
332 : 요금 계산소 안테나 장치 342 : 요금 계산소 안테나
380 : 로컬 컨트롤러 390 : 출력 장치
본 발명은 노차간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측에 설치된 차량 탑재용 통신 장치와 도로측에 설치된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와의 사이에서 전파 통신으로 정보를 수수하는 노차간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료 설비에서는 이용 요금의 수수가 있고 예를 들면, 유료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은 그 차종 및 유료 도로에서의 주행 거리에 따라서 요금이 부과된다. 이 유료 설비 이용 요금의 수수를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으로서, 유료 도로의 입구 게이트와 출구 게이트에서 요금을 징수하는 것을 자동적으로 행하기 위하여 해당 차량에 대하여 정보를 문의하기 위한 질문기로서 도로측에 전파를 송수신(교신)하기 위한 통신 에리어가 설정된 노상 안테나를 갖는 통신 장치(이하, 도로상의 정보 통신기기라 한다)를 배치하고, 이 통신 에리어 내에서 문의가 있었던 정보에 대한 회답을 하기 위한 응답기로서 차량 탑재 안테나를 갖는 통신 장치(이하, 차량 탑재기라 한다)를 차량에 설치하여 차량 탑재기와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 사이에서 전파 통신에 의해 정보를 수수하는 노차간 통신 방식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주지한 바와 같이 전파에 의해 교신하기 위한 안테나는 통신 에리어를 갖고 있고, 게이트 내에서의 레인을 주행하는 차량 각각에 대하여 저마다 대응하는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와 확실한 정보의 수수가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차량 탑재기와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를 1 대 1로 대응시켜 차량 탑재기와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 사이에서 정보를 수수하고 있다.
그러나, 1개의 통신 에리어 내에서 인접하는 레인을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의 전파의 수신이 적어지도록 교신 전파의 전파 강도를 작게하거나 1개 레인이 속하는 통신 에리어를 작게하거나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파 강도를 작게하거나, 통신 에리어를 작게하거나 하면 한정된 통신 에리어 내에서 작은 전계 강도에 의한 전파로 교신하기 때문에, 전파 강도 부족에 따른 정보의 누락이 생겨서 정보 수수의 확실성이 저하한다. 또한, 안테나의 상태가 부조일 때라도 송수신 불량이 발생하여 정보 수수의 확실성이 저하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개평 6-243316호 공보에는 멀티레인의 게이트에서 각 안테나의 통신 에리어를 중복 설정하여 차량 탑재기와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 사이에서 전파 통신을 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 따르면, 1개의 차량 탑재기에 대하여 복수의 노상 안테나가 담당하게 되어 확실한 교신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노차간 통신 장치는 1개의 차량 탑재기에 대한 노상 안테나가 복수개 담당하게 되지만, 차량 탑재기에서 노상 안테나의 통신이 부조인 것을 검출한 경우에 부조 안테나가 어느 노상 안테나인지를 특정할 수없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부조 안테나를 검출함으로써, 차량 탑재용 통신 장치와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 사이에서 확실하게 정보를 수수할 수 있는 노차간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 범위 제1항에 기재한 발명은 복수의 게이트마다 복수의 노상 안테나를 구비한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와, 상기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와 전파 신호에 의해 정보를 수수하기 위해 차량에 탑재된 차량 탑재용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교신하기 위한 노차간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제1 게이트를 통과할 때 제1 게이트의 노상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해당 제1 게이트와 관련하는 게이트 정보를 상기 차량용 통신 장치에서 수신함과 동시에, 수신된 게이트 정보를 제2 게이트에서 송신하고, 복수의 상기 차량용 통신 장치로부터의 게이트 정보를 상기 제2 게이트에서 수신함과 동시에, 수신된 제1 게이트에 대응하는 게이트 정보의 수가 소정수에 도달했을 때 제1 게이트의 각 안테나마다의 통신 확률을 계산하고, 상기 통신 확률과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상기 노상 안테나마다 비교하고, 상기 통신 확률과 미리 정해진 기준치와의 차가 소정치를 초과한 노상 안테나를 부조 안테나로서 검출한다.
또한, 청구범위 제2항의 발명은 복수의 게이트마다 복수의 노상 안테나를 구비한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와, 상기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와 전파 신호에 의해 정보를 수수하기 위하여 차량에 탑재된 차량 탑재용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교신하는 노차간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제1 게이트를 통과할 때 수신하는 제1 게이트의 노상 안테나에서 송신되는 해당 제1게이트와 관련하는 게이트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기억된 게이트 정보를 제2 게이트에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한 차량용 통신 장치와, 복수의 상기 차량용 통신 장치로부터의 게이트 정보를 상기 제2 게이트에서 수신하는 도로측 수신 수단과, 수신된 제1 게이트에 대응하는 게이트 정보의 수가 소정수에 도달했을 때 제1 게이트의 각 안테나 마다의 통신 확률을 계산하는 통신 확률 연산 수단과, 상기 통신 확률과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상기 노상 안테나 마다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통신 확률과 미리 정해진 기준치와의 차가 소정치를 초과한 노상 안테나를 부조 안테나로서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한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를 포함하고 있다.
청구 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의 노차간 통신 방법에 따르면, 차량이 입구 게이트와 도중 경로 등의 제1 게이트를 통과할 때 제1 게이트의 노상 안테나에서 송신되는 해당 제1 게이트와 관련하는 게이트 정보를 차량용 통신 장치에서 수신한다. 이 게이트 정보에는 입구 게이트와 도중 경로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미리 설정된 게이트 번호, 통과 년월일이 있다. 이것과 함께, 수신된 게이트 정보를 출구 요금 계산소 등의 제2 게이트에서 송신한다. 이에 따라, 제2 게이트에서는 제1 게이트를 통과한 차량이 수신한 게이트 정보를 전부 수신할 수 있다. 제2 게이트에서는 복수의 차량용 통신 장치로부터의 제1 게이트의 게이트 정보를 수신하다. 이것과 함께, 수신한 제1 게이트에 대응하는 게이트 정보의 수가 소정수에 도달했을 때 제1 게이트의 각 노상 안테나 마다의 통신 확률을 계산한다. 즉, 게이트 정보는 차량용 통신 장치가 제1 게이트의 어딘가의 노상 안테나를 통하여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와 교신한 것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제2 게이트에서 수신한 게이트 정보의 수가 소정수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이 소정수의 차량이 수신한 제1 게이트의 노상 안테나마다 교신한 것의 회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게이트를 1차량이 통과할 때에는 제1 게이트의 각 노상 안테나에 대하여 해당 차량의 차량용 통신 장치의 교신할 가능성을 나타낼 확률이 있다. 따라서, 게이트 정보의 수가 소정수에 도달했을 때에는 상기 확률과 노상 안테나 마다의 교신한 것의 회수로부터 소정수의 차량이 제1 게이트를 통과했을 때의 교신 가능성을 나타내는 통신 확률을 각 노상 안테나마다 구할 수 있다. 이 교신에 대하여 부조를 일으키는 노상 안테나가 제1 게이트에 있었을 때에는 이 부조된 노상 안테나로부터의 게이트 정보가 부정확해지고, 구해진 통신 확률이 부조하지 않은 경우의 기준이 되는 통신 확률과 상이하다. 한편, 부조하지 않은 노상 안테나에서는 기준이 되는 통신 확률에 상당한다. 따라서, 부조 안테나가 제1 게이트에 존재하는 경우라도 구해진 통신 확률이 노상 안테나 각각의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이에 따라, 구한 통신 확률과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노상 안테나마다 비교하고, 구한 통신 확률과 미리 정해진 기준치와의 차가 소정치를 초과한 노상 안테나를 부조 안테나로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노차간 통신 방식은 청구 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의 노차간 통신 장치로 실현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장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이 기억 수단에 차량이 제1 게이트를 통과할 때 수신하는 제1 게이트의 노상 안테나에서 송신되는 해당 제1 게이트와 관련하는 게이트 정보를 기억한다. 이 기억한 게이트 정보는 제2 게이트에서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다.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는 제2 게이트에 도로측 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차량용 통신 장치로부터의 게이트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 확률 연산 수단은 제1 게이트에 대응하는 게이트 정보의 수가 소정수에 도달했을 때 제1 게이트의 각 안테나마다의 통신 확률을 계산한다. 이 통신 확률과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비교 수단에서 노상 안테나마다 비교하고, 구해진 통신 확률과 미리 정해진 기준치와의 차가 소정치를 초과한 노상 안테나를 부조 안테나로서 검출 수단에서 검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차량에 탑재된 차량 탑재기(상세는 후술)와, 유료 도로의 입구 게이트와 출구 게이트 등의 지상측에 배치된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 와의 사이에서 전파 통신을 행함으로써, 차량이 주행한 통행 구간(경로)와 차종을 판별하여, 입구 게이트 및 출구 게이트에서 차량이 정지하지 않고 통해 요금을 자동적으로 수수하는 자동 요금 수수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90)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기(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요금 잔액 정보 등이 저장된 IC 카드(62)가 착탈 가능한 IC 카드 리드 라이트 장치(60)를 구비하고 있다(제4도 참조). 이 차량 탑재기(30)는 차량 넘버 등으로 이루어진 ID 코드 및 차종 정보 등의 고정 데이타를 기억하는 기억 회로를 구비함과 동시에, IC 카드 리드 라이트 장치(60)에 의해 장착된 IC 카드(62)의 요금 잔고 정보를 참조하거나, IC 카드(62)에 요금 잔액 정보의 기입을 행한다.
한편, 지상측 설비로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료 도로의 입구 게이트(100), 분기점 직전 또는 직후 등의 도중 경로(200), 서비스 에리어 내 및 출구 게이트(300) 각각에 차량 탑재기(30)과 각종 정보를 수수하기 위한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입구 게이트(100)에는 플랫 안테나로 이루어진 입구 안테나(117)과, 입구 안테나(117)과 접속된 입구 안테나 제어 장치(132)로 이루어진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입구 안테나 제어 장치(132)에 의해 입구 안테나(117)를 통하여 유료 도로의 입구게이트 정보를 차량에 탑재된 차량 탑재기(30)에 송신하고, 또한 차량 탑재기(3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 입구 게이트(100)에는 자동 요금 수수가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수불에 의해 통행 요금을 지불하는 차량을 위하여 종래와 동일한 통행권을 발행하는 통행권 발행 장치(123)가 설치되어 있다.
도중 경로(200)에는 플랫 안테나로 이루어진 경로 파악 안테나(217)와, 경로 파악 안테나(217)에 접속된 경로 파악 안테나 제어 장치(232)로 이루어진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로 파악 안테나 제어 장치(232)에 의해 경로 파악 안테나(217)를 통하여, 분기점에서 어느쪽 경로를 선택하여 주행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와 유료도로를 어떤 경로로 주행하였는지를 나타내는 경로 통과정보(경로 파악 안테나 제어 장치의 설치 위치 정보 등) 등을 차량 탑재기(30)에 대하여 송신한다.
출구 게이트(300)에는 전파에 의한 정보 수수의 확실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플랫 안테나로 이루어진 예고 안테나(317)과 요금 계산소 안테나(341)의 2종류의 안테나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예고 안테나(317)에는 예고 안테나 제어 장치(331)가 접속되고, 요금 계산소 안테나(341)에는 요금 계산소 안테나 제어 장치(332)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 예고 안테나 제어 장치(331) 및 요금 계산소 안테나 제어 장치(332)는 로컬 컨트롤러(380)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예고 안테나(317), 요금 계산소 안테나(341), 예고 안테나 제어 장치(331) 및 요금 계산소 안테나 제어 장치 및 로컬 컨트롤러(380)는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출구 게이트의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로서 작용하지만, 예고 안테나(317) 및 예고 안테나 제어 장치(331)는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출구 게이트(300)에는 화상 처리 등에 의해 차종을 판별하는 차종 검출 시스템(360), 요금을 지불하지 않고 통과하는 차량 등의 부정 통행 차량을 촬영하는 카메라(352)가 접속된 부정 통행차 촬영 시스템(350), 자동 요금 수수가 불가능한 차량에 대한 요금 수불 시스템(321)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시스템을 로컬 컨트롤러(380)에서 일괄 제어함으로써, 요금 수수 불능 등에 대한 처치를 행함과 동시에, 차량이 주행한 통행 구간(경로) 및 차종에 따른 통행 요금을 자동적으로 수수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와 관련한 출구 게이트(300)의 개략 구성의 일예를 더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료 도로의 출구 게이트(300)에는 3개의 레인(302, 304, 306)이 마련되어 있다. 레인(302)은 부지(308)과 분리대(310) 사이에 형성되고 레인(304)는 분리대(310)과 분리대(312) 사이에 형성되고, 레인(306)은 분리대(312)와 부지(314)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레인을 넘도록 부지(308)에서 부지(314)에 걸쳐 아치(316)가 배치되어 있고, 아치(316) 상에는 에고 안테나(318, 320, 322)가 설치되어
있다. 예고 안테나(318)은 레인(302)의 상측에 위치하여 레인(302)을 주행하는 차량에 대하여 이곳부터 요금 수수를 행하는 것을 알리는 예고 정보를 준다. 마찬가지로, 예고 안테나(320)는 레인(304)의 상측에 위치하여 레인(304)를 주행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의 수수를 행하고, 예고 안테나(322)는 레인(306)의 상측에 위치하여 레인(306)을 주행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의 수수를 행한다.
부지(314)에는 출구 게이트 제어 센터(330)이 배치되어 있고, 이 출구 게이트 제어 센터(330)에는 예고 안테나 제어 장치(331) 및 후술하는 로컬 컨트롤러(380)가 배치되어 있다. 예고 안테나 제어 장치(331)에는 예고 안테나(318, 320, 322)가 접속되어 있다.
아치(316)가 배치된 위치의 차량 진행 방향의 하류측에는 상기의 복수의 레인을 넘도록 부지(308)에서 부지(314)에 걸쳐서 아치(340)가 배치되어 있고, 아치(340)상에는 요금 계산소 안테나(342, 344, 346)가 설치되어 있다. 요금 계산소 안테나(342)는 레인(302) 상측에 위치하여 레인(302)을 주행하는 차량에 대한 요금과 관련하는 정보의 수수를 행하고, 요금 계산소 안테나(344)는 레인(304)의 상측에 위치하여 레인(304)을 주행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의 수수를 행하고, 마찬가지로 요금 계산소 안테나(346)는 레인(306)의 상측에 위치하여 레인(306)을 주행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의 수수를 행한다. 이들 요금 계산소 안테나 제어 장치(332A, 332B, 332C)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 요금 계산소 안테나 제어 장치(332A~332C)는 로컬 컨트롤러(380)에 접속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금 계산소 안테나(342~346)는 각각 대응하는 요금 계산소 안테나 제어 장치(332A~332C)를 통하여 로컬 컨트롤러(380)에 접속되어 있고, 로컬 컨트롤러(380)는 프린터 장치와 전화 회선과 접속하기 위한 모뎀 장치 등의 출력 장치(390)에 접속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지만, 요금 계산소 안테나, 요금 계산소 안테나 제어 장치 및 로컬 컨트롤러(380)가 부조 안테나 검출 장치로서 가능한다.
또, 출구 게이트(300)의 출구 게이트 제어 센터(330)는 도시하지 않은 중앙 컴퓨터에 접속하고, 이 중앙 컴퓨터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조 안테나를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요금 계산소 안테나 제어 장치마다 부조 안테나를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차량에 적재되는 차량 탑재기(30)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탑재기(30)는 후술하는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32)를 구비하고 있다. 수신 안테나(32)는 수신 안테나(32)에서 수신된 변조파를 검파하여 데이타 신호를 얻는 검파 회로(34)에 접속되어 있다. 검파 회로(34)는 데이타 신호 수신 회로(44)를 통하여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신호 처리 회로(46)에 접속되어 있다.
신호 처리 회로(46)에는 입구 게이트 번호, 입구 안테나 번호, 도중 경로 정보, ID 코드와 차종 정보 등의 데이타를 기억하는 기억 회로(48) 및 ID 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타 신호등을 응답 신호로서 송신하는 송신 회로(50)가 접속되어 있고, 이 송신 회로(50)는 송수신 안테나(52)에 수신된 무변조 반송파인 문의 신호를 신호 처리 회로(46)로부터 데이타 신호로 변조하여 송수신 안테나(52)를 통하여 반송한다.
이 신호 처리 회로(42)에는 도달 가능 범위 등을 표시하는 LCD나 CRT로 구성된 디스플레이(54) 및 신호 처리 회로(46)에 선택 신호 등의 신호를 입력하는 텐키(56)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신호 처리 회로(46)에는 IC 카드(62)가 착탈 가능한 IC 카드 리드 라이트 장치(60)가 접속되어 있다.
또, 차량 탑재기에는 이그니션 온 시에 차량 탑재 밧데리로부터 상시 전원이 공급되고 있다.
다음에, 차량 탑재기(30)과 통신하는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에 대하여 출구 게이트(300)에 설치된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를 예로서 설명한다. 또,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레인(302)을 주행하는 차량에 대한 전파의 수수를 담당하는 요금 계산소 안테나(342) 및 요금 계산소 안테나 제어 장치(332A)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인(302)을 주행하는 차량을 담당하는 요금 계산소 안테나(342)는 송신 안테나(22) 및 송수신 안테나(26)로 구성되어 있다. 요금 계산소 안테나 제어 장치(332A)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신호 처리 회로(12)를 구비하고 있다. 신호 처리 회로(12)는 명령을 포함한 데이타 신호(통신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회로(14)에 접속되어 있다. 송신회로(14)는 믹서(18)를 통하여 송신 안테나(22)에 접속되어 있다. 믹서(18)에는 소정 주파수의 반송파를 발생하는 반송파 발생 회로(20)가 접속되어 있고, 믹서(18)는 송신 회로(1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반송파 발생 회로(20)로부터 입력되는 반송파를 믹스하여 송신 회로(14)로부터 입력된 신호로 반송파 발생 회로(20)로부터 입력된 반송파를 변조한다. 또한, 송신 안테나(22)에서는 이 변조파가 전파로서 송신된다.
반송파 발생 회로(20)에는 제4도에 도시한 차량 탑재기(30)로부터 변조되어 반송되고 송수신 안테나(26)에서 수신된 변조파로부터 데이타 신호를 인출하는 송수신 회로(24)가 접속되어 있다. 이 송수신 회로(24)는 신호 처리 회로(12)에 접속되어 있다.
또, 출구 게이트(300)에서의 다른 안테나의 구성은 상기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입구 게이트(100) 및 도중 경로(200)에서의 각각의 안테나 및 안테나 제어 장치의 구성도 상기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처리를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의 차량 탑재기와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 사이에서 행해지는 핸드셰이크에 의한 기본적인 신호의 송수신(교신)의 개략을 입구 게이트(100), 도중 경로(200) 및 출구 게이트(300) 각각의 일례를 차례로 제6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차량 탑재기와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의 교신시에 차량 탑재기에 기인하는 교신 불량이 발생된 경우에는 후술하는 입구 정보와 경로 정보를 차량 탑재기가 기억할 수 없기 때문에, 차량 탑재기 부조로 판정하여 교신이 초기화(최초의 처리부터 실행되도록 설정)되게 한다.
먼저, 입구 게이트(100)에서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탑재기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까지 연속파로 이루어진 문의 신호를 도로상의 정보 통신기기에서 송신한다(처리내용 In 1을 송신하는 통신 1).
차량 탑재기는 문의 신호를 수신하면 차량 탑재기와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 사이에서 서로 인식하여 핸드셰이크를 행하기 위한 식별 정보로서의 인증 1을 부여한 응답 신호 1을 생성한 후에, 응답 신호 1을 송신한다(처리 내용 Tg1을 송신하는 통신 2). 이 응답 신호 1의 송신은 수신된 문의 신호를 반송파로서 자차(自車)를 특정하는 식별 코드인 ID 코드로 반송파를 변조한 변조파를 응답 신호로서 송신할 수 있다.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에서는 차량 탑재기로부터의 응답 신호 1을 수신하면, 상기 차량 탑재기로부터 송신되는 인증 1에 대한 응답 및 핸드셰이크를 하는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의 인증 예를 들면, 안테나 번호에 의한 인증 2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한 후에 송신한다(처리 내용 In2를 송신하는 통신 3).
차량 탑재기에서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응답 신호에 포함되는 인증 1이 송신한 인증 1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 1이 일치했을 때에는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에서 송신된 인증 2에 대한 응답 신호 2를 생성하여 송신한다(처리 내용 Tg2를 송신하는 통신 4). 또,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때에는 소정 기간을 경과하거나 또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소정 시간을 경과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것의 반복(리트라이)을 소정 회수(본 실시예에서는 3회) 행하기 까지, 응답 신호 1의 송신을 반복한다. 또한, 소정 회수의 리트라이를 행하여도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처리를 최초부터 실행한다. 또한 상기 인증 1이 일치하지 않고 부정 판단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소정 회수 만큼 리트라이를 반복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를 실행한다.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에서는 차량 탑재기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응답 신호에 포함되는 인증 2가 송신한 인증 2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 2가 일치했을 때 차량 탑재기와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 사이에서 서로 인식된 것으로 판정한다. 이 점에서 핸드셰이크가 성립한 것으로 하여 입구 게이트에 관한 데이타 1을 송신한다(처리 내용 In3을 송신하는 통신 5).
입구 게이트의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가 송신하는 데이타 1에는 입구 게이트인 것을 표시하는 게이트 정보, 입구 게이트를 식별하기 위한 게이트 번호, 송신하는 안테나를 식별하기 위한 안테나 번호, 년 월 일 시 분이 있다.
또,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에 있어서의 신호 수신은 상기 차량 탑재기에서 실행된 바와 같이, 소정 시간을 경과했을 때에 행해지는 리트라이를 소정 회수(예를 들면, 3회) 행하였는지의 여부에 따라 재차 처리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측에서도 신호 대기 상태인 채로 처리가 계속하는 일은 없다.
차량 탑재기에서는 데이타 1을 수신함과 동시에, 수신된 데이타 1을 입구 정보로서 기억한다. 또한, 차량 탑재기에 관한 데이타 2를 송신한다(처리 내용 Tg3을 송신하는 통신 6).
이 차량 탑재기에서 송신하는 데이타 2는 데이타 1의 수신이 올바르게 완료된 것을 표시하는 OK 플래그(예를 들면, OK로 올바르게 완료되었을 때 세트, NG일 때 리셋되는 플래그)가 있고, 또한 차량 번호, 차종 및 축의 수 등을 나타내는 차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타 2의 송신 완료와 함께 핸드셰이크를 해소한다.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에서는 데이타 2를 수령하면(처리 내용 In4), 수령완료와 동시에 핸드셰이크를 해소한다. 이후에 상기 처리 내용 In1부터 다시 실행한다.
또,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에서는 데이타 1을 송신하였지만, 데이타 2가 차량 탑재기에서 송신되지 않을 경우가 있기 때문에, 상기 차량 탑재기에서 실행된 바와 같이, 소정 시간을 경과했을 때 행해지는 리트라이를 소정 회수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중 경로에 있어서의 교신을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도중 경로에서의 교신은 제6도에서 설명한 입구 게이트에서의 교신과 대략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에서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탑재기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까지 연속파로 이루어진 문의 신호를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에서 송신한다(처리 내용 Ck1을 송신하는 통신 1).
차량 탑재기는 문의 신호를 수신하면 식별 정보로서의 인증 1을 부여한 응답신호 1을 생성한 후에 응답 신호 1을 송신한다(처리 내용 Tg1을 송신하는 통신 2).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에서는 차량 탑재기로부터의 응답 신호 1을 수신하면, 상기 차량 탑재기에서 송신되는 인증 1에 대한 응답 및 핸드셰이크를 하는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의 인증, 예를 들면 안테나 번호에 따른 인증 2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한 후에 송신한다(처리 내용 Ck2를 송신하는 통신 3).
차량 탑재기에서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응답 신호에 포함되는 인증 1이 일치되었을 때에는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에서 송신된 인증 2에 대한 응답 신호 2를 생성하여 송신한다(처리 내용 Tg2를 송신하는 통신 4).
이 도중 경로에서의 도로상 정보 통신 기기가 송신하는 데이타 1에는 도중 경로인 것을 나타내는 게이트 정보, 도중 경로를 식별하기 위한 게이트 번호(경로 번호 등), 송신하는 안테나를 식별하기 위한 안테나 번호, 차선 번호 및 년 월 일 시 분이 있다.
차량 탑재기에서는 데이타 1을 수신하여 경로 정보로서 기억한다. 또한, 차량 탑재기에 관한 데이타 2를 송신한다(처리 내용 Tg3을 송신하는 통신 6).
이 도중 경로에서 차량 탑재기에서 송신하는 데이타 2는 금회 데이타 1의 수신이 올바르게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OK 플래그(예를 들면, OK로 올바르게 완료했을 때에 세트, NG일 때에 리셋되는 플래그), 상기 입구 게이트에서 수신할 입구 정보 및 다른 도중 경로에서 수신한 데이타 1의 내용 등이 있다.
도로상 정보 통신 기기에서는 데이타 2를 수령하면(처리 내용 Ck4), 수령 완료와 동시에 핸드셰이크를 해소한다. 이후에, 상기 처리 내용 Ck1 부터 다시 실행한다.
다음에, 출구 게이트(300)에서의 교신을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출구 게이트에서의 교신은 상기에서 설명한 입구 게이트 및 도중 경로에서의 교신과 거의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출구 게이트의 도로상 정보 통신 기기에서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탑재기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까지 연속파로 이루어진 문의 신호를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에서 송신한다(처리 내용 Out1을 송신하는 통신 1).
차량 탑재기는 문의 신호를 수신하면 식별 정보로서의 인증 1을 부여한 응답 신호 1을 생성한 후에 응답 신호 1을 송신한다(처리 내용 Tg1을 송신하는 통신 2).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에서는 차량 탑재기로부터의 응답 신호 1을 수신하면, 상기 차량 탑재기에서 송신되는 인증 1에 대한 응답 및 핸드셰이크를 하는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의 인증, 예를 들면 안테나 번호에 의한 인증 2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한 후에 송신하다(처리 내용 Out2를 송신하는 통신 3).
차량 탑재기에서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응답 신호에 포함된 인증 1이 일치하였을 때에는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에서 송신된 인증 2에 대한 응답 신호 2를 생성하여 송신한다(처리 내용 Tg2을 송신하는 통신 4).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에서는 차량 탑재기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응답 신호에 포함된 인증 2가 일치하였을 때, 차량 탑재기와 도로상의 정보 통신기기 사이에서 상호 인식된 것으로 판정한다. 이 시점에서 핸드셰이크가 성립한 것으로 하여 입구 게이트에 관한 데이타 1을 송신한다(처리 내용 Out 3을 송신하는 통신 5).
이 출구 게이트의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가 송신하는 데이타 1에는 출구 게이트인 것을 나타내는 게이트 정보, 출구 게이트를 식별하기 위한 게이트 번호, 송신하는 안테나늘 식별하기 위한 안테나 번호 및 년 월 일 시 분이 있다.
차량 탑재기에서는 데이타 1을 수신하여 출구 정보로서 기억한다. 또한, 차량 탑재기에 관한 데이타 2를 송신하다(처리 내용 Tg3을 송신하는 통신 6).
이 출구 게이트에서 차량 탑재기에서 송신하는 데이타 2는 금회 데이타 1의 수신이 올바르게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OK 플래그, 상기 입구 게이트에 수신한 입구 정보 및 도중 경로에서 수신한 경로 정보, 차량 번호와 차종과 축의 수 등을 나타내는 차량 정보, 캐쉬 카드와 프리 페이드 카드 등의 카드 종류를 나타내는 카드 정보, 카드 번호와 카드의 잔고 정보가 있다.
도로상의 통신 기기에서는 데이타 2를 수령하면 통행 요금을 산출한다(처리 내용 Out 4). 이것과 동시에, 상기 카드 번호를 이용하여 미리 준비된 부정 사용과 지불 불능 카드를 열거한 블랙 리스트와 대조한다. 이 블랙 리스트 상에 데이타 2에 포함되는 카드 번호가 존재할 때에는 요금을 징수하기 곤란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다른 처리로서 부정 통행차 촬영 시스템(350) 및 요금 수불 시스템(321)과 제휴시키기 때문에 작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처리 내용 Out 4가 종료하고, 카드 정보가 통행 요금을 전파 통신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수 가능한 카드일 때에는 데이타 3을 송신한다(처리 내용 Out 5를 송신하는 통신 7).
이 출구 게이트의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가 송신하는 데이타 3에는 금회의 데이타 2의 수신이 올바르게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OK 플래그, 통행 요금, 블랙 리스트의 대조 결과(카드의 번호가 포함되기 않을 때에 OK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있다.
차량 탑재기에서는 데이타 3을 수신하여, 프리페이드 카드라면 해당 프리페이드 카드로부터 수신할 통행 요금을 자동 이체한다.
또한, 차량 탑재기에서는 이 데이타 3을 요금 정보로서 기억함과 동시에, 적정하게 통행 요금이 자동 이체된 것을 나타내는 데이타 4를 송신한다(처리 내용 Tg 4를 송신하는 통신 8).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에서는 차량 탑재기로부터의 데이타 4를 수신하면, 통신 6에서 얻은 입구 정보 및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계 처리를 행하여 부조 안테나 검출 처리를 한 후에(처리 내용 Out 6), 게이트에 대하여 부조 안테나가 존재하는 것을 통보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처리 내용 Out 7).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검출된 부조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는 해당하는 게이트에 대하여 안테나를 식별하기 위한 안테나 번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프린트 아웃한다.
또, 상기 데이타 3의 수령 완료와 동시에 핸드셰이크를 해소한다. 또한, 처리 내용 Out 7 후에 상기 처리 내용 Out 1 부터 다시 실행한다.
다음에, 출구 게이트(300)에서의 처리 내용 Out 7에 상당하는 부조 안테나 검출 처리를 위한 통계 처리의 상세를 제9도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부조 안테나 검출 처리를 출구 게이트(300)에서 입구 정보 및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여기까지 어떤 게이트의 통과 회수가 소정 회수(본 실시예에서는 100회)가 되면, 그 어떤 게이트의 안테나마다의 통신율을 구하여 미리 정해진 통신율과 비교함으로써 부조 안테나를 검출하는 것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입구 게이트부터 출구 게이트까지 포함되는 어떤 게이트를 게이트 번호 n(1nN : N은 모든 게이트수)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이 게이트 번호 n의 게이트에 설치된 안테나를 안테나 번호 m(1mMn : Mn은 게이트 번호 n의 게이트의 안테나수)으로 표시하고, 게이트 번호 n에서의 통신 확률을 연산하기 위한 카운터 값을 카운터 값 Cn으로 표기하고, 게이트 번호 n의 게이트에서의 각 안테나의 통신 확률을 통신 확률 Pnm(게이트 번호 n의 게이트에서의 안테나 번호 m의 안테나의 통신 확률)으로 표기한다.
또한, 다음에 나타내는 게이트 번호 및 안테나 번호에 대한 통신 확률을 나타내는 테이블을 기억 및 판독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처리 내용 Out 6으로 이행하면, 로컬 컨트롤러(380)는 제9도의 통계 처리를 개시한다. 먼저, 제9도의 스텝 100에서의 상기 통신 6에서 얻은 입구 정보 및 경로 정보에 포함되는 1개의 게이트 번호 n 및 안테나 번호 m을 판독한다. 다음의 스텝 102에서는 판독한 게이트 번호 n에 존재하는 모든 안테나의 통신 확률 Pnm을 테이블로부터 판독함과 동시에, 카운터 값 Cn을 판독한다. 또, 카운터 값 Cn의 초기치는 0으로 설정된 것으로 한다. 다음의 스텝 104에서는 다음 식(1)을 참조하여 게이트 n에서의 모든 안테나의 통신 확률을 연산한다.
(단, k ≠ m)
즉, 게이트 번호 n의 게이트에서의 모든 안테나 통신 확률의 총합은 다음식(2)와 같이, 1로 된다.
Pn1+ Pn2+ Pn3+ … + Pnm+ … +PnMn= 1 … (2)
따라서, 상기의 스템 104에서는 상기의 식(2)가 게이트 번호 n의 게이트를 차량이 100회 통과하는 경우에 성립하는 확률 연산식으로 하면, 식(1)과 같이 1 차량의 통과시마다 해당 차량이 교신할 안테나에 대한 통신 확률이 1/100 증가함과 동시에, 그것 이외의 안테나에 대한 통신 확률은 각각 1/100을 잔존하는 안테나의 수로 나눈 값 만큼 감소하도록 연산하면 된다. 이 식(2)는 100회 마다의 평균치를 구하는 것에 상당한다.
다음 스템 106에서는 카운터 값 Cn을 증가시켜, 다음 스텝 108에서 Cn = 100인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게이트 번호 n의 게이트를 통과한 차량으로부터의 입구 정보 또는 경로 정보에 의한 통신 확률의 연산 회수가 100회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또 100회에 이르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126으로 진행한다.
Cn = 100으로 스텝 108에서 긍정 판단인 경우에는 이 게이트 n의 다음회 연산을 위하여 스텝 10에서 카운터 값 Cn을 리셋(Cn=0)하고, 다음 스텝 112에서 안테나 번호 m으로서 초기치(본 실시예에서는 1번째 안테나 번호, m=1)가 설정된다.
다음 스텝 114에서는 설정된 안테나 번호 m의 기준치 Snm을 설정한다. 이 기준치 Snm은 100대의 차량이 게이트 n을 통과하였을 때의 안테나 번호 m의 안테나의 미리 정해진 표준적인 통신 확률, 또는 100대의 차량 통과에 의해 전회 처리에 의해 구해진 게이트 n의 안테나 번호 m 안테나의 통신 확률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기준치로서 전회에 구해진 통신 확률을 이용하면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부조 안테나의 검출은 모두 행해지고 있으므로 금회의 처리로 다시 검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다음 스텝 116에서는 상기 기준치를 이용하여 설정된 안테나 번호 m의 상하한치 MINnm, MAXnm을 다음 식(3)을 참조하여 연산한다.
단, D : 1개 안테나에 대한 허용 회수
제10(1)도에서는 일예로서 안테나가 5대 설치된 게이트 n에서의 기준이 되는 통신 확률과 안테나와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도면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설정된 안테나 번호 m의 기준치 Snm을 설정하고, 안테나 번호 m의 상하한치 MINnm, MAXnm이 설정된다.
다음 스텝 118에서는 MINnm, PnmMAXnm인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연산된 통신 확률 Pnm이 허용 범위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Pnm MAXnm인 경우에는 허용 범위를 하회하기 때무에, 스텝 118에서는 부정 판별되어, 스텝 122에서 NG 판정이 결정된다. 한편, 통신 확률 Pnm이 허용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스텝 118에서 긍정 판별되어 스텝 120에서 OK 판정이 결정된다.
다음 스텝 124에서는 카운터 값이 n인 최대 안테나 번호인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게이트 n에 설치된 안테나 전체에 대하여 상기 처리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부정 판정인 경우에는 스텝 114로 돌아가서 전체 안테나의 처리가 종료할 때까지 상기 처리를 반복 실행한다. 한편, 스텝 124에서 긍정 판단된 경우 외에는 스텝 126으로 진행한다.
스텝 126에서는 상기 통신 6에서 얻은 입구 정보 및 경로 정보에 따른 게이트 번호 n이 포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모든 게이트에 대한 연산이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입구 정보 및 경로 정보에 다른 게이트 번호 n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스텝 126에서 부정 판정되어 스텝 100으로 돌아가서 상기의 처리를 반복 실행한다. 한편, 다른 게이트 번호 n이 없을 때는 긍정 판정되어 메인 루틴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게이트의 안테나마다 부조 안테나의 판정을 행하여, NG판정된 안테나 번호의 안테나를 부조 안테나로서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부조 안테나는 출력 장치(390)에 의해 통보된다. 이 통보에는 프린터에 의한 인쇄로 오퍼레이터에게 통보하거나 모뎀 장치에 의해 해당하는 게이트 또는 게이트의 관리 장치로 자동적으로 통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 탑재기에 기억된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통계 처리함으로써,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의 부조 안테나를 정기적으로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의 상태를 항상 감시할 수 있다. 이렇기 때문에, 부조안테나의 보수나 점검을 조기에 실시할 수 있어, 양호한 교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부조 안테나 검출을 위한 통계 처리로서,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측의 알고리즘을 변경함으로써 실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 탑재기 측에 새로운 알고리즘을 추가하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와 차량 탑재기와의 교신에 이용하는 정보로서 안테나 번호를 추가하는 것 만으로 상기 처리를 실현 가능하므로, 복잡한 장치 구성으로 하지 않고, 종래의 장치를 염가의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알고리즘의 추가에 의한 정보의 누락이나 불량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이 저하되는 일은 없다.
또한, 차량 탑재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의해 부조 안테나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부조 안테나 검출을 행하기 위한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 마다의 순회 점검이나 정기 점검의 필요가 없어서, 작업 효율과 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출구 게이트에서 입구 게이트 및 도중 경로에 설치된 안테나의 부조를 검출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입구 게이트 이후의 게이트에서 그것 이전 게이트에서의 부조 안테나를 검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 본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차량 탑재기(30)와 통신을 행하는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출구 게이트(300)에 설치된 레인(302)을 주행하는 차량에 대한 전파의 수수를 담당하는 요금 계산소 안테나(342) 및 요금 계산소 안테나 제어 장치(332A)로 구성되는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를 예로서 설명한다.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금 계산소 안테나(342)에 접속된 요금 게산소 안테나 제어 장치(332A)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신호 처리 회로(1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신호 처리 회로(12)에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테이블을 기억하기 위한 테이블 메모리(13)이 접속됨과 동시에, 프린터 장치와 전화 회선과 접속하기 위한 모뎀 장치 등의 출력 장치(390)이 직접 접속되어 있다. 이 신호 처리 회로(12)에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조 안테나 검출 처리(제9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또, 출구 게이트(300)에서의 다른 안테나의 구성은 상기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중 경로(200)에서의 각각의 안테나 및 안테나 제어 장치의 구성도 상기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안테나 제어 장치마다 부조 안테나 검출 처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 탑재기에 기억된 안테나에 관한 정보를 출구 게이트까지 미사용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차량이 통과하는 도중 경로와 출구 게이트의 1개 안테나를 담당하는 안테나 제어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가까운 게이트에서, 부조 안테나를 조기에 검출할 수 있고, 부조 안테나의 보수와 점검을 조기에 실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양호한 교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도중 경로에서 부조 안테나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제8도에 도시한 출구 게이트에서의 처리 Out 6, Out 7을 제7도에 도시한 도중 경로에서의 처리 Ck 4에서 행하게 하면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체 게이트의 모든 안테나에 대한 통신 확률을 테이블로서 기억하도록 하였지만, 이와 같이 하면, 메모리 용량이 커지기 때문에 코스트가 높아진다. 또한, 계산 시간이 증가한다. 이와 같은 메모리 용량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테이블로서 보존하는 게이트의 수를 감소시키면 된다. 예를 들면 게이트 번호 n의 어떤 게이트에서는 소정수의 예를 들면, 게이트 번호(n-1), (n+1)의 인접하는 게이트에 설치된 안테나에 대해서만 기억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메모리 용량을 작게할 수 있으며 동시에 계산 시간을 축소할 수 있다. 또한 검출된 부조 안테나는 검출한 게이트에 가까운 게이트이므로 부조 안테나의 보수나 점검을 조기에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1개의 통신 에리어를 중복하도록 안테나를 복수 설치함으로써, 1개의 안테나가 부조로 검출된 경우에도 가능해지므로 부조 안테나의 보수나 점검은 실시한 경우에 있어서는 그 통신 에리어를 휴지(시스템 다운)시키는 일 없이 가동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량 탑재기에서 도로상의 정보통신 기기로 송신하는 데이타로서 차량의 거동을 나타내는 거동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도로상 측에서 낙하물의 발견이나 도로 상황의 인식에 이용할 수 있다. 이 거동 정보에는 급회전 등의 조향 변화를 나타내는 정보나 슬립 등의 노면에 관한 정보가 있다. 이 경우,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탑재기(30)의 구성으로서 단차나 급회전 등의 조향을 검출하기 위한 G 센서(58A), 및 슬립율을 검출하기 위한 ABS 컨트롤러를 차량 탑재기의 신호 처리 회로(46)에 접속한다. 차량 탑재기에서는 G 센서(58A)로부터의 신호 및 ABS 컨트롤러로부터의 신호를 거동 정보로 함과 동시에, 가장 가깝게 통과한 게이트의 게이트 번호 또는 그 위치를 포함하는 양측 게이트의 게이트 번호를 위치 정보로서 이것들을 모두 기억한다. 그리고, 도중 경로와 출구 게이트에서 거동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데이타로서 송신한다.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에서는 차량 탑재기로부터 송신된 거동 정보 및 위치 정보 데이타로부터 낙하물 회피에 따른 급회전, 단체에 따른 G 변화, 비나 눈 등에 의한 슬립을 변화를 검출하여 위치 정보로부터 해당 위치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도로상의 정보 기기에서는 도로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 조기에 대처하거나 주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거동 정보로서는 서스펜션의 변화율을 검출하는 것, 조향각, 조향각 속도 및 조향각 가속도를 검출하는 것, 요우 레이트 센서로 검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게이트에서 노상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게이트 정보를 제2 게이트에서 차량용 통신 장치에서 송신하고, 이 게이트 정보의 수에서 제1 게이트의 각 안테나마다의 통신 확률을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에서 계산하고, 통신확률과 기준치와의 차가 소정값을 초과한 노상 안테나를 부조 안테나로서 검출하고 있기 때문에, 보조 안테나가 어떤 노상 안테나인지를 특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복수의 게이트마다 복수의 노상 안테나를 구비한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와, 상기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와 전파 신호에 의해 정보를 수수하기 위해 차량에 탑재된 차량 탑재용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교신하기 위한 노차간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제1 게이트를 통과할 때 제1 게이트의 노상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해당 제1 게이트와 관련하는 게이트 정보를 상기 차량용 통신 장치에서 수신함과 동시에, 수신된 게이트 정보를 제2 게이트에서 송신하고, 복수의 상기 차량용 통신 장치로부터의 게이트 정보를 상기 제2 게이트에서 수신함과 동시에, 수신된 제1 게이트에 대응하는 게이트 정보의 수가 소정수에 도달했을 때 제1 게이트의 각 안테나마다의 통신 확률을 계산하고, 상기 통신 확률과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상기 노상 안테나마다 비교하고, 상기 통신 확률과 미리 정해진 기준치와의 차가 소정치를 초과한 노상 안테나를 부조 안테나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차간 통신 방법.
  2. 복수의 게이트마다 복수의 노상 안테나를 구비한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와, 상기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와 전파 신호에 의해 정보를 수수하기 위하여 차량에 탑재된 차량 탑재용 통신 장치와의 사이에서 교신하는 노차간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제1 게이트를 통과할 때 수신하는 제1 게이트의 노상 안테나에서 송신되는 해당 제1 게이트와 관련하는 게이트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기억된 게이트 정보를 제2 게이트에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한 차량용 통신 장치와, 복수의 상기 차량용 통신 장치로부터의 게이트 정보를 상기 제2 게이트에서 수신하는 도로측 수신 수단과, 수신된 제1 게이트에 대응하는 게이트 정보의 수가 소정수에 도달했을 때 제1 게이트의 각 안테나마다의 통신 확률을 계산하는 통신 확률 연산 수단과, 상기 통신 확률과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상기 노상 안테나마다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통신 확률과 미리 정해진 기준치와의 차가 소정치를 초과한 노상 안테나를 부조 안테나로서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한 도로상의 정보 통신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차간 통신 장치.
KR1019960013354A 1995-04-28 1996-04-27 노차간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02010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06754 1995-04-28
JP10675495A JP3527791B2 (ja) 1995-04-28 1995-04-28 不調アンテナ検出方法及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9484A KR960039484A (ko) 1996-11-25
KR100201028B1 true KR100201028B1 (ko) 1999-06-15

Family

ID=1444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3354A KR100201028B1 (ko) 1995-04-28 1996-04-27 노차간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760709A (ko)
EP (1) EP0740274B1 (ko)
JP (1) JP3527791B2 (ko)
KR (1) KR100201028B1 (ko)
CN (1) CN1085015C (ko)
DE (1) DE69621370T2 (ko)
SG (1) SG55110A1 (ko)
TW (1) TW3657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5345B2 (ja) * 1996-08-09 2004-08-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の車載機
DE19721750A1 (de) * 1997-05-24 1998-11-26 Daimler Benz Ag Verfahren zur Erfassung und Meldung von Verkehrslagedaten
JP3141933B2 (ja) * 1997-09-05 2001-03-07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JP3102394B2 (ja) * 1997-11-07 2000-10-23 日本電気株式会社 路車間通信方式
EP1059737A4 (en) * 1998-12-24 2006-04-05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ROAD /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6278935B1 (en) 1999-07-23 2001-08-21 Navigation Technologies Corp.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structions about tollways with a navigation system
WO2001022342A1 (fr) * 1999-09-22 2001-03-29 Keiichi Nakajima Systeme de reglement electronique, dispositif de reglement et terminal
KR20010064658A (ko) * 2000-01-13 2001-07-11 나성구 차량번호를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차량용이동전화 단말기
KR20010092381A (ko) * 2000-03-21 2001-10-24 니시무로 타이죠 요금 징수 시스템, 온-보드 유닛 및 요금 징수 방법
JP3681952B2 (ja) 2000-04-03 2005-08-10 三菱電機株式会社 Dsrc車載器
JP3669249B2 (ja) * 2000-05-19 2005-07-0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通信装置及び電波強度確認装置
US6668729B1 (en) * 2002-08-21 2003-12-30 Bryan Richards Transit system
FR2849970A1 (fr) * 2003-01-10 2004-07-16 Thomson Licensing Sa Systeme de mesure de qualite de reception en diversite
US20040174272A1 (en) * 2003-03-04 2004-09-09 Lin Chin E. Electronic tolling system
SE0303122D0 (sv) * 2003-11-20 2003-11-20 Volvo Technology Corp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and/or interaction between a vehicle driver and a plurality of applications
EP1583038B1 (en) * 2004-03-29 2008-01-02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Automatic toll pay system
JP2005323160A (ja) * 2004-05-10 2005-11-17 Mitsubishi Electric Corp 地域内広報システム
US7385515B1 (en) * 2005-06-02 2008-06-10 Owen William K Surveillance detection system and methods for detecting surveillance of an individual
JP4375415B2 (ja) * 2007-02-28 2009-12-02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端末
DE102012204306A1 (de) * 2012-03-19 2013-09-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Bereitstellens von Verkehrsinformationsdaten zur Aktualisierung einer Verkehrsinformation
JP6988872B2 (ja) * 2019-11-08 2022-0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貢献度評価装置
CN111079877A (zh) * 2019-12-26 2020-04-28 江西省交通运输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快捷、精准的高速车辆智能路径识别及收费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03237A5 (fr) * 1989-06-02 1992-02-04 Baets Thierry De Systeme de taxation ou peage automatique pour vehicules routiers.
EP0577027B1 (en) * 1992-06-25 2000-08-23 Fuji Photo Film Co., Ltd. Combination of silver halide photographic material and radiographic intensifying screens
US5345595A (en) * 1992-11-12 1994-09-06 Coral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raudulent telecommunication activity
JP2808513B2 (ja) * 1993-02-19 1998-10-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子的通行料金収受システム
DE69419189T2 (de) * 1993-02-19 1999-10-28 Mitsubishi Heavy Ind Ltd Elektronisches Mautgebührenempfangssystem
US5465321A (en) * 1993-04-07 1995-11-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Hidden markov models for fault detection in dynamic systems
JP2951824B2 (ja) * 1993-06-30 1999-09-20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体識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5015C (zh) 2002-05-15
EP0740274B1 (en) 2002-05-29
TW365737B (en) 1999-08-01
EP0740274A2 (en) 1996-10-30
JP3527791B2 (ja) 2004-05-17
CN1137728A (zh) 1996-12-11
JPH08307332A (ja) 1996-11-22
DE69621370D1 (de) 2002-07-04
US5760709A (en) 1998-06-02
KR960039484A (ko) 1996-11-25
SG55110A1 (en) 1998-12-21
DE69621370T2 (de) 2002-11-14
EP0740274A3 (en) 1999-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1028B1 (ko) 노차간 통신 방법 및 장치
JP3134735B2 (ja) 移動体用通信制御方法
JP3576497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料金収受方法
KR100748609B1 (ko) 다차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동요금징수시스템
KR20000017579A (ko) 요금징수 시스템, 차량 탑재기 및 요금징수 방법
JP2000182109A (ja) 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料金収受方法
KR100839264B1 (ko) 개방형 톨게이트의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
JP3463665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課金情報通信装置、車載機、課金結果取得装置、センター
JP3145476B2 (ja) 有料道路料金収受システム
KR101912302B1 (ko) 영수증 출력 기능을 구비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그것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하이패스 단말기용 영수증 출력 장치 및 그것들의 제어 방법
JP2009070403A (ja) 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車載装置
KR100963050B1 (ko) 하이패스 미납요금의 정산시스템
JP3204022B2 (ja) 路車間通信方法
KR20020038646A (ko) 모바일폰을 이용한 고속도로 통행료 징수 방법
KR100572401B1 (ko) 도로 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
JP3014294U (ja) 有料道路通行料金管理装置
JP2003099833A (ja) 料金収受システム、車載器及び料金収受方法
JPH04123190A (ja) 料金収受システム
JP2002269612A (ja) 料金収受方法、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車載器
KR100495784B1 (ko) Gps를 이용한 전자식 요금징수 시스템 및 방법
JP2000215334A (ja) 料金収受装置、料金収受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料金収受方法
KR100792963B1 (ko)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의 스마트카드 정보 인식방법
JP2004102664A (ja) 通行料金収受システム
JPH0816848A (ja) 路車間情報伝達方法、路車間通信システム及び車載用通信装置
JP2003077020A (ja) 通行料金収受システムにおける2重課金防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