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9256B1 - 전기밥통 - Google Patents

전기밥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9256B1
KR100199256B1 KR1019960045832A KR19960045832A KR100199256B1 KR 100199256 B1 KR100199256 B1 KR 100199256B1 KR 1019960045832 A KR1019960045832 A KR 1019960045832A KR 19960045832 A KR19960045832 A KR 19960045832A KR 100199256 B1 KR100199256 B1 KR 100199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lid
rice
temperature
hal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508A (ko
Inventor
사다오 가나야
에이지 고구레
히로시 나카무라
와타루 후지모토
히로아키 츠카하라
Original Assignee
이시카와 히로아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06873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252943A/ja
Priority claimed from JP806873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252942A/ja
Priority claimed from JP806873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252941A/ja
Application filed by 이시카와 히로아키,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시카와 히로아키
Publication of KR970064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508A/ko
Priority to KR1019980062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4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2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부뚜껑에서 내부솥을 가열하는 방식의 전기밥통에 관한 것으로서, 가열의 불균일이 없고 뜸들이기 공정에서 온도저하도 없으며 재가열공정에 있어서 밥이 되게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내부솥을 수용한 본체에 힌지결합된 외부뚜껑, 개구부를 갖고 상기 외부뚜껑에 소정의 공간을 거쳐서 부착되며 상기 내부솥과 대향하는 내부뚜껑, 개구부를 향해서 상기 공간내에 배치된 발광체히터, 공간내에서 발광체 히터의 배면에 설치되고 발광체히터의 광열을 개구부측으로 반사하는 반사판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가열의 불균일이 없고 뜸들이기 공정에서의 온도저하도 없으며 재가열시에 밥이 되게 되는 일이 없어 밥을 고슬고슬하고 맛있게 지을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밥통
본 발명은 전기밥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뚜껑에서 내부솥을 가열하는 방식의 전기밥통에 관한 것이다.
제27도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평성 4-41326호에 개시된 종래의 항아리형태의 전기밥통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본체케이스, (100)은 본체케이스(1)내에 마련되어 후술하는 내차열판(101)의 방열을 방지하는 외차열판, (101)은 외차열판(100)의 내측에 마련되어 후술하는 내부솥(6)의 방열을 방지하는 내차열판, (103)은 내차열판(101)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내부솥(6)을 가열하는 주히터, (6)은 내차열판(101)에 수용되어 쌀, 물을 수납하는 내부솥, (10)은 본체케이스(1)에 개폐가능하게 부착되어 내부솥(6)의 상부개구부를 폐쇄하는 뚜껑체이다. 또, (104)는 내차열판(101)의 상부 외주부에 부착된 코드히터로 이루어지는 몸통(barrel)히터, (9)는 내부솥(6)의 바닥부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센서, (105)는 뚜껑체(10)의 하면에 마련되어 내부솥(6)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열판, (106)은 방열판(105)의 내면에 맞닿아서 배치된 코드히터로 이루어지는 뚜껑히터, (18)은 여러개의 조작키가 배치되고 후술하는 프린트기판(19)로 키접수를 전달하는 조작부, (19)는 취사를 제어하는 회로가 형성된 프린트기판이다. (110)은 취사시에 있어서 온도가 잘 상승하지 않는 저온부를 나타내고 있다.
제28도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항아리형태의 전기밥통의 취사/보온 공정의 설명도이고, 제28도의 (a)는 밥의 온도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제28도의 (b)는 주히터(103), 몸통히터(104) 및 뚜껑히터(106)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제28도에 있어서,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있고, T1∼T2는 예열공정, T2∼T4는 취사공정, T4∼T5는 뜸들이기 공정, T5 이후는 보온공정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T3∼T4는 비등시부터 드라이업시까지의 공정, T6∼T7은 재가열의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또, 제28도의 (a)에는 제27도에 있어서의 저온부(110)과 이 저온부(110)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밥의 각 온도를 비교해서 도시하고 있다.
제28도에 따라서 취사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내부솥(6)에 쌀과 물을 넣고 조작부(18)의 취사스위치를 온(ON)해서 취사를 개시하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한다. 우선, 주히터(103)에 통전해서 예열공정을 개시한다. 예열공정에서는 제28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히터(103)으로의 통전은 단편적으로 실행하고,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쌀에 흡수시킨다. 이 예열공정에 있어서의 저온부(110)과 저온부(110) 이외의 부분의 온도차(이하, 단지 「온도차」라 한다)는 약 10℃이다.
소정시간 경과해서 시간 T2로 되면, 주히터(103)에 풀(full)통전해서 밥이 비등할 때까지 가열한다. 이 비등시에 있어서의 온도차는 약 10℃이다. 밥이 비등하면 주히터(103)으로의 통전을 풀통전에서 단편적인 통전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몸통히터(104) 및 뚜껑히터(106)에도 통전한다. 내부솥(6)중의 물이 비등해서 수분이 적어져 드라이업되면, 이때의 내부솥(6)의 온도를 센서(9)가 검지하여 뜸들이기 공정으로 이행한다.
뜸들이기 공정에서는 주히터(103), 몸통히터(104) 및 뚜껑히터(106)을 단속통전해서 가열하고, 여분의 증기를 빼낸다. 뜸들이기 공정 후, 일단 각 히터로의 통전을 정지해서 자연히 온도를 내리고, 보온온도 70℃∼74℃를 유지하도록 몸통히터(104)의 통전제어를 실행한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밥이 다 지어지고 보온된다.
일단, 다 지어진 밥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보온온도 70℃∼74℃로 보온되고 있지만, 보온중인 밥을 따뜻하게 하기 위해서는 조작부(18)의 재가열 스위치를 온해서 재가열을 개시한다. 이때, 주히터(103), 몸통히터(104) 및 뚜껑히터(106)에 통전해서 가열하여 밥을 보온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항아리형태의 전기밥통에서는 뚜껑히터(106)이 방열판(105)의 내면에 맞닿아서 배치된 코드히터로서 방열판(105)를 거쳐서 간접 복사가열을 하기 때문에 가열력이 약하고 또 상승 하강도 느리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제27도에 도시한 저온부(110)의 가열이 그밖의 부분보다 지연되므로, 저온부(110)의 밥의 온도가 낮아져 취사중 및 뜸들이기중의 가열온도에 편차가 있었다. 이 온도차는 7℃∼2℃정도이다.
또, 뜸들이기 중에 밥온도가 약 2℃ 정도 내려가 버려(제28도 참조) 쌀겨(설익은) 냄새가 나는 증기의 배출부족으로 되고 있었다.
또, 뜸들이기 종료후에 뚜껑히터(106)의 통전을 정지시켜도 방열판(105)의 열용량이 크기 때문에 온도의 하강이 느려 즉시 식지 않으므로, 뜸들인 후 보온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이 길어 밥이 쉽게 되게(물기없이 딱딱하게) 되었다.
또, 보온중인 밥을 따뜻하게 하는 재가열에 있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가열 불균일이 없고 또 뜸들이기 공정에서의 온도저하도 없고 또 재가열공정에 있어서 밥이 되게 되는 일이 없는 전기밥통을 얻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쌀의 속까지 확실히 가열된 고슬고슬하고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는 전기밥통을 얻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시한 전기밥통의 구성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뚜껑히터의 부착상태를 도시한 단면확대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뚜껑히터의 부착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뚜껑히터의 부착구성을 도시한 저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할로겐히터의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뚜껑히터의 분해/조립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취사/보온 공정의 설명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할로겐히터와 코드히터의 시간과 온도의 특성비교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석영히터의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석영관 히터의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구형상 할로겐히터(50)을 사용한 뚜껑히터의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구형상 할로겐히터(50)을 사용한 뚜껑히터의 저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원형 아치형상의 반사판(55)를 사용한 뚜껑히터의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단면 아치형상의 반사판(56)을 사용한 뚜껑히터의 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의 다면 원호 아치형상의 반사판(57)을 사용한 뚜껑히터의 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의 여러개의 할로겐히터를 설치한 뚜껑히터의 단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의 링형상의 할로겐히터의 평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의 링형상의 할로겐히터를 사용한 뚜껑히터의 단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원반형상의 할로겐히터의 평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원반형상의 할로겐히터를 사용한 뚜껑히터의 단면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V홈(29a)가 형성된 유리판의 단면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의 여러개의 오목볼록(29b)가 형성된 유리판의 단면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의 다수의 다각추 오목볼록(29c)가 형성된 유리판의 평면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의 다수의 다각추 오목볼록(29c)가 형성된 유리판의 단면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5의 중앙부를 두껍게 하고 둘레 가장자리부를 얇게 한 광발산렌즈의 단면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6의 내면에 원적외선 도료가 도포된 유리판의 단면도.
제27도는 종래의 항아리(jar)형태의 전기밥통의 구성설명도.
제28도는 종래의 항아리형태의 전기밥통의 취사/보온 공정설명도.
본 발명에 관한 전기밥통에 있어서는 내부솥을 수용한 본체에 힌지결합된 외부뚜껑, 개구부를 갖고 상기 외부뚜껑에 소정의 공간을 거쳐서 부착되고 상기 내부솥과 대향하는 내부뚜껑, 이 내부뚜껑의 개구부에 설치된 투광부재, 이 투광부재를 향해서 상기 공간내에 배치된 발광체히터 및 상기 공간내에서 상기 발광체히터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체히터의 광열을 상기 투광부재측으로 반사하는 반사판을 구비한 것이다.
또, 투광부재와 내부뚜껑 사이에 밀봉(seal)부재를 개재해서 설치하고, 반사판의 일부에 의해 상기 투광부재를 상기 내부뚜껑 방향으로 압압하도록 한 것이다.
또, 투광부재로서 적색계의 스모크유리를 사용한 것이다.
또, 투광부재에 원적외선 도료를 도포한 것이다.
또, 투광부재에 표면에 여러개의 오목볼록을 마련한 것이다.
또, 여러개의 오목볼록을 다각추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또 발광체히터의 형상을 선형으로 하고, 오목볼록을 V홈 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이 V홈이 형성된 투광부재를 이 V홈의 홈방향이 상기 발광체히터의 축선과 교차하도록 배치한 것이다.
또, 투광부재를 내부솥 방향으로 만곡시킴과 동시에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가 중앙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렌즈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밥통에 있어서는 내부솥의 바닥부 및 몸통부를 가열하는 내부솥 가열수단, 내부뚜껑에 설치되고 발광해서 열을 발하는 발광체히터 및 쌀에 급수시키는 예열공정, 예열공정 후 드라이업까지의 취사공정, 취사공정 후 밥이 다 지어질 때까지의 뜸들이기 공정, 밥이 다 지어진 후의 보온공정 및 보온중인 밥을 따뜻하게 하는 재가열공정의 각 공정에 있어서 상기 내부솥가열수단을 가열제어하는 내부솥 가열제어수단과 상기 취사공정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히터를 발광제어하는 발광체히터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 발광체히터 제어수단은 상기 뜸들이기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히터를 발광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또, 발광체히터 제어수단은 상기 재가열공정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히터를 발광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밥통에 있어서는 내부솥을 수용한 본체에 힌지결합된 외부뚜껑, 개구부를 갖고 상기 외부뚜껑에 소정의 공간을 거쳐서 부착되고 상기 내부솥과 대향하는 내부뚜껑, 상기 개구부를 향해서 상기 공간내에 배치된 발광체히터 및 상기 공간내에서 상기 발광체히터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체히터의 광열을 상기 개구부측으로 반사하는 반사판을 구비한 것이다.
또, 발광체히터로서 할로겐히터를 사용한 것이다.
또, 개구부를 내부뚜껑의 대략 중앙부에 마련함과 동시에 발광체히터를 이 개구부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한 것이다.
또, 반사판을 아치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발, 발광체히터를 개구부의 개구면에 근접해서 배치한 것이다.
또, 발광체히터는 선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긴쪽 방향을 상기 힌지부의 축선방향을 따르게 해서 배치한 것이다.
또, 내부솥을 수용한 본체에 힌지결합된 외부뚜껑, 개구부를 갖고 상기 외부뚜껑에 소정의 공간을 거쳐서 부착되고 상기 내부솥과 대향하는 내부뚜껑, 이 내부뚜껑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배치된 플레이트형상의 발광체히터, 상기 공간내에서 상기 발광체히터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체히터의 광열을 상기 내부솥측으로 반사하는 반사판을 구비한 것이다.
[실시예 1]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전기밥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에 있어서 (1)은 본체케이스, (2)는 본체케이스(1)의 내측 상부에서 후술하는 내부솥(6)의 상부를 수납하는 내부솥 수납부를 형성하는 내차열판, (3)은 내차열판(2)의 상부 외주에 마련된 코드히터로 이루어지는 몸통히터, (4)는 내차열판(2)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후술하는 내부솥의 하부를 수납하는 코일대, (5)는 코일대(4)의 외측에 감겨서 고정된 코일이다. 이 코일(5)에 전류를 단속적으로 흐르게 하는 것에 의해 자계를 발생시키고, 내부솥(6) 자체를 발열시켜서 가열하는 IH(전자가열)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6)은 내차열판(2)와 코일대(4)의 내측에 수납된 내부솥이고, 이 내부솥(6)은 내측을 알루미늄재로 구성하고 외측을 스테인레스재로 구성하며, 코일(5)의 자계에 의해 스테인레스재가 발열해서 알루미늄재로 전도되는 구조이다. (7)은 코일(5)의 외측에 맞닿아 고정해서 마련되고 코일(5)에서 방출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페라이트, (8)은 IH가열의 출력(화력)을 제어하는 제어기판, (9)는 내부솥 바닥부의 온도검지센서이다.
(10)은 본체케이스(1)에 힌지결합되어 내부솥(6)의 상부개구부를 폐쇄하는 뚜껑체, (11)은 뚜껑체(10)을 개폐 자유롭게 지지하는 힌지스프링, (12)는 뚜껑체(10) 외면을 구성하는 외부뚜껑, (13)은 외부뚜껑(12)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거쳐서 마련되고 6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내부뚜껑이다. 이 내부뚜껑(13)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뚜껑히터(25)를 설치하기 위한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다. (14)는 후술하는 뚜껑패킹(16)을 거쳐서 내부뚜껑(13)을 내부뚜껑 고정스프링(15)에 의해 외부뚜껑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뚜껑체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부뚜껑 프레임, (16)은 내부뚜껑 프레임(14)와 내부뚜껑(13)의 간극에서 뚜껑내부로 증기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뚜껑패킹이다. 뚜껑패킹(16)은 뚜껑체(10)을 닫을 때 하측의 플랜지부가 내부솥(6)의 상단과 맞닿아 내부솥(6)내에서 발생한 증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봉하는 구조이다.
(17)은 본체케이스(1)의 앞부 즉 뚜껑체(10)과의 힌지결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뚜껑체(10)을 개폐가 자유롭게 유지하는 래치리시버, (18)은 여러개의 조작키가 배치되어 후술하는 프린트기판(19)로 키접수를 전달하는 조작부, (19)는 취사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가 탑재된 프린트기판이다. 이 프린트기판(19)에 탑재된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후술하는 뚜껑히터(25)의 점등, 몸통히터(3)으로의 통전이 제어되게 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는 뚜껑히터(25)를 제어하는 뚜껑히터(발광체히터) 제어수단을 실현하는 것이다.
(20)은 외부뚜껑(12)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외부뚜껑(12) 및 내부뚜껑(13)을 관통해서 마련되고 내부솥(6)내에서 발생한 증기의 배출구로 되는 증기통, (21)은 증기통 하부에서 뚜껑내부로 증기가 침입하지 않도록 증기통(20) 및 내부뚜껑(13)에 각각 맞닿아서 마련된 증기통 밀봉패킹, (22)는 내부솥(6)내에서 발생한 증기의 배출량을 조정하는 증기조정 고무패킹, (23)은 외부뚜껑(12)의 내면에 부착되어 열이 외부뚜껑(12)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재이다. (25)는 외부뚜껑(12)와 내부뚜껑(13)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된 뚜껑히터이다.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뚜껑히터(25)의 확대도이다. 제2도에 따라서 뚜껑히터(25)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26)은 단열재(23)의 내측에 배치되어 내부뚜껑 프레임(14)에 나사에 의해 고정되고, 후술하는 반사판(27)이 부착되는 부착판이다. 이 부착판(26)은 반사판(27)로부터의 외부뚜껑(12)측으로의 열의 누설을 방지하는 차열판의 역할도 겸비하는 것이다. (27)은 부착판(26)에 나사(28)에 의해 고정된 바닥이 있는 프레임형상 또는 아크형상의 반사판으로서, 그 개구부를 내부뚜껑(13)의 개구부측으로 향하게 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 반사판(27)은 후술하는 할로겐히터의 발광을 내부솥(6)측으로 반사하는 것으로서, 스테인레스재를 사용해서 표면을 경면마무리한 것이다. (29)는 내부뚜껑(13)의 개구부에 밀봉패킹(30)을 거쳐서 설치된 내열성이 있는 유리판으로서 적색계의 스모크유리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뚜껑체(10)을 열었을 때에도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할로겐히터가 보이지 않아 의장적으로 우수하다.
제3도는 뚜껑히터(25)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2도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31)은 뚜껑히터(25)의 발광체인 할로겐히터, (32)는 할로겐히터(31)을 양끝부에 전기절연을 위해 마련된 인슐레이터(碍子)로서, 할로겐히터(31)의 고정시의 지지부로 된다. (33)은 필라멘트(발광선)에 통전하는 히터리드선이다. 또한, 할로겐히터(31)은 반사판(27)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유리판(29)에 근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로 하는 것에 의해, 내부솥(6) 전체에 할로겐히터(31)의 광열을 조사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할로겐히터(31)에서 직접조사되는 광열을 더욱 많이 내부솥(6)내로 조사할 수 있다.
제4도는 할로겐히터(31)의 부착상태의 설명도이다. (34)는 한쪽끝측이 반사판(27)에 나사(35)에 의해 고정되고, 다른쪽끝측이 할로겐히터(31)의 끝부를 구성하는 인슐레이터(32)에 압접(壓接)해서 할로겐히터(31)을 지지하는 지판이다. 이 지지판(34)는 탄성을 가진 부재로 형성되고, 필라멘트의 내진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제5도는 할로겐히터(31)의 구조의 설명도이다. (31a)는 텅스텐 필라멘트, (31b)는 할로겐 사이클의 작용에 의해 텅스텐 필라멘트가 긴수명으로 되도록 봉입되어 있는 할로겐가스이다.
여기에서, 할로겐사이클에 대해서 설명한다. 텅스텐 필라멘트(31a)가 고온으로 되면 텅스텐은 증기화하고, 봉입되어 있는 할로겐가스(31b)와 결합해서 할로겐화 텅스텐을 형성한다. 이 할로겐화 텅스텐은 온도가 높은 필라멘트 근방에서 재차 할로겐과 텅스텐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텅스텐은 필라멘트로 되돌아가고 유리된 할로겐은 재차 앞의 반응을 반복한다. 이 반응을 할로겐사이클이라 하고, 이 반응에 의해 텅스텐 필라멘트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제6도는 뚜껑히터(25)의 분해/조립도이다. 제6도에 따라서 뚜껑히터(25)의 조립 및 부착방법을 설명한다. 내부뚜껑(13)의 개구부에 밀봉패킹(30)을 거쳐서 유리판(29)를 배치한다. 다음에, 할로겐히터(31)을 지지판(34)에 의해 반사판(27)에 부착하고, 이 반사판(27)을 나사(28)에 의해 부착판(26)에 부착한다. 그리고, 이 반사판(27)이 부착된 부착판(26)을 내부뚜껑(13)에 나사(15)에 의해 고정시킨다. 이때, 반사판(27)의 하단부가 유리판(29)에 맞닿아서 유리판(29)를 밀봉패킹(30)측으로 누르게 되므로, 유리판(29)와 밀봉패킹(30)의 밀착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내부뚜껑(13)이 외부뚜껑(12)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할로겐히터(31)은 그의 긴쪽 방향이 뚜껑체(10)의 힌지부의 축선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뚜껑체(10)의 개폐시에 텅스텐 필라멘트(31a)가 가속도의 영향을 받아서 단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7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 1의 전기밥통의 취사/보온공정의 설명도로서, 제7도의 (a)는 밥의 온도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제7도의 (b)는 코일(5), 몸통히터(3) 및 뚜껑히터(25)의 동작타이밍도이다. 제7도에 있어서,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있고, T1∼T2는 예열공정, T2∼T4는 취사공정, T4∼T5는 뜸들이기 공정, T5 이후는 보온공정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T3∼T4는 비등시부터 드라이업시까지의 공정, T6∼T7은 재가열의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제7도에 따라서 취사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씻은 쌀과 적당량의 물이 넣어진 내부솥(6)을 본체케이스(1)에 세트하고, 뚜껑체(10)을 닫는다. 조작부(18)의 취사스위치를 온하면 프린트기판(19)에 탑재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동작에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서 취사가 개시된다. 취사개시후, 우선 제어기판(8)이 코일(5)에 주파수가 20∼40kHz로 되도록 전류를 단속적으로 흐르게 하고, 코일(5) 주위에 자계 및 자력선을 유기시켜서 내부솥(6) 외면의 스테인레스 부재에 와전류에 의한 열을 발생시킨다. 이 열은 열전도에 의해 내부솥(6) 내면의 알루미늄부재로 전달되고 내부솥(6) 전체가 열원으로 되어 가열을 개시한다. 소위 IH(전자가열) 방식이다. 예열공정(T1∼T2)에 있어서는 코일(5)로 통전해서 소정의 온도로 한 후, 코일(5)로의 통전을 단속적으로 실행하여 온도를 일정값으로 유지하면서 쌀에 흡수시킨다.
다음에, 취사공정(T2∼T4)으로 들어가 IH방식으로 비등할 때까지 풀통전하여 가열한다(T2∼T3). 온도검지센서(9)가 검지한 내부솥(6)의 바닥부의 온도에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가 내부솥(6)내의 비등을 인식하면, 마이크로 컴퓨터의 지시에 따라 코일(5), 몸통히터(3) 및 뚜껑히터(25)에 통전하여 3방향에서 가열한다(T3∼T4). 이때 뚜껑히터(25)에 통전되면 할로겐히터(31)이 발광해서 광열을 조사한다. 이때의 발광의 경로는 제2도의 가상선(4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할로겐히터(31)에서 유리판(29)를 투과하는 것과 동일도면의 가상선(41)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할로겐히터(31)에서 반사판(27)을 경유해서 유리판(29)를 투과하는 것의 2가지가 있다. 이와 같이 할로겐히터(31)의 광열은 반사판(27)의 효과에 의해 내부솥(6)내에 균일하게 조사되어 물과 쌀을 골고루 가열하게 된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유리판(29)를 적색계의 스모크유리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할로겐히터(31)의 광열이 조사되면 적색으로 발광하므로 예를 들면 판매 촉진을 위한 데먼스트레이션시에 효과적이다.
여기에서, 할로겐히터의 특성을 코드히터와 비교해서 설명한다. 제8도는 할로겐히터와 코드히터의 온도와 시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할로겐히터를 실선으로, 코드히터를 점선으로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그래프에서 할로겐히터는 코드히터에 비해 온도의 상승 및 하강 모두 빠르고, 또 온도도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할로겐히터가 상술한 바와 같이, 온도의 상승이 빠르고 온도가 높다는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비등에서 드라이업에 이르는 공정(T3∼T4)에 있어서의 내부솥(6)의 주위 근방부에 내부솥(6)의 중앙부의 온도차가 작고, 실험에 의하면 약 4℃였다. 내부솥(6)의 바닥면에서 IH가열, 측면으로부터의 몸통히터(3)에 의한 가열 및 상면으로부터의 뚜껑히터(25)에 의한 가열을 도입해서 전면가열에 의해 취사하므로, 가열의 불균일없이 고슬고슬하고 맛있게 지어지게 된다.
내부솥(6)내의 물이 비등해서 수분이 적어져 드라이업되면, 이것을 마이크로 컴퓨터가 온도센서(9)의 신호에 따라서 인식하고 뜸들이기 공정(T4∼T5)로 이행한다. 뜸들이기 공정에서는 코일(5), 몸통히터(3) 및 뚜껑히터에 대해서 단속통전해서 가열하여 여분의 증기를 빼낸다. 이때,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할로겐히터의 가열온도가 코드히터의 그것보다 높으므로, 뜸들이기 공정에 있어서 밥의 온도가 저하하는 일이 없어(실험에 의하면 온도저하는 약 1℃였다) 종래예에서 문제로 되고 있던 쌀겨 냄새가 나는 증기의 배출부족이라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 이 뜸들이기 공정에 있어서는 밥의 온도를 고온(96℃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맛있는 밥을 짓기 위해서는 쌀에 함유된 β녹말을 α녹말로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지만, β녹말이 α녹말로 바뀌는 것이 96℃ 이상의 온도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뚜껑히터(25)의 강한 가열력에 의해 내부솥(6)내에 저온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으므로, β녹말에서 α녹말로의 변화를 내부솥(6)내 전체에서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어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는 것이다.
뜸들이기 공정이 종료하면, 코일(5), 몸통히터(3) 및 할로겐히터(31)로의 통전을 정지시켜 자연스럽게 온도를 내리고 그후 몸통히터(3)에 대해서 통전제어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보온온도(통상 보온온도 70℃∼74℃, 장시간 보온온도 60∼65℃)를 유지하도록 한다(T5∼T6). 이 보온공정으로 이행할 때 할로겐히터(31)로의 통전을 차단하면, 할로겐히터(31)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의 하강이 빠르고 밥의 온도를 신속하게 보온온도까지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예와 같이 밥이 되게 되는 경우가 없다.
일단, 다 지어진 밥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보온온도로 보온되고 있지만, 보온중인 밥을 따뜻하게 하는 경우에는 조작부(18)의 재가열스위치를 온해서 재가열을 개시한다. 이때, 코일(5), 몸통히터(3) 및 할로겐히터(31)에 통전해서 가열하여 밥을 보온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한다. 이때, 할로겐히터(31)의 온도의 상승이 빠르고 또 가열력도 강하므로, 짧은 시간에 밥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어서 이 동안에 밥이 되게(건조하게)된다는 불합리도 없다.
밥을 담을 때에는 래치리시버(17)을 누르면 뚜껑체(10)이 래치리시버(17)에서 빠져 힌지스프링(11)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여 본체케이스(1)의 상면이 개방된다. 담은 후 뚜껑체(10)을 닫는 경우에는 뚜껑체(10)의 선단부근을 위에서 가볍게 누르면, 뚜껑체(10)이 래치리시버에 걸어 맞춰져 전기밥통의 뚜껑이 닫힌다.
[실시예 2]
또한,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는 내부뚜껑(13)과 유리판(29) 사이의 밀봉을 밀봉패킹(30)에 의해 실행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밀봉패킹(30) 대신에 유동성 실리콘고무 접착밀봉재를 내부뚜껑(13)과 유리판(29) 사이에 도포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내부뚜껑(13)과 유리판(29) 사이의 밀봉과 양자의 접착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어서 조립의 효율이 양호하게 된다.
[실시예 3]
또한, 실시예 1에서는 뚜껑히터(25)의 발열체로서 할로겐가스 중에 텅스텐 필라멘트를 사용한 할로겐히터의 예를 설명하였지만,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르곤가스(45)중에 니크롬선(46)을 사용한 석영히터를 사용해도 좋다. 석영히터를 사용하면 니크롬선(46)이 단선에 강하므로, 뚜껑체(10)의 개폐에 의한 가속도의 영향을 받는 경우에도 단선이 잘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또, 저렴하므로 비용저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실시예 4]
또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47) 중에 나선형상으로 한 니크롬선(48)을 사용한 석영관히터를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실시예 3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5]
또 실시예 1에서는 선형상의 할로겐히터의 예를 설명하였지만, 제11도, 제12도에 도시한 할로겐히터(50)과 같이 환형(丸形)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제11도는 환형의 할로겐히터(50)을 사용한 뚜껑히터의 단면도, 제12도는 뚜껑히터를 반사판(27)측에서 본 도면이다.
[실시예 6]
제13도는 반사판의 형상을 다르게 한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 6에 있어서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판의 형상을 원형 아치형상으로 한 것이다. 반사판(55)를 원형 아치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할로겐히터(31)의 광을 효과적으로 반사할 수 있다.
[실시예 7]
제14도는 반사판의 형상을 다르게 한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이 실시예 7에 있어서는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판의 형상을 다면 아치형상으로 한 것으로서, 이것에 의해서도 실시예 4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8]
제15도는 반사판의 형상을 다르게 한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이 실시예 8에 있어서는 제14도에 도시한 다면 아치에 있어서의 각 면을 내측으로 돌출시킨 원호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이것에 의해서도 실시예 4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9]
제16도는 할로겐히터(31)의 설치 갯수를 여러개로 한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로서, 이 실시예 9에 있어서는 할로겐히터(31)을 3개 설치한 것을 설명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60)은 대략 W형상으로 형성된 부착판이고, 양끝부 및 중앙부에 할로겐히터(31)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고 있다. 이 부착판(60)에 의하면 단일부재에 의해 3개의 할로겐히터(31)의 한쪽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부착이 효율적으로 된다.
[실시예 10]
제17도는 할로겐히터의 형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할로겐히터(65)를 링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제18도는 제17도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반사판(66)은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할로겐히터(65)를 둘러싸도록 아치형상으로 형성된 둘레 가장자리부(66a)와 이 둘레 가장자리부(66a)에 연속해서 할로겐히터(65)측으로 돌출하는 구면형상으로 형성된 중앙부(66b)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 10에 의하면 단일의 할로겐히터(65)에 의해 가열력을 강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11]
제19도는 할로겐히터의 형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할로겐히터(68)을 원반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제20도는 제19도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69)는 할로겐히터(68)을 덮는 원형의 바닥이 있는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된 반사판이다. 이 실시예 11에 의하면 단일의 할로겐히터(68)에 의해 가열력을 강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유리판(29)를 생략할 수 있다.
[실시예 12]
제21도는 내부뚜껑(13)의 중앙개구부에 배치되는 유리판(29)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유리판(29)의 내면(할로겐히터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면)에 V홈(29a)를 형성한 것이다. 이 V홈(29a)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할로겐히터의 광열을 효과적으로 발산시킬 수 있다.
또한, 뚜껑히터(25)에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선형상의 할로겐히터(31)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V홈(29a)의 홈의 방향이 할로겐히터(31)의 축선과 교차하도록 유리판(29)를 배치한다. 이와 같이 하면, 할로겐히터(31)에서 조사되는 광열을 할로겐히터(31)의 축선방향으로 효과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실시예 13]
제22도는 내부뚜껑(13)의 중앙개구부에 배치되는 유리판(29)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유리판(29)의 내면(할로겐히터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면)에 울퉁불퉁한 모양의 여러개의 오목볼록(29b)를 형상한 것이다. 이 울퉁불퉁한 모양의 여러개의 오목볼록(29b)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할로겐히터의 광열을 효과적으로 발산시킬 수 있다.
[실시예 14]
제23도는 내부뚜껑(13)의 중앙개구부에 배치되는 유리판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제24도는 측면도이다. 이 실시예 14에 있어서는 유리판(29)의 내면에 다수의 다각추 오목볼록(29c)를 형성한 것이다. 이 다각추 오목볼록(29c)에 의해 할로겐히터의 광열을 효과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실시예 15]
제25도는 내부뚜껑(13)의 중앙개구부에 배치되는 유리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75)는 중앙부를 두껍게 하고, 둘레 가장자리부를 얇게 한 광발산렌즈이다. 이 광발산렌즈(75)를 내부뚜껑(13)의 중앙개구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할로겐히터의 광열을 효과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실시예 16]
제26도는 내부뚜껑(13)의 중앙개구부에 배치되는 유리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76)은 유리판(29)의 내면에 도포된 원적외선 도료로서, 발광체의 광을 받아서 이 광을 원적외선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 16에 의하면 뚜껑히터(25)의 광열이 원적외선으로 변환되어 쌀의 속까지 투과하여 고슬고슬하고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외부뚜껑와 내부뚜껑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온도의 상승과 하강이 빠르고 가열력이 강한 발광체히터를 마련했으므로, 가열의 불균일 없이 고슬고슬하고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다.
또, 내부뚜껑 개구부에 투광부재를 설치했으므로, 취사중의 증기가 발광체히터에 직접 닿는 일이 없이 발광체히터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투광부재와 내부뚜껑 사이에 밀봉부재를 개재해서 설치하고, 반사판의 일부에 의해 이 투광부재를 내부뚜껑 방향으로 압압하도록 했으므로, 간이한 구조로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투광부재로서 적색계의 스모크유리를 사용했으므로, 발광체히터가 점등하면 투광부재가 적색으로 발광하고, 예를 들면 데먼스트레이션의 경우 등에 발광체히터의 발광을 효과적으로 어필할 수 있다.
또, 투광부재에 원적외선 도료를 도포했으므로, 발광체히터의 광이 투광부재에 조사되면 원적외선으로 변환되어 쌀의 속까지 투과해서 고슬고슬하고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다.
또, 투광부재의 표면에 여러개의 오목볼록을 마련했으므로, 발광체히터의 광열을 효과적으로 확산할 수 있어서 가열의 불균일을 한층 더 없앨 수 있다.
또, 여러개의 오목볼록을 다각추형상으로 형성했으므로, 발광체히터의 광열의 확산이 더욱 효과적으로 된다.
또, 투광부재를 V홈의 홈방향이 발광체히터의 축선과 교차하도록 배치했으므로, 광열의 발광체히터 축선방향으로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 투광부재를 내부솥 방향으로 만곡시킴과 동시에 둘레 가장자리부의 두께가 중앙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렌즈로 구성했으므로, 발광체히터의 광열을 효과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어 가열의 불균일을 한층 더 없앨 수 있다.
내부뚜껑에 온도의 상승과 하강이 빠르고 가열력이 강한 발광체히터를 마련하고 상기 발광체히터를 취사공정에 있어서 발광제어하도록 했으므로, 가열의 불균일 없이 고슬고슬하고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다.
또, 발광체히터를 뜸들이기 공정에 있어서 발광제어하도록 했으므로, 뜸들이기 공정에 있어서 밥의 온도가 저하하는 일이 없어 고온으로 뜸을 들일 수 있어 쌀겨냄새가 나는 증기를 빼낼 수 있게 되어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다.
또, 발광체히터를 재가열공정에 있어서 발광제어하도록 했으므로, 재가열을 단시간에 실행할 수 있고 재가열시에 밥이 되게 되는 일이 없이 밥을 맛있게 재가열할 수 있다.
또, 발광체히터로서 할로겐히터를 사용했으므로, 온도의 상승과 하강이 빠르고 상술한 바와 같이 고슬고슬하고 또한 쌀겨냄새가 나지 않는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다.
또, 개구부를 내부뚜껑의 대략 중앙부에 마련함과 동시에 발광체히터를 상기 개구부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했으므로, 저온부를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어 가열의 불균일을 보다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다.
또, 반사판을 아치형상으로 했으므로, 발광체히터의 광열을 효과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어 가열의 불균일을 한층 더 없앨 수 있다.
또, 발광체히터를 개구부의 개구면에 근접해서 배치했으므로, 발광체히터에서 직접 방사되는 광열을 내부솥내로 조사할 수 있어 효율적인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또, 선형의 발광체히터를 그의 긴쪽 방향이 외부뚜껑의 힌지부의 축선방향을 따르도록 배치했으므로, 외부뚜껑의 개폐시에 발광체히터의 양끝부에서 가속도의 차가 생기지 않아 가속도차에 의한 발광체히터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발광체히터를 플레이트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플레이트형상의 발광체히터에 의해 내부뚜껑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했으므로, 개구부를 예를 들면 투광부재 등으로 폐쇄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점수가 적어짐과 동시에 발광체히터의 광열을 직접 내부솥내로 조사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2)

  1. 내부솥(6)을 수용한 본체에 힌지결합된 외부뚜껑(12), 개구부를 갖고 상기 외부뚜껑에 소정의 공간을 거쳐서 부착되며 상기 내부솥과 대향하는 내부뚜껑(13), 상기 개구부를 향해서 상기 공간내에 배치된 발광체히터(25,31,50,65,68) 및 상기 공간내에서 상기 발광체히터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체히터의 광열을 상기 개구부측으로 반사하는 반사판(27,55,66,6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뚜껑(13)의 개구부에 설치된 투광부재(29)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발광체히터는 상기 개구부내의 투광부재를 향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통.
KR1019960045832A 1996-03-25 1996-10-15 전기밥통 KR100199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668A KR100204560B1 (en) 1996-03-25 1998-12-31 Rice coo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68736A JPH09252943A (ja) 1996-03-25 1996-03-25 炊飯器
JP96-68735 1996-03-25
JP8068735A JPH09252942A (ja) 1996-03-25 1996-03-25 炊飯器
JP96-68734 1996-03-25
JP8068734A JPH09252941A (ja) 1996-03-25 1996-03-25 炊飯器
JP96-68736 1996-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508A KR970064508A (ko) 1997-10-13
KR100199256B1 true KR100199256B1 (ko) 1999-06-15

Family

ID=27299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832A KR100199256B1 (ko) 1996-03-25 1996-10-15 전기밥통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199256B1 (ko)
TW (1) TW353352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508A (ko) 1997-10-13
TW353352U (en) 199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7745B2 (ja) 加熱調理器
KR100199256B1 (ko) 전기밥통
JP5045171B2 (ja) 電気炊飯器
CN1160526A (zh) 饭煲
JPH09252942A (ja) 炊飯器
JP3139474B2 (ja) 電気炊飯器
JP2000070129A (ja) 保温釜
JPH09252943A (ja) 炊飯器
JPH09252941A (ja) 炊飯器
CN219500850U (zh) 盖体及烹饪器具
JPH0933053A (ja) 加熱調理器
JP2000002425A (ja) 加熱調理器
JP2883576B2 (ja) 炊飯器
CN218651361U (zh) 烹饪器具
JP2883577B2 (ja) 炊飯器
JP2883575B2 (ja) 炊飯器
JPH04324277A (ja) 赤外線輻射ヒータ
JP2851224B2 (ja) 炊飯器
CN220327312U (zh) 煲体和烹饪器具
KR100556803B1 (ko) 가정용 전기 쿡탑
JPH10155649A (ja) 電気炊飯器
JP3022338B2 (ja) 電気炊飯器
KR100400444B1 (ko) 전자레인지의 히터
JPH0552355A (ja) 調理器
JP3153121B2 (ja) 電気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