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0716B1 -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0716B1
KR100200716B1 KR1019960028881A KR19960028881A KR100200716B1 KR 100200716 B1 KR100200716 B1 KR 100200716B1 KR 1019960028881 A KR1019960028881 A KR 1019960028881A KR 19960028881 A KR19960028881 A KR 19960028881A KR 100200716 B1 KR100200716 B1 KR 100200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array
array region
region
peripheral circui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8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2440A (ko
Inventor
양흥모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28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0716B1/ko
Publication of KR980012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2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0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07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10B41/42Simultaneous manufacture of periphery and memory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9Dummy cell treatment; Reference voltage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주변에 더미(dummy) 셀을 포함하는 셀 어레이 영역 및 주변회로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셀 어레이 영역에서 상기 셀 어레이 영역과 주변 회로 영역과의 경계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 더미 셀중 상기 셀 어레이 영역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소정의 수의 더미 셀을 제외한 셀에만 스토리지 전극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COB 구조를 채용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에서 셀 어레이 영역과 주변 회로 영역과의 경계 부분중 모서리 부분에서 형성되는 단차를 완만하게 하여 플레이트 전극과 그 상부의 도전층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기억 장치에서 셀 어레이 영역의 모서리 부분과 주변 회로 영역과의 경계 부분에 형성되는 단차에 의한 패턴 불량을 해결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가 고집적화 되면서 DRAM의 경우는 셀 커패시터의 구조 및 그 형성 방법이 중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커패시터와 다른 구조를 갖는 커패시터가 대두되었고, 현재 64M DRAM 이상의 고집적 반도체 기억 장치에서는 COB(capacitor over bit-line) 구조를 널리 채택하고 있다. 상기 COB 구조는 비트 라인을 먼저 형성하고 그 위에 셀 커패시터를 형성함으로써, 제한된 셀 면적 내에 셀 커패시터의 용량을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COB 구조를 채택할 경우 몇가지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 중 하나로서 커패시터의 용량을 결정짓는 스토리지 전극이 매우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셀 어레이 영역과 스토리지 전극이 형성되지 않는 주변 회로 영역 사이의 경계 부분에 표면 단차가 증가한다. 이러한 표면 단차의 증가는 후속 공정으로 유전막 및 플레이트 전극을 형성한 후 평탄화 공정으로 BPSG막을 증착 및 플로우 시킬 때 셀 어레이 영역의 주변에 형성된 플레이트 전극 상부의 BPSG막이 매우 얇게 형성되며, 심한 경우에는 플레이트 전극이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 전극과 후속으로 형성되는 금속 배선층간의 단락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 배선 형성을 위한 사진 공정시 급격한 단차로 인하여 원하는 감광막 패턴을 얻기가 어렵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셀 어레이 영역을 COB 구조로 제조한 반도체 기억 장치의 평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특히 셀 어레이 영역과 주변 회로 영역의 경계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종래 기술에 따라 제조된 반도체 기억 장치는 주변에 더미(dummy) 셀을 포함하는 셀 어레이 영역(10)과 주변 회로 영역(20)과의 경계(15) 근처에서 스토리지 전극(30)이 상기 경계(15)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라 제조된 반도체 기억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참조번호 1은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하부 구조물(도시 생략)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 4는 상기 반도체 기판(1) 전면에 평탄화되고 각 셀의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영역을 노출시키는 스토리지 콘택홀을 갖는 제1 층간절연막, 30은 상기 스토리지 콘택홀을 채우는 스토리지 전극, 32는 상기 스토리지 전극(30) 표면에 형성된 유전막, 34는 상기 유전막(32)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의 셀 어레이 영역을 덮는 플레이트 전극, 40은 상기 플레이트 전극(34)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 전면에 평탄화되어 형성된 제2 층간절연막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층간절연막(4, 40)은 일반적으로 BPSG막으로 형성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OB 구조를 채용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에서 스토리지 전극(30)이 셀 어레이 영역(10)중 주변 회로 영역(20)과의 경계(15) 부분, 그 중에서도 특히 모서리 부분에 인접하여 형성된 경우에는 스토리지 전극(30)으로 인한 급격한 단차 때문에, 후속 공정에서 평탄화를 위해 사용된 절연막, 예를 들면 BPSG막이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S1으로 표시한 부분에서와 같이 거의 남아 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층간절연막(40)의 평탄도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층간절연막(40), 예컨대 BPSG막을 증착한 후 이를 고온에서 장시간 동안 평탄화시킬 경우 플레이트 전극(34)이 노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층간 절연막(40)의 위에 형성되는 금속 배선과 더미 셀의 플레이트 전극(34)이 서로 단락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COB 구조를 채용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에서 셀 어레이 영역과 주변 회로 영역과의 경계 부분중 모서리 부분에서 형성되는 단차를 완만하게 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셀 어레이 영역을 COB 구조로 제조한 반도체 기억 장치의 평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셀 어레이 영역을 COB 구조로 제조한 반도체 기억 장치의 평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B - 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반도체 기판, 104 : 제1 층간절연막
110, 210, 310 : 셀 어레이 영역, 115, 215, 315 : 경계
120, 220, 320 : 주변 회로 영역, 130, 230, 330 : 스토리지 전극
132 : 유전막, 140 : 제2 층간절연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장자리에 복수의 더미 셀(dummy cell)이 형성된 셀 어레이 영역과, 상기 셀 어레이 영역에 인접하여 형성된 주변 회로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셀 어레이 영역 내에서 그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더미 셀중에서 상기 셀 어레이 영역 내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소정의 수의 더미 셀을 제외한 모든 셀들에 스토리지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COB 구조를 채용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에서 셀 어레이 영역과 주변 회로 영역과의 경계 부분중 모서리 부분에서 형성되는 단차를 완만하게 하여 플레이트 전극과 그 상부의 도전층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셀 어레이 영역을 COB 구조로 제조한 반도체 기억 장치의 평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특히 셀 어레이 영역과 주변 회로 영역의 경계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반도체 기억 장치에서는 셀 어레이 영역(110)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더미셀이 형성되고, 상기 셀 어레이 영역(110)에 인접하여 주변 회로 영역(120)이 형성되며, 상기 셀 어레이 영역(110) 내에서 상기 셀 어레이 영역(110)의 가장자리, 즉 상기 셀 어레이 영역(110) 내에서 상기 셀 어레이 영역(110)과 주변 회로 영역(120)과의 경계(115)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더미 셀중에서 상기 셀 어레이 영역(110)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소정의 수의 더미 셀을 제외한 모든 셀들에 스토리지 전극(130)이 형성된다.
도 3에는 상기 셀 어레이 영역(110) 내에서 상기 셀 어레이 영역(110)과 주변 회로 영역(120)과의 경계(115)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 복수의 더미 셀중 상기 셀 어레이 영역(110)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1개의 더미 셀을 제외한 나머지 셀에만 스토리지 전극(130)을 형성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B - B'선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하부 구조물(도시 생략)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1) 전면에 제1 절연 물질을 적층한 후 이를 패터닝하여 셀 어레이 영역의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영역(도시 생략)을 노출시키는 스토리지 콘택홀을 포함하는 제1 층간절연막(104)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절연 물질을 적층하는 데 있어서 먼저 BPSG막을 증착한 후, 이를 고온에서 플로우시켜서 평탄화된 표면을 갖도록 형성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1 층간 절연막(104)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1) 전면에 도전층, 예컨대 도우핑된 폴리실리콘을 증착한 후 이를 패터닝하여 상기 스토리지 콘택홀을 덮는 스토리지 전극(130)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셀 어레이 영역(110) 내에서 셀 어레이 영역(110)과 주변 회로 영역(120)과의 경계(115)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 더미 셀중 상기 셀 어레이 영역(110)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소정의 수의 더미 셀을 제외한 나머지 셀에만 스토리지 전극(130)을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스토리지 전극(130)의 표면에 유전막(132)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유전막(132)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1)의 셀 어레이 영역(110) 전면에 도전층을 형성하여 플레이트 전극(134)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2 도전 물질을 사용하여 상기 플레이트 전극(134)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1) 전면에 제2 층간절연막(14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층간절연막(140)은 BPSG막을 증착한 후 이를 고온에서 플로우시켜서 평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제2 층간절연막(140)은 상기 도 3 및 도 4에 S2로 표시한 부분에서와 같이 그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스토리지 전극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셀 어레이 영역 내에서 셀 어레이 영역과 주변 회로 영역과의 경계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 복수의 더미 셀중 셀 어레이 영역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1개의 더미 셀을 제외한 나머지 셀에만 스토리지 전극을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3과 같이 셀 어레이 영역을 COB 구조로 제조한 반도체 기억 장치의 평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셀 어레이 영역(210)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더미셀이 형성되고, 상기 셀 어레이 영역(210)에 인접하여 주변 회로 영역(220)이 형성되며, 상기 셀 어레이 영역(210) 내에서 상기 셀 어레이 영역(210)의 가장자리, 즉 상기 셀 어레이 영역(210)과 주변 회로 영역(220)과의 경계(215)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더미 셀중에서 상기 셀 어레이 영역(210)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3개의 더미 셀을 제외한 모든 셀들에 스토리지 전극(230)을 형성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3과 같이 셀 어레이 영역을 COB 구조로 제조한 반도체 기억 장치의 평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셀 어레이 영역(310)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더미셀이 형성되고, 상기 셀 어레이 영역(310)에 인접하여 주변 회로 영역(320)이 형성되며, 상기 셀 어레이 영역(310) 내에서 상기 셀 어레이 영역(310)의 가장자리, 즉 상기 셀 어레이 영역(310)과 주변 회로 영역(320)과의 경계(315)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더미 셀중에서 상기 셀 어레이 영역(310)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6개의 더미 셀을 제외한 모든 셀들에 스토리지 전극(330)을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플레이트 전극을 형성한 후 층간 절연막을 적층하여 플로우시킬 때 셀 어레이 영역의 에지에서 층간 절연막의 곡률 반경이 증가됨으로써, 층간 절연막의 두께가 증가되어 플레이트 전극과 후속 공정에서 형성되는 도전층과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기존에 사용하던 셀 레이아웃을 간단히 변경함으로써 실제 공정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2)

  1. 가장자리에 복수의 더미 셀(dummy cell)이 형성된 셀 어레이 영역과, 상기 셀 어레이 영역에 인접하여 형성된 주변 회로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셀 어레이 영역 내에서 그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더미 셀중에서 상기 셀 어레이 영역 내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소정의 수의 더미 셀을 제외한 모든 셀들에 스토리지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수는 1개 내지 6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9960028881A 1996-07-16 1996-07-16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200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881A KR100200716B1 (ko) 1996-07-16 1996-07-16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881A KR100200716B1 (ko) 1996-07-16 1996-07-16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2440A KR980012440A (ko) 1998-04-30
KR100200716B1 true KR100200716B1 (ko) 1999-06-15

Family

ID=19466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8881A KR100200716B1 (ko) 1996-07-16 1996-07-16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07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2440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251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제조방법
US5279989A (en) Method for forming miniature contacts of highly integrated semiconductor devices
KR970013366A (ko) 반도체 집적 회로장치의 제조방법
JP3110328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6448134B2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JP3219850B2 (ja) 積重ねセル型ダイナミック・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アレイを製造する方法
KR950034789A (ko)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07201999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940012615A (ko) 반도체메모리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5571742A (en) Method of fabricating stacked capacitor of DRAM cell
KR19990073712A (ko) 씨오비(cob)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202202B1 (ko)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와 그 제조 방법
JP2000031088A (ja) 半導体装置のコンタクトホ―ルを形成する方法
KR100200716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960030419A (ko)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6645809B2 (en) Process for producing a capacitor configuration
US20050139905A1 (en) Dummy layer in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4173819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using MOS FETS
US20010039086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000007644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JP2001147447A5 (ko)
JP2001102546A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30350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131900B2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29525A (ko) 플레쉬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